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1250B1 - 대두 계통 syht0h2 및 이의 조성물과 이를 검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대두 계통 syht0h2 및 이의 조성물과 이를 검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1250B1
KR101981250B1 KR1020137016499A KR20137016499A KR101981250B1 KR 101981250 B1 KR101981250 B1 KR 101981250B1 KR 1020137016499 A KR1020137016499 A KR 1020137016499A KR 20137016499 A KR20137016499 A KR 20137016499A KR 101981250 B1 KR101981250 B1 KR 101981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disclosed
seq
carboxamide
phe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6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6646A (ko
Inventor
존 힙스킨드
크리스티나 버긴
라케쉬 자인
캐롤라인 터프스트라
마리나 시가레바
아닉 데프라몬드
베키 브라이팅거
밴스 크레이머
웨이닝 구
Original Assignee
신젠타 파티서페이션즈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624529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98125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신젠타 파티서페이션즈 아게 filed Critical 신젠타 파티서페이션즈 아게
Publication of KR20130126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6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3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singly bound oxygen or sulfur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this oxygen or sulfur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carboxylic group or of a thio analogue, or of a derivative thereof, e.g. hydroxy-carboxylic acids
    • A01N37/3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singly bound oxygen or sulfur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this oxygen or sulfur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carboxylic group or of a thio analogue, or of a derivative thereof, e.g. hydroxy-carboxylic acids having at least one oxygen or sulfur atom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 A01N37/4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singly bound oxygen or sulfur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this oxygen or sulfur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carboxylic group or of a thio analogue, or of a derivative thereof, e.g. hydroxy-carboxylic acids having at least one oxygen or sulfur atom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hav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one oxygen or sulfur atom attached to the same aromatic ring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12N15/824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 C12N15/826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 C12N15/827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 C12N15/8274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for herbicide re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aryloxy- or arylthio-aliphatic or cycloaliphatic compounds, containing the group or, e.g. phenoxyethylamine, phenylthio-acetonitrile, phenoxyacetone
    • A01N39/02Aryloxy-carboxyl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A01N39/04Aryloxy-acet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sulfur atom bound to a hetero atom
    • A01N41/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sulfur atom bound to a hetero atom containing a sulfur-to-oxygen double bond
    • A01N41/10Sulfones; Sulfox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3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01N43/4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61,2-Diazoles; Hydrogenated 1,2-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7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 A01N43/8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nd either one oxygen atom or one sulfur atom in positions 1,2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 A01N57/1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having phosphorus-to-carbon bonds
    • A01N57/2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having phosphorus-to-carbon bonds containing acyclic or cycloaliphatic 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1/00Obtaining 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Bulk opening of eggs and separation of yolks from whites
    • A23J1/14Obtaining 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Bulk opening of eggs and separation of yolks from whites from leguminous or other vegetable seeds; from press-cake or oil-bearing see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21/00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mononucleotide units having separate phosphate or polyphosphate groups linked by saccharide radicals of nucleoside groups, e.g. nucle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1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extrac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12N15/824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 C12N15/826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 C12N15/827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 C12N15/8274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for herbicide resistance
    • C12N15/8275Glyphosat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12N15/824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 C12N15/826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 C12N15/827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 C12N15/8279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for biotic stress resistance, pathogen resistance, disease resistance
    • C12N15/828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for biotic stress resistance, pathogen resistance, disease resistance for bacterial resis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12N15/824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 C12N15/826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 C12N15/827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 C12N15/8279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for biotic stress resistance, pathogen resistance, disease resistance
    • C12N15/8282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for biotic stress resistance, pathogen resistance, disease resistance for fungal resis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12N15/824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 C12N15/826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 C12N15/827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 C12N15/8279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for biotic stress resistance, pathogen resistance, disease resistance
    • C12N15/8283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for biotic stress resistance, pathogen resistance, disease resistance for virus resis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12N15/824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 C12N15/826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 C12N15/827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 C12N15/8279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for biotic stress resistance, pathogen resistance, disease resistance
    • C12N15/8286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for biotic stress resistance, pathogen resistance, disease resistance for insect resis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0004Oxidoreductases (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13Hybridisation assay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12Q1/6895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for plants, fungi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300/00Combinations or 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covered by classes A01N27/00 - A01N65/48 with other active or formulation relevant ingredients, e.g. specific carrier materials or surfactants, covered by classes A01N25/00 - A01N65/4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ell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Immunology (AREA)
  • Vir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Myc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통 SYHT0H2를 포함하는 대두 식물, 이 계통을 검출 및 사용하는 방법, 그리고 SYHT0H2와 동일한 위치에 이종 삽입부를 포함하는 대두 식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대두 계통 SYHT0H2 및 이의 조성물과 이를 검출하는 방법{SOYBEAN EVENT SYHT0H2 AN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TECTION THEREOF}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제초제 내성을 가지는 유전자 이식 식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형질 전환 계통인 SYHT0H2(HPPD 억제 제초제와 글루포시네이트에 대한 저항성 부여)를 포함하는 대두 식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형질 전환 계통 SYHT0H2를 검출하는 방법 및 본 발명에 개시된 식물과 식물의 일부들을 사용하는 방법도 제공한다.
식물 내에서 이종 유전자를 발현하는 것은, 아마도 통합 위치에 인접한 전사 조절 요소의 근접성 또는 크로마틴 구조로 인하여 식물 게놈 내 이종 유전자의 위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동시에, 게놈 내 상이한 위치에 이식 유전자가 존재함으로 인하여 상이한 방식들로 식물의 전체적인 표현형이 영향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도입된 관심 유전자의 최적 발현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계통을 확인하기 위해 종종 다수의 계통들은 스크리닝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식물 및 기타 다른 유기체에 있어서 여러가지 계통들 중 도입된 유전자의 발현 수준에는 다양한 변화가 있을 수 있음이 관찰된 바 있다. 발현의 공간상 또는 시간상 패턴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그 예로서는 다양한 식물 조직 내 이식 유전자의 상대적 발현 상 차이를 들 수 있으며, 상기 차이는 도입된 유전자 구조체 내에 존재하는 전사 조절 요소들로부터 예상되는 패턴과 상응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식 유전자가 삽입될 경우 내인성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도 관찰된 바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수백개 내지 수천개의 상이한 계통들을 생산하여 원하는 이식 유전자 발현 수준과 상업상 목적에 부합하는 패턴을 나타내는 단일 계통을 위하여 상기 상이한 계통들을 스크리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원하는 이식 유전자 발현 수준 또는 패턴을 나타내는 계통은, 통상의 육종 방법을 사용하여 유성 타교잡(sexual outcrossing)에 의해 이식 유전자를 기타 다른 유전 배경에 이입(introgressing)하는데 유용하다. 이와 같은 교잡의 자손은 원 형질 전환체의 이식 유전자 발현 특징을 보유한다. 이러한 전략은 현지 생장 조건에 잘 순응하는 다수의 변종에서 확실한 유전자 발현을 보장하는데 사용된다.
유성 교잡으로 인한 자손이 관심 이식 유전자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특정 계통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은 유리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특정 계통을 검출하는 방법은, 환경을 모니터링하고, 노지 농작물의 형질을 모니터링하며, 농작 수확물로부터 얻어진 상품들을 모니터링하는데 사용하고/사용하거나, 규정 조건 또는 계약상의 조건에 종속되는 당사자들간 수락을 보장하는데 사용하기 위해서, 시장에 출하되기 전 승인과 재조합 농작 식물로부터 유래하는 식품의 표지화를 요구하는 규정을 준수하는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식물 내에서 제초제 내성을 나타내는 계통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 및 조성물은, 예를 들어 노지에서 자라는 잡초를 방제하는데 필요한 제초제 적용 횟수를 줄이고, 노지에서 자라는 잡초를 방제하는데 필요한 제초제의 양을 줄이며, 농작물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기경(tilling) 양을 줄이고/줄이거나, 제초제 저항성인 잡초의 출현을 지연시키거나 막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잡초를 관리하고 농작물을 보호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제초제 혼합물을 특정 용도로 사용하고, 이와 같은 계통을 효율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농작물 보호 및 잡초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조성물이 여전히 요망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HPPD 억제 제초제와 글루포시네이트에 대한 저항성을 부여하는 형질 전환 계통 SYHT0H2를 포함하는 대두 식물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형질 전환 계통 SYHT0H2를 검출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대두 식물 또는 이의 일부를 제공하는데, 여기서 상기 식물 또는 식물 일부는 서열 번호 1 및 서열 번호 2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계통 SYHT0H2에 대하여 진단하는 앰플리콘 생산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두 식물 또는 식물 일부로부터 생산되는 대두 상품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대두 계통 SYHT0H2에 대하여 진단하는 분리된 핵산, 예를 들어 서열 번호 1 내지 서열 번호 6, 서열 번호 9 및 서열 번호 10의 서열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이의 진단용 단편을 추가로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물 샘플 중 계통 SYHT0H2를 확인하기 위한 키트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키트는 제1 및 제2 프라이머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프라이머는 SYHT0H2 특이적 영역을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증폭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엄중 조건 하에서 SYHT0H2 특이적 영역과 혼성화하는 핵산 프로브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샘플 중 계통 SYHT0H2를 확인하는 방법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방법은 (a) 샘플과 제1 및 제2 프라이머를 접촉시키는 단계; 및 (b) SYHT0H2 특이적 영역을 포함하는 핵산을 증폭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방법은 (a) 샘플을 하나 이상의 핵산 프로브(엄중 조건 하에서 SYHT0H2 특이적 영역과 혼성화되는 프로브)와 접촉시키는 단계; 및 (b) 하나 이상의 핵산 프로브와 SYHT0H2 특이적 영역과의 혼성화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두 식물 게놈에 계통 SYHT0H2를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HPPD 억제제 및/또는 글루포시네이트에 저항성인 대두 식물을 생산하는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이와 같은 식물을 이용하여 대두 상품을 생산하는 방법도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대두 식물과 잡초가 공존하는 장소에서 잡초를 방제하는 방법도 추가로 제공하는데, 여기서 상기 대두 식물은 계통 SYHT0H2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장소에 하나 이상의 HPPD 억제제를 포함하는 제초제 조성물을 잡초 방제량만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계통 SYHT0H2를 이용하여 대두 수확량을 개선하는 방법도 추가로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장소에서 지원 SYHT0H2 농작 식물을 제어하는 방법을 추가로 제공하는데, 여기서 상기 방법은 상기 장소에, 대두에 효과적이고, HPPD를 억제하는 것 이외의 작용 양태를 가지는 제초제 하나 이상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SYHT0H2 농작 식물을 포함하는 장소에서 지원 이식 유전자 계통을 제어하는 방법을 추가로 제공하는데, 여기서 상기 지원 계통은 하나 이상의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은 포함하지만, HPPD 억제제에 대한 저항성은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방법은 상기 장소에 하나 이상의 HPPD 억제제를 포함하는 제초제 조성물을 방제량만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장소에 제초제 혼합물을 적용하는 방법도 추가로 제공하는데, 여기서 상기 제초제 혼합물은 HPPD 억제제와 부가 화학 물질(즉 해충(잡초, 질병, 곤충 및 선충)을 방제함에 있어서 SYHT0H2에 의해 내성이 생기지 않을 수 있는 물질)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SYHT0H2 계통이 존재할 경우 상기 혼합물은 잔류하는 HPPD 활성에 대한 보호 작용으로 인해 식재 전 또는 발아 전에 적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계통 SYHT0H2의 삽입 위치에 상응하는, 이종 핵산 삽입을 위한 대두 염색체 상의 표적 위치도 추가로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계통 SYHT0H2의 염색체상 위치에 이종 핵산을 포함하는 대두 식물, 식물 일부 및 상품과, 이것들을 생산하는 방법도 제공한다.
도 1은 대두 코돈 최적화된 아베나(Avena) HPPD 유전자를 함유하는 2원 벡터 15954를 나타낸 것이다.
서열 목록 중 서열에 관한 간단한 설명
Figure 112013056727195-pct00001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유전자 이식 HPPD 억제제 내성 대두 식물에 관한 조성물과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계통 SYHT0H2를 포함하는 대두 식물 및 식물 일부, 이로부터 유래하는 식품 및 사료 상품, 그리고 상기 계통 SYHT0H2 검출용 시약을 포함한다. 계통 SYHT0H2를 포함하는 대두 식물은 실시예 1에 기술된 바와 같이 아베나로부터 유래하는 돌연 변이 HPPD 유전자 및 에스.비리도크로모제네스(S. viridochromogenes)로부터 유래하는 포스피노트리신 아세틸 트랜스퍼라제 유전자를 삽입함으로써 생산되었다.
본원에 사용된 축약어 “HPPD”는, 하이드록시페닐-피루베이트-디옥시게나제를 의미한다. HPPD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하이드록시페닐-피루베이트-디옥시게나제 효소의 효소 활성을 가지는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한다.
HPPD 억제제 내성을 부여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대두 게놈 내 특성 규명된 위치에 삽입되고, 이로써 SYHT0H2 대두 계통을 생산한다. 실시예 3을 참조한다. 계통 SYHT0H2를 보유하는 대두 식물은 적어도 서열 번호 1 또는 서열 번호 2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가지는 게놈/이식 유전자 접합부를 포함한다. 계통 SYHT0H2의 게놈 삽입 위치의 특성을 규명하면, 육종 효율이 향상되고, 육종 군집 및 이의 자손에 존재하는 이식 유전자 삽입부를 추적하기 위한 분자 마커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4를 참조한다. 대두 SYHT0H2 계통을 확인, 검출 및 사용하기 위한 다수의 방법 및 조성물이 본원에 제공된다. 예를 들어, 실시예 2를 참조한다. 본원에 있어서, 핵산 또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설명하는데 사용된 “SYHT0H2 특이적”이란 기재는, 식물, 식물 물질 또는 생산물, 예를 들어 식물 물질을 함유하거나 이로부터 유래하는 (신선 또는 가공) 식품 또는 사료 제품(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있어서 계통 SYHT0H2를 식별력 있게 확인하는 특성을 말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미국 모식균 배양 수집소(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에 기탁 번호 PTA-11226으로 기탁된 종자, 식물, 식물 세포 및 이로부터 유래하는 종자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미국 VA20110-2209 매너사 소재, ATCC에 대두 계통 SYHT0H2의 종자 2500개 이상을 기탁하였으며(2010년 7월 21일), 이 기탁물에는 ATCC 기탁 번호 PTA-11226이 주어졌다. 이와 같은 기탁물은 특허 절차상의 미생물 기탁의 국제적 승인에 관한 부다페스트 조약의 기간 하에서 유지될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대두”란 용어는, 글리신 맥스(Glycine max)를 의미하며, 대두에 의해 육종될 수 있는 모든 식물 변이체들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식물”이란 용어는 식물 세포, 식물 기관, 식물 원형질체, 식물 세포 조직 배양물(식물을 재생시킬 수 있는 것), 식물 유합 조직, 식물 괴(plant clump), 그리고 식물 또는 식물 일부에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존재하는 식물 세포, 예를 들어 배, 화분, 밑씨, 종자, 잎, 꽃, 가지, 과실, 줄기, 뿌리, 근단 및 화분 등을 포함한다. “곡물”이란, 임의의 종자 종을 생장시키거나 생식시키는 것이 아닌 목적으로 상업적 경작자에 의해서 생산된 성숙한 종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재생된 식물의 자손, 변이체 및 돌연 변이체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되, 다만 이러한 부분들은 계통 SYHT0H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계통 SYHT0H2를 포함하는 대두 식물의 상품으로서 다음과 같은 것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레시틴, 지방산, 글리세롤, 스테롤, 식용 오일, 탈지 대두 플레이크, 대두 가루, 예를 들어 탈지 및 볶은 대두 가루, 대두 응유, 두부, 대두 분말, 대두 단백질 농축물, 분리된 대두 단백질, 가수 분해된 식물성 단백질, 조직 대두 단백질 및 대두 단백질 섬유로부터 유래하는 상품, 예를 들어 식품 또는 사료 제품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식 유전자 “계통”은, 이종 DNA 구조체(들), 예를 들어 관심 이식 유전자를 포함하는 핵산 발현 카세트로 식물 세포를 형질 전환하고, 상기 이식 유전자를 식물의 게놈에 삽입하여 식물 군집을 재생한 후, 특정 게놈 위치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특정 식물의 선별을 통하여 생산된다. 계통의 표현형은 이식 유전자(들)의 발현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계통은, 유전자 수준에서 보았을 때 식물의 유전자 구성의 일부이다. “계통”이란 용어는, 이종 DNA를 포함하는 다른 변이체와 형질 전환체 사이의 유성 타교잡에 의해 생산되는 자손을 말한다. 반복적으로 역교잡하여 부모와 동일한 개체를 재생산한 후 조차도, 형질 전환된 부모로부터 유래하는 삽입 DNA와 측접 DNA는 동일한 염색체 상 위치에서의 교잡에 의한 자손에도 존재한다. “계통”이란 용어는, 삽입된 DNA와, 이 삽입된 DNA에 바로 인접하여 존재하는 측접 서열을 포함하는 원래의 형질 전환체로부터 유래하는 DNA로서, 삽입 DNA를 포함하는 하나의 부모 계열(예를 들어, 원래의 형질 전환체 및 자가 생식에 의해 생산된 자손)과, 삽입 DNA를 함유하지 않는 또 다른 부모 계열을 유성 교잡한 결과, 삽입된 DNA, 예를 들어 관심 이식 유전자를 수용하는 자손으로 이동될 것으로 예상되는 DNA를 말한다.
제초제 내성 또는 일정 범위의 1차 식물 형질 전환 계통의 저항성 수준의 평균 및 분포는, 소정의 제초제가 농도가 일정 범위 내에서 상이한 농도로 적용됨에 따라서 발생하는 식물 손상 및 분열 조직 백화증 등을 바탕으로 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평가된다. 이와 같은 데이터는, 예를 들어 GR50 수치(즉 “투여량”은 x-축에 표시되고, “사멸 백분율”, “제초 효과”, “발아하는 녹색 식물의 수” 등은 y-축에 표시된 투여량/반응 곡선으로부터 구하여짐)의 관점에서 표시될 수 있으며, 여기서 GR50 수치가 증가하였음은 고유의 억제제 내성 수준이 증가(예를 들어, Ki/KmHPP 수치가 증가)하였다는 의미이고/의미이거나, 발현된 HPPD 폴리펩티드의 발현 수준이 증가하였다는 의미이다.
본원에 사용된 “삽입 DNA”란, “측접 DNA”가 유기체, 예를 들어 식물 내에 원래부터 존재하던 게놈 DNA, 또는 형질 전환 방법에 의해 도입된 외래 (이종) DNA를 포함할 수 있을 때, 식물 물질을 형질 전환하는데 사용되는, 발현 카세트 내에 존재하는 이종 DNA로서, 원 삽입 DNA 분자, 예를 들어 형질 전환 계통과 연관된 단편에 대해 외인성인 DNA를 말한다. 본원에 사용된 “측접 영역” 또는 “측접 서열”이란, 원 외래 삽입 DNA 분자의 바로 상류에 연속으로 위치하거나, 원 외래 삽입 DNA 분자의 바로 하류에 연속으로 위치하는, 20개, 50개, 100개, 200개, 300개, 400개, 1000개, 1500개, 2000개, 2500개 또는 5000개 염기쌍 또는 그 이상의 염기쌍으로 이루어진 서열을 말한다. 상기 계통 SYHT0H2의 측접 영역, 이의 변이체 및 단편에 관한 비제한적인 예는 서열 번호 7 및 서열 번호 8에 제시되어 있다.
외래 DNA의 무작위 통합을 유도하는 형질 전환 방법은 각각의 형질 전환체의 특징을 이루며 이와 같은 형질 전환체에 독특한, 상이한 측접 영역들을 함유하는 형질 전환체를 생산할 것이다. 재조합 DNA가 통상의 교잡 방법에 의해 식물에 도입될 때, 이 DNA에 측접하는 영역은 일반적으로 변형되지 않을 것이다. 형질 전환체는 이종 삽입 DNA 및 게놈 DNA 한 조각, 또는 게놈 DNA 두 조각, 또는 이종 DNA 두 조각 간에 독특한 접합부를 포함할 것이다. “접합부”는 2개의 특이 DNA 단편들이 접합하는 지점이다. 예를 들어 접합부는, 삽입 DNA가 측접 DNA와 접합하는 지점에 존재한다. 접합 지점은, 천연의 유기체 내에서 살펴볼 수 있는 DNA 단편들 2개가 변형된 방식으로 상호 접합된 형질 전환 유기체 내에 존재한다. 본원에 사용된 “접합 DNA”란, 접합 지점을 포함하는 DNA를 말한다. 계통 SYHT0H2로부터 유래하는 접합 DNA, 이의 변이체 및 단편에 관한 비제한적인 예는 서열 번호 1 내지 서열 번호 6에 제시되어 있다.
계통 SYHT0H2를 포함하는 식물은 우선, 유전자 이식 SYHT0H2 대두 식물로부터 생장한 제1 부모 대두 식물과, 제초제 내성 표현형이 결여된 제2 부모 대두 식물을 유성 교잡시켜, 제1 자손 식물들을 다수 생산하는 단계; 원하는 제초제 내성을 나타내는 제1 자손 식물을 선별하는 단계; 제1 자손 식물을 자가 생식시켜, 제2 자손 식물을 다수 생산하는 단계; 그리고 원하는 제초제 내성을 나타내는 제2 자손 식물을 선별하는 단계들을 수행함으로써 육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계들은, 제초제 내성 자손 식물을 제2 부모 대두 식물 또는 제3 부모 대두 식물에 대해 역교잡하여, 원하는 제초제 내성을 나타내는 대두 식물을 생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자손을 표현형에 대해 분석할 필요는 없다는 것도 추가로 인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부분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방법들과 조성물들도 계통 SYHT0H2를 검출 및/또는 확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2개의 상이한 유전자 이식 식물이 유성 교잡되면, 독립적으로 각각 부가된 외인성 유전자 2개를 포함하는 자손이 생산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적당한 자손의 자가 생식은 부가된 외인성 유전자 2개에 대해 동형 접합성인 식물들을 생산할 수 있다. 부모 식물에 대한 역교잡 및 비 유전자 이식 식물과의 타교잡이 영양 번식 수단으로서 고려된다. 상이한 형질과 농작물에 대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타 다른 육종 방법에 관한 설명은 예를 들어 몇몇 문헌들 중 하나[Fehr, Breeding Methods for Cultivar Development, 1987, Wilcos, J. (ed.), American Society of Agronomy, Madison, WI]에서 살펴볼 수 있다.
“생식질”이란 용어는, 유전자형, 변종, 종 또는 배양물, 또는 이것들로부터 유래하는 유전 물질을 나타내는 개체, 개체 군 또는 클론을 말한다.
“계열(line)” 또는 “변종(strain)”이란,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 동종 번식되고, 일반적으로 동질 유전자형을 가지거나 거의 동질인 유전자형을 가지는, 동일 혈통의 개체 군이다.
동종 번식된 대두 계열은, 통상적으로 대두 잡종을 생산하고, 신규하면서 분명한 동종 번식 대두 계열을 생산하기 위해 상기 계열을 육종군 내에서 생식질로서 사용하기 위해 개발된다. 동종 번식 대두 계열은 종종 통상의 육종법 및/또는 분자 이입 기술을 통해 새로운 형질을 이입시키기 위한 표적으로서 사용된다. 동종 번식된 대두 계열은 고도로 동종이어야 하고, 동형 접합성이어야 하며, 생식 가능하여 상업용 잡종의 부모로서 유용해야 한다. 동종 번식 계열의 동형 접합성 및 표현형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수의 분석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잡종 식물”이란 어구는, 유전적으로 상이한 개체들 간 교잡을 통해 생산된 식물을 말한다.
본 발명의 내용 중 “교잡된” 또는 “교잡”이란 용어는, 식물의 경우, 예를 들어 자손(즉 세포, 종자 또는 식물) 생산을 위한 수분을 통해 생식 세포들을 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용어는 유성 교잡(다른 식물에 의해 하나의 식물이 수분되는 것)과 자가 생식(식물의 경우에는, 자가 수분, 즉 화분과 밑씨가 동일한 식물로부터 유래되는 것) 둘다를 포함한다.
“이입”이란 용어는, 유전자상 임의의 위치에 존재하는 원하는 대립 형질을 하나의 유전 배경으로부터 다른 유전 배경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말한다. 하나의 방법에서, 원하던 대립 유전자는 2개의 부모 간 유성 교잡을 통해 이입될 수 있는데, 여기서, 부모들 중 하나 이상은 자체의 게놈 내에 원하는 대립 유전자를 가진다.
본 발명의 몇몇 양태에서, 계통 SYHT0H2를 부여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분자 스택(molecular stack)으로 조작되어 도입된다. 다른 양태에서, 분자 스택은 제3의 제초제에 대한 내성을 부여하는 부가 폴리뉴클레오티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서열은 글리포세이트에 대한 내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상기 서열은 EPSPS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계통 SYHT0H2는, 예를 들어 형질이 원하는 양태로 조합된 식물을 생산하도록 관심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이 임의로 조합하여 스택킹(stacking)된, 관심 부가 형질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형질이란, 특정 서열 또는 서열 군으로부터 유래하는 표현형을 말한다. 예를 들어 제초제 내성 폴리뉴클레오티드는 구충 활성 및/또는 살충 활성을 가지는 폴리펩티드, 예를 들어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Bacillus thuringiensis) 독성 단백질(미국 특허 제5,366,892호; 제5,747,450호; 제5,737,514호; 제5,723,756호; 및 제5,593,881호; 그리고 문헌[Geiser et al., Gene, 1986 48:109]; [Lee et al., Appl . Environ . Microbiol., 2003, 69:4648-4657 (Vip3A)]; [Galitzky et al., Acta Crystallogr . D. Biol . Crystallog., 2001, 57:1101-1109 (Cry3Bbl)]; 및 [Herman et al., J. Agric. Food Chem., 2004, 52:2726-2734 (CrylF)]에 기술됨), 렉틴(Van Damme et al., Plant Mol . Biol., 1994, 24:825) 및 펜틴(미국 특허 제5,981,722호에 개시됨) 등을 암호화하는 기타 다른 임의의 폴리뉴클레오티드와 함께 스택킹될 수 있다. 형성된 조합은 관심 폴리뉴클레오티드들 중 임의의 것 하나의 복사체 다수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합은 또한 이와 같은 유전자들을 포함하는 현존 또는 신규 계통들과의 육종 스택킹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육종 스택에 사용될 수 있는 현존 계통의 예로서는 MON87701-레피도프테란 저항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몇몇 양태에 있어서, 계통 SYHT0H2는 기타 다른 제초제 내성 형질과 스택킹될 수 있으며, 이로써 향상된 추가의 특성들을 가지는, 본 발명의 유전자 이식 식물이 생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연 변이 HPPD 폴리펩티드 또는 HPPD 효소 활성을 보유하는 이의 변이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예를 들어 질병, 해충 및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 열 및 가뭄에 대한 내성, 농작물이 성숙하는데 걸리는 시간의 단축, 산업 가공성의 향상, 예를 들어 전분 또는 바이오매스의 발효 가능 당으로의 전환율 향상, 그리고 개선된 작물학적 특징, 예를 들어 높은 오일 함량과 높은 단백질 함량(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과 같은 원하는 형질을 부여하는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기타 다른 임의의 폴리뉴클레오티드와 함께 스택킹될 수 있다.
돌연 변이체 HPPD 폴리펩티드 또는 HPPD 효소 활성을 보유하는 이의 변이체를 암호화하는, 본 발명의 폴리뉴클레오티드와 스택킹될 수 있는 예시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로서는, 해충/병원균, 예를 들어 바이러스, 선충, 곤충 또는 진균 등에 대한 저항성을 부여하는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폴리뉴클레오티드와 함께 스택킹될 수 있는 예시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살충 및/또는 살해충 활성을 가지는 폴리펩티드, 예를 들어 기타 다른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독성 단백질(미국 특허 제5,366,892호; 제5,747,450호; 제5,737,514호; 제5,723,756호; 및 제5,593,881호; 및 문헌[Geiser et al., Gene, 1986, 48:109]에 개시됨), 렉틴(Van Damme et al., Plant Mol . Biol., 1994, 24:825) 및 펜틴(미국 특허 제5,981,722호에 개시됨) 등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질병 또는 제초제 저항성에 요망되는 형질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예를 들어, 후모니신 해독 유전자(미국 특허 제5,792,931호); 무독성 및 질병 저항성 유전자(Jones et al., Science, 1994, 266:789; Martin et al., Science, 1993, 262:1432; Mindrinos et al., Cell, 1993, 78:1089); 제초제 저항성(제초제, 예를 들어 설포닐우레아, 이미다졸리논, 트리아졸로피리미딘, 피리미디닐 티오벤조에이트에 대한 저항성)을 유도하는 아세토락테이트 합성 효소(ALS) 돌연 변이체, 예를 들어 S4 및/또는 Hra 돌연 변이체; 글리포세이트 저항성 유전자(예를 들어, 5-에놀-피로빌-시키메이트-3-포스페이트-합성 효소(EPSPS) 유전자,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940,935호, 제5,188,642호, 제5,633,435호, 제6,566,587호, 제7,674,598호 및 이와 관련된 모든 출원에 개시된 것); 또는 글리포세이트 N-아세틸트랜스퍼라제(GAT) 유전자(문헌[Castle et al., Science, 2004, 304:1151-1154]; 및 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20070004912호, 제20050246798호 및 제20050060767호에 개시됨)); 글루포시네이트 저항성 유전자(예를 들어, BAR;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561,236호 참조); 2,4-D(예를 들어, 아릴옥시 알카노에이트 디옥시게나제 또는 AAD-1, AAD-12 또는 AAD-13) 저항성 유전자, HPPD(예를 들어, 슈도모나스 HPPD) 저항성 및 PPO(예를 들어, 포메사펜, 아시플루오르펜-소듐, 옥시플루오르펜, 락토펜, 플루티아셋-메틸, 사플루페나실, 플루미옥사진, 플루미클로락-펜틸, 카펜트라존-에틸, 설펜트라존) 저항성 유전자; 제초제 저항성, 특히 HPPD-억제 제초제, PPO-억제 제초제 및 ALS-억제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 또는 내성을 부여하는 시토크롬 P450 유전자 또는 이의 변이체(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20090011936호; 미국 특허 제6,380,465호; 제6,121,512호; 제5,349,127호; 제6,649,814호; 제6,300,544호; 및 PCT 국제 특허 출원 공보 WO 2007/000077호); 디캄바 저항성(예를 들어, 디캄바 모노옥시게나제) 유전자를 포함하며, 상기 가공 또는 가공 제품에 요망되는 형질, 예를 들어 고급 오일(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6,232,529호); 변형 오일(예를 들어, 지방산 불포화 효소 유전자(미국 특허 제5,952,544호; PCT 국제 특허 출원 공보 WO 94/11516호)); 변형 전분(예를 들어, ADPG 피로포스포릴라제(AGPase), 전분 합성 효소(SS), 전분 분지 효소(SBE) 및 전분 탈분지 효소(SDBE)에 요망되는 형질; 및 중합체 또는 바이오플라스틱(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602,321호; 베타-케토티올라제,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합성 효소; 및 아세토아세틸-CoA 환원 효소에 요망되는 형질(Schubert et al., J. Bacteriol., 1988, 170:5837-5847)은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의 발현을 촉진함)을 포함한다(상기 문헌들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어 있음).
그러므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서, 계통 SYHT0H2는 제초제, 예를 들어 HPPD 억제제, 글리포세이트, 2,4-D, 디캄바 또는 글루포시네이트에 대한 저항성 또는 내성을 부여하는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하나 이상과 함께 스택킹된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양태에서 사용될 수 있었던 기타 다른 제초제 내성 폴리뉴클레오티드는 기타 유전자 또는 작용 방식에 의해서 HPPD 억제제에 대한 내성을 부여하는 것들을 포함한다. 대두 SYHT0H2 계통과 합하여질 수 있었던 기타 형질로서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6,248,876호; 제5,627,061호; 제5,804,425호; 제5,633,435호; 제5,145,783호; 제4,971,908호; 제5,312,910호; 제5,188,642호; 제4,940,835호; 제5,866,775호; 제6,225,114호; 제6,130,366호; 제5,310,667호; 제4,535,060호; 제4,769,061호; 제5,633,448호; 제5,510,471호; RE 36,449; RE 37,287; 및 미국 특허 제5,491,288호; 및 PCT 국제 특허 출원 공보 WO 97/04103호; WO 00/66746호; WO 01/66704호; 및 WO 00/66747호에 더욱 자세히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식물에 5-에놀피루빌시키메이트-3-포스페이트 합성 효소(EPSPS)를 높은 수준으로 생산하는 능력을 부여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로부터 유래하는 것들을 포함한다. 계통 SYHT0H2와 합하여질 수 있었던 기타 다른 형질로서는 설포닐우레아, 이미다졸리논, 트리아졸로피리미딘 및/또는 피리미디닐 티오벤조에이트에 대한 내성을 부여하는 것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605,011호; 제5,013,659호; 제5,141,870호; 제5,767,361호; 제5,731,180호; 제5,304,732호; 제4,761,373호; 제5,331,107호; 제5,928,937호; 제5,378,824호; 그리고 PCT 국제 특허 출원 공보 WO 96/33270호에 더욱 상세히 기술되어 있는 것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몇몇 양태에 있어서, 계통 SYHT0H2는, 예를 들어 파라-하이드록시페닐피루베이트(HPP)가 호모겐티세이트로 전환되는 반응을 촉진하는 효소인 하이드록시페닐피루베이트디옥시게나제와 함께 스택킹될 수 있다. 이 효소를 억제하고, 상기 효소에 결합하여 HPP가 호모겐티세이트로 전환되는 것을 억제하는 분자는 제초제로서 유용하다. 식물 내에서 이와 같은 제초제에 대한 내성을 부여하는 형질에 대해서는 미국 특허 제6,245,968호; 제6,268,549호; 제6,069,115호; 및 PCT 국제 특허 출원 공보 WO 99/23886호에 기술되어 있다. 계통 SYHT0H2와 함께 스택킹될 수 있었던, 적당한 제초제 내성 형질에 관한 다른 예로서는 아릴옥시알카노에이트 디옥시게나제 폴리뉴클레오티드(2,4-D 및 기타 다른 페녹시 옥신 제초제 뿐만 아니라 아릴옥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 제초제에 대한 내성도 부여할 수 있음; 예를 들어 PCT 국제 특허 출원 공보 WO2005/107437호, WO2007/053482호 및 WO2008/141154호, 미국 특허 제7,820,883호, 그리고 관련 특허 출원 및 특허 참조), 호모겐티세이트 솔라네실트랜스퍼라제(HST) 폴리뉴클레오티드(예를 들어, PCT 국제 특허 출원 공보 WO 10/029311호에 개시) 및 디캄바(모노옥시게나제) 내성 폴리뉴클레오티드(예를 들어, 문헌[Herman et al., J. Biol . Chem., 2005, 280: 24759-24767], 그리고 미국 특허 제7,812,224호 및 이와 관련된 특허 출원 및 특허에 개시됨)를 포함한다.
계통 SYHT0H2와 합하여질 수 있었던 제초제 내성 형질에 관한 다른 예로서는 외인성 포스피노트리신 아세틸트랜스퍼라제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부여되는 것들을 포함한다(미국 특허 제5,969,213호; 제5,489,520호; 제5,550,318호; 제5,874,265호; 제5,919,675호; 제5,561,236호; 제5,648,477호; 제5,646,024호; 제6,177,616호; 및 제5,879,903호에 기술됨). 외인성 포스피노트리신 아세틸트랜스퍼라제를 함유하는 식물은 효소인 글루타민 합성 효소를 억제하는 글루포시네이트 제초제에 대하여 개선된 내성을 나타낼 수 있다. 계통 SYHT0H2와 합하여질 수 있었던 제초제 내성 형질에 관한 다른 예로서는 변질된 프로토포르피리노겐 옥시다제(프로톡스) 활성을 부여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부여되는 것들을 포함한다(미국 특허 제6,288,306호; 제6,282,837호; 제5,767,373호; 및 PCT 국제 특허 출원 공보 WO 01/12825호에 기술됨). 이와 같은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하는 식물은 상기 프로톡스 효소를 표적화하는 다양한 제초제(“프로톡스 억제제”라고도 칭함) 중 임의의 것에 대하여 개선된 내성을 나타낼 수 있다.
계통 SYHT0H2와 합하여질 수 있었던 제초제 내성 형질에 관한 다른 예로서는 식물, 예를 들어 대두 식물 또는 쥐꼬리망초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초제에 대하여 내성을 부여하는 것들을 포함한다. 제초제 내성 잡초는 특정 제초제에 대한 개체 자체의 내성이 다양한 식물이라고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문헌[Green & Williams, “Correlation of Corn (Zea mays) Inbred Response to Nicosulfuron and Mesotrione,” poster presented at the WSSA Annual Meeting in Kansas City, Missouri, February 9-12, 2004]; [Green (1998) Weed Technology 12: 474-477]; [Green & Ulrich, Weed Science 2003, 41:508-516]을 참조한다. 이와 같은 내성을 좌우하는 형질(들)은 본 발명의 식물과 이 식물의 사용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서, 계통 SYHT0H2를 사용하는 육종법에 의하거나 기타 다른 방법을 통해 합하여질 수 있다.
전술한 유전자는 계통 SYHT0H2로 유전자 조작되어 도입될 수 있거나 아니면 새로운 계통 또는 기존의 계통(전술한 유전자들 중 하나에 대한 내성을 제공하는 것)과의 육종 스택킹을 통하여 계통 SYHT0H2와 합하여질 수 있다. 육종 스택킹에 사용될 수 있는 계통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MON89788 - 글리포세이트 내성(미국 특허 제7,632,985호, 및 관련 특허 출원과 특허), MON87708 - 디캄바 내성(미국 특허 출원 공보 US 2011/0067134호, 및 관련 특허 출원과 특허), DP-356043-5 - 글리포세이트 및 ALS 내성(미국 특허 출원 공보 US 제2010/0184079호, 및 관련 특허 출원과 특허), A2704-12 - 글루포시네이트 내성(미국 특허 출원 공보 US 제2008/0320616호, 및 관련 특허 출원과 특허), DP-305423-1 - ALS 내성(미국 특허 출원 공보 US 제2008/0312082호, 및 관련 특허 출원과 특허), A5547-127 - 글루포시네이트 내성(미국 특허 출원 공보 US 제2008/0196127호, 및 관련 특허 출원과 특허), DAS-40278-9 - 2,4-디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 및 아릴옥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에 대한 내성 (PCT 국제 특허 출원 공보 WO 2011/022469호, WO 2011/022470호, WO 2011/022471호, 및 관련 특허 출원과 특허), 127 - ALS 내성(PCT 국제 특허 출원 공보 WO 2010/080829호, 및 관련 특허 출원과 특허), GTS 40-3-2 - 글리포세이트 내성, DAS-68416-4 - 2,4-디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 및 글루포시네이트 내성, FG72 - 글리포세이트 및 이속사플루톨 내성, BPS-CV127-9 - ALS 내성 및 GU262 - 글루포시네이트 내성, SYHT04R - HPPD 내성.
계통 SYHT0H2는 원하는 형질 조합, 예를 들어 동물 사료용으로서 요망되는 다양한 형질, 예를 들어 높은 오일 함량(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6,232,529호); 균형 잡힌 아미노산 함량(예를 들어, 호르도티오닌(hordothionin)(미국 특허 제5,990,389호; 제5,885,801호; 제5,885,802호; 제5,703,409호; 및 제5,850,016호); 고 함량 리신 함유 보리(Williamson et al., Eur . J. Biochem., 1987, 165:99-106; 및 PCT 특허 출원 공보 WO 98/20122호) 및 고 함량 메티오닌 함유 단백질(Pedersen et al., J. Biol . Chem. 1986, 261:6279; Kirihara et al., Gene, 1988, 71:359; 및 Musumura et al., Plant Mol . Biol., 1989, 12:123)); 소화 흡수율의 증가(예를 들어, 변형 저장 단백질(미국 특허 제6,858,778호) 및 티오레독신(미국 특허 제7,009,087호))(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추가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식물을 생산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기타 다른 형질과 합하여질 수 있다(상기 문헌들의 개시 사항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어 있음). 원하는 형질 조합으로서는 LLNC(저 리놀렌산 함량; 예를 들어, 문헌[Dyer et al., Appl . Microbiol . Biotechnol., 2002, 59:224-230] 참조) 및 OLCH(고 올레산 함량; 예를 들어, 문헌[Fernandez-Moya et al., J. Agric . Food Chem., 2005, 53: 5326-5330] 참조)를 포함한다.
계통 SYHT0H2는 기타 다른 원하는 형질, 예를 들어 후모니신 해독 유전자(미국 특허 제5,792,931호), 무독성 및 질병 저항성 유전자(Jones et al., Science, 1994, 266:789; Martin et al., Science, 1993, 262:1432; Mindrinos et al., Cell, 1994, 78:1089), 그리고 가공 또는 가공 제품에 요망되는 형질, 예를 들어 변형된 오일(예를 들어, 지방산 불포화 효소 유전자(미국 특허 제5,952,544호; PCT 국제 특허 출원 공보 WO 94/11516호)); 변형된 전분(예를 들어, ADPG 피로포스포릴라제(AGPase), 전분 합성 효소(SS), 전분 분지 효소(SBE) 및 전분 탈분지 효소(SDBE) 유전자); 및 중합체 또는 바이오플라스틱(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602,321호; 베타-케토티올라제,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합성 효소 및 아세토아세틸-CoA 환원 효소(Schubert et al., J. Bacteriol., 1988, 170:5837-5847))에 요망되는 형질(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의 발현을 촉진함)과 합하여질 수 있다(상기 문헌에 개시된 내용들은 본원에 참고용으로 포함됨). 또한, 제초제 내성 폴리뉴클레오티드와, 작물학적 형질, 예를 들어 웅성 불임성(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583,210호 참조), 줄기의 튼튼함, 개화 시간 또는 형질 전환 기술 형질, 예를 들어 세포 주기 조절 또는 유전자 표적화(예를 들어, PCT 국제 특허 출원 공보 WO 99/61619호, WO 00/17364호 및 WO 99/25821호 참조)를 제공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합하여질 수 있었다(상기 문헌에 개시된 내용들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어 있음).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계통 SYHT0H2는 Rcgl 서열, 이의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변이체 또는 단편과 합하여질 수 있다. 상기 Rcgl 서열은 옥수수에 있어서 탄저병 줄기 부패 저항성 유전자이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20060225151호, 제20060223102호 및 제20060225152호를 참조한다(상기 문헌들은 각각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어 있음).
전술한 스택킹된 조합은 임의의 방법, 예를 들어 임의의 통상적인 방법이나 탑크로스(TopCross) 방법, 또는 유전적 형질 전환법(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의한 식물 육종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만일 식물을 유전적으로 형질 전환함으로써 서열이 스택킹되면, 관심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임의의 시점에 임의의 순서로 합하여질 수 있다. 형질은, 형질 전환 카세트들을 임의로 조합하여 제공되는 관심 폴리뉴클레오티드와 함께 공동 형질 전환 프로토콜에서 동시에 도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2개의 서열이 도입되면, 이 2개의 서열은 별도의 형질 전환 카세트에 포함될 수 있거나(트랜스), 또는 동일한 형질 전환 카세트에 포함될 수 있다(시스). 서열의 발현은 동일한 프로모터나 상이한 프로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것이다. 임의의 경우, 관심 폴리뉴클레오티드의 발현을 억제할 형질 전환 카세트를 도입하는 것이 요망될 수 있다. 이는, 식물 내 형질들이 원하는대로 조합되도록 기타 다른 억제 카세트 또는 과발현 카세트의 임의의 조합과 합하여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위치 특이적 재조합 시스템을 이용하여 원하는 게놈 위치에 스택킹될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인식된다. 예를 들어 PCT 국제 특허 출원 공보 WO 99/25821호, WO 99/25854호, WO 99/25840호, WO 99/25855호 및 WO 99/25853호(상기 문헌들은 모두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어 있음)을 참조한다.
본원에 사용된 “폴리뉴클레오티드”란 용어는 천연 생성 분자 및 합성 유사체 둘 다를 비롯한 리보뉴클레오티드 및/또는 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한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모든 형태의 서열들, 예를 들어 단일 사슬 형태, 이중 사슬 형태, 헤어핀 및 줄기-및-고리(stem-and-loop) 등의 형태를 가지는 서열들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YHT0H2 식물은 돌연 변이 HPPD 유전자를 가지고, 이 돌연 변이 HPPD 유전자에 5’ 및 3’ 조절 서열이 작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발현 카세트를 포함한다. “작동 가능하도록 결합된”은 2개 이상의 요소들 사이에 작용성 결합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는 의도로 사용된 표현이다. 예를 들어 관심 폴리뉴클레오티드와 조절 서열(즉 프로모터) 사이의 작동 가능한 결합은 관심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발현시킬 수 있는 작용성 결합이다. 작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요소들은 연속적이거나 불연속적일 수 있다. “작동 가능하도록 결합된”이라는 표현이 2개의 단백질 암호화 영역이 접합된 경우를 말하는데 사용될 때, 이 표현은 암호화 영역들이 동일한 해독 틀 내에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의도로 사용된다. 부가적으로, 카세트는 유기체에 공동 형질 전환되어 도입될 부가 유전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부가 유전자(들)는 다수의 발현 카세트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발현 카세트에는 제한 위치 및/또는 재조합 위치(조절 영역에 의해 전사 조절될 폴리뉴클레오티드 삽입용) 다수 개가 제공된다. 발현 카세트는 선별 마커 유전자들을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발현 카세트는 전사를 5’→ 3’ 방향으로 진행시키며, 식물 내에서 작동하는, 전사 및 번역 개시 영역(즉, 프로모터), 암호화 영역, 그리고 전사 및 번역 종결 영역을 포함할 것이다. “프로모터”란, 암호화 서열 또는 기능성 RNA의 발현을 제어할 수 있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암호화 서열은 프로모터 서열에 대하여 3’ 방향 쪽으로 위치한다. 프로모터 서열은 근접 상류 요소 및 이보다 멀리 떨어져 있는 상류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멀리 떨어져 있는 상류 요소는 종종 인핸서라고도 칭하여진다. 그러므로, “인핸서”는 프로모터 활성을 촉진할 수 있으며, 프로머터의 수준 또는 조직 특이성을 증강시키기 위해 삽입된 프로모터의 고유 요소 또는 이종 요소일 수 있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이다. 프로모터는 그 전체가 천연 유전자로부터 유래될 수 있거나, 천연에서 발견되는 상이한 프로모터들로부터 유래하는 상이한 요소들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아니면 합성 뉴클레오티드 분절을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프로모터들은 상이한 조직 또는 세포류 내, 또는 발달의 상이한 단계에, 또는 상이한 환경 조건에 반응하여 유전자 발현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 의해 이해된다. 대부분의 시간에 핵산 단편을 대부분의 세포류 내에서 발현시키는 프로모터는 일반적으로 “구성 프로모터(constitutive promoter)”라고 칭하여진다. 식물 세포 내에서 유용한, 다양한 유형의 신규 프로모터들이 꾸준히 발견되고 있으며; 이에 관한 다수의 예들은 편집 문헌[Okamuro & Goldberg, Biochemistry of Plants, 1989, 15:1-82]에 개시되어 있다. 대부분의 경우 조절 서열의 정확한 경계들은 완전히 정의된 바 없으므로, 길이가 상이한 핵산 단편들이 동일한 프로모터 활성을 가질 수 있음이 추가로 인식된다.
발현 카세트는 5’ 리더 서열(leader sequence)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더 서열은 번역을 증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조절 영역(즉 프로모터, 전사 조절 영역, RNA 가공 또는 안정성 영역, 인트론, 폴리아데닐화 신호 및 번역 종결 영역) 및/또는 암호화 영역은 천연의 것이거나, 숙주 세포의 것과 유사한 것이거나 이종인 것일 수 있거나, 또는 상호 영역들 간에 유사한 것이거나 이종인 것일 수 있다.
“번역 리더 서열”이란, 유전자의 프로모터 서열과 암호화 서열 사이에 위치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말한다. 번역 리더 서열은 번역 개시 서열의 완전히 가공된 mRNA 상류 내에 존재한다. 번역 리더 서열은 다수의 매개 변수, 예를 들어 1차 전사체의 mRNA로의 가공, mRNA 안정성 및/또는 번역 효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번역 리더 서열의 예는 문헌[Turner & Foster, Mol . Biotechnol., 1995, 3:225-236]에 개시되어 있다. “3’ 비 암호화 서열”이란, 암호화 서열의 하류에 위치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말하는 것으로서, mRNA 가공 또는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절 신호를 암호화하는 기타 다른 서열 및 폴리아데닐화 인지 서열을 포함한다. 폴리아데닐화 신호는 보통 mRNA 전구체의 3’ 말단에 폴리아데닐산 구역(polyadenylic acid tract)을 부가하는 것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이한 3’ 비 암호화 서열을 사용하는 것에 관하여는 문헌[Ingelbrecht et al., Plant Cell, 1989, 1:671- 680]에 예시되어 있다.
본원에서 서열에 대해 사용된 “이종”이란 용어는, 서열이 외래 종으로부터 기원하는 경우, 또는 동일 종으로부터 기원하는 것이라면 조성 및/또는 게놈상 위치가 사람의 정교한 개입에 의해 변형되어, 원래 형태의 것과 실질적으로 상이하게 된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어 이종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작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프로모터는 이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유래되었던 종과 상이한 종으로부터 유래하는 것이거나, 또는 하나 또는 2개의 프로모터가, 이것들과 결합된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유래되었던 종과 동일/유사 종으로부터 유래하는 것이라면 이 프로모터 자체의 원래 형태 및/또는 게놈상 위치가 실질적으로 변형된 것이거나, 또는 프로모터는, 이것과 작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 대해 천연인 것이 아닌 프로모터이다.
발현 카세트를 제조할 때, DNA 서열을 적절한 배향으로 제공하고, 적당한 경우에는 적절한 해독 틀 내에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DNA 단편들이 조작될 수 있다. 어느 한쪽 말단으로 향할 때 어뎁터 또는 링커가 DNA 단편들을 연결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편리한 제한 위치를 제공하고자 기타 다른 조작법, 예를 들어 잉여 DNA의 제거 또는 제한 위치의 제거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시험관 내 돌연 변이 유발법, 프라이머 수선, 제한, 어닐링(annealing), 재 치환, 예를 들어 이행(transition) 및 교차형 염기 전이(transversion)가 수행될 수 있다. 발현 카세트는 형질 전환된 세포를 선별하기 위한 선별 마커 유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선별 마커 유전자는 형질 전환된 세포 또는 조직의 선별을 위해 이용된다.
대두 SYHT0H2 계통의 검출 및/또는 확인을 위한 다양한 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분리된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제공된다. “분리된” 또는 “정제된”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생물학적 활성 부분은 실질적으로나 본질적으로 성분들, 즉 보통 자체의 천연 생성 환경에서 발견되는 바와 같이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동반하거나 이와 상호 작용하는 성분들로부터 유리되어 있다. 그러므로, 분리 또는 정제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는 기타 다른 세포 물질 또는 배양 배지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거나(재조합 기술에 의해 생산된 경우), 화학 전구체 또는 기타 다른 화학 물질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화학 합성된 경우). 최적으로, “분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는, 이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유래된 유기체의 게놈 DNA 내에서 천연상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측접하는 서열(최적으로는 단백질 암호화 서열로서, 폴리뉴클레오티드의 5’ 및 3’ 말단에 위치하는 서열)이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에서, 분리된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약 5kb, 4kb, 3kb, 2kb, 1kb, 0.5kb 또는 0.1kb 미만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유래된 세포의 게놈 DNA 내에서 천연상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측접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불명확함을 해소하기 위해, “분리된” 서열은 여전히 (시험관 내 또는 생체 내에서) 기타 다른 DNA의 서열 내부에 존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전자 이식 세포 또는 유기체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양태에서,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 번호 1 내지 서열 번호 6에 제시된 접합 DNA 서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 번호 11 및 서열 번호 12에 제시된 DNA 서열, 이의 변이체 및 단편을 포함한다. 접합 DNA 서열의 단편 및 변이체는 계통 SYHT0H2를 식별력있게 확인하는데 적당하다. 본원의 어딘가에 논의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서열은 프라이머 및/또는 프로브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계통 SYHT0H2 또는 SYHT0H2 특이적 영역을 검출할 수 있는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서열들은, 서열 번호 1 내지 서열 번호 20에 제시된 임의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이의 변이체 및 단편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양태에서, 계통 SYHT0H2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 번호 10에 제시된 서열 또는 서열 번호 10에 제시된 서열의 단편(20개, 30개, 40개, 50개, 60개, 70개, 80개, 90개, 100개, 110개, 120개, 130개, 140개, 150개, 160개, 170개 또는 180개 이상의 뉴클레오티드를 가짐)을 포함한다. 계통 SYHT0H2 또는 SYHT0H2 특이적 영역을 검출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단편 및 변이체는 계통 SYHT0H2를 식별력있게 확인하는데 적당하다. 본원의 어딘가에 논의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서열은 프라이머 및/또는 프로브로서 사용됨을 알 수 있다. (a) 서열 번호 11, 서열 번호 12, 서열 번호 14, 서열 번호 15 및 서열 번호 17 내지 서열 번호 21 중 어느 하나에 제시된 서열 및 (b) 서열 번호 10의 서열의 변이체 및 단편, 또는 이의 상보체를 포함하거나 상기 (a) 및 (b)로 이루어진, 분리된 DNA 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서열이 추가로 제공된다.
“변이체”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서열들을 의미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있어서, 변이체는 5’ 말단 및/또는 3’ 말단에 결실부(즉 절두부(truncation))를 가지고; 천연 폴리뉴클레오티드 내 하나 이상의 내부 위치에 하나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결실부 및/또는 부가부를 가지며/가지거나; 천연 폴리뉴클레오티드 내 하나 이상의 위치에 하나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치환부를 가지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프로브”는 통상의 검출 가능한 표지 또는 리포터 분자, 예를 들어 방사성 동위 원소, 리간드, 화학 발광제 또는 효소 등이 부착되는 분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이다. 이와 같은 프로브는 표적 폴리뉴클레오티드 사슬에 상보성이며, 본 발명의 경우에는 프로브가 대두 계통 SYHT0H2로부터 유래하는 DNA를 포함하는 샘플로부터 유래하건 아니면 대두 식물로부터 유래하건 간에, 상기 계통으로부터 유래하는 분리된 DNA 사슬에 상보성이다. 프로브는 데옥시리보핵산 또는 리보핵산뿐만 아니라 표적 DNA 서열의 존재를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폴리아미드와 기타 다른 프로브 물질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프라이머”는, 핵산 혼성화에 의해 상보성 표적 DNA 사슬에 어닐링되어, 프라이머와 표적 DNA 사슬 사이에 혼성체를 형성한 후, 중합 효소, 예를 들어 DNA 중합 효소에 의해 표적 DNA 사슬을 따라서 연장되는, 분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이다. 프라이머 쌍이란, 프라이머가, 예를 들어 중합 효소 연쇄 반응(PCR) 또는 기타 다른 통상의 핵산 증폭 방법에 의해 표적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증폭에 사용될 때의 상태를 말한다. “PCR” 또는 “중합 효소 연쇄 반응”은 특이 DNA 분절을 증폭시킬 때 사용되는 기술이다(본원에 참조로 포함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4,683,195호 및 제4,800,159호 참조). 본원에 개시된 프라이머들(예를 들어, 서열 번호 11, 서열 번호 12, 서열 번호 14, 서열 번호 15 및 서열 번호 17 내지 서열 번호 21의 서열과, 서열 번호 10의 서열의 변이체나 단편 또는 이의 상보체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은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어서, 프라이머 쌍은 계통 SYHT0H2를 검출해 낼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방법에 유용한 프라이머 쌍에 관한 비 제한적인 예로서는 (a) 서열 번호 11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제1 프라이머 및 서열 번호 12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제2 프라이머(대두 게놈 DNA의 LB1(좌측 경계 1) 접합부에 확장된 서열과 아베나 HPPD 서열을 함유하는 이종 삽입 서열을 증폭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음); (b) 서열 번호 14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제1 프라이머 및 서열 번호 15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제2 프라이머(대두 게놈 DNA의 LB2(좌측 경계 2) 접합부에 확장된 서열과 아베나 HPPD 서열을 함유하는 이종 삽입 서열을 증폭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음); (c) 서열 번호 17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제1 프라이머 및 서열 번호 18 또는 서열 번호 19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제2 프라이머(대두 게놈 DNA의 LB1 접합부에 확장된 서열과 아베나 HPPD 서열을 함유하는 이종 삽입 서열을 증폭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음); 및 (d) 서열 번호 17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제1 프라이머 및 서열 번호 20 또는 서열 번호 21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제2 프라이머(대두 게놈 DNA의 LB1 접합부와 아베나 HPPD 서열을 함유하는 이종 삽입 서열을 증폭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음)를 포함한다. 삽입 접합부 또는 측접 서열을 기술할 때 사용된 “LB1”이란, 삽입 서열 및 이와 인접한 곳에 측접하는 서열의 3’ 말단을 말한다. 삽입 접합부 또는 측접 서열을 기술할 때 사용된 “LB2”란, 삽입 서열 및 이와 인접한 곳에 측접하는 서열의 5’ 말단을 말한다.
프로브 및 프라이머는 표적 DNA 서열과 결합하고 계통 SYHT0H2를 가지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특이적으로 검출 및/또는 확인하는데 충분한 뉴클레오티드 길이를 가진다. 혼성화 조건 또는 반응 조건은 이와 같은 결과를 이루는 작동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음이 인식된다. 이와 같은 길이는 채택한 검출 방법에 유용할 정도로 충분한, 임의의 길이일 것이다. 일반적으로 8개, 11개, 14개, 16개, 18개, 20개, 22개, 24개, 26개, 28개, 30개, 40개, 50개, 75개, 100개, 200개, 300개, 400개, 500개, 600개, 700개 뉴클레오티드 이상, 또는 약 11개 내지 20개, 20개 내지 30개, 30개 내지 40개, 40개 내지 50개, 50개 내지 100개, 100개 내지 200개, 200개 내지 300개, 300개 내지 400개, 400개 내지 500개, 500개 내지 600개, 600개 내지 700개, 700개 내지 800개, 또는 그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뉴클레오티드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프로브 및 프라이머는 고 엄중 혼성화 조건 하에서 표적 서열에 특이적으로 혼성화될 수 있다. 표적 DNA 서열과 상이하되 이 표적 DNA 서열을 특이적으로 검출 및/또는 확인하는 능력을 보유하는 프로브가 통상의 방법에 의해 디자인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양태에 의한 프로브 및 프라이머는 표적 서열을 포함하는 인접 뉴클레오티드의 DNA 서열 동일성과 완전히 동일한 DNA 서열 동일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프로브와 프라이머는, 표적 폴리뉴클레오티드(즉 서열 번호 1 내지 서열 번호 12의 서열)와 약 80%, 85%,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이상의 서열 동일성 또는 상보성을 공유할 수 있거나, 또는 표적 서열(즉 서열 번호 1 내지 서열 번호 12)과 1, 2, 3, 4, 5, 6 뉴클레오티드 이상만큼 차이가 날 수 있다. 프로브는 프라이머로서 사용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표적 DNA 또는 RNA에 결합하도록 디자인되고, 증폭 방법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특이적 프라이머는 “특이적 프로브”로서 사용될 수 있는 앰플리콘을 생산하기 위해 통합 단편을 증폭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거나, 상기 특이적 프라이머 자체는 생물 샘플 중 계통 SYHT0H2를 확인하기 위해 검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브(즉 택맨® 프로브 또는 MGBTM 프로브)는 PCR 반응 중에 사용되어, 증폭 계통을 검출해 낼 수 있다(이와 같은 검출 방법을 소위 실시간 PCR이라 칭함). 프로브가 샘플에 결합할 수 있는 조건 하에서 상기 프로브가 생물 샘플의 폴리뉴클레오티드와 혼성화될 때 이와 같은 결합이 검출될 수 있으므로, 생물 샘플 중에 계통 SYHT0H2가 존재함이 암시될 수 있다. 결합된 프로브의 이와 같은 확인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서, 특이적 프로브는 최적화된 조건 하에서 상기 계통의 5’ 또는 3’ 측접 영역 내에 존재하는 영역에 특이적으로 혼성화하며, 상기 영역에 인접하여 존재하는 외래 DNA의 일부를 포함하는 서열이다. 특이적 프로브는 계통 SYHT0H2의 특이적 영역과 80% 이상, 80% 내지 85%, 85% 내지 90%, 90% 내지 95% 및 95% 내지 100% 동일한(또는 상보성인)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증폭된 DNA” 또는 “앰플리콘”이란, 핵산 주형의 일부인 표적 폴리뉴클레오티드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증폭 생성물을 말한다. 예를 들어 유성 교잡을 통해 생산된 대두 식물이 계통 SYHT0H2를 함유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대두 식물 조직 샘플로부터 추출된 DNA를 대상으로, 삽입된 이종 DNA의 삽입 위치에 인접하여 측접하는 서열로부터 유래하는 제1 프라이머와, 삽입된 이종 DNA로부터 유래하는 제2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DNA 프라이머 쌍을 사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증폭 방법이 수행될 수 있으며, 그 결과 계통 SYHT0H2 DNA의 존재를 진단하는 앰플리콘이 생산될 수 있다. 계통 SYHT0H2에 대한 “진단”에는, 생물 샘플 중 계통 SYHT0H2의 존재 또는 부재 간을 구별하는 임의의 방법 또는 분석법이 사용되도록 의도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2 프라이머는 측접하는 서열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프라이머 쌍은 삽입된 DNA의 양쪽에 존재하는 측접 서열로부터 유래되며, 발현 구조체의 삽입 폴리뉴클레오티드 전체와 이식 유전자 삽입부에 측접하는 서열을 포함하는 앰플리콘을 생산할 수 있다. 앰플리콘은 일정 길이를 가지며, 또한 계통을 진단하는 서열을 가진다(즉 계통 SYHT0H2 유래 접합 DNA를 가짐). 앰플리콘의 길이는, 프라이머 쌍이 길이와 하나의 뉴클레오티드 염기쌍의 길이를 합한 길이로부터 DNA 증폭 프로토콜에 의해 생산될 수 있는 앰플리콘의 임의의 길이에 이를 수 있다. 측접 서열로부터 유래하는 프라이머 쌍의 일원은 삽입된 DNA 서열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할 수 있으며, 이때 떨어진 길이는 하나의 뉴클레오티드 염기 쌍으로부터 증폭 반응의 한계치 또는 약 2만 뉴클레오티드 염기 쌍까지 이를 수 있다. 용어 “앰플리콘”이 사용됨에 있어서는 DNA 고온 증폭 반응에서 생성될 수 있는 프라이머 이량체들은 특히 제외되는 것으로 한다.
프로브 및 프라이머를 제조 및 사용하는 방법에 관하여는, 예를 들어 문헌[Sambrook et al. (eds.), Molecular Cloning : A Laboratory Manual, 2nd ed, vol. 1-3, 1989,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Cold Spring Harbor, NY]; [Ausebel et al. (eds.),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1992, Greene Publishing and Wiley-Interscience, New York, NY]; 및 [Innis et al., PCR Protocols: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s, 1990, Academic Press, San Diego, CA]에 기술되어 있다. PCR 프라이머 쌍은, 예를 들어 PCR 프라이머 분석 도구(벡터 NTI 버전 6(Informax Inc., Bethesd, MD.)); 프라이머셀렉트(PrimerSelect)(DNASTAR Inc., Madison, WI.); 및 프라이머(버전 0.5.COPYRGT., 1991, Whitehead Institute for Biomedical Research, Cambridge, MA.) 용으로 사용되도록 의도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지의 서열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서열은 시각적으로 스캔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 공지된 가이드라인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확인되는 프라이머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이식 유전자의”란 용어는, 임의의 세포, 세포주, 유합 조직, 조직, 식물의 일부 또는 식물의 유전자형이 이식 유전자를 포함하는 이종 핵산의 존재에 의해 처음으로 변경된 경우뿐만 아니라, 이 임의의 세포, 세포주, 유합 조직, 조직, 식물의 일부 또는 식물이 초기 이식 유전자의 유성 교잡 또는 무성 번식에 의해 생산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이식 유전자의”란 용어는, 통상의 식물 육종 방법에 의하거나 천연 발생 계통, 예를 들어 무작위 교차 수정, 비 재조합 바이러스 감염, 비 재조합 박테리아 형질 전환, 비 재조합 전이 또는 자발적 돌연 변이에 의해 게놈(염색체 또는 잉여 염색체)이 변형된 경우는 포함하지 않는다.
