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123B1 -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123B1
KR102184123B1 KR1020200065762A KR20200065762A KR102184123B1 KR 102184123 B1 KR102184123 B1 KR 102184123B1 KR 1020200065762 A KR1020200065762 A KR 1020200065762A KR 20200065762 A KR20200065762 A KR 20200065762A KR 102184123 B1 KR102184123 B1 KR 102184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oft
label
covering
res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5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이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현 filed Critical 이승현
Priority to KR1020200065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1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29C49/2408In-mould lining or labelling
    • B29C2049/24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29C2049/2414Linings or labels, e.g. specific geometry, multi-layered or material
    • B29C2049/2429Multilayered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29C2049/2431Means for preparing or treating the label or lining, e.g. cutting, deforming, heating or applying adhesive
    • B29C2049/2433Heating or applying adhesive
    • B29C2049/2435Heating or applying adhesive in a specific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29C2049/2443Means for feeding the lining or label into the mould, preform or parison, e.g. grippers
    • B29C2049/2449Means for feeding the lining or label into the mould, preform or parison, e.g. grippers holding the labels or linings by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29C2049/2464Means for verifying or keeping the position of the lining or label, e.g. sensors, or attachment on mould wall
    • B29C2049/2472Means for verifying or keeping the position of the lining or label, e.g. sensors, or attachment on mould wall using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며 소정의 공간의 물리적 거리를 조절하는 프레임 유닛; 프레임 유닛의 내주면에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커버링 유닛; 및 프레임 유닛의 내측에 제공되며 커버링 유닛과 접촉하여 커버링 유닛을 외주면에 수용하는 베이스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Covering system having soft surface label}
본 발명은 라벨 부착을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외부에 라벨을 부착하기 위하여 용기의 외주면에 라벨이 함입되어 제공되며, 라벨은 표면에 입체 형상을 구비함과 동시에 소프트함을 제공하여 용기의 외주면에는 입체감을 형성하며 용기 내부면에 플랫함을 형성하도록 하는,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라벨과 패키징은 더 이상 단순하게 내용물을 담고 표시하는 역할에 머무르지 않고, 아름다운 디자인과 독특한 효과를 통해 소비자의 시선을 사로잡기도 하고, 환경문제에 따른 문제점 또는 종래의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전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시장의 변화에 부응하여 인쇄 기술 및 주변 기기도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보다 나은 원가 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위해 대부분의 라벨 분야는 아직도 대응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인몰드 라벨은 플라스틱 용기와 따로 부착이 되던 라벨을 성형과 동시에 부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조 방법으로 라벨을 따라 부착함으로 필수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접착제의 사용이 사라져 비교적 친환경적이며, 제작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된다.
인몰드 라벨의 경우, 안정적인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강한 내구력과 미관으로 최근 라벨 시장의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다.
이러한 라벨 시장은 단순한 코팅과 내용물 표시를 넘어 사용자의 니즈에 맞추어 기술적인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선행 특허문헌 "인몰드 라벨 및 입체 형상을 구비하는 압력 용기의 제조 방법(등록번호 제10-1789008호,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한다. )"가 존재한다.
특허문헌1에 따른 특허발명의 경우, 압력 용기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입체적으로 형성하고, 그 위에 입체감이 나도록 라벨을 변형시킴으로써 이를 바라보는 사람의 관심을 주목시킬 수 있는 인몰드 라벨을 구비하는 압력 용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허문헌1의 경우, 용기의 표면에 형성할 입체형상에 대응되는 입체홈이 형성되는 금형을 가열하는 단계와; 금형을 개방하는 단계와; 금형 내면에 라벨을 부착하되, 라벨의 적어도 일부가 입체홈을 덮도록 라벨을 금형 내면에 부착하는 단계와; 금형의 캐비티 내부에 용기의 프리폼을 위치시키는 단계와; 금형을 폐쇄하고, 제1루트를 통해서 공기를 소정범위의 압력으로 프리폼 내부에 주입시켜서 프리폼을 팽창시키는 단계와; 팽창된 프리폼과 라벨이 상호 부착되면서, 프리폼의 표면에 부착된 라벨이 팽창되는 프리폼의 표면과 함께 공기 압력에 의하여 입체홈에 맞게 입체감 있는 형상으로 변형되는 단계와; 팽창되어 용기형태로 변형된 프리폼 내부에 제2루트를 통해서 프리폼 내부에 냉각용 공기를 주입하는 단계와; 금형끼리 이격시키고, 입체감 있는 형상 및 이에 맞게 변형된 라벨이 부착된 용기를 금형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라벨 및 입체 형상을 구비하는 압력 용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선행 특허문헌으로서 "용기 제조 장치용 용기 성형 모듈, 그리고 인몰드 라벨 용기 성형 어셈블리(등록번호 제10-1585157호, 이하 특허문헌2라 한다. )"가 존재한다.
