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1602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602B1
KR101961602B1 KR1020187014433A KR20187014433A KR101961602B1 KR 101961602 B1 KR101961602 B1 KR 101961602B1 KR 1020187014433 A KR1020187014433 A KR 1020187014433A KR 20187014433 A KR20187014433 A KR 20187014433A KR 101961602 B1 KR101961602 B1 KR 101961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abin
driver
front glass
driving ca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4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9567A (ko
Inventor
다카후미 미츠이
시로오 오쿠다
마사유키 호리우치
유지 다나카
마사나리 미즈모토
기미히코 오토시
오사무 기메
유이치 가이
요코 이토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09868A external-priority patent/JP579546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09873A external-priority patent/JP548644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39952A external-priority patent/JP581453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53189A external-priority patent/JP592106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73828A external-priority patent/JP582700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80059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2Protection against weath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08Tanks for grain or chaf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08Tanks for grain or chaff
    • A01D41/1217Unload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5/00Harvesting of standing crops
    • A01D45/04Harvesting of standing crops of r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5/00Harvesting of standing crops
    • A01D45/22Harvesting of standing crops of b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4Se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6Gea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10Brak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01F12/22Threshing cylinders with tee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56Driving mechanisms for the threshing par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Combines (AREA)

Abstract

조종 조작구 혹은 조종 조작구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에 의해 운전 좌석 전방측의 운전 캐빈 하방측의 시야가 차단되는 것을 회피하여 시인성을 양호하게 한 콤바인이 개시된다. 이 콤바인에서는, 프론트 글래스를 운전 캐빈(5)의 지붕부(53)로부터 운전 좌석(50)의 시트면(50a)보다도 하방에 걸치는 범위에 설치하고, 스티어링 레버(61)를, 운전 좌석(50)의 직전방 위치로부터 좌우 방향에서의 횡일측방으로 벗어난 위치의 운전 캐빈(5) 내에 배치하여, 운전 좌석(50)과 그 직전방 위치의 프론트 글래스 사이에 운전 캐빈(5)의 전방측 하방을 내려다보는 것이 가능한 공간부(S0)를 존재하게 하고, 또한 스티어링 레버(61)의 파지부를 운전 좌석(50)의 시트면(50a)보다도 높은 위치에 설치하고 있다.

Description

콤바인 {COMBINE HARVESTER}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1] 종래, 운전 캐빈 내에 운전 좌석 및 조종 조작구를 배치하고 있는 콤바인으로서는, 하기하는 (1) 및 (2)에 기재된 것이 존재한다.
(1) 운전 좌석의 전방 위치에 스티어링 핸들을 구비한 콤바인[특허문헌 1(단락 「0010」, 도 2, 도 4) 참조].
(2) 운전 좌석의 전방측에 대시보드를 구비하고, 그 대시보드 상에 조종 조작구로서의 파워 스티어링 레버를 구비한 콤바인[특허문헌 2(단락 「0007」, 도 1, 도 4) 참조].
[2] 또한 종래, 운전 캐빈 내에서 운전 좌석의 횡측부에 사이드 패널 박스를 설치한 콤바인으로서는, 하기하는 (3) 및 (4)에 기재된 것이 존재한다.
(3) 운전 캐빈의 내부측으로부터 사이드 패널 박스를 설치한 측의 횡측방의 하방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요망을 달성하기 위해, 사이드 패널 박스가 존재하는 측에 있어서의 운전 캐빈의 일부를 피더의 상방에 겹쳐 구성한 것[특허문헌 3(단락 「0011」, 도 1, 도 2) 참조].
(4) 운전 좌석의 횡측부가 존재하는 사이드 패널 박스의 전단부측이, 운전 캐빈의 전단부 모서리로부터 이격된 개소에 위치하도록, 사이드 박스의 전후 길이를 짧게 하여 운전 캐빈 내에서 전단부로부터 이격된 후방측으로 치우치게 하여 위치시킴으로써, 운전 캐빈의 전단부와 사이드 박스의 전단부 사이로부터 운전 캐빈의 측부 하방을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또한 운전 캐빈의 바닥면에 형성된 창부로부터 운전 캐빈의 직하방을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한 것[특허문헌 1(단락 「0009」, 「0011」, 도 3, 도 4) 참조].
[3] 종래의 콤바인 중에는, 그 탈곡 선별 구조에 있어서, 급동(扱胴)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예취 반송 장치로부터의 예취 곡물대에 훑기 처리를 실시하는 급동을 급실에 구비하고, 전후 요동함으로써 상기 급동의 하부측을 덮는 수망(受網)으로부터 누하된 처리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면서 요동 선별하는 요동 선별 수단을 상기 수망의 하방에 배치하고, 좌우 방향의 풍구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요동 선별 수단에 선별풍을 공급하는 풍구를 상기 요동 선별 수단의 전방 하방에 배치하고 있는 것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탈곡 선별 구조에서는, 급동을, 지지축(급동축)을 따르는 전후 방향의 자세에서, 급동의 주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상태로 배치한 복수의 막대 형상 부재와, 그들 각 막대 형상 부재에,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상태에서, 막대 형상 부재로부터 급동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장비한 복수의 급치(扱齒)로 구성하고, 이 급동의 훑기 처리에 의해 수망으로부터 누하된 처리물에 요동 선별 수단에 의한 요동 선별 처리와 풍구로부터의 선별풍에 의한 풍력 선별 처리를 실시하도록 구성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4(단락 번호 0034 내지 0037, 0042, 0043, 도 1 내지 도 5) 참조].
[4] 종래의 콤바인 중에는, 그 전동 구조가,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좌우 방향의 풍구축으로 전달하고, 상기 풍구축으로부터 예취 반송 장치와 급동으로 전달하는 전동 수단을 구비한 것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전동 구조로서는, 풍구 구동축(풍구축)에 전달한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벨트 전동 기구를 통해 케이스 입력축에 전달하고, 케이스 입력축으로부터 베벨 기어 기구 및 탈곡 출력축을 통해 급동에 전달하고, 또한 케이스 입력축으로부터 정회전 클러치를 통해 예취부(예취 반송 장치)에 전달하도록 구성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5(단락 번호 0029, 도 3) 참조].
[5] 종래의 콤바인 중에는, 자주(自走) 기체에 그레인 탱크가 구비되고, 이 그레인 탱크의 곡립을 배출 스크류에 의해 배출하는 언로더가 상기 그레인 탱크의 후방측에 구비되고, 상기 그레인 탱크가, 자주 기체에 수납되는 작업 자세와, 자주 기체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점검 자세로 전환 가능해지도록 상기 그레인 탱크보다 후방측에서 종방향 자세의 종축심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언로더가, 배출측 단부를 상방을 향하게 하는 수납 자세와, 배출측 단부를 외측을 향하게 하는 배출 자세로 전환 가능해지도록 전후 방향 자세의 요동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콤바인으로서 특허문헌 6에는, 기체 프레임에 대해 상측 장착축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그레인 탱크가 지지되는 동시에, 이 그레인 탱크의 후방면에 언로더(문헌에서는, 배출용 세로 오거)를 연결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서는, 그레인 탱크의 후방면측에 연결되는 탱크측 메탈부와, 중간 메탈부와, 오거측 메탈부를 갖고 있고, 오거측 메탈부에 대해 언로더를 연결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6에서는 언로더는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6의 콤바인에서는, 중간 메탈부가 기체 프레임에 연결 고정되고, 이 중간 메탈부에 대해 오거측 메탈부를 횡축 회전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언로더(배출용 오거)가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탱크측 메탈부와 중간 메탈부가 하측 세로 장착축에 의해 피봇 장착되어 있고, 이 하측 세로 장착축과 상측 장착축을 동 축심으로 배치함으로써, 그레인 탱크의 선회시에는 중간 메탈에 대해 탱크측 메탈부가 분리되게 된다. 또한, 이 특허문헌 6에서는, 그레인 탱크의 저부에 구비한 배출 나선의 구동력을, 언로더의 오거 나선에 전달하는 전동계가, 중간 메탈부와 탱크측 메탈부 사이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0-075634호 공보(JP 10-075634 A)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0-004749호 공보(JP 10-004749 A)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313118호 공보(JP 2004-313118 A)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020450호 공보(JP 2007-020450 A)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8-263865호 공보(JP 2008-263865 A)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0-098966호 공보(JP 2010-098966 A)
[1] 상기 배경 기술 [1]에 대응하는 과제는 이하와 같다.
상기 (1)에 기재된 구조를 가진 콤바인에서는, 운전 좌석의 직전방에 스티어링 핸들 및 그 지지대가 구비되어, 운전 좌석의 전방측의 시야가 차단되어 있다. 이로 인해, 운전 중에 조종자가 운전 캐빈 전방측 하방의 시야, 예를 들어 예취부의 구동 상황이나 예취 흔적을 확인할 때에는, 그 예취부나 예취 흔적의 일부가 스티어링 핸들 및 그 지지대에 차단되어 사각(四角)이 된다. 조종자가 상기 사각이 되는 부분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몸을 전후 좌우로 움직여 전방 하방을 내려다볼 필요가 있어, 운전 좌석으로부터의 운전 캐빈의 전방측 하방의 시인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2)에 기재된 구조를 가진 콤바인에서는, 조종 조작구로서의 파워 스티어링 레버는 운전 좌석의 전방 위치가 아닌 우측방에 설치되어 있지만, 그 파워 스티어링 레버는, 운전 좌석의 전방에 존재하고 있는 횡폭이 넓은 대시보드에 구비되어 있다. 이로 인해, 운전 좌석의 전방측이 대시보드로 막힌 폐색감이 있는 동시에, 운전 좌석에 앉은 자세로 운전 캐빈의 전방측 하방을 시인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조종 조작구 혹은 조종 조작구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에 의해 운전 좌석 전방측의 운전 캐빈 하방측의 시야가 차단되는 것을 회피하여, 운전 좌석으로부터의 운전 캐빈의 전방측 하방의 시인성이 좋은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2] 상기 배경 기술 [2]에 대응하는 과제는 이하와 같다.
상기 (3)에 기재된 구조를 가진 콤바인에서는, 운전 캐빈 및 운전 좌석이, 어느 정도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측에 치우친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사이드 패널 박스가 존재하는 측에 있어서의 피더 존재 개소의 전방측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는 육안으로 확인하기 쉬워지는 것이지만, 운전 캐빈의 측부측은 사이드 패널 박스의 존재에 의해 차단되어 있으므로, 그 측부 하방측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워, 가일층의 개선이 요망된다.
또한, 사이드 패널 박스가 존재하는 측의 운전 캐빈의 일부를 피더의 상방에 겹쳐 구성하고 있으므로, 사이드 패널 박스에 설치하는 조작 레버류의 배치에 제약을 받아 구조상의 복잡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상기 (4)에 기재된 구조를 가진 콤바인에서는, 상기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사이드 패널 박스가 존재하는 측의 운전 캐빈의 일부를 피더의 상방에 겹치는 것이 아니라, 사이드 패널 박스의 전단부측을 운전 캐빈의 전단부 모서리로부터 후방측으로 이격시켜, 프론트 글래스와 사이드 패널 박스 사이에 전후 방향의 간격을 두고 있다.
이에 의해, 사이드 패널 박스에 설치하는 조작 레버류의 배치에 제약을 받는 구조의 복잡화를 초래하는 일 없이, 상기 간격을 통해 사이드 패널 박스가 존재하는 측의 운전 캐빈의 측부 하방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쉬워지는 점에서는 유용하다. 그러나 상기 간격을 마련하기 위해 사이드 패널 박스의 전단부측을 후퇴시키고 있으므로, 사이드 패널 박스 상에 배치하는 기기의 수나 위치에 제약을 받고, 특히, 전방을 육안으로 확인하며 운전을 행하면서 감시하고자 하는 계기류를 전방측에 배치할 수 없어, 사이드 패널 박스 자체가 기능상의 제약을 받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운전 캐빈 내로부터, 사이드 패널 박스가 존재하는 측의 운전 캐빈의 측부 하방 위치의 시인을 행하기 쉬운 콤바인을, 사이드 패널 박스 자체의 기능 저감이나 구조의 복잡화를 초래하는 일 없이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3] 상기 배경 기술 [3]에 대응하는 과제는 이하와 같다.
특허문헌 4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급동을, 그 내부에 급실에 연통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소위 바 타입 급동으로 구성하므로, 대량의 곡물대가 탈곡 처리물로서 급실에 공급된 경우라도, 급동의 내부 공간을 훑기 처리용 처리 공간으로서 유효 이용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처리 공간에서의 탈곡 처리물의 체류나 처리 공간의 포화를 초래하는 일 없이, 급실에 공급된 대량의 탈곡 처리물에 훑기 처리를 실시할 수 있어, 훑기 처리 후의 처리물을 요동 선별 수단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요동 선별 수단에 공급되는 처리물에 요동 선별 수단에 의한 요동 선별 처리와 풍구로부터의 선별풍에 의한 풍력 선별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지만, 선별풍은 요동 선별 수단의 전방 하방에 배치한 풍구로부터 공급될 뿐이므로, 대량의 처리물이 요동 선별 수단에 공급되는 경우에 선별풍량이 부족하여 풍력 선별 처리에 의한 선별 정밀도가 저하되고, 이에 의해, 요동 선별 수단에 체류하는 처리물량도 증가하여 요동 선별 처리에 의한 선별 정밀도도 저하되는 문제를 초래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량의 처리물이 요동 선별 수단에 공급되는 경우라도 높은 선별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4] 상기 배경 기술 [4]에 대응하는 과제는 이하와 같다.
콤바인으로 수확하는 곡물로서는, 벼나 보리 등과 같이 비교적 단단하고 손상되기 어려운 것뿐만 아니라, 대두 등과 같이 비교적 부드럽고 손상되기 쉬운 것이 있다. 그리고 콤바인을 사용하여 벼나 보리 등을 수확하는 경우에는 처리 능력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급동을 비교적 빠른 속도로 회전시키는 것이 일반적이고, 또한 대두 등을 수확하는 경우에는 훑기 처리시의 손상에 의한 품질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급동을 비교적 느린 속도로 회전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특허문헌 5에 기재된 전동 구조를 채용한 콤바인에서는, 예를 들어 벼나 보리 등을 수확하는 경우와 대두 등을 수확하는 경우에서, 벨트 전동 기구의 전동 풀리를 교환하여 벨트 전동 기구에서의 변속비를 변경함으로써, 급동의 회전 속도를 벼 보리용의 고속과 대두용의 저속으로 전환하는 것이 고려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5에 기재된 전동 구조에서는, 급동의 회전 속도를 대두용의 저속으로 하기 위해 벨트 전동 기구의 변속비를 크게 하면, 그것에 수반하여 예취 반송 장치의 구동 속도도 저속으로 되어 예취 반송 장치에서의 예취 성능이나 반송 속도가 저하되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서는, 급동의 회전 속도를 대두용의 저속으로 하는 경우에, 벨트 전동 기구의 전동 풀리를 교환하여 벨트 전동 기구의 변속비를 크게 할 뿐만 아니라, 벨트 전동 기구의 변속비를 크게 하는 것에 기인한 예취 반송 장치의 구동 속도의 저하를 보완하기 위해, 정회전 클러치의 전동 풀리도 교환하여 정회전 클러치의 변속비를 작게 할 필요가 있다.
즉, 특허문헌 5에 기재된 전동 구조를 채용한 콤바인에서는, 예취 반송 장치에서의 예취 성능이나 반송 속도의 저하를 초래하는 일 없이 급동의 회전 속도를 벼 보리용의 고속과 대두용의 저속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벨트 전동 기구의 변속비와 함께 정회전 클러치의 변속비도 변경할 필요가 있으므로, 급동의 회전 속도의 전환에 필요로 하는 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하는 데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콤바인의 전동 구조에 간단한 개량을 실시함으로써, 급동의 회전 속도를, 예취 반송 장치에서의 예취 성능이나 반송 속도의 저하를 초래하는 일 없이, 벼 보리용의 고속과 대두용의 저속으로 간단하게 전환되도록 하는 것에 있다.
[5] 상기 배경 기술 [5]에 대응하는 과제는 이하와 같다.
특허문헌 6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로부터 언로더로 곡립을 반송하는 경로가 분리됨으로써, 그레인 탱크의 선회가 허용되는 구성에서는, 구조의 복잡화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부품 개수의 증대를 초래하는 점에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또한, 언로더의 길이는, 수납 자세(종방향의 자세)로 설정한 상태에서, 배출측의 단부가 그레인 탱크로부터 상방으로 크게 돌출되지 않도록 치수가 규제된다. 이러한 이유로부터, 그레인 탱크의 곡립을 횡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해 언로더를 요동시켜 배출측의 단부를 횡방향을 향하게 한 경우의 곡립의 배출 위치도 정해지는 것이지만, 이 배출 위치를 가능한 한 자주 기체로부터 이격시키고자 한다는 요망도 있다. 이러한 요망에 대해, 특허문헌 6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언로더를 신축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도 생각되지만, 이 구성에서는 구조의 복잡화를 초래하고, 부품 개수의 증대를 초래하는 점에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레인 탱크의 선회와 언로더의 요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의 간소화를 실현하는 동시에, 언로더의 치수를 길게 하는 일 없이 언로더로부터의 곡립의 배출 위치를 자주 기체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 콤바인을 합리적으로 구성하는 점에 있다.
상기 과제에 대응하는 해결 수단은 이하와 같다.
운전 캐빈 내에 운전 좌석을 배치하고,
상기 운전 캐빈의 좌우 한 쌍의 프론트 필러 사이에, 상기 운전 캐빈의 상방부로부터 상기 운전 좌석의 시트면보다도 하방에 걸치는 범위에 프론트 글래스를 설치하고,
상기 운전 캐빈 내에 있어서, 조향 조작부를, 상기 운전 캐빈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에 배치한 상태에서, 및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운전 좌석과 상기 프론트 필러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 필러에 지지하고 있는, 콤바인.
일 적합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운전 캐빈 내에 있어서, 변속 조작부를, 상기 운전 캐빈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타측에 배치하고 있다.
일 적합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운전 캐빈 내에 있어서, 상기 조향 조작부를, 상기 운전 좌석의 좌우 단부 중 상기 일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일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하고, 또한 상기 변속 조작부를, 상기 운전 좌석의 좌우 단부 중 상기 타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타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일 적합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변속 조작부의 전방에 전장품 배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프론트 글래스가 상기 전장품 배치부보다도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장품 배치부의 하방에, 상기 운전 좌석측으로부터 상기 운전 캐빈의 전방측을 내려다볼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일 적합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프론트 글래스가 상기 조향 조작부보다도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조향 조작부의 하방에, 상기 운전 좌석측으로부터 상기 운전 캐빈의 전방측을 내려다볼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일 적합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프론트 글래스와 상기 운전 좌석 사이에, 상기 운전 좌석에 착석한 운전자의 전방의 시계를 저해하는 장해물이 존재하지 않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일 적합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프론트 글래스와 상기 운전 좌석 사이에, 상기 운전 좌석측으로부터 상기 운전 캐빈의 전방측을 내려다볼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일 적합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변속 조작부의 전방에 전장품 배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프론트 글래스가 상기 전장품 배치부 및 상기 조향 조작부보다도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장품 배치부의 하방, 상기 프론트 글래스와 상기 운전 좌석 사이, 또한 상기 조향 조작부의 하방에, 상기 운전 좌석측으로부터 상기 운전 캐빈의 전방측을 내려다볼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이, 상기 프론트 글래스를 따라 상기 좌우 방향으로 연속되어 있다.
일 적합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변속 조작부의 전방에 전장품 배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장품 배치부와 상기 조향 조작부 사이에, 상기 운전 좌석에 착석한 운전자의 전방의 시계를 저해하는 장해물이 존재하지 않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일 적합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운전 캐빈의 바닥면에 있어서의 상기 운전 좌석의 전방에, 발판부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특징 구성 및 앞으로 발휘되는 유리한 효과에 대해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설명을 읽으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이하, 도 18까지 마찬가지임), 이러한 콤바인의 일례로서 도시한 보통형 콤바인의 우측면도.
도 2는 보통형 콤바인의 좌측면도.
도 3은 보통형 콤바인의 평면도.
도 4는 운전 캐빈의 우측면도.
도 5는 운전 캐빈의 정면도.
도 6은 운전 캐빈의 좌측면도.
도 7은 운전 캐빈의 배면도.
도 8은 운전 캐빈의 횡단 평면도.
도 9는 운전 캐빈의 종단 정면도.
도 10은 도 9에 있어서의 Ⅹ-Ⅹ선 단면도.
도 11은 도 9에 있어서의 ⅩⅠ-ⅩⅠ선 단면도.
도 12는 운전 캐빈의 우측 전방의 프론트 필러 및 조작 박스 부근에서, 승강용 도어를 조금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3은 도 12에 있어서의 ⅩⅢ-ⅩⅢ선 단면도.
도 14는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운전 캐빈의 바닥면 부분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15는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사이드 패널 박스 부분을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16은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사이드 패널 박스 부분을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17은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내측 파지 부재 부근을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18은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스티어링 레버 장착 개소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이하, 도 27까지 마찬가지임), 이러한 콤바인의 일례로서 도시한 보통형 콤바인의 전체 좌측면도.
