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9256B1 - 차습 기능을 갖는 다층 브로우 용기 성형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다층 브로우 용기 - Google Patents

차습 기능을 갖는 다층 브로우 용기 성형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다층 브로우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9256B1
KR101419256B1 KR1020130109290A KR20130109290A KR101419256B1 KR 101419256 B1 KR101419256 B1 KR 101419256B1 KR 1020130109290 A KR1020130109290 A KR 1020130109290A KR 20130109290 A KR20130109290 A KR 20130109290A KR 101419256 B1 KR101419256 B1 KR 101419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ntainer
layered
layer materials
materi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9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진구
Original Assignee
전진구
(주)영진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진구, (주)영진팩 filed Critical 전진구
Priority to KR1020130109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92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65D1/48Reinforcements of dissimilar materials, e.g. metal frames in p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2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pari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에 사용하는 차습 기능을 갖는 다층 브로우 용기 성형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다층 브로우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둘 이상의 층 소재에 의해 다층 브로우 용기를 성형하되, 상기 층 소재는 서로 이형의 성질을 갖는 이종의 층 소재로 형성하여 브로우 성형시 층 소재가 서로 가 접착 성형후 냉각 수축에 의해 분리되면서 층 소재 사이로 틈새부를 형성하므로 상기 틈새부에 의해 내용물을 습기와 공기 등의 외부 영향으로 부터 완벽하게 보호하여 내용물이 변질되거나 내용물의 기능 저하 등을 방지하고 유통 기한을 장구히 할 수 있어 종래 기능성 용기에 비해 보관성을 월등히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차습 기능을 갖는 다층 브로우 용기 성형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다층 브로우 용기{MANUFACTURING METHOD OF BLOW MOLDED MULTI CONTAINER AND THE LOW MOLDED MULTI CONTAINER THEREOF}
본 발명은 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의 내용물 포장에 사용하는 다층 구조의 브로우 용기 성형과정에서 층 소재 사이로 서로 이격되는 틈새부를 형성하여 상기 틈새부에 의해 내용물을 습기, 공기 등의 외부 영향으로 부터 완벽하게 보호하여 내용물의 보관성이 우수한 차습 기능을 갖는 다층 브로우 용기 성형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다층 브로우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의 내용물 포장 용기는 내용물에 따라 유리재, 수지재와 같이 다양한 소재로 제조하고 있다.
특히 상기 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의 내용물 중에 습기, 공기 등에 취약한 경우 주로 유리재를 사용하고, 그 밖의 내용물인 경우에 주로 수지재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유리재 포장 용기는 제조 생산성이 낮고 제조 단가가 비싸며, 취급시 파손 우려가 높은 단점을 갖고 있고, 상기 수지재 포장 용기는 제조 생산성이 우수하고 제조 단가가 저렴하며, 취급시 파손 우려가 낮은 장점과 습기, 공기 등의 차단성이 취약하여 내용물의 보존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에 상기 수지재 포장 용기의 장점과 함께 단점을 보완하고자 습기, 공기 차단성을 향상시킨 수지재 포장 용기가 다수 개시된 바 있는데, 이는 등록특허 제10-490710호, 공개특허 제2008-0108160호 등과 같이 수지재에 습기, 공기 차단성을 향상시키는 조성물을 첨가하여 포장 용기를 성형하거나, 다층 구조로 형성하되 공기 차단 기능을 갖는 기능성 필름 등을 이용한 다층 브로우 용기로 성형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수지재 포장 용기는 수지재에 습기, 공기 차단성을 향상시키는 조성물을 첨가하거나 공기 차단 기능을 갖는 기능성 필름을 다층 구조로 형성하는 재질 변경으로 어느 정도의 기능성을 확보할 수는 있었으나 제조 단가 상승은 물론 포장 용기의 습기, 공기 차단성에 아주 민감한 내용물의 포장에는 기능성이 부족한 한계를 갖고 있었다.