“형질 전환”이란, 핵산 단편을 숙주 유기체의 게놈에 운반하여 유전적으로 안정적인 유전 형질을 얻는 과정을 말한다. 형질 전환된 핵산 단편을 포함하는 숙주 유기체는 “유전자 이식”유기체로 칭하여진다. 식물 형질 전환 방법의 예로서는 아그로박테리아 매개 형질 전환(De Blaere et al., Meth . Enzymol., 1987, 143:277) 및 입자 가속화 또는 “유전자 총”형질 전환 기술(Klein et al., Nature, 1987, 327:70-73; 미국 특허 제4,945,050호;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어 있음)을 포함한다. 추가의 형질 전환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므로, 분리된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재조합 구조체, 즉 숙주 세포에 도입될 수 있으며 이 숙주 세포 내에서 복제될 수 있는 재조합 구조체(통상적으로는 DNA 구조체)에 통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체는 소정의 숙주 세포 내에서 폴리펩티드 암호화 서열을 전사 및 번역할 수 있는 서열 및 복제 시스템을 포함하는 벡터일 수 있다. 식물 세포를 안정하게 형질 감염시키거나 또는 유전자 이식 식물을 확립하는데에 적당한 다수의 벡터들에 관하여는, 예를 들어 문헌[Pouwels et al., Cloning Vectors : A Laboratory Manual, 1985]; [상기한 1987]; [Weissbach & Weissbach, Methods for Plant Molecular Biology, 1989, Academic Press, New York, NY]; 및 [Flevin et al., Plant Molecular Biology Manual, 1990, Kluwer Academic Publishers]에 기술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식물 발현 벡터는, 예를 들어 5’ 및 3’ 조절 서열의 전사 제어 하 및 선별 마커의 지배 하에서 클로닝된 식물 유전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식물 발현 벡터는 프로모터 조절 영역(예를 들어, 유도성 또는 구성적, 환경 조절 또는 발달 조절, 또는 세포 특이적 또는 조직 특이적 발현을 제어하는 조절 영역), 전사 개시 위치, 리보좀 결합 위치, RNA 가공 신호, 전사 종결 위치 및/또는 폴리아데닐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계통 SYHT0H2를 확인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과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방법은 임의의 생물 물질 중 계통 SYHT0H2를 확인 및/또는 검출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종자 순도를 확인하는 방법과, 종자 소집단(seed lot)에서 종자들을 계통 SYHT0H2에 대해 스크리닝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서, 생물 샘플 중 계통 SYHT0H2를 확인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제1 프라이머 및 제2 프라이머와 샘플을 접촉시키는 단계와; SYHT0H2 특이적 영역을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증폭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생물 샘플은 계통 SYHT0H2를 가지는 DNA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요망되는 임의의 샘플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물 샘플은 식물 물질, 예를 들어 식품 또는 사료 제품(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포함하거나 이것들로부터 유래하는 물질 또는 임의의 식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식물 물질”이란, 식물 또는 식물의 일부로부터 얻어지거나 이로부터 유래하는 물질을 말한다.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서, 생물 샘플은 대두 조직을 포함한다.
본원에 개시된 삽입 서열 및 측접 DNA를 바탕으로 하는 프라이머 및 프로브는, 통상의 방법,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서열들을 재클로닝 및 서열 결정함으로써 본원에 개시된 서열들을 확인(그리고 필요하다면 교정(correct))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폴리뉴클레오티드 프로브와 프라이머는 표적 DNA 서열을 특이적으로 검출한다. 임의의 통상적인 핵산 혼성화 방법 또는 증폭 방법은 샘플 중 이식 유전자 계통으로부터 DNA의 존재를 확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이적으로 결합하다”란, 폴리뉴클레오티드가 SYHT0H2 특이적 영역을 증폭시키기 위한 프라이머로서 사용될 수 있거나, 폴리뉴클레오티드가 프로브(엄중 조건 하에서 계통 SYHT0H2 또는 SYHT0H2 특이적 영역을 가지는 폴리뉴클레오티드와 혼성화하는 프로브)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경우를 나타내도록 의도된다. 계통 SYHT0H2 또는 계통 SYHT0H2의 특이적 영역을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혼성화의 수준 또는 정도는, SYHT0H2 특이적 영역을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와 이 영역이 결여된 폴리뉴클레오티드를 구별함으로써, 계통 SYHT0H2를 식별력있게 확인할 수 있기에 충분하다. “SYHT0H2 특이적 계통을 증폭시키기에 충분한 서열 동일성 또는 상보성을 공유하다”라는 어구는, 서열이, 단편 또는 SYHT0H2 특이적 영역을 가지는 전장 폴리뉴클레오티드에 대해서 80%, 85%,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또는 100% 이상의 동일성 또는 상보성을 공유하는 경우를 나타내도록 의도된다.
특정 증폭 프라이머 쌍을 이용하여 표적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예를 들어, PCR에 의해) 증폭시키는 것에 관하여, “엄중 조건”이란, 프라이머 쌍이 표적 폴리뉴클레오티드에 혼성화되는 것이 허용되는 조건으로서, 상응하는 야생형 서열(또는 이의 상보체)을 가지는 프라이머가 DNA 고온 증폭 반응에서, SYHT0H2 특이적 영역을 가지는 확인 가능 증폭 생성물(앰플리콘)을 생성하게 될 조건을 말한다. PCR 접근법에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는 SYHT0H2 특이적 영역을 증폭시키기 위해 PCR 반응에서 사용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PCR 프라이머를 디자인 하는 방법 및 PCR 클로닝 방법은 일반적으로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이에 관하여는 문헌[Sambrook et al. (eds.), Molecular Cloning : A Laboratory Manual, 2nd ed., 1989,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Plainview, New York)]; [Innis et al. (eds.), PCR Protocols :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s, 1990, Academic Press, New York]; [Innis & Gelfand (eds.), PCR Strategies, 1995, Academic Press, New York]; 및 [Innis & Gelfand (eds.), PCR Methods Manual, 1999, Academic Press, New York]에 기술되어 있다. 증폭 방법에 관하여는 미국 특허 제4,683,195호 및 제4,683,202호, 그리고 문헌[Chen et al., Proc . Natl . Acad . Sci. U.S.A, 1994, 91:5695-5699]에 더욱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과 당업계에 공지된 기타 다른 DNA 증폭 방법은 본 발명의 다른 양태들을 수행할 때 사용될 수 있다. 특이적 PCR 프로토콜에 있어서 다수의 매개 변수들은 구체적인 실험실 조건에 맞추어질 필요가 있을 수 있으며, 이것들에 약간의 변형을 가하여도 유사한 결과들이 수집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와 같은 조정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증폭된 폴리뉴클레오티드(앰플리콘)의 길이는 계통 SYHT0H2 또는 SYHT0H2 특이적 영역을 검출할 수 있도록 만드는 임의의 길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앰플리콘의 길이는 약 10개, 50개, 100개, 200개, 300개, 500개, 700개, 100개, 2000개, 3000개, 4000개, 5000개 뉴클레오티드 또는 이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계통 SYHT0H2의 특이적 영역이 검출된다. SYHT0H2 특이적 영역을 증폭 및/또는 검출할 수 있는 임의의 프라이머는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제1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10의 폴리뉴클레오티드의 단편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제1 프라이머 또는 제2 프라이머는 SYHT0H2 특이적 영역을 증폭시키는데 충분한 서열 동일성 또는 서열 상보성을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와 공유한다. 프라이머 쌍은 서열 번호 11의 서열의 단편과 서열 번호 12의 서열의 단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 있어서, 제1 프라이머 및 제2 프라이머는 (a) 서열 번호 11, 서열 번호 12, 서열 번호 14, 서열 번호 15 및 서열 번호 17 내지 서열 번호 21에 제시된 서열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이것들의 임의의 조합; 또는 (b) 서열 번호 10의 서열의 단편 서열 또는 이의 상보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라이머의 길이는 SYHT0H2 영역을 증폭시키는데 충분한 임의의 길이, 예를 들어 6개, 7개, 8개, 9개, 10개, 15개, 20개, 15개, 또는 30개 뉴클레오티드, 또는 약 7개 내지 10개, 10개 내지 15개, 15개 내지 20개, 20개 내지 25개, 25개 내지 30개, 30개 내지 35개, 35개 내지 40개, 40개 내지 45개 뉴클레오티드 또는 이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양태에서, 제1 프라이머 및 제2 프라이머는 각각 서열 번호 11 및 서열 번호 12; 각각 서열 번호 14 및 서열 번호 15; 각각 서열 번호 17 및 서열 번호 18; 각각 서열 번호 17 및 서열 번호 19; 각각 서열 번호 17 및 서열 번호 20; 또는 각각 서열 번호 17 및 서열 번호 21의 서열이다. 예를 들어, 유용한 프라이머 쌍들은 (a) 서열 번호 11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제1 프라이머 및 서열 번호 12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제2 프라이머(대두 게놈 DNA의 LB1(좌측 경계 1) 접합부에 확장된 서열과, 아베나 HPPD 서열을 함유하는 이종 삽입 서열을 증폭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음); (b) 서열 번호 14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제1 프라이머 및 서열 번호 15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제2 프라이머(대두 게놈 DNA의 LB2(좌측 경계 2) 접합부에 확장된 서열과 아베나 HPPD 서열을 함유하는 이종 삽입 서열을 증폭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음); (c) 서열 번호 17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제1 프라이머 및 서열 번호 18 또는 서열 번호 19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제2 프라이머(대두 게놈 DNA의 LB1 접합부에 확장된 서열과 아베나 HPPD 서열을 함유하는 이종 삽입 서열을 증폭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음); 및 (d) 서열 번호 17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제1 프라이머 및 서열 번호 20 또는 서열 번호 21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제2 프라이머(대두 게놈 DNA의 LB1 접합부와 아베나 HPPD 서열을 함유하는 이종 삽입 서열을 증폭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음)를 포함한다.
본원의 어딘가에 논의된 바와 같이, 계통 SYHT0H2 또는 계통 SYHT0H2 특이적 영역을 PCR 증폭시키는 임의의 방법, 예를 들어 실시간 PCR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Livak et al., PCR Methods and Applications, 1995, 4:357-362]; 미국 특허 제5,538,848호 및 제5,723,591호; [Applied Biosystems User Bulletin No. 2, “Relative Quantitation of Gene Expression,” P/N 4303859]; 및 [Applied Biosystems User Bulletin No. 5,“Multiplex PCR with TAQMAN® VIC probes,” P/N 4306236](상기 문헌은 각각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어 있음)을 참조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구체적 양태에서는, 대두 계통 SYHT0H2 또는 이의 자손이 생물 샘플 중에 존재하는지를 검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방법은 (a) 생물 샘플에서 DNA 샘플을 추출하는 단계; (b) DNA 프라이머 분자 쌍(예를 들어, 서열 번호 11, 서열 번호 12, 서열 번호 14, 서열 번호 15 및 서열 번호 17 내지 서열 번호 21의 서열의 임의의 조합 및/또는 서열 번호 10의 유용한 단편 또는 이의 상보체로서, 여기서 상기 조합은 계통 SYHT0H2 특이적 영역을 증폭함), 예를 들어 (i) 서열 번호 11 및 서열 번호 12의 서열들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들, (ii) 서열 번호 14 및 서열 번호 15의 서열들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들, (iii) 서열 번호 17 및 서열 번호 18의 서열들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들, (iv) 서열 번호 17 및 서열 번호 19의 서열들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들; (v) 서열 번호 17 및 서열 번호 20의 서열들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들; 및 (vi) 서열 번호 17 및 서열 번호 21의 서열들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들(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제공하는 단계; (c) DNA 증폭 반응 조건을 제공하는 단계; (d) DNA 증폭 반응을 수행하여, DNA 앰플리콘 분자를 생산하는 단계; 및 (e) DNA 앰플리콘 분자를 검출하는 단계(여기서, DNA 증폭 반응 중 DNA 앰플리콘 분자가 검출됨은 대두 계통 SYHT0H2가 존재함을 암시하는 것임)를 포함한다. 핵산 분자가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로서 사용되기 위해서, 상기 핵산 분자는 오로지, 특정 용매 및 염 농도가 적용되는 조건 하에서 안정적인 이중 사슬 구조를 형성할 수 있기에 충분히 상보성인 서열을 가질 필요가 있다.
혼성화 기술에 있어서, SYHT0H2 특이적 계통을 가지는 표적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선택적으로 혼성화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전부 또는 일부가 사용된다. 폴리뉴클레오티드 프로브에 관하여 말할 때 “엄중 조건” 또는 “엄중 혼성화 조건”이란, 프로브가 이것의 표적 서열에 기타 다른 서열보다 검출 가능하게 강한 정도로(예를 들어, 기본 정도에 비하여 2배 이상) 혼성화될 조건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특정 증폭 프라이머 쌍을 사용하는 표적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예를 들어, PCR에 의한) 증폭에 있어서, “엄중 조건”은 프라이머 쌍이 표적 폴리뉴클레오티드와 혼성화될 수 있는 조건으로서, 여기서 상기 프라이머는 상응하는 야생형 서열을 가진다. 엄중 조건은 서열 의존적인 조건으로서, 환경이 달라짐에 따라서 달라질 것이다. 혼성화 조건 및/또는 세정 조건의 엄중도를 제어함으로써 프로브에 대해 100% 상보성인 표적 서열은 확인될 수 있다(상동성 프로빙(homologous probing)). 대안적으로, 엄중도 조건은 서열 중에 미스매칭이 약간만 존재하도록 조정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동일성 정도가 낮은 서열도 검출될 수 있다(이종 프로빙(heterologous probing)). 일반적으로, 프로브의 길이는 약 1000개 뉴클레오티드 미만 또는 500개 뉴클레오티드 미만이다.
본원에 사용된,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상보성인 서열은 고 엄중 조건 하에서 비교될 핵산 분자의 상보체에 특이적으로 혼성화될 폴리뉴클레오티드이다. 적당한 엄중 조건으로서, DNA 혼성화를 촉진하는 조건, 예를 들어 6× 염화나트륨/시트르산나트륨(SSC) 및 약 45℃에서의 혼성화 → 2× SSC 및 50℃에서의 세정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거나, 문헌[Ausebel et al. (eds.),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1989, John Wiley & Sons, NY, 6.3.1-6.3.6]에서 살펴볼 수 있다. 통상적으로, 혼성화 및 검출을 위한 엄중한 조건은, pH 7.0 내지 8.3에서 염 농도가 약 1.5M Na+ 이온 농도 미만, 통상적으로 약 0.01M 내지 1.0M Na+ 이온 농도(또는 기타 다른 염 이온 농도)이고, 온도는 약 30℃ 이상(짧은 프로브, 예를 들어 10개 내지 50개 뉴클레오티드의 경우) 및 약 60℃ 이상(긴 프로브, 예를 들어 50개 뉴클레오티드 초과)인 조건일 것이다. 엄중한 조건은 불안정화 제제, 예를 들어 포름아미드를 첨가함으로써 조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저 엄중 조건은, 37℃에서 30% 내지 35% 포름아미드, 1M NaCl 및 1% SDS(소듐 도데실 설페이트)의 완충 용액을 사용하는 혼성화 단계와, 50℃ 내지 55℃에서 1~2×SSC(20×SSC = 3.0M NaCl/0.3M 시트르산 삼나트륨) 중 세정 단계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중간 엄중 조건은, 37℃에서 40% 내지 45% 포름아미드, 1.0M NaCl 및 1% SDS 중 혼성화 단계와, 55℃ 내지 60℃에서 0.5~1×SSC 중 세정 단계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고 엄중 조건은 37℃에서 50% 포름아미드, 1M NaCl 및 1% SDS 중 혼성화 단계와, 60℃ 내지 65℃에서 0.1×SSC 중 세정 단계를 포함한다. 임의로, 세정 완충액은 약 0.1% 내지 약 1%의 SDS를 포함할 수 있다. 혼성화 지속 기간은 일반적으로 약 24시간 미만, 일반적으로 약 4시간 내지 약 12시간이다. 세정 시간의 지속 기간은 최소한 평형에 도달하기 충분한 길이의 시간일 것이다.
혼성화 반응에 있어서, 특이성은 통상적으로 혼성화 후 세정 단계에 좌우되며, 중요 인자로는 최종 세정 용액의 이온 세기 및 온도가 있다. DNA-DNA 혼성체에 있어서, Tm은 문헌[Meinkoth & Wahl, Anal . Biochem ., 1984, 138:267-284]의 등식 Tm = 81.5℃ + 16.6(log M) + 0.41 =(%GC) - 0.61 = (% 포름) - 500/L으로부터 산정될 수 있는데, 여기서 M은 1가 양이온의 몰 농도이고, %GC는 DNA 중 구아노신 및 시토신 뉴클레오티드의 백분율이며, % 포름은 혼성화 용액 중 포름아미드의 백분율이고, L은 염기 쌍들 중 혼성체의 길이이다. 상기 Tm은 상보성 표적 서열의 50%가, 이 표적 서열의 50%와 완벽하게 매칭되는 프로브에 혼성화될 때의 (한정된 이온 세기 및 pH 하에서의) 온도이다. Tm은 미스매칭 발생률 1%에 대해서 약 1℃만큼 감소되므로; Tm, 혼성화 및/또는 세정 조건은 원하는 동일성을 가지는 서열들이 혼성화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동일성이 90%를 초과하는 서열이 찾아지면, Tm은 10℃ 감소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엄중 조건은, 규정된 이온 세기와 pH에서 특이 서열과 이의 상보체의 열 용융점(Tm)보다 약 5℃ 낮게 선택된다. 그러나, 매우 엄중한 조건은 열 용융점(Tm)보다 1℃, 2℃, 3℃ 또는 4℃ 낮은 온도에서 혼성화 및/또는 세정하는 원리를 이용할 수 있고; 중간 정도로 엄중한 조건은 열 용융점(Tm)보다 6℃, 7℃, 8℃, 9℃ 또는 10℃ 낮은 온도에서 혼성화 및/또는 세정하는 원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저 엄중 조건은 열 용융점(Tm)보다 11℃, 12℃, 13℃, 14℃, 15℃ 또는 20℃ 낮은 온도에서 혼성화 및/또는 세정하는 원리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등식, 혼성화 및 세정 조성물, 그리고 원하는 Tm을 이용하면 혼성화 및/또는 세정 용액의 엄중도에 변화를 줄 수 있음이 진작부터 알려져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만일 미스매칭 정도가 원하는 수준으로 되어 Tm이 45℃(수용액) 또는 32℃(포름아미드 용액) 미만이 된다면, SSC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최적이며, 이에 따라서 고온이 적용될 수 있다. 핵산의 혼성화에 대한 포괄적인 가이드는 문헌[Tijssen, Laboratory Techniques in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1993, Part I, Chapter 2, Elsevier, NY]; [Ausubel et al. (eds.),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1995, Chapter 2, Greene Publishing and Wiley-Interscience, NY]; [Sambrook et al. (eds.), Molecular Cloning : A Laboratory Manual, 2nd ed., 1989,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Plainview, NY] 및 [Haymes et al., In: Nucleic Acid Hybridization , a Practical Approach, 1985, IRL Press, Washington, DC]에 개시되어 있다.
만일 폴리뉴클레오티드들이 상보성을 나타낸다면, 하나의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다른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상보체”라고 일컬어진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폴리뉴클레오티드 분자들 중 어느 하나를 이루는 모든 뉴클레오티드가 기타 다른 폴리뉴클레오티드 분자의 뉴클레오티드와 상보성일 때, 이 폴리뉴클레오티드 분자는 “완전한 상보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일컬어진다. 만일 2개의 폴리뉴클레오티드 분자들이, 최소한 통상의 “저 엄중도” 조건 하에서 서로 어닐링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기에 충분한 안정도를 가지고 상호 간에 혼성화될 수 있다면, 상기 2개의 분자들은 “최소한으로 상보성인” 것으로 일컬어진다. 이와 유사하게, 만일 폴리뉴클레오티드 분자들이 통상의 “고 엄중도” 조건 하에서 서로 어닐링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기에 충분한 안정도를 가지고 상호 간에 혼성화될 수 있다면, 상기 분자들은 “상보성인” 것으로 일컬어진다.
본 발명은 샘플 중 계통 SYHT0H2에 상응하는 DNA의 존재를 검출하는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방법은 (a) 엄중 혼성화 조건 하에서 대두 계통 SYHT0H2로부터 유래하는 DNA와 혼성화되고, 계통 SYHT0H2를 특이적으로 검출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프로브와 생물 샘플을 접촉시키는 단계; (b) 샘플과 프로브를 엄중 혼성화 조건에 두는 단계; 및 (c) 상기 DNA에 상기 프로브가 혼성화되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여기서, 혼성화가 검출되었음은 계통 SYHT0H2가 존재함을 암시하는 것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서, 적당한 효소로 분해된 DNA는 혼성화 단계 이전에 미리 생성된다.
SYHT0H2 특이적 영역 또는 이의 앰플리콘을 검출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들, 예를 들어 유전적 비트 분석법(Genetic Bit Analysis)(Nikiforov et al., Nucleic Acid Res., 1994, 22: 4167-4175)(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방법에서, 인접하여 측접하는 DNA 서열과 삽입된 DNA 서열 둘다와 중첩되는 DNA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디자인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DNA 올리고머는, SYHT0H2 특이적 앰플리콘이 생성될 수 있도록 디자인된다.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마이크로웰 평판의 웰 내에 고정된다. 관심 영역을 대상으로 PCR을 수행한 후, 단일 사슬 PCR 생성물은 상기와 같이 고정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혼성화될 수 있으며, DNA 중합 효소 및 다음에 올 것으로 예상되는 염기에 특이적인 표지화 ddNTP를 사용하는 단일 염기 연장 반응의 주형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판독 결과는 형광 또는 ELISA를 바탕으로 분석될 수 있다. 증폭, 혼성화 및 단일 염기 연장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른 신호는 삽입/측접 서열의 존재를 암시한다.
다른 검출 방법으로서는 문헌[Winge, Innov . Pharma . Tech., 2000, 00:18-24]에 개시된 바와 같은 파이로시퀀싱(Pyrosequencing) 기술이 있다. 이 방법에서는, 인접 DNA 및 삽입 DNA 접합부와 중첩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디자인되거나, 또는 SYHT0H2 특이적 영역을 증폭시킬 수 있는 올리고머 쌍이 사용된다. 올리고뉴클레오티드(삽입된 서열 내에 존재하는 하나의 프라이머 및 측접하는 서열 내에 존재하는 또 다른 프라이머)는 관심 영역으로부터 유래하는 단일 사슬 PCR 생성물에 혼성화되며, DNA 중합 효소, ATP, 설퍼릴라제, 루시퍼라제, 아피라제, 아데노신 5’ 포스포설페이트 및 루시페린의 존재 하에 항온 처리된다. dNTP는 개별적으로 첨가되며, 이 dNTP가 서열에 통합됨에 따라서 측정 가능한 광 신호가 발생한다. 증폭, 혼성화 및 단일 또는 다수 염기 연장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서 발생되는 광 신호는 이식 유전자 삽입/측접 서열이 존재함을 암시한다.
문헌[Chen et al., Genome Res., 1999, 9: 492-498]에 기술된 바와 같은 형광 편광법은, 본 발명의 앰플리콘을 검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이다. 이 방법을 사용할 경우, 측접 및 삽입 DNA 접합부와 중첩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디자인되거나, 또는 SYHT0H2 특이적 영역을 증폭할 수 있는 올리고머 쌍이 사용된다. 올리고뉴클레오티드(삽입된 DNA 내에 존재하는 하나의 프라이머 및 측접 DNA 서열 내에 존재하는 또 다른 하나의 프라이머)는 관심 영역으로부터 유래하는 단일 사슬 PCR 생성물과 혼성화되며, DNA 중합 효소 및 형광 표지화된 ddNTP의 존재 하에 항온 처리된다. 단일 염기 연장을 수행하면, ddNTP가 서열에 혼입된다. 혼입은 형광계를 사용하여 편광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확인될 수 있다. 증폭, 혼성화 및 단일 염기 연장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른 편광 변화는 이식 유전자 삽입/측접 서열이 존재함을 암시한다.
택맨®(PE 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은 DNA 서열의 존재를 검출 및 정량화하는 방법인 것으로 기술되어 있으며, 제조자에 의해 제공되는 지침을 통해 충분히 이해된다. 간단히 말하면, 측접 및 삽입 DNA 접합부와 중첩되는 FRET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브가 디자인되거나, 또는 SYHT0H2 특이적 영역을 증폭할 수 있는 올리고머 쌍이 사용된다. FRET 프로브 및 PCR 프라이머(삽입된 DNA 서열 내에 존재하는 하나의 프라이머 및 측접 게놈 서열 내에 존재하는 또 다른 하나의 프라이머)는 열 안정성 중합 효소 및 dNTP의 존재 하에서 순환 사용된다. FRET 프로브가 혼성화되면, FRET 프로브 상 소광 부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형광 부가 절단되어 유리된다. 증폭 및 혼성화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른 형광 신호는 측접/이식 유전자 삽입 서열이 존재함을 암시한다.
분자 비콘(Molecular Beacon)은 문헌[Tyangi et al., Nature Biotech., 1996, 14: 303-308]에 기술된 바와 같이 서열 검출에 사용된다고 알려져 있다. 간단히 말하면, 측접 및 삽입 DNA 접합부와 중첩되는 FRET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브가 디자인되거나, 또는 SYHT0H2 특이적 영역을 증폭할 수 있는 올리고머 쌍이 사용된다. FRET 프로브는 독특한 구조를 가지는데, 즉 상기 구조는 형광 부들과 소광 부들을 서로 가까이 위치시키는 2차 구조를 포함한다. FRET 프로브 및 PCR 프라이머(삽입된 DNA 서열 내에 존재하는 하나의 프라이머 및 측접 서열 내에 존재하는 또 다른 하나의 프라이머)는 열 안정성 중합 효소 및 dNTP의 존재 하에 순환되어 사용된다. 성공적인 PCR 증폭이 진행된 후 FRET 프로브와 표적 서열이 혼성화되면, 프로브 2차 구조가 없어지고, 이로써 형광 부들 및 소광 부들은 서로 공간상 분리된다. 형광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증폭 및 혼성화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른 형광 신호는 측접/이식 유전자 삽입 서열이 존재함을 암시한다.
앰플리콘 내에서 발견되는 서열에 특이적인 프로브를 사용하는 혼성화 반응은, PCR 반응에 의해 생산되는 앰플리콘을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또 다른 방법이다.
본원에 사용된 “키트”란, 본 발명의 방법, 더욱 구체적으로 생물 샘플 중 계통 SYHT0H2를 확인 및/또는 검출하는 방법을 수행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시약들의 세트를 말한다. 이와 같은 키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키트를 구성하는 성분들은, 품질(예를 들어, 종자 소집단의 순도) 관리, 식물 물질 또는 이 식물 물질을 포함하거나 이로부터 유래하는 물질, 예를 들어 식품 또는 사료 제품(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중 계통 SYHT0H2의 검출을 위한 목적으로, 구체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양태에서, 생물 샘플 중 계통 SYHT0H2를 확인하기 위한 키트가 제공된다. 상기 키트는 제1 프라이머 및 제2 프라이머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상기 제1 프라이머 및 제2 프라이머는 SYHT0H2 특이적 영역을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증폭시킨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에서, 상기 키트는 SYHT0H2 특이적 영역을 검출하기 위한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한다. 상기 키트는, 예를 들어 서열 번호 10의 폴리뉴클레오티드 단편 또는 이의 상보체를 포함하는 제1 프라이머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제1 프라이머 또는 제2 프라이머는 SYHT0H2 특이적 영역을 증폭시키기에 충분한, 폴리뉴클레오티드와의 서열 상동성 또는 상보성을 공유한다. 예를 들어, 프라이머 쌍은 서열 번호 11의 서열의 단편과 서열 번호 12의 서열의 단편 또는 이것들의 상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제1 프라이머 및 제2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11, 서열 번호 12, 서열 번호 14, 서열 번호 15 및 서열 번호 17 내지 서열 번호 21에 제시된 서열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이 서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프라이머의 길이는 SYHT0H2 영역을 증폭시키기에 충분한 임의의 길이, 예를 들어 6개, 7개, 8개, 9개, 10개, 15개, 20개, 15개 또는 30개 뉴클레오티드 이상, 또는 약 7개 내지 10개, 10개 내지 15개, 15개 내지 20개, 20개 내지 25개, 25개 내지 30개, 30개 내지 35개, 35개 내지 40개, 40개 내지 45개 뉴클레오티드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양태에서, 제1 프라이머 및 제2 프라이머는 각각 서열 번호 11 및 서열 번호 12; 각각 서열 번호 14 및 서열 번호 15; 각각 서열 번호 17 및 서열 번호 18; 또는 각각 서열 번호 17 및 서열 번호 19; 또는 각각 서열 번호 17 및 서열 번호 20; 또는 각각 서열 번호 17 및 서열 번호 21의 서열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프라이머 쌍들은 (a) 대두 게놈 DNA의 LB1 접합부에 확장된 서열과 아베나 HPPD 서열을 함유하는 이종 삽입 서열(서열 번호 11 및 서열 번호 12; 서열 번호 17 및 서열 번호 18; 서열 번호 17 및 서열 번호 19); 또는 (b) 대두 게놈 DNA의 LB2 접합부에 확장된 서열과 아베나 HPPD 서열을 함유하는 이종 삽입 서열(서열 번호 14 및 서열 번호 15; 서열 번호 17 및 서열 번호 20; 서열 번호 17 및 서열 번호 21)을 증폭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SYHT0H2 특이적 영역을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폴리뉴클레오티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DNA 검출 키트를 추가로 제공하는데, 여기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 번호 10의 서열과 상동성이거나 상보성인 연속 뉴클레오티드로서 충분한 길이를 가지는 DNA 분자를 하나 이상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양태에서, DNA 검출 키트는 서열 번호 11 및 서열 번호 12 중 어느 하나의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단편, 또는 상기 서열 번호 11 및 서열 번호 12 중 어느 하나의 서열과 혼성화하는 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조성물에 사용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이의 단편 및 변이체 중 임의의 것은, 계통 SYHT0H2의 이식 유전자 삽입부, 계통 SYHT0H2의 접합부 서열 또는 계통 SYHT0H2의 측접 서열의 영역에 대한 서열 동일성을 공유할 수 있다. 다양한 서열들간의 관계를 확인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본원에 사용된 “기준 서열(reference sequence)”은, 서열 비교를 위한 기초로서 사용되는 특정 서열이다. 기준 서열은 특정 서열의 하위세트 또는 전체로서; 예를 들어 전장 cDNA 또는 유전자 서열의 분절, 또는 완전 cDNA 또는 유전자 서열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비교 윈도우(comparison window)”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의 연속 및 특정 분절을 기준으로 하는데, 여기서, 상기 비교 윈도우 내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2개의 폴리뉴클레오티드들을 최적으로 정렬시키기 위한 기준 서열(부가 또는 결실을 포함하지 않는 서열)과 비교하였을 때, 부가 또는 결실(즉 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교 윈도우의 길이는 20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이고, 임의로는 30개, 40개, 50개 또는 100개 이상의 뉴클레오티드일 수 있다. 당업자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내에 갭이 포함됨에 따라서 기준 서열에 대한 유사성이 증가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갭 페널티(gap penalty)가 도입되고, 이 갭 페널티는 매칭부의 수로부터 공제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비교를 위하여 서열을 정렬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임의의 서열 2개 사이의 서열 동일성 %는 수학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학적 알고리즘에 관한 비 제한적인 예로서는 문헌[Myers & Miller, CABIOS, 1988, 4:11- 17]의 알고리즘; 문헌[Smith et al., Adv . Appl . Math., 1981, 2:482]의 국소 정렬 알고리즘; 문헌[Needleman & Wunsch, J. MoI . Biol., 1970, 48:443- 453]의 전방위 정렬 알고리즘; 문헌[Pearson & Lipman, Proc. Natl . Acad . Sci . U.S.A., 1988, 85:2444-2448]의 국소 정렬 탐구 방법(search-for-local alignment method); 문헌[Karlin & Altschul, Proc . Natl . Acad. Sci . U.S.A., 1993, 90:5873-5877]의 변형된, 문헌[Karlin & Altschul, Proc. Natl . Acad . Sci . U.S.A., 1990, 87:2264]의 알고리즘이 있다.
이와 같은 수학적 알고리즘을 컴퓨터로 실행하는 것은 서열 동일성을 결정하기 위하여 서열을 비교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행 방법으로서는 CLUSTAL(PC/진(Gene) 프로그램(Intelligenetics, Mountain View, CA)); ALIGN 프로그램(버전 2.0) 및 GAP, BESTFIT, BLAST, FASTA 및 TFASTA(GCG Wisconsin Genetics Software Package, Version 10(Accelrys Inc., 9685 Scranton Road, San Diego, CA))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정렬법은 디폴트 매개 변수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CLUSTAL 프로그램은 문헌[Higgins et al., Gene, 1988, 73:237-244]; [Higgins et al., C45 / OS, 1989, 5:151-153]; [Corpet et al., Nucleic Acids Res., 1988, 16:10881-90]; [Huang et al., CABIOS, 1992, 8:155-65]; 및 [Pearson et al., Meth . Mol . Biol., 1994, 24:307-331]에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ALIGN 프로그램은 문헌[Myers & Miller, CABIOS, 1988, 4:11-17]의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한다. PAM120 가중치 잔기 표, 갭 길이 페널티 12 및 갭 페널티 4는 아미노산 서열들을 비교할 때 ALIGN 프로그램에 적용될 수 있다. 문헌[Altschul et al., J. Mol . Biol., 1990, 215:403]의 BLAST 프로그램은 문헌[Karlin & Altschul, Proc . Natl . Acad . Sci . U.S.A., 1993, 90:5873-5877]의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한다. BLAST 뉴클레오티드 검색은 BLASTN 프로그램(스코어 = 100 및 문자 길이 = 12)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에 상동성인 뉴클레오티드 서열이 생성된다. BLAST 단백질 검색은 BLASTX 프로그램(스코어 = 50 및 문자 길이 = 3)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단백질 또는 폴리펩티드에 상동성인 아미노산 서열이 생성된다. 비교 목적으로 갭이 형성된 정렬을 얻기 위해서, 갭이 형성된 BLAST(BLAST 2.0)는 문헌[Altschul et al., Nucleic Acids Res ., 1997, 25:3389]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실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PSI-BLAST(BLAST 2.0)는, 멀리 떨어져 있는 분자들 간 관계들을 검출하는 검색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문헌[Altschul et al., Nucleic Acids Res ., 1997, 25:3389]을 참조한다. BLAST, 갭 형성 BLAST 및 PSI-BLAST를 이용할 때, 상기 각 프로그램의 디폴트 매개 변수(예를 들어, BLASTN(뉴클레오티드 서열용) 및 BLASTX(단백질용))가 적용될 수 있다. 정렬은 검열에 의해 수동으로 진행될 수 있다.
달리 언급되지 않은 한, 본원에 제공된 서열 동일성/유사성 수치는 다음과 같은 매개 변수들을 적용하는 GAP 버전 10을 통해 구하여진 수치를 말한다: % 동일성 및 % 유사성(뉴클레오티드 서열용)(갭 가중치는 50이고 길이 가중치는 3이며, nwsgapdna.cmp 스코어링 매트릭스(scoring matrix)를 이용함); % 동일성 및 % 유사성(아미노산 서열용)(갭 가중치는 8이고 길이 가중치는 2이며, BLOSUM62 스코어링 매트릭스를 이용함); 또는 상기 프로그램과 동등한 임의의 프로그램. “동등한 프로그램”이란, 미지의 서열 2개에 대해서 동일한 뉴클레오티드 또는 아미노산 잔기 매칭부를 가지고, GAP 버전 10에 의해 얻어진 상응 정렬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서열 동일성 %가 동일한 정렬을 형성하는 임의의 서열 비교 프로그램을 의미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GAP은 매칭부 수를 최대로 만들고 갭의 수를 최소로 만들도록 완전 서열 2개를 정렬하기 위해 문헌[Needleman & Wunsch, J. Mol . Biol., 1970, 48:443-453]의 알고리즘을 이용한다. GAP은 이룰 수 있는 모든 정렬 및 갭 위치를 고려하며, 매칭된 염기가 최대의 수로 존재하고 갭은 최소의 수로 존재하는 정렬을 이룬다. 상기 GAP은 매칭된 염기들로 이루어진 단위 내에 갭 연장 페널티와 갭 형성 페널티를 제공할 수 있다. GAP은 삽입된 각각의 갭에 대해 매칭부의 갭 형성 페널티 수치에 이익을 주어야 한다. 만일 0보다 큰 갭 연장 페널티가 선택되면, GAP은 삽입된 각각의 갭(이 경우, 갭 길이는 갭 연장 페널티의 배수임)에 대해 이익을 주어야 한다. GCG 위스콘신 제네틱스 소프트웨어 패키지(단백질 서열용) 버전 10의 디폴트 갭 형성 페널티 수치 및 갭 연장 페널티 수치는 각각 8과 2이다. 뉴클레오티드 서열에 있어서, 디폴트 갭 형성 페널티는 50인 반면에, 디폴트 갭 연장 페널티는 3이다. 갭 형성 페널티 및 갭 연장 페널티는 0에서 200까지의 정수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정수로서 표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갭 형성 페널티 및 갭 연장 페널티는 0, 1, 2, 3, 4, 5, 6, 7, 8, 9,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또는 이 이상일 수 있다.
GAP은 최선의 정렬 군의 일원을 제공한다. 상기 군에는 다수의 일원들이 있을 수 있는데, 어떠한 일원도 양호한 품질을 가지지 않는다. GAP은 정렬에 대한 메리트 항목 4개를 전시한다: 품질(Quality), 비율(Ratio), 동일성(Identity) 및 유사성(Similarity). 품질은 서열들을 정렬하기 위하여 최대화된 측정 기준이다. 비율은 품질을 짧은 분절 내 염기 수로 나눈 품질이다. 동일성 %는 실질적으로 매칭되는 기호의 %이다. 유사성 %는 유사한 기호의 %이다. 갭들 전반에 걸쳐서 존재하는 기호들은 무시된다. 기호 쌍에 대한 스코어링 매트릭스 수치가 0.50(유사도 최소치) 이상일 때 유사도에는 스코어가 매겨진다. GCG 위스콘신 제네틱스 소프트웨어 패키지 버전 10에 사용되는 스코어링 매트릭스는 BLOSUM62이다[Henikoff & Henikoff, Proc . Natl . Acad . Sci . U.S.A., 1989, 89:10915].
본원에 사용된 2개의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폴리펩티드 서열 중 “서열 동일성” 또는 “동일성”은, 특정 비교 윈도우에 대해서 최대로 상응하도록 정렬될 때 동일한 2개의 서열들 내에 존재하는 잔기들을 기준으로 한다. 서열 동일성 백분율이 단백질을 기준으로 사용될 때, 동일하지 않은 잔기 위치들은 종종 보존적 아미노산 치환에 의해 상이해진다는 것이 인지되며, 이 경우 아미노산 잔기들은 화학적 특성(예를 들어, 전하 또는 소수성)이 유사한 기타 다른 아미노산 잔기들로 치환되므로, 분자의 기능적 특성은 바뀌지 않는다. 서열들이 보존적 치환의 면에서 상이할 때, 서열 동일성 %는 치환의 보존적 성질에 대해 교정되도록 상향 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존적 치환에 의해 상이해진 서열들은 “서열 유사성” 또는 “유사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칭하여진다. 이와 같이 조정하는 방법은 당업자들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조정 방법은 전체 미스매치보다는 부분 미스매치로서 보존적 치환에 스코어를 매겨서 서열 동일성 %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동일한 아미노산에는 스코어 1이 매겨지고, 비 보존적 치환에는 스코어 0이 매겨지며, 보존적 치환은 0과 1 사이의 스코어가 매겨진다. 보존적 치환의 스코어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PC/GENE(Intelligenetics, Mountain View, CA)를 실행함으로써 매겨진다.
본원에 사용된 “서열 동일성 %”는, 최적으로 정렬된 2개의 서열을 비교 윈도우에 대해 비교함으로써 측정되는 수치를 의미하는데, 여기서 상기 비교 윈도우 중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의 일부는, 2개의 서열을 최적으로 정렬하기 위한 기준 서열(부가 또는 결실을 포함하지 않는 서열)과 비교하였을 때, 부가 또는 결실(즉 갭)을 포함할 수 있다. %는 2개의 서열 내에 동일한 핵산 염기 또는 아미노산 잔기가 존재하는 위치들의 수를 측정하여, 매칭된 위치들의 수를 산출하는 단계, 매칭된 위치들의 수를 비교 윈도우 중에 존재하는 위치들의 총 수로 나누는 단계, 그리고 그 결과에 100을 곱하여 서열 동일성 %를 구하는 단계에 의해 산정된다.
본 발명은 농작 식물 및 잡초들을 포함하는 특정 장소(즉 경작 지역)에서 잡초들을 선택적으로 방제하는 방법을 추가로 제공하는데, 여기서, 상기 농작 식물은 SYHT0H2를 포함하고, 이 방법은 HPPD 억제 제초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초제 조성물을 잡초가 존재하는 장소에 잡초 방제량만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제”라는 용어 및 이의 파생 용어, 예를 들어 “잡초 방제”란, 잡초의 생장, 발아, 생식 및/또는 증식을 억제하고/억제하거나; 잡초를 사멸, 제거 또는 소멸시키거나, 아니면 잡초의 발아 및/또는 생장을 감소시키는 것 중 하나 이상을 말한다.
본원에 사용된 “경작 지역” 또는 “장소”는 식물을 생장시키기 원하는 임의의 곳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경작 지역으로서는 노지(식물이 경작되는 곳(예를 들어, 옥수수 밭, 잔디밭, 수목원, 가꾸어진 숲, 과일과 채소를 경작하기 위한 밭 등)), 온실 및 생장상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방법은 경작 지역에 대두 SYHT0H2 종자 또는 식물을 파종 또는 식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농작물, 종자, 잡초 또는 이것들이 자라고 있는 지역에 잡초 방제량만큼의 관심 제초제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농작물이 식재되기 전이나 식재된 후에 경작 지역에 제초제가 적용될 수 있음이 인지된다. 이와 같은 제초제 적용은, HPPD 억제제를 단독으로 적용하는 것, 또는 농작물에 의해 관용되는 기타 다른 제초제와 함께 적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잡초 방제량이 예를 들어 제초제(들)의 종류와 적용 시기에 따라서 달라질 것이지만, 만일 농작물에 피해가 간다면 아주 조금만 가도록 하면서 잡초 방제 수준을 요망되는 수준으로 만드는 양에 해당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HPPD 억제 제초제에 있어서, 상기 양은 통상적으로 15gai/ha 내지 500gai/ha일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제초제 조성물은 2개 이상의 HPPD 억제제를 포함한다. 상기 HPPD 억제제는 선택적으로 잡초를 방제하고 농작물에는 거의 피해를 주지 않는 임의의 효과적인 비율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서, HPPD 억제제는 벤조비시클론, 비시클로피론, 메소트리온, 설코트리온, 테푸릴트리온, 템보트리온, 케토스피라독스 또는 이것들의 유리 산, 벤조페냅, 피라설포톨, 피라졸리네이트, 피라족시펜, 토프라메존, [2-클로로-3-(2-메톡시에톡시)-4-(메틸설포닐)-페닐](1-에틸-5-하이드록시-1H-피라졸-4-일)-메타논, (2,3-디하이드로-3,3,4-트리메틸-1,1-디옥시도벤조[b]티엔-5-일)(5-하이드록시-1-메틸-1H-피라졸-4-일)-메타논, 이속사클로르톨, 이속사플루톨, α-(시클로프로필카보닐)-2-(메틸설포닐)-β-옥소-4-클로로-벤젠프로판니트릴 및 α-(시클로프로필카보닐)-2-(메틸설포닐)-β-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프로판니트릴 또는 이의 농업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HPPD 억제제는 메소트리온이다.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HPPD 억제제는 템보트리온이다.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HPPD 억제제는 비시클로피론이다.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HPPD 억제제는 이속사플루톨이다.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HPPD 억제제는 피라설파톨이다.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HPPD 억제제는 토프라메존이다.
계통 SYHT0H2를 포함하는 대두 식물은, 하나 이상의 부가 제초제, 해충, 진균, 박테리아 및/또는 바이러스 감염에 대해 내성을 부여하는 폴리펩티드(들)를 암호화하는 부가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영역(들)을 하나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초제에 대한 내성을 부여하는 폴리펩티드(들)의 예로서는, 예를 들어 글리포세이트 내성 5-에놀-피루빌시키메이트-3-포스페이트 합성 효소(EPSPS)(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804,425호 및 제6,566,587호에 개시됨), 글리포세이트 N-아세틸 트랜스퍼라제(GAT)(예를 들어, WO02/036782호에 개시됨), 제초제 내성 4-하이드록시피루빌디옥시게나제(HPPD)(예를 들어, WO02/46387호에 개시됨), 포스피노트리신 아세틸 트랜스퍼라제(PAT)(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273,894호에 개시됨), 시토크롬 P450(예를 들어, PCT 국제 특허 출원 공보 WO 07/103567호에 개시됨), 글루타치온 S-트랜스퍼라제(GST)(예를 들어, PCT 국제 특허 출원 공보 WO 01/21770호에 개시됨), 제초제 내성 아세틸-COA-카복실라제(ACCase), 제초제 내성 아세토락테이트 합성 효소(ALS)(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013,659호에 개시됨), 제초제 내성 프로토포르피리노겐 옥시다제(PPGO)(예를 들어, PCT 국제 특허 출원 공보 WO 95/34659호에 개시됨), 브로목시닐 니트릴라제(예를 들어, PCT 국제 특허 출원 공보 WO 89/00193호에 개시됨), 제초제 내성 피토엔 불포화 효소 (예를 들어, 유럽 공개 특허 출원 제0393690호), 아릴옥시알카노에이트 디옥시게나제 (예를 들어, PCT 국제 특허 출원 공보 WO 2005/107437호 및 WO 2007/053482호에 개시됨) 및 디캄바 분해 효소(예를 들어, PCT 국제 특허 출원 공보 WO 98/45424호에 개시됨); 이와 같은 폴리펩티드들의 공지된 돌연 변이체 또는 변형된 변이체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특정 장소에 적용되는 제초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부가 살충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므로, 계통 SYTH0H2를 포함하는 대두 식물은, 예를 들어 살선충제, 살충제, 살진균제 및/또는 제초제에 내성이다. 적당한 살충제의 예는 문헌[Tomlin, C.D.S. (ed.), The Pesticide Manual, 14th ed., 2006]에 나열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살충제는 다음과 같은 살충, 진드기 구제, 살선충 또는 연체 동물 구충 활성 성분 군들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살충제일 수 있다: 알라니카브, 알디카브, 벤디오카브, 벤푸라카브, 부토카복심, 부톡시카복심, 카바릴, 카보푸란, 카보설판, 에티오펜카브, 페노부카브, 포르메타네이트, 푸라티오카브, 이소프로카브, 메티오카브, 메토밀, 메톨카브, 옥사밀, 피리미카브, 프로폭서, 티오디카브, 티오파녹스, 트리아자메이트, 트리메타카브, XMC, 자일릴카브; 아세페이트, 아자메티포스, 아진포스-에틸, 아진포스-메틸, 카두사포스, 클로레톡시포스, 클로르펜빈포스, 클로르메포스, 클로르피리포스, 클로르피리포스-메틸, 쿠마포스, 시아노포스, 데메톤-S-메틸, 디아지논, 디클로르보스/DDVP, 디크로토포스, 디메토에이트, 디메틸빈포스, 디설포톤, EPN, 에티온, 에토프로포스, 팜푸르, 페나미포스, 페니트로티온, 펜티온, 포스티아제이트, 헵테노포스, 이미시아포스, 이소펜포스, 이소프로필 O-(메톡시아미노티오-포스포릴) 살리실레이트, 이속사티온, 말라티온, 메카밤, 메타미도포스, 메티다티온, 메빈포스, 모노크로토포스, 날레드, 오메토에이트, 옥시데메톤-메틸, 파라티온, 파라티온-메틸, 펜토에이트, 포레이트, 포살론, 포스멧, 포스파미돈, 폭심, 피리미포스-메틸, 프로페노포스, 프로페탐포스, 프로티오포스, 피라클로포스, 피리다펜티온, 퀴날포스, 설포텝, 테부피림포스, 테메포스, 터부포스, 테트라클로르빈포스, 티오메톤, 트리아조포스, 트리클로르폰, 바미도티온, 시클로디엔 유기 염소제, 클로르데인, 엔도설판; 에티프롤, 피프로닐, 아크리나트린, 알레트린, d-시스-트랜스 알레트린, d-트랜스 알레트린, 비펜트린, 바이오알레트린, 바이오알레트린 S-시클로펜테닐 이성체, 바이오레스메트린, 시클로프로트린, 시플루트린, 베타-시플루트린, 시할로트린, 람다-시할로트린, 감마-시할로트린, 사이퍼메트린, 알파-사이퍼메트린, 베타-사이퍼메트린, 세타-사이퍼메트린, 제타-사이퍼메트린, 사이페노트린 [(1R)-트랜스 이성체], 델타메트린, 엠펜트린 [(EZ)-(1R) 이성체], 에스펜발러레이트, 에토펜프록스, 펜프로파트린, 펜발러레이트, 플루시트리네이트, 플루메트린, 토우-플루발리네이트, 할펜프록스, 이미프로트린, 카데트린, 퍼메트린, 페노트린 [(1R)-트랜스 이성체], 프랄레트린, 피레트린(피레트럼), 레스메트린, 실라플루오펜, 테플루트린, 테트라메트린, 테트라메트린 [(1R) 이성체], 트랄로메트린, 트랜스플루트린; DDT; 메톡시클로르, 아세타미프리드, 클로티아니딘, 디노테푸란, 이미다클로프리드, 니텐피람, 티아클로프리드, 티아메톡삼; 니코틴, 스피네토람, 스피노사드, 아바멕틴, 에마멕틴 벤조에이트, 레피멕틴, 밀베멕틴, 하이드로프렌, 키노프렌, 메토프렌; 페녹시카브; 피리프록시펜, 클로로피크린; 플루오르화 설푸릴; 보락스; 타르타르 에메틱, 피메트로진; 플로니카미드, 클로펜테진, 헥시티아족스, 디플로비다진, 에톡사졸,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아종 이스라엘렌시스(israelensis), 바실러스 스파에리쿠스(Bacillus sphaericus),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아종 아이자와이(aizawai),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아종 커스타키(kurstaki),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아종 테네브리오니스(tenebrionis), BT 농작물 단백질: Cry1Ab, Cry1Ac, Cry1Fa, Cry2Ab, mCry3A, Cry3Ab, Cry3Bb, Cry34/35Ab1, 디아펜티우론, 아조시클로틴, 시헥사틴, 산화 펜부타틴; 프로파기트, 테트라디폰, 클로르페나피르, DNOC, 설플루라미드, 벤설탭, 카르탭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티오시클람, 티오설탭-소듐, 비스트리플루론, 클로르플루아주론, 디플루벤주론, 플루시클록수론, 플루페녹수론, 헥사플루무론, 루페누론, 노발루론, 노비플루무론, 테플루벤주론, 트리플루무론, 부프로페진, 사이로마진, 크로마페노지드, 할로페노지드, 메톡시페노지드, 테부페노지드, 아미트라즈, 하이드라메틸논; 아세퀴노실; 플루아크리피림, 페나자퀸, 펜피록시메이트, 피리미디펜, 피리다벤, 테부펜피라드, 톨펜피라드, 로테논(데리스), 인독사카브; 메타플루미존, 스피로디클로펜, 스피로메시펜, 스피로테트라맷, 인화 알루미늄, 인화 칼슘, 포스핀, 인화 아연, 시에노피라펜, 클로란트라닐리프롤, 플루벤디아미드, 아미도플루멧, 아자디라크틴, 벤클로티아즈, 벤족시메이트, 비페나제이트, 브로모프로필레이트, 키노메티오냇, 크라이올라이트, 시안트라닐리프롤(시아지피르), 사이플루메토펜, 디코폴, 디플로비다진, 플루엔설폰, 플루페네림, 플루피프롤, 플루오피람, 푸페노지드, 이미다클로티즈, 이프로디온, 메퍼플루트린, 피리달릴, 피리플루퀴나존, 테트라메틸플루트린, 요도메탄; 바실러스 퍼머스(Bacillus firmus) 기반 생성물(예를 들어, 균주 CNCM I-1582, 예를 들어 VOTiVO™, BioNem); 3-브로모-N-{2-브로모-4-클로로-6-[(1-시클로프로필에틸)카바모일]페닐}-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카복사미드(WO2005/077934호에 개시됨), 4-{[(6-브로모피리딘-3-일)메틸](2-플루오로에틸)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4호에 개시됨), 4-{[(6-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2,2-디플루오로에틸)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4호에 개시됨), 4-{[(2-클로로-1,3-티아졸-5-일)메틸](2-플루오로에틸)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4호에 개시됨), 4-{[(6-클로르피리딘-3-일)메틸](2-플루오로에틸)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4호에 개시됨), 플루피라디푸론, 4-{[(6-클로르-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메틸)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3호에 개시됨), 4-{[(5,6-디클로로피리딘-3-일)메틸](2-플루오로에틸)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6호에 개시됨), 4-{[(6-클로로-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3호에 개시됨), 4-{[(6-클로로피리딘-3-일)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푸란-2(5H)-온(EP-A-0 539 588호에 개시됨), 4-{[(6-클로르피리딘-3-일)-메틸](메틸)아미노}푸란-2(5H)-온(EP-A-0 539 588호에 개시됨), {[1-(6-클로로피리딘-3-일)에틸](메틸)옥시도-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WO2007/149134호에 개시됨) 및 이의 부분 입체 이성체들 {[(1R)-1-(6-클로로피리딘-3-일)에틸](메틸)옥시도-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A) 및 {[(1S)-1-(6-클로로피리딘-3-일)에틸](메틸)옥시도-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B)(WO2007/149134호에 개시됨) 그리고 설폭사플로르 및 이의 부분 입체 이성체 [(R)-메틸(옥시도){(1R)-1-[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에틸}-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A1) 및 [(S)-메틸(옥시도){(1S)-1-[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에틸}-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A2)(부분 입체 이성체 A 군으로서도 칭하여짐)(WO2010/074747호 및 WO2010/074751호에 개시됨), [(R)-메틸(옥시도){(1S)-1-[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에틸}-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B1) 및 [(S)-메틸(옥시도){(1R)-1-[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에틸}-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B2)(부분 입체 이성체 B 군으로서 칭하여짐)(WO2010/074747호 및 WO2010/074751호에 개시됨), 그리고 11-(4-클로로-2,6-디메틸페닐)-12-하이드록시-1,4-디옥사-9-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덱-11-엔-10-온(WO2006/089633호에 개시됨), 3-(4'-플루오로-2,4-디메틸비페닐-3-일)-4-하이드록시-8-옥사-1-아자스피로[4.5]덱-3-엔-2-온(WO2008/067911호에 개시됨), 1-{2-플루오로-4-메틸-5-[(2,2,2-트리플루오르에틸)설피닐]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1H-1,2,4-트리아졸-5-아민(WO2006/043635호에 개시됨), [(3S,4aR,12R,12aS,12bS)-3-[(시클로프로필카보닐)옥시]-6,12-디하이드록시-4,12b-디메틸-11-옥소-9-(피리딘-3-일)-1,3,4,4a,5,6,6a,12,12a,12b-데카하이드로-2H,11H-벤조[f]-피라노[4,3-b]크로멘-4-일]메틸 시클로-프로판-카복실레이트(WO2008/066153호에 개시됨), 2-시아노-3-(디플루오로메톡시)-N,N-디메틸벤젠설폰아미드(WO2006/056433호에 개시됨), 2-시아노-3-(디플루오로메톡시)-N-메틸벤젠설폰아미드(WO2006/100288호에 개시됨), 2-시아노-3-(디플루오로메톡시)-N-에틸벤젠설폰아미드(WO2005/035486호에 개시됨), 4-(디플루오로메톡시)-N-에틸-N-메틸-1,2-벤조티아졸-3-아민 1,1-디옥사이드(WO2007/057407호에 개시됨), N-[1-(2,3-디메틸페닐)-2-(3,5-디메틸페닐)에틸]-4,5-디하이드로-1,3-티아졸-2-아민(WO2008/104503호에 개시됨), {1'-[(2E)-3-(4-클로로페닐)프로프-2-엔-1-일]-5-플루오로스피로[인돌-3,4'-피페리딘]-1(2H)-일}(2-클로로-피리딘-4-일)-메타논(WO2003/106457호에 개시됨), 3-(2,5-디메틸페닐)-4-하이드록시-8-메톡시-1,8-디아자스피로[4.5]덱-3-엔-2-온(WO2009/049851호에 개시됨), 3-(2,5-디메틸페닐)-8-메톡시-2-옥소-1,8-디아자-스피로[4.5]덱-3-엔-4-일 에틸 카보네이트(WO2009/049851호에 개시됨), 4-(부트-2-인-1-일옥시)-6-(3,5-디메틸피페리딘-1-일)-5-플루오로피리미딘(WO2004/099160호에 개시됨), (2,2,3,3,4,4,5,5-옥타플루오로펜틸)(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말로노니트릴(WO2005/063094호에 개시됨), (2,2,3,3,4,4,5,5-옥타플루오로펜틸)(3,3,4,4,4-펜타플루오로부틸)말로노니트릴(WO2005/063094호에 개시됨), 8-[2-(시클로프로필메톡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3-[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다진-3-일]-3-아자비시클로[3.2.1]옥탄(WO2007/040280호에 개시됨), 플로메토퀸, PF1364(CAS 등록 번호 1204776-60-2)(JP2010/018586호에 개시됨), 5-[5-(3,5-디클로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2-(1H-1,2,4-트리아졸-1-일)벤조니트릴(WO2007/075459호에 개시됨), 5-[5-(2-클로로피리딘-4-일)-5-(트리플루오로메틸)-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2-(1H-1,2,4-트리아졸-1-일)벤조니트릴(WO2007/075459호에 개시됨), 4-[5-(3,5-디클로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2-메틸-N-{2-옥소-2-[(2,2,2-트리플루오로에틸)아미노]-에틸}벤자미드(WO2005/085216호에 개시됨), 4-{[(6-클로로피리딘-3-일)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1,3-옥사졸-2(5H)-온, 4-{[(6-클로로피리딘-3-일)메틸](2,2-디플루오로에틸)-아미노}-1,3-옥사졸-2(5H)-온, 4-{[(6-클로로피리딘-3-일)메틸](에틸)-아미노}-1,3-옥사졸-2(5H)-온, 4-{[(6-클로로피리딘-3-일)메틸](메틸)아미노}-1,3-옥사졸-2(5H)-온(모두 WO2010/005692호에 개시됨), NNI-0711(WO2002/096882호에 개시됨), 1-아세틸-N-[4-(1,1,1,3,3,3-헥사플루오로-2-메톡시프로판-2-일)-3-이소부틸페닐]-N-이소부티릴-3,5-디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WO2002/096882호에 개시됨), 메틸 2-[2-({[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일]카보닐}아미노)-5-클로로-3-메틸벤조일]-2-메틸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WO2005/085216호에 개시됨), 메틸 2-[2-({[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일]카보닐}아미노)-5-시아노-3-메틸벤조일]-2-에틸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WO2005/085216호에 개시됨), 메틸2-[2-({[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일]카보닐}-아미노)-5-시아노-3-메틸벤조일]-2-메틸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WO2005/085216호에 개시됨), 메틸 2-[3,5-디브로모-2-({[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일]카보닐}아미노)-벤조일]-1,2-디에틸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WO2005/085216호에 개시됨), 메틸 2-[3,5-디브로모-2-({[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일]카보닐}-아미노)-벤조일]-2-에틸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WO2005/085216호에 개시됨), (5RS,7RS;5RS,7SR)-1-(6-클로로-3-피리딜메틸)-1,2,3,5,6,7-헥사하이드로-7-메틸-8-니트로-5-프로폭시이미다조[1,2-a]피리딘(WO2007/101369호에 개시됨), N-[2-(5-아미노-1,3,4-티아디아졸-2-일)-4-클로로-6-메틸페닐]-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카복사미드(CN102057925호에 개시됨) 및 메틸 2-[3,5-디브로모-2-({[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일]카보닐}-아미노)-벤조일]-2-에틸-1-메틸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WO2011/049233호에 개시됨).
