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8113B1 - 물품 불출 장치 - Google Patents

물품 불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8113B1
KR101678113B1 KR1020150007160A KR20150007160A KR101678113B1 KR 101678113 B1 KR101678113 B1 KR 101678113B1 KR 1020150007160 A KR1020150007160 A KR 1020150007160A KR 20150007160 A KR20150007160 A KR 20150007160A KR 101678113 B1 KR101678113 B1 KR 101678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pusher
movable member
slider
disp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7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9766A (ko
Inventor
타카히토 야마미야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39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05Special arrangements for insuring that only one single article may be dispensed at a tim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겹쳐 쌓인 물품 중 최하위 물품을 반복적으로 불출함과 아울러, 최하위로부터 2번째 물품을 안정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물품 불출 장치를 제공한다. 겹쳐 쌓인 물품을 유지시키는 리테이너가 수납부의 수납 공간에 형성되어 있다. 겹쳐 쌓인 물품 중 최하위 물품을 불출 개구를 통하여 불출하는 불출부에는, 겹쳐 쌓인 물품으로부터 최하위 물품이 불출된 후 그 나머지 물품이 배치되는 물품 배치부를 푸셔가 포함하고 있다. 불출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나머지 물품은 상기 나머지 물품 중의 최하위 물품(다시 말해서, 겹쳐 쌓인 물품 중 최하위로부터 2번째 물품)이 상기 수납 공간에서 통상적인 자세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푸셔의 물품 배치부에 임시로 수용된다.

Description

물품 불출 장치{ARTICLE DISPENSING APPARATUS}
본 발명은 겹쳐 쌓인 물품 중 최하위에 위치하는 물품을 불출하는 물품 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겹쳐 쌓인 물품 중 최하위에 위치하는 물품을 불출하는 기능이 필요하다면 게임기, 자동 판매기, 경품 불출 장치 등과 같은 임의의 종류의 물품 불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제1 종래 기술로서, 2008년에 발행된 일본 특허제4092452호에 개시된 자동 배출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종래 기술의 자동 배출 장치는 물품 수납부에 겹쳐 쌓인 형태로 수납되어 있는 상자 형상체 중에서, 최하위의 상자 형상체보다 상부 위치에 배치된 상자 형상체를 들어 올리는 리프트 기구; 모터에 구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래크를 통하여 좌우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 핀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의 후방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스프링에 의해 상자 형상체측을 향하여 탄성 가압되어, 최하위의 상자 형상체를 밀어내는 푸셔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제2 종래 기술로서, 2012년에 발행된 일본 특허제5109078호에 개시된 상품 불출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종래 기술의 상품 불출 장치는 상품 저장 장치에 쌓여 있는 상자 형상 상품들 중 최하의 상자 형상 상품의 후방 벽을 가압하는 푸셔; 상자 형상 상품의 후방 벽을 가압하는 방향(이하, "가압 방향(pushing direction)")으로 상기 푸셔의 후방 위치에 배치된 제2 푸셔; 상기 푸셔와 상기 제2 푸셔 사이의 구역을 폐쇄시키는 판 형상체를 가지고 있는 이동체; 그리고 상기 이동체를 왕복이동시키는 트래버스 캠샤프트 장치(traverse camshaft device)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푸셔, 상기 제2 푸셔 및 상기 판 형상체는, 상기 이동체의 왕복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판 형상체가 최하위의 상자 형상 상품의 높이 이하의 대기 위치와 최하위의 상자 형상 상품의 높이 이상의 가압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자동 배출 장치에서는, 겹쳐 쌓은 상자 형상체의 최하위의 상자 형상체에 가해진 중량을 리프트 기구를 이용하여 경감하면서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된 푸셔에 의해 상기 최하위의 상자 형상체가 밀어내진다. 그러나, 상기 최하위의 상자 형상체의 밀어내기가 종료될 때까지 최하위로부터 2번째 위치의 상자 형상체가 상기 최하위의 상자 형상체 위에 놓여 있다. 따라서, 상기 최하위의 상자 형상체의 밀어내기가 종료될 때, 상기 최하위로부터 2번째 위치의 상자 형상체의 자세가 안정되지 않아, 결과적으로, 상기 최하위로부터 2번째 위치의 상자 형상체가 원치않는 기립 상태로 되는 등의 이유로 상자 형상체의 밀어내기 작업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상품 불출 장치에서는, 이동체의 가압 방향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푸셔, 제2 푸셔 및 판 형상체가 대기 위치로부터 가압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푸셔에 의해 최하위의 상자 형상 상품이 가압되고 상기 판 형상체에 의해 최하위로부터 2번째 위치의 상자 형상 상품이 들어 올려지고, 이것에 의해, 상기 최하위로부터 2번째 위치의 상자 형상 상품의 자세를 안정되게 유지하면서 상기 최하위의 상자 형상 상품이 내보내진다. 그러나, 상기 푸셔, 상기 제2 푸셔 및 상기 판 형상체는 트래버스 캠샤프트 장치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이동되고, 이로 인해, 상기 이동체가 후퇴함에 따라 상기 푸셔, 상기 제2 푸셔 및 상기 판 형상체가 상기 가압 위치로부터 상기 대기 위치로 이동된다. 그러나, 상기 푸셔, 상기 제2 푸셔 및 상기 판 형상체가 상기 가압 위치로부터 상기 대기 위치로의 이동을 완료하기 전에 쌓아 올려진 상자 형상 상품이 상기 상품 저장 장치로부터 퇴출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판 형상체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상기 최하위로부터 2번째 위치의 상자 형상 상품이 베이스쪽으로 낙하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상기 최하위로부터 2번째 위치의 상자 형상 상품의 자세가 안정되지 않는 문제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제1 종래 기술 장치 및 제2 종래 기술 장치의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겹쳐 쌓인 물품들 중에서 최하위로부터 2번째 물품을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시키면서 겹쳐 쌓인 물품들에서 최하위 물품을 반복적으로 불출할 수 있는 물품 불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례로 겹쳐 쌓인 물품의 물품 불출 작동의 오작동을 확실히 방지하는 물품 불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함께 상기 목적은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불출 장치는
수납 공간에 물품의 스택을 수납하는 수납부로서, 물품의 스택을 유지하는 리테이너가 상기 수납 공간에 형성되어 있고, 물품의 스택으로부터 최하위 물품이 불출 방향으로 불출되는 불출 개구가 상기 수납 공간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기 수납부;
상기 불출 개구를 통하여 물품의 스택으로부터 최하위 물품을 불출하는 불출부로서, 구동 장치,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해 이동되는 제1 이동가능 부재,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와 연동하여 이동되는 제2 이동가능 부재, 그리고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와 연동하여 이동되는 푸셔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불출부; 그리고
상기 불출부의 구동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푸셔는 물품의 스택으로부터 최하위 물품이 불출된 후 나머지 물품이 배치되는 물품 배치부를 포함하고 있고;
불출 작동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푸셔는 최하위 물품의 뒤에서 최하위 물품을 앞쪽으로 밀어서, 최하위 물품을 상기 불출 개구를 통하여 불출 방향으로 불출하고, 상기 푸셔는 상기 물품 배치부 위에 있는 나머지 물품 중에서 최하위 물품이 상기 수납 공간에서 통상적인 자세를 유지하도록 상기 물품 배치부 위에 있는 나머지 물품을 임시로 수용하고; 그리고
상기 푸셔는 상기 푸셔가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후퇴하기 전에 상기 물품 배치부 위에 있는 나머지 물품을 상기 수납부의 리테이너에 의해 지지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물품 불출 장치에 의하면, 물품의 스택을 유지하는 리테이너가 수납부의 수납 공간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최하위 물품이 불출되기 전에 물품의 스택이 수납 공간에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하위 물품이 불출된 후에도 물품의 스택의 나머지 물품이 수납 공간 내에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불출부가 구동 장치에 의해 이동되는 제1 이동가능 부재,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와 연동하여 이동되는 제2 이동가능 부재, 그리고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와 연동하여 이동되는 푸셔를 포함하고 있어서, 물품의 스택으로부터 최하위 물품을 불출 개구를 통하여 불출한다. 또한, 불출부의 푸셔가 최하위 물품이 불출된 후 나머지 물품이 배치되는 물품 배치부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불출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나머지 물품은 나머지 물품 중의 최하위 물품(다시 말해서, 물품의 스택에서 최하위로부터 2번째 물품)이 상기 수납 공간에서 통상적인 자세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푸셔의 물품 배치부에 임시로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최하위로부터 2번째 물품을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시키면서 최하위 물품이 물품의 스택으로부터 반복적으로 불출될 수 있다.
또한, 불출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푸셔가 최하위 물품의 뒤에서 최하위 물품을 앞쪽으로 밀어내어, 최하위 물품을 불출 개구를 통하여 불출 방향으로 불출시키고, 나머지 물품은 나머지 물품 중의 최하위 물품이 상기 수납 공간에서 통상적인 자세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물품 배치부에 임시로 수용한다. 그 후, 푸셔가 수납 공간으로부터 후퇴하기 전에 푸셔는 물품 배치부 위의 나머지 물품을 수납부의 리테이너에 의해 지지되게 한다.
따라서, 차례로 겹쳐 쌓인 물품의 물품 불출 동작이 자동적으로 틀림없이 수행된다. 다시 말해서, 차례로 겹쳐 쌓인 물품의 물품 불출 동작의 오작동이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불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에서는, 불출 작동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푸셔가 최하위 물품의 뒤에서 최하위 물품을 밀 때, 상기 푸셔는 상기 푸셔의 밀어내기 부분의 높이가 상기 수납부의 리테이너보다 높고 최하위 물품의 상부면보다 낮은 위치로 이동된 다음, 상기 푸셔가 밀어내기 작동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불출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례에서는, 상기 푸셔가 상기 물품 배치부 위에 있는 나머지 물품을 상기 수납부의 리테이너에 의해 지지되게 할 때, 상기 푸셔는 상기 푸셔의 물품 배치부의 높이가 상기 수납부의 리테이너보다 낮은 위치로 이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불출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례에서는, 상기 푸셔는 링크 기구를 통하여 제1 이동가능 부재 및 제2 이동가능 부재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링크 기구를 통한 제1 이동가능 부재의 왕복 운동으로 인해, 상기 푸셔는 상기 푸셔의 밀어내기 부분의 높이가 상기 수납부의 리테이너보다 높고 최하위 물품의 상부면보다 낮은 위치, 또는 상기 푸셔의 물품 배치부의 높이가 상기 수납부의 리테이너보다 낮은 위치로 이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불출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례에서는, 상기 푸셔는 링크 기구를 통하여 제1 이동가능 부재 및 제2 이동가능 부재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푸셔,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 및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와 결합되어 있으며 긴 구멍을 가지고 있는 링크 부재와, 상기 링크 부재의 긴 구멍과 결합된 핀을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상기 푸셔는 상기 링크 기구를 통하여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의 왕복운동과 연동하여 작동을 수행한다.
이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의 왕복운동은 래크 기어와 피니언 기어의 조합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래크 기어는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래크 기어의 나머지 부분은 튜브에 수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불출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례에서는, 상기 푸셔가 최하위 물품을 상기 불출 개구를 통하여 불출시키기 위해서 전방으로 이동될 때, 나머지 물품의 전방으로의 이동은 상기 수납 공간의 내측 벽에 의해서 저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불출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례에서는, 상기 푸셔가 상기 물품 배치부 위에 있는 나머지 물품을 상기 리테이너에 의해 지지되게 할 때 상기 푸셔의 물품 배치부의 높이가 상기 수납부의 리테이너보다 낮은 위치로 상기 푸셔를 이동시키는 푸셔 제한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례에서는, 상기 푸셔 제한 부재는 상기 수납부에 고정된 수평축에 요동가능하게 장착된 플랩형 부재이고; 상기 플랩형 부재는 전방으로는 요동가능하지만 후방으로 요동가능하지 않아서, 상기 푸셔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은 허용하고 상기 푸셔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은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체 실시형태로서, 이 실시례에서는, 상기 푸셔 제한 부재는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가 판 스프링에 접하도록 상기 불출부에 고정된 판 스프링이고; 상기 구동 장치로부터 가해진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소정의 값을 넘어서지 않게 설정함으로써,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가 상기 판 스프링을 극복하는 것이 제한되어, 상기 푸셔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불출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 및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와 상기 푸셔를 지지하는 베이스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를 안내하는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를 안내하는 제2 가이드를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는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가이드를 따라 왕복운동하고,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는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에 의해 상기 제2 가이드를 따라 왕복운동하고, 상기 푸셔는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링크 기구를 통하여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에 의해 왕복운동한다.
