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5865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5865B1
KR100295865B1 KR1019980018350A KR19980018350A KR100295865B1 KR 100295865 B1 KR100295865 B1 KR 100295865B1 KR 1019980018350 A KR1019980018350 A KR 1019980018350A KR 19980018350 A KR19980018350 A KR 19980018350A KR 100295865 B1 KR100295865 B1 KR 100295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traveling
threshing
relative
wo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8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3138A (ko
Inventor
고지 야마가타
마사루 이케다
도모야 마츠바야시
가츠히데 가토
스스무 가쿠다
가즈요시 히라타
시게오 후지타
Original Assignee
미쯔이 고오헤이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27788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38355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35632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7549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36724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31059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36726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7549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36725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283447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 고오헤이,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미쯔이 고오헤이
Publication of KR19990023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5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58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크롤러 주행장치(1)와 운전부(2)와 엔진(4)을 구비한 주행부(A), 및 예취부(a)와 탈곡부(b)와 곡물낟알 수용부(c)를 구비한 작업부(b)로부터 구성된 콤바인에 있어서, 조정감각을 양호하게 유지한 채로, 개선 곡물낟알 수용부(c)에 저장되는 곡물낟알량의 증감에 따라 기체 좌우의 중량 밸런스를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주행부(A)에 대하여 작업부(B)를 기체의 좌우방향으로 상대이동시키는 상대이동기구(15)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주행부에 대하여 작업부를 상대 좌우 이동가능하게 구성한 콤바인에 관한 것이며, 상세히는 운전부와 주행장치를 일체로 함으로서, 조종 감각을 양호하게 유지한 채로 좌우의 중량 밸런스를 개선 가능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취부를 기체에 대하여 좌우이동이 가능하게 하여, 중간 나눔 베기에 적합한 상태와 주위 베기에 적합한 상태의 쌍방의 상태가 얻어지도록한, 가로방향 슬라이드 구조의 예취부를 구비한 콤바인이 알려져 있다(일본 특개평 5-153841호 공보 등).
통상 콤바인에서는 기체의 좌측에 탈곡부가 또한, 기체의 우측에, 곡물탱크 또는 자루 충전용 호퍼등의 곡물낟알 수용부가 위치하기 때문에 예취탈곡작업 주행에 동반하여 탈곡된 곡물낟알이 곡물낟알 수용부에 저장되어, 점차로 기체 우측이 무거워지고 있다. 이 때문에, 예취부가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콤바인 인가 여부에 불구하고, 곡물낟알 수용부에 곡물낟알이 가득찬 상태에서는 무게 중심이 우측으로 기울어진다. 이 때문에, 물기가 있는 논에서는 우측의 크롤러의 가라 앉음이 격심하게 되어 선회하기가 어렵다든가 곧바로 달리기가 어렵다든가 등 주행성능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곡물낟알 수용부의 하중이 변화하더라도, 기체의 좌우 밸런스가 극력 변화하지 않도록 되고 또한 조종성이 개선된 콤바인을 제공하는 점에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측면도,
도 2는 콤바인의 평면도,
도 3a는 작업부가 가장 우측에 접근한 표준위치일 때의 배면도,
도 3b는 작업부가 가장 좌측에 접근한 이동위치 일때의 배면도,
도 4는 주행부와 작업부와의 프레임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주행부와 작업부와의 프레임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주행부의 프레임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작업부의 프레임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주행부와 작업부와의 상대이동기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도 4 내지 7에 도시한 양프레임의 걸어맞춤수단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걸어맞춤수단의 단면 측면도,
도 11는 도 9의 걸어맞춤수단의 정면도,
도 12는 도 3에 도시한 표준위치 및 이동위치의 변형예 1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3에 도시한 표준위치 및 이동위치의 변형예 2를 도시한 도면,
도 14a, 도 14b 및 도 14c는 상대이동기구를 도 8에 도시한 유압실린더 이외의 것으로 구성한 3가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제어블록도,
도 16은 유압실린더 식의 상대이동기구의 작동을 저지하기 위한 잠금기구를 구비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주행부와 작업부와의 프레임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7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 주행부의 프레임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8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 주행부와 작업부와의 상대이동기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9은 잠금기구를 구성하는 네가티브 브레이크의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0은 제2실시예의 제어블록도,
도 21는 잠금기구가 커버부재에 의하여 구성된 제2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이 커버부재의 부착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한 커버부재의 상세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크롤러 주행장치 2: 운전부
4: 엔진 15: 상대이동기구
22, 23: 유압실린더(액츄에이터) 22a, 23a: 실린더통
22A, 23A: 로드 25: 작업프레임
27: 주행프레임 29, 30: 액츄에이터
31, 32, 33: 액츄에이터 34, 35, 36: 액츄에이터
42: 탈곡 검출수단 46, 47: 줄기존재여부센서
a: 예취부 b: 탈곡부
c: 곡물낟알 수용부 A: 주행부
B: 작업부 R: 잠금기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은 청구항 1기재의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의 구성에 의하면, 주행부에 대하여 작업부를 기체의 좌우 방향으로 상대이동 조절가능하므로, 곡물낟알수납부가 무거워져서 좌우 밸런스가 변화하면, 주행부에 대하여 작업부를 상대 가로방향 이동시켜서 그 밸런스 변화를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고, 수용된 곡물낟알량이 다르더라도 좌우 밸런스를 소정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운전부는 주행부와 일체이므로, 작업부의 가로방향 이동의 여하를 막론하고, 운전부와 크롤러의 위치관계가 변하지 않는다. 예를들면, 작업부에 운전부가 일체인 경우에는 작업주행 중에 곡물 탱크내의 곡물낟알저장량이 많아져서, 작업부가 좌로 이동하면 운전부도 좌로 이동하고, 조(條)에 대한 시선이 변화하여 기체가 조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어긋남하였다고 착각할 염려가 있다. 그러나, 본원의 것에서는 작업부가 가로방향 이동하더라도 시선이 변하지 않으므로, 조종감각을 일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가 있고, 운전하기 쉽다. 더하여, 엔진도 주행부에 배열설치하고 있으므로, 엔진과 크롤러 주행장치와의 전동계에 가로방향이동 가능한 구조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종래 대로의 심플한 것으로 끝나게 된다.
