KR19980070946A -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0946A
KR19980070946A KR1019980002568A KR19980002568A KR19980070946A KR 19980070946 A KR19980070946 A KR 19980070946A KR 1019980002568 A KR1019980002568 A KR 1019980002568A KR 19980002568 A KR19980002568 A KR 19980002568A KR 19980070946 A KR19980070946 A KR 19980070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nce
antenna conductor
coil
band
frequency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2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6994B1 (ko
Inventor
데라시마후미따까
다바따고오지
야마모또쓰요시
Original Assignee
세야히로미찌
아사히가라스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야히로미찌, 아사히가라스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세야히로미찌
Publication of KR19980070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9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71Supports; Mounting means for mounting on windscreens

Landscapes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과제) 저역, 고역의 2 개의 다른 방송대를 양호하게 수신할 수 있다.
(해결수단) 창유리판 (1) 의 제 1 안테나 도체 (3a) 와 수신기 (7) 사이에 접속된 제 1 코일 (31) 과 안테나 도체 (3a) 의 임피던스로 제 1 공진을 발생시키고, 제 2 안테나 도체 (3b) 와 차체 어스 사이에 접속된 제 2 코일 (32) 과 안테나 도체 (3b) 의 임피던스로 제 2 공진을 발생시켜 안테나 도체 (3a) 와 안테나 도체 (3b)를 용량결합시킨다.

Description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
본 발명은 장파 방송대 (LW 대) (150 ∼ 280 ㎑), 중파 방송대 (530 ∼ 1630 ㎑), 단파 방송대 (SW 대) (2.3 ∼ 26.1 ㎒), FM 방송대 (76 ∼ 90 ㎒ (일본)), FM 방송대 (88 ∼ 108 ㎒ (미국)),텔레비젼 VHF 대 (90 ∼ 180 ㎒, 170 ∼ 222 ㎒) 및 텔레비젼 UHF 대 (470 ∼ 770 ㎒) 등의 수신에 적합하고, 고수신감도, 저노이즈이며, 또한 생산성이 뛰어난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진을 이용하여 수신감도를 향상시키는 차량용 유리 안테나로서 도 7 의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 실용신안공보 평4-53070). 이 종래예에서는 차량의 후부 창유리판 (1) 에 히터선 (2) 과 버스바 (busbar : 15a,15b,15c) 로 이루어지는 디포거 (difogger : 90) 를 설치하여 버스바 (15a,15b) 와 디포거 (90) 용 직류전원 (10) 사이에 초크 코일 (9) 을 접속하고, 고주파 대역에서 초크 코일 (9) 의 임피던스를 크게 함으로써, 직류전원 (10) 으로부터 디포거 (90) 로의 직류전류는 흘려보내지만 방송 주파수대역 등의 고주파 대역의 전류는 차단되도록 하여 디포거 (90) 를 안테나로서 이용하고 있다.
또한, 중파 방송대에 있어서 디포거 (90) 의 대지 부상용량 (이하, 간단히 부유용량이라 함) 과 코일 (71) 로 병렬공진시키며, 그리고 코일 (72), 콘덴서 (73) 및 저항 (74) 으로 중파 방송대의 수신신호를 통과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11 은 노이즈 커트용 콘덴서이다.
도 7 의 종래예에서는 이와 같은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수신감지 향상과 저노이즈화를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이 종래예에서는 디포거 (90) 와 수신기를 결선하고 있는 케이블의 부유용량이 병렬공진을 발생시키는 요소로 되어 있으며, 또한 중파 방송대 내에 병렬공진 주파수가 존재하기 때문에, S/N 비가 나쁘고 공진이 1 개이기 때문에 수신감도가 충분치 못했다.
그리고, 디포거 (90) 를 중파 방송대와 FM 방송대의 겸용 안테나로 하는 경우, 디포거 (90) 의 형상을 중파 방송신호에 최적한 형상으로 하여도 중파 방송신호시에는 FM 방송의 수신감도나 지향성이 불충분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상술한 결점을 해소할 목적으로 고수신감도, 저노이즈 및 양호한 생산성을 가지는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를 신규로 제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의 기본적 구성도.
도 2 는 도 1 의 장치에서 제 1 안테나 도체 (3a) 와 제 2 안테나 도체 (3b)를 용량결합시킨 경우의 등가회로도.
도 3 은 공진회로 (6) 의 변경예를 나타낸 회로도.
도 4 는 실시예 1 의 감도의 주파수특성도.
도 5 는 실시예 1 및 종래예의 S/N 특성도.
도 6 은 도 3 과는 다른 타입의 공진회로 (6) 의 회로도.
도 7 은 종래기술의 안테나장치의 구성도.
도 8 은 도 1 과는 다른 타입의 본 발명의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의 구성도.
도 9 는 도 1 과는 다른 타입의 본 발명의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의 구성도.
도 10 은 본 발명에서의 노이즈 필터회로의 회로도.
도 11 은 실시예 3 및 4 의 FM 방송대 감도의 특성도.
도 12 는 도 1 과는 다른 타입의 본 발명의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의 구성도.
도 13 은 도 1 과는 다른 타입의 본 발명의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의 구성도.
도 14 는 본 발명의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를 사이드 창유리판에 설치한 경우의 구성도.
도 15 는 실시예 6 의 중파방송대의 특성도.
도 16 은 실시예 6 의 FM 방송대의 감도의 특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의 후부 창유리판 2 : 히터선
3a : 제 1 안테나 도체 3b : 제 2 안테나 도체
4a, 4b : 급전점 5a, 5b : 버스바
6 : 공진회로 7 : 수신기
10 : 직류전원 31 : 제 1 코일
32 : 제 2 코일
33 : 제 1 안테나 도체 (3a) 의 부유용량
34 : 제 2 안테나 도체 (3b) 의 부유용량
35 : 근접용량 41, 44 : 직류 커트용 콘덴서
42 : 바이패스 콘덴서 43 : 결합 콘덴서
45, 46 : 댐핑용 저항 47 : 저항
52 : 고주파 초크 코일 90 : 디포거
E1 : 제 1 안테나 도체 (3a) 의 전압전원
E2 : 제 2 안테나 도채 (3b) 의 전압전원
본 발명은 제 1 코일, 제 2 코일, 차량의 창유리판에 설치된 제 1 안테나 도체 및 차량의 창유리판에 설치된 제 2 안테나 도체를 구비하고, 제 1 안테나 도체의 임피던스와 제 1 코일의 인덕턴스를 공진요소로서 포함하는 제 1 공진을 발생시키고 있으며, 제 2 안테나 도체의 임피던스와 제 2 코일의 인덕턴스를 공진요소로서 포함하는 제 2 공진을 발생시키고 있으며, 제 2 안테나 도체는 제 1 수신 주파수대용으로서의 도체길이 및 도체형상을 가지고, 제 1 안테나 도체는 제 1 수신 주파수대보다 고주파수인 제 2 수신 주파수대용으로서의 도체길이 및 도체형상을 가지고, 제 1 공진의 공진 주파수 및 제 2 공진의 공진 주파수는 제 1 수신 주파수대의 감도가 향상되는 주파수로 하고, 제 1 안테나 도체와 제 2 안테나 도체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를 제공한다.
또, 제 1 안테나 도체와 제 2 안테나 도체가 1) 양자 근접에 의한 용량결합, 2) 콘덴서 접속, 3) 저항접속 및 4) 코일접속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수단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상기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제 1 코일, 제 2 코일, 차량의 창유리판에 설치된 제 1 안테나 도체 및 차량의 창유리판에 설치된 제 2 안테나 도체를 구비하고, 제 1 안테나 도체의 임피던스와 제 1 코일의 인덕턴스를 공진요소로서 포함하는 제 1 공진을 발생시키고 있으며, 제 2 안테나 도체의 임피던스와 제 2 코일의 인덕턴스를 공진요소로서 포함하는 제 2 공진을 발생시키고 있으며, 제 1 수신 주파수대의 수신신호 및 제 1 수신 주파수대보다 고주파수인 제 2 수신 주파수대의 수신신호가 제 1 안테나 도체에서 수신기로 보내지고 있으며, 제 1 공진의 공진 주파수 및 제 2 공진의 공진 주파수는 제 1 수신 주파수대의 감도가 향상되는 주파수로 하고, 제 1 안테나 도체와 제 2 안테나 도체 사이에 제 2 수신 주파수대의 수신신호를 차단 또는 감쇠시키는 필터회로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제 1 안테나 도체와 수신기 사이에 제 1 코일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제 2 안테나 도체와 차체 어스 사이에 제 2 코일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상기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를 제공한다.
또, 제 1 공진이 직렬공진이고, 제 2 공진이 병렬공진인 상기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제 1 수신 주파수대가 중파 방송대이고, 제 2 수신 주파수대가 FM 방송대, 텔레비젼 VHF 대 및 텔레비젼 UHF 대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상기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를 제공한다.
도 1 은 자동차의 후부 창유리판 (1) 을 사용한 본 발명의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의 기본적 구성도이다. 도 1 에 있어서, 2 는 히터선, 3a 는 제 1 안테나 도체, 3b 는 제 2 안테나 도체, 4a,4b 는 급전점, 5a,5b 는 버스바, 6 은 공진회로, 7 은 수신기, 21 은 단락선, 31 은 제 1 코일, 32 는 제 2 코일, 90 은 디포거이다.
