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8371B1 - 인몰드 라벨, 그를 포함하는 인몰드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인몰드 라벨, 그를 포함하는 인몰드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8371B1
KR101038371B1 KR1020090081195A KR20090081195A KR101038371B1 KR 101038371 B1 KR101038371 B1 KR 101038371B1 KR 1020090081195 A KR1020090081195 A KR 1020090081195A KR 20090081195 A KR20090081195 A KR 20090081195A KR 101038371 B1 KR101038371 B1 KR 101038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label
container
main body
mold lab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1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3364A (ko
Inventor
김영욱
이근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앤씨
Priority to KR1020090081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8371B1/ko
Publication of KR20110023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8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8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2045/1486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5/14901Coating a sheet-like insert smaller than the dimensions of the adjacent mould wall
    • B29C2045/14918Coating a sheet-like insert smaller than the dimensions of the adjacent mould wall in-mould-lab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인몰드 라벨, 그를 포함하는 인몰드 용기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인몰드 라벨은 원호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인몰드 라벨의 하단부는 상기 하단부의 일부가 절단되어 이루어진 절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몰드 라벨, 그를 포함하는 인몰드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IN-MOLD LABEL, IN-MOLD CONTAINER HAVING IN-MOLD LAB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N-MOLD CONTAINER}
본 발명은 인몰드 라벨링 성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몰드 라벨, 그를 포함하는 인몰드 용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외에서 시판되고 있는 요거트 등과 같은 취식물을 포장하기 위한 용기의 외면에는 실크 스크린 인쇄 방식 또는 인쇄 라벨 부착 방식으로 라벨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실크 스크린 인쇄 방식은 인쇄 색상 수별로 추가 비용이 발생되므로 다양한 색상을 표현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인쇄 라벨 부착 방식은 용기 성형 공정 후에 라벨을 별도로 부착해야 하므로 라벨을 부착하는 비용이 추가로 발생되고, 아울러 라벨 부착이 완벽하지 못할 경우 유통 중에 라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금형 내에 라벨을 삽입하여 용기 성형과 동시에 라벨을 부착하는 인몰드 라벨링(In-Mold Labelling) 성형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몰드 용기를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으면서도 인몰드 용기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몰드 라벨, 그를 포함하는 인몰드 용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몰드 용기 제조시 인몰드 라벨에 기인한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인몰드 라벨, 그를 포함하는 인몰드 용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몰드 용기의 취급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몰드 라벨, 그를 포함하는 인몰드 용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몰드 용기 제조시 진공 제어를 최적화할 수 있는 인몰드 용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라벨은 원호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몰드 라벨의 하단부는 상기 하단부의 일부가 절단되어 이루어진 절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용기는 본체 측부 및 상기 본체 측부로부터 절곡 연장된 본체 바닥부 사이에 위치하는 본체 절곡부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 상에 형성되어 있는 인몰드 라벨을 포함하며, 상기 인몰드 라벨은 상기 인몰드 라벨의 라벨 하단부에 상기 라벨 하단부의 일부가 절단되어 이 루어진 라벨 절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라벨 하단부가 상기 본체 절곡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 절곡부 상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용기의 제조 방법은 원호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에 상기 하단부의 일부가 절단되어 이루어진 절단부를 포함하는 인몰드 라벨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인몰드 라벨을 요홈 형태의 제1 금형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제1 금형과 형폐되어 수지 사출을 위한 캐비티를 형성하는 요철 형태의 제2 금형을, 상기 제1 금형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및 제2 금형의 형폐를 시작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금형의 형폐를 완료하는 단계; 상기 형폐가 완료된 금형 내부의 캐비티에 수지를 사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출된 수지를 고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몰드 용기의 외형에 적합하게 가공된 인몰드 라벨을 사용하므로, 인몰드 용기를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하여 용기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인몰드 용기 부위 중에서 충격에 노출되기 쉬운 부위 또는 충격에 약한 부위에 인몰드 라벨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인몰드 용기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인몰드 용기 제조시 인몰드 라벨의 겹침 불량, 들뜸 불량 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진공 제어를 최적화함으로써 인몰드 용기의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인몰드 용기의 날카로운 부위를 줄일 수 있으므로 인몰드 용기의 취급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라벨, 그를 포함하는 인몰드 용기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용기(10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몰드 용기(100)는 용기 본체(200) 및 상기 용기 본체(200) 상에 형성되어 있는 인몰드 라벨(300)을 포함한다.