살진균제의 추가 예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들로부터 선택되는 살진균제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알디모프, 아자코나졸, 비터타놀, 브로무코나졸, 사이프로코나졸, 디클로부트라졸, 디페노코나졸, 디니코나졸, 디니코나졸-M, 도데모프, 아세트산 도데모프, 에폭시코나졸, 에타코나졸, 페나리몰, 펜부코나졸, 펜헥사미드, 펜프로피딘, 펜프로피모프, 플루퀸코나졸, 플루르프리미돌, 플루실라졸, 플루트리아폴, 퍼코나졸, 퍼코나졸-시스, 헥사코나졸, 이마잘릴, 황산 이마잘릴, 이미벤코나졸, 입코나졸, 멧코나졸, 마이클로부타닐, 나프티핀, 누아리몰, 옥스포코나졸, 파클로부트라졸, 페푸라조에이트, 펜코나졸, 피페랄린, 프로클로라즈, 프로피코나졸, 프로티오코나졸, 피리부티카브, 피리페녹스, 퀸코나졸, 시메코나졸, 스피록사민, 테부코나졸, 터비나핀, 테트라코나졸, 트리아디메폰, 트리아디메놀, 트리데모프, 트리플루미졸, 트리포린, 트리티코나졸, 유니코나졸, 유니코나졸-p, 비니코나졸, 보리코나졸, 1-(4-클로로페닐)-2-(1H-1,2,4-트리아졸-1-일)시클로헵타놀, 메틸 1-(2,2-디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1-일)-1H-이미다졸-5-카복실레이트, N'-{5-(디플루오로메틸)-2-메틸-4-[3-(트리메틸실릴)-프로폭시]-페닐}-N-에틸-N-메틸이미도포름아미드, N-에틸-N-메틸-N'-{2-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4-[3-(트리메틸실릴)프로폭시]페닐}이미도포름아미드, O-[1-(4-메톡시페녹시)-3,3-디메틸부탄-2-일] 1H-이미다졸-1-카보티오에이트, 빅사펜, 보스칼리드, 카복신, 디플루메토림, 펜푸람, 플루오피람, 플루톨라닐, 플룩사피록사드, 푸라멧피르, 푸르메시클록스, 이소피라잠(신-에피머 라세미체 1RS,4SR,9RS 및 안티-에피머 라세미체 1RS,4SR,9SR의 혼합물), 이소피라잠(안티-에피머 라세미체 1RS,4SR,9SR), 이소피라잠(안티-에피머 거울 이성체 1R,4S,9S), 이소피라잠(안티-에피머 거울 이성체 1S,4R,9R), 이소피라잠(신-에피머 라세미체 1RS,4SR,9RS), 이소피라잠(신-에피머 거울 이성체 1R,4S,9R), 이소피라잠(신-에피머 거울 이성체 1S,4R,9S), 메프로닐, 옥시카복신, 펜플루펜, 펜티오피라드, 세닥산, 티플루자미드, 1-메틸-N-[2-(1,1,2,2-테트라플루오로에톡시)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1-메틸-N-[2-(1,1,2,2-테트라플루오로에톡시)페닐]-1H-피라졸-4-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N-[4-플루오로-2-(1,1,2,3,3,3-헥사플루오로프로폭시)페닐]-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N-[1-(2,4-디클로로페닐)-1-메톡시프로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5,8-디플루오로-N-[2-(2-플루오로-4-{[4-(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옥시}페닐)에틸]퀴나졸린-4-아민, N-[9-(디클로로메틸렌)-1,2,3,4-테트라하이드로-1,4-메타노나프탈렌-5-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N-[(1S,4R)-9-(디클로로메틸렌)-1,2,3,4-테트라하이드로-1,4-메타노나프탈렌-5-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N-[(1R,4S)-9-(디클로로메틸렌)-1,2,3,4-테트라하이드로-1,4-메타노나프탈렌-5-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아메톡트라딘, 아미설브롬, 아족시스트로빈, 시아조파미드, 쿠메톡시스트로빈, 쿠목시스트로빈, 디목시스트로빈, 에네스트로부린, 파목사돈, 페나미돈, 페녹시스트로빈, 플루옥사스트로빈, 크레속심-메틸, 메토미노스트로빈, 오리사스트로빈, 피콕시스트로빈, 피라클로스트로빈, 피라메토스트로빈, 피라옥시스트로빈, 피리벤카브, 트리클로피리카브, 트리플록시스트로빈, (2E)-2-(2-{[6-(3-클로로-2-메틸페녹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옥시}페닐)-2-(메톡시이미노)-N-메틸에타나미드, (2E)-2-(메톡시이미노)-N-메틸-2-(2-{[({(1E)-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리덴}아미노)옥시]메틸}페닐)에타나미드, (2E)-2-(메톡시이미노)-N-메틸-2-{2-[(E)-({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톡시}이미노)메틸]페닐}에타나미드, (2E)-2-{2-[({[(1E)-1-(3-{[(E)-1-플루오로-2-페닐에테닐]옥시}페닐)에틸리덴]아미노}옥시)메틸]페닐}-2-(메톡시이미노)-N-메틸에타나미드, (2E)-2-{2-[({[(2E,3E)-4-(2,6-디클로로페닐)부트-3-엔-2-일리덴]아미노}옥시)메틸]페닐}-2-(메톡시이미노)-N-메틸에타나미드, 2-클로로-N-(1,1,3-트리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4-일)피리딘-3-카복사미드, 5-메톡시-2-메틸-4-(2-{[({(1E)-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리덴}아미노)옥시]메틸}페닐)-2,4-디하이드로-3H-1,2,4-트리아졸-3-온, 메틸 (2E)-2-{2-[({시클로프로필[(4-메톡시페닐)이미노]메틸}설파닐)메틸]페닐}-3-메톡시프로프-2-에노에이트, N-(3-에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3-(포르밀아미노)-2-하이드록시벤자미드, 2-{2-[(2,5-디메틸페녹시)메틸]페닐}-2-메톡시-N-메틸아세타미드, (2R)-2-{2-[(2,5-디메틸페녹시)메틸]페닐}-2-메톡시-N-메틸아세타미드, 베노밀, 카벤다짐, 클로르페나졸, 디에토펜카브, 에타복삼, 플루오피콜리드, 푸베리다졸, 펜시쿠론, 티아벤다졸, 티오파네이트-메틸, 티오파네이트, 족사미드, 5-클로로-7-(4-메틸피페리딘-1-일)-6-(2,4,6-트리플루오로페닐)[1,2,4]트리아졸로[1,5-a]피리미딘, 3-클로로-5-(6-클로로피리딘-3-일)-6-메틸-4-(2,4,6-트리플루오로페닐)피리다진, 보르도 혼합물, 캡타폴, 캡탄, 클로로탈로닐, 수산화 구리, 나프텐산 구리, 산화 구리, 산염화 구리, 황산 구리(2+), 디클로플루아니드, 디티아논, 도딘, 도딘 유리 염기, 퍼밤, 플루오로폴펫, 폴펫, 구아자틴, 아세트산 구아자틴, 이미녹타딘, 알베실산 이미녹타딘, 삼아세트산 이미녹타딘, 만코퍼, 만코젭, 마넵, 메티람, 메티람 아연, 옥신-구리, 프로파미딘, 프로피넵, 황, 황 제조물, 예를 들어 다황화 칼슘, 티람, 톨릴플루아니드, 지넵, 지람, 아시벤졸라-S-메틸, 이소티아닐, 프로베나졸, 티아디닐, 안도프림, 블라스티시딘-S, 사이프로디닐, 카수가마이신, 카수가마이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수화물, 메파니피림, 피리메타닐, 3-(5-플루오로-3,3,4,4-테트라메틸-3,4-디하이드로이소퀴놀린-1-일)퀴놀린, 아세트산 펜틴, 염화 펜틴, 수산화 펜틴, 실티오팜, 벤티아발리카브, 디메토모프, 플루모프, 이프로발리카브, 만디프로파미드, 폴리옥신, 폴리옥소림, 발리다마이신 A, 발리페날레이트, 비페닐, 클로로넵, 디클로란, 에디펜포스, 에트리디아졸, 요도카브, 이프로벤포스, 이소프로티올란, 프로파모카브, 프로파모카브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프로티오카브, 피라조포스, 퀸토젠, 테크나젠 톨클로포스-메틸, 카프로파미드, 디클로시멧, 페녹사닐, 프탈리드, 피로퀼론, 트리시클라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3-메틸-1-[(4-메틸벤조일)아미노]부탄-2-일}카바메이트, 베나락실, 베나락실-M (키랄락실), 부피리메이트, 클로질라콘, 디메티리몰, 에티리몰, 푸랄락실, 하이멕사졸, 메탈락실, 메탈락실-M (메페녹삼), 오푸레이스, 옥사딕실, 옥솔린산, 클로졸리네이트, 펜피클로닐, 플루디옥소닐, 이프로디온, 프로시미돈, 퀴녹시펜, 빈클로졸릴, 비나파크릴, 디노캡, 페림존, 플루아지남, 멥틸디노캡, 벤티아졸, 베톡사진, 캡시마이신, 카르본, 키노메티오냇, 피리오페논(클라자페논), 쿠프라넵, 시플루페나미드, 시목사닐, 사이프로설파미드, 다조멧, 데바카브, 디클로로펜, 디클로메진, 디펜조?, 메틸황산 디펜조?, 디페닐아민, 에코메이트, 펜피라자민, 플루메토버, 플루오로이미드, 플루설파미드, 플루티아닐, 포세틸-알루미늄, 포세틸-칼슘, 포세틸-소듐, 헥사클로로벤젠, 이루마마이신, 메타설포카브, 메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메트라페논, 밀디오마이신, 나타마이신, 니켈 디메틸디티오카바메이트, 니트로탈-이소프로필, 옥틸리논, 옥사모카브, 옥시펜티인, 펜타클로로페놀 및 염, 페노트린, 인산 및 이의 염, 프로파모카브-포세틸레이트, 프로파노신-소듐, 프로퀴나지드, 피리모프, (2E)-3-(4-tert-부틸페닐)-3-(2-클로로피리딘-4-일)-1-(모폴린-4-일)프로프-2-엔-1-온, (2Z)-3-(4-tert-부틸페닐)-3-(2-클로로피리딘-4-일)-1-(모폴린-4-일)프로프-2-엔-1-온, 피롤니트린, 테부플로퀸, 테클로프탈람, 톨니파니드, 트리아족시드, 트리클라미드, 자릴라미드, (3S,6S,7R,8R)-8-벤질-3-[({3-[(이소부티릴옥시)메톡시]-4-메톡시피리딘-2-일}카보닐)아미노]-6-메틸-4,9-디옥소-1,5-디옥소난-7-일 2-메틸프로파노에이트, 1-(4-{4-[(5R)-5-(2,6-디플루오로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에타논, 1-(4-{4-[(5S)-5-(2,6-디플루오로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에타논, 1-(4-{4-[5-(2,6-디플루오로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에타논, 1-(4-메톡시페녹시)-3,3-디메틸부탄-2-일 1H-이미다졸-1-카복실레이트, 2,3,5,6-테트라클로로-4-(메틸설포닐)피리딘, 2,3-디부틸-6-클로로티에노[2,3-d]피리미딘-4(3H)-온, 2,6-디메틸-1H,5H-[1,4]디티이노[2,3-c:5,6-c']디피롤-1,3,5,7(2H,6H)-테트론, 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1-(4-{4-[(5R)-5-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에타논, 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1-(4-{4-[(5S)-5-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에타논, 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1-{4-[4-(5-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에타논, 2-부톡시-6-요도-3-프로필-4H-크로멘-4-온, 2-클로로-5-[2-클로로-1-(2,6-디플루오로-4-메톡시페닐)-4-메틸-1H-이미다졸-5-일]피리딘, 2-페닐페놀 및 염, 3-(4,4,5-트리플루오로-3,3-디메틸-3,4-디하이드로이소퀴놀린-1-일)퀴놀린, 3,4,5-트리클로로피리딘-2,6-디카보니트릴, 3-[5-(4-클로로페닐)-2,3-디메틸-1,2-옥사졸리딘-3-일]피리딘, 3-클로로-5-(4-클로로페닐)-4-(2,6-디플루오로페닐)-6-메틸피리다진, 4-(4-클로로페닐)-5-(2,6-디플루오로-페닐)-3,6-디메틸피리다진, 5-아미노-1,3,4-티아디아졸-2-티올, 5-클로로-N'-페닐-N'-(프로프-2-인-1-일)티오펜-2-설포노히드라지드, 5-플루오로-2-[(4-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4-아민, 5-플루오로-2-[(4-메틸벤질)옥시]피리미딘-4-아민, 5-메틸-6-옥틸[1,2,4]트리아졸로[1,5-a]피리미딘-7-아민, 에틸 (2Z)-3-아미노-2-시아노-3-페닐프로프-2-에노에이트, N'-(4-{[3-(4-클로로벤질)-1,2,4-티아디아졸-5-일]옥시}-2,5-디메틸페닐)-N-에틸-N-메틸이미도포름아미드, N-(4-클로로벤질)-3-[3-메톡시-4-(프로프-2-인-1-일옥시)페닐]프로파나미드, N-[(4-클로로페닐)(시아노)메틸]-3-[3-메톡시-4-(프로프-2-인-1-일옥시)페닐]프로파나미드, N-[(5-브로모-3-클로로피리딘-2-일)메틸]-2,4-디클로로피리딘-3-카복사미드, N-[1-(5-브로모-3-클로로피리딘-2-일)에틸]-2,4-디클로로-피리딘-3-카복사미드, N-[1-(5-브로모-3-클로로피리딘-2-일)에틸]-2-플루오로-4-요도-피리딘-3-카복사미드, N-{(E)-[(시클로프로필메톡시)이미노][6-(디플루오로메톡시)-2,3-디플루오로페닐]-메틸}-2-페닐-아세타미드, N-{(Z)-[(시클로프로필메톡시)이미노][6-(디플루오로메톡시)-2,3-디플루오로-페닐]-메틸}-2-페닐아세타미드, N'-{4-[(3-tert-부틸-4-시아노-1,2-티아졸-5-일)옥시]-2-클로로-5-메틸페닐}-N-에틸-N-메틸이미도포름아미드, N-메틸-2-(1-{[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N-(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일)-1,3-티아졸-4-카복사미드, N-메틸-2-(1-{[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N-[(1R)-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일]-1,3-티아졸-4-카복사미드, N-메틸-2-(1-{[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N-[(1S)-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일]-1,3-티아졸-4-카복사미드, 펜틸 {6-[({[(1-메틸-1H-테트라졸-5-일)(페닐)-메틸리덴]아미노}옥시)메틸]피리딘-2-일}카바메이트, 페나진-1-카복실산, 퀴놀린-8-올, 황산 퀴놀린-8-올(2:1), tert-부틸 {6-[({[(1-메틸-1H-테트라졸-5-일)(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메틸]피리딘-2-일}카바메이트, 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N-[2'-(트리플루오로메틸)비페닐-2-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N-(4'-클로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N-(2',4'-디클로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1-메틸-N-[4'-(트리플루오로메틸)비페닐-2-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N-(2',5'-디플루오로비페닐-2-일)-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1-메틸-N-[4'-(프로프-1-인-1-일)비페닐-2-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5-플루오로-1,3-디메틸-N-[4'-(프로프-1-인-1-일)비페닐-2-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2-클로로-N-[4'-(프로프-1-인-1-일)비페닐-2-일]피리딘-3-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N-[4'-(3,3-디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N-[4'-(3,3-디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5-플루오로-1,3-디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N-(4'-에티닐비페닐-2-일)-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N-(4'-에티닐비페닐-2-일)-5-플루오로-1,3-디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2-클로로-N-(4'-에티닐비페닐-2-일)피리딘-3-카복사미드, 2-클로로-N-[4'-(3,3-디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피리딘-3-카복사미드, 4-(디플루오로메틸)-2-메틸-N-[4'-(트리플루오로메틸)비페닐-2-일]-1,3-티아졸-5-카복사미드, 5-플루오로-N-[4'-(3-하이드록시-3-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1,3-디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2-클로로-N-[4'-(3-하이드록시-3-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피리딘-3-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N-[4'-(3-메톡시-3-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5-플루오로-N-[4'-(3-메톡시-3-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1,3-디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2-클로로-N-[4'-(3-메톡시-3-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피리딘-3-카복사미드, (5-브로모-2-메톡시-4-메틸피리딘-3-일)(2,3,4-트리메톡시-6-메틸페닐)메타논, N-[2-(4-{[3-(4-클로로페닐)프로프-2-인-1-일]옥시}-3-메톡시페닐)에틸]-N2-(메틸설포닐)발리나미드, 4-옥소-4-[(2-페닐에틸)아미노]부탄산, 부트-3-인-1-일 {6-[({[(Z)-(1-메틸-1H-테트라졸-5-일)-(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메틸]피리딘-2-일}카바메이트.
추가로 예를 들면, 부가 살충제는 다음과 같은 것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제초제일 수 있다: 아세토클로르, 아시플루오르펜, 아시플루오르펜-소듐, 아클로니펜, 알라클로르, 알리도클로르, 알록시딤, 알록시딤-소듐, 아메트린, 아미카바존, 아미도클로르, 아미도설푸론, 아미노시클로피라클로르, 아미노시클로피라클로르-포타슘, 아미노시클로피라클로르-메틸, 아미노피랄리드, 아미트롤, 암모늄설파메이트, 아닐로포스, 아술람, 아트라진, 아자페니딘, 아짐설푸론, 베플루부타미드, 베나졸린, 베나졸린-에틸, 벤플루랄린, 벤푸레세이트, 벤설푸론, 벤설푸론-메틸, 벤설리드, 벤타존, 벤조비시클론, 벤조페냅, 비시클로피론, 비페녹스, 빌라나포스, 빌라나포스-소듐, 비스피리박, 비스피리박-소듐, 브로마실, 브로모부티드, 브로모페녹심, 브로목시닐, 브로목시닐-부티레이트, -포타슘, -헵타노에이트 및 -옥타노에이트, 부속시논, 부타클로르, 부타페나실, 부타미포스, 부테나클로르, 부트랄린, 부트록시딤, 부틸레이트, 카펜스트롤, 카베타미드, 카펜트라존, 카펜트라존-에틸, 클로람벤, 클로르브로무론, 클로르페낙, 클로르페낙-소듐, 클로르펜프로프, 클로르플루레놀, 클로르플루레놀-메틸, 클로리다존, 클로리무론, 클로리무론-에틸, 클로로프탈림, 클로로톨루론, 클로르탈-디메틸, 클로르설푸론, 시니돈, 시니돈-에틸, 신메틸린, 시노설푸론, 클레토딤, 클로디나폽, 클로디나폽-프로파길, 클로마존, 클로메프로프, 클로피랄리드, 클로란설람, 클로란설람-메틸, 쿠밀루론, 시아나미드, 시아나진, 시클로에이트, 시클로설파무론, 시클록시딤, 시할로폽, 시할로폽-부틸, 사이프라진, 2,4-D, 2,4-D-부토틸, -부틸, -디메틸암모늄, -디올라민, -에틸, 2-에틸헥실, 다조멧, -이소부틸, -이소옥틸, -이소프로필암모늄, -포타슘, -트리이소프로파놀암모늄 및 -트롤라민, 2,4-DB, 2,4-DB-부틸, -디메틸암모늄, 이소옥틸, -포타슘 및 -소듐, 다이무론(다임론), 달라폰, n-데카놀, 데스메디팜, 데토실-피라졸레이트(DTP), 디캄바, 디클로베닐, 디클로르프로프, 디클로르프로프-P, 디클로폽, 디클로폽-메틸, 디클로폽-P-메틸, 디클로설람, 디펜조?, 디플루페니칸, 디플루펜조피르, 디플루펜조피르-소듐, 디메푸론, 디메피퍼레이트, 디메타클로르, 디메타메트린, 디메테나미드, 디메테나미드-P, 디메트라설푸론, 디니트라민, 디노터브, 디페나미드, 디?, 디?-디브로미드, 디티오피르, 디우론, DNOC, 엔도탈, EPTC, 에스프로카브, 에탈플루랄린, 에타멧설푸론, 에타멧설푸론-메틸, 에티오진, 에토푸메세이트, 에톡시펜, 에톡시펜-에틸, 에톡시설푸론, 에토벤자니드, F-5231, 즉 N-{2-클로로-4-플루오로-5-[4-(3-플루오로프로필)-5-옥소-4,5-디하이드로-1H-테트라졸-1-일]페닐}에탄설포나미드, F-7967, 즉 3-[7-클로로-5-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1H-벤지미다졸-4-일]-1-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2,4(1H,3H)-디온, 페녹사프로프, 페녹사프로프-P, 페녹사프로프-에틸, 페녹사프로프-P-에틸, 페녹사설폰, 펜트라자미드, 플람프로프, 플람프로프-M-이소프로필, 플람프로프-M-메틸, 플라자설푸론, 플로라설람, 플루아지폽, 플루아지폽-P, 플루아지폽-부틸, 플루아지폽-P-부틸, 플루카바존, 플루카바존-소듐, 플루세토설푸론, 플루클로랄린, 플루페나셋(티아플루아미드), 플루펜피르, 플루펜피르-에틸, 플루멧설람, 플루미클로락, 플루미클로락-펜틸, 플루미옥사진, 플루오메투론, 플루레놀, 플루레놀-부틸, -디메틸암모늄 및 -메틸, 플루오로글리코펜, 플루오로글리코펜-에틸, 플루프로파네이트, 플루피르설푸론, 플루피르설푸론-메틸-소듐, 플루리돈, 플루로클로리돈, 플루록시피르, 플루록시피르-멥틸, 플루르타몬, 플루티아셋, 플루티아셋-메틸, 플루티아미드, 포메사펜, 포메사펜-소듐, 포람설푸론, 포사민, 글루포시네이트,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 글루포시네이트-P-소듐, 글루포시네이트-P-암모늄, 글루포시네이트-P-소듐, 글리포세이트, 글리포세이트-암모늄, -이소프로필암모늄, -디암모늄, -디메틸암모늄, -포타슘, -소듐 및 -트리메슘, H-9201, 즉 O-(2,4-디메틸-6-니트로페닐) O-에틸 이소프로필포스포라미도티오에이트, 할로사펜, 할로설푸론, 할로설푸론-메틸, 할록시폽, 할록시폽-P, 할록시폽-에톡시에틸, 할록시폽-P-에톡시에틸, 할록시폽-메틸, 할록시폽-P-메틸, 헥사지논, HW-02, 즉 아세트산 1-(디메톡시포스포릴)-에틸-(2,4-디클로로페녹시), 이마자메타벤즈, 이마자메타벤즈-메틸, 이마자목스, 이마자목스-암모늄, 이마자픽, 이마자픽-암모늄, 이마자피르, 이마자피르-이소프로필암모늄, 이마자퀸, 이마자퀸-암모늄, 이마제타피르, 이마제타피르-임모늄, 이마조설푸론, 인다노판, 인다지플람, 요도설푸론, 요도설푸론-메틸-소듐, 이옥시닐, 이옥시닐-옥타노에이트, -포타슘 및 -소듐, 입펜카바존, 이소프로투론, 이소우론, 이속사벤, 이속사플루톨, 카부틸레이트, KUH-043, 즉 3-({[5-(디플루오로메틸)-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4-일]메틸}설포닐)-5,5-디메틸-4,5-디하이드로-1,2-옥사졸, 케토스피라독스, 락토펜, 케나실, 키누론, MCPA, MCPA-부토틸, -디메틸암모늄, -2-에틸헥실, -이소프로필암모늄, -포타슘 및 -소듐, MCPB, MCPB-메틸, -에틸 및 -소듐, 메코프로프, 메코프로프-소듐 및 -부토틸, 메코프로프-P, 메코프로프-P-부토틸, 디메틸암모늄, -2-에틸헥실 및 -포타슘, 메페나셋, 메플루이디드, 메소설푸론, 메소설푸론-메틸, 메소트리온, 메타벤즈티아주론, 메탐, 메타미폽, 메타미트론, 메타자클로르, 메타조설푸론, 메타벤즈티아주론, 메티오피르설푸론, 메티오졸린, 메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메토브로무론, 메톨라클로르, S-메톨라클로르, 메토설람, 메톡수론, 메트리부진, 멧설푸론, 멧설푸론-메틸, 몰리냇, 모놀리누론, 모노설푸론, 모노설푸론-에스테르, MT-128, 즉 6-클로로-N-[(2E)-3-클로로프로프-2-엔-1-일]-5-메틸-N-페닐피리다진-3-아민, MT-5950, 즉 N-(3-클로로-4-이소프로필페닐)-2-메틸펜탄 아미드, NGGC-011, 나프로파미드, NC-310, 즉 [5-(벤질옥시)-1-메틸-1H-피라졸-4-일](2,4-디클로로페닐)메타논, 네부론, 니코설푸론, 노나논산(펠라르곤산), 노르플루라존, 올레산(지방산), 오르벤카브, 오르토설파무론, 오리잘린, 옥사디아르길, 옥사디아존, 옥사설푸론, 옥사지클로메폰, 옥시플루오르펜, 파라?, 이염화 파라?, 페불레이트, 펜디메탈린, 페녹스설람, 펜타클로르페놀, 펜톡사존, 페톡사미드, 석유계 유분, 펜메디팜, 피클로람, 피콜리나펜, 피녹사덴, 피페로포스, 프리틸라클로르, 프리미설푸론, 프리미설푸론-메틸, 프로디아민, 프리플루랄린, 프로폭시딤, 프로메톤, 프로메트린, 프로파클로르, 프로파닐, 프로파퀴자폽, 프로파진, 프로팜, 프로피소클로르, 프로폭시카바존, 프로폭시카바존-소듐, 프로피리설푸론, 프로피자미드, 프로설포카브, 프로설푸론, 피라클로닐, 피라플루펜, 피라플루펜-에틸, 피라설포톨, 피라졸리네이트(피라졸레이트), 피라조설푸론, 피라조설푸론-에틸, 피라족시펜, 피리밤벤즈, 피리밤벤즈-이소프로필, 피리밤벤즈-프로필, 피리벤족심, 피리부티카브, 피리다폴, 피리데이트, 피리프탈리드, 피리미노박, 피리미노박-메틸, 피리미설판, 피리티오박, 피리티오박-소듐, 피록사설폰, 피록스설람, 퀸클로락, 퀸메락, 퀴노클라민, 퀴잘로폽, 퀴잘로폽-에틸, 퀴잘로폽-P, 퀴잘로폽-P-에틸, 퀴잘로폽-P-테푸릴, 림설푸론, 사플루페나실, 세톡시딤, 시두론, 시마진, 시메트린, 설코트리온, 설펜트라존, 설포메투론, 설포메투론-메틸, 설포설푸론, SW-065, SYN-523, SYP-249, 즉 1-에톡시-3-메틸-1-옥소부트-3-엔-2-일 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벤조에이트, SYP-300, 즉 1-[7-플루오로-3-옥소-4-(프로프-2-인-1-일)-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3-프로필-2-티옥소이미다졸리딘-4,5-디온, 2,3,6-TBA, TCA (트리클로로아세트산), TCA-소듐, 테부티우론, 테푸릴트리온, 템보트리온, 테프랄록시딤, 터바실, 터부카브, 터부메톤, 터부틸라진, 터부트린, 테닐클로르, 티아조피르, 티엔카바존, 티엔카바존-메틸, 티펜설푸론, 티펜설푸론-메틸, 티오벤카브, 토프라메존, 트랄콕시딤, 트리아파몬, 트리-알레이트, 트리아설푸론, 트리아지플람, 트리베누론, 트리베누론-메틸, 트리클로피르, 트리에타진, 트리플록시설푸론, 트리플록시설푸론-소듐, 트리플루랄린, 트리플루설푸론, 트리플루설푸론-메틸, 트리토설푸론, 황산 우레아, 버놀레이트, ZJ-0862, 즉 3,4-디클로로-N-{2-[(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옥시]벤질}아닐린; 또는 지시벤졸라, 아시벤졸라-S-메틸, 5-아미노레불린산, 안시미돌, 6-벤질아미노퓨린, 브라시놀리드, 카테킨, 염화 클로르메?, 클로프로프, 시클라닐리드, 3-(시클로프로프-1-에닐) 프로피온산, 다미노지드, 다조멧, n-데카놀, 디케굴락, 디케굴락-소듐, 엔도탈, 엔도탈-디포타슘, -디소듐, 및 모노(N,N-디메틸알킬암모늄), 에테폰, 플루메트랄린, 플루레놀, 플루레놀-부틸, 플루르프리미돌, 포르클로르페누론, 지베렐린산, 이나벤피드, 인돌-3-아세트산(IAA), 4-인돌-3-일부티르산, 이소프로티올란, 프로베나졸, 자스몬산, 말레산 히드라지드, 염화 메피?, 1-메틸시클로프로펜, 자스몬산 메틸, 2-(1-나프틸)아세타미드, 1-나프틸아세트산, 2-나프틸옥시아세트산, 니트로페놀레이트-혼합물, 파클로부트라졸, N-(2-페닐에틸)-베타-알라닌, N-페닐프탈라민산, 프로헥사디온, 프로헥사디온-칼슘, 프로하이드로자스몬, 살리실산, 스트리골락톤, 테크나젠, 티디아주론, 트리아콘타놀, 트리넥사팍, 트리넥사팍-에틸, 티시토데프, 유니코나졸, 유니코나졸-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 생장 조절 인자; 또는 이것들의 농업적으로 바람직한 염 또는 기타 다른 형태의 것.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특정 장소에 적용된 제초제 조성물은 글리포세이트 및/또는 글루포시네이트를 추가로 포함한다.
그러므로, 제초제 조성물 중 제초제의 성질에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식재 전, 발아 전 및/또는 발아 후, 특정 장소에 적용될 수 있다. “식재 전”이란, 농작물이 어떤 장소에 식재되기 전에 제초제 조성물이 적용되는 것을 의미하고, “발아 전”이란, 상기 장소의 지표면에 농작 식물의 종자가 발아되어 싹이 나오기 전에 제초제 조성물이 적용되는 것을 의미하며, “발아 후”란, 상기 장소의 지표면 위에 농작 식물이 출현한 후에 제초제 조성물이 적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개별 사용 패턴은 제초제 조성물을 단독으로 또는 임의로 조합하여 특정 장소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 패턴은 식재 전 적용 → 발아 후 적용을 포함할 수 있었다.
본원에 개시된 제초제 조성물(들)에 의해 다수의 잡초 종들이 방제(즉 사멸 또는 손상)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방법은 어떤 식물 종이 생장하는 것이 요망되지 않는 경우(즉 어떤 식물 종이 잡초 취급을 받는 경우), 상기 식물 종을 방제하는데 유용하다. 이와 같은 식물 종으로서는 농작 식물 및 통상적으로 잡초로 간주되는 종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종들(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포함한다: 뚝새풀(알로페큐러스 미오수로이데스(Alopecurus myosuroides)), 가을 강아지풀(세타리아 파베리(Setaria faberi)), 바랭이(디지타리아 생귀날리스(Digitaria sanguinalis)), 수리남 잔디(브라키아리아 디큠벤스(Brachiaria decumbens)), 야생 귀리(아베나파투아(Avenafatua)), 도꼬마리(잔티움 펜실바니큠(Xanthium pensylvanicum)), 흰명아주(케노포디움 앨범(Chenopodium album)), 나팔꽃(이포모에아 종(Ipomoea spp .) 및 다수의 기타 다른 이포모에아 종, 예를 들어 헤데라세아(hederacea), 그란디폴리아(grandifolia)), 명아주(아마란투스 종(Amaranthus spp.)), 어저귀(아부틸리온 테오프라스티(Abutilion theophrasti)), 돌피(에키노클로라 크러스-갈리(Echinochloa crus - galli)), 우산 잔디(시노돈 닥틸론(Cynodon dactylon)), 다우니 브로메(downy brome)(브로머스 텍토럼(Bromus tectorum)), 갈퀴 덩굴(엘루시네 인디카(Eleusine indica)), 강아지풀(세타리아 비리디스(Setaria viridis)), 이탈리안 라이그래스(롤리움 멀티플로럼(Lolium multiflorum)), 존슨 그래스(소르검 할레펜스(Sorghum halepense)), 레서 카나리그래스(lesser canarygrass)(팔라리스 마이너(Phalaris minor)), 윈드그래스(아페라 스피카-벤티(Apera spica - venti)), 울리 컵그래스(에리클로아 빌로사(Erichloa villosa)), 기름골(사이퍼러스 에스큘렌투스(Cyperus esculentus)), 별꽃(스텔라리아 미디아(Stellaria media)), 돼지풀, 단풍잎 돼지풀(암브로시아 트리피다(Ambrosia trifida))(암브로시아 아르테미시폴리아(Ambrosia artemisiifolia)), 코치아 스코파리아(Kochia scoparia), 쥐꼬리망초(코니자 카나덴시스(Conyza canadensis)), 단단한 호밀풀(롤리움 리지듐(Lolium rigidum)), 갈퀴 덩굴(엘루시네 인디카(Eleucine indica)), 털망초(hairy fleabane)(코니자 보나리엔시스(Conyza bonariensis)), 녹각 질경이(플랜타고 란세올라타(Plantago lanceolata)), 열대 자주달개비(코멜리나 벤갈렌시스(Commelina benghalensis)), 서양메꽃(콘볼불루스 아르벤시스(Convolvulus arvensis)), 향부자(사이퍼러스 로툰더스(Cyperus rotundus)), 적포도 나무(브루니치아 오바타(Brunnichia ovata)), 대마 세스바니아(세스바니아 엑살타타(Sesbania exaltata)), 결명자(센나 오브투시폴리아(Senna obtusifolia)), 텍사스 블루위드(헬리안투스 실리아리스(Helianthus ciliaris)), 미국개기장(파니큠 디코토미플로럼(Panicum dichotomiflorum)), 텍사스 파니큠(파니큠 텍사넘(Panicum texanum)), 넒은 잎 담배 시그널그래스(브라키아리아(Brachiaria)) 및 악마의 발톱(Devil’s claws)(프로보시데아 루이지아니카(Proboscidea louisianica)).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잡초는 제초제 저항성 라이그래스, 예를 들어 글리포세이트 저항성 라이그래스, 파라? 저항성 라이그래스, ACCase-억제제 저항성 라이그래스 및 비 선택적 제초제 저항성 라이그래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임의의 장소에서 자라고 있는 지원 SYHT0H2 농작 식물을 방제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여기서, 상기 방법은 대두에 효과적이며, HPPD 억제 이외의 작용 방식을 가지는 제초제 하나 이상을 특정 장소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SYHT0H2 농작 식물이 자라고 있는 임의의 장소에서 지원 이식 유전자 계통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여기서, 상기 지원 계통은 하나 이상의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을 포함하되, HPPD 억제제에 대한 저항성은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HPPD 억제제를 포함하는 제초제 조성물을 방제량만큼 특정 장소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제초제 혼합물을 임의의 장소에 적용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여기서, 상기 제초제 혼합물은 HPPD 억제제와 부가 화학 물질(해충(잡초, 질병, 곤충, 선충)을 구제함에 있어서 SYHT0H2에 의해 내성이 생기지 않을 수 있는 화학 물질)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여기서, SYHT0H2 계통이 존재하면 잔류하는 HPPD 활성에 대해 보호해주므로, 식재 전 또는 발아 전에 상기 혼합물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양태에서, 통상의 전소성 제초제(burndown herbicide), 예를 들어 파라?은 HPPD 억제제와 혼합되어 발아 전 또는 식재 전 전소 적용 방식으로(burndown type application) 특정 장소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SYHT0H2 식물은 수확량을 개선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대두 계통 SYHT0H2는, 발아 전이나 영양 생식 단계 초기에 메소트리온이 분무될 때, 상기 메소트리온이 분무되지 않은 계통에 비하여 수확량이 증가한다. 예를 들어 발아 전 또는 영양 생식 단계에 메소트리온이 2배 적용된 대두 계통 SYHT0H2는 상기 메소트리온이 분무되지 않은 계통보다 수확량이 훨씬 많을 수 있다. 그러므로, 계통 SYHT0H2를 포함하는 대두 식물에 생장 촉진량만큼의 HPPD 억제제를 적용하여, 잡초 압력(weed pressure)에 영향받지 않고 수확량을 개선함으로써, 식물의 수확량을 개선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HPPD 억제제는 메소트리온 또는 기타 다른 HPPD 억제제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생장 촉진량이란, 식물의 수확량을, HPPD 억제 제초제가 분무되지 않은 SYHT0H2 식물의 수확량에 비하여 약 2배 이상, 예를 들어 약 5배 이상, 약 10배 이상, 약 20배 이상, 약 50배 이상, 약 100배 이상, 또는 그 이상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HPPD 억제 제초제의 양을 의미한다. 생장 촉진량은 또한 식물의 수확량을, HPPD 억제 제초제가 분무되지 않은 SYHT0H2 식물의 수확량에 비하여 약 5% 이상, 예를 들어 약 10% 이상, 약 20% 이상, 약 30% 이상, 약 40% 이상, 약 50% 이상, 약 60% 이상, 약 70% 이상, 약 80% 이상, 약 90% 이상, 약 100% 이상 또는 그 이상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HPPD 억제 제초제의 양을 의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양태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본 발명의 식물 및/또는 관심 지역(예를 들어, 경작 노지 또는 경작 지역) 및/또는 잡초를 단 하나의 제초제 또는 기타 다른 화학 물질, 예를 들어 HPPD 억제제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다수의 제초제 군들을 동시 적용 및/또는 연속 적용에 의해 사용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아베나 HPPD 서열을 함유하는 이종 삽입부는 또한 포스피노트리신 아세틸 트랜스퍼라제(PAT) 서열(글루타민 합성 효소 억제제, 예를 들어 글루포시네이트(대안적으로는 포스피노트리신이라고도 칭함)에 대한 저항성 부여)도 포함한다. 포스피노트리신(PTC, 2-아미노-4-메틸포스피노부티르산)은 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비리도크로모제네스(Streptomyces viridochromogenes) Tu 494(DSM 40736, DSM 4112)에 의해 생산되는 항생제 포스피노트리실알라닐-알라닌의 구조 단위이다. 상기 항생제는 그람-양성 박테리아 및 그람-음성 박테리아뿐만 아니라 진균인 보트리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에 대해 활성을 갖는다. PTC는 또한 효과적인 제초제로서도 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계통 SYHT0H2는 글루타민 합성 효소 억제제, 예를 들어 글루포시네이트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대표적인 글루포시네이트 제초제는 등록 상표명 바스타(BASTA)®, 리버티(LIBERTY)®, 렐리(RELY)®, 챌린지(CHALLENGE)®, 이그나이트(IGNITE)® 및 피날레(FINALE)® 로서 시판되고 있다.
상이한 화학 물질, 예를 들어 제초제는 상이한 “잔류” 효과를 발휘하는데, 즉 화학 물질 또는 제초제 처리가 이 물질이 처리된 지역에서 자라고 있는 식물에 대해 계속해서 영향을 미치는 시간의 길이는 상이하다. 이와 같은 효과는, 처리된 지역(예를 들어, 경작 노지 또는 경작 지역)의 앞으로 요망되는 목적에 따라서 요망될 수 있거나 요망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윤작 계획은 각각의 농작물에 수행될 처리로 인한 잔류 효과와, 추후 동일 지역에서 자라날 농작물에 대한 상기 처리의 효과를 기준으로 하여 선택될 수 있다. 당업자는 제초제의 잔류 효과를 평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기술에 익숙한데; 예를 들어, 글리포세이트는 일반적으로 토양 잔류 활성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반면에, HPPD를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는 제초제는, 자체의 잔류 활성 수준이 다양하다. 다양한 제초제에 대한 잔류 활성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다양한 환경 요인, 예를 들어 토양 수분 함량, 온도, pH 및 토양 조성(질감 및 유기 물질)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YHT0H2 대두 식물은, 특히 제초제의 잔류 활성에 대한 내성이 개선되는 것이 유리한, 농작물 생육 방법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서, SYHT0H2 대두 식물은, 예를 들어 이전 식재시 옥수수 농작물에 비시클로피론 및 토프라메존이 사용되었던 경우, 이전 농작물에 사용되었던 HPPD 제초제의 잔류 효과로 인한 손상 위험이 감소하도록 식재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서, HPPD 억제제 화학 물질이 개별적으로 적용되었을 때, SYHT0H2 대두 식물의 HPPD 억제제 화학 물질에 대한 내성은 개선되었으며, 또한 제초제 혼합물에 대한 내성도 추가로 개선되었다. 뿐만 아니라, 본원에 개시된 유전자 이식 식물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제초제 처리시 함께 농작물에 사용되는 부가 화학 물질, 예를 들어 독성 완화제, 애쥬반트, 예를 들어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 이온성 계면활성제, 황산 암모늄 및 농작물 오일 농축물 등의 처리에 대한 내성이 개선된다.
“독성 완화제”란 용어는, 제초제 제제에 첨가되거나, 농작물 종자 또는 토양에 적용될 때, 임의의 농작물에 대한 제초제의 식물 독성 효과를 없애거나 경감시키는 물질을 말한다. 당업자는, 독성 완화제 선택은 부분적으로 관심 농작 식물 및 상승적 제초제 조성물(synergistic herbicide composition) 중에 포함된 특정 제초제 또는 제초제 혼합물에 따라서 달라진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시적인 독성 완화제로서, 본원에 개시된 제초제 조성물에 사용되기 적당한 것으로서는 미국 특허 제4,808,208호; 제5,502,025호; 제6,124,240호 및 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2006/0148647호; 제2006/0030485호; 제2005/0233904호; 제2005/0049145호; 제2004/0224849호; 제2004/0224848호; 제2004/0224844호; 제2004/0157737호; 제2004/0018940호; 제2003/0171220호; 제2003/0130120호; 제2003/0078167호(상기 문헌들의 개시 내용들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어 있음)에 개시된 것들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법은 농작물의 안전성을 증가시키는 제초제 독성 완화제, 예를 들어 베녹사코, BCS (1-브로모-4-[(클로로메틸)설포닐]벤젠), 클로퀸토셋-멕실, 시오메트리닐, 디클로르미드, 2-(디클로로메틸)-2-메틸-1,3-디옥솔란(MG 191), 펜클로라졸-에틸, 펜클로림, 플루라졸, 플룩소페님, 푸릴라졸, 이속사디펜-에틸, 메펜피르-디에틸, 메톡시페논 ((4-메톡시-3-메틸페닐)(3-메틸페닐)-메타논), 나프탈산 무수물 (1,8-나프탈산 무수물), 사이프로설파미드, N-(2-메톡시벤조일)-4-[(메틸아미노카보닐)아미노]벤젠설폰아미드 및 옥사베트리닐과 제초제를 함께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해독 유효량만큼의 제초제 독성 완화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과 동시에 적용될 수 있거나, 아니면 종자나 토양에 처리하는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HPPD 억제 제초제, 하나 이상의 기타 다른 제초제, 그리고 해독 유효량만큼의 제초제 독성 완화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제초제 독성 완화제를 사용하는 종자 처리법은, 농작 식물에 대한 해독 작용을 물리적으로 제한하므로, 잡초를 선택적으로 방제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유용한 양태는 노지에서 잡초가 생장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방제하는 방법으로서, 농작물로 생장될 종자를 해독 유효량만큼의 독성 완화제로 처리하는 단계와, 노지를 유효량만큼의 제초제로 처리하여 잡초를 방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다. 독성 완화제의 해독 유효량은 당업자에 의하여 간단한 실험을 통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독성 완화제의 해독 유효량은, 목표로 하는 식물이 독성 완화제로 처리됨으로 인해 식물에 대한 제초제의 효과가, 독성 완화제로 처리되지 않은 식물에 대한 제초제의 효과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양이며; 일반적으로 독성 완화제의 해독 유효량은 독성 완화제 처리된 식물이 손상 또는 심각한 손상을 입는 것을 막아주는 양이다. 당업자는 독성 완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적당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작물에 투여되어야 하는 독성 완화제의 투여량을 결정할 수도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SYHT0H2 계통을 포함하는 종자가 처리된다. 이하 화학 물질들이 실행 가능한 종자 처리 수단의 예로서 제공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알라니카브, 알디카브, 벤디오카브, 벤푸라카브, 부토카복심, 부톡시카복심, 카바릴, 카보푸란, 카보설판, 에티오펜카브, 페노부카브, 포르메타네이트, 푸라티오카브, 이소프로카브, 메티오카브, 메토밀, 메톨카브, 옥사밀, 피리미카브, 프로폭서, 티오디카브, 티오파녹스, 트리아자메이트, 트리메타카브, XMC, 자일릴카브; 아세페이트, 아자메티포스, 아진포스-에틸, 아진포스-메틸, 카두사포스, 클로레톡시포스, 클로르펜빈포스, 클로르메포스, 클로르피리포스, 클로르피리포스-메틸, 쿠마포스, 시아노포스, 데메톤-S-메틸, 디아지논, 디클로르보스/DDVP, 디크로토포스, 디메토에이트, 디메틸빈포스, 디설포톤, EPN, 에티온, 에토프로포스, 팜푸르, 페나미포스, 페니트로티온, 펜티온, 포스티아제이트, 헵테노포스, 이미시아포스, 이소펜포스, 이소프로필 O-(메톡시아미노티오-포스포릴) 살리실레이트, 이속사티온, 말라티온, 메카밤, 메타미도포스, 메티다티온, 메빈포스, 모노크로토포스, 날레드, 오메토에이트, 옥시데메톤-메틸, 파라티온, 파라티온-메틸, 펜토에이트, 포레이트, 포살론, 포스멧, 포스파미돈, 폭심, 피리미포스-메틸, 프로페노포스, 프로페탐포스, 프로티오포스, 피라클로포스, 피리다펜티온, 퀴날포스, 설포텝, 테부피림포스, 테메포스, 터부포스, 테트라클로르빈포스, 티오메톤, 트리아조포스, 트리클로르폰, 바미도티온, 시클로디엔 유기 염소제, 클로르데인, 엔도설판; 에티프롤, 피프로닐, 아크리나트린, 알레트린, d-시스-트랜스 알레트린, d-트랜스 알레트린, 비펜트린, 바이오알레트린, 바이오알레트린 S-시클로펜테닐 이성체, 바이오레스메트린, 시클로프로트린, 시플루트린, 베타-시플루트린, 시할로트린, 람다-시할로트린, 감마-시할로트린, 사이퍼메트린, 알파-사이퍼메트린, 베타-사이퍼메트린, 세타-사이퍼메트린, 제타-사이퍼메트린, 사이페노트린 [(1R)-트랜스 이성체], 델타메트린, 엠펜트린 [(EZ)-(1R) 이성체], 에스펜발러레이트, 에토펜프록스, 펜프로파트린, 펜발러레이트, 플루시트리네이트, 플루메트린, 토우-플루발리네이트, 할펜프록스, 이미프로트린, 카데트린, 퍼메트린, 페노트린 [(1R)-트랜스 이성체], 프랄레트린, 피레트린(피레트럼), 레스메트린, 실라플루오펜, 테플루트린, 테트라메트린, 테트라메트린 [(1R) 이성체], 트랄로메트린, 트랜스플루트린; DDT; 메톡시클로르, 아세타미프리드, 클로티아니딘, 디노테푸란, 이미다클로프리드, 니텐피람, 티아클로프리드, 티아메톡삼; 니코틴, 스피네토람, 스피노사드, 아바멕틴, 에마멕틴 벤조에이트, 레피멕틴, 밀베멕틴, 하이드로프렌, 키노프렌, 메토프렌; 페녹시카브; 피리프록시펜, 클로로피크린; 플루오르화 설푸릴; 보락스; 타르타르 에메틱, 피메트로진; 플로니카미드, 클로펜테진, 헥시티아족스, 디플로비다진, 에톡사졸,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아종 이스라엘렌시스, 바실러스 스파에리쿠스,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아종 아이자와이,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아종 커스타키,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아종 테네브리오니스, BT 농작물 단백질: Cry1Ab, Cry1Ac, Cry1Fa, Cry2Ab, mCry3A, Cry3Ab, Cry3Bb, Cry34/35Ab1, 디아펜티우론, 아조시클로틴, 시헥사틴, 산화 펜부타틴; 프로파기트, 테트라디폰, 클로르페나피르, DNOC, 설플루라미드, 벤설탭, 카르탭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티오시클람, 티오설탭-소듐, 비스트리플루론, 클로르플루아주론, 디플루벤주론, 플루시클록수론, 플루페녹수론, 헥사플루무론, 루페누론, 노발루론, 노비플루무론, 테플루벤주론, 트리플루무론, 부프로페진, 사이로마진, 크로마페노지드, 할로페노지드, 메톡시페노지드, 테부페노지드, 아미트라즈, 하이드라메틸논; 아세퀴노실; 플루아크리피림, 페나자퀸, 펜피록시메이트, 피리미디펜, 피리다벤, 테부펜피라드, 톨펜피라드, 로테논(데리스), 인독사카브; 메타플루미존, 스피로디클로펜, 스피로메시펜, 스피로테트라맷, 인화 알루미늄, 인화 칼슘, 포스핀, 인화 아연, 시에노피라펜, 클로란트라닐리프롤, 플루벤디아미드, 아미도플루멧, 아자디라크틴, 벤클로티아즈, 벤족시메이트, 비페나제이트, 브로모프로필레이트, 키노메티오냇, 크라이올라이트, 시안트라닐리프롤(시아지피르), 사이플루메토펜, 디코폴, 디플로비다진, 플루엔설폰, 플루페네림, 플루피프롤, 플루오피람, 푸페노지드, 이미다클로티즈, 이프로디온, 메퍼플루트린, 피리달릴, 피리플루퀴나존, 테트라메틸플루트린, 요도메탄; 바실러스 퍼머스 기반 생성물(예를 들어, 균주 CNCM I-1582, 예를 들어 VOTiVO™, BioNem(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3-브로모-N-{2-브로모-4-클로로-6-[(1-시클로프로필에틸)카바모일]페닐}-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카복사미드(WO2005/077934호에 개시됨), 4-{[(6-브로모피리딘-3-일)메틸](2-플루오로에틸)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4호에 개시됨), 4-{[(6-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2,2-디플루오로에틸)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4호에 개시됨), 4-{[(2-클로로-1,3-티아졸-5-일)메틸](2-플루오로에틸)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4호에 개시됨), 4-{[(6-클로르피리딘-3-일)메틸](2-플루오로에틸)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4호에 개시됨), 플루피라디푸론, 4-{[(6-클로르-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메틸)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3호에 개시됨), 4-{[(5,6-디클로로피리딘-3-일)메틸](2-플루오로에틸)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6호에 개시됨), 4-{[(6-클로로-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3호에 개시됨), 4-{[(6-클로로피리딘-3-일)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푸란-2(5H)-온(EP-A-0 539 588호에 개시됨), 4-{[(6-클로르피리딘-3-일)-메틸](메틸)아미노}푸란-2(5H)-온(EP-A-0 539 588호에 개시됨), {[1-(6-클로로피리딘-3-일)에틸](메틸)옥시도-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WO2007/149134호에 개시됨) 및 이의 부분 입체 이성체들 {[(1R)-1-(6-클로로피리딘-3-일)에틸](메틸)옥시도-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A) 및 {[(1S)-1-(6-클로로피리딘-3-일)에틸](메틸)옥시도-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B)(WO2007/149134호에 개시됨) 그리고 설폭사플로르 및 이의 부분 입체 이성체 [(R)-메틸(옥시도){(1R)-1-[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에틸}-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A1) 및 [(S)-메틸(옥시도){(1S)-1-[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에틸}-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A2)(부분 입체 이성체 A 군으로서도 칭하여짐)(WO2010/074747호 및 WO2010/074751호에 개시됨), [(R)-메틸(옥시도){(1S)-1-[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에틸}-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B1) 및 [(S)-메틸(옥시도){(1R)-1-[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에틸}-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B2)(부분 입체 이성체 B 군으로서 칭하여짐)(WO2010/074747호 및 WO2010/074751호에 개시됨), 그리고 11-(4-클로로-2,6-디메틸페닐)-12-하이드록시-1,4-디옥사-9-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덱-11-엔-10-온(WO2006/089633호에 개시됨), 3-(4'-플루오로-2,4-디메틸비페닐-3-일)-4-하이드록시-8-옥사-1-아자스피로[4.5]덱-3-엔-2-온(WO2008/067911호에 개시됨), 1-{2-플루오로-4-메틸-5-[(2,2,2-트리플루오르에틸)설피닐]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1H-1,2,4-트리아졸-5-아민(WO2006/043635호에 개시됨), [(3S,4aR,12R,12aS,12bS)-3-[(시클로프로필카보닐)옥시]-6,12-디하이드록시-4,12b-디메틸-11-옥소-9-(피리딘-3-일)-1,3,4,4a,5,6,6a,12,12a,12b-데카하이드로-2H,11H-벤조[f]-피라노[4,3-b]크로멘-4-일]메틸 시클로-프로판-카복실레이트(WO2008/066153호에 개시됨), 2-시아노-3-(디플루오로메톡시)-N,N-디메틸벤젠설폰아미드(WO2006/056433호에 개시됨), 2-시아노-3-(디플루오로메톡시)-N-메틸벤젠설폰아미드(WO2006/100288호에 개시됨), 2-시아노-3-(디플루오로메톡시)-N-에틸벤젠설폰아미드(WO2005/035486에 개시됨), 4-(디플루오로메톡시)-N-에틸-N-메틸-1,2-벤조티아졸-3-아민 1,1-디옥사이드(WO2007/057407호에 개시됨), N-[1-(2,3-디메틸페닐)-2-(3,5-디메틸페닐)에틸]-4,5-디하이드로-1,3-티아졸-2-아민(WO2008/104503호에 개시됨), {1'-[(2E)-3-(4-클로로페닐)프로프-2-엔-1-일]-5-플루오로스피로[인돌-3,4'-피페리딘]-1(2H)-일}(2-클로로-피리딘-4-일)-메타논(WO2003/106457호에 개시됨), 3-(2,5-디메틸페닐)-4-하이드록시-8-메톡시-1,8-디아자스피로[4.5]덱-3-엔-2-온(WO2009/049851호에 개시됨), 3-(2,5-디메틸페닐)-8-메톡시-2-옥소-1,8-디아자-스피로[4.5]덱-3-엔-4-일 에틸 카보네이트(WO2009/049851호에 개시됨), 4-(부트-2-인-1-일옥시)-6-(3,5-디메틸피페리딘-1-일)-5-플루오로피리미딘(WO2004/099160호에 개시됨), (2,2,3,3,4,4,5,5-옥타플루오로펜틸)(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말로노니트릴(WO2005/063094호에 개시됨), (2,2,3,3,4,4,5,5-옥타플루오로펜틸)(3,3,4,4,4-펜타플루오로부틸)말로노니트릴(WO2005/063094호에 개시됨), 8-[2-(시클로프로필메톡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3-[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다진-3-일]-3-아자비시클로[3.2.1]옥탄(WO2007/040280호에 개시됨), 플로메토퀸, PF1364(CAS 등록 번호 1204776-60-2)(JP2010/018586호에 개시됨), 5-[5-(3,5-디클로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2-(1H-1,2,4-트리아졸-1-일)벤조니트릴(WO2007/075459호에 개시됨), 5-[5-(2-클로로피리딘-4-일)-5-(트리플루오로메틸)-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2-(1H-1,2,4-트리아졸-1-일)벤조니트릴(WO2007/075459호에 개시됨), 4-[5-(3,5-디클로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2-메틸-N-{2-옥소-2-[(2,2,2-트리플루오로에틸)아미노]-에틸}벤자미드(WO2005/085216호에 개시됨), 4-{[(6-클로로피리딘-3-일)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1,3-옥사졸-2(5H)-온, 4-{[(6-클로로피리딘-3-일)메틸](2,2-디플루오로에틸)-아미노}-1,3-옥사졸-2(5H)-온, 4-{[(6-클로로피리딘-3-일)메틸](에틸)-아미노}-1,3-옥사졸-2(5H)-온, 4-{[(6-클로로피리딘-3-일)메틸](메틸)아미노}-1,3-옥사졸-2(5H)-온(모두 WO2010/005692호에 개시됨), NNI-0711(WO2002/096882호에 개시됨), 1-아세틸-N-[4-(1,1,1,3,3,3-헥사플루오로-2-메톡시프로판-2-일)-3-이소부틸페닐]-N-이소부티릴-3,5-디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WO2002/096882호에 개시됨), 메틸 2-[2-({[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일]카보닐}아미노)-5-클로로-3-메틸벤조일]-2-메틸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WO2005/085216호에 개시됨), 메틸 2-[2-({[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일]카보닐}아미노)-5-시아노-3-메틸벤조일]-2-에틸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WO2005/085216호에 개시됨), 메틸2-[2-({[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일]카보닐}-아미노)-5-시아노-3-메틸벤조일]-2-메틸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WO2005/085216호에 개시됨), 메틸 2-[3,5-디브로모-2-({[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일]카보닐}아미노)-벤조일]-1,2-디에틸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WO2005/085216호에 개시됨), 메틸 2-[3,5-디브로모-2-({[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일]카보닐}-아미노)-벤조일]-2-에틸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WO2005/085216호에 개시됨), (5RS,7RS;5RS,7SR)-1-(6-클로로-3-피리딜메틸)-1,2,3,5,6,7-헥사하이드로-7-메틸-8-니트로-5-프로폭시이미다조[1,2-a]피리딘(WO2007/101369호에 개시됨), N-[2-(5-아미노-1,3,4-티아디아졸-2-일)-4-클로로-6-메틸페닐]-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카복사미드(CN102057925호에 개시됨) 및 메틸 2-[3,5-디브로모-2-({[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일]카보닐}-아미노)-벤조일]-2-에틸-1-메틸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WO2011/049233호에 개시됨); 알디모프, 아자코나졸, 비터타놀, 브로무코나졸, 사이프로코나졸, 디클로부트라졸, 디페노코나졸, 디니코나졸, 디니코나졸-M, 도데모프, 아세트산 도데모프, 에폭시코나졸, 에타코나졸, 페나리몰, 펜부코나졸, 펜헥사미드, 펜프로피딘, 펜프로피모프, 플루퀸코나졸, 플루르프리미돌, 플루실라졸, 플루트리아폴, 퍼코나졸, 퍼코나졸-시스, 헥사코나졸, 이마잘릴, 황산 이마잘릴, 이미벤코나졸, 입코나졸, 멧코나졸, 마이클로부타닐, 나프티핀, 누아리몰, 옥스포코나졸, 파클로부트라졸, 페푸라조에이트, 펜코나졸, 피페랄린, 프로클로라즈, 프로피코나졸, 프로티오코나졸, 피리부티카브, 피리페녹스, 퀸코나졸, 시메코나졸, 스피록사민, 테부코나졸, 터비나핀, 테트라코나졸, 트리아디메폰, 트리아디메놀, 트리데모프, 트리플루미졸, 트리포린, 트리티코나졸, 유니코나졸, 유니코나졸-p, 비니코나졸, 보리코나졸, 1-(4-클로로페닐)-2-(1H-1,2,4-트리아졸-1-일)시클로헵타놀, 메틸 1-(2,2-디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1-일)-1H-이미다졸-5-카복실레이트, N'-{5-(디플루오로메틸)-2-메틸-4-[3-(트리메틸실릴)-프로폭시]-페닐}-N-에틸-N-메틸이미도포름아미드, N-에틸-N-메틸-N'-{2-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4-[3-(트리메틸실릴)프로폭시]페닐}이미도포름아미드, O-[1-(4-메톡시페녹시)-3,3-디메틸부탄-2-일] 1H-이미다졸-1-카보티오에이트, 빅사펜, 보스칼리드, 카복신, 디플루메토림, 펜푸람, 플루오피람, 플루톨라닐, 플룩사피록사드, 푸라멧피르, 푸르메시클록스, 이소피라잠(신-에피머 라세미체 1RS,4SR,9RS 및 안티-에피머 라세미체 1RS,4SR,9SR의 혼합물), 이소피라잠(안티-에피머 라세미체 1RS,4SR,9SR), 이소피라잠(안티-에피머 거울 이성체 1R,4S,9S), 이소피라잠(안티-에피머 거울 이성체 1S,4R,9R), 이소피라잠(신-에피머 라세미체 1RS,4SR,9RS), 이소피라잠(신-에피머 거울 이성체 1R,4S,9R), 이소피라잠(신-에피머 거울 이성체 1S,4R,9S), 메프로닐, 옥시카복신, 펜플루펜, 펜티오피라드, 세닥산, 티플루자미드, 1-메틸-N-[2-(1,1,2,2-테트라플루오로에톡시)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1-메틸-N-[2-(1,1,2,2-테트라플루오로에톡시)페닐]-1H-피라졸-4-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N-[4-플루오로-2-(1,1,2,3,3,3-헥사플루오로프로폭시)페닐]-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N-[1-(2,4-디클로로페닐)-1-메톡시프로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5,8-디플루오로-N-[2-(2-플루오로-4-{[4-(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옥시}페닐)에틸]퀴나졸린-4-아민, N-[9-(디클로로메틸렌)-1,2,3,4-테트라하이드로-1,4-메타노나프탈렌-5-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N-[(1S,4R)-9-(디클로로메틸렌)-1,2,3,4-테트라하이드로-1,4-메타노나프탈렌-5-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N-[(1R,4S)-9-(디클로로메틸렌)-1,2,3,4-테트라하이드로-1,4-메타노나프탈렌-5-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아메톡트라딘, 아미설브롬, 아족시스트로빈, 시아조파미드, 쿠메톡시스트로빈, 쿠목시스트로빈, 디목시스트로빈, 에네스트로부린, 파목사돈, 페나미돈, 페녹시스트로빈, 플루옥사스트로빈, 크레속심-메틸, 메토미노스트로빈, 오리사스트로빈, 피콕시스트로빈, 피라클로스트로빈, 피라메토스트로빈, 피라옥시스트로빈, 피리벤카브, 트리클로피리카브, 트리플록시스트로빈, (2E)-2-(2-{[6-(3-클로로-2-메틸페녹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옥시}페닐)-2-(메톡시이미노)-N-메틸에타나미드, (2E)-2-(메톡시이미노)-N-메틸-2-(2-{[({(1E)-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리덴}아미노)옥시]메틸}페닐)에타나미드, (2E)-2-(메톡시이미노)-N-메틸-2-{2-[(E)-({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톡시}이미노)메틸]페닐}에타나미드, (2E)-2-{2-[({[(1E)-1-(3-{[(E)-1-플루오로-2-페닐에테닐]옥시}페닐)에틸리덴]아미노}옥시)메틸]페닐}-2-(메톡시이미노)-N-메틸에타나미드, (2E)-2-{2-[({[(2E,3E)-4-(2,6-디클로로페닐)부트-3-엔-2-일리덴]아미노}옥시)메틸]페닐}-2-(메톡시이미노)-N-메틸에타나미드, 2-클로로-N-(1,1,3-트리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4-일)피리딘-3-카복사미드, 5-메톡시-2-메틸-4-(2-{[({(1E)-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리덴}아미노)옥시]메틸}페닐)-2,4-디하이드로-3H-1,2,4-트리아졸-3-온, 메틸 (2E)-2-{2-[({시클로프로필[(4-메톡시페닐)이미노]메틸}설파닐)메틸]페닐}-3-메톡시프로프-2-에노에이트, N-(3-에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3-(포르밀아미노)-2-하이드록시벤자미드, 2-{2-[(2,5-디메틸페녹시)메틸]페닐}-2-메톡시-N-메틸아세타미드, (2R)-2-{2-[(2,5-디메틸페녹시)메틸]페닐}-2-메톡시-N-메틸아세타미드, 베노밀, 카벤다짐, 클로르페나졸, 디에토펜카브, 에타복삼, 플루오피콜리드, 푸베리다졸, 펜시쿠론, 티아벤다졸, 티오파네이트-메틸, 티오파네이트, 족사미드, 5-클로로-7-(4-메틸피페리딘-1-일)-6-(2,4,6-트리플루오로페닐)[1,2,4]트리아졸로[1,5-a]피리미딘, 3-클로로-5-(6-클로로피리딘-3-일)-6-메틸-4-(2,4,6-트리플루오로페닐)피리다진, 보르도 혼합물, 캡타폴, 캡탄, 클로로탈로닐, 수산화 구리, 나프텐산 구리, 산화 구리, 산염화 구리, 황산 구리(2+), 디클로플루아니드, 디티아논, 도딘, 도딘 유리 염기, 퍼밤, 플루오로폴펫, 폴펫, 구아자틴, 아세트산 구아자틴, 이미녹타딘, 알베실산 이미녹타딘, 삼아세트산 이미녹타딘, 만코퍼, 만코젭, 마넵, 메티람, 메티람 아연, 옥신-구리, 프로파미딘, 프로피넵, 황, 황 제조물, 예를 들어 다황화 칼슘, 티람, 톨릴플루아니드, 지넵, 지람, 아시벤졸라-S-메틸, 이소티아닐, 프로베나졸, 티아디닐, 안도프림, 블라스티시딘-S, 사이프로디닐, 카수가마이신, 카수가마이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수화물, 메파니피림, 피리메타닐, 3-(5-플루오로-3,3,4,4-테트라메틸-3,4-디하이드로이소퀴놀린-1-일)퀴놀린, 아세트산 펜틴, 염화 펜틴, 수산화 펜틴, 실티오팜, 벤티아발리카브, 디메토모프, 플루모프, 이프로발리카브, 만디프로파미드, 폴리옥신, 폴리옥소림, 발리다마이신 A, 발리페날레이트, 비페닐, 클로로넵, 디클로란, 에디펜포스, 에트리디아졸, 요도카브, 이프로벤포스, 이소프로티올란, 프로파모카브, 프로파모카브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프로티오카브, 피라조포스, 퀸토젠, 테크나젠 톨클로포스-메틸, 카프로파미드, 디클로시멧, 페녹사닐, 프탈리드, 피로퀼론, 트리시클라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3-메틸-1-[(4-메틸벤조일)아미노]부탄-2-일}카바메이트, 베나락실, 베나락실-M (키랄락실), 부피리메이트, 클로질라콘, 디메티리몰, 에티리몰, 푸랄락실, 하이멕사졸, 메탈락실, 메탈락실-M (메페녹삼), 오푸레이스, 옥사딕실, 옥솔린산, 클로졸리네이트, 펜피클로닐, 플루디옥소닐, 이프로디온, 프로시미돈, 퀴녹시펜, 빈클로졸릴, 비나파크릴, 디노캡, 페림존, 플루아지남, 멥틸디노캡, 벤티아졸, 베톡사진, 캡시마이신, 카르본, 키노메티오냇, 피리오페논(클라자페논), 쿠프라넵, 시플루페나미드, 시목사닐, 사이프로설파미드, 다조멧, 데바카브, 디클로로펜, 디클로메진, 디펜조?, 메틸황산 디펜조?, 디페닐아민, 에코메이트, 펜피라자민, 플루메토버, 플루오로이미드, 플루설파미드, 플루티아닐, 포세틸-알루미늄, 포세틸-칼슘, 포세틸-소듐, 헥사클로로벤젠, 이루마마이신, 메타설포카브, 메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메트라페논, 밀디오마이신, 나타마이신, 니켈 디메틸디티오카바메이트, 니트로탈-이소프로필, 옥틸리논, 옥사모카브, 옥시펜티인, 펜타클로로페놀 및 염, 페노트린, 인산 및 이의 염, 프로파모카브-포세틸레이트, 프로파노신-소듐, 프로퀴나지드, 피리모프, (2E)-3-(4-tert-부틸페닐)-3-(2-클로로피리딘-4-일)-1-(모폴린-4-일)프로프-2-엔-1-온, (2Z)-3-(4-tert-부틸페닐)-3-(2-클로로피리딘-4-일)-1-(모폴린-4-일)프로프-2-엔-1-온, 피롤니트린, 테부플로퀸, 테클로프탈람, 톨니파니드, 트리아족시드, 트리클라미드, 자릴라미드, (3S,6S,7R,8R)-8-벤질-3-[({3-[(이소부티릴옥시)메톡시]-4-메톡시피리딘-2-일}카보닐)아미노]-6-메틸-4,9-디옥소-1,5-디옥소난-7-일 2-메틸프로파노에이트, 1-(4-{4-[(5R)-5-(2,6-디플루오로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에타논, 1-(4-{4-[(5S)-5-(2,6-디플루오로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에타논, 1-(4-{4-[5-(2,6-디플루오로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에타논, 1-(4-메톡시페녹시)-3,3-디메틸부탄-2-일 1H-이미다졸-1-카복실레이트, 2,3,5,6-테트라클로로-4-(메틸설포닐)피리딘, 2,3-디부틸-6-클로로티에노[2,3-d]피리미딘-4(3H)-온, 2,6-디메틸-1H,5H-[1,4]디티이노[2,3-c:5,6-c']디피롤-1,3,5,7(2H,6H)-테트론, 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1-(4-{4-[(5R)-5-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에타논, 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1-(4-{4-[(5S)-5-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에타논, 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1-{4-[4-(5-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에타논, 2-부톡시-6-요도-3-프로필-4H-크로멘-4-온, 2-클로로-5-[2-클로로-1-(2,6-디플루오로-4-메톡시페닐)-4-메틸-1H-이미다졸-5-일]피리딘, 2-페닐페놀 및 염, 3-(4,4,5-트리플루오로-3,3-디메틸-3,4-디하이드로이소퀴놀린-1-일)퀴놀린, 3,4,5-트리클로로피리딘-2,6-디카보니트릴, 3-[5-(4-클로로페닐)-2,3-디메틸-1,2-옥사졸리딘-3-일]피리딘, 3-클로로-5-(4-클로로페닐)-4-(2,6-디플루오로페닐)-6-메틸피리다진, 4-(4-클로로페닐)-5-(2,6-디플루오로-페닐)-3,6-디메틸피리다진, 5-아미노-1,3,4-티아디아졸-2-티올, 5-클로로-N'-페닐-N'-(프로프-2-인-1-일)티오펜-2-설포노히드라지드, 5-플루오로-2-[(4-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4-아민, 5-플루오로-2-[(4-메틸벤질)옥시]피리미딘-4-아민, 5-메틸-6-옥틸[1,2,4]트리아졸로[1,5-a]피리미딘-7-아민, 에틸 (2Z)-3-아미노-2-시아노-3-페닐프로프-2-에노에이트, N'-(4-{[3-(4-클로로벤질)-1,2,4-티아디아졸-5-일]옥시}-2,5-디메틸페닐)-N-에틸-N-메틸이미도포름아미드, N-(4-클로로벤질)-3-[3-메톡시-4-(프로프-2-인-1-일옥시)페닐]프로파나미드, N-[(4-클로로페닐)(시아노)메틸]-3-[3-메톡시-4-(프로프-2-인-1-일옥시)페닐]프로파나미드, N-[(5-브로모-3-클로로피리딘-2-일)메틸]-2,4-디클로로피리딘-3-카복사미드, N-[1-(5-브로모-3-클로로피리딘-2-일)에틸]-2,4-디클로로-피리딘-3-카복사미드, N-[1-(5-브로모-3-클로로피리딘-2-일)에틸]-2-플루오로-4-요도-피리딘-3-카복사미드, N-{(E)-[(시클로프로필메톡시)이미노][6-(디플루오로메톡시)-2,3-디플루오로페닐]-메틸}-2-페닐-아세타미드, N-{(Z)-[(시클로프로필메톡시)이미노][6-(디플루오로메톡시)-2,3-디플루오로-페닐]-메틸}-2-페닐아세타미드, N'-{4-[(3-tert-부틸-4-시아노-1,2-티아졸-5-일)옥시]-2-클로로-5-메틸페닐}-N-에틸-N-메틸이미도포름아미드, N-메틸-2-(1-{[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N-(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일)-1,3-티아졸-4-카복사미드, N-메틸-2-(1-{[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N-[(1R)-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일]-1,3-티아졸-4-카복사미드, N-메틸-2-(1-{[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N-[(1S)-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일]-1,3-티아졸-4-카복사미드, 펜틸 {6-[({[(1-메틸-1H-테트라졸-5-일)(페닐)-메틸리덴]아미노}옥시)메틸]피리딘-2-일}카바메이트, 페나진-1-카복실산, 퀴놀린-8-올, 황산 퀴놀린-8-올(2:1), tert-부틸 {6-[({[(1-메틸-1H-테트라졸-5-일)(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메틸]피리딘-2-일}카바메이트, 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N-[2'-(트리플루오로메틸)비페닐-2-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N-(4'-클로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N-(2',4'-디클로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1-메틸-N-[4'-(트리플루오로메틸)비페닐-2-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N-(2',5'-디플루오로비페닐-2-일)-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1-메틸-N-[4'-(프로프-1-인-1-일)비페닐-2-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5-플루오로-1,3-디메틸-N-[4'-(프로프-1-인-1-일)비페닐-2-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2-클로로-N-[4'-(프로프-1-인-1-일)비페닐-2-일]피리딘-3-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N-[4'-(3,3-디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N-[4'-(3,3-디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5-플루오로-1,3-디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N-(4'-에티닐비페닐-2-일)-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N-(4'-에티닐비페닐-2-일)-5-플루오로-1,3-디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2-클로로-N-(4'-에티닐비페닐-2-일)피리딘-3-카복사미드, 2-클로로-N-[4'-(3,3-디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피리딘-3-카복사미드, 4-(디플루오로메틸)-2-메틸-N-[4'-(트리플루오로메틸)비페닐-2-일]-1,3-티아졸-5-카복사미드, 5-플루오로-N-[4'-(3-하이드록시-3-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1,3-디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2-클로로-N-[4'-(3-하이드록시-3-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피리딘-3-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N-[4'-(3-메톡시-3-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5-플루오로-N-[4'-(3-메톡시-3-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1,3-디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2-클로로-N-[4'-(3-메톡시-3-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피리딘-3-카복사미드, (5-브로모-2-메톡시-4-메틸피리딘-3-일)(2,3,4-트리메톡시-6-메틸페닐)메타논, N-[2-(4-{[3-(4-클로로페닐)프로프-2-인-1-일]옥시}-3-메톡시페닐)에틸]-N2-(메틸설포닐)발리나미드, 4-옥소-4-[(2-페닐에틸)아미노]부탄산, 부트-3-인-1-일 {6-[({[(Z)-(1-메틸-1H-테트라졸-5-일)-(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메틸]피리딘-2-일}카바메이트.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SYHT0H2 식물에 적용된 제조체 또는 제초제 혼합물은 독성 완화제로서 작용한다. 예를 들어 제1 제초제 또는 제초제 혼합물은 해독 유효량만큼 식물에 적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방법은 경작 지역에 농작물 종자 또는 식물(식물 내에서 작동하는 프로모터에 작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HPPD 억제 제초제에 대한 내성을 부여할 수 있는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제1 폴리뉴클레오티드와; 식물 내에서 작동하는 프로모터에 작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초제 내성을 부여하는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제2 폴리뉴클레오티드 포함)을 식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최소한 유효량만큼의 제1 제초제 및 제2 제초제를 포함하는 제초제 혼합물은 농작물, 농작물의 일부, 잡초 또는 농작물 경작 지역에 적용된다. 제초제 혼합물의 유효량은 잡초를 방제하고; 제1 제초제에 노출되지 않았던 대조군 농작물과 비교하였을 때, 유효량만큼의 제1 제초제가 단독으로 적용될 때에는 농작물에 의해 내성이 생기지 않으며; 제2 제초제의 유효량은 독성 완화 효과를 나타내기에 충분한 양으로서, 이때, 상기 독성 완화 효과는, 제1 제초제만이 단독으로 적용될 때의 농작물 내성과 비교하였을 때, 제1 제초제 및 제2 제초제가 적용될 때의 농작물 내성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서, 독성 완화 제초제 혼합물은 제1 HPPD 억제제와 제2 HPPD 억제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독성 완화 효과는 HPPD 억제제 및 하나 이상의 부가 제초제의 혼합물을 유효량만큼 적용함으로써 발휘된다. 이와 같은 혼합물은 농작물의 내성을 증가시킨다(즉 제초제로 인한 농작물의 손상을 줄인다). 이와 같은 방법은 처리후 또는 처리전 화학 물질들의 적용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아베나 사티바 HPPD 유전자 이외의 이종 핵산의 표적화된 삽입 위치(SYHT0H2 내 특정 위치와 동일한 위치)가 제공된다. 실시예 5 및 6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에서, 계통 SYHT0H2를 포함하는 대두 식물의 종자와 이 대두 식물의 다양한 부분들은 사람이 먹는 식품, 가축의 사료 그리고 산업용 원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대두 종자는 분쇄될 수 있거나, 또는 대두 종자 성분은 추출되어 식품 또는 사료 제품의 성분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대두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식물성 오일 및 단백질 식량의 공급원이다. 대두로부터 추출된 오일은 요리용 오일, 마가린 및 샐러드 드레싱으로 사용된다. 대두 오일은 포화, 단일 불포화 및 다불포화 지방산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오일은 통상적으로, 팔미트 지방산을 11%, 스테아르 지방산을 4%, 올레 지방산을 25%, 리놀레 지방산을 50%, 그리고 리놀렌 지방산을 9%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조성을 가진다("Economic Implications of Modified Soybean Traits Summary Report", Iowa Soybean Promotion Board and American Soybean Association Special Report 92S, May 1990). 산화 안정성과 영양 구성을 개선하기 위한 지방산 조성의 변화는 여전히 연구 대상이다. 추가의 가공 과정을 거친 대두 오일의 산업상 용도로서는, 페인트, 플라스틱, 섬유, 세제, 화장품, 윤활제 및 바이오디젤 연료의 원료를 포함한다. 대두 오일은 분할(split), 에스테르 교환, 가황, 에폭시화, 중합, 에톡실화 또는 절단될 수 있다. 기능 및 오일 화학적 성질이 개선된 대두 오일 유도체를 디자인 및 생산하는 것은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분야이다. 통상의 트리글리세리드 혼합물은 일반적으로 순수한 지방산으로 분할 및 분리되고, 이후에는 석유 유래 알코올 또는 산, 질소, 설포네이트 또는 염소와 혼합되거나, 아니면 지방과 오일로부터 유래하는 지방 알코올과 혼합된다.
