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933B1 -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 및 백 도어의 접착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 및 백 도어의 접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933B1
KR101787933B1 KR1020167015311A KR20167015311A KR101787933B1 KR 101787933 B1 KR101787933 B1 KR 101787933B1 KR 1020167015311 A KR1020167015311 A KR 1020167015311A KR 20167015311 A KR20167015311 A KR 20167015311A KR 101787933 B1 KR101787933 B1 KR 101787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nel
adhesive
door
adhesi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5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4441A (ko
Inventor
무츠미 가와시마
미호 미즈코시
야스유키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60084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1/00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sticking or pressing them together, e.g. cold pressure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60J5/10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constructional details, e.g. about door frame, panels, materials used,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10Registration, licensing, or like devices
    • B60R13/105Licence- or registration plates, provided with mounting means, e.g. frames, holders, retainers, bra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1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characterised by combining metal and synthetic material
    • B62D29/005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characterised by combining metal and synthetic material preformed metal and synthetic material elements being joined together, e.g. by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4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synthetic material
    • B62D29/048Connections therefor, e.g.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Abstract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가, 패널의 형상으로 수지로 형성된 제 1 부재로서, 상기 제 1 부재의 표면의 다른 부분의 곡률에 대해서 분단된 각부에 의해 능선이 형성된, 상기 제 1 부재; 상기 제 1 부재보다 더 작은 열팽창계수를 갖는 수지 또는 금속으로 패널의 형상으로 형성된 제 2 부재;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를 서로 접착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부재의 외연측에 제공되는 외측 접착부; 및 상기 제 1 부재의 면 방향에서 상기 외측 접착부의 내측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를 서로 접착시키는 내측 접착부로서, 상기 외측 접착부의 근방에 있는 복수의 정상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정상부가 차량 외측에서 볼 때 상기 능선과 중첩되는, 상기 내측 접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 및 백 도어의 접착 구조{BONDING STRUCTURE OF VEHICLE MEMBERS AND BONDING STRUCTURE OF BACKDOOR}
본 발명은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 및 백 도어의 접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245759 (JP 2007-245759 A) 에는, 수지제 이너 패널과 수지제 아우터 패널의 외연부들을 접착제로 서로 접착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73086 (JP 2009-173086 A) 에는, 수지제 이너 패널 및 수지제 아우터 패널의 어느 하나의 외연부에 오목 홈이 제공된다. 오목 홈 내에 접착제를 충전시키고 그 접착제를 통해 이너 패널과 아우터 패널을 서로 접착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선행 기술에는, 아우터 패널 (제 1 부재) 및 이너 패널 (제 2 부재) 이 수지로 제조된다는 것만 설명되어 있다. 따라서, 아우터 패널과 이너 패널에 대해 열팽창계수가 다른 재료가 이용되는 경우, 이 패널들을 서로 접착시키면, 열팽창계수가 큰 패널 측에서 열변형이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이한 열팽창계수를 각각 갖는 부재들이 서로 접착되더라도 열팽창계수가 큰 부재 측에서 발생하는 열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 및 백 도어의 접착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는, 패널의 형상으로 수지로 형성된 제 1 부재로서, 상기 제 1 부재의 표면의 다른 부분의 곡률에 대해서 분단된 각부 (angular portion) 에 의해 능선이 형성된, 상기 제 1 부재; 상기 제 1 부재보다 더 작은 열팽창계수를 갖는 수지 또는 금속으로 패널의 형상으로 형성된 제 2 부재;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를 서로 접착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부재의 외연측에 제공되는 외측 접착부; 및 상기 제 1 부재의 면 방향에서 상기 외측 접착부의 내측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를 서로 접착시키는 내측 접착부로서, 상기 외측 접착부의 근방에 있는 복수의 정상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정상부가 차량 외측에서 볼 때 상기 능선과 중첩되는, 상기 내측 접착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양태에 따르면, 수지로 형성된 패널형 제 1 부재의 표면에는 그 표면의 다른 부분의 곡률에 대해서 분단된 각부에 의해 능선이 형성된다. 제 1 부재보다 더 작은 열팽창계수를 갖는 수지 또는 금속으로 형성된 패널형 제 2 부재 및 제 1 부재는 외측 접착부 및 내측 접착부를 통해 서로 접착된다.
외측 접착부는 제 1 부재의 외연측에 제공되고, 제 1 부재의 면 방향에서 외측 접착부의 내측에 내측 접착부가 제공된다. 여기서, 내측 접착부에서 외측 접착부의 근방에 있는 복수의 정상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정상부는 차량 외측에서 볼 때 제 1 부재의 표면에 형성된 능선과 중첩되도록 설정된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디자인 표면에는, 상이한 곡률을 각각 갖는 곡면들이 매끄러운 곡면 (이른바 일반면) 을 형성하도록 서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매끄러운 곡면을 분단하도록 형성된 각부 (이른바 캐릭터 라인 등) 는 일반부 (일반면이 형성된 부분) 보다 더 높은 강성을 갖는다. 따라서, 제 1 부재에 각부로부터 유래하는 능선을 형성함으로써, 제 1 부재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제 1 부재에서 열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내측 접착부에서 외측 접착부의 근방에 있는 정상부에서, 상이한 방향들에서의 열변형들이 복합되어서, 열변형에 기인한 임의의 변형부가 다른 부분보다 더 뚜렷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외측에서 볼 때 정상부를 제 1 부재에 형성된 능선과 중첩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열변형에 기인한 변형부를 뚜렷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는, 상이한 열팽창계수를 각각 갖는 부재들을 함께 접착시켜도 열팽창계수가 큰 부재 측에서 발생하는 열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전술한 양태에 있어서, 내측 접착부는 복수의 직선형 또는 곡선형 접착 라인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정상부는 접착 라인들을 서로 연결하는 접속부일 수도 있다.
