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642B1 -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 및 피더 장치 - Google Patents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 및 피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642B1
KR101654642B1 KR1020147010337A KR20147010337A KR101654642B1 KR 101654642 B1 KR101654642 B1 KR 101654642B1 KR 1020147010337 A KR1020147010337 A KR 1020147010337A KR 20147010337 A KR20147010337 A KR 20147010337A KR 101654642 B1 KR101654642 B1 KR 101654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let
page
image data
feeder
bookl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0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3844A (ko
Inventor
미츠요시 마츠다
노리치카 히로하시
나오키 코무로
유타카 사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그래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그래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그래프
Publication of KR20140063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3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medium handling apparatus, e.g. a sheet sor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9/00Bookmarkers; Spot indicators; Devices for holding books open; Leaf turners
    • B42D9/04Leaf tur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9/00Bookmarkers; Spot indicators; Devices for holding books open; Leaf turners
    • B42D9/04Leaf turners
    • B42D9/06Leaf turners having an arm reset after each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3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separating from the bottom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2Friction retainers acting on under or rear side of article being separated
    • B65H3/5207Non-driven retainers, e.g. movable retainers being moved by the motion of the article
    • B65H3/523Non-driven retainers, e.g. movable retainers being moved by the motion of the article the retainers positioned over articles separated from the bottom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 B65H5/021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32Signatures, folded printed matter, newspapers or parts thereof and b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1Image rea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02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 H04N2201/0434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specially adapted for scanning pages of a boo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Handling Of Cut Paper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과제] 복수의 책자의 각 페이지를 연속적으로 영상 데이터로서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 및 피더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1)는, 겹쳐 쌓인 복수의 책자(10)를 하부로부터 1권씩 반송하는 피더부(102)와, 피더부(102)로부터 반송된 책자(10)의 철해진 한쪽 끝을 끼워 넣어 고정하는 그립부(203)와, 책자(10)를 그립부(10)에 고정한 상태로, 책자(10)의 페이지를 1 페이지씩 넘기는 에어 흡착 패드(206), 에어 블로어 노즐(207), 제1 넘김 로드(204)와, 넘김 동작에 대응하여 책자(10)의 각 페이지의 영상 데이터를 촬상 카메라(106)로 얻는 영상 데이터 취득수단(1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 및 피더 장치 {PAGE-TURNING READER DEVICE AND FEEDER DEVICE}
본 발명은, 복수의 책자의 페이지를 넘겨, 각 페이지의 영상 데이터를 얻는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 및 피더 장치에 관한다.
종래, 서적이나 서류 등의 책자를 페이지 넘김 기구를 사용해 페이지를 넘기면서 영상 데이터를 얻는 페이지 넘김 장치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1 참조). 이와 같은 페이지 넘김 장치는, 기업 내에서 계약서 등을 전자 데이터로서 보관하거나, 서적을 전자화하는 때에,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그렇지만, 전자화가 필요한 책자가 대량으로 있는 경우에는, 1개의 책자의 처리가 종료된 후에, 사람 손으로 해당 책자를 장치로부터 꺼내, 다른 책자를 세트 할 필요가 있어, 복수의 책자의 연속처리를 행하는 것이 불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겹쳐 쌓여있는 복수의 책자를, 최하단으로부터 1권씩 분리 피드하는 장치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1 참조).
특허문헌2에는, 용수철 변형량 조절기구에 의한 탄성체의 탄성 변형량의 변경에 따라, 멀티 피드(重送) 규제 부재가 상하동(上下動)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반송(搬送) 대상물의 두께에 대응하여, 멀티 피드 규제 부재와 구동 회전체와의 사이의 틈새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3에는, 책자류의 두께가 어느 정도 이상으로 두꺼운 경우에는, 엔드리스 체인에 후크(爪)를 달아, 후크에 의해 강제적으로 밀어내서 반송하는 것에 의해, 장부를 1권씩 계속 내보내는 한편, 책자류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무단대(無端帶)로부터 후크를 떼어내서 벨트로 보내는 것에 의해, 1권씩 계속 내보내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1: 특개2010-228351호 공보 특허문헌2: 특개2010-208756호 공보 특허문헌3: 특개평8-245001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2, 3에는, 책자의 두께에 의해 용수철 변형량 조절기구나 후크를 적절히 조정할 필요가 있어, 조정 없이 임의의 두께의 책자를 1권씩 피드하는 것은 할 수 없었다.
또한, 특허문헌1에 기재한 페이지 넘김 장치에, 특허문헌2, 3에 기재된 책자의 피드 기구를 조합했다고 해도, 사람 손이 아니면 책자를 페이지 넘김 장치의 적절한 장소에 배치하는 것을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된 것이며, 복수의 책자의 각 페이지를 연속적으로 영상 데이터로서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 및 피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쌓여 있는 복수의 책자의 두께가 다르다고 해도, 해당 복수의 책자의 각 페이지를 연속적으로 영상 데이터로서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 및 피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의 적어도 1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는, 서로 합쳐진 복수의 페이지의 한쪽 끝이 철해진 책자의 각 페이지를 판독하는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로서, 겹쳐 쌓인 복수의 책자를 하부로부터 1권씩 반송하는 피더부와, 상기 피더부로부터 반송된 책자의 철해진 한쪽 끝을 끼워 넣어 고정하는 그립부와, 상기 책자를 상기 그립부에 고정한 상태로, 상기 책자의 페이지를 1페이지씩 넘기는 페이지 넘김 수단과, 상기 넘김 수단에 의한 넘김 동작에 대응해서, 상기 책자의 각 페이지의 영상 데이터를 얻는 영상 데이터 취득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겹쳐 쌓인 복수의 책자의 각 페이지를 연속적으로 영상 데이터로서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는, 상기 책자를 재치(載置) 및 반송 가능한 제1 반송 벨트부와 제2 반송 벨트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그립부와 상기 제1 반송 벨트부와 상기 제2 반송 벨트부는, 독립하여 동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넘김 동작이나 영상 데이터 취득의 때에, 상기 그립부와 상기 제1 반송 벨트부와 상기 제2 반송 벨트부의 높이를 변경해서, 2장 넘김을 방지하거나 높은 정밀도의 영상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매끄러운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와 상기 제1 반송 벨트부와 상기 제2 반송 벨트부에 마주보는 위치에 투명한 평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영상 데이터 취득 수단은, 상기 그립부와 상기 제1 반송 벨트부와 상기 제2 반송 벨트부와, 상기 평판이 상대적으로 근접해서, 상기 책자가 상기 평판에 눌려 있는 상태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꺼운 책자라고 해도, 마주보는 페이지의 중앙부분의 영상 데이터를 선명하게 얻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더부와, 상기 복수의 책자를 겹쳐 쌓아놓는 급지부(給紙部)와, 상기 급지부에 겹쳐 쌓인 복수의 책자의 하부로부터 책자를 끌어내서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상기 복수의 책자의 하부로부터 중첩해서 끌어내진 책자를 분리하는 분리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급지부에 겹쳐 쌓인 복수의 책자의 하부로부터 복수의 책자가 중첩되어 끌어내어져도, 분리수단으로 1권으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 1권씩 책자를 넘김부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은 2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분리수단끼리의 거리는, 상기 책자의 길이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수단을 2개 위치에 배치하는 것으로, 책자에 강한 박리력을 거는 것 없이, 멀티 피드된 책자를 확실히 1권으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분리수단끼리의 거리를 책자의 길이보다도 길게 하는 것으로, 뒤 단의 분리수단은 앞 단의 분리수단에 영향을 받는 것이 없이, 책자의 분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발명에 관하여, 상기 분리수단은, 토크 리미터를 내장한 고무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수단은, 토크 리미터에 의해 브레이크 힘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책자를 상처 입히는 것 없이, 책자의 분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송수단은 복수의 고무 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고무 롤러의 회전을 복수의 전자석 클러치를 사용하여 제어하는 회전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석 클러치를 사용한 고무 롤러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으로, 책자를 1권씩 넘김부측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책자의 반송 위치를 검출하는 반송 위치 검출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 제어수단은, 상기 반송 위치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책자의 반송 위치에 기초해, 상기 복수의 전자석 클러치를 ON-OFF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책자의 반송 위치에 기초해 전자석 클러치를 ON-OFF 제어해서, 회전시키는 롤러를 변경하는 것으로, 반송 대상의 1권의 책자만을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송수단은, 접하는 책자에 종동회전하는 원웨이 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첩되어 있는 책자 중에서, 반송 대상의 1권의 책자만을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공기를 흡인하여, 반송 중의 책자를 상기 반송수단 쪽으로 끌어 당기는 에어 흡입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송 중의 책자가 가벼운 경우에도, 해당 책자를 반송수단으로 용이하게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취득수단에 의해 얻어진 영상 데이터의 이상을 검지하는 이상 검지수단과, 상기 이상 검지수단에 의해 영상 데이터의 이상이 검지된 경우에, 상기 영상 데이터를 얻는 기초가 되었던 책자를 불량품 스택부에 배출하는 이상 처리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상이 검지된 경우에는 책자를 불량품 스택부에 배출하는 것으로, 처리를 중단하지 않아도 좋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책자를 겹쳐 쌓아 놓는 로더 컨베이어부와, 상기 피더부에 책자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검지하는 피더 책자 검지수단과, 상기 피더 책자 검지수단에 의해 상기 피더부에 책자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로더 컨베이어부를 동작시켜서, 상기 겹쳐 쌓인 책자를 상기 피더부에 이동시키는 책자 공급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량의 책자를 처리하는 경우에, 로더 컨베이어부에 대량의 책자를 겹쳐 쌓아 놓는 것으로, 자동적인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두께가 다른 책자에 관하여, 해당 책자의 각 페이지를 연속적으로 영상 데이터로서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페이지 넘김 판독수단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은 수단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책자의 철한 한 끝단이 삽입된 후, 삽입된 책자에 소정의 끼워 넣는 압력을 부여한 상태를 유지하는 그립부와, 상기 책자를 상기 그립부에 배치한 상태로, 상기 책자의 페이지를 1페이지씩 넘기는 페이지 넘김 수단과, 상기 넘김 수단에 의한 넘김 동작에 대응해서, 상기 책자의 각 페이지의 영상 데이터를 얻는 영상 데이터 취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판독 대상으로 하는 책자의 두께의 여하에 관련되지 않고, 책자를 확실히 잡고, 그 상태를 유지하면서 영상 데이터의 연속적인 취득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발명에 관하여, 상기 그립부는, 상기 책자의 상기 한 끝단을 상기 책자를 평면 배치한 상태에서 붙잡아, 상기 책자의 다른 끝단을 상기 영상 데이터 취득단 쪽에 향하도록 회동하는 그립 후크를 갖추는 것으로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책자의 철이 안된 다른 끝단을 영상 데이터 취득수단 쪽에 향하게 하는 것이 된다. 