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091B1 - 인몰드 라벨부착 용기와 그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인몰드 라벨부착 용기와 그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091B1
KR101260091B1 KR1020077009052A KR20077009052A KR101260091B1 KR 101260091 B1 KR101260091 B1 KR 101260091B1 KR 1020077009052 A KR1020077009052 A KR 1020077009052A KR 20077009052 A KR20077009052 A KR 20077009052A KR 101260091 B1 KR101260091 B1 KR 101260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old label
container
trunk
lab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9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3133A (ko
Inventor
다카유키 모테기
신이치 이시야마
다카오 구로사와
야스유키 시미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080033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29C49/2408In-mould lining or lab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49/4802Moulds with means for locally compressing part(s) of the parison in the main blowing cavity
    • B29C49/4817Moulds with means for locally compressing part(s) of the parison in the main blowing cavity with means for closing off parison 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8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8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65D23/0842Sheets or tubes applied around the bottle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 B65D23/0864Applied in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29C2049/2412Lining or labelling outside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29C2049/2464Means for verifying or keeping the position of the lining or label, e.g. sensors, or attachment on mould wall
    • B29C2049/2472Means for verifying or keeping the position of the lining or label, e.g. sensors, or attachment on mould wall us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15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the preform having one end cl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2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having variable wall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4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having ribs or protru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1/00Use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5Solid
    • B29K2105/253Preform
    • B29K2105/256Sheets, plates, blanks or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분할금형의 몸통부 성형형면측에 대해서, 가장 빨리 접촉하는 파리손이나 프리폼의 부분의 높이위치를, 미리 설정한 위치가 되도록 하여, 이에 따라 인몰드 라벨과, 파리손이나 프리폼으로부터 블로우 성형된 용기 본체와의 사이에, 공기 잔류가 형성되지 않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용기 본체(1)의 몸통부(4)의 바깥둘레면의 전체둘레에 걸쳐서, 인몰드 라벨(7)을 고착시킨 용기로서, 몸통부(4)에, 분할금형(13)의 몸통부 성형형면(14)측에 가장 빨리 접촉하는 환상의 두께 최소부분(4a)을 형성하고, 몸통부(4)와, 전체둘레에 걸쳐서 고착한 인몰드 라벨(7)과의 사이에, 공기 잔류가 형성되지 않게 하였다.

Description

인몰드 라벨부착 용기와 그 성형방법{IN-MOLD LABELED CONTAINERS AND MOLDING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본 발명은, 몸통부의 바깥둘레면의 전체둘레에 걸쳐서 인몰드 라벨을 고착한, 인몰드 라벨부착 용기와 그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합성수지제 블로우 성형용기의 표면에 대한, 장식모양이나 상품명이나 설명문의 표시를 달성하는 수단으로서, 표면에 장식모양이나 상품명, 설명문을 인쇄 표시한 라벨을, 용기 본체의 몸통부 표면에 퍼붙이기(貼着)하는 수단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 라벨에 의한 표시는, 라벨에 대한, 장식모양이나 상품명, 설명문의 인쇄가, 양호하게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뛰어난 표시효과를 발휘하는 것이지만, 용기 본체의 몸통부 표면에 대한 라벨 퍼붙이기 작업이, 완전하게 독립한 작업이므로, 그 만큼, 제품 완성에 필요로 하는 작업공정이 증가하게 되어, 또한 용기 본체 표면과 라벨 끝단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아무래도 단차가 생기므로, 이 단차가, 용기의 외관 체재(體裁)나 촉감에 악영향을 줄 우려가 있고, 또 용기 본체의 두께 감소화에 수반하여, 용기 본체에 대한 라벨의 강고하고 안정된 퍼붙이기를 확실히 달성하는 것이 어려워진다고 하는 불만, 불편이 있었다.
이 불만, 불편을 해소하는 수단으로서, 라벨을 인몰드 라벨로서 용기 본체의 블로우 성형과 동시에, 이 블로우 성형된 용기 본체의 몸통부 표면에 인몰드 라벨을 고착하는 수단이 이용되고 있다.
이 인몰드 라벨수단은, 용기 본체의 블로우 성형과 동시에, 용기 본체에 대한 인몰드 라벨의 고착이 달성되어, 전용의 고착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 용기 본체의 표면과 인몰드 라벨과의 사이에 단차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이 단차에 의한 용기의 외관 체재나 촉감의 열화의 우려가 전혀 없는 것, 그리고 용기 본체의 두께 감소화에 관계없이, 용기 본체에 대한 인몰드 라벨의 강고하고 안정된 고착을 확실히 얻을 수 있는 것이라고 하는 뛰어난 작용을 발휘한다.