전술한 양태에 있어서, 내측 접착부는 복수의 직선형 또는 곡선형 접착 라인들을 포함한다. 즉, 내측 접착부가 복수의 직선형 접착 라인들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곡선형 접착 라인들로 구성되는 경우, 그리고 직선형 접착 라인들과 곡선형 접착 라인들로 구성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면, 이러한 접착 라인에 의해, 내측 접착부가 복수의 접착부로 단속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제 1 부재와 제 2 부재 사이의 접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측 접착부의 근방에 있는 정상부는 접착 라인들을 서로 연결하는 접속부이다. 복수의 접착 라인들이 서로 연결되는 접속부에서는, 상이한 방향들의 열변형들이 복합되어서, 열변형에 기인한 임의의 변형부가 다른 부분보다 더 뚜렷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외측에서 볼 때 접속부를 제 1 부재에 형성된 능선과 중첩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열변형에 기인한 변형부를 뚜렷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전술한 양태에 따른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는 내측 접착부가 복수의 접착부로 단속적으로 형성된 경우에 비해 제 1 부재와 제 2 부재 사이의 접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전술한 양태에 있어서, 접착 라인들은 제 1 부재의 면 방향에서 외측 접착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 1 부재에서 열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제 1 부재는 외측 접착부 및 내측 접착부에 의해 구속되기 때문에, 외측 접착부와 내측 접착부 사이에서 열변형이 발생한다. 따라서, 외측 접착부와 내측 접착부가 제 1 부재의 면 방향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경우, 열변형에 기인한 변형부는 외측 접착부와 내측 접착부 사이에서 외측 접착부 및 내측 접착부를 따라 거의 동일한 변형량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열변형에 기인한 변형부가 뚜렷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양태에서, 접착 라인들은 제 1 부재의 면 방향에서 외측 접착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공된다. 그 결과, 외측 접착부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 1 부재를 절단하는 때에 나타나는 단면 위치가 변경되면, 외측 접착부와 내측 접착부 사이의 거리가 달라진다. 즉, 외측 접착부와 내측 접착부 사이에서 발생하는 열변형에 기인한 변형량은 제 1 부재의 단면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양태에 따른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는, 제 1 부재의 단면 위치에 따라 외측 접착부와 내측 접착부 사이에서 발생하는 열변형에 기인한 변형량을 변경함으로써, 열변형에 기인한 변형부를 뚜렷하지 않게 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전술한 양태에 있어서, 능선은 차량 외측에서 볼 때 외측 접착부와 내측 접착부 사이에 제공될 수도 있고, 내측 접착부는 능선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부재에서 열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외측 접착부와 내측 접착부 사이에 열변형이 발생한다. 따라서, 전술한 양태에 있어서, 능선은 차량 외측에서 볼 때 외측 접착부와 내측 접착부 사이에 제공되고, 내측 접착부는 능선을 따라 형성된다. 그 결과, 열변형에 기인한 변형부를 뚜렷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전술한 양태에 따른 백 도어의 접착 구조는, 열변형에 기인한 변형부를 차량 후면도에서 캐릭터 라인과 중첩시킴으로써, 변형부를 뚜렷하지 않게 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전술한 양태에 있어서, 내측 접착부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양태에 있어서, 내측 접착부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능선의 형상에 상응하게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양태에 따른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는, 열변형이 용이하게 발생하는 범위를 제어함으로써, 열변형에 기인한 변형부를 차량 후면도에서 캐릭터 라인과 중첩시켜서 변형부를 뚜렷하지 않게 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전술한 양태에 있어서, 접착 라인들은 곡선을 구성할 수도 있고, 상기 곡선은 외측 접착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양태에서 곡선이 외측 접착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곡선과 외측 접착부 사이의 거리가 증가한다. 그 결과, 열변형에 기인한 변형량을 줄일 수 있다.
전술한 양태에 따른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는, 곡선과 외측 접착부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도록 곡선을 형성함으로써, 열변형에 기인한 변형량을 줄일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전술한 양태에 있어서, 접착 라인들은 곡선을 구성할 수도 있고, 상기 곡선은 외측 접착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확장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양태에서, 곡선은 외측 접착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확장되게 형성되어서, 내측 접착부가 제공되는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제 1 부재와 제 2 부재 사이의 접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양태에 따른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는, 내측 접착부가 제공되는 범위를 증가시킴으로써, 제 1 부재와 제 2 부재 사이의 접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전술한 양태에 있어서, 내측 접착부는 외측 접착부 측으로 확장되는 제 1 곡선과 상기 제 1 곡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확장되는 제 2 곡선의 단부들이 접속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양태에서, 내측 접착부는 제 1 곡선과 제 2 곡선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된다. 그 결과, 내측 접착부가 마름모꼴 형상으로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접착부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써 제 1 부재와 제 2 부재 사이의 접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양태에 따른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는 내측 접착부가 마름모꼴 형상으로 직선형으로 형성된 경우에 비해 접착부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고 제 1 부재와 제 2 부재 사이의 접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전술한 양태에 있어서, 정상부들 중, 차량 외측에서 볼 때 정상부가 번호판과 중첩되는 위치에 다른 제 1 정상부가 제공될 수도 있다.
내측 접착부에서 외측 접착부의 근방에 있는 정상부에서는, 열변형에 기인한 변형부가 다른 부분보다 더 뚜렷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양태에서, 차량 외측에서 볼 때 능선과 중첩되는 정상부들 이외의 다른 제 1 정상부가 차량 외측에서 볼 때 번호판과 중첩되도록 설정되고, 이로써 열변형에 기인한 변형부를 숨길 수 있다.
전술한 양태에 따른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는 열변형에 기인한 변형부를 번호판으로 숨길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전술한 양태에 있어서, 정상부들 중, 차량 외측에서 볼 때 정상부가 엠블럼과 중첩되는 위치에 다른 제 2 정상부가 제공될 수도 있다.
내측 접착부에서 외측 접착부의 근방에 있는 정상부에서는, 열변형에 기인한 변형부가 다른 부분보다 더 뚜렷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양태에서, 차량 외측에서 볼 때 능선과 중첩되는 정상부들 이외의 다른 제 2 정상부가 차량 외측에서 볼 때 엠블럼과 중첩되도록 설정되고, 이로써 열변형에 기인한 변형부를 숨길 수 있다.
전술한 양태에 따른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는 열변형에 기인한 변형 부위를 엠블럼으로 숨길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백 도어의 접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백 도어의 접착 구조는, 백 도어의 아우터 패널을 구성하는 도어 아우터 패널; 및 상기 도어 아우터 패널의 차량 객실 측에 배치되고 상기 백 도어의 이너 패널을 구성하는 도어 이너 패널을 포함한다. 도어 아우터 패널은 전술한 양태의 어느 하나에 따른 제 1 부재이고, 도어 이너 패널은 전술한 양태의 어느 하나에 따른 제 2 부재이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백 도어의 접착 구조는, 백 도어의 적어도 도어 아우터 패널이 수지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모범적인 실시형태들의 특징, 이점 그리고 기술적 및 산업적 중요성이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고, 첨부 도면에서 유사한 도면부호는 유사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가 적용된 백 도어를 갖는 차량의 왼쪽 경사 후방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a 는 도 1 의 선 ⅡA-ⅡA 를 따라 백 도어를 절단했을 때의 종단면도이다.
