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3261A - 다층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다층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3261A
KR19980033261A KR1019970055862A KR19970055862A KR19980033261A KR 19980033261 A KR19980033261 A KR 19980033261A KR 1019970055862 A KR1019970055862 A KR 1019970055862A KR 19970055862 A KR19970055862 A KR 19970055862A KR 19980033261 A KR19980033261 A KR 19980033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ison
electric
inner layer
preform
multilay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5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5033B1 (ko
Inventor
히로후미 사가와
Original Assignee
오니시 게이조
더 재팬 스틸 워크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86828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31560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86829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249054B2/ja
Application filed by 오니시 게이조, 더 재팬 스틸 워크스 엘티디 filed Critical 오니시 게이조
Publication of KR19980033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5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50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2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pari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005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1/00Shaping characteristics in general
    • B29C2791/001Shaping in several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1/00Shaping characteristics in general
    • B29C2791/004Shaping under special conditions
    • B29C2791/006Us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45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20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 B29C2949/22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at neck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20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 B29C2949/24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at flange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20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 B29C2949/26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at body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20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 B29C2949/28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at bottom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24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components or by the manufacturing techni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32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inj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41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extru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86Interaction between two or more components, e.g. type of or lack of bonding
    • B29C2949/3094Interaction between two or more components, e.g. type of or lack of bonding preform having at least partially loose components, e.g. at least partially loos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B29L2009/001Layered products the layers being lo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58Bo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다층 다이헤드에서 내층파리슨을 토출하여 그 하부를 핀치장치로 핀치하고, 외층파리슨을 전기 내층파리슨보다 길게 토출하고, 전기 외층파리슨의 하부를 성형금형으로 핀치하고, 전기 내층파리슨을 취입 성형하여 다층용기를 얻는다. 내층 박리 기능을 갖는 다층용기를 제조할 때는, 전기 내층파리슨 및 전기 외층파리슨은 서로 접착성을 갖지 않는 다른 수지로 하고, 전기 외층파리슨의 하부를 전기 성형금형으로 핀치할 때, 전기 내층파리슨의 하부의 일부도 같이 핀치한다.

Description

다층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도 1a는, 종래의 다층용기의 세로 단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나타낸 다층용기의 저면도이다.
도 2는, 제1의 실시예의 다층용기의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제1의 실시예의 다층용기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5a는, 제1의 실시예의 다층용기를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나타낸 다층용기의 저면도이다.
도 5c는, 도 5a에 나타낸 다층용기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6은, 제2의 실시예의 다층용기의 제조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은, 프리폼의 약 성형 공정도이다.
도 8은, 제2의 실시예의 다층용기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낸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10a는, 제2의 실시예의 다층용기를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 나타낸 다층용기의 저면도이다.
(발명의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다층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박리기능을 갖는 다층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다층용기는 중공성형기의 다층 다이헤드로, 복수의 압출기에서 공급된 복수의 용융수지를 층상으로 하고, 그 다이헤드의 노즐 내에서 각 층을 합류하여 일체 파리슨으로 하고, 그 파리슨을 금형간에 토출하여 성형시키고 있다.
또, 근년 샴푸나 린스용 용기 등에 박리기능을 갖는 다층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전기 용기에서, 용기 아구리부에 부착된 주출(注出) 펌프에 의해 내용물을 배출할 때, 용기 내가 부압(負壓)으로 되어 용기의 외관형상이 변형하든지, 내용물의 배출이 곤란하게 되는 수가 있다. 이것을 막기 위하여, 예컨대, 특개평 5-213372호 공보에는, 도 1a, 1b에 나타내는 같은 다층용기(31)가 제안되어있다. 이 다층용기(31)의 본체(32)의 벽부는, 외층부(33)와 내층부(34)에서 되는 2층 구조로 되고, 이들 외층부(33) 및 내층부(34)는 서로 접착성을 갖지 않는 다른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 내층부(34)의 두께는 외층부(33)의 두께보다도 얇게 형성되어 있다. 이 용기(31)에서는 내용물이 배출되어서 내층부(34)가 수축할 때, 내층부(34)의 핀치 오프가 외층부(33)의 바닥부에서 빠져서 외층부(33)의 바닥부에 통기공(35)이 형성된다. 이 통기공(35)은,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내층부(34)가 수축할 때 발생하는 진공상태를 막기 위해 두어지고, 통상은, 다층용기 성형후, 내층부(34)를 한번 박리시켜서 외층부(33)에 가공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용기(31)는 서로 접착성을 갖지 않는 수지를 쓰는 다층 성형인 까닭에, 성형직후는 일체구조로 보이나, 용기(31)의 아구리부(37)에 붙여진 주출펌프(38)에 의해, 내용물을 배출할 때마다, 외층부(33)를 남긴 내층부(34)가 차차 수축하여, 내용물을 최후까지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가 있다.
