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119B1 - 복합 프리폼, 복합 용기, 복합 프리폼, 플라스틱제 부재 및 복합 용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프리폼, 복합 용기, 복합 프리폼, 플라스틱제 부재 및 복합 용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119B1
KR102409119B1 KR1020217034019A KR20217034019A KR102409119B1 KR 102409119 B1 KR102409119 B1 KR 102409119B1 KR 1020217034019 A KR1020217034019 A KR 1020217034019A KR 20217034019 A KR20217034019 A KR 20217034019A KR 102409119 B1 KR102409119 B1 KR 102409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member
preform
container
composite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4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0265A (ko
Inventor
다쿠마 미야와키
유스케 스가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248153A external-priority patent/JP645847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255419A external-priority patent/JP645848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25652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611716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257737A external-priority patent/JP672368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261339A external-priority patent/JP676578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262738A external-priority patent/JP659367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26268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612068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262799A external-priority patent/JP658370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262913A external-priority patent/JP668103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26497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6124137A/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30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265A/ko
Publication of KR102409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2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pari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08Inject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14Making preform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71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e.g. geometry, dimensions or phys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1/00Shaping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Apparatus therefor
    • B29C61/02Thermal shrinking
    • B29C61/025Thermal shrinking for the production of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65D1/0215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2049/024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not using inherent heat of the preform, i.e. 2 step blow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2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parisons
    • B29C2049/222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parisons only parts of the preforms or parisons are 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29C2049/2412Lining or labelling outside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29C2049/2414Linings or labels, e.g. specific geometry, multi-layered o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29C2049/2414Linings or labels, e.g. specific geometry, multi-layered or material
    • B29C2049/2422Cylindrical or sleeve shaped linings or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2049/4879Moulds characterised by mould configurations
    • B29C2049/4892Mould halves consisting of an independent main and bottom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5/00Printing on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C2795/002Printing on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before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5/00Printing on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C2795/005Printing on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during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15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the preform having one end cl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9Auxiliary parts or inserts
    • B29C2949/08Preforms made of several individual parts, e.g. by welding or gluing parts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16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at body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2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at bottom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24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components or by the manufacturing technique
    • B29C2949/3026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components or by the manufacturing technique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24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components or by the manufacturing technique
    • B29C2949/3026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components or by the manufacturing technique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 B29C2949/3028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components or by the manufacturing technique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having three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32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inj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32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injected
    • B29C2949/3034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injected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being inj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64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at least one components being applied us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B29C2949/3032 - B29C2949/306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64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at least one components being applied us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B29C2949/3032 - B29C2949/3062
    • B29C2949/3074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at least one components being applied us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B29C2949/3032 - B29C2949/3062 said at least one component obtained by coating
    • B29C2949/3078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at least one components being applied us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B29C2949/3032 - B29C2949/3062 said at least one component obtained by coating by spray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86Interaction between two or more components, e.g. type of or lack of bonding
    • B29C2949/3088Bonding
    • B29C2949/3092Bonding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1/00Use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as moulding material
    • B29K2101/12Thermoplas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2Coloured
    • B29K2995/0021Multi-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58Bott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79Contains vapor or gas barrier, polymer derived from vinyl chloride or vinylidene chloride, or polymer containing a vinyl alcohol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용기에 대하여 다양한 기능이나 특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한 복합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프리폼 및 복합 프리폼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용기는, 플라스틱 재료제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의 외면에 플라스틱제 부재를 구비하고, 용기 본체 및 플라스틱제 부재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일체로서 팽창되며, 플라스틱제 부재가, 착색층, 및/또는 인쇄가 실시되어 있는 인쇄층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 프리폼, 복합 용기, 복합 프리폼, 플라스틱제 부재 및 복합 용기의 제조 방법{COMPOSITE PREFORM, COMPOSITE CONTAINER, COMPOSITE PREFORM, PLASTIC MEMBER AND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CONTAINER}
본 발명은, 복합 용기, 복합 프리폼, 플라스틱제 부재 및 복합 용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음식품 등의 내용액을 수용하는 보틀로서, 플라스틱제의 것이 일반화되어 있고, 이러한 플라스틱 보틀에는 내용액이 수용된다.
이러한 내용액을 수용하는 플라스틱 보틀은, 금형 내에 프리폼을 삽입하고, 2축 연신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제조된다.
그런데, 종래의 2축 연신 블로우 성형법에서는, 예를 들어 PET나 PP 등의 단층 재료, 다층 재료 또는 블렌드 재료 등을 포함하는 프리폼을 사용하여 용기 형상으로 성형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2축 연신 블로우 성형법에 있어서는, 단순히 프리폼을 용기 형상으로 성형하기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문에, 용기에 대하여 다양한 기능이나 특성(배리어성이나 보온성 등)을 갖게 할 경우, 예를 들어 프리폼을 구성하는 재료를 변경하는 등, 그 수단은 한정되어 버린다. 특히, 용기의 부위(예를 들어 동체부나 저부)에 따라서, 다른 기능이나 특성을 갖게 하기는 어렵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41526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용기에 대하여 다양한 기능이나 특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한, 복합 용기, 복합 프리폼, 플라스틱제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용기는,
플라스틱 재료제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의 외면에 설치된 플라스틱제 부재를 구비하고,
용기 본체 및 플라스틱제 부재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일체로서 팽창되며,
플라스틱제 부재가, 착색층, 및/또는 인쇄가 실시되어 있는 인쇄층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용기는,
플라스틱 재료제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의 외면에 설치된 플라스틱제 부재를 구비하고,
용기 본체 및 플라스틱제 부재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일체로서 팽창되며,
용기 본체가, 수지 재료 및 착색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착색층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는, 플라스틱제 부재가,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하여 수축하는 작용을 갖는 것이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프리폼은,
플라스틱 재료제 프리폼과,
프리폼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플라스틱제 부재를 구비하고,
플라스틱제 부재는, 프리폼의 외측에 밀착되어 있으며,
플라스틱제 부재가, 착색층, 및/또는 인쇄가 실시되어 있는 인쇄층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프리폼은,
플라스틱 재료제 프리폼과,
프리폼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플라스틱제 부재를 구비하고,
플라스틱제 부재는, 프리폼의 외측에 밀착되어 있으며,
프리폼이, 수지 재료 및 착색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착색층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는, 플라스틱제 부재가, 상기 프리폼에 대하여 수축하는 작용을 갖는 것이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제 부재는,
프리폼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장착되어, 프리폼과 함께 일체로서 가열됨으로써, 프리폼과, 프리폼의 외측에 밀착된 플라스틱제 부재를 갖는 복합 용기를 제작하기 위한 플라스틱제 부재이며,
적어도 프리폼의 동체부를 덮는 통상의 동체부를 갖고,
착색층, 및/또는 인쇄가 실시되어 있는 인쇄층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용기의 제조 방법은,
플라스틱 재료제 프리폼을 준비하는 공정과,
프리폼의 외측에 플라스틱제 부재를 설치하는 공정과,
플라스틱제 부재의 표면에 인쇄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과,
프리폼 및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를 가열함과 아울러 블로우 성형 금형 내에 삽입하는 공정과,
블로우 성형 금형 내에서 프리폼 및 플라스틱제 부재에 대하여 블로우 성형을 실시함으로써, 프리폼 및 플라스틱제 부재를 일체로서 팽창시키는 공정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용기의 제조 방법은,
플라스틱 재료제 프리폼을 준비하는 공정과,
프리폼의 외측에, 미리 인쇄 영역이 표면에 설치된 플라스틱제 부재를 설치하는 공정과,
프리폼 및 플라스틱제 부재를 가열함과 아울러 블로우 성형 금형 내에 삽입하는 공정과,
블로우 성형 금형 내에서 프리폼 및 플라스틱제 부재에 대하여 블로우 성형을 실시함으로써, 프리폼 및 플라스틱제 부재를 일체로서 팽창시키는 공정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복합 용기의 제조 방법은,
플라스틱 재료제 프리폼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프리폼의 외측에 플라스틱제 부재를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프리폼 및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를 가열함과 아울러 블로우 성형 금형 내에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블로우 성형 금형 내에서 상기 프리폼 및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에 대하여 블로우 성형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프리폼 및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를 일체로서 팽창시키는 공정과,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의 표면에 인쇄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는, 인쇄 영역이, 잉크젯법에 의해 형성된 것이면 바람직하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복합 용기를 나타내는 부분 수직 단면도.
도 2는,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복합 용기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도 1의 II-II선 단면도).
도 3은,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복합 용기를 나타내는 부분 수직 단면도.
도 4는,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복합 프리폼을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
도 5는,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복합 용기를 나타내는 부분 수직 단면도.
도 6은,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라벨 부착 복합 용기를 나타내는 부분 수직 단면도.
도 7은,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복합 용기를 나타내는 부분 수직 단면도.
도 8은,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라벨 부착 복합 용기를 나타내는 부분 수직 단면도.
도 9는,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복합 프리폼을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
도 10의 (a) 내지 (f)는, 인쇄가 실시된 각종 플라스틱제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의 (a) 내지 (d)는, 플라스틱제 부재에 인쇄를 실시하는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12의 (a) 내지 (d)는, 각종 플라스틱제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의 (a) 내지 (f)는,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복합 용기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
도 14의 (a) 내지 (f)는,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복합 용기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
도 15의 (a) 내지 (g)는,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복합 용기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
도 16은,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복합 용기를 나타내는 부분 수직 단면도.
도 17은,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복합 프리폼을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
도 18의 (a) 내지 (f)는,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복합 용기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
도 19는,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복합 용기를 나타내는 부분 수직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복합 용기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도 11의 XX-XX선 단면도).
도 21은,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복합 프리폼을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
도 22의 (a) 내지 (d)는, 각종 내측 라벨 부재 및 각종 플라스틱제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3의 (a) 내지 (f)는,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복합 용기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
도 24의 (a) 내지 (f)는,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복합 용기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
도 25의 (a) 내지 (g)는,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복합 용기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
도 26은,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복합 용기를 나타내는 부분 수직 단면도.
도 27은,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복합 프리폼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
도 28의 (a) 내지 (f)는,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복합 용기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
제1 실시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복합 용기(10A))
먼저, 도 1 및 도 2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블로우 성형 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복합 용기(10A)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중, 「위」 및 「아래」란, 각각 복합 용기(10A)를 바로 세운 상태(도 1)에 있어서의 상방 및 하방을 말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복합 용기(10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블로우 성형 금형(50)을 사용하여 프리폼(1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포함하는 복합 프리폼(70)(도 4 참조)에 대하여 2축 연신 블로우 성형을 실시함으로써, 복합 프리폼(70)의 프리폼(1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일체로서 팽창시켜 얻어진 것이다.
또한, 복합 용기(10A)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용기(10A)는, 내측에 위치하는 플라스틱 재료제 용기 본체(10)와, 용기 본체(10)의 외측에 밀착시켜 설치된 플라스틱제 부재(4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용기 본체(10)는, 입구부(11)와, 입구부(11) 하방에 설치된 헤드부(13)와, 헤드부(13) 하방에 설치된 견부(12)와, 견부(12) 하방에 설치된 동체부(20)와, 동체부(20) 하방에 설치된 저부(30)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플라스틱제 부재(40)는, 용기 본체(10)의 외면에 얇게 늘여진 상태로 밀착되어 있으며, 용기 본체(10)에 대하여 용이하게 이동 또는 회전되지 않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제 부재(40)의 표면에 표면 보호층(80)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 및/또는 플라스틱제 부재(40)에 라벨(43)이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용기 본체(10))
다음으로 용기 본체(1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용기 본체(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구부(11)와, 헤드부(13)와, 견부(12)와, 동체부(20)와, 저부(30)를 갖고 있다.
이 중 입구부(11)는, 도시하지 않은 캡에 나사 장착되는 나사부(14)와, 나사부(14) 하방에 설치된 플랜지부(17)를 갖고 있다. 또한, 입구부(11)의 형상은, 종래 공지된 형상이어도 된다.
헤드부(13)는, 플랜지부(17)와 견부(12)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략 균일한 직경을 갖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견부(12)는, 헤드부(13)와 동체부(2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헤드부(13)측으로부터 동체부(20)측을 향해 조금씩 직경이 확대되는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동체부(20)는, 전체적으로 대략 균일한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체부(20)가 사각형 통 형상이나 팔각형 통 형상 등의 다각형 통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는, 동체부(20)가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균일하지 않은 수평 단면을 갖는 통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동체부(20)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대략 평탄한 표면을 갖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동체부(20)에 패널 또는 홈 등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한편, 저부(30)는, 중앙에 위치하는 오목부(31)와, 이 오목부(31) 주위에 설치된 접지부(32)를 갖고 있다. 또한, 저부(30)의 형상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래 공지된 저부 형상(예를 들어 페타로이드 바닥 형상이나 둥근 바닥 형상 등)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용기 본체(10)는,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용기 본체(10)는, 수지 재료 및 착색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착색층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용기 본체(10)에 포함되는 수지 재료로서는,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N(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PC(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 이외에도, 예를 들어 나일론-6, 나일론-11, 나일론-12, 나일론-6,6, 나일론-6,10, 나일론-6/12, 나일론-6/11, 나일론-6/9, 나일론-6/6,6, 나일론-6/6,6/6,10, 폴리메타크실릴렌아디파미드(MXD-6), 헥사메틸렌테레프탈아미드/헥사메틸렌이소프탈아미드 공중합체(나일론-6T/6I) 등의 나일론 수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용기 본체(10)는, 양호한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나일론-6, 나일론-6,6, MXD-6 및 나일론-6/6,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기 본체(10)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비닐에스테르 단독 중합체 또는 비닐에스테르와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예를 들어, 비닐에스테르와 에틸렌의 공중합체)를, 알칼리 촉매 등을 사용하여 비누화하여 얻어지는 수지이다. 비닐에스테르로서는, 아세트산비닐을 대표적인 화합물로서 들 수 있지만, 프로피온산비닐이나 피발산비닐 등, 기타 지방산 비닐에스테르를 사용해도 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중에서도, 용융 성형이 용이하고, 고습도 하에 있어서도 양호한 가스 배리어성을 발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용기 본체(10)는, 아이오노머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10)는, 상술한 각종 수지를 블렌딩한 수지 재료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블렌드 수지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와, 나일론 수지를 혼합한 것을 들 수 있다.
용기 본체(10)가, 열가소성 수지와, 나일론 수지를 혼합한 블렌드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수지 재료의 성형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용기 본체(10)는 가스 배리어성을 높일 수 있고, 플라스틱제 부재(40)가 용기 본체의 전체를 덮지 않은 형태여도, 전체적으로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한 복합 용기(10A)를 제공할 수 있다.