감도향상을 위하여 제 1 안테나 도체 (3a) 와 제 2 안테나 도체 (3b) 는 서로 근접해 있으며 용량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안테나 도체 (3a) 와 제 2 안테나 도체 (3b) 가 용량결합되기 위한 양자간 거리는 통상 0.1 ∼ 50 ㎜ 정도이다. 용량결합된 제 1 안테나 도체 (3a) 와 제 2 안테나 도체 (3b) 사이에서는 직류저항의 송신은 이루어지지 않지만 수신신호의 고주파 전류의 송신은 이루어진다.
도 1 에서 제 1 안테나 도체 (3a) 와 제 2 안테나 도체 (3b) 는 회로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제 1 안테나 도체 (3a) 와 제 2 안테나 도체 (3b) 가 회로로 접속되어 있으며, 제 1 안테나 도체 (3a) 와 제 2 안테나 도체 (3b) 가 일체화되어 제 1 안테나 도체 (3a) 의 실효길이 및 제 2 안테나 도체 (3b) 의 실효길이가 모두 길어지는 경우에는, 제 1 안테나 도체 (3a) 와 제 2 안테나 도체 (3b) 를 용량결합시켜도 되고 용량결합시키지 않아도 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후부 창의 유리판 (1) 에 히터선 (2) 과 히터선 (2) 으로 급전하는 버스바 (5a,5b) 를 가지는 통전가열식 디포거 (90) 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2 안테나 도체 (3b) 가 디포거 (90) 와 용량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포거 (90) 에 유기된 수신신호를 제 2 안테나 도체 (3b) 로 전송하여 수신감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제 2 안테나 도체 (3b) 가 디포거 (90) 와 용량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용량결합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통상 0.5 ㏈ 이상 수신감도가 향상된다.
도 1 에 있어서 제 2 안테나 도체 (3b) 와 디포거 (90) 가 근접하고 있으면, 양자는 용량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안테나 도체 (3a) 및 제 2 안테나 도체 (3b) 중 적어도 일측과 디포거 (90) 를 근접시켜 용량결합시켜도 되며, 이와 같이 하는 경우에는 제 2 안테나 도체 (3b) 와 디포거 (90) 가 용량결합되어 있는 경우와 거의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도 1 에서는 후술하는 도 9 에 나타내는 초크 코일 (9) 을 설치하지 않고, 디포거 (90) 와 직류전원 (10) 을 직접접속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경우에는 방송 주파수대역에서 디포거 (90) 를 차체 어스로부터 차단하지 않게 되어 용량결합된 용량이 너무 크면, 오히려 제 1 안테나 도체 (3a) 또는 제 2 안테나 도체 (3b) 로 유기된 수신신호가 디포거 (90) 를 통하여 차체 어스로 누설되어 수신감도가 감소된다.
또, 용량결합된 용량이 너무 크면, 디포거 (90) 에 존재하는 엔진 노이즈가 제 1 안테나 도체 (3a) 또는 제 2 안테나 도체 (3b) 로 흘러서 S/N 비도 악화된다. 초크 코일 (9) 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 1 안테나 도체 (3a) 및 제 2 안테나 도체 (3b) 중 적어도 일측과 디포거 (90) 의 결합용량은 통상 100 ㎊ 이하가 바람직하다. 100 ㎊ 이하인 경우에는 100 ㎊ 초과인 경우와 비교하여 통상 0.5 ㏈ 이상 수신감도가 향상된다.
마찬가지로 S/N 비의 관점에서, 통상 제 1 안테나 도체 (3a) 및 제 2 안테나 도체 (3b) 중 적어도 일측과 디포거 (90) 의 결합용량은 50 ㎊ 이하가 바람직하다. 50 ㎊ 이하인 경우에는 50 ㎊ 초과인 경우와 비교하여 통상 2.0 ㏈ 이상 S/N 비가 향상된다. 더욱 바람직한 범위는 25 ㎊ 이하이다. 25 ㎊ 이하인 경우에는 25 ㎊ 초과인 경우와 비교하여 통상 3.0 ㏈ 이상 S/N 비가 향상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부창의 유리판 (1) 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히터선 (2) 의 버스바 이외의 부분을 단락선 (21) 으로 단락하여도 된다. 히터선 (2) 을 버스바 이외의 부분에서 단락하는 단락선 (21) 은 필요에 따라 설치되며, 디포거 (90) 를 안테나로서 이용하는 경우에 디포거 (90) 의 임피던스를 안정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또, 단락선 (21) 은 고대역화 기능도 가진다.
도 2 는 도 1 의 장치에 있어서 제 1 안테나 도체 (3a) 와 제 2 안테나 도체 (3b) 를 용량결합시킨 경우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2 에 있어서, E1 은 제 1 안테나 도체 (3a) 의 전압전원, E2 는 제 2 안테나 도체 (3b) 의 전압전원, 33 은 제 1 안테나 도체 (3a) 의 대접지 부유용량 (이하, 간단히 부유용량이라 함), 34 는 제 2 안테나 도체 (3b) 의 부유용량, 35 는 제 1 안테나 도체 (3a) 와 제 2 안테나 도체 (3b) 의 근접용량이다.
제 2 안테나 도체 (3b) 는 주로 제 1 수신 주파수대 (이하, 저역 주파수대라 함) 의 수신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역 주파수대에서 바람직한 수신성능을 얻을 수 있도록 도체길이 및 도체형상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안테나 도체 (3a) 는 저역 주파수대보다 고주파수인 제 2 수신 주파수대 (이하, 고역 주파수대라 함) 의 수신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역 주파수대에서 매우 바람직한 수신성능을 얻을 수 있도록 도체길이 및 도체형상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고역 주파수대를 FM 방송대, 텔레비젼 VHF 대 또는 텔레비젼 UHF 대로 하는 경우, 제 1 안테나 도체 (3a) 를 구성하는 각 엘리먼트의 가로폭 치수는 유리 단축율을 K, 고역 주파수대의 최고 주파수의 파장을 λH, 고역 주파수대의 최저 주파수의 파장을 λL로 하였을 때, (λH/ 4) × K ∼ λL× K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유리 단축율 (K) 은 0.64 이다.
저역 주파수대를 중파 방송역으로 하는 경우, 제 2 안테나 도체 (3b) 의 도체길이는 사용할 수 있는 영역을 최대한 사용하여 가능한 한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안테나 도체 (3b) 는 제 1 안테나 도체 (3a) 의 대부분을 둘러싸도록 창유리판 (1) 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자를 용량결합하기 쉽게 하고, 제 2 안테나 도체 (3b) 의 도체길이를 가능한 한 길게하기 위해서이다.
제 1 안테나 도체 (3a), 제 2 안테나 도체 (3b) 는 중파 방송대, FM 방송대, 단파방송대, 장파방송대, 텔레비젼 VHF 대, 텔레비젼 UHF 대 및 전화수신용 등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는 저역 주파수대를 중파 방송대로 하고, 고역 주파수대를 FM 방송대, 텔레비젼 VHF 대 및 텔레비젼 UHF 대 중 1 이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2 개의 공진을 일으켜 수신감도를 향상시킨다. 제 1 공진에 대해서는 제 1 안테나 도체의 임피던스와 제 1 코일의 인덕턴스가 공진요소로서 포함된다.
제 1 안테나 도체 (3a) 의 임피던스는 주로 부유용량 (33) 으로 이루어지며, 제 1 안테나 도체 (3a) 의 임피던스란 급전점 (4a) 에서 제 1 안테나 도체 (3a) 측을 보았을 때의 임피던스를 말한다. 또한, 부유용량 (33) 과 차체 어스 사이에 병렬로 용량성분을 접속하여 제 1 공진의 공진 주파수를 조정하여도 된다. 이 용량성분도 제 1 공진의 공진요소가 될 수 있다.
또, 제 1 공진에는 제 1 코일 (31) 주변 배선의 부유용량, 유리 안테나와 수신기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케이블의 부유용량 및 근접용량 (35) 도 영향을 미치므로, 이들도 제 1 공진의 공진요소가 될 수 있다.
또한, 공진회로 (6) 내부에 새롭게 회로소자를 설치하여 제 1 안테나 도체 (3a) 와 수신기측의 임피던스 매칭을 실시하여도 된다. 제 1 코일 (31) 에는 통상 10 μH ∼ 1 mH 정도의 것이 사용된다.
제 2 공진에 대해서는 제 2 안테나 도체의 임피던스와 제 2 코일의 인덕턴스가 공진요소로서 포함된다. 제 2 안테나 도체 (3b) 의 임피던스는 주로 부유용량 (34) 으로 이루어지며, 제 2 안테나 도체 (3b) 의 임피던스란 급전점 (4a) 에서 제 2 안테나 도체 (3a) 측을 보았을 때의 임피던스를 말한다. 또한, 부유용량 (34) 과 차체 어스 사이에 병렬로 용량성분을 접속하여 제 2 공진의 공진 주파수를 조정하여도 된다. 이 용량성분도 제 2 공진의 공진요소가 될 수 있다.
