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7553B1 -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기계적 상태의 모니터링 - Google Patents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기계적 상태의 모니터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553B1
KR102407553B1 KR1020197028172A KR20197028172A KR102407553B1 KR 102407553 B1 KR102407553 B1 KR 102407553B1 KR 1020197028172 A KR1020197028172 A KR 1020197028172A KR 20197028172 A KR20197028172 A KR 20197028172A KR 102407553 B1 KR102407553 B1 KR 102407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lator
comparison
band
monitor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8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2393A (ko
Inventor
토마스 노파첵
위르크 부리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190132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2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5Applications of security mon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6Monitoring for maintenance or re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7/00Indicating operating condition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0Kinds or typ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2Escalators
    • B66B21/04Escalators linea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0Kinds or typ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10Moving walkway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회전 밴드 및 하나 이상의 검출 장치를 갖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기계적 상태를 검출 및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적어도 다음의 방법 단계들을 포함한다: 회전 밴드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공간 이미지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영역을 하나 이상의 비교 영역과 비교하는 단계로서, 이 비교 영역은 3 차원 좌표에 의해 규정되고, 선택된 영역에 명확하게 할당될 수 있는 가상 공간을 나타내는, 상기 비교하는 단계, 선택된 영역이 미리 결정된 한계를 초과함으로써 비교 영역과 다른 경우에 알람 신호를 생성시키는 단계.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기계적 상태의 모니터링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기계적 상태를 검출 및 모니터링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기계적 상태를 검출 및 모니터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검출 장치를 갖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에 관한 것이다.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 보도에는 승객 운송 설비의 안전한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 기계적 상태를 검출 및 모니터링하기 위한 검출 장치가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CN 201132723 Y 는 에스컬레이터를 개시하고 있는데, 그 스텝 밴드는 센서들에 의해 모니터링된다. 스텝이 스텝 밴드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이는 센서가 에스컬레이터 컨트롤러에 대한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검출하는 간격을 발생시킨다. 에스컬레이터 컨트롤러는 신호를 수신하는 즉시 스텝 밴드를 정지시킨다.
또한, JP 2010269884 A 는 스텝 밴드의 기계적 상태를 검출 및 모니터링하기 위한 검출 장치를 갖는 에스컬레이터를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 에스컬레이터 스텝의 이미지들은 2 대의 카메라로 캡처되고 평가된다.
JP 2009190818 A 에서, 스텝 밴드와 베이스 스커트 패널 사이의 갭은 복수의 센서들에 의해 모니터링된다.
그러나, 높은 모니터링 밀도 또는 보다 정확하게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많은 중요 위치들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많은 수의 센서들을 필요로 한다. 이는, 그러한 검출 장치가 매우 비싸고, 특히, 각각의 추가 센서에 의해, 높은 모니터링 밀도를 갖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 또는 전체 시스템의 민감도가 증가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전히 비용-효율적이고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높은 작동 안전성 및 가용성을 보장하는 검출 장치에 의해 높은 모니터링 밀도를 가능하게 하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기계적 상태를 검출 및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및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하나 이상의 회전 밴드 및 하나 이상의 검출 장치를 갖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기계적 상태를 검출 및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 방법은 검출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적어도 다음의 방법 단계들을 포함한다:
ㆍ 회전 밴드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ㆍ 공간 이미지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ㆍ 선택된 영역을 하나 이상의 비교 영역과 비교하는 단계로서, 이 비교 영역은 3 차원 좌표에 의해 규정되고, 선택된 영역에 명확하게 할당될 수 있는 가상 공간을 나타내는, 상기 비교하는 단계, 및
ㆍ 선택된 영역이 미리 결정된 한계를 초과함으로써 비교 영역과 다른 경우에 알람 신호를 생성시키는 단계.
본 방법에서는, 공간 이미지의 포인트들, 영역들 및 에지들의 위치가 가상 공간과 비교되기 때문에, 정밀하고 안전한 모니터링은 이미지 및 비교 영역이 어떻게 서로 공간 관계가 이루어지는지에 의존한다.
선택된 영역에 대한 비교 영역의 간단하고 정확한 할당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준 마크들을 통해 수행된다. 기준 마크들은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고정된 부품들에 할당된다. 따라서, 기준 마크들은 공간 이미지에서 기준 마크 이미지로서 식별될 수 있다. 실제로, 마크는 고정된 영역, 예를 들어 회전 밴드의 가이드 레일 또는 트러스에 배열되거나, 이 영역은 뚜렷하게 돌출된 스크류 헤드와 같은 구조-관련의 두드러진 특징을 갖는다. 비교 영역에는, 예를 들어, 공간 좌표에 의해 규정되는 가상 기준 마크로서 이후에 지칭되는 기준 마크가 또한 제공된다. 이제, 가상 기준 마크 및 기준 마크 이미지가 비교 영역 및 이미지의 공간 좌표 시스템의 영점 (zero point) 으로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할당이 매우 간단하다.
현재 실제 상태의 공간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할당된 가상 공간과 비교하고 이를 분석하는 이 방법 덕분에, 단일 검출 장치로 많은 수의 중요 위치들을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에 관한 대부분의 안전-결정적 또는 손상-관련 사고가 의도된 이동 방향 또는 이동 경로로부터의 이동 부품의 공간 변위와 함께 발생한다는 지식에 기초한다. 구체적으로, 이는 특히 에스컬레이터의 회전 스텝 밴드 또는 이동 보도의 회전 팔레트 밴드 뿐만아니라 스텝 밴드 또는 팔레트 밴드의 측방에서 스텝 밴드 또는 팔레트 밴드에 대해 평행하게 각각 배치된 회전 핸드레일 및 핸드레일 벨트 또는 링크 핸드레일 밴드와 관련된다. 더 나은 가독성을 위해,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고정된 부분들에 대해 회전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들 부품들은 이하에서 회전 밴드라고 한다.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고정된 부분들은, 예를 들어, 각각 지지 구조물 및 트러스 뿐만 아니라, 그곳에 고정식으로 배치된 부품들, 예컨대 난간 베이스의 트림 부분들, 가이드 레일, 프레임 등을 포함한다.
아래에는 이동가능한 부품들의 의도된 이동 방향으로부터의 공간적 변위로 인해 임박한 안전-결정적 이벤트 및/또는 임박한 손상 이벤트가 검출될 수 있는 몇 가지 예이다. 이 이벤트들은 결정적인 목록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이동가능한 부품들의 의도된 이동 방향으로부터의 공간 변위를 초래할 수 있는 다른 이유들이 여전히 다수 존재한다.
첫 번째 가능한 이벤트는 예를 들어 스텝 또는 팔레트의 트레드의 우측 사이드에 대한 좌측 사이드의 하강 또는 상승에 관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트레드는 이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이 경사의 원인은, 예를 들어, 파손된 스텝 액슬, 마모로 인한 직경 감소 또는 드래그 롤러 또는 체인 롤러의 파손, 파손된 스텝 치크 (cheek) 또는 팔레트 치크, 스텝 부싱에 대한 손상, 스텝 밴드 또는 팔레트 밴드의 체인에 대한 팔레트 또는 스텝 사이의 연결부의 파손, 또는 트레드 상에서의 먼지의 쌓임으로 인한 체인 롤러 또는 드래그 롤러의 확장일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 레일이 하강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트레드의 과도한 경사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사용자를 방해할 뿐만아니라, 트레드가 콤 플레이트 (comb plate) 와 충돌하는 것을 유발하거나 가이드 레일 및 베이스 스커트 패널을 손상시킬 수 있다.
트레드의 경사를 검출하기 위해, 스텝 및 팔레트의 사이드 치크의 하부 에지들의 공간 위치가 모니터링될 수 있다. 여기서, 이들 하부 에지들은 공간 이미지로부터 선택되고, 비교 영역과 비교된다. 엄밀히 말하면, 공간 이미지의 선택된 영역의 캡처된 지점들의 공간 좌표들은 전자 데이터 저장장치로부터 검색될 수 있는 공간 좌표들과 비교된다. 비교를 통해, 서로로부터의 이들의 공간 편차가 결정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비교 영역은 선택된 영역에 명확하게 할당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이 할당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선택된 영역의 공간 편차가 한계 값에 의해 규정된 특정 가상 공간을 초과하거나, 또는, 각각, 선택된 영역이 이 가상 공간을 넘어서면, 모니터링될 이벤트, 본 예에서는 트레드의 경사가 발생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는, 한계 값을 초과하는 과도한 경사가 검출되고 검출 장치에 의해서 알람 신호가 생성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 알람 신호는 상이한 동작들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알람 신호가 에스컬레이터의 컨트롤러에 전송되어 회전 밴드를 정지시킨다. 예를 들어, 검출 장치는 또한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광학 및/또는 음향 출력 장치를 가질 수 있다.