따라서, 운전부와 엔진을 크롤러 주행장치와 일체화시킨 주행부에 대하여 작업부를 상대 가로방향 이동시키므로서, 주행 전동계의 복잡화 없이 운전부와 주행 장소의 관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조정하기 쉬운 상태로 하면서, 작업진행에 따라 곡물낟알 수용부측이 무거워지는 것으로 기인한 좌우 밸런스의 변화를 보정할 수 있어서 주행성능이나 조종성을 향상할 수 있는 차체 이동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었다.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곡물낟알 수용부에 저장된 곡물낟알량을 검출가능한 곡물낟알량 검출수단이 구비되어, 이 곡물낟알량 검출수단과 상대이동기구가 연계되어 있으면, 다음의 점에서 유리하다.
곡물낟알량의 증가에 따라 곡물낟알 수용부의 중량이 크게되면, 기체의 좌우 밸런스가 변화한다. 이때에 작업부가 주행부에 대하여 곡물낟알 수용부로부터 떨어지도록 상대이동 함으로서 좌우 밸런스의 보상 기능이 자동적으로 발휘된다. 이 때문에, 예를들면 예취·탈곡 작업중에서도 좌우 밸런스를 같게하거나 우측을 약간 무겁게 하는 등, 소정의 상태로 좌우 밸런스를 유지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더욱더 탈곡부가 작동하고 있는가의 여부를 검출하는 탈곡검출수단이 구비되어, 이 탈곡부가 작동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상대이동기구의 작동이 저지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탈곡 검출수단이 있으면, 주행부에 대하여 작업부의 상대이동은 탈곡부가 작동하고 있을 때, 즉, 회수 곡물낟알량이 변화하는 탈곡작업 중에 가능하게 되고,노상주행중이나 트럭하역대로의 하역중에 곡물낟알량이 변화하지 않고 좌우 밸런스를 보정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상대 이동하지 않는다. 즉, 불필요한 상대이동이 일어나지 않는 점에서 유리하다.
따라서, 좌우 밸런스를 보정할 필요가 있을 때에 상대이동하게 되고, 불필요한 상대이동이 일어나지 않는 세련된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예취부에 예취줄기이 존재할 때에는 주행부에 대하여 작업부가 상대이동하지 않도록 연계되어 있으면, 예취탈곡되는 작업주행중에는 상대이동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더욱더 유리하다. 즉, 작업주행중에 상대이동하여, 기체의 좌우 밸런스가 변화하면, 그 반동에 의하여 조향(操向) 조작이 필요로 되는 경우가 있다. 이 조향 조작일때에, 예취부가 곡식의 세워진 줄기로부터 빠져 버릴 염려가 있으므로, 작업주행중에는 상대이동하지 않도록하여, 그 염려를 해소하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주행부와 작업부의 상대이동은 이미 벤조로부터 다음의 아직 베지않는 조로의 침지(枕地)에서의 선회시나 언로더를 사용한 곡물낟알 배출시 등 좌우 밸런스 변화가 문제로 되지 않을 때 한하여 행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예취부에 예취 줄기이 존재할 때에는 주행부에 대하여 작업부가 상대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예를들면, 예취부에 있어서 줄기의 유무를 검출가능한 줄기 존재여부센서가 콤바인에 구비되고, 이 예취부에 예취 줄기가 존재할 때에는 상대 이동기구의 작동이 저지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좌우 밸런스 변화가 문제로 되지 않는 작업주행 이외 일때에 상대이동하게 되고, 기체가 조로부터 벗어나는 등의 단점이 없는 것으로 할수 있었다.
상기 상대이동기구는 주행부의 주행프레임에 대하여 작업부의 작업프레임을 상대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액츄에이터를 가설함으로서 구성된다.
이 액츄에이터를 주행부와 작업부의 좌우 이동을 행하는 양단 로드형의 유압실린더로서 구성하면 다음 점에서 유리하다. 예를들면, 로드 양단을 작업프레임에 그리고 실린더통을 주행프레임에 각각 연결하면 실린더통이 주행프레임의 일부를 겸하도록 또는 보강하도록 설치할 수가 있다. 즉, 1개의 유압실린더로 좌우 이동수단과 프레임 보강수단의 2종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상대이동기구를 구성하는 유압실린더로 주행부 또는 작업부의 프레임의 강화나 경량화가 도모되는 합리적인 차체 이동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었다.
액츄에이터를 유압실린더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유압실린더의 실린더통에 대한 로드의 상대이동을 저지하는 잠금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압실린더로 상대이동시키는 수단으로는 좌우로 경사진 지면에서 콤바인을 세워두는 경우에는 자중에 의하여 유압실린더로부터 유압회로로 압력이 역으로 작용하고, 누출에 의하여 주행부와 작업부가 어긋나서 움직이든가, 시일부분에서 오일이 쉽게 누출되는 등의 단점이 생길 염려가 있다. 잠금기구를 구비하여 유압실린더의 실린더통에 대한 로드의 상대이동을 저지함으로서, 잠금기구를 작동시키면 유압실린더로부터 압력이 역으로 작용하는 것이 저지되어 상술한 단점이 해소된다.