도 20은 보통형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
도 21은 탈곡 장치의 종단 좌측면도.
도 22는 각 커버를 제거한 탈곡 장치의 좌측면도.
도 23은 전동 구조를 도시하는 탈곡 장치의 정면도.
도 24는 탈곡 장치의 상부측 배면도.
도 25는 보통형 콤바인의 전동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26은 급동용 전동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정면도.
도 27은 급동용 입력축과 예취 반송용 입력축과 아이들러 축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측면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이하, 도 36까지 마찬가지임), 이러한 콤바인의 일례로서 도시한 보통형 콤바인의 전체 우측면도.
도 29는 보통형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
도 30은 그레인 탱크 후방부와 언로더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1은 언로더와 지지 기둥 형상 부재를 도시하는 후방면도.
도 32는 엘보 유닛부의 종단 측면도.
도 33은 언로더와 지지 기둥 형상 부재의 횡단 평면도.
도 34는 언로더와 지지 기둥 형상 부재의 기단부를 도시하는 후방면도.
도 35는 배출 클러치의 개념도.
도 36은 요동 상태에 있는 언로더를 도시하는 후방면도.
〔제1 실시 형태〕
이하,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콤바인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콤바인의 일례인 보통형 콤바인의 전체를 도시하고 있다.
좌우 한 쌍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10)를 구비한 기체 프레임(11) 상에 탈곡 장치(2), 곡립 탱크(3) 및 운전 캐빈(5)을 탑재한 주행 기체(1)의 전방부에, 예취 반송 장치(4)를 승강 조작 가능하게 장비시켜 보통형 콤바인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체 프레임(11) 상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 전방부에 운전 캐빈(5)이 배치되고, 그 후방측의 우측 후방부에 곡립 탱크(3)가 설치되고, 그 곡립 탱크(3)의 좌측인 좌측 후방부에 탈곡 장치(2)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예취 반송 장치(4)는, 상기 탈곡 장치(2)의 전방부로부터 운전 캐빈(5)의 좌측 횡측방을 통해 전방으로 연장된 처리물 반송용 피더(40)와, 그 피더(40)에 대해 피처리물을 공급하는 예취부(41) 및 예취부(41)의 상부에서 직립 볏짚 줄기의 이삭 끝측을 긁어 모으는 릴 장치(4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예취부(41)는, 직립 볏짚 줄기를 예취하는 클리퍼형의 예취날(41a)과, 예취됨으로써 피처리물로 된 볏짚 줄기를 피더(40)의 입구부(40a)측을 향해 모으기 위한 가로 이송 오거(41b)를 구비하고, 상기 피더(40)는 체인식 긁어올림 컨베이어(40b)를 내장하고 있다.
따라서, 도복(倒伏) 상태의 볏짚 줄기는 릴 장치(42)에 의해 어느 정도 긁어 올려져, 예취날(41a)로 예취된 후, 오거(41b)로 피더(40)의 입구부(40a)를 향해 반송되고, 상기 입구(40a)에 도달한 볏짚 줄기(피처리물)가 긁어올림 컨베이어(40b)에 의해 피더(40)의 저면을 따라 긁어올림 반송되어, 탈곡 장치(2)의 전단부에 투입된다.
상기 예취 반송 장치(4)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11) 상의 고정 개소에 대해 수평 방향의 횡축심 x 주위로 상하 요동 가능하게 피봇되어 있어, 승강용 유압 실린더(12)를 신축 조작함으로써, 예취부(41)가 지면에 근접한 예취 작업 자세와, 예취부(41)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까지 상승한 비(非)예취 작업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탈곡 장치(2)는, 전간(全稈) 투입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전후 방향으로 긴 급동(20)을 구비하여 탈곡 처리하고, 피처리물 중의 진애를 후방으로부터 배출하는 동시에, 탈곡된 곡립을 포함하는 피처리물을 곡립 탱크(3)로 송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곡립 탱크(3)에서는, 탈곡 장치(2)측으로부터 송입된 곡립을 포함하는 피처리물을 일시적으로 저류하고, 곡립 탱크(3)로부터 곡립 배출용 오거(30)를 통해 외부로 곡립을 포함하는 피처리물이 회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운전 캐빈(5)의 하부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 룸(13)이 설치되어 있고, 운전 캐빈(5) 내의 운전 좌석(50)의 후방 하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엔진(14) 및 라디에이터(15)가 좌측으로부터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엔진 룸(13)의 우측 외측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진 커버(16)를 배치하고 있어, 우측 외측으로부터 외기를 흡인하는 라디에이터(15)가, 흡기시에 외부의 진애 등을 흡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라디에이터(15)를 통과한 흡입 외기는 엔진(14)을 냉각시킨 후, 엔진 룸(13)의 좌측(도 7 중의 좌측)으로 배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운전 캐빈〕
도 4 내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 캐빈(5)은, 기체 프레임(11)에 고정 설치된 지지재(11a)에 의해 지지된 바닥판(51)의 상면측에 바닥면(5A)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바닥판(51)의 상측에 4개의 지지 기둥(52)이 기립 설치되고, 그 지지 기둥(52)에 의해 지붕부(53)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4개의 지지 기둥(52) 중, 기체 전방측의 좌우 한 쌍의 지지 기둥(52a, 52b)(프론트 필러에 상당함)은, 바닥판(51)의 최하부의 바닥면(5A)으로부터 기립 설치되어 있지만, 좌우의 후방측의 지지 기둥(52c, 52d)은, 바닥판(51) 중, 운전 좌석(50)의 지지대 및 보닛 격벽을 겸하는 바닥판 상부(51a)로부터 기립 설치되어 있다(도 9 내지 도 11 참조).
상기 4개의 지지 기둥(52) 중, 기체 전방측의 좌우 한 쌍의 지지 기둥(52a, 52b)(프론트 필러에 상당함) 사이에는, 곡면 글래스로 구성된 프론트 글래스(54)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프론트 글래스(54)는 상기 바닥면(5A)으로부터 지붕부(53)까지의 전체 범위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면(5A)의 전방 모서리보다도 전방측으로 팽출되어 있는 동시에, 프론트 글래스(54)가, 측면에서 볼 때 수평면에 대한 하방측 부분의 경사 각도 θ1보다도 상방측 부분에서의 경사 각도 θ2가 커지도록, 하단부측일수록 후방측에 위치하도록 전방측으로 볼록 형상으로 만곡된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글래스(54)는,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도,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부 개소가 좌우 방향에서의 양단부 개소보다도 전방측으로 팽출되는 돌출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프론트 글래스(54)는, 단순한 수평 방향 혹은 상하 방향 중 어느 하나의 축선 주위에서의 곡률을 가진 단곡면이 아닌,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이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축선 주위에서의 곡률을 가진 복곡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론트 글래스(54)의 측면에서 볼 때의 곡면 형상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프론트 글래스(54)의 상단부보다도 약간 하방측의 위치가 가장 기체 전방측에 위치하는 최대 전방 돌출 위치 P로 되도록, 일정 곡률의 곡면으로 형성된 프론트 글래스(54)의 장착 자세를 정한 것이지만, 이 프론트 글래스(54)의 측면에서 볼 때의 곡률은, 일정 곡률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하방측 부분의 곡률이 상방측 부분의 곡률보다도 큰 것, 혹은 반대로 하방측 부분의 곡률이 상방측 부분의 곡률보다도 작은 것 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프론트 글래스(54)의 최대 전방 돌출 위치 P를, 프론트 글래스(54)의 상단부보다도 약간 하방측의 위치로 하고 있는 것은, 운전 캐빈(5)의 전방 하방을 내려다볼 때, 조종자의 머리부를 최대한 프론트 글래스(54)에 근접시킬 때에, 이 최대 전방 돌출 위치 P가 프론트 글래스(54)의 상단부와 일치하고 있는 경우보다도, 조금이라도 전방에 근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프론트 글래스(54)의 평면에서 볼 때의 곡면 형상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의 전체에 걸쳐 일정한 곡률로 형성된 것이 아닌, 양단부 개소 부근의 곡률이 중앙부 개소 부근의 곡률보다도 크게 되어 있고, 중앙부 개소에서는 직선에 가까운 완만한 만곡면으로 되어 있다.
단, 이것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상기 프론트 글래스(54)의 평면에서 볼 때의 곡면 형상을, 좌우 방향의 전체에 걸쳐 일정한 곡률로 형성한 것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프론트 글래스(54)의 좌우 양단부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상기 기체 전방측의 좌우 한 쌍의 지지 기둥(52a, 52b)은,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글래스(54)의 횡측단부 모서리의 형상을 따라, 측면에서 볼 때의 프론트 글래스(54)의 상기 경사면의 경사와 마찬가지의 경사를 가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지지 기둥(52a, 52b)은, 측면에서 볼 때 수평면에 대한 하방측 부분의 경사 각도 θ1보다도 상방측 부분에서의 경사 각도 θ2가 커지도록 형성된 프론트 글래스(54)의 만곡 형상과 마찬가지로, 하단부측일수록 후방측에 위치하도록 전방측으로 볼록 형상으로 만곡된 경사를 갖고 있고, 상기 운전 캐빈(5)의 바닥면(5A)에의 장착 개소보다도 상부측이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운전 캐빈(5)의 횡측면 개소 중, 우측면 개소에서는, 우측 전방측의 지지 기둥(52a)과 우측 후방측의 지지 기둥(52c)의 사이가, 조종자가 타고 내리기 위한 승강구로서 형성되어 있고, 이 승강구를 개폐하기 위한 승강용 도어(55)가 우측 후방측의 지지 기둥(52c)측에 설치된 힌지(55a)를 통해 개폐 조작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승강용 도어(55)의 기체 전방측의 단부 모서리는, 상기 프론트 글래스(54)의 경사면의 경사와 마찬가지의 경사를 가진 우측 전방측의 지지 기둥(52a)의 만곡 형상을 따른 단부 모서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단부 모서리 부분에서는, 하단부측보다도 상단부측이 크게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승강용 도어(55)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 프레임(55b)을 상하 방향에서의 중간 위치에서 가로지르도록 걸쳐진 가로대 부재(55c)를 경계로 하여, 하방측이 1매의 투명 글래스(55d)에 의해 구성되고, 상방측은 전후 한 쌍의 투명 유리제의 미닫이 도어로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 도어 창(55e)으로 되어 있다.
상기 가로대 부재(55c)의 상하 방향의 높이 위치는, 운전 캐빈(5) 내의 운전 좌석(50)의 시트면(50a)보다도 높고, 후술하는 조작 박스(6)의 상면보다도 낮은 높이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로대 부재(55c)의 도어 내면측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 캐빈(5)의 실내측으로부터 승강용 도어(55)를 개폐 조작할 때에 파지하는 내측 파지 부재(55f)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 도면 중의 부호 55g는, 외측방으로부터 개폐 조작할 때에 사용하는 손잡이이며, 운전 캐빈(5)의 기체 전방측의 지지 기둥(52a)을 따른 경사 자세로 장착되어 있다.
운전 캐빈(5)의 횡측면 개소 중, 좌측면 개소에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측 횡측벽(56)의 일부에, 좌측 전방측의 지지 기둥(52b)과 좌측 후방측의 지지 기둥(52d) 사이이며, 또한 횡측면 개소의 상하 방향의 중간 위치로부터 상방측에, 전후 한 쌍의 투명 유리제의 미닫이 도어로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 횡측창(56a)이 설치되어 있다.
이 미닫이 도어로 구성된 개폐 가능한 횡측창(56a)은, 하단부측이 상기 승강용 도어(55)의 가로대 부재(55c)의 상하 방향 높이와 마찬가지로, 운전 캐빈(5) 내의 운전 좌석(50)의 시트면(50a)보다도 높고, 후술하는 조작 박스(6)의 상면보다도 낮은 높이 위치에 설정되어 있고, 상단부측은 지붕부(53)의 하부 모서리에 달하는 상하 방향 높이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운전 캐빈(5)의 측면 부분 중, 상기 승강용 도어(55)가 설치된 우측면 개소의 상기 승강용 도어(55)보다도 후방측의 부분으로부터, 후방측면 개소에 이르는 개소에는, 도 4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 후방측의 지지 기둥(52c)보다도 후방측의 우측면 개소의 상기 승강용 도어(55)보다도 후방측의 부분으로부터, 후방측면 개소에 이르는 개소에 걸쳐, 운전 캐빈(5)의 우측 후방의 코너부 상당 개소를 들여다보는 것이 가능한 투명 글래스를 끼워 넣어, 개폐 불가능한 고정 창(57)을 구성하고 있다. 이 고정 창(57) 및 고정 창(57)이 장착된 운전 캐빈(5)의 우측 후방 코너부의 외벽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운전 캐빈(5)의 후방면측 개소에서는, 도 7, 도 8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벽(58)의 일부에, 상기 고정 창(57)이 형성된 개소보다도 좌측이고, 또한 운전 좌석(50)의 시트 백(50b)의 상단부보다도 상방측으로부터 지붕부(53)의 하부 모서리에 걸쳐, 좌우 한 쌍의 투명 유리제의 미닫이 도어로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 후방 창(58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4개의 지지 기둥(52)에 의해 지지되는 지붕부(53)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전방면측 부분이 프론트 글래스(54)의 상단부보다도 전방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이 전방면측 부분에서 좌우의 단부와, 그 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예취부(41) 및 예취부(41)의 전방을 비추는 전조등(53a)이 4기 장착되어 있다.
상기 운전 캐빈(5)의 바닥면(5A)은,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의 프론트 글래스(54)의 하단부 모서리의 형상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부 개소가 좌우 방향에서의 양단부 개소보다도 전방측으로 팽출되는 돌출 만곡 형상이므로, 그 전방 모서리 형상이, 프론트 글래스(54)의 하단부 모서리의 형상을 따라,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부 개소가 좌우 방향에서의 양단부 개소보다도 전방측으로 팽출되는 돌출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바닥면(5A)의 전방 모서리 부근에는,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면(5A)의 약간 상방에 위치하도록 발판부(51b)를 설치하고 있다. 이 발판부(51b)는, 바닥면(5A)에 대해 좌우 양단부측의 스테이(51c)를 통해, 기체 전방측이 높고 후방측이 낮은 경사 자세로 장착되어 있고, 운전 좌석(50)의 직전방에 위치하여, 운전 좌석(50)의 시트면(50a)의 좌우 방향 폭과 동일한 정도, 혹은 약간 짧은 정도의 좌우 방향 폭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발판부(51b)는, 기체 전방측의 좌우 한 쌍의 지지 기둥(52a, 52b)(프론트 필러에 상당함)의 하단부 위치보다도, 당해 발판부(51b)의 적어도 전방변 부분이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바닥면(5A)의 전방 모서리의 중앙부 개소가 좌우 방향에서의 양단부 개소보다도 전방측으로 팽출되는 돌출 만곡 형상의 상기 전방 모서리의 중앙부 개소에서, 그 전방 모서리에 근접시켜 위치시킴으로써, 가능한 한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운전 좌석(50)도 상대적으로 전방측으로 치우치게 하여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져, 운전 캐빈(5)의 전방 하방을 내려다볼 때에 유리하다.
도 4 내지 도 6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운전 캐빈(5)의 승강용 도어(55)를 설치한 측의 횡측면 개소의 전방측에서, 상기 우측 전방측의 지지 기둥(52a)에 대해 캐빈 가드(59)를 연속 설치하고 있다. 이 캐빈 가드(59)는, 측면에서 볼 때 프론트 필러인 우측 전방측의 지지 기둥(52a)의 만곡 형상을 따라 만곡된 형상의 금속제 파이프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측 전방측의 지지 기둥(52a)의 하단부 부근과 상단부 부근에 볼트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캐빈 가드(59)는, 상기 우측 전방측의 지지 기둥(52a)에 대해, 횡외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1 막대 형상 가드부(59a)와, 또한 그 제1 막대 형상 가드부(59a)의 전방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2 막대 형상 가드부(59b)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이 캐빈 가드(59)는, 그 제1 막대 형상 가드부(59a) 및 제2 막대 형상 가드부(59b)가, 상기 승강용 도어(55)를 개방하여 조종자가 타고 내릴 때에, 난간으로서 잡으면서 타고 내리는 것이 가능하도록 충분한 강도를 갖고, 잡기 쉬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캐빈 가드(59)에 대해,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윙커(80)가, 좌우 방향에서 상기 우측 전방측의 지지 기둥(52a)과 제1 막대 형상 가드부(59a)의 사이에 위치하고, 전후 방향에서 제1 막대 형상 가드부(59a)와 제2 막대 형상 가드부(59b)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하 방향에서 승강 도어(55)의 손잡이(55g)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제1 막대 형상 가드부(59a)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캐빈 가드(59)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백미러(81)가, 상기 제2 막대 형상 가드부(59b)의 횡외측이고, 또한 상하 방향에서는 운전 좌석(50)의 시트 백(50b)의 상단부와 동일한 정도, 혹은 그보다도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캐빈 가드(59)의 제1 막대 형상 가드부(59a)의 상단부 개소에는, 안테나(82)가 상방을 향해 연장된 상태에서 장착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론트 글래스(54)의 상부 외면에는, 와이퍼(83)가 배치되어 있다.
〔조종부의 구조〕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종부인 운전 캐빈(5)의 내부에서는, 운전 좌석(50)이 좌우 방향에서의 거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운전 좌석(50)의 우측 전방측에 스티어링 조작 등을 행하기 위한 조작 박스(6)가 설치되고, 좌측에 변속 조작 등을 행하기 위한 사이드 패널 박스(7)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 좌석(50)은, 시트면(50a)과 시트 백(50b)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운전 좌석(50)의 우측 횡측부에는, 도 4, 도 8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승강용 도어(55)를 개방하고 운전 캐빈(5) 내에 올라탈 때에, 조종자가 잡고 신체를 끌어올리면서 기체 상으로 오를 때의 보조로서 사용할 수 있게 승강용 손잡이(50c)를 설치하고 있다.
이 승강용 손잡이(50c)는, 도 8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 캐빈(5) 내의 바닥판 상부(51b)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50)의 탑재 개소와 그 배면부측에 기립 설치되어 있는 개소에 걸쳐 설치된 측면에서 볼 때 역L자형의 장착 부재(51d)에 대해 장착된 측면에서 볼 때 ㄷ자 형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조작 박스〕
운전 캐빈(5)의 우측 횡측단부에 설치되는 조종 조작용 조작 박스(6)는, 도 8 및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박스 본체(60)의 상면측에 스티어링 레버(61, 조향 조작부의 일례), 콤비네이션 스위치(62) 및 키 스위치(63)가 장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 조작 박스(6)의 박스 본체(60)가, 운전 좌석(50)의 우측 전방측이며, 운전 캐빈(5)의 승강용 도어(55)가 설치된 측인 우측 전방측의 지지 기둥(52a)에 대해, 장착 부재(6a)를 통해 편측 지지 형상으로 고정 지지되어 있다.
이 조작 박스(6)는, 그 박스 본체(60)가 지지 기둥(52a)에 지지된 상태에서, 평면에서 볼 때 박스 본체(60)의 전방측에, 운전 캐빈(5)의 좌우 방향에서의 단부측일수록 전방 부근이고 운전 캐빈(5)의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측일수록 후방 부근이 되도록 경사진 전방면(60a)을 구비하고, 후방측에도, 평면에서 볼 때 운전 캐빈(5)의 좌우 방향에서의 단부측일수록 전방 부근이고 운전 캐빈(5)의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측일수록 후방 부근이 되도록 경사진 후방면(60b)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운전 좌석(50)에 앉은 조종자가 박스 본체(60)를 보았을 때의 박스 본체(60)의 수평 방향 폭이 짧아 보이게 된다.
즉, 예를 들어 도 8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면측이 기체 전방측을 향하고, 후방면측이 기체 후방측을 향하는 단순한 직사각형인 것으로 박스 본체(60)가 구성되어 있으면, 운전 좌석(50)측으로부터 보는 박스 본체(60)의 수평 방향 폭은, 박스 본체(60)의 전방면측에 있어서의 운전 캐빈(5)의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측의 코너부와, 박스 본체(60)의 후방면측에 있어서의 운전 캐빈(5)의 좌우 방향에서의 단부측의 코너부를 연결하는 대각 방향의 길이에 상당하는 폭이 넓은 것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박스 본체(60)는, 이러한 직사각 형상의 박스 본체(60)가 아닌, 전술한 바와 같이, 운전 캐빈(5)의 좌우 방향에서의 단부측일수록 전방 부근이고 운전 캐빈(5)의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측일수록 후방 부근이 되도록 경사진 전방면(60a)과, 평면에서 볼 때 운전 캐빈(5)의 좌우 방향에서의 단부측일수록 전방 부근이고 운전 캐빈(5)의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측일수록 후방 부근이 되도록 경사진 후방면(60b)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평면에서 볼 때 조종자의 존재 위치가 되는 운전 좌석(50)의 시트면(50a)의 중앙 위치 O를 시점으로 하여, 이 중앙 위치 O로부터 박스 본체(60)의 좌우 방향의 단부에의 투영선 L1, L2는, 전술한 직사각 형상의 박스 본체(60)(도 8 중의 가상선 참조)의 좌우 방향의 단부에의 투영선 L1', L2'보다도 폭이 좁은 것이 된다. 이에 의해, 조종자의 시야를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박스 본체(60)의 상면측에 설치되는 스티어링 레버(61)와 콤비네이션 스위치(62)는, 상기 스티어링 레버(61)가 운전 좌석(50)에 가까운 후방측 부근에 위치하고, 상기 콤비네이션 스위치(62)가 상기 스티어링 레버(61)보다도 운전 좌석(50)으로부터 먼 전방측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작 박스(6)의 장착 위치는, 도 5, 도 9,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 좌석(50)의 시트면(50a)보다도 높은 위치이고, 또한 상기 승강용 도어(55)의 실내측에 장착된 내측 파지 부재(55f)보다도 약간 높은 위치에 박스 본체(60)의 상면이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조작 박스(6)의 평면에서 볼 때의 위치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작 박스(6)에 설치되어 있는 조향 조작용 스티어링 레버(61)가, 운전 좌석(50)의 전방보다도 약간 우측 외측으로 벗어나 위치하고 있다.
