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689Y1 - 에스컬레이터의 콤 파손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에스컬레이터의 콤 파손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689Y1
KR920007689Y1 KR2019900013229U KR900013229U KR920007689Y1 KR 920007689 Y1 KR920007689 Y1 KR 920007689Y1 KR 2019900013229 U KR2019900013229 U KR 2019900013229U KR 900013229 U KR900013229 U KR 900013229U KR 920007689 Y1 KR920007689 Y1 KR 9200076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
escalator
view
roller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32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4422U (ko
Inventor
유병인
Original Assignee
금성기전 주식회사
김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기전 주식회사, 김회수 filed Critical 금성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32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689Y1/ko
Publication of KR9200044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4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6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6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66B23/024Chai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8Carrying surfaces
    • B66B23/12Step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의 콤 파손 방지장치
제1도는 통상의 에스컬레이터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제2도는 통상의 에스컬레이터의 레일구성을 보인 정면도.
제3도는 종래의 콤과 스텝의 교차상태를 보인 것으로 (a)는 요부평면도, (b)는 요부정단면도.
제4도 (a)는 종래 에스컬레이터의 상부 승강부에서 콤과 스텝이 간섭되는 것을 보인 개략도, (b)는 종래 에스컬레이터의 하부 승강부에서 콤과 스텝이 간섭되는 것을 보인 개략도.
제5도는 스텝하부에 위치하는 스텝체인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콤 파손 방지장치가 설치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에스컬레이터 콤 파손 방지장치를 보인 것으로 (a)는 요부평면도, (b)는 요부정면도, (c)는 요부좌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실명
4 : 스텝체인 4A : 로울러
5 : 스텝 10 : 인너데크
12 : 콤플레이트 13 : 콤
16 : 스텝롤라 18 : 상부구동레일
20 : 하부 구동레일 22 : 스텝축
23 : 슈 24 : 슈받침
25 : 고정판 26 : 봉나사
본 고안은 에스컬레이터의 상하 승강부에 설치하는 콤 파손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스컬레이터상하부의 승강부에 스텝이 떠오름을 슈(Shoe)로써 제한하여 스텝과 콤(Comb)의 간섭을 피해 콤의 파손을 방지하도록한 에스컬레이터의 콤 파손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에스컬레이터의 기술구성은 제1도 (a)의 평면도와 (b)의 정면도에서와 같이, 동력을 발생하고 감속시키는 구동기(1)와 상기 구동기(1)로 부터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상부 스프로켓(2)과, 동력을 하부 스프로켓(3)에 전달하는 스텝체인(4)과, 상기 스텝체인(4)의 스텝축에 고정되어 있는 스텝(5)과, 상부 스프로켓(2)에서 동력을 받아 고무 핸드레일(8)을 구동시키는 핸드레일 구동장치(7)등으로 트러스내부가 구성되어, 스텝(5)과 고무 핸드레일(8)이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써 연속적으로 움직이게 된다.
또한, 사람이 타는 에스컬레이터의 외부의 구성은, 운행시 탑승객의 안전을 보호하는 난간(9)과, 상기 난간(9)을 중심으로 인너데크(10)와, 아우터 데크(11)가 설치되어 있고, 탑승객이 타고 내리는 상하부의 승강장인하부상판(14)과 상부상판(15)등이 있고, 각 상판(14,15) 상단에는 콤플레이트(Comb Plate)(12)가 있으며, 콤플레이트(12)선단에는 스텝(5)이 반전시 교차하는 콤(13)이 있다. 제2도는 통상의 에스컬레이터 레일의 구성도로서, 상하부에 스텝(5)이 반전할 수 있도록 구동레일(18, 20)과 추종레일(19, 21)이 설치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구동레일(18, 20)은 스텝(5)의 선단부를 지지하여 체결되며 추종레일(19, 21)은 스텝(5)의 후반부를 지지하며 체결된다. 제3도는 상기의 상부 승강부에 잇는 콤플레이트(12)선단에 고정되어 있는 콤(13)과 스텝(5)의 교차상태를 보인 상세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a)의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콤(13)과 스텝(5)이 교차시, 틈(8')에 이물질이 끼어있을 경우 스텝(5) 주행에 방해되지 않도륵 콤(13)재질을 충격에 약한성질을 갖고 있는 폴리카아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하여 스텝(5)을 보호한다.
이와같은 구성의 종래 에스컬레이터는, 구동기(1)에서 일정한 감속으로 동력을 발생시켜 구동체인을 통하여 상부 스프로켓(20)에 동력을 전달하고, 스텝체인(4)으로 하부스프로켓(3)에 동력을 전달하고, 스텝체인(4)에 고정된 스텝축에는 스텝(5)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스텝체인(4)이 이동함고 동시에 스텝(5)은 이동한다.