이 때문에, 한 끝단을 평면 배치한 상태로 열기보다도, 페이지의 마주보는 상태를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페이지가 표지 쪽에 예각으로 꺾이는 것이 없어지기 때문에, 책자를 상하게 할 염려가 적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는, 상기 책자를 재치 및 반송 가능한 제1 반송 벨트부와 제2 반송 벨트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그립부와 상기 제1 반송벨트와 상기 제2 반송 벨트부는, 독립해서 동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넘김 동작이나 영상 데이터 취득의 때에, 상기 그립부와 상기 제1 반송 벨트부와 상기 제2 반송 벨트부와의 높이를 변경하여, 2장 넘김을 방지하거나 높은 정밀도의 영상 데이터를 얻기 위한 매끄러운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와 상기 제1 반송 벨트부와 상기 제2 반송 벨트부에 마주보는 위치에 투명한 평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영상 데이터 취득수단은, 상기 그립부와 상기 제1 반송 벨트부와 상기 제2 반송 벨트부와, 상기 평판이 상대적으로 근접하여, 상기 책자가 상기 평판에 눌려있는 상태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5에 기재된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
본 발명에 따르면, 두꺼운 책자여도, 마주보는 페이지의 중앙부분의 영상 데이터를 선명하게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겹쳐 쌓인 복수의 책자를 분리해서, 1권씩 반송하는 피더 장치로서는, 다음과 같은 수단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의 책자를 겹쳐 쌓아놓는 급지부과, 상기 급지부에 겹쳐 쌓인 복수의 책자를 겹쳐 쌓인 것의 아래쪽으로부터 끌어내서 반송하는 반송수단을 갖는 반송로와, 상기 책자를 끌어낼 때에 중첩해서 끌어낸 책자의 윗면을 누르는 것으로, 중첩 책자의 분리를 도모하는 리타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리타드 수단은, 상기 반송로 상에, 적어도 2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책자를 겹쳐 쌓인 상태로 급지부에 배치한 경우에 있어도, 책자를 중첩한 상태로 다음 공정에 반송하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책자의 두께가 다른 경우에 있어도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의 상류측에 만들어진 리타드 수단으로부터 하류측에 만들어진 리타드 수단에 걸쳐서, 분리를 위한 누르는 힘을 단계적으로 강화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류측일수록, 확실히 책자의 분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복수의 책자가 중첩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도, 확실히 분리하고, 1권씩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에는, 상기 복수의 리타드 수단의 사이에, 반송하는 책자의 두께 이상의 높이에 생기는 장해물을 검지하는 부풀림 검지센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철해진 한 끝단이 상류측에 배치된 책자(반대로 눌려진 책자)는, 리타드 수단과의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그 윗면측의 페이지가 들려서 넘겨지는 것이 된다. 이 때문에, 반송하는 책자의 방향이 다른 경우에는, 부풀림 검지센서에 의해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는, 겹쳐 쌓인 복수의 책자를 하부로부터 1권씩 반송하는 피더부와, 상기 피더부로부터 반송된 책자의 철해진 한 끝단을 끼워 넣어 고정하는 그립부와, 상기 책자를 상기 그립부에 고정한 상태로, 상기 책자의 페이지를 1페이지씩 넘기는 페이지 넘김 수단과, 상기 넘김 수단에 의해 넘김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책자의 각 페이지의 영상 데이터를 얻는 영상 데이터 취득수단을 갖추고 있으므로, 복수의 책자의 각 페이지를 연속적으로 영상 데이터로서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같은 실시 형태에 관한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의 기능 구성도이다.
도 3은 넘김부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4는 넘김부에 의한 책자의 페이지 넘김과 각 페이지의 영상 데이터의 취득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넘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넘김부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6은 넘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넘김부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7은 넘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넘김부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8은 넘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넘김부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9는 넘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넘김부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10은 넘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넘김부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11은 넘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넘김부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12는 넘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넘김부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13은 넘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넘김부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14는 넘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넘김부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15는 넘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넘김부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16은 넘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넘김부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17은 넘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넘김부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18은 취득한 영상 데이터에 이상이 검지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넘김부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19는 취득한 영상 데이터에 이상이 검지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넘김부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20은 취득한 영상 데이터에 이상이 검지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넘김부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21은 취득한 영상 데이터에 이상이 검지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넘김부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22는 취득한 영상 데이터에 이상이 검지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불량품 스택부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23은 변형예에 관한 모서리 누르기 부재로 책자를 누른 경우의 넘김부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24는 변형예에 관한 모서리 누르기 부재로 책자를 누른 경우의 넘김부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25는 피더부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26은 분리 롤러의 모식적 횡단면도이다.
도 27은 고무 롤러의 모식적 횡단면도이다.
도 28은 피더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피더부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29는 피더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피더부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30은 피더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피더부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31은 피더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피더부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32는 피더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피더부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33은 피더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피더부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34는 시간과 각 구성부분의 ON-OFF의 관계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35는 겹쳐 쌓인 복수의 책자 중에 최하부의 1권의 책자를 떼려고 하는 박리력(F3)과, 자체 무게(F2)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다.
도 36은 멀티 피드된 책자 중에 최하부의 1권의 책자를 떼려고 하는 박리력(F5)과 자체 무게(F4)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다.
도 37은 부풀림 검지센서에 따른 반대로 눌려진 책자의 검출을 설명하기 위한 피더부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38은 넘김부의 있어서 제1 반송 벨트부와 제2 반송 벨트부의 상승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넘김부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39는 넘김부의 있어서 제1 반송 벨트부와 제2 반송 벨트부의 상승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넘김부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40은 페이지의 2장 넘김을 방지하기 위한 수법을 설명하기 위한 넘김부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41은 삽입 페이지의 일어섬의 검지를 설명하기 위한 넘김부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42는 페이지 넘김을 실패했을 때 등에, 이것을 검지하기 위한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넘김부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43은 급지부와 제1의 리타드 수단과의 사이의 가이드를 설치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1)의 전체 구성도이다. 같은 그림에 나타내듯이,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1)은, 로더 컨베이어부(101)와, 피더부(102)와, 넘김부(103)와, 불량품 스택부(104)와, 양품 스택 컨베이어부(105)와, 촬상 카메라(106)와, LED조명(107)과, 제어부(108)와, 책자 유무센서(109)를 갖추고 있다.
로더 컨베이어부(101)는, 판독 처리를 해야 하는 책자(10)가 다수 있는 경우에, 피더부(102)에 이동되기까지, 겹쳐 쌓아놓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이다. 여기서, 「책자」란, 서로 합쳐진 복수 매의 페이지의 한 끝단이 철해진 것을 말하고, 계약서 등의 서류, 서적, 잡지, 팜플렛 등의 임의의 것이 포함된다.
피더부(102)와, 겹쳐 쌓인 복수의 책자를 그 하부로부터 1권씩 반송한다. 넘김부(103)는, 피더부(102)로부터 반송된 책자(10)의 페이지를 1페이지씩 넘긴다.
촬상 카메라(106)는,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이며, 넘김부(103)에 배치된 책자(10)를 촬영한다. 더욱이, 책자(10)의 영상 데이터를 얻는 수단으로서, 디지털 카메라에 제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책자(10) 전체의 촬상에 시간은 걸리지만, 촬상 소자를 스캐닝하는 타입의 것도 좋다.
LED조명(107)은, 책자(10)의 촬상 때에 책자(10)를 비춘다.
불량품 스택부(104)는, 책자(10)의 영상 데이터 취득시 등에 이상을 검지한 경우에, 해당 책자를 스택하여 놓는 용기이다. 양품 스택 컨베이어부(105)는, 정상으로 판독 처리가 종료한 책자를 스택하는 벨트 컨베이어이다.