종래의 다층용기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었다. 곧
(a) 내층 박리기능을 갖는 다층용기의 경우, 통상, 내층부는, 외층부 보다 얇으므로, 파리슨을 성형할 때, 외층부의 두께의 변화에 따라 원주방향의 두께가 흐트러지기 쉽다.
(b) 성형된 다층용기의 핀치 오프부가 다층구조로 되고, 특히 내층박리기능을 갖는 다층용기의 경우, 내층파리슨에 박리기능을 가진 재료를 쓰기 때문에, 핀치오프부에서의 강도가 약해진다.
(c) 파리슨은 전장에 걸쳐서 다층으로 되므로, 핀치 오프된 버(burr)도 다층으로 되어, 재이용하기가 곤란하게 된다.
(d) 내층 박리기능을 갖는 다층용기의 경우, 내층부는 내용물의 배출성을 향상하기 위해, 작게 찌부러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통상 도 1b에 나타내듯이, 내외층 핀치오프폭(C)이 넓기 때문에, 핀치오프부에서 눌러져 찌부러지기 어렵게 된다. 또, 핀치 오프부 주변의 두께는 블로비(比)가 작기 때문에 두꺼워져, 더욱 찌부러지기 어렵게 된다. 그래서, 내용물의 배출성이 나빠진다.
(e) 내층박리 기능을 갖는 다층용기의 외층부에 통기공을 가공할 때, 가공에 수고가 들고, 그 때 용기 본체가 찌부러지던가, 변형할 위험이 있었다. 또, 핀치오프부의 박리발생 및 구멍 가공시에 발생하는 쇳가루의 제거도 문제로 되어 있었다.
(f) 내층박리 기능을 갖는 다층용기의 경우, 내용물의 배출시에, 내층부하부도 외층부에서 박리하므로, 내층부가 흔들려 내층부의 외면이 외층부의 내면에 접촉하여 이상한 소리를 발생할 수가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핀치 오프부의 강도가 크고, 핀치오프부의 핀의 재생이 가능한 다층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층박리기능을 갖는 다층용기의 제조에 적합한 다층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다층용기의 제조방법 및 장치는 다층 다이헤드에서 내층파리슨을 토출하여 그 하부를 핀치장치로 핀치하고, 외층파리슨을 전기 내층파리슨 보다 길게 토출하고, 전기 외층파리슨의 하부를 성형 금형으로 핀치하고, 전기 내층파리슨을 취입 성형하여 다층용기를 얻는다. 내층박리기능을 갖는 다층용기를 제조할 때는, 전기 내층파리슨 및 전기 외층파리슨은 서로 접착성을 갖지 않는 다른 수지로 하고, 전기 외층파리슨의 하부를 전기 성형 금형으로 핀치할 때, 전기 내층파리슨의 하부의 일부도 같이 핀치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다층용기의 제조방법 및 장치는 프리폼을 프리폼 이송장치로 다이헤드의 바로 아래에서 이송하고, 전기 프리폼의 외주에 전기 다이헤드에서, 파리슨을 토출하고, 전기 파리슨의 상부를 성형 금형으로 핀치하고, 전기 프리폼을 취입 성형하여 다층용기를 얻는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첨부된 도면에 근거한 하기의 설명에서 확실하게 드러날 것이다.