제 2 코일 (32) 에는 통상 10 μH ∼ 1 mH 정도의 것이 사용된다. 또, 제 2 공진에는 제 2 코일 (32) 주변 배선의 부유용량 및 근접용량 (35) 도 제 2 공진의 공진요소가 될 수 있다. 공진회로 (6) 와 수신기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케이블의 부유용량도 제 2 공진에 영향을 준다.
또한, 제 2 코일 (32) 이 방송 주파수 중에서도 FM 방송 주파수와 같은 높은 주파수대에서 인덕턴스를 상실하는 (즉, 용량성의 성질로 되는) 경우에는, 수신신호가 차체 어스로 누설되어 수신감도가 떨어진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2 코일 (32) 에 고주파 초크 코일 (도시생략) 을 직렬로 접속하여도 된다. 이 고주파 초크 코일에는 통상 0.1 ∼ 100 μH 정도가 사용된다.
제 1 안테나 도체 (3a) 와 제 2 안테나 도체 (3b) 를 용량결합시킨 경우, 제 2 안테나 도체 (3b) 의 수신신호는 근접용량 (35) 을 통하여 수신기측으로 전달된다. 공진회로 (6) 내부에 새롭게 회로소자를 설치하여 제 2 안테나 도체 (3b) 와 수신기측의 임피던스 매칭을 실시하여도 된다. 도 1 에서는 제 1 공진은 직렬공진이고, 제 2 공진은 병렬공진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하는 것이 감도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제 1 공진은 직렬공진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2 공진도 병렬공진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2 개의 공진을 발생시키는 것은, 1 개의 공진만으로는 폭넓은 수신 주파수대역을 다 커버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저역 주파수대를 대략 중심주파수로 2 개로 나누어, 각각을 2 개의 공진으로 분담시켜 수신감도의 평탄화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신감도의 평탄화란, 저역 주파수대 등의 대역내에서 최고 수신감도와 최저 수신감도의 차를 작게 하는 것을 말한다.
또, 제 1 공진의 공진 주파수 및 제 2 공진의 공진 주파수는 저역 주파수대의 감도가 향상되는 주파수로 한다. 그러나, 저역 주파수대의 최고 주파수를 fH로 한 경우, fH의 1.5 배의 주파수와 저역 주파수대의 대략 중심주파수 사이에 제 1 공진의 공진 주파수를 존재시키며, 또한 저역 주파수대의 최저 주파수를 fL로 한 경우, fL의 0.6 배의 주파수와 저역 주파수대의 대략 중심주파수 사이에 제 2 공진의 공진 주파수를 존재시키는 것이 수신감도의 평탄화면에서 바람직하다. 이 범위외이면, 저역 주파수대역내에서 최고 수신감도과 최저 수신감도의 차가 통상 10 ㏈ 정도 이하로 되기가 어려우므로 저역 주파수대에서 수신감도의 평탄화가 떨어진다.
또한, 제 1 공진의 공진 주파수는 저역 주파수대역 내에 존재하는 것이 수신감도 향상면에서 바람직하다. 저역 주파수대역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존재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저역 주파수대 전역의 수신감도가 통상 10 ㏈ 정도 향상된다.
따라서, 평탄화 및 수신감도의 양면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fH와 저역 주파수대의 대략 중심주파수 사이에 제 1 공진의 공진 주파수를 존재시키며, 또한 fL의 0.6 배의 주파수와 저역 주파수대의 대략 중심주파수 사이에 제 2 공진의 공진 주파수를 존재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1 공진이 직렬공진인 경우, 제 1 공진의 공진 주파수는, 저역 주파수대역의 대략 중심주파수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공진이 병렬공진인 경우, 제 2 공진의 공진 주파수는 저역 주파수대역의 대략 중심주파수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공진이 병렬공진인 경우에는 병렬공진의 공진 주파수보다 낮은 범위의 수신감도의 저하가 현저하다.
도 3 은 공진회로 (6) 의 변경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 에 있어서 41, 44, 50, 51 은 직류 커트용 콘덴서, 42 는 바이패스 콘덴서, 43 은 결합용 콘덴서, 45, 46, 48, 49 는 댐핑 (damping) 용 저항, 47 은 엔진 노이즈 등의 차량소음 경감용 저항이다.
제 3 공진회로에서 제 2 안테나 도체 (3b) 의 수신신호는 콘덴서 (51), 저항 (47), 콘덴서 (43) 를 통하여 수신기측으로 전달된다. 단, 제 1 안테나 도체 (3a) 와 제 2 안테나 도체 (3b) 가 용량결합되어 있는 있는 경우에는 제 2 안테나 도체 (3b) 의 수신신호는 근접용량 (35) 을 통해서도 수신기측으로 전달된다.
바이패스 콘덴서 (42) 는 필요에 따라 설치되며, 고역 주파수대를 통과시켜수신기측으로 보내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면, 저역 주파수대를 중파 방송대로 할 때에 FM 방송수신도 실시할 경우에는 FM 방송대를 바이패스 콘덴서 (42) 에 의해 통과시킨다.
콘덴서 (43) 는 제 1 안테나 도체 (3a) 와 제 2 안테나 도체 (3b) 의 용량결합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설치된다. 제 1 안테나 도체 (3a) 와 제 2 안테나 도체 (3b) 의 접속에 대하여는 도 3 의 경우에서는 콘덴서 (43) 로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저항 등 다른 부품으로 접속시켜도 된다. 또한, 수신감도의 평탄화를 조정하는 것으로서, 저항 (45,46,48,49) 은 필요에 따라 설치된다. 그 외에 공진 조정용 콘덴서 등을 설치하여도 된다.
콘덴서 (41,44,50,51) 는 필요에 따라 설치되며, 통상 100 ㎊ ∼ 50 ㎌ 가 사용된다. 바이패스 콘덴서 (42) 에는 통상 1 ∼ 1000 ㎊ 가 사용된다. 콘덴서 (43) 에는 통상 5 ∼ 500 ㎊ 가 사용된다. 저항 (45,46,49) 에는 통상 50 Ω ∼ 100 ㏀ 이 사용된다.
공진회로 (6) 와 수신기 (7) 를 접속하는 케이블의 부유용량이 제 2 공진에 영향을 미쳐 엔진 노이즈 등의 차량 노이즈에 의한 S/N 비의 악화를 초래한다. 저항 (47) 은 필요에 따라 설치되며, 이 S/N 비 악화를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특히, 중파 방송대의 저역 S/N 비 악화를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즉, 저항 (47) 은 엔진 노이즈 등의 차량 노이즈를 경감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저항 (47) 의 저항치는 10 Ω ∼ 1 ㏀ 이 바람직하며, 50 ∼ 500 Ω 이 바람직하다. 저역 주파수대를 중파 방송대로 할 때, 저항 (47) 의 저항치를 10 Ω ∼ 1 ㏀ 으로 하는 경우에는 10 Ω ∼ 1 ㏀ 범위외의 경우와 비교하여 중파 방송대의 S/N 비가 1 ㏈ 이상 향상된다. 저항 (47) 의 저항치를 50 ∼ 500 Ω 으로 하는 경우에는 50 ∼ 500 Ω 범위외의 경우와 비교하여 중파 방송대의 S/N 비가 1 ㏈ 이상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 에 있어서 콘덴서 (41,42,43,44,50,51), 저항 (45,46,47,48,49) 은 필요에 따라 설치되고, 생략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콘덴서 (42) 의 생략, 저항 (45,46,49) 의 생략이란 개방으로 하는 것이고, 콘덴서 (41,43,44,50,51) 의 생략, 저항 (47,48) 의 생략이란 단락으로 하는 것이다.
도 6 은 도 3 과는 다른 타입의 공진회로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6 에서, 52 는 고주파 초크 코일이다. 고주파 초크 코일 (52) 은 필요에 따라 설치된다. 고주파 초크 코일 (52) 의 생략이란 단락으로 하는 것이다.
고주파 초크 코일 (52) 은 제 1 안테나 도체 (3a) 와 제 2 안테나 도체 (3b) 를 통상 고역 주파수대에서 고주파적으로 분리하여 제 1 안테나 도체 (3a) 의 도체의 실효 길이를 변화시키지 않고 고역 주파수대에서 수신감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고주파 초크 코일 (52) 은 0.1 ∼ 1000 μH 정도가 통상 사용된다.
또한, 제 2 코일 (32) 이 고역 주파수대에서 자기공진 주파수가 낮고, 인덕턴스를 상실하는 경우에는 제 1 안테나 도체 (3a) 로 여기되는 고역 주파수대의 수신신호가 제 2 코일 (32) 을 통하여 차체 어스로 누설되어 수신감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고역 주파수대에서 인덕턴스를 상실하지 않는 (즉, 용량성의 성질로 되지 않는) 고주파 초크 코일 (52) 에 의해 고역 주파수대의 수신신호가 제 2 코일 (32) 을 통하여 차체 어스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고주파 초크 코일 (52) 은 저역 주파수대의 주파수를 통과시켜 고역 주파수대의 주파수를 차단 또는 감쇠하는 필터 기능을 가진다. 고주파 초크 코일 (52) 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설치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고역 주파수대 수신감도가 통상 1 ㏈ 이상 향상된다.