책자 유무센서(109)는, 피더부(102)에 책자(10)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검지하는 센서이다. 더욱이, 이 책자 유무센서(109) 및 이하에 설명할 책자(10)의 유무를 검지하는 각종 센서는, 임의의 공지된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초음파의 감쇠량, 빛의 감쇠량, 포토레지스터의 저항 값의 변화 등에 따른 책자(10)의 유무를 검지하는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108)는, 도시하지 않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메모리와,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1)의 각부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어, CPU가 메모리에 기억시킨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처리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제어부(108)는, 뒤에 상술하지만, 예를 들어 특징적인 기능으로서, 도 2에서 나타내듯이, 촬상 카메라(106)을 제어하여 책자(10)의 영상 데이터를 얻는 영상 데이터 취득수단(11), 피더부(102)에 있어서 책자(10)를 반송하는 롤러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 제어수단(12), 피더부(102)에 있어서 책자(10)의 반송위치를 검출하는 반송 위치 검출수단(13), 취득한 영상 데이터의 이상을 검지하는 이상 검지수단(14), 영상 데이터의 이상을 검지한 때의 처리를 행하는 이상 처리수단(15), 책자 유무센서(109)로부터의 신호를 받아서 피더부(102)에 책자(10)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검지하는 피더 책자 검지수단(16), 로더 컨베이어부(101)로부터 피더부(102)에 책자(10)를 제공하는 책자 공급 제어수단(17) 등을 갖는다. 또한, 제어부(108)는,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1)의 각부에 형성된 각종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계기로, 각부에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각부의 작동을 제어한다.
(넘김부의 구성)
도 3은, 넘김부(103)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넘김부(103)의 중앙부에는, 피더부(102)로부터 반송된 책자(10)의 철해진 한 끝단인 철부를 끼워 넣어 고정하는 그립부(20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립부(203)는, 책자(10)를 붙잡는 그립 후크(212)와, 그립 후크(212)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17)와, 그립 후크(212)를 회전시키는 그립 후크 회전축(213)과, 그립 후크(212)에 책자(10)가 도달했는지를 검지하는 센서(211)를 구비하고 있다.
그립 후크는, 지지부재를 기준으로 해서, 책자의 두께 방향에 슬라이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 기구를 갖추고 있다. 슬라이드 기구는, 도시하지 않는 모터 등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가동된다.
그립부(203)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는, 책자(10)를 재치 및 반송 가능한 제1 반송 벨트부(201)와 제2 반송 벨트부(20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 반송 벨트부(201), 제2 반송 벨트부(202), 그립부(203)의 하부에는, 각각 지지 로드(216)와, 지지 로드(216)의 상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드 가이드(209)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반송 벨트부(201), 제2 반송 벨트부(202), 그립부(203)는,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 등에 구동되는 것에 의해, 각각 독립해서 상하 움직임 등의 동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책자(10)를 그립부(203)에 고정한 상태로 책자(10)의 페이지를 1페이지씩 넘기기 위한 페이지 넘김 수단으로서, 페이지를 흡인하는 에어 흡착 패드(206)와, 에어 흡착 패드(206)에 흡인된 페이지에 공기를 내뿜는 에어 블로어 노즐(207)과, 에어 흡착 패드(206) 및 에어 블로어 노즐(207)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14)와, 에어 흡착 패드(206)를 회전시키는 회전축(215)과, 에어 흡착 패드(206)에 흡착된 페이지를 넘기는 제1 넘김 로드(204)와, 제2 반송 벨트부(202) 쪽의 페이지를 제1 반송 벨트부(201) 쪽에 넘기는 제2 넘김 로드(20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넘김부(103)의 상부에는, 투명한 유리판(208)의 평판이 형성되어 있다. 이 유리판(208)은, 책자(10)를 눌러서 촬상하기 위한 것이다. 더욱이, 책자(10)를 눌러 촬상하기 위한 평판은 유리판(208)에 제한되지 않고, 투명하고 눌러도 변형되지 않는 편평한 판상의 부재라면 좋고, 예를 들어, 플라스틱이나 수정이라도 좋다.
제1 반송 벨트부(201)에는, 책자(10)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기 위한 센서(210)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반송 벨트부(202)의 하류측(도 3에서 제2 반송 벨트부(202)의 왼쪽 편)에는, 책자(10)를 밀어 올리기 위한 책자 밀어올림 로드(21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책자 밀어올림 로드(218)는, 책자(10)의 영상 데이터 취득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책자(10)를 페이지를 넘기기 전의 상태로 돌려 놓기 위한 것이다.
(넘김부의 동작)
다음으로, 도 4에 나타낸 흐름도와, 도 5 ~ 도 17에 나타낸 넘김부(103)의 모식적 측면도를 참조하면서, 넘김부(103)가 책자(10)의 페이지를 넘기고, 각 페이지의 영상 데이터를 얻는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여기서는, 책자(10)의 표지와 뒷 표지에 대해서도 영상 데이터를 얻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작업자는, 피더부(102)의 급지부에, 복수의 책자(10)를 책자의 철부를 하류측(넘김부(103)측)에 향해서 겹쳐 쌓아, 운전 개시 조작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제어부(108)가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1) 각부에 스타트 신호를 출력해, 각부의 동작이 개시한다. 제어부(108)는, 각 센서로부터의 신호의 수신을 계기로, 각부에 각종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에 의해, 각부에 동작을 행하게 한다.
우선, 피더부(102)가 동작하여, 피더부(102)로부터 넘김부(103)에 1권의 책자(10)가 피드 된다 (도 4의 스텝 S1).
해당 책자(10)는, 넘김부(103)의 제1 반송 벨트부(201)에 반송되어, 그립부(203)의 그립 후크(212)의 위치에 도달한다(도 5 참조). 이에 의해, 센서(211)가 ON한다.
제어부(108)는, 센서(211)의 ON에 의해, 그립부(203)에 책자(10)가 도달한 것을 검지해(스텝 S2), 그립 후크(212)를 아래쪽에 이동시키는 것과 함께, 제1 반송 벨트부(201)를 정지시킨다(스텝 S3). 이것에 의해, 책자(10)의 철부는, 그립 후크(212)로 끼워 넣어져 고정된다. 그립 후크에 의한 책자의 끼워 넣기 제어는, 압력센서 등의 센서 제어에 의해도 좋지만, 본 건에서는, 구동용의 모터를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하는 것에 의해 행하고 있다. PWM 제어를 행하는 것에 따르면, 모터에 대한 구동전압을 순시(瞬時)적으로 ON-OFF 제어하면서 연속해서 전하는 것이 된다. 이 때문에, 책자를 끼워 넣기까지는, 스텝적으로 그 틈새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 책자를 끼워 넣은 후에는, 책자에 대해서 적당한 정도의 끼워 넣기 압력을 부여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모터에 대해 구동전압을 계속적으로 부여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되지 않기 때문에, 이른바 과부하 상태를 피하는 것이 가능해, 모터로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실시 형태에 관한 제어는, 적정한 토크를 발생 가능한 모터의 선정과, 부여하는 펄스 폭의 설정을 행하는 것 만으로 실현 가능하기 때문에, 센서 제어에 비교해, 저렴하고, 또한 간단한 제어에 의해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6 참조).
다음으로, 그립 후크 회전축(213)을 축으로, 그립 후크(212)의 지지부재(217)를 90°회전시켜, 책자(10)의 철부 부근이 수직 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즉, 책자를 수직으로 세웠다면, 철하지 않은 다른 끝단이, 영상 데이터 취득수단(11) 측에 배치되도록 한다(스텝 S4, 도 7 참조).
다음으로, 제1 반송 벨트부(201)와 제2 반송 벨트부(202)와 그립부(203)를 상승시켜, 책자(10)를 유리판(208)에 누른다(스텝 S5, 도 8 참조).
이 타이밍에서, 영상 데이터 취득수단(11)이 촬상 카메라(106)을 제어하여, 촬상 카메라(106)로 책자(10)의 표지를 촬상하고, 표지의 영상 데이터를 취득한다(스텝 S6).
다음으로, 제1 반송 벨트부(201)와 제2 반송 벨트부(202)와 그립부(203)를 하강시킨다(스텝 S7, 도 9 참조).
제어부(108)는, 센서(210)부터의 신호에 의해, 현재 촬영한 페이지가 최종 페이지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최종 페이지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스텝 S8의 No), 에어 흡착 패드(206)와 에어 블로어 노즐(207)과의 지지부재(214)를, 책자(10)의 페이지 흡착 위치까지 이동시킨다(스텝 S9, 도 10참조).
다음으로, 에어 흡착 패드(206)의 위치까지 제1 반송 벨트부(201)을 상승시킨다. 그리고, 에어 흡착 패드(206)을 ON시켜, 에어 흡착 패드(206)가 책자(10)를 흡착한다(스텝 S10, 도 11참조).
다음으로, 제1 반송 벨트부(201)를 아래쪽에 이동시킨다. 그리고, 지지부재(214)를 전후(상류측과 하류측 방향)에 수회 요동시켜서, 에어 흡착 패드(206)에 흡착한 복수의 페이지를 분리하기 쉽게 한다. 더욱이, 에어 흡착 패드(206)에, 에어 흡착 패드(206)의 회전축(215)을 축에 전후, 좌우 흔드는 동작을 수회 행하게 하면서 동시에, 에어 블로어 노즐(207)로부터 공기를 뿜어, 에어 흡착 패드(206)에 흡착한 복수의 페이지를 1장으로 한다 (스텝 S11, 도 12 참조). 여기서, 에어 블로어 노즐(207)은, 그 지름을 되도록 작게 하여, 가능한 한 책자(10)의 가까운 곳에 형성하는 것이, 더욱 페이지의 분리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1 넘김 로드(204)를 에어 흡착 패드(206)의 아래까지 이동시킨 후(도 13 참조), 에어 흡착 패드(206)를 OFF해, 페이지의 흡착을 멈춘다.
제1 넘김 로드(204)를 더욱이 제2 반송 벨트부(202) 측까지 이동해, 페이지를 넘긴다(스텝 S12, 도 14 참조).
다음으로, 제1 넘김 로드(204)와, 에어 흡착 패드(206) 및 에어 블로어 노즐(207)의 지지부재(214)를, 이동 전의 위치에 퇴피(退避)시킨다(스텝 S13).