착색제로서는, 갈색, 흑색, 녹색, 백색, 청색 또는 적색 등의 착색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착색제는, 안료여도, 염료여도 되지만, 내광성이라는 관점에서는, 안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본체(10)가 착색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플라스틱제 부재(40)가 착색제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에도, 착색된 복합 용기(10A)로 할 수 있다.
또한, 복합 용기(10A) 전체가 소정의 색으로 착색되어 있음으로써, 원하는 파장 영역의 가시광선을 커팅(흡수 또는 반사)할 수 있어, 가시광선에 의해 복합 용기(10A)에 충전되는 내용액이 변성되어 버리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40)가 착색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경우, 용기 본체(10)가 포함하는 착색제의 색과는 상이한 색을 사용하는 등 다양한 디자인의 복합 용기(10A)로 할 수 있어,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착색제로서, 광반사성 안료인, 티타늄 화이트, 알루미늄 분말, 마이카분, 황화아연, 아연화, 탄산칼슘, 카올린, 탈크 등의 백색 안료, 광흡수성 안료인, 카본 블랙, 세라믹 블랙, 본 블랙 등의 유색 안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경우, 상기 효과 이외에, 블로우 성형 후의 플라스틱제 부재(40)의 가시광 투과율을 보다 저하시킬 수 있어, 복합 용기(10A)에 충전되는 내용액의 품질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착색제의 함유량은, 착색층이 포함하는 수지 재료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1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2 내지 5질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용기 본체(10)는, 단층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다층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최내면과 최외면의 층을 구성하는 주성분이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구체적인 층 구성으로서는, 최내면으로부터, PET/MXD-6/PET인 것, PET/PET+MXD-6/PET인 것, PET/EVOH/PET인 것 등을 들 수 있다.
중간층을 MXD6, MXD6+지방산염, PGA(폴리글리콜산), EVOH 또는 PEN 등의 가스 배리어성 및 차광성을 갖는 수지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가스 배리어성 및 차광성을 갖는 다층 보틀로 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층 중 적어도 1층에 착색제를 함유시켜, 착색층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동체부(20)에 있어서의 용기 본체(10)의 두께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50㎛ 내지 250㎛ 정도로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10)의 중량에 대해서도,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용량이 500ml인 경우, 10g 내지 20g으로 할 수 있다. 이렇게 용기 본체(10)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용기 본체(10)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용기 본체(10)는, 수지 재료 또는 수지 재료 및 착색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사출 성형하여 제작한 프리폼(10a)(후술)을 2축 연신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10)가 착색층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것인 경우, 수지 재료 및 착색제의 혼합물과, 임의의 수지 재료를 공사출 성형함으로써, 복합 용기(10)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의 용융물에 불활성 가스(질소 가스, 아르곤 가스)를 섞음으로써, 0.5 내지 100㎛의 발포 셀 직경을 갖는 발포 프리폼을 성형하고, 이 발포 프리폼을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용기 본체(10)를 제작해도 된다. 이러한 용기 본체(10)는, 발포 셀을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용기 본체(10) 전체의 차광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용기 본체(10)는, 예를 들어 만주 용량이 100mL 내지 2000mL인 보틀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는, 용기 본체(10)는, 만주 용량이 예를 들어 10L 내지 60L인 대형 보틀이어도 된다.
(플라스틱제 부재(40))
다음으로 플라스틱제 부재(40)에 대하여 설명한다.
플라스틱제 부재(40)는,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리폼(10a)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하고, 프리폼(10a)의 외측에 밀착시킨 후, 프리폼(10a)와 함께 2축 연신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플라스틱제 부재(40)는, 용기 본체(10)의 외면에 접착되지 않고 설치되어 있고, 용기 본체(10)에 대하여 이동 또는 회전되지 않을 정도로 밀착되어 있다.
이 플라스틱제 부재(40)는 용기 본체(10)의 외면에 있어서 얇게 잡아 늘여져 용기 본체(10)를 덮고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제 부재(40)는, 용기 본체(10)를 둘러싸도록 그 둘레 방향 전역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대략 원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갖고 있다.
이 경우, 플라스틱제 부재(40)는, 용기 본체(10) 중, 입구부(11) 및 헤드부(13)를 제외한, 견부(12), 동체부(20) 및 저부(30)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용기 본체(10)의 견부(12), 동체부(20) 및 저부(30)에 대하여 원하는 기능이나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40)는, 용기 본체(10) 중 입구부(11) 이외의 전역 또는 일부 영역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제 부재(40)는, 용기 본체(10) 중, 입구부(11)를 제외한, 헤드부(13), 견부(12), 동체부(20) 및 저부(30)의 전체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플라스틱제 부재(40)는, 저부(30)만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40)는, 1개로 한정되지 않고, 복수 설치해도 된다. 예를 들어, 2개의 플라스틱제 부재(40)를 견부(12)의 외면 및 저부(30)의 외면에 각각 설치해도 된다.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40)는 단층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다층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플라스틱제 부재(40(40a))는,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PE, PP, PET, PEN, 폴리-4-메틸펜텐-1, 폴리스티렌, AS 수지, ABS 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부티랄, 프탈산디알릴수지, 불소계 수지,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메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부타디엔, 폴리부텐-1, 폴리이소프렌, 폴리클로로프렌,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부틸 고무, 니트릴 고무, 아크릴 고무,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MXD6, 방향족 폴리아미드,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테레프탈산에틸렌, 폴리테레프탈산부틸렌, 폴리나프탈렌산에틸렌, U 중합체, 액정 중합체,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알키드 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술폰,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에테르술폰, 실리콘 수지, 폴리우레탄, 페놀 수지, 요소 수지, 폴리에틸렌옥시드, 폴리프로필렌옥시드, 폴리아세탈, 에폭시 수지, 아이오노머 수지 등의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중 PE, PP, PET, PEN 등의 열가소성 비탄성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PE, PP 및/또는 PET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인쇄가 실시되는 층의 습윤성이 향상되기 쉬워져, 인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PEN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산소, 수증기, 이산화탄소 및 탄산 가스 등에 대한 가스 배리어성, 자외선 등의 광선 배리어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용기 내부로부터의 탄산 가스의 투과를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PEN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기계 강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플라스틱제 부재(40a) 중의 PEN의 함유량은, 플라스틱제 부재(40a)가 단층일 경우, 수지 재료의 총 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이다.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40a)가 다층인 경우, PEN을 포함하는 층이 함유하는 수지 재료의 총 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이다.
플라스틱제 부재(40(40a))는, 수지 재료로서, 상기한 수지를 구성하는 2이상의 단량체 단위가 중합된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40(40a))는, 상기한 수지 재료를 2종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면 된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의 용융물에 불활성 가스(질소 가스, 아르곤 가스)를 섞음으로써, 0.5 내지 100㎛의 발포 셀 직경을 갖는 발포 부재를 사용하고, 이 발포 프리폼을 성형함으로써, 차광성을 높일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플라스틱제 부재(40(40a))는,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자외선 흡수제는, 후술하는 착색층에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인쇄층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및 벤조에이트계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은, 플라스틱제 부재(40)가 단층을 포함하는 경우, 플라스틱제 부재(40)에 포함되는 수지 재료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3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플라스틱제 부재(40)가 다층을 포함하는 경우, 자외선 흡수제가 포함되는 플라스틱제 부재(40)의 층에 포함되는 수지 재료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3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플라스틱제 부재(40)는,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투과율이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다.
자외선이란, 파장이 10nm 내지 400nm인 광선을 말한다. 또한, 자외선의 투과율이 5% 이하이라는 것은, 자외선의 파장 영역(10nm 내지 400nm)의 전역에서 그 투과율이 5% 이하가 되는 것을 말한다.
또한, 가시광 및 자외선의 투과율은, JIS A5759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광 광도계(시마즈 세이사꾸쇼(주)제, UV3100)를 사용하여, 파장 10nm 내지 400nm의 범위에서, 0.5nm 간격으로 측정하고, 가시광선 및 자외선 파장의 광선 투과율을 각각 구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플라스틱제 부재(40(40a))는, 용기 본체(10)(프리폼(10a))와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복합 용기(10A) 중, 예를 들어 강도를 높이고 싶은 부분에 중점적으로 해당 층을 구비하는 플라스틱제 부재(40)를 배치하여, 당해 개소의 강도를 선택적으로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 본체(10)의 견부(12) 주변 및 저부(30) 주변에 플라스틱제 부재(40)를 설치하여, 이 부분의 강도를 높여도 된다. 이러한 재료로서는, 열가소성 수지, 특히 PE, PP, PET, PEN, PC나, 아이오노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 본체(10)가, 80질량%의 PET와 20질량%의 PP를 포함하고, 두께 증가 부재로서의 플라스틱제 부재(40)가 75질량%의 PET와 25질량% PP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40(40a))는, 산소 배리어성 또는 수증기 배리어성 등의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프리폼(10a)으로서 다층 프리폼이나 블렌드 재료를 포함하는 프리폼 등을 사용하지 않고, 복합 용기(10A)의 가스 배리어성을 높여, 산소에 의해 내용액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며, 수증기의 증산에 의해 내용량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 본체(10) 중, 견부(12), 헤드부(13), 동체부(20) 및 저부(30)의 전역에 플라스틱제 부재(40)를 설치하여, 이 부분의 가스 배리어성을 높여도 된다. 이러한 재료로서는, PE, PP, MXD-6(나일론), EVOH(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또는 이들 재료에 지방산염 등의 산소 흡수재를 섞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40(40a))는, 자외선 등의 광선 배리어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프리폼(10a)으로서 다층 프리폼이나 블렌드 재료를 포함하는 프리폼 등을 사용하지 않고, 복합 용기(10A)의 광선 배리어성을 높여, 자외선 등에 의해 내용액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 본체(10) 중, 견부(12), 헤드부(13), 동체부(20) 및 저부(30)의 전역에 플라스틱제 부재(40)를 설치하여, 이 부분의 자외선 배리어성을 높여도 된다. 이러한 재료로서는, 블렌드 재료 또는 PET나 PE, PP에 차광성 수지를 첨가한 재료를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의 용융물에 불활성 가스(질소 가스, 아르곤 가스)를 섞음으로써 제작된, 0.5 내지 100㎛의 발포 셀 직경을 갖는 발포 부재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40(40a))는, 용기 본체(10)(프리폼(10a))를 구성하는 플라스틱 재료보다도 보온성 또는 보냉성이 높은 재료(열전도성이 낮은 재료)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용기 본체(10) 그 자체의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고, 내용액의 온도가 복합 용기(10A)의 표면까지 전달되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복합 용기(10A)의 보온성 또는 보냉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 본체(10) 중 동체부(20)의 전부 또는 일부에 플라스틱제 부재(40)를 설치하여, 동체부(20)의 보온성 또는 보냉성을 높여도 된다. 또한, 사용자가 복합 용기(10A)를 파지하였을 때, 너무 뜨겁거나 너무 차갑거나 함으로써 복합 용기(10A)를 잡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로서는, 발포화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PE, PP, 페놀 수지, 폴리염화비닐, 우레아 수지, 실리콘, 폴리이미드, 멜라민 수지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의 용융물에 불활성 가스(질소 가스, 아르곤 가스)를 섞음으로써 제작된, 0.5 내지 100㎛의 발포 셀 직경을 갖는 발포 부재를 사용해도 된다. 이들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재료에, 중공 입자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1 내지 200㎛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8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평균 입자 직경」이란,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을 의미하고, 입도 분포ㆍ입경 분포 측정 장치(예를 들어, 나노트랙 입도 분포 측정 장치, 니키소 가부시끼가이샤제 등)를 사용하여 공지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중공 입자로서는, 수지 등으로 구성되는 유기계 중공 입자여도 되고, 유리 등으로 구성되는 무기계 중공 입자여도 되지만, 분산성이 우수하다는 이유로부터, 유기계 중공 입자가 바람직하다. 유기계 중공 입자를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가교 스티렌-아크릴 수지 등의 스티렌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 수지 등의 (메트)아크릴계 수지, 페놀계 수지, 불소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로페이크 HP-1055, 로페이크 HP-91, 로페이크 OP-84J, 로페이크 울트라, 로페이크 SE, 로페이크 ST(롬 앤드 하스(주)제), 니폴 MH-5055(니뽄 제온(주)제), SX8782, SX866(JSR(주)제) 등의 시판되는 중공 입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중공 입자의 함유량으로서는, 중공 입자가 함유되는 플라스틱제 부재(40)의 층에 포함되는 수지 재료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2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40(40a))는, 용기 본체(10)(프리폼(10a))를 구성하는 플라스틱 재료보다도 잘 미끄러지지 않는 재료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용기 본체(10)의 재료를 변경하지 않고, 사용자가 복합 용기(10A)를 파지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 본체(10) 중 동체부(20)의 전부 또는 일부에 플라스틱제 부재(40)를 설치하여, 동체부(20)를 잡기 쉽게 해도 된다.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40(40a))는, 그 특성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주성분인 상기 수지 이외에도, 각종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어 가소제, 자외선 안정화제, 착색 방지제, 소광제, 탈취제, 난연제, 내후제, 대전 방지제, 실 마찰 저감제, 슬립제, 이형제, 항산화제, 이온 교환제, 활제 및 착색 안료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플라스틱제 부재(40)는, 착색층 및/또는 인쇄가 실시된 영역(인쇄 영역)을 갖는 인쇄층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착색층)
착색층은, 상기한 수지 재료와, 착색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착색제로서는, 갈색, 흑색, 녹색, 백색, 청색 또는 적색 등의 착색제를 사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제 부재(40(40a))가, 소정 색의 착색제를 포함하고 있음으로써, 원하는 파장 영역의 가시광선을 커팅(흡수 또는 반사)할 수 있어, 가시광선에 의해 복합 용기(10A)에 충전되는 내용액이 변성되어 버리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물로서 맥주가 충전될 경우, 파장 400 내지 500nm의 가시광선을 커팅할 것이 요구된다. 이 경우, 플라스틱제 부재(40(40a))의 착색층에 갈색의 착색제를 함유시켜, 전체를 갈색으로 착색시킴으로써, 파장 400 내지 500nm의 가시광선을 커팅할 수 있어, 내용물인 맥주의 변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중, 가시광선이란, 파장이 380nm 내지 800nm인 광선을 말한다. 또한, 가시광의 투과율은, JIS A5759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광 광도계(시마즈 세이사꾸쇼(주)제, UV3100)를 사용하여, 파장 220 내지 800nm의 범위에서, 0.5nm 간격으로 측정하며, 가시광선 파장의 광선 투과율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착색제는, 안료여도, 염료여도 되지만, 내광성이라는 관점에서는, 안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료 중에서도, 광반사성 안료, 광흡수성 안료가 바람직하다.
광반사성 안료로서는, 예를 들어 티타늄 화이트, 알루미늄 분말, 마이카 분말, 황화아연, 아연화, 탄산칼슘, 카올린, 탈크 등을 들 수 있고, 광흡수성 안료로서는, 카본 블랙, 세라믹 블랙, 본 블랙 등을 들 수 있다.