(상세한 실시태양)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실시예]
제1의 실시예의 다층용기의 제조장치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 부호(1)로 나타내는 것은 다층 다이헤드이며, 이 다층 다이헤드(1)의 헤드본체(2)내에는 원통상부재(3)가 감삽되고, 원통상부재(3)내에는 헤드 코어(core)(4)가 감삽되어 있다.
전기 헤드본체(2)와 원통상부재(3)의 사이에는, 원통상의 외층용유로(流路)(5)가 두어지고, 이 외층용유로(5)는, 헤드본체(2)에 접속된 선단부에 어큐뮬레이터(6a)를 갖는 외층용압출기(6)에 매니폴드(7)를 거쳐서 연통되었다. 또 어큐뮬레이터(6a)를 갖는 외층용압출기(6) 대신에, 사출기로 해도 좋다.
전기 원통상부재(3)와 헤드코어(core)(4)의 사이에는 원통상의 내층용 유로(8)가 두어지고, 이 내층용유로(8)은, 헤드본체(2)에 접속된 내층용 압출기(9)에 매니폴드(10)를 거쳐서 연통되어 있다.
전기 헤드본체(2)의 하부에는 다이외통(11), 전기 헤드코어(4)의 하부에는 다이내통(12)이 붙여져 있다. 다이외통(11)과 원통상부재(3)의 환상 빈틈에 의해 외층용노즐(13)이 형성되고, 원통상부재(3)와 다이내통(12)의 환상빈틈에 의해 내층용노즐(14)이 형성되어 있다.
전기 다이외통(11)을 도면중 좌우로 이동하는 것으로써, 외층용 노즐(13)의 빈틈을 자재로 조정하고, 외층파리슨(15)의 두께를 조정할 수가 있다. 또, 다이내통(12)를 도시하지 않는 상하로드를 거쳐서 상하동하는 것으로써, 내층용 노즐(14)의 빈틈을 자재로 조정하고, 내층파리슨(16)의 두께를 조정할 수가 있다.
전기 다이외통(11)도 마찬가지로 상하동 할 수가 있다.
곧, 어큐뮬레이터(6a)를 갖는 압출기(6)에 의해 간헐적으로 압출된 외층용수지 및 압출기(9)에 의해 연속적으로 압출된 내층용 수지는, 다층 다이헤드(1)의 각 매니폴드(7),(10)를 거쳐서 각 유로(5),(8)내에 공급되어 원통상으로 되고, 각 노즐(13),(14)로 각각 두께가 조정되어서 외층파리슨(15), 내층파리슨(16)으로서 개별로 분리파리슨(17)으로서 토출된다. 또한, 외층파리슨(15)을 간헐 압출하고, 내층파리슨(16)을 연속 압출로 한 것은, 후술하는 것 같이, 내층파리슨(16)의 하부를 핀치한 후, 그 하방에서 외층파리슨(15)의 하부를 핀치하기 때문이다.
단, 내층파리슨(16)은 간헐 압출하여도 좋다.
부호(21)로 나타내는 것은, 다층 다이헤드(1)의 하방에 두어진 내층파리슨(16)의 핀치장치이며, 다층다이헤드(1)에서 토출되는 내층파리슨(16)을 파지하는 핀치부(22)와, 이 핀치부(22)를 상하동하는 실린더부(23)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다층용기의 제조공정에 대해서 도 3의 상태(a)~상태(e) 및 도 4의 각 스텝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태(a)에서, 자동운전 개시에 의해 내층파리슨(16)의 토출을 개시하고, 핀치장치(21)를 상승한다[스텝(1)]. 내층파리슨(16) 길이를 광전관 등의 위치검출 장치로써, 확인한 후[스텝(2)], 핀치장치(21)의 핀치부(22)를 닫고, 내층파리슨(16)의 하부를 핀치한다[스텝(3)]. 이어서, 핀치부(22)를 열어서 핀치장치(21)를 하강[스텝(4)]한다. 또한, 내층파리슨(16)의 내부에는, 프리블로 타이머의 작동에 의해 공기가 공급되어서, 내층파리슨(16)의 변형을 방지하고 있다.