즉, 상기 스티어링 레버(61)가 운전 좌석(50)의 직전방 위치로부터 좌우 방향에서의 횡일측방으로 어긋난 위치의 운전 캐빈(5) 내에 배치됨으로써, 조종 조작용 조작구에 상당하는 상기 스티어링 레버(61)나, 스티어링 레버(61)를 장착하기 위한 지지 구조에 상당하는 것인 박스 본체(60) 등이 운전 좌석(50)의 직전 위치로부터는 제외되어, 직전방의 전방 시야를 차단하는 일이 거의 없어지므로, 상기 운전 좌석(50)과 그 직전방 위치의 프론트 글래스(54) 하방 사이에 운전 캐빈(5)의 전방측 하방을 내려다보는 것이 가능한 공간부(S0)가 존재한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운전 좌석(50)에 앉은 상태에서의 운전 캐빈(5)의 전방 하방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작 박스(6)는, 도 4 및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운전 캐빈(5)의 우측 전방측의 지지 기둥(52a)의 하단부보다도 기체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 캐빈(5)에의 승강시에는, 상기 운전 캐빈(5)의 우측 전방측의 지지 기둥(52a)의 하단부보다도 기체 후방측에 존재하는 운전 캐빈(5) 내의 바닥면(5A)의 상방에 존재하는 영역에 대해 타고 내리는 조종자가, 상기 영역으로부터 벗어난 전방측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 박스(6)에 접촉할 가능성은 적어지게 된다.
상기 조작 박스(6)는, 측면에서 볼 때 운전 캐빈(5)의 우측 전방측의 지지 기둥(52a)의 하단부보다도 기체 전방측에 위치하는 것이지만, 도 8 및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론트 글래스(54)에 대해서는, 그 프론트 글래스(54)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조작 박스(6)의 상측에 설치되는 스티어링 레버(61)가 전후 좌우로 요동 조작된 경우에, 그 전방측에의 요동 범위를 충분히 확보하여 지장 없이 요동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조향 조작용 스티어링 레버(61)는, 전후 좌우의 십자 방향으로 요동 조작이 가능하도록 박스 본체(60)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스티어링 레버(61)의 조작 위치는, 박스 본체(60)에 내장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위치 검출체에 의해 검출되는 것이며, 스티어링 레버(61)의 조작 위치를 링크 기구 등의 기계적 연계 기구로 조향 기구 등에 연계시키는 구조의 것이 아닌, 박스 본체(60) 내의 각 기기는 도전선이나 신호선으로 이루어지는 하니스(66)를 통해 연계 대상의 장치와 연계되어 있다.
상기한 스티어링 레버(61)를 우측 방향으로 요동 조작하면, 박스 본체(60)에 내장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위치 검출체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크롤러식 주행 장치(10)가 우측 방향으로 선회하도록 조향 조작되고, 스티어링 레버(61)를 좌측 방향으로 요동 조작하면, 박스 본체(60)에 내장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위치 검출체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크롤러식 주행 장치(10)가 좌측 방향으로 선회하도록 조향 조작된다.
또한, 스티어링 레버(61)를 전방으로 요동 조작하면, 박스 본체(60)에 내장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위치 검출체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피더(40) 및 예취부(41)가, 스티어링 레버(61)의 조작 위치에 대응한 속도로 하강한다. 마찬가지로, 스티어링 레버(61)를 후방으로 요동 조작하면, 피더(40) 및 예취부(41)가, 스티어링 레버(61)의 조작 위치에 대응한 속도로 상승한다. 중립 위치로부터의 요동 조작량이 많을수록, 하강 속도 또는 상승 속도가 빨라진다. 스티어링 레버(61)의 요동 조작을 멈추고 중립 위치로 유지하면, 피더(40) 및 예취부(41)는 그 위치에서 정지한다.
상기 조작 박스(6)에 장비되어 있는 콤비네이션 스위치(62)는, 도 8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의 누름 버튼(62a)을 누름으로써 경보용 폰을 울리고, 누름 버튼(62a)의 주위부에 구비된 레버(62b)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전조등(53a)의 온 오프 조작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작 박스(6)에는, 키를 삽입하여 엔진(14)을 시동 및 정지 가능한 스타터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키 스위치(63)도 장비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조작 박스(6)에 도입되는 도전선 및 신호선 등의 하니스(66)는, 운전 캐빈(5)의 우측 전방측의 지지 기둥(52a)을 따라, 그 지지 기둥(52a)과는 별개로 운전 캐빈 내부에 배치된 하니스 커버(64)에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하니스(66)의 배선이나 점검 등의 필요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지지 기둥(52a)을 분해하는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아, 하니스 커버(64)를 착탈 혹은 분해함으로서 간단히 내부의 하니스(66)에 대한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 캐빈(5)의 우측 전방측의 지지 기둥(52a)에는, 상기 박스 본체(60)의 하방측에 위치시켜, 승강용 도어(55)의 캐빈 실내측에 장비된 로크 장치(55h)가 결합 분리되기 위한 도어 캐쳐(65)를 설치하고 있다. 이 도어 캐쳐(65)는, 측면에서 볼 때 운전 캐빈(5)의 우측 전방측의 지지 기둥(52a)의 하단부보다도 기체 전방측이고, 또한 상기 박스 본체(60)의 후단부보다도 기체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 캐빈(5)에의 승강시에는, 상기 운전 캐빈(5)의 우측 전방측의 지지 기둥(52a)의 하단부보다도 기체 후방측에 존재하는 운전 캐빈(5) 내의 바닥면(5A)의 상방에 존재하는 영역에 대해 타고 내리는 조종자가, 상기 영역으로부터 벗어난 전방측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 박스(6)의 박스 본체(60)의 후단부보다도 더욱 기체 전방측에 위치하는 도어 캐쳐(65)에 접촉할 가능성은 적어지게 된다.
〔사이드 패널 박스〕
운전 캐빈(5) 내에서의 운전 좌석(50)의 좌측 횡측부에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이드 패널 박스(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사이드 패널 박스(7)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상면이 상기 운전 좌석(50)의 시트면(50a)보다도 낮게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주행용 주변속 레버(72)(변속 레버에 상당함) 등이 배치된 박스 메인부(70)와, 상기 박스 메인부(70)의 전단부측에 위치하여 전장품이 배치된 전장품 배치부(7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박스 메인부(70)에서는, 상기 운전 좌석(50)으로부터 먼 측에서 주행용 주변속 레버(72)나 부변속 레버(73) 등의 각종 레버류가 배치된 외측 부분(70A)과, 운전 좌석(50)에 가까운 측에서 각종 스위치 조작구(74)가 배치되어 있는 내측 부분(70B)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주변속 레버(72) 및 부변속 레버(73) 등의 각종 레버류의 파지부는 상기 시트면(50a)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전장품 배치부(71)에서는, 통상의 예취 탈곡 작업 중에 육안으로 보는 빈도가 높은 계기류를 구비한 계기 표시부(71a)가 수지제의 케이스에 수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미터 패널로서 기능하는 것이며, 상기 박스 메인부(70)의 기체 전방측의 단부에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상기 계기 표시부(71a)에서는, 예를 들어 중앙부에 실제의 작업 차속을 표시하는 작업 속도계나 엔진 회전수로부터의 부하를 표시하는 부하 표시 미터 등이 설치되고, 그 양측에는 예를 들어 엔진 회전계나 연료계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장품 배치부(71)는, 각종 계기 부분을 액정 등의 화상 표시 수단으로 표시하도록 한 것이라도 좋다.
도 6 및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전장품 배치부(71)는, 상하 방향 두께가 상기 박스 메인부(70)와 비교하면 얇은 것이고, 상면은 박스 메인부(70)와 동일 평면상에 있도록 박스 메인부(70)의 전단부 상부로부터 경사 우측 전방측으로 편측 지지 형상으로 연속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전장품 배치부(71)의 하면과 운전 캐빈(5)의 바닥면(5A) 사이에는 상하 방향에서의 간격이 발생하고, 또한 박스 메인부(70)의 전단부 모서리(70a)와 전방의 프론트 글래스(54)의 내면과의 사이에도 전후 방향에서의 간격이 발생되어 있다. 즉, 상기 전장품 배치부(71)의 하측에 상당하는 개소에는, 운전 좌석(50)측으로부터 사이드 패널 박스(7)가 존재하는 측의 운전 캐빈(5)의 측부 하방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개방 공간 S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박스 메인부(70)의 전단부 모서리(70a)는, 도 6 및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론트 글래스(54)의 내면의 경사를 따라, 하방측일수록 기체 후방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박스 메인부(70)의 전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전장품 배치부(71)는, 도 8 및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글래스(54)의 양단부측에 위치하는 기체 전방측의 좌우 한 쌍의 지지 기둥(52a, 52b)의 하단부 및 운전 캐빈(5)의 바닥면(5A)의 전방 모서리보다도 기체 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평면에서 볼 때 프론트 글래스(54)의 배면을 따르도록 굴곡 형성되어, 연장 단부측이 운전 좌석(50)의 전방측(이 실시 형태에서는 경사 우측 전방측)을 향하도록 굴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전장품 배치부(71)는, 평면에서 볼 때 운전 좌석(50)에 가까운 후방측이 직선적인 측부 모서리를 갖고, 프론트 글래스(54)에 가까운 전방측이 프론트 글래스(54)의 내면 형상에 가까운 만곡된 측부 모서리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전장품 배치부(71)를, 예를 들어 그 계기 표시부(71a)에서 각종 계기 부분이 기체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구조인 것에 비해, 상기 계기 표시부(71a)에서의 각종 계기 부분이 프론트 글래스(54)의 배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상태로 된다. 이로 인해,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계기 부분이 기체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는 구조인 것에 비해, 운전 좌석(50)으로부터 각 계기 부분이 배치되어 있는 개소까지의 거리의 차를 적게 할 수 있어, 기체 전방측에 위치하는 것일수록 운전 좌석(50)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져 보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를 초래하는 일 없이, 육안으로 확인하기 쉬워지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장품 배치부(71)는 박스 메인부(70)의 전단부로부터 편측 지지 형상으로 연장되고, 전장품 배치부(71)의 하측에는 상기 개방 공간 S1이 존재하여, 전장품 배치부(71)의 하측에 전방 시야를 차단하는 것이 존재하고 있지 않으므로, 운전 좌석(50)측으로부터 전장품 배치부(71)의 하측을 통해 운전 캐빈(5)의 전방측의 측부 하방을 육안으로 보기 쉬운 것이다.
상기 박스 메인부(70)에서는, 운전 좌석(50)으로부터 먼 측의 외측 부분(70A)에, 기계적 연계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각종 관련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연계되는 주행용 주변속 레버(72)나 부변속 레버(73) 등의 각종 레버류를 배치하고 있고, 그 외측 부분(70A)보다도 운전 좌석(50)에 가까운 측의 내측 부분(70B)에, 기계적 연계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전기적으로 각종 관련 기기와 접속되는 각종 스위치 조작구(74)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8,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외측 부분(70A)은 운전 캐빈(5)의 바닥판(51)으로부터 기립 설치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지만, 상기 내측 부분(70B)은, 외측 부분(70A)의 상부로부터 운전 좌석(50)측으로 돌출되도록 팽출 형성되어 있고, 그 내측 부분(70B)의 하방측에는, 상기 운전 좌석(5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오목 공간 S2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외측 부분(70A)에 설치되는 주변속 레버(72)나 부변속 레버(73) 등의 각종 레버류는, 도 5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파지부 부근이, 운전 캐빈(5)의 좌측면 개소의 좌측 횡측벽(56), 혹은 횡측창(56a)으로부터 이격되어 운전 좌석(50)이 존재하는 측으로 근접하도록 경사져 있다.
즉, 상기 외측 부분(70A)의 상면의 레버 가이드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된 주변속 레버(72)의 레버 베이스부가 전방 우측으로 굴곡되고, 상기 외측 부분(70A)의 상면의 레버 가이드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된 부변속 레버(73) 등의 레버 베이스부가 운전 좌석(50)측으로 굴곡되어 있다.
상기 내측 부분(70B)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기체 전방측의 전단부(76)가, 상기 외측 부분(70A)과, 이것에 접속되는 전장품 배치부(71)의 접속 개소(75)보다도 기체 후방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측 부분(70B)의 전단부(76)는, 운전 좌석(50)측일수록 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내측 부분(70B)의 전단부(76)와 상기 전장품 배치부(71)의 내향의 측부 모서리와의 사이에서, 전장품 배치부(71)와 박스 메인부(70)의 접속 개소(75)를 포함하여 그 전후에 위치하는 캐빈 실내측의 측부 모서리 부분에, 평면에서 볼 때 운전 좌석(5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형상의 오목부 S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장품 배치부(71)와 박스 메인부(70)의 접속 개소(75)를 포함하는 위치의 캐빈 실내측의 측부 모서리 부분에 오목부 S3이 형성됨으로써, 전장품 배치부(71)나 박스 메인부(70)보다도 높은 위치인 운전 좌석(50)에 앉아 있는 조종자의 시점에서, 운전 캐빈(5)의 전방측의 측부 하방을 더욱 육안으로 확인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 S3이 형성된 개소와 평면에서 볼 때 겹쳐지는 운전 캐빈(5)의 바닥면(5A) 상에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차 브레이크 페달(84)이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운전 좌석(50)에 앉는 조종자가 주차 브레이크 페달(84)을 답입(stepping)할 때에, 운전 좌석(50)의 시트면(50a)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는 사이드 패널 박스(7)의 존재에 의해 방해되는 일 없이, 상기 오목부 S3에 다리부를 들어가게 한 상태에서 주차 브레이크 페달(84)을 답입 조작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보통형 콤바인에서는, 프론트 글래스(54)가 단순한 편평 글래스가 아닌, 수평면에 대해 하방측 부분보다도 상방측 부분에서의 경사 각도가 큰 경사면을 가진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운전 캐빈(5)의 실내측으로부터 전방 하방의 내려다봄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운전 캐빈(5) 내에서 운전 좌석(50)의 좌측에 배치되는 사이드 패널 박스(7)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전장품 배치부(71)와 운전 캐빈(5)의 바닥면(5A) 사이에 개방 공간 S1을 형성하여,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 좌석(50)으로부터 좌우 방향의 시야 β1을, 상기 개방 공간 S1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의 시야 β2에 비해 넓게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취 반송 장치(4)의 예취부(41)에 있어서의 우측 단부(이미 예취된 측)에서, 운전 캐빈(5)과 예취부(41) 사이로부터 예취 반송 장치(4)의 통과 후에 있어서의 지면의 잔류의 유무를 보기 위한 하나의 체크 포인트 CP1 및 예취부(41)로부터 피더(40)로의 이어받음 개소에서의 이어받음 상태가 양호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다른 체크 포인트 CP2에서의 육안 확인을 행하기 쉬워진 것이다.
〔제1 실시 형태의 다른 형태 1〕
프론트 글래스(54)는,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의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축선 주위에서의 곡률을 가진 복곡면에 의해 구성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수평 방향의 축선 주위에서의 곡률을 가진 단곡면으로 구성된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 운전 캐빈(5)의 바닥면(5A)의 전단부 모서리는 직선 형상이 되지만, 기체 전방측의 좌우 한 쌍의 지지 기둥(52a, 52b)(프론트 필러에 상당함)은, 프론트 글래스(54)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 모서리 형상을 따라, 측면에서 볼 때 수평면에 대한 하방측 부분의 경사 각도 θ1보다도 상방측 부분에서의 경사 각도 θ2가 커지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하면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의 것과 마찬가지이다.
〔제1 실시 형태의 다른 형태 2〕
프론트 글래스(54)는,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의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축선 주위에서의 곡률을 가진 복곡면에 의해 구성된 것, 혹은 단곡면으로 형성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측면에서 볼 때 수평면에 대한 하방측 부분의 경사 각도 θ1보다도 상방측 부분에서의 경사 각도 θ2가 큰 굴절형 형상으로 되도록, 복수의 편평 글래스를 조합하여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도, 운전 캐빈(5)의 바닥면(5A)의 전단부 모서리는 직선 형상으로 되지만, 기체 전방측의 좌우 한 쌍의 지지 기둥(52a, 52b)(프론트 필러에 상당함)은, 프론트 글래스(54)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 모서리 형상을 따라, 측면에서 볼 때 수평면에 대한 하방측 부분의 경사 각도 θ1보다도 상방측 부분에서의 경사 각도 θ2가 커지도록 굴절된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하면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의 것과 마찬가지이다.
〔제1 실시 형태의 다른 형태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프론트 글래스(54)를 지붕부(53)로부터 바닥면(5A)에 달하는 범위로 설정한 것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프론트 글래스(54)의 하단부가 운전 좌석(50)의 시트면(50a)보다도 하측이고 상기 바닥면(5A)보다도 높은 위치에까지 달하는 범위로 해도 된다.
이 경우, 프론트 글래스(54)의 하단부가 바닥면(5A)에 달하는 범위까지 설치한 것에 비하면 운전 캐빈(5)의 전방 하방측의 시야는 좁아지지만, 프론트 글래스(54)가 단순한 편평 글래스가 아닌, 측면에서 볼 때 수평면에 대한 하방측 부분의 경사 각도 θ1보다도 상방측 부분에서의 경사 각도 θ2가 커지는 경사를 가진 것임으로써, 운전 좌석(50)을 운전 캐빈(5) 내에서 상당히 전방측으로 배치할 수 있는 것이므로, 프론트 글래스(54)가 착석한 조종자의 허리부 부근까지밖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구조인 것에 비해, 운전 캐빈(5)의 전방 하방측의 시야를 상당히 크게 확보하여, 운전 캐빈(5)의 직전의 하방에 가까운 측까지 조종자는 시선을 떨어뜨릴 수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의 것과 마찬가지이다.
〔제1 실시 형태의 다른 형태 4〕
운전 캐빈(5) 내에 배치되는 발판부(51b)로서는,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면(5A) 상에 별도 발판용 부재를 장착한 구조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 캐빈(5)의 바닥면(5A)의 전단부에, 전방 상향으로 경사진 부분을 설치함으로써 발판부(51b)를 형성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의 것과 마찬가지이다.
〔제1 실시 형태의 다른 형태 5〕
조종부를 구성하는 사이드 패널 박스(7)의 전장품 배치부(71)는,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프론트 글래스(54)의 배면을 따르도록 굴곡 형성되고, 연장 단부측이 운전 좌석(50)의 전방측(경사 우측 전방측)을 향하도록 굴곡된 형상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이드 패널 박스(7)의 전장품 배치부(71)는 박스 메인부(70)의 전방측에 직선적으로 연장된 구조의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 전장품 배치부(71)와 박스 메인부(70)의 접속 개소(75)를 포함하는 위치의 캐빈 실내측의 측부 모서리 부분에는, 평면에서 볼 때 운전 좌석(5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형상의 오목부 S3은 형성되지 않게 되지만, 운전 좌석(50)에 가까운 측에서 각종 스위치 조작구(74)가 배치되어 있는 내측 부분(70B)의 전단부(76)가 전장품 배치부(71)와 박스 메인부(70)의 접속 개소(75)보다도 기체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운전 캐빈(5)의 전방측에 있어서의 측부 하방을 내려다보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주차 브레이크 페달(84)을, 운전 좌석(50)에 가까운 측에서 각종 스위치 조작구(74)가 배치되어 있는 내측 부분(70B)의 전단부(76)보다도 전방측에 배치함으로써, 시트면(50a)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는 사이드 패널 박스(7)의 존재에 의해 방해되는 일 없이 주차 브레이크 페달(84)을 답입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장품 배치부(71)가 좌우 방향을 향한 계기 표시부(71a)를 구비하여 상기 박스 메인부(70)의 전단부로부터 운전 좌석(50)의 전방측으로 연장되어, 박스 메인부(70)와 전장품 배치부(71)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이 L자 형상으로 굴곡된 형상이 되도록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의 것과 마찬가지이다.
〔제1 실시 형태의 다른 형태 6〕
조종부를 구성하는 사이드 패널 박스(7)는,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장품 배치부(71)와 박스 메인부(70)의 접속 개소(75)를 포함하는 위치의 캐빈 실내측의 측부 모서리 부분에, 평면에서 볼 때 운전 좌석(5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형상의 오목부 S3을 형성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접속 개소(75)로부터 전방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사이드 패널 박스(7)의 전장품 배치부(71)측에, 평면에서 볼 때 운전 좌석(5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형상의 오목부 S3을 형성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의 것과 마찬가지이다.