다음으로, 제1 반송 벨트부(201)와 제2 반송 벨트부(202)와 그립부(203)를 상승시켜, 책자(10)를 누름용의 유리판(208)에 누른다(스텝 S5, 도 8 참조). 이 타이밍에, 영상 데이터 취득수단(11)이 촬상 카메라(106)을 제어해, 촬상 카메라(106)로 책자(10)를 촬상해서, 마주보는 페이지의 영상 데이터를 취득한다(스텝 S6).
제1 반송 벨트부(201)와, 제2 반송 벨트부(202)와, 그립부(203)를 하강시킨다(스텝 S7). 그리고 나서, 최종 페이지가 되기까지(스텝 S8의 Yes), 스텝 S9~13, S5~8의 처리를 반복해서 행한다.
스텝 S8에 있어서, 도 16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상태가 되어 센서(210)에 책자(10)가 검출되지 않게 된 경우, 최종 페이지까지 촬상이 종료 되었다는 것이 되므로, 스텝 S8에서 Yes로 판정한다.
그리고, 그립 후크(212)를 개방하여, 책자(10)를 그립 후크(212)로부터 분리한다(스텝 S14). 다음으로, 제2 반송 벨트(202)를 구동해, 책자(10)를 하류측에 배출한다(스텝 S15, 도 17참조). 이 책자(10)는, 불량품 스택부(104)를 통과하여, 양품 스택 컨베이어부(105)에 배출된다.
그 후, 스텝 S1에 돌아가, 다음으로 피더부(102)로부터 피드되어 온 책자(10)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와 같이, 피더부(102)로부터 순차 피드되어 오는 책자(10)의 각 페이지를 연속적으로 영상 데이터로서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효과적이다.
또한, 그립부(203)와 제1 반송 벨트부(201)와 제2 반송 벨트부(202)가 상승 이동해서, 책자(10)가 유리판(208)에 눌려지는 상태로 영상 데이터를 취득하기 때문에, 책자(10)가 두꺼운 경우에도, 마주보는 페이지의 중앙부분의 영상 데이터를 명료하게 얻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 형태에는, 책자(10)의 표지의 영상 데이터를 얻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으나, 표지의 영상 데이터를 취득하지 않는 경우에는, 첫 회의 처리로 스텝 S5~8의 처리를 하지 않고, 스텝 S4의 처리의 다음에 스텝 9의 처리를 행하면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는, 영상 데이터의 취득 시에, 책자(10)를 누르기용 유리판(208)에 누르기 위해서, 제1 반송 벨트부(201)와 제2 반송 벨트부(202)와 그립부(203)를 상승시킨다고 설명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리판(208)쪽을 하강시켜도 좋다.
(영상판독 이상시의 처리)
다음으로, 제어부(108)의 이상 검지수단(14)에 의해서, 영상 데이터 취득수단(11)에 의해 얻어진 영상 데이터에 이상이 검지된 경우의 처리에 대해, 도 18 ~ 도 22의 넘김부(103)의 모식적 측면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상 검지수단(14)(도 2 참조)는, 취득한 영상 데이터를 해석해서, 예를 들어, 페이지가 기울어져 있음, 페이지의 일부나 구석이 꺾여 있음, 페이지 전체가 촬상되지 않았음 등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기울기의 정도, 촬상 되지 않은 부분의 면적의 페이지 전체에 대한 비율 등이 소정의 역치를 넘긴 경우에는, 이상이라고 판정한다.
이상 검지수단(14)에 의해 영상 데이터에 이상이 검지된 경우에, 이상 처리수단(15)(도 2 참조)은, 해당 영상 데이터를 얻는 기초였던 책자(10)를 불량품 스택부(104)(도 1 참조)에 배출하기 위해서, 이하의 처리의 제어를 행한다.
우선, 도 18에 나타내듯이, 책자 밀어올림 로드(218)를 위쪽에 이동시켜, 책자(10)를 들어올린다.
다음으로, 도 19에 나타내듯이, 제2 넘김 로드(205)를 책자(10)의 아래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도 20에 나타내듯이, 제2 넘김 로드(205)를 제1 반송 벨트부(201) 측으로 이동해, 책자(10)를 페이지를 넘기기 전의 상태로 되돌린다.
다음으로, 도 21에 나타내듯이, 그립 후크(212)를 개방해, 그립 후크(212)로부터 책자(10)를 분리한다. 그리고, 제1 반송 벨트부(201)와 제2 반송 벨트부(202)를 구동해, 책자(10)를 넘김부(103)로부터 불량품 스택부(104)측으로 이동시킨다. 제2 넘김 로드(205)는 원래의 위치에 이동시킨다.
그리고, 도 22에 나타내듯이, 불량품 스택부(104) 내부의 중앙 부근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140)를 열어, 책자(10)를 게이트(104)의 아래쪽으로 낙하시킨다. 그 후, 피더부(102)로부터 피드되어 오는 다른 책자(10)에 있어서 도 4의 스텝 S1으로부터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처리를 중단시키는 것이 없다.
더욱이, 이상을 검출했을 때의 처리로서, 상기와 같은 불량품 스택부(104)측으로 책자(10)를 이동시키는 처리 외에, 경고 정보를 출력하거나, 이상의 해석 결과를 출력하거나, 처리를 정지시키거나, 이상 검지의 기초가 되었던 페이지의 영상을 다시 취득(리트라이)해도 좋다. 또한, 영상 데이터의 이상에 제한되지 않고, 넘김부(103)에서 페이지를 2장 이상 넘긴 경우나, 종이 막힘이 발생했을 경우 등을 이상에 포함시켜도 좋다.
또한, 이상 검지수단(14)과 이상 처리수단(15)은,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1)의 제어부(108)에 형성되지 않고,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1)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에 형성되도 좋다.
또한, 취득한 영상 데이터의 처리로서, 책자의 ID인식, RFID인식, 바코드 인식, OCR 인식 등을 행하여, 인식한 정보에 기초해서, 영상 데이터를 구분, 분류해도 좋다.
(유리판의 변형예)
더욱이, 상술한 실시 형태에는, 책자(10)를 유리판(208)에 바짝 대는 것에 의해, 마주보는 페이지 중앙부의 철한 부분을 명료하게 촬상할 수 있도록 했지만, 유리판(208)을 대신해, 책자(10)의 마주보는 페이지 중앙부의 철한 부분의 양단부(모서리 부분)를 누르는 부재를 사용해도 좋다.
도 23은, 책자(10)를 모서리 누름 부재(208a)로 누른 상태의 넘김부(103A)의 모식적 측면도이며, 도 24는, 넘김부(103A)의 모식적 정면도이다.
이 모서리 누름 부재(208a)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내는 스텝 S5에 관하여, 책자(10)를 유리판(208)에 누르는 대신에, 2개의 모서리 누름 부재(208a)를 액추에이터 등으로 제어하여, 책자(10)의 철한 부분까지 이동시켜, 2개의 모서리 누름 부재(208a)로 해당 철한 부위의 양끝을 누르도록 하면 좋다.
(피더부의 구성)
다음으로, 피더부(102)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5는 피더부(102)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같은 그림에 나타내듯이, 피더부(102)는, 입방체 형태로 내부의 공기를 갖는 커버(328)와, 해당 커버(328)의 윗면에 배치된 급지부(302)를 구비하고 있다. 급지부(302)는, 복수의 책자(10)를 겹쳐 쌓아 세트하여 놓기 위한 것이다.
커버(328)의 상부에는, 상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고무 롤러(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고무 롤러(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는, 커버(328)의 윗면에 일부가 노출되어 있어, 급지부(302)에 겹쳐 쌓인 복수의 책자(10)를 하부로부터 순차 끌어 내서, 하류측의 넘김부(103)에 반송하는 반송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커버(328) 내에는, 고무 롤러(310, 311, 312)에 벨트(318)를 두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클러치 롤러(323)와, 고무 롤러(313)에 벨트(319)를 두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클러치 롤러(324)와, 고무 롤러(314, 315, 316)에 벨트(320)을 두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클러치 롤러(325)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클러치 롤러(323, 324, 325)는 전자석 클러치를 구비한 롤러로서, 전자석 클러치의 ON-OFF제어에 의해, 고무 롤러(310~316)에 대한 모터(326)으로부터의 회전력을 전달하고, 분리(회전의 정지)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고무 롤러(312)의 위쪽에는 급지부(302)로부터 복수의 책자(10)가 중첩되어 끌어 내진 경우에, 이들 복수의 책자(10)를 분리하는 제1의 리타드 수단(306)이 형성되어 있다. 고무 롤러(313)의 위쪽에는, 책자(10)를 위로부터 누르는 누름 롤러(308)가 형성되어 있다.
고무 롤러(313)의 하류측(도 25에서는 고무 롤러(313)의 좌측)에는, 그 위치에 책자(10)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검지하기 위한 센서(30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무 롤러(316)의 위쪽에는, 제1의 리타드 수단(306)을 통과하여도 분리가 안된 채 멀티 피드되어진 복수의 책자(10)를 분리하기 위한 제2의 리다트 수단(307)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리타드 수단(306)과 제2 리타드 수단(307)은, 그 사이의 거리가, 책자(10)의 길이보다도 길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 간격을 갖는 것으로, 동일 책자에 대해 반송 방향에 따른 복수 위치로 동시에 마찰력이 부여되어, 오므라짐 등을 생기게 할 우려가 없어진다.
고무 롤러(317)의 위쪽에는, 누름 롤러(30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는, 누름 롤러(308, 309)에, 도시하지 않은 구동 전달 수단을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누름 롤러(308, 309)에는, 책자(10)의 반송 방향에 따른 회전력이 부여된다.