상태(b)에서, 외층파리슨(15)의 토출을 개시하고[스텝(5)], 또한 도시하지 않는 성형 금형을 다이헤드(1)의 바로 아래로 이송한다[스텝(6)]. 또, 내층파리슨(16)과 외층파리슨(15)은, 분리파리슨으로서 토출하기 위해, 각 파리슨의 성형에서 타층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c) 상태에서, 외층파리슨(15)을 내층파리슨(16)보다 길게 토출하고, 외층파리슨(15)의 길이를 광전관 등의 위치검출 장치로써 확인한다[스텝(7)].
상태(d)에서, 성형 금형(24)을 형체(形締)하고[스텝(8)], 외층파리슨(15)의 하부를 핀치함과 아울러, 분리파리슨(17)의 상부를 절단한다. 이어서, 외층파리슨(15)을 성형 금형(24)의 외주 벽에서 금형 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것으로써, 버큠 성형한다. 또, 외층파리슨(15)의 하부를 핀치할 때, 내층파리슨(16)의 하부의 일부도 핀치하는 것으로써, 내층파리슨(16)의 바닥 부를 고정할 수가 있다.
상태(e)에서, 성형 금형(24)을 공기취입장치(25)의 취입노즐(26) 바로 아래로 돌리고[스텝(9)], 내층고정핀(27)을 박아 넣어서 내층파리슨(16)을 누르고[스텝(10)], 취입노즐(26)을 박아 넣고[스텝(11)], 내층파리슨(16)의 취입 성형을 개시한다[스텝(12)]. 내층파리슨(16)의 취입성형 종료 후, 내층파리슨(16)내에 취입한 공기를 배기하고[스텝(13)], 성형 금형(24)을 열고[스텝(14)], 성형된 다층용기를 성형 금형(24)에서 꺼집어 낸다. 다음에 스텝(1)으로 돌아가, 다음의 성형을 같은 스텝으로 한다.
도 5(b), (c)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예에 의한 다층용기(31)는, 내층핀치오프폭(A)가 외층핀치오프폭(B)에 비하여 매우 작게 되고, 그래서 핀치오프부 주변의 두께는 블로비(比)가 크게 되어 얇게 균일하게 되므로, 박리기능을 갖는 다층용기(31)의 경우, 내층부(34)가 찌부러지게 쉽게 되어 내용물의 배출성이 향상한다.
또, 핀치오프부에는 내층용 수지가 거의 존재하지 않으므로, 다층용기의 강도 향상이 도모됨과 같이, 핀치오프부의 버의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또, 도 5(a),(c)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박리기능을 갖는 다층용기(31)를 제조할 때, 내층부(34)의 바닥부 외측에는 핀치부(D)가 형성되고, 이 핀치부(D)의 일부를 외층부(33)의 바닥부 내칙의 핀치부로 끼워서 고정하고 있으므로, 내용물의 배출시에 찌부러질 율이 높아 배출성이 높아진다. 또 내층부(34)가 박리하여 외층부(33)와의 사이에 빈틈이 발생하여도 내층부(34)의 외면이 외층부(33)의 내면에 접촉하지 않고, 이상음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
또, 박리기능을 갖는 다층용기(31)를 제조할 때, 다층용기(31)의 본체(32)의 외층부(33)에, 외층부(33)와 내층부(34)와의 사이에 공기를 유입하는 통기공(35)을 가공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다층 파리슨은, 일체 파리슨이 아니고 분리파리슨이며, 또한 외층파리슨과 내층파리슨의 성형법을 바꾸고 있으므로, 외층파리슨의 성형전, 미리 금형캐비티에서 핀을 돌출하고, 또는 성형후, 핀을 돌출시키는 것으로써 용이하게 통기통을 가공할 수가 있다. 이 통기통은 어느 위치에서도 열 수가 있고, 또, 외층파리슨의 성형공정으로 가공할 수 있으므로, 공정이 단축됨과 아울러, 용기의 변형이 없고, 따라서 불량품의 발생도 없다. 또한, 가공후의 쇳가루의 제거가 불필요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내층파리슨과 외층파리슨으로 되어 2층의 다이 헤드에 대해서 말했으나 ,내외측 파리슨을 각각 복수의 층으로 되는 파리슨으로 하여도 좋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주로 박리기능을 갖는 다층용기의 제조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내층파리슨의 외벽 또는 외층파리슨의 내벽을 접착층으로 하여, 통상의 다층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제2의 실시예]
제2의 실시예의 다층용기의 제조장치에 대해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서 부호(51)에서 나타내는 것은 다이헤드이며, 이 다이헤드(51)의 헤드본체(52)내에는 헤드코어(core)(53)가 감삽되어 있다.