특허문헌2의 경우, 용기 제조 장치용 용기 성형 모듈, 그리고 인몰드 라벨 용기 성형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단일의 스테이션에서 용기의 프리폼의 제작, 가열, 인몰드 라벨링 및 용기 성형, 용기의 취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용기 제조 장치에서 신속하고 불량 없는 용기 성형을 할 수 있는 용기 제조 장치용 용기 성형 모듈, 그리고 인몰드 라벨 용기 성형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2의 경우, 용기의 프리폼이 수용되며 용기의 외부 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가 구비되고 상호 이격되거나 맞닿게 되는 분리 가능한 복수의 용기 금형과; 용기 금형에 부착되어 용기 금형을 이동시키는 복수의 이동 블록과; 이동 블록을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드라이브와; 구동드라이브와 이동 블록을 연결하여 구동 드라이브의 동력을 이동 블록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부와, 복수의 용기 금형이 맞붙은 경우, 복수의 이동 블록을 관통하게 마련되는 고정바와, 복수의 용기 금형이 맞붙은 경우, 고정바와 결합하여 복수의 용기 금형이 맞붙은 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 장치용 용기 성형 모듈을 제공한다.
아울러, 선행 특허문헌"입체감을 갖는 필름 제조방법 및 상기 필름을 이용한 인몰드 사출방법(등록번호 제10-1666799호, 이하 특허문헌3이라 한다. )"가 존재한다.
특허문헌3의 경우, 입체감을 갖는 필름 제조방법 및 상기 필름을 이용한 인몰드 사출방법을 제공한다.
특허문헌3의 경우, 입체감을 갖는 필름 제조방법은, 기재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를 거친다. 기재 필름 상에 전사용 수지를 일정 두께로 도포시키는 단계를 거친다. 전사용 수지에, 양각(陽刻) 패턴이 전사되어 음각(陰刻) 패턴이 형성된 입체 패턴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거친다. 입체 패턴층의 음각 패턴을 따라서 입체적인 패턴을 갖도록 입체 패턴층의 상부에 이형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거친다. 이형층 상면과 접하도록 하드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거친다. 하드 코팅층 상부에 접착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거친다.
마찬가지로, "인몰드 라벨부착 용기와 그 성형방법(등록번호 제10-1260091호, 이하 특허문헌4라 한다. )"가 존재한다.
특허문헌4의 경우, 분할금형의 몸통부 성형형면측에 대해서, 가장 빨리 접촉하는 파리손이나 프리폼의 부분의 높이위치를, 미리 설정한 위치가 되도록 하여, 이에 따라 인몰드 라벨과, 파리손이나 프리폼으로부터 블로우 성형된 용기 본체와의 사이에, 공기 잔류가 형성되지 않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용기 본체의 몸통부의 바깥둘레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인몰드 라벨을 고착시킨 용기로서, 몸통부에, 분할금형의 몸통부 성형형면측에 가장 빨리 접촉하는 환상의 두께 최소부분을 형성하고, 몸통부와, 전체둘레에 걸쳐서 고착한 인몰드 라벨과의 사이에, 공기 잔류가 형성되지 않게 하였다.
특허문헌4의 경우, 몸통부의 높이방향의 중간부분에, 환상으로 두께 최소부분을 위치시킨, 블로우 성형품인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상기 몸통부의 바깥 둘레면의 전체둘레에 걸쳐서 고착된 인몰드 라벨로 이루어지는 인몰드 라벨부착 용기에 대하여 개시한다.
특히 특허문헌 1의 경우, 용기 자체의 입체 홈 형성을 통하여 외부 라벨도 입체적으로 형성되도록 한 것으로, 용기 자체의 입체 홈을 형성한 경우, 용기 내부의 수용 부피에 대하여 입체 홈을 통해 내부로 함몰된 만큼의 부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내용물의 수용정도에 차이를 나타낼 수 있는 단점이 존재한다.