〔제1 실시 형태의 다른 형태 7〕
조작 박스(6)는,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 전방측의 우측 전방측의 지지 기둥(52a)(프론트 필러에 상당함)에 지지시킨 구조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운전 캐빈(5)의 바닥면(5A)으로부터 상기 우측 전방측의 지지 기둥(52a) 부근에 지지 다리를 기립 설치하여, 그 지지 다리에 조작 박스(6)를 지지시키도록 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의 것과 마찬가지이다.
〔제1 실시 형태의 다른 형태 8〕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박스(6)의 박스 본체(60)의 형상으로서, 평면에서 볼 때 박스 본체(60)의 전방측에, 운전 캐빈(5)의 좌우 방향에서의 단부측일수록 전방 부근이고 운전 캐빈(5)의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측일수록 후방 부근이 되도록 경사진 전방면(60a)을 구비하고, 후방측에도, 평면에서 볼 때 운전 캐빈(5)의 좌우 방향에서의 단부측일수록 전방 부근이고 운전 캐빈(5)의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측일수록 후방 부근이 되도록 경사진 후방면(60b)을 구비한 것을 나타냈지만, 이러한 형상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경사진 전방면(60a)만을 구비한 것, 혹은 상기 경사진 후방면(60b)만을 구비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경사진 전방면(60a)으로서, 박스 본체(60)의 전방측의 전체를 경사지게 한 구조의 것을 나타내고, 상기 경사진 후방면(60b)으로서, 박스 본체(60)의 후방측의 일부만을 경사지게 한 구조의 것을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경사진 전방면(60a)으로서, 박스 본체(60)의 전방측의 일부만을 경사지게 하거나, 상기 경사진 후방면(60b)으로서, 박스 본체(60)의 후방측의 전체를 경사지게 한 구조의 것이라도 좋다.
이러한 경사진 전방면(60a)이나 경사진 후방면(60b)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단순한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박스 본체(60)를 사용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의 것과 마찬가지이다.
〔제1 실시 형태의 다른 형태 9〕
운전 캐빈(5)의 승강용 도어(55)는,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 후방측의 힌지(55a)를 요동 지지점으로 하여 개폐 작동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기 힌지(55a)를 우측 전방측의 지지 기둥(52a)에 설치하여, 기체 전방측의 요동 지지점 주위로 개폐 작동하도록 구성된 것이라도 좋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의 것과 마찬가지이다.
〔제1 실시 형태의 다른 형태 10〕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승강용 도어(55)에 설치한 도어 창(55e)이나, 운전 캐빈(5)의 좌측면 개소에 설치한 횡측창(56a)이나, 운전 캐빈(5)의 후방측면 개소에 설치한 후방 창(58a)을, 각각 한 쌍의 투명 유리제의 미닫이 도어로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개폐 가능한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수평 방향으로 요동 개폐 가능, 혹은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구조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의 것과 마찬가지이다.
〔제1 실시 형태의 다른 형태 11〕
승강용 도어(55)의 도어 내면측에 설치한 내측 파지 부재(55f)로서는,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직선 형상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 좌석(50)의 부근 위치에서 운전 좌석(50)측에 근접하도록 굴곡된 부분을 구비하고, 그 운전 좌석(50)측에 근접하도록 굴곡된 부분에, 쿠션재로서의 아암 레스트(50d)를 장비시켜, 팔걸이로서 이용하기 쉽게 구성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의 것과 마찬가지이다.
〔제1 실시 형태의 다른 형태 12〕
스티어링 레버(61)의 장착 위치로서는,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운전 캐빈(5)의 전방부의 횡일측부에 설치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 좌석(50)의 횡측 위치에 설치되는 아암 레스트(50d)에 장비시킨 것이라도 좋다.
즉, 상기 아암 레스트(50d)는, 운전 좌석(50)의 시트 백(50b)의 우측 횡측부에 대해 횡축(50e)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고, 이 아암 레스트(50d)의 선단부에 조작 박스(6)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아암 레스트(50d)는, 그 아암 레스트(50d)의 상면이 대략 수평하게 되는 사용 자세이며 스토퍼(50f)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된 팔걸이 가능한 사용 자세로 된다.
상기 아암 레스트(50d)의 유격 단부측을 상기 횡축(50e) 주위로 상방측으로 들어올리면, 도 18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암 레스트(50d)는 스토퍼(50f)와 함께 운전 좌석(50)의 후방측으로 위치 변경된 비사용 자세가 되어, 운전 캐빈(5)에 대한 조종자의 승강에 방해가 되지 않는 개소에 위치한 상태로 된다.
상기 아암 레스트(50d)에 장착되는 조작 박스(6)는, 전술한 실시 형태의 것과 마찬가지로, 박스 본체(60)의 상면측에 스티어링 레버(61), 콤비네이션 스위치(62) 및 키 스위치(63)가 장비되어 있다. 그리고 박스 본체(60)의 상면은 아암 레스트(50d)의 상면보다도 약간 낮게 위치하고, 상기 스티어링 레버(61)의 파지부가 아암 레스트(50d)의 상면보다도 약간 높게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어, 조종자가 아암 레스트(50d)에 팔꿈치를 걸친 상태에서, 상기 스티어링 레버(61)의 조작 및 콤비네이션 스위치(62)의 조작을 행하기 쉽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아암 레스트(50d)를, 운전 좌석(50)의 전방부로부터 이격된 개소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횡축(50e) 주위에서의 상하 요동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구성해도 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아암 레스트(50d) 전체를 운전 좌석(50)의 시트 백(50b)에 대해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아암 레스트(50d) 자체를 신축 가능한 구조로 하여, 유격 단부측의 조작 박스(6)와 함께 전후 이동시키거나, 혹은 아암 레스트(50d)의 후단부측을 상하 방향의 요동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아암 레스트(50d)의 전단부측을 운전 좌석(50)의 전방부에 대해 횡외측으로 이행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아암 레스트(50d)는, 운전 좌석(50)의 시트 백(50b)에 대해 지지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운전 좌석(50)의 시트면(50a)을 구성하는 시트에 지지된 것, 혹은 운전 좌석(50) 부근의 바닥 부분에 지지된 것이라도 좋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의 것과 마찬가지이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도 19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서,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콤바인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이 보통형(전간 투입형) 콤바인에 적용되어 있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통형 콤바인은, 주행 차체(101)의 주행에 수반하여 수확 대상인 곡물대를 예취하여 반송하는 예취 반송 장치(102)를 주행 차체(101)로부터 전방을 향해 승강 요동 가능하게 연장시킨 상태에서 장비하고, 예취 반송 장치(102)로부터의 예취 곡물대에 훑기 처리를 실시하고, 훑기 처리에 의해 얻은 처리물에 선별 처리를 실시하는 탈곡 장치(103)를 주행 차체(101)의 좌반부에 탑재하고, 탈곡 장치(103)에서의 훑기 처리 및 선별 처리에 의해 얻은 단립화 곡립을 저류하여 벼 포대에의 채워 넣음을 가능하게 하는 포대 채움 장치(104)를 주행 차체(101)의 우반부에 탑재하여 구성하고 있다.
주행 차체(101)는, 차체 프레임(105)의 하부에 좌우 한 쌍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106)를 장비하고, 차체 프레임(105)의 전방부 우측 영역에 탑승 운전부(107)를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예취 반송 장치(102)는, 주행 차체(101)의 주행에 수반하여, 그 전방부의 좌우 양단부에 배치한 디바이더(108)에 의해 미예취 곡물대를 수확 대상인 곡물대와 수확 대상이 아닌 곡물대로 나누고, 예취 반송 장치(102)의 전방부 상방에 배치한 회전 릴(109)에 의해 수확 대상 곡물대의 이삭 끝측을 후방으로 긁어내어, 예취 반송 장치(102)의 저부에 장비한 클리퍼형 절단 기구(110)에 의해 수확 대상 곡물대의 밑동측을 절단하여 수확 대상 곡물대를 도입한다. 그리고 도입한 수확 대상 곡물대인 예취 곡물대를, 절단 기구(110)의 후방에 배치한 스크류 반송식 오거(111)에 의해 좌우 방향의 소정 개소에 모아 후방으로 송출하고, 그 소정 개소로부터 탈곡 장치(103)에 걸치도록 가설한 긁어올림 반송식 피더(12)에 의해 탈곡 장치(103)에 공급 반송한다.
예취 반송 장치(102)의 승강 요동은, 차체 프레임(105)과 피더(12)에 걸쳐 가설한 유압식 승강 실린더(113)의 신축 작동에 의해, 예취 반송 장치(102)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103)와의 접속 단부가 되는 피더(112)의 후단부에 배치한 좌우 방향의 피더 구동축(114)을 지지점으로 하여 행한다.
도 21 내지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103)는, 차체 프레임(105)에 연결하는 탈곡 프레임(115)을 상하로 2 분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탈곡 프레임(115)의 상측 프레임부(115A)에는, 피더(112)가 공급하는 예취 곡물대에 훑기 처리를 실시하는 탈곡부(103A)를 구비하고 있다. 탈곡 프레임(115)의 하측 프레임부(115B)에는, 탈곡부(103A)에서의 훑기 처리에 의해 얻은 선별 대상 처리물에 선별 처리를 실시하는 선별부(103B) 및 그 선별 처리에 의해 얻은 회수 대상 처리물을 회수하는 회수부(103C)를 구비하고 있다.
탈곡부(103A)는, 상측 프레임부(115A)에 전후 방향에서 볼 때 U자 형상의 수망(116) 등을 장비하여 형성한 급실(117)에, 전후 방향의 급동축(118)을 중심으로 정면에서 볼 때 우측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예취 반송 장치(102)로부터의 예취 곡물대에 훑기 처리를 실시하는 바 타입의 급동(119)을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선별부(103B)는, 수망(116)으로부터 누하된 처리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면서 요동 선별하는 요동 선별 수단(120), 요동 선별 수단(120)에 정밀 선별용 선별풍을 공급하는 풍구(winnowing fan)(121), 요동 선별 수단(120)에 대략 선별용 선별풍을 공급하는 부 풍구(auxiliary winnowing fan)(122) 및 요동 선별 수단(120)에 2번물 선별용 선별풍을 공급하는 2번 풍구(secondary winnowing fan)(123) 등을 탈곡부(103A)의 하방에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회수부(103C)는, 요동 선별 수단(120)의 하방에, 요동 선별 수단(120)의 전방부측으로부터 누하되어 풍구(121)로부터의 선별풍을 받으면서 유하하는 단립화 곡립을 1번물로서 회수하는 1번 회수부(124)와, 요동 선별 수단(120)의 후방부측으로부터 누하되어 2번 풍구(123)로부터의 선별풍을 받으면서 유하하는 지경(枝梗)이 붙어 있는 곡립이나 2갈래립 등을 2번물로서 회수하는 2번 회수부(125)를, 그 순서로 전후로 배열되도록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탈곡부(103A)에 있어서, 급실(117)은, 급동(119)을 하방으로부터 덮는 수망(116), 급동(119)의 상부를 개폐 가능하게 상방으로부터 덮는 상부 커버(126), 급동축(118)의 전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측 종판 부재(127), 급동축(118)의 후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방측 종판 부재(128) 및 피더(112)로부터의 예취 곡물대를 수망(116)으로 안내하는 안내면(129A)을 피더(112)의 후단부로부터 수망(116)의 전단부에 걸치는 후방 상향 경사 자세로 구비한 곡물대 안내판(129) 등에 의해 구획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측 종판 부재(127)와 곡물대 안내판(129) 사이에, 피더(112)가 긁어 올림 반송한 예취 곡물대의 급실(117)에의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공급구(1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망(116)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판 형상의 후방측 지지 부재(131)와 후방측 종판 부재(128) 사이에, 훑기 처리 후의 예취 곡물대인 탈립 곡물대 등의 배출물의 급실(117)로부터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탈립 곡물대 배출구(132)가 형성되어 있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동(119)은, 급동(119)의 전단부를 형성하는 긁어모음부(133)와 급동(119)의 후방부측을 형성하는 훑기 처리부(134)를, 그들이 전후로 연속되는 상태에서 급동축(118)을 중심으로 정면에서 볼 때 우측 방향으로 일체 회전하도록 급동축(118)에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긁어모음부(133)는, 앞이 가느다란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 몸통 부분(135)의 외주면에 긁어모음 반송용 2매의 나선 날개(136)를 장비하여, 급동축(118)을 중심으로 정면에서 볼 때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곡물대 안내판(129)이 안내하는 피더(112)로부터의 예취 곡물대 전체를, 2매의 나선 날개(136)에 의해 후방의 수망(116)이나 상부 커버(126)와 훑기 처리부(134)와의 사이의 훑기 처리 공간 s1로 긁어 넣는 스크류 반송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긁어 모음부(133)로서는, 몸통 부분(135)에 나선 날개(136) 대신에 정소치(整梳齒)나 급치 등의 다른 긁어모음 부재를 구비한 것이라도 좋다.
훑기 처리부(134)는, 그 전단부 또는 후단부를 형성하는 원반 형상의 지지판(137, 138)을, 전단부용 지지판(137)이 긁어모음부(133)의 후단부에 연접하고, 후단부용 지지판(138)이 후방측 종판 부재(128)의 직전에 위치하도록 급동축(118)에 장비되어 있다. 또한, 원반 형상의 구획판(139)을, 훑기 처리부(134)의 전후 중간 부위가 되는 전후의 지지판(137, 138)의 중간 또는 대략 중간에 위치하도록 급동축(118)에 장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지지판(137, 138) 및 구획판(139)의 각 외주부에, 전후의 지지판(137, 138)에 걸치는 길이를 갖는 복수(예를 들어, 6개)의 막대 형상 부재(140)를, 급동축(118)을 따르는 전후 방향 자세로 급동축(118)으로부터 등거리의 위치에 급동(119)의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되도록 연결하고, 또한 각 막대 형상 부재(140)에, 복수의 급치(141)를 막대 형상 부재(140)로부터 급동(119)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자세로 전후 방향으로 설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급실(117)의 내부에 급실(117)에 연통되는 내부 공간 S2가 형성된 바 타입 처리동을 구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훑기 처리부(134)는 급동축(118)을 중심으로 정면에서 볼 때 우측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수망(116)이나 상부 커버(126)와의 사이의 훑기 처리 공간 S1에 위치하는 예취 곡물대에 급치(141)의 타격이나 급치(141)의 빗기 등에 의한 훑기 처리를 실시하고, 이 훑기 처리에 의해 얻은 처리물의 내부 공간 S2에의 들어감을 허용하고, 훑기 처리 공간 S1의 처리물과 내부 공간 S2의 처리물을 교반하면서, 이들 처리물에 막대 형상 부재(140) 및 급치(141)의 타격이나 급치(141)의 빗기 등에 의한 훑기 처리를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훑기 처리부(134)의 내부 공간 S2를 훑기 처리용 처리 공간으로 사용함으로써, 대량의 예취 곡물대를 급실(117)에 공급한 경우라도, 처리 공간에서의 처리물의 체류나 처리 공간의 포화를 회피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처리물의 체류나 처리 공간의 포화에 기인하여 충분한 훑기 처리가 행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처리물이 수망(116)으로부터 누하되거나, 혹은 훑기 처리에 필요로 하는 부하가 증대되어 급동(119)에 대한 전동계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구획판(139)은, 훑기 처리부(134)에 형성된 내부 공간 S2의 상측 부분을 후방측으로부터 폐색하도록 급동축(118)을 중심으로 하여 배치한 원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탈곡 처리물량이 감소하는 훑기 처리부(134)의 전후 중간 부위에 있어서는, 구획판(139)이, 훑기 처리부(134)의 내부 공간 S2에서의 탈곡 처리물의 탈곡 처리 방향 하측으로의 유동을 저지하고, 훑기 처리부(134)의 회전과 함께 탈곡 처리물을 훑기 처리부(134)의 주위로 유도하여, 탈곡 처리물에 대한 급치(141) 등의 타격이나 빗기 등에 의한 탈곡이나 단립화 곡립의 수망(116)으로부터의 누하를 촉진시키게 되므로, 탈곡 처리물에 포함되는 단립화 곡립이나 미탈립 곡물대 등이 훑기 처리부(134)의 내부 공간 s2를 지나, 탈립 곡물대와 함께 탈곡 처리 방향 하측 단부의 탈립 곡물대 배출구(132)로부터 배출되는 것에 기인한 3번 로스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급치(141)뿐만 아니라 복수의 막대 형상 부재(140)까지도, 급실 내의 처리물에 작용하는 훑기 처리 부재로서 기능하므로, 탈곡 성능이나 탈곡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막대 형상 부재(140)에는, 둥근 파이프 강재, 사각 파이프 강재, 둥근 막대 강재, 사각 막대 강재, 앵글재, 또는 채널재 등을 채용할 수 있다. 각 급치(141)에는, 둥근 막대 강재, 사각 막대 강재, 둥근 파이프 강재, 또는 사각 파이프 강재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상부 커버(126)의 내부에는, 급동(119)이 급동축(118)을 중심으로 정면에서 볼 때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데 수반하여 급실(117)의 상부로 이동한 예취 곡물대나 처리물을 차체 후방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송진 밸브(142)를, 전후 방향으로 설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동 선별 수단(120)은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그 후방 하부에 구비한 편심 캠식의 요동 구동 기구(143)의 작동에 의해 전후 요동하는 시브 케이스(144)를 구비하고, 그 시브 케이스(144)의 상부에, 대략 선별용 그레인 팬(145)과 대략 선별체(146)[이하, 채프 시브(146)라고도 칭함]와 스트로우 랙(147)을, 그 순서로 시브 케이스(144)의 전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속되도록 배치하고, 시브 케이스(144)의 하부에, 정밀 선별용 그레인 팬(148)과 그레인 시브(149)를 그 순서로 전후로 연접 배치하고, 또한 그레인 시브(149)의 후방에 그레인 시브(149)와 연속되도록 2번물 선별용 2번 선별체(150)[이하, 2번 채프 시브(150)라고도 칭함]를 배치하고 있다.
대략 선별용 그레인 팬(145)은, 종단 측면 형상이 톱날 형상으로 되도록 굴곡 형성된 판금재로 구성되어 있고, 그 상면이 부 풍구(122)의 부 풍구축(153)보다도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시브 케이스(144)와 함께 전후 요동함으로써, 수망(116)의 전단부로부터 누하되어 그레인 팬(145)에 퇴적하는 곡립 함유율이 높은 처리물을 비중차 선별하여 비중이 작은 곡물대 부스러기 등의 진애와 비중이 큰 곡립으로 상하로 층 분리하면서 후방의 대략 선별체(146)로 이송한다. 이에 의해, 대략 선별체(146)에서의 곡립의 누하를 촉진시킬 수 있다.
대략 선별체(146)에는, 복수의 채프립판(146A)을 좌우 방향의 자세로 전후 방향으로 설정 간격을 두고 정렬 배치하여 구성한 채프 시브(146)를 채용하고 있다. 채프 시브(146)는, 시브 케이스(144)와 함께 전후 요동함으로써, 수망(116)의 전방부측 및 그레인 팬(145)으로부터의 처리물에 체 선별 처리를 실시하여, 곡립 등을 채프립판(146A)의 사이로부터 누하시키면서, 채프립판(146A)의 사이로부터 누하되지 않은 처리물을 후방의 스트로우 랙(147)으로 이송한다.
또한, 채프 시브(146)로서는, 복수의 채프립판(146A)을 전후 방향으로 연동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개방도 조절 가능하게 구성한 가동식인 것이라도 좋고, 또한 복수의 채프립판(146A)을 소정의 후방 경사 자세로 고정하여 개방도 조절 불가능하게 구성한 고정식인 것이라도 좋다. 또한, 대략 선별체(146)로서, 채프 시브(146) 대신에, 단일의 평판에 복수의 누하 구멍 및 선별편을 설정 간격을 두고 정렬 형성하여 구성한 선별 플레이트를 채용해도 좋고, 또한 톱날 형상으로 형성한 복수의 랙판을 전후 방향의 자세로 좌우 방향으로 설정 간격을 두고 정렬 배치하여 구성한 스트로우 랙을 채용해도 좋다.
스트로우 랙(147)은, 톱날 형상으로 형성한 복수의 랙판(147A)을 후방 상향 경사 자세에서 후향으로 연장되는 편측 지지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설정 간격을 두고 정렬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브 케이스(144)와 함께 전후 요동함으로써, 수망(116)의 후방부측 및 대략 선별체(146)로부터의 처리물에 각 랙판(147A)의 좌우의 요동에 의한 풀기 작용을 실시하여, 곡립 등을 랙판(147A)의 사이로부터 누하시키면서, 랙판(147A)의 사이로부터 누하되지 않은 처리물을 스트로우 랙(147)의 후단부로부터 유하시킨다.