도 2b 는 도 1 의 선 ⅡB-ⅡB 를 따라 백 도어를 절단했을 때의 종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4 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의 제 1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 3 에 상당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5 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의 제 2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 3 에 상당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6 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의 제 3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 3 에 상당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7 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의 제 4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 3 에 상당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8 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의 제 5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 3 에 상당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9 는 비교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 은 비교예를 보여주는, 도 3 에 상당하는 확대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더욱이, 이 도면에 있어서, 적절히 나타내는 화살표 FR 은 차량의 전방을 나타내고, 화살표 UP 는 차량의 상방을 나타내며, 화살표 W 는 차량 폭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 OUT 는 차량의 바깥쪽을 각각 나타낸다.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의 구성)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가 적용된 백 도어를 갖는 차량의 왼쪽 경사 후방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것처럼, 차량 (10) 의 후단부에 도어 개구부 (12) 가 형성되어 있고, 도어 개구부 (12) 의 상연부에 도어 힌지 (도시 생략) 가 제공되어 있다. 이 도어 힌지에 의해,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가 적용된 백 도어 (14) 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서, 도어 개구부 (12) 는 백 도어 (14) 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또한, 백 도어 (14) 의 상부에는 백 도어 글라스 (16) 가 부착되어 있다.
도 2a 는 백 도어 (14) 의 하부 중앙에 있어서 차량의 상하방향 (도 1 의 선 ⅡA-ⅡA) 을 따라 백 도어를 절단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 2b 는 백 도어 (14) 의 하부에서의 차량 폭방향 좌측에서 차량의 상하방향 (도 1 의 ⅡB-ⅡB선) 을 따라 백 도어를 절단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 2a 및 도 2b 에 도시된 것처럼, 백 도어 (14) 는, 도어 이너 패널 (22) 의 차량 외부 (20) 측에 배치되고 백 도어 (14) 의 외부 패널을 구성하는 제 1 부재로서의 도어 아우터 패널 (24), 및 차량 객실 (18) 의 내측에 배치되고 백 도어 (14) 의 내부 패널을 구성하는 제 2 부재로서의 도어 이너 패널 (22) 을 포함한다.
도어 이너 패널 (22) 은 탄소섬유-강화 수지 (CFRP) 과 같은 섬유-강화 수지로 형성된다. 한편, 도어 아우터 패널 (24) 은 섬유-강화 수지보다 열팽창계수가 더 큰 재료로 형성된다. 예컨대, TSOP (Toyota Super Olefin Polymer (등록상표): 주로 PP 와 EPDM 으로 구성된 열가소성 수지)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 예컨대 도어 이너 패널 (22) 에 대해 선팽창계수가 0.5 × 10-5 m/℃ 인 재료가 사용되고, 도어 아우터 패널 (24) 에 대해 선팽창계수가 6.0 × 10-5 m/℃ 인 재료가 사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예컨대 도어 이너 패널 (22) 은 차량 후면도에서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어 아우터 패널 (24) 은 도어 이너 패널 (22) 의 표면을 덮도록 차량 후면도에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고, 도어 아우터 패널 (24) 은 도어 이너 패널 (22) 에 접착 (고정) 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도어 아우터 패널 (24) 의 외연부에는 외측 접착부 (26) 가 제공되어 있고, 도어 아우터 패널 (24) 의 면 방향으로 외측 접착부 (26) 의 내측에 내측 접착부 (30) 이 제공되어 있다. 그리고, 외측 접착부 (26) 을 구성하는 접착제 (26A) 및 내측 접착부 (30) 를 구성하는 접착제 (30A) 를 통해 도어 이너 패널 (22) 과 도어 아우터 패널 (24) 은 서로 접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외측 접착부 (26) 및 내측 접착부 (30) 의 도포면이 평평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어 이너 패널 (22) 또는 도어 아우터 패널 (24) 에 있어서 외측 접착부 (26) 및 내측 접착부 (30) 의 도포면에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디자인 관점을 고려하여, 홈부는 도어 이너 패널 (22) 측에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백 도어 글라스 (16) 의 하부측에는 차량 전후방향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는 페디스털 (34) 이 차량 폭방향에서 도어 아우터 패널 (24) 의 전체 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차량 폭방향에서 페디스털 (34) 의 중앙부에는 엠블럼 (36) 이 제공되어 있다. 이 엠블럼 (36) 의 하방에는, 도어 아우터 패널 (24) 의 일반면 (24A) 으로부터 차량 전후방향에서 전방을 향해 후퇴되고 차량 후면도에서 대략 직사각형 베어링 표면을 형성하는 번호판 설치부 (38) 가 제공되어 있다. 번호판 설치부 (38) 에는 가상선으로 나타낸 차량 번호판 (40) (도 1 참조) 이 설치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도어 아우터 패널 (24) 의 번호판 설치부 (38) 의 곡면은 일반면 (24A) 의 곡면에 연속적이지 않고, 일반면 (24A) 에 대해서 차량 전후방향에서 전방 측으로 돌출하는 각부로서 작용하는 종방향 벽 (42) 에 의해 분단되어 있다. 그 결과, 차량 후면도에 있어서 번호판 설치부 (38) 와 일반면 (24A) 사이의 경계부에는 능선 (P) 이 형성된다.
또한, 도 1 에 도시된 것처럼, 번호판 설치부 (38) 의 차량 폭방향의 양단부에는 차량 폭방향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차량 전후방향에서 후방 측을 향해 경사진 경사벽 (44, 45) 이 서로 상이한 경사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번호판 설치부 (38) 와 경사벽 (44) 사이의 경계부에 능선 (Q) 이 형성되고, 경사벽 (44) 과 경사벽 (45) 사이의 경계부에 능선 (R) 이 형성된다. 또한, 경사벽 (45) 과 일반면 (24A) 사이의 경계부에 능선 (S) 이 형성된다.
이 능선들 (P, Q, R, S) 은 이른바 캐릭터 라인으로 종종 불린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디자인 표면에는, 상이한 곡률을 각각 갖는 곡면들이 매끄러운 곡면 (이른바 일반면) 을 형성하도록 서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에 반해, 캐릭터 라인은 이 매끄러운 곡면을 분단하도록 각부를 형성함으로써 제공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능선 (P) 을 캐릭터 라인 (46) 으로서 설명할 것이다.
