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268Y1 - 엘리베이터의 2중안전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2중안전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268Y1
KR960007268Y1 KR2019940004693U KR19940004693U KR960007268Y1 KR 960007268 Y1 KR960007268 Y1 KR 960007268Y1 KR 2019940004693 U KR2019940004693 U KR 2019940004693U KR 19940004693 U KR19940004693 U KR 19940004693U KR 960007268 Y1 KR960007268 Y1 KR 9600072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wedge
car
stopp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46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7465U (ko
Inventor
김명준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filed Critical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046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268Y1/ko
Publication of KR9500274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74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2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2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2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linearly-movable 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2중안전제동장치
제1도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하부에 설치된 하부 웨지어셈블리의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상부 웨지어셈블리의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에 적용되는 하부 웨지어셈블리의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스트퍼기구와 상부 웨지어셈블리의 배치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스토퍼기구의 요부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웨지몸체12 : 히칭로드
18 : 푸싱판20 : 크로스헤드
21 : 스위치브라켓22 : 스위치
23 : 웨지몸체24 : 푸싱판
25 : 연장스프링26 : 웨지
27 : 인장스프링28 : 가이드
29 : 가이드판30A, 30B : 스토퍼기구
31 : 브라켓31a : 장공
32 : 피팅판33 : 스토퍼
34 : 롤러100 : 하부 웨지어셈블리
200 : 상부 웨지어셈블리
본 고안은 승강실에서 승강작동하는 엘리베이터의 강제제동장치에서, 특히 조속기가 감지못하거나 미작동시 승강실내의 오버헤드부와 피트부에서 발생되는 기계실과의 충돌과 추락에 의한 사고 및 엘리베이터의 망실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엘리베이터의 2중안전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승강실에서 승강작동하는 엘리베이터를 강제제동하기 위해서는 조속기(GOVERNOR)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자유낙하시 웨지(wedge)가 작동하도록 하여 엘리베이터를 정지토록 하거나, 비정규 레벨시 상하부에 배치된 리미트캠스위치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구동전원을 차단시킴으로서 엘리베이터를 정지토록 했다.
그러나 정상적인 크기의 승강실에서는 커다란 문제가 없으나 건축물의 구조상 승강실이 협소하거나 고속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는 오버헤드부(엘리베이터의 스트로크를 상방으로 벗어난 간극)가 작거나 피트실이 협소할때 엘리베이터의 승강이상시는 승강실 상부의 기계실 및 하부의 피트실의 버퍼 등과 충돌하게 되어 안전의 문제가 된다.
일반적으로 이때 조속기가 작동되어 정지시키도록 하나 조속기는 정격속도 130% 이상시에만 작동하도록 되어 있어 엘리베이터의 상승 및 하강에 있어 조속기의 정격속도 130% 이하의 범위에서는 조속기가 작동되지 않아 엘리베이터의 기계실 및 피트실의 완충용 버퍼가 파손될뿐만 아니라 인명피해의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
물론 종래에 엘리베이터의 정격속도가 130% 이상일 경우에 조속기는 그 속도를 감지하여 조속기 로프를 정지토록하고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치디바이스(HSTCH DEVICE)의 웨지(16)는 히칭로드(12)의 상승작용에 의해 가이드판(15)에 안내됨과 동시에 대향된 간극이 좁아지면서 도시안된 레일을 압하여 물어줌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제동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ㅍ트부에는 버퍼가 설치되어 스트로크 하방으로 벗어날시 직접 엘리베이터에 완충역할을 행하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0은 웨지몸체, 13은 가이드, 15a는 롤러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등이 있다.
승강실 오버헤드가 작을 경우 엘리베이터는 기계실과 충돌의 염려가 있다. 그리고. 추락할 경우 조속기의 고장 또는 낮은 높이에서 추락되어 조속기의 작동전의 속도로써 추락하는 등으로 웨지가 작동불능일때 버퍼와 충돌하여 엘리베이터 및 버퍼의 파손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내에 승차하고 있는 인명의 피해를 가져 올 수 있다.