등록번호 제10-1789008호 등록번호 제10-1585157호 등록번호 제10-1666799호 등록번호 제10-1260091호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용기의 성형과 라벨의 부착의 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커버되는 라벨의 입체적 형상을 통하여 용기 외부에 입체적인 형상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커버되는 라벨의 소프트함으로 인하여 용기 내부가 플랫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소정의 공간의 물리적 거리를 조절하는 프레임 유닛; 상기 프레임 유닛의 내주면에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커버링 유닛; 및 상기 프레임 유닛의 내측에 제공되며 상기 커버링 유닛과 접촉하여 상기 커버링 유닛을 외주면에 수용하는 베이스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상기 프레임 유닛은, 상기 소정의 공간에 해당하며 미리 결정된 형상이 제공되며, 상기 베이스 유닛의 소정의 압력에 의해 상기 커버링 유닛이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표면을 제공하는 포켓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상기 베이스 유닛은, 용융된 형태로 상기 포켓부의 내측에 제공되며, 상기 프레임 유닛의 내주면을 향해 상기 소정의 압력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프레임 유닛의 내주면의 형태를 따라 미리 설정된 두께를 형성하면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상기 커버링 유닛은, 상기 프레임 유닛의 내주면에 제공되어 상기 베이스 유닛이 상기 프레임 유닛의 내주면을 향해 압착되면, 상기 베이스 유닛과 접촉하여 상기 베이스 유닛의 외주면에 일부 함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상기 커버링 유닛은, 기저 레이어를 형성하며, 상기 커버링 유닛의 타측이 상기 베이스 유닛의 외주면에 일부 함입되는 메인 라벨부; 및 상기 메인 라벨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임의적 3차원 표면을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리스토링(restoring)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상기 리스토링부는, 상기 메인 라벨부의 일측에 선택적 융착 입자로 형성되어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입체 패턴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상기 리스토링부는, 상기 선택적 융착 입자의 상호 합침과 선택적 적층을 통해 상기 메인 라벨부로부터 임의의 두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상기 커버링 유닛은, 상기 프레임 유닛의 내주면에 접촉을 유지하여 선택적으로 제공되며, 상기 베이스 유닛이 상기 프레임 유닛의 내주면으로 압착되어 성형이 완료되면 상기 커버링 유닛은 상기 베이스 유닛에 융착되어, 상기 프레임 유닛으로부터 일거에 탈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상기 커버링 유닛은, 상기 프레임 유닛의 형태를 따라 상기 커버링 유닛이 상기 베이스 유닛에 의해 압착되는 경우, 상기 리스토링부의 상기 소정의 입체 패턴은 압착되어 2차원적으로 플랫(flat)하게 형성된 후, 상기 프레임 유닛으로부터 탈거되면 복원력을 통해 상기 소정의 입체 패턴을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상기 커버링 유닛은, 상기 베이스 유닛의 상기 성형이 완료되어 상기 프레임 유닛으로부터 탈거되면, 상기 리스토링부는 상기 베이스 유닛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임의적 3차원 표면을 선택적으로 형성하며, 상기 임의적 3차원 표면을 통해 상기 베이스 유닛의 표면에 입체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상기 베이스 유닛은, 상기 프레임 유닛의 형태를 따라 상기 커버링 유닛이 상기 베이스 유닛에 의해 압착되는 경우, 상기 베이스 유닛의 내주면은 플랫(flat)하게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유닛의 내부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상기 리스토링부는, 상기 선택적 융착 입자의 내부 불순물의 선택적 함입을 통해 가시광선의 회절을 조절하여 상기 리스토링부의 투광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상기 커버링 유닛은, 상기 리스토링부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적층되며, 금속입자의 박막을 구비하여 상기 커버링 유닛의 표면에 부착되는 증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상기 리스토링부는, 상기 메인 라벨부로부터 형성된 상기 임의의 두께를 통해, 선택적 에칭(ehching) 문양을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커버링 유닛이 압착되는 경우 커버링 유닛에 제공되는 리스토링부는 플랫하게 형성되어 베이스 유닛에 플랫하게 제공되도록 한다.
둘째, 커버링 유닛에 압착이 소실되면 커버링 유닛에 제공되는 리스토링부는 복원력을 통해 복원되어 입체 패턴을 형성하도록 한다.