도 6 에 있어서, 제 1 안테나 도체 (3a) 로 여기된 고역 주파수대의 수신신호가 차체 어스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안테나 도체 (3a) 와 제 2 안테나 도체 (3b) 사이에 고주파 초크 코일 (52) 을 접속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안테나 도체 (3a) 와 제 2 안테나 도체 (3b) 사이에 접속하는 것은 고역 주파수대의 수신신호를 차단 또는 감쇠시키는 필터 회로이면 어떤 것이라도 된다.
도 1 에 있어서, 제 2 안테나 도체 (3b) 와 디포거 (90) 를 약간 용량결합시키는 경우에는, 디포거 (90) 에 존재하는 엔진 노이즈가 제 2 안테나 도체 (3b) 로 흘러서 S/N 비가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 엔진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바와 디포거 (90) 용 직류전원 사이에 노이즈 필터 회로 (13) 를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이즈 필터 회로 (13) 를 접속하는 경우에는 접속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저역 주파수대의 S/N 비가 수㏈ 이상 향상된다.
노이즈 필터 회로 (13) 의 대표예를 도 10 에 나타낸다. 도 10 에 나타내는 노이즈 필터 회로는 콘덴서와 코일로 이루어지며, 도 10 의 콘덴서는 0.1 ∼ 20 ㎌, 코일은 0.1 ∼ 10 μH 가 통상 사용된다. 그리고, 노이즈 필터 회로는 도 10 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에서는 제 2 안테나 도체 (3b) 는 디포거 (90) 와는 근접되어 있지 않으며, 따라서 디포거 (90) 와 제 2 안테나 도체 (3b) 는 거의 용량결합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완전하게 용량결합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디포거 (90) 를 차체 어스에서 고주파적으로 거의 절연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감도 향상을 위하여 디포거 (90) 와, 제 1 안테나 도체 (3b) 및 제 2 안테나 도체 (3b) 중 적어도 일측과 근접시켜 용량결합시켜도 된다. 완전하게 용량결합시킨 경우에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포거 (90) 와 디포거 (90) 용 직류전원 (10) 사이에 초크 코일 (9) 을 접속하고, 디포거 (90) 를 차체 어스에서 절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용량결합시키는 경우에는 용량결합시키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수신감도가 수㏈ 이상 향상된다. 용량결합되기 위한 양자간 거리는 통상 0.1 ∼ 50 ㎜ 정도이다. 초크 코일 (9) 은 통상 0.1 ∼ 10 mH 정도가 사용된다.
도 9 에서는 버스바 (5a,5b) 와 디포거 (90) 용 직류전원 (10) 사이에 초크 코일 (9) 및 고주파 초크 코일 (12a,12b) 을 삽입하여, 공진 주파수대역에서 초크 코일 (9) 및 고주파 초크 코일 (12a,12b) 의 임피던스를 크게함으로써, 직류전원 (10) 으로부터 디포거 (90) 로의 직류전원은 흘려보내지만 방송 주파수대역의 전류는 차단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초크 코일 (9) 및 고주파 초크 코일 (12a,12b) 에 의해 디포거 (90) 의 히터선 (2) 과 버스바 (5a,5b) 를 차체 어스로부터 고주파적으로 절연할 수 있고, 디포거 (90) 에 유기된 방송 주파수대의 수신전류가 차체 어스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 수신전류는 누설되지 않고 수신기로 보내진다.
고주파 초크 코일 (12a,12b) 은 방송 주파수대 중에서도 FM 방송 주파수대와 같은 높은 주파수대에서 고 임피던스로 되는 것으로서, 통상 솔레노이드 또는 자기 코어를 사용한다. 이들은 FM 방송 주파수대와 같은 높은 주파수대 및 그 주파수대 근방에서는 유도성 인덕턴스를 가진다. 초크 코일 (9) 은 FM 방송 주파수대와 같은 높은 주파수대에서는 자기공진 주파수가 낮고, 인덕턴스를 상실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고주파 초크 코일 (12a,12b) 이 이를 대행한다. 고주파 초크 코일 (12a,12b) 은 0.1 ∼ 100 μH 정도가 통상 사용된다.
초크 코일 (9) 이 FM 방송 주파수대와 같은 높은 주파수대에서 인덕턴스를 상실하는 경우에는 고주파 초크 코일 (12a,12b) 은 불필요하다. 말하자면, AM 방송 주파수대와 같은 낮은 주파수대만을 수신하는 경우라면 고주파 초크 코일 (12a,12b) 은 통상 불필요하므로 초크 코일 (9) 만으로 되고, FM 방송 주파수대와 같은 높은 주파수대만을 수신하는 경우라면 고주파 초크 코일 (12a,12b) 만으로 된다. 또한, 낮은 주파수대 및 높은 주파수대 양측을 수신하는 경우라도 초크 코일 (9), 고주파 초크 코일 (12a,12b) 양측의 기능을 만족시키는 코일이라면 그러한 코일만으로 된다.
또, 도 9 에 있어서 제 1 안테나 도체 (3a) 가 디포거 (90) 와 용량결합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제 1 안테나 도체 (3a) 와 제 2 안테나 도체 (3b) 가 용량결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 2 안테나 도체 (3b) 와 디포거 (90) 가 용량결합되어 있어도 제 1 안테나 도체 (3a) 와 제 2 안테나 도체 (3b) 사이에 고주파 초크 코일 (52) 이 접속되어 있으면 고주파 초크 코일 (12a,12b) 은 불필요하므로 생략할 수 있고, 고주파 초크 코일 (12a,12b) 부분을 단락할 수 있다.
도 12 는 도 1 과는 다른 타입의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2 에서 부호 91 은 디포거 (90) 에 접속된 인출 선조 (線條) 의 선단에 설치된 급전점이다. 도 12 의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에서는, 도 1 에서의 제 2 안테나 도체 (3b) 를 디포거 (90) 로 하고 있다. 따라서, 도 2 에서의 설명에서는 제 2 안테나 도체 (3b) 를 디포거 (90) 로 대체하여 도 12 를 설명한다.
도 3, 도 6 의 공진회로는 도 12 에도 적용된다. 단, 도 12 의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에서 콘덴서 (51) 는 도 1 에 나타낸 타입의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와는 다른 중요성을 가진다. 왜냐하면, 콘덴서 (51) 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콘덴서 (51) 부분이 단락되어 있으면, 디포거 (90) 로 흐르는 직류전류가 제 2 코일 (32) 로 흘러들어가기 때문에 제 2 코일 (32) 의 전류용량을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생산성이 나빠지며 또한 디포거 (90) 로 흐르는 직류전류가 코일 (32) 을 통하여 차체 어스로 흘러들어가기 때문에 전류가 낭비된다. 따라서, 콘덴서 (51) 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에서 콘덴서 (51) 는, 급전점 (91) 과 제 2 코일 (32) 사이에 접속되어 있으며, 급전점 (91) 이 버스바 (5b) 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버스바 (5b) 와 제 2 코일 (32)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콘덴서 (51) 는 버스바 (5b) 와 제 2 코일 (32) 사이에 접속되어 있어도 되고, 히터선 (2) 과 제 2 코일 (32) 사이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바꿔 말하면, 제 2 코일 (32) 이 접속되는 디포거 (90) 의 부분은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 에 있어서도 2 개의 공진을 일으켜서 수신감도를 향상시킨다. 제 1 공진에 대해서는 제 1 안테나 도체 (3a) 의 임피던스와 제 1 코일 (31) 의 인덕턴스가 공진요소로서 포함된다.
제 1 안테나 도체 (3a) 의 임피던스는 주로 부유용량 (33) 으로 이루어지며, 제 1 안테나 도체 (3a) 의 임피던스란 급전점 (4a) 에서 제 1 안테나 도체 (3a) 측을 보았을 때의 임피던스를 말한다.
또, 부유용량 (33) 과 차체 어스 사이에 병렬로 용량성분을 접속하여 제 1 공진의 공진 주파수를 조정하여도 된다. 이 용량성분도 제 1 공진의 공진요소가 될 수 있다.
또한, 제 1 안테나 도체 (3a) 와 디포거 (90) 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공진에는 디포거 (90) 의 임피던스도 영향을 미쳐 제 1 공진의 공진요소가 될 수 있다.
디포거 (90) 의 임피던스는 주로 부유용량 (34) 으로 이루어지며, 디포거 (90) 의 임피던스란 급전점 (91) 에서 디포거 (90) 측을 보았을 때의 임피던스를 말한다. 그리고, 제 1 공진에는 제 1 코일 (31) 주변 배선의 부유용량, 유리 안테나와 수신기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케이블의 부유용량 및 근접용량 (35) 도 영향을 미치므로 제 1 공진의 공진요소가 될 수 있다. 제 1 공진은 도 12 에서는 직렬병진이다.
공진회로 (6) 내부에 새롭게 회로소자를 설치하여 제 1 안테나 도체 (3a) 와 수신기측의 임피던스 매칭을 실시하여도 된다. 제 1 코일 (31) 에는 통상 10 μH ∼ 1 mH 정도의 것이 사용된다.