특히, 이 인몰드 라벨수단에 있어서는, 용기 본체에 대한 인몰드 라벨의 고착이, 강고하고 안정된 것이 되기 때문에, 인몰드 라벨을, 용기 본체의 몸통부 바깥둘레면 전체둘레에 걸쳐서 권회(卷回) 고착하여, 이것에 의해 표시기능 범위를 양호하게 확대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인몰드 라벨에 의해서 용기 본체의 몸통부를, 기계적으로 또한 효과적으로 보강하거나, 인몰드 라벨에 차광성이나 산소배리어성을 부여해 두는 것에 의해, 용기에 이 차광성이나 산소 배리어성을 간단하게 부여할 수 있게 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06-064029호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인몰드 라벨을, 용기 본체의 몸통부 바깥둘레면 전체둘레에 걸쳐서 권회 고착하는 등과 같이, 인몰드 라벨이 커지면, 두꺼운 종이제 인몰드 라벨과 같이, 인몰드 라벨 자체에 통기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용기 본체와 인몰드 라벨과의 사이에 공기 잔류가 발생하여, 용기 본체에 대한 인몰드 라벨의 강고하고 안정된 고착을 저해함과 함께, 이 공기 잔류에 의한 부풀음이, 용기의 외관 체재를 해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인몰드 라벨을, 용기 본체의 몸통부 바깥둘레면 전체둘레에 걸쳐서 권회 고착하는 경우, 인몰드 라벨과 지름확대 연신변형하는 파리손(Parison)이나 프리폼(Preform)과의 사이의 공기는, 둘레방향으로 방출할 장소를 잃기 쉬워지므로, 공기 잔류가 발생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창안된 것으로, 블로우 성형시에, 형(型)을 조임한 분할금형(Split mold)의, 인몰드 라벨을 유지한 몸통부 성형형면(成形型面)측에 대해서, 가장 빨리 접촉하는 파리손이나 프리폼의 부분의 높이위치를, 미리 설정한 대략 일정한 위치가 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따라서 인몰드 라벨과 파리손이나 프리폼으로부터 블로우 성형된 용기 본체와의 사이에, 공기 잔류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중,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의 수단은, 몸통부의 높이방향의 중간부분에, 환상으로 두께 최소부분을 위치시킨, 블로우 성형품인 용기 본체를 갖는 것,
이 용기 본체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용기 본체의 몸통부의 바깥둘레면의 전체둘레에 걸쳐서 고착된 인몰드 라벨을 갖는 것에 있다.
이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몸통부의 두께 최소부분의, 둘레방향에 따른 각 부분간에, 몸통부 성형형면측에 접촉이 빠르고 늦은 차이가 생겼다고 해도, 두께 최소부분의 접촉이 늦은 부분에 대향하여 위치한 공기는, 두께 최소부분이 가장 빨리 몸통부 성형형면측에 접촉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무리없이 원활히 상하방향으로 방출할 수 있으므로, 공기 잔류를 형성하는 일은 없다.
또한, 두께 최소부분은, 그 높이위치가 몸통부의 중간 부분으로 설정되므로, 분할금형의 몸통부 성형형면에 유지된 인몰드 라벨에 대한 높이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몸통부의 두께 최소부분 이외의 다른 부분은, 두께 최소부분에 가까운 부분으로부터 순서대로, 몸통부 성형형면측에 접촉하므로, 몸통부 성형형면측과 몸통부의 다른 부분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공기는, 상기한 몸통부의 다른 부분의 동작에 의해, 몸통부 성형형면측과 몸통부의 다른 부분과의 사이로부터, 상하방향으로 무리없이 확실히, 순서대로 눌려져 나오게 된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인몰드 라벨을, 몸통부의 바깥둘레길이의 절반의 길이를 갖는 2개의 라벨을 조합하여 구성한 것을 더한 것이다.
이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2개의 라벨의 둘레방향에 따른 길이가, 각 분할금형의 몸통부 성형형면의 둘레방향에 따른 길이보다 커지는 일이 없고, 이것에 의해 각 분할금형에 의한 인몰드 라벨의 유지를, 분할금형의 몸통부 성형형면의 범위내에서는 밀려나오는 일 없이 달성시킬 수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인몰드 라벨을, 어깨부와의 접속부분인 상단부분, 및 바닥부와의 접속부분인 하단부분을 제외하는, 몸통부의 전체 높이범위에 걸쳐서 고착한 것을 더한 것이다.
이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인몰드 라벨의 상하 양 끝단 가장자리를, 바깥지름이 변화하고 있는 몸통부 부분에 위치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인몰드 라벨의 상하 양 끝단 가장자리의, 용기 본체에 대한 강고한 고착을, 안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또한 넓은 표시 기능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인몰드 라벨을, 어깨부와의 접속부분인 상단부분, 및 바닥부와의 접속부분인 하단부분을 제외한 몸통부에, 위쪽과 아래쪽으로 분리시켜 고착한 것을 더한 것이다.
이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몸통부의 위쪽 부분과 아래쪽 부분으로, 표시상태를 전혀 다른 것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4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몸통부의, 어깨부와의 접속부분인 상단부분과, 바닥부와의 접속부분인 하단부분에, 최대 바깥지름부분을 형성하는 둘레 리브조를 돌출시켜 둘레에 설치한 것을 더한 것이다.
이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둘레 리브조가 보강리브로서 기능하므로, 몸통부의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고, 또한 이 둘레 리브조를 제외한 몸통부의 전체 높이범위에 인몰드 라벨을 고착한 경우에는, 둘레 리브조가 인몰드 라벨의 상하 끝단 가장자리를 덮게 되고, 게다가 둘레 리브조가 최대 바깥지름 부분을 형성하므로, 다수의 용기를 인접시켜 취급하는 경우 등에, 인몰드 라벨이 다른 물품에 함부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리고 용기 본체의 오목부 표면에 대해서, 정확하게 위치한 상태로 라벨을 고착한다.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5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인몰드 라벨을, 용기 본체와 동일 계통의 수지제의 합성수지 필름제로 한 것을 더한 것이다.