셋째, 리스토링부의 소프트함을 통해 베이스 유닛 외부는 입체적 형상을 유지하지만, 용기 내부는 플랫하게 성형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분사 방식의 도입을 통해, 생산과정에서 정전기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다섯째, 성형과정에서의 재질의 깨짐의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제작 공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베이스 유닛에 함입된 커버링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베이스 유닛이 커버링 유닛과 접촉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c, d)와 종래의 베이스 유닛이 커버링 유닛과 접촉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a, b)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커버링 유닛이 함입된 베이스 유닛의 단면도(b)와 종래의 커버링 유닛이 함입된 베이스 유닛의 단면도(a)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커버링 유닛의 리스토링부가 외부 압력에 의하여 표면이 변화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커버링 유닛의 리스토링부의 투명도가 조절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커버링 유닛이 임의의 두께를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제작 공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베이스 유닛에 함입된 커버링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베이스 유닛이 커버링 유닛과 접촉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c, d)와 종래의 베이스 유닛이 커버링 유닛과 접촉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a, b)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커버링 유닛이 함입된 베이스 유닛의 단면도(b)와 종래의 커버링 유닛이 함입된 베이스 유닛의 단면도(a)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커버링 유닛의 리스토링부가 외부 압력에 의하여 표면이 변화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커버링 유닛의 리스토링부의 투명도가 조절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커버링 유닛이 임의의 두께를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유닛(frame unit, 100), 커버링 유닛(covering unit, 200), 베이스 유닛(base unit, 30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유닛(100)의 경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며 소정의 공간의 물리적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프레임 유닛(100)이 조절하는 소정의 공간의 물리적 거리는 내부 공간에 대한 크기 또는 부피에 해당할 수 있으며, 내부 공간으로 인하여 베이스 유닛(300)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프레임 유닛(100)의 경우, 금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체의 압력 또는 유체의 압력에도 변형이 없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링 유닛(200)의 경우, 프레임 유닛(100)의 내주면에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커버링 유닛(200)은 프레임 유닛(100)의 내주면에 제공되는데, 프레임 유닛(100)에서 제공되는 진공 흡착력으로 인하여 고정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커버링 유닛(200)의 경우, 선택적인 위치에 제공될 수 있으며 후에 제공될 베이스 유닛(300)의 외주면에 커버될 적당한 위치에 제공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위치를 지정하여 제공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닛(300)의 경우, 프레임 유닛(100)의 내측에 제공되며 커버링 유닛(200)과 접촉하여 커버링 유닛(200)을 외주면에 수용할 수 있다.
베이스 유닛(300)의 경우, 프레임 유닛(100)의 내측에 제공되는데, 베이스 유닛(300)에 제공되는 기체의 압력으로 인하여 프레임 유닛(100)의 내주면을 향해 점차 팽창되면서 제공되며, 이로 인하여 프레임 유닛(100)의 내주면에 제공되었던 커버링 유닛(200)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내주면에 제공된 커버링 유닛(200)을 외주면에 수용하여 최종적으로 커버링이 된 베이스 유닛(30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프레임 유닛(100)의 경우, 소정의 공간에 해당하며 미리 결정된 형상이 제공되며, 베이스 유닛(300)의 소정의 압력에 의해 커버링 유닛(200)이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표면을 제공하는 포켓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유닛(100)의 내부 공간에 해당하는 포켓부(11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통하여 베이스 유닛(300)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포켓부(110)의 표면은 베이스 유닛(300)을 형성하기 위한 형상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켓부(110)의 경우, 프레임 유닛(100)의 내부 공간 조절에 의하여 내부 수용 공간의 부피 및 내주면의 너비가 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베이스 유닛(300)의 경우, 용융된 형태로 포켓부(110)의 내측에 제공되며, 프레임 유닛(100)의 내주면을 향해 소정의 압력에 의해 압착되어 프레임 유닛(100)의 내주면의 형태를 따라 미리 설정된 두께를 형성하면서 성형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닛(300)이 포켓부(110)의 내측에 제공되어지는 경우, 용융된 형태로 내측에 제공되는데 이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되어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유닛(300)은 베이스 유닛(300) 내부에 기체의 압력이 가해지며, 베이스 유닛(300)이 일정한 두께를 형성하면서 프레임 유닛(100)의 내주면을 향하여 팽창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닛(300)은, 내부의 기체의 압력으로 인하여 일정한 두께의 베이스 유닛(300)의 외주면이 프레임 유닛(100)의 내주면을 압착하게 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닛(300)은 프레임 유닛(100)의 내주면 압착을 통해 프레임 유닛(100)에서 제공하는 형상을 따라 베이스 유닛(300)의 형상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베이스 유닛(300)은 프레임 유닛(100)의 내주면의 형상을 따라 성형되며, 그 형상이 매끈할 경우, 완성된 베이스 유닛(300)의 표면은 매끈하며, 고르지 못하거나 울퉁불퉁할 경우 베이스 유닛(300)의 표면은 울퉁불퉁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유닛(300)은 내부의 일정한 기체의 압력으로 인하여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의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게 됨으로 베이스 유닛(300)의 외주면이 매끈하게 형성되면, 내주면도 매끈하게 될 것이고, 외주면이 울퉁불퉁하게 형성되면, 내주면도 울퉁불퉁하게 형성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커버링 유닛(200)의 경우, 프레임 유닛(100)의 내주면에 제공되어 베이스 유닛(300)이 프레임 유닛(100)의 내주면을 향해 압착되면, 베이스 유닛(300)과 접촉하여 베이스 유닛(300)의 외주면에 일부 함입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닛(300)이 프레임 유닛(100)의 내주면을 압착하게 되면, 프레임 유닛(100)의 내주면에 미리 제공된 커버링 유닛(200)과 접촉하게 되며, 계속하여 베이스 유닛(300)이 프레임 유닛(100)의 내부면을 압착하게 되는 경우, 도2의(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유닛(300)의 표면은 커버링 유닛(200)을 일부 함입 시킬 수 있다.