플라스틱제 부재(40(40a))가, 광반사성 착색제 및/또는 광흡수성 착색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더 넓은 파장 영역의 가시광선을 커팅할 수 있어, 복합 용기(10A)에 충전되는 내용물의 변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착색제 중에서도, 플라스틱제 부재(40)의 가시광 투과율을 현저하게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흑색, 갈색 등의 광흡수성 안료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착색층은, 상기한 착색제를 2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40)는, 착색층을 2층 이상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착색층에 있어서의 착색제의 함유량은, 착색층에 함유되는 수지 재료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3.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 내지 2.0질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착색제의 함유량이 상기 수치 범위 내이면, 착색층의 수지 성능의 변화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어, 색조를 안정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인쇄층)
인쇄층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자인 또는 인자 등의 인쇄가 실시된, 즉 인쇄 영역(44(44a))을 갖는다. 또한, 도 7에 있어서는, 플라스틱제 부재(40)의 외면층의 외측에 인쇄가 실시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플라스틱제 부재(40)를 구성하는 임의의 층의 내측에 실시되어 있어도, 외측에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플라스틱제 부재(40)가 인쇄층을 구비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용기 본체(10)에 대하여 별도 라벨 등을 부여하지 않고, 복합 용기(10A)에 화상이나 문자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용기 본체(10) 중 동체부(20)의 전부 또는 일부에 플라스틱제 부재(40)를 설치하고, 동체부(20)에 화상이나 문자를 표시해도 된다.
또한, 이 인쇄 영역(44(44a))은, 플라스틱제 부재(40)가 구비하는 각 층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내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인쇄는, 예를 들어 잉크젯법, 그라비아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플렉소 인쇄법 등의 인쇄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이 인쇄는, 블로우 성형 후의 복합 용기(10A)의 플라스틱제 부재(40)에 실시해도 된다.
또한, 후술하는 적층 전의 수지 필름에 대하여 행해져도 되고, 적층하기 전의 단층 플라스틱제 수지 튜브에 대하여 행해져도 된다. 또한, 프리폼(10a)에 설치되기 전의 플라스틱제 부재(40a)에 대하여 실시되어도 되고, 프리폼(10a)의 외측에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설치한 상태에서 실시되어도 된다.
플라스틱제 부재(40)의 인쇄 영역을 형성하는 개소에 대하여, 코로나 처리, 저온 플라즈마 처리, 프레임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수지 필름, 수지 튜브 표면의 습윤성이 향상되어, 인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플라스틱제 부재(40) 상에, 미리 앵커 코팅층을 형성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앵커 코팅층을 설치하는 경우, 플라스틱제 부재(40(40a))에 대한 잉크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그 때문에, 코로나 처리 등의 전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앵커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인쇄의 번짐을 경감시킬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제 부재(40)는 단층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다층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되고, 최내면과 최외면의 층을 형성하는 수지 재료는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저밀도 PE+/접착층/EVOH/접착층/저밀도 PE인 것, PP/접착층/EVOH/접착층/PP인 것, 저밀도 PE/접착층/저밀도 PE+착색제(착색층)인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층 중 적어도 1층에 착색제를 함유시켜, 착색층으로 해도 되고, 인쇄를 실시하여, 인쇄층으로 해도 된다.
접착층을 구성하는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접착제,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계 접착제,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 에틸렌 공중합체 접착제, 셀룰로오스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폴리아미드계 접착제, 폴리이미드계 접착제, 아미노 수지계 접착제, 페놀 수지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고무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40)는, 용기 본체(10)에 대하여 용착 내지 접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용기 본체(10)로부터 박리하여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칼날 등을 사용하여 플라스틱제 부재(40)를 절제하거나, 플라스틱제 부재(40)에 미리 도시하지 않은 절단선을 설치하고, 이 절단선을 따라서 플라스틱제 부재(40)를 박리하거나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인쇄가 실시된 플라스틱제 부재(40)를 용기 본체(10)로부터 분리 제거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동일하게 무색 투명한 용기 본체(10)를 재활용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40)의 두께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용기 본체(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5㎛ 내지 50㎛ 정도로 할 수 있다.
(표면 보호층(80))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 용기(10A)는, 플라스틱제 부재(40)의 표면에 표면 보호층(80)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표면 보호층(80)은, 플라스틱제 부재(40)의 보호를 담당하는 것이다.
이 표면 보호층(80)은, 플라스틱제 부재(40)뿐만 아니라, 용기 전체 또는 일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표면 보호층(80)은, 착색된 것이어도 되고, 착색되지 않은 것이어도 된다. 또한 투명한 것이어도, 불투명한 것이어도 되지만, 플라스틱제 부재(40)에 인쇄가 실시되어 있을 경우 등에 있어서는, 인쇄의 품질 등을 유지하는 관점에서 투명한 것이면 바람직하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면 보호층(80)은, 플라스틱제 부재(40)의 외면에 있어서 얇게 잡아늘여져, 적어도 플라스틱제 부재(40)를 덮고 있다. 또한, 표면 보호층(80)은, 플라스틱제 부재(40) 및 용기 본체(10)를 둘러싸도록 그 둘레 방향 전역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대략 원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갖고 있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면 보호층(80)은, 용기 본체(10) 중, 입구부(11) 및 헤드부(13)를 제외한, 견부(12), 동체부(20) 및 저부(30), 및 플라스틱제 부재(40)를 덮도록 설치된다.
또한, 표면 보호층(80)은, 용기 본체(10) 및 플라스틱제 부재(40)의 전역 또는 일부 영역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제 부재(40) 표면의 인쇄가 실시된 부분, 착색된 부분만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표면 보호층(80)은 1개로 한정되지 않고, 복수 설치해도 된다.
표면 보호층(80)은, 열경화형 수지 또는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표면 경도가 높고, 생산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열경화형 수지와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병용해도 된다.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서는, 자외선, 전자선 등의 전리 방사선의 조사에 의해 중합 가교 반응 가능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알키드 수지, 스피로아세탈 수지, 폴리부타디엔 수지, 폴리티올폴리엔 수지, 다가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1의 불포화 결합을 갖는,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메틸스티렌, N-비닐피롤리돈 등, 2이상의 불포화 결합을 갖는 폴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 또는 상기 화합물과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반응 생성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란, 메타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레이트를 가리키는 것이다.
또한 이들 수지와, 광중합 개시제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아세토페논류, 벤조페논류, 벤질류 등을 들 수 있다.
열경화형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멜라민 수지, 구아나민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아미노 알키드 수지, 멜라민-요소 공축합 수지, 규소 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수지와, 열중합 개시제, 경화 촉진제, 경화제 등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보호층(80, 80a)은, 상기한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도공액을, 잉크젯법, 그라비아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플렉소 인쇄법 등의 인쇄법 등을 사용하여 도포ㆍ경화시킴으로써 형성시킬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도공액의 도공 면적, 형상을 조정할 수 있고, 도공액의 사용량의 삭감, 광택감에 의한 모양의 재현을 가능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잉크젯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잉크젯법을 사용하면, 플라스틱제 부재(40(40a))의 표면에 대한 인쇄와, 표면 보호층(80, 80a)의 형성을 동일 장치 내에서 행할 수 있어, 공정을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도공액을 잉크젯법을 사용하여, 적어도 플라스틱제 부재(40(40a))의 표면에 도포하고, 계속해서, 전리 방사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표면 보호층(80, 80a)을 형성시킬 수 있다.
전리 방사선으로서는,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중의 분자를 경화 반응시킬 수 있는 에너지를 갖는 전자파 또는 하전 입자가 사용된다. 통상, 자외선 또는 전자선이 사용되지만, 가시광선, X선, 이온선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표면 보호층(80a, 80)은, 예를 들어 프리폼(10a)에 설치하기 전의 플라스틱제 부재(40a)에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블로우 성형 전의 복합 프리폼(70)이 구비하는 플라스틱제 부재(40a) 및/또는 프리폼(10a)에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블로우 성형 후의 복합 용기가 구비하는 플라스틱제 부재(40) 및/또는 용기 본체(10)에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40a)로 성형하기 전의 수지 시트에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표면 보호층(80)의 두께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용기 본체(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1㎛ 내지 20㎛ 정도로 할 수 있다.
(라벨(43))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 용기(10A)는, 그 용기 본체(10) 및/또는 플라스틱제 부재(40)에 라벨(43)이 설치되어 있다.
이 라벨(43)로서, 예를 들어 슈링크 라벨, 스트레치 라벨, 롤 라벨, 태크 라벨, 종이 라벨, 또는 복합 용기(10A)의 헤드부(13)로부터 끈 등으로 매단 라벨(이하, 경우에 따라 「매달기 라벨」이라고 함)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생산성이 높다는 이유에서 슈링크 라벨, 스트레치 라벨 또는 롤 라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벨(43)에는, 인쇄가 실시된 인쇄 영역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 영역에 표시되는 사항으로서는, 도안이나 상품명 등 이외에도, 내용액의 명칭, 제조자, 원재료명 등의 문자 정보여도 된다. 라벨(43)은, 일부 또는 전역이, 적색, 청색, 황색, 녹색, 갈색, 흑색, 백색 등의 색으로 착색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투명해도 불투명해도 된다.
라벨(43)을 구비하는 복합 용기(10A)로서는, 예를 들어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 용기(10) 및 플라스틱제 부재(40)의 일부를 덮도록 라벨(43)이 장착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벨(43)이 플라스틱제 부재(40)의 전역을 덮도록 설치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벨(43)이 플라스틱제 부재(40)의 전역을 덮도록 설치되고, 또한 라벨의 문자를 표시하는 부분이 투명하게 되어 있으며, 플라스틱제 부재(40)가 착색된 구성의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도 8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 용기(10A)의 헤드부(13)로부터 문자가 표시된 라벨(43)이 매달린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라스틱제 부재(40)와, 라벨(43)에 서로 다른 무늬를 인쇄해두고, 이들 플라스틱제 부재(40) 및 라벨(43)을 서로 겹침으로써, 하나의 그림이 되는 구성이나, 입체감을 갖게 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도시하지 않음).
이하, 상기한 라벨의 각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슈링크 라벨은, 용기 본체(10) 및/또는 플라스틱제 부재(40) 전역 또는 일부를 덮도록 감아 장착시킬 수 있다. 슈링크 라벨은, 용기 본체(10) 및/또는 플라스틱제 부재(40)에 장착하고, 온도 80 내지 90℃에서 슈링크 가공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슈링크 라벨은, 폴리락트산계 필름, 폴리스티렌계 필름,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중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저밀도 직쇄상 폴리에틸렌 필름, 환상 폴리올레핀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수지,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등의 수지로부터 제막된 원심 폴리올레핀 필름, 폴리에스테르-폴리스티렌 다층 필름, 부직포와 수축 필름의 라미네이트 필름, 폴리에스테르-폴리스티렌 공압출 필름, 6-나일론 필름, 6,6-나일론 필름 등의 폴리아미드 필름, 염소화폴리에틸렌, 염소화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로 제막된 변성 폴리올레핀 필름,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의 수지로부터 제막된 필름, 아크릴계 수지 필름 등의 수지 필름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필름은, 그것을 구성하는 수지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고, 압출법, 캐스트 성형법, T 다이법, 절삭법, 인플레이션법, 기타 등의 제막화법을 사용하여 단층으로 제막한 것, 또는 2종 이상의 수지를 사용하여 공압출 등으로 다층 제막한 것, 또는 2종 이상의 수지를 혼합 사용하여 제막하고, 텐터 방식이나 튜블러 방식 등으로 1축 또는 2축 방향으로 연신하여 이루어지는 각종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지만, 연신 필름으로서, 흐름 방향의 1축 연신 필름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필름은, 발포 필름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단열성이 높다는 점에서, 연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연신 폴리스티렌계 필름, 연신 폴리올레핀계 필름, 폴리락트산계 필름, 발포 폴리올레핀계 필름, 연신 폴리에스테르-폴리스티렌 공압출 필름 또는 발포 폴리스티렌계 필름, 폴리에스테르-폴리스티렌 다층 필름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는 부직포와 상기 필름의 적층 필름이어도 된다. 또한, 연신 필름은, 1축 연신이어도, 2축 연신이어도 되고, 1축 연신 필름의 경우에는, 세로 1축 연신이어도, 가로 1축 연신이어도 된다.
슈링크 라벨의 두께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복합 용기(10A)에 설치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10㎛ 내지 80㎛ 정도로 할 수 있다.
스트레치 라벨은, 슈링크 라벨과 동일하게, 용기 본체(10) 및/또는 플라스틱제 부재(40) 전역 또는 일부를 덮도록 감아 장착시킬 수 있다. 스트레치 라벨은, 둘레 방향으로 인장된 상태에서 복합 용기(10A)에 끼워지고, 그 후, 인장력을 제거함으로써 수축하며, 복합 용기(10A)에 추종하고, 감아 장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스트레치 라벨은, 적당한 유연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직쇄상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단층 또는 다층 수지 필름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저밀도 직쇄상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단층 필름, 저밀도 직쇄상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층을 구비하는 다층 필름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필름은 상기한 방법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스트레치 라벨의 두께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복합 용기(10A)에 설치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5㎛ 내지 50㎛ 정도로 할 수 있다.
롤 라벨 및 태크 라벨도, 슈링크 라벨과 동일하게, 용기 본체(10) 및/또는 플라스틱제 부재(40) 전역 또는 일부를 덮도록 감아 장착시킬 수 있다. 롤 라벨은, 수지 필름을 복합 용기에 감고, 수지 필름의 단부를 접착 또는 융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태크 라벨은, 수지 필름을 복합 용기에 접착제 등을 통해, 직접 부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롤 라벨 및 태크 라벨은, 상기한 수지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접착제,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계 접착제,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 에틸렌 공중합체 접착제, 셀룰로오스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폴리아미드계 접착제, 폴리이미드계 접착제, 아미노 수지계 접착제, 페놀 수지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고무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롤 라벨 및 태크 라벨의 두께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복합 용기(10A)에 설치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5㎛ 내지 100㎛ 정도로 할 수 있다.
종이 라벨도, 슈링크 라벨과 동일하게, 용기 본체(10) 및/또는 플라스틱제 부재(40) 전역 또는 일부를 덮도록 감아 장착시킬 수 있다. 종이 라벨은, 태크 라벨과 동일하게, 수지 필름을 복합 용기에 접착제 등을 통해, 직접 부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종이 라벨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을 함침시킨 내수성이 우수한 종이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이 라벨의 두께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복합 용기(10A)에 설치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50㎛ 내지 300㎛ 정도로 할 수 있다.
매달기 라벨은, 수지 필름제 또는 종이로 만든 라벨을 복합 용기(10A)의 헤드부(13)로부터 끈 등에 의해 매달아서 얻을 수 있다. 이 라벨의 크기ㆍ두께 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임의의 크기ㆍ두께의 라벨을 사용할 수 있다.