즉, 상기 포장 용기의 내용물이 습기에 매우 취약한 분말 형태(예: 실리카겔)인 경우에 종래 기술만으로 외부의 습기와 공기의 영향으로 부터 내용물을 완벽하게 보장할 수 없어 내용물이 변색되거나 내용물의 기능 저하는 물론 내용물의 유통 기한이 단축되어 보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490710호 공개특허 제2008-0108160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다층 구조의 브로우 용기 성형과정에서 층 소재 사이로 서로 이격되는 틈새부를 형성하여 상기 틈새부에 의해 내용물을 습기, 공기 등의 외부 영향으로 부터 완벽하게 보호하여 내용물의 보관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브로우 성형 금형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층 소재에 의해 다층 브로우 용기를 성형하되; 상기 층 소재는 서로 이형의 성질을 갖는 이종의 층 소재로 형성하여 브로우 성형시 층 소재가 서로 가 접착 성형후 냉각 수축에 의해 분리되면서 층 소재 사이로 틈새부를 형성하는 차습 기능을 갖는 다층 브로우 용기 성형 제조방법과 다층 브로우 용기를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층 소재는 모든 층 소재 또는 인접하는 층 소재 끼리 서로 이종의 층 소재로 성형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브로우 성형 금형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층 소재에 의해 다층 브로우 용기를 성형하되; 상기 층 소재는 인접하는 층 소재 끼리 일부는 동종, 일부는 이형의 성질을 갖는 이종의 층 소재로 형성하여 브로우 성형시 이종의 층 소재가 서로 가 접착 성형후 냉각 수축에 의해 분리되면서 층 소재 사이로 틈새부를 형성하는 차습 기능을 갖는 다층 브로우 용기 성형 제조방법과 다층 브로우 용기를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층 구조의 브로우 용기 성형과정에서 모든 층 소재 또는 인접하는 층 소재 끼리 서로 이형의 성질을 갖는 이종의 층 소재로 형성하여 층 소재가 가 접착 성형 후 냉각 수축에 의해 서로 분리되면서 층 소재 사이로 틈새부를 형성하여 상기 틈새부에 의해 내용물을 습기, 공기 등의 외부 영향으로 부터 완벽하게 보호하여 내용물이 변색되거나 내용물의 기능 저하 등을 방지하여 유통 기한을 장구히 할 수 있으므로 종래 기능성 용기에 비해 보관성이 월등히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성형 제조된 다층 브로우 용기의 일 례를 보여주는 정면.
도 2는 도 1의 3층 구조 층 소재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2층 구조의 층 소재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4층 구조의 층 소재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3층 구조 층 소재 단면 구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
먼저, 본 발명의 차습 기능을 갖는 다층 브로우 용기 성형 제조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브로우 성형 금형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층 소재에 의해 다층 브로우 용기를 성형하여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층 소재는 서로 이형의 성질(서로 접촉하고 있는 표면의 접착력을 상호 감소시키는 성질)을 갖는 이종의 층 소재로 형성하여 브로우 성형시 공기 주입에 의해 층 소재가 서로 가접착 성형 후 냉각 수축에 의해 이형의 성질에 의해 서로 분리되면서 상기 층 소재 사이로 서로 이격되는 틈새부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틈새부는 층 소재가 전체적으로 이격될 수도 있지만 부분적으로 이격되면서 이격 틈새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층 소재는 3층 구조의 층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2층 구조 또는 4층 이상의 다층 구조로 층 소재를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층 소재는 모든 층 소재(예를 들면 PE-PP-PVC 층 소재)를 서로 이종의 층 소재로 성형할 수도 있고 서로 인접하는 층 소재(예를 들면 PP-PE-PP 층 소재) 끼리 서로 이종의 층 소재로 성형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도 3 및, 도 4,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할 수 있는데 이는 A-B-C, A-B, A-B-C-D 종류의 층 소재로 다층 구조를 이루는 것이고, 후자의 경우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할 수 있는데 이는 A-B-A, A-B-A-B 종류의 소재로 다층 구조를 이루는 것이다.
또한, 상기 층 소재는 도 7에서와 같이 인접하는 층 소재 끼리 일부는 동종, 일부는 이형의 성질을 갖는 이종의 층 소재로 형성하여 브로우 성형시 이종의 층 소재만 서로 가 접착 성형후 냉각 수축에 의해 분리되면서 층 소재 사이로 틈새부를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예를 들면 A-B-B 종류의 소재로 다층 구조를 이루어 상기 A-B 층 소재 사이로 틈새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층 소재는 서로 이형성을 높이기 위해 층 소재 사이로 실리콘 오일(Silicone oille) 등과 같은 이형제를 더 추가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층 소재는 습기, 공기의 외부 영향을 차단하기 위해 내습성 수지재, 공기 차단성 수지재 또는 그 밖의 다양한 기능성 수지재로 다층 성형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상기 내습성 수지재는 열가소성 수지로 그 중에서도 폴리올레핀계 수지재가 있고, 공기 차단성 수지재는 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이하, EV0H로 약칭함), 폴리아미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재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층 소재 중에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층 소재는 가장 두껍게 형성하되 내습성 수지재로 형성하고,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층 소재는 내용물의 화학적 변질을 방지하는 기능성 수지재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적어도 둘 이상의 층 소재에 의해 통상의 