아울러, 도2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유닛(300)의 외주면 즉 표면에 커버링 유닛(200)을 함입하게 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함입으로 인하여 베이스 유닛(300)의 표면은 커버링 유닛(200)이 커버되어 있음에도 그 표면이 플랫하게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닛(300)이 커버링 유닛(200)을 함입하는 과정에서 베이스 유닛(300) 중 커버링 유닛(200)이 함입되는 공간의 내주면에서 외주면의 두께는 일반적인 베이스 유닛(300)의 두께에 비하여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커버링 유닛(200)은 메인 라벨부(210), 리스토링(restoring)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먼저, 메인 라벨부(210)의 경우, 기저 레이어를 형성하며, 커버링 유닛(200)의 타측이 베이스 유닛(300)의 외주면에 일부 함입될 수 있다.
또한, 리스토링부(220)의 경우, 메인 라벨부(2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임의적 3차원 표면을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리스토링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링 유닛(200)은 메인 라벨부(210)와 리스토링부(220)를 구비할 수 있는데, 메인 라벨부(210)는 기저 레이어를 형성하며, 리스토링부(220)는 메인 라벨부(210)의 상면에 형성되어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 유닛(100)의 내주면에 커버링 유닛(200)이 제공되는 경우, 프레임 유닛(100)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면은 리스토링부(220)가 될 수 있으며, 그와 상반되어 베이스 유닛(300)과 접촉하는 면은 메인 라벨부(210)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메인 라벨부(210)의 경우, 베이스 유닛(300)의 표면과 접촉하여 베이스 유닛(300)의 외주면의 내부에 일부 함입될 수 있으며, 리스토링부(220)의 경우, 프레임 유닛(100)의 내주면과 접촉하며 베이스 유닛(300)의 표면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리스토링부(220)의 경우, 메인 라벨부(210)의 일측에 선택적 융착 입자로 형성되어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입체 패턴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리스토링부(220)는 입체적인 패턴을 형성하는데, 이는 용기 외부에서 용기의 내용물에 대한 정보, 광고등을 제시할 수 있으며, 입체적인 패턴을 통해 소비자에게 보다 효과적인 정보 제공 효과와 광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리스토링부(220)의 선택적 융착 입자는 리스토링부(220)에 소프트함을 제공하는데, 외부의 압력에 의하여 리스토링부(220)가 압착되는 경우, 선택적 융착 입자로 인하여 리스토링부(220)는 플랫하게 형성되지만, 압착이 사라지면, 선택적 융착 입자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입체 패턴은 복원될 수 있다.
즉,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되는 경우 압착되는 부분만 평평하 압착되며, 압착이 사라지는 경우, 원래의 자리와 그 패턴을 유지하며 복원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리스토링부(220)는 선택적 융착 입자의 상호 합침과 선택적 적층을 통해 메인 라벨부(210)로부터 임의의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융착 입자는 상호 합침과 선택적 적층을 통하여 임의의 두께를 형성하는데 임의의 두께는 입체적인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며, 입체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메인 라벨부(210)로부터 선택적 융착 입자들의 상호 합침, 선택적 적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 융착 입자들은 적층을 통하여 메인 라벨부(210)로부터 입체적인 두께를 형성하며, 상호 합침의 정도를 통하여 소프트함의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소프트한 정도는 이웃하는 입자들끼리의 합침 정도를 통해 조절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입자들의 합침 정도를 통해 소프트함과 단단함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함에 따라 베이스 유닛(300)의 내부는 플랫함을 유지하며, 베이스 유닛(300)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커버링 유닛(200)의 경우, 프레임 유닛(100)의 내주면에 접촉을 유지하여 선택적으로 제공되며, 베이스 유닛(300)이 상기 프레임 유닛의 내주면으로 압착되어 성형이 완료되면 상기 커버링 유닛(200)은 베이스 유닛(300)에 융착되어, 프레임 유닛(100)으로부터 일거에 탈거될 수 있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커버링 유닛(200)은 프레임 유닛(100)의 내주면에서 외부의 진공 흡착을 통하여 고정이 될 수 있으며, 베이스 유닛(300)에 제공되고자 하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하여 프레임 유닛(100)에 제공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닛(300)의 내부가 프레임 유닛(100)을 향해 팽창하여 프레임 유닛(100)의 내주면과 접촉을 유지하고, 베이스 유닛(300)의 외주면에 커버링 유닛(200)을 함입하면 베이스 유닛(300)의 팽창은 종료되며, 베이스 유닛(300)은 프레임 유닛(100)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유닛(300)이 프레임 유닛(200)으로부터 탈거되는 경우, 베이스 유닛(300)의 표면에는 커버링 유닛(200)이 이미 함입되어 제공되어지고, 이로 인하여 커버링 유닛(200)도 프레임 유닛(200)으로 부터 베이스 유닛(300)과 함께 탈거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커버링 유닛(200)의 경우, 프레임 유닛(100)의 형태를 따라 커버링 유닛(200)이 베이스 유닛(300)에 의해 압착되는 경우, 리스토링부(220)의 소정의 입체 패턴은 압착되어 2차원적으로 플랫(flat)하게 형성된 후, 프레임 유닛(100)으로부터 탈거되면 복원력을 통해 소정의 입체 패턴을 복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스토링부(220)는 베이스 유닛(300)이 프레임 유닛(100)을 압착함에 따라 리스토링부(220)의 압착이 이루어지게 되며, 선택적 융착 입자들로 인하여 패턴은 2차원적으로 압착되어 커버링 유닛(200)에 전체적인 플랫함을 제공할 수 있다.