(복합 프리폼(70))
다음으로 도 4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복합 프리폼(7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 프리폼(70)은, 플라스틱 재료제 프리폼(10a)과, 프리폼(10a)의 외측에 설치된 유저(有底) 원통 형상의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제 부재(40a)의 표면에 표면 보호층(80a)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프리폼(10a))
프리폼(10a)은, 입구부(11a)와, 입구부(11a)에 연결된 동체부(20a)와, 동체부(20a)에 연결된 저부(30a)를 구비하고 있다.
입구부(11a)는, 상술한 용기 본체(10)의 입구부(11)에 대응하는 것이며, 입구부(11)와 대략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동체부(20a)는, 상술한 용기 본체(10)의 헤드부(13), 견부(12) 및 동체부(20)에 대응하는 것이며, 대략 원통 형상을 갖고 있다.
저부(30a)는, 상술한 용기 본체(10)의 저부(30)에 대응하는 것이며, 대략 반구 형상을 갖고 있다.
(플라스틱제 부재(40a))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프리폼(10a)의 외면에 접착되지 않고 설치되어 있고, 프리폼(10a)에 대하여 이동 또는 회전되지 않을 정도로 밀착되어 있거나 또는 자중으로 낙하되지 않을 정도로 밀착되어 있다.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프리폼(10a)을 둘러싸도록 그 둘레 방향 전역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원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갖고 있다.
이 경우,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동체부(20a) 중 용기 본체(10)의 헤드부(13)에 대응하는 부분(13a)를 제외한 전역과, 저부(30a)의 전역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입구부(11a) 이외의 전역 또는 일부 영역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입구부(11a)를 제외한, 동체부(20a) 및 저부(30a)의 전체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1개로 한정되지 않고, 복수 설치해도 된다. 예를 들어, 2개의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동체부(20a)의 외측 2군데에 각각 설치해도 된다.
이러한 플라스틱제 부재(40a, 40)로서는, 프리폼(10a)(용기 본체(10))에 대하여 수축하는 작용을 갖지 않는 것이어도 되고, 수축하는 작용을 갖는 것(수축 튜브)이어도 된다. 블로우 성형 후에 있어서, 용기 본체(10)와, 플라스틱제 부재(40)의 사이에 들어가는 공기가 적은, 즉, 밀착성이 높다는 관점에서는, 플라스틱제 부재(40a, 40)는, 프리폼(10a)(용기 본체(10))에 대하여 수축하는 작용을 갖는 것(수축 튜브)이면 바람직하다.
전자의 경우, 플라스틱제 부재(40a)로서는, 예를 들어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작된 블로우 튜브, 딥 드로잉 등의 시트 성형에 의해 제작된 시트 성형 튜브, 압출 성형에 의해 제작된 압출 튜브, 인플레이션법에 의해 얻어진 수지 시트를 성형한 인플레이션 성형 튜브,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된 사출 성형 튜브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이외의 성형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한편,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가 수축하는 작용을 갖는 경우,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는, 예를 들어 외적인 작용(예를 들어 열)이 가해졌을 때, 프리폼(10a)에 대하여 수축(예를 들어 열 수축)하는 것이 사용되어도 된다. 또는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는, 그 자체가 수축성 내지 탄력성을 가지고, 외면적인 작용을 가하지 않고 수축 가능한 것이어도 된다.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단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다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내면층(45), 중간층(46) 및 외면층(47)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층을 포함한다. 또한, 이들 층은, 접착층을 통해 접착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착색층 및/또는 인쇄가 실시된 영역(인쇄 영역(44a))을 갖는 인쇄층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인쇄 영역(44a)은, 플라스틱제 부재(40a)가 구비하는 각 층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내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외면층(47)의 외측에 인쇄 영역(44a)이 형성되어도 되고(도 10의 (a) 참조), 내측에 형성되어도 된다(도 10의 (b) 참조).
또한, 중면층(46)의 외측에 인쇄 영역(44a)이 형성되어도 되고(도 10의 (c) 참조), 내측에 형성되어도 된다(도 10의 (d) 참조).
또한, 내면층(45)의 외측에 인쇄 영역(44a)이 형성되어도 되고(도 10의 (e) 참조), 내측에 형성되어도 된다(도 10의 (f) 참조).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방법에 의해, 플라스틱제 부재(40a)에 인쇄를 실시할(인쇄 영역(44a)을 형성함) 수 있다.
먼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층(46)의 내측에 인쇄를 실시하는 경우, 내면층(45)과, 외면층(47)을 적층하기 전에, 중간층(46)을 형성하는 플라스틱제 수지 튜브의 내측에 잉크젯의 노즐(44)을 삽입하여, 잉크젯법에 의해 인쇄를 실시하고(도 11(a) 참조), 계속해서, 내면층(41)과, 중간층(46)을 접착제를 통해 적층한다(도 11의 (b) 참조).
계속해서, 접착제를 통해 외면층(47)을 적층함으로써(도 11의 (c) 참조), 중간층(46)의 내측에 인쇄가 실시된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얻을 수 있다(도 11의 (d)).
또한,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접착제,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계 접착제,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 에틸렌 공중합체 접착제, 셀룰로오스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폴리아미드계 접착제, 폴리이미드계 접착제, 아미노 수지계 접착제, 페놀 수지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고무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40a)의 외측에 인쇄를 실시하는 경우, 잉크젯 방식의 프린터를 사용하여, 다이렉트 인쇄함으로써 인쇄 영역(44a)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프리폼(10a)에 설치된 플라스틱제 부재(40a)(복합 프리폼(70))의 외측에 인쇄를 실시하는 프린터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프린터는, 복합 프리폼이 장착됨과 아울러, 이것을 회전(자전 및 공전)시키는 헤드와, 헤드에 장착된 플라스틱제 부재(40a)에 대하여 잉크를 분사하는 잉크 분사부와, 부착된 잉크를 경화시키는 잉크 경화부를 갖고 있다. 이 경우, 헤드에 장착된 복합 프리폼(70)의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자전 및 공전하면서 잉크 분사부에 있어서 잉크가 분사된다. 그 후, 복합 프리폼(70)은, 헤드 내에서 상승하고, 잉크 경화부에 있어서, 잉크가 예를 들어 UV 경화된다. 이에 의해, 플라스틱제 부재(40a)의 외측에 인쇄 영역(44a)이 실시된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프린터는, 복합 프리폼(70)을 반송함과 아울러, 이것을 회전(자전 및 공전)시키는 복수의 휠을 갖고 있다. 복수의 휠은, 잉크를 분사하는 잉크 분사 휠과, 부착된 잉크를 경화시키는 잉크 경화 휠을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 복합 프리폼(70)은, 각 잉크 분사 휠에 의해 순차 반송되면서, 각 잉크 분사 휠의 잉크 분사부를 두어 잉크가 분사된다. 그 후, 잉크 경화 휠로 반송되어, 이 잉크 경화 휠에 있어서, 잉크가 예를 들어 UV 경화된다. 이에 의해, 플라스틱제 부재(40a)의 외측에 인쇄 영역(43a)이 실시된다.
또한, 인쇄는, 블로우 성형 후의 복합 용기(10A)가 구비하는 플라스틱제 부재(40)에 대해서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복합 용기(10A)가 장착됨과 아울러, 이것을 회전(자전 및 공전)시키는 헤드와, 헤드에 장착된 복합 용기(10A)의 플라스틱제 부재(40) 표면에 대하여 잉크를 분사하는 잉크 분사부와, 부착된 잉크를 경화시키는 잉크 경화부를 갖는 프린터를 사용함으로써, 플라스틱제 부재(40)에 인쇄를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헤드에 장착된 복합 용기(10A)의 플라스틱제 부재(40)는, 자전 및 공전하면서 잉크 분사부에 있어서 잉크가 분사된다. 그 후, 복합 용기(10A)는, 헤드 내에서 상승하고, 잉크 경화부에 있어서, 잉크가 예를 들어 UV 경화된다. 이에 의해, 플라스틱제 부재(40)의 외측에 인쇄가 실시된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프린터는, 복합 용기(10A)를 반송함과 아울러 복합 용기(10A)를 회전(자전 및 공전)시키는 복수의 휠을 갖고 있다. 복수의 휠은, 가스 배리어성 잉크 조성물을 포함하는 잉크를 분사하는 잉크 분사 휠과, 복합 용기(10A)에 부착된 잉크를 경화시키는 잉크 경화 휠을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 복합 용기(10A)는, 각 잉크 분사 휠에 의해 순차 반송되면서, 각 잉크 분사 휠의 잉크 분사부를 두어 가스 배리어성 잉크 조성물을 포함하는 잉크가 분사된다. 그 후, 복합 용기(10A)는 잉크 경화 휠로 반송되고, 이 잉크 경화 휠에 있어서, 잉크가 예를 들어 UV 경화된다. 이에 의해, 플라스틱제 부재(40)의 외측에 인쇄가 실시된다.
인쇄 영역(44(44a))의 형성에 사용되는 잉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가스 배리어성, 즉, 기체 투과 차단성을 갖는 것이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복합 용기가 갖는 산소 배리어성 또는 수증기 배리어성 등의 가스 배리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기 내로의 산소의 침입을 방지하고, 내용액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용기 내로부터 외부로의 수증기의 증산을 방지하여, 내용량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잉크에, 착색제로서, 갈색, 흑색, 녹색, 백색, 적색 또는 청색의 착색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착색제는, 안료여도, 염료여도 되지만, 내광성이라는 관점에서는, 안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제 중에서도, 광반사성 안료인, 티타늄 화이트, 알루미늄 분말, 마이카분, 황화아연, 아연화, 탄산칼슘, 카올린, 탈크 등의 백색 안료, 광흡수성 안료인, 카본 블랙, 세라믹 블랙, 본 블랙 등의 유색 안료가 바람직하다. 이들과 같은 안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잉크를 사용함으로써, 블로우 성형 후의 플라스틱제 부재(40)의 가시광 투과율을 저하시킬 수 있어, 복합 용기(10A)에 충전되는 내용액의 품질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잉크에 있어서의 착색제의 함유량은, 0.01 내지 3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1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잉크는, 열경화형 수지 또는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표면 경도가 높고, 생산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열경화형 수지와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병용해도 된다.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서는, 자외선, 전자선 등의 전리 방사선의 조사에 의해 중합 가교 반응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알키드 수지, 스피로아세탈 수지, 폴리부타디엔 수지, 폴리티올폴리엔 수지, 다가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추종성이 높고, 블로우 성형에 의해 균열 등의 결함을 발생할 가능성이 낮은 점에서, 자외선 경화형 수지가 바람직하다.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서, 예를 들어 1의 불포화 결합을 갖는,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메틸스티렌, N-비닐피롤리돈 등, 2이상의 불포화 결합을 갖는, 폴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 또는 상기 화합물과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반응 생성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란, 메타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레이트를 가리키는 것이다. 또한 이들 수지와, 광중합 개시제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아세토페논류, 벤조페논류, 벤질류 등을 들 수 있다.
열경화형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멜라민 수지, 구아나민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아미노 알키드 수지, 멜라민-요소 공축합 수지, 규소 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수지와, 열중합 개시제, 경화 촉진제, 경화제 등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잉크에 있어서의 열경화형 수지 및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의 총 함유량은, 1 내지 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1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인쇄는, 복수회 반복해서 겹쳐 행해도 된다. 이에 의해, 블로우 성형 후에 인쇄층(44a)이 잡아 늘려진 후에 있어서도, 디자인 또는 인자 등의 인쇄를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인쇄가 실시되기 전에, 플라스틱제 부재(40a, 40)의 인쇄 영역(44a(44))을 형성하는 개소에 대하여, 코로나 처리, 저온 플라즈마 처리, 프레임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수지 필름, 수지 튜브 표면의 습윤성이 향상되어, 인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지 필름, 수지 튜브에 한정되지 않고, 플라스틱제 부재(40a)의 표면에 대하여, 이러한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40(40a))의 인쇄 영역(44(44a))에, 미리 앵커 코팅층을 형성시켜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앵커 코팅층을 설치하는 경우, 플라스틱제 부재(40(40a))에 대한 잉크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그 때문에, 코로나 처리 등의 전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앵커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인쇄의 번짐을 경감시킬 수도 있다.
앵커 코팅층은, 종래 공지된 앵커 코팅제를 사용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앵커 코팅층은, 예를 들어 앵커 코팅제를 포함하는 도공액을, 잉크젯법을 사용하여 플라스틱제 부재(40a(40))에 도포하고, 이것에 예를 들어 전리 방사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40a(40)) 표면의 인쇄가 실시된 개소에, 표면 보호층(80a)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제 부재(40a(40))의 표면에, 표면 보호층(80a)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플라스틱제 부재(40a(40))에 실시된 인쇄 등의 경시적 불량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복합 용기의 내구성을 높일 수도 있다.
표면 보호층(80a)은, 열경화형 수지 또는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표면 경도가 높고, 생산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열경화형 수지와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병용해도 된다. 열경화형 수지 및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서는, 상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표면 보호층(80a)은, 예를 들어 상기 수지를 포함하는 도공액을, 잉크젯법을 사용하여 플라스틱제 부재(40a(40)) 표면의 인쇄부에 도포하고, 이것에 예를 들어 전리 방사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형성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플라스틱제 부재(40a)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전체적으로 유저 원통 형상을 포함하고, 원통 형상의 동체부(41)과, 동체부(41)에 연결된 저부(42)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플라스틱제 부재(40a)의 저부(42)가 프리폼(10a)의 저부(30a)를 덮으므로, 복합 용기(10A)의 동체부(20)에 더하여, 저부(30)에 대해서도 다양한 기능이나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예를 들어 상술한 블로우 튜브나 시트 성형 튜브를 들 수 있다.
또한,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전체적으로 원관 형상(무저(無底) 원통 형상)을 포함하고, 원통 형상의 동체부(41)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플라스틱제 부재(40a)로서는, 예를 들어 상술한 블로우 튜브, 압출 튜브, 인플레이션 성형 튜브, 시트 성형 튜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c) 및 도 12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필름을 통 형상으로 형성하여 그 단부를 접합시킴으로써 제작되어도 된다. 이 경우, 도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동체부(41)를 갖는 관 형상(무저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도 12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부(42)를 접합시킴으로써 유저 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플라스틱제 부재(40a)로서는, 예를 들어 블로우 튜브, 압출 튜브, 인플레이션 성형 튜브, 시트 성형 튜브를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플라스틱제 부재(40a)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수지 재료, 및 원한다면 착색제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시트를 성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성형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딥 드로잉 성형, 또는 수지 시트를 튜브 형상으로 성형하고, 그 단부를 융착 또는 접착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다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2이상의 수지 시트를, 상기한 접착제를 통해 적층시킨 적층 수지 시트를 성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사용되는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접착제,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계 접착제,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 에틸렌 공중합체 접착제, 셀룰로오스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폴리아미드계 접착제, 폴리이미드계 접착제, 아미노 수지계 접착제, 페놀 수지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고무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 접착제는, 예를 들어 롤 코팅법, 그라비아 롤 코팅법, 키스 코팅법 등의 코팅법, 인쇄법 등에 의해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시트는, 시판품을 사용해도 되고, 종래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압출 성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압출 성형이, T 다이법 또는 인플레이션법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가열 용융된 수지 재료, 및 원한다면 착색제 등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튜브 형상으로 압출함으로써도 제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2종 이상의 수지 재료를 공압출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물의 압출을 금형 내에서 행하고, 또한 그 금형 내에서, 금형의 내면을 따라서 직경 확장되도록 블로우 성형함으로써도,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하와 같이 하여, 수축성을 갖는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얻을 수 있다.
