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004B1 - 불소 함유 전해액의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불소 함유 전해액의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004B1
KR102041004B1 KR1020157026328A KR20157026328A KR102041004B1 KR 102041004 B1 KR102041004 B1 KR 102041004B1 KR 1020157026328 A KR1020157026328 A KR 1020157026328A KR 20157026328 A KR20157026328 A KR 20157026328A KR 102041004 B1 KR102041004 B1 KR 102041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ine
electrolyte solution
gas
calcium
tr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6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5304A (ko
Inventor
히로시 하야시
고이치로 히라타
히데노리 츠루마키
히사시 호시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71367A external-priority patent/JP6124001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35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54Reclaiming serviceable parts of waste accumul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11/00Compounds of calcium, strontium, or barium
    • C01F11/20Halides
    • C01F11/22Fluo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02Liquid carbonaceous fuels essentially based on components consisting of carbon, hydrogen, and oxygen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42Regeneration of electrolyte or react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06Heat exchange, direct or indirect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54Specific separation steps for separating fractions, components or impurities during preparation or upgrading of a fue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54Specific separation steps for separating fractions, components or impurities during preparation or upgrading of a fuel
    • C10L2290/541Absorption of impurities during preparation or upgrading of a fu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5Organic electrolyte
    • H01M2300/0028Organic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 H01M2300/0034Fluorinated solvents
    • Y02E6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4Recycling of batteries or 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Primary Cells (AREA)

Abstract

불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전해액의 휘발 성분을 감압하에서 가열하여 기화시키는 기화 공정, 기화된 가스에 함유되는 불소 성분을 칼슘과 반응시켜 불화칼슘으로서 고정시키는 불소 고정 공정, 기화 가스에 함유되는 유기 용매 성분을 회수하는 유기 용매 성분 회수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전해액에 소량의 물 또는 광산 수용액 등을 첨가한 후에 감압하에서 가열하여 전해액의 휘발 성분을 기화시키는 불소 함유 전해액의 처리 방법.

Description

불소 함유 전해액의 처리 방법{METHOD FOR PROCESSING FLUORINE-CONTAINING ELECTROLYTE SOLUTION}
본 발명은, 리튬 이온 전지 등에 사용되고 있는 비수계 전해액의 안전한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3년 3월 29일에 일본에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3-071367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들을 여기에 원용한다.
전기 자동차나 전자 기기에는 고용량의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서 대형의 리튬 이온 전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고, 전기 자동차나 전자 기기의 보급에 의해 대량으로 발생하는 사용 완료된 대형 전지의 처리가 문제가 되고 있다.
리튬 이온 전지 등에 사용되고 있는 전해액에는, 전해질이 되는 불소 화합물 (LiPF6, LiBF4 등) 및 휘발성의 유기 용매가 함유되어 있고, 유기 용매는 주로 탄산에스테르류로서 인화성의 물질이다. 또, LiPF6 은 물과 반응하면 가수 분해되어 유독한 불화수소를 발생시킨다. 이 때문에, 안전한 처리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리튬 이온 전지나 그 전해액의 처리 방법으로서, 종래, 이하와 같은 처리 방법이 알려져 있다.
1. 리튬 이온 전지 등을 전해액의 융점 이하로 냉동시켜 전지를 해체 파쇄 하고, 파쇄체로부터 유기 용매 중에서 전해액을 분리하며, 추출된 전해액을 증류하여 전해질과 유기 용매로 분리하는 처리 방법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2. 사용 완료된 리튬 전지를 배소 (焙燒) 하고, 그 배소물을 파쇄하여 자성물과 비자성물로 분별하고,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의 유용 금속량이 많은 것을 회수하는 처리 방법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3. 리튬 전지를 초고압수로 개구하고,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전해액을 회수하는 처리 방법 (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참조).
일본 특허공보 제3935594호 일본 특허공보 제3079285호 일본 특허공보 제2721467호
종래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리튬 전지를 냉동하에서 해체 파쇄하는 처리 방법은 냉동 설비를 필요로 하므로 실시하기 어렵다. 또, 리튬 전지를 배소 처리하는 방법에서는 불소는 연소 가스로서 처리되기 때문에 순도가 높은 불소 성분으로서 회수하지 못하여 재이용할 수 없다.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전해액을 회수하는 처리 방법에서는 회수한 전해액의 처리가 문제가 된다.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전해액에는 인화성의 유기 용매가 함유되어 있고, 또 전해액 중의 불소 화합물은 물과 반응하여 유독한 불화수소를 발생시키므로, 안전한 처리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의 상기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 휘발성의 불소 화합물 (LiPF6 등) 및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전해액을 안전하게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불소 함유 전해액의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1] 휘발성의 불소 화합물 및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전해액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해액을 감압하에서 가열하여 휘발 성분을 기화시키는 기화 공정과, 기화된 가스에 함유되는 불소 성분을 칼슘과 반응시켜 불화칼슘으로서 고정시키는 불소 고정 공정과, 기화 가스에 함유되는 상기 유기 용매 성분을 회수하는 유기 용매 성분 회수 공정을 갖는다.
[2] 상기 [1] 에 기재하는 불소 함유 전해액의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기화 공정에 있어서, 전해액에 물 또는 광산 수용액을 첨가한 후에 감압하에서 가열하여 전해액의 휘발 성분을 기화시키는 상기 [1] 에 기재하는 불소 함유 전해액의 처리 방법.
[3] 상기 [1] 또는 상기 [2] 에 기재하는 불소 함유 전해액의 처리 방법으로서, 전해액의 휘발 성분이 기화된 가스를 습식 처리 공정에 유도하고, 그 습식 처리 공정에 있어서, 가스에 함유되는 불소 성분과 유기 용매 성분을 수랭 포집하고, 포집된 액을 유수 분리하고, 유기 용매 성분을 회수하는 한편, 분리된 수상에 칼슘 화합물을 첨가하여 수상 중의 불소와 칼슘을 반응시켜 불화칼슘을 생성시킨다.