플랫함은 표면이 평평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으며, 패턴에 압착이 가해지는 경우, 패턴은 2차원적인 평평함이 유지될 수 있다.
즉, 도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유닛(300)으로부터 압착이 제공되면 리스토링부(220)의 패턴은 플랫하게 형성되며 베이스 유닛(300)과 접촉하는 커버링 유닛(200) 또한 플랫하게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리스토링부(220)의 복원력을 통하여 커버링 유닛(200)이 프레임 유닛(100)으로 탈거되면 패턴은 다시 복원되어 도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패턴을 복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커버링 유닛(200)의 경우, 베이스 유닛(300)의 성형이 완료되어 프레임 유닛(100)으로부터 탈거되면, 리스토링부(220)는 베이스 유닛(300)의 표면으로부터 임의적 3차원 표면을 선택적으로 형성하며, 임의적 3차원 표면을 통해 베이스 유닛(300)의 표면에 입체감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유닛(300)의 성형이 완료되어 프레임 유닛(100)으로부터 탈거되면 리스토링부(220)는 복원력을 통해 베이스 유닛(300)의 표면에 불규칙한 표면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소비자에게 3차원 입체 표면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임의적 3차원 표면은 리스토링부(220)의 용융된 미립자들의 합침과 적층으로 인하여 임의적 3차원 표면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임의적 3차원 표면은 메인 라벨부(210)로부터 리스토링부(220)의 두께의 불규칙함으로 표면에 3차원적 입체 형상이 나타날 수도 있으며, 리스토링부(220)의 입체적인 형상의 패턴이 불규칙적으로 형상됨에 따라 나타날 수도 있다.
임의적 3차원 표면의 불규칙함은 입체적인 형상이 제공되는 경우, 어떠한 광고나 내용물 표시 방법에 따라 표면이 규칙적이지 않은 입체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베이스 유닛(300)의 경우, 프레임 유닛(100)의 형태를 따라 커버링 유닛(200)이 베이스 유닛(300)에 의해 압착되는 경우, 베이스 유닛(300)의 내주면은 플랫(flat)하게 형성되며, 프레임 유닛(100)의 내부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닛(300)의 경우, 외부에 제공되는 형태를 따라 성형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3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링 유닛(200)에 제공된 입체적 패턴이 소프트하지 않은 경우, 커버링 유닛(200)에 제공된 입체적인 패턴은 베이스 유닛(300)으로 인하여 압착이 가해지는 경우 내부의 베이스 유닛(300)의 표면에 입체적 패턴이 함께 제공되어 결과적으로 베이스 유닛(300)의 내부 표면까지 울퉁불퉁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커버링 유닛(200)의 단점에 해당한다.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 3의 (c)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링 유닛(200)에 제공된 리스토링부(220)의 소프트함을 통하여 외부의 압력 즉, 베이스 유닛(300)의 압착을 통하여 커버링 유닛(200)의 입체적 패턴이 잠시 사라지게 되며 플랫함을 유지하면서 베이스 유닛(300)의 표면에 제공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베이스 유닛(300)의 표면 및 내주면은 플랫함을 유지함으로 인하여 내부의 내용물 수용 정도의 변화 또한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리스토링부(22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 융착 입자의 내부 불순물의 선택적 함입을 통해, 가시광선의 회절을 조절하여 리스토링부(220)의 투광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리스트링부(220)는 임의적 3차원 표면이 선택적으로 형성되어지면서 불순물의 선택적 함입이 발생되며 이로 인하여 입사되는 가시광선의 파장을 선택적으로 회절 시켜, 커버링 유닛(200)의 표면의 투명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커버링 유닛(200)은 리스토링부(220)가 선택적 융착 입자의 집합으로 형성되는 경우, 입자 내부에 함입되는 불순물을 통해 그 투광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도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순물의 함입이 최소화되는 경우 투명한 층으로 보여 질 수 있다.