전체 트레드 요소가 누락된 경우, 선택되는 영역들은 공간 이미지에서도 그리고 그에 따라서 선택된 영역의 공간 좌표에서도 누락되며, 이는 비교 영역과 비교할 때에 한계 값의 초과 또는 최대 편차를 초래한다. 이 경우,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컨트롤러는 즉시 비상 제동을 시작하고 스텝 밴드 또는 팔레트 밴드를 중지시켜야 한다.
스텝 밴드 또는 팔레트 밴드의 드래그 롤러 또는 체인 롤러는 공간 이미지로부터 선택되어 그에 따라 모니터링될 수 있다. 드래그 롤러 또는 체인 롤러가 누락되거나 그 외경이 너무 큰 경우, 이 선택된 영역 (예를 들어, 원통형으로 규정된 가상 공간) 은, 데이터 저장장치에서 검색되어 선택된 영역에 명확하게 할당되는 비교 영역과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모니터링될 이벤트 동안에 대응하는 비교 영역으로부터 특히 큰 편차를 갖는 공간 이미지로부터 선택되고, 따라서 이 가능한 이벤트에 대한 변별 표면 또는 에지를 나타낸다.
두 번째 가능한 이벤트는 트레드 표면의 경사와 관련이 있다. 이 이벤트에서는 트레드 요소의 트레드 표면이 수평으로 배열되지만, 팔레트 또는 스텝의 사이드 치크는 난간 베이스 및 이의 베이스 스커트 패널에 대해 평행하지 않거나, 또는, 각각, 트레드 표면의 전방 에지 및 후방 에지는 베이스 스커트 패널에 대해 수직하지 않다. 이 경사의 원인은 좌측 또는 우측의 흠결있는 스텝 부싱일 수 있다. 컨베이어 체인들 중 하나의 체인 길이는 비대칭 마모로 인해 타측에서보다도 스텝 밴드 또는 팔레트 밴드의 일측에서 더 클 수도 있다. 또한, 스텝 또는 팔레트와 컨베이어 체인 사이의 파손된 연결 (스텝 액슬), 또는 스텝 밴드 또는 팔레트 밴드를 베이스 스커트 패널에 대해 정해진 거리에 유지하는 결함있는 슬라이딩 블록은 마찬가지로 트레드 표면의 경사를 초래할 수 있다.
트레드 표면을 검출하기 위해, 예를 들어 스텝 및 팔레트의 트레드 표면의 전방 에지 또는 후방 에지 또는 사이드 치크의 공간 위치가 모니터링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이들 영역은 공간 이미지로부터 선택되고 할당가능한 비교 영역과 비교된다.
그러나, 회전 밴드의 영역 뿐만아니라 가이드 레일 또는 베이스 스커트 패널의 섹션과 같은 고정 부분도 공간 이미지 상에 이미징된다. 점검 목적으로, 스텝 및 팔레트의 트레드 표면의 전방 에지 또는 후방 에지 또는 사이드 치크의 거리 및 각도상 위치 또는 평행도가 이들 고정 부품에 대해서 측정될 수 있고, 데이터 저장장치로부터 검색될 수 있는 비교 영역에 기초하여 평가될 수 있다.
세 번째 가능한 이벤트는 KR 920007689 U 에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소위 스텝의 틸팅과 관련이 있다. 결함으로 인해, 가이드 레일과 스텝 사이에는 더 많은 백래시가 있다. 사용자는 스텝 밴드를 벗어나 콤 플레이트를 밟기 전에 스텝을 수행해야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스텝의 전방 에지 (트레드 표면과 라이저 표면 사이의 에지) 를 밟고 그럼으로써 후방 에지는 시스템에서의 더 큰 백래시로 인해 일어설 수 있고, 그 후 콤 플레이트에 맞닿게 된다. 더 큰 백래시는 일반적으로 스텝 체인, 체인 핀, 스텝 액슬, 스텝 부싱 및 스텝의 스텝 아이 (step eye) 의 마모로 인해 발생한다.
트레드 표면의 상향 틸팅을 검출하기 위해, 예를 들어 트레드 및 팔레트의 트레드 표면의 전방 에지 또는 후방 에지의 공간 위치가 모니터링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이들 영역은 공간 이미지로부터 선택되고 할당가능한 비교 영역과 비교된다.
네 번째 가능한 이벤트는 스텝 또는 팔레트와 베이스 스커트 패널 사이의 갭 증가의 검출에 관한 것이다. 신발, 손가락, 의복 등이 끼이는 것으로 인해 많은 사고가 발생하는 이 중요한 영역은 고정 난간 베이스와 이동 스텝 또는 팔레트 사이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에스컬레이터의 경우, 경사 영역으로부터 부가하여 스텝들이 서로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하는 수평 영역으로의 전이 영역에서는, 예를 들어 PCCR (Proprietary closed-cell resin) 과 같은 연질 폼 재료로 만들어진 신발과 같은 물체가 끌어 당겨질 수 있다. 스텝과 베이스 스커트 패널 사이의 갭은 이상적으로는 3 mm 이어야 한다. 신발/의복/손가락이 끼인 경우, 갭은 증가할 것이다. 갭의 증가 및/또는 외부 부품 (신발, 의복 등) 뿐만 아니라 스텝 밴드 또는 팔레트 밴드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의 (또는 그 반대로의) 변위 및 베이스 스커트 패널의 굽힘은 공간 이미지에서 볼 수 있다. 이 가능한 이벤트는 예를 들어 스텝 및 팔레트의 트레드 표면의 사이드 에지의 공간적 위치를 모니터링함으로써 포착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이들 영역은 공간 이미지로부터 선택되고 할당가능한 비교 영역과 비교된다. 예를 들어 편차가 검출되자마자, 알람 신호가 에스컬레이터 컨트롤러에 출력되고 에스컬레이터 컨트롤러는 콤 플레이트에서 물체의 일부의 임의의 또 다른 끌어당김 또는 분리가 발생하기 전에 에스컬레이터를 즉시 중지시킨다.
다섯 번째 가능한 이벤트는 트레드 표면으로부터 트레드 표면으로의 전이 (두 트레드 표면들간의 갭) 와 관련이 있다. 트레드 표면들 사이의 갭에 의복 또는 다른 것들이 위치하자마자, 이들은 공간 이미지 상에 이미지화된다. 트레드 표면들의 에지 영역들의 표면들을 선택할 때, 공간 이미지의 이 선택된 영역은 형상 및 위치의 관점에서 할당된 비교 영역으로부터 벗어나고, 문제가 식별된다.
여섯 번째 가능한 이벤트는 회전 밴드 또는 회전 핸드레일의 핸드 레일 텐션과 관련이 있다. 여기서, 검출 장치는 핸드레일 리턴 트래블의 섹션이 또한 캡처되도록 배열된다. 핸드레일이 모니터링되는 경우, 검출 장치는, 예를 들어 에스컬레이터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수평 섹션으로부터 경사 섹션으로의 하부 전이 영역에 배치되는데, 왜냐하면 상부 전이 영역에서의 핸드레일 드라이브의 배치 및 중력으로 인해 회전 밴드의 처짐이 먼저 발생하기 때문이다. 약간의 처짐이 필요한데, 그렇지 않으면 회전 밴드가 너무 많이 긴장되어 마모가 심하기 때문이다. 너무 낮은 텐션과 그에 따른 큰 처짐에 의하면, 핸드레일과 회전 밴드 사이의 마찰이 너무 낮아질 위험이 있다. 공간 이미지 상에 캡처된 처짐은, 예를 들어 비교 영역에 의해 미리 결정된 한계 내에 있어야 하는 핸드레일 벨트의 선택된 아치형 종방향 에지에 기초하여, 평가된다.