[4] 상기 [1] 또는 상기 [2] 에 기재하는 불소 함유 전해액의 처리 방법으로서, 전해액의 휘발 성분이 기화된 가스를 습식 처리 공정에 유도하고, 그 습식 처리 공정에 있어서, 가스에 함유되는 불소 성분과 유기 용매 성분을 응축시켜 포집하고, 포집된 액에 칼슘 화합물을 첨가하여 불소와 칼슘을 반응시켜 불화칼슘을 생성시킨다.
[5] 상기 [1] 또는 상기 [2] 에 기재하는 불소 함유 전해액의 처리 방법으로서, 전해액의 휘발 성분이 기화된 가스를 습식 처리 공정에 유도하고, 그 습식 처리 공정에 있어서, 칼슘 화합물 혼합액과 접촉시켜 가스 중의 불소를 그 혼합액에 흡수시킴과 함께 불소와 칼슘을 반응시켜 불화칼슘을 생성시키고, 추가로 그 혼합액을 통과한 가스를 응축시켜 유기 용매 성분을 회수한다.
[6] 상기 [1] 또는 상기 [2] 에 기재하는 불소 함유 전해액의 처리 방법으로서, 전해액의 휘발 성분이 기화된 가스를 건식 처리 공정에 유도하고, 그 건식 처리 공정에 있어서, 기화 가스를 칼슘 화합물의 충전층에 통과시켜 가스 중의 불소와 칼슘을 반응시켜 불화칼슘을 생성시키고, 추가로 그 충전층을 통과한 가스를 응축시켜 유기 용매 성분을 회수한다.
[7] 상기 [3] ∼ 상기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하는 불소 함유 전해액의 처리 방법으로서, 5 ㎪ ∼ 상압의 감압하, 80 ∼ 150 ℃ 로 전해액을 가열하여 휘발 성분을 기화시키고, 기화된 가스를 상기 습식 처리 공정 또는 상기 건식 처리 공정에 유도한다.
[8] 상기 [1] 에 기재하는 불소 함유 전해액의 처리 방법으로서, 1 ㎪ 이하의 감압하, 80 ∼ 150 ℃ 로 전해액을 가열하여 휘발 성분을 기화시키고, 기화된 가스를 상기 건식 처리 공정에 유도한다.
[9] 상기 [1] ∼ 상기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하는 불소 함유 전해액의 처리 방법으로서, 불화칼슘을 회수하여 재자원화하고, 또, 회수된 유기 용매 성분을 연료 또는 대체 연료로서 이용한다.
[10] 상기 [1] ∼ 상기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하는 불소 함유 전해액의 처리 방법으로서, 불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전해액을 함유하는 사용 완료된 전지의 개구부에 관로를 접속시키고, 사용 완료된 전지를 감압하에서 가열하여 전해액의 휘발 성분을 기화시키고, 기화된 가스를, 상기 관로를 통하여 불소 고정 공정 및 유기 용매 회수 공정에 유도하여 처리한다.
[11] 상기 [10] 에 기재하는 불소 함유 전해액의 처리 방법으로서, 사용 완료된 리튬 이온 전지의 안전 밸브를 개구하고, 그 개구에 관로를 접속시키고, 감압하에서 가열하여 전해액의 휘발 성분을 기화시킨다.
[12] 상기 [10] 에 기재하는 불소 함유 전해액의 처리 방법으로서, 복수 개의 사용 완료된 리튬 이온 전지의 안전 밸브를 개구하고, 이들 전지를 밀폐 용기에 수납하여 그 용기에 관로를 접속시키고, 감압하에서 가열하여 전해액의 휘발 성분을 기화시킨다.
[13] 전해액에 첨가하는 물 또는 광산 수용액이, 전해액의 중량에 대해 5 % ∼ 20 % 인 상기[2]에 기재하는 불소 함유 전해액의 처리 방법.
[구체적인 설명]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하기의 「%」는 「질량%」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불소 함유 전해액의 처리 방법은, 불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전해액의 휘발 성분을 감압하에서 가열하여 기화시키는 기화 공정, 기화된 가스에 함유되는 불소 성분을 칼슘과 반응시켜 불화칼슘으로서 고정시키는 불소 고정 공정, 기화 가스에 함유되는 유기 용매 성분을 회수하는 유기 용매 회수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리튬 이온 전지 등에 사용되고 있는 전해액에는, 전해질의 불소 화합물과, 유기 용매가 함유되어 있다. 불소 화합물은 주로 헥사플루오로인산리튬 (LiPF6) 이며, 유기 용매는 디메틸카보네이트 (DMC), 에틸메틸카보네이트 (EMC), 디에틸카보네이트 (DEC), 프로필렌카보네이트 (PC), 에틸렌카보네이트 (EC) 등의 탄산에스테르류이다. 이 중 DMC 는 일본 소방법 제 4 류 제 1 석유류, EMC, DEC 는 일본 소방법 제 4 류 제 2 석유류로 분류되는 인화성 물질이다.
이 처리 방법에서는, 리튬 이온 전지로부터 안전하게 전해액을 꺼내기 위해서, 사용 완료된 리튬 이온 전지를 방전시킨 후에, 포장 시트를 박리하고, 안전 밸브를 이용하여 전해액을 감압 기화시킨다. 리튬 이온 전지에는 전지의 과잉인 내부압을 낮추기 위해서 안전 밸브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안전 밸브를 개구하고,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개구 (11) 에 관로 (12) 를 접속시키고, 전지를 감압하에서 가열하여 전해액의 휘발 성분을 기화시키고, 발생된 가스를 관로 (12) 를 통하여 처리 공정에 유도한다.