또한, 입자의 분순물 합입이 많아지는 경우, 도6의 (a)와 같이, 리스토링부(220) 표면의 입자들이 빛을 반사시켜 유광의 커버링 유닛(200)으로 보여 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커버링 유닛(200)은, 리스토링부(220)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적층되며, 금속입자의 박막을 구비하여 커버링 유닛(200)의 표면에 부착되는 증착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증착부(230)는, 도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일 또는 금속입자 또는 기타 증착 입자, 혹은 전사필름 등으로 형성된 박막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금속입자의 박막은 리스토링부(220)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덧대어질 수 있다.
증착부(230)의 경우, 리스토링부(220)의 3차원 표면을 따라 부분적으로 덧대어진 얇은 금속성 막은 베이스 유닛(300)의 표면에서 다양한 문양을 표현하는 하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의 리스토링부(220)는, 메인 라벨부(210)로부터 형성된 임의의 두께를 통해, 선택적 에칭(ehching) 문양을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선택적 에칭 문양을 통해, 원하는 영역을 부분적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예컨대, 나뭇잎 모양의 인쇄로부터 나뭇가지 부분만 돌출되도록 표현하여 라벨로부터 인쇄된 영역에 생동감을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프레임 유닛
110: 포켓부
200: 커버링 유닛
210: 메인 라벨부
220: 리스토링부
230: 증착부
300: 베이스 유닛

Claims (12)

  1.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소정의 공간의 물리적 거리를 조절하는 프레임 유닛;
    상기 프레임 유닛의 내주면에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커버링 유닛; 및
    상기 프레임 유닛의 내측에 제공되며 상기 커버링 유닛과 접촉하여 상기 커버링 유닛을 외주면에 수용하는 베이스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 유닛은,
    상기 소정의 공간에 해당하며 미리 결정된 형상이 제공되며, 상기 베이스 유닛의 소정의 압력에 의해 상기 커버링 유닛이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표면을 제공하는 포켓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링 유닛은,
    상기 프레임 유닛의 내주면에 제공되어 상기 베이스 유닛이 상기 프레임 유닛의 내주면을 향해 압착되면, 상기 베이스 유닛과 접촉하여 상기 베이스 유닛의 외주면에 일부 함입되고,
    기저 레이어를 형성하며, 상기 커버링 유닛의 타측이 상기 베이스 유닛의 외주면에 일부 함입되는 메인 라벨부; 및
    상기 메인 라벨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임의적 3차원 표면을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리스토링(restoring)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유닛은,
    용융된 형태로 상기 포켓부의 내측에 제공되며, 상기 프레임 유닛의 내주면을 향해 상기 소정의 압력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프레임 유닛의 내주면의 형태를 따라 미리 설정된 두께를 형성하면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토링부는,
    상기 메인 라벨부의 일측에 선택적 융착 입자로 형성되어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입체 패턴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토링부는,
    상기 선택적 융착 입자의 상호 합침과 선택적 적층을 통해 상기 메인 라벨부로부터 임의의 두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 유닛은,
    상기 프레임 유닛의 내주면에 접촉을 유지하여 선택적으로 제공되며, 상기 베이스 유닛이 상기 프레임 유닛의 내주면으로 압착되어 성형이 완료되면 상기 커버링 유닛은 상기 베이스 유닛에 융착되어, 상기 프레임 유닛으로부터 일거에 탈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 유닛은,
    상기 프레임 유닛의 형태를 따라 상기 커버링 유닛이 상기 베이스 유닛에 의해 압착되는 경우,
    상기 리스토링부의 상기 소정의 입체 패턴은 압착되어 2차원적으로 플랫(flat)하게 형성된 후, 상기 프레임 유닛으로부터 탈거되면 복원력을 통해 상기 소정의 입체 패턴을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토링부는,
    상기 선택적 융착 입자의 선택적 함입을 통해 가시광선의 회절을 조절하여 상기 리스토링부의 투광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 유닛은,
    상기 리스토링부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적층되며, 박막을 구비하여 상기 커버링 유닛의 표면에 부착되는 증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토링부는,
    상기 메인 라벨부로부터 형성된 상기 임의의 두께를 통해, 선택적 에칭(ehching) 문양을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

KR1020200065762A 2020-06-01 2020-06-01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 KR102184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762A KR102184123B1 (ko) 2020-06-01 2020-06-01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762A KR102184123B1 (ko) 2020-06-01 2020-06-01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4123B1 true KR102184123B1 (ko) 2020-11-27