대두는 또한 동물과 사람의 식품 및 사료 공급원으로서도 사용된다. 대두는 동물, 예를 들어 가금류, 돼지 및 소 사료의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널리 사용된다. 전 대두를 가공할 때 섬유상 깍지는 제거되고 오일이 추출된다. 잔류하는 대두 식량은 탄수화물과 약 50%의 단백질을 포함하는 혼합물이다.
사람이 먹도록 계획된 대두 식량은, 육류 증량제 또는 애완 동물 전문 사료용으로서 사용될 단백질 농축물로서 가공된 대두 분말로 제조된다. 대두로부터 유래하는 식용 단백질 성분이 제조되면, 육류 및 낙농 제품에 있어 저렴하고 건강에도 더 좋은 동물 단백질 대체 성분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제품의 생산 공정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진행될 수 있다: (i) 콩이 오로지 9%의 수분만을 함유하게 될 때까지 상기 콩을 82℃ 이하로 가열; (ii) 24시간 내지 72시간 동안 통 안에 콩을 넣음; (iii) 콩을 분쇄하여 껍질을 콩으로부터 분리함(이때, 잔류물은 원래 콩 부피의 1/4 내지 1/8에 해당하게 됨); (iv) 공기 흡출에 의해 상기 껍질을 통에서 제거함; (v) 20분 내지 30분 동안 71℃에서 상기 잔류물을 가열함; (vi) 상기 잔류물을 작은 조각(두께 = 1.2㎜ 내지 1.6㎜)으로 압착함; (vii) 기계를 사용하여 압력과 증기를 가함으로써 “콜릿(collet)”을 만드는 처리를 함; (viii) 헥산으로 세정하여 지방을 희석함; (ix) 20분 동안 100℃에서 가열하여 지방을 증발시킴(이때, 회수된 지방은 대두 오일로 생산됨); (x) 추가로 가열하여 헥산을 제거함; (xi) 콜릿(2㎜ 내지 4㎜ 부분)에 압력을 가하여 대두 가루를 생산하거나, 상기 콜릿에 압력을 가하여 대두 사료 케이크를 만듦.
본 발명의 양태들은 이하 실시예에 추가로 기술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오로지 예시를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상기 논의된 사항 및 실시예들로부터, 당업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징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양태들에 대한 변화 및 변형은 다양한 용도 및 조건에 맞추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원에 나타내고 기술된 사항들 이외에, 본 발명의 양태들과 관련된 다양한 변형들은 전술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변형들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청구항들에 속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조합 및 적용 방법
이하 표들은, (i) 공지의 이식 유전자 계통들(표 2 참조), (ii) SYHT0H2로 유전자 조작될 수 있었던 형질들의 잠재적 조합, 또는 (iii) 신규의 이식 유전자 계통에 유전자 조작된 후 SYHT0H2와 교잡된 형질들(표 3 참조)을 포함하는, SYHT0H2와 교잡될 수 있는 조합 가능 육종 스택(breeding stack)과, 이와 같은 스택에 사용될 수 있는 제초제 조성물(표 2 및 3 참조)의 예들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조합 중 임의의 것에 있어서, 항상 (i) HPPD 억제제[예를 들어 25g/ha 내지 500g/ha 설코트리온, 25g/ha 내지 250g/ha 메소트리온, 25g/ha 내지 250g/ha 비시클로피론, 25g/ha 내지 250g/ha 이속사플루톨, 25g/ha 내지 250g/ha 템보트리온, 5g/ha 내지 250g/ha 토프라메존 및 5g/ha 내지 250g/ha 피라설파톨]만이 사용되는 것, (ii) 탱크 믹스의 형태로 조합하여 사용되는 것, 및/또는 (iii) 후속 적용의 형태로서 적용되어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 의미에서, 이하 표에 나타낸 “+”는 지정된 제초제들이 조합되어 사용될 때, 이 조합을 이루는 제초제들이, 이것들이 사용된 식물이 존재하는 노지와 동일한 곳에 적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는 믹스 형태로 적용되는 것과 후속적으로 적용되는 것 둘 다를 포함하되, 다만 적용 시간과 적용 순서는 다를 수 있다.
Figure 112013056727195-pct00002
Figure 112013056727195-pct00003
Figure 112013056727195-pct00004
Figure 112013056727195-pct00005
Figure 112013056727195-pct00006
Figure 112013056727195-pct00007
Figure 112013056727195-pct00008
Figure 112013056727195-pct00009
Figure 112013056727195-pct00010
Figure 112013056727195-pct00011
Figure 112013056727195-pct00012
Figure 112013056727195-pct00013
Figure 112013056727195-pct00014
Figure 112013056727195-pct00015
Figure 112013056727195-pct00016
Figure 112013056727195-pct00017
Figure 112013056727195-pct00018
Figure 112013056727195-pct00019
Figure 112013056727195-pct00020
상기 표들은 단지 예로서 제공된 것이다. SYHT0H2와 함께 육종 스택에 포함될 수 있거나 SYHT0H2에 유전자 조작되어 도입될 수 있는 발현 가능 형질로서는, 글리포세이트 저항성(예를 들어, 저항성 식물 또는 박테리아 EPSPS, GOX, GAT), 글루포시네이트 저항성(예를 들어, PAT, BAR), 아세토락테이트 합성 효소(ALS)-억제 제초제 저항성(예를 들어, 이미다졸리논(예를 들어, 이마제타피르), 설포닐우레아, 트리아졸로피리미딘 설폰아닐리드, 피리미디닐티오벤조에이트 및 기타 다른 화학 물질), 브로목시닐 저항성(예를 들어, Bxn), HPPD 효소(예를 들어, 4-하이드록실페닐-피루베이트-디옥시게나제(슈도모나스, 아베나 사티바 유래))의 억제제에 대한 저항성, 피토엔 불포화 효소(PDS)의 억제제에 대한 저항성, 광계 II 억제 제초제(예를 들어, psbA)에 대한 저항성, 광계 I 억제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 프로토포르피리노겐 산화 효소 IX(PPO)-억제 제초제(예를 들어, 포메사펜, 아시플루오르펜-소듐, 옥시플루오르펜, 락토펜, 플루티아셋-메틸, 사플루페나실, 플루미옥사진, 플루미클로락-펜틸, 카펜트라존-에틸, 설펜트라존)에 대한 저항성, 페닐우레아 제초제(예를 들어, CYP76B1)에 대한 저항성, 2,4-D 저항성(예를 들어, 아릴옥시 알카노에이트 디옥시게나제 또는 tfdA, AAD-1, AAD-12 또는 AAD-13), 호모겐티세이트 솔라네실트랜스퍼라제(예를 들어, HST) 디캄바-분해 효소(예를 들어, DMO)를 암호화하는 형질들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타 다른 형질들은 단독으로 또는 다수개가 조합되어, 스택킹될 수 있었고, 그 결과 전술한 제초제 군들 중 임의의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 및/또는 잡초의 변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거나 방지하는 능력이 제공된다.
상기 개별적으로 고찰된 제초제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것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선택적 대두 제초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아세토클로르, 아시플루오르펜, 아시플루오르펜-소듐, 아클로니펜, 알라클로르, 알리도클로르, 알록시딤, 알록시딤-소듐, 아메트린, 아미카바존, 아미도클로르, 아미도설푸론, 아미노시클로피라클로르, 아미노시클로피라클로르-포타슘, 아미노시클로피라클로르-메틸, 아미노피랄리드, 아미트롤, 암모늄설파메이트, 아닐로포스, 아술람, 아트라진, 아자페니딘, 아짐설푸론, 베플루부타미드, 베나졸린, 베나졸린-에틸, 벤플루랄린, 벤푸레세이트, 벤설푸론, 벤설푸론-메틸, 벤설리드, 벤타존, 벤조비시클론, 벤조페냅, 비시클로피론, 비페녹스, 빌라나포스, 빌라나포스-소듐, 비스피리박, 비스피리박-소듐, 브로마실, 브로모부티드, 브로모페녹심, 브로목시닐, 브로목시닐-부티레이트, -포타슘, -헵타노에이트 및 -옥타노에이트, 부속시논, 부타클로르, 부타페나실, 부타미포스, 부테나클로르, 부트랄린, 부트록시딤, 부틸레이트, 카펜스트롤, 카베타미드, 카펜트라존, 카펜트라존-에틸, 클로람벤, 클로르브로무론, 클로르페낙, 클로르페낙-소듐, 클로르펜프로프, 클로르플루레놀, 클로르플루레놀-메틸, 클로리다존, 클로리무론, 클로리무론-에틸, 클로로프탈림, 클로로톨루론, 클로르탈-디메틸, 클로르설푸론, 시니돈, 시니돈-에틸, 신메틸린, 시노설푸론, 클레토딤, 클로디나폽, 클로디나폽-프로파길, 클로마존, 클로메프로프, 클로피랄리드, 클로란설람, 클로란설람-메틸, 쿠밀루론, 시아나미드, 시아나진, 시클로에이트, 시클로설파무론, 시클록시딤, 시할로폽, 시할로폽-부틸, 사이프라진, 2,4-D, 2,4-D-부토틸, -부틸, -디메틸암모늄, -디올라민, -에틸, 2-에틸헥실, 다조멧, -이소부틸, -이소옥틸, -이소프로필암모늄, -포타슘, -트리이소프로파놀암모늄 및 -트롤라민, 2,4-DB, 2,4-DB-부틸, -디메틸암모늄, 이소옥틸, -포타슘 및 -소듐, 다이무론(다임론), 달라폰, n-데카놀, 데스메디팜, 데토실-피라졸레이트(DTP), 디캄바, 디클로베닐, 디클로르프로프, 디클로르프로프-P, 디클로폽, 디클로폽-메틸, 디클로폽-P-메틸, 디클로설람, 디펜조?, 디플루페니칸, 디플루펜조피르, 디플루펜조피르-소듐, 디메푸론, 디메피퍼레이트, 디메타클로르, 디메타메트린, 디메테나미드, 디메테나미드-P, 디메트라설푸론, 디니트라민, 디노터브, 디페나미드, 디?, 디?-디브로미드, 디티오피르, 디우론, DNOC, 엔도탈, EPTC, 에스프로카브, 에탈플루랄린, 에타멧설푸론, 에타멧설푸론-메틸, 에티오진, 에토푸메세이트, 에톡시펜, 에톡시펜-에틸, 에톡시설푸론, 에토벤자니드, F-5231, 즉 N-{2-클로로-4-플루오로-5-[4-(3-플루오로프로필)-5-옥소-4,5-디하이드로-1H-테트라졸-1-일]페닐}에탄설포나미드, F-7967, 즉 3-[7-클로로-5-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1H-벤지미다졸-4-일]-1-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2,4(1H,3H)-디온, 페녹사프로프, 페녹사프로프-P, 페녹사프로프-에틸, 페녹사프로프-P-에틸, 페녹사설폰, 펜트라자미드, 플람프로프, 플람프로프-M-이소프로필, 플람프로프-M-메틸, 플라자설푸론, 플로라설람, 플루아지폽, 플루아지폽-P, 플루아지폽-부틸, 플루아지폽-P-부틸, 플루카바존, 플루카바존-소듐, 플루세토설푸론, 플루클로랄린, 플루페나셋(티아플루아미드), 플루펜피르, 플루펜피르-에틸, 플루멧설람, 플루미클로락, 플루미클로락-펜틸, 플루미옥사진, 플루오메투론, 플루레놀, 플루레놀-부틸, -디메틸암모늄 및 -메틸, 플루오로글리코펜, 플루오로글리코펜-에틸, 플루프로파네이트, 플루피르설푸론, 플루피르설푸론-메틸-소듐, 플루리돈, 플루로클로리돈, 플루록시피르, 플루록시피르-멥틸, 플루르타몬, 플루티아셋, 플루티아셋-메틸, 플루티아미드, 포메사펜, 포메사펜-소듐, 포람설푸론, 포사민, 글루포시네이트,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 글루포시네이트-P-소듐, 글루포시네이트-P-암모늄, 글루포시네이트-P-소듐, 글리포세이트, 글리포세이트-암모늄, -이소프로필암모늄, -디암모늄, -디메틸암모늄, -포타슘, -소듐 및 -트리메슘, H-9201, 즉 O-(2,4-디메틸-6-니트로페닐) O-에틸 이소프로필포스포라미도티오에이트, 할로사펜, 할로설푸론, 할로설푸론-메틸, 할록시폽, 할록시폽-P, 할록시폽-에톡시에틸, 할록시폽-P-에톡시에틸, 할록시폽-메틸, 할록시폽-P-메틸, 헥사지논, HW-02, 즉 아세트산 1-(디메톡시포스포릴)-에틸-(2,4-디클로로페녹시), 이마자메타벤즈, 이마자메타벤즈-메틸, 이마자목스, 이마자목스-암모늄, 이마자픽, 이마자픽-암모늄, 이마자피르, 이마자피르-이소프로필암모늄, 이마자퀸, 이마자퀸-암모늄, 이마제타피르, 이마제타피르-임모늄, 이마조설푸론, 인다노판, 인다지플람, 요도설푸론, 요도설푸론-메틸-소듐, 이옥시닐, 이옥시닐-옥타노에이트, -포타슘 및 -소듐, 입펜카바존, 이소프로투론, 이소우론, 이속사벤, 이속사플루톨, 카부틸레이트, KUH-043, 즉 3-({[5-(디플루오로메틸)-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4-일]메틸}설포닐)-5,5-디메틸-4,5-디하이드로-1,2-옥사졸, 케토스피라독스, 락토펜, 케나실, 키누론, MCPA, MCPA-부토틸, -디메틸암모늄, -2-에틸헥실, -이소프로필암모늄, -포타슘 및 -소듐, MCPB, MCPB-메틸, -에틸 및 -소듐, 메코프로프, 메코프로프-소듐, 및 -부토틸, 메코프로프-P, 메코프로프-P-부토틸, 디메틸암모늄, -2-에틸헥실 및 -포타슘, 메페나셋, 메플루이디드, 메소설푸론, 메소설푸론-메틸, 메소트리온, 메타벤즈티아주론, 메탐, 메타미폽, 메타미트론, 메타자클로르, 메타조설푸론, 메타벤즈티아주론, 메티오피르설푸론, 메티오졸린, 메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메토브로무론, 메톨라클로르, S-메톨라클로르, 메토설람, 메톡수론, 메트리부진, 멧설푸론, 멧설푸론-메틸, 몰리냇, 모놀리누론, 모노설푸론, 모노설푸론-에스테르, MT-128, 즉 6-클로로-N-[(2E)-3-클로로프로프-2-엔-1-일]-5-메틸-N-페닐피리다진-3-아민, MT-5950, 즉 N-(3-클로로-4-이소프로필페닐)-2-메틸펜탄 아미드, NGGC-011, 나프로파미드, NC-310, 즉 [5-(벤질옥시)-1-메틸-1H-피라졸-4-일](2,4-디클로로페닐)메타논, 네부론, 니코설푸론, 노나논산(펠라르곤산), 노르플루라존, 올레산(지방산), 오르벤카브, 오르토설파무론, 오리잘린, 옥사디아르길, 옥사디아존, 옥사설푸론, 옥사지클로메폰, 옥시플루오르펜, 파라?, 이염화 파라?, 페불레이트, 펜디메탈린, 페녹스설람, 펜타클로르페놀, 펜톡사존, 페톡사미드, 석유계 유분, 펜메디팜, 피클로람, 피콜리나펜, 피녹사덴, 피페로포스, 프리틸라클로르, 프리미설푸론, 프리미설푸론-메틸, 프로디아민, 프리플루랄린, 프로폭시딤, 프로메톤, 프로메트린, 프로파클로르, 프로파닐, 프로파퀴자폽, 프로파진, 프로팜, 프로피소클로르, 프로폭시카바존, 프로폭시카바존-소듐, 프로피리설푸론, 프로피자미드, 프로설포카브, 프로설푸론, 피라클로닐, 피라플루펜, 피라플루펜-에틸, 피라설포톨, 피라졸리네이트(피라졸레이트), 피라조설푸론, 피라조설푸론-에틸, 피라족시펜, 피리밤벤즈, 피리밤벤즈-이소프로필, 피리밤벤즈-프로필, 피리벤족심, 피리부티카브, 피리다폴, 피리데이트, 피리프탈리드, 피리미노박, 피리미노박-메틸, 피리미설판, 피리티오박, 피리티오박-소듐, 피록사설폰, 피록스설람, 퀸클로락, 퀸메락, 퀴노클라민, 퀴잘로폽, 퀴잘로폽-에틸, 퀴잘로폽-P, 퀴잘로폽-P-에틸, 퀴잘로폽-P-테푸릴, 림설푸론, 사플루페나실, 세톡시딤, 시두론, 시마진, 시메트린, 설코트리온, 설펜트라존, 설포메투론, 설포메투론-메틸, 설포설푸론, SW-065, SYN-523, SYP-249, 즉 1-에톡시-3-메틸-1-옥소부트-3-엔-2-일 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벤조에이트, SYP-300, 즉 1-[7-플루오로-3-옥소-4-(프로프-2-인-1-일)-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3-프로필-2-티옥소이미다졸리딘-4,5-디온, 2,3,6-TBA, TCA (트리클로로아세트산), TCA-소듐, 테부티우론, 테푸릴트리온, 템보트리온, 테프랄록시딤, 터바실, 터부카브, 터부메톤, 터부틸라진, 터부트린, 테닐클로르, 티아조피르, 티엔카바존, 티엔카바존-메틸, 티펜설푸론, 티펜설푸론-메틸, 티오벤카브, 토프라메존, 트랄콕시딤, 트리아파몬, 트리-알레이트, 트리아설푸론, 트리아지플람, 트리베누론, 트리베누론-메틸, 트리클로피르, 트리에타진, 트리플록시설푸론, 트리플록시설푸론-소듐, 트리플루랄린, 트리플루설푸론, 트리플루설푸론-메틸, 트리토설푸론, 황산 우레아, 버놀레이트, ZJ-0862, 즉 3,4-디클로로-N-{2-[(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옥시]벤질}아닐린; 또는 지시벤졸라, 아시벤졸라-S-메틸, 5-아미노레불린산, 안시미돌, 6-벤질아미노퓨린, 브라시놀리드, 카테킨, 염화 클로르메?, 클로프로프, 시클라닐리드, 3-(시클로프로프-1-에닐) 프로피온산, 다미노지드, 다조멧, n-데카놀, 디케굴락, 디케굴락-소듐, 엔도탈, 엔도탈-디포타슘, -디소듐, 및 모노(N,N-디메틸알킬암모늄), 에테폰, 플루메트랄린, 플루레놀, 플루레놀-부틸, 플루르프리미돌, 포르클로르페누론, 지베렐린산, 이나벤피드, 인돌-3-아세트산(IAA), 4-인돌-3-일부티르산, 이소프로티올란, 프로베나졸, 자스몬산, 말레산 히드라지드, 염화 메피?, 1-메틸시클로프로펜, 자스몬산 메틸, 2-(1-나프틸)아세타미드, 1-나프틸아세트산, 2-나프틸옥시아세트산, 니트로페놀레이트-혼합물, 파클로부트라졸, N-(2-페닐에틸)-베타-알라닌, N-페닐프탈라민산, 프로헥사디온, 프로헥사디온-칼슘, 프로하이드로자스몬, 살리실산, 스트리골락톤, 테크나젠, 티디아주론, 트리아콘타놀, 트리넥사팍, 트리넥사팍-에틸, 티시토데프, 유니코나졸, 유니코나졸-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 생장 조절 인자; 또는 이것들의 농업적으로 바람직한 염 또는 기타 다른 형태의 것. 예를 들어 글리포세이트, 메소트리온 및 S-메톨라클로르의 혼합물은, SYT0H2 외에, 글리포세이트 저항성, 예를 들어 EPSPS(예를 들어, GTS 40-3-2, MON89788, FG72, DP-356043-5)를 추가로 함유하는 육종 스택을 포함하는 대두 식물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개별적으로 고찰된 제초제 조성물은 또한 2개, 3개, 4개, 5개, 6개 또는 7개 이하의 HPPD 억제 제초제를 포함하는, 부가의 HPPD 제초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2가지 HPPD 억제 제초제 조합의 예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포함한다: 메소트리온 + 설코트리온, 메소트리온 + 템보트리온, 메소트리온 + 비시클로피론, 메소트리온 + 토프라메존, 메소트리온 + 이속사플루톨, 메소트리온 + 피라설파톨, 설코트리온 + 템보트리온, 설코트리온 + 비시클로피론, 설코트리온 + 토프라메존, 설코트리온 + 이속사플루톨, 설코트리온 + 피라설파톨, 템보트리온 + 비시클로피론, 템보트리온 + 토프라메존, 템보트리온 + 이속사플루톨, 템보트리온 + 피라설파톨, 비시클로피론 + 토프라메존, 비시클로피론 + 이속사플루톨, 비시클로피론 + 피라설파톨, 토프라메존 + 이속사플루톨, 토프라메존 + 피라설파톨, 이속사플루톨 + 피라설파톨. 3가지 HPPD 억제제 조합의 예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포함한다: 메소트리온 + 설코트리온 + 템보트리온, 메소트리온 + 설코트리온 + 토프라메존, 메소트리온 + 설코트리온 + 비시클로피론, 메소트리온 + 설코트리온 + 이속사플루톨, 메소트리온 + 설코트리온 + 피라설파톨, 메소트리온 + 템보트리온 + 토프라메존, 메소트리온 + 템보트리온 + 비시클로피론, 메소트리온 + 템보트리온 + 이속사플루톨, 메소트리온 + 템보트리온 + 피라설파톨, 메소트리온 + 비시클로피론 + 토프라메존, 메소트리온 + 비시클로피론 + 이속사플루톨, 메소트리온 + 비시클로피론 + 피라설파톨, 메소트리온 + 토프라메존 + 이속사플루톨, 메소트리온 + 토프라메존 + 피라설파톨, 메소트리온 + 이속사플루톨 + 피라설파톨, 설코트리온 + 템보트리온 + 비시클로피론, 설코트리온 + 템보트리온 + 토프라메존, 설코트리온 + 템보트리온 + 이속사플루톨, 설코트리온 + 템보트리온 + 피라설파톨, 설코트리온 + 토프라메존 + 비시클로피론, 설코트리온 + 토프라메존 + 이속사플루톨, 설코트리온 + 토프라메존 + 피라설파톨, 설코트리온 + 비시클로피론 + 이속사플루톨, 설코트리온 + 비시클로피론 + 피라설파톨, 설코트리온 + 이속사플루톨 + 피라설파톨, 템보트리온 + 비시클로피론 + 토프라메존, 템보트리온 + 비시클로피론 + 이속사플루톨, 템보트리온 + 비시클로피론 + 피라설파톨, 템보트리온 + 토프라메존 + 이속사플루톨, 템보트리온 + 토프라메존 + 피라설파톨, 비시클로피론 + 토프라메존 + 이속사플루톨, 비시클로피론 + 토프라메존 + 피라설파톨, 토프라메존 + 이속사플루톨 + 피라설파톨.
실시예
실시예 1. 대두 계통 SYHT0H2 의 제조 및 특성 규명
프로모터, 예를 들어 CaMV 35S 함유 합성 프로모터, FMV 전사 인핸서, 합성 TATA 박스(HPPD 암호화 서열을 발현시킴), 그 다음으로 NOS 유전자 3’ 종결 인자를 포함하는 대두 형질 전환용 2원 벡터를 구성하였다. 아베나 HPPD로부터 유래하는 돌연 변이체 HPPD 유전자를, HPPD 유전자 암호화 영역의 예측 아미노산 서열을 바탕으로 하여 대두 발현용으로서 코돈 최적화하였다. 돌연 변이체 HPPD 효소는 천연 아베나 사티바 HPPD 효소의 109번 내지 111번 위치 내에 하나의 알라닌 잔기가 결실된 것이었다. 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20100197503호를 참조한다. 2원 벡터 15954를 선별 마커 유전자와 함께 돌연 변이체 HPPD 유전자를 발현하는 발현 카세트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였다. 도 1을 참조한다. 상기 벡터를 당업자들에게 널리 공지된 방법들, 예를 들어 중첩 PCR, DNA 합성법, 제한 단편 서브 클로닝 및 결찰을 병행하여 구성하였다.
도 1(벡터 15954)에 사용된 축약어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cAvHPPD-03
시작: 1036 종료: 2355
서열 번호 14의 서열을 암호화하는 Oat HPPD 유전자에 최적화된 대두 코돈
cPAT-03-01
시작: 3178 종료: 3729
PAT 획스트(Hoescht) AO2774 합성 에스.비리도크로모제네스(S. viridochromogenes), 식물 코돈; Q57146 포스피노트리신 아세틸 트랜스퍼라제 단백질과 동일.
cPAT-03-02
시작: 4761 종료: 5312
PAT Q57146 에스.비리도크로모제네스 포스피노트리신 아세틸 트랜스퍼라제 단백질, cPAT-03-01 DNA(단, BamH1, Bgl2 위치가 돌연 변이됨)
cSpec-03
시작: 6045 종료: 6833
스트렙토마이신 아데닐트랜스퍼라제; Tn7(aadA) 유래
cVirG-01
시작: 7133 종료: 7858
아그로박테리움 튜미파시엔스(Agrobacterium tumefaciens) 유래 독성 G 유전자(virGN54D, TTG 개시 코돈 함유). virGN54D는 pAD1289로부터 유래[문헌(Hansen et al. 1994, PROC . NATL . ACAD . SCI . U.S.A 91:7603-7607)에 기술됨]
cRepA-01
시작: 788 종료: 8961
RepA, pVS1 복제 단백질(nt735에서 A → G)
eTMV-02
시작: 965 종료: 1032(상보성)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TMV_오메가 5'UTR 리더 서열; 발현을 증진할 것으로 생각됨).
EMBL: TOTMV6
e35S-05
시작: 608 종료: 900(상보성)
꽃양배추 모자이크 바이러스 35S 인핸서 영역(C → T 및 C → A 염기쌍 변이).
eFMV-03
시작: 408 종료: 601(상보성)
현삼 모자이크 바이러스 인핸서.
bNRB-05
시작: 4 종료: 259 (상보성)
아그로박테리움 튜미파시엔스 노팔린 ti-플라스미드 T-DNA의 우측 경계 영역.
bNRB-01-01
시작: 101 종료: 125 (상보성)
아그로박테리움 튜미파시엔스 노팔린 ti-플라스미드 T-DNA의 우측 경계 반복부.
bNLB-03
시작: 5636 종료: 5765(상보성)
아그로박테리움 튜미파시엔스 노팔린 ti-플라스미드 유래 T-DNA의 좌측 경계 영역.
(Zambryski et al. 1980, Science, 209:1385-1391) EMBL no: J01825.
bNLB-01-01
시작: 5671 종료: 5695(상보성)
아그로박테리움 튜미파시엔스 노팔린 ti-플라스미드 T-DNA의 25bp 좌측 경계 영역.
pr35S-04-01
시작: 2633 종료: 3153
35S 프로모터; 원래부터 맵 상에 한정되어 있는 프로모터(길이: 641bp); 문헌에는 정확히 매치되었음이 확인되어 있지 않음(LF July 2004)
prCMP-06
시작: 4024 종료: 4677
세스트럼 황색 잎 마름 바이러스(Cestrum Yellow leaf curl virus) 프로모터 + 리더 서열. 전장 전사 프로모터는 아님. 염기 쌍 528에서 G가 C로 바뀌어 내부 RsrII 위치가 없어짐.
oVS1-02
시작: 9004 종료: 9408
슈도모나스의 플라스미드 pVS1 유래 복제 기원 및 구획 구분 영역(Itoh et al. 1984, Plasmid 11: 206-220); 유전자 은행 기탁 승인 번호 U10487와 유사함; 아그로박테리움 튜미파시엔스 숙주 내 복제 기원으로 사용됨.
oCOLE-06
시작: 10086 종료: 10892(상보성)
이.콜라이(E. coli) 내에서 활성을 나타내는 ColE1 복제 기원
tNOS-05-01
시작: 2372 종료: 2624(상보성)
NOS 종결 인자: 노팔린 합성 효소 유전자의 3'UTR
tNOS-05-01
시작: 3763 종료: 4015
NOS 종결 인자: 노팔린 합성 효소 유전자의 3'UTR
tNOS-05-01
시작: 5341 종료: 5593
NOS 종결 인자: 노팔린 합성 효소 유전자의 3'UTR.
대두 식물 물질은, 적당히 형질 전환되어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다수의 방법들에 의해 재생되는, 수정 능력을 가지는 식물이 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형태학상으로 정상이면서 생식 능력을 가지는 유전자 이식 대두 식물은 1) 예를 들어 미성숙 떡잎, 배축 또는 기타 다른 적당한 조직으로부터 체세포 배 조직을 생산한 다음, 2) 아그로박테리아를 사용하는 유전자 총 또는 감염에 의해 식물을 형질 전환하고 나서, 3) 식물을 재생시킴으로써 생산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미국 특허 제5,024,944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떡잎 조직을 대두의 미성숙 배로부터 절개하며(이 경우, 임의로는 배축이 제거되기도 함), 이후 호르몬 함유 배지 중에서 배양하여 체세포 배 발생 식물 물질을 생산하였다. 이 물질을, 예를 들어 직접 DNA 방법, DNA가 코팅된 미세 투사 유전자 총 또는 아그로박테리아를 이용하는 감염을 이용하여 형질 전환한 후, 적당한 선별 배지 중에서 배양함으로써 재생시켰는데, 임의로는 선별 제제를 계속 공급해주는 조건 하에서 생식 능력을 가지는 유전자 이식 대두 식물로 재생시켰다. 선별 제제는 항생제, 예를 들어 카나마이신, 하이그로마이신, 또는 제초제, 예를 들어 HPPD 억제제, 포스피노트리신 또는 글리포세이트일 수 있으며, 대안적으로 선별은 가시화될 수 있는 마커 유전자, 예를 들어 GUS의 발현을 바탕으로 행하여질 수 있다. 형질 전환용 표적 조직으로서는 분열 조직, 체세포 배 발생 조직, 및 꽃이나 꽃 형성 조직을 포함한다. 대두 형질 전환법의 다른 예로서는 물리적 DNA 전달 방법, 예를 들어 유전자 총(예를 들어, 문헌[Finer & McMullen, In Vitro Cell Dev . Biol ., 1991, 27P:175-182]; [McCabe et al., Bio/technology, 1998, 6:923-926] 참조), 위스커(whisker)(Khalafalla et al ., African J. of Biotechnology, 2006, 5:1594-1599), 에어로졸 콩 주입법(aerosol bean injection)(미국 특허 제7,001,754호), 또는 아그로박테리아-매개 전달 방법(문헌[Hinchee et al ., Bio / Technology, 1988, 6:915-922]; 미국 특허 제7,002,058호; 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20040034889호 및 제20080229447호; 문헌[Paz et al ., Plant Cell Report, 2006, 25:206-213])을 포함한다.
대두 유전자 이식 식물을, 임의의 실행 가능한 형질 전환 방법을 이용하여 전술한 2원 벡터 15954(돌연 변이 HPPD 유전자 함유)로 생산할 수 있었다. 임의로, 상기 HPPD 유전자는 유전자 이식 조직의 선별 수단과 확인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벡터는, 기술된 바와 같이, 미성숙 종자 표적을 형질 전환하여, 선별 제제로서 HPPD 억제제, 예를 들어 메소트리온을 사용하여 직접 유전자 이식 HPPD 대두 식물을 생산하는데에 사용되었다(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20080229447호 참조). 임의로 HPPD 유전자는, 형질 전환된 조직의 부가적인 선별/확인 수단(예를 들어, 카나마이신, 하이그로마이신, 포스피노트리신, 부타페나실 또는 글리포세이트에 대한 저항성을 제공하는 공지의 유전자들)을 제공하는 기타 다른 서열들과 나란히 정렬되어 폴리뉴클레오티드 내에 존재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상이한 2원 벡터(PAT 또는 EPSPS 선별 마커 유전자 함유)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어, 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20080229447호 참조). 대안적으로 선별 마커 서열은 별도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상에 존재할 수 있었으며, 이 경우 예를 들어 공동 형질 전환 방법 및 공동 선별 방법이 사용되었다. 스코어가 매겨질 수 있는(scorable) 마커 유전자, 예를 들어 GU.S.도 또한 형질 전환된 조직을 확인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었다.
온실에서의 조직 배양을 통해 T0 식물을 생산하였다(이 경우, 식물은 물로 포화된 토양(레디-어쓰(REDI-EARTH)® 플러그 및 묘목 믹스(Sun Gro Horticulture, Bellevue, WA) 또는 파파드 발아 믹스(Fafard Germinating Mix)(1% 과립형 마라톤(MARATHON)®(Olympic Horticultural Products, Co., Mainland, PA)와 혼합됨; 토양 1gal당 5g 내지 10g)에 옮겨심어짐(2”정사각형 화분)). 상기 식물을 함수포(humidity dome)로 덮은 후 컨바이런 챔버(Conviron chamber)(Pembina, ND)에 넣었는데, 이때, 환경 조건은 24℃, 명기; 20℃, 암기; 광주기 = 16시간 내지 23시간 명기 → 1시간 내지 8시간 암기; 상대 습도 80%이었다.
식물이 토양에 정착된 다음 새로이 생장되는 것이 확인되었을 때(약 1주일 내지 2주일 경과시), 식물로부터 샘플을 채취하여, 원하던 이식 유전자가 존재하는지 테스트하였다(HPPD 유전자에 적당한 프로브나 프로모터(예를 들어, prCMP)를 사용하는 택맨® 분석법에 의함). 양성인 식물을 파파드 #3 토양이 담긴 4”정사각형 화분에 옮겨심었다. 시에라(Sierra) 17-6-12 서방형 비료를 권장 비율로 토양에 혼입하였다. 이후, 식물을 다시 표준 온실로 옮겨 여기에 적응시켰다(약 1주일 소요). 이때의 환경 조건은 27℃, 명기; 21℃, 암기; 14시간의 광주기(빛을 보충해줌); 주위 습도이었다. 식물의 순응 기간이 끝난 후(약 1주일), 상기 식물로부터 샘플을 채취하여 삽입된 이식 유전자가 존재하는지 여부와 이 이식 유전자의 복사체 수에 대해 자세히 연구하였다. 유전자 이식 대두 식물이 T1 종자를 생산할 때까지 이 식물을 생육하였다. T1 식물을 생육하고 나서, 택맨® 분석법을 수행한 후, 동형 접합 식물을 생육하여 종자를 생산하였다. 유전자 이식된 종자 및 자손 식물을, 이 식물 자체의 제초제 내성과 분자 특징들을 더욱 자세히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약 90개의 형질 전환체 군집으로부터 유래한 계통 SYHT0H2는 메소트리온 내성 수준이 높았다.
2가지 방법들(람다 라이브러리 생산법 및 게놈워커(GENOMEWALKER)TM(Clontech))을 병행한 결과, 계통 SYHT0H2 삽입 서열 및 측접 서열이 얻어졌다. 생거(Sanger) DNA 서열 결정 방법을 이용하여 계통 SYHT0H2의 서열 결정을 수행하였다. 서열 분석 프로그램인 시퀀처(SEQUENCHER)®(Gene Codes Corporation)를 이용하여 서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두 계통 SYHT0H2로부터 유래하는 게놈 DNA를, 게놈 DNA를 분리하고 제한 효소 BamHI 또는 EcoRI 및 KpnI을 사용하는 제한 분해(제한 효소 공급자(NEB)에 의해 기술된 바와 같이 완수)함으로써 람다 라이브러리를 생산하기 위해서 분리하였다. 게놈 DNA의 부분 분해를 37℃에서 BfuCI(0.15U/㎍ DNA)를 사용함으로써 완료하였다. 효소 첨가후 2분, 4분, 6분, 8분 및 10분 경과시 샘플을 채취하였다. 겔에 로딩하기 위한 샘플들을 모았다. 분해된 샘플을 1% 아가로스 TAE 겔에 로딩한 후, 20V에서 밤새도록 전개시켰다. 분획들을 분리하여, BfuCI; 2kb 내지 4kb, BamHI; 0.7kb 내지 3.5kb 및 EcoRI-KpnI; 3kb 내지 6kb의 제한 효소로 각각 분해하였다. 공급자(Qiagen)에 의해 기술된 바와 같이 키아퀵(QIAQUICK)® 겔 추출 키트를 사용하여 DNA를 겔로부터 회수하였다. 분리된 분획을 BamHI 또는 EcoRI-KpnI을 사용하여 람다 잽 발현 벡터(Lambda Zap Express vector; Stratagene) 컷에 결찰하였다. 200U 리가제를 사용하여 10㎕ 부피당 벡터 1000ng 대 삽입부 100ng의 비율로 결찰을 계획되었다(6℃에서 밤새도록 항온 처리함).
라이브러리를, 공급지(Epicentre)에 의해 기술된 바와 같이, 맥스플라크(Maxplaq)를 사용하여 팩킹하였다. 라이브러리를 XL-1MRA(Stratagene) 세포를 사용하여 적정(titering)하였다. 세포를 NZY 배양물 + 0.2% 말토스 중에서 6시간 동안 생육하였다(37℃). 세포를 4K에서 원심 분리한 다음, SM 완충액(Stratagene) 중에 재현탁하였다. 파지를 SM 완충액 중에 1/100배 희석하였으며, 배양물 중 10㎕를 세포 100㎕와 혼합한 다음, 37℃에서 15분 동안 항온 처리하였는데, 이후 여기에 NZY 탑 아가로스(50℃) 3.5㎖를 첨가하고 나서, 이 혼합물을 거꾸로 뒤집어 혼합한 다음 L-아가 평판 상에 도말한 후, 37℃에서 밤새도록 항온 처리하였다.
라이브러리를 이종 서열이 삽입된 개별 클론에 대해 스크리닝하였다. 상기 라이브러리를 도말하는데 사용된 박테리아 세포는 XL-1MRA(Stratagene으로부터 구입)였다. 상기 XL-1MRA 세포를, NZY 배양물 + 0.2% 말토스 중에서 6시간 동안 생육한 후 사용하였다. 감염된 박테리아 세포를, L-아가를 25×150㎜ 평판(37℃에서 예열) 상에 부어 만든 L-아가 평판상에 도말하였다가 사용하였다. 박테리아 세포를 4K에서 원심 분리한 다음, SM 완충액(Stratagene) 중에 재현탁함으로써 수집하였다. 박테리아 세포 300㎕와 50,000개의 파지를 15㎖ 들이 튜브(Fisher Scientific)에서 혼합한 후, 37℃에서 15분 동안 항온 처리하였다. 여기에 NZY 탑 아가 9㎖를 첨가한 후, 이를 거꾸로 뒤집어 혼합한 다음, 생성된 혼합물을 큰 평판의 표면 상에 도말하여 평활한 표면을 유지시켰다. 라이브러리 1개당 10개의 평판을 구성하여, 라이브러리 1개 당 스크리닝되는 파지가 총 500,000개가 되도록 만들었다. 접종된 평판을 37℃에서 밤새도록 항온 처리하였다. 그 다음 날, 식물을 골라낸 다음 이를 4℃에 1시간 이상 동안 놓아 두었다.
하이본드(Hybond) NX(GE Amersham) 막을 접종된 평판 표면 위에 놓아 두어, 상기 접종된 평판에 생성된 플라크를 상기 막에 옮겼다. 막이 균일하게 젖었을 때, 이 막을 2분 동안 항온 처리하였다. 평판의 방향은 바늘과 인디아 잉크(India ink)로 표시하였다(펀칭 바늘에 잉크를 묻혀 막과 아가의 상이한 지점 3군데에 찍음). 표시된 막을 평판으로부터 분리하고 나서, 이 막을 와트만 종이(0.5M NaOH로 5분 동안 침지(Bio-Rad 방법)) 위 파지가 묻어 있는 쪽에 놓아두었다가, 다시 와트만 종이(2×SSC 중 침지)로 옮긴 다음, 공기 건조하였으며, DNA와 막을 160mJ에서 스트라타링커(Stratalinker)(Stratagene)를 사용하여 가교시켰다.
이종 DNA가 삽입된 람다 파지 클론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준비한 필터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프로빙하였다: 필터를 7% SDS, 250mM 인산 나트륨(pH7.0), 1% BSA 중에 예비 혼성화하였다(62℃, 4시간). 예비 혼성화 용액을 새로 마련한 혼성화 용액으로 대체한 다음, 여기에 방사성 프로브를 첨가하였다.
프라이머 MT_SOY_F2 및 MT_SOY_R3을 사용하는 PCR로써 프로브를 제조하였다(이때, 주형은 pSYN15764이었음):
P_MTSOY_F2
TTTTGTGGTCGTCACTGCGTT
(서열 번호 25)
P_MTSOY_R3
CAGGATATATTGTGGTGTAAACAAATTGACGCTTAGACAA
(서열 번호 26).
반응 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1×증폭 완충액, 200uM dNTP, 50ng 주형, 10pM 프라이머, 1.5U 확장 DNA 중합 효소(Roche)(반응 부피 = 50㎕).
순환 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35회 순환(94℃, 30초 → 55℃, 30초 → 72℃, 2분).
증폭된 단편들을 1% 아가로스-TAE 겔 상에서 분리하였다. 키아퀵 겔 추출 키트(QIAGEN)를 사용하여 DNA를 아가로스로부터 정제하였다. 프로브는 레디프라임(REDIPRIME)TM II 키트(GE Amersham)를 사용하여 방사성 dCT32P로 표지화된 무작위 프라이머였다. GE 애머샴(GE Amersham) G-50 스핀 컬럼을 이용하여 상기 프로브를 단일 통합된 표지로부터 분리하였다. 상기 프로브를 5분 동안 95℃에서 가열한 다음, 여기에 혼성화 완충액을 첨가하였다. 62℃에서 밤새도록 혼성화를 진행시켰다. 필터를, 처음에 2×SSC, 0.5% SDS로 30분 동안 세정한 다음(62℃), 0.2×SSC, 0.2% SDS로 30분 동안 세정하였다(62℃). 필터를 플라스틱 랩으로 포장하고 나서, 이를 코닥 바이오맥스(Kodak Biomax) XAR 필름에 노출시켰다(16시간 내지 24시간, -80℃; 강화 스크린 사용).
양성 스팟을 지름 8㎜의 플러그로 플러깅(plugging)하고 나서, 이를 500㎕ SM 완충액 및 25㎕ 클로로포름의 혼합물 중에 넣은 다음, 6℃에서 밤새도록 용출시켰다. 파지를 SM 완충액 중에서 1/7500으로 희석한 다음, 제2 스크리닝 라운드를 진행하였다. 총 1000pfu(플라크 형성 유닛)를 제2 라운드에서 스크리닝하였다. 제2 라운드 스크리닝에서는 1차 스크리닝에 사용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였다. 이는, 1차 스크리닝에서 확인된 각각의 양성 클론에 대해 수행되었다. 이 과정은 하나의 양성 플라크가 분리될 때까지 반복 수행될 수 있었다.
잽 익스프레스 벡터 키트(Zap Express Vector Kit) 매뉴얼(Stratagene)에 기술된 프로토콜을 수행함으로써 파지를 플라스미드로 전환하였다. 분리된 플라스미드를 대상으로 하여 서열 결정하고 나서, 이 서열을 시퀀처® 프로그램(Gene Codes Corporation)을 사용하여 조립하였다.
대두 계통 SYHT0H2의 삽입된 이종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의 삽입 위치를 또한 전술한 서열 결정 방법 이외에도 BD 게놈워커(BD GENOMEWALKER)TM 유니버설 키트를 사용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게놈워커TM 키트를 사용하였을 경우, SYHT0H2 계통에 대한 좌측 경계 1(LB1) 측접 서열이 회수되었다. 키트 지침서에 개략적으로 기술된 바와 같이, 대두 계통 SYHT0H2로부터 게놈 DNA를 분리하여 분해한 후, 8㎕ DNA(약 10ng/㎕), 1㎕ 10×EcoRV 완충액 및 1㎕ EcoRV를 멸균 미세 원심 분리 튜브 내에서 합한 다음, 이를 밤새도록 37℃에서 항온 처리함으로써 반응을 종료하였다.
제조자의 지침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EcoRV 분해된 DNA를 BD 게놈워커TM 어댑터에 결찰하였다. 대두 계통 SYHT0H2의 이종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이 삽입된 DNA를 증폭시키기 위하여, 15954 형질 전환 벡터 서열의 좌측 경계 영역 서열을 바탕으로 2개의 유전자 특이적 프라이머(GSP1 및 GSP2)를 디자인하였다. GSP2를, GSP1과 프라이머(BD 게놈워커TM 어댑터의 서열을 바탕으로 디자인됨)를 증폭시켜 생산된 PCR 생성물 내에 내포(nesting)시켰다.
Figure 112013056727195-pct00021
제조자의 지침에 따라서, PCR 앰플리콘을 2단계(1차 PCR 및 2차(내포된) PCR로 이루어짐)에 걸쳐 생산하였다. 상기 2차 PCR의 PCR 생산물을 서열 결정하였다.
람다 라이브러리 서열과 게놈워커TM 서열 결정 둘다에 의해 얻어진 서열 정보를 합하여 대두 계통 SYHT0H2의 삽입 위치 서열을 생산하였다. 전체 삽입부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서열 번호 9에 제시하였으며, 게놈 DNA가 측접하고 있는 삽입부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서열 번호 10에 제시하였다. 삽입 및 측접 게놈 DNA의 LB1 및 LB2 접합부를 나타내는 부가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서열 번호 1 내지 서열 번호 6에 제시하였다(3 페이지 표 1 참조).
실시예 2. 계통 특이적 PCR 분석
글리신 맥스 형질 전환체로부터 유래하는 게놈 DNA를, 표 5에 나타낸 프라이머 쌍을 사용하고 표 6에 나타낸 순환 조건을 적용하는 택맨® 분석법의 일부를 이루는 PCR 분석에서 주형으로 사용하였다. 통상의 반응 혼합물은 1× 점프스타트TM, 레디믹스TM, 300㎚ 프라이머 1, 300㎚ 프라이머 2, 100㎚ 프로브 및 약 30ng의 주형 DNA(총 부피 = 10㎕)을 포함하였다. 분석법 A1720에 있어서, 프라이머 P10325는 삽입부 내에 존재하여, T-DNA 삽입부의 LB1을 증폭시키는데 사용되었으며, 프라이머 P12721은 게놈 내 삽입 위치에 존재하였다. 분석법 A1720을 통해서는 길이가 66bp인 PCR 생성물이 생산되었다:
CGGGCGGCCAGCATGGCCGTATCCGCAATGTGTTATTAAGTTGTCTAAACCCTAAACCAATGGCAC
(서열 번호 24)
분석법 A1721에 있어서, 프라이머 P10043은 삽입부 내에 존재하며, T-DNA 삽입부의 LB2를 검출시키는데 사용되었으며, 프라이머 P12723은 게놈 내 삽입 위치에 존재하였다. 분석법 A1721을 통해서는 길이가 70bp인 PCR 생성물이 생산되었다:
GGATGAAGAGATGAGAGAACCATCACAGAATTGACGCTTAGACAACTTAATAACACATTGCGGATACGGC
(서열 번호 25)
Figure 112013056727195-pct00022
Figure 112013056727195-pct00023
대안적으로, 글리신 맥스 형질 전환체로부터 유래하는 게놈 DNA를, 표 7에 나타낸 프라이머 쌍을 사용하고 표 8에 나타낸 순환 조건을 적용하는 겔 기반 분석법에서 주형으로 사용하였다. 통상의 반응 혼합물은 1× 점프스타트TM, 레디믹스TM, 10μM 프라이머 1, 10μM 프라이머 2 및 10ng/㎕ 게놈 주형 DNA 1㎕(총 부피 = 20㎕)를 포함하였다.
Figure 112013056727195-pct00024
Figure 112013056727195-pct00025
실시예 3. 계통 SYHT0H2 의 노지 효능( field efficacy )
계통 SYHT0H2 대두 식물을 대상으로, 미국 내 5군데 지역에서 메소트리온에 대한 효능에 대해 테스트하였다. 이때, 비 유전자 이식 대두 계열인 잭(Jack)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대두 식물인 SYHT0H2 및 잭 둘다를 메소트리온 210g ai/ha로 처리한 다음(V2/V3 단계), 처리후 경과일(DAT) 4일 내지 7일, 13~17 DAT 및 25~33 DAT에 손상을 보이는 잎의 %에 대해 평가하였다. 표 9의 결과들은 대조군 계열의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메소트리온에 대한 SYHT0H2의 효능을 입증하는 것이다.
Figure 112013056727195-pct00026
SYHT0H2 대두 식물을, 미국 내 8군데 지역에서 글루포시네이트에 대한 효능에 대해 테스트하였다. 이 때, 비 유전자 이식 대두 계열인 잭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대두 식물인 SYHT0H2 및 잭 둘다를 글루포시네이트 900g ai/ha로 처리한 다음(V2/V3 단계), V5 단계 내지 V6 단계에 2차 처리를 하였다. 그 다음, 상기 식물을 처리후 경과일(DAT) 4일 내지 8일, 13~20 DAT 및 26~35 DAT에 손상을 보이는 잎의 %에 대해 평가하였다. 표 10의 결과들은 대조군 계열의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글루포시네이트에 대한 SYHT0H2의 효능을 입증하는 것이다.
Figure 112013056727195-pct00027
실시예 4. 맵핑 및 육종 선별용 마커
삽입 SYHT0H2의 LB2로부터 유래하는 측접 서열(서열 번호 7) 또는 LB1의 측접 서열(서열 번호 8)을, 기본 국소 정렬 검색 도구(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BLAST; Altschul et al., J. Mol . Biol ., 1990, 215:403-410; Altschul et al., Nucleic Acids Res ., 1997, 25:3389-3402)(인터넷으로 입수 가능)를 이용하여 8× 대두 게놈 데이터베이스(즉 조인트 게놈 인스티튜트 및 통합 게놈 센터에 의해 도입되는 “피토좀” 데이터베이스(www를 통해 입수 가능); Schmutz et al . (2010) Nature 463:178-183)에 대해 정렬하였다. LB2는 8번 염색체(결합군 A2)(뉴클레오티드 9,905,212로부터 9,905,310에 이름)와 함께 정렬되었다. LB1은 8번 염색체(결합군 A2)(뉴클레오티드 9,905,326으로부터 9,905,788에 이름)와 함께 정렬되었다. 이후 물리적 위치들을, 대두 공통 맵 4.0(Soybean Consensus Map 4.0)에 나열된 마커의 물리적 위치들과 비교하였다(Hyten et al . Crop Sci ., 2010, 50:960-968). 가장 가까이 존재하는 마커의 센티모건(centiMorgan) 위치를 확인하였으며, 10개의 센티모건 내에 존재하는 모든 마커들을 표 9에 나열하였다. 이 데이터는, 계통 SYT0H2 내에서 이종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이, 대두 8번 염색체(서열 번호 24의 서열의 99번 내지 116번 뉴클레오티드 사이의 서열에 상응함) 내 염기쌍 9,905,310번 내지 9,905,326번 위치에 삽입되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HPPD 서열을 포함하는 이종 서열이 삽입되면, 게놈 서열 중 16개의 염기쌍들(서열 번호 24의 서열의 100번 내지 115번 뉴클레오티드에 상응함)은 결실되었다.
계통 SYHT0H2를, 공중이 이용 가능한 마커(표 11에 제시됨) 및 통상의 육종 기술들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대두 식물 내에 도입하였다. 계통 SYHT0H2는 분자 마커인 BARC-65571-19573에 가장 가까이 존재하는 것으로서, 분자 마커 BARC-65571-19573 및 BARC-43119-08535 사이에 존재하였다. 육종 접근법과 기술은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문헌[Fehr, in Breeding Methods for Cultivar Development, 1987, Wilcos, J. (ed.), American Society of Agronomy, Madison, WI]; [Welsh J. R., Fundamentals of Plant Genetics and Breeding, John Wiley & Sons, NY (1981)]; [Wood D. R. (Ed.), Crop Breeding, American Society of Agronomy Madison, Wis. (1983)]; [Mayo O., The Theory of Plant Breeding, Second Edition, Clarendon Press, Oxford (1987)]; [Singh, D. P., Breeding for Resistance to Diseases and Insect Pests, Springer-Verlag, NY (1986)]; 및 [Wricke 및 Weber, Quantitative Genetics and Selection Plant Breeding, Walter de Gruyter and Co., Berlin (1986)]을 참조한다.
Figure 112013056727195-pct00028
Figure 112013056727195-pct00029
Figure 112013056727195-pct00030
Figure 112013056727195-pct00031
Figure 112013056727195-pct00032
실시예 5. 대두 내 표적화된 통합을 위한 계통 SYHT0H2 삽입 위치의 사용
서열 번호 7 및 서열 번호 8에 개시된 계통 SYHT0H2 측접 서열을, 대두 게놈 데이터베이스 검색에 사용하였다. 두개의 측접 서열들과 동일한 매칭부들을 BAC 클론 상에서 확인하였으며, 특정 위치의 분자 마커도 확인하였다. 추가 마커들을 개발하여 삽입 위치를 정확히 맵핑하는데 사용하였다.
노지 조건 하에서 자라난 자손 몇 세대에 걸친, 계통 SYHT0H2의 이식 유전자의 작물학적 성능과 양립하는 계통 SYHT0H2의 통합 위치는, 계통 SYHT0H2의 돌연 변이 HPPD 효소 이외에, 관심 이식 유전자 통합에 유용한 게놈 위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표적화된 통합은, 소위 “위치 효과(positions effect)”로 인한 문제점과, 이식 유전자가 숙주에 통합될 때 게놈 내에 돌연 변이가 발생할 위험을 극복하게 해준다. 이와 같이 표적화된 통합의 추가의 이점으로서는 형질 전환 계통들(이식 유전자를 원하는 수준으로 발현하되, 이식 유전자가 숙주 게놈 내 중요한 위치에 부주의하게 삽입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상 현상을 나타내지는 않는 유전자 이식 식물을 생산하기 전에 스크리닝 및 테스트되어야 함)의 수를 많이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표적화된 통합은 두개의 유전자를 포함하는 선발 식물 계열의 육종을 더욱 효율적으로 만드는 이식 유전자를 스택킹할 수 있었다.