상기 용기 본체(200)는 상기 인몰드 용기(100)의 형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본체 측부(210) 및 본체 바닥부(220)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본체 플랜지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측부(210)는 상기 본체 측부(210) 중에서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 플랜지부(230)와 연결되는 제1 본체 측부(212) 및 상기 제1 본체 측부(212)의 하부에 상기 본체 바닥부(220)와 연결되는 제2 본체 측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몰드 용기(100)의 디자인성 및 강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본체 측부(212, 214)는 단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 측부(210)는 제 1 및 제2 본체 측부(212, 214) 사이에 본체 단차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측부(210)는 그 곡률 반경이 하방으로 갈수록 대략적으로 작아질 수 있으나, 이는 인몰드 용기(100)의 디자인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므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체 바닥부(220)는 상기 본체 측부(210)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본체 측부(210)와 함께 요거트 등과 같은 취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이 때문에, 상기 용기 본체(200)는 본체 측부(210) 및 본체 바닥부(220) 사이에 본체 절곡부(222)를 포함한다.
상기 인몰드 라벨(300)은 인몰드 라벨링 성형을 통해 용기 본체(200) 성형과 동시에 용기 본체(200) 외측에 부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라벨의 평면도로서, 상기 인몰드 라벨이 펼쳐져 있는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라벨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인몰드 라벨(300)은 펼쳐진 상태에서 대략적으로 원호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상기 인몰드 라벨(300)이 부착되는 용기 본체(200)의 형상에 종속적이기 때문이다. 상기 인몰드 라벨(300)은 라벨 하단부(310), 라벨 좌측단부(320), 라벨 우측단부(330) 및 라벨 상단부(340)를 포함하며, 인몰드 용기(100)의 성형 공정시 용기 본체(200)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본체 측부(210) 및 본체 절곡부(222)를 감쌀 수 있다.
상기 인몰드 라벨(300)이, 상술한 바와 같이, 원호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 므로, 상기 라벨 하단부(310) 및 라벨 상단부(340)는 각각 곡률 반경을 갖는다. 이때, 상기 인몰드 라벨(300)이 부착되는 상기 본체 측부(210)의 곡률 반경이 하방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으므로, 상기 라벨 하단부(310)의 곡률 반경은 상기 라벨 상단부(340)의 곡률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라벨 하단부(310)는 상기 라벨 하단부(310)의 일부가 절단되어 이루어진 라벨 절단부(312)를 포함한다. 상기 라벨 하단부(310)는 인몰드 라벨링 성형 공정시 상기 본체 절곡부(222)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 절곡부(22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라벨 하단부(310)에서 라벨 겹침 불량, 들뜸 불량 등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라벨 하단부(310)의 일부가 절단되어 있는 것이다. 인몰드 라벨링 성형 공정시 상기 라벨 하단부(310)는 본체 바닥부(220)의 내측 방향으로 수렴하는 식으로 부착되므로, 상기 라벨 하단부(310)의 일부는 쐐기형으로 절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라벨 절단부(312)는 본체 절곡부(222)를 따라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라벨 절단부(312) 중에서 인접한 라벨 절단부(312)끼리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라벨 좌측단부(320) 및 상기 라벨 우측단부(330)는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라벨 좌측단부(320) 및 상기 라벨 우측단부(330)는 각각 상기 본체 단차부(216)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 단차부(216) 상에 위치할 수 있는 라벨 좌측단차부(322) 및 라벨 우측단차부(332) 각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몰드 라벨(300)은 용기 본체(200)의 외형에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인몰드 용기(100)를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하여 용기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충격에 쉽게 노출되거나 또는 충격에 약한 부위인 본체 절곡부(222) 뿐만 아니라 본체 측부(210)를 감싸는 형태로 인몰드 라벨(300)이 부착되므로, 인몰드 용기(100)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 절곡부(222)와 같이 날카로운 부위를 인몰드 라벨(300)이 부드럽게 감쌀 수 있으므로, 인몰드 용기(100)의 취급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라벨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인몰드 라벨(300)은 제1 필름층(350), 접착층(360), 인쇄층(370) 및 제2 필름층(38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필름층(350)은 상기 인몰드 라벨(300)을 형성하기 위한 베이스를 이루는 층으로, 예를 들어, 무연신 공압출 폴리프로필렌(Coextruded Cast Polypropylene: CPP) 필름층일 수 있다.