이 제1의 리타드 수단(306)과 제2의 리타드 수단(307), 누름 롤러(308), 고무 롤러(314), 누름 롤러(309), 고무 롤러(317)는, 중첩한 복수의 책자(10)를 분리하는 분리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는 리타드 수단으로서, 책자(10)의 반송경로를 따라 제1의 리타드 수단(306)과 제2의 리타드 수단(307)을 배치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더욱이 복수의 리타드 수단을 배치하여, 분리의 세분화를 도모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상류측에 배치한 리타드 수단으로부터 하류측에 배치한 리타드 수단에 거쳐, 책자(10)에 대해 누르는 힘을 강화시키도록 하면 좋다.
고무 롤러(316)의 상류측(도 25에서는 고무 롤러(316)의 우측)에는, 그 위치에 책자(10)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검지하기 위한 센서(304)가 형성되어 있다. 고무 롤러(317)의 하류측(그림에서는, 고무 롤러(317)의 좌측)에는, 그 위치에 책자(10)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검지하기 위한 센서(305)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328)의 하단에는, 고무 롤러(314, 315)부근의 공기를 커버(328)와 고무 롤러(314, 315)와의 사이의 틈새로부터 흡입하여, 고무 롤러(314, 315)부근의 책자(10)를 고무 롤러(314, 315)에 끌어당겨서 반송하기 쉽도록 하는 흡인 팬(32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328) 안에는, 클러치 롤러(323, 324, 325), 및 롤러(329)에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구동 모터(32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피더부(102)의 최하류에는, 전자석 클러치를 갖추지 않은 롤러(329)를 두어 구동 모터(326)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상시 회전형의 고무 롤러(31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 모터로부터의 회전력은, 벨트(322)을 두어 클러치 롤러(323, 324, 325), 및 롤러(329)에 전달되어, 롤러(329)의 회전력이, 벨트(321)을 두어 고무 롤러(317)에 전달된다.
도 26에는, 제1의 리타드 수단(306), 및 제2의 리타드 수단(307)의 모식적 횡단면도를 나타낸다(또한, 도 26에 있어서는, 제1의 리타드 수단(306)으로 나타낸다). 같은 그림에 나타내듯이, 제1의 리타드 수단(306)(제2의 리타드 수단(307))은, 회전축이 되는 고정축(402)과, 고정축(402)의 외주에 형성되고, 브레이크 힘의 조정을 행하는 토크 리미터(404)와, 토크 리미터(404)의 외주에 형성되고, 중첩하고 있는 책자(10)를 분리하는 고무 부재(406)과, 고정 축(402)을 위쪽으로부터 누르는 누름 용수철(408)을 갖추고 있다. 즉, 제1의 리타드 수단(306)과 제2의 리타드 수단은, 토크 리미터 내장형의 고무 롤러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의 리타드 수단(306)에 대하여는, 그 회전을 규제하고, 고정 롤러로서 작동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의 리타드 수단(306)은, 책자 표면에 대해 적절한 브레이크 힘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한 재질이라면, 스퀴지와 같은 형태나, 단순한 로드와 같은 형태로서 구성해도 좋고, 그 형태를 특별히 묻는 것은 아니다.
제1의 리타드 수단(306)은, 제2의 리타드 수단(307)에 비해서, 누름 용수철(408)에 의해 누르는 힘이 매우 약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책자(10)가 아래에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아래의 고무 롤러(312)와 접촉하고 있다고 해도, 고무 롤러(312)에 대해서, 과도한 부가를 주는 우려가 없다. 그리고, 고무 롤러(312)와 제1의 리타드 수단(306)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책자가 1권 있는 경우에도, 책자(10)의 표면에 대해 과도한 마찰력을 주어, 책자(10)를 상하게 한다고 했던 우려도 없다.
그러나, 고무 롤러(312)와 제1의 리타드 수단(306)과의 사이에, 복수의 책자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중첩한 책자(10) 사이의 마찰력보다도, 고무 롤러(312)와 책자(10)와의 사이의 마찰력이나, 제1의 리타드 수단(306)과 책자(10)와의 사이의 마찰력 쪽이 강하게 된다. 이 때문에, 고무 롤러(312)에 그립해서 반송되는 아래쪽의 책자(10)와, 제1의 리타드 수단(306)에 의해 브레이크 힘이 부여되는 위쪽의 책자(10)가 박리된다(거친 처리).
제2의 리타드 수단(307)은, 누름 용수철(408)의 누르는 힘이, 제1의 리타드 수단(306)보다도 강하게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고무 롤러(316)와의 사이에는 책자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여도, 고무 롤러(316)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토크 리미터(404)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의 리타드 수단(307)과 고무 롤러(316)가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는, 토크 리미터(404)에 의해 브레이크가 걸린 상태로, 고무 롤러(316)에 종동회전한다.
제1의 리타드 수단(306)은 상술한 것처럼, 중첩한 책자(10)를 거친 처리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 때문에, 제2의 리타드 수단(307)에 반송되어 오는 책자(10)는, 1권 있는 경우와, 복수의 2권 정도의 잡지가 중첩되어 오는 경우가 존재한다. 고무 롤러(316)와 제2의 리타드 수단(307)과의 사이에 1권의 책자(10)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해당 책자(10)의 이동이 종동회전한다. 한편, 중첩한 복수의 책자(10)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아래쪽의 책자(10)는 고무 롤러(312)에 그립해서 이동하지만, 중첩한 책자(10) 사이의 마찰력보다도 토크 리미터(404)에 의한 브레이크 힘이 크기 때문에, 제2의 리타드 수단(307)은 회전하지 않고, 위쪽의 책자(10)는 제2의 리타드 수단(307)에 그립하여, 토크 리미터(404)의 브레이크 힘에 의해 박리된다.
도 27에는, 고무 롤러(310)의 모식적 횡단도면를 나타낸다. 같은 그림에 나타내듯이, 고무 롤러(310)는, 벨트(318)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410)과, 구동축(410)의 외주에 형성되고, 접한 책자(10)에 종동회전하는 원웨이 클러치(412)와, 원웨이 클러치(412)의 외주에 형성되고, 책자(10)를 반송하는 고무부재(414)를 구비하고 있다.
고무 롤러(311, 312)의 구성도, 고무 롤러(310)의 구성과 같은 모양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하는 것에 의해, 고무 롤러(313)와 누름 롤러(308)와의 회전력에 의해, 책자(10)가 뽑혀진 경우에 있어도, 고무 롤러(310, 311, 312)나 벨트(318), 및 책자(10) 자체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피더부의 동작)
다음으로, 도 28 ~ 도 33에 나타내는 피더부(102)의 모식적 측면도와, 도 34에 나타내는 시간과 각부의 ON-OFF의 관계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를 참조하여, 피더부(102)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28에 나타내듯이, 책자(10)를 급지부(302)에 쌓아 올려 놓는다. 이 경우, 각 책자(10)는 두께가 달라도 상관없다.
작업자가 그림에 나타나있지 않은 동작 개시버튼을 조작하면, 도 34의 타이밍 차트에 나타낸 것처럼, 제어부(108)로부터 스타트 신호가 출력되어, 구동모터(326)와, 클러치 롤러(323, 324, 325)에 있어서 전자석 클러치와, 흡인 팬(327)이 ON된다. 구동모터(326)의 구동에 의해 벨트(322)가 회전하고, 클러치 롤러(323), 클러치 롤러(324), 클러치 롤러(325) 각각을 경유해서, 벨트(318), 벨트(319), 벨트(320) 각각으로 회전이 전달된다. 벨트(318)의 회전이 전달되어 고무 롤러(310), 고무 롤러(311), 고무 롤러(312)가 회전하고, 벨트(319)의 회전이 전달되어 고무 롤러(313)가 회전하고, 벨트(320)의 회전이 전달되어, 고무 롤러(314), 고무 롤러(315), 고무 롤러(316)가 회전한다. 또한, 롤러(329)를 두어, 벨트(322, 321)로부터, 모터(326)의 회전이 전달되어, 고무 롤러(317)가 회전한다.
고무 롤러(310, 311, 312)의 회전에 의해, 급지부(302)의 하부로부터 복수의 책자(10)가 끌어내져서, 끌어내진 복수의 책자(10)는 제1의 리타드 수단(306)에 의해 1~수권으로 분리된다. 이하에는, 제1의 리타드 수단(306)에 의해 2권으로 분리되어 반송되는 중첩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제1의 리타드 수단(306)에 의해 책자(10)의 멀티 피드를 없애기 위해서는, 제1의 리타드 수단(306)에 강한 용수철 힘과 강한 토크가 필요하게 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35에 나타내듯이, 겹쳐 쌓인 복수의 책자(10) 중에서 최하부의 1권의 책자를 떼어내려 하는 박리력 F3은, 상부의 책자의 자체 무게가 F2인 경우, F3 = μ × F2 (μ는 마찰계수)가 된다. 다시 말해, 책자를 쌓아 올릴 정도, 강한 박리력이 필요하게 된다.
제1의 리타드 수단(306)으로 강한 박리력을 갖기 위해서는, 책자(10)를 고무 롤러(312)에 꽉 누르는 강한 누르기 힘을 발생시키기 위해 누름 용수철(408)에 의한 강한 용수철 힘과, 중첩한 책자(10)가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토크 리미터(404)에 의한 강한 브레이크 힘, 및 강한 용수철 힘이 부여된 책자(10) 중, 최하부의 1책자를 그립한 채로 뽑아내는 강한 반송력이 필요하게 된다. 그렇지만, 강한 용수철 힘과 강한 토크로 박리에 필요한 힘을 높이면, 강한 반송력이 부여된 책자에 손상을 주어, 책자를 파손시켜 버리는 가능성도 있다. 이상의 이유에 의해, 굳이 분리 롤러(306)는, 약한 용수철 힘과 약한 브레이크 힘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의 F1은 고무 롤러(310, 311, 312)에 의해 더해지는 반송력이다.