제 2 공진에 대해서는, 제 2 코일 (32) 의 인덕턴스 및 초크 코일 (9) 의 인덕턴스 중 적어도 일측과 디포거 (90) 의 임피던스가 공진요소로서 포함된다.
또, 제 1 안테나 도체 (3a) 와 디포거 (90) 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공진에는 제 1 안테나 도체 (3a) 의 임피던스도 영향을 미쳐 제 2 공진의 공진요소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공진에는 제 1 안테나 도체 (3a) 주변 배선의 부유용량, 디포거 (90) 주변 배선의 부유용량, 제 2 코일 (32) 주변 배선의 부유용량 및 근접용량 (35) 도 영향을 미쳐 제 2 공진의 공진요소가 될 수 있다. 공진회로 (6) 의 출력과 수신기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케이블의 부유용량도 제 2 공진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도 12 에서의 제 2 공진은 병렬공진이다.
도 12 에 있어서, 제 2 코일 (32) 의 인덕턴스 및 초크 코일 (9) 의 인덕턴스와 디포거 (90) 의 임피던스가 공진요소로서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면, 제 2 코일 (32) 과 초크 코일 (9) 의 병렬접속 회로의 인덕턴스와 디포거 (90) 의 임피던스가 공진요소로서 포함된다. 또한 이 경우, 제 2 코일 (32) 의 인덕턴스 값을 L2라 하고, 초크 코일 (9) 의 인덕턴스 값을 LCH라 하는 경우, 1.5·L2≤ LCH가 바람직하며, 2·L2≤ LCH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초크 코일 (9) 에는 디포거 (90) 로 흐르는 수십 A (암페어) 의 대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전류용량을 크게 해야만 하므로, 대량생산시에 LCH는 통상 ±30 % 정도의 편차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제 2 공진의 공진 주파수 편차를 발생시키며, 나아가서는 저역 주파수대의 감도 편차를 발생시킨다. 도 12 에 나타내는 장치에서는 제 2 코일 (32) 과 초크 코일 (9) 의 병렬접속 회로의 인덕턴스가 제 2 공진을 발생시키는 주된 인덕턴스로 되기 때문에, 1.5·L2≤ LCH로 함으로써 초크 코일 (9) 의 인덕턴스의 제 2 공진으로의 영향을 적게 하여 제 2 공진의 공진 주파수의 편차를 작게 할 수 있다. 1.5·L2≤ LCH의 경우에는, LCH가 ± 30 % 편차가 생겨도 제 2 코일 (32) 과 초크 코일 (9) 의 병렬접속 회로의 인덕턴스의 편차를 ± 15 % 이하로 할 수 있다.
도 12 에 있어서, 제 1 공진의 공진 주파수 및 제 2 공진의 공진 주파수는 저역 주파수대의 감도가 향상되는 주파수로 한다. 저역 주파수대를 중파 방송대로 할 때, S/N 비 향상의 관점에서 병렬공진의 공진 주파수는 350 ∼ 530 ㎑ 가 바람직하며, 450 ∼ 500 ㎑ 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부유용량 (34) 과 차체 어스 사이에 병렬로 용량성분을 접속하여 제 2 공진의 공진 주파수를 조정하여도 된다. 이 용량성분도 제 2 공진의 공진요소가 될 수 있다. 제 2 코일 (32) 에는 통상 10 μH ∼ 1 mH 정도의 것이 사용된다.
도 12 에 있어서, 인덕턴스 소자인 고주파 초크 코일 (52) 은 필요에 따라 설치되며, 고주파 초크 코일 (52) 은 제 1 안테나 도체 (3a) 와 디포거 (90) 를 통상 고역 주파수대에서 고주파적으로 분리하여 제 1 안테나 도체 (3a) 의 도체의 실효 길이를 변화시키지 않고, 고역 주파수대에서 수신감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고주파 초크 코일 (52) 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로서, 초크 코일 (9) 또는 제 2 코일 (32) 이 고역 주파수대에서는 자기공진 주파수가 낮고 용량성의 성질이 강해지는 경우에는, 제 1 안테나 도체 (3a) 로 여기된 고역 주파수대의 수신신호가 차체 어스의 누출 때문에 고주파 초크 코일 (52) 을 설치하여 이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 12 에서의 고주파 초크 코일 (52) 은 0.1 ∼ 1000 μH 정도가 통상 사용되고, 고주파 초크 코일 (52) 을 설치함으로써 고역 주파수대의 감도가 0.3 ㏈ 이상 향상되도록 고주파 초크 코일 (52) 의 인덕턴스 값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역 주파수대를 중파 방송대로 하고, 고역 주파수대를 FM 방송대, 텔레비전 VHF 대 및 텔레비전 UHF 대 중 1 이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고주파 초크 코일 (52) 은 0.5 ∼ 10 μH 가 통상 사용된다. 고주파 초크 코일 (52) 은 0.5 ∼ 10 μH 범위내인 경우에는 0.5 ∼ 10 μH 범위외인 경우와 비교하여 2 ㏈ 이상 감도가 향상된다.
도 12 에 있어서, 제 1 안테나 도체 (3a) 로 여기된 고역 주파수대의 수신신호가 차체 어스의 누출을 방지하기 때문에, 제 1 안테나 도체 (3a) 와 디포거 (90) 사이에 고주파 초크 코일 (52) 을 접속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안테나 도체 (3a) 와 디포거 (90) 사이에 접속하는 것은 고역 주파수대의 수신신호를 차단 또는 감쇠시키는 필터 회로이면 어떤 것이라도 된다.
또한, 도 12 에 있어서 제 1 안테나 도체 (3a) 와 디포거 (90) 는 용량결합하지 않은 편이 바람직하다. 용량결합시키는 경우에는, 제 1 안테나 도체 (3a) 로 여기된 고역 주파수대의 수신신호가 디포거 (90), 초크 코일 (9) 을 통하여 차체 어스로 누출되기 쉬워진다.
도 13 은, 도 12 의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를 발전시켜서 다이버시티 수신을 하도록 한 것이다. 도 13 에서 부호 53 은 콘덴서, t1은 수신기 (7) 의 제 1 입력, ta는 수신기 (7) 의 제 2 입력이다. 수신기 (7) 에서는 제 1 입력 tl과 제 2 입력 ta사이의 고역 주파수대의 수신신호 중 강한 쪽을 선택한다.
콘덴서 (53) 는 필요에 따라 설치되며, 저역 주파수대의 수신신호를 차단 또는 감쇠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콘덴서 (53) 의 용량치는 10 ∼ 150 pF 가 바람직하며, 20 ∼ 70 pF 가 더욱 바람직하다. 저역 주파수대가 중파 방송대인 경우, 콘덴서 (53) 의 용량치를 10 ∼ 150 pF 로 하는 경우에는, 10 ∼ 150 pF 의 범위외인 경우와 비교하여 중파 방송대의 감도가 1 ㏈ 이상 향상된다. 콘덴서 (53) 의 용량치를 20 ∼ 70 pF 로 하는 경우에는, 20 ∼ 70 pF 범위외인 경우와 비교하여 중파 방송대의 감도가 1 ㏈ 이상 향상된다.
도 13 의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에서는, 도 9 와 동일한 방법으로 고주파 초크 코일 (12a,12b) 을 버스바와 초크 코일 (9) 사이에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 에 나타내는 장치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디포거 (90) 로 여기된 고역 주파수대의 수신신호를 제 2 입력 (t2) 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고주파 초크 코일 (12a, 12b) 에서 디포거 (90) 로 여기된 고역 주파수대의 수신신호의 차체 어스로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도 13 의 공진회로 (6) 는 다른 도면의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에도 응용할 수 있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를 사이드 창유리판에 설치한 경우의 기본적 구성도로서, 공진회로 (6) 에는 도 3, 6 의 공진회로 (6) 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 8, 9, 12, 13 에 나타낸 디포거 (90) 는, 이른바 대략 八 형이지만 본 발명에 관한 디포거 (90) 는 이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도 7 에 나타낸 이른바 대략 ⊃ 자형 디포거 (90) 여도 본 발명에 이용할 수 있다.
제 1 안테나 도체 (3a) 및 제 2 안테나 도체 (3b) 는, 창유리판 (1) 의 디포거 (90) 보다도 상, 하, 좌 또는 우의 여백부 어디에 설치해도 되므로, 도 1 에 나타낸 위치에 한정된 것이 아니다. 또한, 창유리판 (1) 에 설치되는 안테나 도체의 수는 2 개 이상이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 1 안테나 도체 (3a) 및 제 2 안테나 도체 (3b) 이외에 차량에 설치되는 안테나 도체의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 안테나 장치, 폴 안테나 등의 다른 안테나 장치 또는 다른 유리 안테나 장치 사이에서 다이버시티 수신을 실시해도 된다.