[기화 공정]
전해액에 함유되는 유기 용매 중, DMC 의 비점은 90 ℃, EMC 의 비점은 109 ℃, DEC 의 비점은 127 ℃, PC 의 비점은 240 ℃, EC 의 비점은 244 ℃ 이며, 전해액을 이들의 비점보다 높은 온도 상태로 하여 상기 휘발 성분 (DMC, EMC, DEC, PC, EC 등) 을 기화시킨다. LiPF6 은, 가열 혹은 가수 분해됨으로써 분해되고, 불소 성분이 기화된다.
구체적으로는, 대기압 (101.3 ㎪) 에서 0 ℃, 10 ℃, 20 ℃, 80 ℃, 150 ℃ 인 전해액은, 15 ㎪, 10 ㎪, 5 ㎪, 1 ㎪, 0.1 ㎪ 의 감압 조건하에서는 각각 표 1 에 나타내는 대기압 환산 온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선택한 감압 조건하에서, 전해액의 대기압 환산 온도가 예를 들어 244 ℃ 이상이 되도록 전해액을 가열함으로써, DMC, EMC, DEC, PC, EC 등을 휘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지 내부를 5 ㎪ 로 감압하고 80 ℃ ∼ 150 ℃ 로 가열하면, 전해액은 대기압 환산 온도로 170 ℃ ∼ 251 ℃ 의 상태가 되므로, 전해액에 함유되는 DMC, EMC, DEC, PC, EC, 및 열분해된 불소 화합물을 휘발시킬 수 있다. 또한, 5 ㎪ 보다 낮게, 예를 들어 1 ㎪ ∼ 0.1 ㎪ 로 감압하고 80 ℃ ∼ 120 ℃ 로 가열해도 된다.
Figure 112015092784707-pct00001
전해액에 소량의 물을 첨가한 후에 감압하에서 가열하여 전해액의 휘발 성분을 기화시킴으로써, 다음 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iPF6 은 물과 순차적으로 반응하여 인산과 불화수소로 가수 분해되므로, LiPF6 의 분해에 의한 기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LiPF6 + H2O → LiF + 2HF (↑) + POF3
POF3 + H2O → HPO2F2 + HF (↑)
HPO2F2 + H2O → H2PO3F + HF (↑)
H2PO3F + H2O → H3PO4 + HF (↑)
물을 첨가하여 기화시키는 방법에 의하면, 불소를 HF 로서 대량으로 기화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불소는 HF 로서 기화되지만 인은 H3PO4 가 되어 용액으로서 잔류하기 때문에, 불소와 인의 분별 효율이 좋다. 물의 첨가량은 전해액 중량에 대해 5 % ∼ 20 % 가 바람직하다. 첨가하는 물의 형태는 액체 또는 기체 (수증기)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물의 첨가 방법은, 미리 전해액에 첨가하는 방법, 혹은 반응 도중에 순차적으로 첨가하는 방법, 혹은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방법, 혹은 이들을 조합한 방법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전해액에 소량의 희박한 광산 (무기산) 수용액을 첨가하는 것에 의해서도 마찬가지로 LiPF6 의 분해를 촉진시킬 수 있다. 광산으로는 황산, 염산, 질산, 및 이들 2 종 이상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광산 수용액 중의 광산의 농도는 0.1 M ∼ 5 M 이 적합하고, 광산 수용액의 첨가량은 전해액 중량에 대해 5 % ∼ 20 % 가 바람직하다. 이보다 높은 농도의 광산 수용액이거나, 첨가량이 많으면, 감압 증류하였을 때에 황산이나 염산이나 질산도 동시에 휘발되어 회수되기 때문에, 불소를 불화칼슘으로서 회수할 때에 순도를 저하시키는 등의 악영향을 미친다.
기화된 휘발 성분의 가스를 습식 처리 공정 또는 건식 처리 공정에 유도하여, 불소를 불화칼슘으로서 고정시키고, 유기 용매 (유상) 를 회수한다.
[습식 처리의 일례]
습식 처리 공정의 일례 (수랭 포집) 를 도 1 에 나타낸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지 (10) 는 가온 설비 (15) 에 수납되어 있고, 전지 (10) 의 개구 (11) 로부터 연장되는 관로 (12) 는 냉각기 (16) 및 수랭 트랩 (14) 을 거쳐 진공 펌프 (13) 에 접속되어 있다. 도시하는 예에서는, 2 단의 수랭 트랩이 형성되어 있다. 수랭 트랩에는 물이 넣어져 있고, 수온이 0 ℃ ∼ 10 ℃ 로 유지되어 있다. 가온 설비 (15) 에 의해 전지 (10) 가 가온되고, 추가로 진공 펌프 (13) 에 의해 감압된 상태에서 전해액이 기화된다. 이 기화 가스는 진공 펌프 (13) 에 흡인되어 관로 (12) 를 통하여 냉각기 (16) 에 유도되고, 여기서 냉각되어 응축액이 되고, 다시 수랭 트랩 (14) 에 유도된다. 이 때, 관 내의 감압 조건은 일정 압력으로 유지해도 되고, 또는 정속도로 압력을 낮추거나 혹은 일정 시간마다 대기압과 감압을 교대로 반복하는 등의 변화를 시켜도 된다. 감압도의 조정은 진공 펌프의 가동을 제어함으로써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수랭 트랩 (14) 에서 불소 화합물 (HF 등) 과 유기 용매 성분 (유기 성분 : DMC, EMC, DEC, PC, EC 등) 이 수랭 포집된다.
이와 같이 수랭 트랩 (14) 에서는 유기 용매와 불화 수소가 포집되고, 이들은 수상과 유기상으로 분리된다. 분리된 수상을 회수한다. 이 수상에는 기화 가스 중의 불소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수랭 트랩 (14) 은 복수 단을 직렬로 혹은 병렬로 또는 그 양방을 조합하여 설치해도 된다.