검출 장치의 적절한 배치에 의하면, 전술한 가능한 이벤트들은 대응하는 영역들을 선택하고 이들을 할당가능한 비교 영역들과 비교함으로써 검출 장치의 단일 공간 이미지에 의해 모니터링 시간에 모두 검출되거나 모니터링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예를 들어, 스텝 치크의 하부 에지와 같은 개별 선택된 영역 또는 개별 변별 영역 및 에지는 다수의 이점을 갖게 되는데, 왜냐하면 다수의 가능한 이벤트들이 이들을 비교 영역과 비교함으로써 점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선택된 영역으로서는 회전 밴드의 핸드레일 섹션 또는 트레드 요소의 변별 표면 또는 변별 에지가 적합하다. 공간 이미지에서의 영점에 대한 이들의 공간 위치는 비교 영역의 영점을 통해 이들의 목표 위치의 미리 결정된 한계와 비교된다. 미리 결정된 한계 (허용 편차) 로 인해, 비교 영역은 항상 공간 이미지의 점, 에지 또는 표면의 공간 배열 또는 위치가 결정되는 가상 공간이다.
선택된 영역이 비교 영역의 가상 공간을 넘어서 적어도 일 위치에서 돌출되면, 비교 영역의 미리 결정된 한계가 초과된다. 선택된 영역에서 에지 또는 표면이 누락된 경우, 이는 미리 결정된 한계를 초과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는, 미리 결정된 각도상 공차 한계를 초과함으로써 가상 공간의 대응하는 에지 또는 표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되지 않는 선택된 영역의 에지 또는 표면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작동 중에, 충분한 작동 모니터링을 달성하기 위해 공간 이미지들이 전술한 검출 장치로 반복적으로 캡처되고 평가된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개별 이미지들의 시간 순서와 단위 시간당 이미지들의 수는 입법부의 규정 및 표준, 작업자의 요구 및 모니터링 목표를 준수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다운타임 동안에는, 이미지가 촬영되고 평가될 수 없으며, 소위 무음 주행 (무부하 및 감속) 동안에는, 시간당 4 개의 이미지가 촬영되고 평가될 수 있으며, 공칭 속도에서는, 분당 하나의 이미지가 촬영되고 평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검출 장치는 회전 밴드의 전체 회전 동안에 전체 밴드가 이미지 상에 이미지화되도록 제어된다. 선택 및 비교는 이미지의 개별 영역마다 매우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핸드레일 벨트의 처짐이 매 100 번째 이미지마다 점검되는 동안에 트레드 요소들의 위치는 각각의 이미지에 대한 비교 영역과 비교될 수 있다.
또한, 각 공간 이미지를 평가하거나 선택된 모든 영역을 비교 영역과 비교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지는 않다. 예를 들어, 회전 밴드 섹션의 일련의 공간 이미지를 준비하고, 공간 이미지 상에 캡처된 표면 및 에지의 거리를 적어도 하나의 기준 마크 이미지와 비교함으로써, 할당된 비교 영역 및 그 가상 기준 마크에 가장 잘 매칭하는 공간 이미지를 선택하고, 이 공간 이미지의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영역과 비교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그럼으로써, 적용가능한 경우, 최적 매칭 공간 이미지로부터 선택된 영역이 기준 마크 이미지에 대해서 가상 기준 마크에 대한 할당된 비교 영역과 적어도 대략 동일한 위치를 가지므로, 공간 이미지의 보정은 필요하지 않다.
필요한 컴퓨팅 파워를 추가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준 마크 이미지가 각각의 공간 이미지의 대략 동일한 위치에서 항상 이미지화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고정된 부품 상에 배치된 위치 결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위치 결정 장치는 회전 밴드의 핸드레일 섹션 또는 트레드 요소의 두드러인 표면, 에지 또는 마크를 검출한다. 검출이 발생하자마자, 위치 결정 장치는 위치 결정 장치에 대한 검출된 표면, 에지 또는 마크의 현재 위치에 따라 이미징 장치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트리거를 생성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회전 밴드의 캡처될 트레드 요소의 이미지는 에스컬레이터의 고정된 부품에 대해 항상 동일한 위치에 준비된다. 다시 말해서, 이미지들은 상이한 트레드 요소들을 보여 주지만, 이들 모두는 공동-이미지화된 부품들과 관련하여 대략 동일한 위치에서 캡처되었다. 따라서, 단지 아주 작은 수정이 행해져야 하거나, 가상 기준 마크와 기준 마크 이미지의 위치 비교를 통해 충분한 위치 편차가 결정되면 비교 영역과의 비교가 직접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과도한 위치 편차의 경우에 요구되는 비교 영역에 대한 공간 이미지의 상이한 카메라 각도로 인한 왜곡의 보정이 생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검출 장치는 전자 처리 유닛을 포함한다. 전자 처리 유닛을 통해, 예를 들어, 공간 이미지의 영역의 선택 및 비교 영역에 대한 할당이 수행될 수 있다. 이 처리 유닛은 또한 분석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분석 유닛에 의해, 비교 영역의 한계에 대한 선택된 영역의 표면 또는 에지의 위치가 분석될 수 있고, 위치 리저브가 결정될 수 있다. 결정된 위치 리저브에 기초하여 그리고/또는 미리 결정되고 저장된 복수의 위치 리저브들의 이력에 대한 분석에 의해, 다음의 유지보수 날짜가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심각한 결과적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임박한 손상이 조기에 검출되고 이의 개발이 모니터링된다.
분석 장치에 의해 유지보수와 관련된 것으로서 분류된 위치 리저브로부터, 수행될 작업 단계 및 유지보수에 필요한 유지보수 재료가 결정될 수 있다. 적용가능한 경우, 이는 예를 들어 분석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비교 영역은 다양한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검출 장치의 데이터 저장장치 또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컨트롤러에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비교 영역은 또한 예를 들어 USB 스틱, 외장 하드 드라이브, 휴대폰, 인터넷을 통해 검색가능한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외부 데이터 저장장치 또는 월드 와이드 웹의 클라우드에 저장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이 저장 매체로부터 검색될 수 있다.
비교 영역을 생성 및 저장하기 위해, 예를 들어, 최대 허용 편차를 나타내는 바운딩 볼륨 요소를 갖는 학습 운동이 수행될 수 있고, 그 공간 이미지는 전술한 데이터 저장장치들 중의 하나에 저장될 수 있다.
물론,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부품 뿐만 아니라 비교 영역도 3D CAD 시스템을 사용하여 설계되고 데이터 저장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동작을 위해 제공된 회전 밴드로 학습 운동을 수행하고 밴드의 영역의 공간 이미지를 준비할 수도 있다. 그 후, 3 차원 좌표 형태의 한계 값을 공간 이미지의 두드러진 에지 및 표면에 가산함으로써, 한계 값만큼 큰 가상 공간이 비교 영역으로서 규정된다는 점에서 비교 영역이 이 공간 이미지로부터 생성된다.
또한, 검출 장치의 기능성을 점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 요소에 의한 테스트 이동이 수행될 수 있다. 테스트 요소는 회전 밴드의 섹션 대신에 (예를 들어, 스텝 대신에)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회전 밴드에서의 임시 부착을 위한 부착 부품으로서 (예를 들어, 핸드레일 벨트를 위한 부착 슬리브로서) 설계된다. 이 테스트 요소는 적어도 일 위치에서 비교 영역을 넘어서 돌출되도록 치수가 정해져 있다. 따라서, 검출 장치는 선택 및 비교에 의해 테스트 요소의 공간 이미지가 평가되는 때에 알람 신호를 출력해야 한다.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전술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회전 방식으로 배열된 밴드 및 기계적 상태를 검출 및 모니터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검출 장치를 갖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가 제공된다. 검출 장치는 공간 이미지를 생성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캡처 장치를 포함한다. 본 문서에 따른 공간 이미지는 가상 3D 모델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이 공간 이미지는 가능한한 스케일에 맞는 캡처된 구조의 디지털 형태의 3 차원 표현이며, 가상 공간에서의 공간 이미지의 개별 지점들은 3 차원 좌표에 의해 그리고/또는 벡터 좌표에 의해 규정된다.