먼저, 상기 수지 재료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압출함으로써 얻어진 튜브의 일단부를 접착, 용착 등에 의해 폐쇄시킨다. 일단부를 폐쇄시킨 튜브를, 튜브의 외경보다도 큰 내경을 갖는 튜브 형상의 금형 내에 배치하고, 튜브의 타단부에 블로우 장치를 배치한다. 이 때, 블로우 장치는, 튜브와, 이들 사이로부터 에어가 누설되지 않도록 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이 튜브, 금형 및 블로우 장치를, 이 배치 그대로 가열로에 보내고, 가열로의 내부에서 70 내지 150℃로 가열한다. 가열로로서는, 그 내부를 균일한 온도로 하기 위해서, 열풍 순환식 가열로를 사용해도 된다. 또는 튜브, 금형 및 블로우 장치를, 가열된 액체 내에 통과시킴으로써, 이들을 가열해도 된다. 이어서, 튜브, 금형 및 블로우 장치를, 가열로로부터 취출하고, 블로우 장치로부터 튜브 내로 에어를 분출함으로써, 튜브의 내면을 가압 연신한다. 이에 의해, 튜브는, 팽창되고, 금형의 내면 형상을 따라서 직경 확장된다. 그 후, 블로우 장치로부터 에어를 분출한 상태 그대로, 튜브를 냉수 중에서 냉각시키고, 튜브를 금형으로부터 취출한다. 이것을 원하는 크기로 커팅함으로써 수축성을 갖는 플라스틱제 부재(40a)가 얻어진다.
또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사출 성형법에 의해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수지 재료를 가열 용융시킨다. 계속해서, 가열 용융된 수지 재료를 금형 내에 사출한다. 이것을 냉각시키고, 금형 내에서 취출함으로써,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얻을 수도 있다.
(복합 용기(10A)의 제조 방법)
다음으로 도 13의 (a) 내지 (f)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복합 용기(10A)의 제조 방법(블로우 성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플라스틱 재료제 프리폼(10a)을 준비한다(도 13의 (a) 참조). 이 경우,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사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법에 의해 프리폼(10a)을 제작해도 된다. 또한, 프리폼(10a)으로서,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프리폼을 사용해도 된다.
이어서, 프리폼(10a)의 외측에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설치함으로써, 프리폼(10a)과, 프리폼(10a)의 외측에 밀착된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갖는 복합 프리폼(70)을 제작한다(도 13의 (b) 참조).
이 경우,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전체적으로 유저 원통 형상을 포함하고, 원통 형상의 동체부(41)과, 동체부(41)에 연결된 저부(42)를 갖고 있다. 이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동체부(20a) 중 용기 본체(10)의 헤드부(13)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전역과, 저부(30a)의 전역을 덮도록 장착된다.
이 경우, 프리폼(10a)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조금 작은 내경을 갖는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프리폼(10a)에 대하여 압입함으로써, 프리폼(10a)의 외면에 밀착시켜도 된다.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열수축성을 갖는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프리폼(10a)의 외면에 설치하고, 이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50℃ 내지 100℃로 가열함으로써 열수축시켜 프리폼(10a)의 외면에 밀착시켜도 된다.
이와 같이, 미리 프리폼(10a)의 외측에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밀착시켜, 복합 프리폼(70)을 제작해둠으로써, 복합 프리폼(70)을 제작하는 일련의 공정(도 13의 (a) 내지 (b))과, 복합 용기(10A)를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작하는 일련의 공정(도 13의 (c) 내지 (f))을 각각 다른 장소(공장 등)에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복합 프리폼(70)은, 가열 장치(51)에 의해 가열된다(도 13의 (c) 참조). 이 때, 복합 프리폼(70)은, 입구부(11a)를 아래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가열 장치(51)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균등하게 가열된다. 이 가열 공정에 있어서의 프리폼(1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의 가열 온도는, 예를 들어 90℃ 내지 130℃로 해도 된다.
계속해서, 가열 장치(51)에 의해 가열된 복합 프리폼(70)은, 블로우 성형 금형(50)에 보내진다(도 13의 (d) 참조).
복합 용기(10A)는, 이 블로우 성형 금형(50)을 사용하여 성형된다. 이 경우, 블로우 성형 금형(50)은 서로 분할된 한 쌍의 동체부 금형(50a, 50b)과, 저부 금형(50c)을 포함한다(도 13의 (d) 참조). 도 13의 (d)에 있어서, 한 쌍의 동체부 금형(50a, 50b) 사이는 서로 개방되어 있고, 저부 금형(50c)은 상방으로 올라가 있다. 이 상태에서 한 쌍의 동체부 금형(50a, 50b) 사이에, 복합 프리폼(70)이 삽입된다.
다음으로 도 13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부 금형(50c)이 내려온 후에 한 쌍의 동체부 금형(50a, 50b)이 폐쇄되고, 한 쌍의 동체부 금형(50a, 50b) 및 저부 금형(50c)에 의해 밀폐된 블로우 성형 금형(50)이 구성된다. 다음으로 프리폼(10a) 내에 공기가 압입되어, 복합 프리폼(70)에 대하여 2축 연신 블로우 성형이 실시된다.
이에 의해, 블로우 성형 금형(50) 내에서 프리폼(10a)으로부터 용기 본체(10)가 얻어진다. 이 사이에, 동체부 금형(50a, 50b)은 30℃ 내지 80℃까지 가열되고, 저부 금형(50c)은 5℃ 내지 25℃까지 냉각된다. 이 때, 블로우 성형 금형(50) 내에서는, 복합 프리폼(70)의 프리폼(1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가 일체로서 팽창된다. 이에 의해, 프리폼(1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일체로서 블로우 성형 금형(50)의 내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부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용기 본체(10)와, 용기 본체(10)의 외면에 설치된 플라스틱제 부재(40)를 구비한 복합 용기(10A)가 얻어진다.
다음으로 도 13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동체부 금형(50a, 50b) 및 저부 금형(50c)이 서로 분리되고, 블로우 성형 금형(50) 내로부터 복합 용기(10A)가 취출된다.
(복합 용기(10A)의 제조 방법의 변형예)
이어서, 도 14의 (a) 내지 (f)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블로우 성형 방법(복합 용기(10A)의 제조 방법)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의 (a) 내지 (f)에 나타낸 변형예는, 플라스틱제 부재(40a)가 프리폼(10a)에 대하여 수축하는 작용을 갖는 것(수축 튜브)이며, 다른 구성은, 도 13의 (a) 내지 (f)에 나타낸 형태와 대략 동일하다. 도 14의 (a) 내지 (f)에 있어서, 도 13의 (a) 내지 (f)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플라스틱 재료제 프리폼(10a)을 준비한다(도 14의 (a) 참조).
이어서, 프리폼(10a)의 외측에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고, 복수의 층 중 적어도 1층이 착색층인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를 설치한다(도 14의 (b) 참조).
이 경우,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는, 전체적으로 유저 원통 형상을 포함하고, 원통 형상의 동체부(41)와, 동체부(41)에 연결된 저부(42)를 갖고 있다. 이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는, 동체부(20a) 중 용기 본체(10)의 헤드부(13)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전역과, 저부(30a)의 전역을 덮도록 장착된다.
이어서, 프리폼(10a) 및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는, 가열 장치(51)에 의해 가열된다(도 14의 (c) 참조).
이 때, 프리폼(10a) 및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는, 입구부(11a)를 아래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가열 장치(51)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균등하게 가열된다. 이 가열 공정에 있어서의 프리폼(10a) 및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의 가열 온도는, 예를 들어 90℃ 내지 130℃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가 가열됨으로써,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가 열수축하고, 프리폼(10a)의 외측에 밀착된다(도 14의 (c) 참조).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 자체가 수축성을 갖는 경우, 프리폼(10a)의 외측에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를 설치한 시점(도 14의 (b) 참조)에서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가 프리폼(10a)의 외측에 밀착되어 있어도 된다.
계속해서, 가열 장치(51)에 의해 가열된 프리폼(10a) 및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는, 블로우 성형 금형(50)에 보내진다(도 14의 (d) 참조).
프리폼(10a) 및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는, 이 블로우 성형 금형(50)을 사용하여 성형되고, 상술한 도 13의 (a) 내지 (f)의 경우와 대략 동일하게 하여, 용기 본체(10)와, 용기 본체(10)의 외면에 설치된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를 구비한 복합 용기(10A)가 얻어진다(도 14의 (d) 내지 (f) 참조).
(복합 용기(10A)의 제조 방법의 다른 변형예)
다음으로 도 15의 (a) 내지 (g)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복합 용기(10A)의 제조 방법(블로우 성형 방법)의 다른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의 (a) 내지 (g)에 나타낸 변형예는, 플라스틱제 부재(40a)가 프리폼(10a)에 대하여 수축하는 작용을 갖는 것(수축 튜브)이고, 프리폼(10a) 및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를 2단계로 가열하는 것이며, 다른 구성은, 도 13의 (a) 내지 (f)에 나타낸 형태와 대략 동일하다. 도 15의 (a) 내지 (g)에 있어서, 도 13의 (a) 내지 (f)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플라스틱 재료제 프리폼(10a)을 준비한다(도 15의 (a) 참조).
이어서, 프리폼(10a)의 외측에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를 설치한다(도 15의 (b) 참조). 이 경우,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는, 전체적으로 유저 원통 형상을 포함하고, 원통 형상의 동체부(41)와, 동체부(41)에 연결된 저부(42)를 갖고 있다. 이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는, 동체부(20a) 중 용기 본체(10)의 헤드부(13)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전역과, 저부(30a)의 전역을 덮도록 장착된다.
이어서, 프리폼(10a) 및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는, 제1 가열 장치(55)에 의해 가열된다(도 15의 (c) 참조). 이 때, 프리폼(10a) 및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의 가열 온도는, 예를 들어 50℃ 내지 100℃로 해도 된다.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가 가열됨으로써,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가 열수축하고, 프리폼(10a)의 외측에 밀착된다. 이에 의해, 프리폼(10a)과, 프리폼(10a)의 외측에 밀착된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를 갖는 복합 프리폼(70)이 얻어진다(도 15의 (c) 참조).
이와 같이, 제1 가열 장치(55)를 사용하여 미리 프리폼(10a)의 외측에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를 가열 밀착시켜, 복합 프리폼(70)을 제작해둠으로써, 복합 프리폼(70)을 제작하는 일련의 공정(도 15의 (a) 내지 (c))과, 복합 용기(10A)를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작하는 일련의 공정(도 15의 (d) 내지 (g))을 각각 다른 장소(공장 등)에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복합 프리폼(70)은, 제2 가열 장치(51)에 의해 가열된다(도 15의 (d) 참조). 이 때, 복합 프리폼(70)은, 입구부(11a)를 아래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제2 가열 장치(51)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균등하게 가열된다. 이 가열 공정에 있어서의 프리폼(10a) 및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의 가열 온도는, 예를 들어 90℃ 내지 130℃로 해도 된다.
계속해서, 제2 가열 장치(51)에 의해 가열된 복합 프리폼(70)은, 블로우 성형 금형(50)에 보내진다(도 15의 (e) 참조).
복합 프리폼(70)은 이 블로우 성형 금형(50)을 사용하여 성형되고, 상술한 도 13의 (a) 내지 (f)의 경우와 대략 동일하게 하여, 용기 본체(10)와, 용기 본체(10)의 외면에 설치된 수축 튜브(수축 튜브)(40)를 구비한 복합 용기(10A)가 얻어진다(도 15의 (e) 내지 (g) 참조).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블로우 성형 금형(50) 내에서 복합 프리폼(70)에 대하여 블로우 성형을 실시함으로써, 복합 프리폼(70)의 프리폼(1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일체로서 팽창시켜, 용기 본체(10)와 플라스틱제 부재(40)를 구비한 복합 용기(10A)를 제작한다. 이에 의해, 프리폼(10a)(용기 본체(10))과 플라스틱제 부재(40a)(플라스틱제 부재(40))를 다른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플라스틱제 부재(40)의 종류나 형상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복합 용기(10A)에 다양한 기능이나 특성을 자유 자재로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복합 용기(10A)를 제작할 때, 일반적인 블로우 성형 장치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복합 용기(10A)를 제작하기 위한 새로운 성형 설비를 준비할 필요가 발생하지 않는다.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
다음으로 도 16, 도 17 및 도 18의 (a) 내지 (f)에 의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 도 17 및 도 18의 (a) 내지 (f)에 나타낸 변형예는, 플라스틱제 부재(40a)로서 동체부와 저부를 갖는 것은 아니며, 원통 형상의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사용한 것이다.
도 16에 나타낸 복합 용기(10A)에 있어서, 플라스틱제 부재(40)는, 용기 본체(10)의 견부(12)로부터 동체부(20)의 하방 부분까지 연장되어 있지만, 저부(30)까지 도달해 있지는 않다. 또한, 도 17에 나타낸 복합 프리폼(70)에 있어서,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프리폼(10a)의 동체부(20a)만을 덮도록 밀착되어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동체부(20a) 중 용기 본체(10)의 헤드부(13)에 대응하는 부분(13a)과 동체부(20a)의 하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영역을 덮고 있다.
도 16, 도 17 및 도 18의 (a) 내지 (f)에 있어서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한 실시 형태와 대략 동일하다. 도 16, 도 17 및 도 18의 (a) 내지 (f)에 나타낸 변형예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한 실시 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외에, 복합 용기(10A)의 구성 및 제조 방법, 및 복합 프리폼(70)의 구성 및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한 실시 형태와 대략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16, 도 17 및 도 18의 (a) 내지 (f)에 있어서, 플라스틱제 부재(40a)가 프리폼(10a)에 대하여 수축하는 작용을 갖는 것을 사용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8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복합 용기(10A))
먼저, 도 19 및 도 20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블로우 성형 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복합 용기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복합 용기(10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블로우 성형 금형(50)을 사용하여 프리폼(10a),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포함하는 복합 프리폼(70)(도 21 참조)에 대하여 2축 연신 블로우 성형을 실시함으로써, 복합 프리폼(70)의 프리폼(10a),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일체로서 팽창시켜 얻어진 것이다.
