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691B1 - 자판기 - Google Patents

자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691B1
KR101645691B1 KR1020160031602A KR20160031602A KR101645691B1 KR 101645691 B1 KR101645691 B1 KR 101645691B1 KR 1020160031602 A KR1020160031602 A KR 1020160031602A KR 20160031602 A KR20160031602 A KR 20160031602A KR 101645691 B1 KR101645691 B1 KR 101645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er
contact
pushing
moving member
sta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1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반준호
Original Assignee
반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준호 filed Critical 반준호
Priority to KR1020160031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6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045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for sheet shaped or pliabl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 B65H1/0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for separation from bottom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24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by pushers engaging the edges of the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20Pushers actuated directly by han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07F11/4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the articles being delivered by motor-drive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 B65H2301/4232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bottom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20Belt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4Driving mechanisms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90Machine drive
    • B65H2403/94Other features of machine drive
    • B65H2403/941Manually powered hand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70Other elements in edg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e.g. registering, orientating, guiding devices
    • B65H2404/73Means for sliding the handled material on a surface, e.g. p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1Botto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의 인출 정확도를 높여 박판형 상품 등과 같이 부피가 작은 상품을 인출할 경우에도 하나씩 정확하게 인출시키도록 함으로써 그 사용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킨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판기는, 복수의 상품이 수용된 스태커; 상기 스태커에 수용된 상품이 인출되는 인출구; 상기 스태커에 수용된 상품을 상기 인출구로 푸싱하는 푸셔;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조작핸들; 상기 조작핸들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푸셔를 인출구 측으로 당기는 당김와이어; 상기 당김와이어를 와인딩하도록 회전가능한 와인더롤; 및 상기 조작핸들의 회전력을 상기 와인더롤로 전달하여 상기 와인더롤을 회전시키는 전동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판기{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품의 인출 정확도를 높여 박판형 상품 등과 같이 부피가 작은 상품을 인출할 경우에도 하나씩 정확하게 인출시키도록 함으로써 그 사용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킨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자판기는 일반적으로 판매자가 직접 상품을 판매하기 어려운 장소나 시간대에 구매자의 편의를 위하여 무인으로 운영되는 판매기로서,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자판기는 전기에너지를 동력으로 하는 전자식 자판기가 그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전자식 자판기는 주화가 투입되면 센서를 통해 그 주화를 감지한 후 상품을 제공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거스름돈까지 제공하므로 사용상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식 자판기는 주화를 인식하고 판별하기 위한 별도의 감지부가 있어야 하고, 그 감지부에 인해서 상품을 제공하기 위한 인출수단도 마련되어야 하며, 또 주화의 금액과 거스름돈을 계산하기 위한 제어부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그 결과 자판기의 구조가 매우 복잡해지고 고가의 부품으로 인하여 자판기의 단가가 높아지며, 내장된 각종 센서가 자주 고장나는 등 자판기의 수명이 그다지 길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자식 자판기는 반드시 전기가 공급되어야만 그 본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산간지역이나 특히, 지방에까지 전기 공급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개발 도상국에서는 이러한 전자식 자판기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전기가 필요하지 않는 무동력 자판기에 대해 다양한 연구개발이 시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구조의 무동력 자판기가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무동력 자판기는 상품을 인출하는 상품 인출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구성되어 그 제조단가가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복잡한 메커니즘에 의해 잦은 고장이 초래되어 고장수리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무동력 자판기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상품의 경우에는 하나씩 원활하게 인출할 수 있지만, 부피가 작은 상품 예컨대, 카드 모양의 상품 등과 같이 박형 상품의 경우에는 하나씩 원활하게 인출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2이상의 상품이 한꺼번에 인출구로 인출되어 인출구가 쉽게 막히는 잼(jam)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된 것으로, 매우 안정적으로 기계적 메커니즘을 이용한 상품 인출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제조단가를 대폭 절감할 뿐만 아니라 고장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판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품의 인출 정확도를 높여 박형 상품 등과 같이 부피가 작은 상품을 인출할 경우에도 하나씩 정확하게 인출시켜 그 사용편의성을 높인 자판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판기는,
복수의 상품이 수용된 스태커;
상기 스태커에 수용된 상품이 인출되는 인출구;
상기 스태커에 수용된 상품을 상기 인출구로 푸싱하는 푸셔;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조작핸들;
상기 조작핸들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푸셔를 인출구 측으로 당기는 당김와이어;
상기 당김와이어를 와인딩하도록 회전가능한 와인더롤; 및
상기 조작핸들의 회전력을 상기 와인더롤로 전달하여 상기 와인더롤을 회전시키는 전동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태커는 상품을 지지하는 베이스를 가지고, 상기 푸셔는 베이스를 따라 전진하여 상품을 상기 인출구 측으로 푸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셔에 의해 상기 인출구 측으로 푸싱된 상품이 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푸셔의 전진을 규제하는 규제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규제유닛은 상기 푸셔에 인접하여 피벗팅 핀을 통해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규제레버와, 상기 푸셔의 전후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규제레버의 일단이 상기 푸셔에 의해 푸싱된 상품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규제레버와 상기 회전스토퍼가 상호 작용하여 상기 푸셔의 전진을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규제레버는 상기 푸셔에 의해 푸싱된 상품과 접촉가능한 접촉단과, 상기 피벗팅 핀을 기준으로 상기 접촉단의 반대측에 마련된 스토퍼단을 포함하고,