전술한 교시 사항들을 이용하였을 때, 당업자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이식 유전자를 SYHT0H2 내 삽입 위치와 동일한 삽입 위치, 또는 SYHT0H2 내 삽입 위치와 매우 근접하는 위치에 표적화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방법의 일례는 본원에 전체가 참고용으로 인용되어 있는 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20060253918호에 개시되어 있다. 간단히 말해서, 삽입 위치에 대해 5’쪽에 측접하는 게놈 서열(20Kb 이하)(예를 들어, 서열 번호 7의 서열, 서열 번호 7의 서열을 포함하는 게놈 서열 및 서열 번호 7에 상동성인 게놈 서열) 및 삽입 위치에 대해 3’쪽에 측접하는 게놈 서열(20Kb 이하)(예를 들어, 서열 번호 8의 서열, 서열 번호 8의 서열을 포함하는 게놈 서열 및 서열 번호 8에 상동성인 게놈 서열)을, 상동성 재조합을 통해 삽입되도록 의도되는 관심 유전자 또는 유전자들을 측접시키는데 사용하였는데, 이때, 통합 위치는 계통 SYHT0H2가 존재하는 위치였거나 이 위치에 인접하는 위치였다. 이와 같은 서열들은 T-DNA 전달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T-DNA 경계 반복부, 예를 들어 좌측 경계(LB) 및 우측 경계(RB) 반복 서열들과 기타 다른 부스터 서열(booster sequence)에 의해 추가로 측접될 수 있었다. 관심 유전자 또는 유전자들은 SYHT0H2 삽입 위치 내 정확한 곳에 위치할 수 있었거나, 아니면 SYHT0H2 삽입 위치 주위 20Kb 영역 내라면 어느 곳이든지 위치할 수 있어서, 식물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서 이식 유전자 발현 수준을 일정하게 만들 수 있었다. 관심 유전자 또는 유전자들과 측접 서열들을 함유하는 DNA 벡터는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몇 가지 방법들(예를 들어, 아그로박테리아 매개 형질 전환(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중 하나의 방법으로 식물 세포에 전달될 수 있었다. DNA 벡터를 SYHT0H2 표적 위치에 삽입하는 것은, 몇 가지 방법들(예를 들어, 공동 발현 또는 재조합 증강 유전자의 상향 조절 또는 내인성 재조합 억제 유전자의 하향 조절(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중 하나의 방법에 의해 더욱 촉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게놈 내 특정 서열을 절단하면 상동성 재조합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었으므로, SYHT0H2 삽입 위치 및 이의 측접 영역으로의 삽입은 이와 같은 서열들을 절단하는데 사용되는 천연 또는 디자인된 서열 특이적 엔도뉴클레아제의 발현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실시예 7. 유전자 발현을 안정화하기 위한, 계통 SYHT0H2 삽입 위치 및 측접 서열의 사용
SYHT0H2 삽입 위치에 측접하여 존재하는 게놈 서열들은 또한, 기타 다른 농작물 내 SYHT0H2의 통합 위치 이외에도 대두 내 게놈상의 위치들에 이식 유전자로서 삽입될 때, 기타 다른 관심 유전자(들)의 발현을 안정화하는데에 사용될 수도 있었다. 구체적으로, 삽입 위치에 대해 5’쪽에 측접하는 게놈 서열(20Kb 이하)(예를 들어, 서열 번호 7의 서열, 서열 번호 7의 서열을 포함하는 게놈 서열 및 서열 번호 7에 상동성인 게놈 서열) 및 삽입 위치에 대해 3’쪽에 측접하는 게놈 서열(20Kb 이하)(예를 들어, 서열 번호 8의 서열, 서열 번호 8의 서열을 포함하는 게놈 서열 및 서열 번호 8에 상동성인 게놈 서열)을, 식물 게놈에 삽입되도록 의도된 관심 유전자 또는 유전자들을 상기 측접 게놈 서열들에 측접시키는데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서열들은 T-DNA 전달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T-DNA 경계 반복부, 예를 들어 좌측 경계(LB) 및 우측 경계(RB) 반복 서열들과 기타 다른 부스터 서열에 의해 추가로 측접될 수 있었다. 관심 유전자 또는 유전자들은 SYHT0H2 삽입 위치 내 정확한 곳에 위치할 수 있었거나, 아니면 SYHT0H2 삽입 위치 주위 20Kb 영역 내라면 어느 곳이든지 위치할 수 있어서, 이식 유전자 발현 수준을 일정하게 만들 수 있었다. 관심 유전자 또는 유전자들과 SYHT0H2 삽입 위치 측접 서열들을 함유하는 DNA 벡터는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몇 가지 방법들(예를 들어, 원형질체 형질 전환, 바이오리스틱 발사법 및 아그로박테리아 매개 형질 전환(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중 하나의 방법으로 식물 세포에 전달될 수 있었다. 전달된 DNA는 식물 게놈에 무작위로 통합될 수 있었거나, 아니면 독립적으로 분리된 유전 단위, 예를 들어 인공 염색체 또는 소형 염색체(mini-chromosome)의 일부로서 존재할 수도 있었다. 관심 유전자(들) 및 SYHT0H2 삽입 위치 측접 서열을 함유하는 DNA 백터는 식물 세포에 전달될 수 있었다. 그러므로, 관심 유전자 또는 유전자들을 SYHT0H2 삽입 위치에 측접하는 게놈 서열로 포위하였을 경우, 이와 같은 유전자들의 발현은 유전자 이식 숙주 식물, 예를 들어 외떡잎 식물과 쌍떡잎 식물 둘다에서 안정되었다.
SEQUENCE LISTING <110> SYNGENTA PARTICIPATIONS AG <120> SOYBEAN EVENT SYHT0H2 AN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TECTION THEREOF <130> 72722WOPCT <150> US 61/423,131 <151> 2010-12-15 <150> US 61/467,621 <151> 2011-03-25 <160> 28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rived from Glycine max and Avena sativa <400> 1 accatcacag aattgacgct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rived from Glycine max and Avena sativa <400> 2 taaaccctaa accaatggca 20 <210> 3 <211> 4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rived from Glycine max and Avena sativa <400> 3 agatgagaga accatcacag aattgacgct tagacaactt 40 <210> 4 <211> 4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rived from Glycine max and Avena sativa <400> 4 ttaagttgtc taaaccctaa accaatggca cacaaaaatt 40 <210> 5 <211> 6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rived from Glycine max and Avena sativa <400> 5 taggatgaag agatgagaga accatcacag aattgacgct tagacaactt aataacacat 60 <210> 6 <211> 6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rived from Glycine max and Avena sativa <400> 6 caatgtgtta ttaagttgtc taaaccctaa accaatggca cacaaaaatt cccatcctag 60 <210> 7 <211> 99 <212> DNA <213> Glycine max <400> 7 acatatacta cataagaagg aggtggagaa agtgtatgta accgacaaca aaaaactaat 60 aggaatatat aggatgaaga gatgagagaa ccatcacag 99 <210> 8 <211> 462 <212> DNA <213> Glycine max <400> 8 accaatggca cacaaaaatt cccatcctag tttttggagt aattaatgaa ctagcaatta 60 tataataagc tctgtatctg ttatattctg cattaatttt gttgaataaa aaacactgta 120 aattaattgg tcatgtgtta tattttgcac actaattttt tttttaaaaa aggtgggaga 180 gcgtgatatt tttagttgtc cagaaaataa agattgaaaa atttgaatgt atttggcacg 240 tgggatactt taaaaattag aaggcacctt attgtttact tcgatcggag aaaaataata 300 aaatccttta tatgttaatt tatttcaatt tgtatgtctg tagtaggaat attaaagtag 360 acatttatca ttaatctcat tattagtctt tccttttgta gaatctcgtt aattttatta 420 actaactttt aaataactct ctagaggaat gaacaaaata at 462 <210> 9 <211> 791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vena sativa sequence optimized for expression in Glycine max <400> 9 aattgacgct tagacaactt aataacacat tgcggatacg gccatgctgg ccgcccgggc 60 atggtaccca attcccgatc tagtaacata gatgacaccg cgcgcgataa tttatcctag 120 tttgcgcgct atattttgtt ttctatcgcg tattaaatgt ataattgcgg gactctaatc 180 ataaaaaccc atctcataaa taacgtcatg cattacatgt taattattac atgcttaacg 240 taattcaaca gaaattatat gataatcatc gcaagaccgg caacaggatt caatcttaag 300 aaactttatt gccaaatgtt tgaacgatcg gggaaattcg gggatctaga gctcgactca 360 tatctgggta actggcctaa ctggccttgg aggagctggc aactcaaaat ccctttgcca 420 aaaaccaaca tcatgccatc caccatgctt gtatccagct gcgcgcaatg taccccgggc 480 tgtgtatccc aaagcctcat gcaacctaac agatggatcg tttggaaggc ctataacagc 540 aaccacagac ttaaaacctt gcgcctccat agacttaagc aaatgtgtgt acaatgtaga 600 tcctaggccc aacctttgat gcctatgtga cacgtaaaca gtactctcaa ctgtccaatc 660 gtaagcgttc ctagccttcc agggcccagc gtaagcaata ccagccacaa caccctcaac 720 ctcagcaacc aaccaagggt atctatcttg caacctctct agatcatcaa tccactcttg 780 tggtgtttgt ggctctgtcc taaagttcac tgtagacgtc tcaatgtaat ggttaacgat 840 atcacaaacc gcggccatat cagctgctgt agctggccta atctcaactg gtctcctctc 900 cggagacatg gtgggatcct gtaattgtaa atagtaattg taatgttgtt tgttgtttgt 960 tgttgttggt aattgttgta aaaatactcg agggtttatg tttttacaaa cgactccaac 1020 aaagtatcaa gttttattca aacagaatga tacagattta aatatcgggt tttatacaaa 1080 ccatatgata tttatcaatt cagtgatcct atacggacgg tggagacaaa aatcatcaag 1140 aatcatcttt gagatgagaa agcttagctc ttacctgttt tcgtcgtctt ggcttttctt 1200 cttcctggcc acctgcctga atacttcgcc gccttgacta cttctaggct acttgctctc 1260 tttctctctc taggactatc tctctgagat tttgctccct taacaatgag ggaggggcta 1320 agtatttata gactgacggg tgagtggaca tttcccaaac tacccttact tatttcgtaa 1380 gcccttacgt cattgctcca ttattggagt ctgaagatgc cttcacatgg tggaccccca 1440 cctgtcggcc acgaatctta tttgttcgtc agaaaaagcc aaaccgactg cacagttttt 1500 ccatcgtggt agggaccact ttggtattga ttaaaggcag ccgacctaac ctttgtcaga 1560 cgcattattt cacgcgtttt cttttacaga ttccatcttc atttgtggga cagtatgtct 1620 gccactttgt ctgccagtaa ttaaacgcgg tccggatcta gtaacataga tgacaccgcg 1680 cgcgataatt tatcctagtt tgcgcgctat attttgtttt ctatcgcgta ttaaatgtat 1740 aattgcggga ctctaatcat aaaaacccat ctcataaata acgtcatgca ttacatgtta 1800 attattacat gcttaacgta attcaacaga aattatatga taatcatcgc aagaccggca 1860 acaggattca atcttaagaa actttattgc caaatgtttg aacgatctgc aggtcgaccc 1920 atggcgccga tatcactagt tcagatctgg gtaactggcc taactggcct tggaggagct 1980 ggcaactcaa aatccctttg ccaaaaacca acatcatgcc atccaccatg cttgtatcca 2040 gctgcgcgca atgtaccccg ggctgtgtat cccaaagcct catgcaacct aacagatgga 2100 tcgtttggaa ggcctataac agcaaccaca gacttaaaac cttgcgcctc catagactta 2160 agcaaatgtg tgtacaatgt ggatcctagg cccaaccttt gatgcctatg tgacacgtaa 2220 acagtactct caactgtcca atcgtaagcg ttcctagcct tccagggccc agcgtaagca 2280 ataccagcca caacaccctc aacctcagca accaaccaag ggtatctatc ttgcaacctc 2340 tctagatcat caatccactc ttgtggtgtt tgtggctctg tcctaaagtt cactgtagac 2400 gtctcaatgt aatggttaac gatatcacaa accgcggcca tatcagctgc tgtagctggc 2460 ctaatctcaa ctggtctcct ctccggagac atggtggact agtgatttca gcgtgtcctc 2520 tccaaatgaa atgaacttcc ttatatagag gaagggtctt gcgaaggata gtgggattgt 2580 gcgtcatccc ttacgtcagt ggagatatca catcaatcca cttgctttga agacgtggtt 2640 ggaacgtctt ctttttccac gatgctcctc gtgggtgggg gtccatcttt gggaccactg 2700 tcggcagagg catcttcaac gatggccttt cctttatcgc aatgatggca tttgtaggag 2760 ccaccttcct tttccactat cttcacaata aagtgacaga tagctgggca atggaacctt 2820 tgctgctgca catggacttg ctgtcagatc tgttggagct taatatccgg aaacctcctc 2880 ggattccatt gcccagctat ctgtcacttt attgtgaaga tagtggaaaa ggaaggtggc 2940 tcctacaaat gccatcattg cgataaagga aaggctatcg ttgaagatgc ctctgccgac 3000 agtggtccca aagatggacc cccacccacg aggagcatcg tggaaaaaga agacgttcca 3060 accacgtctt caaagcaagt ggattgatgt gatatctcca ctgacgtaag ggatgacgaa 3120 caatcccact atccttctgc aggtcgactc tagaggatcc tataaatagg aagttcattt 3180 catttggaga ggaaacctcg agtattttta caacaattac caacaacaac aaacaacaaa 3240 caacattaca attactattt acaattacac atatgcctcc aacaccagct actgctactg 3300 gagctgctgc tgctgccgtt acaccagaac atgctgcaag gtcattccct agagttgttc 3360 gcgttaaccc taggtctgac agattccctg ttctgtcctt ccatcatgtg gagctttggt 3420 gtgctgatgc agctagtgct gctggtcgtt tcagctttgc acttggagca ccacttgctg 3480 caagatctga tctgtctaca gggaactcag cacatgcttc tctcctactt cgatctggag 3540 cattagcctt cctttttacc gctccttatg ctccacctcc acaagaagct gcaactgctg 3600 caactgcttc cattccctcc ttttcagcag atgctgcaag aacctttgct gctgcacatg 3660 gacttgctgt cagatctgtt ggagttaggg ttgctgatgc agctgaagca tttcgcgtta 3720 gtgttgctgg aggagcaaga cctgcttttg ctccagcaga tcttggtcac ggatttggac 3780 ttgctgaagt ggagctgtat ggagatgtgg ttctgagatt cgtgagctat cctgacgaaa 3840 ctgacctacc atttctccca ggattcgaga gggtttcaag tccaggtgca gttgactacg 3900 gtttgactcg ctttgaccac gttgttggaa acgttccaga aatggctcct gtcatcgact 3960 acatgaaggg attccttggt ttccacgagt tcgctgaatt cacagcagag gatgttggaa 4020 ccacagaatc tggactgaac agtgtggttc tagccaacaa cagtgaagct gttcttctgc 4080 cattgaacga gcctgttcat ggaaccaaga gacgatctca gatccaaacc tacctcgaat 4140 accatggtgg accaggagtt caacacatcg cattggcttc taacgatgtg cttcgaactc 4200 tcagggaaat gagagccaga actccaatgg gagggttcga atttatggct cctccacaag 4260 ccaagtacta tgaaggagtc cgtagaatcg ctggagatgt cttgtcagag gaacagatca 4320 aggagtgtca agaactgggt gttctcgttg atcgagacga tcaaggtgtg ctactccaga 4380 tcttcaccaa accagttggt gatcgtccca cttttttcct cgaaatgatt cagcgaatag 4440 gatgcatgga gaaggatgaa gttgggcaag agtaccagaa aggtggatgt ggtgggtttg 4500 gaaaggggaa cttttccgag ttgttcaagt ccatagagga ctacgagaag tcactggaag 4560 tcaagcagtc tgtcgttgct cagaagagct aagagctctt catatgacga tcgttcaaac 4620 atttggcaat aaagtttctt aagattgaat cctgttgccg gtcttgcgat gattatcata 4680 taatttctgt tgaattacgt taagcatgta ataattaaca tgtaatgcat gacgttattt 4740 atgagatggg tttttatgat tagagtcccg caattataca tttaatacgc gatagaaaac 4800 aaaatatagc gcgcaaacta ggataaatta tcgcgcgcgg tgtcatctat gttactagat 4860 cgcggaccca gtcaaagatt caaatagagg acctaacaga actcgccgta aagactggcg 4920 aacagttcat acagagtctc ttacgactca atgacaagaa gaaaatcttc gtcaacatgg 4980 tggagcacga cacgcttgtc tactccaaaa atatcaaaga tacagtctca gaagaccaaa 5040 gggcaattga gacttttcaa caaagatgac ttttcaacaa agggtaatat ccggaaacct 5100 cctcggattc cattgcccag ctatctgtca ctttattgtg aagatagtgg aaaaggaagg 5160 tggctcctac aaatgccatc attgcgataa aggaaaggcc atcgttgaag atgcctctgc 5220 cgacagtggt cccaaagatg gacccccacc cacgaggagc atcgtggaaa aagaagacgt 5280 tccaaccacg tcttcaaagc aagtggattg atgtgatatc tccactgacg taagggatga 5340 cgcacaatcc cactatcctt cgcaagaccc ttcctctata taaggaagtt catttcattt 5400 ggagaggaca cgctgaaatc actagtccac catgtctccg gagaggagac cagttgagat 5460 taggccagct acagcagctg atatggccgc ggtttgtgat atcgttaacc attacattga 5520 gacgtctaca gtgaacttta ggacagagcc acaaacacca caagagtgga ttgatgatct 5580 agagaggttg caagatagat acccttggtt ggttgctgag gttgagggtg ttgtggctgg 5640 tattgcttac gctgggccct ggaaggctag gaacgcttac gattggacag ttgagagtac 5700 tgtttacgtg tcacataggc atcaaaggtt gggcctagga tccacattgt acacacattt 5760 gcttaagtct atggaggcgc aaggttttaa gtctgtggtt gctgttatag gccttccaaa 5820 cgatccatct gttaggttgc atgaggcttt gggatacaca gcccggggta cattgcgcgc 5880 agctggatac aagcatggtg gatggcatga tgttggtttt tggcaaaggg attttgagtt 5940 gccagctcct ccaaggccag ttaggccagt tacccagatc tgaactagtg atatcggcgc 6000 catgggtcga cctgcagatc gttcaaacat ttggcaataa agtttcttaa gattgaatcc 6060 tgttgccggt cttgcgatga ttatcatata atttctgttg aattacgtta agcatgtaat 6120 aattaacatg taatgcatga cgttatttat gagatgggtt tttatgatta gagtcccgca 6180 attatacatt taatacgcga tagaaaacaa aatatagcgc gcaaactagg ataaattatc 6240 gcgcgcggtg tcatctatgt tactagatcc ggaccgcgtt taattactgg cagacaaagt 6300 ggcagacata ctgtcccaca aatgaagatg gaatctgtaa aagaaaacgc gtgaaataat 6360 gcgtctgaca aaggttaggt cggctgcctt taatcaatac caaagtggtc cctaccacga 6420 tggaaaaact gtgcagtcgg tttggctttt tctgacgaac aaataagatt cgtggccgac 6480 aggtgggggt ccaccatgtg aaggcatctt cagactccaa taatggagca atgacgtaag 6540 ggcttacgaa ataagtaagg gtagtttggg aaatgtccac tcacccgtca gtctataaat 6600 acttagcccc tccctcattg ttaagggagc aaaatctcag agagatagtc ctagagagag 6660 aaagagagca agtagcctag aagtagtcaa ggcggcgaag tattcaggca ggtggccagg 6720 aagaagaaaa gccaagacga cgaaaacagg taagagctaa gctttctcat ctcaaagatg 6780 attcttgatg atttttgtct ccaccgtccg tataggatca ctgaattgat aaatatcata 6840 tggtttgtat aaaacccgat atttaaatct gtatcattct gtttgaataa aacttgatac 6900 tttgttggag tcgtttgtaa aaacataaac cctcgagtat ttttacaaca attaccaaca 6960 acaacaaaca acaaacaaca ttacaattac tatttacaat tacaggatcc caccatgtct 7020 ccggagagga gaccagttga gattaggcca gctacagcag ctgatatggc cgcggtttgt 7080 gatatcgtta accattacat tgagacgtct acagtgaact ttaggacaga gccacaaaca 7140 ccacaagagt ggattgatga tctagagagg ttgcaagata gatacccttg gttggttgct 7200 gaggttgagg gtgttgtggc tggtattgct tacgctgggc cctggaaggc taggaacgct 7260 tacgattgga cagttgagag tactgtttac gtgtcacata ggcatcaaag gttgggccta 7320 ggatctacat tgtacacaca tttgcttaag tctatggagg cgcaaggttt taagtctgtg 7380 gttgctgtta taggccttcc aaacgatcca tctgttaggt tgcatgaggc tttgggatac 7440 acagcccggg gtacattgcg cgcagctgga tacaagcatg gtggatggca tgatgttggt 7500 ttttggcaaa gggattttga gttgccagct cctccaaggc cagttaggcc agttacccag 7560 atatgagtcg agctctagat ccccgaattt ccccgatcgt tcaaacattt ggcaataaag 7620 tttcttaaga ttgaatcctg ttgccggtct tgcgatgatt atcatataat ttctgttgaa 7680 ttacgttaag catgtaataa ttaacatgta atgcatgacg ttatttatga gatgggtttt 7740 tatgattaga gtcccgcaat tatacattta atacgcgata gaaaacaaaa tatagcgcgc 7800 aaactaggat aaattatcgc gcgcggtgtc atctatgtta ctagatcggg aattgggtac 7860 catgcccggg cggccagcat ggccgtatcc gcaatgtgtt attaagttgt ctaa 7914 <210> 10 <211> 920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rived from Glycine max and Avena sativa <220> <221> misc_feature <222> (1)..(821) <223> genomic region called LB2 <220> <221> misc_feature <222> (822)..(8735) <223> heterologous inserted DNA <220> <221> misc_feature <222> (8736)..(9206) <223> genomic flanking sequence called LB1 <400> 10 tgatcttaaa aattcaaagt ccacctaatt tgacaaggaa agcaccaggt agcgtttcat 60 ctaatgtttt ctccatatag ttgactattt acccaagttc atgacgatgt caacaatgca 120 agttgtacga ctaaacttct tccttgtgca ataaaatgcc atctattact gtcacaaagg 180 aagtgtttta ctgtcttata agttagtttg attacataag ttttatttag taaacgagct 240 tattaattta ttgcatatta ttaggtggtc caaaatagaa tagaggatcc agagttatct 300 aataatttct tatatgaatg ggtctagatt taacaaaaat gaatcaaaat catttatgta 360 tgattattct actttatata tatgaggaaa cttaaaaggt tattttttta ttattatgat 420 attgatatag aatatttatc aatttttttg aaaattattt tttgatataa aatctgattg 480 accattttta ataaattttt tccttacaat gacgtttttt tatatacaag atgaatttaa 540 aattttaatt atggggatcg aatttaaata tcgattaatg acttaatgat actctaagct 600 aatttagttt tacataattg agaatgaggc accaacattc ttgtggtaat attaaatttt 660 ctgttgactt ttttttacgt aaatgatact tgattagaag atgactaata aatgaaggct 720 ttacatatac tacataagaa ggaggtggag aaagtgtatg taaccgacaa caaaaaacta 780 ataggaatat ataggatgaa gagatgagag aaccatcaca gaattgacgc ttagacaact 840 taataacaca ttgcggatac ggccatgctg gccgcccggg catggtaccc aattcccgat 900 ctagtaacat agatgacacc gcgcgcgata atttatccta gtttgcgcgc tatattttgt 960 tttctatcgc gtattaaatg tataattgcg ggactctaat cataaaaacc catctcataa 1020 ataacgtcat gcattacatg ttaattatta catgcttaac gtaattcaac agaaattata 1080 tgataatcat cgcaagaccg gcaacaggat tcaatcttaa gaaactttat tgccaaatgt 1140 ttgaacgatc ggggaaattc ggggatctag agctcgactc atatctgggt aactggccta 1200 actggccttg gaggagctgg caactcaaaa tccctttgcc aaaaaccaac atcatgccat 1260 ccaccatgct tgtatccagc tgcgcgcaat gtaccccggg ctgtgtatcc caaagcctca 1320 tgcaacctaa cagatggatc gtttggaagg cctataacag caaccacaga cttaaaacct 1380 tgcgcctcca tagacttaag caaatgtgtg tacaatgtag atcctaggcc caacctttga 1440 tgcctatgtg acacgtaaac agtactctca actgtccaat cgtaagcgtt cctagccttc 1500 cagggcccag cgtaagcaat accagccaca acaccctcaa cctcagcaac caaccaaggg 1560 tatctatctt gcaacctctc tagatcatca atccactctt gtggtgtttg tggctctgtc 1620 ctaaagttca ctgtagacgt ctcaatgtaa tggttaacga tatcacaaac cgcggccata 1680 tcagctgctg tagctggcct aatctcaact ggtctcctct ccggagacat ggtgggatcc 1740 tgtaattgta aatagtaatt gtaatgttgt ttgttgtttg ttgttgttgg taattgttgt 1800 aaaaatactc gagggtttat gtttttacaa acgactccaa caaagtatca agttttattc 1860 aaacagaatg atacagattt aaatatcggg ttttatacaa accatatgat atttatcaat 1920 tcagtgatcc tatacggacg gtggagacaa aaatcatcaa gaatcatctt tgagatgaga 1980 aagcttagct cttacctgtt ttcgtcgtct tggcttttct tcttcctggc cacctgcctg 2040 aatacttcgc cgccttgact acttctaggc tacttgctct ctttctctct ctaggactat 2100 ctctctgaga ttttgctccc ttaacaatga gggaggggct aagtatttat agactgacgg 2160 gtgagtggac atttcccaaa ctacccttac ttatttcgta agcccttacg tcattgctcc 2220 attattggag tctgaagatg ccttcacatg gtggaccccc acctgtcggc cacgaatctt 2280 atttgttcgt cagaaaaagc caaaccgact gcacagtttt tccatcgtgg tagggaccac 2340 tttggtattg attaaaggca gccgacctaa cctttgtcag acgcattatt tcacgcgttt 2400 tcttttacag attccatctt catttgtggg acagtatgtc tgccactttg tctgccagta 2460 attaaacgcg gtccggatct agtaacatag atgacaccgc gcgcgataat ttatcctagt 2520 ttgcgcgcta tattttgttt tctatcgcgt attaaatgta taattgcggg actctaatca 2580 taaaaaccca tctcataaat aacgtcatgc attacatgtt aattattaca tgcttaacgt 2640 aattcaacag aaattatatg ataatcatcg caagaccggc aacaggattc aatcttaaga 2700 aactttattg ccaaatgttt gaacgatctg caggtcgacc catggcgccg atatcactag 2760 ttcagatctg ggtaactggc ctaactggcc ttggaggagc tggcaactca aaatcccttt 2820 gccaaaaacc aacatcatgc catccaccat gcttgtatcc agctgcgcgc aatgtacccc 2880 gggctgtgta tcccaaagcc tcatgcaacc taacagatgg atcgtttgga aggcctataa 2940 cagcaaccac agacttaaaa ccttgcgcct ccatagactt aagcaaatgt gtgtacaatg 3000 tggatcctag gcccaacctt tgatgcctat gtgacacgta aacagtactc tcaactgtcc 3060 aatcgtaagc gttcctagcc ttccagggcc cagcgtaagc aataccagcc acaacaccct 3120 caacctcagc aaccaaccaa gggtatctat cttgcaacct ctctagatca tcaatccact 3180 cttgtggtgt ttgtggctct gtcctaaagt tcactgtaga cgtctcaatg taatggttaa 3240 cgatatcaca aaccgcggcc atatcagctg ctgtagctgg cctaatctca actggtctcc 3300 tctccggaga catggtggac tagtgatttc agcgtgtcct ctccaaatga aatgaacttc 3360 cttatataga ggaagggtct tgcgaaggat agtgggattg tgcgtcatcc cttacgtcag 3420 tggagatatc acatcaatcc acttgctttg aagacgtggt tggaacgtct tctttttcca 3480 cgatgctcct cgtgggtggg ggtccatctt tgggaccact gtcggcagag gcatcttcaa 3540 cgatggcctt tcctttatcg caatgatggc atttgtagga gccaccttcc ttttccacta 3600 tcttcacaat aaagtgacag atagctgggc aatggaacct ttgctgctgc acatggactt 3660 gctgtcagat ctgttggagc ttaatatccg gaaacctcct cggattccat tgcccagcta 3720 tctgtcactt tattgtgaag atagtggaaa aggaaggtgg ctcctacaaa tgccatcatt 3780 gcgataaagg aaaggctatc gttgaagatg cctctgccga cagtggtccc aaagatggac 3840 ccccacccac gaggagcatc gtggaaaaag aagacgttcc aaccacgtct tcaaagcaag 3900 tggattgatg tgatatctcc actgacgtaa gggatgacga acaatcccac tatccttctg 3960 caggtcgact ctagaggatc ctataaatag gaagttcatt tcatttggag aggaaacctc 4020 gagtattttt acaacaatta ccaacaacaa caaacaacaa acaacattac aattactatt 4080 tacaattaca catatgcctc caacaccagc tactgctact ggagctgctg ctgctgccgt 4140 tacaccagaa catgctgcaa ggtcattccc tagagttgtt cgcgttaacc ctaggtctga 4200 cagattccct gttctgtcct tccatcatgt ggagctttgg tgtgctgatg cagctagtgc 4260 tgctggtcgt ttcagctttg cacttggagc accacttgct gcaagatctg atctgtctac 4320 agggaactca gcacatgctt ctctcctact tcgatctgga gcattagcct tcctttttac 4380 cgctccttat gctccacctc cacaagaagc tgcaactgct gcaactgctt ccattccctc 4440 cttttcagca gatgctgcaa gaacctttgc tgctgcacat ggacttgctg tcagatctgt 4500 tggagttagg gttgctgatg cagctgaagc atttcgcgtt agtgttgctg gaggagcaag 4560 acctgctttt gctccagcag atcttggtca cggatttgga cttgctgaag tggagctgta 4620 tggagatgtg gttctgagat tcgtgagcta tcctgacgaa actgacctac catttctccc 4680 aggattcgag agggtttcaa gtccaggtgc agttgactac ggtttgactc gctttgacca 4740 cgttgttgga aacgttccag aaatggctcc tgtcatcgac tacatgaagg gattccttgg 4800 tttccacgag ttcgctgaat tcacagcaga ggatgttgga accacagaat ctggactgaa 4860 cagtgtggtt ctagccaaca acagtgaagc tgttcttctg ccattgaacg agcctgttca 4920 tggaaccaag agacgatctc agatccaaac ctacctcgaa taccatggtg gaccaggagt 4980 tcaacacatc gcattggctt ctaacgatgt gcttcgaact ctcagggaaa tgagagccag 5040 aactccaatg ggagggttcg aatttatggc tcctccacaa gccaagtact atgaaggagt 5100 ccgtagaatc gctggagatg tcttgtcaga ggaacagatc aaggagtgtc aagaactggg 5160 tgttctcgtt gatcgagacg atcaaggtgt gctactccag atcttcacca aaccagttgg 5220 tgatcgtccc acttttttcc tcgaaatgat tcagcgaata ggatgcatgg agaaggatga 5280 agttgggcaa gagtaccaga aaggtggatg tggtgggttt ggaaagggga acttttccga 5340 gttgttcaag tccatagagg actacgagaa gtcactggaa gtcaagcagt ctgtcgttgc 5400 tcagaagagc taagagctct tcatatgacg atcgttcaaa catttggcaa taaagtttct 5460 taagattgaa tcctgttgcc ggtcttgcga tgattatcat ataatttctg ttgaattacg 5520 ttaagcatgt aataattaac atgtaatgca tgacgttatt tatgagatgg gtttttatga 5580 ttagagtccc gcaattatac atttaatacg cgatagaaaa caaaatatag cgcgcaaact 5640 aggataaatt atcgcgcgcg gtgtcatcta tgttactaga tcgcggaccc agtcaaagat 5700 tcaaatagag gacctaacag aactcgccgt aaagactggc gaacagttca tacagagtct 5760 cttacgactc aatgacaaga agaaaatctt cgtcaacatg gtggagcacg acacgcttgt 5820 ctactccaaa aatatcaaag atacagtctc agaagaccaa agggcaattg agacttttca 5880 acaaagatga cttttcaaca aagggtaata tccggaaacc tcctcggatt ccattgccca 5940 gctatctgtc actttattgt gaagatagtg gaaaaggaag gtggctccta caaatgccat 6000 cattgcgata aaggaaaggc catcgttgaa gatgcctctg ccgacagtgg tcccaaagat 6060 ggacccccac ccacgaggag catcgtggaa aaagaagacg ttccaaccac gtcttcaaag 6120 caagtggatt gatgtgatat ctccactgac gtaagggatg acgcacaatc ccactatcct 6180 tcgcaagacc cttcctctat ataaggaagt tcatttcatt tggagaggac acgctgaaat 6240 cactagtcca ccatgtctcc ggagaggaga ccagttgaga ttaggccagc tacagcagct 6300 gatatggccg cggtttgtga tatcgttaac cattacattg agacgtctac agtgaacttt 6360 aggacagagc cacaaacacc acaagagtgg attgatgatc tagagaggtt gcaagataga 6420 tacccttggt tggttgctga ggttgagggt gttgtggctg gtattgctta cgctgggccc 6480 tggaaggcta ggaacgctta cgattggaca gttgagagta ctgtttacgt gtcacatagg 6540 catcaaaggt tgggcctagg atccacattg tacacacatt tgcttaagtc tatggaggcg 6600 caaggtttta agtctgtggt tgctgttata ggccttccaa acgatccatc tgttaggttg 6660 catgaggctt tgggatacac agcccggggt acattgcgcg cagctggata caagcatggt 6720 ggatggcatg atgttggttt ttggcaaagg gattttgagt tgccagctcc tccaaggcca 6780 gttaggccag ttacccagat ctgaactagt gatatcggcg ccatgggtcg acctgcagat 6840 cgttcaaaca tttggcaata aagtttctta agattgaatc ctgttgccgg tcttgcgatg 6900 attatcatat aatttctgtt gaattacgtt aagcatgtaa taattaacat gtaatgcatg 6960 acgttattta tgagatgggt ttttatgatt agagtcccgc aattatacat ttaatacgcg 7020 atagaaaaca aaatatagcg cgcaaactag gataaattat cgcgcgcggt gtcatctatg 7080 ttactagatc cggaccgcgt ttaattactg gcagacaaag tggcagacat actgtcccac 7140 aaatgaagat ggaatctgta aaagaaaacg cgtgaaataa tgcgtctgac aaaggttagg 7200 tcggctgcct ttaatcaata ccaaagtggt ccctaccacg atggaaaaac tgtgcagtcg 7260 gtttggcttt ttctgacgaa caaataagat tcgtggccga caggtggggg tccaccatgt 7320 gaaggcatct tcagactcca ataatggagc aatgacgtaa gggcttacga aataagtaag 7380 ggtagtttgg gaaatgtcca ctcacccgtc agtctataaa tacttagccc ctccctcatt 7440 gttaagggag caaaatctca gagagatagt cctagagaga gaaagagagc aagtagccta 7500 gaagtagtca aggcggcgaa gtattcaggc aggtggccag gaagaagaaa agccaagacg 7560 acgaaaacag gtaagagcta agctttctca tctcaaagat gattcttgat gatttttgtc 7620 tccaccgtcc gtataggatc actgaattga taaatatcat atggtttgta taaaacccga 7680 tatttaaatc tgtatcattc tgtttgaata aaacttgata ctttgttgga gtcgtttgta 7740 aaaacataaa ccctcgagta tttttacaac aattaccaac aacaacaaac aacaaacaac 7800 attacaatta ctatttacaa ttacaggatc ccaccatgtc tccggagagg agaccagttg 7860 agattaggcc agctacagca gctgatatgg ccgcggtttg tgatatcgtt aaccattaca 7920 ttgagacgtc tacagtgaac tttaggacag agccacaaac accacaagag tggattgatg 7980 atctagagag gttgcaagat agataccctt ggttggttgc tgaggttgag ggtgttgtgg 8040 ctggtattgc ttacgctggg ccctggaagg ctaggaacgc ttacgattgg acagttgaga 8100 gtactgttta cgtgtcacat aggcatcaaa ggttgggcct aggatctaca ttgtacacac 8160 atttgcttaa gtctatggag gcgcaaggtt ttaagtctgt ggttgctgtt ataggccttc 8220 caaacgatcc atctgttagg ttgcatgagg ctttgggata cacagcccgg ggtacattgc 8280 gcgcagctgg atacaagcat ggtggatggc atgatgttgg tttttggcaa agggattttg 8340 agttgccagc tcctccaagg ccagttaggc cagttaccca gatatgagtc gagctctaga 8400 tccccgaatt tccccgatcg ttcaaacatt tggcaataaa gtttcttaag attgaatcct 8460 gttgccggtc ttgcgatgat tatcatataa tttctgttga attacgttaa gcatgtaata 8520 attaacatgt aatgcatgac gttatttatg agatgggttt ttatgattag agtcccgcaa 8580 ttatacattt aatacgcgat agaaaacaaa atatagcgcg caaactagga taaattatcg 8640 cgcgcggtgt catctatgtt actagatcgg gaattgggta ccatgcccgg gcggccagca 8700 tggccgtatc cgcaatgtgt tattaagttg tctaaaccct aaaccaatgg cacacaaaaa 8760 ttcccatcct agtttttgga gtaattaatg aactagcaat tatataataa gctctgtatc 8820 tgttatattc tgcattaatt ttgttgaata aaaaacactg taaattaatt ggtcatgtgt 8880 tatattttgc acactaattt tttttttaaa aaaggtggga gagcgtgata tttttagttg 8940 tccagaaaat aaagattgaa aaatttgaat gtatttggca cgtgggatac tttaaaaatt 9000 agaaggcacc ttattgttta cttcgatcgg agaaaaataa taaaatcctt tatatgttaa 9060 tttatttcaa tttgtatgtc tgtagtagga atattaaagt agacatttat cattaatctc 9120 attattagtc tttccttttg tagaatctcg ttaattttat taactaactt ttaaataact 9180 ctctagagga atggaacaaa ataata 9206 <210> 11 <211> 1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CR primer <400> 11 cgggcggcca gcat 14 <210> 12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CR primer <400> 12 gtgccattgg tttagggttt agac 24 <210> 13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for TAQMAN assay <400> 13 atccgcaatg tgttattaa 19 <210> 1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CR primer <400> 14 gccgtatccg caatgtgtta 20 <210> 15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CR primer <400> 15 ggatgaagag atgagagaac catca 25 <210> 16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for TAQMAN assay <400> 16 taagttgtct aagcgtcaat t 21 <210> 17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CR primer <400> 17 caaggccagt taggccagtt a 21 <210> 18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CR primer <400> 18 attaacgaga ttctacaaaa ggaaag 26 <210> 19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CR primer <400> 19 ggacaactaa aaatatcacg ctctccca 28 <210> 20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CR primer <400> 20 actacataag aaggaggtgg agaaag 26 <210> 21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CR primer <400> 21 gaggtggaga aagtgtatgt aaccgacaa 29 <210> 22 <211> 6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CR product derived from Glycine max and Avena sativa <400> 22 cgggcggcca gcatggccgt atccgcaatg tgttattaag ttgtctaaac cctaaaccaa 60 tggcac 66 <210> 23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CR product derived from Glycine max and Avena sativa <400> 23 ggatgaagag atgagagaac catcacagaa ttgacgctta gacaacttaa taacacattg 60 cggatacggc 70 <210> 24 <211> 217 <212> DNA <213> Glycine max <400> 24 ttacatatac tacataagaa ggaggtggag aaagtgtatg taaccgacaa caaaaaacta 60 ataggaatat ataggatgaa gagatgagag aaccatcaca gattggacgg tgggggacca 120 atggcacaca aaaattccca tcctagtttt tggagtaatt aatgaactag caattatata 180 ataagctctg tatctgttat attctgcatt aattttg 217 <210> 25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CR primer <400> 25 ttttgtggtc gtcactgcgt t 21 <210> 26 <211> 4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CR primer <400> 26 caggatatat tgtggtgtaa acaaattgac gcttagacaa 40 <210> 27 <211> 3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CR primer <400> 27 gagtcccgca attatacatt taatacgcga tagaa 35 <210> 28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CR primer <400> 28 ggccagcatg gccgtatccg caatgtgtt 29

Claims (73)

  1.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분리된 핵산 분자:
    a) 서열 번호 1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핵산 분자 또는 서열 번호 2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핵산 분자;
    b) 서열 번호 3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핵산 분자 또는 서열 번호 4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핵산 분자;
    c) 서열 번호 5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핵산 분자 또는 서열 번호 6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핵산 분자;
    d) 서열 번호 11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핵산 분자 또는 서열 번호 12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핵산 분자; 및
    e) 서열 번호 9의 폴리뉴클레오티드에 대한 서열 동일성이 90% 이상인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핵산 분자,
    여기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하이드록시페닐-피루베이트-디옥시게나제 효소의 효소 활성을 가지는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함.
  2. 유전자 이식 대두 식물 또는 이의 일부로서, 식물 또는 식물의 일부는 제1항에 의한 핵산 서열을 포함하는 유전자 이식 대두 식물 또는 이의 일부.
  3. 유전자 이식 대두 식물 또는 이의 일부로서, 식물 또는 식물의 일부는 서열 번호 1 또는 서열 번호 2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서열 번호 1 또는 서열 번호 2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제초제 내성 계통 SYHT0H2를 포함하는 유전자 이식 대두 식물에 대하여 진단하는 앰플리콘을 생산하는 유전자 이식 대두 식물 또는 이의 일부.
  4. 제3항에 있어서, 자체의 게놈에 안정적으로 통합된 서열 번호 9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유전자 이식 대두 식물 또는 이의 일부.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종자, 세포, 화분, 밑씨, 꽃, 싹, 뿌리 또는 잎인 유전자 이식 대두 식물 또는 이의 일부.
  6. 제3항에 따른 유전자 이식 대두 식물 또는 이의 일부의 종자.
  7. 서열 번호 1 또는 서열 번호 2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제초제 내성 계통 SYHT0H2를 포함하는 유전자 이식 대두 식물의 종자로서, ATCC 기탁 번호 PTA-11226으로 기탁된 종자.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부가 제초제 또는 하나 이상의 곤충, 진균,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저항성 또는 내성을 식물에 제공할 수 있는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부가 영역들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유전자 이식 대두 식물의 종자.
  9. 제8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부가 영역들은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디캄바, 2,4-D, 페녹시 옥신 제초제, PPO 제초제, 아릴옥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 제초제, 이미다졸리논, 설포닐 우레아, 아메트린, 트리아진 제초제 및 메트리부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부가 제초제 하나 이상에 대한 저항성 또는 내성을 식물에 제공할 수 있는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이식 대두 식물의 종자.
  10. 제8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부가 영역들은 부가 제초제 하나 이상에 대한 저항성 또는 내성을 식물에 제공할 수 있는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고, 상기 폴리펩티드는 글리포세이트 내성 5-에놀-피루빌시키메이트-3-포스페이트 합성 효소(EPSPS), 글리포세이트 N-아세틸 트랜스퍼라제(GAT), 제초제 내성 4-하이드록시피루빌디옥시게나제(HPPD), 포스피노트리신 아세틸 트랜스퍼라제(PAT), 시토크롬 P450, 글루타치온 S-트랜스퍼라제(GST), 제초제 내성 아세틸-COA-카복실라제(ACCase), 제초제 내성 아세토락테이트 합성 효소(ALS), 제초제 내성 프로토포르피리노겐 옥시다제(PPO), 브로목시닐 니트릴라제, 제초제 내성 피토엔 불포화 효소, 아릴옥시알카노에이트 디옥시게나제, 호모겐티세이트 솔라네실트랜스퍼라제(HST) 및 디캄바 분해 효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전자 이식 대두식물의 종자.
  11.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식물은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초제 혼합물에 대한 저항성을 포함하는 유전자 이식 대두 식물의 종자:
    a. HPPD 억제제 및 글루포시네이트,
    b. HPPD 억제제 및 글리포세이트,
    c. HPPD 억제제 및 디캄바,
    d. HPPD 억제제 및 2,4-D,
    e. HPPD 억제제 및 ALS 억제제,
    f. HPPD 억제제, 글리포세이트 및 글루포시네이트,
    g. HPPD 억제제, 글리포세이트 및 디캄바,
    h. HPPD 억제제, 글리포세이트 및 2,4-D,
    i. HPPD 억제제, 글리포세이트 및 ALS 억제제,
    j. HPPD 억제제, 글루포시네이트 및 2,4-D,
    k. HPPD 억제제, 글루포시네이트 및 디캄바,
    l. HPPD 억제제, 글루포시네이트 및 ALS 억제제,
    m. HPPD 억제제,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및 디캄바,
    n. HPPD 억제제,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및 2,4-D,
    o. HPPD 억제제,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2,4-D 및 ALS 억제제,
    p. HPPD 억제제,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디캄바 및 ALS 억제제,
    q. HPPD 억제제,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디캄바 및 2,4-D
    r. HPPD 억제제,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디캄바, 2,4-D 및 ALS 억제제,
    여기서, HPPD 억제제는 이속사플루톨, 비시클로피론, 메소트리온, 설코트리온, 템보트리온, 토프라메존, 피라설파톨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일원을 하나 이상 포함하고, ALS 억제제는 프로설푸론, 프리미설푸론, 트리아설푸론, 벤설푸론, 니코설푸론, 림설푸론, 프리미설푸론, 티펜설푸론, 포람설푸론, 클로르설푸론, 할로설푸론, 이마자퀸, 이마자픽, 이마자피르, 이마제타피르, 이마자목스, 요도설푸론, 멧설푸론, 메소설푸론, 설포설푸론, 트리플록시설푸론, 트리베누론-메틸, 티아조피르, 디클로설람, 클로란설람-메틸, 플루카바존, 플루멧설람, 티엔카바존 및 클로리무론-에틸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일원을 하나 이상 포함함.
  12. 제8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부가 영역들은 부가 제초제 하나 이상에 대한 저항성 또는 내성을 식물에 제공할 수 있는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고, 상기 폴리펩티드는 GTS 40-3-2, MON89788, FG72, DP-356043-5, A2704-12, DAS-68416-4, A5547-127, GU262, DAS-40278-9, MON87708, 127 및 BPS-CV127-9의 계통들에서 살펴볼 수 있는 제초제에 대한 내성 또는 저항성을 제공하는 폴리펩티드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전자 이식 대두 식물의 종자.
  13.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는 하기를 포함하는 목록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학 물질로 처리되는 것인 유전자 이식 대두 식물의 종자:
    알라니카브, 알디카브, 벤디오카브, 벤푸라카브, 부토카복심, 부톡시카복심, 카바릴, 카보푸란, 카보설판, 에티오펜카브, 페노부카브, 포르메타네이트, 푸라티오카브, 이소프로카브, 메티오카브, 메토밀, 메톨카브, 옥사밀, 피리미카브, 프로폭서, 티오디카브, 티오파녹스, 트리아자메이트, 트리메타카브, XMC, 자일릴카브; 아세페이트, 아자메티포스, 아진포스-에틸, 아진포스-메틸, 카두사포스, 클로레톡시포스, 클로르펜빈포스, 클로르메포스, 클로르피리포스, 클로르피리포스-메틸, 쿠마포스, 시아노포스, 데메톤-S-메틸, 디아지논, 디클로르보스/DDVP, 디크로토포스, 디메토에이트, 디메틸빈포스, 디설포톤, EPN, 에티온, 에토프로포스, 팜푸르, 페나미포스, 페니트로티온, 펜티온, 포스티아제이트, 헵테노포스, 이미시아포스, 이소펜포스, 이소프로필 O-(메톡시아미노티오-포스포릴) 살리실레이트, 이속사티온, 말라티온, 메카밤, 메타미도포스, 메티다티온, 메빈포스, 모노크로토포스, 날레드, 오메토에이트, 옥시데메톤-메틸, 파라티온, 파라티온-메틸, 펜토에이트, 포레이트, 포살론, 포스멧, 포스파미돈, 폭심, 피리미포스-메틸, 프로페노포스, 프로페탐포스, 프로티오포스, 피라클로포스, 피리다펜티온, 퀴날포스, 설포텝, 테부피림포스, 테메포스, 터부포스, 테트라클로르빈포스, 티오메톤, 트리아조포스, 트리클로르폰, 바미도티온, 시클로디엔 유기 염소제, 클로르데인, 엔도설판; 에티프롤, 피프로닐, 아크리나트린, 알레트린, d-시스-트랜스 알레트린, d-트랜스 알레트린, 비펜트린, 바이오알레트린, 바이오알레트린 S-시클로펜테닐 이성체, 바이오레스메트린, 시클로프로트린, 시플루트린, 베타-시플루트린, 시할로트린, 람다-시할로트린, 감마-시할로트린, 사이퍼메트린, 알파-사이퍼메트린, 베타-사이퍼메트린, 세타-사이퍼메트린, 제타-사이퍼메트린, 사이페노트린 [(1R)-트랜스 이성체], 델타메트린, 엠펜트린 [(EZ)-(1R) 이성체], 에스펜발러레이트, 에토펜프록스, 펜프로파트린, 펜발러레이트, 플루시트리네이트, 플루메트린, 토우-플루발리네이트, 할펜프록스, 이미프로트린, 카데트린, 퍼메트린, 페노트린 [(1R)-트랜스 이성체], 프랄레트린, 피레트린(피레트럼), 레스메트린, 실라플루오펜, 테플루트린, 테트라메트린, 테트라메트린 [(1R) 이성체], 트랄로메트린, 트랜스플루트린; DDT; 메톡시클로르, 아세타미프리드, 클로티아니딘, 디노테푸란, 이미다클로프리드, 니텐피람, 티아클로프리드, 티아메톡삼; 니코틴, 스피네토람, 스피노사드, 아바멕틴, 에마멕틴 벤조에이트, 레피멕틴, 밀베멕틴, 하이드로프렌, 키노프렌, 메토프렌; 페녹시카브; 피리프록시펜, 클로로피크린; 플루오르화 설푸릴; 보락스; 타르타르 에메틱, 피메트로진; 플로니카미드, 클로펜테진, 헥시티아족스, 디플로비다진, 에톡사졸,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아종 이스라엘렌시스, 바실러스 스파에리쿠스,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아종 아이자와이,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아종 커스타키,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아종 테네브리오니스, BT 농작물 단백질: Cry1Ab, Cry1Ac, Cry1Fa, Cry2Ab, mCry3A, Cry3Ab, Cry3Bb, Cry34/35Ab1, 디아펜티우론, 아조시클로틴, 시헥사틴, 산화 펜부타틴; 프로파기트, 테트라디폰, 클로르페나피르, DNOC, 설플루라미드, 벤설탭, 카르탭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티오시클람, 티오설탭-소듐, 비스트리플루론, 클로르플루아주론, 디플루벤주론, 플루시클록수론, 플루페녹수론, 헥사플루무론, 루페누론, 노발루론, 노비플루무론, 테플루벤주론, 트리플루무론, 부프로페진, 사이로마진, 크로마페노지드, 할로페노지드, 메톡시페노지드, 테부페노지드, 아미트라즈, 하이드라메틸논; 아세퀴노실; 플루아크리피림, 페나자퀸, 펜피록시메이트, 피리미디펜, 피리다벤, 테부펜피라드, 톨펜피라드, 로테논(데리스), 인독사카브; 메타플루미존, 스피로디클로펜, 스피로메시펜, 스피로테트라맷, 인화 알루미늄, 인화 칼슘, 포스핀, 인화 아연, 시에노피라펜, 클로란트라닐리프롤, 플루벤디아미드, 아미도플루멧, 아자디라크틴, 벤클로티아즈, 벤족시메이트, 비페나제이트, 브로모프로필레이트, 키노메티오냇, 크라이올라이트, 시안트라닐리프롤(시아지피르), 사이플루메토펜, 디코폴, 디플로비다진, 플루엔설폰, 플루페네림, 플루피프롤, 플루오피람, 푸페노지드, 이미다클로티즈, 이프로디온, 메퍼플루트린, 피리달릴, 피리플루퀴나존, 테트라메틸플루트린, 요도메탄; 균주 CNCM I-1582, VOTiVO™, BioNem; 3-브로모-N-{2-브로모-4-클로로-6-[(1-시클로프로필에틸)카바모일]페닐}-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카복사미드(WO2005/077934호에 개시됨), 4-{[(6-브로모피리딘-3-일)메틸](2-플루오로에틸)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4호에 개시됨), 4-{[(6-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2,2-디플루오로에틸)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4호에 개시됨), 4-{[(2-클로로-1,3-티아졸-5-일)메틸](2-플루오로에틸)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4호에 개시됨), 4-{[(6-클로르피리딘-3-일)메틸](2-플루오로에틸)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4호에 개시됨), 플루피라디푸론, 4-{[(6-클로르-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메틸)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3호에 개시됨), 4-{[(5,6-디클로로피리딘-3-일)메틸](2-플루오로에틸)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6호에 개시됨), 4-{[(6-클로로-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3호에 개시됨), 4-{[(6-클로로피리딘-3-일)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푸란-2(5H)-온(EP-A-0 539 588호에 개시됨), 4-{[(6-클로르피리딘-3-일)-메틸](메틸)아미노}푸란-2(5H)-온(EP-A-0 539 588호에 개시됨), {[1-(6-클로로피리딘-3-일)에틸](메틸)옥시도-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WO2007/149134호에 개시됨) 및 이의 부분 입체 이성체들 {[(1R)-1-(6-클로로피리딘-3-일)에틸](메틸)옥시도-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A) 및 {[(1S)-1-(6-클로로피리딘-3-일)에틸](메틸)옥시도-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B)(WO2007/149134호에 개시됨) 그리고 설폭사플로르 및 이의 부분 입체 이성체 [(R)-메틸(옥시도){(1R)-1-[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에틸}-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A1) 및 [(S)-메틸(옥시도){(1S)-1-[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에틸}-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A2)(부분 입체 이성체 A 군으로서도 칭하여짐)(WO2010/074747호 및 WO2010/074751호에 개시됨), [(R)-메틸(옥시도){(1S)-1-[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에틸}-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B1) 및 [(S)-메틸(옥시도){(1R)-1-[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에틸}-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B2)(부분 입체 이성체 B 군으로서 칭하여짐)(WO2010/074747호 및 WO2010/074751호에 개시됨), 그리고 11-(4-클로로-2,6-디메틸페닐)-12-하이드록시-1,4-디옥사-9-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덱-11-엔-10-온(WO2006/089633호에 개시됨), 3-(4'-플루오로-2,4-디메틸비페닐-3-일)-4-하이드록시-8-옥사-1-아자스피로[4.5]덱-3-엔-2-온(WO2008/067911호에 개시됨), 1-{2-플루오로-4-메틸-5-[(2,2,2-트리플루오르에틸)설피닐]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1H-1,2,4-트리아졸-5-아민(WO2006/043635호에 개시됨), [(3S,4aR,12R,12aS,12bS)-3-[(시클로프로필카보닐)옥시]-6,12-디하이드록시-4,12b-디메틸-11-옥소-9-(피리딘-3-일)-1,3,4,4a,5,6,6a,12,12a,12b-데카하이드로-2H,11H-벤조[f]-피라노[4,3-b]크로멘-4-일]메틸 시클로-프로판-카복실레이트(WO2008/066153호에 개시됨), 2-시아노-3-(디플루오로메톡시)-N,N-디메틸벤젠설폰아미드(WO2006/056433호에 개시됨), 2-시아노-3-(디플루오로메톡시)-N-메틸벤젠설폰아미드(WO2006/100288호에 개시됨), 2-시아노-3-(디플루오로메톡시)-N-에틸벤젠설폰아미드(WO2005/035486호에 개시됨), 4-(디플루오로메톡시)-N-에틸-N-메틸-1,2-벤조티아졸-3-아민 1,1-디옥사이드(WO2007/057407호에 개시됨), N-[1-(2,3-디메틸페닐)-2-(3,5-디메틸페닐)에틸]-4,5-디하이드로-1,3-티아졸-2-아민(WO2008/104503호에 개시됨), {1'-[(2E)-3-(4-클로로페닐)프로프-2-엔-1-일]-5-플루오로스피로[인돌-3,4'-피페리딘]-1(2H)-일}(2-클로로-피리딘-4-일)-메타논(WO2003/106457호에 개시됨), 3-(2,5-디메틸페닐)-4-하이드록시-8-메톡시-1,8-디아자스피로[4.5]덱-3-엔-2-온(WO2009/049851호에 개시됨), 3-(2,5-디메틸페닐)-8-메톡시-2-옥소-1,8-디아자-스피로[4.5]덱-3-엔-4-일 에틸 카보네이트(WO2009/049851호에 개시됨), 4-(부트-2-인-1-일옥시)-6-(3,5-디메틸피페리딘-1-일)-5-플루오로피리미딘(WO2004/099160호에 개시됨), (2,2,3,3,4,4,5,5-옥타플루오로펜틸)(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말로노니트릴(WO2005/063094호에 개시됨), (2,2,3,3,4,4,5,5-옥타플루오로펜틸)(3,3,4,4,4-펜타플루오로부틸)말로노니트릴(WO2005/063094호에 개시됨), 8-[2-(시클로프로필메톡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3-[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다진-3-일]-3-아자비시클로[3.2.1]옥탄(WO2007/040280호에 개시됨), 플로메토퀸, PF1364(CAS 등록 번호 1204776-60-2)(JP2010/018586호에 개시됨), 5-[5-(3,5-디클로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2-(1H-1,2,4-트리아졸-1-일)벤조니트릴(WO2007/075459호에 개시됨), 5-[5-(2-클로로피리딘-4-일)-5-(트리플루오로메틸)-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2-(1H-1,2,4-트리아졸-1-일)벤조니트릴(WO2007/075459호에 개시됨), 4-[5-(3,5-디클로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2-메틸-N-{2-옥소-2-[(2,2,2-트리플루오로에틸)아미노]-에틸}벤자미드(WO2005/085216호에 개시됨), 4-{[(6-클로로피리딘-3-일)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1,3-옥사졸-2(5H)-온, 4-{[(6-클로로피리딘-3-일)메틸](2,2-디플루오로에틸)-아미노}-1,3-옥사졸-2(5H)-온, 4-{[(6-클로로피리딘-3-일)메틸](에틸)-아미노}-1,3-옥사졸-2(5H)-온, 4-{[(6-클로로피리딘-3-일)메틸](메틸)아미노}-1,3-옥사졸-2(5H)-온(모두 WO2010/005692호에 개시됨), NNI-0711(WO2002/096882호에 개시됨), 1-아세틸-N-[4-(1,1,1,3,3,3-헥사플루오로-2-메톡시프로판-2-일)-3-이소부틸페닐]-N-이소부티릴-3,5-디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WO2002/096882호에 개시됨), 메틸 2-[2-({[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일]카보닐}아미노)-5-클로로-3-메틸벤조일]-2-메틸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WO2005/085216호에 개시됨), 메틸 2-[2-({[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일]카보닐}아미노)-5-시아노-3-메틸벤조일]-2-에틸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WO2005/085216호에 개시됨), 메틸2-[2-({[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일]카보닐}-아미노)-5-시아노-3-메틸벤조일]-2-메틸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WO2005/085216호에 개시됨), 메틸 2-[3,5-디브로모-2-({[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일]카보닐}아미노)-벤조일]-1,2-디에틸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WO2005/085216호에 개시됨), 메틸 2-[3,5-디브로모-2-({[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일]카보닐}-아미노)-벤조일]-2-에틸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WO2005/085216호에 개시됨), (5RS,7RS;5RS,7SR)-1-(6-클로로-3-피리딜메틸)-1,2,3,5,6,7-헥사하이드로-7-메틸-8-니트로-5-프로폭시이미다조[1,2-a]피리딘(WO2007/101369호에 개시됨), N-[2-(5-아미노-1,3,4-티아디아졸-2-일)-4-클로로-6-메틸페닐]-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카복사미드(CN102057925호에 개시됨) 및 메틸 2-[3,5-디브로모-2-({[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일]카보닐}-아미노)-벤조일]-2-에틸-1-메틸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WO2011/049233호에 개시됨); 알디모프, 아자코나졸, 비터타놀, 브로무코나졸, 사이프로코나졸, 디클로부트라졸, 디페노코나졸, 디니코나졸, 디니코나졸-M, 도데모프, 아세트산 도데모프, 에폭시코나졸, 에타코나졸, 페나리몰, 펜부코나졸, 펜헥사미드, 펜프로피딘, 펜프로피모프, 플루퀸코나졸, 플루르프리미돌, 플루실라졸, 플루트리아폴, 퍼코나졸, 퍼코나졸-시스, 헥사코나졸, 이마잘릴, 황산 이마잘릴, 이미벤코나졸, 입코나졸, 멧코나졸, 마이클로부타닐, 나프티핀, 누아리몰, 옥스포코나졸, 파클로부트라졸, 페푸라조에이트, 펜코나졸, 피페랄린, 프로클로라즈, 프로피코나졸, 프로티오코나졸, 피리부티카브, 피리페녹스, 퀸코나졸, 시메코나졸, 스피록사민, 테부코나졸, 터비나핀, 테트라코나졸, 트리아디메폰, 트리아디메놀, 트리데모프, 트리플루미졸, 트리포린, 트리티코나졸, 유니코나졸, 유니코나졸-p, 비니코나졸, 보리코나졸, 1-(4-클로로페닐)-2-(1H-1,2,4-트리아졸-1-일)시클로헵타놀, 메틸 1-(2,2-디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1-일)-1H-이미다졸-5-카복실레이트, N'-{5-(디플루오로메틸)-2-메틸-4-[3-(트리메틸실릴)-프로폭시]-페닐}-N-에틸-N-메틸이미도포름아미드, N-에틸-N-메틸-N'-{2-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4-[3-(트리메틸실릴)프로폭시]페닐}이미도포름아미드, O-[1-(4-메톡시페녹시)-3,3-디메틸부탄-2-일] 1H-이미다졸-1-카보티오에이트, 빅사펜, 보스칼리드, 카복신, 디플루메토림, 펜푸람, 플루오피람, 플루톨라닐, 플룩사피록사드, 푸라멧피르, 푸르메시클록스, 이소피라잠(신-에피머 라세미체 1RS,4SR,9RS 및 안티-에피머 라세미체 1RS,4SR,9SR의 혼합물), 이소피라잠(안티-에피머 라세미체 1RS,4SR,9SR), 이소피라잠(안티-에피머 거울 이성체 1R,4S,9S), 이소피라잠(안티-에피머 거울 이성체 1S,4R,9R), 이소피라잠(신-에피머 라세미체 1RS,4SR,9RS), 이소피라잠(신-에피머 거울 이성체 1R,4S,9R), 이소피라잠(신-에피머 거울 이성체 1S,4R,9S), 메프로닐, 옥시카복신, 펜플루펜, 펜티오피라드, 세닥산, 티플루자미드, 1-메틸-N-[2-(1,1,2,2-테트라플루오로에톡시)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1-메틸-N-[2-(1,1,2,2-테트라플루오로에톡시)페닐]-1H-피라졸-4-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N-[4-플루오로-2-(1,1,2,3,3,3-헥사플루오로프로폭시)페닐]-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N-[1-(2,4-디클로로페닐)-1-메톡시프로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5,8-디플루오로-N-[2-(2-플루오로-4-{[4-(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옥시}페닐)에틸]퀴나졸린-4-아민, N-[9-(디클로로메틸렌)-1,2,3,4-테트라하이드로-1,4-메타노나프탈렌-5-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N-[(1S,4R)-9-(디클로로메틸렌)-1,2,3,4-테트라하이드로-1,4-메타노나프탈렌-5-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N-[(1R,4S)-9-(디클로로메틸렌)-1,2,3,4-테트라하이드로-1,4-메타노나프탈렌-5-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아메톡트라딘, 아미설브롬, 아족시스트로빈, 시아조파미드, 쿠메톡시스트로빈, 쿠목시스트로빈, 디목시스트로빈, 에네스트로부린, 파목사돈, 페나미돈, 페녹시스트로빈, 플루옥사스트로빈, 크레속심-메틸, 메토미노스트로빈, 오리사스트로빈, 피콕시스트로빈, 피라클로스트로빈, 피라메토스트로빈, 피라옥시스트로빈, 피리벤카브, 트리클로피리카브, 트리플록시스트로빈, (2E)-2-(2-{[6-(3-클로로-2-메틸페녹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옥시}페닐)-2-(메톡시이미노)-N-메틸에타나미드, (2E)-2-(메톡시이미노)-N-메틸-2-(2-{[({(1E)-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리덴}아미노)옥시]메틸}페닐)에타나미드, (2E)-2-(메톡시이미노)-N-메틸-2-{2-[(E)-({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톡시}이미노)메틸]페닐}에타나미드, (2E)-2-{2-[({[(1E)-1-(3-{[(E)-1-플루오로-2-페닐에테닐]옥시}페닐)에틸리덴]아미노}옥시)메틸]페닐}-2-(메톡시이미노)-N-메틸에타나미드, (2E)-2-{2-[({[(2E,3E)-4-(2,6-디클로로페닐)부트-3-엔-2-일리덴]아미노}옥시)메틸]페닐}-2-(메톡시이미노)-N-메틸에타나미드, 2-클로로-N-(1,1,3-트리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4-일)피리딘-3-카복사미드, 5-메톡시-2-메틸-4-(2-{[({(1E)-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리덴}아미노)옥시]메틸}페닐)-2,4-디하이드로-3H-1,2,4-트리아졸-3-온, 메틸 (2E)-2-{2-[({시클로프로필[(4-메톡시페닐)이미노]메틸}설파닐)메틸]페닐}-3-메톡시프로프-2-에노에이트, N-(3-에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3-(포르밀아미노)-2-하이드록시벤자미드, 2-{2-[(2,5-디메틸페녹시)메틸]페닐}-2-메톡시-N-메틸아세타미드, (2R)-2-{2-[(2,5-디메틸페녹시)메틸]페닐}-2-메톡시-N-메틸아세타미드, 베노밀, 카벤다짐, 클로르페나졸, 디에토펜카브, 에타복삼, 플루오피콜리드, 푸베리다졸, 펜시쿠론, 티아벤다졸, 티오파네이트-메틸, 티오파네이트, 족사미드, 5-클로로-7-(4-메틸피페리딘-1-일)-6-(2,4,6-트리플루오로페닐)[1,2,4]트리아졸로[1,5-a]피리미딘, 3-클로로-5-(6-클로로피리딘-3-일)-6-메틸-4-(2,4,6-트리플루오로페닐)피리다진, 보르도 혼합물, 캡타폴, 캡탄, 클로로탈로닐, 수산화 구리, 나프텐산 구리, 산화 구리, 산염화 구리, 황산 구리(2+), 디클로플루아니드, 디티아논, 도딘, 도딘 유리 염기, 퍼밤, 플루오로폴펫, 폴펫, 구아자틴, 아세트산 구아자틴, 이미녹타딘, 알베실산 이미녹타딘, 삼아세트산 이미녹타딘, 만코퍼, 만코젭, 마넵, 메티람, 메티람 아연, 옥신-구리, 프로파미딘, 프로피넵, 황, 다황화 칼슘, 티람, 톨릴플루아니드, 지넵, 지람, 아시벤졸라-S-메틸, 이소티아닐, 프로베나졸, 티아디닐, 안도프림, 블라스티시딘-S, 사이프로디닐, 카수가마이신, 카수가마이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수화물, 메파니피림, 피리메타닐, 3-(5-플루오로-3,3,4,4-테트라메틸-3,4-디하이드로이소퀴놀린-1-일)퀴놀린, 아세트산 펜틴, 염화 펜틴, 수산화 펜틴, 실티오팜, 벤티아발리카브, 디메토모프, 플루모프, 이프로발리카브, 만디프로파미드, 폴리옥신, 폴리옥소림, 발리다마이신 A, 발리페날레이트, 비페닐, 클로로넵, 디클로란, 에디펜포스, 에트리디아졸, 요도카브, 이프로벤포스, 이소프로티올란, 프로파모카브, 프로파모카브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프로티오카브, 피라조포스, 퀸토젠, 테크나젠 톨클로포스-메틸, 카프로파미드, 디클로시멧, 페녹사닐, 프탈리드, 피로퀼론, 트리시클라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3-메틸-1-[(4-메틸벤조일)아미노]부탄-2-일}카바메이트, 베나락실, 베나락실-M (키랄락실), 부피리메이트, 클로질라콘, 디메티리몰, 에티리몰, 푸랄락실, 하이멕사졸, 메탈락실, 메탈락실-M (메페녹삼), 오푸레이스, 옥사딕실, 옥솔린산, 클로졸리네이트, 펜피클로닐, 플루디옥소닐, 이프로디온, 프로시미돈, 퀴녹시펜, 빈클로졸릴, 비나파크릴, 디노캡, 페림존, 플루아지남, 멥틸디노캡, 벤티아졸, 베톡사진, 캡시마이신, 카르본, 키노메티오냇, 피리오페논(클라자페논), 쿠프라넵, 시플루페나미드, 시목사닐, 사이프로설파미드, 다조멧, 데바카브, 디클로로펜, 디클로메진, 디펜조?, 메틸황산 디펜조?, 디페닐아민, 에코메이트, 펜피라자민, 플루메토버, 플루오로이미드, 플루설파미드, 플루티아닐, 포세틸-알루미늄, 포세틸-칼슘, 포세틸-소듐, 헥사클로로벤젠, 이루마마이신, 메타설포카브, 메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메트라페논, 밀디오마이신, 나타마이신, 니켈 디메틸디티오카바메이트, 니트로탈-이소프로필, 옥틸리논, 옥사모카브, 옥시펜티인, 펜타클로로페놀 및 염, 페노트린, 인산 및 이의 염, 프로파모카브-포세틸레이트, 프로파노신-소듐, 프로퀴나지드, 피리모프, (2E)-3-(4-tert-부틸페닐)-3-(2-클로로피리딘-4-일)-1-(모폴린-4-일)프로프-2-엔-1-온, (2Z)-3-(4-tert-부틸페닐)-3-(2-클로로피리딘-4-일)-1-(모폴린-4-일)프로프-2-엔-1-온, 피롤니트린, 테부플로퀸, 테클로프탈람, 톨니파니드, 트리아족시드, 트리클라미드, 자릴라미드, (3S,6S,7R,8R)-8-벤질-3-[({3-[(이소부티릴옥시)메톡시]-4-메톡시피리딘-2-일}카보닐)아미노]-6-메틸-4,9-디옥소-1,5-디옥소난-7-일 2-메틸프로파노에이트, 1-(4-{4-[(5R)-5-(2,6-디플루오로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에타논, 1-(4-{4-[(5S)-5-(2,6-디플루오로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에타논, 1-(4-{4-[5-(2,6-디플루오로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에타논, 1-(4-메톡시페녹시)-3,3-디메틸부탄-2-일 1H-이미다졸-1-카복실레이트, 2,3,5,6-테트라클로로-4-(메틸설포닐)피리딘, 2,3-디부틸-6-클로로티에노[2,3-d]피리미딘-4(3H)-온, 2,6-디메틸-1H,5H-[1,4]디티이노[2,3-c:5,6-c']디피롤-1,3,5,7(2H,6H)-테트론, 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1-(4-{4-[(5R)-5-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에타논, 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1-(4-{4-[(5S)-5-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에타논, 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1-{4-[4-(5-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에타논, 2-부톡시-6-요도-3-프로필-4H-크로멘-4-온, 2-클로로-5-[2-클로로-1-(2,6-디플루오로-4-메톡시페닐)-4-메틸-1H-이미다졸-5-일]피리딘, 2-페닐페놀 및 염, 3-(4,4,5-트리플루오로-3,3-디메틸-3,4-디하이드로이소퀴놀린-1-일)퀴놀린, 3,4,5-트리클로로피리딘-2,6-디카보니트릴, 3-[5-(4-클로로페닐)-2,3-디메틸-1,2-옥사졸리딘-3-일]피리딘, 3-클로로-5-(4-클로로페닐)-4-(2,6-디플루오로페닐)-6-메틸피리다진, 4-(4-클로로페닐)-5-(2,6-디플루오로-페닐)-3,6-디메틸피리다진, 5-아미노-1,3,4-티아디아졸-2-티올, 5-클로로-N'-페닐-N'-(프로프-2-인-1-일)티오펜-2-설포노히드라지드, 5-플루오로-2-[(4-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4-아민, 5-플루오로-2-[(4-메틸벤질)옥시]피리미딘-4-아민, 5-메틸-6-옥틸[1,2,4]트리아졸로[1,5-a]피리미딘-7-아민, 에틸 (2Z)-3-아미노-2-시아노-3-페닐프로프-2-에노에이트, N'-(4-{[3-(4-클로로벤질)-1,2,4-티아디아졸-5-일]옥시}-2,5-디메틸페닐)-N-에틸-N-메틸이미도포름아미드, N-(4-클로로벤질)-3-[3-메톡시-4-(프로프-2-인-1-일옥시)페닐]프로파나미드, N-[(4-클로로페닐)(시아노)메틸]-3-[3-메톡시-4-(프로프-2-인-1-일옥시)페닐]프로파나미드, N-[(5-브로모-3-클로로피리딘-2-일)메틸]-2,4-디클로로피리딘-3-카복사미드, N-[1-(5-브로모-3-클로로피리딘-2-일)에틸]-2,4-디클로로-피리딘-3-카복사미드, N-[1-(5-브로모-3-클로로피리딘-2-일)에틸]-2-플루오로-4-요도-피리딘-3-카복사미드, N-{(E)-[(시클로프로필메톡시)이미노][6-(디플루오로메톡시)-2,3-디플루오로페닐]-메틸}-2-페닐-아세타미드, N-{(Z)-[(시클로프로필메톡시)이미노][6-(디플루오로메톡시)-2,3-디플루오로-페닐]-메틸}-2-페닐아세타미드, N'-{4-[(3-tert-부틸-4-시아노-1,2-티아졸-5-일)옥시]-2-클로로-5-메틸페닐}-N-에틸-N-메틸이미도포름아미드, N-메틸-2-(1-{[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N-(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일)-1,3-티아졸-4-카복사미드, N-메틸-2-(1-{[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N-[(1R)-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일]-1,3-티아졸-4-카복사미드, N-메틸-2-(1-{[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N-[(1S)-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일]-1,3-티아졸-4-카복사미드, 펜틸 {6-[({[(1-메틸-1H-테트라졸-5-일)(페닐)-메틸리덴]아미노}옥시)메틸]피리딘-2-일}카바메이트, 페나진-1-카복실산, 퀴놀린-8-올, 황산 퀴놀린-8-올(2:1), tert-부틸 {6-[({[(1-메틸-1H-테트라졸-5-일)(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메틸]피리딘-2-일}카바메이트, 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N-[2'-(트리플루오로메틸)비페닐-2-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N-(4'-클로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N-(2',4'-디클로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1-메틸-N-[4'-(트리플루오로메틸)비페닐-2-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N-(2',5'-디플루오로비페닐-2-일)-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1-메틸-N-[4'-(프로프-1-인-1-일)비페닐-2-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5-플루오로-1,3-디메틸-N-[4'-(프로프-1-인-1-일)비페닐-2-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2-클로로-N-[4'-(프로프-1-인-1-일)비페닐-2-일]피리딘-3-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N-[4'-(3,3-디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N-[4'-(3,3-디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5-플루오로-1,3-디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N-(4'-에티닐비페닐-2-일)-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N-(4'-에티닐비페닐-2-일)-5-플루오로-1,3-디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2-클로로-N-(4'-에티닐비페닐-2-일)피리딘-3-카복사미드, 2-클로로-N-[4'-(3,3-디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피리딘-3-카복사미드, 4-(디플루오로메틸)-2-메틸-N-[4'-(트리플루오로메틸)비페닐-2-일]-1,3-티아졸-5-카복사미드, 5-플루오로-N-[4'-(3-하이드록시-3-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1,3-디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2-클로로-N-[4'-(3-하이드록시-3-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피리딘-3-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N-[4'-(3-메톡시-3-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5-플루오로-N-[4'-(3-메톡시-3-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1,3-디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2-클로로-N-[4'-(3-메톡시-3-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피리딘-3-카복사미드, (5-브로모-2-메톡시-4-메틸피리딘-3-일)(2,3,4-트리메톡시-6-메틸페닐)메타논, N-[2-(4-{[3-(4-클로로페닐)프로프-2-인-1-일]옥시}-3-메톡시페닐)에틸]-N2-(메틸설포닐)발리나미드, 4-옥소-4-[(2-페닐에틸)아미노]부탄산, 부트-3-인-1-일 {6-[({[(Z)-(1-메틸-1H-테트라졸-5-일)-(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메틸]피리딘-2-일}카바메이트.