이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 가이드는 상기 베이스의 배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가이드는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는 래크 기어와 피니언 기어의 조합을 통하여 왕복운동하고,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는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의 긴 구멍과 결합되어 있는 핀을 통하여 왕복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이 실시례에서는, 상기 링크 기구가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와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가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 및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에 의해 공통으로 지지된 핀,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와 상기 푸셔가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에 설치된 제1 요동축,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와 상기 푸셔가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푸셔에 설치된 제2 요동축, 그리고 상기 푸셔의 각 측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긴 구멍을 가지고 있는 V자 형상의 링크 부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핀과 상기 제1 요동축은 상기 링크 부재의 긴 구멍과 요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푸셔는 불출 방향을 따라 왕복운동할 뿐만 아니라 상기 핀을 중심으로 요동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불출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례에서는,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측벽과,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 및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와 상기 푸셔를 지지하는 베이스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측벽은 상기 수납 공간 아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한 쌍의 측벽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를 안내하는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를 안내하는 제2 가이드를 포함하고 있어서;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는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가이드를 따라 왕복운동하고,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는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에 의해 상기 제2 가이드를 따라 왕복운동하고, 상기 푸셔는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링크 기구를 통하여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에 의해 왕복운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불출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례에서는, 불출 작동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푸셔가 최하위 물품의 뒤에서 최하위 물품을 밀 때, 상기 푸셔가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의 전방 이동에 대응하여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푸셔의 밀어내기 부분이 최하위 물품을 상기 불출 개구쪽으로 밀어낼 수 있게 하고; 그리고 상기 푸셔가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의 후방 이동에 대응하여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물품 배치부 위에 있는 나머지 물품을 상기 수납부의 리테이너에 의해 지지되게 한다.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물품 수납부가 부분적으로 절결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례에 따른 물품 불출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물품 수납부가 부분적으로 절결되어 있는, 도 1의 제1 실시례에 따른 물품 불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물품 수납부가 부분적으로 절결되어 있는, 도 1의 제1 실시례에 따른 물품 불출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 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제1 실시례에 따른 물품 불출 장치의 불출부와 수납부의 하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제1 실시례에 따른 물품 불출 장치의 불출부의 밀어내기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제1 실시례에 따른 물품 불출 장치의 불출부의 밀어내기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A는 도 1의 제1 실시례에 따른 물품 불출 장치의 불출부의 밀어내기 부분 및 베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1의 제1 실시례에 따른 물품 불출 장치의 불출부의 밀어내기 부분 및 베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제1 실시례에 따른 물품 불출 장치의 불출 동작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밀어내기 부분이 대기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제1 실시례에 따른 물품 불출 장치의 불출 동작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푸셔가 불출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제1 실시례에 따른 물품 불출 장치의 불출 동작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밀어내기 부분이 수납부까지 전진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제1 실시례에 따른 물품 불출 장치의 불출 동작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밀어내기 부분이 최하위의 물품을 밀어내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의 제1 실시례에 따른 물품 불출 장치의 불출 동작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밀어내기 부분이 최하위의 물품을 물품 수납부로부터 밀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의 제1 실시례에 따른 물품 불출 장치의 불출 동작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밀어내기 부분이 대기 위치를 향하여 이동을 개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의 제1 실시례에 따른 물품 불출 장치의 불출 동작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푸셔의 이동이 수납부의 플랩에 의해 제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의 제1 실시례에 따른 물품 불출 장치의 불출 동작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푸셔가 대기 위치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의 제1 실시례에 따른 물품 불출 장치의 불출 동작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밀어내기 부분의 대기 위치로의 이동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측면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물품"(M)은, 예를 들면, 식품, 물품, 카드, 담배 등을 수납하는 상자체, 카드, 종이 등을 봉입하는 시트 형상 봉투체, 컴팩트 디스크(CD) 또는 디지털 버서타일 디스크(DVD)를 수납하는 박판 형상 물품, 그리고 카드, 낱장 종이류 등을 수용하는 띠로 묶은 다발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스택(stack:수직방향으로 쌓아 올린 더미)을 형성하기 위해 대략 수직방향으로 쌓아 올릴 수 있고 상기 스택으로부터 밀어내기 동작에 의해 하나씩 대략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면 임의의 물품이 "물품"(M)에 포함된다.
제1 실시례
본 발명의 제1 실시례에 따른 물품 불출 장치(1)는 복수개의 물품(M)을 하나씩 불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 물품(M)은 상자 형상이고 스택을 형성하도록 쌓아 올려져 있다. 상기 물품(M) 중 스택의 가장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물품(M)(다시 말해서, 최하위 물품(M))의 후면을 수평방향으로 밀어서 최하위 물품(M)을 불출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물품 불출 장치(1)는 겹쳐 쌓인 복수개의 물품(M)을 수납하는 수납부(10), 물품(M)을 밀어서 물품(M)을 하나씩 불출하는 불출부(20), 그리고 불출부(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납부(10)에 물품(M)이 겹쳐 쌓이는 방향(다시 말해서, 수직 방향)을 z축으로 정의하고, 수납부(10)로부터 물품(M)이 불출되는 방향이며 z축과 수직인 방향(다시 말해서, 수평 방향)을 x축으로 정의하고, x축 및 z축과 수직인 방향(다시 말해서, 다른 수평 방향)을 y축으로 정의한다. 물품(M)의 불출 방향은 x축과 평행하다.
또한, +z축 방향은 z축 위쪽 방향으로 정의하고, -z축 방향은 z축 아래쪽 방향으로 정의한다. 복수의 물품(M)이 위쪽으로 겹쳐 쌓여 있으면, 물품(M)이 +z축 방향으로 겹쳐 쌓여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물품(M)이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물품(M)이 -z축 방향으로 이동한다고 말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x축 방향은 x축 앞쪽 방향(다시 말해서, 도 9에서 왼쪽 방향)으로 정의하고, -x축 방향은 x축 뒤쪽 방향(다시 말해서, 도 9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정의한다. 푸셔가 앞쪽으로 이동하면, 푸셔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고 말할 수 있다. 푸셔가 뒤쪽으로 이동하면, 푸셔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고 말할 수 있다.
[수납부]
우선, 수납부(10)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
수납부(10)는 수납 공간에 스택의 형태로 복수의 물품(M)을 수납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수납부(10)는 z축을 따라서 뻗어 있고, z축에 수직인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 통형상을 하고 있다. 이 단면은 다른 물품(M)이 겹쳐 쌓이는 물품(M)의 상부면보다 조금 더 크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납부(10)는 물품(M)의 후방 벽을 지지하는 제1 벽(102), 제1 벽(102)의 z축 방향과 평행한 양변으로부터 제1 벽(102)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각각 돌출되어 있는 제2 벽 및 제3 벽(104, 106), 그리고 제1 벽(102)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4 벽(108)을 포함하여, z축 방향에 수직인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 통 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이 제1 실시례에서, 제1 벽 내지 제3 벽(102, 104, 106)은 z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이 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4 벽(108)은 홈을 형성하도록 만곡되어, 기다란 돌출부(110)와 이 돌출부(110)의 각 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스트립형 날개부 및 제2 스트립형 날개부(strip-shaped wing part)(112, 114)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돌출부(110)는 z축을 따라서 뻗어 있고 x축을 따라 제1 벽을 향하여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스트립형 날개부 및 제2 스트립형 날개부(112, 114)는 z축을 따라서 뻗어 있고 돌출부(110)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y축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다. 돌출부(110)의 y축 방향의 폭은 돌출부(110)가 제2 벽(104)과 제3 벽(106)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벽(104)과 제3 벽(106) 사이의 거리보다도 조금 작게 되어 있다.
제4 벽(108)은 제1 힌지부재 및 제2 힌지부재(116a, 116b)에 의해 제2 벽(104)에 요동가능하게(rockably) 접속되어 있다. 제1 힌지부재 및 제2 힌지부재(116a, 116b)는 제1 벽(102)과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벽(104)의 측면부와 제2 벽(104)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4 벽(108)의 제1 날개부(112)에 설치되어 있다.
제4 벽(108)의 돌출부(110)는 제3 벽(106)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110)의 둘레 구역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구멍(도 1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가지고 있다. 제3 벽(106)은 돌출부(110)의 상기 구멍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결합 구멍(122)을 가지고 있다. 제1 벽(102)과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110)의 외측 표면에는, 제4 벽(108)의 요동 운동(rocking motion)을 로킹하는 로킹부재(locking member)(1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로킹부재(120)는 상기 결합 구멍(122)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말할 필요도 없이, 제4 벽(108)의 개폐 기구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다른 기구가 이러한 목적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벽(104)에 설치된 베어링과 제4 벽(108)에 설치된 베어링을 포함하는 힌지 기구가 대체 형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샤프트가 상기 베어링들을 관통하여 지나고, 이로 인해 제4 벽(108)이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요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4 벽(108)이 제2 벽 및 제3 벽(104, 106)에 대하여 미끄럼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4 벽(108)이 미끄럼이동함으로써 제2 벽 및 제3 벽(104, 106)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2 벽 및 제3 벽(104, 106)의 하단부에는, 한 쌍의 유지부(다시 말해서, 리테이너)(132a, 132b)가 서로 대향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 유지부(132a)는 제2 벽(104)의 하단부에 위치되어 있으며, 제3 벽(106)을 향해서 y축을 따라서 안쪽으로 뻗어 있는 직사각형 판형상부이다. 마찬가지로, 제2 유지부(132b)는 제3 벽(106)의 하단부에 위치되어 있으며, 제2 벽(104)을 향해서 y축을 따라서 안쪽으로 뻗어 있는 직사각형 판형상부이다. 따라서, 제1 유지부(132a)와 제2 유지부(132b)는 수납 공간내에서 제2 벽(104)과 제3 벽(106)에 수직이다. 제1 유지부(132a)와 제2 유지부(132b)는 수납 공간에 수납된 물품(M) 더미를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1 벽 및 제4 벽(102, 108)의 하단부가 제1 유지부 및 제2 유지부(132a, 132b)의 하단부보다 상부 위치에 위치하도록 제1 벽 및 제4 벽(102, 108)은 제2 벽 및 제3 벽(104, 106)의 z축 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제1 유지부 및 제2 유지부(132a, 132b)로부터 제1 벽 및 제4 벽(102, 108)의 하단부까지의 거리는 1개 물품(M)의 높이(또는 두께)보다 크거나 같고 수직으로 쌓인 2개 물품(M)의 높이(또는 두께)보다는 작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벽 및 제4 벽(102, 108)의 하단부와 제1 유지부 및 제2 유지부(132a, 132b) 사이의 거리를 D라고 정의하고, 각각의 물품(M)의 높이를 Ha라고 정의하면, D와 Ha는 Ha≤ D < 2Ha의 관계식을 만족시킨다고 말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물품 스택에서 가장 낮은 위치에 배치된 물품(M)을 M1이라 하고, 최하위 물품(M1)에 쌓여 있는 물품(M)을 M2라고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수납 공간에서 스택의 최하위 물품(M1)이 x축을 따라서 수납부(10)의 외측으로 이동하더라도, 스택의 최하위로부터 두번째 물품(M2)의 x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수납부(10)의 수납 공간을 한정하는 제1 벽 및 제4 벽(102, 108)에 의해 규제되고, 결과적으로, 최하위로부터 두번째 물품(M2)이 수납 공간 내에 유지된다.
이러한 제1 실시례에서는, 제1 벽 및 제4 벽(102, 108)의 하단부와 제1 유지부 및 제2 유지부(132a, 132b) 사이의 거리(D)와 각각의 물품(M)의 높이(Ha)는 Ha≤ D < 2Ha의 관계식을 만족시킨다. 그러한,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벽 및 제4 벽(102, 108)을 제2 벽 및 제3 벽(104, 106)보다 짧게 만드는 대신에, 고도의 강성을 가진 적절한 유지 부재가 제2 벽 및 제3 벽(104, 106)의 하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한 Ha≤ D < 2Ha의 관계식을 만족시키면서 제1 벽 및 제4 벽(102, 108)의 하단부가 고도의 강성을 가진 유지 부재의 하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단지 상기 고도의 강성을 가진 유지 부재를 교체하거나 상기 고도의 강성을 가진 유지 부재의 제2 벽 및 제3 벽(104, 106)에 대한 부착 위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제1 실시예의 물품 불출 장치(1)가 z축 방향의 높이가 다른 임의의 다른 물품에 적용될 수 있다.
제4 벽(108)의 하단부와 제1 유지부 및 제2 유지부(132a, 132b) 사이에는, 불출 개구(134)가 제4 벽(108)의 하단부 아래에 형성되어 있다. 제4 벽(108)의 하단부에는 불출 개구(134)속으로 돌출하도록 빗살 모양의 형상을 가진 전방 스토퍼(136)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 스토퍼(136)는 휘지 않고 물품(M)의 자중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가요성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 전방 스토퍼(136)는 합성 수지제의 평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방 스토퍼(136)는 아래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최하위 물품(M1)이 불출부(20)의 작동에 의해 밀려나가지 않는 경우에는, 전방 스토퍼(136)는 변형되지 않고 최하위 물품(M1)의 x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전방 스토퍼(136)에 의해 규제되어 수납 공간 내에 유지된다. 한편, 최하위 물품(M1)이 불출부(20)의 작동에 의해 밀려나가는 경우에는, 전방 스토퍼(136)가 최하위 물품(M1)에 의해 밀려서 변형되고, 이로 인해 최하위 물품(M1)이 x축을 따라서 불출 개구(134)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전방 스토퍼(136)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전방 스토퍼(136)가 가요성을 갖고 있으면 충분하다. 전방 스토퍼(136)는 금속제 박판, 스프링 부재 등과 같은 가요성을 갖는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방 스토퍼(136)는 최하위 물품(M1)을 수납부(10)에 유지시키고 최하위 물품(M1)을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최하위 물품(M1)에 대한 전방 스토퍼(136)의 접촉 지점의 갯수는 1개 이상으로 될 수 있다. 불출부(20)의 작동과 연동하도록 구성된 이동가능한 셔터가 전방 스토퍼(136)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벽(102)의 하단부가 부분적으로 절결되어에는, 대략 U자 형상의 절결부(150)를 형성하고 있다. 이 절결부(150)에 플랩(152)이 요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벽 및 제3 벽(104, 106) 근처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x축을 따라서, 다시 말해서, -x축의 방향으로 각각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제1 벽(102)의 하단부에 한 쌍의 베어링(156a, 156b)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베어링(156a, 156b)은 각각 절결부(150)의 양 측에 위치되어 있다. 샤프트(160)가 한 쌍의 베어링(156a, 156b)의 간격을 가로질러서 설치되어 있다. 제3 벽 및 제2 벽(106, 104)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제2 벽 및 제3 벽(104, 106)에 한 쌍의 후방 스토퍼(154a, 154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방 스토퍼(154a, 154b)는 제1 벽(102)의 하단부 아래의 소정 위치, 다시 말해서, 제1 벽(102)의 하단부와 제1 유지부 및 제2 유지부(132a, 132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플랩(152)은 y축 방향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제1 직사각형부(162)와 y축 방향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제2 직사각형부(164)로 이루어져서, 2계단 형상(two-stepped shape)을 형성하고 있다. 제1 직사각형부(162)의 y축 방향의 폭은 한 쌍의 제1 베어링(156a, 156b)의 y축 방향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제2 직사각형부(164)의 y축 방향의 폭은 제2 벽(104)과 제3 벽(106) 사이의 y축 방향의 간격보다 작고 한 쌍의 후방 스토퍼(154a, 154b) 사이의 y축 방향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제1 직사각형부(162)의 y축 방향의 양 측에는 한 쌍의 베어링(158a, 158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플랩(152)에 형성된 한 쌍의 베어링(158a, 158b)은 제2 벽(104)과 제3 벽(106)에 형성된 한 쌍의 베어링(156a, 156b)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샤프트(16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플랩(152)의 제2 직사각형부(164)는 한 쌍의 후방 스토퍼(154a, 154b)에 대하여 제4 벽(108)에 더 근접하게, 바꾸어 말하면, x축 방향으로 더욱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플랩(152)은 샤프트(160) 주위로 x축을 따라서 전후로 요동할 수 있다. 플랩(152)의 늘어뜨려진 상태(drooping state)로부터 후방쪽으로, 다시 말해서, -x축의 방향으로의 요동 운동은 한 쌍의 후방 스토퍼(154a, 154b)에 의해 규제되어 있다.