급전점 (4a,4b) 은 도 1 에서는 창유리판 (1) 의 오른쪽 주변부에 설치되어 있는데 이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창유리판 (1) 의 어느 위치에 설치되어도 되며, 예를 들면 창유리판 (1) 의 좌우 중앙의 상하 주변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1 에 나타낸 제 1 안테나 도체 (3a) 및 제 2 안테나 도체 (3b) 에는 보조 안테나 도체는 부설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위상조정 및 지향성 조정을 위해 이들 안테나 도체의 도체 패턴 또는 급전점에 대략 T 자형, 대략 L 자형 등의 보조 안테나 도체가 부설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안테나 도체 (3a) 및 제 2 안테나 도체 (3b) 가 설치되는 창유리판은 후부 창유리판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이드 창유리판, 전부 창유리판, 루프 창유리판 등이어도 되고, 안테나 도체가 설치되는 창유리판에 디포거 (90) 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도 12, 13 에 나타낸 디포거 (90) 는, 이른바 대략 八 형이지만 본 발명에 관한 디포거 (90) 는 이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도 7 에 나타낸 이른바 대략 ⊃ 자형 디포거 (90) 여도 본 발명에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자동차의 후부 창유리판을 사용하여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유리 안테나 장치를 제작하였다. 공진회로 (6) 는 도 3 에 나타낸 회로를 채택하였다. 저항 (47,48,49), 콘덴서 (50,51) 는 설치하지 않았다 (저항 (47,48), 콘덴서 (50,51) 는 단락, 저항 (49) 은 개방). 각 회로 정수는 다음과 같다.
제 1 코일 (31) = 220 μH,
제 2 코일 (32) = 680 μH,
콘덴서 (41,44) = 2200 ㎊,
바이패스 콘덴서 (42) = 22 ㎊,
콘덴서 (43) = 39 ㎊,
저항 (45) = 10 kΩ,
저항 (46) = 15 kΩ.
제 1 안테나 도체 (3a) 는 FM 방송대에서 바람직한 수신성능을 얻을 수 있도록 도체길이, 도체형상을 조정하였다. 제 2 안테나 도체 (3b) 는 중파 방송대를 양호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안테나로서 사용할 수 있는 영역을 최대한 사용하여 도체길이를 가능한 한 길게 하였다.
제 1 안테나 도체 (3a) 의 상부 또는 하부와 제 2 안테나 도체 (3b) 의 간격은 모두 10 ㎜ 로 하였다. 제 2 안테나 도체 (3b) 와 히터선 (2) 중 가장 윗선의 간격을 20 ㎜ 로 길게 하였다. 이 경우 제 2 안테나 도체 (3b) 와 디포거 (90) 는 약간 용량결합되어 있다.
제 1 안테나 도체 (3a) 의 최상 엘리먼트 폭은 730 ㎜, 중앙 엘리먼트 폭은 680 ㎜, 최하 엘리먼트 폭 (급전점 (4a) 을 포함하지 않음) 은 780 ㎜, 최상 엘리먼트와 중앙 엘리먼트 간격은 15 ㎜, 중앙 엘리먼트와 최하 엘리먼트 간격은 15 ㎜ 로 하였다.
제 2 안테나 도체 (3b) 의 4 개의 각 엘리먼트 폭 (가장 아래에서 2 번째 엘리먼트에 대해서는 급전점 (4b) 을 포함하지 않음) 은 모두 800 ㎜, 최상 엘리먼트와 최하 엘리먼트 간격은 73.5 ㎜ 로 하였다. 제 1 안테나 도체 (3a) 와 제 2 안테나 도체 (3b) 의 선폭은 모두 0.7 ㎜ 로 하였다.
도 4 는 중파 방송대 감도의 특성도이다. 도 4 에서는 870 ㎜ 길이의 폴 안테나와의 감도를 비교하고 있으며, 폴 안테나의 감도는 0 ㏈ 이다. FM 방송대 감도에 대해서는 870 ㎜ 길이의 폴 안테나와 거의 동등 (±2 ㏈ 이내) 하였다. 제 1 공진의 공진 주파수는 1450 ㎑, 제 2 공진의 공진주파수는 600 ㎑ 로 하였다.
실시예 2 (비교예)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를 제작하였다. 코일 (71) 은 680 μH, 코일 (72) 은 100 μH, 콘덴서 (73) 는 30 ㎊, 저항 (74) 은 5 kΩ 로 하였다. 창유리판과 창유리판에 설치되는 디포거 (90) 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도 5 는 600 ㎑ 에 있어서의 S/N 특성도이다. 시일드 룸 내에서 신호발생기에 접속된 송신용 안테나에서 전파를 방사하여 측정하였다. 도 5 의 횡축은 신호발생기의 출력압력, 종축은 수신기 최종단의 저주파 증폭회로의 출력압력을 ㏈ 로 표시한 것이다. 신호발생기의 출력을 120 ㏈μV 로 하여 S/N 를 포화상태로 하기 위해서 수신기에 입력을 충분히 하였다 (포화상태). 이 때 신호발생기의 변조에 대해서는 400 ㎐ 의 변조 주파수를 채택하여 30 % 변조도로 하였다. 또한, 이 때의 상태를 종축의 0 (제로) ㏈ 로서 기준으로 하였다.
도 5 에 있어서 실선이 실시예 1 의, 파선이 실시예 2 의 S/N 특성이다. 50 ∼ 120 ㏈μV 에 있어서, 실선, 파선 모두 상하로 분지 (分枝) 되어 있다. 분지의 윗선은 변조시킨 경우의 상태이며 (음성신호 (S) + 노이즈 (N)), 분지의 아래선은 송신용 안테나로부터의 전파에 변조를 전혀 가하지 않은 상태이다 (무변조상태, 노이즈 (N) 만).
도 5 에 있어서의 윗선과 아래선의 ㏈ 차이가 클수록 S/N 비가 커져 양호한 수신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5 의 S/N 특성은 엔진 노이즈 등의 차량 노이즈와는 관계가 없으므로, 엔진 작동 또는 정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실시예 3
자동차의 후부 창유리판을 사용하여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유리 안테나 장치를 제작하였다. 공진회로 (6) 는 도 6 에 나타낸 회로를 채택하고 콘덴서 (50, 51), 저항 (47,48,49) 은 설치하지 않았다 (저항 (46,49) 은 개방, 저항 (48) 은 단락, 콘덴서 (50,51) 는 단락). 회로 정수에 대해서는 제 1 코일 (31), 코일 (52) 및 저항 (47) 이외에는 예 1 과 동일하게 하였다. 각 회로 정수는 아래와 같다. 도 11 에 실선으로 실시예 3 의 FM 방송대 감도 특성의 측정결과를 나타낸다.
제 1 코일 (31) = 120 μH,
고주파 초크 코일 (52) = 2.7 μH,
저항 (47) = 220Ω.
실시예 4
고주파 초크 코일 (52) 을 설치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유리 안테나 장치를 제작하였다. 도 11 에 파선으로 실시예 4 의 FM 방송대 감도 특성의 측정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5
자동차의 후부 창유리판을 사용하여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유리 안테나 장치를 제작하였다. 단, 제 1 안테나 도체 (3a), 제 2 안테나 도체 (3b) 및 디포거 (90) 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공진회로 (6) 는 도 6 에 나타낸 회로를 채택하였다. 콘덴서 (41,44), 저항 (46,48) 은 설치하지 않았다 (저항 (46) 은 개방, 콘덴서 (41,44), 저항 (48) 은 단락).
또 제 2 코일 (32) 에는 고주파 초크 코일 2.2 μH 를 직렬로 접속하였다. 고주파 초크 코일 (12a,12b) 을 설치하지 않았다. 제 2 안테나 도체 (3b) 와 디포거 (90) 의 최단거리는 10 ㎜, 제 2 안테나 도체 (3b) 와 디포거 (90) 의 결합용량은 80 ㎊ 로 하였다. 각 회로 정수는 아래와 같다.
제 1 코일 (31) = 150 μH,
제 2 코일 (32) = 680 μH,
콘덴서 (50,51) = 1000 ㎊,
코일 (52) = 2.2 μH,
저항 (47) = 270 Ω,
저항 (49) = 10 ㏀,
저항 (45) = 15 ㏀,
바이패스콘덴서 (42) = 22 ㎊,
초크 코일 (9) = 1 mH0.
중파 방송대 감도는 실시예 1 보다 평균 약 4 ㏈ 이상 향상되었다. 또한, FM 방송대 감도는 실시예 1 과 거의 동일하였다.
실시예 6
자동차의 후부 창유리판을 사용하여 도 12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유리 안테나 장치를 제작하였다. 각 회로정수는 다음과 같다.
제 1 코일 (31) = 150 μH,
제 2 코일 (32) = 560 μH,
고주파 초크 코일 (52) = 2.2 μH,
바이패스 콘덴서 (42) = 22 ㎊,
저항 (45) = 15 ㏀,
저항 (47) = 270 Ω,
저항 (48) = 220 Ω,
콘덴서 (50,51) = 1000 ㎊,
초크 코일 (9) = 1.6 mH,
디포거 (90) 의 부유용량 = 100 ㎊.
제 1 안테나 도체 (3a) 는 중파 방송대 및 FM 방송대를 수신할 수 있도록 도체길이, 도체형상을 조정하였다. 제 1 안테나 도체 (3a) 하부와 히터선 (2) 중 가장 윗선의 간격을 15 ㎜ 로 길게 하였다. 이 경우, 제 1 안테나 도체 (3a) 와 디포거 (90) 는 약간 용량결합되어 있었다.
