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450B1 - 음료용기의 라벨구조물 - Google Patents

음료용기의 라벨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2450B1
KR102522450B1 KR1020210106535A KR20210106535A KR102522450B1 KR 102522450 B1 KR102522450 B1 KR 102522450B1 KR 1020210106535 A KR1020210106535 A KR 1020210106535A KR 20210106535 A KR20210106535 A KR 20210106535A KR 102522450 B1 KR102522450 B1 KR 102522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structure
cone shape
beverage container
labe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4581A (ko
Inventor
강준석
김구영
김훈중
박은지
이한철
최은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농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농심 filed Critical 주식회사농심
Priority to KR1020210106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450B1/ko
Publication of KR20230024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22Features for removal or adhesion, e.g. tab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72Labels for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라벨구조물은 상면에서 하면으로 가면서 직경이 점차 확대되며, 상면과 저변이 개방되어 상면과 저면이 개방된 고깔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라벨구조물은 그 상단에서 아래로 일정구간 만큼은 상측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측부에는 다수개의 세로 절개선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각 세로 절개선 사이에 걸림편이 구성되고, 상기 상측부 아래에는 세로 절개선이 이어지지 않은 하측부가 구성된다.
상기 상측부의 걸림편부의 상단에는 위로 돌출되는 형태의 상부 테어탭이 형성되며, 상기 하측부의 하단에는 아래로 돌출되는 형태의 하부 테어탭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라벨구조물의 제작방법은 전개도 구성과정과, 상기 전개도에 맞게 원지를 재단하여 라벨구조물의 원형을 만드는 재단과정과, 상기 라벨구조물의 원형을 구부려서 접합하거나 끼움결속하여 고깔형태로 만드는 성형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성형과정에서는 원형의 하측부의 일측선단이 그 반대측 선단과 겹쳐져서 접착되도록 함으로써 라벨구조물이 고깔형태를 이루도록 한다.
상기 전개도 구성과정에서는 하측부의 일측선단에 접착탭이 구성되도록 하며, 상기 성형과정에서는 상기 접착탭이 하측부의 반대측 선단과 접착되도록 함으로써 라벨구조물이 고깔형태를 이루도록 한다.
상기 전개도 구성과정에서는 하측부의 일측단에는 끼움절개선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성형과정에서는 끼움절개선이 가장 외측의 세로절개선과 교차되어 끼움결속됨으로써 라벨구조물이 고깔형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라벨구조물은, 병목에 간단하게 끼워넣는 이른바 비접착방식으로 음료용기에 부착할 수 있으며, 폐기된 음료용기의 재활용시에는 병목으로부터 벗겨내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음료용기로부터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음료용기의 재활용에 따른 작업효율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음료용기의 라벨구조물{Label structure of beverage containers}
본 발명은 병형태의 음료용기에 구비되어 제품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라벨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용기의 병목에 끼워지는 비접착 방식으로 부착됨으로써 분리가 용이한 라벨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산되어 판매되는 주류, 음료, 생수 등의 제품은 일정한 규격의 유리병, 또는 PET 소재의 이른바 패트병 용기에 주입되어 유통된다.
그리고, 이러한 음료용기에는 제품에 대한 정보 및 바코드 등의 표기를 위한 라벨이 구비되는데, 예시적으로 맥주병과 같은 유리병에는 종이재질의 라벨이 접착되는 형태로 구비되고, 생수병과 같은 패트병에는 수축필름 형태의 라벨이 사용되었다.
수축필름은 폴리에틸렌 소재로서, 음료용기를 감싸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가열처리됨으로써 수축되어 음료용기의 표면에 밀착되는 방식으로 부착된다.
한편, 환경오염방지를 위하여서는 제품의 포장용기를 단순화함과 더불어 용기의 재활용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한데, 유리병의 경우에는 이를 파쇄하여 용융하거나 그대로 세척하여 재활용하며, 패트병의 경우에는 이를 용융하여 재활용하게 된다.
재활용 과정에서는 음료용기로부터 라벨을 분리하여, 라벨의 성분이 불순물로서 혼합되지 않도록 해야 하는데, 유리병에 접착된 종이라벨의 경우에는 이를 분리하기 위하여 화학적 세척 과정을 거쳐야 하며, 패트병에 부착된 수축필름의 경우에는 도구를 이용하여 이를 절단 분리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라벨을 분리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제거공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재활용 효율저하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료용기의 병목에 끼워지는 형태로 구비되며, 용이하게 분리되는 라벨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라벨구조물은 상면에서 하면으로 가면서 직경이 점차 확대되며, 상면과 저변이 개방되어 상면과 저면이 개방된 고깔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라벨구조물은 그 상단에서 아래로 일정구간 만큼은 상측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측부에는 다수개의 세로 절개선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각 세로 절개선 사이에 걸림편이 구성되고, 상기 상측부 아래에는 세로 절개선이 이어지지 않은 하측부가 구성된다.