[불출부]
다음에는,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불출부(20)를 설명한다.
불출부(20)는 수납부(10)의 하방에 배치되고, 수납부(10)에 겹쳐 쌓여 수납된 물품(M) 중 최하위에 있는 물품(M)을 밀어내는 것에 의해 불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불출부(20)는 베이스 부분(200), 구동 부분(202), 베이스(204), 그리고 밀어내기 부분(206)을 포함하고 있다. 구동 부분(202)은 베이스 부분(200)에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204)는 구동 부분(202)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밀어내기 부분(206)은 베이스(204) 상에서 x축 방향으로 전후로 미끄럼이동할 수 있고, 수납부(10)에 수납된 물품(M)을 밀어내어 불출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분(200)은 제1 측벽 및 제2 측벽(212, 214) 그리고 바닥판(216)을 포함하고 있다. 제1 측벽 및 제2 측벽(212, 214)은 수직방향으로(다시 말해서, z축 방향으로)으로 뻗어 있으며 수평방향으로(다시 말해서, y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대하고 있다. 바닥판(216)은 제1 측벽 및 제2 측벽(212, 214)의 하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제1 측벽(212)과 제2 측벽(214)의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되어 있다. 제1 측벽(212), 제2 측벽(214) 및 바닥판(216)은 단면 형상이 대략 H자 형상인 구조를 이루고 있다. 제1 측벽 및 제2 측벽(212, 214)의 상부에는 수납부(10)가 고정되어 있다. 이 제1 실시례에서는, 베이스 부분(200)에 고정도어 있는 지그(208)에 의해 수납부(10)가 제1 측벽 및 제2 측벽(212, 214)에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 부분(200)의 후방 부분에는 래크 기어(나중에 설명함)의 후부를 수용하는 중공 튜브(256)가 대략 U자 형상으로 만곡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중공 튜브(256)의 한 단부는 베이스(204)에 고정되고 중공 튜브(256)의 다른 단부는 바닥판(216)의 이면측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 부분(202)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바닥판(216) 위에는 불출부(20)를 구동시키는 구동 부분(202)이 배치되어 있다. 구동 부분(202)은 케이스(220), 모터(222), 감속기(224) 및 피니언 기어(226)를 포함하고 있다. 케이스(220)는 바닥판(216) 위에 고정되어 있다. 케이스(220)에는 모터(222) 및 모터(222)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있는 감속기(224)가 배치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226)는 감속기(224)에 구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밀어내기 부분(206)의 래크 기어(252)에 결합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모터(222)의 구동력이 래크 기어(252)에 전달된다.
모터(222)(구동 장치에 해당함)는 수납부(1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모터(222)의 출력축은 물품 불출 장치(1)의 후방, 바꾸어 말하면, -x축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모터(222)의 출력축은 감속기(224)에 연결되어 있다. 감속기(224)에 대하여 모터(222)와 반대측에는 회전축선이 y축에 평행하게 배치된 피니언 기어(226)가 감속기(224)에 연결되어 있다.
밀어내기 부분(206)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밀어내기 부분(206)은 래크 기어(252), 제1 슬라이더 및 제2 슬라이더(260, 280), 그리고 푸셔(310)를 포함하고 있다. 래크 기어(252)는 감속기(224) 및 피니언 기어(226)를 통하여 모터(222)와 구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모터(222)의 회전 운동을 래크 기어(252)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킨다. 래크 기어(252)는 모터(222)의 회전 방향에 따라 x축 방향을 따라 전후로 미끄럼이동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더 및 제2 슬라이더(260, 280)는 래크 기어(252)의 미끄럼이동식 운동에 연동하여 x축 방향을 따라 전후로 미끄럼이동할 수 있다. 푸셔(310)는 링크 부재(316a, 316b, 316c, 316d)를 통하여 제2 슬라이더(280)에 연결되어 있다.
제2 슬라이더(280)는 제1 대기 위치(SP1)와 제1 불출 위치(MP1) 사이에서 x축 방향을 따라 미끄럼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 대기 위치(SP1)는 수납부(10)로부터 x축 방향의 후방으로 이동된 위치에 있다. 제1 불출 위치(MP1)는 최하위 물품(M1)이 불출되는 위치이다.
푸셔(310)는 제2 대기 위치(SP2)와 제2 불출 위치(MP2)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2 대기 위치(SP2)는 제1 유지부 및 제2 유지부(132a, 132b)에 의해 유지된 최하위 물품(M1)의 바닥면보다 z축 방향으로 더 낮은 위치에 있다. 제2 불출 위치(MP2)는 제1 유지부 및 제2 유지부(132a, 132b)에 의해 유지된 최하위 물품(M1)의 바닥면과 상부면 사이의 위치에 있다.
래크 기어(252)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래크 기어(252)는 래크 기어(252)의 톱니부가 구동 부분(202)를 향하도록, 다시 말해서, 아래쪽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래크 기어(252)의 톱니부는 피니언 기어(226)의 톱니부에 구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모터(222)의 구동력이 감속기(224) 및 피니언 기어(226)를 통하여 래크 기어(252)로 전달된다. 피니언 기어(226)와 래크 기어(252)가 구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모터(222)의 회전 운동이 제1 슬라이더(260)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된다. 래크 기어(252)는 가요성을 가진 재료로 만들어져 있다. 래크 기어(252)의 한 단부는 연결 부재(254)를 통하여 제1 슬라이더(260)에 고정되어 있고 래크 기어(252)의 다른 단부는 만곡되어 튜브(256) 속에 삽입되어 있다.
모터(222)의 회전 운동을 제1 슬라이더(260)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기구는 이 제1 실시례에 사용된 것과 같은 피니언 기어(226)와 래크 기어(252)의 조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피니언 기어(226)를 웜 기어로 교체하여, 웜 기어와 래크 기어의 조합을 형성할 수 있다. 피니언 기어(226)와 래크 기어(252)를 2개의 웜 기어로 각각 교체하여, 웜 기어와 다른 웜 기어의 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모터(222)의 회전 운동을 제1 슬라이더(260)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면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기어의 임의의 다른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벨트, 체인, 트래버스 캠샤프트 등에 의해 제1 슬라이더(260)의 직선 왕복 운동, 다시 말해서, 미끄럼이동식 운동이 유발될 수 있다.
연결 부재(254)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동일 평면에 포함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직사각형 형상의 평판부 및 대략 L자형 후크부로 구성되ㅇ어 있다. 연결 부재(254)는 상기 평판부 및 상기 후크부의 마주 대하는 내측면에 의해 래크 기어(252)를 사이에 끼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254)의 상기 평판부와 마주 대하는 연결 부재(254)의 상기 후크부의 내측면에는, 래크 기어(252)의 톱니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진 톱니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크부의 톱니부는 래크 기어(252)의 톱니부와 맞물린다. 이러한 이유로, 래크 기어(252)의 미끄럼이동식 운동 동안에 연결 부재(254)가 래크 기어(252)로부터 분리될 가능성이 없다.
제1 슬라이더(260)는 연결 부재(254)를 통하여 래크 기어(252)와 구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또한 제1 핀 및 제2 핀(274a, 274b)을 통하여 제2 슬라이더(280) 및 푸셔(310)와 구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 슬라이더(260)는 래크 기어(252)의 미끄럼이동식 운동에 연동하여 베이스(204) 위를 x축 방향으로 전후로 미끄럼이동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2 슬라이더(280) 및 푸셔(310)를 구동시킨다. 제1 슬라이더(260)는 y축에 평행한 단면 형상이 대략 U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1 슬라이더(260)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 그리고 바닥부는 개방되어 있다. 제1 슬라이더(260)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262, 264) 그리고 제1 측벽(262)과 제2 측벽(264)을 서로 연결시키는 상부 벽(266)을 가지고 있다. 제1 슬라이더(260)의 개방된 바닥부(다시 말해서, 오목부)는 래크 기어(252)와 마주 대하고 있다. 제1 슬라이더(260)의 x축 방향의 전방 단부에는 피연결 부재(268)가 설치되어 있다. 피연결 부재(268)는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된 판 형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피연결 부재(268)의 한 단부는 상부 벽(266)의 이면측에 고정되어 있고 피연결 부재(268)의 다른 단부는 연결 부재(254)에 연결되어 있다. 피연결 부재(268)는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략 T자 형상을 가진 부재가 피연결 부재(268)로서 사용될 수 있다. 연결 부재(254)와 피연결 부재(268)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부 벽(266)의 일부를 그 이면측으로 굴곡시키는 것에 의해서 피연결 부재(268)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슬라이더(260)의 제1 측벽(262)에는 x축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원형의 제1 관통구멍(270)이 형성되어 있고 x축 방향의 후방 단부에 원형의 제2 관통구멍(27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관통구멍(270)과 제2 관통구멍(272)은 z축 방향으로 동일한 높이에, 바꾸어 말하면, x축을 따라 동일한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슬라이더(260)의 제2 측벽(264)에는 제1 측벽(262)의 제1 관통구멍(270)과 대응하는 위치에 원형의 제1 관통구멍(270)이 형성되어 있고 제1 측벽(262)의 제2 관통구멍(272)과 대응하는 위치에 원형의 제2 관통구멍(27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측벽(262)의 제1 관통구멍(270)과 제2 측벽(264)의 제1 관통구멍(270)에는 제1 핀(274a)이 삽입되어 있다. 제1 측벽(262)의 제2 관통구멍(272)과 제2 측벽(264)의 제2 관통구멍(272)에는 제2 핀(274b)이 삽입되어 있다. 제1 핀(274a)과 제2 핀(274b)은 y축 방향으로 뻗어 있고, 제1 슬라이더(260)의 길이방향의 축(다시 말해서, x축)과 수직이다.
제2 슬라이더(280)는 y축 방향으로 챙(brim)을 가진 모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있다. 제2 슬라이더(280)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 그리고 바닥부는 개방되어 있다. 제2 슬라이더(280)는 서로 마주 대하도록 z축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282, 284), 제1 측벽(282)과 제2 측벽(284)을 서로 연결시키며 y축 방향으로 뻗어 있는 상부 벽(286), +y축 방향으로 제1 측벽(282)의 하단부로부터 돌출된 칼라부(288a), 그리고 -y축 방향으로 제2 측벽(284)의 하단부로부터 돌출된 칼라부(288b)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측벽(282)과 제2 측벽(284)의 y축 방향의 간격은 제1 슬라이더의 폭(246)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제1 측벽(282), 제2 측벽(284) 그리고 상부 벽(286)에 의해 형성된 제2 슬라이더(280)의 내부(구체적으로는, 모자 형상의 오목부)에 제1 슬라이더(260)가 삽입되어 있다.