방법으로 다층 브로우 용기를 성형하는 것인데 상기 층 소재 모두 또는 인접하는 층 소재 끼리 서로 이형의 성질을 갖는 이종의 층 소재로 형성하거나 상기 층 소재의 일부는 동종, 일부는 이형의 성질을 갖는 이종의 층 소재로 형성하여서 브로우 성형시 이종의 층 소재가 공기 주입에 의해 성형되면서 서로 가 접착되고, 성형후 냉각 수축에 의해 가 접착된 이종의 층 소재가 서로 분리되면서 상기 층 소재 사이로 서로 이격되는 틈새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즉, 일반적인 브로우 성형과정에서 별도 공정의 추가 없이 이형의 성질을 갖는 이종의 층 소재를 이용하는 방법에 의해 층 소재 사이로 서로 이격되는 틈새부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다층 브로우 용기의 층 소재 사이로 서로 이격되는 틈새부를 형성하므로 상기 틈새부에 의해 마치 다층의 용기를 중복 포장한 것과 같은 효과를 갖게 되므로 습기, 공기의 외부 영향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내용물을 완벽하게 보호하므로 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의 내용물 중에 습기나 공기에 취약한 내용물(특히 분말 형태의 내용물) 보관시 내용물의 변색 방지 및 내용물의 기능 저하 등을 방지하여 유통 기한 등을 장구히 할 수 있으므로 종래 기능성 용기에 비해 보관성이 월등히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한 본 발명의 성형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본 발명의 차습 기능을 갖는 다층 브로우 용기(1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로우 성형 금형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층 소재(2)에 의해 성형하되, 상기 층 소재(2)는 서로 이형의 성질을 갖는 이종의 층 소재로 형성하여 브로우 성형시 이종의 층 소재가 서로 가 접착 성형후 냉각 수축에 의해 분리되면서 층 소재 사이로 서로 이격되는 틈새부(5)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틈새부(5)는 층 소재가 전체적으로 이격될 수도 있지만 부분적으로 이격되면서 이격 틈새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층 소재(2)는 2층, 3층, 4층 또는 그 이상의 다층 구조로 형성할 수 있으나 3층 구조의 층 소재로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층 소재(2)는 모든 층 소재를 서로 이종의 층 소재로 형성하거나 서로 인접하는 층 소재 끼리 서로 이종의 층 소재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차습 기능을 갖는 다층 브로우 용기(10)는 이종의 층 소재(2) 사이로 서로 이격되는 틈새부(5)를 형성하여 상기 틈새부(5)에 의해 습기, 공기의 전달을 차단하므로 습기, 공기의 외부 영향으로 부터 내용물을 완벽하게 보호하여 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의 내용물 중에 습기, 공기에 취약한 내용물(특히 분말 형태의 내용물) 보관시 내용물의 변색 방지 및 내용물의 기능 저하 등을 방지하여 유통 기한 등을 장구히 할 수 있으므로 종래 기능성 용기에 비해 보관성이 월등히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차습 기능을 갖는 다층 브로우 용기(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리 실시할 수 있는데, 이는 브로우 성형 금형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층 소재(2)에 의해 성형하되, 상기 층 소재(2)는 인접하는 층 소재 끼리 일부는 동종, 일부는 이형의 성질을 갖는 이종의 층 소재로 형성하여 브로우 성형시 이종의 층 소재만 서로 가 접착 성형후 냉각 수축에 의해 분리되면서 층 소재 사이로 서로 이격되는 틈새부(5)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6의 실시 예와 비교하면 틈새부(5)를 모든 층 소재 사이로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 층 소재 사이로 한정하여 형성하는 차이를 갖을 뿐 사이 층 소재(2) 사이로 형성되는 틈새부(5)에 의해 외부의 습기, 공기의 외부 영향으로 부터 내용물을 보호하는 작용 효과는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2: 층 소재
5: 틈새부
10: 다층 브로우 용기

Claims (10)

  1. 브로우 성형 금형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층 소재에 의해 다층 브로우 용기를 성형하는 다층 브로우 용기 성형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층 소재는 서로 이형의 성질을 갖는 이종의 층 소재로 형성하여 브로우 성형시 층 소재가 서로 가 접착 성형후 냉각 수축에 의해 분리되면서 층 소재 사이로 서로 이격되는 틈새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습 기능을 갖는 다층 브로우 용기 성형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층 소재는 3층 구조의 층 소재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습 기능을 갖는 다층 브로우 용기 성형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층 소재는 모든 층 소재를 서로 이종의 층 소재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습 기능을 갖는 다층 브로우 용기 성형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층 소재는 인접하는 층 소재 끼리 서로 이종의 층 소재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습 기능을 갖는 다층 브로우 용기 성형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층 소재 사이로 이형제를 더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습 기능을 갖는 다층 브로우 용기 성형 제조방법.
  6. 브로우 성형 금형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층 소재에 의해 다층 브로우 용기를 성형하는 다층 브로우 용기 성형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층 소재는 인접하는 층 소재 끼리 일부는 동종, 일부는 이형의 성질을 갖는 이종의 층 소재로 형성하여 브로우 성형시 이종의 층 소재만 서로 가 접착 성형후 냉각 수축에 의해 분리되면서 층 소재 사이로 서로 이격되는 틈새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습 기능을 갖는 다층 브로우 용기 성형 제조방법.