상기 상측부의 걸림편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상단에는 위로 돌출되는 형태의 상부 테어탭(tear tap) 이 형성되며, 상기 하측부의 하단에는 아래로 돌출되는 형태의 하부 테어탭(tear tap)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라벨구조물의 제작방법은 세로절개선과 걸림편이 갖추어진 상측부와 상기 상측부의 하측에 구성되는 하측부가 구비된 라벨구조물의 전개도를 구성하는 전개도 구성과정과, 상기 전개도에 맞게 원지를 재단하여 라벨구조물의 원형을 만드는 재단과정과, 상기 라벨구조물의 원형을 구부려서 접합하거나 끼움결속하여 고깔형태로 만드는 성형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성형과정에서는 원형의 하측부의 일측선단이 그 반대측 선단과 겹쳐져서 접착되도록 함으로써 라벨구조물이 고깔형태를 이루도록 한다.
상기 전개도 구성과정에서는 하측부의 일측선단에 접착탭이 구성되도록 하며, 상기 성형과정에서는 상기 접착탭이 하측부의 반대측 선단과 접착되도록 함으로써 라벨구조물이 고깔형태를 이루도록 한다.
상기 전개도 구성과정에서는 하측부의 일측단에는 끼움절개선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성형과정에서는 끼움절개선이 가장 외측의 세로절개선과 교차되어 끼움결속됨으로써 라벨구조물이 고깔형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라벨구조물은, 병목에 간단하게 끼워넣는 이른바 비접착방식으로 음료용기에 부착할 수 있으며, 폐기된 음료용기의 재활용시에는 병목으로부터 벗겨내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음료용기로부터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음료용기의 재활용에 따른 작업효율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a: 본 발명에 따른 라벨구조물을 나타낸 도면
도 1b: 본 발명에 따른 라벨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상부 테어탭 있는 형태)
도 1c: 본 발명에 따른 라벨구조물을 나타낸 도면(하부 테어탭 있는 형태)
도 1d: 본 발명에 따른 라벨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상부 테어텝과 하부 테어탭 모두 있는 형태)
도 2a: 본 발명에 따른 라벨구조물이 음료용기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b: 본 발명에 따른 라벨구조물이 음료용기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상부 테어탭 있는 구조)
도 2c: 본 발명에 따른 라벨구조물이 음료용기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하부 테어탭 있는 구조)
도 2d: 본 발명에 따른 라벨구조물이 음료용기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상부 테어텝과 하부 테어탭 모두 있는 구조)
도 3a: 본 발명에 따른 라벨구조물의 전개도를 나타낸 도면
도 3b: 본 발명에 따른 라벨구조물의 전개도를 나타낸 도면(접착탭 있는 형태)
도 3c: 본 발명에 따른 라벨구조물의 전개도를 나타낸 도면(접착탭과 상부 테어탭 있는 형태)
도 3d: 본 발명에 따른 라벨구조물의 전개도를 나타낸 도면(접착탭 하부 테어텝 있는 형태)
도 3e: 본 발명에 따른 라벨구조물의 전개도를 나타낸 도면(접착탭과 상하부 테어탭 있는 형태)
도 4: 본 발명에 따른 라벨구조물의 전개도를 나타낸 도면(끼움절개선 있는 형태)
도 5: 본 발명에 따른 라벨구조물을 나타낸 도면(끼움절개선 있는 구조)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 1a 부터 도 5 까지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라벨구조물(10)은 상면에서 하면으로 가면서 직경이 점차 확대되며, 상면과 저면이 개방된 고깔형태로 이루어진다.
라벨구조물(10)의 상단에서 아래로 일정구간 만큼은 상측부(12)로 구성되며, 상기 상측부(12)에는 다수개의 세로 절개선(12a)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각 세로 절개선(12a) 사이에 걸림편(121)이 구성되고, 상기 상측부(12)의 아래에는 세로 절개선(12a)이 이어지지 않은 하측부(14)가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라벨구조물(10)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상측부(12)의 걸림편(121) 중에서 어느 하나에서 위로 돌출되는 형태의 상부 테어탭(tear tap)(122)(도 1b 참조) 이 형성되거나, 상기 하측부(14)의 하단에서 아래로 돌출되는 형태의 하부 테어탭(tear tap)(141)(도 1c 참조)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벨구조물(10)은 상부 테어탭(122)과, 하부 테어탭(141)이 모두 구비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1d 참조)
상기 라벨구조물(10)의 하측부(14)에는 테어조작이 용이하도록 점선타공된 테어라인(14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하다.