상기 푸셔에 의해 푸싱된 상품이 상기 접촉단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스토퍼의 일측이 상기 푸셔와 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스토퍼의 타측은 상기 스토퍼단에 걸려짐으로써 상기 푸셔의 전진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판기는,
복수의 상품이 적재된 스태커(stacker);
상기 스태커에 적재된 상품을 푸싱하여 외부로 인출시키는 푸싱유닛(pushing unit); 및
상기 푸싱유닛에 의해 푸싱되는 상품의 인출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푸싱유닛의 푸싱작동을 규제하는 규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상품은 상기 스태커 내에 수직방향으로 적층되고, 상기 푸싱유닛은 상기 스태커의 적층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상품을 하나씩 푸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싱유닛은 상기 스태커 내에 적재된 상품을 푸싱하도록 상기 스태커의 하부에 전후진하는 푸셔를 포함하고,
상기 푸셔는 그 전방단에 푸싱단턱을 가지고, 상기 푸싱단턱은 상기 상품의 두께 보다 얇은 깊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싱유닛은 상기 푸셔를 전진시키도록 상기 푸셔를 전방으로 당기는 당김와이어와, 상기 당김와이어를 와인딩 내지 언와인딩하는 와인더롤와, 상기 푸셔를 원위치로 후진시키는 후진부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싱유닛의 와인더롤은 조작유닛 및 전동기구를 통해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조작유닛은 회전가능한 조작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전동기구는 상기 조작핸들의 회전력을 상기 와인더롤 측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동기구는 상기 조작핸들에 연결된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제1이동부재와, 상기 제1이동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수직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제2이동부재와, 상기 제2이동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에 대해 벨트를 통해 연결된 피동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피동풀리는 상기 와인더롤에 동축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재는 그 외주면에 제1피니언치형이 부분적으로 형성된 회전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1이동부재는 상기 구동부재의 제1피니언치형과 치합되는 제1래크 치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이동부재는 그 일측에 제2래크치형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풀리에는 제2피니언치형이 형성된 피니언기어가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제2이동부재의 제2래크치형은 상기 피니언기어의 제2피니언치형과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이동부재는 연결부재를 매개로 상기 제1이동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제1이동부재는 핑거조인트(finger joint)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규제유닛은 상기 푸셔에 인접하여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규제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규제레버는 상기 푸셔에 의해 푸싱된 상품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푸셔의 전진작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규제레버는 상기 푸셔에 의해 푸싱된 상품과 접촉가능한 접촉단과, 상기 접촉단의 타측에 마련된 스토퍼단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단에 상품이 접촉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토퍼단이 푸셔의 전진을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규제유닛은 상기 푸셔의 전진 시에 상기 푸셔와 접촉함에 따라 회전가능한 회전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단이 상품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스토퍼의 일측이 상기 푸셔와 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스토퍼의 타측은 상기 스토퍼단에 걸려짐으로써 상기 푸셔의 전진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싱유닛의 전방에서 상품의 인출을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인출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우 안정적으로 기계적 메커니즘을 이용한 상품 인출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제조단가를 대폭 절감할 뿐만 아니라 고장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판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푸시유닛 및 규제유닛에 의해 상품의 인출 정확도를 높여 박판형 상품 등과 같이 부피가 작은 상품을 인출할 경우에도 하나씩 정확하게 인출시키도록 함으로써 그 사용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킨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판기의 케이스 내에서 인출기구가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인출기구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동전 수용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동전 수용부가 분리된 상태에서 인출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우측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화살표 B방향에서 바라본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화살표 C방향에서 바라본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D-D선을 따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E-E선을 따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F-F선을 따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G-G선을 따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7의 H-H선을 따라 도시한 부분단면도로서, 푸싱유닛의 푸셔가 최후방으로 후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상태에서 푸싱유닛의 푸셔가 전진하여 스태커의 최하측에 위치한 상품의 후방단에 접촉하기 시작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상태에서 푸싱유닛의 푸셔가 더 전진하여 상품의 전방단이 규제레버의 접촉단과 접촉하기 시작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상태에서 푸싱유닛의 푸셔가 최전방으로 전진하여 상품의 전방단이 인출구 내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상품이 인출구로부터 외부로 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푸싱유닛의 푸셔가 약간 후진하여 푸셔의 걸림부재가 회전스토퍼의 제2접촉면과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의 상태에서 푸싱유닛의 푸셔가 더욱 후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의 상태에서 푸싱유닛의 푸셔가 약간 전진하여 푸셔의 걸림부재가 회전스토퍼의 제1접촉면가 접촉하고, 회전스토퍼의 하단이 규제레버의 스토퍼단에 걸려져 푸셔의 전진이 규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자판기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케이스(10) 내에 수용된 상품을 인출하는 인출기구(20)를 포함한다.
케이스(10)는 그 내부에 설치되는 인출기구(20)를 보호할 수 있는 적절한 강도 내지 강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다.
케이스(10)는 인출기구(20)를 수용하는 수용바디(11)와, 수용 바디(11)의 전방 측에 마련된 전방 커버(12)를 가진다.
수용바디(11)는 그 내부에 인출기구(20)가 적절히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13)을 가진 입면체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수용바디(11)의 전방에는 전방 개구(1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방 개구(11a)를 통해 인출기구(20)는 수용바디(11)의 수용공간(13) 내에 안정적으로 투입될 수 있다.
전방 커버(12)는 수용바디(11)의 전방 커버(12)를 개폐하도록 그 일측이 수용바디(11)의 전방 개구(11a)의 일측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전방 커버(12)의 타측에는 전방 커버(12)가 수용바디(11)의 전방 개구(11a)를 폐쇄한 상태를 잠거나 해제하는 키유닛(1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방 커버(12)의 상부 일측에는 개구(12a)가 형성되며, 이러한 전방 커버(12)의 개구(12a)에는 상품(15)의 인출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유닛(40)의 전방 일부가 끼워진다.