이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용기의 회수이용에 있어서, 용기 본체와 인몰드 라벨과의 분별 처리가 전혀 불필요해지고, 또한 몸통부와 인몰드 라벨과의 강고한 고착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6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몸통부를 직선 원통형으로 한 것을 더한 것이다.
이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몸통부의 지름치수가, 몸통부의 전체 높이범위에 걸쳐서 동일해지고 있으므로, 블로우 성형되는 몸통부의 두께 최소부분을, 정확하고 안정하게 성형할 수 있고, 또한 몸통부의 바깥둘레면이 일차곡면이 되므로, 인몰드 라벨의 몸통부 바깥둘레면에의 고착을, 적정한 형태로 달성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중, 청구항 8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몸통부의 바깥둘레면의 전체둘레에 걸쳐서, 인몰드 라벨을 고착시킨 용기 본체의 블로우 성형방법인 것,
용기 본체에 블로우 성형되는 파리손을, 두께 제어에 의해, 일부에 환상의 작은 두께부분을 갖는 구조로 압출성형하는 것,
몸통부 성형형면에 인몰드 라벨을 각각 유지한 한 쌍의 분할금형을 형조임할 때에, 파리손의 작은 두께분분을 몸통부 성형형면에 대향 위치시키고, 파리손을 양분할금형에서 끼워 넣는 것, 이어서 파리손을 용기 본체에 블로우 성형하는 것에 있다.
이 청구항 8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파리손을 블로우하면,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께가 작은 것에 의해 변형하기 쉬운 작은 두께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빨리 지름확대 연신변형하고, 인몰드 라벨을 유지하고 있는 분할금형의 몸통부 성형형면측에 가장 빨리 접촉하고, 이어서 이 작은 두께부분에 가까운 파리손 부분으로부터 순서대로, 분할금형의 몸통부 성형형면측에 접촉해 간다.
분할금형의 몸통부 성형형면측에 대한 파리손의 작은 두께부분의 접촉은, 이 작은 두께부분의 둘레방향에 따른 각 부분의 사이에, 몸통부 성형형면측에 대한 접촉에, 다소의 늦고 빠른 시간적 차이가 생겼다고 해도, 작은 두께부분의 각 부분은, 상하에 인접한 파리손 부분에 대해서, 반드시 빨리 몸통부 성형형면측에 접촉하므로, 작은 두께부분과 몸통부 성형형면측 부분과의 사이의 공기는, 그 모두가 상하방향으로 눌려져 나와서, 공기 잔류를 형성하는 일이 없다.
또한, 작은 두께부분 이외의 파리손 부분은, 작은 두께부분에 가까운 부분으로부터 순서대로 몸통부 성형형면측 부분에 접촉해 가므로, 몸통부 성형형면측 부분과의 사이의 공기를 눌려 나오게 하면서, 몸통부 성형형면측 부분에 접촉해 가게 된다.
청구항 9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8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유지한 인몰드 라벨에 작은 두께부분을 대향시키고, 양 분할금형에서 파리손을 끼워 넣는 것을 더한 것이다.
이 청구항 9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파리손의 작은 두께부분이, 인몰드 라벨의 일부를 분할금형의 몸통부 성형형면에 눌러붙여 고정하여, 이 작은 두께부분에서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 부분을 부동개소(不動箇所)로 하여, 파리손이 인몰드 라벨을, 몸통부 성형형면 부분에 순차로 눌러붙여 고정하므로, 분할금형의 몸통부 성형형면에 대한 인몰드 라벨의, 정확하게 위치낸 조립상태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10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8 또는 9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분할금형에 있어서의 인몰드 라벨의 유지를, 이 인몰드 라벨의 끝단 가장자리부를 전체둘레에 걸쳐서 진공하는 것을 더한 것이다.
이 청구항 10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둘레방향에 따른 길이가 큰 인몰드 라벨을, 그 전체둘레 끝단 가장자리부를 정확하게 위치낸 상태로, 분할금형의 몸통부 성형형면에 유지하므로, 블로우 성형된 몸통부에 고착해야 할 자세로 유지하는 것이, 간단하고 정밀도 좋게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예를 나타내는, 절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중, A-A선에 따라서 절단하여 본 확대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예의 이용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제 2 실시형태예를 나타내는, 절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예를 나타내는, 절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예를 나타내는, 절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용기를 성형하는 분할금형의 구조예를 나타내는, 종단면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분할금형의 몸통부 성형형면의 구조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방법의 동작을 설명하는, 블로우 성형 동작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용기 본체 2 : 입구통부
3 : 어깨부 4 : 몸통부
4a : 두께 최소부분 5 : 둘레 리브조
6 : 바닥부 7 : 인몰드 라벨
7a : 맞댐부 7b : 틈새
8 : 캡 9 : 조립부착통
10 : 꼭대기판 11 : 힌지
12 : 개폐뚜껑편 13 : 분할금형
14 : 몸통부 성형형면 15 : 진공구멍
16 : 코어(Core) 17 : 진공통로
18 : 핀치오프부 19 : 블로우 치구
P : 파리손 P1 : 작은 두께부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의 제 1 실시형태예를 나타내는, 절반 종단면 정면도이고, 하단을 조금 안쪽으로 반구 형상으로 함몰한 바닥부(6)로 폐쇄하고, 직선 원통형상으로 성형된 몸통부(4)의 상단에, 안쪽날밑형상의 축지름단부를 형성하는 어깨부(3)를 통하여, 바깥둘레면에 나사조를 새겨 설치한, 몸통부(4)보다 조금 지름치수가 작은 원통형상의 입구통부(2)를 연달아 설치하여 구성된, 합성수지제 블로우 성형품인 용기 본체(1)와, 이 용기 본체(1)의 몸통부(4) 바깥둘레면에, 피복 고착된 인몰드 라벨(7)로 구성되어 있다.