도 29에 나타내듯이, 이 멀티 피드된 중첩 책자(10A)가 센서(303)에 도달하면, 센서(303)가 중첩 책자(10A)의 도달을 검지해, 반송 위치 검출수단(13), 회전 제어수단(12)의 제어에 의해, 클러치(323)는 OFF가 된다(도 34에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의 t1 참조).
클러치(323)의 OFF에 의해 벨트(318)의 회전은 정지하고, 고무 롤러(310), 고무 롤러(311), 고무 롤러(312)의 구동력이 없어진다. 이것에 의해, 급지부(302) 내의 책자(10)는 반송되어지지 않게 된다.
멀티 피드된 중첩 책자(10A)는, 고무 롤러(313)와 누름 롤러(308)에 의해 뽑혀진다. 여기서, 고무 롤러(310), 고무 롤러(311), 고무 롤러(312)에는 원웨이 클러치(412)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멀티 피드된 중첩 책자(10A)와 접한 고무 롤러만이 종동회전한다.
이와 같이, 고무 롤러의 동반회전이 없기 때문에, 급지부(302) 안의 책자(10)는 반송되지 않게 된다.
중첩 책자(10A)가 고무 롤러(313)와 누름 롤러(308)에 의해 뽑혀지면, 도 30에 나타내는 것처럼, 중첩 책자(10A)의 위에 롤러 등의 누름이 없는 상태가 된다. 이것은, 중첩 책자(10A)를 분리 롤러(307)로 다시 분리할 때에, 상부에 롤러 등이 없는 상태로 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시점에서는, 도 34의 타이밍 차트에 나타내는 것처럼, 흡인 팬(327)이 ON이 되어있어 동작 중이다. 따라서, 해당 흡인 팬(327)이 커버(328)와 고무 롤러(310~317)와의 사이의 틈새로부터, 멀티 피드된 중첩 책자(10A)를 흡인하기 위해, 중첩 책자(10A)는 고무 롤러(314, 315)측에 끌어 당겨져, 중첩 책자(10A)의 반송이 가능하게 된다.
중첩 책자(10A)가 센서(304)의 위치에 도달하면, 센서(304)가 중첩 책자(10A)의 도달을 검지해, 반송 위치 검출수단(13), 회전 제어수단(12)의 제어에 의해, 클러치 롤러(324)에 있어서 전자석 클러치는 OFF로 된다(도 34의 타이밍 차트의 t2 참조). 클러치 롤러(324)의 전자석 클러치가 OFF로 되는 것에 의해, 벨트(319)의 회전이 정지해, 고무 롤러(313)는 정지한다.
중첩 책자(10A)는, 고무 롤러(314, 315)에 제2의 리타드 수단(307)의 위치까지 반송되어, 제2의 리타드 수단(307)에 의해 확실하게 1권으로 분리된다(도 31 참조).
이것은, 도 36에 나타내는 것처럼, 이 시점의 분리력 F5는 F5 = μ × F4 이상의 힘이 필요하게 되어, 자체 무게 F4는 책자(10)가 다수 권 겹쳐져 있는 경우의 F2에 비교하여 매우 작은 것으로부터, F5가 매우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약한 용수철 힘(제1의 리타드 수단(306)보다 강함)과 약한 브레이크 힘의 제2 리타드 수단(307)을 사용했다고 해도, 고무 롤러(316)와 책자(10)의 사이에 적절한 그립 힘을 주는 것이 가능해, 중첩 책자(10A)를 용이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중첩 책자(10A)가 분리된 후의 아래쪽의 책자를 책자(10B)와 하고, 위쪽의 책자를 책자(10C)로 한다.
책자(10B)는 고무 롤러(314, 315, 316, 317)로 반송되어, 도 32에 나타내듯이, 센서(305)의 위치에 도달한다. 센서(305)는 책자(10B)를 검지해, 반송 위치 검출수단(13), 회전 제어수단(12)의 제어에 의해, 클러치 롤러(325)의 전자석 클러치가 OFF가 된다(도 34의 타이밍 차트의 t3 참조).
클러치 롤러(325)의 전자석 클러치가 OFF로 되는 것에 의해, 벨트(220)는 정지하고, 고무 롤러(314, 315, 316)의 구동력이 없어져, 책자(10C)는 반송되지 않게 된다.
책자(10B)는 고무 롤러(317)와 누름 롤러(309)에 의해 뽑혀진다. 고무 롤러(314, 315, 316)에는 원웨이 클러치(412)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 책자(10B)와 접한 것만이 종동회전한다. 이와 같이, 고무 롤러의 동반회전이 없기 때문에, 책자(10C)는 반송되지 않는다.
그리고, 책자(10B)는 고무 롤러(317)에 반송되어, 도 33에 나타내는 것처럼, 하류의 넘김부(103)쪽에 배출된다.
이와 같이, 2개의 리타드 수단(306, 307)을 사용하는 것으로, 책자(10)에 강한 박리력을 걸어 책자(10)를 상처 입히는 일이 없다. 또한, 각 책자(10)의 두께에 대응해서 하나하나 설정을 조정하지 않아도, 임의의 두께의 책자(10)를 1권씩 넘김부(103)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고무 롤러(310, 311, 312, 313, 314, 315, 316)의 회전제어를 행하는 것에 의해, 확실하게 1권씩 분리 피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센서(305)가 OFF로 되었을 때, 센서(304)가 ON, 즉 책자(10)를 검지하고 있는 때에는, 반송로 상에 박리된 책자(10)가 잔재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문에, 클러치 롤러(325)의 전자석 클러치가 ON으로 되어, 고무 롤러(314, 315, 316)를 구동시켜, 잔존하는 책자(10)를 롤러(317)측으로 보낸다(도 34의 타이밍 차트의 t4 참조).
책자(10)가 롤러(317)를 빠져 센서(305)에 의해 검지되면, 다시 클러치 롤러(325)의 전자석 클러치가 OFF로 된다(도 34의 타이밍 차트의 t5 참조).
모든 센서의 검지가 OFF로 되어, 넘김부(103)로의 책자(10)의 반송이 가능하게 되면, 다시 전체의 클러치 롤러(323, 324, 325)의 전자석 클러치가 ON이 되어, 책자(10)의 반송이 재개된다(도 34의 타이밍 차트의 t6 참조).
(로더 컨베이어부)
다음으로, 로더 컨베이어부(101)에 관하여 설명한다. 로더 컨베이어부(101)는, 다량의 책자(10)를 처리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로더 컨베이어부(101)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1에 나타내듯이, 로더 컨베이어부(101)를 피더부(102)의 상류측에 배치해, 처리해야 할 다량의 책자(10)를 해당 로더 컨베이어부(101)에 겹쳐 쌓아둔다.
피더 책자 검지수단(16)은, 책자 유무센서(109)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피더부(102)에 책자(10)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검지한다.
책자 공급 제어수단(17)은, 피더 책자 검지수단(16)에 의해 피더부(102)에 책자(10)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에, 로더 컨베이어부(101)를 구동시키는 신호를 보내, 로더 컨베이어부(101)에 겹쳐 쌓인 책자를 피더부(102)의 급지부(302)에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로더 컨베이어부(101)를 사용하는 것으로, 처리해야 할 다량의 책자(10)를 해당 로더 컨베이어부(101)에 겹쳐 쌓아두는 것만으로, 모든 것을 자동으로 책자(10)의 모든 페이지의 영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 때문에, 효율적이다.
이상 설명했듯이,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1)에 따르면, 겹쳐 쌓인 두께가 다른 복수의 책자(10)의 각 페이지를 연속적으로 영상 데이터로서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작업에 걸리는 수고와 시간을 대폭으로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 형태에는, 복수의 책자(10)를 처리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복수의 책자(10) 중에 1장의 종이가 혼재하고 있는 경우에도,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1)로 연속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에 있어서 각부의 응용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37에 나타내는 형태는, 피더부(102)에 있어서 반송로에, 부풀림 검지센서(330)을 형성하는 것과 함께, 센서(305)를 높이 검지 센서로 한 경우의 예이다. 부풀림 검지센서(330)은, 누름 롤러(308)와 제2의 리타드 수단(307)과의 사이에 형성된 센서이다. 부풀림 검지센서(330)는, 예를 들어 광센서로 하면 좋고, 발광부와 수광부의 사이에, 발광부로부터 조사된 빛을 가로막는 것이 있는 경우에, 그것을 부풀림으로 검지한다.
이와 같은 센서를 형성하는 것에 따르면, 도 37과 같이, 철부가 반송로의 상류측에 배치된, 이른바 반대 끼움 상태의 책자(10)를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반대 끼움의 책자(10)가 반송되어온 경우, 제2의 리타드 수단(307)에 의해 책자 표면에 브레이크 힘(마찰력)이 부여되면, 책자(10)의 표지에 닿는 페이지가 휘어, 넘겨 올려진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부풀림 감지센서(330)에 있어서 발광부와 수광부의 사이를 가로막는 것이 되어, 부풀림의(반대 끼움) 검지가 이루어진다.
높이 검지센서는 상술한 것처럼, 누름 롤러(309)의 하류측에 배치된, 책자(10)의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305)와 공통으로 좋다. 여기서, 책자(10)의 유무를 검지하기 위한 센서로서는, 단순한 ON·OFF검지를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것이면 좋다. 한편, 책자(10)의 높이를 검지하는 기능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거리 측정이 가능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센서(305)로서는, 레이저 거리 측정 센서를 채용하면 좋다.