전기 헤드본체(52)와 헤드코어(core)(53)의 사이에는, 원통상의 수지유로(54)가 두어지고, 이 수지유로(54)는, 헤드본체(52)에 접속된 압출기(55)에 매니폴드(56)를 거쳐 연통되어 있다.
전기 헤드본체(52)의 하부에는 다이외통(57), 전기 헤드코어(53)의 하부에는 다이내통(58)이 붙여지고, 다이외통(57)과 내통(58)의 환상 빈틈에 의해 토출노즐(59)이 형성되어 있다.
전기 다이외통(57)을 도면중 좌우로 이동하는 것으로써, 토출노즐(59)의 빈틈을 자재로 조정하고, 토출노즐(59)에서, 토출되는 파리슨(60)의 원주방향의 두께를 조정할 수가 있다.
곧, 압출기(55)에 의해 간헐적 또는 연속적으로 압출된 용융수지는, 다이헤드(51)의 매니폴드(56)를 거쳐 수지유로(54)내로 공급되어 원통상으로 되고, 토출노즐(59)로 두께가 조정되어서 파리슨(60)으로서 토출된다.
다이헤드(51)의 하방에는, 성형금형(61)과 프리폼(63)에 공기 취입하는 하공기취입장치(62)가 두어지고, 전기 성형금형(61)은 파리슨(60)을 금형내의 공기를 그 외주벽에서 흡인하는 것으로써 버큠 성형하는 성형금형(61)으로 되어 있다.
전기 다이헤드(51)의 하방 측부에는, 프리폼이송장치(64)가 두어져 있다.
이 이송장치(64)는 사출기로 성형된 프리폼(63)을 가열하는 프리폼박스(65)와 이 프리폼박스(65)를 다이헤드(51)의 바로 아래로 이송하는 구동부(66)로 구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프리폼(63)은 상태(a)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캐비티금형(71) 및 넥금형(72) 및 코어금형(73)으로 되는 사출금형(74)에 사출기에 의해 용융수지를 사출하여 성형된다. 상태(b)에 나타낸 것과 같이 형성된 프리폼(63)은 캐비티금형(71)에서 빼내어진다. 다음에 중공 성형품을 성형하기 위해, 상태(c)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프리폼(63)을 프리폼박스(65)로 재가열한다.
또한, 프리폼에서 중공 성형폼을 형성하는 방법에는, 핫 파리슨법과 콜드 파리슨법이 있고, 핫 파리슨법은, 성형한 프리폼을 완전히 냉각하지 않고 온도조정공정으로 이행하고, 블로성형을 하는 방법이며, 콜드 파리슨법은, 성형한 프리폼을 일단 냉각하고, 그 후, 재가열하여 블로성형을 하는 방법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콜드 파리슨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다층용기의 제조공정에 대해서 도 8의 상태(a)~상태(d) 및 도 9의 각 스텝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태(a)에서, 자동운전 개시에 의해 프리폼박스(65)로 프리폼(63)의 가열을 개시함과 아울러, 도시하지 않는 성형금형을 다이헤드(51)의 바로 아래로 전진한다. (스텝 1).