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예에 있어서, 용기 본체(1)의 몸통부(4)는, 높이방향의 중간부분에 위치하고, 용기 본체(1)의 블로우 성형시에, 가장 빨리 블로우 금형인 분할금형(13)의 몸통부 성형형면(14)측에 접촉한 두께 최소부분(4a)과, 이 두께 최소부분(4a)에 가까운 부분으로부터 순서대로, 분할금형(13)의 몸통부 성형형면(14)측에 접촉하는, 두께 최소부분(4a)보다 두꺼워진 다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몸통부(4)의 바깥둘레면에 고착되는 인몰드 라벨(7)은, 용기 본체(1) 성형재료인 합성수지와 같은 계통의 합성수지제 필름으로 성형되어 있고, 어깨부(3)와의 연달아 설치한 부분인 상단부분, 및 바닥부(6)와의 연달아 설치한 부분인 하단부분을 제외한 몸통부(4)의 전체 높이범위에 걸쳐서, 그리고 몸통부(4)의 전체 바깥둘레면 범위에 걸쳐서 고착되어 있고, 높이치수 및 둘레방향에 따른 길이치수가 동일한 두 개의 인몰드 라벨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두 개의 인몰드 라벨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인몰드 라벨(7)의, 몸통부(4) 바깥둘레면에 대한 고착형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인몰드 라벨(7)의 둘레방향에 따른 한 쪽의 끝단 가장자리끼리를 조밀하게 맞대어 맞댐부(7a)로 하고, 다른 쪽의 끝단 가장자리끼리를, 조그마한(0.5∼1mm 정도) 틈새(7b)를 열어 대향시킨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두 개의 인몰드 라벨(7)의 둘레방향에 따른 접속구조부분의 다른 쪽을 틈새(7b)로 한 것은, 두 개의 인몰드 라벨(7)의 둘레방향에 따른 끝단 가장자리부분끼리에, 서로 겹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각 인몰드 라벨(7)의 둘레방향에 따른 길이를, 분할금형(13)의 몸통부 성형형면(14)(도 7 참조)의 둘레방향에 따른 길이보다, 발생한다고 생각되는 치수 오차의 최대치(0.5mm 정도) 분만큼 짧은 값으로 설정해 두는 것에 의해, 틈새(7b)가 형성되는 일은 있어도, 인몰드 라벨(7)의 끝단 가장자리부분끼리의 서로 겹침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두 개의 인몰드 라벨(7)의 끝단 가장자리부분끼리에, 서로 겹침이 발생하면, 이 서로 겹친 부분의 바깥쪽의 끝단 가장자리 부분에 벗겨짐이 간단히 발생하고, 이 벗겨짐은, 인몰드 라벨(7)의 몸통부(4)로부터의 벗겨짐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예에 캡(8)을 조립부착하여, 내용물을 흔들 어서 작은 구멍을 통해 내게 된 용기를 구성한 예에 대한 분해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1)는, 몸통부(4)의 상단부분 및 하단부분에, 용기 본체(1)의 최대 바깥지름부분을 형성함과 함께, 인몰드 라벨(7)의 상하 양 단면을 덮는 둘레 리브조(5)를 돌출둘레설치한 것 이외는, 제 1 실시형태예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제 2 실시형태예에 있어서는, 둘레 리브조(5)가 보강리브로서 기능하므로, 용기로서 안정한 자기형상(自己形狀) 유지능력을 발휘하고, 또한 둘레 리브조(5)가 용기 본체(1)의 최대 바깥지름부분을 형성하므로, 용기 본체(1)끼리의 인접자세가 일정하므로, 용기 본체(1)의 격납이나 활주반송의 취급상태가 양호한 것이 되는 것과 함께, 이 취급시에, 몸통부(4) 바깥둘레면에 고착된 인몰드 라벨(7)이, 함부로 다른 물품과 접촉하지 않게 한다.