검출 장치를 통해, 회전 밴드의 섹션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 이미지가 생성되는 점에서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고정된 부품들에 대한 회전 밴드의 상태 및/또는 밴드의 섹션들의 배치가 검출될 수 있다. 이 이미지 상에 캡처된 섹션의 두드러진 표면 또는 에지는 검출 장치의 처리 유닛에 의해 선택될 수 있고 데이터 저장장치에 저장된 3 차원 비교 영역과 비교될 수 있다. 선택된 영역이 미리 결정된 한계를 초과하여 비교 영역과 다른 경우, 알람 신호가 검출 장치에 의해 생성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검출 장치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고정된 부품 상에 배치되고 회전 밴드의 핸드레일 섹션 또는 트레드 요소의 두드러진 표면, 에지 또는 마크를 검출할 수 있는 위치 결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결정 장치에 의해, 이미지 캡처 장치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트리거가 위치 결정 장치에 대한 검출된 표면, 에지 또는 마크의 현재 위치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검출 장치 또는 이미지 캡처 장치는 회전 밴드의 전진 트래블과 회전 밴드의 복귀 트래블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검출 장치는 또한,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길이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신경 점들의 영역에 분포된 복수의 이미지 캡처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작동 단계 중에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 보도에는 많은 먼지가 쌓인다. 먼지는 또한 이미지 캡처 장치에 부착될 수도 있다. 먼지 층이 너무 조밀해지면, 이는 송신 장치, 예를 들어 레이저 스캐너의 레이저 뿐만 아니라 수신 장치, 예를 들어 레이저 스캐너의 포토셀을 덮어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캡처 장치에는 전송 장치 및 수신 장치에 걸쳐 있는 투명 보호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검출 장치는 투명 보호 커버의 적어도 일부 표면을 주기적으로 세정하는 세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능한 특징들 및 장점들 중의 일부는 상이한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특히, 일부 특징들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참조하여 설명되고, 다른 특징들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당업자는 특징들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들에 도달하기 위해 적절히 조합, 적응 또는 교환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을 설명하지만, 도면이나 설명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검출 장치를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를 도시한다.
도 2 는 상세 도면 2a 내지 도 2c 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의 주요 방법 단계 및 검출 장치의 작동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 은 의도된 위치에 대한 경사가 도시된 것에 기초하여 회전 밴드의 섹션으로서의 에스컬레이터 스텝을 도시한다.
도 4 는 학습 운동에 적합한 바운딩 볼륨 요소의 가능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면은 단지 개략적인 것이며 스케일에 맞지 않다.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동일한 특징물을 나타낸다.
도 1 은 예를 들어 두 레벨 (E1, E2) 사이에서 사람을 운송할 수 있는 예시적인 에스컬레이터 (1) 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에스컬레이터 (1) 는 명확성을 위해 윤곽선으로만 도시되어 있는 트러스 형태의 지지 구조체 (2) 를 갖는다. 지지 구조체 (2) 는 에스컬레이터 (1) 의 부품들을 수용하고 건물 내에서 이들을 지지한다. 이 부품들은 예를 들어 난간 (3) (측면도로 인해 하나만 도시됨) 을 포함하고, 이 난간은 회전식으로 배치된 핸드레일 (5) 을 포함한다. 난간 (3) 은 난간 베이스 (4) 를 통해 지지 구조체 (2) 에 연결된다. 핸드레일 (5) 또는, 각각, 이 회전 밴드 (5) 는 에스컬레이터 (1) 의 구동 장치 (25) 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마찰 드라이브 (6) 를 통해 구동된다. 핸드레일 (5) 의 정확한 텐션은 개략적으로 도시된 핸드레일 텐셔닝 장치 (7) 에 의해 유지된다.
에스컬레이터 (1) 는 2 개의 환형 폐쇄형 회전 컨베이어 체인들 (11) 을 추가로 포함하며, 측면도 때문에 이 컨베이어 체인들 중의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다. 2 개의 컨베이어 체인 (11) 은 복수의 체인 링크들로 구성된다. 2 개의 컨베이어 체인 (11) 은 이동 방향으로 이동 경로 (8) 를 따라 변위될 수 있다. 컨베이어 체인들 (11) 은 서로 평행하게 진행하며, 이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레벨들 (E1, E2) 에 인접한 단부 영역에서, 컨베이어 체인들 (11) 은 편향 스프로킷들 (15, 16) 에 의해 편향된다.
2 개의 컨베이어 체인들 (11) 사이에는, 컨베이어 체인들 (11) 을 이동 경로 (8) 를 가로질러 서로 연결하는 트레드 스텝 형태의 복수의 트레드 요소들 (9) 이 배치된다. 트레드 스텝 (9) 은 컨베이어 체인 (11) 에 의해 이동 경로 (8) 를 따라 이동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컨베이어 체인 (11) 상에서 안내되는 트레드 요소들 (9) 은 스텝 밴드 (10) 또는, 각각 회전 밴드 (10) 를 형성하는데, 이 회전 밴드에서는 트레드 요소들 (9) 이 이동 경로 (8) 를 따라 앞뒤로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운송 영역 (19) 에서 사용자들에 의해 밟혀질 수 있다. 회전 밴드 (10) 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가이드 레일들 (12) 에 의해 안내되고 중력에 대해 지지된다. 이 가이드 레일들 (12) 은 지지 구조체 (2) 에 고정적으로 배치된다.
컨베이어 체인 (11) 을 변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위 레벨 (E2) 의 스프로킷 (16) 은 구동 장치 (25) 에 연결된다. 구동 장치 (25) 는 컨트롤러 (24) (도 1 에만 개략적으로 도시됨) 에 의해 제어된다. 회전 밴드 (10) 는 구동 장치 (25) 및 편향 휠 (15, 16) 과 함께 사용자 및 물체를 위한 컨베이어 시스템을 형성하며, 이의 트레드 요소 (9) 는 건물에 고정식으로 고정 부착된 지지 구조체 (2) 에 대해 변위될 수 있다.
위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에 관한 안전에 치명적이고 그리고/또는 손상에 관련된 이벤트들의 대부분은 이동 부품들의 그 의도된 이동 방향으로부터의 공간 변위를 동반한다. 그럼으로써, 특히 스텝 밴드 (10) 또는 회전 핸드레일 (5) 과 같은 회전 밴드 (5, 10) 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임박한 손상이 검출될 수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본 예에서는 두 개의 이미지 캡쳐 장치 (21) 및 처리 유닛 (22) 을 포함하는 검출 장치 (20) 가 에스컬레이터 (1) 에 배치된다. 이미지 캡쳐 장치 (21) 는 에스컬레이터 (1) 의 경사진 중간 부분과 레벨 (E1, E2) 상에 배치된 에스컬레이터 (1) 의 수평 섹션 사이의 전이 영역에서 구조체 (2) 에 고정식으로 배치된다. 특히, 사용자에 의해 로딩된 스텝 밴드 (10) 의 전진 트래블이 모니터링되고 분석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미지 캡처 장치 (21) 는 스텝 밴드 (10) 또는 각각 회전 밴드 (10) 의 전진 트래블과 복귀 트래블 사이에 배치된다. 이미지 캡처 장치 (21) 는, 기술적인 이유로 제한되고 점선 및 각도 α 에 의해 도 1 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검출 필드 (α) 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미지 캡처 장치 (21) 는 오직 회전 밴드 (10) 의 섹션을 검출할 수 있다.
하위 레벨 (E1) 의 전이 영역에 배치된 이미지 캡처 장치 (21) 는 또한 핸드레일 (5) 의 처짐 (28) 을 검출할 수 있다. 처짐은 핸드레일 텐셔닝 장치 (7) 에 의한 핸드레일 (5) 의 불충분한 텐션 및 정확히 이 위치에서의 중력에 기인한다.
두 개의 이미지 캡처 장치 (21) 는, 컨트롤러 (24) 의 제어 캐비닛에 배치되고 이에 연결된 처리 유닛 (22) 과 통신한다. 물론, 검출 장치 (20) 는 또한 공통 하우징 내에 배치된 이미지 캡처 장치 (21) 및 처리 유닛 (22)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처리 장치 (22) 가 컴퓨팅 유닛 및 컨트롤러 (24) 의 데이터 저장장치에서 순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서 구현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물론, 검출 장치 (20) 의 개별 부분들을 에스컬레이터 (1) 에서 분산 방식으로 배치하는 것이 여전히 가능하다.