또한, 급지부(302)와 제1의 리타드 수단(306)과의 사이에는 도 43에 나타내듯이, 가이드(312a)를 형성하도록 하면 좋다. 이와 같은 가이드(312a)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급지부(302)로부터 보내진 책자(10)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 혹은 책자(10)의 중첩수가 많은 경우, 책자(10)가 가이드(312a)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가이드(312a)의 끝단이 위쪽 방향으로 들려지는 것이 된다. 가이드(312a)의 끝단은, 그 일부가, 제1의 리타드 수단(306)의 아래 쪽에 배치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이드(312a)의 끝단이 들려지면, 제1의 리타드 수단(306)도 들려져, 책자(10)가 제1의 리타드 수단(306)의 측면에 충돌해, 제1의 리타드 수단(306)의 들어올림을 방해해 버리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넘김부(103)에 관한 응용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는, 촬상시에 있어서 제1 반송벨트(201)와 제2 반송벨트(202)의 상승은, 단순히 책자(10)를 유리판(208)에 꽉 누르는 것의 취지로 기재했다. 그렇지만, 상세에는, 제1 반송벨트(201)와 제2 반송벨트(202)의 오르내림은, 그립부(203)에 의해 그립된 책자(10)의 두께를 고려해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38에 나타내듯이, 반송로(F)로부터 유리판(208)까지의 거리를 A, 반송로(F)로부터 에어 흡착 패드(206)까지의 거리를 B, 센서(305)에 의해 검출된 책자(10)가 두께를 a로 한 경우, 제1 반송 벨트(201)의 1회째의 상승거리 α는, 책자(10)의 두께를 고려하여, A-a가 된다. 한편, 제2 반송 벨트(202)의 1회째의 상승거리 β는, 책자(10)의 두께를 고려하지 않으므로, A가 된다.
또한, 제1 의 반송 벨트(201)는 도 39에 나타내듯이, 페이지를 넘길 때, 책자(10)를 에어 흡착 패트(206)에 꽉 누르듯이 상승시킨다. 이 때의 제1 반송 벨트(201)의 상승거리를 b로 한 경우, 2회째 이후의 제1 반송 벨트(201)의 상승거리 α'는, A-(B-b) 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2회째 이후의 제1 반송 벨트(202)의 상승거리 β'는, α'+[a-(B-b)]가 된다.
이와 같은 제어를 행하는 것에 의해, 두께가 두꺼운 책자(10)라도, 유리판(208)으로의 누름을 안정시켜 행하는 것이 가능해, 촬상된 영상을 선명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에어 흡착 패드(206)의 근방에는, 에어 흡착 패드(206)로의 근방을 검지하는 근방 검지센서(214a)를 형성하여, 상승거리 b는, 이 근접 검지센서(214a)에 의한 검지신호의 출력 위치까지의 거리로 한다. 또한, 계산상, 상기와 같은 거리 제어에는, 상승거리에 1페이지분의 오차가 생기는 것이 되지만, 페이지 간의 공기층에 의한 두께의 변화 등을 고려한 경우, 그 오차를 고려할 필요성이 거의 없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는 페이지를 넘길 때, 에어 흡착 패드(206)에 의한 전후, 좌우 흔드는 동작과, 에어 블로어 노즐(207)로부터의 공기의 분출에 의해, 페이지의 복수 넘김을 방지하는 취지로 기재했다. 그러나, 페이지의 복수 넘김 방지를 확실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복수 넘김 방지센서(230)을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도 40 참조).
복수 넘김 방지센서(230)는, 에어 흡착 패드(206)에 의해 흡착된 페이지의 두께나 매수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넘기려고 하는 페이지가 1페이지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더욱이, 판정에 의해 페이지가 복수인 경우에는, 에어 흡착 패드(206)에 의해 흡착을 다시 행하게 한다.
복수 넘김 방지센서(230)로서는, 초음파 센서나, 투과형 센서 등의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이들의 센서를 복수조합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투과형 센서를 하나로 사용한 경우, 책(10)의 형태가, 봉철형의 페이지를 채용한 것일 경우에는, 페이지의 열림 상태에 의해, 1페이지인지 아닌지 판명불가로 되어버린다. 한편, 초음파센서를 사용한 경우에는, 페이지의 열림 상태의 여하에 상관없이, 그것이 2장이라면, 1페이지라고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책자의 페이지가 봉철형이라고 설정한 경우). 이 때문에, 복수의 센서를 조합해 검지를 행하도록 하는 것으로, 복수 넘김의 방지를 확실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책자(10)의 페이지 사이에, 종이 길이가 다른 삽입물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41에 나타내듯이, 그 삽입물 페이지(10a)만이 일어서는 일이 있다. 그 때문에, 넘김부(103A)에는, 삽입물 페이지(10a)의 일어섬을 검지하는 삽입 검지센서(231)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삽입 검지센서(231)는, 부풀림 방지센서(330)과 같은 형태로,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한 광센서 등이라면 좋다.
또한, 지지부재(214)의 진행 방향에는, 페이지 넘김의 실패 등이 생긴 때에, 이것을 검지하는 센서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도 42 참조). 구체적으로는, 넘겨진 페이지(10b)가, 페이지 넘김의 실패에 의한 지지부재(214)의 진행 방향 쪽에 덮이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지지부재(214)의 진행 방향에 센서(232)를 형성하도록 하면 좋다. 센서(232)로서는, 근접 센서 등이라면 좋다. 이와 같은 센서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동일 페이지의 중복 촬상이나, 페이지 접힘 등이 발생하는 위험성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1………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 101………로더 컨베이어부, 102………피더부, 103, 103A………넘김부, 104………불량품 스택부, 105………양품 스택 컨베이어부, 106………촬상 카메라, 107………LED조명, 108………제어부, 109………책자 유무센서, 11………영상 데이터 취득수단, 12………회전 제어수단, 13………반송 위치 검출수단, 14………이상 검지수단, 15………이상 처리수단, 16………피더 책자 검지수단, 17………, 201………제1 반송 벨트부, 202………제2 반송 벨트부, 203………그립부, 204………제1 넘김 로드, 205………제2 넘김 로드, 206………에어 흡착 패드, 207………에어 블로어 노즐, 208………유리판, 209………슬라이드 가이드, 210………센서, 211………센서, 212………그립 후크, 213………그립 후크 회전축, 214………지지부재, 215………회전축, 216………지지로드, 217………지지부재, 218………책자 밀어올림 로드, 302………급지부, 303, 304, 305………센서, 306………제1의 리타드 수단, 307………제2의 리타드 수단, 308, 309………누름 롤러,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고무 롤러, 318, 319, 320, 321, 322………벨트, 323, 324, 325………클러치, 326………구동모터, 327………흡인 팬, 328………커버, 329………롤러.

Claims (19)

  1. 겹친 복수 장의 페이지의 한 끝단이 철해진 책자의 각 페이지를 판독하는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로서,
    겹쳐 쌓인 복수의 책자를 하부로부터 1권씩 반송하는 피더부와,
    상기 피더부로부터 반송된 책자의 철해진 한 끝단을 끼워 넣어 고정하는 그립부와,
    상기 책자를 상기 그립부에 고정한 상태로, 상기 책자의 페이지를 1페이지씩 넘기는 페이지 넘김 수단과,
    상기 넘김 수단에 의한 넘김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책자의 각 페이지의 영상 데이터를 얻는 영상 데이터 취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피더부는,
    겹쳐 쌓인 복수의 책자의 하부로부터 중첩되어 끌어 낸 책자를 분리하는 리타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리타드 수단은 적어도 2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리타드 수단끼리의 거리는 상기 책자의 길이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는, 상기 책자를 재치 및 반송 가능한 제1 반송 벨트부와 제2 반송 벨트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그립부와 상기 제1 반송 벨트부와 상기 제2 반송 벨트부는, 독립하여 동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와 상기 제1 반송 벨트부와 상기 제2 반송 벨트부에 마주보는 위치에 투명한 평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영상 데이터 취득수단은, 상기 그립부와 상기 제1 반송 벨트부와 상기 제2 반송 벨트부와, 상기 평판이 상대적으로 근접해서, 상기 책자가 상기 평판에 눌려진 상태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부는,
    상기 복수의 책자를 겹쳐 쌓아놓는 급지부와,
    상기 급지부에 겹쳐 쌓인 복수의 책자의 하부로부터 책자를 끌어 내서 반송하는 반송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타드 수단은, 토크 리미터를 내장한 고무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수단은 복수의 고무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고무 롤러의 회전을 복수의 전자석 클러치를 사용하여 제어하는 회전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책자의 반송 위치를 검출하는 반송 위치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 제어수단은, 상기 반송 위치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책자의 반송 위치를 기초해서, 상기 복수의 전자석 클러치를 ON-OFF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수단은, 접한 책자에 종동회전하는 원웨이 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공기를 흡인해서, 반송 중의 책자를 상기 반송수단 쪽에 끌어 당기는 에어 흡인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영상 데이터의 이상을 검지하는 이상 검지수단과,
    상기 이상 검지수단에 의해 영상 데이터의 이상이 검지된 경우에, 상기 영상 데이터를 얻는 기초가 되었던 책자를 불량품 스택부에 배출하는 이상처리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책자를 겹쳐 쌓아 두는 로더 컨베이어부와,
    상기 피더부에 책자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검지하는 피더 책자 검지수단과,
    상기 피더 책자 검지수단에 의해 상기 피더부에 책자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로더 컨베이어부를 동작시켜서, 상기 겹쳐 쌓인 책자를 상기 피더부에 이동시키는 책자 공급 제어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
  13. 책자의 철해진 한 끝단이 삽입된 후, 삽입된 책자에 소정의 끼워 넣기 압력을 부여한 상태를 유지하는 그립부와,
    상기 책자를 상기 그립부에 배치한 상태로, 상기 책자의 페이지를 1페이지씩 넘기는 페이지 넘김 수단과,
    상기 넘김 수단에 따른 넘김 동작에 대응해서, 상기 책자의 각 페이지의 영상 데이터를 얻는 영상 데이터 취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책자의 상기 한 끝단을 상기 책자를 평면 배치한 상태로 끼워 넣고, 상기 책자의 다른 끝단을 상기 영상 데이터 취득수단 쪽에 향하도록 회전하는 그립 후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는, 상기 책자를 재치 및 반송 가능한 제1 반송 벨트부와 제2 반송 벨트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그립부와 상기 제1 반송 벨트부와 상기 제2 반송 벨트부는, 독립하여 동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와 상기 제1 반송 벨트부와 상기 제2 반송 벨트부에 마주보는 위치에 투명한 평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영상 데이터 취득수단은, 상기 그립부와 상기 제1 반송 벨트부와 상기 제2 반송 벨트부와, 상기 평판이 상대적으로 근접해서, 상기 책자가 상기 평판에 눌려져 있는 상태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
  17. 복수의 책자를 겹쳐 쌓아 놓는 급지부와,
    상기 급지부에 겹쳐 쌓인 복수의 책자를 겹쳐 쌓인 것의 아래쪽으로부터 끌어내서 반송하는 반송수단을 갖는 반송로와,
    상기 책자를 끌어낼 때에 중첩해서 끌어내진 책자의 윗면을 누르는 것으로, 중첩 책자의 분리를 도모하는 리타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리타드 수단은, 상기 반송로 상에, 적어도 2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반송로에는, 상기 복수의 리타드 수단의 사이에, 반송하는 책자의 두께 이상의 높이에 생기는 장해물을 검지하는 부풀림 검지 센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의 상류측에 형성된 리타드 수단으로부터 하류측에 형성된 리타드 수단에 걸쳐서, 분리를 위한 누르는 힘을 단계적으로 강하게 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더 장치.