이러한 복합 용기(10A)는, 내측에 위치하는 플라스틱 재료제 용기 본체(10)와, 용기 본체(10)의 외측에 밀착시켜 설치된 내측 라벨 부재(60)와, 내측 라벨 부재(60)의 외측에 밀착시켜 설치된 플라스틱제 부재(40)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10))
이 중 용기 본체(10)는, 입구부(11)와, 입구부(11) 하방에 설치된 헤드부(13)와, 헤드부(13) 하방에 설치된 견부(12)와, 견부(12) 하방에 설치된 동체부(20)와, 동체부(20) 하방에 설치된 저부(30)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내측 라벨 부재(60)는, 용기 본체(10)의 외면에 얇게 늘여진 상태에서 밀착되어 있으며, 용기 본체(10)에 대하여 용이하게 이동 또는 회전되지 않을 정도로 밀착되어 있다.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40)는, 용기 본체(10)의 외면 또한 내측 라벨 부재(60)의 외면에 얇게 연장시킨 상태에서 밀착되어 있으며, 용기 본체(10)에 대하여 용이하게 이동 또는 회전되지 않을 정도로 밀착되어 있다.
플라스틱제 부재(40)는, 그 적어도 일부가 반투명 또는 투명한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이 반투명 또는 투명한 부분을 통해, 내측 라벨 부재(60)를 외측으로부터 시인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40)는, 그 전체가 반투명 또는 투명해도 되고, 또는 불투명한 부분과 반투명 또는 투명한 부분(예를 들어 창부)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라스틱제 부재(40)의 전체가 투명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내측 라벨 부재(60))
다음으로 내측 라벨 부재(60)에 대하여 설명한다. 내측 라벨 부재(60)는, 내측 라벨 부재(60a)를 프리폼(10a)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하고, 이 프리폼(10a) 및 내측 라벨 부재(60a)를 일체로서 2축 연신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얻어진 것이다.
내측 라벨 부재(60)는 용기 본체(10)의 외면에 접착되지 않고 설치되어 있고, 용기 본체(10)에 대하여 이동 또는 회전되지 않을 정도로 밀착되어 있다. 이 내측 라벨 부재(60)는, 용기 본체(10)의 외면에 있어서 얇게 잡아 늘여져서 용기 본체(10)를 덮고 있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라벨 부재(60)는, 용기 본체(10)를 둘러싸도록 그 둘레 방향 전역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대략 원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갖고 있다.
이 경우, 내측 라벨 부재(60)는, 용기 본체(10) 중, 입구부(11) 및 헤드부(13)를 제외한, 견부(12), 동체부(20) 및 저부(30)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용기 본체(10)의 견부(12), 동체부(20) 및 저부(30)에 원하는 문자, 화상 등을 부여하고, 복합 용기(10A)에 대하여 장식성을 가지게 하거나, 정보를 표시시키거나 할 수 있다.
또한, 내측 라벨 부재(60)는, 용기 본체(10) 중 입구부(11) 이외의 전역 또는 일부 영역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내측 라벨 부재(60)는, 용기 본체(10) 중, 입구부(11)를 제외한, 헤드부(13), 견부(12), 동체부(20) 및 저부(30)의 전체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내측 라벨 부재(60)는 1개로 한정되지 않고, 복수 설치해도 된다. 또한, 내측 라벨 부재(60)는, 플라스틱제 부재(40)와 동일한 영역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플라스틱제 부재(40)보다도 좁은 영역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후자의 경우, 내측 라벨 부재(60)는 플라스틱제 부재(40)에 의해 완전히 덮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라벨 부재(60)의 두께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용기 본체(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5㎛ 내지 50㎛ 정도로 할 수 있다.
(플라스틱제 부재(40))
다음으로 플라스틱제 부재(40)에 대하여 설명한다. 플라스틱제 부재(40)는,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내측 라벨 부재(60a)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하고, 프리폼(10a),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일체로 하여, 2축 연신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얻어진 것이다.
플라스틱제 부재(40)는 내측 라벨 부재(60)의 외면에 접착되지 않고 설치되어 있고, 용기 본체(10)에 대하여 이동 또는 회전되지 않을 정도로 밀착되어 있다. 이 플라스틱제 부재(40)는, 내측 라벨 부재(60)의 외면에 있어서 얇게 잡아 늘여져서 내측 라벨 부재(60)를 덮고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제 부재(40)는, 용기 본체(10)를 둘러싸도록 그 둘레 방향 전역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대략 원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갖고 있다.
이 외에, 용기 본체(10) 및 플라스틱제 부재(40)의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대략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복합 프리폼(70))
다음으로 도 21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복합 프리폼(7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 프리폼(70)은, 플라스틱 재료제 프리폼(10a)과, 프리폼(10a)의 외측에 밀착시켜 설치된 유저 원통 형상의 내측 라벨 부재(60a)와, 내측 라벨 부재(60a)의 외측에 밀착시켜 설치된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어, 유저 원통 형상의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구비하고 있다.
(내측 라벨 부재(60a))
내측 라벨 부재(60a)는, 프리폼(10a)의 외면에 밀착되어 있으며, 프리폼(10a)에 대하여 용이하게 이동 또는 회전되지 않는 상태에서 밀착되어 있다. 내측 라벨 부재(60a)는, 프리폼(10a)을 둘러싸도록 그 둘레 방향 전역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대략 원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갖고 있다.
내측 라벨 부재(60a)에는, 미리 디자인 또는 인자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안이나 상품명 등 이외에, 내용액의 명칭, 제조자, 원재료명 등의 문자 정보가 기재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블로우 성형 후에 용기 본체(10)에 대하여 별도 라벨 등을 부여하지 않고, 복합 용기(10A)에 화상이나 문자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프리폼(10a) 중 동체부(20a)의 전부 또는 일부에 내측 라벨 부재(60a)를 설치하고, 성형 후에 용기 본체(10)의 동체부(20)에 화상이나 문자가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용기를 마개를 막은 후, 라벨러를 사용하여 라벨을 부여하는 공정이 불필요해지므로,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수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내측 라벨 부재(60a)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아라미드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세탈계 수지, 불소계 수지 등의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내측 라벨 부재(60a)는, 프리폼(10a) 및/또는 플라스틱제 부재(40a)와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상이한 재료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내측 라벨 부재(60a)로서, 이하에 설명하는 각종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내측 라벨 부재(60a)는, 산소 배리어성 또는 수증기 배리어성 등의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프리폼(10a)으로서 다층 프리폼이나 블렌드 재료를 포함하는 프리폼 등을 사용하지 않고, 복합 용기(10A)의 가스 배리어성을 높여, 산소에 의해 내용액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증기의 증산에 의해 내용물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로서는, PE, PP, MXD-6, EVOH 또는 이들 재료에 지방산염 등의 산소 흡수재를 섞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내측 라벨 부재(60a)는, 자외선 등의 광선 배리어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프리폼(10a)으로서 다층 프리폼이나 블렌드 재료를 포함하는 프리폼 등을 사용하지 않고, 복합 용기(10A)의 광선 배리어성을 높여, 자외선 등에 의해 내용액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로서는, 블렌드 재료 또는 PET나 PE, PP에 차광성 수지를 첨가한 재료를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내측 라벨 부재(60a)는, 용기 본체(10)(프리폼(10a))를 구성하는 플라스틱 재료보다도 보온성 또는 보냉성이 높은 재료(열전도성이 낮은 재료)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용기 본체(10) 그 자체의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고, 내용액의 온도가 복합 용기(10A)의 표면까지 전달되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복합 용기(10A)의 보온성 또는 보냉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재료로서는, 발포화된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PE, PP, 페놀 수지, 폴리염화비닐, 우레아수지, 실리콘, 폴리이미드, 멜라민 수지 등을 생각할 수 있다.
한편,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내측 라벨 부재(60a)의 외면에 접착되지 않고 설치되어 있고, 프리폼(10a)에 대하여 이동 또는 회전되지 않을 정도로 밀착되어 있다.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프리폼(10a)을 둘러싸도록 그 둘레 방향 전역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대략 원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갖고 있다.
이 경우,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동체부(20a) 중 용기 본체(10)의 헤드부(13)에 대응하는 부분(13a)을 제외한 전역과, 저부(30a)의 전역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입구부(11a) 이외의 전역 또는 일부 영역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입구부(11a)를 제외한, 동체부(20a) 및 저부(30a)의 전체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각각 1개로 한정되지 않고, 복수 설치해도 된다. 예를 들어, 2개의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동체부(20a)의 외측 2군데에 각각 설치해도 된다.
이러한 플라스틱제 부재(40a)로서는, 프리폼(10a)에 대하여 수축하는 작용을 갖지 않는 것이어도 되고, 수축하는 작용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후자의 경우,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로서는, 프리폼(10a)에 대하여 수축하는 작용을 갖는 것이면 된다.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는, 외면적인 작용(예를 들어 열)이 가해졌을 때, 프리폼(10a)에 대하여 수축(예를 들어 열수축)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외에, 복합 용기(10A), 복합 프리폼(70)의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대략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플라스틱제 부재(40a) 및/또는 내측 라벨 부재(60a)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제 부재(40a)(내측 라벨 부재(60a))는, 전체적으로 유저 원통 형상을 포함하고, 원통 형상의 동체부(41)(동체부(61))과, 동체부(41)(동체부(61))에 연결된 저부(42)(저부(62))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플라스틱제 부재(40a)(내측 라벨 부재(60a))의 저부(42)(저부(62))가 프리폼(10a)의 저부(30a)를 덮으므로, 복합 용기(10A)의 동체부(20)에 더하여, 저부(30)에 대해서도 다양한 기능이나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도 2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제 부재(40a)(내측 라벨 부재(60a))는, 전체적으로 원관 형상(무저 원통 형상)을 포함하고, 원통 형상의 동체부(41)(동체부(61))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플라스틱제 부재(40a)(내측 라벨 부재(60a))로서는, 예를 들어 압출 튜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2의 (c) 및 도 22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제 부재(40a)(내측 라벨 부재(60a))는, 필름을 통 형상으로 형성하여 그 단부를 접합시킴으로써 제작되어도 된다. 이 경우, 도 2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동체부(41)(동체부(61))를 갖는 관 형상(무저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도 22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부(42)(저부(62))를 접합시킴으로써 유저 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복합 용기(10A)의 제조 방법)
다음으로 도 23의 (a) 내지 (f)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복합 용기(10A)의 제조 방법(블로우 성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플라스틱 재료제 프리폼(10a)을 준비한다(도 23의 (a) 참조).
이어서, 프리폼(10a)의 외측에 내측 라벨 부재(60a)를 설치함과 아울러, 내측 라벨 부재(60a)의 외측에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고, 복수의 층 중 적어도 1층이 착색층인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설치한다. 이에 의해, 프리폼(10a)과, 프리폼(10a)의 외측에 밀착된 내측 라벨 부재(60a)와, 내측 라벨 부재(60a)의 외측에 밀착된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갖는 복합 프리폼(70)을 제작한다(도 23의 (b) 참조). 이 경우, 내측 라벨 부재(60a)는, 전체적으로 유저 원통 형상을 포함하고, 원통 형상의 동체부(61)와, 동체부(61)에 연결된 저부(62)를 갖고 있다.
이 때, 프리폼(10a)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조금 작은 내경을 갖는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각각 프리폼(10a)에 대하여 압입함으로써, 프리폼(10a)의 외면에 밀착시켜도 된다. 또는 열수축성을 갖는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프리폼(10a)의 외면에 설치하고, 이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50℃ 내지 100℃로 가열함으로써 열수축시켜 프리폼(10a)의 외면에 밀착시켜도 된다.
또한, 미리 내측 라벨 부재(60a)의 주위에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설치해두고, 이들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일체로서 프리폼(10a)의 외측에 장착해도 된다. 또는 프리폼(10a)의 외측에 내측 라벨 부재(60a)를 설치하고, 그 후, 내측 라벨 부재(60a)의 외측에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설치해도 된다.
이와 같이, 미리 프리폼(10a) 및 내측 라벨 부재(60a)의 외측에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밀착시켜, 복합 프리폼(70)을 제작해둠으로써, 복합 프리폼(70)을 제작하는 일련의 공정(도 23의 (a) 내지 (b))과, 복합 용기(10A)를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작하는 일련의 공정(도 23의 (c) 내지 (f))을 각각 다른 장소(공장 등)에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복합 프리폼(70)은, 가열 장치(51)에 의해 가열된다(도 23의 (c) 참조).
계속해서, 가열 장치(51)에 의해 가열된 복합 프리폼(70)은, 블로우 성형 금형(50)에 보내진다. 복합 용기(10A)는, 이 블로우 성형 금형(50)을 사용하여 성형되고,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대략 동일하게 하여, 용기 본체(10)와, 용기 본체(10)의 외면에 설치된 내측 라벨 부재(60)와, 내측 라벨 부재(60)의 외측에 설치된 플라스틱제 부재(40)를 구비한 복합 용기(10A)가 얻어진다(도 23의 (d) 내지 (f) 참조).
이 외에,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복합 용기(10A)의 제조 방법(블로우 성형 방법)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대략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복합 용기(10A)의 제조 방법의 변형예)
다음으로 도 24의 (a) 내지 (f)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복합 용기(10A)의 제조 방법(블로우 성형 방법)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4의 (a) 내지 (f)에 나타낸 변형예는, 플라스틱제 부재(40a)가 프리폼(10a)에 대하여 수축하는 작용을 갖는 것(수축 튜브)이며, 다른 구성은, 도 23의 (a) 내지 (f)에 나타낸 형태와 대략 동일하다. 도 24의 (a) 내지 (f)에 있어서, 도 23의 (a) 내지 (f)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플라스틱 재료제 프리폼(10a)을 준비한다(도 24의 (a) 참조).
이어서, 프리폼(10a)의 외측에 내측 라벨 부재(60a)를 설치함과 아울러, 내측 라벨 부재(60)의 외측에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를 설치한다(도 24의 (b) 참조). 내측 라벨 부재(60) 및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는, 동체부(20a) 중 용기 본체(10)의 헤드부(13)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전역과, 저부(30a)의 전역을 덮도록 장착된다. 이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는, 그 적어도 일부가 반투명 또는 투명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미리 내측 라벨 부재(60a)의 주위에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를 설치해두고, 이들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를 일체로서 프리폼(10a)의 외측에 장착해도 된다. 또는 프리폼(10a)의 외측에 내측 라벨 부재(60a)를 설치하고, 그 후, 내측 라벨 부재(60)의 외측에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를 설치해도 된다.