한편, 제 2 실시형태예에 조립부착되어 용기를 구성하는 캡(8)은, 입구통부(2)에 바깥에서 장착하여 나사맞춤 조립부착하는 조립부착통(9)의 상단에, 이 조립부착통(9)의 상단개구부의 대략 절반을 폐쇄하여 꼭대기판(10)을 연달아 설치하여, 조립부착통(9)의 개방측의 꼭대기판(10) 끝단 가장자리에, 힌지(11)를 통하여, 조립부착통(9)의 개방부분을 개폐하는, 반원판체에 스커트편을 아래로 늘어뜨려 연달아 접한 개폐 뚜껑편(12)을, 흔들림운동 변위 가능하게 연달아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1)에 조립캡(8)은, 도시한 배출용 캡(내용물을 흔들어서 나오도록 하는 캡)으로 한정되는 일은 없고, 일반적인 착탈 캡이라든지, 주출캡 등, 원하는 캡을 조립부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인몰드 라벨(7)을, 몸통부(4)의 중간부분에서 윗부분 부근까지의 부분에만 고착한 것으로, 다른 것은 제 1 실시형태예와 같은 구성이 되고 있다.
이 제 3 실시형태예에 있어서는, 몸통부(4)의 두께 최소부분(4a)은, 인몰드 라벨(7)에 대향하고 있고, 용기 본체(1)와 인몰드 라벨(7)과의 조합으로, 용기의 장식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인몰드 라벨(7)을, 어깨부(3)와의 접속부분인 상단부분, 및 바닥부(6)와의 접속부분인 하단부분을 제외한 몸통부(4)에, 위쪽과 아래쪽으로 분리시켜 고착한 것으로, 다른 것은 제 1 실시형태예와 같은 구성이 되고 있다.
이 제4 실시형태예에 있어서는, 몸통부(4)의 두께 최소부분(4a)을, 두 개의 인몰드 라벨(7)의 사이에 대향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파리손(P)(도 9 참조)의 블로우 연신성형동작이, 분할금형(13)의 몸통부 성형형면(14)에 유지된, 두 개의 인몰드 라벨(7)에 주는 영향을, 동일해지도록 하고, 또한 상하 두 개의 인몰드 라벨(7)의 표시된 조합에 의해, 용기의 표시를 형성하므로, 용기의 표시를, 신규성 및 변화가 풍부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예를 성형하는 한 쌍의 분할금형(13)의 조합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하단에 핀치오프부(18)를 갖는 양 분할금형(13)의 몸통부 성형형면(14) 부분에는, 코어(16)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 몸통부 성형형면(14)의 둘레 끝단 가장자리 부분에, 도 8에 나타낸, 몸통부 성형형면(14)의 전개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네모지고 엔드리스형상이 된 슬릿형상의 진공구멍(15)을 개설함과 함께, 분할금형(13)내에, 진공통로(17)를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몸통부 성형형면(14)에 대한 인몰드 라벨(7)의 진공 유지를, 인몰드 라벨(7)의 전체둘레에 걸쳐서 달성하므로, 몸통부 성형형면(14)에 대해서 인몰드 라벨(7)을 틈새 없이 진공유지할 수 있고, 또한 진공구멍(15)이 몸통부 성형형면(14)의 둘레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몸통부 성형형면(14)에 대한 인몰드 라벨(7)의 유지가, 필연적으로 정확하게 위치내어진 상태가 된다.
도 7에 나타낸 분할금형(13)을 사용한 용기의 블로우 성형은, 우선, 형을 열고 있는 양 분할금형(13)의 몸통부 성형형면(14)에, 인몰드 라벨(7)을, 로봇 등에 의해 위치낸 상태로, 진공구멍(15)에 의해 진공 유지한다.
이어서, 이 양 분할금형(13)에서, 압출기(도시생략)로부터 압출하여 성형된 파리손(P)을 끼워 넣지만, 이 양 분할금형(13)에 끼워 넣어지는 파리손(P)은, 그 압출성형시의 두께 제어에 의해, 그 일부에 환상의 작은 두께부분(P1)이 성형되어 있으므로, 양 분할금형(13)에 의한 파리손(P)의 끼워 넣기(도 9의 실선 도시 참조)는, 이 작은 두께부분(P1)이 몸통부 성형형면(14)의 원하는 개소에 대향하는 타이밍으로 행하여진다.
분할금형(13)에 의한 파리손(P)의 끼워 넣기, 및 파리손 커트가 종료하였다면, 통상의 블로우 성형조작과 같이, 양 분할금형(13)에 블로우 치구(19)를 조립부 착하여, 끼워 넣은 파리손(P)을 용기 본체(1)로 블로우 성형한다.
이 파리손(P)의 용기 본체(1)로의 블로우 성형에 있어서, 도 9의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리손(P)의 작은 두께부분(P1)은, 파리손(P)의 다른 부분에 비해 연신변형하기 쉽기 때문에, 가장 빨리 지름확대 변형하여, 유지된 인몰드 라벨(7)에 접촉하여, 두께 최소부분(4a)으로 성형된다.
이 상태인 채, 파리손(P)의 블로우 성형을 계속하면, 파리손(P)의 작은 두께부분(P1) 이외의 부분이, 이 작은 두께부분(P1)에 가까운 부분으로부터 순서대로 인몰드 라벨(7)에 접촉하고, 몸통부(4)의 다른 부분으로 성형된다.