수상 (불소 함유수) 은 pH 2 이하의 산성수이다. 이 불소 함유수에 칼슘 화합물 (탄산칼슘, 소석회, 생석회 등) 을 첨가하여 pH 5.5 ∼ 7.0 으로 중화시키고, 액 중의 불소와 칼슘을 반응시켜 불화칼슘을 침전시킨다. 이 불화칼슘을 고액 분리하여 회수한다.
[습식 처리의 다른 예]
습식 처리 공정의 다른 예 (응축 포집) 를 도 2 에 나타낸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지 (10) 는 가온 설비 (15) 에 수납되어 있고, 전지 (10) 의 개구 (11) 로부터 연장되는 관로 (12) 는 냉각기 (16) 및 트랩 (14) 을 거쳐 진공 펌프 (13) 에 접속되어 있다. 가온 설비 (15) 에 의해 전지 (10) 가 가온되고, 추가로 진공 펌프 (13) 에 의해 감압된 상태에서 전해액이 기화된다. 이 기화 가스는 진공 펌프 (13) 에 흡인되어 관로 (12) 를 통하여 냉각기 (16) 에 유도되고, 여기서 냉각되어 응축액이 되고, 이 응축액은 트랩 (14) 에 유도된다. 이 트랩 (14) 에서 불소 화합물 (HF 등) 과 유기 용매 성분 (유기 성분 : DMC, EMC, DEC, PC, EC 등) 이 포집된다.
트랩 (14) 에서 회수한 액은 유기 용매 성분이 주체이다. 최초로 물이나 광산 수용액 등을 첨가한 경우에는 수분도 함유하고 있지만, 이 유기 용매 성분은 물의 용해성이 높아, 소량의 수분은 유기 용매 성분에 용해되기 때문에 수상은 분리되지 않고 유기상만이 얻어진다. 트랩 (14) 에서 회수한 액은 pH 2 이하의 불소 함유액 (물 + 유기 용매) 이다. 이 불소 함유액에 칼슘 화합물 (소석회, 생석회 등) 을 첨가하여 pH 5.5 ∼ 7.0 으로 중화시키고, 액 중의 불소와 칼슘을 반응시켜 불화칼슘을 침전시킨다. 이것을 고액 분리하여 액상인 유기 용매와 고형분인 불화칼슘을 각각 회수한다.
습식 처리 공정의 다른 예 (칼슘 흡수 포집) 를 도 3 에 나타낸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지 (10) 는 가온 설비 (15) 에 수납되어 있고, 전지 (10) 의 개구 (11) 로부터 연장되는 관로 (12) 는 Ca 혼합액의 용기 (17) 및 냉각기 (16) 및 트랩 (14) 을 거쳐 진공 펌프 (13) 에 접속되어 있다. 가온 설비 (15) 에 의해 전지 (10) 가 가온되고, 추가로 진공 펌프 (13) 에 의해 감압된 상태에서 전해액이 기화된다. 이 기화 가스는 진공 펌프 (13) 에 흡인되어 관로 (12) 를 통하여 Ca 혼합액의 용기 (17) 에 유도되고, 여기서 불소 성분이 Ca 혼합액에 흡수되고, 칼슘 화합물과 반응하여 불화칼슘으로서 고정화된다. 용기 (17) 를 통과한 기화 가스는 냉각기 (16) 에 유도되고, 냉각되어 응축액이 되어 트랩 (14) 에 유도된다. 이 트랩 (14) 에서 유기 용매 성분 (유기 성분 : DMC, EMC, DEC, PC, EC 등) 이 포집된다.
이와 같이 Ca 혼합액의 용기 (17) 에서는 불소 성분이 칼슘 화합물과 반응하여 불화칼슘을 생성시킨다. Ca 혼합액의 칼슘 화합물로는 탄산칼슘, 수산화칼슘, 산화칼슘, 황산칼슘, 염화칼슘, 질산칼슘을 사용할 수 있지만, 회수되는 불화칼슘의 조립 (造粒) 을 저렴하게 할 수 있는 탄산칼슘이 바람직하다. Ca 혼합액의 액체로는, 물 혹은 유기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액체가 유기 용매일 때에는 전해액 성분 (DMC, EMC, DEC, PC, EC 등) 을 사용해도 된다. 전해액의 유기 용매를 사용할 때에는, 기화된 가스의 일부를 냉각시키고 응축시켜 Ca 혼합액의 용기 (17) 에 포집하면 된다. 이 경우, 비용상의 장점이 있다.
Ca 혼합액의 액온이 저하되면, 기화된 유기 용매가 대량으로 응축되어 액량이 증대해 버린다. Ca 혼합액의 액량을 안정시키기 위해서, 액을 보온 혹은 가온하여 기화시켜 액량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Ca 혼합액의 용기 (17) 는 복수 단을 직렬 또는 병렬로 설치하거나, 혹은 직렬과 병렬을 조합하여 설치해도 된다.
Ca 혼합액의 용기 (17) 에 있어서 생성된 불화칼슘은, 액분을 휘발시켜 고형물을 건조시키거나, 혹은 현탁물을 고액 분리함으로써 회수할 수 있다. 불소를 제거한 액분은, 새로운 칼슘 화합물을 보충하여 다시 Ca 혼합액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트랩 (14) 에서는 유기 용매가 포집된다. 트랩 (14) 에서 회수한 액은 유기 용매 성분이 주체이다. 최초로 물이나 희황산 등을 첨가한 경우에는 수분도 함유하고 있지만, 이 유기 용매 성분은 물의 용해성이 높아, 소량의 수분은 용해될 수 있기 때문에 수상은 분리되지 않고 유기상뿐이다.