제2 슬라이더(280)의 제1 측벽(282)에는 x축 방향을 따라서 뻗은 제1 긴 구멍(290a) 및 제2 긴 구멍(292a)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제1 긴 구멍(290a)의 상부 위치에 원형의 제1 관통구멍(294)이 형성되어 있고, 제2 긴 구멍(292a)의 상부 위치에 원형의 제2 관통구멍(296)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슬라이더(280)의 제2 측벽(284)에는 x축 방향을 따라서 뻗은 제1 긴 구멍(290b) 및 제2 긴 구멍(292b)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제1 긴 구멍(290b)의 상부 위치에 원형의 제1 관통구멍(294)이 형성되어 있고, 제2 긴 구멍(292b)의 상부 위치에 원형의 제2 관통구멍(296)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측벽(282)의 제1 긴 구멍(290a)에는 제1 핀(274a)의 한 단부가 삽입되어 있고 제2 측벽(284)의 제1 긴 구멍(290b)에는 제1 핀(274a)의 다른 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제1 측벽(282)의 제2 긴 구멍(292a)에는 제2 핀(274b)의 한 단부가 삽입되어 있고 제2 측벽(284)의 제2 긴 구멍(292b)에는 제2 핀(274b)의 다른 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제1 측벽(282)의 제1 관통구멍(294)에는 요동축(rocking shaft)(298)의 한 단부가 삽입되어 있고 제2 측벽(284)의 제1 관통구멍(294)에는 요동축(298)의 다른 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제1 측벽(282)의 제2 관통구멍(296)에는 요동축(300)의 한 단부가 삽입되어 있고 제2 측벽(284)의 제2 관통구멍(296)에는 요동축(300)의 다른 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링크 부재(316a, 316b, 316c, 316d)는 각각 대략 V자 형상의 기다란 평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V자 형상의 링크 부재(316a)는 전방 단부에 형성된 제1 축 구멍(330a), 굴곡부에 형성된 제2 축 구멍(332a), 그리고 상기 전방 단부 반대측의 후방 단부에 형성된 긴 구멍(318)을 포함하고 있다. V자 형상의 링크 부재(316b)는 전방 단부에 형성된 제1 축 구멍(330b), 굴곡부에 형성된 제2 축 구멍(332b), 그리고 상기 전방 단부 반대측의 후방 단부에 형성된 긴 구멍(320)을 포함하고 있다. V자 형상의 링크 부재(316c)는 전방 단부에 형성된 제1 축 구멍(330c), 굴곡부에 형성된 제2 축 구멍(332c), 그리고 상기 전방 단부 반대측의 후방 단부에 형성된 긴 구멍(322)을 포함하고 있다. V자 형상의 링크 부재(316d)는 전방 단부에 형성된 제1 축 구멍(330d), 굴곡부에 형성된 제2 축 구멍(332d), 그리고 상기 전방 단부 반대측의 후방 단부에 형성된 긴 구멍(324)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링크 부재(316a)와 상기 링크 부재(316b)는 제2 슬라이더(280)의 제1 측벽(282)의 측면에 x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링크 부재(316c)와 상기 링크 부재(316d)는 제2 슬라이더(280)의 제2 측벽(284)의 측면에 x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링크 부재(316a)의 제1 축 구멍(330a)에는 요동축(326)의 한 단부가 삽입되어 있고 링크 부재(316c)의 제1 축 구멍(330c)에는 요동축(326)의 다른 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링크 부재(316a)의 제2 축 구멍(332a)에는 요동축(298)의 한 단부가 삽입되어 있고 링크 부재(316c)의 제2 축 구멍(332c)에는 요동축(298)의 다른 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링크 부재(316a)의 긴 구멍(318)에는 제1 핀(274a)의 한 단부가 삽입되어 있고 링크 부재(316c)의 긴 구멍(322)에는 제1 핀(274a)의 다른 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링크 부재(316b)의 제1 축 구멍(330b)에는 요동축(328)의 한 단부가 삽입되어 있고 링크 부재(316d)의 제1 축 구멍(330d)에는 요동축(328)의 다른 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링크 부재(316b)의 제2 축 구멍(332b)에는 요동축(300)의 한 단부가 삽입되어 있고 링크 부재(316d)의 제2 축 구멍(332d)에는 요동축(300)의 다른 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링크 부재(316b)의 긴 구멍(320)에는 제2 핀(274b)의 한 단부가 삽입되어 있고 링크 부재(316d)의 긴 구멍(324)에는 제2 핀(274b)의 다른 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인해, 이 제1 실시례에서는, 링크 부재(316a)와 링크 부재(316c)가 한 쌍의 부재로서 작용하고 링크 부재(316b)와 링크 부재(316d)가 다른 한 쌍의 부재로서 작용한다.
이 제1 실시례에서, 모든 링크 부재(316a, 316b, 316c, 316d)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링크 부재의 각각의 쌍, 다시 말해서, 링크 부재(316a)와 링크 부재(316c)의 쌍과 링크 부재(316b)와 링크 부재(316d)의 쌍이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충분하다.
푸셔(310)는 링크 부재(316a, 316b, 316c, 316d)를 통하여 제2 슬라이더(280)에 연결되어 있다. 푸셔(310)는 최하위로부터 2번째 물품(M2)이 배치되어 있는 물품 배치부(312)와 최하위 물품(M1)을 밀어내는 푸셔부(314)를 포함하고 있다. 물품 배치부(312)는 푸셔(310)의 전방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물품 배치부(312)와 푸셔부(314)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물품 배치부(312)는 x축 또는 y축에 평행한 변을 가진 4개의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와, x축 방향의 물품 배치부(312)의 2개의 대향하는 변에서 아래쪽으로(다시 말해서, -z축 방향으로) 뻗어서 형성된 4개의 베어링(334a, 334b, 334c, 334d)을 가지고 있다. 베어링(334a, 334b, 334c, 334d)의 각각은 원형의 관통구멍을 가지고 있다.
베어링(334a)과 베어링(334b)은 제2 슬라이더(280)의 제1 측벽(282)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고, 베어링(334c)과 베어링(334d)은 제2 슬라이더(280)의 제2 측벽(284)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베어링(334a)과 베어링(334c)은 y축 방향의 한 직선 위에 배치되어 있고, 베어링(334c)과 베어링(334d)은 y축 방향의 다른 직선 위에 배치되어 있다. 베어링(334a)과 베어링(334b)은 x축 방향의 한 직선 위에 배치되어 있고, 베어링(334c)과 베어링(334d)은 x축 방향의 다른 직선 위에 배치되어 있다.
요동축(326)의 한 단부는 베어링(334a)에 삽입되어 베어링(334a)에 의해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요동축(326)의 다른 단부는 베어링(334c)에 삽입되어 베어링(334c)에 의해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요동축(328)의 한 단부는 베어링(334b)에 삽입되어 베어링(334b)에 의해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요동축(328)의 다른 단부는 베어링(334d)에 삽입되어 베어링(334d)에 의해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다음에는, 도 7을 참고하여 제1 슬라이더(260) 및 제2 슬라이더(280), 링크 부재(316a, 316b, 316c, 316d), 그리고 푸셔(310) 사이의 연결에 대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
제1 슬라이더(260) 및 제2 슬라이더(280), 링크 부재(316a, 316b, 316c, 316d) 그리고 푸셔(310)는 제1 핀 및 제2 핀(274a, 274b)과 요동축(298, 300, 326, 328)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 핀(274a)의 한 단부는 링크 부재(316a)의 긴 구멍(318), 제2 슬라이더(280)의 제1 측벽(282)의 긴 구멍(290a), 그리고 제1 슬라이더(260)의 제1 측벽(262)의 제1 관통구멍(270)에 삽입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1 핀(274a)의 다른 단부는 링크 부재(316c)의 긴 구멍(322), 제2 슬라이더(280)의 제2 측벽(284)의 긴 구멍(290b), 그리고 제1 슬라이더(260)의 제2 측벽(264)의 제1 관통구멍(270)에 삽입되어 있다.
제2 핀(274b)의 한 단부는 링크 부재(316b)의 긴 구멍(320), 제2 슬라이더(280)의 제1 측벽(282)의 긴 구멍(292a), 그리고 제1 슬라이더(260)의 제1 측벽(262)의 제2 관통구멍(272)에 삽입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핀(274b)의 다른 단부는 링크 부재(316d)의 긴 구멍(324), 제2 슬라이더(280)의 제2 측벽(284)의 긴 구멍(292b), 그리고 제1 슬라이더(260)의 제2 측벽(264)의 제2 관통구멍(272)에 삽입되어 있다.
요동축(298)의 한 단부는 링크 부재(316a)의 제2 축 구멍(332a)과 제2 슬라이더(280)의 제1 측벽(282)의 제1 관통구멍(294)에 삽입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요동축(298)의 다른 단부는 링크 부재(316c)의 제2 축 구멍(332c)과 제2 슬라이더(280)의 제2 측벽(284)의 제1 관통구멍(294)에 삽입되어 있다.
요동축(300)의 한 단부는 링크 부재(316b)의 제2 축 구멍(332b)과 제2 슬라이더(280)의 제1 측벽(282)의 제2 관통구멍(296)에 삽입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요동축(300)의 다른 단부는 링크 부재(316d)의 제2 축 구멍(332d)과 제2 슬라이더(280)의 제2 측벽(284)의 제2 관통구멍(296)에 삽입되어 있다.
요동축(326)의 한 단부는 링크 부재(316a)의 제1 축 구멍(330a)과 푸셔(310)의 베어링(334a)의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요동축(326)의 다른 단부는 링크 부재(316c)의 제1 축 구멍(330c)과 푸셔(310)의 베어링(334c)의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있다.
요동축(328)의 한 단부는 링크 부재(316b)의 제1 축 구멍(330b)과 푸셔(310)의 베어링(334b)의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요동축(328)의 다른 단부는 링크 부재(316d)의 제1 축 구멍(330d)과 푸셔(310)의 베어링(334d)의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있다.
제2 슬라이더(280)의 제1 측벽(282)과 제2 측벽(284)은 링크 부재(316a, 316b, 316c, 316d)에 대해 안쪽에 위치되어 있다. 제1 슬라이더(260)의 제1 측벽(262)과 제2 측벽(264)은 제2 슬라이더(280)의 제1 측벽(282)과 제2 측벽(284)에 대해 각각 안쪽에 위치되어 있다.
다음에는, 도 8A 및 도 8B을 참고하여 베이스(204)를 아래에서 설명한다.
베이스(204)는 베이스(204)에 대하여 x축 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할 수 있는 래크 기어(252)와 제1 슬라이더 및 제2 슬라이더(260, 280)를 지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베이스(204)는 한 쌍의 베이스 부재(230a, 230b), 한 쌍의 상부 레일 부재(232a, 232b), 한 쌍의 제1 스페이서(234a, 234b), 하부 레일 부재(236), 그리고 한 쌍의 제2 스페이서(238a, 238b)를 포함하고 있다. x축 방향으로 뻗어 있는 한 쌍의 베이스 부재(230a, 230b)는 x축에 수직인 U자 형상의 단면을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되어 있다. 한 쌍의 상부 레일 부재(232a, 232b)는 한 쌍의 베이스 부재(230a, 230b)의 표면측(다시 말해서, 상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제1 스페이서(234a, 234b)는 한 쌍의 베이스 부재(230a, 230b)와 한 쌍의 상부 레일 부재(232a, 232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하부 레일 부재(236)는 한 쌍의 베이스 부재(230a, 230b)의 배면측(다시 말해서, 하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제2 스페이서(238a, 238b)는 한 쌍의 베이스 부재(230a, 230b)와 하부 레일 부재(23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베이스 부재(230a, 230b)는 각각 베이스 부분(200)의 제1 측벽 및 제2 측벽(212, 214)에 고정되어 있다. 한 쌍의 베이스 부재(230a, 230b) 각각의 y축 방향의 폭은 제1 측벽(212)과 제2 측벽(214) 사이의 간격의 2분의 1보다 작다. 따라서, y축 방향으로 한 쌍의 베이스 부재(230a, 230b)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나중에 간극(s1)이라고 칭함)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베이스 부재(230a, 230b)의 표면측에는, 한 쌍의 제1 스페이서(234a, 234b) 및 한 쌍의 상부 레일 부재(232a, 232b)가 고정되어 있고, 한 쌍의 제1 스페이서(234a, 234b)는 한 쌍의 베이스 부재(230a, 230b)와 각각 접촉되어 있고, 한 쌍의 상부 레일 부재(232a, 232b)는 한 쌍의 베이스 부재(230a, 230b)와 각각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한 쌍의 베이스 부재(230a, 230b)와 한 쌍의 상부 레일 부재(232a, 232b)의 사이에 z축 방향으로 2개의 간극(s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2개의 간극(s2)에 제2 슬라이더(280)의 한 쌍의 칼라부(288a, 288b)가 각각 삽입되어 있다. 한 쌍의 상부 레일 부재(232a, 232b) 사이의 간격은 제2 슬라이더(280)의 제1 측벽(282)과 제2 측벽(284) 사이의 간격보다 약간 크다. 한 쌍의 제1 스페이서(234a, 234b)는 제2 슬라이더(280)의 한 쌍의 칼라부(288a, 288b)보다 두께가 약간 더 두껍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한 쌍의 베이스 부재(230a, 230b)와 한 쌍의 상부 레일 부재(232a, 232b)에 의해 형성된 2개의 간극(s2)에 의해 제2 슬라이더(280)의 한 쌍의 칼라부(288a, 288b)가 이동가능하게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상부 레일 부재(232a, 232b)의 측면(간극(s1)에 더 가까운 측면)에 의해 제2 슬라이더(280)의 제1 측벽 및 제2 측벽(282, 284)의 각각이 가이드되면서 제2 슬라이더(280)가 x축 방향을 따라 미끄럼이동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베이스 부재(230a, 230b)의 배면측에는, 한 쌍의 제2 스페이서(238a, 238b)와 하부 레일 부재(236)가 고정되어 있다. 한 쌍의 제2 스페이서(238a, 238b)의 z축 방향의 두께는 래크 기어(252)의 톱니부를 지지하는 래크 기어(252)의 평판부의 두께보다 조금 더 크다. 따라서, 한 쌍의 제2 스페이서(238a, 238b)에 의해 한 쌍의 베이스 부재(230a, 230b)와 하부 레일 부재(236) 사이에 간극(s3)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레일 부재(236)는 x축에 수직인 단면이 모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U자 형상의 돌출부(236a)와 한 쌍의 칼라부(236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236a)에는 홈(236c)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36a)의 y축 방향의 내측 폭(다시 말해서, 홈(236c)의 폭)은 한 쌍의 베이스 부재(230a, 230b) 사이의 간극(s1)과 대략 동일하다. 상기 한 쌍의 칼라부(236b)는 돌출부(236a)의 2개의 측면으로부터 제1 측벽 및 제2 측벽(212, 214)을 향하여 각각 뻗어 있다. 하부 레일 부재(234)는 돌출부(236a)가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돌출부(236a)의 홈(236c)과 간극(s1)이 위치상으로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칼라부(236b)가 한 쌍의 제2 스페이서(238a, 238b)를 통하여 한 쌍의 베이스 부재(230a, 230b)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한 쌍의 제2 스페이서(238a, 238b)에 의해, 한 쌍의 베이스 부재(230a, 230b)와 하부 레일 부재(236) 사이에 형성된 간극(s3)으로 래크 기어(252)가 삽입된다. 래크 기어(252)의 톱니부는 한 쌍의 제2 스페이서(238a, 238b) 사이의 간극 및 하부 레일 부재(236)의 홈(236c)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한 쌍의 베이스 부재(230a, 230b), 한 쌍의 제2 스페이서(238a, 238b) 및 하부 레일 부재(236)에 의해 래크 기어(252)가 가이드될 수 있고 x축 방향을 따라 미끄럼이동할 수 있다.