한편, 도어 이너 패널 (22) 에는, 도어 아우터 패널 (24) 의 디자인 표면에 형성된 각부에 상당하는 각부가 형성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도 2a 에 도시된 것처럼, 도어 아우터 패널 (24) 에는 페디스털 (34) 및 번호판 설치부 (38) 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 이너 패널 (22) 에는, 차량 전후방향에서 페디스털 (34) 및 번호판 설치부 (38) 에 대향하도록, 차량의 후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 (48, 50) 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 (48, 50) 의 상단면부 (48A, 50A) 에 접착제 (30A) 가 제공된다. 한편, 도어 아우터 패널 (24) 은 차량 폭방향 중앙부에서 차량 폭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차량 전후방향 전방 측을 향해 곡선형이다. 따라서, 도 2b 에 도시된 것처럼, 도어 아우터 패널 (24) 과 도어 이너 패널 (22) 은 능선 (P) 을 통해 서로 근접해 있다. 따라서, 도어 이너 패널 (22) 에는, 도어 이너 패널 (22) 을 도어 아우터 패널 (24) 에 근접시키는 돌출부 (48, 50) (도 2a 참조) 에 동등한 형상이 제공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 아우터 패널 (24) 은 대락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측 접착부 (26) 를 위한 접착제 (26A) 는 도어 아우터 패널 (24) 의 외연부를 따라 제공된다. 따라서, 도 3 에 도시된 것처럼, 외측 접착부 (26) 는 대락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변부 (26A1), 하변부 (26A2), 우변부 (26A3) 및 좌변부 (26A4) 를 포함한다. 상변부 (26A1) 및 하변부 (26A2) 는 차량 폭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우변부 (26A3) 및 좌변부 (26A4) 는 차량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한편, 내측 접착부 (30) 는 차량 후면도에서 대략 마름모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접착 라인 (52) 으로서 상부 우측 경사변부 (30A1), 상부 좌측 경사변부 (30A2), 하부 우측 경사변부 (30A3) 및 하부 좌측 경사변부 (30A4) 를 포함한다. 상부 우측 경사변부 (30A1) 및 상부 좌측 경사변부 (30A2) 는 도어 아우터 패널 (24) 의 면 방향으로 외측 접착부 (26) 의 상변부 (26A1) 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각각 제공되어 있다. 또한, 하부 우측 경사변부 (30A3) 및 하부 좌측 경사변부 (30A4) 는 도어 아우터 패널 (24) 의 면 방향으로 외측 접착부 (26) 의 하변부 (26A2) 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각각 제공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부 우측 경사변부 (30A1) 및 상부 좌측 경사변부 (30A2) 는 차량 폭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차량 상하방향 하방을 향해 각각 경사져 있다. 또한, 하부 우측 경사변부 (30A3) 및 하부 좌측 경사변부 (30A4) 는 차량 폭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차량 상하방향 상방을 향해 경사져 있다.
상부 우측 경사변부 (30A1) 와 상부 좌측 경사변부 (30A2) 는 접속부 (54) 로서 역할하는 상측 정상부 (제 2 정상부) (30A5) 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부 우측 경사변부 (30A1) 와 하부 우측 경사변부 (30A3) 는 접속부 (54) 로서 역할하는 우측 정상부 (30A6) 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부 좌측 경사변부 (30A2) 와 하부 좌측 경사변부 (30A4) 는 접속부 (54) 로서 역할하는 좌측 정상부 (30A7) 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하부 우측 경사변부 (30A3) 와 하부 좌측 경사변부 (30A4) 는 접속부 (54) 로서 역할하는 하측 정상부 (제 1 정상부) (30A8) 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내측 접착부 (30) 에서, 상측 정상부 (30A5) 는 외측 접착부 (26) 의 상변부 (26A1) 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하측 정상부 (30A8) 는 외측 접착부 (26) 의 하변부 (26A2) 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우측 정상부 (30A6) 는 외측 접착부 (26) 의 우변부 (26A3) 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좌측 정상부 (30A7) 는 외측 접착부 (26) 의 좌변부 (26A4) 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즉, 내측 접착부 (30) 에서, 각 접속부 (54) 는 외측 접착부 (26) 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측 정상부 (30A5) 및 하측 정상부 (30A8) 는 차량 폭방향에서 도어 아우터 패널 (24) 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고, 상측 정상부 (30A5) 는 차량 후면도 (차량 외측에서 볼 때) 에서 엠블럼 (36) 과 중첩되도록 설정된다. 한편, 하측 정상부 (30A8) 는 차량 후면도에서 번호판 (40) 과 중첩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우측 정상부 (30A6) 및 좌측 정상부 (30A7) 는 차량 후면도에서 캐릭터 라인 (46) (능선 (P)) 과 중첩되도록 설정된다.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의 작용 및 효과)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2a 에 나타낸 백 도어 (14) 의 도어 이너 패널 (22) 은 섬유-강화 수지로 형성되고, 도어 아우터 패널 (24) 은 섬유-강화 수지보다 열팽창계수가 더 큰 수지 재료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어 아우터 패널 (24) 과 도어 이너 패널 (22) 은 외측 접착부 (26) 에서 접착제 (26A) 를 통해 그리고 내측 접착부 (30) 에서 접착제 (30A) 를 통해 서로 접착된다.