이와 같이, 몸통부(4)의 다른 부분으로 성형되는 파리손(P)부분은, 작은 두께부분(P1)에 가까운 부분으로부터 순서대로 인몰드 라벨(7)에 접촉하므로, 인몰드 라벨(7)과 파리손(P)과의 사이의 공기를 압출하면서, 인몰드 라벨(7)에 접촉하게 되어, 이 때문에 인몰드 라벨(7)과 파리손(P)으로부터 블로우 성형된 몸통부(4)와의 사이에, 공기 잔류가 형성되는 일은 없다.
한편, 인몰드 라벨(7)과 블로우 성형된 몸통부(4)와의 고착은, 파리손(P)의 열을 이용한 열용착수단이나, 블로우 성형 압력을 이용한 누름압력 접착수단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용기 본체(1)의 블로우 성형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은, 블로우 성형을 예로서 실시하였지만, 본 발명수단은, 그 적용이 블로우 성형에 한정되는 일은 없고, 2축연신 블로우 성형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를 이룬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몸통부를 두께 최소부분과 다른 부분으로 구성했으므로, 이 두께 최소부분과 다른 부분의 몸통부 성형형면측에 대한 접촉시점의 차이에 의해, 블로우 성형되는 몸통부와 인몰드 라벨과의 사이에 공기 잔류를 형성하는 일이 없고, 이것에 의해 몸통부에 대한 인몰드라벨의 강고하고 안정된 고착과 공기 잔류에 의한 열화가 없는, 양호한 외관 체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몸통부의 두께 최소부분의, 분할금형의 몸통부 성형형면에 유지된 인몰드 라벨에 대한 높이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블로우 성형되는 몸통부의, 인몰드 라벨에 대한 눌러붙임 동작 형태를, 사전에 대략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어, 이것에 의해 몸통부에 대한 인몰드 라벨의 고착상태를 적정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인몰드 라벨을, 분할금형의 몸통부 성형형면에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분할금형에 의한 인몰드 라벨의 유지가, 안전하고 정밀도 좋게 달성할 수 있어, 이것에 의해 몸통부의 전체둘레에 걸쳐서 인몰드 라벨을 고착하는 구조를, 무리없이 간단하게 얻을 수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몸통부의 바깥둘레면의 거의 전체 영역을 인몰드 라벨로 덮어지게 되어, 인몰드 라벨의 몸통부에 대한 강고한 고착을 달성한 상태로, 몸통부의 거의 바깥둘레면 전체 영역을 표시부분으로서 기능시키고, 높은 장식표시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또한 몸통부의 거의 바깥둘레면 전체 영역을 덮는 인몰드 라벨을, 몸통부의 보강재로서 기능시킬 수도 있어, 이것에 의해 용기 본체의 두께 감소화를 촉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몸통부의 위쪽 부분과 아래쪽 부분으로, 인몰드 라벨의 표시상태를 전혀 다른 것으로 할 수 있으므로, 인몰드 라벨에 의한 장식표시에 큰 변화를 줄 수 있고, 이것에 의해 개성 풍부한 장식표시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둘레 리브조가 몸통부의 기계적 강도를 높임과 함께, 인몰드 라벨의 몸통부에 대한 강고한 고착상태를 유지하므로, 인몰드 라벨부착 몸통부의 기계적 강도를 충분히 높일 수 있고, 또한 인몰드 라벨의 장식표시상태를 간접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특히 몸통부가 직선 원통형상인 경우에는, 이 효과가 현저하게 발휘되게 된다.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용기 본체와 인몰드 라벨과의 분별 처리가 전혀 불필요해지므로, 용기의 회수이용에 있어서, 용기 취급처리가 극히 간단하게 되고, 또한 고착강도가 큰 몸통부와 인몰드 라벨과의 조립부착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으므로, 품질이 높은 인몰드 라벨부착 용기를 확실히 얻을 수 있다.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몸통부의 선행 성형부분을 간단하고 정확하게 성형할 수 있고, 또한 몸통부의 바깥둘레면이 일차곡면이 되므로, 인몰드 라벨의 몸통부 바깥둘레면에의 고착을, 적정한 형태로 달성할 수 있어, 이것에 의해 양호한 인몰드 라벨부착 몸통부를, 간단하고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
청구항 8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파리손의 작은 두께부분이, 안정하고 확실히 몸통부의 두께 최소부분에 블로우 성형되는 것이 되어, 이것에 의해 두께 최소부분과 다른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몸통부를, 안정하게 확실히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두께 최소부분을 확실히 성형할 수 있으므로, 몸통부와 인몰드 라벨과의 사이에 공기 잔류가 형성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어, 이것에 의해 기계적 강도와 외관 체재가 뛰어난 인몰드 라벨부착 몸통부를 성형할 수 있다.
청구항 9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파리손의 작은 두께부분이, 분할금형의 몸통부 성형형면에 대한 인몰드 라벨의, 정확하게 위치낸 조립상태를, 안정하게 유지하므로, 분할금형에 유지된 인몰드 라벨의, 부적절한 변위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0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인몰드 라벨의 분할금형의 몸통부 성형형면에 대한 적정한 조립을, 간단하고 정밀도 좋게 달성할 수 있으므로, 인몰드 라벨의 단부가 서로 겹치거나, 인몰드 라벨의 단부가 분할금형에 끼워 넣어지는 등의 부적절한 발생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어, 인몰드 라벨부착 용기의 성형을, 정밀도 좋게 안정된 것으로 할 수 있다.