또한, 기계실 이상으로 엘리베이터가 상부로 계속 상승할 경우에 리미트캠스위치가 전원을 오프(off)시키지만 엘리베이터에 대한 제동은 엘리베이터의 관성력 및 오버헤드가 작아 직접적으로 어렵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조속기가 감지못하거나 미작동시 승강실내의 비전규 레벨인 오버헤드부와 피트부에서 발생되는 기계실과의 충돌 및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2중안전제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엘리베이터의 카에 설치되어 조속기의 승강이동작동시 레일의 상부에 설치된 스토퍼기구에 의하여 상부 웨지어셈블리의 웨지를 강제적으로 하강정지시키고, 레일의 하부에 설치된 스토퍼기구에 의하여 카에 설치된 하부 웨지어셈블리의 웨지를 강제적으로 상부 이동시켜 카를 비상정지케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스토퍼기구는 레일에 고정설치된 브라켓과, 이 브라켓을 사이에 두고 상하방으로 이동하는 상하 한쌍의 롤러 갖는 피팅판과 스토퍼로 결합하여 상기 브라켓을 주름지지하여 일체로 동작하도록 구성하여 레일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카에 설치되는 상부 웨지어셈블리에는 카의 상부에 착설되어 웨지몸체를 지지하는 크로스헤드와, 스토퍼기구의 스토퍼의 눌림으로 하강하는 푸싱판을 인장스프링에 지지되도록 상기 웨지몸체에 설치하고, 상기 푸싱판의 하강에 따라 동작되는 한쌍의 웨지를 인장스프링에 의해 각각 지지됨과 동시에 내측으로 점차 협소되도록 가이드에 고정지지되어 있는 가이드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카에 설치된 하부 웨지어셈블리는 웨지몸체 중앙에 스토퍼기구의 의하여 상승작동하는 푸싱판을 히칭로드의 저부에 착설하고, 이 히칭로드의 상승이동에 따라 상부에 비스듬히 설치된 가이드판의 롤러에 접촉되어 내측으로 협소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판을 일측에서 고정지지하는 가이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카에 설치되는 상부 웨지어셈블리의 크로스헤드에 일측으로 스위치브라켓을 고정설치하고, 이 스위치브라켓 상부에 푸싱판의 누름해제됨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전원차단용 스위치가 온/오프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제1도와 동일 또는 동등부분을 같은 부호를 사용한다.
제1도에서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카 하부에 설치된 하부 웨지어셈블리(100)의 웨지몸체(10)에는 중앙에 상하작동하는 히칭로드(12)와, 상기 웨지몸체(10) 상부에 대향고정되어 배치된 가이드(13)와, 이 가이드(13)에 끼워 맞추어져 회전자유로운 롤러(15a)를 갖는 가이드판(15)과, 상기 히칭로드(12)에 지지상승되어짐과 함께 가이드판(13)에 안내지지되어 중앙으로 점차 좁아지는 한쌍의 웨지(1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히칭로드(12)의 저면에는 푸싱판(18)이 고정설치되어 웨지몸체(10)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다.제2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에 착설되는 상부 웨지어셈블리(200)에는 웨지몸체(23)를 지지하는 크로스헤드(20)가 설치되고, 이 크로스헤드(20)의 일측으로 고정볼트(21a)에 의해 고정된 스위치브라켓(21)을 설치하고, 이 스위치브라켓(21)의 상부에 후술할 푸싱판(24)의 하방 이동에 접촉누름되게 됨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전원을 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치(22)를 탄동적으로 설치하고. 상기 푸싱판(24)은 웨지몸체(23)에 고정된 인장스프링(25)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지지되어짐과 동시에 소정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양측에 장공(2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푸싱판(24)에 의해서 누름받거나 누름해제되어짐에 따라 대향의 간극이 확대 축소되어지는 한쌍의 웨지(26)는 인장스프링(27)에 의해서 상방으로 지지되어지고. 상기 웨지(26)의 하방눌림에 따라 웨지(26)의 간극을 좁혀주는 가이드판(29)은 웨지(26)와 누름접촉하는 롤러(29a)를 구비하여 웨지몸체(23)에 고정설치된 가이드(28)에 끼워맞추어져 상방으로 벌어져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로 상승된 엘리베이터가 일정의 스트로크를 상방으로 벗어났을시 상기 푸싱판(24)을 양측에서 압하는 스토퍼(33)를 갖는 스토퍼기구(30A)는 제4도 및 제5도에서와 같이 레일(37) 일단의 양측으로 브라켓(31)과 볼트(35)에 의해 고정설치된 레일클립(36) 사이에 끼워맞추어져 브라켓(31)이 고정되고 이 브라켓(31)의 일측으로 형성된 장공(31a)을 사이에 두고 피팅판(32)과 스토퍼(33)가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대향 배치되어 있다.