따라서, 콤바인의 두는 장소가 경사 여하에 불구하고, 누출로 주행부와 작업부가 어긋나서 움직이든가, 시일부분으로 부터 오일이 누출되는 등의 단점을 방지할 수 있어, 유압회로의 보호가 도모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
우선,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에 콤바인의 측면도가 그리고 도 2에 평면도가 각각 도시되고, a는 예취부, b는 탈곡부, c는 곡물낟알 수용부, 1은 크롤러 주행장치, 2는 운전부, 3은 엔진(4)과 미션(24)을 구비한 원동부이다.
예취부(a)는 일으켜 세움장치(5), 예취장치(6), 수직반송장치(7)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기체에 대하여 승강가능하다. 탈곡부(b)는 피드체인(8), 탈곡동체(9)을 구비한 탈곡실(10), 요동선별장치(11), 배고(排藁)커터(12)등을 구비하고 있고, 기체좌측에 탑재되어 있다. 곡물낟알 수용부(c)는 탈곡부(b)로부터 이송되어온 곡물낟알을 저장하는 곡물 탱크(13), 이 곡물탱크(13)에 회수된 곡물낟알을 기체 밖으로 배출하는 언로더(14)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콤바인에서는 크롤러 주행장치(1)와 운전부(2)와 원동부(3)를 구비한 주행부(A)에 대해, 예취부(a)와 탈곡부(b)와 곡물낟알 수용부(c)를 구비한 작업부(B)를 기체 좌우방향으로 상대이동 조절가능한 상대이동기구(15)가 구비되어 있다.
도 1,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행부(A)는 구동스프로킷(16), 긴장전륜(17), 및 복수의 종동륜(18)를 구비한 좌우의 트럭프레임(19, 19)과 이들을 승강기구(20)를 통하여 지지하는 주행기대(21)와, 운전부(2)와 원동부(3)을 탑재 지지하는 주행프레임(27)으로 이루어진다.
도 1, 도 4, 도 5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부(B)는작업프레임(25)에 예취부(a), 탈곡부(b), 저장탱크(13), 연료탱크(26) 등을 탑재지지하여 구성되어 있고, 레일구조를 설비함으로서 주행 프레임(27)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주행부(A)의 주행프레임(27)과 작업부(B)의 작업프레임(25)에 걸쳐서 전부 및 후부에 유압실린더(액츄에이터의 일예)(22, 23)가 가설되어 있다.
후부유압 실린더(23)는 그파이프제 실린더통(23a)의 양단으로부터 피스톤로드(23A)가 관통함과 동시에, 피스톤로드(23A)의 양단이 작업프레임(25) 후부의 좌우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파이프제 실린더통(23a)은 주행프레임(27)을 좌우로 연결하는 부재에 겸용되어 있다. 후부유압실린더(23) 보다도 짧은 전부유압 실린더(22)도 그 파이프제 실린더통(22a)의 양단으로부터 피스톤로드(22A)가 관통함과 동시에, 피스톤로드(22A)의 양단이 작업프레임(25) 전부의 좌우단에 연결되어 있다. 실린더통(22a)은 주행프레임(27)에 고정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4개의 로드(22A, 23A)와 작업프레임(25)은 고무커플링(F)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고무커플링(F)은 고무부(51)와 그 양측의 베이스판(50, 50)으로 이루어지고 한쪽의 베이스판(50)이 로드(22A, 23A)의 일단에 또한 다른 쪽의 베이스판(50)이 작업프레임(25)에 각각 고정된다.
각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22A, 23A)는 유실(22b, 23b)을 형성하기 위한 좌우의 엔드로드(22c, 23c) 끼리를 연결 파이프(22d, 23d)로 연결함으로서 장척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자제어밸브(38)(도 15)에 의하여 유실(22b, 23b)로의 작동유 공급량을 조절함으로서 실린더통(22a, 23a)으로부터 좌우로 돌출하는 피스톤로드(22A, 23A)의 돌출길이가 증감한다. 여기서 피스톤로드(22A, 23A)의 각 외단이 고무커플링(F)을 통하여 작업프레임(25)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각 유압실린더(22, 23)의 전장은 일정하므로, 로드(22A, 23A)의 돌출량이 증감하면, 실린더통(22a, 23a)에 대한 로드(22A,23A)의 상대이동이 일어난다. 실린더통(22a, 23a)은 주행부(A)측의 주행프레임(27)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부 B측의 작업프레임(25)에 고정된 피스톤로드(22A, 23A) 쪽이 실린더통(22a, 23a)으로부터 기체의 좌우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 이 사실로부터 작업프레임(25)이 주행프레임(27)에 대하여 소정범위내에서 좌우로 슬라이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3a는 탈곡부(b)의 좌우판(28)의 좌크롤러(1L)로부터 좌방향으로의 돌출량과, 곡물탱크(13)의 우측판(13a)의 우크롤러(IR)로부터 우방향으로의 돌출량이 거의 같은 상태, 즉, 작업부(B)가 주행부(A)로부터 좌우 수평측으로 소정량 돌출한 표준위치를 도시한다. 도 3b는 이 표준위치로부터 작업부(B)가 주행부(A)에 대하여 곡물낟알 수용부 존재측의 반대측인 좌측으로 가장 이동한 이동위치를 나타낸다. 표준위치와 이동위치에 걸쳐서, 주행부(A)에 대한 작업부(B)의 상대위치를 이동가능한 상대이동기구(15)가 전후부의 유압실린더(22, 23)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표준위치와 이동위치와의 이동거리는 유압실린더(22, 23)의 동작길이에 상당한다.