그리고, 전방 커버(12)의 하부 일측에는 상품(15)이 인출되는 인출구(16)가 설치된다.
인출기구(2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상품(15)이 적재되는 스태커(30, stacker)와, 스태커(30)에 적재된 상품(15)의 인출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유닛(40)과, 스태커(30)로부터 상품(15)을 인출구(16) 측으로 푸싱하는 푸싱유닛(50)을 포함한다.
스태커(30)는 좌우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측벽(31, 32)과, 측벽(31,32)들의 전방 측에 마련된 전방벽체(33)와, 상품(15)의 하면을 지지하는 베이스(35)를 가진다.
한 쌍의 측방벽체(31, 32)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연결봉(34)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이에 한 쌍의 측방벽체(31, 32)들 사이의 좌우 이격공간이 안정되게 확보된다. 각 측방벽체(31, 32)들의 하단은 하부 지지플레이트(36)에 고정되고, 하부 지지플레이트(36)는 수용바디(11)의 수용공간(13)의 바닥면 및 이에 인접한 내측면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전방벽체(33)는 그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슬롯(33a)이 형성되고, 이러한 슬롯(33a)을 통해 스태커(30) 내에 적재되는 상품(15)의 전방가장자리에 대한 정렬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베이스(35)는 도 12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상품(15)들의 하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수평방향으로 평탄하게 연장된다. 베이스(35)는 한 쌍의 측방벽체(31, 32) 및 전방벽체(33)의 하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베이스(35)의 중앙부에는 도 10과 같이 가이드홈부(35a)가 형성되고, 이러한 가이드홈부(35a)에 후술하는 푸싱유닛(50)의 푸셔(51)가 안정되게 전후진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태커(30)는 한 쌍의 측방벽체(31, 32), 전방벽체(33), 베이스(35)에 의해 상품(15)을 안정되게 적재할 수 있는 적재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이러한 스태커(30) 내에 카드 등과 같이 두께가 얇은 박판형 상품(15)은 그 전방 및 좌우 측면이 적절히 정렬되어 수직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35)의 전방에는 후술하는 규제레버(61)의 접촉단(63)이 상하로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는 제1관통개구(35b)가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35)의 전방에는 상품(15)의 인출을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인출가이드롤러(2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상품(15)이 두께가 얇은 박판형 상품인 경우에는 2 이상의 상품(15)이 서로 중첩되어 인출됨(즉, 잼(jamming))을 방지하도록 한 쌍의 인출가이드롤러(21, 23)가 베이스(35)의 상부 및 하부에 대칭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베이스(35)의 전방에는 제2관통개구(35c)가 형성되고, 하부 인출가이드롤러(21)의 상측 일부가 제2관통개구(35c)를 통해 베이스(35)의 제2관통개구(35c)를 통해 상부로 돌출한다.
도 8과 같이, 측방벽체(31, 32)에는 조절슬롯(23b)이 형성되고, 상부 인출가이드롤러(23)의 지지축(23a)은 조절슬롯(23b) 내에서 상하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부 인출가이드롤러(23)가 스태커(30)의 측방벽체(31, 32)에 대해 상하 높이가 조절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상부 인출가이드롤러(23)와 하부 인출가이드롤러(21) 사이의 간격이 상품(15)의 두께에 맞춰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인출가이드롤러(21)의 전방 측에는 잼방지부재(22)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잼방지부재(22)는 그 상단이 좌우 한 쌍의 측방벽체(31, 32) 측에 회전지지되게 설치되고, 그 하단은 인출되는 상품(15)의 전방단과 부드럽게 접촉하도록 곡면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카드 등과 같이 두께가 얇은 박판형 상품(15)을 인출할 때, 인출가이드롤러(21)를 통과한 상품(15)의 전방단이 잼방지부재(22)의 하단을 밀어 내고, 이러한 상품(15)의 밀어냄을 통해 잼방지부재(22)는 상부로 회동한다(도 17 내지 도 20 참조). 그 이후에 하나의 상품(15)이 완전히 인출된 이후에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하향 회동한다. 한편, 2 이상의 박판형 상품(15)이 중첩되어 인출구(16)로 이송되면 상측의 상품(15)은 잼방지부재(22) 측에 걸려져 인출구(16) 측으로 이송됨이 방지되고, 하측의 상품(15)만이 인출구(16) 측으로 이송됨으로써 잼방지작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전방 벽체(33)의 하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상품(15)을 인출구(16)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구(25)가 형성된다. 배출구(25)의 높이(s)는 상품(15)의 두께(t) 보다 크게 형성되고(s > t), 이에 상품(15)은 배출구(25)를 통해 인출구(16) 측으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구(25)의 높이(s)는 상품(15)의 두께(t)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특히, 상품(15)이 카드 등과 같이 박판형 상품인 경우에는 배출구(25)의 높이(s)를 하나의 상품(15)의 두께(t) 보다 크게 형성함과 더불어 2개의 상품(15)의 두께(2t) 보다 작게 형성함(2t>s>t)이 바람직하다. 이에, 배출구(25)를 통해 2 이상의 상품(15)이 출구(25)를 통해 함께 배출됨이 방지됨으로써 잼(jamming) 방지를 매우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 벽체(33)의 하부에는 지지플레이트(39)가 고정되게 설치되고, 지지플레이트(39)의 양단은 한 쌍의 측방벽체(31, 32)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지지플레이트(39)는 한 쌍의 측방벽체(31, 32)를 가로질러 고정된다. 이러한 지지플레이트(39)에 대해 배출플레이트(37)가 상하방향으로 그 위치가 조절되게 설치된다. 이에 배출플레이트(37)의 하단과 베이스(35) 사이에 배출구(25)가 형성되고, 이러한 배출구(25)는 배출플레이트(37)의 상하위치 조절을 통해 그 높이(s)가 안정되게 조절될 수 있다.