상기 피팅판(32)과 스토퍼(33)는 대향된 내측으로 상하 한쌍의 회전자유로운 롤러(34)을 갖고 브라켓(31)을 소정으로 압할 수 있도록 고정볼트(38)가 장공(31a)을 관통해 피팅판(32)과 스토퍼(33)를 일체로 연결하고 있다. 이때 장공(31a)의 길이는 웨지(26)이동에 따른 비상정지거리 이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기구(30A)는 레일의 양측으로 각각 고정설치되어 엘리베이터가 정규레벨 이상으로 상승되었을시 스토퍼(33)가 푸싱판(24)을 압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가 추락으로 스트로커를 벗어나 하방의 위치에 이동되었을시 상기 하부 웨지어셈블리(100)의 푸싱판(18)과 저면에서 접촉되어 상방으로 주름지지하도록 전술한 스토퍼기구(30A)와 같은 구성으로 다시 레일의 하부에 스토퍼기구(30B)가 고정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엘리베이터가 스토로크를 벗어나 정규레벨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웨지몸체(23)의 푸싱판(24)은 스토퍼기구(30A)의 스토퍼(33)에 접촉되어 하방으로 점차 눌리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33)는 대향된 피칭판(32)의 사이의 조정볼트(38)의 조임력으로 브라켓(31)을 롤러(34)가 압하여 누름력이 설정되어 있다.
상기 푸싱판(24)의 하방으로 눌리어짐에 따라 푸싱판(24) 저면과 맞닿은 한쌍의 웨지(26)는 가이드판(29)의 롤러(29a)에 누름지지되어지며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대향의 간극이 좁아지며 웨지(26) 중앙에 설치된 레일을 점차 압하게 된다.
그러므로 엘리베이터는 차츰 제동력이 가해져 그 속도가 줄러들게 된다. 이때 브라켓(31)을 압하고 있는 롤러(34)의 누름력이 웨지(26)가 레일을 압하는 누름력보다 작게 되면 스토퍼(33)는 피팅판(32)과 함께 롤러(34)가 브라켓(31)에 구름되어지며 급작한 충격을 방지하게 된다.
이후 엘리베이터는 강제제동으로 정지됨과 함께 푸싱판(24)은 하강의 스위치(22)를 조작하고 엘리베이터의 전원을 차단하여 엘리베이터는 정지하게 된다. 이후 엘리베이터의 전원공급으로 엘리베이터가 하강하게 되면 스위치(22)는 푸싱판(24)에서 떨어지고, 웨지몸체(23)의 하강이동으로 푸싱판(24)은 스토퍼(33)로 부터 떨어짐과 동시에 인장스프링(25)의 복원력으로 상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푸싱판(24)의 상방이동에 따라 푸싱판(24)에 눌리어진 웨지(26)의 누름력이 해소되어 웨지(26)는 복원되는 인장스프링(27)에 의해서 상방으로 이동되어 레일의 면착에서 떨어져 벌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엘리베이터의 제동력은 없어지게 된다.
다음, 엘리베이터가 계속 하강하여 스트로크의 정규레벨 이하로 내려갈시 제3도에서와 같이 푸싱판(18)은 스토퍼기구(30B)의 스토퍼(33)에 접촉하게 되고 점차 이 스토퍼(33)는 푸싱판(18)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한쌍의 웨지(16)는 가이드판(15)의 롤러(15a)에 지지안내되어 최초 일정의 대향된 간극이 점차 줄어들면서 웨지(16)가 레일에 압력을 가하며 면착을 하게 됨과 동시에 엘리베이터는 제동되어 하강동작이 정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피트부에서 발생되는 버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고 카의 안전을 기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실의 오버헤드가 작더라도 이 오버헤드범위 이내에서 웨지(26)가 레일에 면착하여 제동하게 되고, 스위치(22)가 엘리베이터의 전원을 차단하게 됨으로서 2중 안전제동장치가 행하여 짐으로서 엘리베이터는 기계실과의 충돌의 염려가 없다.
또, 엘리베이터가 하강으로 자유낙하할때 조속기의 고장 등으로 발생되는 충돌을 하부의 스토퍼 기구에 의한 푸싱판의 작동으로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조속기가 감지 못하거나 미작동시 승강실내의 비정규레벨인 오버헤드부와 피트부에서 발생되는 기계실과의 충돌 및 추락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구동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안전하게 엘리베이터의 강제 제동을 확실히 할 수 있다.