상대이동기구(15)를 유압실린더로 구성하면, 주행부(A)와 작업부(B)의 좌우의 위치결정을 유압실린더 만으로 담당하게 되므로, 오일이 누출되면 약간씩 위치가 어긋날 염려가 있다. 그래서, 도 5, 도 6 및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주행프레임(27)에 대한 작업프레임(25)의 상대이동을 규제가능한 걸어맞춤 수단(H)이 설치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수단(H)은 주행부(A)와 작업부(B)가 소정의 상대세트 위치로 되면 작용한다. 작업프레임(25)은 주행프레임(27)에 장비된 복수의 경사롤러(52)에 얹혀져 있고, 작업프레임측의 전동면(53)에 대하여 롤러(52)가 구르는 것으로 상대이동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저장탱크(13)가 가장 우로 기울어지는 위치(상기 표준위치)와 가장 좌로 기울어지는 위치(상기 이동위치)의 2위치에 요입부(53a, 53a)가 형성되고, 이 요입부(53a, 53a)에 롤러(52)가 삽입된다. 이와 같이 롤러(52)와 요입부(53a)로 걸어맞춤수단(H)을 구성함으로서 상술한 표준위치와 이동위치와의 양위치에 있어서는 누출 등에 의하여 유압실린더(22, 23)에 의한 위치결정 기능이 불완전하더라도, 걸어맞춤수단(H)의 작동에 의하여, 주행부(a)와 작업부(b)의 상대위치 어긋남이 먼저 생기지 않는다. 즉 걸어맞춤(H)에 의하여 주행부(a)에 대한 작업부(b)의 가로방향 이동에 저항을 부여할 수가 있고, 소정세트 위치에서는 유압실린더(22, 23)와 걸어맞춤수단(H)의 쌍방의 작용으로서, 우선 어긋남 움직임의 염려 없이 주행부(a)와 작업부(b)를 걸림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콤바인은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대이동기구(15)을 움직이기 위한 각종 제어를 행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한 제어장치(37)를 갖고 있다. 제어장치(37)는 곡물탱크(13)에 저장된 곡물낟알량이 증가함에 따라 작업부(B)를 주행부(A)에 대하여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곡물낟알량 검출수단과 상대이동기구(15)를 연계하는 슬라이드 제어수단(C) 및 이 슬라이드 제어수단(C)이 작동하는 자동제어모드와 인위조작에 의하여 주행부(A)에 대하여 작업부(B)를 상대이동 조절하는 수동조종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전환수단(39)을 구비한다. 제어장치(37)에는 곡물탱크(13)에 저장된 곡물낟알량을 검출가능한 중량계(곡물낟알량 검출수단의 일예)(41)도 설치되어 있다.
제어장치(37)에는 전후부의 유압실린더(22, 23)의 유실(22b, 23b)에 공급하는 작동유의 양을 조절하는 전자제어밸브(38), 모드전환 스위치(39)와 전자제어밸브(38)을 조작하기 위한 좌우이동레버(40) 및 저장탱크(13) 하부에 설치된 중량계(41)가 접속되어 있다. 슬라이드 제어수단(C)의 자동제어에 의하여 중량계(41)의 검출중량이 가장 가벼울 때 (곡물낟알이 없을 때)에는 작업부(B)가 가장 우로 기울어진 표준위치로 되고, 중량계(41)의 검출중량이 가장 무거울 때 (곡물낟알이 가득찰 때)에는 작업부(B)가 가장 좌로 기울여진 이동위치로 된다. 그리고, 그 이동위치에 있을 때에 곡물탱크(13)에 곡물낟알이 가득차 있을 때에는 좌우의 크롤러 주행장치(1, 1)에 거의 같은 하중이 작용하도록 좌우 방향에서의 중량 밸런스를 설정하고 있다.
모드전환 스위치(39)를 「자동」으로 전환하면 상술한 슬라이드 제어수단(C)이 작동하여 저장탱크(13)에서의 회수 곡물낟알량에 따라 자동적으로 작업부(B)가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드 된다. 실제의 슬라이드 이동은 밑둥 스위치(46) 및 방향스위치(47) (양자 모두 줄기존재여부센서의 일예)가 함께 OFF일 때, 즉, 수직반송장치(7) 부분에서의 반송줄기이 없고, 또한 예취 대상 줄기가 없을 때(예를들면 침지에서의 선회 후반시, 조맞춤시, 논바닥과 논바닥 사이를 이동주행시)에만 행해진다.
다만, 이때에 탈곡부(b)가 구동상태인 것을 검출하는 후술의 클러치스위치(45)가 OFF로부터 ON으로 전환하면, 슬라이드 제어수단(C)이 작동하는 상태로 되고, 이때의 곡물탱크(13)의 곡물낟알저장량에 따른 위치에 작업부(B)가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그리고, 클러치 스위치(45)가 ON로부터 OFF로 전환하면, 슬라이드 제어수단(C)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로 되고, 예를들면, 작업부(B)가 가장 우로 기울여진 표준위치(수납자제)에 자동적으로 되돌아가도록 된다. 즉, 차체의 좌우 이동이 행해지는 것은 탈곡 스위치(45)가 ON이고 또한 밑둥 스위치(46)가 OFF인 것이 조건으로 되어 있다.
이상에 의하여, 작업주행중의 슬라이드 이동은 일어나지 않으므로, 가로방향이동 관성에 의한 가로방향 요동의 조향 보정을 행하는 것으로 똑바로 달리게 한다라는 여분의 조종조작이 없고, 운전하기 쉬운 것으로 된다. 더욱이 수직 반송장치(7)에 구비되는 밑둥 스위치(46)나 분초구(48)의 부착근 부분에 장비되어 식립줄기에 접촉하여 작용하는 자동조향 제어용의 센서인 방향스위치(47)는 주지하는 것이고,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모드전환 스위치(39)를 「수동」으로 전환하면, 좌우 이동레버(40)의 조작으로 전자제어밸브(38)를 조작가능하게 되고, 작업부(B)를 임의로 수평이동할 수가 있다. 즉, 작업부(B)는 좌우이동레버(40)의 조작위치에 추종하여 이동하도록 하고 있고, 좌우 이동레버(40)를 도 15에 있어서 가장 우측으로 조작하면 표준위치로 이동하고 가장 좌측으로 조작하면 이동위치로 이동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선 포텐쇼미터식등에 의한 스트로크센서(49)가후부유압실린더(23)의 움직임을 검출함으로서 작업부(B)의 주행부(A)에 대한 좌우위치가 제어장치(37)에 피드백된다.