Family

ID=73641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762A KR102184123B1 (ko) 2020-06-01 2020-06-01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12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091B1 (ko) 2005-07-29 2013-05-02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인몰드 라벨부착 용기와 그 성형방법
KR101585157B1 (ko) 2015-06-26 2016-01-14 신우코스텍(주) 용기 제조 장치용 용기 성형 모듈, 그리고 인몰드 라벨 용기 성형 어셈블리
KR101666799B1 (ko) 2014-06-03 2016-10-18 주식회사 나노기술 입체감을 갖는 필름 제조방법 및 상기 필름을 이용한 인몰드 사출방법
KR20170094177A (ko) * 2014-12-08 2017-08-17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복합 프리폼, 복합 용기, 복합 프리폼, 플라스틱제 부재 및 복합 용기의 제조 방법
KR101789008B1 (ko) 2017-03-07 2017-10-23 변우홍 인몰드 라벨 및 입체 형상을 구비하는 압력 용기의 제조 방법
JP2018070241A (ja) * 2016-10-31 2018-05-1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インモールドラベル付きブロー容器及びこれに使用するインモールドラベル
KR101964439B1 (ko) * 2017-12-08 2019-04-02 강영현 라벨 일체형 pet병 제조 금형
KR102084883B1 (ko) * 2019-07-05 2020-03-04 이승현 소프트 연질층을 이용한, 포장용기 흡착 필름의 적층 구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091B1 (ko) 2005-07-29 2013-05-02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인몰드 라벨부착 용기와 그 성형방법
KR101666799B1 (ko) 2014-06-03 2016-10-18 주식회사 나노기술 입체감을 갖는 필름 제조방법 및 상기 필름을 이용한 인몰드 사출방법
KR20170094177A (ko) * 2014-12-08 2017-08-17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복합 프리폼, 복합 용기, 복합 프리폼, 플라스틱제 부재 및 복합 용기의 제조 방법
KR101585157B1 (ko) 2015-06-26 2016-01-14 신우코스텍(주) 용기 제조 장치용 용기 성형 모듈, 그리고 인몰드 라벨 용기 성형 어셈블리
JP2018070241A (ja) * 2016-10-31 2018-05-1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インモールドラベル付きブロー容器及びこれに使用するインモールドラベル
KR101789008B1 (ko) 2017-03-07 2017-10-23 변우홍 인몰드 라벨 및 입체 형상을 구비하는 압력 용기의 제조 방법
KR101964439B1 (ko) * 2017-12-08 2019-04-02 강영현 라벨 일체형 pet병 제조 금형
KR102084883B1 (ko) * 2019-07-05 2020-03-04 이승현 소프트 연질층을 이용한, 포장용기 흡착 필름의 적층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3555B2 (en) Plastic objects including lenticular lens sheets
US20040108606A1 (en) Molded articles having a surface bearing a lenticular image
KR102416792B1 (ko) 장식체를 포함한 복합체, 그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그 복합체로 물건을 장식하는 방법
CN1669830B (zh) 特殊装饰印刷金属板和其制造方法
NZ526917A (en) Method of protecting ink and providing enhanced bonding during molding of lenticular lens sheets in plastic objects
US20090160087A1 (en) In-mold decoration method & apparatus
JPS63135214A (ja) 装飾成形品の製造方法
JP2018047680A (ja) 加飾樹脂シートを備えた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
KR102184123B1 (ko)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
CN210362833U (zh) 一种镭射收缩膜标签
US20130029104A1 (en) Plastic product with three dimensional patter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H1149175A (ja) レンチキュラー表示体を形成した容器
JP6122563B1 (ja) 加飾樹脂シートを備えた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
JP4974377B2 (ja) 成膜成形品の製造方法
TWI727147B (zh) 包含模內標籤及三維形狀之壓力容器的製造方法
JP2006305898A (ja) 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樹脂成形品
JP2954651B2 (ja) 射出成形法
CN109532068A (zh) 压印刀具、透镜模具和视景分离元件及其制备方法
JP4693317B2 (ja) 凹凸転写シート、透明窓部を有する凹凸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凹凸面を有する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CN101206817A (zh) 具有立体视觉效果的模内标签成型制品
WO2012020621A1 (ja) 転写加飾品の製造方法、転写加飾装置及び転写加飾品
CN103419321A (zh) 光栅立体影像制品的制造方法,将多种塑料材料应用于一种塑料材料上
CN220517877U (zh) 化妆品容器用烫金外饰件及烫金版
KR101716092B1 (ko) 인몰드 라벨 및 입체 형상을 구비하는 압력 용기의 제조 방법
JP2015515418A (ja) 装飾用パッケージング要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