상기 인쇄층(370)은 인몰드 라벨(300)의 색상과 그림을 구현하기 위한 층으로, 통상의 자연 건조형, 자외선 경화형, 열경화형 잉크 또는 코팅제 등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색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착색제를 함께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필름층(380)은 인몰드 라벨(300)의 표면층, 즉, 인몰드 용기에서 최외각에 배치되는 층으로, 예를 들어,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OPP) 필름층일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용기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용기의 제조시 시간에 따른 금형 내부의 진공 제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용기의 제조 방법은 원호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에 상기 하단부의 일부가 절단되어 이루어진 절단부를 포함하는 인몰드 라벨(300)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인몰드 라벨(300)을 요홈 형태의 제1 금형(400)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제1 금형(400)과 형폐되어 수지 사출을 위한 캐비티(420)를 형성하는 요철 형태의 제2 금형(410)을, 상기 제1 금형(400)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및 제2 금형(400, 410)의 형폐를 시작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금형(400, 410)의 형폐를 완료하는 단계; 상기 형폐가 완료된 금형 내부의 캐비티(420)에 수지(610)를 사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출된 수지(610)를 고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각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인몰드 용기(100)를 제조하기 위해, 먼저, 전술한 인몰드 라벨(300)을 준비한 후, 상기 인몰드 라벨(300)을 라벨 투입부(미도시)에 흡착하여 상기 인몰드 라벨(300)을 제1 금형(400)에 투입하기 위한 사전 준비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사전 준비 과정이 완료되면, 그 즉시, 도 5 및 도 12의 제1 구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흡입 펌프(500)를 가동하여 상기 진공 흡입 펌프(500) 및 상기 제1 금형(400)을 연결하는 연결관(510)을 통해 상기 제1 금형(400)의 내부 표면 부위에 진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인몰드 라벨(300)이 투입되기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한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12의 제2 구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벨 투입부에 흡착된 상기 인몰드 라벨(300)을 상기 제1 금형(400)에 투입한다. 이때, 상기 투입된 인몰드 라벨(300)이 상기 제1 금형(400)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인몰드 라벨(300)의 투입을 시작한 후부터 상기 제1 및 제2 금형(400, 410)의 형폐를 시작하기 전까지, 상기 진공 흡입 펌프(500)를 이용하여 상기 인몰드 라벨(300) 및 상기 제1 금형(400) 사이에 지속적으로 진공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12의 제3 구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금형(410)을 상기 제1 금형(400)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및 제2 금형(400, 410)의 형폐를 시작한다. 이때, 상기 금형의 형폐가 시작됨과 동시에 상기 금형의 형폐가 완료되기 전까지 진공을 제거하여 상기 인몰드 라벨(300)이 상기 제2 금형(410)의 코어부를 타고 이동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한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12의 제4 구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금형(400, 410)의 형폐를 완료한다. 이때, 상기 금형의 형폐가 완료되는 즉시 후술되는 수지 사출이 원활해지도록 상기 진공 흡입 펌프(500)를 가동하여 상기 인몰드 라벨(300) 및 상기 제1 금형(400) 사이에 진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인몰드 라벨(300)이 상기 제1 금형(400)에 흡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9 및 도 12의 제5 구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 주입부(600)를 통하여 상기 금형의 형폐를 통해 형성된 금형 내부의 캐비티(420)(도 8 참조)에 수지(610)를 사출하며, 지속적으로 상기 인몰드 라벨(300) 및 상기 제1 금형(400) 사이에 진공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10 및 도 12의 제6 구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출된 수지(610)가 고화될 때까지 상기 인몰드 라벨(300) 및 상기 제1 금형(400) 사이에 진공을 형성한다. 