도 2 는 검출 장치 (20) 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의 주요 방법 단계를 상세 도면 2a 내지 도 2c 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 에 이미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a 의 검출 장치 (20) 의 이미지 캡처 장치 (21) 는 또한 전진 트래블 (14) 과 도시되지 않은 복귀 트래블 사이에서 가이드 레일 (12) 과 관련하여 고정적으로 배치된다. 이미지 캡처 장치 (21) 는 반구형 투명 보호 커버 (23) 를 갖는다. 때 및 먼지로부터 커버를 주기적으로 세정하기 위해, 본 예에서는 압축-공기 송풍기로서 도시된 세정 장치 (18) 가 제공된다.
도 2a 는 회전 밴드 (10) 의 섹션, 더 정확하게는, 스텝 밴드 (10) 의 2 개의 트레드 요소 (9) 를 더 도시한다. 2 개의 트레드 요소들 (9) 중의 하나는 드래그 롤러 (13) 를 잃어서 그 트레드 표면 (29) 의 경사를 야기한다.
명확성을 위해, 트레드 요소들 (9) 의 양측에 배치된 컨베이어 체인들 (11) 및 이들을 연결하는 스텝 액슬 (26) 그리고 컨베이어 롤러 (42) 를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 (12) 도시는 생략되었다 (이 부품들은 도 3 에 도시되어 있음). 트레드 요소 (9) 의 드래그 롤러 (13) 는 도시된 2 개의 가이드 레일 (12) 상에서 안내된다. 가이드 레일들 (12) 중의 하나는 이미지 캡처 장치 (21) 에 의해 또한 검출될 수 있는 기준 마크 (30) 를 갖는다. 이미지 캡처 장치 (21) 가 항상 동일한 위치에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기준 마크 (30) 와 이미지 캡처 장치 (21) 사이의 위치 밸런싱은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공간 이미지를 준비할 때, 트레드 요소 (9) 는 가이드 레일 (12) 및 이미지 캡처 장치 (21) 에 대해 이동하는데, 공간 좌표 x, y, z 로 각각 표시되는 위치 밸런싱 및 할당이 필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기준 마크 (30) 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b 에서, 도 2a 에 도시된 스텝 밴드 (10) 의 섹션의 트레드 요소 (9) 의 공간 이미지 (40) 는 각각 점선 및 이미지 포인트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대응하는 가상 공간 (41) 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공간 이미지 (40) 는 예를 들어 레이저 스캐너 또는 TOF (time-of-flight) 카메라 일 수 있는 이미지 캡처 장치 (21) 에 의해 준비된다. 디지털 이미지 (40) 를 생성하는 이들 이미지 캡처 장치 (21) 는 복수의 이미지 포인트 (P') 를 통해 3 차원 구조 및 그 이미지 표면 및 에지를 검출하는데, 여기서 가상의 영점으로부터 연장되는 각각의 이미지 포인트 (P') 는 각각 공간 이미지 좌표 (x', y', z') 및 벡터 좌표에 의해 규정된다.
고정 부품들도 동시에 이미지화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가이드 레일 (12) 및 기준 마크 이미지 (30') 로서 가이드 레일 (12) 상에 제공된 기준 마크 (30) 의 일부가 동시에 이미지화되었다. 전술한 가상 영점은 예를 들어 기준 마크 이미지 (30') 의 중심일 수 있다.
공간 이미지 (40) 는 처리 유닛 (22) 에 전송된다 (도 1 참조). 처리 유닛 (22) 에서, 공간 이미지 (40) 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 (27'), 예를 들어 트레드 요소 (9) 의 라이저 바닥 에지 (27) 의 이미지가 이제 선택된다. 선택은, 예를 들어 마모 또는 손상이 발생한 경우에 원래의 위치 또는 의도한 위치로부터의 최대 편차가 예상되는 지역을 기반으로, 처리 유닛 (22) 에 저장된 기준에 따라 이루어진다.
처리 유닛 (22) 은 할당된 비교 영역 (27'') 을 전자 데이터 저장장치 (39) 로부터 검색한다. 할당된 비교 영역은, 예를 들어, 가상 공간 (41) 의 일부이고, 이는 데이터 저장장치 (39) 로부터 검색될 수 있고 가상 좌표 (x'', y'', z'') 에 의해 규정되며, 이의 표면 및 에지는 원래의 위치에서 회전 밴드 (10) 의 섹션의 한계 값에 의해 변경되는 공간 이미지에 대응한다. 원래의 위치로서 간주되는 것은 마모, 손상 및 오염으로 인한 위치 변화가 나타나기 전의 이 섹션의 초기 상태이다. 가상 공간 (41) 에는, 가상 기준 마크 (30'') 가 있다. 도 2b 에 도시된 가상 공간 (41) 은 비교 영역 (27'') 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것의 일례로서만 제공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시된 전체 가상 공간 (41) 은 비교 영역 (27'') 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한계 값에 의해 공간적으로 확장된 트레드 요소 (9) 의 개별 에지 (27) 또는 표면 만이 비교 영역 (27'') 으로서 가상 기준 마크 (30'') 와 관련하여 저장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물론, 회전 밴드 (10) 의 다른 부품들도 비교 영역 (27'') 에서 이미지화될 수 있다.
또한, 기준 마크 이미지 (30') 와 명확하게 식별 가능한 지점, 예를 들어 라이저 바닥 에지 (27) 의 지점 (P) 또는, 각각, 선택된 영역 (27') 의 검출된 이미지 지점 (P') 사이의 공간 이미지 좌표 (x', y', z') 가 처리 유닛 (22) 에서 결정될 수 있다. 공간 이미지의 준비시에, 트레드 요소 (9) 의 지점 (P) 이 기준 마크 (30) 에 대한 공간 좌표 (x, y, z) 를 갖는 경우, 논리적으로, 또한 이미지화되는 기준 마크 (30') 에 대해 공간 이미지 (40) 상에 이미지화된 이미지 지점 (P') 의 공간 이미지 좌표 (x', y', z') 는 공간 거리 좌표 (x, y, z) 와 동일하다. 이상적으로, 명확하게 식별가능한 지점 (P) 이 선택된다.
공간 이미지 (40) 가 임의의 시점에서 이미지 캡처 장치 (21) 에 의해 만들어지는 경우, 공간 이미지 (40) 의 선택된 영역 (27') 이 가상 기준 마크 (30'') 에 대한 대응하는 비교 영역 (27'') 과 정확히 동일한 기준 마크 이미지 (30') 에 대한 공간 이미지 좌표 (x', y', z') 를 갖는다면 순전히 우연일 것이다. 따라서, 제 1 단계에서, 대응하는 비교 영역 (27'') 에 대한 선택된 영역 (27') 의 할당이 이루어진다.
보다 정확하게는, 예를 들어 대응하는 비교 영역 (27'') 에 대응하는 가상 지점 (P'') 에 대한 이미지 지점 (P') 의 공간 위치 차이 (Δ) 는 기준 마크 이미지 (30') 및 가상 기준 마크 (30'') 를 이용하여 계산되어야 하고, 선택된 영역 (27') 의 이미지 지점 (P') 의 좌표는 계산된 위치 차이 (Δ) 를 이용하여 변환되어야 한다. 점 대칭 방식으로 준비된 공간 이미지 (40) 로 인한 가능한 광학 왜곡도 고려되어야 한다. 전술한 할당에 따르면, 예를 들어, 각각, 새롭고 언로링된 스텝 밴드 (10) 의 트레드 요소 (9) 의 공간 이미지 (40) 는 가상 공간 (41) 과 거의 일치하고, 선택된 영역 (27') 은 할당된 비교 영역 (27'') 과 일치한다. 비교 영역 (27'') 이 할당된 선택된 영역 (27') 보다 한계 값만큼 항상 더 크기 때문에 거의 일치한다.