일반적으로, 상이한 열팽창계수를 각각 갖는 패널 부재들을 서로 접착시키는 경우, 도 9 에 도시된 것처럼, 고온 환경 하에서, 열팽창계수가 큰 패널 부재 (100) 와 열팽창계수가 작은 패널 부재 (102) 사이에 열팽창 차가 발생한다. 패널 부재 (100) 과 패널 부재 (102) 는 접착제 (104) 로 접착 (고정) 되어 있기 때문에, 패널 부재 (100) 의 이동이 제한된다. 그 결과, 가상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패널 부재 (100) 에 열변형에 기인한 변형부 (106) 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 에 도시된 것처럼, 대락 직사각형의 외측 접착부 (26) 의 내측에 제공된 내측 접착부 (30) 는 차량 후면도에서 대략 마름모꼴 형상을 갖는다. 이 내측 접착부 (30) 는 복수의 접착 라인 (52) (상부 우측 경사변부 (30A1), 상부 좌측 경사변부 (30A2), 하부 우측 경사변부 (30A3) 및 하부 좌측 경사변부 (30A4)) 을 포함한다. 그리고, 서로 근접해 있는 접착 라인 (52) 의 단부들은 접속부 (54) (상측 정상부 (30A5), 하측 정상부 (30A8), 우측 정상부 (30A6), 좌측 정상부 (30A7)) 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접속부 (54) 는 외측 접착부 (26) 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접속부들 (54) 중 적어도 일부는 차량 외측에서 볼 때 도어 아우터 패널 (24) 의 일반면 (24A) 에 형성된 캐릭터 라인 (46) 과 중첩되도록 설정된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디자인 표면에는, 상이한 곡률을 각각 갖는 곡면들이 매끄러운 곡면 (이른바, 일반면) 을 형성하도록 서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 매끄러운 곡면을 분단하도록 형성된 각부 (이른바, 캐릭터 라인 등) 는 일반부 (일반면이 형성된 부분) 보다 더 높은 강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어 아우터 패널 (24) 에 각부로 캐릭터 라인 (46) 을 형성함으로써, 도어 아우터 패널 (24) 자체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어 아우터 패널 (24) 에서의 열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상이한 열팽창계수를 갖는 재료로 각각 제조된 도어 이너 패널 (22) (도 2a 참조) 및 도어 아우터 패널 (24) 에서도, 열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내측 접착부 (30) 에서 외측 접착부 (26) 에 근접한 접속부 (54) 에서는, 상이한 방향의 열변형이 복합되어서, 열변형에 기인한 임의의 변형부가 다른 부분보다 더 뚜렷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외측에서 볼 때 접속부 (54) 를 도어 아우터 패널 (24) 에 형성된 캐릭터 라인 (46) 과 중첩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열변형에 기인한 변형부를 뚜렷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측 접착부 (30) 는 차량 후면도에서 대략 마름모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것처럼 직선형 접착 라인 (52) 으로 접속부들 (54) 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내측 접착부가 복수의 접착부로 단속적으로 형성된 경우에 비해 도어 이너 패널 (22) 와 도어 아우터 패널 (24) 사이의 접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말할 필요도 없이, 내측 접착부가 복수의 접착부로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접착 라인들 (52) 을 서로 연결하는 접속부 (54) 에서, 개별 접착 라인 (52) 의 열변형이 복합되어서, 열변형에 기인한 변형부가 다른 부분보다 더 뚜렷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것처럼 차량 외측에서 볼 때 접속부 (54) 를 캐릭터 라인 (46) 과 중첩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열변형에 기인한 변형부를 뚜렷하지 않게 할 수 있다.
그런데, 예컨대, 도 10 에 도시된 것처럼, 외측 접착부 (108) 와 내측 접착부 (110) 가 도어 아우터 패널 (112) 의 면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경우, 열변형에 기인한 변형부 (114) 는 외측 접착부 (108) 와 내측 접착부 (110) 사이에서 외측 접착부 (108) 및 내측 접착부 (110) 를 따라 대략 동일한 변형량에 의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열변형에 기인한 변형부가 뚜렷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측 접착부 (30) 의 상부 우측 경사변부 (30A1) 및 상부 좌측 경사변부 (30A2) 는 외측 접착부 (26) 의 상변부 (26A1) 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각각 제공되어 있다. 또한, 내측 접착부 (30) 의 하부 우측 경사변부 (30A3) 및 하부 좌측 경사변부 (30A4) 는 외측 접착부 (26) 의 하변부 (26A2) 를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각각 제공되어 있다. 즉, 내측 접착부 (30) 을 구성하는 개별 접착 라인 (52) 은 외측 접착부 (26) 에 평행하게 형성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 결과, 외측 접착부 (26) 에 수직한 방향으로 도어 아우터 패널 (24) 을 절단할 때 단면 위치를 바꾸면, 외측 접착부 (26) 와 내측 접착부 (30) 사이의 거리가 달라진다. 즉, 외측 접착부 (26) 와 내측 접착부 (30) 사이에서 발생하는 열변형에 기인한 변형량은 도어 아우터 패널 (24) 의 단면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열변형에 기인한 변형부를 뚜렷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외측 접착부 (26) 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내측 접착부 (30) 를 형성함으로써, 열변형이 발생하는 방향을, 내측 접착부 (30) 에서의 접착 라인 (52) 의 경사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을 포함하는 복수의 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열변형에 기인한 변형량을 줄일 수 있다.
내측 접착부 (30) 를 대략 마름모꼴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내측 접착부가 복잡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열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범위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열변형에 기인한 변형부를 차량 후면도에서 캐릭터 라인 (46) 과 중첩시킴으로써, 변형부를 뚜렷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후면도에서, 접속부 (54) (상측 정상부 (30A5)) 는 엠블럼 (36) 과 중첩되고, 접속부 (54) (하측 정상부 (30A8)) 는 번호판 (40) 과 중첩된다. 그 결과, 우측 정상부 (30A6) 와 좌측 정상부 (30A7) 를 제외한 접속부 (54) (상측 정상부 (30A5), 하측 정상부 (30A8)) 에서 열변형에 기인한 변형부를 숨길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어 이너 패널 (22) 에 대해 선팽창계수가 0.5 × 10-5 m/℃ 인 재료가 사용되고, 도어 아우터 패널 (24) 에 대해 선팽창계수가 6.0 × 10-5 m/℃ 인 재료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백 도어 (14) 에는 복수의 캐릭터 라인 (46) 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어 아우터 패널 (24) 과 도어 이너 패널 (22) 의 두께 및 형상이 각각 동일하다면, 열 팽창량의 차가 12 배이다. 심지어 이 경우에도, 도어 아우터 패널 (24) 과 도어 이너 패널 (22) 사이에 발생하는 열변형을 뚜렷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두께 및 형상에 의존하지만 선팽창계수가 2 배 이상인 때에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를 적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가 획득될 수 있다. 특히, 선팽창계수가 5 배를 초과한다면, 본 발명의 효과는 더 효과적으로 획득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 에 도시된 것처럼, 내측 접착부 (30) 의 형상이 직선형 접착 라인 (52) 으로 구성된 대략 마름모꼴 형상이다. 그렇지만, 적어도 개별 접착 라인 (52) 을 연결하는 접속부 (54) 가 차량 후면도에서 캐릭터 라인 (46) 과 중첩되도록 설정된다면, 본 발명은 이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4 에 도시된 것처럼, 내측 접착부 (56) 는 제 1 곡선으로서의 곡선 (56A0 및 제 2 곡선으로서의 곡선 (56B) 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곡선 (56A) 와 곡선 (56B) 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된다. 곡선 (56A) 은 우측 정상부 (30A6), 상측 정상부 (30A5) 및 좌측 정상부 (30A7) 를 단일 곡선으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되고, 곡선 (56B) 은 우측 정상부 (30A6), 하측 정상부 (30A8) 및 좌측 정상부 (30A7) 를 단일 곡선으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된다.