  14. 삭제
  15. 하기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목록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학 물질 혼합물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제6항 또는 제7항에 의한 유전자 이식 대두 식물의 종자로부터 생장된 대두가 존재하는 노지에서 잡초 방제하는 방법:
    알라니카브, 알디카브, 벤디오카브, 벤푸라카브, 부토카복심, 부톡시카복심, 카바릴, 카보푸란, 카보설판, 에티오펜카브, 페노부카브, 포르메타네이트, 푸라티오카브, 이소프로카브, 메티오카브, 메토밀, 메톨카브, 옥사밀, 피리미카브, 프로폭서, 티오디카브, 티오파녹스, 트리아자메이트, 트리메타카브, XMC, 자일릴카브; 아세페이트, 아자메티포스, 아진포스-에틸, 아진포스-메틸, 카두사포스, 클로레톡시포스, 클로르펜빈포스, 클로르메포스, 클로르피리포스, 클로르피리포스-메틸, 쿠마포스, 시아노포스, 데메톤-S-메틸, 디아지논, 디클로르보스/DDVP, 디크로토포스, 디메토에이트, 디메틸빈포스, 디설포톤, EPN, 에티온, 에토프로포스, 팜푸르, 페나미포스, 페니트로티온, 펜티온, 포스티아제이트, 헵테노포스, 이미시아포스, 이소펜포스, 이소프로필 O-(메톡시아미노티오-포스포릴) 살리실레이트, 이속사티온, 말라티온, 메카밤, 메타미도포스, 메티다티온, 메빈포스, 모노크로토포스, 날레드, 오메토에이트, 옥시데메톤-메틸, 파라티온, 파라티온-메틸, 펜토에이트, 포레이트, 포살론, 포스멧, 포스파미돈, 폭심, 피리미포스-메틸, 프로페노포스, 프로페탐포스, 프로티오포스, 피라클로포스, 피리다펜티온, 퀴날포스, 설포텝, 테부피림포스, 테메포스, 터부포스, 테트라클로르빈포스, 티오메톤, 트리아조포스, 트리클로르폰, 바미도티온, 시클로디엔 유기 염소제, 클로르데인, 엔도설판; 에티프롤, 피프로닐, 아크리나트린, 알레트린, d-시스-트랜스 알레트린, d-트랜스 알레트린, 비펜트린, 바이오알레트린, 바이오알레트린 S-시클로펜테닐 이성체, 바이오레스메트린, 시클로프로트린, 시플루트린, 베타-시플루트린, 시할로트린, 람다-시할로트린, 감마-시할로트린, 사이퍼메트린, 알파-사이퍼메트린, 베타-사이퍼메트린, 세타-사이퍼메트린, 제타-사이퍼메트린, 사이페노트린 [(1R)-트랜스 이성체], 델타메트린, 엠펜트린 [(EZ)-(1R) 이성체], 에스펜발러레이트, 에토펜프록스, 펜프로파트린, 펜발러레이트, 플루시트리네이트, 플루메트린, 토우-플루발리네이트, 할펜프록스, 이미프로트린, 카데트린, 퍼메트린, 페노트린 [(1R)-트랜스 이성체], 프랄레트린, 피레트린(피레트럼), 레스메트린, 실라플루오펜, 테플루트린, 테트라메트린, 테트라메트린 [(1R) 이성체], 트랄로메트린, 트랜스플루트린; DDT; 메톡시클로르, 아세타미프리드, 클로티아니딘, 디노테푸란, 이미다클로프리드, 니텐피람, 티아클로프리드, 티아메톡삼; 니코틴, 스피네토람, 스피노사드, 아바멕틴, 에마멕틴 벤조에이트, 레피멕틴, 밀베멕틴, 하이드로프렌, 키노프렌, 메토프렌; 페녹시카브; 피리프록시펜, 클로로피크린; 플루오르화 설푸릴; 보락스; 타르타르 에메틱, 피메트로진; 플로니카미드, 클로펜테진, 헥시티아족스, 디플로비다진, 에톡사졸,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아종 이스라엘렌시스, 바실러스 스파에리쿠스,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아종 아이자와이,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아종 커스타키,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아종 테네브리오니스, BT 농작물 단백질: Cry1Ab, Cry1Ac, Cry1Fa, Cry2Ab, mCry3A, Cry3Ab, Cry3Bb, Cry34/35Ab1, 디아펜티우론, 아조시클로틴, 시헥사틴, 산화 펜부타틴; 프로파기트, 테트라디폰, 클로르페나피르, DNOC, 설플루라미드, 벤설탭, 카르탭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티오시클람, 티오설탭-소듐, 비스트리플루론, 클로르플루아주론, 디플루벤주론, 플루시클록수론, 플루페녹수론, 헥사플루무론, 루페누론, 노발루론, 노비플루무론, 테플루벤주론, 트리플루무론, 부프로페진, 사이로마진, 크로마페노지드, 할로페노지드, 메톡시페노지드, 테부페노지드, 아미트라즈, 하이드라메틸논; 아세퀴노실; 플루아크리피림, 페나자퀸, 펜피록시메이트, 피리미디펜, 피리다벤, 테부펜피라드, 톨펜피라드, 로테논(데리스), 인독사카브; 메타플루미존, 스피로디클로펜, 스피로메시펜, 스피로테트라맷, 인화 알루미늄, 인화 칼슘, 포스핀, 인화 아연, 시에노피라펜, 클로란트라닐리프롤, 플루벤디아미드, 아미도플루멧, 아자디라크틴, 벤클로티아즈, 벤족시메이트, 비페나제이트, 브로모프로필레이트, 키노메티오냇, 크라이올라이트, 시안트라닐리프롤(시아지피르), 사이플루메토펜, 디코폴, 디플로비다진, 플루엔설폰, 플루페네림, 플루피프롤, 플루오피람, 푸페노지드, 이미다클로티즈, 이프로디온, 메퍼플루트린, 피리달릴, 피리플루퀴나존, 테트라메틸플루트린, 요도메탄; 균주 CNCM I-1582, VOTiVO™, BioNem; 3-브로모-N-{2-브로모-4-클로로-6-[(1-시클로프로필에틸)카바모일]페닐}-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카복사미드(WO2005/077934호에 개시됨), 4-{[(6-브로모피리딘-3-일)메틸](2-플루오로에틸)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4호에 개시됨), 4-{[(6-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2,2-디플루오로에틸)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4호에 개시됨), 4-{[(2-클로로-1,3-티아졸-5-일)메틸](2-플루오로에틸)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4호에 개시됨), 4-{[(6-클로르피리딘-3-일)메틸](2-플루오로에틸)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4호에 개시됨), 플루피라디푸론, 4-{[(6-클로르-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메틸)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3호에 개시됨), 4-{[(5,6-디클로로피리딘-3-일)메틸](2-플루오로에틸)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6호에 개시됨), 4-{[(6-클로로-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3호에 개시됨), 4-{[(6-클로로피리딘-3-일)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푸란-2(5H)-온(EP-A-0 539 588호에 개시됨), 4-{[(6-클로르피리딘-3-일)-메틸](메틸)아미노}푸란-2(5H)-온(EP-A-0 539 588호에 개시됨), {[1-(6-클로로피리딘-3-일)에틸](메틸)옥시도-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WO2007/149134호에 개시됨) 및 이의 부분 입체 이성체들 {[(1R)-1-(6-클로로피리딘-3-일)에틸](메틸)옥시도-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A) 및 {[(1S)-1-(6-클로로피리딘-3-일)에틸](메틸)옥시도-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B)(WO2007/149134호에 개시됨) 그리고 설폭사플로르 및 이의 부분 입체 이성체 [(R)-메틸(옥시도){(1R)-1-[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에틸}-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A1) 및 [(S)-메틸(옥시도){(1S)-1-[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에틸}-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A2)(부분 입체 이성체 A 군으로서도 칭하여짐)(WO2010/074747호 및 WO2010/074751호에 개시됨), [(R)-메틸(옥시도){(1S)-1-[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에틸}-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B1) 및 [(S)-메틸(옥시도){(1R)-1-[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에틸}-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B2)(부분 입체 이성체 B 군으로서 칭하여짐)(WO2010/074747호 및 WO2010/074751호에 개시됨), 그리고 11-(4-클로로-2,6-디메틸페닐)-12-하이드록시-1,4-디옥사-9-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덱-11-엔-10-온(WO2006/089633호에 개시됨), 3-(4'-플루오로-2,4-디메틸비페닐-3-일)-4-하이드록시-8-옥사-1-아자스피로[4.5]덱-3-엔-2-온(WO2008/067911호에 개시됨), 1-{2-플루오로-4-메틸-5-[(2,2,2-트리플루오르에틸)설피닐]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1H-1,2,4-트리아졸-5-아민(WO2006/043635호에 개시됨), [(3S,4aR,12R,12aS,12bS)-3-[(시클로프로필카보닐)옥시]-6,12-디하이드록시-4,12b-디메틸-11-옥소-9-(피리딘-3-일)-1,3,4,4a,5,6,6a,12,12a,12b-데카하이드로-2H,11H-벤조[f]-피라노[4,3-b]크로멘-4-일]메틸 시클로-프로판-카복실레이트(WO2008/066153호에 개시됨), 2-시아노-3-(디플루오로메톡시)-N,N-디메틸벤젠설폰아미드(WO2006/056433호에 개시됨), 2-시아노-3-(디플루오로메톡시)-N-메틸벤젠설폰아미드(WO2006/100288호에 개시됨), 2-시아노-3-(디플루오로메톡시)-N-에틸벤젠설폰아미드(WO2005/035486호에 개시됨), 4-(디플루오로메톡시)-N-에틸-N-메틸-1,2-벤조티아졸-3-아민 1,1-디옥사이드(WO2007/057407호에 개시됨), N-[1-(2,3-디메틸페닐)-2-(3,5-디메틸페닐)에틸]-4,5-디하이드로-1,3-티아졸-2-아민(WO2008/104503호에 개시됨), {1'-[(2E)-3-(4-클로로페닐)프로프-2-엔-1-일]-5-플루오로스피로[인돌-3,4'-피페리딘]-1(2H)-일}(2-클로로-피리딘-4-일)-메타논(WO2003/106457호에 개시됨), 3-(2,5-디메틸페닐)-4-하이드록시-8-메톡시-1,8-디아자스피로[4.5]덱-3-엔-2-온(WO2009/049851호에 개시됨), 3-(2,5-디메틸페닐)-8-메톡시-2-옥소-1,8-디아자-스피로[4.5]덱-3-엔-4-일 에틸 카보네이트(WO2009/049851호에 개시됨), 4-(부트-2-인-1-일옥시)-6-(3,5-디메틸피페리딘-1-일)-5-플루오로피리미딘(WO2004/099160호에 개시됨), (2,2,3,3,4,4,5,5-옥타플루오로펜틸)(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말로노니트릴(WO2005/063094호에 개시됨), (2,2,3,3,4,4,5,5-옥타플루오로펜틸)(3,3,4,4,4-펜타플루오로부틸)말로노니트릴(WO2005/063094호에 개시됨), 8-[2-(시클로프로필메톡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3-[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다진-3-일]-3-아자비시클로[3.2.1]옥탄(WO2007/040280호에 개시됨), 플로메토퀸, PF1364(CAS 등록 번호 1204776-60-2)(JP2010/018586호에 개시됨), 5-[5-(3,5-디클로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2-(1H-1,2,4-트리아졸-1-일)벤조니트릴(WO2007/075459호에 개시됨), 5-[5-(2-클로로피리딘-4-일)-5-(트리플루오로메틸)-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2-(1H-1,2,4-트리아졸-1-일)벤조니트릴(WO2007/075459호에 개시됨), 4-[5-(3,5-디클로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2-메틸-N-{2-옥소-2-[(2,2,2-트리플루오로에틸)아미노]-에틸}벤자미드(WO2005/085216호에 개시됨), 4-{[(6-클로로피리딘-3-일)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1,3-옥사졸-2(5H)-온, 4-{[(6-클로로피리딘-3-일)메틸](2,2-디플루오로에틸)-아미노}-1,3-옥사졸-2(5H)-온, 4-{[(6-클로로피리딘-3-일)메틸](에틸)-아미노}-1,3-옥사졸-2(5H)-온, 4-{[(6-클로로피리딘-3-일)메틸](메틸)아미노}-1,3-옥사졸-2(5H)-온(모두 WO2010/005692호에 개시됨), NNI-0711(WO2002/096882호에 개시됨), 1-아세틸-N-[4-(1,1,1,3,3,3-헥사플루오로-2-메톡시프로판-2-일)-3-이소부틸페닐]-N-이소부티릴-3,5-디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WO2002/096882호에 개시됨), 메틸 2-[2-({[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일]카보닐}아미노)-5-클로로-3-메틸벤조일]-2-메틸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WO2005/085216호에 개시됨), 메틸 2-[2-({[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일]카보닐}아미노)-5-시아노-3-메틸벤조일]-2-에틸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WO2005/085216호에 개시됨), 메틸2-[2-({[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일]카보닐}-아미노)-5-시아노-3-메틸벤조일]-2-메틸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WO2005/085216호에 개시됨), 메틸 2-[3,5-디브로모-2-({[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일]카보닐}아미노)-벤조일]-1,2-디에틸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WO2005/085216호에 개시됨), 메틸 2-[3,5-디브로모-2-({[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일]카보닐}-아미노)-벤조일]-2-에틸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WO2005/085216호에 개시됨), (5RS,7RS;5RS,7SR)-1-(6-클로로-3-피리딜메틸)-1,2,3,5,6,7-헥사하이드로-7-메틸-8-니트로-5-프로폭시이미다조[1,2-a]피리딘(WO2007/101369호에 개시됨), N-[2-(5-아미노-1,3,4-티아디아졸-2-일)-4-클로로-6-메틸페닐]-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카복사미드(CN102057925호에 개시됨) 및 메틸 2-[3,5-디브로모-2-({[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일]카보닐}-아미노)-벤조일]-2-에틸-1-메틸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WO2011/049233호에 개시됨); 알디모프, 아자코나졸, 비터타놀, 브로무코나졸, 사이프로코나졸, 디클로부트라졸, 디페노코나졸, 디니코나졸, 디니코나졸-M, 도데모프, 아세트산 도데모프, 에폭시코나졸, 에타코나졸, 페나리몰, 펜부코나졸, 펜헥사미드, 펜프로피딘, 펜프로피모프, 플루퀸코나졸, 플루르프리미돌, 플루실라졸, 플루트리아폴, 퍼코나졸, 퍼코나졸-시스, 헥사코나졸, 이마잘릴, 황산 이마잘릴, 이미벤코나졸, 입코나졸, 멧코나졸, 마이클로부타닐, 나프티핀, 누아리몰, 옥스포코나졸, 파클로부트라졸, 페푸라조에이트, 펜코나졸, 피페랄린, 프로클로라즈, 프로피코나졸, 프로티오코나졸, 피리부티카브, 피리페녹스, 퀸코나졸, 시메코나졸, 스피록사민, 테부코나졸, 터비나핀, 테트라코나졸, 트리아디메폰, 트리아디메놀, 트리데모프, 트리플루미졸, 트리포린, 트리티코나졸, 유니코나졸, 유니코나졸-p, 비니코나졸, 보리코나졸, 1-(4-클로로페닐)-2-(1H-1,2,4-트리아졸-1-일)시클로헵타놀, 메틸 1-(2,2-디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1-일)-1H-이미다졸-5-카복실레이트, N'-{5-(디플루오로메틸)-2-메틸-4-[3-(트리메틸실릴)-프로폭시]-페닐}-N-에틸-N-메틸이미도포름아미드, N-에틸-N-메틸-N'-{2-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4-[3-(트리메틸실릴)프로폭시]페닐}이미도포름아미드, O-[1-(4-메톡시페녹시)-3,3-디메틸부탄-2-일] 1H-이미다졸-1-카보티오에이트, 빅사펜, 보스칼리드, 카복신, 디플루메토림, 펜푸람, 플루오피람, 플루톨라닐, 플룩사피록사드, 푸라멧피르, 푸르메시클록스, 이소피라잠(신-에피머 라세미체 1RS,4SR,9RS 및 안티-에피머 라세미체 1RS,4SR,9SR의 혼합물), 이소피라잠(안티-에피머 라세미체 1RS,4SR,9SR), 이소피라잠(안티-에피머 거울 이성체 1R,4S,9S), 이소피라잠(안티-에피머 거울 이성체 1S,4R,9R), 이소피라잠(신-에피머 라세미체 1RS,4SR,9RS), 이소피라잠(신-에피머 거울 이성체 1R,4S,9R), 이소피라잠(신-에피머 거울 이성체 1S,4R,9S), 메프로닐, 옥시카복신, 펜플루펜, 펜티오피라드, 세닥산, 티플루자미드, 1-메틸-N-[2-(1,1,2,2-테트라플루오로에톡시)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1-메틸-N-[2-(1,1,2,2-테트라플루오로에톡시)페닐]-1H-피라졸-4-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N-[4-플루오로-2-(1,1,2,3,3,3-헥사플루오로프로폭시)페닐]-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N-[1-(2,4-디클로로페닐)-1-메톡시프로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5,8-디플루오로-N-[2-(2-플루오로-4-{[4-(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옥시}페닐)에틸]퀴나졸린-4-아민, N-[9-(디클로로메틸렌)-1,2,3,4-테트라하이드로-1,4-메타노나프탈렌-5-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N-[(1S,4R)-9-(디클로로메틸렌)-1,2,3,4-테트라하이드로-1,4-메타노나프탈렌-5-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N-[(1R,4S)-9-(디클로로메틸렌)-1,2,3,4-테트라하이드로-1,4-메타노나프탈렌-5-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아메톡트라딘, 아미설브롬, 아족시스트로빈, 시아조파미드, 쿠메톡시스트로빈, 쿠목시스트로빈, 디목시스트로빈, 에네스트로부린, 파목사돈, 페나미돈, 페녹시스트로빈, 플루옥사스트로빈, 크레속심-메틸, 메토미노스트로빈, 오리사스트로빈, 피콕시스트로빈, 피라클로스트로빈, 피라메토스트로빈, 피라옥시스트로빈, 피리벤카브, 트리클로피리카브, 트리플록시스트로빈, (2E)-2-(2-{[6-(3-클로로-2-메틸페녹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옥시}페닐)-2-(메톡시이미노)-N-메틸에타나미드, (2E)-2-(메톡시이미노)-N-메틸-2-(2-{[({(1E)-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리덴}아미노)옥시]메틸}페닐)에타나미드, (2E)-2-(메톡시이미노)-N-메틸-2-{2-[(E)-({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톡시}이미노)메틸]페닐}에타나미드, (2E)-2-{2-[({[(1E)-1-(3-{[(E)-1-플루오로-2-페닐에테닐]옥시}페닐)에틸리덴]아미노}옥시)메틸]페닐}-2-(메톡시이미노)-N-메틸에타나미드, (2E)-2-{2-[({[(2E,3E)-4-(2,6-디클로로페닐)부트-3-엔-2-일리덴]아미노}옥시)메틸]페닐}-2-(메톡시이미노)-N-메틸에타나미드, 2-클로로-N-(1,1,3-트리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4-일)피리딘-3-카복사미드, 5-메톡시-2-메틸-4-(2-{[({(1E)-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리덴}아미노)옥시]메틸}페닐)-2,4-디하이드로-3H-1,2,4-트리아졸-3-온, 메틸 (2E)-2-{2-[({시클로프로필[(4-메톡시페닐)이미노]메틸}설파닐)메틸]페닐}-3-메톡시프로프-2-에노에이트, N-(3-에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3-(포르밀아미노)-2-하이드록시벤자미드, 2-{2-[(2,5-디메틸페녹시)메틸]페닐}-2-메톡시-N-메틸아세타미드, (2R)-2-{2-[(2,5-디메틸페녹시)메틸]페닐}-2-메톡시-N-메틸아세타미드, 베노밀, 카벤다짐, 클로르페나졸, 디에토펜카브, 에타복삼, 플루오피콜리드, 푸베리다졸, 펜시쿠론, 티아벤다졸, 티오파네이트-메틸, 티오파네이트, 족사미드, 5-클로로-7-(4-메틸피페리딘-1-일)-6-(2,4,6-트리플루오로페닐)[1,2,4]트리아졸로[1,5-a]피리미딘, 3-클로로-5-(6-클로로피리딘-3-일)-6-메틸-4-(2,4,6-트리플루오로페닐)피리다진, 보르도 혼합물, 캡타폴, 캡탄, 클로로탈로닐, 수산화 구리, 나프텐산 구리, 산화 구리, 산염화 구리, 황산 구리(2+), 디클로플루아니드, 디티아논, 도딘, 도딘 유리 염기, 퍼밤, 플루오로폴펫, 폴펫, 구아자틴, 아세트산 구아자틴, 이미녹타딘, 알베실산 이미녹타딘, 삼아세트산 이미녹타딘, 만코퍼, 만코젭, 마넵, 메티람, 메티람 아연, 옥신-구리, 프로파미딘, 프로피넵, 황, 다황화 칼슘, 티람, 톨릴플루아니드, 지넵, 지람, 아시벤졸라-S-메틸, 이소티아닐, 프로베나졸, 티아디닐, 안도프림, 블라스티시딘-S, 사이프로디닐, 카수가마이신, 카수가마이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수화물, 메파니피림, 피리메타닐, 3-(5-플루오로-3,3,4,4-테트라메틸-3,4-디하이드로이소퀴놀린-1-일)퀴놀린, 아세트산 펜틴, 염화 펜틴, 수산화 펜틴, 실티오팜, 벤티아발리카브, 디메토모프, 플루모프, 이프로발리카브, 만디프로파미드, 폴리옥신, 폴리옥소림, 발리다마이신 A, 발리페날레이트, 비페닐, 클로로넵, 디클로란, 에디펜포스, 에트리디아졸, 요도카브, 이프로벤포스, 이소프로티올란, 프로파모카브, 프로파모카브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프로티오카브, 피라조포스, 퀸토젠, 테크나젠 톨클로포스-메틸, 카프로파미드, 디클로시멧, 페녹사닐, 프탈리드, 피로퀼론, 트리시클라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3-메틸-1-[(4-메틸벤조일)아미노]부탄-2-일}카바메이트, 베나락실, 베나락실-M (키랄락실), 부피리메이트, 클로질라콘, 디메티리몰, 에티리몰, 푸랄락실, 하이멕사졸, 메탈락실, 메탈락실-M (메페녹삼), 오푸레이스, 옥사딕실, 옥솔린산, 클로졸리네이트, 펜피클로닐, 플루디옥소닐, 이프로디온, 프로시미돈, 퀴녹시펜, 빈클로졸릴, 비나파크릴, 디노캡, 페림존, 플루아지남, 멥틸디노캡, 벤티아졸, 베톡사진, 캡시마이신, 카르본, 키노메티오냇, 피리오페논(클라자페논), 쿠프라넵, 시플루페나미드, 시목사닐, 사이프로설파미드, 다조멧, 데바카브, 디클로로펜, 디클로메진, 디펜조?, 메틸황산 디펜조?, 디페닐아민, 에코메이트, 펜피라자민, 플루메토버, 플루오로이미드, 플루설파미드, 플루티아닐, 포세틸-알루미늄, 포세틸-칼슘, 포세틸-소듐, 헥사클로로벤젠, 이루마마이신, 메타설포카브, 메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메트라페논, 밀디오마이신, 나타마이신, 니켈 디메틸디티오카바메이트, 니트로탈-이소프로필, 옥틸리논, 옥사모카브, 옥시펜티인, 펜타클로로페놀 및 염, 페노트린, 인산 및 이의 염, 프로파모카브-포세틸레이트, 프로파노신-소듐, 프로퀴나지드, 피리모프, (2E)-3-(4-tert-부틸페닐)-3-(2-클로로피리딘-4-일)-1-(모폴린-4-일)프로프-2-엔-1-온, (2Z)-3-(4-tert-부틸페닐)-3-(2-클로로피리딘-4-일)-1-(모폴린-4-일)프로프-2-엔-1-온, 피롤니트린, 테부플로퀸, 테클로프탈람, 톨니파니드, 트리아족시드, 트리클라미드, 자릴라미드, (3S,6S,7R,8R)-8-벤질-3-[({3-[(이소부티릴옥시)메톡시]-4-메톡시피리딘-2-일}카보닐)아미노]-6-메틸-4,9-디옥소-1,5-디옥소난-7-일 2-메틸프로파노에이트, 1-(4-{4-[(5R)-5-(2,6-디플루오로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에타논, 1-(4-{4-[(5S)-5-(2,6-디플루오로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에타논, 1-(4-{4-[5-(2,6-디플루오로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에타논, 1-(4-메톡시페녹시)-3,3-디메틸부탄-2-일 1H-이미다졸-1-카복실레이트, 2,3,5,6-테트라클로로-4-(메틸설포닐)피리딘, 2,3-디부틸-6-클로로티에노[2,3-d]피리미딘-4(3H)-온, 2,6-디메틸-1H,5H-[1,4]디티이노[2,3-c:5,6-c']디피롤-1,3,5,7(2H,6H)-테트론, 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1-(4-{4-[(5R)-5-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에타논, 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1-(4-{4-[(5S)-5-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에타논, 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1-{4-[4-(5-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에타논, 2-부톡시-6-요도-3-프로필-4H-크로멘-4-온, 2-클로로-5-[2-클로로-1-(2,6-디플루오로-4-메톡시페닐)-4-메틸-1H-이미다졸-5-일]피리딘, 2-페닐페놀 및 염, 3-(4,4,5-트리플루오로-3,3-디메틸-3,4-디하이드로이소퀴놀린-1-일)퀴놀린, 3,4,5-트리클로로피리딘-2,6-디카보니트릴, 3-[5-(4-클로로페닐)-2,3-디메틸-1,2-옥사졸리딘-3-일]피리딘, 3-클로로-5-(4-클로로페닐)-4-(2,6-디플루오로페닐)-6-메틸피리다진, 4-(4-클로로페닐)-5-(2,6-디플루오로-페닐)-3,6-디메틸피리다진, 5-아미노-1,3,4-티아디아졸-2-티올, 5-클로로-N'-페닐-N'-(프로프-2-인-1-일)티오펜-2-설포노히드라지드, 5-플루오로-2-[(4-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4-아민, 5-플루오로-2-[(4-메틸벤질)옥시]피리미딘-4-아민, 5-메틸-6-옥틸[1,2,4]트리아졸로[1,5-a]피리미딘-7-아민, 에틸 (2Z)-3-아미노-2-시아노-3-페닐프로프-2-에노에이트, N'-(4-{[3-(4-클로로벤질)-1,2,4-티아디아졸-5-일]옥시}-2,5-디메틸페닐)-N-에틸-N-메틸이미도포름아미드, N-(4-클로로벤질)-3-[3-메톡시-4-(프로프-2-인-1-일옥시)페닐]프로파나미드, N-[(4-클로로페닐)(시아노)메틸]-3-[3-메톡시-4-(프로프-2-인-1-일옥시)페닐]프로파나미드, N-[(5-브로모-3-클로로피리딘-2-일)메틸]-2,4-디클로로피리딘-3-카복사미드, N-[1-(5-브로모-3-클로로피리딘-2-일)에틸]-2,4-디클로로-피리딘-3-카복사미드, N-[1-(5-브로모-3-클로로피리딘-2-일)에틸]-2-플루오로-4-요도-피리딘-3-카복사미드, N-{(E)-[(시클로프로필메톡시)이미노][6-(디플루오로메톡시)-2,3-디플루오로페닐]-메틸}-2-페닐-아세타미드, N-{(Z)-[(시클로프로필메톡시)이미노][6-(디플루오로메톡시)-2,3-디플루오로-페닐]-메틸}-2-페닐아세타미드, N'-{4-[(3-tert-부틸-4-시아노-1,2-티아졸-5-일)옥시]-2-클로로-5-메틸페닐}-N-에틸-N-메틸이미도포름아미드, N-메틸-2-(1-{[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N-(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일)-1,3-티아졸-4-카복사미드, N-메틸-2-(1-{[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N-[(1R)-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일]-1,3-티아졸-4-카복사미드, N-메틸-2-(1-{[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N-[(1S)-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일]-1,3-티아졸-4-카복사미드, 펜틸 {6-[({[(1-메틸-1H-테트라졸-5-일)(페닐)-메틸리덴]아미노}옥시)메틸]피리딘-2-일}카바메이트, 페나진-1-카복실산, 퀴놀린-8-올, 황산 퀴놀린-8-올(2:1), tert-부틸 {6-[({[(1-메틸-1H-테트라졸-5-일)(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메틸]피리딘-2-일}카바메이트, 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N-[2'-(트리플루오로메틸)비페닐-2-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N-(4'-클로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N-(2',4'-디클로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1-메틸-N-[4'-(트리플루오로메틸)비페닐-2-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N-(2',5'-디플루오로비페닐-2-일)-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1-메틸-N-[4'-(프로프-1-인-1-일)비페닐-2-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5-플루오로-1,3-디메틸-N-[4'-(프로프-1-인-1-일)비페닐-2-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2-클로로-N-[4'-(프로프-1-인-1-일)비페닐-2-일]피리딘-3-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N-[4'-(3,3-디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N-[4'-(3,3-디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5-플루오로-1,3-디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N-(4'-에티닐비페닐-2-일)-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N-(4'-에티닐비페닐-2-일)-5-플루오로-1,3-디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2-클로로-N-(4'-에티닐비페닐-2-일)피리딘-3-카복사미드, 2-클로로-N-[4'-(3,3-디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피리딘-3-카복사미드, 4-(디플루오로메틸)-2-메틸-N-[4'-(트리플루오로메틸)비페닐-2-일]-1,3-티아졸-5-카복사미드, 5-플루오로-N-[4'-(3-하이드록시-3-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1,3-디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2-클로로-N-[4'-(3-하이드록시-3-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피리딘-3-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N-[4'-(3-메톡시-3-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5-플루오로-N-[4'-(3-메톡시-3-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1,3-디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2-클로로-N-[4'-(3-메톡시-3-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피리딘-3-카복사미드, (5-브로모-2-메톡시-4-메틸피리딘-3-일)(2,3,4-트리메톡시-6-메틸페닐)메타논, N-[2-(4-{[3-(4-클로로페닐)프로프-2-인-1-일]옥시}-3-메톡시페닐)에틸]-N2-(메틸설포닐)발리나미드, 4-옥소-4-[(2-페닐에틸)아미노]부탄산, 부트-3-인-1-일 {6-[({[(Z)-(1-메틸-1H-테트라졸-5-일)-(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메틸]피리딘-2-일}카바메이트.
  16. 제6항 또는 제7항에 의한 유전자 이식 대두 식물의 종자로부터 생장된 대두가 존재하는 노지에 하나 이상의 부가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 또는 내성을 식물에 제공할 수 있는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2개 이상의 제초제 혼합물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잡초 방제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적용은 (i) 탱크 믹스 적용, (ii) 후속 분무 및 (iii) 예비 믹스 적용의 형태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제초제 혼합물은 하기로 이루어진 조합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a. 메소트리온, 글루포시네이트
    b. 메소트리온, 글리포세이트
    c. 메소트리온,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d. 메소트리온, 글리포세이트, 디캄바
    e. 메소트리온, 글리포세이트, 2,4-D
    f. 메소트리온, 글루포시네이트, 글루포시네이트
    g. 메소트리온, 글루포시네이트, 디캄바
    h. 메소트리온, 글루포시네이트, 2,4-D
    i. 메소트리온,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디캄바
    j. 메소트리온,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2,4-D
    k. 메소트리온,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디캄바, 2,4-D
    l. 설코트리온, 글루포시네이트
    m. 설코트리온, 글리포세이트
    n. 설코트리온,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o. 설코트리온, 글리포세이트, 디캄바
    p. 설코트리온, 글리포세이트, 2,4-D
    q. 설코트리온, 글루포시네이트, 글루포시네이트
    r. 설코트리온, 글루포시네이트, 디캄바
    s. 설코트리온, 글루포시네이트, 2,4-D
    t. 설코트리온,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디캄바
    u. 설코트리온,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2,4-D
    v. 설코트리온,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디캄바, 2,4-D
    w. 비시클로피론, 글루포시네이트
    x. 비시클로피론, 글리포세이트
    y. 비시클로피론,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z. 비시클로피론, 글리포세이트, 디캄바
    aa. 비시클로피론, 글리포세이트, 2,4-D
    bb. 비시클로피론, 글루포시네이트, 글루포시네이트
    cc. 비시클로피론, 글루포시네이트, 디캄바
    dd. 비시클로피론, 글루포시네이트, 2,4-D
    ee. 비시클로피론,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디캄바
    ff. 비시클로피론,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2,4-D
    gg. 비시클로피론,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디캄바, 2,4-D
    hh. 이속사플루톨, 글루포시네이트
    ii. 이속사플루톨, 글리포세이트
    jj. 이속사플루톨,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kk. 이속사플루톨, 글리포세이트, 디캄바
    ll. 이속사플루톨, 글리포세이트, 2,4-D
    mm. 이속사플루톨, 글루포시네이트, 글루포시네이트
    nn. 이속사플루톨, 글루포시네이트, 디캄바
    oo. 이속사플루톨, 글루포시네이트, 2,4-D
    pp. 이속사플루톨,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디캄바
    qq. 이속사플루톨,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2,4-D
    rr. 이속사플루톨,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디캄바, 2,4-D
    ss. 템보트리온, 글루포시네이트
    tt. 템보트리온, 글리포세이트
    uu. 템보트리온,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vv. 템보트리온, 글리포세이트, 디캄바
    ww. 템보트리온, 글리포세이트, 2,4-D
    xx. 템보트리온, 글루포시네이트, 글루포시네이트
    yy. 템보트리온, 글루포시네이트, 디캄바
    zz. 템보트리온, 글루포시네이트, 2,4-D
    aaa. 템보트리온,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디캄바
    bbb. 템보트리온,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2,4-D
    ccc. 템보트리온,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디캄바, 2,4-D
    ddd. 토프라메존, 글루포시네이트
    eee. 토프라메존, 글리포세이트
    fff. 토프라메존,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ggg. 토프라메존, 글리포세이트, 디캄바
    hhh. 토프라메존, 글리포세이트, 2,4-D
    iii. 토프라메존, 글루포시네이트, 글루포시네이트
    jjj. 토프라메존, 글루포시네이트, 디캄바
    kkk. 토프라메존, 글루포시네이트, 2,4-D
    lll. 토프라메존,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디캄바
    mmm. 토프라메존,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2,4-D
    nnn. 토프라메존,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디캄바, 2,4-D
    ooo. 피라설파톨, 글루포시네이트
    ppp. 피라설파톨, 글리포세이트
    qqq. 피라설파톨,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rrr. 피라설파톨, 글리포세이트, 디캄바
    sss. 피라설파톨, 글리포세이트, 2,4-D
    ttt. 피라설파톨, 글루포시네이트, 글루포시네이트
    uuu. 피라설파톨, 글루포시네이트, 디캄바
    vvv. 피라설파톨, 글루포시네이트, 2,4-D
    www. 피라설파톨,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디캄바
    xxx. 피라설파톨,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2,4-D
    yyy. 피라설파톨,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디캄바, 2,4-D.
  19.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대두 식물 생육 방법:
    i) 제6항 또는 제7항에 의한 유전자 이식 대두 식물의 종자를 식재하는 단계;
    iii) 하기의 살충, 진드기 구제, 살선충 또는 연체 동물 구충 활성 성분 군들로부터 선택되는 살충제를 적용하는 단계:
    알라니카브, 알디카브, 벤디오카브, 벤푸라카브, 부토카복심, 부톡시카복심, 카바릴, 카보푸란, 카보설판, 에티오펜카브, 페노부카브, 포르메타네이트, 푸라티오카브, 이소프로카브, 메티오카브, 메토밀, 메톨카브, 옥사밀, 피리미카브, 프로폭서, 티오디카브, 티오파녹스, 트리아자메이트, 트리메타카브, XMC, 자일릴카브; 아세페이트, 아자메티포스, 아진포스-에틸, 아진포스-메틸, 카두사포스, 클로레톡시포스, 클로르펜빈포스, 클로르메포스, 클로르피리포스, 클로르피리포스-메틸, 쿠마포스, 시아노포스, 데메톤-S-메틸, 디아지논, 디클로르보스/DDVP, 디크로토포스, 디메토에이트, 디메틸빈포스, 디설포톤, EPN, 에티온, 에토프로포스, 팜푸르, 페나미포스, 페니트로티온, 펜티온, 포스티아제이트, 헵테노포스, 이미시아포스, 이소펜포스, 이소프로필 O-(메톡시아미노티오-포스포릴) 살리실레이트, 이속사티온, 말라티온, 메카밤, 메타미도포스, 메티다티온, 메빈포스, 모노크로토포스, 날레드, 오메토에이트, 옥시데메톤-메틸, 파라티온, 파라티온-메틸, 펜토에이트, 포레이트, 포살론, 포스멧, 포스파미돈, 폭심, 피리미포스-메틸, 프로페노포스, 프로페탐포스, 프로티오포스, 피라클로포스, 피리다펜티온, 퀴날포스, 설포텝, 테부피림포스, 테메포스, 터부포스, 테트라클로르빈포스, 티오메톤, 트리아조포스, 트리클로르폰, 바미도티온, 시클로디엔 유기 염소제, 클로르데인, 엔도설판; 에티프롤, 피프로닐, 아크리나트린, 알레트린, d-시스-트랜스 알레트린, d-트랜스 알레트린, 비펜트린, 바이오알레트린, 바이오알레트린 S-시클로펜테닐 이성체, 바이오레스메트린, 시클로프로트린, 시플루트린, 베타-시플루트린, 시할로트린, 람다-시할로트린, 감마-시할로트린, 사이퍼메트린, 알파-사이퍼메트린, 베타-사이퍼메트린, 세타-사이퍼메트린, 제타-사이퍼메트린, 사이페노트린 [(1R)-트랜스 이성체], 델타메트린, 엠펜트린 [(EZ)-(1R) 이성체], 에스펜발러레이트, 에토펜프록스, 펜프로파트린, 펜발러레이트, 플루시트리네이트, 플루메트린, 토우-플루발리네이트, 할펜프록스, 이미프로트린, 카데트린, 퍼메트린, 페노트린 [(1R)-트랜스 이성체], 프랄레트린, 피레트린(피레트럼), 레스메트린, 실라플루오펜, 테플루트린, 테트라메트린, 테트라메트린 [(1R) 이성체], 트랄로메트린, 트랜스플루트린; DDT; 메톡시클로르, 아세타미프리드, 클로티아니딘, 디노테푸란, 이미다클로프리드, 니텐피람, 티아클로프리드, 티아메톡삼; 니코틴, 스피네토람, 스피노사드, 아바멕틴, 에마멕틴 벤조에이트, 레피멕틴, 밀베멕틴, 하이드로프렌, 키노프렌, 메토프렌; 페녹시카브; 피리프록시펜, 클로로피크린; 플루오르화 설푸릴; 보락스; 타르타르 에메틱, 피메트로진; 플로니카미드, 클로펜테진, 헥시티아족스, 디플로비다진, 에톡사졸,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아종 이스라엘렌시스(israelensis), 바실러스 스파에리쿠스(Bacillus sphaericus),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아종 아이자와이(aizawai),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아종 커스타키(kurstaki),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아종 테네브리오니스(tenebrionis), BT 농작물 단백질: Cry1Ab, Cry1Ac, Cry1Fa, Cry2Ab, mCry3A, Cry3Ab, Cry3Bb, Cry34/35Ab1, 디아펜티우론, 아조시클로틴, 시헥사틴, 산화 펜부타틴; 프로파기트, 테트라디폰, 클로르페나피르, DNOC, 설플루라미드, 벤설탭, 카르탭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티오시클람, 티오설탭-소듐, 비스트리플루론, 클로르플루아주론, 디플루벤주론, 플루시클록수론, 플루페녹수론, 헥사플루무론, 루페누론, 노발루론, 노비플루무론, 테플루벤주론, 트리플루무론, 부프로페진, 사이로마진, 크로마페노지드, 할로페노지드, 메톡시페노지드, 테부페노지드, 아미트라즈, 하이드라메틸논; 아세퀴노실; 플루아크리피림, 페나자퀸, 펜피록시메이트, 피리미디펜, 피리다벤, 테부펜피라드, 톨펜피라드, 로테논(데리스), 인독사카브; 메타플루미존, 스피로디클로펜, 스피로메시펜, 스피로테트라맷, 인화 알루미늄, 인화 칼슘, 포스핀, 인화 아연, 시에노피라펜, 클로란트라닐리프롤, 플루벤디아미드, 아미도플루멧, 아자디라크틴, 벤클로티아즈, 벤족시메이트, 비페나제이트, 브로모프로필레이트, 키노메티오냇, 크라이올라이트, 시안트라닐리프롤(시아지피르), 사이플루메토펜, 디코폴, 디플로비다진, 플루엔설폰, 플루페네림, 플루피프롤, 플루오피람, 푸페노지드, 이미다클로티즈, 이프로디온, 메퍼플루트린, 피리달릴, 피리플루퀴나존, 테트라메틸플루트린, 요도메탄; 균주 CNCM I-1582, VOTiVO™, BioNem; 3-브로모-N-{2-브로모-4-클로로-6-[(1-시클로프로필에틸)카바모일]페닐}-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카복사미드(WO2005/077934호에 개시됨), 4-{[(6-브로모피리딘-3-일)메틸](2-플루오로에틸)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4호에 개시됨), 4-{[(6-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2,2-디플루오로에틸)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4호에 개시됨), 4-{[(2-클로로-1,3-티아졸-5-일)메틸](2-플루오로에틸)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4호에 개시됨), 4-{[(6-클로르피리딘-3-일)메틸](2-플루오로에틸)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4호에 개시됨), 플루피라디푸론, 4-{[(6-클로르-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메틸)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3호에 개시됨), 4-{[(5,6-디클로로피리딘-3-일)메틸](2-플루오로에틸)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6호에 개시됨), 4-{[(6-클로로-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3호에 개시됨), 4-{[(6-클로로피리딘-3-일)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푸란-2(5H)-온(EP-A-0 539 588호에 개시됨), 4-{[(6-클로르피리딘-3-일)-메틸](메틸)아미노}푸란-2(5H)-온(EP-A-0 539 588호에 개시됨), {[1-(6-클로로피리딘-3-일)에틸](메틸)옥시도-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WO2007/149134호에 개시됨) 및 이의 부분 입체 이성체들 {[(1R)-1-(6-클로로피리딘-3-일)에틸](메틸)옥시도-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A) 및 {[(1S)-1-(6-클로로피리딘-3-일)에틸](메틸)옥시도-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B)(WO2007/149134호에 개시됨) 그리고 설폭사플로르 및 이의 부분 입체 이성체 [(R)-메틸(옥시도){(1R)-1-[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에틸}-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A1) 및 [(S)-메틸(옥시도){(1S)-1-[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에틸}-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A2)(부분 입체 이성체 A 군으로서도 칭하여짐)(WO2010/074747호 및 WO2010/074751호에 개시됨), [(R)-메틸(옥시도){(1S)-1-[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에틸}-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B1) 및 [(S)-메틸(옥시도){(1R)-1-[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에틸}-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B2)(부분 입체 이성체 B 군으로서 칭하여짐)(WO2010/074747호 및 WO2010/074751호에 개시됨), 그리고 11-(4-클로로-2,6-디메틸페닐)-12-하이드록시-1,4-디옥사-9-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덱-11-엔-10-온(WO2006/089633호에 개시됨), 3-(4'-플루오로-2,4-디메틸비페닐-3-일)-4-하이드록시-8-옥사-1-아자스피로[4.5]덱-3-엔-2-온(WO2008/067911호에 개시됨), 1-{2-플루오로-4-메틸-5-[(2,2,2-트리플루오르에틸)설피닐]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1H-1,2,4-트리아졸-5-아민(WO2006/043635호에 개시됨), [(3S,4aR,12R,12aS,12bS)-3-[(시클로프로필카보닐)옥시]-6,12-디하이드록시-4,12b-디메틸-11-옥소-9-(피리딘-3-일)-1,3,4,4a,5,6, 6a,12,12a,12b-데카하이드로-2H,11H-벤조[f]-피라노[4,3-b]크로멘-4-일]메틸 시클로-프로판-카복실레이트(WO2008/066153호에 개시됨), 2-시아노-3-(디플루오로메톡시)-N,N-디메틸벤젠설폰아미드(WO2006/056433호에 개시됨), 2-시아노-3-(디플루오로메톡시)-N-메틸벤젠설폰아미드(WO2006/100288호에 개시됨), 2-시아노-3-(디플루오로메톡시)-N-에틸벤젠설폰아미드(WO2005/035486호에 개시됨), 4-(디플루오로메톡시)-N-에틸-N-메틸-1,2-벤조티아졸-3-아민 1,1-디옥사이드(WO2007/057407호에 개시됨), N-[1-(2,3-디메틸페닐)-2-(3,5-디메틸페닐)에틸]-4,5-디하이드로-1,3-티아졸-2-아민(WO2008/104503호에 개시됨), {1'-[(2E)-3-(4-클로로페닐)프로프-2-엔-1-일]-5-플루오로스피로[인돌-3,4'-피페리딘]-1(2H)-일}(2-클로로-피리딘-4-일)-메타논(WO2003/106457호에 개시됨), 3-(2,5-디메틸페닐)-4-하이드록시-8-메톡시-1,8-디아자스피로[4.5]덱-3-엔-2-온(WO2009/049851호에 개시됨), 3-(2,5-디메틸페닐)-8-메톡시-2-옥소-1,8-디아자-스피로[4.5]덱-3-엔-4-일 에틸 카보네이트(WO2009/049851호에 개시됨), 4-(부트-2-인-1-일옥시)-6-(3,5-디메틸피페리딘-1-일)-5-플루오로피리미딘(WO2004/099160호에 개시됨), (2,2,3,3,4,4,5,5-옥타플루오로펜틸)(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말로노니트릴(WO2005/063094호에 개시됨), (2,2,3,3,4,4,5,5-옥타플루오로펜틸)(3,3,4,4,4-펜타플루오로부틸)말로노니트릴(WO2005/063094호에 개시됨), 8-[2-(시클로프로필메톡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3-[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다진-3-일]-3-아자비시클로[3.2.1]옥탄(WO2007/040280호에 개시됨), 플로메토퀸, PF1364(CAS 등록 번호 1204776-60-2)(JP2010/018586호에 개시됨), 5-[5-(3,5-디클로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2-(1H-1,2,4-트리아졸-1-일)벤조니트릴(WO2007/075459호에 개시됨), 5-[5-(2-클로로피리딘-4-일)-5-(트리플루오로메틸)-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2-(1H-1,2,4-트리아졸-1-일)벤조니트릴(WO2007/075459호에 개시됨), 4-[5-(3,5-디클로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2-메틸-N-{2-옥소-2-[(2,2,2-트리플루오로에틸)아미노]-에틸}벤자미드(WO2005/085216호에 개시됨), 4-{[(6-클로로피리딘-3-일)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1,3-옥사졸-2(5H)-온, 4-{[(6-클로로피리딘-3-일)메틸](2,2-디플루오로에틸)-아미노}-1,3-옥사졸-2(5H)-온, 4-{[(6-클로로피리딘-3-일)메틸](에틸)-아미노}-1,3-옥사졸-2(5H)-온, 4-{[(6-클로로피리딘-3-일)메틸](메틸)아미노}-1,3-옥사졸-2(5H)-온(모두 WO2010/005692호에 개시됨), NNI-0711(WO2002/096882호에 개시됨), 1-아세틸-N-[4-(1,1,1,3,3,3-헥사플루오로-2-메톡시프로판-2-일)-3-이소부틸페닐]-N-이소부티릴-3,5-디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WO2002/096882호에 개시됨), 메틸 2-[2-({[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일]카보닐}아미노)-5-클로로-3-메틸벤조일]-2-메틸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WO2005/085216호에 개시됨), 메틸 2-[2-({[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일]카보닐}아미노)-5-시아노-3-메틸벤조일]-2-에틸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WO2005/085216호에 개시됨), 메틸2-[2-({[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일]카보닐}-아미노)-5-시아노-3-메틸벤조일]-2-메틸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WO2005/085216호에 개시됨), 메틸 2-[3,5-디브로모-2-({[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일]카보닐}아미노)-벤조일]-1,2-디에틸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WO2005/085216호에 개시됨), 메틸 2-[3,5-디브로모-2-({[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일]카보닐}-아미노)-벤조일]-2-에틸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WO2005/085216호에 개시됨), (5RS,7RS;5RS,7SR)-1-(6-클로로-3-피리딜메틸)-1,2,3,5,6,7-헥사하이드로-7-메틸-8-니트로-5-프로폭시이미다조[1,2-a]피리딘(WO2007/101369호에 개시됨), N-[2-(5-아미노-1,3,4-티아디아졸-2-일)-4-클로로-6-메틸페닐]-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카복사미드(CN102057925호에 개시됨) 및 메틸 2-[3,5-디브로모-2-({[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일]카보닐}-아미노)-벤조일]-2-에틸-1-메틸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WO2011/049233호에 개시됨); 및
    iv) 알디모프, 아자코나졸, 비터타놀, 브로무코나졸, 사이프로코나졸, 디클로부트라졸, 디페노코나졸, 디니코나졸, 디니코나졸-M, 도데모프, 아세트산 도데모프, 에폭시코나졸, 에타코나졸, 페나리몰, 펜부코나졸, 펜헥사미드, 펜프로피딘, 펜프로피모프, 플루퀸코나졸, 플루르프리미돌, 플루실라졸, 플루트리아폴, 퍼코나졸, 퍼코나졸-시스, 헥사코나졸, 이마잘릴, 황산 이마잘릴, 이미벤코나졸, 입코나졸, 멧코나졸, 마이클로부타닐, 나프티핀, 누아리몰, 옥스포코나졸, 파클로부트라졸, 페푸라조에이트, 펜코나졸, 피페랄린, 프로클로라즈, 프로피코나졸, 프로티오코나졸, 피리부티카브, 피리페녹스, 퀸코나졸, 시메코나졸, 스피록사민, 테부코나졸, 터비나핀, 테트라코나졸, 트리아디메폰, 트리아디메놀, 트리데모프, 트리플루미졸, 트리포린, 트리티코나졸, 유니코나졸, 유니코나졸-p, 비니코나졸, 보리코나졸, 1-(4-클로로페닐)-2-(1H-1,2,4-트리아졸-1-일)시클로헵타놀, 메틸 1-(2,2-디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1-일)-1H-이미다졸-5-카복실레이트, N'-{5-(디플루오로메틸)-2-메틸-4-[3-(트리메틸실릴)프로폭시]-페닐}-N-에틸-N-메틸이미도포름아미드, N-에틸-N-메틸-N'-{2-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4-[3-(트리메틸실릴)프로폭시]페닐}이미도포름아미드, O-[1-(4-메톡시페녹시)-3,3-디메틸부탄-2-일] 1H-이미다졸-1-카보티오에이트, 빅사펜, 보스칼리드, 카복신, 디플루메토림, 펜푸람, 플루오피람, 플루톨라닐, 플룩사피록사드, 푸라멧피르, 푸르메시클록스, 이소피라잠(신-에피머 라세미체 1RS,4SR,9RS 및 안티-에피머 라세미체 1RS,4SR,9SR의 혼합물), 이소피라잠(안티-에피머 라세미체 1RS,4SR,9SR), 이소피라잠(안티-에피머 거울 이성체 1R,4S,9S), 이소피라잠(안티-에피머 거울 이성체 1S,4R,9R), 이소피라잠(신-에피머 라세미체 1RS,4SR,9RS), 이소피라잠(신-에피머 거울 이성체 1R,4S,9R), 이소피라잠(신-에피머 거울 이성체 1S,4R,9S), 메프로닐, 옥시카복신, 펜플루펜, 펜티오피라드, 세닥산, 티플루자미드, 1-메틸-N-[2-(1,1,2,2-테트라플루오로에톡시)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1-메틸-N-[2-(1,1,2,2-테트라플루오로에톡시)페닐]-1H-피라졸-4-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N-[4-플루오로-2-(1,1,2,3,3,3-헥사플루오로프로폭시)페닐]-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N-[1-(2,4-디클로로페닐)-1-메톡시프로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5,8-디플루오로-N-[2-(2-플루오로-4-{[4-(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옥시}페닐)에틸]퀴나졸린-4-아민, N-[9-(디클로로메틸렌)-1,2,3,4-테트라하이드로-1,4-메타노나프탈렌-5-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N-[(1S,4R)-9-(디클로로메틸렌)-1,2,3,4-테트라하이드로-1,4-메타노나프탈렌-5-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N-[(1R,4S)-9-(디클로로메틸렌)-1,2,3,4-테트라하이드로-1,4-메타노나프탈렌-5-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아메톡트라딘, 아미설브롬, 아족시스트로빈, 시아조파미드, 쿠메톡시스트로빈, 쿠목시스트로빈, 디목시스트로빈, 에네스트로부린, 파목사돈, 페나미돈, 페녹시스트로빈, 플루옥사스트로빈, 크레속심-메틸, 메토미노스트로빈, 오리사스트로빈, 피콕시스트로빈, 피라클로스트로빈, 피라메토스트로빈, 피라옥시스트로빈, 피리벤카브, 트리클로피리카브, 트리플록시스트로빈, (2E)-2-(2-{[6-(3-클로로-2-메틸페녹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옥시}페닐)-2-(메톡시이미노)-N-메틸에타나미드, (2E)-2-(메톡시이미노)-N-메틸-2-(2-{[({(1E)-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리덴}아미노)옥시]메틸}페닐)에타나미드, (2E)-2-(메톡시이미노)-N-메틸-2-{2-[(E)-({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톡시}이미노)메틸]페닐}에타나미드, (2E)-2-{2-[({[(1E)-1-(3-{[(E)-1-플루오로-2-페닐에테닐]옥시}페닐)에틸리덴]아미노}옥시)메틸]페닐}-2-(메톡시이미노)-N-메틸에타나미드, (2E)-2-{2-[({[(2E,3E)-4-(2,6-디클로로페닐)부트-3-엔-2-일리덴]아미노}옥시)메틸]페닐}-2-(메톡시이미노)-N-메틸에타나미드, 2-클로로-N-(1,1,3-트리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4-일)피리딘-3-카복사미드, 5-메톡시-2-메틸-4-(2-{[({(1E)-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리덴}아미노)옥시]메틸}페닐)-2,4-디하이드로-3H-1,2,4-트리아졸-3-온, 메틸 (2E)-2-{2-[({시클로프로필[(4-메톡시페닐)이미노]메틸}설파닐)메틸]페닐}-3-메톡시프로프-2-에노에이트, N-(3-에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3-(포르밀아미노)-2-하이드록시벤자미드, 2-{2-[(2,5-디메틸페녹시)메틸]페닐}-2-메톡시-N-메틸아세타미드, (2R)-2-{2-[(2,5-디메틸페녹시)메틸]페닐}-2-메톡시-N-메틸아세타미드, 베노밀, 카벤다짐, 클로르페나졸, 디에토펜카브, 에타복삼, 플루오피콜리드, 푸베리다졸, 펜시쿠론, 티아벤다졸, 티오파네이트-메틸, 티오파네이트, 족사미드, 5-클로로-7-(4-메틸피페리딘-1-일)-6-(2,4,6-트리플루오로페닐)[1,2,4]트리아졸로[1,5-a]피리미딘, 3-클로로-5-(6-클로로피리딘-3-일)-6-메틸-4-(2,4,6-트리플루오로페닐)피리다진, 보르도 혼합물, 캡타폴, 캡탄, 클로로탈로닐, 수산화 구리, 나프텐산 구리, 산화 구리, 산염화 구리, 황산 구리(2+), 디클로플루아니드, 디티아논, 도딘, 도딘 유리 염기, 퍼밤, 플루오로폴펫, 폴펫, 구아자틴, 아세트산 구아자틴, 이미녹타딘, 알베실산 이미녹타딘, 삼아세트산 이미녹타딘, 만코퍼, 만코젭, 마넵, 메티람, 메티람 아연, 옥신-구리, 프로파미딘, 프로피넵, 황, 다황화 칼슘, 티람, 톨릴플루아니드, 지넵, 지람, 아시벤졸라-S-메틸, 이소티아닐, 프로베나졸, 티아디닐, 안도프림, 블라스티시딘-S, 사이프로디닐, 카수가마이신, 카수가마이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수화물, 메파니피림, 피리메타닐, 3-(5-플루오로-3,3,4,4-테트라메틸-3,4-디하이드로이소퀴놀린-1-일)퀴놀린, 아세트산 펜틴, 염화 펜틴, 수산화 펜틴, 실티오팜, 벤티아발리카브, 디메토모프, 플루모프, 이프로발리카브, 만디프로파미드, 폴리옥신, 폴리옥소림, 발리다마이신 A, 발리페날레이트, 비페닐, 클로로넵, 디클로란, 에디펜포스, 에트리디아졸, 요도카브, 이프로벤포스, 이소프로티올란, 프로파모카브, 프로파모카브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프로티오카브, 피라조포스, 퀸토젠, 테크나젠 톨클로포스-메틸, 카프로파미드, 디클로시멧, 페녹사닐, 프탈리드, 피로퀼론, 트리시클라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3-메틸-1-[(4-메틸벤조일)아미노]부탄-2-일}카바메이트, 베나락실, 베나락실-M (키랄락실), 부피리메이트, 클로질라콘, 디메티리몰, 에티리몰, 푸랄락실, 하이멕사졸, 메탈락실, 메탈락실-M (메페녹삼), 오푸레이스, 옥사딕실, 옥솔린산, 클로졸리네이트, 펜피클로닐, 플루디옥소닐, 이프로디온, 프로시미돈, 퀴녹시펜, 빈클로졸릴, 비나파크릴, 디노캡, 페림존, 플루아지남, 멥틸디노캡, 벤티아졸, 베톡사진, 캡시마이신, 카르본, 키노메티오냇, 피리오페논(클라자페논), 쿠프라넵, 시플루페나미드, 시목사닐, 사이프로설파미드, 다조멧, 데바카브, 디클로로펜, 디클로메진, 디펜조?, 메틸황산 디펜조?, 디페닐아민, 에코메이트, 펜피라자민, 플루메토버, 플루오로이미드, 플루설파미드, 플루티아닐, 포세틸-알루미늄, 포세틸-칼슘, 포세틸-소듐, 헥사클로로벤젠, 이루마마이신, 메타설포카브, 메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메트라페논, 밀디오마이신, 나타마이신, 니켈 디메틸디티오카바메이트, 니트로탈-이소프로필, 옥틸리논, 옥사모카브, 옥시펜티인, 펜타클로로페놀 및 염, 페노트린, 인산 및 이의 염, 프로파모카브-포세틸레이트, 프로파노신-소듐, 프로퀴나지드, 피리모프, (2E)-3-(4-tert-부틸페닐)-3-(2-클로로피리딘-4-일)-1-(모폴린-4-일)프로프-2-엔-1-온, (2Z)-3-(4-tert-부틸페닐)-3-(2-클로로피리딘-4-일)-1-(모폴린-4-일)프로프-2-엔-1-온, 피롤니트린, 테부플로퀸, 테클로프탈람, 톨니파니드, 트리아족시드, 트리클라미드, 자릴라미드, (3S,6S,7R,8R)-8-벤질-3-[({3-[(이소부티릴옥시)메톡시]-4-메톡시피리딘-2-일}카보닐)아미노]-6-메틸-4,9-디옥소-1,5-디옥소난-7-일 2-메틸프로파노에이트, 1-(4-{4-[(5R)-5-(2,6-디플루오로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에타논, 1-(4-{4-[(5S)-5-(2,6-디플루오로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에타논, 1-(4-{4-[5-(2,6-디플루오로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에타논, 1-(4-메톡시페녹시)-3,3-디메틸부탄-2-일 1H-이미다졸-1-카복실레이트, 2,3,5,6-테트라클로로-4-(메틸설포닐)피리딘, 2,3-디부틸-6-클로로티에노[2,3-d]피리미딘-4(3H)-온, 2,6-디메틸-1H,5H-[1,4]디티이노[2,3-c:5,6-c']디피롤-1,3,5,7(2H,6H)-테트론, 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1-(4-{4-[(5R)-5-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에타논, 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1-(4-{4-[(5S)-5-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에타논, 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1-{4-[4-(5-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에타논, 2-부톡시-6-요도-3-프로필-4H-크로멘-4-온, 2-클로로-5-[2-클로로-1-(2,6-디플루오로-4-메톡시페닐)-4-메틸-1H-이미다졸-5-일]피리딘, 2-페닐페놀 및 염, 3-(4,4,5-트리플루오로-3,3-디메틸-3,4-디하이드로이소퀴놀린-1-일)퀴놀린, 3,4,5-트리클로로피리딘-2,6-디카보니트릴, 3-[5-(4-클로로페닐)-2,3-디메틸-1,2-옥사졸리딘-3-일]피리딘, 3-클로로-5-(4-클로로페닐)-4-(2,6-디플루오로페닐)-6-메틸피리다진, 4-(4-클로로페닐)-5-(2,6-디플루오로-페닐)-3,6-디메틸피리다진, 5-아미노-1,3,4-티아디아졸-2-티올, 5-클로로-N'-페닐-N'-(프로프-2-인-1-일)티오펜-2-설포노히드라지드, 5-플루오로-2-[(4-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4-아민, 5-플루오로-2-[(4-메틸벤질)옥시]피리미딘-4-아민, 5-메틸-6-옥틸[1,2,4]트리아졸로[1,5-a]피리미딘-7-아민, 에틸 (2Z)-3-아미노-2-시아노-3-페닐프로프-2-에노에이트, N'-(4-{[3-(4-클로로벤질)-1,2,4-티아디아졸-5-일]옥시}-2,5-디메틸페닐)-N-에틸-N-메틸이미도포름아미드, N-(4-클로로벤질)-3-[3-메톡시-4-(프로프-2-인-1-일옥시)페닐]프로파나미드, N-[(4-클로로페닐)(시아노)메틸]-3-[3-메톡시-4-(프로프-2-인-1-일옥시)페닐]프로파나미드, N-[(5-브로모-3-클로로피리딘-2-일)메틸]-2,4-디클로로피리딘-3-카복사미드, N-[1-(5-브로모-3-클로로피리딘-2-일)에틸]-2,4-디클로로-피리딘-3-카복사미드, N-[1-(5-브로모-3-클로로피리딘-2-일)에틸]-2-플루오로-4-요도-피리딘-3-카복사미드, N-{(E)-[(시클로프로필메톡시)이미노][6-(디플루오로메톡시)-2,3-디플루오로페닐]-메틸}-2-페닐-아세타미드, N-{(Z)-[(시클로프로필메톡시)이미노][6-(디플루오로메톡시)-2,3-디플루오로-페닐]-메틸}-2-페닐아세타미드, N'-{4-[(3-tert-부틸-4-시아노-1,2-티아졸-5-일)옥시]-2-클로로-5-메틸페닐}-N-에틸-N-메틸이미도포름아미드, N-메틸-2-(1-{[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N-(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일)-1,3-티아졸-4-카복사미드, N-메틸-2-(1-{[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N-[(1R)-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일]-1,3-티아졸-4-카복사미드, N-메틸-2-(1-{[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N-[(1S)-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일]-1,3-티아졸-4-카복사미드, 펜틸 {6-[({[(1-메틸-1H-테트라졸-5-일)(페닐)-메틸리덴]아미노}옥시)메틸]피리딘-2-일}카바메이트, 페나진-1-카복실산, 퀴놀린-8-올, 황산 퀴놀린-8-올(2:1), tert-부틸 {6-[({[(1-메틸-1H-테트라졸-5-일)(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메틸]피리딘-2-일}카바메이트, 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N-[2'-(트리플루오로메틸)비페닐-2-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N-(4'-클로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N-(2',4'-디클로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1-메틸-N-[4'-(트리플루오로메틸)비페닐-2-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N-(2',5'-디플루오로비페닐-2-일)-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1-메틸-N-[4'-(프로프-1-인-1-일)비페닐-2-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5-플루오로-1,3-디메틸-N-[4'-(프로프-1-인-1-일)비페닐-2-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2-클로로-N-[4'-(프로프-1-인-1-일)비페닐-2-일]피리딘-3-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N-[4'-(3,3-디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N-[4'-(3,3-디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5-플루오로-1,3-디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N-(4'-에티닐비페닐-2-일)-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N-(4'-에티닐비페닐-2-일)-5-플루오로-1,3-디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2-클로로-N-(4'-에티닐비페닐-2-일)피리딘-3-카복사미드, 2-클로로-N-[4'-(3,3-디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피리딘-3-카복사미드, 4-(디플루오로메틸)-2-메틸-N-[4'-(트리플루오로메틸)비페닐-2-일]-1,3-티아졸-5-카복사미드, 5-플루오로-N-[4'-(3-하이드록시-3-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1,3-디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2-클로로-N-[4'-(3-하이드록시-3-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피리딘-3-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N-[4'-(3-메톡시-3-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5-플루오로-N-[4'-(3-메톡시-3-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1,3-디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2-클로로-N-[4'-(3-메톡시-3-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피리딘-3-카복사미드, (5-브로모-2-메톡시-4-메틸피리딘-3-일)(2,3,4-트리메톡시-6-메틸페닐)메타논, N-[2-(4-{[3-(4-클로로페닐)프로프-2-인-1-일]옥시}-3-메톡시페닐)에틸]-N2-(메틸설포닐)발리나미드, 4-옥소-4-[(2-페닐에틸)아미노]부탄산, 부트-3-인-1-일 {6-[({[(Z)-(1-메틸-1H-테트라졸-5-일)-(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메틸]피리딘-2-일}카바메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살진균제를 적용하는 단계.