제 2 단계에서, 선택된 영역 (27') 의 이미지 지점 (P') 이 여전히 할당된 비교 영역 (27'') 내에 있는지의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이 비교는 도 2c 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할당을 통해, 비교 영역 (27'') 과 선택된 영역 (27') 이 서로 겹치므로, 이제 가장 큰 편차가 결정될 수 있다. 본 예에서, 트레드 요소 (9) 의 공간 이미지 (40) 는 각도 β 및 γ 로 도시 된 허용되지 않는 방식으로 가상 공간 (41) 으로부터 벗어난다. 선택된 영역 (27') 으로서 선택된 트레드 요소 (9) 의 라이저 바닥 에지 (27) 가 허용되지 않는 각도 편차 (β) 를 갖기 때문에, 검출 장치 (20) 는 컨트롤러 (24) 의 주의를 위해 알람 신호를 생성하고, 이는 회전 밴드 (10) 를 즉시 정지시키고 제자리에 유지한다. 명확하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간 이미지 (40) 의 일부 영역, 예를 들어 공간 이미지 (40) 의 사이드 치크 (31') 의 바닥 에지는 할당된 비교 영역 (31'') 을 넘어서 돌출한다. 따라서, 사이드 치크 (31') 의 이 바닥 에지도 또한 선택될 수 있다. 공간 이미지 (40) 의 더 많은 영역들 (27', 31') 이 선택되고 명확하게 할당될 수 있는, 즉 형상의 관점에서는 동등하지만 위치의 관점에서는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은 비교 영역들 (27'', 31'') 과 비교될 수록, 편차 및 이동 밴드 (10) 의 기술적 문제가 보다 정확히 검출될 수 있다.
도 3 은 회전 밴드 (10) 의 섹션으로서 트레드 요소 (9) 를 도시한다. 트레드 요소 (9) 의 트레드 표면 (29) 은 수평으로 정렬되지만, 이 트레드 표면은 도 3 에 과장되어 도시되고 각도 ψ 로 도시된 경사를 갖는다. 의도된 이동 방향에 대한 이러한 경사의 가능한 원인은 상이한 길이의 컨베이어 체인 (11) 을 초래하는 컨베이어 체인 (11) 의 마모의 불규칙한 징후일 수 있다. 트레드 요소 (9) 의 경사는 인접한 난간 베이스 (4) 와 트레드 표면 (29) 의 측면 에지 (36) 사이의 갭을 증가시키고, 그럼으로써 허용불가하게는 물체 또는 사용자의 사지가 걸리는 것을 촉진한다. 경사를 검출하기 위해, 공간 이미지 (40) 상에 포착된 트레드 표면 (29) 의 측면 에지 (36) 및 횡 에지 (37) 가 선택될 수 있고, 대응하는 비교 영역 (36') 은 도시되지 않은 기준점 이미지를 통해 할당될 수 있고, 측면 에지 및 횡 에지가 이와 비교될 수 있다.
도 1 의 예에 기초하여, 측면 에지 (36) 및 횡 에지 (37), 및, 각각, 이들 측면 에지 (36) 및 횡 에지 (37) 의 이미지들을 갖는 선택된 영역이 비교 영역 (36'') 의 미리 결정된 한계를 넘어서 연장하지 않는 것이 명백하다. 그러나, 측면 에지 (36) 및 횡 에지 (37) 의 일부 위치는 이미 비교 영역 (36'') 의 이러한 한계에 가깝다. 바람직하게는, 검출 장치 (20) 는 분석 유닛 (38) 을 갖는 전자 처리 유닛 (22) 을 포함한다. 분석 유닛 (38) 에 의해, 비교 영역 (36'') 의 한계에 대한 선택된 영역의 표면 또는 에지의 위치가 분석될 수 있고, 위치 리저브 ψ, 또는 본 예에서는, 경사의 각도 ψ 가 결정될 수 있다. 결정된 위치 리저브 (ψ) 에 근거하여 그리고/또는 미리 결정되어 저장된 복수의 위치 리저브 (ψ) 또는 각도 (ψ) 의 이력의 분석에 의해, 다음의 유지보수 날짜가 결정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중대한 결과적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임박한 손상이 조기에 검출되고 그 전개가 모니터링된다.
분석 유닛 (38) 에 의해 유지보수와 관련되는 것으로서 분류된 위치 리저브 (ψ) 로부터, 수행될 수 있는 작업 단계 및 유지보수에 필요한 유지보수 재료, 본 예에서는 체인 롤러 (17) 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체인 (11) 이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는 또한 예를 들어 분석 유닛 (38) 에 의해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핸드레일 (5) 의 처짐 (28) 은 정확히 동일한 방식으로 모니터링될 수 있다. 여기서, 할당된 비교 영역은 관형 가상 공간이며, 이의 중심 종방향 축선은 작동 시작 동안에 존재하는 핸드레일 (5) 의 이 섹션의 벤드에 대응한다. 지나치게 인장된 핸드레일 (5) 은 상한을 넘어서 돌출되고, 불충분하게 인장된 핸드레일 (5) 은 할당된 비교 영역의 하한을 넘어서 돌출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고정 부품 상에 배치된 위치 결정 장치 (42) 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회전 밴드 (5, 10) 의 핸드레일 섹션 또는 트레드 요소 (9) 의 두드러진 표면, 에지 또는 마크를 검출한다. 도 3 에서, 푸시 스위치는 가이드 레일들 (12) 중의 하나에 위치 결정 장치 (42) 로서 배치된다. 드래그 롤러 (13) 의 액슬이 위치 결정 장치 (42) 를 지나가자마자, 후자는 위치 결정 장치 (42) 에 대한 캡처된 표면, 에지 또는 마크의 현재 위치에 따라 이미지 캡처 장치 (21) 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트리거를 생성한다. 그럼으로써, 트레드 요소 (9) 의 공간 이미지는 가이드 레일 (12) 과 고정 부품에 대한 거의 동일한 위치에 준비된다. 즉, 공간 이미지는 실제로 상이한 트레드 요소들 (9) 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들 모두는 이들을 둘러싼 고정 부품과 관련하여 거의 정확히 동일한 지점에서 캡처되었다. 따라서, 적용가능한 경우, 공간 이미지의 왜곡의 보정이 생략될 수 있고, 기준 마크를 통한 위치 밸런싱이 완료된 직후에 비교 영역과의 비교가 수행될 수 있다.
필요한 할당 및 수정이 기준 마크를 통해 언제라도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위치 결정 장치 (42) 의 가능한 오작동은 실제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는 검출 장치의 가용성을 크게 향상시키므로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가용성도 크게 향상시킨다.