전술한 것처럼 내측 접착부 (56) 를 곡선 (56A) 과 곡선 (56B) 으로 구성함으로써, 내측 접착부 (30) 의 길이는 내측 접착부 (30) 가 직선들을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증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어 이너 패널 (22) 과 도어 아우터 패널 (24) 사이의 접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 에 나타낸 내측 접착부 (56) 에서는, 우측 정상부 (30A6), 상측 정상부 (30A5) 및 좌측 정상부 (30A7) 가 제 1 곡선으로서 단일 곡선 (56A) 으로 연결되고, 우측 정상부 (30A6), 하측 정상부 (30A8) 및 좌측 정상부 (30A7) 가 제 2 곡선으로서 단일 곡선 (56B) 으로 연결된다. 그렇지만, 3 개의 정상부가 단일 곡선으로 항상 연결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도 5 에 도시된 것처럼, 내측 접착부 (58) 는 우측 정상부 (30A6) 를 상측 정상부 (30A5) 와 연결하는 곡선 (58A), 상측 정상부 (30A5) 를 좌측 정상부 (30A7) 와 연결하는 곡선 (58B), 우측 정상부 (30A6) 를 하측 정상부 (30A8) 와 연결하는 곡선 (58C), 및 하측 정상부 (30A8) 를 좌측 정상부 (30A7) 와 연결하는 곡선 (58D) 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곡선 (58A), 곡선 (58B), 곡선 (58C) 및 곡선 (58D) 은 이 곡선들의 각각이 외측 접착부 (26) 측으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된다.
도 5 에 나타낸 내측 접착부 (58) 에서, 곡선 (58A), 곡선 (58B), 곡선 (58C) 및 곡선 (58D) 은 이 곡선들의 각각이 외측 접착부 (26) 측으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렇지만, 도 6 에 도시된 것처럼, 내측 접착부 (60) 을 구성하는 곡선 (60A), 곡선 (60B), 곡선 (60C), 곡선 (60D) 은 이 곡선들의 각각이 외측 접착부 (26) 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개별 곡선 (60A, 60B, 60C 및 60D) 에 있어서, 외측 접착부 (26) 로부터 거리가 증가하기 때문에, 열변형에 기인한 곡선의 변형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내측 접착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접착 라인이 단지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내측 접착부의 접착 라인이 곡선 및 직선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례로서, 도 7 에 도시된 것처럼, 내측 접착부 (62) 에서는, 우측 정상부 (30A6) 와 상측 정상부 (30A5) 는 외측 접착부 (26) 측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확장되는 곡선 (62A) 으로 연결되고, 상측 정상부 (30A5) 와 좌측 정상부 (30A7) 는 외측 접착부 (26) 측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확장된 곡선 (62B) 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우측 정상부 (30A6) 와 하측 정상부 (30A8) 는 직선 (62C) 으로 연결되고, 하측 정상부 (30A8) 와 좌측 정상부 (30A7) 는 직선 (62D) 으로 연결된다. 이런 식으로 곡선형 접착 라인 (64) 을 직선형 접착 라인 (66) 과 연결함으로써, 내측 접착부 (62) 의 형상 자유도가 증가된다.
전술한 것처럼 내측 접착부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차량 후면도에서 캐릭터 라인 (46) 과 중첩되는 접속부 (54) 의 위치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내측 접착부가 항상 직선형 또는 곡선형 접착 라인으로 구성될 필요는 없으며, 적어도 그 일부가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접속부 (54) 는 4 개로 한정하지 않고, 내측 접착부의 형상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예컨대, 내측 접착부가 도 8 에 도시된 것처럼 육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6 개의 접속부 (72) 가 제공되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각 실시형태와 같이, 우측 정상부 (72A) 및 좌측 정상부 (72B) 는 차량 후면도에서 캐릭터 라인 (46) (능선 (P)) 과 중첩되도록 설정된다. 한편, 상측 정상부 (72C) 로서, 차량 후면도에서 차량 폭방향에서 엠블럼 (36) 을 사이에 둔 채로 우측과 좌측에 상측 오른쪽 정상부 (72C1) 및 상측 왼쪽 정상부 (72C2) 가 제공된다. 또한, 하측 정상부 (72D) 로서, 차량 후면도에서 차량 폭방향에 있어서 번호판 (40) 과 중첩되는 위치에서 우측과 좌측에 하측 오른쪽 정상부 (72D1) 및 하측 왼쪽 정상부 (72D2) 가 제공된다.
그리고, 내측 접착부 (70) 를 구성하는 접착 라인 (74) 으로서, 우측 정상부 (72A) 를 상측 오른쪽 정상부 (72C1) 와 연결하는 직선형 상부 우측 경사변부 (74A) 가 제공되고, 우측 정상부 (72A) 를 하측 오른쪽 정상부 (72D1) 와 연결하는 직선형 하부 우측 경사변부 (74B) 가 제공된다. 또한, 좌측 정상부 (72B) 를 상측 왼쪽 정상부 (72C2) 와 연결하는 직선형 상부 좌측 경사변부 (74C) 가 제공되고, 좌측 정상부 (72B) 를 하측 왼쪽 정상부 (72D2) 와 연결하는 직선형 하부 좌측 경사변부 (74D) 가 제공된다. 또한, 상측 오른쪽 정상부 (72C1) 를 상측 왼쪽 정상부 (72C2) 와 연결하는 상변부 (74E) 가 제공되고, 하측 오른쪽 정상부 (72D1) 를 하측 왼쪽 정상부 (72D2) 와 연결하는 하변부 (74F) 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변부 (74E) 는 외측 접착부 (26) 의 상변부 (26A1) 와 거의 평행하게 형성되고, 하변부 (74F) 는 외측 접착부 (26) 의 하변부 (26A2) 와 거의 평행하게 형성된다. 하변부 (74F) 는 차량 후면도에서 번호판 (40) 과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열변형에 기인한 변형부가 숨겨진다.