정밀 선별용 그레인 팬(148)은, 부 풍구(122)로부터의 선별풍에 의한 풍력 반송의 방해가 되기 어렵도록, 대략 선별체(146)의 전방부측의 하방에 후방 하향 경사 자세로 배치한 전체 길이에 걸쳐 요철이 없는 평탄한 평판 형상의 판금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브 케이스(144)와 함께 전후 요동함으로써, 대략 선별체(146)의 전방부측으로부터 누하되는 곡립 함유율이 높은 처리물을 그레인 시브(149)로 안내한다.
그레인 시브(149)는, 대략 선별체(146)의 후방부측의 하방에 후방 상향 경사 자세로 배치한 크림프망 또는 수지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브 케이스(144)와 함께 전후 요동함으로써, 대략 선별체(146) 및 정밀 선별용 그레인 팬(148)으로부터의 곡립 함유율이 높은 처리물에 체 선별 처리를 실시하여, 단립화 곡립을 1번물로서 누하시키면서, 누하되지 않는 지경이 붙어 있는 곡립이나 2갈래립 등을 2번물로서 부스러기 등과 함께 후방의 2번 선별체(150)로 이송한다.
2번 선별체(150)에는, 복수의 채프립판(150A)을 좌우 방향의 자세로 전후 방향으로 설정 간격을 두고 정렬 배치하여 구성한 2번 채프 시브(150)를 채용하고 있다. 2번 채프 시브(150)는, 그 후단부가 시브 케이스(144)의 후방 종벽(144A)에 근접하도록 후방 상향의 경사 자세로 시브 케이스(144)의 후방부에 배치되어 있고, 시브 케이스(144)와 함께 전후 요동함으로써, 수망(116)의 후단부, 스트로우 랙(147) 및 그레인 시브(149)로부터의 처리물에 체 선별 처리를 실시하여, 지경이 붙어 있는 곡립이나 2갈래립 등을 2번물로서 채프립판(150A)의 사이로부터 누하시키면서, 채프립판(150A)의 사이로부터 누하되지 않는 긴 부스러기 등의 처리물을 시브 케이스(144)의 후방으로 이송한다.
그레인 시브(149)와 2번 채프 시브(150)는 측면에서 볼 때 전후로 일직선상에 배열되도록 배치되고, 채프 시브(146)와 2번 채프 시브(150)는 2번 채프 시브(150)의 전단부가 채프 시브(146)의 후단부보다도 낮은 배치 높이로 되도록 단차를 부여한 상태에서 전후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2번 채프 시브(150)로서는, 복수의 채프립판(150A)을 전후 방향으로 연동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개방도 조절 가능하게 구성한 가동식인 것이라도 좋고, 또한 복수의 채프립판(150A)을 소정의 후방 경사 자세로 고정하여 개방도 조절 불가능하게 구성한 고정식인 것이라도 좋다.
풍구(121)는, 요동 선별 수단(120)의 전방 하방에 배치되어 있고, 좌우 방향의 풍구축(151)를 중심으로 좌측면에서 볼 때 좌측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선별풍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이 선별풍을, 풍구 케이스(152)의 후방 하부에 형성된 분출구(152A)로부터, 후방 상방의 그레인 시브(149)와 1번 회수부(124)의 사이, 그레인 시브(149)의 전체 영역 및 그레인 시브(149)와 2번 채프 시브(150)의 사이를 지나가는 정밀 선별용으로서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풍구(121)의 분출구(152A)에는, 풍구(121)로부터의 선별풍을, 그레인 시브(149) 및 그레인 시브(149)의 저면 부근을 지나가는 상층풍과, 1번 회수부(124)의 상방 근방을 지나가는 하층풍으로 나누는 풍향판(152B)을 배치하고 있다. 풍향판(152B)은, 상층풍의 유속을 높이기 위한 좁힘면(152Ba)을 상부에 구비하고, 하층풍의 분출 방향을 수평 또는 수평 부근으로 수정하는 풍향부(152Bb)를 후단부로부터 후방 하방으로 연장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풍구(121)로부터의 선별풍을, 그레인 시브(149)로부터 누하되어 1번 회수부(124)로 유하하는 처리물 및 그레인 시브(149)에 의한 체 선별 중인 처리물에 전방 하방으로부터 작용시켜, 그들 처리물로부터 비중이 작은 곡물대 부스러기 등의 진애를 여기저기 흩어지게 하여 후방 상방으로 풍력 반송하는 풍력 선별을 행할 수 있어, 이 풍력 선별에 의해, 곡물대 부스러기 등의 진애의 1번 회수부(124)에의 혼입을 방지하면서 그레인 시브(149)로부터 누하되는 단립화 곡립을 1번 회수부(124)로 회수하는 1번 회수 처리를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특히, 그레인 시브(149)로부터 누하된 직후의 처리물에는, 유속을 높인 상층풍이 작용함으로써, 비교적 큰 곡물대 부스러기 등을 효율적으로 풍력 선별할 수 있고, 비교적 큰 곡물대 부스러기 등이 제거되어 1번 회수부(124)의 부근까지 유하된 처리물에는, 1번 회수부(124)의 상방 근방을 수평 또는 대략 수평하게 지나가는 하층풍이 작용함으로써, 이 처리물에 잔류하는 비교적 작은 곡물대 부스러기 등을 고정밀도로 풍력 선별할 수 있다.
부 풍구(122)는, 급동(119)의 긁어모음부(133)를 하방으로부터 덮도록 배치한 곡물대 안내판(129)과 상기 풍구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요동 선별 수단(120)보다도 전방측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고, 좌우 방향의 부 풍구축(153)을 중심으로 좌측면에서 볼 때 좌측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선별풍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이 선별풍을, 부 풍구 케이스(154)의 후방 하부에 형성된 분출구(154A)로부터, 대략 선별용 그레인 팬(145)의 저면에 구비된 후방 하향 경사 자세의 상측 풍향판(155)과 정밀 선별용 그레인 팬(148)으로부터 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하측 풍향판(156)의 사이, 채프 시브(146)와 정밀 선별용 그레인 팬(148) 및 그레인 시브(149)의 사이 및 스트로우 랙(147)과 2번 채프 시브(150)의 사이를 지나가는 대략 선별용으로서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부 풍구(122)의 측면에서 볼 때의 외경(회전 직경)은 풍구(121)의 측면에서 볼 때의 외경(회전 직경)의 1/2(또는 대략 1/2)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부 풍구(122)로부터의 선별풍을, 상측 풍향판(155)과 하측 풍향판(156) 사이의 후방이 좁은 공간을 통과시켜 유속을 높인 상태에서, 채프 시브(146)를 누하하여 정밀 선별용 그레인 팬(148) 및 그레인 시브(149)로 유하하는 처리물이나, 수망(116)의 후단부 및 스트로우 랙(147)으로부터 유하하는 처리물에 효과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고, 그 결과 그들 처리물로부터 비중이 작은 곡물대 부스러기 등의 진애를 여기저기 흩어지게 하여 후방 상방으로 풍력 반송하는 풍력 선별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고, 이 풍력 선별에 의해, 곡물대 부스러기 등의 진애의 그레인 시브(149)나 2번 채프 시브(150)로의 유하를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어, 그레인 시브(149) 및 2번 채프 시브(150)에서의 선별 효율이나 선별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부 풍구(122)로부터의 선별풍이 채프 시브(146)의 채프립판(146A)의 사이를 통과하기 어려워지므로, 부 풍구(122)로부터의 선별풍이 채프 시브(146)의 채프립판(146A) 사이를 급격하게 통과하는 것에 기인하여 채프 시브(146)로부터의 누하가 억제되어 후방의 스트로우 랙(147)으로 이송되는 처리물이 증가하는 것에 의한 선별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2번 풍구(123)는, 2번 채프 시브(150)의 전방 하방에 있어서의 1번 회수부(124)와 2번 회수부(125)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좌우 방향의 2번 풍구축(157)을 중심으로 좌측면에서 볼 때 좌측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선별풍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이 선별풍을, 2번 풍구 케이스(158)의 후방 상부에 형성된 분출구(158A)로부터, 2번 채프 시브(150)의 하방을 통과하여 2번 채프 시브(150)의 후단부로부터 후방 상방으로 지나가는 2번 선별용으로서, 요동 선별 수단(120)의 후방 종벽인 시브 케이스(144)의 후방 종벽(144A)을 향해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분출구(158A)는, 그 분출 방향 하측의 단부가 2번 채프 시브(150)의 전단부와 전후 방향에서 일치 또는 대략 일치하도록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그 상측 및 하측의 안내면이 분출 방향 하측일수록 상하 간격이 좁아지는 끝이 좁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분출구(158A)의 상측의 안내면은, 측면에서 볼 때 역V자 형상으로 굴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2번 풍구(123)로부터의 선별풍을 끝이 좁은 형상의 분출구(158A)에 의해 유속을 향상시킨 상태에서 2번 채프 시브(150)의 전단부 부근으로부터 분출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2번 풍구(123)로부터의 선별풍을 2번 채프 시브(150)를 누하하여 2번 회수부(125)로 유하하는 처리물에 효과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고, 그 결과, 그 처리물로부터 비중이 작은 곡물대 부스러기 등의 진애를 여기저기 흩어지게 하여, 채프립판(150A)과의 걸림에 의해 2번 채프 시브(150)의 후단부 상에 체류하는 긴 곡물대 부스러기 등과 함께, 2번 채프 시브(150)의 후단부로부터 후방 상방으로 풍력 반송하는 풍력 선별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고, 이 풍력 선별에 의해, 곡물대 부스러기 등의 진애의 2번 회수부(125)에의 혼입을 방지하면서 2번 채프 시브(150)로부터 누하하는 지경이 붙어 있는 곡립이나 2갈래립 등을 2번 회수부(125)에 회수하는 2번 회수 처리를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또한, 2번 풍구(123)로부터의 선별풍이 2번 채프 시브(150)의 전방부측에 배치된 채프립판(150A)의 사이를 통과하기 어려워지므로, 채프 시브(146)의 후단부 부근에서 합류한 풍구(121) 및 부 풍구(122)로부터의 선별풍에 영향을 미치기 어려워지는 동시에, 2번 풍구(123)로부터의 선별풍이 2번 채프 시브(150)의 전방부측의 채프립판(150A)의 사이를 세차게 통과하는 것에 기인하여 2번 채프 시브(150)의 전방부측으로부터의 누하가 억제되어 시브 케이스(144)의 후방으로 이송되는 곡립이 증가하는 것에 의한 곡립 회수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회수부(103C)에 있어서, 1번 회수부(124)는 그레인 시브(149)로부터 누하된 1번물을 저부의 1번물 반출 영역으로 유하 안내하는 측면에서 볼 때 바닥이 좁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2번 회수부(125)는, 2번 채프 시브(150)로부터 누하된 2번물을 저부의 2번물 반출 영역으로 유하 안내하는 측면에서 볼 때 바닥이 좁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2번 회수부(125)의 전방부 상방에는, 2번 풍구 케이스(158)의 분출구(158A)가 전방측으로부터 덮도록 연장되어 있다.
1번 회수부(124)의 저부에는, 좌우 방향의 1번 스크류 축(159)을 중심으로 좌측면에서 볼 때 좌측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1번 회수부(124)의 1번물 반출 영역까지 유하된 1번물을 우측으로 반송하는 1번 반송 스크류(160)를 배치하고 있다. 2번 회수부(125)의 저부에는, 좌우 방향의 2번 스크류 축(161)을 중심으로 좌측면에서 볼 때 좌측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2번 회수부(125)의 2번물 반출 영역까지 유하한 2번물을 우측으로 반송하는 2번 반송 스크류(162)를 배치하고 있다.
1번 반송 스크류(160)의 우측 단부에는, 1번 반송 스크류(160)가 반송한 1번물을 포대 채움 장치(104)의 상부로 리프팅하는 버킷식 리프팅 컨베이어(163)를 연동 연결하고 있다. 2번 반송 스크류(162)의 우측 단부에는, 2번 반송 스크류(162)가 반송한 2번물에 다시 훑기 처리를 실시하는 재처리 기구(164) 및 이 재처리 기구(164)에 의한 재처리 후의 2번물을 대략 선별용 그레인 팬(145)으로 환원 반송하는 스크류식 2번 환원 스크류(165)를 연동 연결하고 있다.
탈곡 장치(103)의 후단부 하부에는, 훑기 처리에 수반하여 곡물대 배출구(132)로부터 유출된 탈립 곡물대나 선별 처리에 의해 요동 선별 수단(120)의 후방으로 반출된 긴 곡물대 부스러기 등을 세단(細斷)하여 기기 밖으로 배출하는 초퍼(166)를 배치하고 있다. 초퍼(166)는, 탈곡 장치(103)의 후단부 하부에 연결된 곡물대 배출 커버(167)의 내부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정렬 배치한 복수의 고정날(168)에 대해, 좌우 방향의 초퍼축(169)에 그 주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정렬 장비한 복수의 회전날(170)이 초퍼축(169)을 중심으로 좌측면에서 볼 때 좌측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탈립 곡물대 등을 세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0 및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콤바인에서는, 탑승 운전부(107)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171)의 하방에 엔진(172)을 배치하고 있고, 이 엔진(172)으로부터의 동력을, 엔진(172)으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된 출력축(173)에 있어서 주행용과 작업용으로 분기되어 있다.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행용 동력은, 엔진(172)의 출력축(173)으로부터 주행용 전동 수단 A를 통해 좌우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106)로 전달된다. 주행용 전동 수단 A는, 벨트 전동식 전동 기구(174),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75) 및 트랜스미션 케이스(176)에 내장된 기어식 전동 기구(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2, 도 23 및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용 동력은, 엔진(172)의 출력축(173)으로부터 작업용 전동 수단 B를 통해 예취 반송 장치(102) 및 탈곡 장치(103)로 전달된다. 예취 반송 장치(102)에는, 엔진(172)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피구동 기기 C로서, 회전 릴(109), 절단 기구(110), 오거(111) 및 피더(112)를 구비하고 있다. 탈곡 장치(103)에는, 엔진(172)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피구동 기기 D로서, 급동(119), 요동 선별 수단(120), 풍구(121), 부 풍구(122), 2번 풍구(123), 1번 반송 스크류(160), 2번 반송 스크류(162), 리프팅 컨베이어(163), 재처리 기구(164), 2번 환원 스크류(165) 및 초퍼(166)를 구비하고 있다.
작업용 전동 수단 B는, 엔진(172)으로부터의 동력을, 엔진(172)의 출력축(173)으로부터 벨트 전동식 전동 기구(177)를 통해 풍구축(151)의 우측 단부에 감속 전달하고, 그 풍구축(151)의 전동 방향 상측의 단부로 되는 우측 단부에 있어서 고속 전동계 H와 저속 전동계 L로 분기하고 있다.
고속 전동계 H는, 풍구축(151)의 회전 동력을, 풍구축(151)의 전동 방향 하측의 단부로 되는 좌측 단부로부터 벨트 전동식 제1 전동 기구(178)를 통해 부 풍구축(153)의 좌측 단부와 2번 풍구축(157)의 좌측 단부와 중계축(179)에 증속 전달하고, 중계축(179)으로부터 벨트 전동식 제2 전동 기구(180)를 통해 초퍼축(169)의 좌측 단부에 증속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저속 전동계 L은, 풍구축(151)의 회전 동력을, 풍구축(151)의 우측 단부로부터 벨트 전동식 제1 감속 기구(181)를 통해 좌우 방향의 아이들러 축(182)의 우측 단부에 감속 전달하고, 아이들러 축(182)의 좌측 단부로부터 벨트 전동식 제2 감속 기구(183)를 통해 1번 스크류 축(159)의 좌측 단부와 2번 스크류 축(161)의 좌측 단부에 감속 전달하는 2단 감속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2번 스크류 축(161)의 회전 동력을, 벨트 전동식 제3 전동 기구(184)를 통해 요동 선별 수단(120)의 요동축(185)에 감속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작업용 전동 수단 B에서는, 엔진(172)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풍구축(151)의 우측 단부에 있어서 고속 전동계 H와 저속 전동계 L로 분기함으로써, 풍구축(151)의 좌측 단부에 있어서 고속 전동계 H와 저속 전동계 L로 분기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풍구축(151)에 가해지는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풍구(121), 부 풍구(122) 및 2번 풍구(123)를 고속 회전 구동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이들 각 풍구(121 내지 123)로부터 강한 선별풍을 발생시킬 수 있어, 그 결과 풍력 선별에 의한 선별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초퍼(166)도 고속 회전 구동시킬 수 있어, 그 결과 초퍼(166)로서 높은 세단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1번 반송 스크류(160) 및 2번 반송 스크류(162)를, 그들 스크류에 의한 곡립의 손상이 발생하기 어려운 저속으로 구동시킬 수 있어, 그 결과, 1번 반송 스크류(160) 및 2번 반송 스크류(162)에 의한 반송에 의해 곡립이 손상되는 것에 기인한 곡립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요동 선별 수단(120)을 저속으로 요동 구동시킬 수 있어, 이에 의해 요동 선별 수단(120)의 고속 요동 구동에 의해 곡립이 날리는 것에 기인한 곡립 회수 효율의 저하나 3번 손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저속 전동계 L을 2단 감속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제1 감속 기구(181) 및 제2 감속 기구(183) 등에서의 변속비를 작게 할 수 있고, 제1 감속 기구(181) 및 제2 감속 기구(183) 등에 구비하는 각 풀리(181A, 181B, 183A 내지 183C)로서 소직경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풀리(181A, 181B, 183A 내지 183C) 등의 다른 것과의 간섭을 용이하게 회피할 수 있어, 풍구축(151)으로부터 각 반송 스크류(160, 162) 등으로의 감속 전동을 행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작업용 전동 수단 B의 조립 장착성이나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작업용 전동 수단 B에는, 엔진(172)으로부터의 동력을 급동축(118)에 전달하는 급동 전동계 L1과 예취 반송 장치(102)의 입력축인 피더 구동축(114)에 전달하는 예취 반송 전동계 L2를 병렬로 구비하고 있다.
급동 전동계 L1은, 풍구축(151) 및 중계 전동축으로서의 아이들러 축(182)을 경유한 엔진(172)으로부터의 동력을, 아이들러 축(182)의 좌측 단부로부터 급동용 전동 기구(186)를 통해 급동용 입력축으로서 전동 케이스(187)에 구비한 좌우 방향의 전동축(188)의 좌측 단부에 전달하고, 전동축(188)의 우측 단부로부터 베벨 기어식 전동 기구(189)를 통해 급동축(118)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동 케이스(187)는, 탈곡 프레임(115)에 있어서의 상측 프레임부(115A)의 전단부 상부에 연결되어 있다. 전동축(188)은, 그 좌측 단부가 전동 케이스(187)의 좌측 단부로부터 횡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전동 케이스(187)의 좌반부에 장비되어 있다. 베벨 기어식 전동 기구(189)는 전동 케이스(187)의 좌우 중앙부에 내장되어 있다.
예취 반송 전동계 L2는, 풍구축(151) 및 아이들러 축(182)을 경유한 엔진(172)으로부터의 동력을, 아이들러 축(182)의 좌측 단부로부터 예취 반송용 전동 기구(190)를 통해 피더 구동축(114)의 좌측 단부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취 반송용 전동 기구(190)에는, 아이들러 축(182)으로부터 피더 구동축(114)으로의 전동의 단속(斷續)을 가능하게 하는 벨트 텐션 클러치를 채용하고 있다.
피더 구동축(114)에 전달된 동력은, 체인식 제1 전동 기구(191)를 통해 좌우 방향의 제1 중계축(192)에 전달되고, 제1 중계축(192)으로부터 연계 기구(193)를 통해 절단 기구(110)에 전달되고, 또한 제1 중계축(192)으로부터 체인식 제2 전동 기구(194)를 통해 좌우 방향의 오거축(195)에 전달되고, 오거축(195)으로부터 체인식 제3 전동 기구(196)를 통해 좌우 방향의 제2 중계축(197)에 전달되고, 제2 중계축(197)으로부터 벨트 전동식 제4 전동 기구(198)를 통해 좌우 방향의 릴축(199)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동 케이스(187)의 우반부에는, 베벨 기어식 전동 기구(189)에 구비한 역회전 동력 취출용 베벨 기어(189A)와 일체 회전하는 좌우 방향의 역회전축(200)을, 역회전축(200)의 우측 단부가 전동 케이스(187)의 우측 단부로부터 횡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장비되어 있다. 그리고 역회전축(200)의 우측 단부와 피더 구동축(114)의 우측 단부에 걸쳐, 역회전축(200)으로부터 피더 구동축(114)으로의 역회전 동력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역회전용 전동 기구(201)를 가설하고 있다. 역회전용 전동 기구(201)에는, 역회전축(200)으로부터 피더 구동축(114)으로의 전동의 단속을 가능하게 하는 벨트 텐션 클러치를 채용하고 있다.