연결 부재(254)는 하부 레일 부재(236)의 홈(236c), 한 쌍의 제2 스페이서(238a, 238b) 사이의 간극, 그리고 한 쌍의 베이스 부재(230a, 230b) 사이의 간극(s1)에 삽입된다. 연결 부재(254)는 래크 기어(252)와 제1 슬라이더(260)의 피연결 부재(268)를 연결시킨다.
한 쌍의 베이스 부재(230a, 230b)의 배면측에 한 쌍의 판 스프링(240a, 240b)이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판 스프링(240a, 240b)은 각각 탄성을 가진 직사각형 형상의 평판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평판의 한 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평판의 길이방향의 축을 따라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고 있다. 한 쌍의 베이스 부재(230a, 230b)의 각각의 대략 중앙부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창문부(window)(242a, 242b)가 형성되어 있고, 이 창을 통하여 한 쌍의 판 스프링(240a, 240b)이 각각 돌출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창문부(242a, 242b)는 수납부(10)의 플랩(152)의 대략 바로 아래 또는 -x축 방향으로 약간 후방으로 이동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창문부(242a, 242b)는 제2 슬라이더(280)의 한 쌍의 칼라부(288a, 288b)의 각각과 y축 방향을 따라 전부 또는 일부가 겹친다. 대응하는 창문부(242)에 한 쌍의 베이스 부재(230a, 230b)의 배면측으로부터 한 쌍의 판 스프링(240a, 240b)의 돌출부가 각각 삽입된다. 따라서, 한 쌍의 판 스프링(240a, 240b)의 돌출부는 한 쌍의 베이스 부재(230a, 230b)의 표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에 대해 한 쌍의 판 스프링(240a, 240b)의 반대쪽 단부는 각각 한 쌍의 베이스 부재(230a, 230b)의 배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인해, 제2 슬라이더(280)가 x축 방향을 따라 제1 대기 위치(SP1)로부터 제1 불출 위치(MP1)로 전진 이동하는 경우, 제2 슬라이더(280)의 한 쌍의 칼라부(288a, 288b)가 한 쌍의 판 스프링(240a, 240b)의 돌출부와 각각 접촉한다. 따라서, 제1 슬라이더(260)에 의해 제2 슬라이더(280)에 작용하는 힘이 소정값 이상으로 될 때까지 한 쌍의 판 스프링(240a, 240b)의 돌출부에 의해 제2 슬라이더(280)의 제1 대기 위치(SP1)쪽으로의 전진 이동이 제한된다. 제1 슬라이더(260)에 의해 제2 슬라이더(280)에 작용하는 힘이 소정의 값 이상으로 되면, 한 쌍의 판 스프링(240a, 240b)의 돌출부는 각각 한 쌍의 판 스프링(240a, 240b)의 탄성력을 거슬러서 한 쌍의 베이스 부재(230a, 230b)의 창문부(242a, 242b)로 제2 슬라이더(280)에 의해 밀어 넣어진다. 이것은 제2 슬라이더(280)의 제1 대기 위치(SP1)쪽으로의 전진 이동의 제한이 해제된 것을 의미한다.
제2 슬라이더(280)의 이동을 제한하는 기구는 위에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다른 기구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더(280)에 작용하는 힘이 소정값 미만인 경우에 제2 슬라이더(28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으면 임의의 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평판 형상의 한 쌍의 판 스프링(240a, 240b) 대신에 만곡된 판 스프링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제한 부재가 뒤집힌 V자 형상의 돌출부 또는 만곡면을 가지고 있고, 각각의 스프링이 대응하는 창문부(242a, 242b)를 통하여 한 쌍의 베이스 부재(230a, 230b)의 표면측으로 제한 부재에 탄성력을 작용하는 형태의, 한 쌍의 제한 부재와 이 제한 부재를 탄성가압하는 한 쌍의 스프링의 조합이 이러한 기구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에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불출 센서(340)에 대하여 설명한다.
불출 센서(340)는 불출 개구(134)를 통하여 수납부(10)로부터의 물품(M)의 불출 작동을 감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불출 센서(340)는 최하위 물품(M)이 불출을 위해 이동되는 통로의 전방 단부 근처에 설치되어 있다. 불출 센서(340)의 센서부는 불출 개구(134)보다 전방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실시례에서, 불출 센서(340)는 투과형 포토센서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불출 센서(340)가 투광기(340a)와 수광기(340b)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수광기(340b)는 투광기(340a)로부터 조사된 광을 수용한다. 투광기(340a)와 수광기(340b) 사이를 통과하는 물품(M)으로 인한 수광기(340b)에 의해 수광되는 수광량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물품(M)이 불출되는지 여부가 검출될 수 있다.
불출 센서(340)에 투광형 포토센서를 사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반사형 포토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막대 형상이나 판 형상을 가진 이동가능한 게이트 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게이트 부재가 베이스 부분(200) 또는 수납부(10)에 대하여 요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게이트 부재의 운동을 마이크로스위치와 같은 적절한 스위치로 검출함으로써, 물품(M)의 불출 동작을 검출한다.
다음에는, 도 4와 도 8A 및 도 8B을 참고하여 엠프티 센서(empty sensor)(350)를 아래에서 설명한다.
엠프티 센서(350)는 수납부(10)에 수납된 물품(M)의 유무를 감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엠프티 센서(350)는 마이크로스위치(354)와 로드(352)의 조합으로 형성되어 있다. 마이크로스위치(354)는 베이스(204)의 베이스 부재(230a)보다 상부 위치에서 베이스 부분(200)의 제1 측벽(212)에 고정되어 있다. 로드(352)의 한 단부는 마이크로스위치(354)가 로드(352)의 운동에 의해 작동되도록 마이크로스위치(354)에 고정되어 있다. 로드(352)는 마이크로스위치(354)로부터 수납부(10)의 한 쌍의 유지부(132a, 132b)의 하부 위치까지 비스듬하게 전방으로 뻗어 있다. 로드(352)는 가압력에 의해 위쪽으로(다시 말해서, +z축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따라서, 수납부(10)에 물품(M)이 수납되어 있는 경우, 로드(352)는 최하위 물품(M1)에 의해 가압력에 대항하여 아래쪽으로(다시 말해서, 베이스 부재(230a)쪽으로) 가압된다. 한편, 수납부(10)에 물품(M)이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다시 말해서, 수납부(10)가 엠프티 상태인 경우, 로드(352)는 상기 가압력에 의해 위쪽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와 같이 로드(352)가 위쪽 방향으로 요동 운동하는 것으로 인해, 마이크로스위치(354)가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또는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바뀌고, 이것에 의해 수납부(10)에 수납된 물품(M)의 유무, 다시 말해서, 수납부(10)가 엠프티 상태인지 아닌지가 검출된다.
이 제1 실시례에서는, 엠프티 센서(350)가 마이크로스위치(354)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반사형 포토센서, 투과형 포토센서 등이 물품(M)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다음에는, 도 2, 도 3, 도 6, 도 8A 및 도 8B를 참고하여 슬라이더 감지 장치(360)를 아래에서 설명한다.
슬라이더 감지 장치(360)는 제2 슬라이더(280)가 제1 대기 위치(SP1)에 위치되어 있는지 또는 제1 불출 위치(MP1)에 위치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 감지 장치(360)의 센서부는 제2 슬라이더(280)가 제1 대기 위치(SP1)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 감지 요소(362)와, 제2 슬라이더(280)가 제1 불출 위치(MP1)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 감지 요소(364)를 포함하고 있다. 제1 감지 요소(362)와 제2 감지 요소(364)는 모두 제2 측벽(214)에 고정되어 있다.
이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감지 요소(362)와 제2 감지 요소(364)의 각각에 대해서 대략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진 상자체를 가지고 있고 이 상자체에 투광기와 수광기가 고정되어 있는 얇은 투과형 포토센서가 사용되어 있다. 상기 투광기와 수광기는 상기 상자체의 개재 홈(intervening recess)에 의해 서로 마주 대하고 있다.
제2 슬라이더(280)의 제2 측벽(284)에는 y축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베이스 부분(200)의 제2 측벽(214)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기다란 감지판(366)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감지판(366)의 높이는 제1 감지 요소(362)와 제2 감지 요소(364)의 홈을 통과하도록 결정된다. 제2 슬라이더(280)가 제1 대기 위치(SP1)에 있는 경우, 감지판(366)은 제1 감지 요소(362)의 홈으로 진입하여 제1 감지 요소(362)의 수광기에 의해 수광되는 광량을 감소시키고, 이것에 의해 제2 슬라이더(280)를 감지한다. 한편, 제2 슬라이더(280)가 제1 불출 위치(MP1)에 위치하는 경우, 감지판(366)은 제2 감지 요소(364)의 홈으로 진입하여 제2 감지 요소(364)의 수광기에 의해 수광되는 광량을 감소시키고, 이것에 의해 제2 슬라이더(280)를 감지한다.
제1 감지 요소(362)와 제2 감지 요소(364)의 어느 것도 감지판(366)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다시 말해서, 제2 슬라이더가 제1 대기 위치(SP1)와 제1 불출 위치(MP1)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제1 감지 요소(362)와 제2 감지 요소(364) 중의 어느 것이 직전에 감지판(366)을 감지하였는지에 의해 제2 슬라이더(280)의 이동 방향이 판단된다. 구체적으로는, 감지판(366)이 제1 감지 요소(362)와 제2 감지 요소(364)의 어느 쪽에도 감지되지 않고, 직전에 제1 감지 요소(362)에 의해 감지판(366)이 감지된 경우, 제2 슬라이더(280)는 제1 대기 위치(SP1)로부터 제1 불출 위치(MP1)를 향하여 이동중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감지판(366)이 제1 감지 요소(362)와 제2 감지 요소(364)의 어느 쪽에도 감지되지 않고, 직전에 제2 감지 요소(364)에 의해 감지판(366)이 감지된 경우, 제2 슬라이더(280)는 제1 불출 위치(MP1)로부터 제1 대기 위치(SP1)를 향하여 이동중인 것으로 판단된다.
슬라이더 감지 장치(360)는 위에 설명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1 감지 요소(362)와 제2 감지 요소(364)의 각각에 대해 반사형 포토센서 및/또는 마이크로스위치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
다음에는,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제어부(30)를 아래에서 설명한다.
제어부(30)는 외부 장치(도시되어 있지 않음)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 부분(202)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 밀어내기 부분(206)의 상태, 다시 말해서, 제2 슬라이더의 상태를 검출하는 기능, 물품(M)의 불출 작동을 검출하는 기능, 그리고 수납부(10)에 수납된 물품(M)의 유무를 검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어부(30)는 x축 방향으로 수납부(10)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30)는 지지부(400), 케이스(402), 그리고 제어기판(404)을 포함하고 있다. 지지부(400)는 불출부(20)의 제1 측벽 및 제2 측벽(212, 214)에 직립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케이스(402)는 지지부(400)에 고정되어 있다. 제어기판(404)은 케이스(402)에 장착되어 있다. 케이스(402)에서의 제어기판(404)의 장착 상태는 이 제1 실시례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케이스(402)는 수납부(10)에 고정될 수 있고, 케이스(402)를 수납부(10)나 베이스 부분(200)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어기판(404)은 베이스 부분(200)의 제1 측벽 및 제2 측벽(212, 214)이나 바닥판(216) 등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불출 동작]
다음에는, 도 9 내지 도 17을 참고하여 제1 실시례에 따른 물품 불출 장치(1)의 불출 동작을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9는 물품 불출 장치(1)의 대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서, 제2 슬라이더(280)는 x축 방향으로 베이스(204)의 후방 단부인 제1 대기 위치(SP1)에 유지되어 있고, 푸셔(310)는 제2 슬라이더(280)에 최근접 상태로 위치되어 있으며 수납부(10)의 제1 유지부 및 제2 유지부(132a, 132b)보다 조금 낮은 위치인 제2 대기 위치(SP2)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 제1 핀(274a)은 제2 슬라이더(280)의 제1 측벽(282)의 제1 긴 구멍(290a) 및 제2 슬라이더(280)의 제2 측벽(284)의 제1 긴 구멍(290b)의 x축 방향의 후방 단부에 위치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핀(274b)은 제2 슬라이더(280)의 제1 측벽(282)의 제2 긴 구멍(292a) 및 제2 슬라이더(280)의 제2 측벽(284)의 제2 긴 구멍(292b)의 x축 방향의 후방 단부에 위치해 있다.
이 상태에서, 링크 부재(316a, 316b, 316c, 316d)는 아래의 상태를 가지고 있다.
상세하게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링크 부재(316a, 316b, 316c, 316d)의 각각의 굴곡부로부터 각각의 전방 단부로 뻗어 있는 링크 부재(316a, 316b, 316c, 316d)의 전방부는 x축 방향과 평행하다. 링크 부재(316a, 316b, 316c, 316d)의 각각의 굴곡부로부터 각각의 후방 단부로 뻗어 있는 링크 부재(316a, 316b, 316c, 316d)의 후방부는, 상기 굴곡부가 상기 후방 단부보다 z축 방향으로 더 상부에 배치되고 x축 방향으로 상기 후방 단부로부터 앞쪽에 있도록 x축 및 z축에 대해 경사져 있다. 따라서, 링크 부재(316a, 316b, 316c, 316d)의 각각의 긴 구멍(318, 320, 322, 324)은 x축 방향에 대해 위쪽으로 비스듬하게 그리고 z축 방향에 대해 앞쪽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져 있다.