좌우 이동레버(40)는 도 15에 도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중앙이 중립으로 되고, 좌로 경도하면 작업부(B)가 좌로 이동하고 우로 경도하면 우로 이동하는 맞물림 및 해제형으로 좌우 이동레버(40)를 구성하고, 좌우의 레버 경도 조작으로 상대이동기구(15)을 움직여서 중립으로 되돌림으로서 작업부(B)를 의도하는 위치로 조작할 수 있다라는 것도 좋다.
수동조종모드의 사용방법으로서는 예를들면 자동제어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예취 탈곡 작업의 개시전에서는 작업부(B)가 우로 기울여 있지만, 오버행 한 돌기가 있는 좁은 장소를 통과하는 경우에, 모드 변환 스위치(39)를 「수동」으로하여 작업부(B)을 좌로 이동시켜 통과할 수 있게 한다라는 것이 고려된다.
더욱더, 이 콤바인에는 탈곡부(b)가 구동상태인가 여부를 검출하는 탈곡 검출수단(42)이 구비되어 있다. 탈곡제어수단(D)이 제어장치(37)에 설치되고, 자동제어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탈곡부(b)를 구동하고 있을 때에는 슬라이드 제어수단(C)이 작동가능하게 되고, 또한 탈곡부(b)가 작동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슬라이드 제어수단(C)의 작동이 불가능으로 되도록, 슬라이드 제어수단(C)과 모드전환 스위치(39)와 탈곡검출수단(42)을 연계한다.
탈곡검출수단(42)은 탈곡클러치(도시하지 않음)을 맞물림 및 해제 조작하는 탈곡 클러치 레버(44)와 그 레버위치가 「맞물림」으로 되면 작동하는 클러치 스위치(45)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모드전환 스위치(39)가 「자동」으로 전환 조작되어 있는 경우에는 슬라이드 제어수단(C)은 클러치스위치(45)가 「맞물림」이면 작동하고 클러치스위치(45)가 「해제」이면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더하여, 이 콤바인에는 기체가 주행하고 있는가 여부를 검출하는 주행검출수단(43)이 설치되어 있다. 주행제어수단(E)이 제어장치(37)에 구비되어 있어서, 수동조종모드가 선택되어 있을 때에 있어서는 기체가 주행을 정지하고 있을 때에만 상대이동기구(15)가 작동가능하도록, 모드전환스위치(39)와 주행검출수단(43)과 상대이동기구(5)를 연계한다.
즉, 주행검출수단(43)인 속도계(43a)를 제어장치(37)에 접속하고 있고, 모드전환 스위치(39)를「수동」으로 전환조작하고 있을 때에는 속도계(43a)의 검출속도가 제로(혹은 극저속 이하) 일때에는 좌우이동레버(40)을 사용하여 작업부(B)을 수평이동시키는 수동조작이 가능하지만, 속도계(43a)의 검출속도가 제로가 아닌 경우(혹은 극저속 보다 빠른 경우)에는 전자제어밸브(38)을 중립위치에 잠금하는 등하여, 좌우이동 레버(40)를 조작하더라도 상대이동기구(15)가 움직이지 않도록 제어되는 것이다.
(제1실시예의 각 변형예)
슬라이드 제어수단(C)의 작동, 비작동을 결정하는 요소에 대하여는 밑둥스위치(46) 만으로 하고, 밑둥스위치(46)가 ON이면 주행부(A)에 대하여 작업부(B)가 상대이동 불가능으로 되고 밑둥스위치(46)가 OFF이면 주행부(A)에 대하여 작업부(B)가 상대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연계시킨 것도 좋다. 이에 의하면 예취탈곡 작업 주행에서는 침지나 예취 종료후에 있어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슬라이드 제어수단(C)의 작동, 비작동을 결정하는 요소를 클러치스위치(45)만으로 하고, 클러치스위치(45)가 ON이면 주행부(A)에 대하여 작업부(B)가 상대이동 가능하게 되고, 클러치 스위치(45)가 OFF이면 주행부(A)에 대하여 작업부(B)가 상대이동 불가능으로 되도록 연계시킨 것도 좋다. 이에 의하면, 예취탈곡 작업주행중에는 슬라이드 이동하는 상태이고 이동주행중에는 슬라이드 이동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예를들면 논바닥이 비교적 단단한 결이고, 작업 주행중에 있어서 작업부(B)의 약간의 슬라이드 이동이 조향에 거의 영향을 수지 않는 상황일 때 등에 유효하다.