이어서, 프리폼(10a),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는, 가열 장치(51)에 의해 가열된다(도 24의 (c) 참조). 이 때, 프리폼(10a),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는, 입구부(11a)를 아래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가열 장치(51)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균등하게 가열된다. 이 가열 공정에 있어서의 프리폼(10a),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의 가열 온도는, 예를 들어 90℃ 내지 130℃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가 가열됨으로써,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가 열수축하고, 프리폼(10a)의 외측에 밀착된다(도 24의 (c) 참조). 또한,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 자체가 수축성을 갖는 경우, 내측 라벨 부재(60a)의 외측에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를 설치한 시점(도 24의 (b) 참조)에서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가 내측 라벨 부재(60a)의 외측에 밀착되어 있어도 된다.
계속해서, 가열 장치(51)에 의해 가열된 프리폼(10a),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는, 블로우 성형 금형(50)에 보내진다(도 24의 (d) 참조).
프리폼(10a),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는, 이 블로우 성형 금형(50)을 사용하여 성형되고, 상술한 도 23의 (a) 내지 (f)의 경우와 대략 동일하게 하여, 용기 본체(10)와, 용기 본체(10)의 외면에 설치된 내측 라벨 부재(60)와, 내측 라벨 부재(60)의 외측에 설치된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를 구비한 복합 용기(10A)가 얻어진다(도 24의 (d) 내지 (f) 참조).
(복합 용기(10A)의 제조 방법의 다른 변형예)
다음으로 도 25의 (a) 내지 (g)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복합 용기(10A)의 제조 방법(블로우 성형 방법)의 다른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5의 (a) 내지 (g)에 나타낸 변형예는, 플라스틱제 부재(40a)가 프리폼(10a)에 대하여 수축하는 작용을 가지고(수축 튜브), 프리폼(10a) 및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를 2단계로 가열하는 것이며, 다른 구성은, 도 23의 (a) 내지 (f)에 나타낸 형태와 대략 동일하다. 도 25의 (a) 내지 (g)에 있어서, 도 23의 (a) 내지 (f)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플라스틱 재료제 프리폼(10a)을 준비한다(도 25의 (a) 참조).
이어서, 프리폼(10a)의 외측에 내측 라벨 부재(60a)를 설치함과 아울러, 내측 라벨 부재(60)의 외측에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를 설치한다(도 25의 (b) 참조).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는, 동체부(20a) 중 용기 본체(10)의 헤드부(13)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전역과, 저부(30a)의 전역을 덮도록 장착된다. 이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는, 그 적어도 일부가 반투명 또는 투명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미리 내측 라벨 부재(60a)의 주위에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를 설치해두고, 이들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를 일체로 하여 프리폼(10a)의 외측에 장착해도 된다. 또는 프리폼(10a)의 외측에 내측 라벨 부재(60a)를 설치하고, 그 후, 내측 라벨 부재(60)의 외측에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를 설치해도 된다.
이어서, 프리폼(10a),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는, 제1 가열 장치(55)에 의해 가열된다(도 25의 (c) 참조). 이 때, 프리폼(10a),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의 가열 온도는, 예를 들어 50℃ 내지 100℃로 해도 된다.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가 가열됨으로써,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가 열수축하고, 프리폼(10a)의 외측에 밀착된다. 이에 의해, 프리폼(10a)과, 프리폼(10a)의 외측에 밀착된 내측 라벨 부재(60a)와, 내측 라벨 부재(60a)의 외측에 밀착된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를 갖는 복합 프리폼(70)이 얻어진다(도 25의 (c) 참조).
이와 같이, 제1 가열 장치(55)를 사용하여 미리 프리폼(10a) 및 내측 라벨 부재(60a)의 외측에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를 가열 밀착시켜, 복합 프리폼(70)을 제작해둠으로써, 복합 프리폼(70)을 제작하는 일련의 공정(도 25의 (a) 내지 (c))과, 복합 용기(10A)를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작하는 일련의 공정(도 25의 (d) 내지 (g))을 각각 다른 장소(공장 등)에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복합 프리폼(70)은, 제2 가열 장치(51)에 의해 가열된다(도 25의 (d) 참조). 이 때, 복합 프리폼(70)은, 입구부(11a)를 아래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제2 가열 장치(51)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균등하게 가열된다. 이 가열 공정에 있어서의 프리폼(10a),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a)의 가열 온도는, 예를 들어 90℃ 내지 130℃로 해도 된다.
계속해서, 제2 가열 장치(51)에 의해 가열된 복합 프리폼(70)은, 블로우 성형 금형(50)에 보내진다(도 25의 (e) 참조).
복합 프리폼(70)은, 이 블로우 성형 금형(50)을 사용하여 성형되고, 상술한 도 23의 (a) 내지 (f)의 경우와 대략 동일하게 하여, 용기 본체(10)와, 용기 본체(10)의 외면에 설치된 내측 라벨 부재(60)와, 내측 라벨 부재(60)의 외측에 설치된 플라스틱제 부재(수축 튜브)(40)를 구비한 복합 용기(10A)가 얻어진다(도 25의 (e) 내지 (g) 참조).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블로우 성형 금형(50) 내에서 복합 프리폼(70)에 대하여 블로우 성형을 실시함으로써, 복합 프리폼(70)의 프리폼(10a),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일체로서 팽창시켜, 용기 본체(10)와 내측 라벨 부재(60)와 플라스틱제 부재(40)를 구비한 복합 용기(10A)를 제작한다. 이 때문에 프리폼(10a)을 사용하여 복합 용기(10A)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미리 복합 용기(10A)에 내측 라벨 부재(60)를 설치해둘 수 있다. 따라서, 복합 용기(10A)에 내용액을 충전하여 마개로 밀봉한 후, 라벨러에 의해 라벨을 부여하는 공정을 둘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최종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라벨러의 문제 등에 의해 최종 제품을 제조할 때에 수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프리폼(10a)(용기 본체(10))과 플라스틱제 부재(40a)(플라스틱제 부재(40))를 다른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플라스틱제 부재(40)의 종류나 형상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복합 용기(10A)에 다양한 기능이나 특성을 자유 자재로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복합 용기(10A)를 제작할 때, 일반적인 블로우 성형 장치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복합 용기(10A)를 제작하기 위한 새로운 성형 설비를 준비할 필요가 발생하지 않는다.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
다음으로 도 26, 도 27 및 도 28의 (a) 내지 (f)에 의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6, 도 27 및 도 28의 (a) 내지 (f)에 나타낸 변형예는,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로서 동체부와 저부를 갖는 것이 아니라, 원통 형상의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를 사용한 것이다.
도 30에 나타낸 복합 용기(10A)에 있어서, 내측 라벨 부재(60) 및 플라스틱제 부재(40)는, 용기 본체(10)의 견부(12)로부터 동체부(20)의 하방 부분까지 연장되어 있지만, 저부(30)까지 도달해 있지 않다. 또한, 도 31에 나타낸 복합 프리폼(70)에 있어서, 내측 라벨 부재(60a) 및 플라스틱제 부재(40a)는 프리폼(10a)의 동체부(20a)만을 덮도록 밀착되어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동체부(20a) 중 용기 본체(10)의 헤드부(13)에 대응하는 부분(13a)과 동체부(20a)의 하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영역을 덮고 있다.
도 26, 도 27 및 도 28의 (a) 내지 (f)에 있어서 다른 구성은, 도 19 내지 도 25에 나타낸 실시 형태와 대략 동일하다. 도 26, 도 27 및 도 28의 (a) 내지 (f)에 나타낸 변형예에 있어서, 도 19 내지 도 25에 나타낸 실시 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외에, 복합 용기(10A)의 구성 및 제조 방법, 및 복합 프리폼(70)의 구성 및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도 19 내지 도 25에 나타낸 실시 형태와 대략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26, 도 27 및 도 28의 (a) 내지 (f)에 있어서, 플라스틱제 부재(40)가 프리폼(10a)에 대하여 수축하는 작용을 갖는 것을 사용해도 된다.

Claims (4)

  1. 복합 용기에 있어서,
    플라스틱 재료제 용기 본체이며, 견부, 동체부 및 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부는 중앙의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를 둘러싸는 접지부를 갖는, 용기 본체와,
    열수축 튜브를 구비하는 플라스틱제 부재이며, 상기 용기 본체의 외면에 설치되는 플라스틱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일체로 팽창되고,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착색층 및 인쇄가 실시되어 있는 인쇄층을 구비하고,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의 외면에 용착 또는 접착되지 않고,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박리 가능하고,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접착부 없는 단일 본체이고,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의 견부, 동체부 및 적어도 상기 저부의 접지부와 상기 오목부를 덮으면서,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의 오목부의 형상을 따라 상기 오목부에 밀착하여 설치된, 복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가,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하여 수축하는 작용을 갖는, 복합 용기.
  3. 복합 용기에 있어서,
    플라스틱 재료제 용기 본체이며, 견부, 동체부 및 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부는 중앙의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를 둘러싸는 접지부를 갖는, 용기 본체와,
    열수축 튜브를 구비하는 플라스틱제 부재이며, 상기 용기 본체의 외면에 설치되는 플라스틱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일체로 팽창되고,
    상기 용기 본체는 수지 재료 및 착색제를 포함하는 착색층을 구비하고,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의 외면에 용착 또는 접착되지 않고,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박리 가능하고,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접착부 없는 단일 본체이고,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의 견부, 동체부 및 적어도 상기 저부의 접지부 및 상기 오목부를 덮으면서,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의 오목부의 형상을 따라 상기 오목부에 밀착하여 설치된, 복합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제 부재가,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하여 수축하는 작용을 갖는, 복합 용기.
KR1020217034019A 2014-12-08 2015-12-04 복합 프리폼, 복합 용기, 복합 프리폼, 플라스틱제 부재 및 복합 용기의 제조 방법 KR1024091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48153 2014-12-08
JP2014248153A JP6458472B2 (ja) 2014-12-08 2014-12-08 ブロー成形方法、複合プリフォーム、複合容器、内側ラベル部材およびプラスチック製部材
JPJP-P-2014-255419 2014-12-17
JP2014255419A JP6458482B2 (ja) 2014-12-17 2014-12-17 複合容器の製造方法、複合プリフォーム、複合容器およびプラスチック製部材
JP2014256524A JP2016117165A (ja) 2014-12-18 2014-12-18 ブロー成形方法、複合プリフォーム、複合容器、内側ラベル部材およびプラスチック製部材
JPJP-P-2014-256524 2014-12-18
JP2014257737A JP6723686B2 (ja) 2014-12-19 2014-12-19 複合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複合プリフォーム、プラスチック製部材
JPJP-P-2014-257737 2014-12-19
JPJP-P-2014-261339 2014-12-24
JP2014261339A JP6765782B2 (ja) 2014-12-24 2014-12-24 複合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プラスチック製部材、ならびに複合プリフォーム
JPJP-P-2014-262738 2014-12-25
JPJP-P-2014-262799 2014-12-25
JP2014262738A JP6593672B2 (ja) 2014-12-25 2014-12-25 複合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複合プリフォーム、ならびにプラスチック製部材
JPJP-P-2014-262913 2014-12-25
JPJP-P-2014-262682 2014-12-25
JP2014262682A JP2016120681A (ja) 2014-12-25 2014-12-25 複合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複合プリフォームならびにプラスチック製部材
JP2014262799A JP6583706B2 (ja) 2014-12-25 2014-12-25 複合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複合プリフォーム、ならびにプラスチック製部材
JP2014262913A JP6681036B2 (ja) 2014-12-25 2014-12-25 複合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プラスチック製部材ならびに複合プリフォーム
JPJP-P-2014-264979 2014-12-26
JP2014264979A JP2016124137A (ja) 2014-12-26 2014-12-26 複合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プリフォームならびに複合プリフォーム
PCT/JP2015/084194 WO2016093177A1 (ja) 2014-12-08 2015-12-04 複合プリフォーム、複合容器、複合プリフォーム、プラスチック製部材および複合容器の製造方法
KR1020177015136A KR20170094177A (ko) 2014-12-08 2015-12-04 복합 프리폼, 복합 용기, 복합 프리폼, 플라스틱제 부재 및 복합 용기의 제조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5136A Division KR20170094177A (ko) 2014-12-08 2015-12-04 복합 프리폼, 복합 용기, 복합 프리폼, 플라스틱제 부재 및 복합 용기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265A KR20210130265A (ko) 2021-10-29
KR102409119B1 true KR102409119B1 (ko) 2022-06-16

Family

ID=56107362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4424A KR102523339B1 (ko) 2014-12-08 2015-12-04 복합 프리폼, 복합 용기, 복합 프리폼, 플라스틱제 부재 및 복합 용기의 제조 방법
KR1020217034019A KR102409119B1 (ko) 2014-12-08 2015-12-04 복합 프리폼, 복합 용기, 복합 프리폼, 플라스틱제 부재 및 복합 용기의 제조 방법
KR1020237012779A KR20230054762A (ko) 2014-12-08 2015-12-04 복합 프리폼, 복합 용기, 복합 프리폼, 플라스틱제 부재 및 복합 용기의 제조 방법
KR1020177015136A KR20170094177A (ko) 2014-12-08 2015-12-04 복합 프리폼, 복합 용기, 복합 프리폼, 플라스틱제 부재 및 복합 용기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4424A KR102523339B1 (ko) 2014-12-08 2015-12-04 복합 프리폼, 복합 용기, 복합 프리폼, 플라스틱제 부재 및 복합 용기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2779A KR20230054762A (ko) 2014-12-08 2015-12-04 복합 프리폼, 복합 용기, 복합 프리폼, 플라스틱제 부재 및 복합 용기의 제조 방법
KR1020177015136A KR20170094177A (ko) 2014-12-08 2015-12-04 복합 프리폼, 복합 용기, 복합 프리폼, 플라스틱제 부재 및 복합 용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4) US11220367B2 (ko)
EP (2) EP3231576B1 (ko)
KR (4) KR102523339B1 (ko)
CN (2) CN111634519B (ko)
AU (2) AU2015361362B2 (ko)
CA (2) CA2969016C (ko)
ES (1) ES2921552T3 (ko)
MX (1) MX2017007400A (ko)
MY (1) MY186927A (ko)
NZ (1) NZ732592A (ko)
SG (2) SG11201704358RA (ko)
TW (2) TW202039216A (ko)
WO (1) WO20160931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34519B (zh) * 2014-12-08 2022-02-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复合容器和塑料制部件
EP3473405B1 (en) * 2016-06-17 2021-11-03 Dai Nippon Printing Co., Ltd. Composite preform,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omposite container,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composite container, and heat shrinkable plastic member
KR102423379B1 (ko) * 2016-06-17 2022-07-22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복합 프리폼 및 그 제조 방법, 복합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열수축성 플라스틱제 부재
JP6814402B2 (ja) * 2016-09-16 2021-01-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複合プリフォーム、複合容器および複合プリフォームの製造方法
KR102360734B1 (ko) 2017-02-23 2022-02-10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복합 프리폼 및 그 제조 방법, 복합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복합 용기에 맥주를 충전한 제품