도 4 는 학습 운동에 적합한 바운딩 볼륨 요소 (32) 의 가능한 구성을 도시한다. 이 바운딩 볼륨 요소 (32) 는 예를 들어 한계 값을 나타내는 부착 부분 (33, 34, 35) 이 부착되는 정상 트레드 요소 (9) 이다. 바운딩 볼륨 요소 (32) 는 이제 회전 밴드 (10) 에 삽입되고 이미지 캡처 장치 (21) 로 이동된다. 이미지 캡처 장치 (21) 에 의해 준비된 공간 이미지는 또한 도 2 에 설명된 기준 마크 이미지 (30') 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이미지 캡처 장치 (21) 에 의한 점대칭 이미징으로 인한 왜곡을 보정함으로써, 처리 유닛 (22) 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데이터의 양을 줄이고 저장 자원을 절약하기 위해, 이 처리된 공간 이미지의 윤곽 라인만이 가상 공간 (41) 으로서 데이터 저장장치 (39) 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가상 공간 (41) 의 개별 영역은 할당가능한 비교 영역 (27'', 31'') 으로서 선택되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함으로써 설명되었지만, 예를 들어 개별적인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의 특징들을 조합하고 그리고/또는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의 개별 기능 유닛들을 교환함으로써 다수의 추가의 실시형태 변형이 본 발명의 지식내에서 생성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예를 들어, 레이저 스캐너 자체는, 예를 들어 에스컬레이터 스텝의 보디의 명확하게 식별가능한 두드러진 부분이 순간적으로 존재하는지 여부에 관하여 공간의 특정 위치를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위치 결정 장치일 수 있다. 캡처 시간은 핸드레일을 사용하여 트리거링될 수도 있다; 그러나, 후자에는 트리거를 트리거링시키는 보디의 두드러진 부분으로서 마크가 제공되어야 한다. 보다 명확하게하기 위해, 신호 전송 수단, 전원 라인 등의 설명은 도 1 내지 4 에서 크게 생략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가 고장없이 사용되도록 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존재해야 한다. 따라서, 상응하게 구성된 에스컬레이터는 본 특허청구의 범위에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구비하는", "포함하는" 등과 같은 용어는 임의의 다른 요소 또는 단계를 배제하지 않으며, 단수로 사용된 용어는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청구범위에서의 참조 부호는 제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14)

  1. 하나 이상의 회전 밴드 (5, 10) 및 하나 이상의 검출 장치 (20) 를 갖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의 기계적 상태를 검출 및 모니터링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검출 장치 (20) 에 의해 적어도 다음의 방법 단계들:
    ㆍ 상기 회전 밴드 (5, 10) 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 이미지 (40) 를 생성하는 단계,
    ㆍ 상기 공간 이미지 (40) 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 (27', 31') 을 선택하는 단계,
    ㆍ 선택된 영역 (27', 31') 을 하나 이상의 비교 영역 (27'', 31'') 과 비교하는 단계로서, 이 비교 영역 (27'', 31'') 은 3 차원 좌표 (x'', y'', z'') 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선택된 영역 (27', 31') 에 명확하게 할당될 수 있는 가상 공간 (41) 을 나타내는, 상기 비교하는 단계, 및
    ㆍ 상기 선택된 영역 (27', 31') 이 미리 결정된 한계를 초과함으로써 상기 비교 영역 (27'', 31'') 과 다른 경우에 알람 신호를 생성시키는 단계
    가 수행되고,
    상기 선택된 영역 (27', 31') 에 상기 비교 영역 (27'', 31'') 을 할당하는 것은 상기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상기 이동 보도의 고정된 부품들 (12) 에 할당되는 기준 마크들 (30', 30'') 을 통해 수행되고, 상기 기준 마크들 (30', 30'') 은 상기 공간 이미지 (40) 및 대응하는 상기 비교 영역 (27'', 31'') 에서 식별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의 기계적 상태를 검출 및 모니터링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핸드레일 (5) 의 섹션 또는 트레드 요소 (9) 의 적어도 하나의 변별 표면 또는 변별 에지 (27, 31) 가 상기 회전 밴드의 선택된 영역 (27', 31') 으로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의 기계적 상태를 검출 및 모니터링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영역 (27', 31') 이 상기 가상 공간 (41) 을 넘어서 적어도 일 위치에 돌출되는 경우에, 그리고/또는 상기 선택된 영역 (27', 31') 이 에지들 (27) 또는 표면들 (31) 을 누락하는 경우에, 그리고/또는 상기 선택된 영역 (27', 31') 의 에지들 또는 표면들이 미리 결정된 각도상 허용 한계를 초과함으로써 상기 가상 공간 (41) 의 대응하는 에지들 또는 표면들에 평행하게 배열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비교 영역 (27'', 31'') 의 미리 결정된 한계가 초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의 기계적 상태를 검출 및 모니터링하는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밴드 (5, 10) 의 섹션의 일련의 공간 이미지들 (40) 이 캡처되고, 상기 이미지들 (40) 상에 캡처된 표면들 및 에지들의 거리를 적어도 하나의 기준 마크 이미지 (30') 와 비교함으로써, 할당된 비교 영역 (27'', 31'') 및 이의 가상 기준 마크 (30'') 와 가장 일치하는 공간 이미지 (40) 가 선택되고, 이 공간 이미지 (40) 의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영역 (27', 31') 이 상기 비교 영역 (27'', 31'') 과 비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의 기계적 상태를 검출 및 모니터링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상기 이동 보도의 고정된 부품 (12) 상에 배치되는 위치 결정 장치 (42) 가 제공되고, 이 위치 결정 장치 (41) 는 상기 회전 밴드 (5) 의 핸드레일 섹션 또는 트레드 요소 (9) 의 변별 표면들, 에지들 (27) 또는 마크들을 검출하고 또한 상기 위치 결정 장치 (42) 에 대한 검출된 표면들, 에지들 (27, 31) 또는 마크들의 현재 위치에 따라 상기 검출 장치 (20) 의 이미지 캡처 장치 (21) 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트리거를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의 기계적 상태를 검출 및 모니터링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석 유닛 (38) 에 의해, 상기 비교 영역 (27'', 31'') 의 한계에 대한 상기 선택된 영역 (27', 31') 의 표면들 또는 에지들의 위치가 분석되고 위치 리저브 (ψ) 가 결정되고, 결정된 위치 리저브 (ψ) 에 기반하여 그리고/또는 이전에 결정되고 저장된 복수의 위치 리저브들 (ψ) 의 이력 분석을 통해, 다음의 유지보수 날짜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의 기계적 상태를 검출 및 모니터링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유지 보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서 상기 분석 유닛 (38) 에 의해 분류된 위치 리저브 (ψ) 로부터, 유지보수에 필요할 가능성이 있는 유지보수 재료 및 수행될 가능성이 있는 작업 단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의 기계적 상태를 검출 및 모니터링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영역 (27'', 31'') 의 생성 및 저장을 위해, 최대 허용 편차를 나타내는 경계 볼륨 요소 (32) 를 갖는 학습 운동이 수행되고, 이의 공간 이미지 (40) 가 데이터 저장장치 (39) 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의 기계적 상태를 검출 및 모니터링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을 위해 의도된 상기 회전 밴드 (5, 10) 로 학습 운동이 수행되고, 상기 회전 밴드 (5) 의 섹션의 공간 이미지 (40) 가 준비되고, 상기 공간 이미지 (40) 의 변별 에지들 및 표면들에 3 차원 좌표 형태의 한계 값들을 추가함으로써 상기 공간 이미지 (40) 로부터 비교 영역 (27'', 31'') 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의 기계적 상태를 검출 및 모니터링하는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장치 (20) 의 기능성을 검사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 요소에 의한 테스트 운동이 수행되고, 상기 테스트 요소는 상기 비교 영역 (27'', 31'') 을 넘어서 적어도 일 위치에서 돌출하도록 치수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의 기계적 상태를 검출 및 모니터링하는 방법.
  11. 회전 방식으로 배치된 밴드 (5, 10) 및 에스컬레이터 (1) 의 기계적 상태를 검출 및 모니터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검출 장치 (20) 를 갖는 에스컬레이터 (1) 로서,
    상기 검출 장치 (20) 는 공간 이미지 (40) 를 생성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캡처 장치 (21) 를 포함하고, 상기 에스컬레이터 (1) 의 고정된 부품들 (12) 에 대한 상기 밴드 (5, 10) 의 섹션들의 배치 및/또는 상기 회전 밴드 (5, 10) 의 상태가 상기 검출 장치 (20) 에 의해 검출될 수 있고, 상기 회전 밴드 (5, 10) 의 섹션의 하나 이상의 공간 이미지 (40) 가 생성되고, 상기 공간 이미지 (40) 상에 캡처된 섹션의 변별 표면들 또는 에지들 (27', 31') 이 상기 검출 장치 (20) 의 프로세싱 유닛 (22) 에 의해 선택가능하고 데이터 저장장치 (39) 에 저장된 3 차원 비교 영역 (27'', 31'') 과 비교가능하고,
    상기 비교 영역 (27'', 31'') 은 선택된 영역 (27', 31') 에 기준 마크들 (30', 30'') 을 통해 할당될 수 있고, 기준 마크들 (30', 30'') 은 상기 에스컬레이터 (1) 의 고정된 부품들 (12) 에 할당되고, 상기 기준 마크들 (30', 30'') 은 공간 이미지 (40) 및 대응하는 비교 영역 (27'', 31'') 에서 식별가능한, 에스컬레이터 (1).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1) 의 고정된 부품들 (12) 에 배치된 위치 결정 장치 (42) 를 포함하고, 이 위치 결정 장치를 통해, 상기 회전 밴드 (5, 10) 의 핸드레일 섹션 또는 트레드 요소 (9) 의 변별 표면들, 에지들 (27, 31) 또는 마크들이 검출될 수 있고, 이 위치 결정 장치를 통해, 상기 위치 결정 장치 (42) 에 대한 검출된 표면들, 에지들 (27, 31) 또는 마크들의 현재 위치에 따라 상기 이미지 캡처 장치 (21) 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트리거가 생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1).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장치 (20) 는 상기 회전 밴드 (5, 10) 의 전진 트래블 (14) 과 상기 회전 밴드 (5, 10) 의 복귀 트래블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1).
  14.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캡처 장치 (21) 에는 투명 보호 커버 (23) 가 제공되고, 상기 검출 장치 (20) 는 상기 투명 보호 커버 (23) 의 적어도 일부 표면을 주기적으로 세정하는 세정 장치 (18)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1).