작업부 B을 주행부 A에 대한 이동의 제어로서는 곡물탱크(13)로의 회수 곡물낟알량(또는 중량)이 증가함에 따라 작업부(B)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설정으로 하는 또는 좌우의 크롤러 주행장치(1, 1)의 하중은 항상 같게 되도록 작업부(B)를 이동시키는 설정으로 하는 등, 여러 가지 것이 고려된다. 또 수동 조작으로 작업부(B)을 임의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도 3에 도시하는 슬라이드 가능한 작업부의 표준위치 및 이동위치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도록 설정하여 좋다.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위치에 있어서 곡물탱크(13)의 우측판(13a)의 우크롤러(1R)로부터 우방향으로의 장출양을 상대이동기구(15)를 설치하지 않는 종래 기종에 있어서 우측판(13a)(도 12a의 가상선 참조)의 우크롤러(1R)로 부터의 장출양과 거의 같게 되도록 설정하여도 좋다. 이 경우,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준위치에서는 곡물탱크(13)의 우방향으로의 돌출량이상술한 종래 기종의 경우 보다도 현저하게 되지만, 그 경우에는 탱크내가 빈상태로 되고 좌우 밸런스가 종래 기종의 경우 보다 그다지 악화하지 않는다. 도 12의 예는 대용량 곡물탱크을 구비하는 콤바인에 특히 적합하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곡물탱크(13)의 우측판(13a)을 슬라이드 구조 등에 의하여 우방향으로 장출변위 가능하게 구성하여도 좋다. 도 1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준위치에서는 우측판(13a)이 가장 기체 내측으로 퇴입(退入)한다. 도 13b에 도시하는 이동위치에 있을 때에 가장 곡물탱크(13)가 장출하지만, 그때의 우측판(13a)의 위치는 표준위치 일때와 같게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우측판(13a)의 주행부(A)에 대한 좌우 방향위치가 작업부(B)의 슬라이드 이동의 여하에도 불구하고 표준위치에 있을 때의 위치에 유지되도록 우측판(13a)을 곡물탱크(13) 본체에 대하여 좌우 이동시키는 좌우 이동기구(도시하지 않음)와 전후부의 유압실린더(22, 23)를 연계시켜도 좋다.
상대이동기구(15)을 구성하는 액츄에이터로서는 유압실린더(22, 23) 대신에 도 14a, 도 14b, 도 14c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구성하여도 좋다.
도 14a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전동모터(29)와 나사이동기구(30)를 액츄에이터로서, 전동실린더 구조의 상대 가로방향 이동기구(15)로 하여도 좋다. 이 전동실린더(15)는 작업부(B)로서의 좌우방향에서의 무게중심위치의 바로 아래에 가까이하여 배치하여 있고, 극력 가벼운 힘으로 효율좋게 움직이도록 하고 있다.
도 1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프레임(25)의 좌우에 연결한 와이어(31)와, 이 와이어(31)의 좌우중간부를 한번 감는 롤러(32)와, 주행프레임(27)에 부착된 구동모터(33)로 상대 가로방향 이동기구(15)(의 액츄에이터)를 구성하여도 좋다. 이 예에서도, 구동모터(33)을 작업부(B)의 좌우방향에서의 무게중심 위치의 바로 아래에 배치하여 있는 것이 좋다.
도 14c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작업프레임(25)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래크(34)을 부착하고, 이 래크(34)에 맞물리는 피니온(35)을 구비한 전동모터(36)을 주행프레임(27)에 부착한 래크 또는 피니온 구조의 상대 수평 이동기구(15)(의 액츄에이터)로 하여도 좋다.
(제2실시예)
다음에 도 16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18,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23)에 있어서 실린더통(22a)에 대한 로드(23A)의 상대이동을 기계적으로 저지 가능한 잠금기구(R)가 구비되어 있다. 잠금기구(R)는 브레이크 패널(55)에 장비된 브레이크 캠(57)과 앵커핀(58)에 걸쳐서 가설된 한쌍의 브레이크 슈(54), 브레이크캠(57)의 캠축(57a)에 작용하여 회전운동 조작하는 기어드모터(56) 등으로 구성된다. 각 브레이크슈(54)의 내경측에는 유압실린더(23)의 피스톤 로드(23A) 외주에 미끄럼 접촉 가능한 슈라이닝(54a)이 첨착된다.
브레이크 패널(55)은 브레이크캠(57)을 회전운동 자유로이 지지함과 동시에 앵커핀(58)을 고정상태에서 세워지지한다. 브레이크 패널(55)은 실린더통(23a)에 외부에서 끼워져서 볼트 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한쌍의 브레이크슈(54, 54)는앵커핀 측과 브레이크 캠측의 쌍방에 있어서 슈(54)을 끼고 한쌍씩 합계 4개를 구비한 스프링(60)에 의하여 끌어당겨 가압되어 있다.
타원형의 캠(57)과 브레이크슈(54)의 피가압면(54b)이 평행으로 되는 비접촉상태[도 9a]에서는 4개의 스프링(60)의 작용에 의하여 한쌍의 슈라이닝(54a, 54a)이 로드(23A) 외주에 강하게 접촉하여, 실린더통(22a)에 대한 로드(23A)의 상대이동을 저지하는 잠금상태로 된다.
브레이크캠(57)은 기어드모터(56)에 의하여 구동된다. 기어드모터(56)는 브레이크패널(55)에 부착되어, 모터(56)의 출력기어(도시하지 않음)의 축 구멍에 캠축(57a)이 3각 톱니 세레이션(serration)등의 수단에 의하여 일체 회전운동상태로 끼워맞춤된다.