상태(b)에서는, 프리폼박스(65)를 구동부(66)에 의해 다이헤드(51)의 바로 아래로 전진시켜(스텝 2), 하공기취입장치(62)의 취입노즐(75)을 1단 상승하고, 프리폼박스(65)내의 프리폼(63)에 세트핀을 박아 넣는다(스텝 3).
상태(c)에서, 프리폼박스(65)를 열고, 그 박스(65)를 후퇴하고(스텝 4), 이어서 다이헤드(51)에서, 프리폼(63)의 외주에 파리슨(60)을 토출한다(스텝 5).
상태(d)에서, 파리슨 길이를 확인하고(스텝 6), 성형금형(61)을 형체하고, 파리슨(60)의 상부 및 하부를 핀치한다(스텝 7). 또한, 파리슨(60)의 상부를 핀치할 때, 프리폼(63)의 상부의 일부와 같이 핀치하는 것으로써, 프리폼(63)의 바닥부를 고정할 수가 있다.
이어서, 파리슨(60)을 성형금형(61)의 외주벽에는 금형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것으로써, 버큠 성형한 후, 취입노즐(75)에서 공기를 취입하여 프리폼(63)의 취입성형을 한다(스텝 8).
다음에, 취입노즐(75)을 2단 상승하여(스텝 9), 용기의 아가리부의 성형을 하고, 성형금형(61)을 이송하여(스텝 10), 프리폼내에 취입한 공기를 배기하고(스텝 11), 성형금형(61)을 열고, 성형된 다층용기를 성형금형(61)에서 꺼집어낸다(스텝 12). 다음에 스텝(1)에 돌아가, 다음의 성형을 같은 스텝으로 한다.
도 10(a),(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다층용기(31)는, 통상, 핀치오프부가 없고, 외층핀치오프부(B)만 있으므로, 박리기능을 갖는 다층용기(31)의 경우, 본체(32)의 내층부(34)가 찌부러지기 쉽게 되어 내용물의 배출성이 향상한다.
또, 핀치오프부에는 내층용수지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다층용기의 강도 향상이 도모됨과 아울러, 핀치오프부의 버의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또, 박리기능을 갖는 다층용기(31)를 제조할 때, 내층부(34)의 바닥부의 일부를 외층부(33)의 바닥부 내칙의 핀치부로 끼워서 고정하면, 제1의 실시예와 같이, 내용물의 배출시에 찌부러질 율이 높아 배출성이 높아진다. 또, 내층부(34)의 외면이 외층부(33)의 내면에 접촉하지 않아 이상음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
또, 제1의 실시예와 같이, 외층부(33)와 내층부(34)와의 사이에 공기를 유입하는 통기공(35)을 용이하게 가공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층부의 재질은, 프리폼의 재질을 바꾸는 것으로써, 다종류의 선택이 가능하게 된다. 또, 내층부의 두께는, 프리폼의 두께를 바꾸는 것으로써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또한, 용기의 아가리부의 성형성이 매우 향상하며, 아가리부의 시일성도 향상한다. 또, 내층부에 프리폼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단층용의 제조장치로서도, 다층성형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프리폼과 외층파리슨으로 되는 2층 용기의 제조에 대해서 말했으나, 프리폼과 외층파리슨을 다층으로 하는 것으로써, 2층 이상의 다층 용기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주로 박리기능을 갖는 다층용기의 제조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외층파리슨의 내벽 또는 프리폼의 외벽에 접착층을 형성하여, 통상의 다층용기를 제조할 수도 있다.