한편, 상변부 (74E)는 차량 후면도에서 엠블럼 (36) 과 중첩됨과 동시에 외측 접착부 (26) 의 상변부 (26A1) 에 근접해 있기 때문에, 열변형에 기인한 변형량은 매우 작아서 뚜렷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변부 (74E) 및 하변부 (74F) 에서, 외측 접착부 (26) 에 평행하게 형성되더라도, 열변형에 기인한 변형부가 항상 뚜렷한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부 우측 경사변부 (74A), 하부 우측 경사변부 (74B), 상부 좌측 경사변부 (74C), 하부 좌측 경사변부 (74D), 상변부 (74E) 및 하변부 (74F) 가 여기서 직선형 접착 라인으로서 설명되었지만, 이 접착 라인들은 항상 직선형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 이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능선 (P) 을 캐릭터 라인 (46) 으로서 설명하였지만, 능선 (Q, R, S) 도 또한 캐릭터 라인 (46) 을 구성할 수 있다. 내측 접착부 (70) 가 능선 (Q, R, S) 에 상당하는 접착 라인 (74) 를 형성한다면, 열변형에 기인한 변형부를 뚜렷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즉, 도어 아우터 패널 (24) 에 열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외측 접착부 (26) 와 내측 접착부 (70) 사이에 열변형이 발생한다. 따라서, 차량 외측에서 볼 때 외측 접착부 (26) 와 내측 접착부 (70) 사이에 캐릭터 라인 (46) 이 배치되고, 또한 내측 접착제 (70) 가 캐릭터 라인 (46) 을 따라 형성된다. 그 결과, 열변형에 기인한 변형부를 뚜렷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로서, 도 2a 에 나타낸 도어 이너 패널 (22) 의 재료로서 섬유-강화 수지가 사용되고 도어 아우터 패널 (24) 의 재료로서 TSOP 가 사용된다고 설명하였다. 그렇지만, 도어 아우터 패널 (24) 보다 열팽창계수가 더 작은 재료로 도어 이너 패널 (22) 이 형성된다면, 본 발명은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어 이너 패널 (22) 의 재료로서 강판 및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금속 재료를 사용하는 것도 허용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가 일례로서 도 1 에 나타낸 백 도어 (14) 에 적용되었다고 설명하였지만, 백 도어 (14) 뿐만 아니라 루프 패널 (78), 사이드 도어 (80) 및 엔진 후드 (도시 생략) 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한 것 이외의 다양한 변형예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Claims (11)

  1.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로서,
    패널의 형상으로 수지로 형성된 제 1 부재 (24) 로서, 상기 제 1 부재의 표면의 다른 부분의 곡률에 대해서 분단된 각부 (angular portion) 에 의해 능선이 형성된, 상기 제 1 부재 (24);
    상기 제 1 부재보다 더 작은 열팽창계수를 갖는 수지 또는 금속으로 패널의 형상으로 형성된 제 2 부재 (22);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를 서로 접착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부재의 외연측에 제공되는 외측 접착부 (26); 및
    상기 제 1 부재의 면 방향에서 상기 외측 접착부의 내측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를 서로 접착시키는 내측 접착부 (30) 로서, 상기 외측 접착부의 근방에 있는 복수의 정상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정상부가 차량 외측에서 볼 때 상기 능선과 중첩되는, 상기 내측 접착부 (30)
    를 포함하는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접착부는 복수의 직선형 또는 곡선형 접착 라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정상부는 상기 접착 라인들을 서로 연결하는 접속부인,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라인들은 상기 제 1 부재의 면 방향에서 상기 외측 접착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공되는,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능선은 차량 외측에서 볼 때 상기 외측 접착부와 상기 내측 접착부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내측 접착부는 상기 능선을 따라 형성되는,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접착부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라인들은 제 1 곡선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곡선은 상기 외측 접착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라인들은 제 2 곡선을 구성하고, 상기 제 2 곡선은 상기 외측 접착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확장되게 형성되는,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접착부는 상기 외측 접착부 측으로 확장되는 제 1 곡선과 상기 제 1 곡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확장되는 제 2 곡선의 단부들이 상기 접속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부들 중, 차량 외측에서 볼 때 상기 정상부가 번호판과 중첩되는 위치에 다른 제 1 정상부가 제공되는,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부들 중, 차량 외측에서 볼 때 상기 정상부가 엠블럼과 중첩되는 위치에 다른 제 2 정상부가 제공되는,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
  11. 백 도어의 아우터 패널을 구성하는 도어 아우터 패널 (24); 및
    상기 도어 아우터 패널의 차량 객실 측에 배치되고 상기 백 도어의 이너 패널을 구성하는 도어 이너 패널 (22)
    을 포함하는 백 도어의 접착 구조로서,
    상기 도어 아우터 패널은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 1 부재이고,
    상기 도어 이너 패널은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 2 부재인, 백 도어의 접착 구조.