도 9a에 도시하는 잠금상태에 있어서 기어드모터(56)가 통전되면, 스프링(60)의 가압력에 맞서서 캠(57)이 회전운동하여 1쌍의 브레이크슈(54, 54)을 외경방향으로 펴서 넓히므로, 슈라이닝(54a, 54a)과 로드(23A) 외주와의 접촉이 차단되어 잠금해제 상태로 되고, 실린더통(22a)에 대한 로드(23A)의 상대이동을 허용하는 상태(도 9b 상태)로 된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대이동기구(15)을 움직이기 위한 각종 제어가 행해지도록 제어회로를 설치하고 있다. 더구나 제1실시예와 공통하는 부분은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장치(37)에는 기어드모터(56)와 엔진(4)의 이그니션스위치(61)가 접속되어, 엔진(4)이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유압실린더(23)을 자유롭게 움직이게 하는 잠금해제 상태가 자동적으로 현출되어, 엔진(4)이 정지하면 실린더통(23a)에 대한 로드(23A)의 상대이동, 즉 주행부(A)에 대한 작업부(B)의 상대이동이 불가능으로 되는 잠금상태가 자동적으로 나타난다. 즉, 잠금기구(R)는 비작동상태로 실린더통(23a)에 대한 로드(23A)의 상대이동을 저지하고, 작동상태에서 실린더통(23a)에 대한 로드(23A)의 상대이동을 허용하는 네가티브 브레이크(잠금기구의 비작동상태가 브레이크의 제동작용상태와 대응하는)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어드모터(56)는 유압실린더(22, 23)중 장척인 실린더(23)만으로, 또한 실린더통(23a)의 일단에만 설치된다. 도 18에서 실린더(23)중 기어드모터(56)가 있는 측의 절반만으로 착안하면, 작업프레임(25)에는 유압실린더(23)가 가장 신장된 상태(여기서는 도 18 상측의 로드(23a)가 최대한 돌출한 상태)를 검출 가능한 최신 검출스위치(62)와 가장 축소된 상태(이 로드 23a가 최대한으로 퇴각한 상태)를 검출가능한 최단 검출스위치(63)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스위치(62, 63)는 제어장치(37)에 접속되므로서 경보장치(68)와 연동가능하다. 실린더통(23a)에 부착된 작동편(64)의 접촉맞닿음에 의하여, 작업부(B)가 주행부(A)에 대하여 가장 좌로 기울어진 이동위치에 있을 때, 즉, 최신검출 스위치(62)가 ON이고 또한 최단검출스위치(63)가 OFF인 상태일 때에 엔진(4)을 정지하면, 「차체가 슬라이드하고 있읍니다」라는 전자음성, 혹은 경보음 등의 주의신호가 경보장치(68)로부터 나와서, 조종자에게 슬라이드 상태인 것을 알린다(도 20참조).
이 이동위치에 있는 상태나 표준위치의 것인 최단검출 스위치(63)가 ON이고, 또한 최신검출스위치(62)가 OFF로 되는 상태를 조종패널의 램프 등으로 조종자에표시하도록하면 차체의 이동상황을 확인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예를들면, 예취 탈곡작업을 마치고 곡물탱크(13)가 가득차서 작업부(B)가 가장 좌로 기울어진 이동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논바닥으로부터 나와 그 상태에서 일단 콤바인을 멈추고 주차한다. 그 정차로부터 잠시 지난후 다시 이동주행할 때에는 역시 작업부(B)는 이동위치에 있지만, 그때에 조종자가 표준위치에 있다고 착각하여 운전을 재개하면, 기체 좌단이 벽에 접촉하는 등, 주변물과 접촉할 염려가 있다.
이와같은 사태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차하기 위하여 엔진을 멈추었을 때, 및 재주행하기 위하여 이그니션 스위치(61)을 ON하였을 때에는 상술의 주의신호가 나와서 조종자에 깨닫게할수 있으면 편리하다.
또, 모드전환 스위치(39)가 「자동」모드에 있을 때에도, 이동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엔진(4)을 정지하면 경보가 나오므로, 이동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언로더(14)에서 벼를 배출한 후에, 재엔진 시동에서 갑자기 작업부(B)가 표준위치에서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는 것을 미리 인식할 수 있는 점에서도 편리하다. 이 경우에는 경보장치(68)가 차체의 가로방향 이동의 확인용 모니터로 되는 것이다.
도 21 및 도 22는 제2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변형예에서는 잠금기구(R)가 커버부재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유압실린더(23)이 좌우의 로드의 선단부인 고무커플링(F)의 로드측 베이스판(50)의 각각에 단면 U자상의 로드커버(커버부재의 일예)(66)를 지지점(P)에서 피벗지지 하고 있다. 이 로드커버(66)을 지지점 P에서 로드측으로 요동하면, 유압실린더(23)의 단축운동을 저지 가능하게 되도록 로드측 베이스판(50)과 로드측의 실린더 동단면(22e) 사이에 끼워넣기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로드 커버(66)의 좌우치수는 그 끼워넣기가 유압실린더(23)의 최대신장 상태에서만 가능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로드커버(66)의 실린더 동측단에는 조작로드(67)가 연결되어 있다. 도 21b, 도 22b는 실린더통(23a)이 로드커버(66)의 내측에 파고들어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한 통상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 통상위치에 있어서는 유압실린더(23)가 최대신장 상태이다. 이때에 조작로드(67)를 조작하여 로드커버(66)를 압입하면, 실린더 통측의 커버단(66a)이 꼭 실린더 통단면(22e)에 밀착하는 상태로 꼭 끼워지고, 유압실린더(23)의 단축운동을 할수 없도록 잠금된다.
이 로드커버(66)는 좌우의 로드(23A) 각각에 장비되어 있으므로, 표준위치와 이동위치의 2위치에 있어서 주행부(A)에 대한 작업부(B)의 상대이동을 저지가능하게 한다. 로드커버(66)는 소위, 최대신장과 최대축소의 2위치에 있어서 유압실린더(23)을 움직이지 않도록 멈추는 브레이크로서 잠금기구(R)가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크롤러 주행장치(1)와 운전부(2)와 엔진(4)을 구비한 주행부(A), 및 예취부(a)와 탈곡부(b)와 곡물낟알 수용부(c)를 구비한 작업부(b)로부터 구성된 콤바인에 있어서, 주행부(A)에 대하여 작업부(B)를 기체의 좌우방향으로 상대이동시키는 상대이동기구(15)가 설치되어 조정감각을 양호하게 유지한 채로, 개선 곡물낟알 수용부(c)에 저장되는 곡물낟알량의 증감에 따라 기체 좌우의 중량 밸런스를 양호하게 한다.