[건식 처리]
건식 처리 공정을 도 4 에 나타낸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화 가스를 칼슘 화합물의 충전층에 통과시켜 가스 중의 불소를 칼슘과 반응시켜 불화칼슘을 생성시킨다. 이 불화칼슘은 충전층으로부터 발출하고, 새로운 칼슘 화합물을 충전층에 보충하여 사용한다. 한편, 그 충전층을 통과한 가스를 응축 트랩에 유도하여 유기 용매 성분을 회수한다. 칼슘 화합물의 충전층은 복수 단을 직렬로 혹은 병렬로 또는 그 양방을 조합하여 설치해도 된다.
건식 처리의 응집 트랩에서는 물은 불필요하고, 포집된 가스는 응축되어 유기 용매상만이 되기 때문에, 연소 설비의 연료나 조연제에 이용할 수 있다. 또, 건식 처리는 조작이 간단하여, 배수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기화 공정에 있어서, 물의 증기압보다 높은 압력에서 기화되었을 때에는, 기화 가스를 습식 처리 공정 또는 건식 처리 공정에 유도하여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물의 증기압보다 낮은 압력에서 기화되었을 때에는, 수랭 포집은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기화 가스를 건식 처리 공정에 유도하여 처리한다.
냉각기 (16) 에서 냉각되는 것은 5 ㎪ 정도의 감압까지이며, 기화 가스가 이보다 강한 감압 상태, 예를 들어, 1 ㎪, 0.1 ㎪ 의 감압 상태에서 전해액을 가열하여 생성된 경우, 냉각기 (16) 에서 10 ℃ 로 냉각시켜도 물의 증기압보다 낮기 때문에, 수랭 트랩은 적합하지 않다. 이 경우에는 기화 가스를 건식 처리 공정에 유도하여 처리한다.
한편, 5 ㎪ ∼ 상압의 감압 상태에서 전해액을 가열하여 휘발 성분을 기화시킨 경우, 냉각기 (16) 에서 10 ℃ 이하로 냉각시키면, 물의 증기압보다 높기 때문에, 기화 가스를 습식 처리 공정에 유도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건식 공정에 도입해도 된다.
본 발명의 처리 방법에 의하면, 전해액으로부터 불소를 순도 높은 불화칼슘으로서 회수하므로, 불산 제조의 원료 또는 시멘트 원료로서 재자원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처리 방법에 의하면, 순도 80 % 이상의 불화칼슘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처리 방법에 의하면 전해액의 유기 용매를 회수하여 연료 또는 대체 연료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처리 방법에 의해 회수된 유기 용매 성분은 불소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연료로서 사용하였을 때에 불화수소 등의 유해 물질이 발생하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처리 방법에 의하면, 전지로부터 전해액을 기화시켜 꺼내므로, 전지를 냉동 내지 고온에서 연소시키지 않고 무해화할 수 있기 때문에, 후단의 재료 리사이클을 안전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습식 처리 (수랭 포집) 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 는,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습식 처리 (응축 포집) 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 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습식 처리 (칼슘 흡수 포집) 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 는,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건식 처리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또한, 유기상액의 성분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질량 분석계에 의해 분석하였다. 액의 pH 는 유리 전극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불소 농도는 불화물 이온 전극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실시예 2 ∼ 5 의 전해액은 (1 ㏖/ℓ 의 LiPF6 용액 [용매 : EC/DMC/EMC/DEC = 30/30/30/10 = (v/v/v/v)]) 이다.
[실시예 1 : 수랭 포집]
자동차용의 대형 전지 셀 (리튬 이온 전지, 1.66 ㎏) 을 방전시키고 포장 시트를 박리하고, 안전 밸브를 열어 물을 18 g 첨가하였다. 그리고, 안전 밸브의 개구에 관로를 접속시키고, 진공 펌프에 의해 5 ㎪ 로 감압하고 오일 히터에 침지시켜 대형 전지 셀을 150 ℃ 에서 2 시간 가열하였다. 발생된 가스를 냉각관 (4 ℃), 수랭 트랩 (액량 300 ㎖) 순으로 유도하여 포집하였다. 이것을 실온에 정치 (靜置) 하여 수상과 유기상으로 분리하였다. 분리된 수상 340 ㎖ 와 유기상 120 ㎖ 를 회수하였다. 이 수상의 불소 농도는 10 g/ℓ, pH 2 였다. 이것에 소석회 6.0 g 을 첨가하여 침전을 생성시켰다. 회수된 침전을 분말 X 선 회절에 의해 분석하여 불화칼슘인 것을 확인하였다. 불화칼슘의 회수량은 6.3 g 이며, 순도 80 % 였다. 한편, 분리된 유기상을 회수하여 성분을 분석한 결과, 용액의 성분은 DMC, EMC, DEC, EC 였다.
[실시예 2 : 수랭 포집]
100 ㎖ 의 전해액에 1.5 ㏖/ℓ 의 황산 수용액을 21.5 g 첨가하고, 관로를 접속시키고, 진공 펌프에 의해 5 ㎪ 로 감압하고 오일 히터에 침지시켜 대형 전지 셀을 120 ℃ 에서 2 시간 가열하였다. 발생된 가스를 냉각관 (4 ℃), 수랭 트랩 (액량 200 ㎖) 순으로 유도하여 포집하였다. 이것을 실온에 정치하여 수상과 유기상으로 분리하고, 수상 230 ㎖ 와 유기상 35 ㎖ 를 회수하였다. 이 수상의 불소 농도는 43 g/ℓ, pH 2 였다. 수상을 회수하고, 소석회 18 g 을 첨가하여 침전을 생성시켰다. 회수된 침전을 분말 X 선 회절에 의해 분석하여 불화칼슘인 것을 확인하였다. 불화칼슘의 회수량은 20 g, 순도 92 % 이며, 불산 제조 원료로서 활용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분리된 유기상을 회수하여 성분을 분석한 결과, 용액의 성분은 DMC, EMC, DEC, EC 였다.