특히, 도 12의 확대도와 같이, 지지플레이트(39)는 하나 이상의 높이조절용 슬롯(39a)을 가지고, 배출플레이트(37)는 높이조절용 돌기(37a)를 가진다. 이에 배출플레이트(37)의 높이조절용 돌기(37a)가 지지플레이트(39)의 높이조절용 슬롯(39a)을 따라 가이드된 이후에 고정너트(37b)를 통해 배출플레이트(37)가 지지플레이트(39)에 고정됨으로써 배출구(25)의 높이(s)가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조작유닛(40)은 코인이 투입되는 코인 투입슬롯(41)과, 코인 투입슬롯(41)에 코인이 투입됨에 따라 회전가능한 조작핸들(45)과, 코인 투입슬롯(41)에 지정된 코인이 투입될 경우에만 조작핸들(45)의 일정각도 회전을 허용하는 조작허가부(미도시)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조작유닛(40)의 구체적인 구조 및 작동 등은 본 발명이 속하는 자판기 분야에 널리 주지된 기술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조작핸들(45)에는 회전축(42)이 연결되고, 이러한 조작핸들(45)의 회전축(42)과 푸싱유닛(50) 사이에는 전동기구(70)가 설치되며, 이러한 전동기구(70)를 통해 조작핸들(45)의 회전력이 푸싱유닛(50)으로 전달되어 푸싱유닛(50)이 작동한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유닛(40)에 인접한 일측에는 코인 투입슬롯(41)으로 투입된 코인을 수용하는 코인 수용부(80)가 배치되고, 코인 수용부(80)는 도 4와 같이, 조작유닛(40)에 인접하게 배치된 투입 가이드슈트(81)와, 투입 가이드슈트(81)를 통과한 코인을 수용하는 코인 수용함(82)을 가진다.
전동기구(70)는 조작핸들(45)의 회전축(42)에 설치된 구동부재(73)와, 구동부재(73)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제1이동부재(71)와, 제1이동부재(71)의 이동에 연동하여 수직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제2이동부재(72)와, 제2이동부재(72)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구동풀리(74)와, 구동풀리(74)에 대해 벨트(76) 등을 통해 연결된 피동풀리(75)를 포함한다.
구동부재(73)는 그 외주면에 제1피니언치형(73a)이 부분적으로 형성된 회전체로 구성된다.
제1이동부재(71)는 구동부재(73)의 제1피니언치형(73a)과 치합되는 제1래크치형(71a)을 가지고, 구동부재(73)가 조작유닛(40)의 조작핸들(45)이 회전하면 제1피니언치형(73a)과 제1래크치형(71a)이 상호 작동하여 제1이동부재(71)는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제1이동부재(71)는 한 쌍의 제1가이드판(81) 사이에 개재되어 그 상하 이동이 안정되게 가이드되고, 한 쌍의 제1가이드판(81)은 조작유닛(40)의 일측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제2이동부재(72)는 제1이동부재(71)의 이동에 연동하도록 연결되고, 이에 제2이동부재(72)는 제1이동부재(71)가 구동부재(73)에 의해 상하 왕복이동함에 연동하여 상하 왕복이동할 수 있다.
제2이동부재(72)는 한 쌍의 제2가이드판(82) 사이에 개재되어 그 상하 이동이 안정되게 가이드되고, 한 쌍의 제2가이드판(82)은 스태커(30)의 측방 벽체(31)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제2이동부재(72)의 일측에는 연결부재(77)가 고정되고, 이러한 연결부재(77)를 통해 제2이동부재(72)는 제1이동부재(71)에 연결될 수 있다. 도 7 및 도 10과 같이, 연결부재(77)의 일단에는 절곡플랜지(77a)가 형성되고, 연결부재(77)의 절곡플랜지(77a)는 제2이동부재(72)의 일측(72d)에 체결구 또는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된다. 이에 의해 연결부재(77)의 일면과 제2이동부재(72)의 일면은 도 10과 같이 서로 이격되어 다른 구성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재(77)의 타단은 제1이동부재(71)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이동부재(72)의 수직방향 이동을 완충시키는 완충유닛(83)이 설치된다. 완충유닛(83)의 일측은 제2이동부재(72)에 연결되며, 완충유닛(83)의 타측은 스태커(30)의 측방벽체(31)에 연결됨으로써 제2이동부재(72)의 수직방향 이동이 보다 안정되게 완충될 수 있다. 완충유닛(83)은 쇽업소버(shock absober), 가스스프링(gas spring) 등과 같은 다양한 완충기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이동부재(71)와 연결부재(77)는 핑거조인트(finger joint)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이동부재(71)의 하측에는 제1핑거부(71b) 및 제1핑거홈(71c)이 연속되게 형성되고, 연결부재(77)의 타단에는 제2핑거부(77b) 및 제2핑거홈(77c)이 연속되게 형성된다. 이에, 제1이동부재(71)의 제1핑거부(71b)는 연결부재(77)의 제2핑거홈(77c)에 끼워짐과 더불어 연결부재(77)의 제2핑거부(77b)는 제1이동부재(71)의 제1핑거홈(71c)에 끼워짐으로써 제1이동부재(71)와 연결부재(77)는 핑거조인트(finger joint)에 의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구동풀리(74)의 일측에는 피니언기어(76)가 일체로 결합되고, 피니언기어(76)의 외주면에는 제2이동부재(72)의 제2래크치형(72a)이 치합되는 제2피니언치형(76a)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제2이동부재(72)가 수직방향으로 왕복이동함에 따라 피니언기어(76)가 회전하고, 이러한 피니언기어(76)의 회전에 연동하여 구동풀리(74)는 동일방향으로 회전한다.