도 15 는 중파방송대 감도의 특성도이다. 도 15 에서는 910 ㎜ 길이의 폴 안테나와의 감도를 비교하고 있으며, 폴 안테나의 감도는 0 ㏈ 이다. 제 1 공진 (직렬공진) 의 공진 주파수는 1450 ㎑, 제 2 공진 (병렬공진) 의 공진 주파수는 480 ㎑ 였다. 도 16 은 FM 방송대 감도의 특성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안테나 도체의 임피던스와 제 1 코일의 임피던스를 공진요소로서 포함하는 제 1 공진을 발생시키고, 제 2 안테나 도체의 임피던스와 제 2 코일의 인덕턴스를 공진요소로 포함하는 제 2 공진을 발생시키고 있으며, 2 공진을 이용하기 때문에 감도가 뛰어나다. 또한, 유리 안테나와 수신기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케이블의 부유용량에 대해서는 제 2 공진에 미치는 영향이 적기 때문에 S/N 비가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본 발명에서는 저역 주파수대, 고역 주파수대 2 개의 다른 주파수대를 수신하는 경우이더라도, 제 1 안테나 도체를 고역 주파수대 수신에 적합하도록 설계하고, 제 2 안테나 도체를 저역 주파수대 수신에 적합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양주파수대 모두 양호하게 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양주파수대 수신을 위한 조정을 따로따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조정이 용이해지므로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 디포거를 안테나로 이용하지 않아도 제 1 공진 및 제 2 공진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유리 안테나에서 필요하였던 초크 코일 (9) 을 불필요한 시스템으로 할 수도 있으므로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제 2 안테나 도체를 디포거로 하여 제 1 안테나 도체와 디포거의 조합을 안테나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저역 주파수대 수신시에는 제 1 안테나 도체와 디포거 양측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저역 주파수대의 감도가 뛰어나고, 고역 주파수대 수신시에는 제 1 안테나 도체만의 실효길이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고역 주파수대의 감도가 뛰어나다. 또한, 이 경우 디포거의 고역 주파수대 수신신호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고주파 초크 코일 (12a, 12b) 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Claims (17)

  1. 제 1 코일, 제 2 코일, 차량의 개구부에 끼워 넣어지는 창유리판에 설치된 제 1 안테나 도체 및 이 창유리판에 설치된 제 2 안테나 도체를 구비하고,
    제 1 안테나 도체의 임피던스와 제 1 코일의 인덕턴스를 공진요소로서 포함하는 제 1 공진을 발생시키고 있으며,
    제 2 안테나 도체의 임피던스와 제 2 코일의 인덕턴스를 공진요소로서 포함하는 제 2 공진을 발생시키고 있으며,
    제 2 안테나 도체는 제 1 수신 주파수대용으로서의 도체길이 및 도체형상을 가지고, 제 1 안테나 도체는 제 1 수신 주파수대보다 고주파수인 제 2 수신 주파수대용으로서의 도체길이 및 도체형상을 가지고,
    제 1 공진의 공진 주파수 및 제 2 공진의 공진 주파수는 제 1 수신 주파수대의 감도가 향상되는 주파수이고,
    제 1 안테나 도체와 제 2 안테나 도체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안테나 도체와 제 2 안테나 도체가 1) 양자 근접에 의한 용량결합, 2) 콘덴서 접속, 3) 저항접속 및 4) 코일접속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수단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
  3. 제 1 코일, 제 2 코일, 차량의 개구부에 끼워 넣어지는 창유리판에 설치된 제 1 안테나 도체 및 이 창유리판에 설치된 제 2 안테나 도체를 구비하고,
    제 1 안테나 도체의 임피던스와 제 1 코일의 인덕턴스를 공진요소로서 포함하는 제 1 공진을 발생시키고 있으며,
    제 2 안테나 도체의 임피던스와 제 2 코일의 인덕턴스를 공진요소로서 포함하는 제 2 공진을 발생시키고 있으며,
    제 1 수신 주파수대의 수신신호 및 제 1 수신 주파수대보다 고주파수인 제 2 수신 주파수대의 수신신호가 제 1 안테나 도체에서 수신기로 보내지고 있으며,
    제 1 공진의 공진 주파수 및 제 2 공진의 공진 주파수는 제 1 수신 주파수대의 감도가 향상되는 주파수이고,
    제 1 안테나 도체와 제 2 안테나 도체 사이에 제 2 수신 주파수대의 수신신호를 차단 또는 감쇠시키는 필터회로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안테나 도체와 수신기 사이에 제 1 코일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제 2 안테나 도체와 차체 어스 사이에 제 2 코일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안테나 도체와 수신기 사이에 제 1 코일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제 2 안테나 도체와 차체 어스 사이에 제 2 코일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제 1 안테나 도체와 수신기 사이에 제 1 코일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제 2 안테나 도체와 차체 어스 사이에 제 2 코일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공진이 직렬공진이고, 제 2 공진이 병렬공진인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공진이 직렬공진이고, 제 2 공진이 병렬공진인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제 1 공진이 직렬공진이고, 제 2 공진이 병렬공진인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수신 주파수대가 중파 방송대이고, 제 2 수신 주파수대가 FM 방송대, 텔레비젼 VHF 대 및 텔레비젼 UHF 대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수신 주파수대가 중파 방송대이고, 제 2 수신 주파수대가 FM 방송대, 텔레비젼 VHF 대 및 텔레비젼 UHF 대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
  12. 제 3 항에 있어서, 제 1 수신 주파수대가 중파 방송대이고, 제 2 수신 주파수대가 FM 방송대, 텔레비젼 VHF 대 및 텔레비젼 UHF 대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
  13. 히터선과 이 히터선으로 급전하는 버스바를 가지는 통전가열식 디포거와 안테나 도체가 자동차의 후부 창의 개구부에 끼워넣어지는 후부 창유리판에 설치되어 있으며, 버스바와 직류전원 사이 및 버스바와 차체 어스 사이 중 적어도 일측에 초크 코일이 접속되어 있는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제 1 코일과 제 2 코일을 구비하고,
    안테나 도체의 임피던스와 제 1 코일의 인덕턴스를 공진요소로서 포함하는 제 1 공진을 발생시키고 있으며,
    디포거의 임피던스와 제 2 코일의 인덕턴스를 공진요소로서 포함하는 제 2 공진을 발생시키고 있으며,
    제 1 수신 주파수대의 수신신호 및 제 1 수신 주파수대보다 고주파수인 제 2 수신 주파수대의 수신신호가 제 1 안테나 도체에서 수신기로 보내지고 있으며,
    제 1 공진의 공진 주파수 및 제 2 공진의 공진 주파수는 제 1 수신 주파수대의 감도가 향상되는 주파수이고,
    안테나 도체와 디포거 사이에 제 2 수신 주파수대의 수신신호를 차단 또는 감쇠시키는 필터회로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안테나 도체와 수신기 사이에 제 1 코일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디포거와 차체 어스 사이에 제 2 코일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제 2 코일과 디포거 사이에 콘덴서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제 1 공진이 직렬공진이고, 제 2 공진이 병렬공진인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제 1 수신 주파수대가 중파 방송대이고, 제 2 수신 주파수대가 FM 방송대, 텔레비젼 VHF 대 및 텔레비젼 UHF 대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
KR10-1998-0002568A 1997-01-31 1998-01-30 차량용유리안테나장치 KR1003869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9168 1997-01-31
JP97-019168 1997-01-31
JP1916897 1997-01-31
JP19608697 1997-07-22
JP97-196086 1997-07-22
JP31090997 1997-11-12
JP97-310909 1997-11-1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4606A Division KR100411638B1 (ko) 1997-01-31 2003-01-23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946A true KR19980070946A (ko) 1998-10-26
KR100386994B1 KR100386994B1 (ko) 2003-08-14

Family

ID=272825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2568A KR100386994B1 (ko) 1997-01-31 1998-01-30 차량용유리안테나장치
KR1020030004606A KR100411638B1 (ko) 1997-01-31 2003-01-23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4606A KR100411638B1 (ko) 1997-01-31 2003-01-23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072435A (ko)
EP (1) EP0856904B1 (ko)
KR (2) KR100386994B1 (ko)
DE (1) DE69821037T2 (ko)
TW (1) TW42318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780B1 (ko) * 2000-06-19 2002-10-18 주식회사 선우커뮤니케이션 차량유리에 부착되는 안테나구조
KR100799084B1 (ko) * 2002-03-14 2008-01-29 카트라인-베르케 카게 이동 차량용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23180B (en) * 1997-01-31 2001-02-21 Terajima Fumitaka Glass antenna device for an automobile
TW431022B (en) * 1998-09-03 2001-04-21 Asahi Glass Co Ltd Glass antenna device for an automobile
DE69922112T2 (de) * 1998-09-10 2005-12-22 Asahi Glass Co., Ltd. Scheibenantennenanordnung für ein Automobil
DE19854169A1 (de) * 1998-11-24 2000-05-25 Heinz Lindenmeier Fensterscheibenantenne mit hochfrequent hochohmig angeschlossenem Heizfeld