이때 고무핸드 레일(8)은 상부 스프로켓(2)축으로 부터 동력을 받아 핸드레일 구동장치(7)를 통하여 스텝(5)과 동일한 속도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5도는 스텝(5)과 스텝축(22)이 체결되어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스텝(5)의 한쪽길이방향으로 스텝축(22)이 가로질러 끼워지며. 스텝축(22)의 단부에는 스텝롤라(16)가 설치되어 있음을 보여주며, 제4도는 상, 하부의 승강장에 있어서, 상부 승강부의 콤(13)과 스텝(5)이 간섭되는 것을 나타낸 설명도로서, 스텝축(22) 가로양단에 고정되어 있는 스텝롤라(16) 윗면과 상부구동레일(18)의 상면의 틈(8")이 3∼4㎜정도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콤과 스텝이 교차하여 들어갈 경우엔 제3도에서와 같이, 콤(13)이 스텝(5)의 상면과 겹쳐지는 끝이틈(8')이 2㎜로 유지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제4(a)에서와 같이, 탑승객이 스텝(5)의 뒷쪽에 치중해 있을때에는 비록 스텝(5) 뒷쪽아래를 지지하면서 뒤따라 진행하는 추종레일(19)과 스텝추종롤라(17)에 의해 후방이 지지된다하더라도, 하중(W)에 의해, 스텝롤라(16)상면와 구동레일(18) 틈(8")간격에 의해 스텝축(22)과 스텝(5)이 약간 들어올려지므로(제7도(c) 참조). 스텝(5)의 선단이 떠올라 콤(13)과 간섭이 되어 부딪치므로 콤(13)이 파손된다.
또한 역으로 제4도 (b)는 엘리베이터의 하강시, 하부 승강부에서 콤(13)과 스텝(5)이 간섭되는 것을 나타낸것으로, 하부 승강부에서 하부 구동레일(20) 밑면과 스텝롤라(16) 하면의 틈(8")이 3∼4㎜이고, 앞선 제3도(b)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콤(13)과 스텝(5) 상면의 틈(8")이 2㎜이므로, 제4도(b)에서와 같이, 좌우스텝 롤라(16)의 간격이 균등하지 않을 경우 탑승객의 하중(W)이 스텝(5)의 후방쪽에 치우쳐 작용하면, 시이소오현상으로 인하여 승강부에서 콤(13)과 스텝(5) 상면이 간섭이 일어나 콤(13)이 파손되게 된다.
이와같이 자주 콤이 파손되면 보수경비도 증가하며 나아가 에스컬레이터의 안전운행에 지장을 주게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제점 즉, 승객이 하중에 의해 스텝롤라와 구동레일의 수 ㎜의 틈으로 인하여 승강부위치에 스텝이 떠올라 콤과 스텝이 교차시 콤이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하부승강부의 콤선단 트러스내부에, 스텝체인의 상부에 위치하여 스텝의 상승을 억제하는 슈(Shoe)를 설치함으로써, 스텝이 떠오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인바, 이하 첨부도면 제6도 및 제7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6도는 에스컬레이터 승강부쪽에 설치하는 본 고안의 콤 파손 방지장치의 설치위치를 나타낸 것이고,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콤 파손 방지장치인 것으로, (a)는 요부평면도이고, (b)는 (a)도의 정면도이며, (c)는 (b)의 좌측면도이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콤 파손 방지장치는, 상, 하부 승강부의 좌우 콤(13)측 "A"부에 설치된다. 제6도 "A"부분에 대한 상세도인 제7도에서 콤(13)과 스텝(5)이 교차하는 한쪽 측부에 고정판(25)을 이너데크(10) 윗면에 용접하여 고정하고, 이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봉나사(26)를 너트(27)와 함께 끼우고 그 봉나사(26)하단에는 슈받침(24)을 용접하여 고정한 후, 상기 슈받침(24)에는 슈(23)를 볼트(28)와 너트(27)로서 강하게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한편 설치되는 슈(23)의 하단부는 제7도의 (c)에서 보둣이. 스텝체인(4)의 로울러(4A) 상면에 닿지않도록 약 0.5㎜틈새로 조정한 후 (이유는 슈(23) 하단부가 항상 스텝체인(4) 로울러상면에 닿을 경우, 스지재질의 슈(23)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 고정판(25) 상하단에 너트(27)로 강하게 고정시켜서 설치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에스컬레이터의 콤 파손 방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동기(1)로 부터 동력을 받은 상부 스프로켓(2)은 스텝체인(4)을 통하여 하부 스프로켓(3)에 동력을 전달하면, 스텝체인(4)의 스텝축(22)에 고정된 스텝(5)이 일정한 속도로 상승하여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상부 승강부에 도달하면 제4도(a)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텝롤라(16)의 윗면과 구동레일(18) 상단면의 틈(8")이, 콤(13)의 저면과 스텝(5) 상면사이의 틈(8")보다 크므로, 탑승객의 하중에 의하여 스텝(5) 선단이 스텝축(22)과 함께 제7도 (c)의 화살표방향으로 떠오를 때, 스텝축(22)과 연결되어 있던 스텝체인(4)과 로울러(4A)도 함께 상승되려고 한다. 이때 스텝체인(4)의 로울러(4A) 상면이 본 고안의 슈(23)하단면을 누르므로 스텝(5)이 떠오르는 현상을 강제적으로 억제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하부 승강부의 좌우측에도 역시 본 고안의 장치를 설치하면 탑승객의 하중에 의해 스텝이 시이소오현상을 일으켜 스텝이 떠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콤 파손 방지장치에 의하면, 탑승객의 하중에 의해 스텝 상면한쪽에 하중이 작용하여, 스텝롤라와 구동레일의 틈에 의하여 스텝이 떠오를때 스텝체인 로울러면이 슈하단부에 의해 제지되므로 스텝이 떠오르는 현상을 제한하여, 스텝이 콤과 교차시 콤이 파손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며 나아가 에스컬레이터의 안전운행에 큰 도움을 준다.