Claims (11)

  1. 직선 원통형상으로 성형된 몸통부(4)의 높이방향의 중간부분에, 환상으로 두께 최소부분(4a)을 위치시킨, 블로우 성형품인 용기 본체(1)와, 상기 용기 본체(1)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상기 몸통부(4)의 바깥둘레면의 전체둘레에 걸쳐서 고착된 인몰드 라벨(7)로 이루어지는 인몰드 라벨부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인몰드 라벨(7)을, 몸통부(4)의 바깥둘레길이의 절반의 길이를 갖는 두 개의 라벨을 조합하여 구성한 인몰드 라벨부착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인몰드 라벨(7)을, 어깨부(3)와의 접속부분인 상단부분, 및 바닥부(6)와의 접속부분인 하단부분을 제외한, 몸통부(4)의 전체 높이범위에 걸쳐서 고착한 인몰드 라벨부착 용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인몰드 라벨(7)을, 어깨부(3)와의 접속부분인 상단부분, 및 바닥부(6)와의 접속부분인 하단부분을 제외한 몸통부(4)에, 위쪽과 아래쪽으로 분리시켜 고착한 인몰드 라벨부착 용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몸통부(4)의, 어깨부(3)와의 접속부분인 상단부분과, 바닥부(6)와의 접속부분인 하단부분에, 최대 바깥지름부분을 형성하는 둘레 리브조(5)를 돌출시켜 둘레에 설치한 인몰드 라벨부착 용기.
  6. 제 3 항에 있어서, 몸통부(4)의, 어깨부(3)와의 접속부분인 상단부분과, 바닥부(6)와의 접속부분인 하단부분에, 최대 바깥지름부분을 형성하는 둘레 리브조(5)를 돌출시켜 둘레에 설치한 인몰드 라벨부착 용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인몰드 라벨(7)을, 용기 본체(1)와 동일 계통의 수지제의 합성수지 필름제로 한 인몰드 라벨부착 용기.
  8. 삭제
  9. 몸통부(4)의 바깥둘레면의 전체둘레에 걸쳐서, 인몰드 라벨(7)을 고착시킨 용기 본체(1)의 블로우 성형방법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1)에 블로우 성형되는 파리손(P)을, 두께 제어에 의해, 일부에 환상의 작은 두께부분(P1)을 갖는 구조로 압출성형하여, 몸통부 성형형면(14)에 인몰드 라벨(7)을 각각 유지한 한 쌍의 분할금형(13)을 형(型) 조임할 때에, 상기 작은 두께부분(P1)을 몸통부 성형형면(14)에 대향 위치시키고, 상기 파리손(P)을 양 분할금형(13)에서 끼워 넣고, 이어서 상기 파리손(P)을 용기 본체(1)에 블로우 성형하는 인몰드 라벨부착 용기의 성형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유지한 인몰드 라벨(7)에 작은 두께부분(P1)을 대향시키고, 양 분할금형(13)에서 파리손(P)을 끼워 넣는 인몰드 라벨부착 용기의 성형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분할금형(13)에 있어서의 인몰드 라벨(7)의 유지를, 상기 인몰드 라벨(7)의 끝단 가장자리부를 전체둘레에 걸쳐서 진공하는 것에 의해 달성하는 인몰드 라벨부착 용기의 성형방법.
KR1020077009052A 2005-07-29 2006-06-19 인몰드 라벨부착 용기와 그 성형방법 KR1012600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21841A JP4822154B2 (ja) 2005-07-29 2005-07-29 インモールドラベル付き容器とその成形方法
JPJP-P-2005-00221841 2005-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133A KR20080033133A (ko) 2008-04-16
KR101260091B1 true KR101260091B1 (ko) 2013-05-02

Family

ID=37683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9052A KR101260091B1 (ko) 2005-07-29 2006-06-19 인몰드 라벨부착 용기와 그 성형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100001010A1 (ko)
EP (1) EP1911679B1 (ko)
JP (1) JP4822154B2 (ko)
KR (1) KR101260091B1 (ko)
CN (1) CN101039844B (ko)
AU (1) AU2006273575B9 (ko)
CA (1) CA2617220C (ko)
WO (1) WO200701323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123B1 (ko) 2020-06-01 2020-11-27 이승현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371B1 (ko) * 2009-08-31 2011-06-01 주식회사 비앤씨 인몰드 라벨, 그를 포함하는 인몰드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US8616869B2 (en) * 2010-01-11 2013-12-31 Vention Medical, Inc. In-mold labeling apparatus and method
PL2590791T3 (pl) 2010-07-09 2017-07-31 Nestec S.A. Etykietowane pojemniki i sposoby wytwarzania etykietowanych pojemników
EP2601110A2 (en) * 2010-08-03 2013-06-12 Sorensen Research and Development Trust Product container including an in-mold label
US20160179167A1 (en) * 2013-08-02 2016-06-23 Schneider Electric Usa Inc. System and method for representing power system information
TW201542682A (zh) * 2014-02-27 2015-11-16 Sekisui Chemical Co Ltd 用以現場形成難燃性聚胺酯發泡體之現場發泡系統
WO2015182033A1 (ja) * 2014-05-30 2015-12-0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複合容器の製造方法及び成形金型並びに複合容器
US10467569B2 (en) * 2014-10-03 2019-11-05 Datameer,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ing distributed workflow tasks