상기 테어라인(14a)은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세로 절개선(12a)(12a)과 이어지는 형태, 한쌍의 세로 절개선(12a)(12a)과 이어짐과 더불어 하부 테어탭(141)의 경계선에 도달하도록 이어지는 형태, 상부 테어탭(122)의 경계선에서 하부 테어탭(141)의 경계선으로 이어지는 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라벨구조물(10)은, 음료용기의 병목이 그 개방된 상면과 저면을 통과하도록 끼워진다.(도 2a ~ 2d 참조)
상기 라벨구조물(10)이 병목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상기 각 걸림편(121)은 탄력적으로 외향만곡되었다가, 완전히 끼워지면 복원되어 욤료용기의 병목에 밀착되며, 병목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병목의 넥링(neck ring)의 하단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라벨구조물(10)은 병목에 끼워지는 비접착 방식으로 음료용기에 부착되며, 부착된 상태에서는 인위적인 조작에 의하지 않고는 음료용기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 라벨구조물(10)은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종이소재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종이소재를 베이스로 하여 그 표면에 합성수지필름이 코팅된 소재 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폐기된 음료용기의 재활용시에는 다음과 같이 라벨구조물(10)을 병목으로부터 벗겨내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음료용기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부 테어탭(122)이 갖추어진 경우에는 상부 테어탭(122)을 잡고 아래로 잡아 당기는 방식으로 하측부(14)가 찢어지도록 하여 용이하게 라벨구조물(10)을 음료용기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하부 테어탭(141)이 갖추어진 경우에는 하부 테어탭(141)을 잡고 위로 들어올리는 방식으로 하측부(14)가 찢어지도록 하여 라벨구조물(10)을 음료용기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부 테어탭(122)과 하부 테어탭(141)이 모두 갖추어진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상부 테어탭(122)과 하부 테어탭(141) 중 어느 하나를 잡고 당겨서 하측부(14)가 찢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라벨구조물을 제작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벨구조물의 제작방법은, 라벨구조물(10)의 전개도를 구성하는 전개도 구성과정과, 상기 전개도에 맞게 원지를 재단하여 라벨구조물(10)의 원형을 만드는 재단과정과, 상기 라벨구조물(10)의 원형을 구부려서 고깔형태로 만드는 성형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라벨구조물(10)의 전개도는 내경 보다 외경의 직경이 크고 일부가 절취된 링형태로 이루어지며, 외형선은 물론이고, 세로절개선(12a) 또한 명확하게 드러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재단과정에서는 전개도가 외형선 및 세로절개선(12a)을 따라 정밀하게 재단됨으로써 걸림편(121) 및 상부 테어탭(122), 하부 테어탭(141)이 명확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성형과정에서는 원형을 구부려서 고깔형태로 만들게 되는데, 라벨구조물(10)이 고깔형태를 이루도록 하기 위해서는 예시적으로 다음과 같은 3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우선, 하측부(14)의 일측선단이 그 반대측 선단과 겹쳐져서 접착되도록 함으로써 라벨구조물(10)이 고깔형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른 전개도는 후술된 접착탭(142)이 없는 형태이다.(도 3a)
그리고, 상기 전개도 구성과정에서 하측부(14)의 일측선단에 접착탭(142)이 구성되도록 하며(도 3b ~ 3e 참조), 상기 성형과정에서 상기 접착탭(142)이 하측부(14)의 반대측 선단과 접착되도록 함으로써 라벨구조물(10)이 고깔형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개도 구성과정에서 하측부(14)의 일측단에 끼움절개선(14a)이 형성되도록 하며(도 4 참조), 상기 성형과정에서는 끼움절개선(14a)이 가장 외측의 세로절개선(12a)과 교차되어 끼움결속됨으로써 라벨구조물(10)이 고깔형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도 5 참조).