Claims (1)

  1. 에스컬레이터의 상, 하승강부에 콤 파손 방지장치를 형성시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상, 하승강부의 이너데크(10)측에 고정판(25)과 함께 수직으로 체결구성되는 봉나사(26)와, 상기 봉나사(26)의 하측에 슈받침(24)과 함께 연결설치되며, 스텝체인(4)의 로울러(4A) 상면과 간격지게 위치시킨 슈(2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의 콤 파손 방지장치.
KR2019900013229U 1990-08-30 1990-08-30 에스컬레이터의 콤 파손 방지장치 KR9200076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3229U KR920007689Y1 (ko) 1990-08-30 1990-08-30 에스컬레이터의 콤 파손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3229U KR920007689Y1 (ko) 1990-08-30 1990-08-30 에스컬레이터의 콤 파손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422U KR920004422U (ko) 1992-03-25
KR920007689Y1 true KR920007689Y1 (ko) 1992-10-16

Family

ID=19302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3229U KR920007689Y1 (ko) 1990-08-30 1990-08-30 에스컬레이터의 콤 파손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68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77708A1 (de) 2017-03-28 2018-10-04 Inventio Ag Überwachung des mechanischen zustandes einer fahrtreppe oder eines fahrsteiges
US10336582B2 (en) 2016-06-21 2019-07-02 Inventio Ag Passenger transport system with monitoring and marking device for characterizing defective step uni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36582B2 (en) 2016-06-21 2019-07-02 Inventio Ag Passenger transport system with monitoring and marking device for characterizing defective step units
WO2018177708A1 (de) 2017-03-28 2018-10-04 Inventio Ag Überwachung des mechanischen zustandes einer fahrtreppe oder eines fahrstei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422U (ko) 199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82418B2 (ja) 乗客コンベア
KR920007689Y1 (ko) 에스컬레이터의 콤 파손 방지장치
JP3991657B2 (ja) エレベータ
US3926296A (en) Passenger conveyor system
KR101953817B1 (ko)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CN214269848U (zh) 浅底坑电梯顶吊式绕绳结构
JP2005314038A (ja) 乗客コンベア
KR960008456Y1 (ko) 엘리베이터 카용 마그네틱 브레이크장치
CN212953744U (zh) 一种底部吸能缓冲的电梯内饰板
CN212740371U (zh) 一种自动扶梯端部防梯级塌陷装置
JP2019099149A (ja) 乗客及び障害物検知機能を含む電車プラットフォーム安全装置
KR960003217Y1 (ko) 엘리베이터의 조속기로프 점검장치
JPH05338980A (ja) マンコンベアの安全装置
KR200180293Y1 (ko)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
KR960007268Y1 (ko) 엘리베이터의 2중안전제동장치
KR880003999Y1 (ko) 엘리베이터의 로우프 탄력 감지 장치
KR970001064Y1 (ko) 에스컬레이터 스템운행 안전장치
KR100202721B1 (ko) 승강식 주차설비의 로프분할풀리구조
KR101126593B1 (ko) 에스컬레이터의 안전사고 방지시스템
KR940000397Y1 (ko)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이상 검출장치
KR200177081Y1 (ko) 승강 횡행식 주차설비의 차량 탑재용 팰릿 밀림 방지장치
KR960007267Y1 (ko) 엘리베이터의 와이어로프 처짐방지장치
KR0117724Y1 (ko) 수직순환식 주차설비의 체인처짐 감지장치
KR870001137Y1 (ko) 전망용 엘리베이터 승강차의 하부 조명등 카바구조
KR960010037Y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9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