EP1135828A1 (de) * 1998-12-03 2001-09-26 Robert Bosch Gmbh Antennenanordnung mit wenigstens einer antenne insbesondere auf einer scheibe eines kfz
JP2000183624A (ja) 1998-12-14 2000-06-30 Harada Ind Co Ltd 車両用窓ガラスアンテナ装置
EP1356541A2 (en) * 2001-01-04 2003-10-29 Nippon Sheet Glass Co., Ltd. Glass antenna and glass antenna system using the same
DE10114769B4 (de) * 2001-03-26 2015-07-09 Heinz Lindenmeier Aktive Breitbandempfangsantenne
US6417811B1 (en) * 2001-03-30 2002-07-09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In-glass antenna element matching
WO2003026062A2 (en) * 2001-09-11 2003-03-27 Nippon Sheet Glass Co., Ltd. Film antenna, windshield, and film antenna grouding structure
WO2003061068A1 (fr) * 2002-01-10 2003-07-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positif d'antenne et dispositif portable utilisant ce dernier
US6822613B2 (en) * 2002-07-03 2004-11-23 Asahi Glass Company, Limited High frequency wave glass antenna for an automobile
DE10245813A1 (de) * 2002-10-01 2004-04-15 Lindenmeier, Heinz, Prof. Dr.-Ing. Aktive Breitbandempfangsantenne mit Empfangspegelregelung
JP2006101386A (ja) * 2004-09-30 2006-04-13 Nippon Sheet Glass Co Ltd 車両用ガラスに形成されるデフォッガの熱線パターン構造および車両用ガラスアンテナ
DE102005039914A1 (de) * 2005-08-24 2007-03-08 Robert Bosch Gmbh Mehrbereichs-Antennenanordnung
TW200740027A (en) * 2006-04-07 2007-10-16 Mitac Technology Corp Antenna structure that employs resonance matching circuit to match the antenna size
KR20070113128A (ko) * 2006-05-23 2007-11-28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자동차용 고주파 유리 안테나
US7825865B2 (en) * 2006-12-27 2010-11-02 Asahi Glass Company, Limited Glass antenna for an automobile
JP5023956B2 (ja) * 2007-10-15 2012-09-12 旭硝子株式会社 自動車用ガラスアンテナ
DE102007056911A1 (de) * 2007-11-26 2009-05-28 Robert Bosch Gmbh Anordnung und Verfahren , insbesondere für eine Kraftfahrzeug-Scheibenantenne zur Beeinflussung der Richtwirkung
JP5777885B2 (ja) * 2008-01-08 2015-09-09 エース テクノロジーズ コーポレーション 多重帯域内蔵型アンテナ
CN102017293B (zh) * 2008-09-16 2014-07-02 中央硝子株式会社 车辆用玻璃天线
CN102171887B (zh) * 2008-10-02 2014-01-01 中央硝子株式会社 车辆用玻璃天线
JP5493750B2 (ja) * 2009-11-17 2014-05-14 旭硝子株式会社 車両用ガラスアンテナ及び車両用窓ガラス
JP5428847B2 (ja) * 2009-12-25 2014-02-26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自動車用のガラスアンテナ
JP5547500B2 (ja) * 2010-01-21 2014-07-1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車載用アンテナ装置
JP5720308B2 (ja) * 2010-06-16 2015-05-20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車両用ガラスアンテナ
JP6137191B2 (ja) 2012-10-25 2017-05-31 旭硝子株式会社 車両用窓ガラスおよびその取付構造
CN105431977B (zh) * 2013-08-02 2018-01-23 旭硝子株式会社 天线系统
JP6221773B2 (ja) * 2014-01-27 2017-11-01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ガラスアンテナ
JP6190409B2 (ja) * 2014-06-06 2017-08-30 原田工業株式会社 車載アンテナ装置
US9363794B1 (en) * 2014-12-15 2016-06-07 Motorola Solutions, Inc. Hybrid antenna for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devices
EP3291370A4 (en) 2015-04-28 2018-12-05 Nippon Sheet Glass Company, Limited Glass antenna
US9985333B2 (en) * 2015-05-22 2018-05-29 Asahi Glass Company, Limited Window glass for vehicle and glass antenna
JP7002340B2 (ja) * 2018-01-12 2022-01-20 株式会社ヨコオ 車載用アンテナ装置
JP7359161B2 (ja) * 2018-12-25 2023-10-1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車載伝送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3247A (en) * 1976-10-07 1977-12-13 Nippon Sheet Glass Co., Ltd. Heater glass sheet with broad band receiver antennae
DE146339T1 (de) * 1983-12-20 1985-11-21 Bsh Electronics Ltd., Manchester Trennungsvorrichtung fuer elektrisches signal mit isolierungs- und anpassungsschaltung.
US5198825A (en) * 1988-06-10 1993-03-30 Nippon Sheet Glass Co., Ltd. Reception system for a motor vehicle
EP0353515B1 (en) * 1988-07-14 1995-05-24 Asahi Glass Company Ltd. Antenna device for an automobile
EP0355424B1 (en) 1988-07-25 1995-02-15 Asahi Glass Company Ltd. Glass antenna device for an automobile
US5239302A (en) * 1988-11-22 1993-08-24 Nippon Sheet Glass Company, Ltd. Wave reception apparatus for a motor vehicle
JPH0831730B2 (ja) * 1989-05-26 1996-03-27 旭硝子株式会社 自動車用ガラスアンテナ装置
JPH04249405A (ja) * 1991-02-05 1992-09-04 Harada Ind Co Ltd 自動車用ガラスアンテナ
JPH04287405A (ja) * 1991-03-15 1992-10-13 Asahi Glass Co Ltd 自動車用ガラスアンテナ装置
EP0506333B1 (en) * 1991-03-26 1997-08-06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Window glass antenna system for automobile
DE69326271T2 (de) * 1992-03-27 1999-12-30 Asahi Glass Co. Ltd., Tokio/Tokyo Diversity-Fensterantenne für Kraftfahrzeug
JPH06177626A (ja) * 1992-12-08 1994-06-24 Nippon Sheet Glass Co Ltd 窓ガラスアンテナ装置
DE69427506T2 (de) * 1993-08-20 2001-10-04 Asahi Glass Co. Ltd., Tokio/Tokyo Scheibenantenne für ein Automobil
US5905468A (en) 1995-08-23 1999-05-18 Asahi Glass Company Ltd. Glass antenna device for vehicles
JP3185915B2 (ja) * 1996-05-16 2001-07-11 日本板硝子株式会社 窓ガラスアンテナ装置
TW423180B (en) * 1997-01-31 2001-02-21 Terajima Fumitaka Glass antenna device for an automobi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780B1 (ko) * 2000-06-19 2002-10-18 주식회사 선우커뮤니케이션 차량유리에 부착되는 안테나구조
KR100799084B1 (ko) * 2002-03-14 2008-01-29 카트라인-베르케 카게 이동 차량용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72435A (en) 2000-06-06
US6243043B1 (en) 2001-06-05
EP0856904A3 (en) 2000-06-14
EP0856904A2 (en) 1998-08-05
EP0856904B1 (en) 2004-01-14
TW423180B (en) 2001-02-21
DE69821037T2 (de) 2004-10-28
DE69821037D1 (de) 2004-02-19
KR100411638B1 (ko) 2003-12-18
KR100386994B1 (ko) 200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1638B1 (ko) 차량용 유리 안테나 장치
US5289197A (en) Pane antenna having an amplifier
US5610619A (en) Backlite antenna for AM/FM automobile radio having broadband FM reception
WO1999066587A1 (en) Multiband vehicle antenna
US6184837B1 (en) Windowpane antenna combined with a resisting heating area
JP3562980B2 (ja) 車両用ガラスアンテナ装置
US5113195A (en) Glass window antenna for use in a motor vehicle
US5790079A (en) Backlite antenna for AM/FM automobile radio
KR20000022838A (ko) 자동차용 유리 안테나 장치
JP3700372B2 (ja) 車両用ガラスアンテナ装置
JPH1079615A (ja) 車両用ガラスアンテナ装置
JPH08107306A (ja) ダイバシティアンテナ
JP3168556B2 (ja) 自動車用ガラスアンテナ装置
JPH08321711A (ja) 高周波用ガラスアンテナ及び高周波用ダイバーシティガラスアンテナ
JPH03254206A (ja) 窓ガラスアンテナを使用した受信装置
JP3630031B2 (ja) 自動車用ガラスアンテナ装置
JP3648910B2 (ja) 車両用アンテナ
JP3791237B2 (ja) 自動車用ガラスアンテナ装置
JPH09181513A (ja) 自動車用ガラスアンテナ装置
JP3744214B2 (ja) 自動車用ガラスアンテナ装置
JP3541993B2 (ja) 車両用のガラスアンテナシステム
JP2000174530A (ja) 車両用ガラスアンテナ装置
JPH11191712A (ja) 自動車用ガラスアンテナ装置
JPH098527A (ja) 自動車用ガラスアンテナ装置
JPH09312511A (ja) 車両用ガラスアンテ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