KR1020197028172A 2017-03-28 2018-03-07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기계적 상태의 모니터링 KR1024075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63204.5 2017-03-28
EP17163204 2017-03-28
PCT/EP2018/055671 WO2018177708A1 (de) 2017-03-28 2018-03-07 Überwachung des mechanischen zustandes einer fahrtreppe oder eines fahrsteig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393A KR20190132393A (ko) 2019-11-27
KR102407553B1 true KR102407553B1 (ko) 2022-06-10

Family

ID=58448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172A KR102407553B1 (ko) 2017-03-28 2018-03-07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기계적 상태의 모니터링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11161717B2 (ko)
EP (1) EP3601138B1 (ko)
JP (1) JP7114624B2 (ko)
KR (1) KR102407553B1 (ko)
CN (1) CN110461756B (ko)
AR (1) AR111264A1 (ko)
AU (1) AU2018242117B2 (ko)
BR (1) BR112019018231A2 (ko)
CA (1) CA3055472A1 (ko)
ES (1) ES2876208T3 (ko)
MX (1) MX2019011462A (ko)
PL (1) PL3601138T3 (ko)
RU (1) RU2754023C2 (ko)
SG (1) SG11201907929YA (ko)
TW (1) TWI754020B (ko)
WO (1) WO20181777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87021A1 (en) 2018-05-14 2021-03-25 Invento Ag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state of a passenger transport system by using a digital double
WO2020016016A1 (de) 2018-07-19 2020-01-23 Inventio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überwachen eines zustands einer personentransportanlage unter verwendung eines digitalen doppelgängers
US11691853B2 (en) * 2020-05-26 2023-07-04 Otis Elevator Company Escalator with distributed state sensors
CN112978551B (zh) * 2021-02-27 2023-01-31 浙江城际特种设备检测有限公司 一种自动扶梯安全检验方法、系统、存储介质及智能终端
US20230169110A1 (en) * 2021-11-30 2023-06-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hod and system of content retrieval for visual data
TWI817311B (zh) * 2022-01-07 2023-10-01 宏碁股份有限公司 電扶梯設備警示方法與電扶梯設備警示系統
EP4269314A1 (en) * 2022-04-28 2023-11-01 TK Elevator Innovation and Operations GmbH Measuring system for escalator systems or passway systems as well as measur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and us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689Y1 (ko) 1990-08-30 1992-10-16 금성기전 주식회사 에스컬레이터의 콤 파손 방지장치
KR930001281Y1 (ko) 1990-10-20 1993-03-22 삼화기연 주식회사 전기용접기의 전격 방지 장치
EP1013599A1 (de) * 1998-12-21 2000-06-28 Inventio Ag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e Fahrtreppe oder einen Fahrsteig
US6267219B1 (en) 2000-08-11 2001-07-31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nic safety system for escalators
FR2827051B1 (fr) * 2001-07-09 2003-10-24 Mediterranee Const Ind Procede et systeme de detection securisee par video pour la commande automatique d'un systeme mecanique tel qu'un trottoir roulant ou escalier mecanique
WO2006018883A1 (ja) * 2004-08-19 2006-02-2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昇降機画像監視システム
CN101263074B (zh) * 2005-09-16 2013-03-27 奥蒂斯电梯公司 滚梯和移动人行道的光监控的梳形线
CN201132723Y (zh) 2007-11-12 2008-10-15 广州日立电梯有限公司 自动扶梯梯级检测装置
JP2009190818A (ja) 2008-02-13 2009-08-27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スカレータ装置
DE102008009458A1 (de) 2008-02-15 2009-08-20 Kone Corp. Rolltreppe oder Rollsteig
JP4761276B2 (ja) * 2008-07-10 2011-08-3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の異常診断システム
JP2010269884A (ja) * 2009-05-20 2010-12-0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スカレータのステップ異常検出方法および装置
JP5279612B2 (ja) 2009-05-20 2013-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DE102009034345B4 (de) * 2009-07-23 2013-01-03 Kone Corp.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Betreiben einer Personentransporteinrichtung
EP2563552B1 (en) * 2010-04-28 2014-02-12 Crisplant A/S Service cart
EP2605994B1 (en) * 2010-08-20 2019-12-25 Otis Elevator Company Remote controlled passenger conveyor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passenger conveyor
JP2012180187A (ja) 2011-03-01 2012-09-20 Toshiba Elevator Co Ltd 乗客コンベア
DE102012109390A1 (de) 2012-10-02 2014-04-03 Waldemar Marinitsch Überwachungsvorrichtung, Verfahren zum Überwachen einer sicherheitskritischen Einheit und Beförderungssystem
ES2785316T3 (es) 2013-12-20 2020-10-06 Inventio Ag Conjunto de un sensor de supervisión en una escalera mecánica o en un pasillo rodante
JP5833162B2 (ja) 2014-03-10 2015-12-1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の保全情報収集システム
JP2015174710A (ja) * 2014-03-13 2015-10-0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ガード部材取付状態検知装置
US9346654B2 (en) 2014-05-29 2016-05-24 Goldstein Biomedical Consultants Llc Regenerative power capture system for endless track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JP5902283B1 (ja) 2014-11-26 2016-04-1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
CN108726338A (zh) * 2017-04-19 2018-11-02 奥的斯电梯公司 乘客运输机的扶手的速度检测装置及其速度检测方法
US10093518B1 (en) * 2017-12-07 2018-10-09 Otis Elevator Company Remote inspection of passenger conveyors
US10954105B1 (en) * 2019-11-15 2021-03-23 Otis Elevator Company Sensor fusion on internet of things on escala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8242117B2 (en) 2021-04-01
ES2876208T3 (es) 2021-11-12
TW201840460A (zh) 2018-11-16
JP2020512249A (ja) 2020-04-23
RU2019134213A (ru) 2021-04-28
JP7114624B2 (ja) 2022-08-08
SG11201907929YA (en) 2019-09-27
WO2018177708A1 (de) 2018-10-04
RU2019134213A3 (ko) 2021-06-23
EP3601138B1 (de) 2021-05-05
TWI754020B (zh) 2022-02-01
CN110461756A (zh) 2019-11-15
PL3601138T3 (pl) 2021-09-20
MX2019011462A (es) 2019-11-01
BR112019018231A2 (pt) 2020-06-23
CA3055472A1 (en) 2018-10-04
RU2754023C2 (ru) 2021-08-25
US11161717B2 (en) 2021-11-02
KR20190132393A (ko) 2019-11-27
CN110461756B (zh) 2021-01-08
EP3601138A1 (de) 2020-02-05
AU2018242117A1 (en) 2019-10-10
US20210276831A1 (en) 2021-09-09
AR111264A1 (es) 2019-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7553B1 (ko)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기계적 상태의 모니터링
CN108358030B (zh) 用于乘客输送机的诊断阶梯
JP6522203B1 (ja) 乗客コンベアの異常検知システム
CN110352173B (zh) 用于产生自动扶梯或移动步道的承载结构的3d模型的方法和装置
ES2954369T3 (es) Inspección de ascensores utilizando secuencia automatizada de preajustes de cámara
CN110271944A (zh) 诊断装置及诊断方法
JP6525720B2 (ja) チェーン伸び検出装置および乗客コンベア
JP2016098045A (ja) 乗客コンベアのチェーン緩み検出装置
JP6816923B1 (ja) 異常検出装置
JP6000054B2 (ja) 乗客コンベアの自動監視装置、および乗客コンベアの自動監視方法
US10766747B2 (en) Abnormality detection apparatus for passenger conveyor
CN107792769B (zh) 乘客输送机
JP2019099314A (ja) 乗客コンベアの異常検知システム
JP5081219B2 (ja) 乗客コンベアのガイドレール検査装置
CN112875484B (zh) 乘客输送机的链松弛检测装置
JP6786666B1 (ja) 乗客コンベア及び点検方法
CN112678660B (zh) 梯级踏板浮起检测装置以及梯级踏板浮起检测系统
CN113844965A (zh) 视觉检视诊断
CN113716438A (zh) 带有分布式状态传感器的自动扶梯
JP2020142890A (ja) 乗客コンベアの保守点検作業支援システム
JP6934465B2 (ja) ステップ踏板検査装置及びステップ踏板検査方法
JP7404444B1 (ja) 乗客コンベアの踏段制動距離測定装置及びその方法
WO2021234825A1 (ja) 乗客コンベア
JP2022026078A (ja) 乗客コンベアのチェーン伸び検出装置
CN116242248A (zh) 乘客传送机用检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