  20. 제6항 또는 제7항에 의한 유전자 이식 대두 식물의 종자로부터 생산된 대두 상품.
  21. 제20항에 있어서, 가루, 분말, 플레이크 또는 오일인 대두 상품.
  22. 제20항에 있어서, 가루인 대두 상품.
  23. 생물 샘플 중에서 서열 번호 1 또는 서열 번호 2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제초제 내성 계통 SYHT0H2를 포함하는 유전자 이식 대두 식물에 특이적인 핵산 영역을 확인하기 위한 키트로서, 상기 키트는 제1 프라이머 및 제2 프라이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라이머 및 제2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1 또는 서열 번호 2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또는 이의 상보체를 포함하는 SYHT0H2 특이적 영역을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증폭시키는 키트.
  24. 제23항에 있어서, 키트는 증폭된 SYHT0H2 특이적 영역을 검출하기 위한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키트.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제1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10의 서열의 제1 단편을 포함하고, 제2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10의 서열의 제2 단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라이머 및 제2 프라이머는, SYHT0H2 특이적 영역을 증폭하기에 충분한, 서열 번호 10의 서열에 대한 서열 상동성 또는 상보성을 공유하는 키트.
  26.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제1 프라이머 및 제2 프라이머는 각각 서열 번호 10의 서열 내 8개 이상의 연속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키트.
  27.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제1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11, 서열 번호 12, 서열 번호 14, 서열 번호 15 및 서열 번호 17 내지 서열 번호 21의 서열들 중 어느 하나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키트.
  28.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a) 제1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11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고, 제2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12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거나;
    (b) 제1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14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고, 제2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15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거나;
    (c) 제1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17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고, 제2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18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거나;
    (d) 제1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17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고, 제2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19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거나;
    (e) 제1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17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고, 제2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20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f) 제1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17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고, 제2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21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키트.
  29. 생물 샘플 중에서 서열 번호 1 또는 서열 번호 2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제초제 내성 계통 SYHT0H2를 포함하는 유전자 이식 대두 식물에 특이적인 핵산 영역을 확인하기 위한 키트로서, 상기 키트는 서열 번호 1 또는 서열 번호 2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또는 이의 상보체를 포함하는 핵산 프로브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키트.
  30. 삭제
  31. 샘플 중에서 서열 번호 1 또는 서열 번호 2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제초제 내성 계통 SYHT0H2를 포함하는 유전자 이식 대두 식물에 특이적인 핵산 영역을 확인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 샘플과 제1 프라이머 및 제2 프라이머를 접촉시키는 단계; 및
    (b) 서열 번호 1 또는 서열 번호 2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또는 이의 상보체를 포함하는 SYHT0H2 특이적 영역을 포함하는 핵산을 증폭시키는 단계.
  32. 제31항에 있어서, 하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c) 단계 (b)의 핵산을 검출하는 단계.
  33. 삭제
  34.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제1 프라이머 및 제2 프라이머는 각각 상기 SYHT0H2 특이적 영역을 증폭시키기에 충분한, 서열 번호 10의 서열에 대한 서열 상동성 또는 상보성을 가지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방법.
  35.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제1 프라이머 및 제2 프라이머는 각각 서열 번호 10의 서열 내 8개 이상의 연속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방법.
  36.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제1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11, 서열 번호 12, 서열 번호 14, 서열 번호 15 및 서열 번호 17 내지 서열 번호 21 중 임의의 하나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방법.
  37.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a) 제1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11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고, 제2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12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거나;
    (b) 제1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14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고, 제2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15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거나;
    (c) 제1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17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고, 제2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18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거나;
    (d) 제1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17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고, 제2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19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거나;
    (e) 제1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17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고, 제2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20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f) 제1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17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고, 제2 프라이머는 서열 번호 21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방법.
  38.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샘플 중에서 서열 번호 1 또는 서열 번호 2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제초제 내성 계통 SYHT0H2를 포함하는 유전자 이식 대두 식물에 특이적인 핵산 영역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
    (a) 샘플과, 서열 번호 1 또는 서열 번호 2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또는 이의 상보체를 포함하는 핵산 프로브 하나 이상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c) 하나 이상의 핵산 프로브가 혼성화되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39. HPPD 억제제 및 글루포시네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다에 대하여 저항성인 대두 식물을 생산하는 방법으로서, 대두 식물의 게놈에 서열 번호 1 또는 서열 번호 2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제초제 내성 계통 SYHT0H2를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 서열 번호 1 또는 서열 번호 2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제초제 내성 계통 SYHT0H2를 포함하는 제1 대두 식물을 교잡하는 단계; 및
    (b) 제초제 내성 계통 SYHT0H2를 포함하고, HPPD 억제제 및 글루포시네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다에 대하여 저항성인 제1 자손 식물 하나 이상을 선별하는 단계.
  41. 제40항에 있어서, 하기의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c) 제1 자손 식물을 자가 생식시켜, 제2 세대 자손 식물을 생산하는 단계; 및
    (d) 제초제 내성 계통 SYHT0H2에 대해 동형 접합성인 제1 식물 하나 이상을 선별하는 단계.
  42.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대두 상품을 제조하는 방법:
    (a)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대두 식물 또는 식물 일부를 얻는 단계; 및
    (b) 대두 식물 또는 이의 일부로부터 대두 상품을 제조하는 단계.
  43. 제42항에 있어서, 상품은 가루, 분말, 플레이크, 단백질 분리물 또는 오일인 방법.
  44. 대두 식물과 잡초를 포함하는 장소에서 잡초를 방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대두 식물은 서열 번호 1 또는 서열 번호 2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제초제 내성 계통 SYHT0H2를 포함하는 유전자 이식 대두 식물이고,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HPPD 억제제를 포함하는 제초제 조성물을 상기 장소에 잡초 방제량만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5. 제44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HPPD 억제제는 비시클로피론, 메소트리온, 설코트리온, 토프라메존, 템보트리온, 피로설파톨 및 이속사플루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46. 제44항 또는 제45항에 있어서, 식물은 하나 이상의 부가 제초제, 곤충, 진균,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저항성 또는 내성을 식물에 제공할 수 있는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부가 영역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부가 영역은 하나 이상의 부가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 또는 내성을 식물에 제공할 수 있는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고, 상기 폴리펩티드는 글리포세이트 내성 5-에놀-피루빌시키메이트-3-포스페이트 합성 효소(EPSPS), 글리포세이트 N-아세틸 트랜스퍼라제(GAT), 제초제 내성 4-하이드록시피루빌디옥시게나제(HPPD), 포스피노트리신 아세틸 트랜스퍼라제(PAT), 시토크롬 P450, 글루타치온 S-트랜스퍼라제(GST), 제초제 내성 아세틸-COA-카복실라제(ACCase), 제초제 내성 아세토락테이트 합성 효소(ALS), 제초제 내성 프로토포르피리노겐 옥시다제(PPGO), 브로목시닐 니트릴라제, 제초제 내성 피토엔 불포화 효소, 아릴옥시알카노에이트 디옥시게나제 및 디캄바 분해 효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48. 제44항 또는 제45항에 있어서, 제초제 조성물은 부가 살충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부가 살충제는 살진균제, 살선충제, 살 곤충제 및 제초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50. 제48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부가 살충제는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포메사펜, 사플루페나실, 락토펜, 아시플루로펜, 카펜트라존-에틸 플루티아셋, 옥시플루오르펜, 플루미클로락 설펜트라존, 플루미옥사진, 메톨라클로르, S-메톨라클로르, 아세토클로르, 알라클로르, 피록사설폰, 플루페나셋, 디메테나미드, 디메테나미드-P, 브로목시닐, 벤타존, 메트리부진, 아트라진, 터부틸라진, 디우론, 리누론, 아메트린, 플루아지폽, 클레토딤, 페녹사프롭, 할록시폽, 퀴잘로폽, 벤설푸론, 니코설푸론, 림설푸론, 프리미설푸론, 티펜설푸론, 포람설푸론, 클로르설푸론, 할로설푸론, 이마자퀸, 이마자픽, 이마자피르, 이마제타피르, 이마자목스, 요도설푸론, 멧설푸론, 메소설푸론, 설포설푸론, 트리플록시설푸론, 트리베누론-메틸, 티아조피르, 테부티우론, 디클로설람, 클로란설람-메틸, 플루카바존, 플루멧설람, 아미카바존, 티엔카바존, 클로리무론-에틸, 디캄바, 2,4-D, 2,4-DB, 플루록시피르, 디플루펜조피르, 티르클로피르, 피클로람, 퀸클로락, 클로피랄리드 및 아미노피랄리드; 또는 이것들의 농화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초제인 방법.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8번 염색체 중 서열 번호 24의 서열의 1번 내지 217번 뉴클레오티드 사이에 위치하는 염색체 표적 위치에 이종 핵산을 포함하는 대두 식물 또는 식물 일부로서, 상기 표적 위치는 서열 번호 1 또는 서열 번호 2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이종 핵산을 포함하는 대두 식물 또는 식물.
  56. 8번 염색체 중 서열 번호 24의 서열의 1번 내지 217번 뉴클레오티드 사이의 위치에 이종 핵산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전자 이식 대두 식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종 핵산은 서열 번호 1 또는 서열 번호 2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방법.
  57. 삭제
  58. 제56항에 있어서, 이종 핵산은 8번 염색체 중 서열 번호 24의 서열의 99번 내지 116번 뉴클레오티드 사이에 삽입되는 방법.
  59. 제56항에 있어서, 삽입된 이종 핵산의 5’ 말단쪽에는 서열 번호 24의 서열의 1번 내지 99번 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서열이 측접하고 있으며, 상기 삽입된 이종 핵산의 3’ 말단쪽에는 서열 번호 24의 서열의 116번 내지 217번 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서열이 측접하고 있는 방법.
  60. 제56항에 의한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대두 식물 또는 식물 일부.
  61. 대두 식물 게놈에 서열 번호 1 또는 서열 번호 2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제초제 내성 계통 SYHT0H2를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글루타민 합성 효소 억제제에 대하여 저항성인 대두 식물을 제조하는 방법.
  62. 제61항에 있어서,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 서열 번호 1 또는 서열 번호 2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제초제 내성 계통 SYHT0H2를 포함하는 제1 대두 식물을 교잡하는 단계; 및
    (b) 제초제 내성 계통 SYHT0H2를 포함하고 글루타민 합성 효소 억제제에 대하여 저항성인 제1 자손 식물 하나 이상을 선별하는 단계.
  63. 제62항에 있어서, 하기의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c) 제1 자손 식물을 자가 생식시켜, 제2 세대 자손 식물을 생산하는 단계; 및
    (d) 제초제 내성 계통 SYHT0H2에 대해 동형 접합성인 제1 식물 하나 이상을 선별하는 단계.
  64. 대두 식물과 잡초를 포함하는 장소에서 잡초를 방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대두 식물은 서열 번호 1 또는 서열 번호 2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제초제 내성 계통 SYHT0H2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글루타민 합성 효소 억제제를 포함하는 제초제 조성물을 상기 장소에 잡초 방제량만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5. 제64항에 있어서, 식물은 하나 이상의 부가 제초제, 곤충, 진균,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저항성 또는 내성을 식물에 제공할 수 있는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부가 영역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66. 제65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부가 영역은 식물에 부가 제초제 하나 이상에 대한 저항성 또는 내성을 제공할 수 있는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고, 상기 폴리펩티드는 글리포세이트 내성 5-에놀-피루빌시키메이트-3-포스페이트 합성 효소(EPSPS), 글리포세이트 N-아세틸 트랜스퍼라제(GAT), 제초제 내성 4-하이드록시피루빌디옥시게나제(HPPD), 포스피노트리신 아세틸 트랜스퍼라제(PAT), 시토크롬 P450, 글루타치온 S-트랜스퍼라제(GST), 제초제 내성 아세틸-COA-카복실라제(ACCase), 제초제 내성 아세토락테이트 합성 효소(ALS), 제초제 내성 프로토포르피리노겐 옥시다제(PPGO), 브로목시닐 니트릴라제, 제초제 내성 피토엔 불포화 효소, 아릴옥시알카노에이트 디옥시게나제 및 디캄바 분해 효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67.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대두 가루 및 대두 오일을 제조하는 방법:
    a) 제6항 또는 제7항에 의한 유전자 이식 대두 식물의 종자로부터 대두 식물을 생육하는 단계로서,
    상기 생육은 하기 i) 또는 ii)의 방법을 이용하여 잡초를 관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계:
    i) 하기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목록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학 물질 혼합물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제6항 또는 제7항에 의한 유전자 이식 대두 식물의 종자로부터 생장된 대두가 존재하는 노지에서 잡초 방제하는 방법:
    알라니카브, 알디카브, 벤디오카브, 벤푸라카브, 부토카복심, 부톡시카복심, 카바릴, 카보푸란, 카보설판, 에티오펜카브, 페노부카브, 포르메타네이트, 푸라티오카브, 이소프로카브, 메티오카브, 메토밀, 메톨카브, 옥사밀, 피리미카브, 프로폭서, 티오디카브, 티오파녹스, 트리아자메이트, 트리메타카브, XMC, 자일릴카브; 아세페이트, 아자메티포스, 아진포스-에틸, 아진포스-메틸, 카두사포스, 클로레톡시포스, 클로르펜빈포스, 클로르메포스, 클로르피리포스, 클로르피리포스-메틸, 쿠마포스, 시아노포스, 데메톤-S-메틸, 디아지논, 디클로르보스/DDVP, 디크로토포스, 디메토에이트, 디메틸빈포스, 디설포톤, EPN, 에티온, 에토프로포스, 팜푸르, 페나미포스, 페니트로티온, 펜티온, 포스티아제이트, 헵테노포스, 이미시아포스, 이소펜포스, 이소프로필 O-(메톡시아미노티오-포스포릴) 살리실레이트, 이속사티온, 말라티온, 메카밤, 메타미도포스, 메티다티온, 메빈포스, 모노크로토포스, 날레드, 오메토에이트, 옥시데메톤-메틸, 파라티온, 파라티온-메틸, 펜토에이트, 포레이트, 포살론, 포스멧, 포스파미돈, 폭심, 피리미포스-메틸, 프로페노포스, 프로페탐포스, 프로티오포스, 피라클로포스, 피리다펜티온, 퀴날포스, 설포텝, 테부피림포스, 테메포스, 터부포스, 테트라클로르빈포스, 티오메톤, 트리아조포스, 트리클로르폰, 바미도티온, 시클로디엔 유기 염소제, 클로르데인, 엔도설판; 에티프롤, 피프로닐, 아크리나트린, 알레트린, d-시스-트랜스 알레트린, d-트랜스 알레트린, 비펜트린, 바이오알레트린, 바이오알레트린 S-시클로펜테닐 이성체, 바이오레스메트린, 시클로프로트린, 시플루트린, 베타-시플루트린, 시할로트린, 람다-시할로트린, 감마-시할로트린, 사이퍼메트린, 알파-사이퍼메트린, 베타-사이퍼메트린, 세타-사이퍼메트린, 제타-사이퍼메트린, 사이페노트린 [(1R)-트랜스 이성체], 델타메트린, 엠펜트린 [(EZ)-(1R) 이성체], 에스펜발러레이트, 에토펜프록스, 펜프로파트린, 펜발러레이트, 플루시트리네이트, 플루메트린, 토우-플루발리네이트, 할펜프록스, 이미프로트린, 카데트린, 퍼메트린, 페노트린 [(1R)-트랜스 이성체], 프랄레트린, 피레트린(피레트럼), 레스메트린, 실라플루오펜, 테플루트린, 테트라메트린, 테트라메트린 [(1R) 이성체], 트랄로메트린, 트랜스플루트린; DDT; 메톡시클로르, 아세타미프리드, 클로티아니딘, 디노테푸란, 이미다클로프리드, 니텐피람, 티아클로프리드, 티아메톡삼; 니코틴, 스피네토람, 스피노사드, 아바멕틴, 에마멕틴 벤조에이트, 레피멕틴, 밀베멕틴, 하이드로프렌, 키노프렌, 메토프렌; 페녹시카브; 피리프록시펜, 클로로피크린; 플루오르화 설푸릴; 보락스; 타르타르 에메틱, 피메트로진; 플로니카미드, 클로펜테진, 헥시티아족스, 디플로비다진, 에톡사졸,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아종 이스라엘렌시스, 바실러스 스파에리쿠스,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아종 아이자와이,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아종 커스타키,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아종 테네브리오니스, BT 농작물 단백질: Cry1Ab, Cry1Ac, Cry1Fa, Cry2Ab, mCry3A, Cry3Ab, Cry3Bb, Cry34/35Ab1, 디아펜티우론, 아조시클로틴, 시헥사틴, 산화 펜부타틴; 프로파기트, 테트라디폰, 클로르페나피르, DNOC, 설플루라미드, 벤설탭, 카르탭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티오시클람, 티오설탭-소듐, 비스트리플루론, 클로르플루아주론, 디플루벤주론, 플루시클록수론, 플루페녹수론, 헥사플루무론, 루페누론, 노발루론, 노비플루무론, 테플루벤주론, 트리플루무론, 부프로페진, 사이로마진, 크로마페노지드, 할로페노지드, 메톡시페노지드, 테부페노지드, 아미트라즈, 하이드라메틸논; 아세퀴노실; 플루아크리피림, 페나자퀸, 펜피록시메이트, 피리미디펜, 피리다벤, 테부펜피라드, 톨펜피라드, 로테논(데리스), 인독사카브; 메타플루미존, 스피로디클로펜, 스피로메시펜, 스피로테트라맷, 인화 알루미늄, 인화 칼슘, 포스핀, 인화 아연, 시에노피라펜, 클로란트라닐리프롤, 플루벤디아미드, 아미도플루멧, 아자디라크틴, 벤클로티아즈, 벤족시메이트, 비페나제이트, 브로모프로필레이트, 키노메티오냇, 크라이올라이트, 시안트라닐리프롤(시아지피르), 사이플루메토펜, 디코폴, 디플로비다진, 플루엔설폰, 플루페네림, 플루피프롤, 플루오피람, 푸페노지드, 이미다클로티즈, 이프로디온, 메퍼플루트린, 피리달릴, 피리플루퀴나존, 테트라메틸플루트린, 요도메탄; 균주 CNCM I-1582, VOTiVO™, BioNem; 3-브로모-N-{2-브로모-4-클로로-6-[(1-시클로프로필에틸)카바모일]페닐}-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카복사미드(WO2005/077934호에 개시됨), 4-{[(6-브로모피리딘-3-일)메틸](2-플루오로에틸)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4호에 개시됨), 4-{[(6-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2,2-디플루오로에틸)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4호에 개시됨), 4-{[(2-클로로-1,3-티아졸-5-일)메틸](2-플루오로에틸)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4호에 개시됨), 4-{[(6-클로르피리딘-3-일)메틸](2-플루오로에틸)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4호에 개시됨), 플루피라디푸론, 4-{[(6-클로르-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메틸)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3호에 개시됨), 4-{[(5,6-디클로로피리딘-3-일)메틸](2-플루오로에틸)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6호에 개시됨), 4-{[(6-클로로-5-플루오로피리딘-3-일)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푸란-2(5H)-온(WO2007/115643호에 개시됨), 4-{[(6-클로로피리딘-3-일)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푸란-2(5H)-온(EP-A-0 539 588호에 개시됨), 4-{[(6-클로르피리딘-3-일)-메틸](메틸)아미노}푸란-2(5H)-온(EP-A-0 539 588호에 개시됨), {[1-(6-클로로피리딘-3-일)에틸](메틸)옥시도-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WO2007/149134호에 개시됨) 및 이의 부분 입체 이성체들 {[(1R)-1-(6-클로로피리딘-3-일)에틸](메틸)옥시도-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A) 및 {[(1S)-1-(6-클로로피리딘-3-일)에틸](메틸)옥시도-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B)(WO2007/149134호에 개시됨) 그리고 설폭사플로르 및 이의 부분 입체 이성체 [(R)-메틸(옥시도){(1R)-1-[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에틸}-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A1) 및 [(S)-메틸(옥시도){(1S)-1-[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에틸}-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A2)(부분 입체 이성체 A 군으로서도 칭하여짐)(WO2010/074747호 및 WO2010/074751호에 개시됨), [(R)-메틸(옥시도){(1S)-1-[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에틸}-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B1) 및 [(S)-메틸(옥시도){(1R)-1-[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에틸}-λ4-설파닐리덴]시아나미드(B2)(부분 입체 이성체 B 군으로서 칭하여짐)(WO2010/074747호 및 WO2010/074751호에 개시됨), 그리고 11-(4-클로로-2,6-디메틸페닐)-12-하이드록시-1,4-디옥사-9-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덱-11-엔-10-온(WO2006/089633호에 개시됨), 3-(4'-플루오로-2,4-디메틸비페닐-3-일)-4-하이드록시-8-옥사-1-아자스피로[4.5]덱-3-엔-2-온(WO2008/067911호에 개시됨), 1-{2-플루오로-4-메틸-5-[(2,2,2-트리플루오르에틸)설피닐]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1H-1,2,4-트리아졸-5-아민(WO2006/043635호에 개시됨), [(3S,4aR,12R,12aS,12bS)-3-[(시클로프로필카보닐)옥시]-6,12-디하이드록시-4,12b-디메틸-11-옥소-9-(피리딘-3-일)-1,3,4,4a,5,6,6a,12,12a,12b-데카하이드로-2H,11H-벤조[f]-피라노[4,3-b]크로멘-4-일]메틸 시클로-프로판-카복실레이트(WO2008/066153호에 개시됨), 2-시아노-3-(디플루오로메톡시)-N,N-디메틸벤젠설폰아미드(WO2006/056433호에 개시됨), 2-시아노-3-(디플루오로메톡시)-N-메틸벤젠설폰아미드(WO2006/100288호에 개시됨), 2-시아노-3-(디플루오로메톡시)-N-에틸벤젠설폰아미드(WO2005/035486호에 개시됨), 4-(디플루오로메톡시)-N-에틸-N-메틸-1,2-벤조티아졸-3-아민 1,1-디옥사이드(WO2007/057407호에 개시됨), N-[1-(2,3-디메틸페닐)-2-(3,5-디메틸페닐)에틸]-4,5-디하이드로-1,3-티아졸-2-아민(WO2008/104503호에 개시됨), {1'-[(2E)-3-(4-클로로페닐)프로프-2-엔-1-일]-5-플루오로스피로[인돌-3,4'-피페리딘]-1(2H)-일}(2-클로로-피리딘-4-일)-메타논(WO2003/106457호에 개시됨), 3-(2,5-디메틸페닐)-4-하이드록시-8-메톡시-1,8-디아자스피로[4.5]덱-3-엔-2-온(WO2009/049851호에 개시됨), 3-(2,5-디메틸페닐)-8-메톡시-2-옥소-1,8-디아자-스피로[4.5]덱-3-엔-4-일 에틸 카보네이트(WO2009/049851호에 개시됨), 4-(부트-2-인-1-일옥시)-6-(3,5-디메틸피페리딘-1-일)-5-플루오로피리미딘(WO2004/099160호에 개시됨), (2,2,3,3,4,4,5,5-옥타플루오로펜틸)(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말로노니트릴(WO2005/063094호에 개시됨), (2,2,3,3,4,4,5,5-옥타플루오로펜틸)(3,3,4,4,4-펜타플루오로부틸)말로노니트릴(WO2005/063094호에 개시됨), 8-[2-(시클로프로필메톡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3-[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다진-3-일]-3-아자비시클로[3.2.1]옥탄(WO2007/040280호에 개시됨), 플로메토퀸, PF1364(CAS 등록 번호 1204776-60-2)(JP2010/018586호에 개시됨), 5-[5-(3,5-디클로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2-(1H-1,2,4-트리아졸-1-일)벤조니트릴(WO2007/075459호에 개시됨), 5-[5-(2-클로로피리딘-4-일)-5-(트리플루오로메틸)-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2-(1H-1,2,4-트리아졸-1-일)벤조니트릴(WO2007/075459호에 개시됨), 4-[5-(3,5-디클로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2-메틸-N-{2-옥소-2-[(2,2,2-트리플루오로에틸)아미노]-에틸}벤자미드(WO2005/085216호에 개시됨), 4-{[(6-클로로피리딘-3-일)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1,3-옥사졸-2(5H)-온, 4-{[(6-클로로피리딘-3-일)메틸](2,2-디플루오로에틸)-아미노}-1,3-옥사졸-2(5H)-온, 4-{[(6-클로로피리딘-3-일)메틸](에틸)-아미노}-1,3-옥사졸-2(5H)-온, 4-{[(6-클로로피리딘-3-일)메틸](메틸)아미노}-1,3-옥사졸-2(5H)-온(모두 WO2010/005692호에 개시됨), NNI-0711(WO2002/096882호에 개시됨), 1-아세틸-N-[4-(1,1,1,3,3,3-헥사플루오로-2-메톡시프로판-2-일)-3-이소부틸페닐]-N-이소부티릴-3,5-디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WO2002/096882호에 개시됨), 메틸 2-[2-({[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일]카보닐}아미노)-5-클로로-3-메틸벤조일]-2-메틸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WO2005/085216호에 개시됨), 메틸 2-[2-({[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일]카보닐}아미노)-5-시아노-3-메틸벤조일]-2-에틸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WO2005/085216호에 개시됨), 메틸2-[2-({[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일]카보닐}-아미노)-5-시아노-3-메틸벤조일]-2-메틸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WO2005/085216호에 개시됨), 메틸 2-[3,5-디브로모-2-({[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일]카보닐}아미노)-벤조일]-1,2-디에틸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WO2005/085216호에 개시됨), 메틸 2-[3,5-디브로모-2-({[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일]카보닐}-아미노)-벤조일]-2-에틸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WO2005/085216호에 개시됨), (5RS,7RS;5RS,7SR)-1-(6-클로로-3-피리딜메틸)-1,2,3,5,6,7-헥사하이드로-7-메틸-8-니트로-5-프로폭시이미다조[1,2-a]피리딘(WO2007/101369호에 개시됨), N-[2-(5-아미노-1,3,4-티아디아졸-2-일)-4-클로로-6-메틸페닐]-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카복사미드(CN102057925호에 개시됨) 및 메틸 2-[3,5-디브로모-2-({[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일]카보닐}-아미노)-벤조일]-2-에틸-1-메틸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WO2011/049233호에 개시됨); 알디모프, 아자코나졸, 비터타놀, 브로무코나졸, 사이프로코나졸, 디클로부트라졸, 디페노코나졸, 디니코나졸, 디니코나졸-M, 도데모프, 아세트산 도데모프, 에폭시코나졸, 에타코나졸, 페나리몰, 펜부코나졸, 펜헥사미드, 펜프로피딘, 펜프로피모프, 플루퀸코나졸, 플루르프리미돌, 플루실라졸, 플루트리아폴, 퍼코나졸, 퍼코나졸-시스, 헥사코나졸, 이마잘릴, 황산 이마잘릴, 이미벤코나졸, 입코나졸, 멧코나졸, 마이클로부타닐, 나프티핀, 누아리몰, 옥스포코나졸, 파클로부트라졸, 페푸라조에이트, 펜코나졸, 피페랄린, 프로클로라즈, 프로피코나졸, 프로티오코나졸, 피리부티카브, 피리페녹스, 퀸코나졸, 시메코나졸, 스피록사민, 테부코나졸, 터비나핀, 테트라코나졸, 트리아디메폰, 트리아디메놀, 트리데모프, 트리플루미졸, 트리포린, 트리티코나졸, 유니코나졸, 유니코나졸-p, 비니코나졸, 보리코나졸, 1-(4-클로로페닐)-2-(1H-1,2,4-트리아졸-1-일)시클로헵타놀, 메틸 1-(2,2-디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1-일)-1H-이미다졸-5-카복실레이트, N'-{5-(디플루오로메틸)-2-메틸-4-[3-(트리메틸실릴)-프로폭시]-페닐}-N-에틸-N-메틸이미도포름아미드, N-에틸-N-메틸-N'-{2-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4-[3-(트리메틸실릴)프로폭시]페닐}이미도포름아미드, O-[1-(4-메톡시페녹시)-3,3-디메틸부탄-2-일] 1H-이미다졸-1-카보티오에이트, 빅사펜, 보스칼리드, 카복신, 디플루메토림, 펜푸람, 플루오피람, 플루톨라닐, 플룩사피록사드, 푸라멧피르, 푸르메시클록스, 이소피라잠(신-에피머 라세미체 1RS,4SR,9RS 및 안티-에피머 라세미체 1RS,4SR,9SR의 혼합물), 이소피라잠(안티-에피머 라세미체 1RS,4SR,9SR), 이소피라잠(안티-에피머 거울 이성체 1R,4S,9S), 이소피라잠(안티-에피머 거울 이성체 1S,4R,9R), 이소피라잠(신-에피머 라세미체 1RS,4SR,9RS), 이소피라잠(신-에피머 거울 이성체 1R,4S,9R), 이소피라잠(신-에피머 거울 이성체 1S,4R,9S), 메프로닐, 옥시카복신, 펜플루펜, 펜티오피라드, 세닥산, 티플루자미드, 1-메틸-N-[2-(1,1,2,2-테트라플루오로에톡시)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1-메틸-N-[2-(1,1,2,2-테트라플루오로에톡시)페닐]-1H-피라졸-4-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N-[4-플루오로-2-(1,1,2,3,3,3-헥사플루오로프로폭시)페닐]-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N-[1-(2,4-디클로로페닐)-1-메톡시프로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5,8-디플루오로-N-[2-(2-플루오로-4-{[4-(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옥시}페닐)에틸]퀴나졸린-4-아민, N-[9-(디클로로메틸렌)-1,2,3,4-테트라하이드로-1,4-메타노나프탈렌-5-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N-[(1S,4R)-9-(디클로로메틸렌)-1,2,3,4-테트라하이드로-1,4-메타노나프탈렌-5-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N-[(1R,4S)-9-(디클로로메틸렌)-1,2,3,4-테트라하이드로-1,4-메타노나프탈렌-5-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아메톡트라딘, 아미설브롬, 아족시스트로빈, 시아조파미드, 쿠메톡시스트로빈, 쿠목시스트로빈, 디목시스트로빈, 에네스트로부린, 파목사돈, 페나미돈, 페녹시스트로빈, 플루옥사스트로빈, 크레속심-메틸, 메토미노스트로빈, 오리사스트로빈, 피콕시스트로빈, 피라클로스트로빈, 피라메토스트로빈, 피라옥시스트로빈, 피리벤카브, 트리클로피리카브, 트리플록시스트로빈, (2E)-2-(2-{[6-(3-클로로-2-메틸페녹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옥시}페닐)-2-(메톡시이미노)-N-메틸에타나미드, (2E)-2-(메톡시이미노)-N-메틸-2-(2-{[({(1E)-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리덴}아미노)옥시]메틸}페닐)에타나미드, (2E)-2-(메톡시이미노)-N-메틸-2-{2-[(E)-({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톡시}이미노)메틸]페닐}에타나미드, (2E)-2-{2-[({[(1E)-1-(3-{[(E)-1-플루오로-2-페닐에테닐]옥시}페닐)에틸리덴]아미노}옥시)메틸]페닐}-2-(메톡시이미노)-N-메틸에타나미드, (2E)-2-{2-[({[(2E,3E)-4-(2,6-디클로로페닐)부트-3-엔-2-일리덴]아미노}옥시)메틸]페닐}-2-(메톡시이미노)-N-메틸에타나미드, 2-클로로-N-(1,1,3-트리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4-일)피리딘-3-카복사미드, 5-메톡시-2-메틸-4-(2-{[({(1E)-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리덴}아미노)옥시]메틸}페닐)-2,4-디하이드로-3H-1,2,4-트리아졸-3-온, 메틸 (2E)-2-{2-[({시클로프로필[(4-메톡시페닐)이미노]메틸}설파닐)메틸]페닐}-3-메톡시프로프-2-에노에이트, N-(3-에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3-(포르밀아미노)-2-하이드록시벤자미드, 2-{2-[(2,5-디메틸페녹시)메틸]페닐}-2-메톡시-N-메틸아세타미드, (2R)-2-{2-[(2,5-디메틸페녹시)메틸]페닐}-2-메톡시-N-메틸아세타미드, 베노밀, 카벤다짐, 클로르페나졸, 디에토펜카브, 에타복삼, 플루오피콜리드, 푸베리다졸, 펜시쿠론, 티아벤다졸, 티오파네이트-메틸, 티오파네이트, 족사미드, 5-클로로-7-(4-메틸피페리딘-1-일)-6-(2,4,6-트리플루오로페닐)[1,2,4]트리아졸로[1,5-a]피리미딘, 3-클로로-5-(6-클로로피리딘-3-일)-6-메틸-4-(2,4,6-트리플루오로페닐)피리다진, 보르도 혼합물, 캡타폴, 캡탄, 클로로탈로닐, 수산화 구리, 나프텐산 구리, 산화 구리, 산염화 구리, 황산 구리(2+), 디클로플루아니드, 디티아논, 도딘, 도딘 유리 염기, 퍼밤, 플루오로폴펫, 폴펫, 구아자틴, 아세트산 구아자틴, 이미녹타딘, 알베실산 이미녹타딘, 삼아세트산 이미녹타딘, 만코퍼, 만코젭, 마넵, 메티람, 메티람 아연, 옥신-구리, 프로파미딘, 프로피넵, 황, 다황화 칼슘, 티람, 톨릴플루아니드, 지넵, 지람, 아시벤졸라-S-메틸, 이소티아닐, 프로베나졸, 티아디닐, 안도프림, 블라스티시딘-S, 사이프로디닐, 카수가마이신, 카수가마이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수화물, 메파니피림, 피리메타닐, 3-(5-플루오로-3,3,4,4-테트라메틸-3,4-디하이드로이소퀴놀린-1-일)퀴놀린, 아세트산 펜틴, 염화 펜틴, 수산화 펜틴, 실티오팜, 벤티아발리카브, 디메토모프, 플루모프, 이프로발리카브, 만디프로파미드, 폴리옥신, 폴리옥소림, 발리다마이신 A, 발리페날레이트, 비페닐, 클로로넵, 디클로란, 에디펜포스, 에트리디아졸, 요도카브, 이프로벤포스, 이소프로티올란, 프로파모카브, 프로파모카브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프로티오카브, 피라조포스, 퀸토젠, 테크나젠 톨클로포스-메틸, 카프로파미드, 디클로시멧, 페녹사닐, 프탈리드, 피로퀼론, 트리시클라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3-메틸-1-[(4-메틸벤조일)아미노]부탄-2-일}카바메이트, 베나락실, 베나락실-M (키랄락실), 부피리메이트, 클로질라콘, 디메티리몰, 에티리몰, 푸랄락실, 하이멕사졸, 메탈락실, 메탈락실-M (메페녹삼), 오푸레이스, 옥사딕실, 옥솔린산, 클로졸리네이트, 펜피클로닐, 플루디옥소닐, 이프로디온, 프로시미돈, 퀴녹시펜, 빈클로졸릴, 비나파크릴, 디노캡, 페림존, 플루아지남, 멥틸디노캡, 벤티아졸, 베톡사진, 캡시마이신, 카르본, 키노메티오냇, 피리오페논(클라자페논), 쿠프라넵, 시플루페나미드, 시목사닐, 사이프로설파미드, 다조멧, 데바카브, 디클로로펜, 디클로메진, 디펜조?, 메틸황산 디펜조?, 디페닐아민, 에코메이트, 펜피라자민, 플루메토버, 플루오로이미드, 플루설파미드, 플루티아닐, 포세틸-알루미늄, 포세틸-칼슘, 포세틸-소듐, 헥사클로로벤젠, 이루마마이신, 메타설포카브, 메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메트라페논, 밀디오마이신, 나타마이신, 니켈 디메틸디티오카바메이트, 니트로탈-이소프로필, 옥틸리논, 옥사모카브, 옥시펜티인, 펜타클로로페놀 및 염, 페노트린, 인산 및 이의 염, 프로파모카브-포세틸레이트, 프로파노신-소듐, 프로퀴나지드, 피리모프, (2E)-3-(4-tert-부틸페닐)-3-(2-클로로피리딘-4-일)-1-(모폴린-4-일)프로프-2-엔-1-온, (2Z)-3-(4-tert-부틸페닐)-3-(2-클로로피리딘-4-일)-1-(모폴린-4-일)프로프-2-엔-1-온, 피롤니트린, 테부플로퀸, 테클로프탈람, 톨니파니드, 트리아족시드, 트리클라미드, 자릴라미드, (3S,6S,7R,8R)-8-벤질-3-[({3-[(이소부티릴옥시)메톡시]-4-메톡시피리딘-2-일}카보닐)아미노]-6-메틸-4,9-디옥소-1,5-디옥소난-7-일 2-메틸프로파노에이트, 1-(4-{4-[(5R)-5-(2,6-디플루오로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에타논, 1-(4-{4-[(5S)-5-(2,6-디플루오로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에타논, 1-(4-{4-[5-(2,6-디플루오로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에타논, 1-(4-메톡시페녹시)-3,3-디메틸부탄-2-일 1H-이미다졸-1-카복실레이트, 2,3,5,6-테트라클로로-4-(메틸설포닐)피리딘, 2,3-디부틸-6-클로로티에노[2,3-d]피리미딘-4(3H)-온, 2,6-디메틸-1H,5H-[1,4]디티이노[2,3-c:5,6-c']디피롤-1,3,5,7(2H,6H)-테트론, 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1-(4-{4-[(5R)-5-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에타논, 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1-(4-{4-[(5S)-5-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에타논, 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1-{4-[4-(5-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에타논, 2-부톡시-6-요도-3-프로필-4H-크로멘-4-온, 2-클로로-5-[2-클로로-1-(2,6-디플루오로-4-메톡시페닐)-4-메틸-1H-이미다졸-5-일]피리딘, 2-페닐페놀 및 염, 3-(4,4,5-트리플루오로-3,3-디메틸-3,4-디하이드로이소퀴놀린-1-일)퀴놀린, 3,4,5-트리클로로피리딘-2,6-디카보니트릴, 3-[5-(4-클로로페닐)-2,3-디메틸-1,2-옥사졸리딘-3-일]피리딘, 3-클로로-5-(4-클로로페닐)-4-(2,6-디플루오로페닐)-6-메틸피리다진, 4-(4-클로로페닐)-5-(2,6-디플루오로-페닐)-3,6-디메틸피리다진, 5-아미노-1,3,4-티아디아졸-2-티올, 5-클로로-N'-페닐-N'-(프로프-2-인-1-일)티오펜-2-설포노히드라지드, 5-플루오로-2-[(4-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4-아민, 5-플루오로-2-[(4-메틸벤질)옥시]피리미딘-4-아민, 5-메틸-6-옥틸[1,2,4]트리아졸로[1,5-a]피리미딘-7-아민, 에틸 (2Z)-3-아미노-2-시아노-3-페닐프로프-2-에노에이트, N'-(4-{[3-(4-클로로벤질)-1,2,4-티아디아졸-5-일]옥시}-2,5-디메틸페닐)-N-에틸-N-메틸이미도포름아미드, N-(4-클로로벤질)-3-[3-메톡시-4-(프로프-2-인-1-일옥시)페닐]프로파나미드, N-[(4-클로로페닐)(시아노)메틸]-3-[3-메톡시-4-(프로프-2-인-1-일옥시)페닐]프로파나미드, N-[(5-브로모-3-클로로피리딘-2-일)메틸]-2,4-디클로로피리딘-3-카복사미드, N-[1-(5-브로모-3-클로로피리딘-2-일)에틸]-2,4-디클로로-피리딘-3-카복사미드, N-[1-(5-브로모-3-클로로피리딘-2-일)에틸]-2-플루오로-4-요도-피리딘-3-카복사미드, N-{(E)-[(시클로프로필메톡시)이미노][6-(디플루오로메톡시)-2,3-디플루오로페닐]-메틸}-2-페닐-아세타미드, N-{(Z)-[(시클로프로필메톡시)이미노][6-(디플루오로메톡시)-2,3-디플루오로-페닐]-메틸}-2-페닐아세타미드, N'-{4-[(3-tert-부틸-4-시아노-1,2-티아졸-5-일)옥시]-2-클로로-5-메틸페닐}-N-에틸-N-메틸이미도포름아미드, N-메틸-2-(1-{[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N-(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일)-1,3-티아졸-4-카복사미드, N-메틸-2-(1-{[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N-[(1R)-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일]-1,3-티아졸-4-카복사미드, N-메틸-2-(1-{[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N-[(1S)-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일]-1,3-티아졸-4-카복사미드, 펜틸 {6-[({[(1-메틸-1H-테트라졸-5-일)(페닐)-메틸리덴]아미노}옥시)메틸]피리딘-2-일}카바메이트, 페나진-1-카복실산, 퀴놀린-8-올, 황산 퀴놀린-8-올(2:1), tert-부틸 {6-[({[(1-메틸-1H-테트라졸-5-일)(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메틸]피리딘-2-일}카바메이트, 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N-[2'-(트리플루오로메틸)비페닐-2-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N-(4'-클로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N-(2',4'-디클로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1-메틸-N-[4'-(트리플루오로메틸)비페닐-2-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N-(2',5'-디플루오로비페닐-2-일)-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1-메틸-N-[4'-(프로프-1-인-1-일)비페닐-2-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5-플루오로-1,3-디메틸-N-[4'-(프로프-1-인-1-일)비페닐-2-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2-클로로-N-[4'-(프로프-1-인-1-일)비페닐-2-일]피리딘-3-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N-[4'-(3,3-디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N-[4'-(3,3-디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5-플루오로-1,3-디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N-(4'-에티닐비페닐-2-일)-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N-(4'-에티닐비페닐-2-일)-5-플루오로-1,3-디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2-클로로-N-(4'-에티닐비페닐-2-일)피리딘-3-카복사미드, 2-클로로-N-[4'-(3,3-디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피리딘-3-카복사미드, 4-(디플루오로메틸)-2-메틸-N-[4'-(트리플루오로메틸)비페닐-2-일]-1,3-티아졸-5-카복사미드, 5-플루오로-N-[4'-(3-하이드록시-3-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1,3-디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2-클로로-N-[4'-(3-하이드록시-3-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피리딘-3-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N-[4'-(3-메톡시-3-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5-플루오로-N-[4'-(3-메톡시-3-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1,3-디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2-클로로-N-[4'-(3-메톡시-3-메틸부트-1-인-1-일)비페닐-2-일]피리딘-3-카복사미드, (5-브로모-2-메톡시-4-메틸피리딘-3-일)(2,3,4-트리메톡시-6-메틸페닐)메타논, N-[2-(4-{[3-(4-클로로페닐)프로프-2-인-1-일]옥시}-3-메톡시페닐)에틸]-N2-(메틸설포닐)발리나미드, 4-옥소-4-[(2-페닐에틸)아미노]부탄산, 부트-3-인-1-일 {6-[({[(Z)-(1-메틸-1H-테트라졸-5-일)-(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메틸]피리딘-2-일}카바메이트, 또는
    ii) 제6항 또는 제7항에 의한 유전자 이식 대두 식물의 종자로부터 생장된 대두가 존재하는 노지에 하나 이상의 부가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 또는 내성을 식물에 제공할 수 있는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영역들에 대응하는 2개 이상의 제초제 혼합물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잡초 방제 방법;
    b) 상기 대두 식물로부터 대두를 수확하는 단계; 및
    c) 대두 오일을 추출하여 대두 오일 및 대두 가루를 제공하는 단계.
  68. 제67항에 있어서, 대두 오일을 추출하는 단계 이전에,
    (i) 수확된 대두를 가열하여 대두의 수분 함량을 감소시키는 단계;
    (ii) 수확된 대두를 분쇄하여 대두 껍질을 제거하는 단계; 및
    (iii) 대두를 가압하여 작은 플레이크들로 만드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수행하는 방법.
  69. 제67항에 있어서, 대두 오일을 추출하는 단계는 용매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방법.
  70. 서열 번호 1 또는 서열 번호 2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제초제 내성 계통 SYHT0H2를 포함하는 유전자 이식 대두 식물에 생장 촉진량만큼의 HPPD 억제제를 적용하여, 잡초 압력(weed pressure)에 영향받지 않고 수확량을 개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의 수확량을 개선하는 방법.
  71. 제70항에 있어서, HPPD 억제제는 메소트리온인 방법.
  72. 제70항 또는 제71항에 있어서, HPPD 억제제 저항성 식물에 생장 촉진량만큼의 HPPD 억제제를 적용하는 단계는 식물의 영양 생식 단계 중에 수행되는 방법.
  73. 삭제
KR1020137016499A 2010-12-15 2011-12-09 대두 계통 syht0h2 및 이의 조성물과 이를 검출하는 방법 KR1019812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2313110P 2010-12-15 2010-12-15
US61/423,131 2010-12-15
US201161467621P 2011-03-25 2011-03-25
US61/467,621 2011-03-25
PCT/US2011/064143 WO2012082548A2 (en) 2010-12-15 2011-12-09 Soybean event syht0h2 an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tection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646A KR20130126646A (ko) 2013-11-20
KR101981250B1 true KR101981250B1 (ko) 2019-05-22

Family

ID=46245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6499A KR101981250B1 (ko) 2010-12-15 2011-12-09 대두 계통 syht0h2 및 이의 조성물과 이를 검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2) US10184134B2 (ko)
EP (1) EP2651209B1 (ko)
JP (3) JP6278446B2 (ko)
KR (1) KR101981250B1 (ko)
CN (3) CN108004235B (ko)
AR (1) AR084284A1 (ko)
AU (1) AU2011344222B9 (ko)
BR (1) BR112013014395A2 (ko)
CA (2) CA2821101C (ko)
CL (1) CL2013001717A1 (ko)
CO (1) CO6731109A2 (ko)
EA (3) EA031633B1 (ko)
EC (1) ECSP13012758A (ko)
ES (1) ES2668656T3 (ko)
MX (3) MX349466B (ko)
TW (1) TWI667347B (ko)
UA (1) UA116972C2 (ko)
UY (2) UY33795A (ko)
WO (1) WO2012082548A2 (ko)
ZA (1) ZA2013043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61934B2 (ja) 2011-08-25 2017-01-18 シンジェンタ パーティシペーションズ アーゲー 殺虫化合物としてのイソオキサゾリン誘導体
BR112014004275A2 (pt) 2011-08-25 2017-03-21 Syngenta Participations Ag derivados de isoxazolina como compostos inseticidas
WO2013026929A1 (en) 2011-08-25 2013-02-28 Syngenta Participations Ag Dihydropyrrole derivatives as insecticidal compounds
US9078444B2 (en) 2011-09-13 2015-07-14 Syngenta Participations Ag Isothiazoline derivatives as insecticidal compounds
WO2013050317A1 (en) 2011-10-03 2013-04-11 Syngenta Limited Polymorphs of an isoxazoline derivative
JP2014534182A (ja) 2011-10-03 2014-12-18 シンジェンタ パーティシペーションズ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殺虫化合物としてのイソオキサゾリン誘導体
CN103958531B (zh) 2011-11-21 2016-12-28 拜耳知识产权有限责任公司 杀真菌剂n‑[(三取代的甲硅烷基)甲基]‑羧酰胺衍生物
AR089656A1 (es) 2011-11-30 2014-09-10 Bayer Ip Gmbh Derivados de n-bicicloalquil- y n-tricicloalquil-(tio)-carboxamida fungicidas
US9556158B2 (en) 2011-12-29 2017-01-31 Bayer Intellectual Property Gmbh Fungicidal 3-[(pyridin-2-ylmethoxyimino)(phenyl)methyl]-2-substituted-1,2,4-oxadiazol-5(2H)-one derivatives
IN2014DN06122A (ko) 2011-12-29 2015-08-14 Bayer Ip Gmbh
EP2806739A1 (en) 2012-01-25 2014-12-03 Bayer Intellectual Property GmbH Active compound combinations containing fluopyram and biological control agent
WO2013135674A1 (en) 2012-03-12 2013-09-19 Syngenta Participations Ag Insecticidal 2-aryl-acetamide compounds
BR112015001979A2 (pt) 2012-08-03 2017-07-04 Syngenta Participations Ag métodos de controle de pragas em soja
CA2879794C (en) 2012-08-24 2022-01-11 Syngenta Participations Ag Methods of soil pest control
BR112015003541A2 (pt) 2012-08-24 2017-07-04 Syngenta Participations Ag métodos de controle de insetos
EP2887810B1 (en) 2012-08-24 2018-10-31 Syngenta Participations AG Methods of controlling insects
CA2882160C (en) 2012-08-30 2022-05-31 Jesse Gilsinger Molecular markers and phenotypic screening for metribuzin tolerance in soybean
JP6557142B2 (ja) 2012-09-14 2019-08-07 バイエル クロップサイエンス エルピーBayer Cropscience Lp Hppd変異体および使用方法
US9510595B2 (en) 2012-10-10 2016-12-06 Syngenta Participations Ag Pesticidal mixtures
PT2908641T (pt) 2012-10-19 2018-04-16 Bayer Cropscience Ag Método para o tratamento de plantas contra fungos resistentes a fungicidas utilizando derivados de carboxamida ou tiocarboxamida
JP6262747B2 (ja) 2012-10-19 2018-01-17 バイエル・クロップサイエンス・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カルボキサミド誘導体を用いる植物成長促進方法
WO2014060519A1 (en) 2012-10-19 2014-04-24 Bayer Cropscience Ag Method for enhancing tolerance to abiotic stress in plants using carboxamide or thiocarboxamide derivatives
CN105357968A (zh) 2012-10-19 2016-02-24 拜尔农科股份公司 包含羧酰胺衍生物的活性化合物复配物
UA117816C2 (uk) * 2012-11-06 2018-10-10 Байєр Кропсайєнс Акцієнгезелльшафт Гербіцидна комбінація для толерантних соєвих культур
WO2014079935A1 (en) 2012-11-21 2014-05-30 Syngenta Participations Ag Insecticidal compounds based on arylthioacetamide derivatives
AR093909A1 (es) 2012-12-12 2015-06-24 Bayer Cropscience Ag Uso de ingredientes activos para controlar nematodos en cultivos resistentes a nematodos
WO2014131837A1 (en) 2013-02-28 2014-09-04 Syngenta Participations Ag Isoxaline derivatives for use in cotton plants
CN110172466A (zh) 2013-03-07 2019-08-27 巴斯夫农业解决方案种子美国有限责任公司 毒素基因及其使用方法
BR112015026235A2 (pt) 2013-04-19 2017-10-10 Bayer Cropscience Ag método para melhorar a utilização do potencial de produção de plantas transgênicas envolvendo a aplicação de um derivado de ftaldiamida
CN105247058A (zh) * 2013-04-30 2016-01-13 巴斯夫欧洲公司 具有增加的除草剂耐受性的植物
WO2014177514A1 (en) 2013-04-30 2014-11-06 Bayer Cropscience Ag Nematicidal n-substituted phenethylcarboxamides
TW201507722A (zh) 2013-04-30 2015-03-01 Bayer Cropscience Ag 做為殺線蟲劑及殺體內寄生蟲劑的n-(2-鹵素-2-苯乙基)-羧醯胺類
WO2014177993A2 (en) * 2013-04-30 2014-11-06 Basf Se Plants having increased tolerance to herbicides
BR112016013388B8 (pt) * 2013-12-20 2022-08-23 Dow Agrosciences Llc composições e métodos para controlar vegetação indesejável
WO2015138394A2 (en) 2014-03-11 2015-09-17 Bayer Cropscience Lp Hppd variants and methods of use
KR20160138273A (ko) * 2014-03-31 2016-12-02 에프엠씨 코포레이션 메소트리온을 사용하여 적색 벼를 방제하는 방법
CN104388579B (zh) * 2014-12-16 2018-11-09 上海速芯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转基因大豆及其衍生品种的Arm-PCR检测方法
EP3097782A1 (en) 2015-05-29 2016-11-30 Bayer CropScience Aktiengesellschaft Methods for controlling phytopathogenic nematodes by combination of fluopyram and biological control agents
CN105002291B (zh) * 2015-08-10 2018-01-12 吉林省农业科学院 转基因大豆mon87708的lamp检测引物组、试剂盒及检测方法
WO2017044310A1 (en) * 2015-09-09 2017-03-16 Syngenta Participations Ag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tein detection
JP6873979B2 (ja) 2015-09-11 2021-05-19 バイエル・クロップサイエンス・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Hppd変異体および使用方法
BR112018012010A2 (pt) 2015-12-14 2018-12-04 Fmc Corporation composto, composição, método de controle de pragas invertebradas e semente tratada
CN105724139B (zh) * 2016-03-22 2018-10-30 北京大北农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除草剂耐受性蛋白质的用途
CN106086011B (zh) * 2016-06-18 2019-10-18 北京大北农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检测除草剂耐受性大豆植物dbn9004的核酸序列及其检测方法
CN106119245B (zh) * 2016-06-18 2019-10-18 北京大北农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检测除草剂耐受性大豆植物dbn9001的核酸序列及其检测方法
CN106086010B (zh) * 2016-06-18 2019-10-18 北京大北农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检测除草剂耐受性大豆植物dbn9008的核酸序列及其检测方法
GB201618266D0 (en) 2016-10-28 2016-12-14 Syngenta Participations A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compounds
BR112019010476A2 (pt) 2016-11-23 2019-09-10 BASF Agricultural Solutions Seed US LLC molécula de ácido nucleico recombinante, vetor, célula hospedeira, planta transgênica, semente transgênica, polipeptídeo recombinante, composição, método para controlar uma população de pragas, para matar pragas, para produzir um polipeptídeo, planta ou célula vegetal, método para proteger uma planta contra uma praga, para aumentar o rendimento em uma planta, uso e produto primário
EP3555056A1 (en) 2016-12-19 2019-10-23 Basf Se Substituted oxadiazoles for combating phytopathogenic fungi
GB201622007D0 (en) 2016-12-22 2017-02-08 And See Cambridge Display Tech Ltd Syngenta Participations Ag Polymorphs
MY192425A (en) 2016-12-22 2022-08-19 Syngenta Participations Ag Polymorphs
CA3047582A1 (en) 2016-12-22 2018-06-28 BASF Agricultural Solutions Seed US LLC Use of cry14 for the control of nematode pests
MX2019007593A (es) 2016-12-22 2019-12-02 BASF Agricultural Solutions Seed US LLC Evento de elíte ee-gm5 y métodos y kits para identificar dicho evento en muestras biológicas.
MX2019007592A (es) 2016-12-22 2019-12-16 BASF Agricultural Solutions Seed US LLC Evento de élite ee-gm4 y métodos y kits para identificar dicho evento en muestras biológicas.