상술한 제1의 실시예 및 제2의 실시예에서는, 외층으로 되는 파리슨을 버큠 성형한 후, 내층의 파리슨 또는 프리폼에 공기를 취입하여 성형하고 있으나 외층으로 되는 파리슨을 버큠 성형하지 않고, 내층파리슨 또는 프리폼에 공기를 취입하여, 내층파리슨과 같이 성형하기에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되었지만 이것은 단순히 설명적인 것에 불과하고,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구조상의 변경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8)

  1. 다층 다이헤드에서 내층파리슨을 토출하여 그 하부를 핀치하는 공정과, 다층 파리슨을 전기 내층파리슨보다 길게 토출하는 공정과, 전기 외층파리슨의 하부를 성형금형 핀치하는 공정과, 전기 내층파리슨을 취입 성형하는 공정과를 갖는 다층 용기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 외층파리슨의 하부를 전기 성형 금형으로 핀치하는 공정에서, 전기 내층파리슨의 하부의 일부와 같이 핀치하는 다층용기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전기 내층파리슨 및 전기 외층파리슨은 서로 접착성을 갖지 않는 다른 수지로 되는 다층용기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전기 외층파리슨은, 간헐 토출하는 다층용기의 제조방법.
  5. 프리폼을 다이헤드의 바라 아래로 이송하는 공정과, 전기 프리폼의 외주에 전기 다이헤드에서, 파리슨을 토출하는 공정과 전기 파리슨의 상부를 성형 금형으로 핀치하는 공정과, 전기 프리폼을 취입성형하는 공정을 갖는 다층용기의 제조방법.
  6. 복수의 노즐에서 개별로 파리슨을 토출하는 다층 다이헤드와 외층파리슨의 하부를 핀치하는 핀치장치와 전기 내층파리슨보다 길게 토출된 외층파리슨의 하부를 핀치하는 성형 금형과, 전기 성형 금형내의 전기 내층파리슨에 공기를 취입하는 공기 취입장치와를 갖는 다층용기의 제조장치.
  7. 프리폼을 다이헤드의 바로 아래로 이송하는 프리폼 이송장치와, 전기 프리폼의 외주에 파리슨을 토출하는 다이헤드와, 전기 파리슨의 상부를 핀치하는 성형금형과 전기 성형 금형내의 전기 프리폼에 공기를 취입하는 공기취입 장치와를 갖는 다층용기의 제조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전기 성형금형에는 외층으로 되는 파리슨에 통기공을 가공하는 구멍내기 수단을 갖는 다층용기의 제조장치.
KR1019970055862A 1996-10-29 1997-10-29 다층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02750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6-286829 1996-10-29
JP28682896A JP3315606B2 (ja) 1996-10-29 1996-10-29 多層容器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1996-286828 1996-10-29
JP28682996A JP3249054B2 (ja) 1996-10-29 1996-10-29 多層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261A true KR19980033261A (ko) 1998-07-25
KR100275033B1 KR100275033B1 (ko) 2000-12-15

Family

ID=26556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5862A KR100275033B1 (ko) 1996-10-29 1997-10-29 다층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989482A (ko)
KR (1) KR1002750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256B1 (ko) * 2013-09-11 2014-07-17 전진구 차습 기능을 갖는 다층 브로우 용기 성형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다층 브로우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7683A (en) * 1996-06-17 2000-02-22 Huang; Ing Chung Extrusion molding process and apparatus
US6375891B1 (en) * 1997-07-18 2002-04-23 Asmo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resinous tank
SE516268C2 (sv) * 1999-06-03 2001-12-10 Seco Tools Ab Metod och anordning med radiellt rörliga backar för strängpressning av roterande verktyg
DE19944579B4 (de) * 1999-09-17 2011-01-05 Ti Automotive Technology Center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unststoffbehälters
CN1122626C (zh) * 2000-10-05 2003-10-01 佳能株式会社 液体容器及其制造方法,以及用于液体容器制造方法的金属模具
DE10209550A1 (de) * 2002-03-04 2003-09-25 Roth Werk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oppelwandigen Behälters aus Kunststoff
US20070045904A1 (en) * 2005-08-31 2007-03-01 Ulcej John A Blow molding extrusion apparatus and method
US9475611B2 (en) 2007-04-19 2016-10-25 Anheuser-Busch Inbev S.A. Integrally blow-moulded bag-in-container having interface vents opening to the atmosphere at location adjacent to bag's mouth, preform for making it; and processes for producing the preform and bag-in-container
US20150266620A1 (en) 2007-04-19 2015-09-24 Anheuser-Busch Inbev S.A. Integrally blow-moulded bag-in-container having a bag anchoring point;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and tool thereof