WO2016109761A1 (en) * 2015-01-03 2016-07-07 Extendher Llc Extender for an outerwea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0118A (ja) * 2001-11-22 2003-06-03 Toppan Printing Co Ltd 易廃棄性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2003162224A (ja) * 1994-09-14 2003-06-06 Dainippon Printing Co Ltd インモ−ルドラベル容器およびその成形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5311A (en) * 1970-06-04 1974-01-15 Daiwa Can Co Ltd Method for producing a metallic container or can
US4397625A (en) * 1981-10-14 1983-08-09 The Continental Group, Inc. In-mold labeller
US4573596A (en) * 1983-10-08 1986-03-04 Plastipak Packaging, Inc. Plastic container with vapor barrier
US4662528A (en) * 1985-06-28 1987-05-05 Plastipak Packaging, Inc. Blow molded plastic container having plastic label
JP2609118B2 (ja) * 1987-09-29 1997-05-14 ぺんてる株式会社 インモールドラベリングに於けるラベルと容器間のエアー抜き装置
US5718852A (en) * 1994-05-10 1998-02-17 The Clorox Company Process controlling a blow molding machine
US5968443A (en) * 1996-03-01 1999-10-19 The Clorox Company Process for in-mold labelling
US5885515C1 (en) * 1997-03-06 2002-01-15 Lear Corp Blow molding process
CN2306191Y (zh) * 1997-05-29 1999-02-03 上海轻工塑料制品有限公司 注拉吹饮水瓶
US6086697A (en) * 1998-07-29 2000-07-11 Stephen Key Design, Llc Rotating label system and method
US6692686B1 (en) * 1999-04-28 2004-02-17 Toyo Seikan Kaisha, Ltd. Blow molding method and apparatus
US7153555B2 (en) * 2000-02-15 2006-12-26 Travel Tags, Inc. Plastic objects including lenticular lens sheets
GB0117243D0 (en) 2001-07-14 2001-09-05 Qinetiq Ltd Computer multiplexor
GB0209510D0 (en) * 2002-04-26 2002-06-05 Procter & Gamble Containers comprising at least one label made of an elastomeric material adhered to a squeezable resilient wall
CN1520992B (zh) * 2003-02-03 2010-04-14 优泊公司 模内成形用标签以及贴有该标签的模内成形容器
JP2006064029A (ja) 2004-08-25 2006-03-09 Nsk Ltd ボールねじ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2224A (ja) * 1994-09-14 2003-06-06 Dainippon Printing Co Ltd インモ−ルドラベル容器およびその成形法
JP2003160118A (ja) * 2001-11-22 2003-06-03 Toppan Printing Co Ltd 易廃棄性プラスチックボト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123B1 (ko) 2020-06-01 2020-11-27 이승현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11679A1 (en) 2008-04-16
AU2006273575B9 (en) 2012-06-14
US9808984B2 (en) 2017-11-07
JP2007039037A (ja) 2007-02-15
US20150328820A1 (en) 2015-11-19
AU2006273575B2 (en) 2012-02-09
EP1911679A4 (en) 2009-12-23
CN101039844B (zh) 2010-05-19
JP4822154B2 (ja) 2011-11-24
US20100001010A1 (en) 2010-01-07
CN101039844A (zh) 2007-09-19
AU2006273575A1 (en) 2007-02-01
CA2617220A1 (en) 2007-02-01
WO2007013237A1 (ja) 2007-02-01
CA2617220C (en) 2014-05-13
KR20080033133A (ko) 2008-04-16
EP1911679B1 (en) 201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0091B1 (ko) 인몰드 라벨부착 용기와 그 성형방법
RU2507068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ластикового изделия и форма для формования с раздувом
US5429789A (en) Plastic container with self-draining feature
WO2020116105A1 (ja) プリフォーム、及び合成樹脂製容器
EP0329883A1 (en) Plastic container with self-draining feature
KR19980033261A (ko) 다층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JPH0356656B2 (ko)
JP2016037313A (ja) ブロー成形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6614440B2 (ja) ブロー成形方法
US5207969A (en) Process of producing blow molded article
US20040108627A1 (en) Blown pet handleware for containers
JP7480486B2 (ja) 複合プリフォームの製造方法及び合成樹脂製容器
JP2021138433A (ja) 合成樹脂製容器
JP4925004B2 (ja) インモールドラベル付き合成樹脂製容器
WO2021009981A1 (ja) 被覆層を有する容器の製造方法及び成形型
JPH08511999A (ja) 絞り出し式容器
JP4412630B2 (ja) 容器製造方法及びその容器
US6488883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plastic blow-molded part
JP6675068B2 (ja) ブロー成形方法
JP3065525U (ja) 二重チュ―ブ
JPS6189025A (ja) ブロ−成形品
JP2001328615A (ja) 熱可塑性樹脂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S6399924A (ja) 合成樹脂製チューブ容器
JP3120842U (ja) 中空成形品
TH52217B (th) ภาชนะติดฉลากในแม่พิมพ์กับวิธีการขึ้นรู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