피동풀리(75)는 벨트(75d) 등을 통해 구동풀리(74)에 대해 연결되고, 구동풀리(74)의 회전이 벨트(75d)을 통해 피동풀리(75)로 전달됨에 따라 피동풀리(75)가 회전한다. 한편, 피동풀리(75)는 후술하는 푸싱유닛(50)의 와인더롤(54)에 대해 회전축(58)에 의해 동축적으로 연결되고, 이에 피동풀리(75)가 회전함에 따라 푸싱유닛(50)의 와인더롤(54)이 함께 회전한다.
푸싱유닛(50, pushing unit)은 스태커(30)의 하부에서 전후진하도록 설치된 푸셔(51, pusher)를 포함하고, 이러한 푸셔(51)의 전진작동에 의해 스태커(30)에 수직방향으로 적층된 상품(15)을 수평방향으로 푸싱(pushing)하도록 구성된다.
푸셔(51)의 전방단에는 상품(15)의 후방단면과 접촉가능한 푸싱단턱(51a)이 일정 깊이(d)로 형성되고, 푸싱단턱(51a)의 전방에는 상품(15)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면(51b)이 평탄하게 형성된다. 특히, 푸싱단턱(51a)의 깊이(d)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15)의 두께(t) 보다 얇게 이루어짐(t > d)으로써 푸셔(51)의 전진 시에 푸싱단턱(51a)은 스태커(30)에서 최하측에 위치한 상품(15)의 후방면을 매우 안정되게 푸싱할 수 있다.
또한, 푸셔(51)의 일측에는 걸림부재(55)가 설치되고, 걸림부재(55)는 후술하는 규제유닛(60)의 회전스토퍼(65)와 상호 작동한다.
또한, 푸싱유닛(50)은 푸셔(51)를 전진시키도록 푸셔(51)를 전방으로 당기는 당김와이어(52, pulling wire)와, 당김와이어(52)를 와인딩(winding) 내지 언와인딩(unwinding)하는 와인더롤(54, winder roll)과, 푸셔(51)의 전후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56)와, 푸셔(51)를 원위치로 후진시키는 후진부재(53)를 더 포함한다.
당김와이어(52)의 일단은 와인더롤(54)의 일측에 고정되고, 당김와이어(52)의 타단은 푸셔(51)의 일측에 고정되며, 당김와이어(52)는 와인더롤(54)의 양방향 회전에 따라 와인딩 내지 언와인딩될 수 있다.
와인더롤(54)은 스태커(30)의 측방벽체(31, 32)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된 회전축(58)에 설치되고, 회전축(58)의 일단에는 전동기구(70)의 피동풀리(75)가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축(58)을 통해 와인더롤(54) 및 피동풀리(75)는 동축적으로 설치되고, 이에 와인더롤(54)은 전동기구(70)의 피동풀리(75)에 연동하여 당김와이어(52)를 와인딩 내지 언와인딩하도록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이드부재(56)는 베이스(35)의 하면에 고정되고, 특히 도 12 및 도 13과 같이, 한 쌍의 가이드부재(56)가 베이스(35)의 하면에 대칭적으로 부착되고, 한 쌍의 가이드부재(56)는 베이스(35)의 가이드홈부(37)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됨으로써 푸싱유닛(50)의 푸셔(51)를 보다 안정적으로 가이드한다. 각 가이드부재(56)에는 가이드슬롯(56a)이 형성되고, 푸셔(51)의 양측에는 가이드롤러(51c)가 설치되며, 이에 푸셔(51)의 가이드롤러(51c)가 가이드부재(56)의 가이드슬롯(56a)을 따라 구름운동함에 따라 푸셔(51)의 전후진이 매우 안정되게 가이드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가이드부재(56)의 후방단에는 고정브라켓(57)이 고정되어 한 쌍의 가이드부재(56)의 후방단을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후진부재(53)는 푸셔(51)를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후진시키는 코일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후진부재(53)의 일단은 푸셔(51)측에 고정되고, 후진부재(53)의 타단은 고정브라켓(57)에 고정됨으로써 푸셔(51)의 후진을 매우 안정되게 할 수 있다.
규제유닛(60)은 푸셔(51)에 의해 인출구(16) 측으로 푸싱된 상품(15)이 외부로 인출되지 않으면 푸셔(51)의 전진작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다.