이때, 수지 사출 완료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감압하는 것이 가능하나, 수지 사출 과정시의 진공도를 계속 유지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의 제7 구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금형(400, 410)을 형개하고, 상기 인몰드 라벨(300) 및 상기 제1 금형(400) 사이의 진공을 제거한 다음, 용기 취출부(미도시)를 통해 제조 완료된 인몰드 용기(100)를 제1 금형(400)으로부터 분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몰드 용기(100) 제조시 각 단계별로 진공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인몰드 라벨(300)을 용기 본체(200)의 정확한 위치에 부착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인몰드 용기(100)의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 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라벨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라벨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용기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용기의 제조시 시간에 따른 금형 내부의 진공 제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인몰드 용기 200: 용기 본체
210: 본체 측부 216: 본체 단차부
220: 본체 바닥부 222: 본체 절곡부
230: 본체 플랜지부 300: 인몰드 라벨
310: 라벨 하단부 312: 라벨 절단부
320: 라벨 좌측단부 322: 라벨 좌측단차부
330: 라벨 우측단부 332: 라벨 우측단차부
340: 라벨 상단부 400: 제1 금형
410: 제2 금형 420: 캐비티
500: 진공 흡입 펌프

Claims (11)

  1. 원호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인몰드 라벨로서, 상기 인몰드 라벨의 하단부는 상기 하단부의 일부가 절단되어 이루어진 절단부를 포함하는 인몰드 라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의 일부가 쐐기형으로 절단되어 있는 인몰드 라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절단부 중에서 인접한 절단부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인몰드 라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몰드 라벨의 양측단부가 단차부를 포함하는 인몰드 라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몰드 라벨의 하단부의 곡률 반경이 상기 인몰드 라벨의 상단부의 곡률 반경보다 작은 인몰드 라벨.
  6. 본체 측부 및 상기 본체 측부로부터 절곡 연장된 본체 바닥부 사이에 위치하는 본체 절곡부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 상에 형성되어 있는 인몰드 라벨
    을 포함하며,
    상기 인몰드 라벨은 상기 인몰드 라벨의 라벨 하단부에 상기 라벨 하단부의 일부가 절단되어 이루어진 라벨 절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라벨 하단부가 상기 본체 절곡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 절곡부 상에 위치하는 인몰드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본체 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 단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몰드 라벨의 라벨 단차부가 상기 본체 단차부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 단차부 상에 위치하는 인몰드 용기.
  8. 원호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에 상기 하단부의 일부가 절단되어 이루어진 절단부를 포함하는 인몰드 라벨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인몰드 라벨을 요홈 형태의 제1 금형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제1 금형과 형폐되어 수지 사출을 위한 캐비티를 형성하는 요철 형태의 제2 금형을, 상기 제1 금형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및 제2 금형의 형폐를 시작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금형의 형폐를 완료하는 단계;
    상기 형폐가 완료된 금형 내부의 캐비티에 수지를 사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출된 수지를 고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몰드 용기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몰드 라벨의 투입을 시작한 후부터 상기 제1 및 제2 금형의 형폐를 시작하기 전까지, 상기 인몰드 라벨 및 상기 제1 금형 사이에 진공을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인몰드 용기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금형의 형폐를 시작한 후부터 상기 제1 및 제2 금형의 형폐를 완료하기 전까지, 상기 인몰드 라벨 및 상기 제1 금형 사이의 진공을 제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인몰드 용기의 제조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금형의 형폐를 완료한 후부터 상기 사출된 수지가 고화될 때까지, 상기 인몰드 라벨 및 상기 제1 금형 사이에 진공을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인몰드 용기의 제조 방법.