JP6939086B2 (ja) * 2017-05-23 2021-09-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ボトルと支持容器との組合体および支持容器の製造方法
JP7365758B2 (ja) * 2018-01-30 2023-10-2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剥離容器
JP6840393B2 (ja) * 2018-04-19 2021-03-10 株式会社青木固研究所 射出延伸ブロー成形機と中空成形体の製造方法
US20190359383A1 (en) * 2018-05-25 2019-11-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abeled container having multiple seams
JP7292139B2 (ja) * 2018-07-26 2023-06-16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熱収縮性プラスチック製部材、複合プリフォームおよび複合容器
JP2020026299A (ja) * 2018-08-13 2020-02-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複合容器、複合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ブロー成形型
US20200354529A1 (en) * 2019-05-08 2020-11-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ne piece multilayer thermoplastic container having a colorant
CN110722771B (zh) * 2019-10-23 2021-08-24 广州小大包装有限公司 一种化妆品容器制造工艺
KR102184123B1 (ko) * 2020-06-01 2020-11-27 이승현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
JP7068667B2 (ja) * 2020-12-11 2022-05-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複合プリフォーム、複合容器および複合プリフォームの製造方法
KR102390568B1 (ko) * 2022-01-04 2022-04-27 승화프린팅(주) 라벨용 포장필름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부착한 포장필름
US20230321890A1 (en) * 2022-04-11 2023-10-12 Takayuki Nakamura Resin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and resin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32147A (ja) * 2001-05-10 2004-10-21 イーストマン ケミカル カンパニー 延伸ブロー成形法を用いたラベル付き容器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8270A (en) * 1969-04-14 1971-08-10 Continental Can Co Bottom end structure for plastic containers
DE2135406A1 (de) 1971-07-15 1973-02-01 Bosch Verpackungsmaschin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hohlkoerpern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mit dekor
JPS5281377A (en) 1975-12-29 1977-07-07 Yoshino Kogyosho Co Ltd Method of forming decorative pattern on synthetic resin bottle
JPS56166027A (en) 1980-05-28 1981-12-19 Katashi Aoki Forming method for vessel in polyethylene terephthalate
JPS5775855A (en) 1980-10-31 1982-05-12 Toyo Seikan Kaisha Ltd Laminated plastic vessel and its manufacture
GB2090219B (en) 1980-10-31 1985-10-09 Toyo Seikan Kaisha Ltd Coated plastics containers
JPS58136318A (ja) 1982-02-06 1983-08-13 永井 正哉 濾過式湯煎式紅茶「こゞ」「ひゞ」抽出器
JPS58136317U (ja) 1982-03-11 1983-09-13 吉田工業株式会社 美装インサ−トチユ−ブを外層体として成形した装飾ブロ−容器
JPS595035A (ja) 1982-07-02 1984-01-11 Showa Denko Kk 複層中空成形体の製造方法
JPS5991038A (ja) 1982-11-18 1984-05-25 Toyo Seikan Kaisha Ltd ボトルの製造方法
JPS61206623A (ja) 1985-03-12 1986-09-12 Mitsui Toatsu Chem Inc 多層容器の製造方法
AU580223B2 (en) 1986-12-29 1989-01-05 Owens-Illinois Plastic Products Inc. Plastic container with multilayer label applied by in-mold labeling
US5079057A (en) 1986-12-29 1992-01-07 Owens-Illinois Plastic Products Inc. Plastic container with multilayer label applied by in-mold labeling
JPH0815754B2 (ja) * 1987-07-27 1996-02-21 マツダ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中空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530698B2 (ja) 1988-11-30 1996-09-0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硬化性樹脂のブロ―成形物及びそのブロ―成形方法
JPH05228988A (ja) * 1992-02-19 1993-09-07 Toppan Printing Co Ltd 多層延伸ブロー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3321679B2 (ja) 1993-06-25 2002-09-03 キョーラク株式会社 軟質合成樹脂製容器の表面印刷方法
JPH08244781A (ja) 1995-03-03 1996-09-24 Toppan Printing Co Ltd 容器及び容器の製造方法並びにプリフォーム
JP2794109B2 (ja) * 1995-07-24 1998-09-03 株式会社ニコン 電子閃光装置
JPH10249922A (ja) * 1997-03-13 1998-09-22 Toppan Printing Co Ltd 抗菌性を有する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3836238B2 (ja) 1997-12-16 2006-10-25 株式会社プラコー 合成樹脂成形品の成形方法
JPH11349713A (ja) 1998-06-05 1999-12-21 Ai Plus Kk 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製ボトルの製造方法
JPH11348184A (ja) * 1998-06-11 1999-12-21 Toppan Printing Co Ltd 積層プラスチック容器
JP2000102966A (ja) 1998-09-30 2000-04-11 Toppan Printing Co Ltd 2層延伸ブロー成形容器
US6270868B1 (en) 1998-11-17 2001-08-07 Inoac Packaging Group Inc. Composite container with stabilized base
KR100497872B1 (ko) * 1999-01-28 2005-06-29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JP2000229357A (ja) * 1999-02-09 2000-08-22 Gunze Ltd 熱収縮性フィルム及びそれが熱収縮装着された容器
JP5229762B2 (ja) 2000-05-23 2013-07-03 Jsr株式会社 ガスバリアコーティング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ガスバリアコーティングフィルム
JP2005508055A (ja) * 2001-10-26 2005-03-24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バーコード コーポレイション 生産工程中の製品にバーコード情報を付与する方法とその装置
JP2003220641A (ja) * 2002-01-29 2003-08-05 Yoshino Kogyosho Co Ltd 二軸延伸ブロー成形壜体及びその一次成形品
CA2418562C (en) * 2002-02-15 2008-07-22 Kuraray Co., Ltd. Coinjection stretch blow molded container
WO2004020505A1 (en) 2002-08-30 2004-03-11 Ciba Specialty Chemicals Holding Inc. Method of producing coloured plastics or polymeric colour particles
JP2004136486A (ja) 2002-10-16 2004-05-13 Dainippon Printing Co Ltd インモールドラベル成形用ラベル並びにインモールドラベル二軸延伸ブロー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4111874B2 (ja) 2003-05-30 2008-07-02 株式会社フジシールインターナショナル 遮光容器、及び遮光容器の製造方法
JP2005054080A (ja) 2003-08-05 2005-03-03 Toyo Ink Mfg Co Ltd 電子線硬化型被覆剤、それを用いた包装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31365B2 (ja) * 2003-09-18 2010-08-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延伸ブロー成形用中間成形体及び合成樹脂製壜体
CN100503234C (zh) * 2004-06-03 2009-06-24 三菱树脂株式会社 热收缩性叠层薄膜、使用该薄膜的成型品、热收缩性标签及容器
JP2005343098A (ja) 2004-06-07 2005-12-15 Toyo Seikan Kaisha Ltd 生分解性延伸成形容器
ITRM20040294A1 (it) * 2004-06-16 2004-09-16 Sipa Societa Industrializzazio Bottiglia di plastica e processo di apposizione di una etichetta restringente su di essa.
JP4784063B2 (ja) 2004-10-12 2011-09-28 凸版印刷株式会社 酸素吸収能を有する印刷インキ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酸素吸収性積層体
JP4806917B2 (ja) 2004-10-20 2011-11-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合成樹脂製容器
JP2006168354A (ja) 2004-11-18 2006-06-29 Yupo Corp ラベル付きインモールド成型体およびインモールド用ラベル
US20060110556A1 (en) * 2004-11-22 2006-05-25 Plastipak Packaging, Inc. Plastic article
GB0428204D0 (en) * 2004-12-23 2005-01-26 Clinical Designs Ltd Medicament container
US7210408B2 (en) 2004-12-30 2007-05-01 Plastipak Packaging, Inc. Printing plastic containers with digital images
JP2006240629A (ja) 2005-02-28 2006-09-14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製容器
MX2007011051A (es) 2005-03-15 2007-11-13 Coca Cola Co Recipientes sobremoldeados y metodos de fabricacion y uso de los mismos.
JP4636373B2 (ja) 2005-03-31 2011-02-2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容器
CN1866321A (zh) * 2005-05-17 2006-11-22 优泊公司 高亮度的标签、贴有该标签的容器、及其制造方法
JP2008120076A (ja) 2006-10-19 2008-05-29 Mitsubishi Gas Chem Co Inc バリア性に優れた多層射出成形体
PL2082861T3 (pl) 2006-10-19 2012-10-31 Mitsubishi Gas Chemical Co Formowane wtryskowo wyroby o doskonałych właściwościach barierowych
JP2008201463A (ja) 2007-02-22 2008-09-04 Fuji Seal International Inc シュリンクラベルおよびラベル付き容器
JP2008255134A (ja) 2007-03-30 2008-10-23 Mitsubishi Plastics Ind Ltd 熱収縮性フィルム、並びにこの熱収縮性フィルムを用いた成形品、熱収縮性ラベル、及びこの成形品を用いた、又はこのラベルを装着した容器
JP2008297494A (ja) 2007-06-01 2008-12-11 Fujifilm Corp 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及びカラーフィルタ
JP2008308624A (ja) 2007-06-15 2008-12-25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酸素吸収性インキ組成物及び積層体並びに酸素吸収性インキ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9241526A (ja) 2008-03-31 2009-10-22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製ブロー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290780A (ja) 2008-08-12 2008-12-04 Tohcello Co Ltd ガスバリア性膜及びその積層体
JP5423015B2 (ja) 2009-01-29 2014-02-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シュリンクラベル、シュリンクラベル用原反、シュリンクラベル付き容器、及びシュリンクラベル用原反の製造方法
ES2630404T3 (es) 2009-09-29 2017-08-21 Plastipak Packaging, Inc. Composiciones de polímero de eliminación de oxígeno compatibles con colorante y artículos fabricados a partir de las mismas
JP5781744B2 (ja) 2010-06-30 2015-09-24 株式会社Adeka プラスチックボトルの製造方法
WO2011082536A1 (en) * 2010-01-08 2011-07-14 Great Fortune (Hk) Limited Method of forming thermoplastic article
WO2012118527A1 (en) 2011-03-01 2012-09-07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Nested blow molded liner and overpack and methods of making same
EP2740678B1 (en) 2011-08-05 2017-10-11 Dai Nippon Printing Co., Ltd. Beverage filling method and device
JP5817077B2 (ja) 2011-11-17 2015-11-1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射出成形方法
EP2867001A1 (en) * 2012-06-27 2015-05-06 Discma AG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fabrication of a container, such as a beverage container
JP6061557B2 (ja) 2012-08-01 2017-01-18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部材付着式装飾方法
JP6066677B2 (ja) 2012-11-07 2017-01-25 Dicグラフィックス株式会社 リキッドインキ
JP6142995B2 (ja) 2012-11-26 2017-06-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組成物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CN104077956B (zh) 2013-03-28 2017-05-17 优泊公司 模内成型用标签及使用其的带标签的塑料容器
GB201305999D0 (en) 2013-04-03 2013-05-15 Cedar Advanced Technology Group Ltd Container for a food product, beverage or pharmaceutical product
CN105228923B (zh) 2013-05-20 2018-03-30 藤森工业株式会社 遮光片和容器
KR102522879B1 (ko) * 2013-06-28 2023-04-18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블로우 성형 방법, 복합 프리폼, 복합 용기, 내측 라벨 부재 및 플라스틱제 부재
TW201502257A (zh) * 2013-07-10 2015-01-16 Sicpa Holding Sa 包括可印碼與手性液晶聚合物層的標記
CN111634519B (zh) * 2014-12-08 2022-02-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复合容器和塑料制部件
KR102360734B1 (ko) * 2017-02-23 2022-02-10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복합 프리폼 및 그 제조 방법, 복합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복합 용기에 맥주를 충전한 제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32147A (ja) * 2001-05-10 2004-10-21 イーストマン ケミカル カンパニー 延伸ブロー成形法を用いたラベル付き容器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55125A1 (en) 2017-12-14
EP3763509C0 (en) 2024-03-13
US20210086430A1 (en) 2021-03-25
MY186927A (en) 2021-08-26
AU2021201602B2 (en) 2022-07-28
US20210206046A1 (en) 2021-07-08
US11220367B2 (en) 2022-01-11
KR102523339B1 (ko) 2023-04-21
KR20170094177A (ko) 2017-08-17
CN111634519A (zh) 2020-09-08
SG10202006939WA (en) 2020-08-28
US20210086429A1 (en) 2021-03-25
WO2016093177A1 (ja) 2016-06-16
EP3231576A4 (en) 2018-09-26
KR20230054762A (ko) 2023-04-25
SG11201704358RA (en) 2017-06-29
CN111634519B (zh) 2022-02-18
CN107000302A (zh) 2017-08-01
CA2969016C (en) 2023-10-17
AU2015361362B2 (en) 2021-05-13
TWI709475B (zh) 2020-11-11
ES2921552T3 (es) 2022-08-29
EP3763509A1 (en) 2021-01-13
EP3763509B1 (en) 2024-03-13
AU2015361362A1 (en) 2017-06-29
EP3231576B1 (en) 2022-06-01
EP3231576A1 (en) 2017-10-18
KR20210130265A (ko) 2021-10-29
AU2015361362A9 (en) 2017-07-13
MX2017007400A (es) 2017-11-22
CA3210406A1 (en) 2016-06-16
NZ732592A (en) 2023-04-28
KR20220025188A (ko) 2022-03-03
TW201637818A (zh) 2016-11-01
TW202039216A (zh) 2020-11-01
CN107000302B (zh) 2020-11-03
AU2021201602A1 (en) 2021-04-08
CA2969016A1 (en) 201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9119B1 (ko) 복합 프리폼, 복합 용기, 복합 프리폼, 플라스틱제 부재 및 복합 용기의 제조 방법
JP2016124136A (ja) 複合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プラスチック製部材、ならびに複合プリフォーム
JP2016120682A (ja) 複合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複合プリフォーム、ならびにプラスチック製部材
JP6682780B2 (ja) 複合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複合プリフォームならびにプラスチック製部材
JP6681036B2 (ja) 複合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プラスチック製部材ならびに複合プリフォーム
JP2016120681A (ja) 複合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複合プリフォームならびにプラスチック製部材
JP2016117165A (ja) ブロー成形方法、複合プリフォーム、複合容器、内側ラベル部材およびプラスチック製部材
JP6852744B2 (ja) 複合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複合プリフォーム、プラスチック製部材
JP7157934B2 (ja) 複合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723686B2 (ja) 複合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複合プリフォーム、プラスチック製部材
JP6641691B2 (ja) 複合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765782B2 (ja) 複合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プラスチック製部材、ならびに複合プリフォーム
JP2017052242A (ja) プラスチック製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複合容器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