  7. 제1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다층 브로우 용기의 모든 층 소재(2) 사이로 틈새부(5)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습 기능을 갖는 다층 브로우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층 소재(2)는 모든 층 소재를 서로 이종의 층 소재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습 기능을 갖는 다층 브로우 용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층 소재(2)는 인접하는 층 소재 끼리 서로 이종의 층 소재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습 기능을 갖는 다층 브로우 용기.
  10. 제6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다층 브로우 용기의 층 소재 중에 이형의 성질을 갖는 이종의 층 소재 사이에만 틈새부(5)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습 기능을 갖는 다층 브로우 용기.
KR1020130109290A 2013-09-11 2013-09-11 차습 기능을 갖는 다층 브로우 용기 성형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다층 브로우 용기 KR101419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290A KR101419256B1 (ko) 2013-09-11 2013-09-11 차습 기능을 갖는 다층 브로우 용기 성형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다층 브로우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290A KR101419256B1 (ko) 2013-09-11 2013-09-11 차습 기능을 갖는 다층 브로우 용기 성형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다층 브로우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9256B1 true KR101419256B1 (ko) 2014-07-17

Family

ID=51742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9290A KR101419256B1 (ko) 2013-09-11 2013-09-11 차습 기능을 갖는 다층 브로우 용기 성형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다층 브로우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92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957B1 (ko) 2016-08-25 2017-10-17 (주) 뉴우성 박막 형태를 갖으며 용기내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이중 브로우 용기 제조방법 그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4416A (ko) * 1983-12-27 1985-07-15 타까사끼 요시로오 연신 성형용 다층 파이프의 제조방법
JPH0577335A (ja) * 1991-09-19 1993-03-30 Toppan Printing Co Ltd 多層薄肉容器の製造方法
KR19980033261A (ko) * 1996-10-29 1998-07-25 오니시 게이조 다층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06583A (ko) * 2001-07-13 2003-01-23 주식회사 천경 다층벽 구조를 갖는 용기와 그 제조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4416A (ko) * 1983-12-27 1985-07-15 타까사끼 요시로오 연신 성형용 다층 파이프의 제조방법
JPH0577335A (ja) * 1991-09-19 1993-03-30 Toppan Printing Co Ltd 多層薄肉容器の製造方法
KR19980033261A (ko) * 1996-10-29 1998-07-25 오니시 게이조 다층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06583A (ko) * 2001-07-13 2003-01-23 주식회사 천경 다층벽 구조를 갖는 용기와 그 제조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957B1 (ko) 2016-08-25 2017-10-17 (주) 뉴우성 박막 형태를 갖으며 용기내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이중 브로우 용기 제조방법 그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5607B1 (ko) 여러 겹의 시트 타입 또는 튜브 타입의 식품 케이싱 또는 식품 포장용 필름
ES2359119T3 (es) Películas polímeras multicapas biodegradables y envases producidos a partir de las mismas.
ECSP12011767A (es) Películas de múltiples capas termoformables y empaques de blister producidos a partir de las mismas
KR20240000634A (ko) 내화학성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JPWO2016063987A1 (ja) ブリスターパック用積層体、それを用いたブリスターパック、及びブリスターパック包装体、並びにその積層体の製造方法
ATE464180T1 (de) Verpackungslaminate und daraus hergestellte artikel
WO2007072505A3 (en) Metallized packaging blister container
WO2008112322A3 (en) Metallized films
KR101419256B1 (ko) 차습 기능을 갖는 다층 브로우 용기 성형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다층 브로우 용기
US20130323488A1 (en) Packaging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e
JP6493634B2 (ja) Ptp包装体用フィルム及び包装体
KR101909788B1 (ko) 다층 필름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CN215840465U (zh) 一种高阻隔可视除湿儿童安全保护型药用泡罩包装
US20140370212A1 (en) Packaging film with superior seal, barrier, and flex crack resistance
JP6746879B2 (ja) シーラントフィルム、多層フィルム、および包装体
JP2010524745A (ja) 高低温充填食品及び飲料包装用のラミネート構造体
JP7081247B2 (ja) 多層フィルム及び包装体
CN206048958U (zh) 一种药品用复合包装硬片
KR102150156B1 (ko) 찢김 방지용 포장재
CN205674607U (zh) 用于全自动真空包装机的包装膜
CN104416994A (zh) 一种用于焊条盒热收缩包装膜
JP7036267B2 (ja) 多層フィルム及び包装体
CN106183302A (zh) 一种药品用复合包装硬片
KR101962025B1 (ko) 수액제품을 위한 다층 필름
KR20180100932A (ko) 진공 포장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