Claims (5)

  1. 엘리베이터의 카에 설치되어 조속기의 승강이동작동시 레일의 상부에 설치된 스토퍼기구(30A)에 의하여 상부 웨지어셈블리(200)의 웨지(26)을 강제적으로 하강 정지시키고,
    레일의 하부에 설치된 스토퍼기구(30B)에 의하여 카에 설치된 하부 웨지어셈블리(100)의 웨지(16)를 강제적으로 상부 이동시켜 카를 비상정지케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2중안전제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스토퍼기구(31A)(30B)는 레일에 고정설치된 브라켓(31)과이 브라켓(31)을 사이에 두고 상하방으로 이동하는 상하한쌍의 롤러(34)를 갖는 피팅판(32)과 스토퍼(38)를 볼트(38)로 장공(31a)을 관통하여 결합하고
    상기 브라켓(31)을 누름지지하여 일체로 동작하도록 구성하여
    레일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2중안전제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카에 설치되는 상부웨지어셈블리(200)는 카의 상부에 착설되어 웨지몸체(23)를 지지하는 크로스헤드(20)와, 스토퍼기구(30)의 스토퍼(33)의 눌림으로 하강하는 푸싱판(24)을 인장스프링(25)에 지지되도록 상기 웨지몸체(23)에 설치하고,
    상기 푸싱판(24)의 하강에 따라 동작되는 한쌍의 웨지(26)를 인장스프링(27)에 의해 각각 지지됨과,
    동시에 내측으로 점차 협소되도록 가이드(28)에 고정 지지되어 있는 가이드판(29)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2중안전제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카에 설치된 하부 웨지어셈블리(100)는 웨지몸체(10) 중앙에 스토퍼기구(30B)의 의하여 상승작동하는 푸싱판(18)을 히칭로드(12)의 저부에 착설하고, 이 히칭로드(12)의 상승이동에 따라 상부에 비스틈히 설치된 가이드판(15)의 롤러(15a)에 접촉되어 내측으로 협소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판(15)을 일측에서 고정지지하는 가이드(1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엘리베이터의 2중안전제동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카에 설치되는 상부웨지어셈블리(200)의 크로스헤드(20)에 일측으로 스위치브라켓(21)을 고정설치하고,
    이 스위치브라켓(21) 상부에 푸싱판(24)의 누름해제됨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전원차단용 스위치(22)가 온/오프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2중 안전제동장치.
KR2019940004693U 1994-03-09 1994-03-09 엘리베이터의 2중안전제동장치 KR9600072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4693U KR960007268Y1 (ko) 1994-03-09 1994-03-09 엘리베이터의 2중안전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4693U KR960007268Y1 (ko) 1994-03-09 1994-03-09 엘리베이터의 2중안전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465U KR950027465U (ko) 1995-10-18
KR960007268Y1 true KR960007268Y1 (ko) 1996-08-28

Family

ID=19378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4693U KR960007268Y1 (ko) 1994-03-09 1994-03-09 엘리베이터의 2중안전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26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465U (ko) 1995-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82773C (en) Double-sided wedge brake system for an elevator
CA2407861C (en) Brake arresting device with adaptable brake force for a lift
US5411117A (en) Safety device arrangement
US4279329A (en) Safety device for lift equipment
KR910004456A (ko) 탑승케이지 진동방지용 가이드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장치
KR10051185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CN109693987B (zh) 电梯双向安全制动装置
JP4566337B2 (ja) エレベータ用非常止め装置
KR960007268Y1 (ko) 엘리베이터의 2중안전제동장치
WO2017017488A1 (en) Safety block for elevator
KR200437138Y1 (ko) 엘리베이터 브레이크 장치
KR20080099973A (ko)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
US1803762A (en) Elevator safety apparatus
JP2006044894A (ja) エレベータ装置
US5238088A (en) Pit buffer assembly for high speed elevators
KR101117340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장치
JP2008094606A (ja) エレベータ用非常止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
KR200252556Y1 (ko) 엘레베이터의 양방향 비상제동장치
JP2006341953A (ja) エレベーターの非常止め装置
KR960008456Y1 (ko) 엘리베이터 카용 마그네틱 브레이크장치
JPH0829903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CN211393451U (zh) 一种新型的自紧式制动器
JPH05147856A (ja) エレベーターの非常止め装置
CN219708981U (zh) 一种电梯曳引绳夹绳器
JP7409546B1 (ja) 乗客コンベア及び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