US20080258356A1 (en) 2007-04-19 2008-10-23 Inbev S.A. Integrally blow-moulded bag-in-container comprising an inner layer and an outer layer comprising energy absorbing additives, and preform for making it
US20080257883A1 (en) 2007-04-19 2008-10-23 Inbev S.A. Integrally blow-moulded bag-in-container having an inner layer and the outer layer made of the same material and preform for making it
US20080257847A1 (en) * 2007-04-19 2008-10-23 Inbev S.A. Integrally blow-moulded bag-in-container having a bag anchoring point;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tool therefor
KR101069912B1 (ko) 2008-09-02 2011-10-06 이승훈 적층용기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적층용기
KR200460181Y1 (ko) * 2009-02-17 2012-05-10 이범우 내층이 분리되는 다층용기
CN102712127B (zh) * 2010-01-08 2016-06-08 大福(香港)有限公司 形成热塑性物品的方法
TWI658970B (zh) * 2018-08-07 2019-05-11 臺三榮實業有限公司 積層剝離容器及其製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0004A (en) * 1960-12-02 1964-07-07 Owens Illinois Glass Co Hollow plastic containers
FR2119200A5 (en) * 1970-12-23 1972-08-04 Aquitaine Total Organico Multiple wall containers - formed by extrusion blow mouldings
WO1993002926A1 (en) * 1991-08-05 1993-02-18 Yoshino Kogyosho Co., Ltd. Bottle of laminate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said bottle
JP3108147B2 (ja) * 1991-09-18 2000-11-13 釜屋化学工業株式会社 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4139555A1 (de) * 1991-09-18 1993-03-25 Gaplast Gmbh Behaelter
US5454707A (en) * 1993-12-01 1995-10-03 R & D Tool And Engineering, Inc. Non-scuffing, non-sticking blow core for stretch blow molding machin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256B1 (ko) * 2013-09-11 2014-07-17 전진구 차습 기능을 갖는 다층 브로우 용기 성형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다층 브로우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5033B1 (ko) 2000-12-15
US5989482A (en) 1999-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5033B1 (ko) 다층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US4824618A (en) Coextrusion blowmolding process
KR101737357B1 (ko) 일체형 2층 프리폼, 그의 생산을 위한 방법 및 장치, 블로우 성형된 백-인-컨테이너의 생산방법, 그리고 이렇게 생산된 백-인-컨테이너
KR101620344B1 (ko)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내층과 외층을 가지며 일체형으로 블로우 성형된 백-인-컨테이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프리폼
WO2001026991A1 (fr) Recipient a pompe utilisant une bouteille stratifiee a couche interieure pelable
JP3015357B2 (ja) 多区分プラスチック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918841B2 (ja) 多層の中空プラスチック製品およびこれを得るための方法
JP3249054B2 (ja) 多層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3820104B2 (ja) ライナおよびプリフォーム
JP3315606B2 (ja) 多層容器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US5866061A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ntainers for dispensing solutions
KR101069912B1 (ko) 적층용기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적층용기
JP2867519B2 (ja) 射出成形用金型及びその保守方法
JP3992739B2 (ja) チューブ容器の製造方法と製造装置
US5599495A (en) Method for molding hollow plastic container having a finish with a smaller diameter than the body of the container
US5207969A (en) Process of producing blow molded article
JP2601992B2 (ja) ブロー成形装置
JP4412630B2 (ja) 容器製造方法及びその容器
KR20150031944A (ko) 적층용기의 제조방법 및 적층용기의 성형장치
JPH0957827A (ja) ブロー成形体の製造方法
JPH01159230A (ja) 単層成型機を用いた2層中空成形法及びその装置
JPH08207127A (ja) ブロー成形品の製造方法
JPH04299102A (ja) ブロー成形用パリソンおよびブロー成形方法
JP2006043912A (ja) 薄肉成形品の製造方法
JP2001079932A (ja) 多層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