[실시예 3 : 응집 포집]
100 ㎖ 의 전해액에 물을 21.5 g 첨가하고, 관로를 접속시키고, 진공 펌프에 의해 5 ㎪ 로 감압하고 오일 히터에 침지시켜 대형 전지 셀을 120 ℃ 에서 2 시간 가열하였다. 발생된 가스를 냉각관 (4 ℃) 에서 응축시켜, 포집병에 포집하였다. 회수액은 95 ㎖ 이며, 유기상만 회수되었다. 회수액의 불소 농도는 87 g/ℓ, pH 2 였다. 이것에 소석회 15 g 을 첨가하여 침전을 생성시켰다. 회수된 침전을 분말 X 선 회절에 의해 분석하여 불화칼슘인 것을 확인하였다. 불화칼슘의 회수량은 14 g 이고, 순도 93 % 이며, 불산 제조 원료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이었다. 유기상을 분석한 결과, 용액의 성분은 DMC, EMC, DEC, EC 였다.
[실시예 4 : 응집 포집]
100 ㎖ 의 전해액에 물을 21.5 g 첨가하고, 관로를 접속시키고, 120 ℃ 의 오일 히터에 침지하였다. 진공 펌프에 의해 20 ㎪ 로 감압하고 10 분 유지하고, 그 후, 진공 펌프를 정지시켜 관 내를 대기압으로 되돌린 후에, 다시 진공 펌프를 작동시켜 20 ㎪ 로 감압하고, 10 분 경과 후에 진공 펌프를 정지시켜 대기압으로 되돌리는 조작을 2 시간 반복하였다. 발생된 가스를 냉각관 (4 ℃) 에서 응축시켜, 포집병에 포집하였다. 회수액은 101 ㎖ 이며, 유기상만 회수되었다. 이 회수액의 불소 농도는 93 g/ℓ, pH 1.9 였다. 이것에 소석회 17 g 을 첨가하여 침전을 생성시켰다. 회수된 침전을 분말 X 선 회절에 의해 분석하여 불화칼슘인 것을 확인하였다. 불화칼슘의 회수량은 19 g, 순도 88 % 이며, 불산 제조 원료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이었다. 유기상을 분석한 결과, 용액의 성분은 DMC, EMC, DEC, EC 였다.
[실시예 5 : Ca 흡수 포집]
100 ㎖ 의 전해액에 물을 21.5 g 첨가하고, 관로를 접속시키고, 진공 펌프에 의해 15 ㎪ 로 감압하고 오일 히터에 침지시켜 대형 전지 셀을 120 ℃ 에서 2 시간 가열하였다. 발생된 가스를 칼슘 현탁액 (탄산칼슘 30 g, 물 100 ㎖, 30 ℃ ∼ 60 ℃ 에서 조정) 에 통과시키고, 기화된 불소를 흡수시켜, 불화칼슘으로서 고정화하였다. 유기 용매 등은, 그 후의 냉각기 (4 ℃) 에서 응축시켜, 포집병에 포집하였다. 칼슘 현탁액에서 회수한 침전은, 분말 X 선 회절에 의해 분석하여 불화칼슘과 탄산칼슘의 혼합물인 것을 확인하였다. 냉각기에 의해 응축된 회수액은 80 ㎖ 이며, 유기상뿐이었다. 회수액의 불소 농도는 5 mg/ℓ, pH 6.2 이며, 거의 불소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었다. 유기상을 분석한 결과, 용액의 성분은 DMC, EMC, DEC, EC 였다.
[실시예 6 : 건식 처리]
자동차용의 대형 전지 셀 (리튬 이온 전지, 1.66 ㎏) 을 방전하여 포장 시트를 박리하고, 안전 밸브를 열어 물을 18 g 첨가하고, 관로를 접속시키고, 진공 펌프에 의해 5 ㎪ 로 감압하고 오일 히터에 침지시켜 대형 전지 셀을 150 ℃ 에서 2 시간 가열하였다. 발생된 가스를 탄산칼슘의 충전층에 도입하였다.
가스 통과 후, 탄산칼슘의 충전층을 꺼내어 성분을 분말 X 선 회절에 의해 분석한 결과, 미반응의 탄산칼슘과 불화칼슘이었다. 한편, 충전층을 통과한 가스를 응축 트랩 (0 ℃) 에 유도하여 저류하였다. 응축액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회수액의 성분은 DMC, EMC, DEC, EC 이며, 불소 농도는 30 mg/ℓ 였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처리 방법에 의하면, 전해액으로부터 불소를 순도 높은 불화칼슘으로서 회수하므로, 불산 제조의 원료 또는 시멘트 원료로서 재자원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처리 방법에 의하면 전해액의 유기 용매를 회수하여 연료 또는 대체 연료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처리 방법에 의해 회수된 유기 용매 성분은 불소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연료로서 사용하였을 때에 불화수소 등의 유해 물질이 발생하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처리 방법에 의하면, 전지로부터 전해액을 기화시켜 꺼내므로, 전지를 냉동 내지 고온에서 연소시키지 않고 무해화할 수 있기 때문에, 재료 리사이클을 안전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갖는다.