이와 같이 끼움절개선(14b)이 형성된 경우에는 끼움절개선(14b)의 외측단이 이른바 손잡이부(143)가 됨으로써, 이를 잡고 당기는 방식으로 찢어질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42)는 형태만으로는 타 부위와 쉽게 구별이 안될 수 도 있기 때문에, 외면에 "손잡이" 라는 글씨를 표기하거나, 타 부위와 색상을 다르게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라벨구조물(10)은 전개도를 구성하고 이를 재단하여 성형하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10: 라벨구조물
12: 상측부 12a: 세로절개선
121: 걸림편 122: 상부 테어탭
14: 하측부 14a: 테어라인
14b: 끼움절개선 141: 하부 테어탭
142: 손잡이부

Claims (8)

  1. 상면에서 하면으로 가면서 직경이 점차 확대되며, 상면과 저면이 개방된 고깔형태로서,
    그 상단에서 아래로 일정구간 만큼은 상측부(12)로 구성되며, 상기 상측부(12)에는 다수개의 세로 절개선(12a)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각 세로 절개선(12a) 사이에 걸림편(121)이 구성되고,
    상기 상측부(12) 아래에는 세로 절개선(12a)이 이어지지 않은 하측부(14)가 구성되며,
    상기 상측부(12)의 걸림편부(121) 중에서 어느 하나의 상단에는 위로 돌출되는 형태의 상부 테어탭(tear tap)(122) 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하측부(14)의 하단에는 아래로 돌출되는 형태의 하부 테어탭(tear tap)(141)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세로절개선(12a)과 걸림편(121)이 갖추어진 상측부(12)와 상기 상측부(12)의 하측에 구성되는 하측부(14)가 구비된 라벨구조물(10)의 전개도를 구성하는 전개도 구성과정과,
    상기 전개도에 맞게 원지를 재단하여 라벨구조물(10)의 원형을 만드는 재단과정과, 상기 라벨구조물(10)의 원형을 구부려서 접합하거나 끼움결속하여 고깔형태로 만드는 성형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전개도 구성과정에서는 하측부(14)의 일측단에는 끼움절개선(14b)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성형과정에서는 끼움절개선(14b)이 가장 외측의 세로절개선(12a)과 교차되어 끼움결속됨으로써 라벨구조물(10)이 고깔형태를 이루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구조물 제작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10106535A 2021-08-12 2021-08-12 음료용기의 라벨구조물 KR102522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535A KR102522450B1 (ko) 2021-08-12 2021-08-12 음료용기의 라벨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535A KR102522450B1 (ko) 2021-08-12 2021-08-12 음료용기의 라벨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581A KR20230024581A (ko) 2023-02-21
KR102522450B1 true KR102522450B1 (ko) 2023-04-17

Family

ID=85327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535A KR102522450B1 (ko) 2021-08-12 2021-08-12 음료용기의 라벨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24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9017A (ja) * 1999-07-05 2001-01-23 Fuji Seal Inc 包装体及び熱収縮性包装材
JP5453588B2 (ja) 2009-05-28 2014-03-26 株式会社フジシール 首掛けラベル付き容器
KR101384292B1 (ko) * 2012-11-19 2014-04-09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Rfid 태크 유닛 및 rfid 태그 유닛을 적용한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371B1 (ko) * 2009-08-31 2011-06-01 주식회사 비앤씨 인몰드 라벨, 그를 포함하는 인몰드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9017A (ja) * 1999-07-05 2001-01-23 Fuji Seal Inc 包装体及び熱収縮性包装材
JP5453588B2 (ja) 2009-05-28 2014-03-26 株式会社フジシール 首掛けラベル付き容器
KR101384292B1 (ko) * 2012-11-19 2014-04-09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Rfid 태크 유닛 및 rfid 태그 유닛을 적용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581A (ko)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52570B (zh) 用于瓶子的承载件
KR20210041103A (ko) 용기용 패키지
US8297438B2 (en) Multipack carrier for packaging containers
JP5535333B2 (ja) 容器用パッケージ
US8814034B2 (en) Collapsible paperboard container and a blank for constructing the same
US20070095784A1 (en) Package for liquid laundry products
US10377534B2 (en) Tamper evidence bridges
CN101312887A (zh) 具有增强把手的纸箱
US6730253B2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 shrink sleeved bottle with a handle
US20220363433A1 (en) Cup with integrated folding lid
KR102522450B1 (ko) 음료용기의 라벨구조물
US20190084729A1 (en) Heat-shrink secondary-closure capsule and use of the skirt of a secondary-closure capsule to produce a drip stop spout
WO2006000225A1 (en) A container body with an integrated handle
US8292112B2 (en) Aluminum container
KR102177076B1 (ko)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
WO2016073943A1 (en) Cork and paperboard beverage-packaging container
JP2016108055A (ja) 開けやすい切妻屋根型の紙製容器、開けやすいブリック型など切妻屋根型以外の紙製容器
JP4557233B2 (ja) 筒状ラベル付き容器及び筒状ラベル
KR20240026943A (ko) 컨테이너용 캐리어
JP7413848B2 (ja) 合成樹脂製容器
JP3898125B2 (ja) 易開封性薄膜フィルム巻着体
CN219506630U (zh) 一种一体化防伪胶帽
CN215361969U (zh) 一种软饮封装薄膜及封装装置
EP4132864B1 (en) Spout-cap unit, pouch comprising such a spout-cap unit
US20220153467A1 (en) Pet container cap with simultaneously separable end 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