즉, 수확 작업시에는, 예취 반송용 전동 기구(190)를 전동 상태로 하고, 역회전용 전동 기구(201)를 차단 상태로 함으로써, 예취 반송 장치(102)를 정회전 구동시킬 수 있고, 곡물대를 예취하여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예취 반송 장치(102)에 있어서 막힘이 발생한 경우에는, 예취 반송용 전동 기구(190)를 차단 상태로 전환하고, 역회전용 전동 기구(201)를 전동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예취 반송 장치(102)를 역회전 구동시킬 수 있어, 예취 반송 장치(102)에 막힌 곡물대를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도 22, 도 23 및 도 25 내지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동 전동계 L1의 전동축(188)은, 전술한 바와 같이 탈곡 프레임(115)에 있어서의 상측 프레임부(115A)의 전단부 상부에 연결된 전동 케이스(187)의 좌반부에 장비되어 있다. 피더 구동축(114)은, 탈곡 프레임(115)에 있어서의 상측 프레임부(115A)의 전단부 하부에 좌우 한 쌍의 베어링 부재(202)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아이들러 축(182)은, 탈곡 장치(103)에 있어서의 예취 반송 장치(102)와의 접속 단부인 전단부의 외측이며, 풍구축(151)과 부 풍구축(153) 사이에 있어서의 풍구축(151)보다도 부 풍구축 부근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탈곡 프레임(115)에 있어서의 하측 프레임부(115B)의 전단부 상부에 좌우 한 쌍의 베어링 부재(203)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즉, 급동용 입력축인 전동축(188)과 예취 반송 장치(102)의 입력축인 피더 구동축(114)과 아이들러 축(182)이, 그 순서로 탈곡 장치(103)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아이들러 축(182)을 전동축(188) 및 피더 구동축(114)에 근접시킨 상태에서, 또한 탈곡 장치(103)의 전단부를 대략 따른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아이들러 축(182)과 전동축(188)을 연동 연결하는 급동용 전동 기구(186) 및 아이들러 축(182)과 피더 구동축(114)을 연동 연결하는 예취 반송용 전동 기구(190)를, 예취 반송 장치(102)와 탈곡 장치(103)의 접속 개소에, 전후 폭이 좁은 상하 방향에서 그 상하 길이를 최대한 짧게 한 상태에서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도 22, 도 23 및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동용 전동 기구(186)는, 소직경의 제1 풀리(186A)와 대직경의 제2 풀리(186B)를 구비하고(한 쌍의 전동 회전체의 일례), 그들 풀리(186A, 186B)를 전동 벨트(186C)에 의해 권취하여 연동하는 벨트 전동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풀리(186A)는, 아이들러 축(182)의 좌측 단부에 아이들러 축(182)과 일체 회전하도록 외부 끼움된 보스부(186Aa)와, 이 보스부(186Aa)와 일체 회전하도록 보스부(186Aa)에 좌측 외측으로부터 볼트 연결하는 소직경의 외주부(186Ab)로 구성되어 있다. 제2 풀리(186B)는, 전동축(188)의 좌측 단부에 전동축(188)과 일체 회전하도록 외부 끼움된 보스부(186Ba)와, 이 보스부(186Ba)와 일체 회전하도록 보스부(186Ba)에 좌측 외측으로부터 볼트 연결하는 대직경의 외주부(186Bb)로 구성되어 있다. 각 보스부(186Aa, 186Ba) 및 각 외주부(186Ab, 186Bb)는, 각 보스부(186Aa, 186Ba)에 대한 각 외주부(186Ab, 186Bb)의 교환 장착이 가능해지도록, 각 보스부(186Aa, 186Ba) 및 각 외주부(186Ab, 186Bb)의 끼워 맞춤 직경 및 연결 개소 등이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급동용의 전동 기구(186)는, 각 보스부(186Aa, 186Ba)에 대한 각 외주부(186Ab, 186Bb)의 교환 장착에 의해 급동(119)에 대한 전동 상태를, 아이들러 축(182)과 일체 회전하는 보스부(186Aa)에 소직경의 외주부(186Ab)를 볼트 연결하고, 또한 전동축(188)과 일체 회전하는 보스부(186Ba)에 대직경의 외주부(186Bb)를 볼트 연결한 대두용 저속 전동 상태와, 아이들러 축(182)과 일체 회전하는 보스부(186Aa)에 대직경의 외주부(186Bb)를 볼트 연결하고, 또한 전동축(188)과 일체 회전하는 보스부(186Ba)에 소직경의 외주부(186Ab)를 볼트 연결한 벼 보리용 고속 전동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22, 도 23,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더 구동축(114), 아이들러 축(182) 및 전동축(188)은, 각각 그들의 각 좌측 단부가 주행 차체(101)의 좌측 단부에 위치하도록 좌측 외측을 향해 연장시키고 있다. 아이들러 축(182)의 좌측 단부에는, 예취 반송 전동계 L2에서의 전동 방향 최상측의 전동 회전체인 예취 반송용 전동 기구(190)의 출력 풀리(190A)를 키 연결에 의해 아이들러 축(182)과 일체 회전하도록 외부 끼움하고 있다. 출력 풀리(190A)의 우측 단부에는 제2 감속 기구(183)의 출력 풀리(183A)를 일체 형성하고 있다. 출력 풀리(190A)의 좌측 단부에는 제1 풀리(186A)의 보스부(186Aa)를 일체 형성하고 있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103)의 좌측부에는, 탈곡 장치(103)의 좌측 외측 전단부에 배치한 급동용 전동 기구(186) 및 예취 반송용 전동 기구(190) 등을 좌측 외측으로부터 덮는 제1 커버(104)와 제2 커버(205)(각각, 탈곡 전동계의 전동 기구를 덮는 커버의 일례), 탈곡 장치(103)의 좌측 외측 하부에 배치한 제1 전동 기구(178), 제2 전동 기구(180), 제2 감속 기구(183) 및 제3 전동 기구(184) 등을 제2 커버(205)와 함께 좌측 외측으로부터 덮는 제3 커버(206)를 착탈 가능하게 장비하고, 또한 탈곡부(103A)의 좌측부를 좌측 외측으로부터 덮는 제4 커버(207)를 그 후단부에 구비한 종축심을 지지점으로 한 개폐 요동 조작이 가능해지도록 장비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부터, 작업용 전동 수단 B는, 탈곡 장치(103)의 좌측부로부터 제1 커버(104)와 제2 커버(205)를 제거하여, 주행 차체(101)의 좌측 단부에 위치하는 급동용 전동 기구(186)에 있어서의 각 보스부(186Aa, 186Ba)에 대한 각 외주부(186Ab, 186Bb)의 교환 장착을 행함으로써, 급동(119)에 대한 전동 상태를 벼 보리용 고속 전동 상태와 대두용 저속 전동 상태로 간단하게 전환할 수 있어, 그 결과, 손상되기 어려운 벼나 보리 등을 수확하는 경우에는, 급동(119)에 대한 전동 상태를 벼 보리용 고속 전동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처리 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손상되기 쉬운 콩류 등을 수확하는 경우에는, 급동(119)에 대한 전동 상태를 대두용 저속 전동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훑기 처리시의 손상에 의한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급동(119)에 대한 전동 상태의 전환에 관계없이, 예취 반송 장치(102)를 정회전 구동시킬 때의 구동 속도 및 요동 선별 수단(120), 각 풍구(121 내지 123), 각 반송 스크류(160, 162, 165) 및 초퍼(166)의 각 구동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이에 의해 급동(119)에 대한 전동 상태의 전환에 기인한 예취 반송 장치(102)에서의 예취 반송 성능의 저하, 선별부(103B)에서의 선별 성능이나 선별 효율의 저하, 각 반송 스크류(160, 162, 165)의 반송 성능의 저하 및 초퍼(166)의 세단 성능의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용 전동 수단 B에 있어서는, 상기한 구성 대신에,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1〕고속 전동계 H를, 풍구축(151)의 회전 동력을, 풍구축(151)의 전동 방향 상측의 단부인 우측 단부로부터 부 풍구축(153)의 우측 단부와 2번 풍구축(157)의 우측 단부와 초퍼축(169)의 우측 단부에 증속 전달하도록 구성한다.
〔2〕저속 전동계 L을, 풍구축(151)의 회전 동력을, 풍구축(151)의 전동 방향 상측의 단부인 우측 단부로부터 1번 스크류 축(159)의 우측 단부와 2번 스크류 축(161)의 우측 단부와 요동축(185)의 우측 단부에 감속 전달하도록 구성한다.
〔3〕급동 전동계 L1을, 풍구축(151)의 우측 단부 또는 좌측 단부 혹은 아이들러 축(182)의 우측 단부로부터 급동(119)으로 전동하도록 구성한다.
〔4〕예취 반송 전동계 L2를, 풍구축(151)의 우측 단부 또는 좌측 단부 혹은 아이들러 축(182)의 우측 단부로부터 예취 반송 장치(102)로 전동하도록 구성한다.
〔5〕고속 전동계 H의 제1 전동 기구(178)와 제2 전동 기구(180) 및 저속 전동계 L의 제1 감속 기구(181)와 제2 감속 기구(183) 등에 체인 전동식인 것을 채용한다. 혹은, 저속 전동계 L의 제1 감속 기구(181)에 기어 전동식인 것을 채용한다.
〔6〕급동용 전동 기구(186) 및 예취 반송용 전동 기구(190)로서 체인 전동식인 것 또는 기어 전동식인 것을 채용한다.
〔7〕급동용 전동 기구(186)를, 이 전동 기구(186)를 통해 연동 연결하는 전동 방향 하측의 전동축[아이들러 축(182) 또는 풍구축(151)]과 전동 방향 하측의 전동축(188)에 대한 대소 한 쌍의 전동 회전체[보스부(186Aa, 186Ba)와 외주부(186Ab, 186Bb)를 일체 형성한 것] 자체의 교환 장착에 의해 급동(119)에 대한 전동을 고저 2단으로 전환하도록 구성한다. 또는, 급동용 전동 기구(186)를 통해 연동 연결하는 전동 방향 하측의 전동축[아이들러 축(182) 또는 풍구축(151)]과 전동 방향 하측의 전동축(188)에 대한 콤바인에 부속된 저속 전동 전용의 한 쌍의 전동 회전체(보스부와 외주부를 일체 형성한 것)와 고속 전동 전용의 한 쌍의 전동 회전체(보스부와 외주부를 일체 형성한 것)의 교환에 의해 급동(119)에 대한 전동을 고저 2단으로 전환하도록 구성한다. 혹은, 급동용 전동 기구(186)를 통해 연동 연결하는 전동 방향 하측의 전동축[아이들러 축(182) 또는 풍구축(151)]과 전동 방향 하측의 전동축(188)의 각각에 고저 전동 겸용으로 구성한 전동 회전체의 보스부를 일체 회전하도록 외부 끼움하고, 이들 각 보스부에 대한 콤바인에 부속된 저속 전동 전용의 한 쌍의 전동 회전체의 외주부와 고속 전동 전용의 한 쌍의 전동 회전체의 외주부의 교환에 의해 급동(119)에 대한 전동을 고저 2단으로 전환하도록 구성한다.
〔8〕역회전 동력 취출용 베벨 기어(189A), 역회전축(200) 및 역회전용 전동 기구(201)를 장비하지 않음으로써, 예취 반송 장치(102)의 역회전 구동을 행할 수 없도록 구성한다.
도 19,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105)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103)의 직전 개소에는, 아이들러 축(182)의 하방 공간을 이용하여 작동유 탱크(208)를 배치하고 있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동 선별 수단(120)은, 그 전단부 상부에 배치하는 대략 선별용 그레인 팬(145)의 전후 길이를 짧게 하여 전방으로의 연장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그 전단부의 전방으로의 요동 한계 위치가 전후 방향으로 수망(116)의 전단부[급동(119)의 훑기 처리부(134)의 전단부]와 일치(대략 일치라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망(116)의 전단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이용하는 곡물대 안내판(129)의 후단부와 요동 선별 수단(120)의 전단부에 걸쳐 요동 선별 수단(120)의 전방으로의 처리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누출 방지 수단(209)을 장비하고 있다. 누출 방지 수단(209)은, 곡물대 안내판(129)의 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수직 하강한 상측 누출 방지판(209A)과, 시브 케이스(144)의 전단부에 기립 설치한 하측 누출 방지판(209B)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누출 방지판(209A, 209B)에는 범포(canvas)나 고무판 등을 채용하고 있다.
이 구성으로부터, 요동 선별 수단(120)이 수망(116)의 전단부 위치보다도 전방으로 불필요하게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풍구(121)와 곡물대 안내판(129) 사이에 있어서의 요동 선별 수단(120)의 전방에 큰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이 공간을 이용하여 보다 대형의 부 풍구(122)를 장비함으로써, 대량의 처리물에 대해 보다 충분한 선별풍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요동 선별 수단(120)의 전방으로의 요동 한계가 수망(116)의 전단부 위치 또는 전단부 위치의 부근이 되도록 구성하면서도, 수망(116)의 전단부로부터 누하되는 처리물을 요동 선별 수단(120)에 확실하게 공급할 수 있어, 처리물이 요동 선별 수단(120)의 전방으로 누출되는 것에 기인한 곡립 회수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동 선별 수단(120)은, 그 후단부인 시브 케이스(144)의 후단부가 수망(116)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이며 급동(119)의 후단부[훑기 처리부(134)의 후단부] 부근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시브 케이스(144)의 후단부측을 후방으로 연장시키고 있다. 또한, 2번 채프 시브(150)는, 그 전단부가 채프 시브(146)의 후단부와 전후 방향에서 일치 또는 대략 일치하도록 전단부측을 전방으로 연장시키고, 또한 그 후단부측을 시브 케이스(144)의 후단부까지 연장시키고 있다.
즉, 요동 선별 수단(120)의 후단부가 수망(116)의 후단부보다도 급동(119)의 후단부[훑기 처리부(134)의 후단부] 부근에 위치하는 상태로 되도록 요동 선별 수단(120)을 급동(119)[훑기 처리부(134)]에 대해 후방측 부근에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에 의해 수망(116)의 후단부로부터 누하하는 처리물을 요동 선별 수단(120)에 확실하게 공급할 수 있어, 처리물이 요동 선별 수단(120)의 후방으로 누출되는 것에 기인한 곡립 회수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2번 채프 시브(150)의 처리 면적(누하 면적)이 커지므로 2번 채프 시브(150)의 2번 처리물에 대한 선별 처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1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요동 선별 수단(120)의 상태(위치)는, 요동 선별 수단(120)의 전단부가 전방의 요동 한계 위치에 도달하고 있는 상태이며, 도 21에 있어서 가상선(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요동 선별 수단(120)의 후단부의 상태(위치)는, 요동 선별 수단(120)의 후단부가 후방의 요동 한계 위치에 도달하고 있는 상태이다.
도 21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측 지지 부재(131)에는, 그 하부로부터 요동 선별 수단(120)의 후방을 향해 후방 하향 경사 자세로 연장되고, 곡물대 배출구(132)로부터 유하하는 탈립 곡물대나 긴 곡물대 부스러기 등의 배출물을 요동 선별 수단(120)의 후방에 배치한 초퍼(166)로 안내하는 곡물대 배출 안내판(210)을 장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수망(116)으로부터 누하되지 않고 곡물대 배출구(132)로부터 유하하는 탈립 곡물대나 긴 곡물대 부스러기 등의 배출물이 2번 채프 시브(150)에 공급되는 것에 기인한 2번 채프 시브(150)에서의 선별 효율이나 선별 정밀도의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채프 시브(146)는, 급동(119)의 훑기 처리부(134)의 전후 중간 부위에 배치한 구획판(139)으로부터 채프 시브(146)의 전단부까지의 전후 길이 La가 구획판(139)으로부터 채프 시브(146)의 후단부까지의 전후 길이 Lb보다도 길어지도록 구획판(139)에 대해 전방측으로 치우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즉, 이 요동 선별 수단(120)에서는, 채프 시브(146)에 있어서의 구획판(139)보다도 전방측의 처리 면적(누하 면적)을 크게 확보하도록 되어 있고, 이에 의해 구획판(139)에 의해 훑기 처리 후의 처리물의 대부분이 요동 선별 수단(120)의 전방부측으로 누하되도록 되었다고 해도, 그 처리물을 채프 시브(146)에 의해 효율적으로 대략 선별할 수 있다.
또한, 대략 선별용 그레인 팬(145)의 전후 길이는, 구획판(139)으로부터 채프 시브(146)의 전단부까지의 전후 길이 La와 대략 동일한 길이[또는 구획판(139)으로부터 채프 시브(146)의 전단부까지의 전후 길이 La보다도 짧은 길이]로 설정되어 있고, 대략 선별용 그레인 팬(145)의 후단부 및 채프 시브(146)의 전단부가 전단부용 지지판(137)과 구획판(139)의 전후 중간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탈곡 프레임(115)에 있어서의 하측 프레임부(115B)의 전방부에는, 탈곡부(103A)의 전방부측을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전방측 지지 기둥 부재(211)와 좌우 한 쌍의 후방측 지지 기둥 부재(212)를 풍구 케이스(152)의 좌우 양단부에 형성된 풍구용 흡기구(152C)를 전후로부터 끼우도록 기립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 동일한 측에 위치하는 전방측 지지 기둥 부재(211)의 하부측과 후방측 지지 기둥 부재(212)의 하부측에 걸쳐 풍구축(151)의 좌우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후 방향의 풍구 지지 부재(213)를 풍구용 흡기구(152C)를 횡단하도록 가설하고 있다. 또한, 좌우 동일한 측에 위치하는 전방측 지지 기둥 부재(211)의 상부측과 후방측 지지 기둥 부재(212)의 상부측에 걸쳐 부 풍구축(153)의 좌우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후 방향의 부 풍구 지지 부재(214)를 부 풍구 케이스(154)의 좌우 양단부에 형성된 부 풍구용 흡기구(154B)를 횡단하도록 가설하고 있다.
즉, 탈곡부(103A)의 전방부측을 지지하기 위해 높은 강도를 갖도록 구성한 좌우 한 쌍의 전방측 지지 기둥 부재(211)와 좌우 한 쌍의 후방측 지지 기둥 부재(212)를 이용하여 풍구(121) 및 부 풍구(122)를 지지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지지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의 각 부 풍구 지지 부재(214)에는, 부 풍구축(153)을 끼운 전후의 위치에 부 풍구용 보조 흡기구(214A)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부 풍구용 흡기구(154B)를 부 풍구 지지 부재(214)가 횡단함으로써 부족하기 쉬워지는 부 풍구(122)에 대한 흡기량을 개선할 수 있어, 부 풍구(122)로부터의 선별풍에 의한 풍력 선별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풍구(121)는, 그 풍구축(151)의 직상 근방 위치(직상 위치라도 가능)에 요동 선별 수단(120)의 전단부의 전방으로의 요동 한계 위치가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요동 선별 수단(120)의 전단부의 전방으로의 요동 한계 위치는 전후 방향으로 수망(116)의 전단부와 일치(대략 일치라도 가능)시키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요동 선별 수단(120)의 전단부의 전방으로의 요동 한계 위치를 설정하고, 또한 수망(116) 및 풍구(121)를 배치함으로써, 풍구(121)의 전반부의 직상 위치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있고, 이 수용 공간에, 풍구(121)의 전단부와 부 풍구(122)의 전단부가 전후 방향에서 대략 일치(일치라도 가능)시킨 상태에서 부 풍구(122)를 배치하고 있다.
즉, 요동 선별 수단(120)의 전단부의 전방으로의 요동 한계 위치와 풍구(121)의 풍구축(21)과 수망(116)의 전단부가 대략 연직선상(연직선상이라도 가능)에 배열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요동 선별 수단(120)이 수망(116)의 전단부 위치보다도 전방으로 불필요하게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풍구(121)의 전반부의 상방에서 요동 선별 수단(120)의 전방에 큰 수용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이 수용 공간을 이용하여 보다 대형의 부 풍구(122)를 장비할 수 있어, 그 결과, 대량의 처리물에 대해 보다 충분한 선별풍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풍구(121) 및 부 풍구(122)는, 그들의 전단부가 탈곡 프레임(115)에 있어서의 상측 프레임부(115A)의 내부에 장비하는 급동(119)의 전단부와 전후 방향에서 대략 일치(일치라도 가능)하도록 탈곡 프레임(115)의 하측 프레임부(115B)에 장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요동 선별 수단(120)의 전방 하방에 배치하는 풍구(121)를 그 전단부가 급동(119)의 전단부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도록 후방 부근에 배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요동 선별 수단(120)의 하부에 배치하는 그레인 시브(149)의 전후 길이를 길게 할 수 있고, 그레인 시브(149)의 처리 면적(누하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그레인 시브(149)에서의 곡립 회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부 풍구(122)를 탈곡 프레임(115)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어, 부 풍구(122)를 장비하는 것에 기인한 탈곡 선별 구조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탈곡 장치(103)의 탈곡 선별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한 구성 대신에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1〕부 풍구(122)로부터의 선별풍이 채프 시브(146)의 채프립판(146A)의 사이를 적극적으로 통과하도록 부 풍구(122)로부터의 선별풍을 요동 선별 수단(120)에 공급한다.
〔2〕요동 선별 수단(120)의 후단부의 후방으로의 요동 한계 위치가 급동(119)의 후단부[훑기 처리부(134)의 후단부]와 전후 방향에서 일치 또는 대략 일치하도록 요동 선별 수단(120)의 후단부측을 수망(116)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으로 연장시킨다.