10 : 전지
11 : 개구
12 : 관로
13 : 진공 펌프
14 : 수랭 트랩
15 : 가온 설비
16 : 냉각기
17 : Ca 혼합액의 용기

Claims (16)

  1. 휘발성의 불소 화합물 및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전해액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해액을 감압하에서 가열하여 휘발 성분을 기화시키는 기화 공정과,
    기화된 가스에 함유되는 불소 성분을 칼슘과 반응시켜 불화칼슘으로서 고정시키는 불소 고정 공정과,
    기화 가스에 함유되는 상기 유기 용매 성분을 회수하는 유기 용매 성분 회수 공정을 갖고,
    상기 기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에 물 또는 광산 수용액을 첨가한 후에 감압하에서 가열하여 상기 전해액의 휘발 성분을 기화시킴과 함께, 상기 전해액에 함유된 헥사플루오로인산리튬을 물과 반응시켜 인산과 불화 수소로 분해하여 기화를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함유 전해액의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에 첨가하는 물 또는 0.1 M ~ 5 M 의 광산 수용액이, 상기 전해액의 중량에 대해 5 % ∼ 20 % 인 불소 함유 전해액의 처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분해한 상기 인산을 잔류시키고 불화 수소를 기화시키는 불소 함유 전해액의 처리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해액의 휘발 성분이 기화된 가스를 습식 처리 공정에 유도하고, 그 습식 처리 공정에 있어서, 가스에 함유되는 불소 성분과 유기 용매 성분을 수랭 포집하고, 포집된 액을 유수 분리하고, 유기 용매 성분을 회수하는 한편, 분리된 수상에 칼슘 화합물을 첨가하여 수상 중의 불소와 칼슘을 반응시켜 불화칼슘을 생성시키는 불소 함유 전해액의 처리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해액의 휘발 성분이 기화된 가스를 습식 처리 공정에 유도하고, 그 습식 처리 공정에 있어서, 가스에 함유되는 불소 성분과 유기 용매 성분을 응축시켜 포집하고, 포집된 액에 칼슘 화합물을 첨가하여 불소와 칼슘을 반응시켜 불화칼슘을 생성시키는 불소 함유 전해액의 처리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해액의 휘발 성분이 기화된 가스를 습식 처리 공정에 유도하고, 그 습식 처리 공정에 있어서, 칼슘 화합물 혼합액과 접촉시켜 가스 중의 불소를 그 혼합액에 흡수시킴과 함께 불소와 칼슘을 반응시켜 불화칼슘을 생성시키고, 추가로 그 혼합액을 통과한 가스를 응축시켜 유기 용매 성분을 회수하는 불소 함유 전해액의 처리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해액의 휘발 성분이 기화된 가스를 건식 처리 공정에 유도하고, 그 건식 처리 공정에 있어서, 기화 가스를 칼슘 화합물의 충전층에 통과시켜 가스 중의 불소와 칼슘을 반응시켜 불화칼슘을 생성시키고, 추가로 그 충전층을 통과한 가스를 응축시켜 유기 용매 성분을 회수하는 불소 함유 전해액의 처리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5 ㎪ ∼ 상압의 감압하, 80 ∼ 150 ℃ 로 전해액을 가열하여 휘발 성분을 기화시키고, 기화된 가스를 상기 습식 처리 공정에 유도하는 불소 함유 전해액의 처리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1 ㎪ 이하의 감압하, 80 ∼ 150 ℃ 로 전해액을 가열하여 휘발 성분을 기화시키고, 기화된 가스를 상기 건식 처리 공정에 유도하는 불소 함유 전해액의 처리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불화칼슘을 회수하여 재자원화하고, 또, 회수된 유기 용매 성분을 연료 또는 대체 연료로서 이용하는 불소 함유 전해액의 처리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불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전해액을 함유하는 사용 완료된 전지의 개구부에 관로를 접속시키고, 사용 완료된 전지를 감압하에서 가열하여 전해액의 휘발 성분을 기화시키고, 기화된 가스를, 상기 관로를 통하여 불소 고정 공정 및 유기 용매 회수 공정에 유도하여 처리하는 불소 함유 전해액의 처리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사용 완료된 리튬 이온 전지의 안전 밸브를 개구하고, 그 개구에 관로를 접속시키고, 감압하에서 가열하여 전해액의 휘발 성분을 기화시키는 불소 함유 전해액의 처리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사용 완료된 리튬 이온 전지의 안전 밸브를 개구하고, 이들 전지를 밀폐 용기에 수납하여 그 용기에 관로를 접속시키고, 감압하에서 가열하여 전해액의 휘발 성분을 기화시키는 불소 함유 전해액의 처리 방법.
  14. 제 5 항에 있어서,
    5 ㎪ ∼ 상압의 감압하, 80 ∼ 150 ℃ 로 전해액을 가열하여 휘발 성분을 기화시키고, 기화된 가스를 상기 습식 처리 공정에 유도하는 불소 함유 전해액의 처리 방법.
  15. 제 6 항에 있어서,
    5 ㎪ ∼ 상압의 감압하, 80 ∼ 150 ℃ 로 전해액을 가열하여 휘발 성분을 기화시키고, 기화된 가스를 상기 습식 처리 공정에 유도하는 불소 함유 전해액의 처리 방법.
  16. 제 7 항에 있어서,
    5 ㎪ ∼ 상압의 감압하, 80 ∼ 150 ℃ 로 전해액을 가열하여 휘발 성분을 기화시키고, 기화된 가스를 상기 건식 처리 공정에 유도하는 불소 함유 전해액의 처리 방법.