또한, 제1 핀(274a)은 링크 부재(316a, 316c)의 긴 구멍(318, 322)의 후방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2 핀(274b)은 링크 부재(316b, 316d)의 긴 구멍(320, 324)의 후방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모터(222)와 래크 기어(252)는 감속기(224) 및 피니언 기어(226)를 통하여 구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모터(222)의 회전 운동은 피니언 기어(226) 및 래크 기어(252)에 의해 x축 방향을 따른 직선 운동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모터(222)의 회전으로 인해, 래크 기어(252)는 x축 방향으로 앞뒤로 슬라이딩한다. 래크 기어(252)는 연결 부재(254)를 통하여 제1 슬라이더(260)에 구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래크 기어(252)의 슬라이딩 운동에 연동하여, 제1 슬라이더(260)가 x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또한, 제1 슬라이더(260)는 제1 핀 및 제2 핀(274a, 274b)에 의해 제2 슬라이더(28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슬라이더(260)에 의해 제2 슬라이더(280)는 x축 방향을 따라 앞뒤로 슬라이딩된다.
본 명세서에서, 래크 기어(252)를 앞쪽으로(다시 말해서,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터(222)의 회전 방향을 제1 회전 방향(R1)으로 정의하고, 래크 기어(252)를 뒤쪽으로(다시 말해서,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터(222)의 회전 방향을 제2 회전 방향(R2)으로 정의한다.
제1 실시례에 따른 물품 불출 장치(1)가 외부 장치(도시되어 있지 않음)로부터 출력된 물품(M)을 불출시키는 불출 지시를 받으면, 물품 불출 장치(1)는 물품 불출 동작을 개시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외부 장치의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물품(M)을 불출시키는 지시 신호가 물품 불출 장치(1)에 수신되면, 물품 불출 장치(1)의 제어부(30)는 물품 불출 동작을 실행시키는 제어 신호를 불출부(20)로 출력하고, 이것에 의해 물품 불출 동작을 개시시킨다.
물품(M)의 불출 동작이 진행되는 동안, 먼저, 슬라이더 감지 장치(360)에 의해 제2 슬라이더(280)가 제1 대기 위치(SP1)에 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제2 슬라이더(280)가 제1 대기 위치(SP1)에 있는 경우, 모터(222)는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 동작을 개시하고, 그 결과, 래크 기어(252) 및 제1 슬라이더(260)가 앞쪽으로, 다시 말해서, +x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한편, 제2 슬라이더(280)가 제1 대기 위치(SP1)에 없는 경우, 모터(222)는 제2 회전 방향(R2)으로 회전 동작을 개시하고, 그 결과, 래크 기어(252) 및 제1 슬라이더(260)가 뒤쪽으로, 다시 말해서, -x축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것에 의해 제2 슬라이더(280)를 제1 대기 위치(SP1)로 이동시킨다. 제1 감지 요소(362)에 의해 제2 슬라이더가 검출된 후, 모터(222)의 회전 방향이 제1 회전 방향(R1)으로 변경되고, 래크 기어(252) 및 제1 슬라이더(260)가 앞쪽으로(다시 말해서, +x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 슬라이더(260)의 앞쪽으로의 이동으로 인해, 제2 슬라이더(280)는 x축 방향을 따라 제1 대기 위치(SP1)로부터 제1 불출 위치(MP1)로의 이동을 개시한다. 그러나, 베이스(204)에는 한 쌍의 판 스프링(240a, 240b)이 제2 슬라이더(280)의 한 쌍의 칼라부(288a, 288b)의 돌출북(다시 말해서, 전방 단부)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슬라이더(280)를 이동시키는 힘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 제2 슬라이더(280)의 +x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한 쌍의 판 스프링(240a, 240b)에 의해 제한된다.
제1 핀(274a)이 제1 슬라이더(260)의 제1 측벽 및 제2 측벽(262, 264)의 제1 관통구멍(270)과 제2 슬라이더(280)의 제1 측벽 및 제2 측벽(282, 284)의 제1 긴 구멍(290a, 290b)에 삽입되어 있고, 제2 핀(274b)이 제1 슬라이더(260)의 제1 측벽 및 제2 측벽(262, 264)의 제2 관통구멍(272)과 제2 슬라이더(280)의 제1 측벽 및 제2 측벽(282, 284)의 제2 긴 구멍(292a, 292b)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슬라이더(260)와 제2 슬라이더(280)는 제1 핀(274a) 및 제2 핀(274b)에 의해 구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제1 핀(274a)은 제2 슬라이더(280)의 제1 측벽 및 제2 측벽(282, 284)의 제1 긴 구멍(290a, 290b) 내에서 x축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제2 핀(274b)은 제2 슬라이더(280)의 제1 측벽 및 제2 측벽(282, 284)의 제2 긴 구멍(292a, 292b) 내에서 x축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이 때문에, 제2 슬라이더(280)의 한 쌍의 칼라부(288a, 288b)의 돌출부가 한 쌍의 판 스프링(240a, 240b)과 각각 접촉한 후, 제1 슬라이더(260)가 앞쪽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제1 핀(274a)이 제2 슬라이더(280)의 제1 긴 구멍(290a, 290b) 내에서 x축 방향을 따라 앞쪽으로 미끄럼이동하고, 제2 핀(274b)이 제2 슬라이더(280)의 제2 긴 구멍(292a, 292b) 내에서 x축 방향을 따라 앞쪽으로 미끄럼이동한다. 이런 식으로, 제1 슬라이더(260)로부터 제2 슬라이더(280)에 전달된 힘이 소정값 이하로 유지되어, 제2 슬라이더(280)의 x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제2 슬라이더(280)의 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제1 슬라이더(260)가 앞쪽으로 이동되면, 제1 핀(274a)이 제2 슬라이더(280)의 제1 긴 구멍(290a, 290b) 내에서 x축 방향을 따라 앞쪽으로 미끄럼이동하고, 링크 부재(316a)의 긴 구멍(318)과 링크 부재(316c)의 긴 구멍(322)의 내측 가장자리가 제1 핀(274a)에 의해 x축 방향을 따라 앞쪽으로 밀린다. 마찬가지로, 제2 핀(274b)이 제2 슬라이더(280)의 제2 긴 구멍(292a, 292b) 내에서 x축 방향을 따라 앞쪽으로 미끄럼이동하고, 링크 부재(316b)의 긴 구멍(320)과 링크 부재(316d)의 긴 구멍(324)의 내측 가장자리가 제2 핀(274b)에 의해 x축 방향을 따라 앞쪽으로 밀린다.
하지만, 링크 부재(316a, 316c)는 요동축(298)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제2 슬라이더(280)에 대하여 요동축(298)을 중심으로 요동가능하다. 따라서, 링크 부재(316a)의 긴 구멍(318)과 링크 부재(316c)의 긴 구멍(322)의 내측 가장자리가 제1 핀(274a)에 의해 x축 방향을 따라 앞쪽으로 밀려도, 링크 부재(316a, 316c)는 x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대신에 링크 부재(316a, 316c)는 제2 슬라이더(280)에 대하여 요동축(298)을 중심으로 도 9에서의 시계 방향으로 요동한다.
마찬가지로, 링크 부재(316b, 316d)는 요동축(300)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제2 슬라이더(280)에 대하여 요동축(300)을 중심으로 요동가능하다. 따라서, 링크 부재(316c)의 긴 구멍(320)과 링크 부재(316d)의 긴 구멍(324)의 내측 가장자리가 제2 핀(274b)에 의해 x축 방향을 따라 앞쪽으로 밀려도, 링크 부재(316b, 316d)는 x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대신에 링크 부재(316b, 316d)는 제2 슬라이더(280)에 대하여 요동축(300)을 중심으로 도 9에서의 시계 방향으로 요동한다.
따라서, 링크 부재(316a, 316b, 316c, 316d)는 제2 슬라이더(280)에 대하여 기립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푸셔(310)는 위치상으로 수납부(10)의 제1 유지부 및 제2 유지부(132a, 132b)보다 높고 최하위 물품(M1)의 상부면보다 낮은 제2 불출 위치(MP2)로 이동된다. 이것은 푸셔(310)가 요동축(326)을 통하여 링크 부재(316a)의 제1 축 구멍(330a) 및 링크 부재(316c)의 제1 축 구멍(330c)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요동축(328)을 통하여 링크 부재(316b)의 제1 축 구멍(330b) 및 링크 부재(316d)의 제1 축 구멍(330d)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푸셔(310)의 제2 불출 위치(MP2)(도 10 참고)로의 이동이 완료된 후, 제1 핀(274a)은 제2 슬라이더(280)의 제1 긴 구멍(290a, 290b)의 전방 단부에 위치되어 있고 제2 핀(274b)은 제2 슬라이더(280)의 제2 긴 구멍(292a, 292b)의 전방 단부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x축을 따라 앞쪽으로 이동하는 제1 슬라이더(260)로부터 제1 핀 및 제2 핀(274a, 274b)을 통하여 작용하는 힘의 거의 대부분이 제2 슬라이더(280)에 전달된다. 이 경우에, 제2 슬라이더(280)를 앞쪽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한 쌍의 판 스프링(240a, 240b)을 극복하기 위한 소정값을 넘어선다. 결과적으로, 제2 슬라이더(280)의 한 쌍의 칼라부(288a, 288b)의 돌출부(다시 말해서, 전방 단부)가 한 쌍의 판 스프링(240a, 240b)을 극복하여, 제2 슬라이더(280)를 x축 방향을 따라 제1 불출 위치(MP1)를 향하여 앞쪽으로 이동시킨다.
제2 슬라이더(280)가 한 쌍의 판 스프링(240a, 240b)을 극복하고 제1 불출 위치(MP1)를 향하여 더 이동하면, 제2 불출 위치(MP2)에 위치되어 있는 푸셔(310)의 푸셔부(314)가 수납부(10)의 플랩(152)과 접촉한다. 플랩(152)은 요동축(160)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 방향, 바꾸어 말하면, 도 11에서 요동축(160)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요동가능하다. 따라서, 제2 슬라이더(280)가 x축 방향을 따라 제1 불출 위치(MP1)쪽으로 더 이동하면, 푸셔부(314)에 의해 플랩(152)이 밀려 요동축(160)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고, 이로 인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푸셔(310)가 수납부(10)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푸셔(310)가 수납부(10)로 진입한 후, 푸셔부(314)는 수납부(10) 내에 겹쳐 쌓인 물품(M)의 최하위 물품(M1)의 후방 단부 또는 벽과 접촉한다. 또한, 제2 슬라이더(280)가 x축 방향을 따라 제1 불출 위치(MP1)쪽으로 더 이동하면, 최하위 물품(M1)이 푸셔부(314)에 의해 더 밀려서 불출 개구(134)를 통하여 수납부(10)로부터 밀어내진다. 제2 슬라이더(280)가 제1 불출 위치(MP1)에 도달하면, 최하위 물품(M1)이 수납부(10)로부터 완전히 밀어내지고, 그 결과,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최하위 물품(M1)이 물품 불출 장치(1)로부터 불출된다.
최하위 물품(M1)이 푸셔부(314)에 의해 수납부(10)로부터 +x축 방향으로 밀어내짐에 따라, 최하위 물품(M1)의 상부면과 최하위로부터 2번째 물품(M2)의 하부면의 접촉 면적이 점점 작아진다. 이것은 최하위 물품(M1)이 최하위로부터 2번째 물품(M2)을 지지하는 영역이 점점 작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문에, 최하위로부터 2번째 물품(M2)의 후방 단부가 최하위 물품(M1)에 의해 최하위로부터 2번째 물품(M2)이 수평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던 상태로부터 아래쪽으로 변위되고, 최종적으로 최하위로부터 2번째 물품(M2)이 푸셔(310)의 물품 배치부(312)에 전적으로 놓인다. 제2 슬라이더(280)가 제1 불출 위치(MP1)에 도달하면, 최하위 물품(M1)의 상부면과 최하위로부터 2번째 물품(M2)의 하부면의 접촉 면적이 없어지고, 다시 말해서, 최하위 물품(M1)이 수납부(10)로부터 완전히 밀어내지면, 최하위 물품(M1)에 의한 최하위로부터 2번째 물품(M2)의 지지가 완전히 없어지고, 최하위로부터 2번째 물품(M2)은 물품 배치부(312) 위로 낙하하여,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최하위로부터 2번째 물품(M2)이 수평 상태로 유지된다.
최하위 물품(M1)이 불출되면, 밀어내기 부분(206)이 후방으로, 다시 말해서, -x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다시 말해서, 제2 슬라이더(280)가 제1 불출 위치(MP1)에 도달한 사실이 슬라이더 감지 장치(360)의 제2 감지 요소(364)에 의해 검출되고, 또한 최하위 물품(M1)이 불출된 사실이 불출 센서(340)에 의해 검출되면, 모터(222)가 제2 회전 방향(R2)으로 회전하여 래크 기어(250)와 제1 슬라이더(260)를 x축 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이것에 의해 제1 슬라이더(260)를 -x축 방향으로 후퇴시킨다.