〔제2 실시 형태의 다른 형태〕
〔1〕 급동(119)으로서는, 좌우 방향의 급동축(118)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주행 차체(101)에 좌우 방향으로 장비하여, 그 좌우 일단부에 공급되는 예취 반송 장치로부터의 예취 곡물대에 훑기 처리를 실시하도록 구성한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 훑기 처리에서의 반송 방향 상측이 되는 좌우 일단부측이 급동(119)[탈곡 장치(103)]의 전방측이 되고, 반송 방향 하측이 되는 좌우 타단부측이 급동(119)[탈곡 장치(103)]의 후방측이 된다.
〔2〕2번 선별체(150)로서, 톱날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랙판을 전후 방향의 자세로 좌우 방향으로 설정 간격을 두고 정렬 배치하여 구성한 스트로우 랙을 채용해도 좋다.
〔3〕엔진(172)으로부터의 동력을, 풍구축(151)의 전동 방향 하측의 단부인 좌측 단부에 있어서 고속 전동계 H와 저속 전동계 L에 병렬로 분기하도록 구성해도 좋고, 또한 엔진(172)으로부터의 동력을, 풍구축(151)의 전동 방향 상측의 단부인 우측 단부에 있어서 아이들러 축(182)을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고속 전동계 H와 저속 전동계 L에 병렬로 분기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4〕급동 전동계 L1의 전동 방향 하측에 예취 반송 전동계 L2를 직렬로 연동 연결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급동 전동계 L1을 풍구축(151)의 전동 방향 하측의 단부인 좌측 단부에 연동 연결해도 좋고, 또한 급동 전동계 L1을 풍구축(151)의 전동 방향 상측의 단부인 우측 단부에 있어서 아이들러 축(182)을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연동 연결해도 좋다.
〔5〕예취 반송 전동계 L2의 전동 방향 하측에 급동 전동계 L1을 직렬로 연동 연결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예취 반송 전동계 L2를 풍구축(151)의 전동 방향 하측의 단부인 좌측 단부에 연동 연결해도 좋고, 또한 예취 반송 전동계 L2를 풍구축(151)의 전동 방향 상측의 단부인 우측 단부에 있어서 아이들러 축(182)을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연동 연결해도 좋다.
〔6〕급동용 입력축인 전동축(188)과 예취 반송 장치(102)의 입력축인 피더 구동축(114)과 아이들러 축(182)을 단일의 벨트 전동식의 전동 기구에 의해 연동 연결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7〕급동(119)으로서 원통 형상의 훑기 처리부를 구비한 드럼식인 것을 채용하도록 해도 좋다.
〔제3 실시 형태〕
이하, 도 28 내지 도 36을 참조하면서,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콤바인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이 보통형(전간 투입형) 콤바인에 적용되어 있다.
〔전체 구성〕
도 28 및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보통형 콤바인은,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301)로 주행하는 자주 기체(A1)의 전방부 위치에 운전부(B1)와, 예취 전처리부(C1)를 구비하는 동시에, 이 예취 전처리부(C1)로부터의 곡물대가 투입되는 탈곡 처리부(D1)와, 탈곡 처리부(D1)로부터의 곡립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E)를 자주 기체(A1)에 구비하고 있다.
그레인 탱크(E)는, 자주 기체(A1)의 후방부 위치의 종방향 자세의 종축심 Y 주위로의 선회에 의해 자주 기체(A1)에 수납되는 작업 자세(도 29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자세)와, 자주 기체(A1)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점검 자세(도 29에 있어서 가상선으로 나타내지는 자세)로 전환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그레인 탱크(E)의 후방면에는 언로더(F)가 구비되어 있다. 이 언로더(F)는,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출측 단부를 상방을 향하게 하는 수납 자세와, 배출측 단부를 외측을 향하게 하는 배출 자세로 전환 가능해지도록 전후 방향 자세의 요동 축심 X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또한, 자주 기체(A1)의 후단부에서 그레인 탱크(E)의 후방 위치에는 연료 탱크(304)가 구비되어 있다.
운전부(B1)의 운전 좌석(302)의 하방 위치에는 엔진(303)이 배치되고, 자주 기체(A1)의 전방부의 중앙 위치에는 엔진(303)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301)에 전달하는 미션 케이스(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이 미션 케이스에는 엔진(303)으로부터의 구동력을 무단계로 변속하는 무단 변속 장치가 구비되는 동시에,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301)에 전달하는 구동력의 단속을 행하는 조향 클러치(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되어 있다.
예취 전처리부(C1)는, 직립 곡물대의 이삭 끝측을 릴(305)의 회전 작동에 의해 긁어 일으키고, 그 곡물대의 밑동을 커터(306)로 절단하고, 예취된 곡물대(예취 곡물대)의 전간을 횡방향 이송 오거(307)에 의해 횡방향으로 보내고, 이 예취 곡물대의 전간을 피더(308)에 의해 탈곡 처리부(D1)에 투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예취 전처리부(C1)는, 후단부의 횡축심(도시하지 않음) 주위로 상하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이 상하 요동을 행하는 유압 실린더 등의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있고, 이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한 요동량의 설정에 의해 곡물대의 예취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탑승 운전부〕
상기 운전부(B1)에는, 상기 엔진(303)의 상방측을 덮는 상자 형상의 엔진 커버(311)를 구비하고, 이 엔진 커버(311)의 상면에 운전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운전 좌석(302)을 구비하고 있다. 이 엔진 커버(311)의 외측부에는 흡기 케이스(311A)가 형성되고, 이 흡기 케이스(311A)의 외면측에는 냉각풍의 흡기하기 위해서 방진망이 돌출된 흡기부(311B)가 형성되어 있다. 운전 좌석(302)의 전방측에는 자주 기체(A1)의 조향 제어와 예취 전처리부(C1)의 승강을 제어하는 조향 레버(312, 조향 조작부의 일례)를 구비하고, 운전 좌석(302)의 좌측부에는 자주 기체(A1)의 주행 속도를 제어하는 변속 레버(313)와, 예취 전처리부(C1)와 탈곡 처리부(D1)를 구동하는 상태와 정지시키는 상태를 현출하는 작업 레버(31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흡기 케이스(311A)의 상부의 전방면측에는 배출 클러치 레버(315)가 구비되어 있다.
조향 레버(312)는, 비조작 상태에서 중립 자세로 유지되는 것이며, 이 중립 자세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 요동 조작을 행함으로써, 미션 케이스에 내장된 조향 클러치를 제어하여 자주 기체(A1)의 조향(선회)을 실현한다. 또한, 이 조향 레버(312)를 전후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전술한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예취 전처리부(C1)의 승강을 실현한다. 또한, 변속 레버(313)는 전후 방향으로의 조작에 의해 무단 변속 장치를 변속 조작하여 주행 속도의 변경을 실현한다. 작업 레버(314)는 전후 방향으로의 조작에 의해 탈곡 처리부(D1)에 대한 동력의 단속을 행하는 클러치의 연결 해제를 행하는 동시에, 예취 전처리부(C1)에 대한 동력의 단속을 행하는 클러치의 연결 해제를 행한다.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303)으로부터의 구동력을 그레인 탱크(E)의 배출계에 전달하는 배출 클러치(G)가 구비되고, 이 배출 클러치(G)를 조작하도록 전술한 배출 클러치 레버(315)가 연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이 배출 클러치 레버(315)를 연결 위치로 조작함으로써 배출 클러치(G)를 연결 조작하여 엔진(303)으로부터의 구동력을 그레인 탱크(E)의 바닥 스크류(321)에 전달하고, 또한 언로더(F)를 구동하여 그레인 탱크(E)로부터의 곡립의 배출을 실현한다.
〔탈곡부〕
상기 탈곡 처리부(D1)는, 급실에 공급된 예취 곡물대의 훑기 처리를 행하도록 자주 기체(A1)의 전후 방향을 따르는 자세의 축심 주위로 구동 회전하는 축류형의 급동(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는 동시에, 이 급동의 훑기 처리에 의해 얻어진 처리물로부터 곡립을 선별하는 선별 처리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이 선별 처리 장치에 있어서 선별된 곡립은 양곡(揚穀) 장치(309)가 그레인 탱크(E)에 공급하고, 곡립 이외의 짚 부스러기 등은, 선별 처리 장치로부터 자주 기체(A1)의 후방으로 낙하 방출되게 된다.
〔그레인 탱크와 언로더〕
도 30 내지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그레인 탱크(E)는, 탱크 본체(320)에 저류된 곡립을 후방을 향해 송출하는 바닥 스크류(321)를 탱크 본체(320)의 저부에 구비하고 있다. 탱크 본체(320)의 저벽(320B)은 저류된 곡립을 자주 기체(A1)의 외측으로 유하시키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구조이므로, 바닥 스크류(321)는 자주 기체(A1)의 외측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 스크류(321)의 스크류 축(321A)의 전단부를 탱크 본체(320)의 전방벽(320f)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고, 이 돌출 부위에 베벨 기어(322)를 통해 연결되는 횡방향 자세의 중간축(323)이 탱크 본체(320)의 전방벽(320f)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다.
전술한 배출 클러치(G)는, 중간축(323)에 대해 엔진(303)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벨트 텐션식으로 구성되고, 배출 클러치 레버(315)는, 이 클러치 기구의 벨트의 텐션을 조절함으로써 동력의 단속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닥 스크류(321)의 스크류 축(321A)의 축심과 요동 축심 X가 일치하고 있고, 탱크 본체(320)의 후방벽(320r)에는 바닥 스크류(321)로부터 보내지는 곡립을 언로더(F)에 전달하는 엘보 유닛(330)이 구비되어 있다. 이 엘보 유닛(330)은, 도 30 및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횡방향 자세의 통 형상의 기단부(331)와, 이에 대해 직교하는 자세에서 연속되는 통 형상의 연장부(332)를 갖는 동시에, 기단부(331)가, 그레인 탱크에 연결되는 고정통(331A)과, 이 고정통(331A)에 대해 요동 축심 X와 동 축심상에 배치되는 회전통(331B)과, 이 고정통(331A)과 회전통(331B)을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조인트 기구(331C)를 갖고 있다.
조인트 기구(331C)는, 고정통(331A)과 회전통(331B)을 요동 축심 X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 동시에, 회전통(331B)을 빠짐 방지 상태로 보유 지지하는 복수의 보유 지지체(333)를 구비하고 있고, 이 보유 지지체(333)와 회전통(331B)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기 위한 부시나 컬러 등을 구비하고 있다. 보유 지지체(333)는, 그레인 탱크(E)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지지 플레이트(362)에 지지되어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고 있지만, 기단부(331)에는 내부의 진애를 배출하는 개구가 형성되고, 이 개구를 폐쇄하는 덮개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이 개구를 개방하여 내부의 진애의 배출과, 내부의 점검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언로더(F)는, 배출통(341)과, 이 배출통(341)의 내부에 배치되는 배출 스크류(342)를 구비하는 동시에, 배출측 단부에는 배출통(341)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곡립을 안내하는 배출 가이드(343)를 구비하고 있다. 배출 스크류(342)의 기단부측은 스크류 축(342A)에 대해 2세트의 스크류를 형성한 2중 스크류로서 구성되어, 이 기단부측에서는 곡립을 확실하게 반송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스크류 축(342A)은, 회전 축심 Z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배출통(341)의 상단부에는 곡립의 배출 방향의 조명을 행하는 라이트(345)가 구비되어 있다.
엘보 유닛(330)의 기단부(331)의 내부에는, 바닥 스크류(321)의 스크류 축(321A)의 일부가 삽입되고, 엘보 유닛(330)의 연장부(332)의 내부에는 배출 스크류(342)의 일부가 삽입되어 있다. 바닥 스크류(321)의 반송 종단부 위치의 스크류 축(321A)에는 곡립을 긁어 올리는 회전 플레이트(321B)가 구비되고, 이 스크류 축(321A)의 구동력을 배출 스크류(342)의 스크류 축(342A)에 전달하도록 서로 직교하는 축심 주위로 회전하는 한 쌍의 베벨 기어(344G)를 갖는 베벨 기어 기구(344)가 엘보 유닛(33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전동 구조로부터, 바닥 스크류(321)의 구동력을 엘보 유닛(330)의 베벨 기어 기구(344)를 통해 배출 스크류(342)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져, 그레인 탱크(E)의 곡립을 바닥 스크류(321)로부터 배출 스크류(342)로 반송하여, 언로더(F)의 반출 단부로부터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언로더(F)에서는, 바닥 스크류(321)의 회전 방향이, 그레인 탱크(E)를 후방으로부터 보아 좌측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설정되고, 언로더(F)로부터 곡립을 반출할 때에는, 언로더(F)의 배출통(341)에 대해, 이 언로더(F)를 수납 자세를 향하게 하는 토크가 작용한다(도 36을 참조). 이에 의해 곡립을 배출할 때에는 언로더(F)의 배출측 단부를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힘이 항상 작용하게 된다. 또한, 바닥 스크류(321)의 형상의 변경에 의해, 회전 방향을 역방향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와 같이 회전 방향을 설정한 경우에는, 곡립의 반출시에는 언로더(F)의 배출측 단부를 내리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그레인 탱크(E)의 탱크 본체(320)의 후방벽(320r)에는, 종축심 Y를 동 축심이 되는 지지 기둥 형상 부재(325)가 브래킷(326)에 의해 연결 고정되어 있다. 이 지지 기둥 형상 부재(325)는, 원기둥 형상으로 성형되고, 그 하단부에 중간체(360)가 연결되어 있다. 이 중간체(360)의 하면에 원통 형상이며 지지 기둥 형상 부재(325)보다 소직경이며 종축심 Y와 동 축심상에 지지 부재(361)가 연결되고, 이 지지 부재(361)의 하단부가 기체 프레임(350)에 연결되는 브래킷(350A)에 구비한 베어링체(35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 부재(361)를 전후 위치로부터 끼워 넣는 상태에서, 지지 부재(361)와 중간체(360)와 엘보 유닛(330)의 기단부(331)에 연결하는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362)가 구비되고,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362)의 한쪽에 대해 전술한 보유 지지체(333)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그레인 탱크(E)가 종축심 Y를 중심으로 하여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게 되고, 이 선회시에는 그레인 탱크(E)와, 언로더(F)와, 엘보 유닛(330)과, 지지 기둥 형상 부재(325)와, 중간체(360)와, 지지 부재(361)와, 지지 플레이트(362)가 일체적으로 선회하게 된다.
기체 프레임(350)에는, 지지 기둥 형상 부재(325)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종축심 Y와 평행한 세로 자세의 종프레임(352)이 구비되고, 이 종프레임(352)에 전술한 회전 지지체(353)가 구비되어 있다. 이 회전 지지체(353)가 환 형상으로 성형되고 지지 기둥 형상 부재(325)의 외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감싸고 있다. 또한, 지지 부재(361)가 지지 기둥 형상 부재(325)보다 소직경이므로, 엘보 유닛(330)의 기단부(331)를 지지 부재(361)에 근접 배치시킴으로써,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지지 기둥 형상 부재(325)와 기단부(331)가 일부 중복되는 위치 관계로 하여 지지 기둥 형상 부재(325)와 엘보 유닛(330)의 근접 배치를 실현하고 있다(도 33을 참조).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기둥 형상 부재(325)에는 수평 자세로 후방으로 돌출되는 보유 지지 플레이트(327)가 연결 고정 상태로 구비되고, 이 보유 지지 플레이트(327)에는 언로더(F)의 배출통(341)이 끼움 삽입되는 반원 형상의 오목부(327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유 지지 플레이트(327)의 상면에는 배출통(341)의 외면을 감싸는 원호 형상의 고정판(328)이 구비되고, 이 고정판(328)의 양단부에는 오목 형상으로 되는 로크부(328A)가 굴곡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보유 지지 플레이트(327)와 언로더(F)의 배출통(341) 사이에는 언로더(F)의 요동 자세를 유지하는 자세 유지 기구(H1)가 구비되어 있다.
이 콤바인에서는, 종축심 Y를 그레인 탱크(E)의 후방벽(320r)에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이 종축심 Y를 기준으로 하여 자주 기체(A1)의 횡폭 방향에서의 외측에 요동 축심 X를 배치하고, 종축심 Y보다 후방 위치에 언로더(F)의 회전 축심 Z를 설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축심 Y보다 요동 축심 X가 자주 기체(A1)의 외측에 배치되고, 바닥 스크류(321)가 자주 기체(A1)의 외측에 치우쳐 배치되어 있으므로, 언로더(F)가 전체적으로 자주 기체(A1)의 외측부에 배치되게 되어, 언로더(F)의 배출측 단부를 외측으로 요동시킨 경우에는 배출 위치와 기체의 거리를 크게 한다.
또한,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E)가 작업 자세에 있고, 언로더(F)가 수납 자세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지지 기둥 형상 부재(325)와 언로더(F)의 배출통(341)이 후방면에서 볼 때 일부가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지지 기둥 형상 부재(325)와 언로더(F)를 자주 기체(A1)의 횡폭 방향에서 근접시킴으로써, 이들을 작은 공간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자세 유지 기구(H1)는, 도 31, 도 33,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유 지지 플레이트(327)의 상면에 구비된 지지체(355)와, 배출통(341)에 외벽면에 구비되어 언로더(F)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결합부(356A)를 갖는 결합판(356)과, 지지체(355)에 일단부가 지지되고 타단부가 결합판(356)의 복수의 결합부(356A)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한 연결 로드(357)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자세 유지 기구(H1)는, 보유 지지 플레이트(327)가 지지 기둥 형상 부재(325)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그레인 탱크(E)가 종축심 Y를 중심으로 하여 선회해도, 지지체(355)와 결합판(356)과 연결 로드(357)의 상대 위치 관계가 유지되어 언로더(F)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복수의 결합부(356A) 중, 배출측 단부에 가까운 위치의 것은 단순한 관통 구멍으로서 형성되고, 요동 축심 X에 가까운 위치의 복수의 것은 배출통(341)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자세의 슬릿(356B)에 의해 연속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 로드(357)는 기단부 축부(357A)와, 선단 축부(357B)를 길이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자세로 절곡한 형상이며, 기단부 축부(357A)를 지지체(355)의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하여 빠짐 방지 상태로 지지하고, 선단 축부(357B)에는 착탈 가능하게 와셔나 핀을 구비하고 있다.
요동 축심 X를 중심으로 한 언로더(F)의 요동 자세는 인위 조작에 의해 설정되는 것이며, 언로더(F)를 수납 자세로 유지하는 경우에는, 연결 로드(357)의 선단 축부(357B)를 배출측 단부에 가까운 위치의 결합부(356A)에 삽입하여(결합시켜) 와셔나 핀 등으로 빠짐 방지를 행함으로써 언로더(F)를 수납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이 수납 자세에서는 고정판(328)의 양단부의 로크부(328A)에 대해 고무제의 보유 지지 벨트(358)(도 33을 참조)의 양단부를 로크 연결함으로써, 이 보유 지지 벨트(358)의 장력을 배출통(341)에 작용시켜 안정적으로 수납 자세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언로더(F)의 요동 자세를 인위 조작으로 설정한 상태에 있어서, 연결 로드(357)의 선단 축부(357B)를, 결합판(356)의 복수의 결합부(356A)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로크하고, 와셔나 핀 등으로 빠짐 방지를 행함으로써, 그 요동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 요동 자세를 유지하는 경우에 있어서, 복수의 결합부(356A)가 슬릿(356B)에 의해 연속되어 있으므로, 언로더(F)의 자세를 전환하는 경우에도 와셔나 핀 등으로 빠짐 방지를 해제할 필요가 없어 수고를 필요로 하지 않아도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자세 유지 기구(H1)로서 로드를 사용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지지체(355)와 결합판(356) 사이에 와이어를 구비하고, 결합판(356)에 대한 와이어의 연결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와이어를 사용하는 것에서는, 와이어가 선 형상이며 유연하게 변형되는 성질이므로 자세 유지 기구(H1)의 배치의 자유도가 증가하고, 배치 공간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자세 유지 기구(H1)로서, 예를 들어 축체나 힌지에 의해 절곡 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링크판을 사용하고, 이 링크판 중 한쪽을 지지체(355)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링크판 중 다른 쪽을 배출통(341)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성을 사용해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한 쌍의 링크판이 절곡된 상태에서 언로더(F)가 수납 자세가 되고, 한 쌍의 링크판이 신장 자세에 있는 상태에서 언로더(F)가 배출 자세가 되고, 이 2개의 자세로만 설정 가능해지지만 배출 자세에서는 언로더(F)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또한, 언로더(F)의 요동 자세를 정하기 위한 전동 모터나 유압 실린더 등을 구비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인력에 의해 언로더(F)의 자세를 정할 필요가 없어, 자세 유지 기구(H1)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콤바인에서는, 그레인 탱크(E)의 곡립을 언로더(F)에 의해 배출하는 경우에는 운전 좌석(302)의 측부의 배출 클러치 레버(315)의 조작에 의해 바닥 스크류(321)를 구동시킴으로써, 이 바닥 스크류(321)가 그레인 탱크(E)의 곡립을 엘보 유닛(330)으로부터 배출통(341)으로 보내, 이 배출통(341)으로부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언로더(F)는, 수납 자세에 있어서 그레인 탱크(E)의 상면으로부터 크게 돌출되지 않도록 길이가 규제되는 것이다. 그러나 언로더(F)는, 자주 기체(A1)의 폭 방향에서의 외측에 치우치는 요동 축심 X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배출 자세로 설정하였을 때에는, 배출측 단부를 자주 기체(A1)로부터 크게 이격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배출통(341)의 요동 자세의 설정에 의해 배출 방향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이 요동 자세를 자세 유지 기구(H1)에 의해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배출 방향을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언로더(F)의 요동 자세를 유지하는 자세 유지 기구(H1)를 구비하고, 이 자세 유지 기구(H1)가, 탱크 본체(320)에 연결된 지지 기둥 형상 부재(325)에 연결된 지지체(355)와, 언로더(F)의 배출통(341)의 외면에 형성된 결합판(356)과, 이들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 로드(357)로 구성되므로, 그레인 탱크(E)의 선회 자세에 관계없이 언로더(F)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종축심 Y와 동 축심상에 배치되는 지지 기둥 형상 부재(325)의 상부가 그레인 탱크(E)에 대해 브래킷(326)에 의해 연결 고정되고, 이 지지 기둥 형상 부재(325)의 중간 부분이 회전 지지체(353)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자주 기체(A1)의 기체 프레임(350)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지지 기둥 형상 부재(325)의 하측에 종축심 Y와 동 축심상에서 지지 부재(361)가 연결되고, 이 지지 부재(361)의 하단부가 베어링체(351)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자주 기체(A1)의 브래킷(350A)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지지 부재(361)에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362)가 엘보 유닛(330)의 기단부(331)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그레인 탱크(E)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회전계[지지 기둥 형상 부재(325)와 지지 부재(361)]에 대해, 그레인 탱크(E)의 상부 위치와 하부 위치에 대해 긴 스팬으로 연결하는 상태에서, 또한 이 회전계[지지 기둥 형상 부재(325)와 지지 부재(361)]의 중간 부분과 하단부 부분이 자주 기체(A1)에 대해 종축심 Y를 중심으로 하여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그레인 탱크(E)의 안정적인 선회가 실현된다.