KR1020090081195A 2009-08-31 2009-08-31 인몰드 라벨, 그를 포함하는 인몰드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1038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195A KR101038371B1 (ko) 2009-08-31 2009-08-31 인몰드 라벨, 그를 포함하는 인몰드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195A KR101038371B1 (ko) 2009-08-31 2009-08-31 인몰드 라벨, 그를 포함하는 인몰드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364A KR20110023364A (ko) 2011-03-08
KR101038371B1 true KR101038371B1 (ko) 2011-06-01

Family

ID=43931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1195A KR101038371B1 (ko) 2009-08-31 2009-08-31 인몰드 라벨, 그를 포함하는 인몰드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83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001469A1 (de) * 2018-02-22 2019-08-22 Georg Menshen Gmbh & Co. Kg Label für das In-Mould-Labeling-Verfahren
KR102522450B1 (ko) * 2021-08-12 2023-04-17 주식회사농심 음료용기의 라벨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8471A (ko) * 2006-03-10 2006-03-29 김종일 인몰드 사출라벨용 포장필름의 제조 방법
WO2008018546A1 (fr) 2006-08-09 2008-02-14 Dai Nippon Printing Co., Ltd. Récipient à étiquette au moulage
KR20080033133A (ko) * 2005-07-29 2008-04-16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인몰드 라벨부착 용기와 그 성형방법
JP2009101586A (ja) 2007-10-23 2009-05-14 Daio Paper Corp インモールドラベル付成形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3133A (ko) * 2005-07-29 2008-04-16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인몰드 라벨부착 용기와 그 성형방법
KR20060028471A (ko) * 2006-03-10 2006-03-29 김종일 인몰드 사출라벨용 포장필름의 제조 방법
WO2008018546A1 (fr) 2006-08-09 2008-02-14 Dai Nippon Printing Co., Ltd. Récipient à étiquette au moulage
JP2009101586A (ja) 2007-10-23 2009-05-14 Daio Paper Corp インモールドラベル付成形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364A (ko)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0404B2 (en) Paper food container with injection molded top rim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8795566B2 (en)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ed preform and a preform
CN104589670B (zh) 一种复合材料空腔结构气囊成型的气体通道设计方法
CN106003561B (zh) 一种电磁线盘注塑方法及注塑模具
KR101843517B1 (ko) 중공형 복합재 rtm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그리고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중공형 복합재
CN104349880A (zh) 纤维增强塑料构造体的成形方法和车辆用车轮
KR101038371B1 (ko) 인몰드 라벨, 그를 포함하는 인몰드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JP5236322B2 (ja) 立体模様付きチューブ容器とその成形方法およびその成形金型
US20150111006A1 (en) In-mold label forming surfaces for molded articles
CN109093908A (zh) 用于鞋底包膜的模具及鞋底包膜方法
JP2010280134A (ja) 2色成形用金型、2色成形品、および2色成形品の製造方法
KR101256853B1 (ko) 합성수지물의 이중사출성형방법
JP5160658B2 (ja) プラスチック製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5849202B2 (ja) 射出成形金型装置と射出成形方法
KR101224974B1 (ko) 캡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US9370885B2 (en) In-mold decorating method and in-mold system
JP5546158B2 (ja) インモールド成形金型、およびインモールド成形方法
KR101459838B1 (ko) 발포 소재의 제품 성형 장치 및 제품 성형 방법
KR101021492B1 (ko) 안경테의 사출 성형장치
JP4922700B2 (ja) 熱硬化性樹脂による成形品の両面絵付け成形法
KR20110020895A (ko) 신축 가능한 자재를 사용한 튜브 제조 방법
KR102260061B1 (ko) 손잡이를 갖춘 페트병 제조방법과 이에 따른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페트병
CN208323940U (zh) 一种碳纤维轮圈胎槽模芯
KR101953260B1 (ko) 수지역류 가스 인젝션을 이용한 수지 성형물 제조 방법
WO2023193222A1 (zh) 碳纤维自行车构件结构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