제1 슬라이더(260)가 -x축 방향으로 뒤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 슬라이더(280) 및 푸셔(310)는 x축 방향을 따라 뒤쪽으로의 이동을 개시한다. 푸셔(310)는 제2 불출 위치(MP2)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수납부(10)의 x축 방향의 후방 단부에서 푸셔(310)의 후방 단부가 플랩(152)과 접촉한다. 플랩(152)의 늘어뜨려진 상태(drooping state)로부터 후방쪽으로(다시 말해서, -x축 방향으로) 요동축(160)을 중심으로 한 요동 운동, 다시 말해서, 도 14에 있어서 플랩(152)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요동 운동은 수납부(10)의 제1 측벽(102)의 하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스토퍼(154a, 154b)에 의해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푸셔(310)가 플랩(152)과 접촉하더라도, 플랩(152)은 후방쪽으로 요동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제2 불출 위치(MP2)에 있는 푸셔(310)는 -x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푸셔(310)의 -x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이와 같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요동축(326)을 통하여 푸셔(310)와 연결되어 있는 링크 부재(316a) 및 링크 부재(316c) 그리고 요동축(328)을 통하여 푸셔(310)와 연결되어 있는 링크 부재(316b) 및 링크 부재(316d)도 -x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푸셔(310)의 -x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더라도, 제1 슬라이더(260)는 뒤쪽 방향으로 이동이 계속되기 때문에, 제1 슬라이더(260)는 -x축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1 핀 및 제2 핀(274a, 274b)도 동일한 -x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렇지만, 링크 부재(316a, 316b, 316c, 316d)는 -x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링크 부재(316a) 및 링크 부재(316c)는 요동축(298)을 중심으로 요동가능하도록 요동축(298)에 의해 제2 슬라이더(280)와 연결되어 있고, 링크 부재(316b) 및 링크 부재(316d)는 요동축(300)을 중심으로 요동가능하도록 요동축(300)에 의해 제2 슬라이더(280)와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핀(274a)이 -x축 방향으로 링크 부재(316a, 316c)의 긴 구멍(318, 322) 내에서 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긴 구멍(318, 322)의 내측 가장자리는 제1 핀(274a)에 의해 밀린다. 하지만, 링크 부재(316a) 및 링크 부재(316c)는 -x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요동축(298)을 중심으로 하여 도 15에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한다. 마찬가지로, 제2 핀(274b)이 -x축 방향으로 링크 부재(316b, 316d)의 긴 구멍(320, 324) 내에서 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긴 구멍(320, 324)의 내측 가장자리는 제2 핀(274b)에 의해 밀린다. 하지만, 링크 부재(316b) 및 링크 부재(316d)는 -x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요동축(300)을 중심으로 하여 도 15에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한다.
따라서, 링크 부재(316a, 316c)는 요동축(298)을 중심으로 하여 도 15에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고 링크 부재(316b, 316d)는 요동축(300)을 중심으로 하여 도 15에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함과 아울러, 푸셔(310)가 제2 불출 위치(MP2)로부터 제2 대기 위치(SP2)로 이동된다. 푸셔(310)가 제2 불출 위치(MP2)로부터 제2 대기 위치(SP2)로 이동되면, 푸셔(310)의 z축 방향의 위치(높이)가 플랩(152)의 하단부보다 낮아지고, 푸셔(310)는 플랩(152)과 접촉하지 않는다. 이리하여,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푸셔(310)의 -x축 방향으로의 후방 이동에 대한 제한이 해제된다.
한 쌍의 유지부(132a, 132b)는 푸셔(310)의 제2 불출 위치(MP2)보다 낮고 푸셔(310)의 제2 대기 위치(SP2)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푸셔(310)의 y축 방향의 폭은 한 쌍의 유지부(132a, 132b) 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푸셔(310)의 -x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플랩(152)에 의해 제한되고, 제2 불출 위치(MP2)로부터 제2 대기 위치(SP2)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푸셔(310)는 한 쌍의 유지부(132a, 132b) 사이의 공간를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푸셔(310)가 제2 불출 위치(MP2)로부터 제2 대기 위치(SP2)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최하위로부터 2번째 물품(M2)의 지지 수단은 푸셔(310)의 물품 배치부(312)로부터 한 쌍의 유지부(132a, 132b)로 변경된다. 이 때문에, 푸셔(310)가 제2 대기 위치(SP2)로 이동하면, 푸셔(310)가 수납부(10)에 수납된 물품(M)과 접촉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는,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푸셔(310)가 +x축 방향과 -x축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더라고 최하위 물품(M)은 푸셔(310)에 의해 밀리지 않는다.
푸셔(310)가 제2 대기 위치(SP2)로 이동한 후, 제1 슬라이더(260)는 -x축 방향으로 뒤쪽으로 이동되고, 제2 슬라이더(280)는 동일한 -x축 방향으로 제1 불출 위치(MP1)로부터 제1 대기 위치(SP1)로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제2 슬라이더(280)가 x축 방향을 따라 제1 대기 위치(SP1)로부터 제1 불출 위치(MP1)를 향하여 이동되는 경우와 동일하게, 제2 슬라이더(280)의 한 쌍의 칼라부(288a, 288b)의 후방 단부가 한 쌍의 판 스프링(240a, 240b)과 접촉하여, 제2 슬라이더(280)의 -x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그렇지만, 푸셔(310)가 제2 대기 위치(SP2)에 있을 때, 제1 핀(274a)은 제2 슬라이더(280)의 제1 긴 구멍(290a, 290b)의 x축 방향의 후방 단부에 위치하고, 제2 핀(274b)은 제2 슬라이더(280)의 제2 긴 구멍(292a, 292b)의 x축 방향의 후방 단부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x축 방향을 따라 뒤쪽으로 이동하는 제1 슬라이더(260)로부터 작용하는 힘의 거의 모두가 제1 핀 및 제2 핀(274a, 274b)을 통하여 제2 슬라이더(280)로 전달된다. 이 경우에, 제2 슬라이더(280)를 뒤쪽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한 쌍의 판 스프링(240a, 240b)을 극복하기 위한 소정의 값보다 커진다. 그 결과, 제2 슬라이더(280)의 한 쌍의 칼라부(288a, 288b)의 후방 단부가 한 쌍의 판 스프링(240a, 240b)을 극복하고, 이로 인해 제2 슬라이더(280)가 x축 방향을 따라 제1 대기 위치(ST1)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이동된 제2 슬라이더(280)가,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 감지 장치(360)의 제1 감지 요소(362)에 의해 검출되고, 제2 슬라이더(280)가 제1 대기 위치(SP1)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물품 불출 장치(1)의 물품(M)의 불출 동작이 종료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례에 따른 물품 불출 장치(1)에 의하면, 위에서 상세하게 기술한 바와 같이, 물품(M)의 스택을 유지하기 위한 한 쌍의 유지부(132a, 132b)(리테이너에 해당함)가 수납부(10)의 수납 공간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최하위 물품이 불출되기 전에 물품(M)의 스택이 수납부(10)의 수납 공간에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하위 물품이 불출된 후에 상기 물품(M)의 스택의 나머지도 상기 수납 공간에 유지될 수 있다.
게다가, 불출부(20)는 모터(222)(구동 장치에 해당함)에 의해 이동되는 제1 슬라이더(260)(제1 이동가능 부재에 해당함), 제1 슬라이더(260)와 함께 이동되는 제2 슬라이더(280)(제2 이동가능 부재에 해당함), 그리고 제1 슬라이더(260) 및 제2 슬라이더(280)와 함께 이동되는 푸셔(310)를 포함하고 있어서, 최하위 물품(M1)을 불출 개구(134)를 통하여 물품(M)의 스택으로부터 불출시킨다. 또한, 푸셔(310)는 최하위 물품(M1)이 불출된 후 나머지 물품(M)이 배치되는 물품 배치부(312)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제어부(30)에 의해 제어되는 불출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나머지 물품(M)은 나머지 물품 중의 최하위 물품(다시 말해서, 물품의 스택에서 최하위로부터 2번째 물품(M2))이 상기 수납 공간에서 통상적인 자세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푸셔(310)의 물품 배치부(312)에 임시로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최하위로부터 2번째 물품(M2)을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시키면서 최하위 물품(M1)이 물품(M)의 스택으로부터 반복적으로 불출될 수 있다.
또한, 불출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푸셔(310)가 수납 공간에 수납된 최하위 물품(M1)을 앞쪽으로 밀어내어, 최하위 물품(M1)을 불출 개구(134)를 통하여 불출 방향으로 불출시키고, 나머지 물품(M)은 나머지 물품 중의 최하위 물품(다시 말해서, 물품의 스택에서 최하위로부터 2번째 물품(M2))이 상기 수납 공간에서 통상적인 자세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물품 배치부(312)에 임시로 수용한다. 그 후, 푸셔(310)가 수납 공간으로부터 후퇴하기 전에 푸셔(310)는 물품 배치부(312)위의 나머지 물품이 수납부(10)의 한 쌍의 유지부(132a, 132b)에 의해 지지되게 한다.
따라서, 차례로 겹쳐 쌓인 물품(M)의 물품 불출 동작이 자동적으로 틀림없이 수행된다. 다시 말해서, 차례로 겹쳐 쌓인 물품(M)의 물품 불출 동작의 오작동이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제2 실시례
상기의 제1 실시례에 따른 물품 불출 장치(1)에서는, 플랩(152)이 제2 불출 위치(MP2)에 있는 푸셔(310)와 접촉하도록 수납부(10)의 제1 측벽(102)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플랩(152)으로 인해, 제2 슬라이더(280)를 x축 방향을 따라 제1 불출 위치(MP1)로부터 제1 대기 위치(SP1)로 이동시키는 동안, 푸셔(310)의 -x축 방향으로의 후방 이동이 제한됨과 동시에, 푸셔(310)가 제2 불출 위치(MP2)로부터 제2 대기 위치(SP2)로 이동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런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실시례에 따른 물품 불출 장치는 상기한 제1 실시례의 여러 변형례 중의 하나이다.
제2 실시례에 따른 물품 불출 장치는 플랩(152)을 제외하면 제1 실시례에 따른 물품 불출 장치(1)의 구성과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1 실시례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간소화를 기하기 위해 제1 실시례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참고 번호를 붙임으로써 생략한다.
제2 실시례에 따른 물품 불출 장치에서는, 푸셔(310)를 제2 불출 위치(MP2)로부터 제2 대기 위치(SP2)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에 플랩(152)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상기 기구는 푸셔(310)가 수납부(10)로부터 배출되기 전에 제2 슬라이더(280)의 한 쌍의 칼라부(288a, 288b)의 후방 단부가 한 쌍의 판 스프링(204a, 204b)과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제1 슬라이더(260)가 -x축 방향으로 뒤쪽으로 이동하면, 제2 슬라이더(280)는 동일한 -x축 방향으로, 다시 말해서, x축 방향을 따라 제1 불출 위치(MP1)로부터 제1 대기 위치(SP1)로 이동을 개시한다. 그러나, 제2 슬라이더(280)의 한 쌍의 칼라부(288a, 288b)의 후방 단부가 한 쌍의 판 스프링(204a, 204b)의 각각과 접촉하여, 제2 슬라이더(280)의 -x축 방향으로의 더 이상의 이동이 제한된다.
제1 슬라이더(260)가 -x축 방향으로 더 이동하면, 제2 슬라이더(280)는 동일한 -x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제1 핀(274a)이 제2 슬라이더(280)의 제1 긴 구멍(290a, 290b)의 내측을 x축을 따라 -x축 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1 핀(274a)이 -x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링크 부재(316a)의 긴 구멍(318)과 링크 부재(316c)의 긴 구멍(322)의 내측 가장자리가 제1 핀(274a)에 의해 x축을 따라 앞쪽으로 밀린다. 그 결과, 링크 부재(316a) 및 링크 부재(316c)는 제2 슬라이더(280)에 대하여 요동축(298)을 중심으로 하여, 푸셔(310)를 제2 불출 위치(MP2)로부터 제2 대기 위치(SP2)로 이동시키도록 요동한다.
마찬가지로, 제1 슬라이더(260)가 -x축 방향으로 더 이동하면, 제2 슬라이더(280)는 -x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제2 핀(274b)이 제2 슬라이더(280)의 제2 긴 구멍(292a, 292b)의 내측을 x축 방향을 따라 -x축 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2 핀(274b)이 -x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링크 부재(316b)의 긴 구멍(320)과 링크 부재(316d)의 긴 구멍(324)의 내측 가장자리가 제2 핀(274b)에 의해 x축을 따라 밀린다. 그 결과, 링크 부재(316b) 및 링크 부재(316d)는 제2 슬라이더(280)에 대하여 요동축(300)을 중심으로 하여, 푸셔(310)를 제2 불출 위치(MP2)로부터 제2 대기 위치(SP2)로 이동시키도록 요동한다.
푸셔(310)가 제2 대기 위치(SP2)에 있을 때, 제1 핀(274a)은 제2 슬라이더(280)의 제1 긴 구멍(290a, 290b)의 x축 방향의 후방 단부에 위치하고, 제2 핀(274b)은 제2 슬라이더(280)의 제2 긴 구멍(292a, 292b)의 x축 방향의 후방 단부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x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슬라이더(260)로부터 작용하는 힘의 거의 모두가 제1 핀 및 제2 핀(274a, 274b)을 통하여 제2 슬라이더(280)로 전달된다. 이 경우에, 제2 슬라이더(280)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한 쌍의 판 스프링(240a, 240b)을 극복하기 위한 소정의 값보다 커진다. 그 결과, 제2 슬라이더(280)의 한 쌍의 칼라부(288a, 288b)의 후방 단부가 한 쌍의 판 스프링(240a, 240b)을 극복하고, 이로 인해 제2 슬라이더(280)가 -x축 방향으로 제1 대기 위치(SP1)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이동된 제2 슬라이더(280)가 슬라이더 감지 장치(360)의 제1 감지 요소(362)에 의해 검출되고, 제2 슬라이더(280)가 제1 대기 위치(SP1)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실시례의 물품 불출 장치의 물품(M)의 불출 동작이 종료된다.
제2 실시례에 따른 물품 불출 장치는 플랩(152)을 제외하면 제1 실시례에 따른 물품 불출 장치(1)의 구성과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2 실시례의 물품 불출 장치가 제1 실시례의 물품 불출 장치와 동일한 장점을 가지는 것은 명백하다.