Claims (6)

  1. 크롤러 주행장치(1)와 운전부(2)와 엔진(4)을 구비한 주행부(A); 및
    예취부(a)와 탈곡부(b)와 곡물낟알 수용부(c)를 구비한 작업부(B);
    로 구성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A)에 대하여 상기 작업부(B)를 기체의 좌우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는 상대이동기구(15)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낟알 수용부(c)에 저장된 곡물낟알량을 검출가능한 곡물낟알량 검출수단(41)이 구비되고, 또한 곡물낟알량 검출수단(41)이 검출한 곡물낟알량의 증가에 따라 상기 작업부(B)가 상기 곡물낟알 수용부(c)로부터 떨어지도록 상기 곡물낟알량 검출수단(41)과 상기 상대이동기구(15)가 연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부(b)가 작동하고 있는가의 여부를 검출하는 탈곡검출수단(42)이 구비되고, 이 탈곡부(b)가 작동하고 있지 않는 때에는 상기 상대이동기구(15)의 작동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부(a)에 있어서 줄기의 유무를 검출가능한 줄기존재여부센서(46, 47)가 구비되고, 이 예취부(a)에 예취줄기가 존재할 때에는 상기 상대이동기구(15)의 작동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이동기구(15)가 상기 주행부(A)의 주행프레임(27)에 대하여 상기 작업부(B)의 작업프레임(25)을 상대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액츄에이터(22, 23; 29, 30; 31, 32, 33; 34, 35, 36)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주행 프레임(27)과 상기 작업 프레임(25)에 걸쳐서 가설되는 유압실린더(22, 23)이고, 또한, 이 유압실린더(22, 23)의 실린더통(22a, 23a)에 대한 로드(22A, 23A)의 상대이동을 저지하는 잠금기구(R)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19980018350A 1997-08-25 1998-05-21 콤바인 KR1002958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778897A JP3383554B2 (ja) 1997-08-25 1997-08-25 コンバインの車体移動装置
JP97-227788 1997-08-25
JP97-235632 1997-09-01
JP23563297A JPH1175491A (ja) 1997-09-01 1997-09-01 コンバインの車体移動装置
JP97-236725 1997-09-02
JP97-236726 1997-09-02
JP23672497A JP3310591B2 (ja) 1997-09-02 1997-09-02 コンバインの車体移動装置
JP23672697A JPH1175494A (ja) 1997-09-02 1997-09-02 コンバインの車体移動装置
JP23672597A JP3283447B2 (ja) 1997-09-02 1997-09-02 コンバインの車体移動装置
JP97-236724 1997-09-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138A KR19990023138A (ko) 1999-03-25
KR100295865B1 true KR100295865B1 (ko) 2001-08-07

Family

ID=27529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350A KR100295865B1 (ko) 1997-08-25 1998-05-21 콤바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295865B1 (ko)
CN (1) CN1078806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96566A (zh) * 2010-09-17 2018-09-07 株式会社久保田 联合收割机
KR102535507B1 (ko) 2022-12-26 2023-05-30 주식회사 테스 한글 및 수학 연계 학습 교구를 포함하는 트리플 n 스터디 세트 및 이를 활용한 한글 및 수학 연계 학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5357B2 (ja) * 2007-07-10 2011-04-20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CN102550218A (zh) * 2011-12-07 2012-07-11 江苏沃得农业机械有限公司 收割机割台升高锁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588B2 (ko) * 1974-11-06 1986-03-07 Nippon Electric Co
DE3227975A1 (de) * 1982-07-27 1984-02-09 Claas Ohg, 4834 Harsewinkel Selbstfahrender maehdrescher
DE4127189C2 (de) * 1991-08-19 2001-08-16 Gustav Schumacher Steuereinrichtung für eine pendelnd gelagerte Baugruppe an einer landwirtschaftlichen Maschi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96566A (zh) * 2010-09-17 2018-09-07 株式会社久保田 联合收割机
KR102535507B1 (ko) 2022-12-26 2023-05-30 주식회사 테스 한글 및 수학 연계 학습 교구를 포함하는 트리플 n 스터디 세트 및 이를 활용한 한글 및 수학 연계 학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138A (ko) 1999-03-25
CN1078806C (zh) 2002-02-06
CN1210665A (zh) 1999-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01197C (zh) 作业车的负荷控制结构和方法
KR102050679B1 (ko) 작업 차량
JP2007224511A (ja) ローダ型作業機械のバケット姿勢制御装置
EP3219542B1 (en) Transportation vehicle
KR100295865B1 (ko) 콤바인
JP2011050343A (ja) 乗用型田植機
JP2008253231A (ja) 走行車体
JP2008296880A (ja) 走行車両
KR102039282B1 (ko) 작업차량
JPH1175494A (ja) コンバインの車体移動装置
JP5504642B2 (ja) 農作業機
JPH1128944A (ja) 刈取収穫機の変速操作装置
JP6910989B2 (ja) 作業車両
JP2010076644A (ja) トラクタの操舵装置
JP3310591B2 (ja) コンバインの車体移動装置
JP2861145B2 (ja) コンバイン等の姿勢制御装置
JP2024077990A (ja) 作業車
JP4906099B2 (ja) コンバイン
JP3283447B2 (ja) コンバインの車体移動装置
JPH0637647Y2 (ja) コンバインの穀粒タンク装置
JP3478948B2 (ja) コンバインの変速操作装置
JPH03232414A (ja) 移動農機の走行姿勢制御方式
JP2008278797A (ja) 芝刈機
JPH09188279A (ja) コンバインのクローラ走行装置
JPH06245612A (ja) 乗用田植機における植付部のローリング制御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