규제유닛(60)은 푸셔(51)에 인접하여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규제레버(61)를 포함하고, 규제레버(61)는 개략적인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규제레버(61)는 스태커(30)의 측방 벽체(31) 하부에 대해 피벗팅 핀(62, pivoting pin)을 통해 피벗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규제레버(61)의 일단에는 푸셔(51)에 의해 푸싱된 상품(15)과 접촉가능한 접촉단(63)이 마련되고, 접촉단(63)은 경사면을 가진 첨단형 구조로 이루어져 상품(15)의 하면과의 접촉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단(63)은 베이스(35)의 제1관통개구(35b, 도 10 참조)를 통과하여 베이스(35)의 상부로 돌출하거나 베이스(35)의 하부로 이동하고, 이러한 접촉단(63)의 상하 이동에 의해 규제레버(61)가 피벗작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규제레버(61)는 접촉단(63)과 인접한 일측에 간섭회피홈(61c)이 형성되고, 이 간섭회피홈(61c)은 와인더롤(54)의 지지축(58)에 대응하는 곡면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간섭회피홈(61c)을 통해 규제레버(61)의 피벗작동 시에 규제레버(61)와 와인더롤(54)의 지지축(58)이 서로 간섭됨이 확실하게 방지되고, 이를 통해 푸싱유닛(50)의 와인더롤(54) 및 규제레버(61) 사이의 배치구조를 보다 컴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규제레버(61)의 타단에는 스토퍼단(64)이 형성되고, 스토퍼단(64)은 도 11과 같이 규제레버(61)의 타단에서 절곡되어 돌출한다. 이와 같이, 스토퍼단(64)은 접촉단(63)에 대해 반대측에 위치함에 따라 규제레버(61)의 피벗작동에 의한 접촉단(63)의 상하 이동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품(15)이 규제레버(61)의 접촉단(63)과 접촉하지 않으면(도 14 및 도 15 참조), 규제레버(61)의 접촉단(63)은 베이스(35)의 상부로 돌출한다. 그리고, 푸셔(51)에 의해 푸싱된 상품(15)이 전진하여 규제레버(61)의 접촉단(63)과 접촉하면(도 16 내지 도 20 참조), 접촉단(63)은 베이스(35)의 하부로 이동하고, 이에 규제레버(61)는 피벗팅 핀(62)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피벗팅하여 그 반대측의 스토퍼단(64)은 상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규제레버(61)은 도 12, 도 14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슬롯(61a) 및 제한돌기(61b)에 의해 그 피벗각도가 일정각 이내로 제한된다. 이러한 제한슬롯(61a)은 피벗팅 핀(62)과 규제레버(61)의 스토퍼단(64) 사이에 형성되고, 제한슬롯(61a) 내에는 제한돌기(61b)가 고정적으로 위치한다. 이러한 제한돌기(61b)는 도 11 및 도 13과 같이 스태커(30)의 측방벽체(31)에서 돌출되게 설치된다.
또한, 규제유닛(60)은 푸셔(51)의 전후진 시에 푸셔(51)의 걸림부재(55)와 접촉함에 따라 회전가능한 회전스토퍼(65)를 더 포함하고, 회전스토퍼(65)는 스태커(30)의 측방벽체(31, 32)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된 지지축(68)에 대해 회전지지되게 설치된다. 회전스토퍼(65)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직립된 자세를 유지하고, 푸셔(51)의 전후진에 의해 걸림부재(55)와 접촉함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스토퍼(65)의 상단에는 제1접촉면(65a)과 제2접촉면(65b)이 형성되고, 제1접촉면(65a)은 수직방향으로 평탄하게 형성되어 푸셔(51)의 전진 시에 걸림부재(55)의 전면과 접촉하며, 제2접촉면(65b)은 제1접촉면(65a)의 반대면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푸셔(51)의 후진 시에 걸림부재(55)의 후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작유닛(40)의 코인 투입슬롯(41) 측에 지정된 코인을 투입한 후에, 조작핸들(45)를 일정각도로 회전시키면, 조작핸들(45)의 구동력이 푸싱유닛(50) 측으로 전달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조작핸들(45)의 회전력이 회전축(42)을 통해 구동부재(73)에 전달되면, 구동부재(73)는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러한 구동부재(73)의 제1피니언치형(73a)과 제1이동부재(71)의 제1래크치형(71a)의 상호작용에 의해 제1이동부재(71) 및 제2이동부재(72)는 수직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2이동부재(72)의 제2래크치형(72a)과 피니언기어(76)의 제2피니언치형(76a)이 상호 작용함에 따라 피니언기어(76)에 일체로 결합된 구동풀리(74)는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러한 구동풀리(74)의 회전력이 벨트(75d)를 통해 피동풀리(75)로 전달되며, 이에 피동풀리(75)는 일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렇게 피동풀리(75)가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푸싱유닛(50)의 와인더롤(54)은 당김와이어(52)를 와인딩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렇게 당김와이어(52)가 와인더롤(54)에 와인딩되면, 당김와이어(52)는 도 15 내지 도 17과 같이 푸셔(51)를 전방측으로 당겨주게 되고, 이에 푸셔(51)가 전진하면서 상품(15)을 인출구(16) 측으로 푸싱한다. 이때, 푸셔(51)의 푸싱단턱(51a)이 스태커(30)에서 최하측에 위치한 상품(15)의 후방단을 밀어냄으로써 상품(15)의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푸싱유닛(50) 및 규제유닛(60)의 작동관계에 대해 도 14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4는 스태커(30) 내에 복수의 상품(15)이 수직방향으로 적층되고, 푸싱유닛(50)의 푸셔(51)가 최후방으로 후진한 상태를 나타낸다.
그 이후에, 조작유닛(40)의 조작핸들(45) 및 전동기구(70)에 의해 와인더롤(54)이 도 15와 같이 당김와이어(52)를 와인딩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당김와이어(52)가 푸셔(51)를 전방측으로 당겨주고, 이에 푸셔(51)가 전진하면서 푸셔(51)의 푸싱단턱(51a)이 최하측에 위치한 상품(15)의 후방단을 푸싱하기 시작한다.