WO2018136611A1 (en) 2017-01-18 2018-07-26 Bayer Cropscience Lp Use of bp005 for the control of plant pathogens
WO2018136604A1 (en) 2017-01-18 2018-07-26 Bayer Cropscience Lp Bp005 toxin gene and methods for its use
EP3585773B1 (en) 2017-02-21 2021-04-07 Basf Se Substituted oxadiazoles for combating phytopathogenic fungi
UY37623A (es) 2017-03-03 2018-09-28 Syngenta Participations Ag Derivados de oxadiazol tiofeno fungicidas
CA3055317A1 (en) 2017-03-07 2018-09-13 BASF Agricultural Solutions Seed US LLC Hppd variants and methods of use
WO2018177880A1 (en) 2017-03-31 2018-10-04 Syngenta Participations Ag Fungicidal compositions
EP3599859A1 (en) 2017-03-31 2020-02-05 Syngenta Participations AG Fungicidal compositions
WO2018185013A1 (en) 2017-04-03 2018-10-11 Syngenta Participations Ag Microbiocidal oxadiazole derivatives
WO2018184988A1 (en) 2017-04-05 2018-10-11 Syngenta Participations Ag Microbiocidal oxadiazole derivatives
WO2018184986A1 (en) 2017-04-05 2018-10-11 Syngenta Participations Ag Microbiocidal oxadiazole derivatives
BR112019020735B1 (pt) 2017-04-05 2023-12-05 Syngenta Participations Ag Compostos derivados de oxadiazol microbiocidas e seu uso, composição agroquímica e método para controlar ou prevenir a infestação de plantas úteis por microrganismos fitopatogênicos
BR112019020756B1 (pt) 2017-04-05 2023-11-28 Syngenta Participations Ag Compostos derivados de oxadiazol microbicidas, composição agroquímica compreendendo os mesmos, método para controlar ou prevenir a infestação de plantas úteis por microrganismos fitopatogênicos e uso desses compostos
BR112019021019B1 (pt) 2017-04-05 2023-12-05 Syngenta Participations Ag Compostos derivados de oxadiazol microbiocidas, composição agrícola, método para controlar ou prevenir a infestação de plantas úteis por microrganismos fitopatogênicos e uso de um composto derivado de oxadiazol
BR112019020739B1 (pt) 2017-04-05 2023-12-19 Syngenta Participations Ag Compostos derivados de oxadiazol microbiocidas e seu uso, composição agroquímica, método para controlar ou prevenir a infestação de plantas úteis por microrganismos fitopatogênicos
WO2018185211A1 (en) 2017-04-06 2018-10-11 Syngenta Participations Ag Microbiocidal oxadiazole derivatives
AU2018247768A1 (en) 2017-04-07 2019-10-03 Basf Se Substituted oxadiazoles for combating phytopathogenic fungi
WO2018188962A1 (en) 2017-04-11 2018-10-18 Basf Se Substituted oxadiazoles for combating phytopathogenic fungi
MX2019012543A (es) 2017-04-21 2019-12-02 Bayer Cropscience Lp Metodo para mejorar la seguridad de los cultivos.
BR112019022137A2 (pt) 2017-05-04 2020-05-12 Basf Se Usos de compostos, compostos da fórmula i, composição agroquímica e método para combater fungos nocivos fitopatogênicos
WO2018202491A1 (en) 2017-05-04 2018-11-08 Basf Se Substituted trifluoromethyloxadiazoles for combating phytopathogenic fungi
BR112019024984A2 (pt) 2017-06-02 2020-06-23 Syngenta Participations Ag Derivados de oxadiazol microbicidas
BR112019024993A2 (pt) 2017-06-02 2020-06-16 Syngenta Participations Ag Composições fungicidas
WO2018219797A1 (en) 2017-06-02 2018-12-06 Basf Se Substituted oxadiazoles for combating phytopathogenic fungi
JP2020523382A (ja) 2017-06-14 2020-08-06 シンジェンタ パーティシペーションズ アーゲー 殺菌・殺カビ性組成物
EP3642187A1 (en) 2017-06-19 2020-04-29 Basf Se 2-[[5-(trifluoromethyl)-1,2,4-oxadiazol-3-yl]aryloxy](thio)acetamides for combating phytopathogenic fungi
KR20200022452A (ko) 2017-06-28 2020-03-03 신젠타 파티서페이션즈 아게 살진균 조성물
WO2019011929A1 (en) 2017-07-11 2019-01-17 Syngenta Participations Ag MICROBIOCIDE OXADIAZOLE DERIVATIVES
BR112020000465B1 (pt) 2017-07-11 2024-02-20 Syngenta Participations Ag Derivados oxadiazol microbiocidas
WO2019011928A1 (en) 2017-07-11 2019-01-17 Syngenta Participations Ag MICROBIOCIDE OXADIAZOLE DERIVATIVES
BR112020000457A2 (pt) 2017-07-11 2020-07-21 Syngenta Participations Ag derivados oxadiazol microbiocidas
WO2019012011A1 (en) 2017-07-12 2019-01-17 Syngenta Participations Ag MICROBIOCIDE OXADIAZOLE DERIVATIVES
BR112020000414A2 (pt) 2017-07-12 2020-07-21 Syngenta Participations Ag derivados de oxadiazol microbicidas
BR112020000463A2 (pt) 2017-07-13 2020-07-21 Syngenta Participations Ag derivados oxadiazol microbiocidas
WO2019025250A1 (en) 2017-08-04 2019-02-07 Basf Se SUBSTITUTED TRIFLUOROMETHYLOXADIAZOLES FOR COMBATING PHYTOPATHOGENIC FUNGI
BR122023021541A2 (pt) 2017-08-09 2024-01-09 Basf Se Mistura de herbicidas, composição pesticida e método de controle de vegetação
WO2019038042A1 (en) 2017-08-21 2019-02-28 Basf Se SUBSTITUTED TRIFLUOROMETHYLOXADIAZOLES FOR THE CONTROL OF PHYTOPATHOGENIC FUNGI
US11076596B2 (en) 2017-09-18 2021-08-03 Basf Se Substituted trifluoromethyloxadiazoles for combating phytopathogenic fungi
UY37913A (es) 2017-10-05 2019-05-31 Syngenta Participations Ag Derivados de picolinamida fungicidas que portan un grupo terminal cuaternario
UY37912A (es) 2017-10-05 2019-05-31 Syngenta Participations Ag Derivados de picolinamida fungicidas que portan grupos terminales heteroarilo o heteroariloxi
WO2019083810A1 (en) 2017-10-24 2019-05-02 Basf Se IMPROVING HERBICIDE TOLERANCE FOR 4-HYDROXYPHENYLPYRUVATE DIOXYGENASE (HPPD) INHIBITORS BY NEGATIVE REGULATION OF HPPD EXPRESSION IN SOYBEANS
US20210032651A1 (en) 2017-10-24 2021-02-04 Basf Se Improvement of herbicide tolerance to hppd inhibitors by down-regulation of putative 4-hydroxyphenylpyruvate reductases in soybean
WO2019096709A1 (en) 2017-11-15 2019-05-23 Syngenta Participations Ag Microbiocidal picolinamide derivatives
EP3713936B1 (en) 2017-11-23 2021-10-20 Basf Se Substituted trifluoromethyloxadiazoles for combating phytopathogenic fungi
WO2019121143A1 (en) 2017-12-20 2019-06-27 Basf Se Substituted cyclopropyl derivatives
WO2019137995A1 (en) 2018-01-11 2019-07-18 Basf Se Novel pyridazine compounds for controlling invertebrate pests
CN111669972A (zh) 2018-01-29 2020-09-15 巴斯夫农业公司 新农业化学制剂
MX2020008357A (es) 2018-02-07 2020-09-25 Basf Se Piridincarboxamidas novedosas.
WO2019154665A1 (en) 2018-02-07 2019-08-15 Basf Se New pyridine carboxamides
BR112020016805A2 (pt) 2018-03-01 2020-12-15 BASF Agro B.V. Composições fungicidas, métodos para controlar fungos nocivos fitopatogênicos, para melhorar a saúde de plantas e para a proteção de material de propagação vegetal, material de propagação vegetal e uso
BR112020021645A2 (pt) 2018-04-26 2021-01-26 Syngenta Participations Ag derivados de oxadiazol microbicidas
WO2019219464A1 (en) 2018-05-15 2019-11-21 Basf Se Substituted trifluoromethyloxadiazoles for combating phytopathogenic fungi
WO2019224092A1 (en) 2018-05-22 2019-11-28 Basf Se Pesticidally active c15-derivatives of ginkgolides
JP2021525774A (ja) 2018-06-04 2021-09-27 バイエル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Bayer Aktiengesellschaft 除草活性二環式ベンゾイルピラゾール
GB201810047D0 (en) 2018-06-19 2018-08-01 Syngenta Participations A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compounds
EP3814339A1 (en) 2018-06-29 2021-05-05 Syngenta Crop Protection AG Microbiocidal oxadiazole derivatives
WO2020007658A1 (en) 2018-07-02 2020-01-09 Syngenta Crop Protection Ag 3-(2-thienyl)-5-(trifluoromethyl)-1,2,4-oxadiazole derivatives as agrochemical fungicides
US20210267204A1 (en) 2018-07-16 2021-09-02 Syngenta Crop Protection Ag Microbiocidal oxadiazole derivatives
EP3613736A1 (en) 2018-08-22 2020-02-26 Basf Se Substituted glutarimide derivatives
EP3628158A1 (en) 2018-09-28 2020-04-01 Basf Se Pesticidal mixture comprising a mesoionic compound and a biopesticide
GB201816931D0 (en) 2018-10-17 2018-11-28 Syngenta Participations A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compounds
BR112021007156A2 (pt) 2018-10-17 2021-07-20 Syngenta Crop Protection Ag derivados de oxadiazol microbiocidas
AR116628A1 (es) 2018-10-18 2021-05-26 Syngenta Crop Protection Ag Compuestos microbiocidas
AU2019363569A1 (en) 2018-10-23 2021-04-29 Basf Se Tricyclic pesticidal compounds
EP3643705A1 (en) 2018-10-24 2020-04-29 Basf Se Pesticidal compounds
EP3670501A1 (en) 2018-12-17 2020-06-24 Basf Se Substituted [1,2,4]triazole compounds as fungicides
EA202191859A1 (ru) 2019-01-11 2021-11-17 Басф Се Кристаллические формы 1-(1,2-диметилпропил)-n-этил-5-метил-n-пиридазин-4-ил-пиразол-4-карбоксамида
EP3696177A1 (en) 2019-02-12 2020-08-19 Basf Se Heterocyclic compounds for the control of invertebrate pests
WO2020165403A1 (en) 2019-02-15 2020-08-20 Syngenta Crop Protection Ag Phenyl substituted thiazole derivatives as microbiocidal compounds
CN113382632A (zh) 2019-02-20 2021-09-10 先正达农作物保护股份公司 甲氧哌啶乙酯的用途
GB201903942D0 (en) 2019-03-22 2019-05-08 Syngenta Crop Protection Ag Microbiocidal compounds
EP3953442A1 (de) * 2019-04-09 2022-02-16 Waldemar NEUMÜLL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industriellen gewinnung von rapskernöl und rapsproteinkonzentrat aus rapssaat
CA3132321A1 (en) 2019-04-10 2020-10-15 Clemens Lamberth Fungicidal compositions
WO2020208095A1 (en) 2019-04-10 2020-10-15 Syngenta Crop Protection Ag Microbiocidal picolinamide derivatives
WO2020239517A1 (en) 2019-05-29 2020-12-03 Basf Se Mesoionic imidazolium compounds and derivatives for combating animal pests
EP3769623A1 (en) 2019-07-22 2021-01-27 Basf Se Mesoionic imidazolium compounds and derivatives for combating animal pests
WO2020244969A1 (en) 2019-06-06 2020-12-10 Basf Se Pyrid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fungicides
US20220235005A1 (en) 2019-06-06 2022-07-28 Basf Se Fungicidal n-(pyrid-3-yl)carboxamides
WO2020244970A1 (en) 2019-06-06 2020-12-10 Basf Se New carbocyclic pyridine carboxamides
US20220264877A1 (en) 2019-07-05 2022-08-25 Syngenta Crop Protection Ag Microbiocidal picolinamide derivatives
GB201910037D0 (en) 2019-07-12 2019-08-28 Syngenta Crop Protection Ag Microbiocidal compounds
EP3766879A1 (en) 2019-07-19 2021-01-20 Basf Se Pesticidal pyrazole derivatives
JP2022541612A (ja) 2019-07-22 2022-09-26 バイエル、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殺虫剤としての5-アミノ置換ピラゾールおよびトリアゾール
MX2022000954A (es) 2019-07-23 2022-02-14 Bayer Ag Novedosos compuestos de heteroaril-triazol como plaguicidas.
BR112022000915A2 (pt) 2019-07-23 2022-05-17 Bayer Ag Compostos de heteroaril-triazol como pesticidas
GB201910641D0 (en) 2019-07-25 2019-09-11 Syngenta Crop Protection Ag Improv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compounds
CA3149206A1 (en) 2019-08-01 2021-02-04 Bayer Cropscience Lp Method of improving cold stress tolerance and crop safety
EP3701796A1 (en) 2019-08-08 2020-09-02 Bayer AG Active compound combinations
EP4034656A1 (en) 2019-09-26 2022-08-03 Bayer Aktiengesellschaft Rnai-mediated pest control
CN114760842A (zh) 2019-10-02 2022-07-15 拜耳公司 包含脂肪酸的活性化合物结合物
WO2021063736A1 (en) 2019-10-02 2021-04-08 Basf Se Bicyclic pyridine derivatives
WO2021063735A1 (en) 2019-10-02 2021-04-08 Basf Se New bicyclic pyridine derivatives
UY38910A (es) 2019-10-09 2021-05-31 Bayer Ag Compuestos de heteroarilo-triazol como pesticidas, formulaciones, usos y métodos de uso de los mismos
KR20220081359A (ko) 2019-10-09 2022-06-15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살충제로서의 신규 헤테로아릴-트리아졸 화합물
WO2021089673A1 (de) 2019-11-07 2021-05-14 Bayer Aktiengesellschaft Substituierte sulfonylamide zur bekämpfung tierischer schädlinge
WO2021097162A1 (en) 2019-11-13 2021-05-20 Bayer Cropscience Lp Beneficial combinations with paenibacillus
AR120445A1 (es) 2019-11-15 2022-02-16 Syngenta Crop Protection Ag N-tetrazolil o n-1,3,4-oxadiazolil benzamidas como herbicidas
TW202134226A (zh) 2019-11-18 2021-09-16 德商拜耳廠股份有限公司 作為殺蟲劑之新穎雜芳基-三唑化合物
WO2021099271A1 (en) 2019-11-18 2021-05-27 Bayer Aktiengesellschaft Active compound combinations comprising fatty acids
TW202136248A (zh) 2019-11-25 2021-10-01 德商拜耳廠股份有限公司 作為殺蟲劑之新穎雜芳基-三唑化合物
UY39058A (es) 2020-01-31 2021-08-31 Pairwise Plants Services Inc Suppresión de la respuesta de evasión a la sombra en plantas
KR20220143072A (ko) 2020-02-18 2022-10-24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살충제로서의 헤테로아릴-트리아졸 화합물
EP3708565A1 (en) 2020-03-04 2020-09-16 Bayer AG Pyrimidinyloxyphenylamidines and the use thereof as fungicides
CA3169012A1 (en) 2020-03-05 2021-09-10 Syngenta Crop Protection Ag Fungicidal compositions
UY39115A (es) 2020-03-05 2021-10-29 Syngenta Crop Protection Ag Mezclas fungicidas de derivados de arilo metoxiacrilato
WO2021209490A1 (en) 2020-04-16 2021-10-21 Bayer Aktiengesellschaft Cyclaminephenylaminoquinolines as fungicides
MX2022012878A (es) 2020-04-16 2022-12-08 Pairwise Plants Services Inc Metodos para controlar el tama?o del meristema para la mejora de cultivos.
KR20230004578A (ko) 2020-04-17 2023-01-06 신젠타 크롭 프로텍션 아게 제초 화합물
AU2021260029A1 (en) 2020-04-21 2022-11-24 Bayer Aktiengesellschaft 2-(het)aryl-substituted condensed heterocyclic derivatives as pest control agents
WO2021219513A1 (en) 2020-04-28 2021-11-04 Basf Se Pesticidal compounds
EP3903582A1 (en) 2020-04-28 2021-11-03 Basf Se Use of strobilurin type compounds for combating phytopathogenic fungi containing an amino acid substitution f129l in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b protein conferring resistance to qo inhibitors ii
EP3903581A1 (en) 2020-04-28 2021-11-03 Basf Se Use of strobilurin type compounds for combating phytopathogenic fungi containing an amino acid substitution f129l in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b protein conferring resistance to qo inhibitors i
EP3903583A1 (en) 2020-04-28 2021-11-03 Basf Se Use of strobilurin type compounds for combating phytopathogenic fungi containing an amino acid substitution f129l in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b protein conferring resistance to qo inhibitors iii
EP3903584A1 (en) 2020-04-28 2021-11-03 Basf Se Use of strobilurin type compounds for combating phytopathogenic fungi containing an amino acid substitution f129l in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b protein conferring resistance to qo inhibitors iv
GB202006399D0 (en) 2020-04-30 2020-06-17 Syngenta Crop Protection Ag Microbiocidal compounds
GB202006386D0 (en) 2020-04-30 2020-06-17 Syngenta Crop Protection Ag Microbiocidal Compounds
GB202006480D0 (en) 2020-05-01 2020-06-17 Syngenta Crop Protection Ag Microbiocidal compounds
GB202006606D0 (en) 2020-05-05 2020-06-17 Syngenta Crop Protection Ag Microbiocidal compounds
TW202208347A (zh) 2020-05-06 2022-03-01 德商拜耳廠股份有限公司 作為殺蟲劑之新穎雜芳基三唑化合物
CN115915941A (zh) 2020-05-06 2023-04-04 拜耳公司 作为杀真菌化合物的吡啶(硫代)酰胺
CN115605462A (zh) 2020-05-12 2023-01-13 拜耳公司(De) 作为杀真菌化合物的三嗪和嘧啶(硫代)酰胺
EP3909950A1 (en) 2020-05-13 2021-11-17 Basf Se Heterocyclic compounds for the control of invertebrate pests
EP4153566A1 (en) 2020-05-19 2023-03-29 Bayer CropScience Aktiengesellschaft Azabicyclic(thio)amides as fungicidal compounds
CA3185017A1 (en) 2020-06-02 2021-12-09 Pairwise Plants Services, Inc. Methods for controlling meristem size for crop improvement
WO2021245087A1 (en) 2020-06-04 2021-12-09 Bayer Aktiengesellschaft Heterocyclyl pyrimidines and triazines as novel fungicides
WO2021249800A1 (en) 2020-06-10 2021-12-16 Basf Se Substituted [1,2,4]triazole compounds as fungicides
EP3945089A1 (en) 2020-07-31 2022-02-02 Basf Se Use of strobilurin type compounds for combating phytopathogenic fungi containing an amino acid substitution f129l in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b protein conferring resistance to qo inhibitors v
KR20230024343A (ko) 2020-06-10 2023-02-20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살진균제로서의 아자비시클릴-치환된 헤테로사이클
MX2022015896A (es) 2020-06-17 2023-02-22 Pairwise Plants Services Inc Métodos para el control del tamaño del meristemo para la mejora de cultivos.
WO2021255118A1 (en) 2020-06-18 2021-12-23 Bayer Aktiengesellschaft Composition for use in agriculture
BR112022025941A2 (pt) 2020-06-18 2023-01-10 Bayer Ag Derivados de 3-(piridazin-4-il)-5,6-di-hidro-4h-1,2,4-oxadiazina como fungicidas para proteção de cultura
UY39276A (es) 2020-06-19 2022-01-31 Bayer Ag Uso de compuestos de 1,3,4–oxadiazol–2–ilpirimidina para controlar microorganismos fitopatógenos, métodos de uso y composiciones.
WO2021255089A1 (en) 2020-06-19 2021-12-23 Bayer Aktiengesellschaft 1,3,4-oxadiazole pyrimidines and 1,3,4-oxadiazole pyridines as fungicides
UY39275A (es) 2020-06-19 2022-01-31 Bayer Ag 1,3,4-oxadiazol pirimidinas como fungicidas, procesos e intermediarios para su preparación, métodos de uso y usos de los mismos
BR112022025692A2 (pt) 2020-06-19 2023-02-28 Bayer Ag 1,3,4-oxadiazóis e seus derivados como fungicidas
EP3929189A1 (en) 2020-06-25 2021-12-29 Bayer Animal Health GmbH Novel heteroaryl-substituted pyrazine derivatives as pesticides
US20230247994A1 (en) 2020-07-02 2023-08-10 Bayer Aktiengesellschaft Heterocyclene derivatives as pest control agents
EP3939961A1 (en) 2020-07-16 2022-01-19 Basf Se Strobilurin type compounds and their use for combating phytopathogenic fungi
WO2022017836A1 (en) 2020-07-20 2022-01-27 BASF Agro B.V. Fungicidal compositions comprising (r)-2-[4-(4-chlorophenoxy)-2-(trifluoromethyl)phenyl]-1- (1,2,4-triazol-1-yl)propan-2-ol
EP3970494A1 (en) 2020-09-21 2022-03-23 Basf Se Use of strobilurin type compounds for combating phytopathogenic fungi containing an amino acid substitution f129l in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b protein conferring resistance to qo inhibitors viii
WO2022033991A1 (de) 2020-08-13 2022-02-17 Bayer Aktiengesellschaft 5-amino substituierte triazole als schädlingsbekämpfungsmittel
AR123378A1 (es) 2020-08-31 2022-11-23 Basf Se Mejora del rendimiento
WO2022053453A1 (de) 2020-09-09 2022-03-17 Bayer Aktiengesellschaft Azolcarboxamide als schädlingsbekämpfungsmittel
WO2022058327A1 (en) 2020-09-15 2022-03-24 Bayer Aktiengesellschaft Substituted ureas and derivatives as new antifungal agents
GB202014840D0 (en) 2020-09-21 2020-11-04 Syngenta Crop Protection Ag Microbiocidal compounds
EP3974414A1 (de) 2020-09-25 2022-03-30 Bayer AG 5-amino substituierte pyrazole und triazole als schädlingsbekämpfungsmittel
CN116209355A (zh) 2020-10-27 2023-06-02 巴斯夫农业公司 包含氯氟醚菌唑的组合物
WO2022090071A1 (en) 2020-11-02 2022-05-05 Basf Se Use of mefenpyr-diethyl for controlling phytopathogenic fungi
WO2022090069A1 (en) 2020-11-02 2022-05-05 Basf Se Compositions comprising mefenpyr-diethyl
WO2022106304A1 (en) 2020-11-23 2022-05-27 BASF Agro B.V. Compositions comprising mefentrifluconazole
TW202231187A (zh) 2020-11-27 2022-08-16 瑞士商先正達農作物保護公司 殺有害生物組成物
WO2022117650A1 (en) 2020-12-02 2022-06-09 Syngenta Crop Protection Ag Fungicidal compositions
UY39544A (es) 2020-12-02 2022-06-30 Syngenta Crop Protection Ag Composiciones fungicidas que comprenden una mezcla de componentes (a) y (b) como principios activos
US20240043431A1 (en) 2020-12-14 2024-02-08 Basf Se Sulfoximine Pesticides
EP3915971A1 (en) 2020-12-16 2021-12-01 Bayer Aktiengesellschaft Phenyl-s(o)n-phenylamidines and the use thereof as fungicides
WO2022129188A1 (en) 2020-12-18 2022-06-23 Bayer Aktiengesellschaft 1,2,4-oxadiazol-3-yl pyrimidines as fungicides
WO2022129196A1 (en) 2020-12-18 2022-06-23 Bayer Aktiengesellschaft Heterobicycle substituted 1,2,4-oxadiazoles as fungicides
WO2022129190A1 (en) 2020-12-18 2022-06-23 Bayer Aktiengesellschaft (hetero)aryl substituted 1,2,4-oxadiazoles as fungicides
CN116669554A (zh) 2020-12-18 2023-08-29 拜耳公司 使用Dhodh抑制剂来防治作物中的抗性植物病原性真菌
AR124335A1 (es) 2020-12-18 2023-03-15 Syngenta Crop Protection Ag Compuestos herbicidas
EP4036083A1 (de) 2021-02-02 2022-08-03 Bayer Aktiengesellschaft 5-oxy substituierte hetereozyklen, als schädlingsbekämpfungsmittel
EP4043444A1 (en) 2021-02-11 2022-08-17 Basf Se Substituted isoxazoline derivatives
EP4291641A1 (en) 2021-02-11 2023-12-20 Pairwise Plants Servic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odifying cytokinin oxidase levels in plants
CN117203227A (zh) 2021-02-25 2023-12-08 成对植物服务股份有限公司 用于修饰植物中根结构的方法和组合物
AR125089A1 (es) 2021-03-19 2023-06-07 Syngenta Crop Protection Ag Composiciones plaguicidas
BR112023019788A2 (pt) 2021-03-30 2023-11-07 Bayer Ag 3-(hetero)aril-5-clorodifluorometil-1,2,4-oxadiazol como fungicida
BR112023019400A2 (pt) 2021-03-30 2023-12-05 Bayer Ag 3-(hetero)aril-5-clorodifluorometil-1,2,4-oxadiazol como fungicida
BR112023022818A2 (pt) 2021-05-03 2024-01-16 Basf Se Líquido de pulverização, mistura de aditivo, kit de pelo menos duas partes, método para controlar fungos fitopatogênicos ou bactérias fitopatogênicas, e, usos de uma mistura de aditivo, de um líquido de pulverização e de um kit de pelo menos duas partes
CN117222314A (zh) 2021-05-04 2023-12-12 先正达农作物保护股份公司 烯草酮用于昆虫控制的用途
BR112023022763A2 (pt) 2021-05-06 2024-01-02 Bayer Ag Imidazóis anulados substituídos por alquilamida e uso dos mesmos como inseticidas
WO2022233727A1 (en) 2021-05-07 2022-11-10 Syngenta Crop Protection Ag Herbicidal compounds
EP4337651A1 (en) 2021-05-10 2024-03-20 Syngenta Crop Protection AG Substituted benzamides as herbicides
WO2022238391A1 (de) 2021-05-12 2022-11-17 Bayer Aktiengesellschaft 2-(het)aryl-substituierte kondensierte heterocyclen-derivate als schädlingsbekämpfungsmittel
GB202106945D0 (en) 2021-05-14 2021-06-30 Syngenta Crop Protection A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compounds
EP4091451A1 (en) 2021-05-17 2022-11-23 BASF Agro B.V. Compositions comprising mefentrifluconazole
BR112023024017A2 (pt) 2021-05-18 2024-02-06 Basf Se Compostos, composição, método para combater fungos fitopatogênicos e semente
WO2022243109A1 (en) 2021-05-18 2022-11-24 Basf Se New substituted quinolines as fungicides
CN117355519A (zh) 2021-05-18 2024-01-05 巴斯夫欧洲公司 用作杀真菌剂的新型取代吡啶类
WO2022263285A1 (en) 2021-06-14 2022-12-22 Basf Se Yield improvement by gene combinations
AR126172A1 (es) 2021-06-17 2023-09-27 Pairwise Plants Services Inc Modificación de factores de transcripción de la familia de factores reguladores del crecimiento en soja
UY39827A (es) 2021-06-24 2023-01-31 Pairwise Plants Services Inc Modificación de genes de ubiquitina ligasa e3 hect para mejorar los rasgos de rendimiento
EP4362663A1 (en) 2021-07-01 2024-05-08 Pairwise Plants Servic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enhancing root system development
EP4362675A1 (en) 2021-07-02 2024-05-08 Syngenta Crop Protection AG Use of fluazifop-p-butyl for insect control
AU2022309104A1 (en) 2021-07-09 2023-12-07 Syngenta Crop Protection Ag Herbicidal compositions
WO2023280701A1 (en) 2021-07-09 2023-01-12 Syngenta Crop Protection Ag Herbicidal compositions
EP4366528A1 (en) 2021-07-09 2024-05-15 Syngenta Crop Protection AG Herbicidal compositions
AU2022308318A1 (en) 2021-07-09 2023-12-07 Syngenta Crop Protection Ag Herbicidal compositions
EP4119547A1 (en) 2021-07-12 2023-01-18 Basf Se Triazole compounds for the control of invertebrate pests
CA3227665A1 (en) 2021-08-02 2023-02-09 Wassilios Grammenos (3-pirydyl)-quinazoline
CA3227653A1 (en) 2021-08-02 2023-02-09 Wassilios Grammenos (3-quinolyl)-quinazoline
WO2023019188A1 (en) 2021-08-12 2023-02-16 Pairwise Plants Services, Inc. Modification of brassinosteroid receptor genes to improve yield traits
CA3228942A1 (en) 2021-08-13 2023-02-16 Bayer Aktiengesellschaft Active compound combinations and fungicide compositions comprising those
US20230063927A1 (en) 2021-08-17 2023-03-02 Pairwise Plants Servic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odifying cytokinin receptor histidine kinase genes in plants
EP4140986A1 (en) 2021-08-23 2023-03-01 Basf Se Pyrazine compounds for the control of invertebrate pests
CN118103364A (zh) 2021-08-25 2024-05-28 拜耳公司 作为农药的新的吡嗪基-三唑化合物
EP4140995A1 (en) 2021-08-27 2023-03-01 Basf Se Pyrazine compounds for the control of invertebrate pests
WO2023034731A1 (en) 2021-08-30 2023-03-09 Pairwise Plants Services, Inc. Modification of ubiquitin binding peptidase genes in plants for yield trait improvement
EP4144739A1 (de) 2021-09-02 2023-03-08 Bayer Aktiengesellschaft Anellierte pyrazole als schädlingsbekämpfungsmittel
AR126938A1 (es) 2021-09-02 2023-11-29 Pairwise Plants Services Inc Métodos y composiciones para mejorar la arquitectura de las plantas y los rasgos de rendimiento
EP4151631A1 (en) 2021-09-20 2023-03-22 Basf Se Heterocyclic compounds for the control of invertebrate pests
AU2022352997A1 (en) 2021-09-21 2024-04-04 Pairwise Plants Servic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educing pod shatter in canola
AR127236A1 (es) 2021-10-04 2024-01-03 Pairwise Plants Services Inc Métodos para mejorar la fertilidad de la flor y el rendimiento de semillas
WO2023060152A2 (en) 2021-10-07 2023-04-13 Pairwise Plants Services, Inc. Methods for improving floret fertility and seed yield
GB202115018D0 (en) 2021-10-20 2021-12-01 Syngenta Crop Protection A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compounds
WO2023072671A1 (en) 2021-10-28 2023-05-04 Basf Se Use of strobilurin type compounds for combating phytopathogenic fungi containing an amino acid substitution f129l in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b protein conferring resistance to qo inhibitors ix
WO2023072670A1 (en) 2021-10-28 2023-05-04 Basf Se Use of strobilurin type compounds for combating phytopathogenic fungi containing an amino acid substitution f129l in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b protein conferring resistance to qo inhibitors x
WO2023078915A1 (en) 2021-11-03 2023-05-11 Bayer Aktiengesellschaft Bis(hetero)aryl thioether (thio)amides as fungicidal compounds
WO2023099445A1 (en) 2021-11-30 2023-06-08 Bayer Aktiengesellschaft Bis(hetero)aryl thioether oxadiazines as fungicidal compounds
EP4194453A1 (en) 2021-12-08 2023-06-14 Basf Se Pyrazine compounds for the control of invertebrate pests
AR127904A1 (es) 2021-12-09 2024-03-06 Pairwise Plants Services Inc Métodos para mejorar la fertilidad de floretes y el rendimiento de semillas
EP4198033A1 (en) 2021-12-14 2023-06-21 Basf Se Heterocyclic compounds for the control of invertebrate pests
EP4198023A1 (en) 2021-12-16 2023-06-21 Basf Se Pesticidally active thiosemicarbazone compounds
AR128372A1 (es) 2022-01-31 2024-04-24 Pairwise Plants Services Inc Supresión de la respuesta de evitación de la sombra en las plantas
WO2023148028A1 (en) 2022-02-01 2023-08-10 Globachem Nv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ontrolling pests
WO2023148036A1 (en) 2022-02-01 2023-08-10 Globachem Nv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ontrolling pests in soybean
WO2023156402A1 (en) 2022-02-17 2023-08-24 Basf Se Pesticidally active thiosemicarbazone compounds
WO2023156270A1 (en) 2022-02-18 2023-08-24 Basf Se Coumarin synthesis and uses thereof
WO2023168217A1 (en) 2022-03-02 2023-09-07 Pairwise Plants Services, Inc. Modification of brassinosteroid receptor genes to improve yield traits
EP4238971A1 (en) 2022-03-02 2023-09-06 Basf Se Substituted isoxazoline derivatives
WO2023192838A1 (en) 2022-03-31 2023-10-05 Pairwise Plants Services, Inc. Early flowering rosaceae plants with improved characteristics
US20230357789A1 (en) 2022-04-07 2023-11-09 Pairwise Plants Servic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mproving resistance to fusarium head blight
US20230383305A1 (en) 2022-04-21 2023-11-30 Pairwise Plants Servic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mproving yield traits
US20230348922A1 (en) 2022-05-02 2023-11-02 Pairwise Plants Servic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enhancing yield and disease resistance
WO2023213626A1 (en) 2022-05-03 2023-11-09 Bayer Aktiengesellschaft Use of (5s)-3-[3-(3-chloro-2-fluorophenoxy)-6-methylpyridazin-4-yl]-5-(2-chloro-4-methylbenzyl)-5,6-dihydro-4h-1,2,4-oxadiazine for controlling unwanted microorganisms
WO2023213670A1 (en) 2022-05-03 2023-11-09 Bayer Aktiengesellschaft Crystalline forms of (5s)-3-[3-(3-chloro-2-fluorophenoxy)-6-methylpyridazin-4-yl]-5-(2-chloro-4-methylbenzyl)-5,6-dihydro-4h-1,2,4-oxadiazine
US20230416767A1 (en) 2022-05-05 2023-12-28 Pairwise Plants Servic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odifying root architecture and/or improving plant yield traits
WO2024006679A1 (en) 2022-06-27 2024-01-04 Pairwise Plants Servic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odifying shade avoidance in plants
WO2024006791A1 (en) 2022-06-29 2024-01-04 Pairwise Plants Servic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ontrolling meristem size for crop improvement
US20240002873A1 (en) 2022-06-29 2024-01-04 Pairwise Plants Servic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ontrolling meristem size for crop improvement
WO2024017762A1 (en) 2022-07-19 2024-01-25 Syngenta Crop Protection Ag Herbicidal compounds
WO2024018016A1 (en) 2022-07-21 2024-01-25 Syngenta Crop Protection Ag Crystalline forms of 1,2,4-oxadiazole fungicides
WO2024028243A1 (en) 2022-08-02 2024-02-08 Basf Se Pyrazolo pesticidal compounds
WO2024030984A1 (en) 2022-08-04 2024-02-08 Pairwise Plants Servic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mproving yield traits
US20240060081A1 (en) 2022-08-11 2024-02-22 Pairwise Plants Servic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ontrolling meristem size for crop improvement
WO2024033374A1 (en) 2022-08-11 2024-02-15 Syngenta Crop Protection Ag Novel arylcarboxamide or arylthioamide compounds
US20240090466A1 (en) 2022-09-08 2024-03-21 Pairwise Plants Servic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mproving yield characteristics in plants
EP4342885A1 (en) 2022-09-20 2024-03-27 Basf Se N-(3-(aminomethyl)-phenyl)-5-(4-phenyl)-5-(trifluoromethyl)-4,5-dihydroisoxazol-3-amine derivatives and similar compounds as pesticides
WO2024068518A1 (en) 2022-09-28 2024-04-04 Bayer Aktiengesellschaft 3-heteroaryl-5-chlorodifluoromethyl-1,2,4-oxadiazole as fungicide
GB202214203D0 (en) 2022-09-28 2022-11-09 Syngenta Crop Protection Ag Fungicidal compositions
WO2024068520A1 (en) 2022-09-28 2024-04-04 Bayer Aktiengesellschaft 3-(hetero)aryl-5-chlorodifluoromethyl-1,2,4-oxadiazole as fungicide
GB202214202D0 (en) 2022-09-28 2022-11-09 Syngenta Crop Protection Ag Agricultural methods
WO2024068517A1 (en) 2022-09-28 2024-04-04 Bayer Aktiengesellschaft 3-(hetero)aryl-5-chlorodifluoromethyl-1,2,4-oxadiazole as fungicide
EP4295688A1 (en) 2022-09-28 2023-12-27 Bayer Aktiengesellschaft Active compound combination
WO2024068519A1 (en) 2022-09-28 2024-04-04 Bayer Aktiengesellschaft 3-(hetero)aryl-5-chlorodifluoromethyl-1,2,4-oxadiazole as fungicide
EP4361126A1 (en) 2022-10-24 2024-05-01 Basf Se Use of strobilurin type compounds for combating phytopathogenic fungi containing an amino acid substitution f129l in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b protein conferring resistance to qo inhibitors xv
WO2024100069A1 (en) 2022-11-08 2024-05-16 Syngenta Crop Protection Ag Microbiocidal pyridine derivatives
WO2024104815A1 (en) 2022-11-16 2024-05-23 Basf Se Substituted benzodiazepines as fungicides
WO2024104818A1 (en) 2022-11-16 2024-05-23 Basf Se Substituted benzodiazepines as fungicides
WO2024104823A1 (en) 2022-11-16 2024-05-23 Basf Se New substituted tetrahydrobenzoxazepine
WO2024104822A1 (en) 2022-11-16 2024-05-23 Basf Se Substituted tetrahydrobenzodiazepine as fungicid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8549B1 (en) 1995-06-02 2001-07-31 Aventis Cropscience S.A. DNA sequence of a gene of hydroxy-phenyl pyruvate dioxygenase and production of plants containing a gene of hydroxy-phenyl pyruvate dioxygenase and which are tolerant to certain herbicides
US20040058427A1 (en) 2000-12-07 2004-03-25 Andrews Christopher John Herbicide resistant plants
WO2008150473A2 (en) 2007-05-30 2008-12-11 Syngenta Participations Ag Cytochrome p450 genes conferring herbicide resistance
US20100197503A1 (en) 2009-01-22 2010-08-05 Syngenta Participations Ag Mutant Hydroxyphenylpyruvate Dioxygenase Polypeptides and Methods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1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5060A (en) 1983-01-05 1985-08-13 Calgene, Inc. Inhibition resistant 5-enolpyruvyl-3-phosphoshikimate synthetase, production and use
US5304732A (en) 1984-03-06 1994-04-19 Mgi Pharma, Inc. Herbicide resistance in plants
US5331107A (en) 1984-03-06 1994-07-19 Mgi Pharma, Inc. Herbicide resistance in plants
US4761373A (en) 1984-03-06 1988-08-02 Molecular Genetics, Inc. Herbicide resistance in plants
US4945050A (en) 1984-11-13 1990-07-31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Method for transporting substances into living cells and tissues and apparatus therefor
EP0189707B1 (en) 1984-12-28 1993-08-25 Plant Genetic Systems N.V. Recombinant dna which can be introduced into plant cells
US4683202A (en) 1985-03-28 1987-07-28 Cetus Corporation Process for amplifying nucleic acid sequences
US4683195A (en) 1986-01-30 1987-07-28 Cetus Corporation Process for amplifying, detecting, and/or-cloning nucleic acid sequences
US4940835A (en) 1985-10-29 1990-07-10 Monsanto Company Glyphosate-resistant plants
ATE85360T1 (de) 1985-08-07 1993-02-15 Monsanto Co Glyphosat resistente pflanzen.
US4810648A (en) 1986-01-08 1989-03-07 Rhone Poulenc Agrochimie Haloarylnitrile degrading gene, its use, and cells containing the gene
US4800159A (en) 1986-02-07 1989-01-24 Cetus Corporation Process for amplifying, detecting, and/or cloning nucleic acid sequences
EP0242236B2 (en) 1986-03-11 1996-08-21 Plant Genetic Systems N.V. Plant cells resistant to glutamine synthetase inhibitors, made by genetic engineering
US5024944A (en) 1986-08-04 1991-06-18 Lubrizol Genetics, Inc. Transformation, somatic embryogenesis and whole plant regeneration method for Glycine species
US4808208A (en) 1986-08-04 1989-02-28 Canadian Patents & Development Ltd. Phenolic safeners for glyphosate herbicides
US5273894A (en) 1986-08-23 1993-12-28 Hoechst Aktiengesellschaft Phosphinothricin-resistance gene, and its use
US5605011A (en) 1986-08-26 1997-02-2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Nucleic acid fragment encoding herbicide resistant plant acetolactate synthase
US5013659A (en) 1987-07-27 1991-05-0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Nucleic acid fragment encoding herbicide resistant plant acetolactate synthase
US5378824A (en) 1986-08-26 1995-01-0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Nucleic acid fragment encoding herbicide resistant plant acetolactate synthase
US4971908A (en) 1987-05-26 1990-11-20 Monsanto Company Glyphosate-tolerant 5-enolpyruvyl-3-phosphoshikimate synthase
US5145783A (en) 1987-05-26 1992-09-08 Monsanto Company Glyphosate-tolerant 5-endolpyruvyl-3-phosphoshikimate synthase
US5312910A (en) 1987-05-26 1994-05-17 Monsanto Company Glyphosate-tolerant 5-enolpyruvyl-3-phosphoshikimate synthase
US5502025A (en) 1987-08-13 1996-03-26 Monsanto Company Safening herbicidal pyrazolylsulfonylureas
DE69018117T2 (de) 1989-04-21 1995-10-26 Kirin Brewery Zur Synthese von Karotinoiden verwendbare DNA-Sequenzen.
US5310667A (en) 1989-07-17 1994-05-10 Monsanto Company Glyphosate-tolerant 5-enolpyruvyl-3-phosphoshikimate synthases
US5550318A (en) 1990-04-17 1996-08-27 Dekalb Genetics Corporatio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production of stably transformed, fertile monocot plants and cells thereof
US4940935A (en) 1989-08-28 1990-07-10 Ried Ashman Manufacturing Automatic SMD tester
US5212296A (en) 1989-09-11 1993-05-1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xpression of herbicide metabolizing cytochromes
WO1991016433A1 (en) 1990-04-26 1991-10-31 Plant Genetic Systems N.V. New bacillus thuringiensis strains and their genes encoding insecticidal toxins
WO1992000964A1 (en) 1990-07-05 1992-01-23 Nippon Soda Co., Ltd. Amine derivative
US5633435A (en) 1990-08-31 1997-05-27 Monsanto Company Glyphosate-tolerant 5-enolpyruvylshikimate-3-phosphate synthases
US5866775A (en) 1990-09-28 1999-02-02 Monsanto Company Glyphosate-tolerant 5-enolpyruvyl-3-phosphoshikimate synthases
US5277905A (en) 1991-01-16 1994-01-11 Mycogen Corporation Coleopteran-active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
FR2673642B1 (fr) 1991-03-05 1994-08-12 Rhone Poulenc Agrochimie Gene chimere comprenant un promoteur capable de conferer a une plante une tolerance accrue au glyphosate.
USRE36449E (en) 1991-03-05 1999-12-14 Rhone-Poulenc Agro Chimeric gene for the transformation of plants
FR2673643B1 (fr) 1991-03-05 1993-05-21 Rhone Poulenc Agrochimie Peptide de transit pour l'insertion d'un gene etranger dans un gene vegetal et plantes transformees en utilisant ce peptide.
US5731180A (en) 1991-07-31 1998-03-24 American Cyanamid Company Imidazolinone resistant AHAS mutants
ES2124738T3 (es) 1991-08-02 1999-02-16 Mycogen Corp Nuevo microorganismo e insecticida.
DK0616644T3 (da) 1991-12-04 2003-10-27 Du Pont Fedtsyredesaturase-gener fra planter
DK0668919T3 (da) 1992-11-17 2003-09-15 Du Pont Gener for mikorsomale delta-12-fedtsyredesaturaser og beslægtede enzymer fra planter
WO1994012014A1 (en) 1992-11-20 1994-06-09 Agracetus, Inc. Transgenic cotton plants producing heterologous bioplastic
AU6162294A (en) 1993-01-13 1994-08-15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High lysine derivatives of alpha-hordothionin
US5583210A (en) 1993-03-18 1996-12-10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ontrolling plant development
US5538848A (en) 1994-11-16 1996-07-23 Applied Biosystems Division, Perkin-Elmer Corp. Method for detecting nucleic acid amplification using self-quenching fluorescence probe
JPH07177130A (ja) 1993-12-21 1995-07-14 Fujitsu Ltd エラーカウント回路
US5593881A (en) 1994-05-06 1997-01-14 Mycogen Corporation Bacillus thuringiensis delta-endotoxin
US5767373A (en) 1994-06-16 1998-06-16 Novartis Finance Corporation Manipulation of protoporphyrinogen oxidase enzyme activity in eukaryotic organisms
US5792931A (en) 1994-08-12 1998-08-11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Fumonisin detoxific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DE4440354A1 (de) 1994-11-11 1996-05-15 Hoechst Schering Agrevo Gmbh Kombinationen aus Phenylsulfonylharnstoff-Herbiziden und Safenern
US5853973A (en) 1995-04-20 1998-12-29 American Cyanamid Company Structure based designed herbicide resistant products
CA2218526C (en) 1995-04-20 2012-06-12 American Cyanamid Company Structure-based designed herbicide resistant products
EP0828835A1 (en) 1995-06-02 1998-03-18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HIGH THREONINE DERIVATIVES OF $g(a)-HORDOTHIONIN
CN1192239A (zh) 1995-06-02 1998-09-02 先锋高级育种国际公司 α-hordothionin的高甲硫氨酸衍生物
FR2736926B1 (fr) 1995-07-19 1997-08-22 Rhone Poulenc Agrochimie 5-enol pyruvylshikimate-3-phosphate synthase mutee, gene codant pour cette proteine et plantes transformees contenant ce gene
US5981722A (en) 1995-11-20 1999-11-09 Board Of Regents For The University Of Oklahoma Trypsin inhibitors with insecticidal properties obtained from PENTACLETHRA MACROLOBA
US5737514A (en) 1995-11-29 1998-04-07 Texas Micro, Inc. Remote checkpoint memory system and protocol for fault-tolerant computer system
US5850016A (en) 1996-03-20 1998-12-15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Alteration of amino acid compositions in seeds
DE19638233A1 (de) 1996-09-19 1998-03-26 Hoechst Schering Agrevo Gmbh Kombinationen aus Sulfonylharnstoff-Herbiziden und Safenern
JP3441899B2 (ja) 1996-11-01 2003-09-02 理化学研究所 完全長cDNAライブラリーの作成方法
US6232529B1 (en) 1996-11-20 2001-05-15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Methods of producing high-oil seed by modification of starch levels
DE19652284A1 (de) 1996-12-16 1998-06-18 Hoechst Schering Agrevo Gmbh Neue Gene codierend für Aminosäure-Deacetylasen mit Spezifität für N-Acetyl-L-Phosphinothricin, ihre Isolierung und Verwendung
IL131662A0 (en) 1997-03-07 2001-01-28 Novartis Ag Royal Veterinary A Cytochrome p450 monooxygenases
JP2001514515A (ja) 1997-03-07 2001-09-11 ノバルティ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チトクロームp450モノオキシゲナーゼ
US7105724B2 (en) 1997-04-04 2006-09-12 Board Of Regents Of University Of Nebraska Methods and materials for making and using transgenic dicamba-degrading organisms
NZ338093A (en) 1997-04-04 2001-06-29 Patricia L Herman Methods and materials for making and using transgenic dicamba-degrading organisms
US6121512A (en) 1997-10-10 2000-09-19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Cytochrome P-450 constructs and method of producing herbicide-resistant transgenic plants
US6245968B1 (en) 1997-11-07 2001-06-12 Aventis Cropscience S.A. Mutated hydroxyphenylpyruvate dioxygenase, DNA sequence and isolation of plants which contain such a gene and which are tolerant to herbicides
US6069115A (en) 1997-11-12 2000-05-30 Rhone-Poulenc Agrochimie Method of controlling weeds in transgenic crops
AU1526199A (en) 1997-11-18 1999-06-07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Targeted manipulation of herbicide-resistance genes in plants
AU745960C (en) 1997-11-18 2003-09-18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A novel method for the integration of foreign DNA into eukaryoticgenomes
EP1034286B1 (en) 1997-11-18 2010-01-06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Mobilization of viral genomes from t-dna using site-specific recombination systems
AU757672B2 (en) 1997-11-18 2003-02-27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A method for directional stable transformation of eukaryotic cells
CA2329056A1 (en) 1998-05-22 1999-12-02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Cell cycle genes, proteins and uses thereof
DE19827855A1 (de) 1998-06-23 1999-12-30 Hoechst Schering Agrevo Gmbh Kombinationen aus Herbiziden und Safenern
US6380465B1 (en) 1998-07-12 2002-04-30 University Of Kentucky Research Foundation Cytochrome P450 enzymes and related compounds and methods
EP1105510A2 (en) 1998-08-12 2001-06-13 Maxygen, Inc. Dna shuffling to produce herbicide selective crops
US6518487B1 (en) 1998-09-23 2003-02-11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Cyclin D polynucleotides, polypeptides and uses thereof
DE19853827A1 (de) 1998-11-21 2000-05-25 Aventis Cropscience Gmbh Kombinationen aus Herbiziden und Safenern
EP1141346A2 (en) 1999-01-14 2001-10-10 Monsanto Co. Soybean transformation method
CZ20013856A3 (cs) 1999-04-29 2002-04-17 Syngenta Ltd. Herbicidně rezistentní rostliny
BR0010169A (pt) 1999-04-29 2002-02-05 Syngenta Ltd Polinucleotìdeo isolado, vetor, material de planta, plantas completas férteis, morfologicamente normais, plantas de milho, trigo e arroz, métodos para controlar seletivamente ervas daninhas no campo, para produzir plantas que são substancialmente tolerantes ou substancialmente resistentes a glifosato, para selecionar material biológico e para regenerar uma planta transformada fértil para conter dna estranho, e, uso do polinucleotìdeo
CA2381927A1 (en) 1999-08-13 2001-02-22 Syngenta Participations Ag Herbicide-tolerant protoporphyrinogen oxidase
GB9922346D0 (en) 1999-09-21 1999-11-24 Zeneca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compounds
ATE538205T1 (de) 1999-11-29 2012-01-15 Midwest Oilseeds Inc Verfahren, medien und vorrichtung zur einführung von molekülen in pflanzenzellen und bakterien mittels aerosolstrahlen
FR2805971B1 (fr) * 2000-03-08 2004-01-30 Aventis Cropscience Sa Procedes de traitement et/ou de protection des cultures contre les arthropodes et compositions utiles pour de tels procedes
US6803501B2 (en) 2000-03-09 2004-10-12 Monsanto Technology, Llc Methods for making plants tolerant to glyphosate and compositions thereof using a DNA encoding an EPSPS enzyme from Eleusine indica
US7166770B2 (en) * 2000-03-27 2007-01-23 Syngenta Participations Ag Cestrum yellow leaf curling virus promoters
UA86918C2 (ru) 2000-10-30 2009-06-10 Вердиа, Инк. Изолированный или рекомбинантный полинуклеотид, кодирующий полипептид, имеющий активность глифосат-n-ацетилтрансферазы (gat)
US7462481B2 (en) 2000-10-30 2008-12-09 Verdia, Inc. Glyphosate N-acetyltransferase (GAT) genes
US6858778B1 (en) 2000-11-07 2005-02-22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Plants transformed with a DNA construct comprising a nucleic acid molecule encoding an 18 kD α-globulin
US7009087B1 (en) 2000-12-01 2006-03-07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ltering the disulfide status of proteins
DE10119721A1 (de) 2001-04-21 2002-10-31 Bayer Cropscience Gmbh Herbizide Mittel enthaltend Benzoylcyclohexandione und Safener
ES2375223T3 (es) 2001-05-31 2012-02-27 Nihon Nohyaku Co., Ltd. Derivados de anilida substituidos, intermediarios de los mismos, productos químicos agrícolas y hortícolas y su utilización.
DE10145019A1 (de) 2001-09-13 2003-04-03 Bayer Cropscience Gmbh Kombinationen aus Herbiziden und Safenern
DE10209430A1 (de) * 2002-03-05 2003-09-18 Bayer Cropscience Gmbh Herbizid-Kombination mit acylierten Aminophenylsulfonylharnstoffen
GB0213715D0 (en) 2002-06-14 2002-07-24 Syngenta Ltd Chemical compounds
EP1517991A4 (en) 2002-06-22 2006-03-29 Syngenta Participations Ag PROCESS FOR PROCESSING SOYBEANS
JP2004027091A (ja) * 2002-06-27 2004-01-29 Nisshin Oillio Ltd 圧搾大豆油及びその製造方法
EP1382247A1 (en) 2002-07-18 2004-01-21 Bayer CropScience GmbH Combinations of cyclohexanedione oxime herbicides and safeners
US6953756B2 (en) 2002-10-25 2005-10-11 Kyocera Corporation Glass ceramic sintered body and wiring board using the sintered body
BRPI0408943A (pt) 2003-03-26 2006-04-04 Bayer Cropscience Gmbh aplicação de compostos hidroxiaromáticos como antìdotos
TWI312272B (en) 2003-05-12 2009-07-21 Sumitomo Chemical Co Pyrimidine compound and pests controlling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DE10335725A1 (de) 2003-08-05 2005-03-03 Bayer Cropscience Gmbh Safener auf Basis aromatisch-aliphatischer Carbonsäuredarivate
UA79404C2 (en) 2003-10-02 2007-06-11 Basf Ag 2-cyanobenzenesulfonamide for controlling pests
US7935862B2 (en) 2003-12-02 2011-05-03 Syngenta Participations Ag Targeted integration and stacking of DNA through homologous recombination
GB0329744D0 (en) 2003-12-23 2004-01-28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 beverage maker incorporating multiple beverage collection chambers
PL2256112T3 (pl) 2004-02-18 2016-06-30 Ishihara Sangyo Kaisha Antraniloamidy, sposób ich wytwarzania oraz pestycydy je zawierające
JP4883296B2 (ja) 2004-03-05 2012-02-22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イソキサゾリン置換ベンズアミド化合物及び有害生物防除剤
PL1732391T3 (pl) 2004-03-27 2010-02-26 Bayer Cropscience Ag Kompozycja herbicyd-środek zabezpieczający
US7405074B2 (en) 2004-04-29 2008-07-29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Glyphosate-N-acetyltransferase (GAT) genes
EP2308977B2 (en) 2004-04-30 2017-04-26 Dow AgroSciences LLC Novel herbicide resistance gene
US7674598B2 (en) 2004-05-21 2010-03-09 Beckman Coulter, Inc. Method for a fully automated monoclonal antibody-based extended differential
KR101310073B1 (ko) 2004-10-20 2013-09-24 이하라케미칼 고교가부시키가이샤 3-트리아졸릴페닐설파이드 유도체 및 그것을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살충·살진드기·살선충제
WO2006056433A2 (en) 2004-11-26 2006-06-01 Basf Aktiengesellschaft Novel 2-cyano-3-(halo)alkoxy-benzenesulfonamide compounds for combating animal pests
DE102005008021A1 (de) 2005-02-22 2006-08-24 Bayer Cropscience Ag Spiroketal-substituierte cyclische Ketoenole
AR053834A1 (es) 2005-03-24 2007-05-23 Basf Ag Compuestos de 2- cianobencenosulfonamida para el tratamiento de semillas
EP1874935B2 (en) 2005-04-04 2023-10-1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nucleotides and methods for making plants resistant to fungal pathogens
ES2388548T3 (es) 2005-04-08 2012-10-16 Bayer Cropscience Nv Suceso de élite A2704-12 y métodos y estuches para identificar a dicho suceso en muestras biológicas
ES2369032T3 (es) 2005-04-11 2011-11-24 Bayer Bioscience N.V. Suceso élite a5547-127 y kits para identificar tal suceso en muestras biológicas.
PT1885176T (pt) * 2005-05-27 2016-11-28 Monsanto Technology Llc Evento mon89788 de soja e métodos para a sua deteção
US8049063B2 (en) 2005-06-28 2011-11-01 Zhejiang University Rice bentazon and sulfonylurea herbicide resistant gene Cyp81a6
JP4871289B2 (ja) 2005-10-06 2012-02-08 日本曹達株式会社 環状アミン化合物および有害生物防除剤
EP2484767B1 (en) 2005-10-28 2016-11-30 Dow AgroSciences LLC Novel Herbicide resistance genes
BRPI0618810A2 (pt) 2005-11-21 2016-11-22 Basf Se métodos para combater ou controlar insetos, aracnídeos ou nematódeos e para proteger plantas em crescimento do ataque ou infestação por insetos, aracnídeos ou nematódeos e sementes de insetos do solo e as raízes e ramos de mudas de insetos do solo e foliares, semente e compostos de 3-amino-1, 2-benzisotiazol
US7491813B2 (en) * 2005-12-07 2009-02-17 Monsanto Technology Llc Promoter polynucleotides identified from Zea mays for use in plants
TW200803740A (en) 2005-12-16 2008-01-16 Du Pont 5-aryl isoxazolines for controlling invertebrate pests
TR200805941T2 (tr) * 2006-02-10 2009-02-23 Maharashtra Hybrid Seeds Company Limited (Mahyco) Transgenik brinjal (solanum melongena) içeren EE-1 olgusu
WO2007101369A1 (fr) 2006-03-09 2007-09-13 East China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Méthode de préparation et utilisation de composés présentant une action biocide
US20070214515A1 (en) 2006-03-09 2007-09-13 E.I.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nucleotide encoding a maize herbicide resistance gene and methods for use
US7820883B2 (en) 2006-03-15 2010-10-26 Dow Agrosciences Llc Resistance to auxinic herbicides
DE102006015470A1 (de) 2006-03-31 2007-10-04 Bayer Cropscience Ag Substituierte Enaminocarbonylverbindungen
DE102006015467A1 (de) 2006-03-31 2007-10-04 Bayer Cropscience Ag Substituierte Enaminocarbonylverbindungen
DE102006015468A1 (de) 2006-03-31 2007-10-04 Bayer Cropscience Ag Substituierte Enaminocarbonylverbindungen
KR20090033840A (ko) * 2006-05-26 2009-04-06 몬산토 테크놀로지 엘엘씨 형질전환 계통 mon89034에 해당하는 옥수수 식물 및 종자와 이의 검출 방법 및 사용
TWI381811B (zh) 2006-06-23 2013-01-11 Dow Agrosciences Llc 用以防治可抵抗一般殺蟲劑之昆蟲的方法
US7951995B2 (en) * 2006-06-28 2011-05-31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Soybean event 3560.4.3.5 an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identification and detection thereof
BR122017006111B8 (pt) * 2006-10-31 2022-12-06 Du Pont Métodos para controlar ervas daninhas
EP2107060B1 (en) 2006-11-30 2011-12-28 Meiji Seika Pharma Co., Ltd. Pest control agent
DE102006057036A1 (de) 2006-12-04 2008-06-05 Bayer Cropscience Ag Biphenylsubstituierte spirocyclische Ketoenole
WO2008104503A1 (en) 2007-03-01 2008-09-04 Basf Se Pesticidal active mixtures comprising aminothiazoline compounds
US20080229447A1 (en) 2007-03-12 2008-09-18 Syngenta Participations Ag Transformation of immature soybean seeds through organogenesis
JP5907657B2 (ja) 2007-05-09 2016-04-26 ダウ アグロサイエンシィズ エルエルシー 新規な除草剤抵抗性遺伝子
AR066792A1 (es) * 2007-06-01 2009-09-09 Syngenta Participations Ag Metodo para la produccion comercial de plantas transgenicas
GB0720126D0 (en) 2007-10-15 2007-11-28 Syngenta Participations Ag Chemical compounds
WO2010005692A2 (en) 2008-06-16 2010-01-1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Insecticidal cyclic carbonyl amidines
JP5268461B2 (ja) 2008-07-14 2013-08-21 Meiji Seikaファルマ株式会社 Pf1364物質、その製造方法、生産菌株、及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農園芸用殺虫剤
GB0816880D0 (en) 2008-09-15 2008-10-22 Syngenta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compounds
BRPI0923724B8 (pt) 2008-12-26 2022-10-11 Dow Agrosciences Llc Composições inseticidas de sulfoximina estáveis, e método para controle de insetos
WO2010074747A1 (en) 2008-12-26 2010-07-01 Dow Agrosciences, Llc Stable insecticid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ducing same
MX2011007274A (es) 2009-01-07 2012-03-29 Brasil Pesquisa Agropec Soja de evento 127 y metodos relacionados con la misma.
BR112012003810A2 (pt) 2009-08-19 2017-05-02 Dow Agrosciences Llc controle de voluntárias monocotiledôneas aad-1 em campos de colheitas dicotiledôneas.
BR112012003884A2 (pt) 2009-08-19 2015-09-01 Dow Agrosciences Llc Evento aad-1 das-40278-9, linhagens de milho trangênico relacionadas e identificação evento-específica das mesmas.
WO2011022471A1 (en) 2009-08-19 2011-02-24 Dow Agrosciences Llc Detection of aad-1 event das-40278-9
MX351696B (es) 2009-09-17 2017-10-24 Monsanto Technology Llc Evento transgénico de soja mon 87708 y métodos de uso del mismo.
US8697695B2 (en) 2009-10-23 2014-04-15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est control composition
CN106399482B (zh) * 2009-11-23 2021-04-27 拜尔作物科学股份有限公司 耐除草剂大豆植物及鉴定其的方法
CN102057925B (zh) 2011-01-21 2013-04-10 陕西上格之路生物科学有限公司 一种含噻虫酰胺和生物源类杀虫剂的杀虫组合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8549B1 (en) 1995-06-02 2001-07-31 Aventis Cropscience S.A. DNA sequence of a gene of hydroxy-phenyl pyruvate dioxygenase and production of plants containing a gene of hydroxy-phenyl pyruvate dioxygenase and which are tolerant to certain herbicides
US20040058427A1 (en) 2000-12-07 2004-03-25 Andrews Christopher John Herbicide resistant plants
WO2008150473A2 (en) 2007-05-30 2008-12-11 Syngenta Participations Ag Cytochrome p450 genes conferring herbicide resistance
US20100197503A1 (en) 2009-01-22 2010-08-05 Syngenta Participations Ag Mutant Hydroxyphenylpyruvate Dioxygenase Polypeptides and Methods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21101C (en) 2022-03-01
EA201600078A3 (ru) 2016-09-30
JP2018007674A (ja) 2018-01-18
MX352542B (es) 2017-11-29
UA116972C2 (uk) 2018-06-11
BR112013014395A2 (pt) 2016-09-27
EA201600085A1 (ru) 2016-05-31
JP2014502494A (ja) 2014-02-03
JP6660351B2 (ja) 2020-03-11
ES2668656T3 (es) 2018-05-21
US11053514B2 (en) 2021-07-06
JP2020054343A (ja) 2020-04-09
CA2821101A1 (en) 2012-06-21
AU2011344222B9 (en) 2017-04-06
JP6278446B2 (ja) 2018-02-14
EP2651209A2 (en) 2013-10-23
CA3141423A1 (en) 2012-06-21
AR084284A1 (es) 2013-05-08
CN104745693A (zh) 2015-07-01
CN108004235B (zh) 2022-02-08
CN103597077B (zh) 2017-11-07
ZA201304337B (en) 2018-12-19
ECSP13012758A (es) 2013-09-30
US20190078115A1 (en) 2019-03-14
EA031633B1 (ru) 2019-01-31
MX344121B (es) 2016-12-06
TW201307552A (zh) 2013-02-16
UY33795A (es) 2012-07-31
CO6731109A2 (es) 2013-08-15
EA031999B1 (ru) 2019-03-29
CN108004235A (zh) 2018-05-08
MX2013006477A (es) 2013-10-03
US20140201860A1 (en) 2014-07-17
TWI667347B (zh) 2019-08-01
EA032683B1 (ru) 2019-07-31
UY38977A (es) 2021-01-29
KR20130126646A (ko) 2013-11-20
MX349466B (es) 2017-07-31
EA201600078A2 (ru) 2016-05-31
JP7096225B2 (ja) 2022-07-05
WO2012082548A2 (en) 2012-06-21
EA201300707A1 (ru) 2014-08-29
US10184134B2 (en) 2019-01-22
CL2013001717A1 (es) 2014-04-11
AU2011344222B2 (en) 2017-03-02
CN104745693B (zh) 2017-09-26
AU2011344222A1 (en) 2013-06-06
CN103597077A (zh) 2014-02-19
WO2012082548A3 (en) 2013-09-19
EP2651209A4 (en) 2014-09-17
EP2651209B1 (en) 2018-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96225B2 (ja) ダイズイベントsyht0h2及びその組成物並びにその検出方法
US10006044B2 (en) Soybean event SYHT04R an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tection thereof
JP5988585B2 (ja) 大豆イベント127及びそれに関する方法
US11959086B2 (en) Dual transit peptides for targeting polypeptides
UA120741C2 (uk) Рослина з мутованою протопорфіриногеноксидазою
CN109790153A (zh) 具有增加的除草剂耐受性的植物
WO2019106568A1 (en) Plants having increased tolerance to herbicides
CN105874062B (zh) 草甘膦-n-乙酰转移酶(glyat)序列以及使用方法
CN117897378A (zh) 对除草剂具有增加的耐受性的植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