다른 실시례
본 발명이 상기 실시례와 그 변형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임의의 다른 수정사항이 상기 실시례와 그 변형형태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불출부(20)는 제1 슬라이더와 제2 슬라이더가 제1 실시례와 제2 실시례에서의 운동과 동일한 운동을 수행한다면 본 명세서에 기술된 것이 아닌 임의의 다른 구성 및/또는 기구를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납부(10)와 제어부가 제1 실시례와 제2 실시례에서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면 수납부(10)와 제어부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것이 아닌 임의의 다른 구성 및/또는 기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여러 수정사항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고서 당업자에게 자명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항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Claims (16)

  1. 물품 불출 장치로서,
    수납 공간에 물품의 스택을 수납하는 수납부로서, 물품의 스택을 유지하는 리테이너가 상기 수납 공간에 형성되어 있고, 물품의 스택으로부터 최하위 물품이 불출 방향으로 불출되는 불출 개구가 상기 수납 공간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기 수납부;
    상기 불출 개구를 통하여 물품의 스택으로부터 최하위 물품을 불출하는 불출부로서, 구동 장치,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해 이동되는 제1 이동가능 부재,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와 연동하여 이동되는 제2 이동가능 부재, 그리고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와 연동하여 이동되는 푸셔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불출부; 그리고
    상기 불출부의 구동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푸셔는 물품의 스택으로부터 최하위 물품이 불출된 후 나머지 물품이 배치되는 물품 배치부를 포함하고 있고;
    불출 작동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푸셔는 최하위 물품의 뒤에서 최하위 물품을 앞쪽으로 밀어서, 최하위 물품을 상기 불출 개구를 통하여 불출 방향으로 불출하고, 상기 푸셔는 나머지 물품 중에서 최하위 물품이 상기 수납 공간에서 자세를 유지하도록 상기 물품 배치부 위에 나머지 물품을 임시로 수용하고; 그리고
    상기 푸셔는 상기 푸셔가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후퇴하기 전에 상기 물품 배치부 위에 있는 나머지 물품을 상기 수납부의 리테이너에 의해 지지되게 하고,
    상기 푸셔가 상기 물품 배치부 위에 있는 나머지 물품을 상기 수납부의 리테이너에 의해 지지되게 할 때, 상기 푸셔는 상기 푸셔의 물품 배치부의 높이가 상기 수납부의 리테이너보다 낮은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불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불출 작동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푸셔가 최하위 물품의 뒤에서 최하위 물품을 밀 때, 상기 푸셔는 상기 푸셔의 밀어내기 부분의 높이가 상기 수납부의 리테이너보다 높고 최하위 물품의 상부면보다 낮은 위치로 이동된 다음, 상기 푸셔가 밀어내기 작동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불출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링크 기구를 통하여 제1 이동가능 부재 및 제2 이동가능 부재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링크 기구를 통한 제1 이동가능 부재의 왕복 운동으로 인해, 상기 푸셔는 상기 푸셔의 밀어내기 부분의 높이가 상기 수납부의 리테이너보다 높고 최하위 물품의 상부면보다 낮은 위치, 또는 상기 푸셔의 물품 배치부의 높이가 상기 수납부의 리테이너보다 낮은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불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링크 기구를 통하여 제1 이동가능 부재 및 제2 이동가능 부재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푸셔,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 및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와 결합되어 있으며 긴 구멍을 가지고 있는 링크 부재와, 상기 링크 부재의 긴 구멍과 결합된 핀을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상기 푸셔는 상기 링크 기구를 통하여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의 왕복운동과 연동하여 작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불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의 왕복운동은 래크 기어와 피니언 기어의 조합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불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 기어는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래크 기어의 나머지 부분은 튜브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불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가 최하위 물품을 상기 불출 개구를 통하여 불출시키기 위해서 전방으로 이동될 때, 나머지 물품의 전방으로의 이동은 상기 수납 공간의 내측 벽에 의해서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불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가 상기 물품 배치부 위에 있는 나머지 물품을 상기 리테이너에 의해 지지되게 할 때 상기 푸셔의 물품 배치부의 높이가 상기 수납부의 리테이너보다 낮은 위치로 상기 푸셔를 이동시키는 푸셔 제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불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 제한 부재는 상기 수납부에 고정된 수평축에 요동가능하게 장착된 플랩형 부재이고;
    상기 플랩형 부재는 전방으로는 요동가능하지만 후방으로 요동가능하지 않아서, 상기 푸셔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은 허용하고 상기 푸셔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은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불출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 제한 부재는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가 판 스프링에 접하도록 상기 불출부에 고정된 판 스프링이고;
    상기 구동 장치로부터 가해진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소정의 값을 넘어서지 않게 설정함으로써,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가 상기 판 스프링을 극복하는 것이 제한되어, 상기 푸셔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불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 및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와 상기 푸셔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를 안내하는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를 안내하는 제2 가이드를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는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가이드를 따라 왕복운동하고,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는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에 의해 상기 제2 가이드를 따라 왕복운동하고, 상기 푸셔는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링크 기구를 통하여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불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는 상기 베이스의 배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가이드는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는 래크 기어와 피니언 기어의 조합을 통하여 왕복운동하고,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는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의 긴 구멍과 결합되어 있는 핀을 통하여 왕복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불출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와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가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 및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에 의해 공통으로 지지된 핀;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와 상기 푸셔가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에 설치된 제1 요동축;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와 상기 푸셔가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푸셔에 설치된 제2 요동축; 그리고
    상기 푸셔의 각 측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긴 구멍을 가지고 있는 V자 형상의 링크 부재;
    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핀과 상기 제1 요동축은 상기 링크 부재의 긴 구멍과 요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푸셔는 불출 방향을 따라 왕복운동할 뿐만 아니라 상기 핀을 중심으로 요동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불출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측벽과,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 및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와 상기 푸셔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한 쌍의 측벽은 상기 수납 공간 아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한 쌍의 측벽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를 안내하는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를 안내하는 제2 가이드를 포함하고 있어서;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는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가이드를 따라 왕복운동하고,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는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에 의해 상기 제2 가이드를 따라 왕복운동하고, 상기 푸셔는 상기 제2 이동가능 부재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링크 기구를 통하여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불출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불출 작동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푸셔가 최하위 물품의 뒤에서 최하위 물품을 밀 때, 상기 푸셔가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의 전방 이동에 대응하여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푸셔의 밀어내기 부분이 최하위 물품을 상기 불출 개구쪽으로 밀어낼 수 있게 하고; 그리고 상기 푸셔가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의 후방 이동에 대응하여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물품 배치부 위에 있는 나머지 물품을 상기 수납부의 리테이너에 의해 지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불출 장치.











KR1020150007160A 2014-06-04 2015-01-15 물품 불출 장치 KR1016781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15339A JP6145607B2 (ja) 2014-06-04 2014-06-04 物品払い出し装置
JPJP-P-2014-115339 2014-06-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766A KR20150139766A (ko) 2015-12-14
KR101678113B1 true KR101678113B1 (ko) 2016-11-23

Family

ID=52272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160A KR101678113B1 (ko) 2014-06-04 2015-01-15 물품 불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210695B2 (ko)
EP (1) EP2953101B1 (ko)
JP (1) JP6145607B2 (ko)
KR (1) KR101678113B1 (ko)
CN (1) CN105270873B (ko)
TW (1) TWI5388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UB20169964A1 (it) * 2016-01-13 2017-07-13 Sarno Display S R L Erogatore controllato di prodotti
CN107195098A (zh) * 2016-03-15 2017-09-22 株式会社久保田 商品收纳装置
US10398238B2 (en) * 2016-03-17 2019-09-03 Fasteners For Retail, Inc. Electromechanical pusher assembly
JP6708536B2 (ja) * 2016-11-25 2020-06-10 三菱電機株式会社 ゲート装置
CN106815931B (zh) * 2017-01-16 2019-08-13 河北汇金机电股份有限公司 用于小型盒状物品售货设备的出货系统
JP7025169B2 (ja) * 2017-09-29 2022-02-2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払出装置
CN108280929A (zh) * 2017-12-21 2018-07-13 深圳市松禾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自动售烟机
CN107993345A (zh) * 2017-12-21 2018-05-04 深圳市松禾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自动售烟机
CN107993344A (zh) * 2017-12-21 2018-05-04 深圳市松禾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自动售烟机
US20210043024A1 (en) * 2018-02-02 2021-02-11 Jukka, Inc. Assembly for product support and deployment for a vending machine
IT201800002330A1 (it) * 2018-02-02 2019-08-02 Giuseppe Biffarella Macchina distributrice di prodotti
CN109472929B (zh) * 2018-11-13 2023-08-22 深圳市环阳通信息技术有限公司 拨杆拨动式出货模块
CN109472927B (zh) * 2018-11-13 2023-08-22 深圳市环阳通信息技术有限公司 自助售卖机
CN111591571B (zh) * 2020-06-19 2023-12-26 广州极飞科技股份有限公司 配送箱、配送箱出货控制方法及无人设备
JP7430401B2 (ja) 2021-09-29 2024-02-13 旭精工株式会社 物品収納容器および物品送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1165A (ja) 2000-06-05 2001-12-21 Asahi Seiko Kk 箱状体の自動排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5580A (en) * 1956-02-21 Galinetal
US1648812A (en) * 1927-05-16 1927-11-08 Johnson Charles Armstrong Vending machine
US2522316A (en) * 1946-05-16 1950-09-12 Mills Ind Inc Dispensing machine
US2546986A (en) * 1947-04-23 1951-04-03 Mills Ind Inc Merchandise vending machine
DE1227707B (de) * 1961-10-04 1966-10-27 Harting Elektro W Antriebs- und Ausstosseinrichtung fuer elektrische Warenselbstverkaeufer
US3495738A (en) * 1968-04-01 1970-02-17 Alfred Cohn Clip-on adapter for vending machines
US3834582A (en) * 1973-07-11 1974-09-10 Comstock & Wescott Moving gate for hopper discharging flat articles of irregular thickness
GB2166897B (en) * 1984-09-25 1988-05-05 Terence Thomas Ketteringham Coin freed vending machine
US4702660A (en) * 1985-11-12 1987-10-27 Evana Tool & Engineer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handling trays for workpieces
US4865222A (en) * 1988-05-09 1989-09-12 Brown & Williamson Tobacco Corporation Adapter for a package dispensing machine
US5232123A (en) * 1992-06-12 1993-08-03 Richardson Robert G Literature dispensing mechanism
JP2526828Y2 (ja) * 1992-08-12 1997-02-26 和田金属工業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における商品蹴出し装置
KR950005561B1 (ko) * 1992-12-28 1995-05-25 대우전자주식회사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장치
FR2724035B1 (fr) * 1994-08-24 1996-11-22 Peudepiece Gerard Dispositif de distribution electromecanique pour distributeur de boites empilees comportant un electro-aimant
TW301442U (en) * 1995-09-04 1997-03-21 Asahi Seiko Co Ltd Plate-like article dispensing device
GB2326872B (en) * 1997-07-03 1999-10-20 Locwil Limited Dispensing mechanism for vending machines and the like
CA2231131A1 (en) * 1997-12-22 1999-06-22 Marcus Willis Card dispensing cassette
JPH11236140A (ja) * 1998-02-20 1999-08-31 Asahi Seiko Co Ltd カード払い出し用のカセット装置
JP3736508B2 (ja) * 2002-07-29 2006-01-18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CN100576269C (zh) * 2005-10-21 2009-12-30 陈家聪 扁平物件的存储及输出装置
JP4991995B2 (ja) * 2006-08-30 2012-08-08 旭精工株式会社 カードの送り出し装置
JP5109078B2 (ja) * 2007-04-25 2012-12-26 旭精工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装置
JP5090878B2 (ja) 2007-11-29 2012-12-05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遊技機
CN202625374U (zh) * 2012-05-08 2012-12-26 伯曼机械制造(上海)有限公司 一种在空托盘输送系统上使用的可翻转式小车
CN202880514U (zh) * 2012-10-16 2013-04-17 福建群峰机械有限公司 自动供板机
CN203143705U (zh) * 2013-01-08 2013-08-21 上海市电力公司 一种周转箱自动拆叠垛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1165A (ja) 2000-06-05 2001-12-21 Asahi Seiko Kk 箱状体の自動排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45961A (zh) 2015-12-16
CN105270873A (zh) 2016-01-27
CN105270873B (zh) 2017-06-06
KR20150139766A (ko) 2015-12-14
US10210695B2 (en) 2019-02-19
US20160247346A1 (en) 2016-08-25
JP2015230526A (ja) 2015-12-21
EP2953101A1 (en) 2015-12-09
US10102705B2 (en) 2018-10-16
TWI538870B (zh) 2016-06-21
US20160012660A1 (en) 2016-01-14
EP2953101B1 (en) 2016-11-30
JP6145607B2 (ja) 201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8113B1 (ko) 물품 불출 장치
JP2015230526A5 (ko)
JP6778015B2 (ja) マガジン
KR101645691B1 (ko) 자판기
EP1986166B1 (en) Article dispensing device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EP2406773B1 (en) Product vending machine tray
JP4100344B2 (ja) 自動販売機
JP3736531B2 (ja) 商品搬出装置
JP5034373B2 (ja) 自動販売機
JP4534938B2 (ja) 商品搬出装置
JP7101142B2 (ja) マガジン什器
JP4103787B2 (ja) 自動販売機
KR970006650B1 (ko) 자동판매기의 상품매진 검지장치
JP4487895B2 (ja) 商品搬出装置
JP4539508B2 (ja) 商品搬出装置
JP4007449B2 (ja) 自動販売機
JP3956905B2 (ja) 自動販売機
JP4539509B2 (ja) 商品搬出装置
JP2004272517A (ja) 自動販売機の商品送出口開閉装置
JP2013025532A (ja) 吊下げ式の商品払出しユニット
JP2842470B2 (ja) 直積み式商品払出装置
JP3983189B2 (ja) 自動販売機
JP2005196576A (ja) 自動販売機
JP5217817B2 (ja) 商品収容装置
JPH10247273A (ja) 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