KR1020167015311A 2013-12-18 2014-12-12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 및 백 도어의 접착 구조 KR1017879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61489A JP5942973B2 (ja) 2013-12-18 2013-12-18 車両用部材の接着構造及びバックドアの接着構造
JPJP-P-2013-261489 2013-12-18
PCT/IB2014/002757 WO2015092513A1 (en) 2013-12-18 2014-12-12 Bonding structure of vehicle members and bonding structure of backdo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441A KR20160084441A (ko) 2016-07-13
KR101787933B1 true KR101787933B1 (ko) 2017-10-18

Family

ID=52440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5311A KR101787933B1 (ko) 2013-12-18 2014-12-12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 및 백 도어의 접착 구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931914B2 (ko)
EP (1) EP3083396B1 (ko)
JP (1) JP5942973B2 (ko)
KR (1) KR101787933B1 (ko)
CN (1) CN105829206B (ko)
AU (1) AU2014369384B2 (ko)
BR (1) BR112016013484B1 (ko)
MX (1) MX2016007846A (ko)
RU (1) RU2633104C1 (ko)
WO (1) WO20150925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23417B2 (ja) * 2015-09-04 2018-05-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バックドア構造
JP6718726B2 (ja) * 2016-03-31 2020-07-0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車両用フード
JP6380487B2 (ja) * 2016-08-29 2018-08-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バックドア
EP3312033B1 (de) * 2016-10-21 2020-07-29 Magna Steyr Fahrzeugtechnik AG & Co KG Fahrzeugtür
JP6536594B2 (ja) * 2017-01-11 2019-07-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後部構造
JP6565939B2 (ja) * 2017-01-12 2019-08-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パネル構造
JP6974190B2 (ja) * 2018-01-17 2021-12-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樹脂バックドア
CN108801133B (zh) * 2018-04-25 2020-03-10 上汽大众汽车有限公司 车身特征线位置落差的检测方法
JP6764453B2 (ja) * 2018-09-27 2020-09-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JP2020152283A (ja) * 2019-03-21 2020-09-2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車両用開閉パネル
US11492051B2 (en) 2020-07-09 2022-11-0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Resin panel spacer block for energy absorption, load support, and gap prevention
FR3127726A1 (fr) * 2021-10-01 2023-04-07 Compagnie Plastic Omnium Se Ouvrant de véhicule automobile muni d’une platine de support d’équipements et d’une peau amovib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6478A (ja) 2008-02-21 2009-09-03 Daikyonishikawa Corp リヤスポイラー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37622A1 (de) * 1986-11-05 1988-05-19 Ford Werke Ag Doppelwandiges karosseriebauteil aus kunststoff fuer kraftfahrzeuge
JPH08188048A (ja) * 1995-01-09 1996-07-23 Araco Corp 自動車の内装材に対する加飾板の取付方法
US7422652B2 (en) * 2001-10-10 2008-09-09 Ford Motor Company Method of making a body panel assembly
US6749254B1 (en) * 2003-06-09 2004-06-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ody panel assembly
JP4785571B2 (ja) * 2006-03-13 2011-10-05 ダイキョーニシカワ株式会社 車両のドア構造
JP5035776B2 (ja) * 2008-01-22 2012-09-26 ダイキョーニシカワ株式会社 樹脂製パネル
RU2357889C1 (ru) * 2008-01-24 2009-06-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Центральный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 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автомобильный и автомоторный институт "НАМ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узовов и кабин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из полимерного конструкци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JP5188198B2 (ja) * 2008-02-20 2013-04-24 ダイキョーニシカワ株式会社 車両用リフトゲートのリヤスポイラー構造
FR2928894B1 (fr) * 2008-03-20 2010-04-30 Plastic Omnium Cie Module arriere de vehicule automobile, destine a etre rapporte sur une structure d'ouvrant arriere
JP4712854B2 (ja) * 2008-10-23 2011-06-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後部ドア構造
EP2504186B1 (de) * 2009-11-25 2013-09-25 Weber Automotive AG-Holding Heckklappe aus faserverstärktem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FR2953770B1 (fr) * 2009-12-16 2011-11-25 Renault Sas Porte de coffre pour vehicule automobile
JP2011136606A (ja) * 2009-12-25 2011-07-14 Kanto Auto Works Ltd 樹脂製バックドアの補強構造
JP5649045B2 (ja) * 2010-09-16 2015-01-07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バックドア装置
DE102010042939A1 (de) * 2010-10-26 2012-04-26 Bayer Materialscience Aktiengesellschaft Fugenlose Heckklappe
JP5598292B2 (ja) * 2010-12-06 2014-10-0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車両用バックドア
JP5681015B2 (ja) * 2011-03-30 2015-03-0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リフトゲート構造
JP5360156B2 (ja) * 2011-08-01 2013-12-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バックドア構造
JP5912542B2 (ja) * 2012-01-10 2016-04-27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体のパネル構造
JP5867258B2 (ja) 2012-04-17 2016-02-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樹脂ドア構造及び車両用樹脂ドアの製造方法
JP6049390B2 (ja) * 2012-10-17 2016-12-21 ダイキョーニシカワ株式会社 車両用バックドア
JP2016030586A (ja) * 2014-07-30 2016-03-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樹脂バックドア構造
JP6135651B2 (ja) * 2014-12-02 2017-05-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バックドア構造
JP6123782B2 (ja) * 2014-12-15 2017-05-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樹脂バックドア構造
JP6156354B2 (ja) * 2014-12-24 2017-07-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樹脂バックドア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6478A (ja) 2008-02-21 2009-09-03 Daikyonishikawa Corp リヤスポイラー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75747A1 (en) 2016-12-29
JP2015116930A (ja) 2015-06-25
EP3083396A1 (en) 2016-10-26
KR20160084441A (ko) 2016-07-13
JP5942973B2 (ja) 2016-06-29
BR112016013484A2 (ko) 2017-08-08
WO2015092513A1 (en) 2015-06-25
MX2016007846A (es) 2016-09-29
CN105829206A (zh) 2016-08-03
RU2633104C1 (ru) 2017-10-11
AU2014369384B2 (en) 2017-06-29
AU2014369384A1 (en) 2016-07-07
US9931914B2 (en) 2018-04-03
CN105829206B (zh) 2017-06-13
EP3083396B1 (en) 2017-08-30
BR112016013484B1 (pt)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7933B1 (ko)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 및 백 도어의 접착 구조
JP4226562B2 (ja) 車体構造
JP6624032B2 (ja) 車体構造
CN109703623B (zh) 车身上部结构
JP2008522901A (ja) 少なくとも2つの隣接するガラス要素から成る複合仕切りガラス、および前記複合仕切りガラス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US9783240B2 (en) Lateral upright for motor vehicle body shell
JP6528526B2 (ja) ガラスランの固定構造
JP6816676B2 (ja) 車体上部構造
MXPA06002045A (es) Techo, de multiples piezas, con refuerzo.
US10286958B2 (en) Vehicles including mesh stamped panels
KR101795206B1 (ko) 차량의 조인트부 강성 증대 구조
JP6107209B2 (ja) ルーフサイドレール構造
JP2016203892A (ja) ガラスランの固定構造
JP4939315B2 (ja) 細長い接合部の接着構造
JP2012025256A (ja) 車両用ルーフ構造
JP6096162B2 (ja) スライドドア用レールカバー構造
JP4960726B2 (ja) 自動車のサイドシル
JP6318988B2 (ja) 車両上部構造
JP2014213751A (ja) 車体側部の連結構造
JP6037719B2 (ja) 車両用ドアの接合構造
CN219325874U (zh) 一种横梁总成及车辆
JP5217487B2 (ja) フェンダ端部の遮音構造
WO2022249602A1 (ja) 自動車用パネル構造
JP2008260334A (ja) Frp製ボデー構造
JP2020147084A (ja) 車両前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