이런 상태에서, 도 16 및 도 17과 같이 당김와이어(52)가 푸셔(51)를 점진적으로 당겨줌에 따라 푸셔(51)는 와인더롤(54)을 향해 점진적으로 전진하고, 이에 푸셔(51)의 푸싱단턱(51a)이 상품(15)의 후방단을 푸싱함으로써 도 17과 같이 상품(15)의 전방단이 인출구(16) 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도 17과 같이 상품(15)의 전방단이 인출구(16) 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품(15)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도 16과 같이 푸셔(51)의 전진에 의해 상품(15)이 베이스(35)의 전방 측으로 이동하면, 상품(15)의 하면이 규제레버(61)의 접촉단(63)과 접촉하기 시작하고, 접촉단(63)은 베이스(35)의 하부로 이동하며, 이에 규제레버(61)는 피벗팅 핀(62)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피벗작동한다.
이후에, 도 17과 같이 푸셔(51)의 전진이 더 진행되면, 규제레버(61)의 접촉단(63)은 베이스(35)의 하부로 더욱 이동하고, 이에 규제레버(61)의 피벗작동이 더 진행되어 규제레버(61)의 스토퍼단(64)은 상향으로 이동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푸셔(51)의 전진 시에, 푸셔(51)의 걸림부재(55)는 회전스토퍼(65)의 제1접촉면(65a)과 접촉하기 시작하고, 이에 회전스토퍼(65)는 도 15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회전스토퍼(65)의 하단은 규제레버(61)의 스토퍼단(64) 보다 높게 위치함에 따라 회전스토퍼(65)의 반시계방향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 이후에 도 16 및 도 17과 같이 푸셔(51)가 더욱 전진하여 걸림부재(55)가 회전스토퍼(65)의 전방 측으로 이동하면, 회전스토퍼(65)는 자중으로 인해 원위치(수직자세)로 복귀한다.
한편, 도 17에서 인출구(16)로부터 상품(15)을 완전히 인출하지 않은 상태에서, 조작유닛(40)의 조작핸들(45)을 놓으면 조작핸들(45)은 원위치로 복귀하고, 이에 전동기구(70)의 구동부재(73), 제1이동부재(71), 제2이동부재(72), 구동풀리(74) 및 피동풀리(75)는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에 와인더롤(54)은 와인딩방향에 대해 반대방향 즉, 언와인딩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푸셔(51)에 대한 당김와이어(52)의 당김력이 제거됨으로써 푸셔(51)는 도 18과 같이 후진부재(53)의 탄성력에 의해 서서히 후진한다.
이후에 도 19와 같이, 후진부재(53)에 의해 푸셔(51)가 더 후진하면 최후방으로 완전히 후진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푸셔(51)의 후진 시에, 푸셔(51)의 걸림부재(55)는 회전스토퍼(55)의 제2접촉면(55b)과 접촉하고, 이에 회전스토퍼(55)는 도 18과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후에, 푸셔(51)의 후진이 더욱 진행되어 푸셔(51)의 걸림부재(55)가 회전스토퍼(55)의 후방측에 위치하면, 도 19와 같이 회전스토퍼(55)는 자중에 의해 다시 원위치(수직 상태)로 복귀한다.
한편, 도 20과 같이 상품(15)이 인출구(16)로부터 상품(15)이 아직 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푸셔(51)를 전진시키고자 하면 푸셔(51)의 걸림부재(55)가 회전스토퍼(65)의 제1접촉면(65a)과 접촉함과 동시에, 회전스토퍼(55)의 하단이 규제레버(61)의 스토퍼단(64)에 걸려짐으로써 푸셔(51)의 전진작동이 규제된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 케이스 11: 수용바디
12; 전방커버 13: 수용공간
15: 상품 16: 인출구
20: 인출기구(dispensing device) 21, 23: 인출가이드롤러
22: 잼방지부재 25: 배출구
30: 스태커(stacker) 31, 32: 측방벽체
33: 전방벽체 35: 베이스
37: 배출플레이트 39: 지지플레이트
40: 조작유닛 41: 코인 투입슬롯
42: 회전축 45: 핸들
50: 푸싱유닛(pushing unit) 51: 푸셔
52: 당김와이어 53: 후진부재
54: 와인더롤 55: 걸림부재
56: 가이드부재 57: 고정브라켓
60: 규제유닛(restricting unit) 61: 규제레버
62: 피벗팅 핀 63: 접촉단
64: 스토퍼단 65: 회전스토퍼
70: 전동기구 71: 제1이동부재
72: 제2이동부재 73: 구동부재
74: 구동풀리 75: 피동풀리
76: 피니언기어 77: 연결부재
81: 제1가이드부재 82: 제2가이드부재
83: 완충유닛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복수의 상품이 적재된 스태커(stacker);
    상기 스태커에 적재된 상품을 푸싱하여 외부로 인출시키는 푸싱유닛(pushing unit); 및
    상기 푸싱유닛에 의해 푸싱되는 상품의 인출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푸싱유닛의 푸싱작동을 규제하는 규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상품은 상기 스태커 내에 수직방향으로 적층되고, 상기 푸싱유닛은 상기 스태커의 적층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상품을 하나씩 푸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푸싱유닛은 상기 스태커 내에 적재된 상품을 푸싱하도록 상기 스태커의 하부에 전후진하는 푸셔를 포함하고,
    상기 푸셔는 그 전방단에 푸싱단턱을 가지고, 상기 푸싱단턱은 상기 상품의 두께 보다 얇은 깊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
  7. 삭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규제유닛은,
    상기 푸셔에 인접하여 피벗팅 핀을 통해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규제레버;
    상기 푸셔의 전후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규제레버는,
    일단이 상기 푸셔에 의해 푸싱된 상품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회전스토퍼와 상호 작용하여 상기 푸셔의 전진을 규제하는 자판기.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푸싱유닛은 상기 푸셔를 전진시키도록 상기 푸셔를 전방으로 당기는 당김와이어와, 상기 당김와이어를 와인딩 내지 언와인딩하는 와인더롤과, 상기 푸셔를 원위치로 후진시키는 후진부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푸싱유닛의 와인더롤은 조작유닛 및 전동기구를 통해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조작유닛은 회전가능한 조작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전동기구는 상기 조작핸들의 회전력을 상기 와인더롤 측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구는 상기 조작핸들에 연결된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제1이동부재와, 상기 제1이동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수직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제2이동부재와, 상기 제2이동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에 대해 벨트를 통해 연결된 피동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피동풀리는 상기 와인더롤에 동축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그 외주면에 제1피니언치형이 부분적으로 형성된 회전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1이동부재는 상기 구동부재의 제1피니언치형과 치합되는 제1래크 치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부재는 그 일측에 제2래크치형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풀리에는 제2피니언치형이 형성된 피니언기어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2이동부재의 제2래크치형은 상기 피니언기어의 제2피니언치형과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부재는 연결부재를 매개로 상기 제1이동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제1이동부재는 핑거조인트(finger joint)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