KR1020157026328A 2013-03-29 2013-09-26 불소 함유 전해액의 처리 방법 KR1020410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71367A JP6124001B2 (ja) 2012-03-30 2013-03-29 フッ素含有電解液の処理方法
JPJP-P-2013-071367 2013-03-29
PCT/JP2013/076083 WO2014155784A1 (ja) 2013-03-29 2013-09-26 フッ素含有電解液の処理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304A KR20150135304A (ko) 2015-12-02
KR102041004B1 true KR102041004B1 (ko) 2019-11-05

Family

ID=51625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6328A KR102041004B1 (ko) 2013-03-29 2013-09-26 불소 함유 전해액의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43077B2 (ko)
KR (1) KR102041004B1 (ko)
CN (1) CN105144464B (ko)
WO (1) WO20141557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07843B4 (de) 2015-04-28 2018-06-07 Duesenfeld Gmbh Verfahren zum Behandeln gebrauchter Batterien und Batterie-Verarbeitungsanlage
JP6162754B2 (ja) 2015-07-03 2017-07-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電解質除去方法
US10707531B1 (en) 2016-09-27 2020-07-07 New Dominion Enterprises Inc. All-inorganic solvents for electrolytes
DE102016120046A1 (de) * 2016-10-20 2018-04-26 Duesenfeld Gmbh Recycling-Verfahren zum Behandeln gebrauchter Batterien, insbesondere wieder aufladbarer Batterien und Batterie-Verarbeitungsanlage
CN107910610B (zh) * 2017-11-16 2019-06-28 江苏智泰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锂电池的正极及电解液混合回收方法
CN108682914B (zh) * 2018-04-09 2021-02-23 惠州亿纬锂能股份有限公司 废旧锂离子电池电解液的回收处理方法
CN108392962A (zh) * 2018-04-26 2018-08-14 长沙理工大学 一种锂电池电池液专用分离器
CN108808156B (zh) * 2018-08-24 2020-10-16 广西师范大学 一种废旧锂离子电池中电解液的回收方法
CN109672002B (zh) * 2018-10-22 2020-10-16 天齐锂业(江苏)有限公司 一种电池电芯粉末中六氟磷酸锂的高效去除方法
CN109449525B (zh) * 2018-12-21 2023-09-26 中南大学 废旧锂电池电解液的无害化回收处理方法及装置
CN110391478B (zh) * 2019-08-02 2020-09-11 湖南科技大学 一种锂电池安全装置
CN111087005A (zh) * 2019-12-25 2020-05-01 洛阳森蓝化工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防止氟气纯化剂烧结变色的方法
CN113390301A (zh) * 2020-03-13 2021-09-14 湖南艾华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电阻的电子鞭炮单体
CN111934041B (zh) * 2020-07-06 2021-09-21 界首市南都华宇电源有限公司 一种废旧锂离子电池电解液回收及再利用方法
CN112421143A (zh) * 2020-11-30 2021-02-26 湖南金源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废锂电池电解液的综合回收方法
CN113363610B (zh) * 2021-06-18 2022-11-22 郑州中科新兴产业技术研究院 一种退役锂离子电池电解液的无害化处理方法
CN113611939A (zh) * 2021-08-03 2021-11-05 中南大学 一种废旧锂离子电池电解液的再生方法
KR20230042933A (ko) * 2021-09-23 2023-03-3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로부터 리튬 전구체의 회수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6089A (ja) * 2003-07-02 2005-01-27 Toyota Motor Corp リチウム電池、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処理方法
JP2006004884A (ja) 2004-06-21 2006-01-05 Toyota Motor Corp リチウム電池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1467B2 (ja) 1993-02-25 1998-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リチウム電池材回収方法
JP3079285B2 (ja) 1996-09-02 2000-08-21 日鉱金属株式会社 使用済みリチウム電池からの有価物回収方法
JP3935594B2 (ja) 1997-03-14 2007-06-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非水溶媒系電池の処理方法
JP4492222B2 (ja) 2004-06-21 2010-06-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電池処理方法
CN100369317C (zh) * 2006-01-10 2008-02-13 东南大学 一种废旧锂离子电池的资源化分离方法
JP5440095B2 (ja) * 2009-10-22 2014-03-12 栗田工業株式会社 フッ素含有水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JP5703884B2 (ja) 2011-03-23 2015-04-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パックのリサイクル方法及び処理装置
ES2766777T3 (es) * 2012-05-25 2020-06-15 Lanxess Deutschland Gmbh Preparación de fluoruro de litio de alta purez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6089A (ja) * 2003-07-02 2005-01-27 Toyota Motor Corp リチウム電池、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処理方法
JP2006004884A (ja) 2004-06-21 2006-01-05 Toyota Motor Corp リチウム電池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43077B2 (en) 2017-12-12
WO2014155784A1 (ja) 2014-10-02
CN105144464B (zh) 2018-03-27
US20160049699A1 (en) 2016-02-18
KR20150135304A (ko) 2015-12-02
CN105144464A (zh) 201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1004B1 (ko) 불소 함유 전해액의 처리 방법
JP6124001B2 (ja) フッ素含有電解液の処理方法
KR102111827B1 (ko) 불소 함유 전해액의 처리 방법
JP6315198B2 (ja) フッ素含有電解液の処理方法
CA2696544C (en) Processes for producing phosphorus tetrafluoride and phosphate hexafluoride
WO2010016471A1 (ja) 五フッ化リン及び六フッ化リン酸塩の製造方法
WO2015046232A1 (ja) フッ素含有電解液の処理方法
US9731968B2 (en) Process for producing fluoride gas
CN101787537B (zh) 微负压-负压蒸发、结晶工艺回收不锈钢退火酸洗废硝酸氢氟酸
JP5188064B2 (ja) フッ酸及び塩酸の回収方法
JP5032143B2 (ja) 塩化水素の回収方法
CN112421143A (zh) 一种废锂电池电解液的综合回收方法
JP2014001136A (ja) 五フッ化リン及び六フッ化リン酸塩の製造方法
JP5865314B2 (ja) 五フッ化リン及び六フッ化リン酸塩の製造方法
JP6311882B2 (ja) フッ素含有電解液の処理方法
KR101266719B1 (ko) 오불화인 제조방법
JP5532181B1 (ja) リチウム電池及び/又は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電解質用リチウム塩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TW202349783A (zh) 一種廢棄鋰離子電池的電解質的去除及安全處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