종축심 Y가 그레인 탱크(E)의 후방벽(320r)에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그레인 탱크(E)를 지지하는 아암류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어, 종축심 Y보다 후방측에 배출 스크류(342)의 회전 축심 Z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종축심 Y와 동 축심에 지지 기둥 형상 부재(325)가 배치되지만, 이 지지 기둥 형상 부재(325)와 언로더(F)의 간섭을 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그레인 탱크(E)가 작업 자세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지지 기둥 형상 부재(325)와 수납 자세에 있는 언로더(F)가 후방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일부가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지지 기둥 형상 부재(325)와 언로더(F)를 작은 공간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구성은,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보통형 콤바인에 한정되지 않고, 예취 곡물대의 착립부에만 훑기 처리를 실시하도록 구성한 자탈형 콤바인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벼, 보리 등의 곡물을 수확하는 콤바인에 한정되지 않고, 대두 등의 콩류나 씨종 등을 수확하는 콤바인에 적용해도 된다.
5 : 운전 캐빈
5A : 바닥면
6 : 조작 박스
7 : 사이드 패널 박스
40 : 반송용 피더
41 : 예취부
50 : 운전 좌석
50a : 시트면
50d : 아암 레스트
52a : 프론트 필러
52b : 프론트 필러
53 : 지붕부
54 : 프론트 글래스
55 : 승강용 도어
60 : 박스 본체
60a : 전방면
60b : 후방면
61 : 스티어링 레버
63 : 키 스위치
70 : 박스 메인부
70a : 전단부 모서리
70A : 외측 부분
70B : 내측 부분
71 : 전장품 배치부
72 : 변속 레버
74 : 스위치 조작구
75 : 전단부
76 : 접속 개소
S0 : 공간부
S1 : 개방 공간
S2 : 오목 공간
102 : 예취 반송 장치
103A : 탈곡부
116 : 수망
117 : 급실
118 : 급동축
119 : 급동
120 : 요동 선별 수단
121 : 풍구
122 : 부 풍구
129 : 지지 부재
140 : 막대 형상 부재
141 : 급치
151 : 풍구축
152 : 풍구 케이스
152C : 풍구용 흡기구
153 : 부 풍구축
154 : 부 풍구 케이스
154B : 부 풍구용 흡기구
172 : 엔진
182 : 아이들러 축
186 : 전동 기구
186A : 전동 회전체
186Aa : 보스부
186Ab : 외주부
186B : 전동 회전체
186Ba : 보스부
186Bb : 외주부
188 : 전동 방향 하측의 전동축
189 : 베벨 기어식 전동 기구
189A : 역회전 동력 취출용 베벨 기어
190A : 전동 회전체
201 : 역회전용 전동 기구
204 : 커버
205 : 커버
209 : 누출 방지 수단
211 : 전방측 지지 기둥 부재
212 : 후방측 지지 기둥 부재
213 : 풍구 지지 부재
214 : 부 풍구 지지 부재
214A : 부 풍구용 보조 흡기구
B : 전동 수단
L1 : 급동 전동계
L2 : 예취 반송 전동계
321 : 바닥 스크류
325 : 지지 기둥 형상 부재
330 : 엘보 유닛
331C : 조인트 기구
342 : 배출 스크류
344 : 베벨 기어 기구
355 : 지지체
356 : 결합판
356A : 결합부
357 : 연결 로드
A1 : 자주 기체
E : 그레인 탱크
F : 언로더
H1 : 자세 유지 기구
X : 요동 축심
Y : 종축심
Z : 회전 축심

Claims (24)

  1. 운전 캐빈 내에 운전 좌석을 배치하고,
    상기 운전 캐빈의 좌우 한 쌍의 프론트 필러 사이에, 상기 운전 캐빈의 상방부로부터 상기 운전 좌석의 시트면보다도 하방에 걸치는 범위에 프론트 글래스를 설치하고,
    상기 운전 캐빈 내에 있어서, 조향 조작부를, 상기 운전 캐빈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에 배치하고,
    상기 프론트 글래스와 상기 운전 좌석 사이에, 상기 운전 좌석에 착석한 운전자의 전방의 시계를 저해하는 장해물이 존재하지 않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향 조작부는 콤바인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바라본 평면에서 보아 상기 좌우 한 쌍의 프론트 필러 중 상기 일측의 프론트 필러와 상기 운전 좌석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일측의 프론트 필러에 편측 지지 형상으로 지지되고,
    상기 프론트 글래스가 상기 조향 조작부보다도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공간이 상기 조향 조작부의 하방에 형성되는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글래스는, 상기 운전 캐빈의 지붕부로부터 바닥면에 달하는 범위로 설치되고,
    상기 운전 캐빈 내에 있어서, 발판부가, 콤바인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바라본 평면에서 보아 상기 프론트 글래스와 상기 운전 좌석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발판부는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 대해 전방측이 높고 후방측이 낮은 경사 자세로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글래스는, 상기 운전 캐빈의 지붕부로부터 바닥면에 달하는 범위로 설치되고,
    상기 운전 캐빈 내에 있어서, 발판부가, 콤바인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바라본 평면에서 보아 상기 프론트 글래스와 상기 운전 좌석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발판부는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글래스로부터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글래스로부터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글래스는, 상기 운전 캐빈의 지붕부로부터 바닥면에 달하는 범위로 설치되고,
    상기 운전 캐빈 내에 있어서, 발판부가, 콤바인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바라본 평면에서 보아 상기 프론트 글래스와 상기 운전 좌석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바닥면에 주차 브레이크 페달이 설치되고,
    상기 주차 브레이크 페달은 기체 정면에서 보아 상기 발판부의 횡방향 옆에 위치하고, 기체 측면에서 보아 상기 발판부의 후측에 위치하는 콤바인.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 주차 브레이크 페달이 설치되고,
    상기 주차 브레이크 페달은 기체 정면에서 보아 상기 발판부의 횡방향 옆에 위치하고, 기체 측면에서 보아 상기 발판부의 후측에 위치하는 콤바인.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 주차 브레이크 페달이 설치되고,
    상기 주차 브레이크 페달은 기체 정면에서 보아 상기 발판부의 횡방향 옆에 위치하고, 기체 측면에서 보아 상기 발판부의 후측에 위치하는 콤바인.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 주차 브레이크 페달이 설치되고,
    상기 주차 브레이크 페달은 기체 정면에서 보아 상기 발판부의 횡방향 옆에 위치하고, 기체 측면에서 보아 상기 발판부의 후측에 위치하는 콤바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글래스는, 상기 운전 캐빈의 지붕부로부터 바닥면에 달하는 범위로 설치되고,
    상기 운전 캐빈 내에 있어서, 발판부가, 콤바인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바라본 평면에서 보아 상기 프론트 글래스와 상기 운전 좌석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의 폭이, 상기 운전 좌석의 시트면의 좌우 방향 폭 이하로 설치되는 콤바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캐빈 내에서, 변속 조작부를, 상기 운전 캐빈의 좌우 방향에 관한 타측에 배치하는 콤바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캐빈에 있어서, 상기 조향 조작부의 스티어링 레버를, 상기 운전 좌석의 좌우 단부 중 상기 일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일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하고, 또한 상기 변속 조작부의 변속 레버를, 상기 운전 좌석의 좌우 단부 중 상기 타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타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하는 콤바인.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캐빈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타측에 전장품 배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프론트 글래스가 상기 전장품 배치부보다도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장품 배치부의 하방에 상기 공간이 형성되는 콤바인.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캐빈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타측에 전장품 배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프론트 글래스가 상기 전장품 배치부 및 상기 조향 조작부보다도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장품 배치부의 하방, 상기 프론트 글래스와 상기 운전 좌석 사이, 및 상기 조향 조작부의 하방으로, 상기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이, 상기 프론트 글래스를 따라 상기 좌우 방향에 연속되어 있는 콤바인.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캐빈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타측에 전장품 배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장품 배치부와 상기 조향 조작부 사이에, 상기 공간이 형성되는 콤바인.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조작부는, 상기 운전 좌석보다도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캐빈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타측에 전장품 배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장품 배치부는, 상기 조향 조작부보다도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캐빈 내에 있어서, 변속 조작부를, 상기 운전 캐빈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타측에 배치하고,
    상기 변속 조작부는, 상기 조향 조작부보다도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캐빈 내에 있어서, 변속 조작부를, 상기 운전 캐빈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타측에 배치하고,
    상기 변속 조작부는, 상기 조향 조작부보다도 후측에 위치하는 콤바인.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캐빈 내에 있어서, 변속 조작부를, 상기 운전 캐빈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타측에 배치하고,
    상기 변속 조작부의 전방에 전장품 배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프론트 글래스가 상기 전장품 배치부보다도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장품 배치부의 하방에, 상기 공간이 형성되는 콤바인.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캐빈 내에 있어서, 변속 조작부를, 상기 운전 캐빈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타측에 배치하고,
    상기 변속 조작부의 전방에 전장품 배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프론트 글래스가 상기 전장품 배치부 및 상기 조향 조작부보다도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장품 배치부의 하방, 상기 프론트 글래스와 상기 운전 좌석 사이, 및 상기 조향 조작부의 하방으로, 상기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이, 상기 프론트 글래스를 따라 상기 좌우 방향으로 연속되어 있는 콤바인.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캐빈 내에 있어서, 변속 조작부를, 상기 운전 캐빈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타측에 배치하고,
    상기 변속 조작부의 전방에 전장품 배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장품 배치부 및 상기 조향 조작부 사이에, 상기 공간이 형성되는 콤바인.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글래스는 상기 운전 캐빈의 지붕부로부터 상기 운전 캐빈의 바닥면에 달하는 범위에, 또한 상기 운전 캐빈의 바닥면의 전방 모서리보다도 전방측으로 팽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일측의 프론트 필러가 상기 프론트 글래스의 횡측단부 모서리의 형상을 따라, 또한 당해 프론트 필러의 하단부보다 상부측이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조향 조작부의 전단부가 상기 일측의 프론트 필러의 하단부보다 전방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향 조작부가 상기 일측의 프론트 필러에 편측 지지 형상으로 지지되는 콤바인.
KR1020187014433A 2010-09-17 2011-08-25 콤바인 KR1019616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09868A JP5795467B2 (ja) 2010-09-17 2010-09-17 コンバインの脱穀選別構造
JPJP-P-2010-209873 2010-09-17
JP2010209873A JP5486446B2 (ja) 2010-09-17 2010-09-17 コンバインの伝動構造
JPJP-P-2010-209868 2010-09-17
JPJP-P-2010-239952 2010-10-26
JP2010239952A JP5814535B2 (ja) 2010-10-26 2010-10-26 コンバイン
JP2010253189A JP5921063B2 (ja) 2010-11-11 2010-11-11 普通型コンバイン
JPJP-P-2010-253189 2010-11-11
JP2010273828A JP5827005B2 (ja) 2010-12-08 2010-12-08 コンバイン
JPJP-P-2010-273828 2010-12-08
PCT/JP2011/069129 WO2012035945A1 (ja) 2010-09-17 2011-08-25 コンバイン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1659A Division KR20130108994A (ko) 2010-09-17 2011-08-25 콤바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567A KR20180059567A (ko) 2018-06-04
KR101961602B1 true KR101961602B1 (ko) 2019-03-22

Family

ID=4583141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4433A KR101961602B1 (ko) 2010-09-17 2011-08-25 콤바인
KR1020127031659A KR20130108994A (ko) 2010-09-17 2011-08-25 콤바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1659A KR20130108994A (ko) 2010-09-17 2011-08-25 콤바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1961602B1 (ko)
CN (9) CN102958345B (ko)
WO (1) WO20120359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45189A (zh) * 2012-09-15 2013-01-02 侯如升 一种脱粒机的脱粒导料装置
CN109923998B (zh) * 2013-12-03 2022-04-26 株式会社久保田 联合收割机
JP7038468B2 (ja) * 2016-03-28 2022-03-18 株式会社クボタ 自脱型コンバイン
CN110446427B (zh) * 2017-03-30 2022-10-28 洋马动力科技有限公司 联合收割机
JP2019170257A (ja) * 2018-03-28 2019-10-10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JP2019170258A (ja) * 2018-03-28 2019-10-10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CN112609264B (zh) * 2020-12-08 2021-08-27 湖南亚瑞特运动用品有限公司 一种摆动机构及棉花自动弹纺设备
EP4364545A1 (en) * 2022-11-02 2024-05-08 Yanmar Holdings Co., Ltd. Work mach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8815A (ja) 2000-09-19 2002-03-27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用キャブ
JP2006233643A (ja) 2005-02-25 2006-09-07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2008000036A (ja) * 2006-06-20 2008-01-10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2010172237A (ja) * 2009-01-28 2010-08-12 Iseki & Co Ltd 乗用型作業機の操縦部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1836U (ja) * 1982-08-25 1984-02-28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H08156616A (ja) * 1994-12-08 1996-06-18 Kubota Corp 作業車の燃料供給系構造
JP3663747B2 (ja) 1996-06-18 2005-06-22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操縦装置
JPH1075634A (ja) 1996-09-06 1998-03-24 Kubota Corp コンバイン
CN1092920C (zh) * 1997-07-18 2002-10-23 洋马农机株式会社 联合收割机
KR100295865B1 (ko) * 1997-08-25 2001-08-07 미쯔이 고오헤이 콤바인
JPH11318173A (ja) * 1998-05-14 1999-11-24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の防塵構成
CN2347364Y (zh) * 1998-07-15 1999-11-10 青跃光 防陷自走水稻收获机
JP3672446B2 (ja) * 1998-11-05 2005-07-20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JP2002051634A (ja) * 2000-08-10 2002-02-19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穀物排出装置
JP2002253038A (ja) * 2001-03-01 2002-09-10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における穀粒排出用オーガの操作装置
JP2003325023A (ja) * 2002-05-08 2003-11-1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
JP2004201650A (ja) * 2002-12-26 2004-07-22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穀粒貯溜取り出し装置
JP2004283129A (ja) * 2003-03-25 2004-10-14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動農機における表示装置
JP4261962B2 (ja) * 2003-04-04 2009-05-1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の空調装置
JP2004313118A (ja) 2003-04-18 2004-11-11 Seirei Ind Co Ltd コンバインのキャビン装置
JP4090390B2 (ja) * 2003-06-11 2008-05-28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用脱穀機
JP2005065615A (ja) * 2003-08-26 2005-03-17 Seirei Ind Co Ltd コンバインの選別装置
CN1321555C (zh) * 2003-10-24 2007-06-20 井关农机株式会社 联合收割机
JP4566581B2 (ja) * 2004-02-26 2010-10-20 八鹿鉄工株式会社 大豆や蕎麦などの脱穀装置
JP2006271270A (ja) * 2005-03-29 2006-10-12 Kubota Corp 収穫機の運転部構造
JP2007006774A (ja) * 2005-06-30 2007-01-18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穀粒搬送装置
JP4484779B2 (ja) 2005-07-14 2010-06-16 株式会社クボタ 脱穀装置の扱胴構造
JP2007186049A (ja) * 2006-01-12 2007-07-26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動農機
JP2008000029A (ja) * 2006-06-20 2008-01-10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2008104388A (ja) * 2006-10-24 2008-05-08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CN200987282Y (zh) * 2006-12-05 2007-12-12 刘孟阳 小型自走式联合收割机
JP4148978B2 (ja) * 2007-01-11 2008-09-10 株式会社クボタ 脱穀装置
JP4713535B2 (ja) 2007-04-20 2011-06-29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CN201015292Y (zh) * 2007-02-11 2008-02-06 孙秀玲 轮式拖拉机逆行配套的联合收割机
JP4924099B2 (ja) * 2007-02-28 2012-04-25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4971839B2 (ja) * 2007-03-12 2012-07-11 株式会社クボタ 穀粒搬送装置
JP2008245610A (ja) * 2007-03-30 2008-10-16 Kubota Corp コンバイン
JP2009005623A (ja) * 2007-06-28 2009-01-15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JP5022163B2 (ja) * 2007-09-27 2012-09-12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2009159831A (ja) * 2007-12-28 2009-07-23 Kubota Corp 脱穀装置
JP5018551B2 (ja) * 2008-02-28 2012-09-05 井関農機株式会社 穀粒排出装置
JP5022269B2 (ja) * 2008-02-29 2012-09-12 株式会社クボタ 扱胴
CN201167483Y (zh) * 2008-03-04 2008-12-24 中机南方机械股份有限公司 联合收割机卸粮筒机构
JP2010011744A (ja) * 2008-06-30 2010-01-21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CN102656989B (zh) * 2008-09-12 2015-01-28 株式会社久保田 普通型联合收割机
JP2010098966A (ja) 2008-10-22 2010-05-06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JP2010154795A (ja) * 2008-12-26 2010-07-15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JP5628483B2 (ja) * 2009-01-23 2014-11-19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のクラッチ操作装置
CN201571341U (zh) * 2009-09-09 2010-09-08 席玉林 一种与半喂入式联合收割机匹配的自卸式集谷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8815A (ja) 2000-09-19 2002-03-27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用キャブ
JP2006233643A (ja) 2005-02-25 2006-09-07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2008000036A (ja) * 2006-06-20 2008-01-10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2010172237A (ja) * 2009-01-28 2010-08-12 Iseki & Co Ltd 乗用型作業機の操縦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766223B (zh) 2018-05-01
CN105830629B (zh) 2018-08-31
CN105766223A (zh) 2016-07-20
WO2012035945A1 (ja) 2012-03-22
CN105815050A (zh) 2016-08-03
CN105830635B (zh) 2018-08-28
KR20130108994A (ko) 2013-10-07
CN108450155A (zh) 2018-08-28
CN105746093B (zh) 2018-09-14
CN108496566B (zh) 2021-08-24
CN105830635A (zh) 2016-08-10
CN105830629A (zh) 2016-08-10
CN102958345B (zh) 2016-04-27
CN102958345A (zh) 2013-03-06
CN108496566A (zh) 2018-09-07
CN105766238A (zh) 2016-07-20
CN105815050B (zh) 2020-07-10
CN105746093A (zh) 2016-07-13
CN105766238B (zh) 2017-08-08
KR20180059567A (ko) 201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1602B1 (ko) 콤바인
JP4675181B2 (ja) コンバイン
KR101693899B1 (ko) 콤바인
JP2010051287A (ja) コンバイン
KR101671255B1 (ko) 콤바인
JP2014198009A (ja) トウモロコシ収穫機
KR20170053651A (ko) 전간 투입형 콤바인의 탈곡 장치 및 콤바인
JP2011024518A (ja) コンバイン
JP2020195306A (ja) コンバイン
CN109964623B (zh) 联合收割机
KR20180009053A (ko) 콤바인 및 탈곡 장치에 있어서의 채프 시브 구조
JP4037565B2 (ja) コンバインの運転部構造
JP5814862B2 (ja) コンバイン
JP5613470B2 (ja) コンバイン
JP2006230282A (ja) コンバインの操作装置
JP2001190143A (ja) コンバインの伸縮穀粒移送装置
KR20180071953A (ko) 배출 짚 처리 장치 및 배출 짚 절단 장치
JP2012090580A (ja) コンバイン
JP2001275446A (ja) コンバイン
JP2000004642A (ja) コンバイン
JP2010081811A (ja) 脱穀装置の揺動選別構造
JP2004135583A (ja) コンバイン
JP2002065030A (ja) コンバインの防塵カバー
JP2008212122A (ja) コンバイン
JP2003000045A (ja) コンバインの穀粒タンク周辺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