  15.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규제유닛은 상기 푸셔에 인접하여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규제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규제레버는 상기 푸셔에 의해 푸싱된 상품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푸셔의 전진작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규제레버는 상기 푸셔에 의해 푸싱된 상품과 접촉가능한 접촉단과, 상기 접촉단의 타측에 마련된 스토퍼단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단에 상품이 접촉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토퍼단이 푸셔의 전진을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규제유닛은 상기 푸셔의 전진 시에 상기 푸셔와 접촉함에 따라 회전가능한 회전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단이 상품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스토퍼의 일측이 상기 푸셔와 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스토퍼의 타측은 상기 스토퍼단에 걸려짐으로써 상기 푸셔의 전진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
  1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푸싱유닛의 전방에서 상품의 인출을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인출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
KR1020160031602A 2016-03-16 2016-03-16 자판기 KR101645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602A KR101645691B1 (ko) 2016-03-16 2016-03-16 자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602A KR101645691B1 (ko) 2016-03-16 2016-03-16 자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5691B1 true KR101645691B1 (ko) 2016-08-12

Family

ID=56715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602A KR101645691B1 (ko) 2016-03-16 2016-03-16 자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69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126B1 (ko) 2018-03-22 2019-05-14 유시연 음식 자동판매기
KR101978127B1 (ko) 2018-03-22 2019-05-14 유시연 음식 자동판매기
KR101994615B1 (ko) 2018-02-02 2019-07-02 조두만 온풍 송풍을 위한 컴프레셔와 냉풍 송풍을 위한 에어컨이 설치된 낚시용품 자판기
KR20220157114A (ko) 2021-05-20 2022-11-29 (주)새온 IoT 부착형 자동판매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2964A (ko) * 1998-03-31 2001-02-26 다카노 야스아키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
KR20020019371A (ko) * 2000-09-05 2002-03-12 한재복 무전력 다목적 자동판매기
KR100450608B1 (ko) * 2001-12-15 2004-09-30 은언기 무동력 자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2964A (ko) * 1998-03-31 2001-02-26 다카노 야스아키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
KR20020019371A (ko) * 2000-09-05 2002-03-12 한재복 무전력 다목적 자동판매기
KR100450608B1 (ko) * 2001-12-15 2004-09-30 은언기 무동력 자판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615B1 (ko) 2018-02-02 2019-07-02 조두만 온풍 송풍을 위한 컴프레셔와 냉풍 송풍을 위한 에어컨이 설치된 낚시용품 자판기
KR101978126B1 (ko) 2018-03-22 2019-05-14 유시연 음식 자동판매기
KR101978127B1 (ko) 2018-03-22 2019-05-14 유시연 음식 자동판매기
KR20220157114A (ko) 2021-05-20 2022-11-29 (주)새온 IoT 부착형 자동판매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5691B1 (ko) 자판기
US10308380B2 (en) Device for filling a thin-walled transport container with securities
US10102705B2 (en) Article dispensing apparatus
WO2010032475A1 (ja) 薬剤払出装置
US5842598A (en) Combination storage system and compact ejection mechanisms
US7255341B2 (en) Sheet handling apparatus
US7975875B2 (en) Mechanical gas bottle dispensing machine
JP5113628B2 (ja) 自動販売機
CN107393159B (zh) 自动售货机的商品送出装置
EP2053566B1 (en) A banknote stacker
KR100976200B1 (ko) 자동판매기의 상품지급장치
US11501595B2 (en) Dispensing mechanism for article vending machine
JP2008276333A5 (ko)
JPH07272103A (ja) 自動販売機
US6264060B1 (en) Auxiliary article dispenser for vending machines
JPH01256461A (ja) 紙片等を容器に整頓格納させる装置
JP2006120117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WO2005109355A2 (en) Vending machine for articles
JPH0938328A (ja) 物品投出装置
EP1006494B1 (en) Article storage device for vending machine
KR200169425Y1 (ko) 1회용 소변검사시험지 자동판매기
US20050274731A1 (en) Refillable article storage device
KR200265314Y1 (ko) 상품정렬대
JP2014086082A (ja) 販売装置
JP2005196576A (ja) 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