  19. 삭제
KR1020147010337A 2011-10-12 2012-05-22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 및 피더 장치 KR1016546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25119 2011-10-12
JPJP-P-2011-225119 2011-10-12
PCT/JP2012/063101 WO2013054566A1 (ja) 2011-10-12 2012-05-22 ページめくり読取装置およびフィー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844A KR20140063844A (ko) 2014-05-27
KR101654642B1 true KR101654642B1 (ko) 2016-09-07

Family

ID=48081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0337A KR101654642B1 (ko) 2011-10-12 2012-05-22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 및 피더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77827B2 (ko)
EP (1) EP2768212B1 (ko)
JP (1) JP6045115B2 (ko)
KR (1) KR101654642B1 (ko)
CN (1) CN103975574B (ko)
WO (1) WO20130545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54592B (zh) * 2013-06-28 2016-08-24 广东工业大学 自动翻书页扫描仪
CN103818747B (zh) * 2014-02-17 2016-06-08 河北天昱恒科技有限公司 自动上纸机
US9266376B1 (en) * 2014-04-19 2016-02-23 Kenneth Jack Mah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page turning for book imaging
CN105644185A (zh) * 2015-04-03 2016-06-08 青岛惠运办公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外置翻页机构及翻页机构运动方法
WO2016169984A1 (en) * 2015-04-24 2016-10-27 Oce-Technologies B.V. Method for establishing a position of a media object on a flatbed surface of a printer
CN104960713A (zh) * 2015-07-03 2015-10-07 南京能益节能科技有限公司 自动铺纸方法
CN105000213A (zh) * 2015-07-03 2015-10-28 南京能益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板坯双面铺纸方法
CN104960715A (zh) * 2015-07-03 2015-10-07 南京能益节能科技有限公司 双面铺纸方法
CN105000212A (zh) * 2015-07-03 2015-10-28 南京能益节能科技有限公司 板坯铺纸方法
CN105015833A (zh) * 2015-07-03 2015-11-04 南京能益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板坯铺纸方法
CN105217341B (zh) * 2015-10-21 2017-05-10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一种存折发行机构
CN106739624B (zh) * 2016-11-21 2018-06-29 深圳神盾卫民警用设备有限公司 自动翻页拍照核验机
JP6879466B2 (ja) * 2017-09-28 2021-06-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CN107628436B (zh) * 2017-10-24 2019-10-01 东莞市大升智能科技有限公司 自动翻页机构
CN110324510A (zh) * 2019-07-16 2019-10-11 北京千寻未来科技有限公司 翻页装置、方法和扫描装置
CN111223342B (zh) * 2020-01-16 2022-05-27 商丘师范学院 一种小学教育用多功能教育设备
CN111653184B (zh) * 2020-07-10 2022-05-10 宿迁市规划测绘院有限公司 一种拥有多功能放置台的3d地图批量喷绘控制系统
TWI781752B (zh) * 2021-09-07 2022-10-21 黃麗華 送紙裝置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0949A (ja) 1985-12-16 1987-06-24 Nippon Seimitsu Kogyo Kk シ−ト搬送装置
JP2744018B2 (ja) * 1988-07-12 1998-04-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
US4972717A (en) 1989-09-18 1990-11-2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ressure transducer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H03128852A (ja) 1989-10-13 1991-05-31 Minolta Camer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3113338U (ko) * 1990-03-03 1991-11-19
JPH0485238A (ja) * 1990-07-25 1992-03-18 G B One:Kk 印刷不良品の振分装置
JPH04319494A (ja) 1991-04-18 1992-11-10 Nec Corp ページ捲り装置
US5390033A (en) * 1991-07-19 1995-02-14 Ricoh Compan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urning over pages of book-original
JPH05338849A (ja) 1992-06-12 1993-12-21 Sharp Corp 原稿給送装置
JP3293939B2 (ja) * 1993-04-05 2002-06-17 株式会社リコー 本原稿の頁めくり装置
JP3214965B2 (ja) 1993-11-05 2001-10-02 株式会社リコー ブック原稿の画像読取及び頁めくり装置
JP2901222B2 (ja) 1993-12-24 1999-06-07 株式会社ピーエフユー 画像読取装置
JPH08245001A (ja) * 1995-03-14 1996-09-24 Konohana:Kk 冊子類の分離搬送装置
JPH10114175A (ja) 1996-08-21 1998-05-06 Hikari Ishii 健康情報携帯システム
JP3511615B2 (ja) * 1996-10-14 2004-03-29 凸版印刷株式会社 冊子の頁捲り方法及びその装置
JPH11242364A (ja) 1998-02-26 1999-09-07 Daichu Denshi:Kk ページめくり装置およびページめくり方法並びにページめくり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が読取可能な記憶媒体
JP4172056B2 (ja) * 1998-04-24 2008-10-29 凸版印刷株式会社 冊子の頁捲り方法及び頁捲り装置
KR100324472B1 (ko) * 1999-06-18 2002-02-27 오희범 제본문서 용지 자동넘김장치
JP3758127B2 (ja) 1999-09-02 2006-03-22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冊子類取扱装置
CN1312622C (zh) * 2001-02-06 2007-04-25 虹光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可连续读取图像的图像读取装置
US6611362B2 (en) * 2001-09-28 2003-08-26 Xerox Corporation Automatic book page turner for imaging
US6574014B2 (en) * 2001-09-28 2003-06-03 Xerox Corporation Automatic book page turner for imaging
US6762356B2 (en) * 2002-07-26 2004-07-13 Pitney Bowes Inc. System for turning pages of a material
CA2496753A1 (en) * 2002-09-10 2004-03-25 Kirtas Technologies, Inc. Automated page turning apparatus to assist in viewing pages of a document
JP2004146930A (ja) * 2002-10-22 2004-05-20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US6935058B2 (en) * 2003-12-09 2005-08-30 Pageflip, Inc. Automatic page turner with belt drive element
US8231286B2 (en) * 2005-05-18 2012-07-31 Revoprint Ltd. System for printing a book on pre-bound pages
US8388245B2 (en) * 2005-05-18 2013-03-05 Revoprint Ltd. Incorporated printer with separate-sheet printing and book printing capabilities
JP2007076844A (ja) 2005-09-15 2007-03-29 Toshiba Corp 紙葉類取り出し装置
JP4416785B2 (ja) * 2006-12-27 2010-02-17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通帳の頁めくりをする装置、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5454866B2 (ja) 2008-04-25 2014-03-26 株式会社東芝 冊子の頁捲り装置
JP4394741B1 (ja) 2009-03-09 2010-01-06 江澤事務器株式会社 シート冊子類送給装置及び発送書類区分けシステム
JP2010228351A (ja) 2009-03-27 2010-10-14 Brother Ind Ltd 冊子ページめくり装置及びページめくり機構付冊子読取装置
JP5185179B2 (ja) * 2009-03-31 2013-04-17 株式会社東芝 頁捲り装置
JP5454874B2 (ja) * 2009-06-24 2014-03-26 株式会社東芝 冊子の頁捲り装置
JP5433359B2 (ja) * 2009-09-17 2014-03-05 株式会社東芝 冊子の頁捲り装置
US8796526B2 (en) * 2010-03-26 2014-08-05 Kabushiki Kaisha Toshiba Booklet handling apparatus and booklet handling method
KR101337116B1 (ko) * 2010-09-08 2013-12-05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책자의 페이지 넘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75574A (zh) 2014-08-06
US9077827B2 (en) 2015-07-07
JPWO2013054566A1 (ja) 2015-03-30
EP2768212B1 (en) 2017-07-12
CN103975574B (zh) 2016-08-10
EP2768212A1 (en) 2014-08-20
EP2768212A4 (en) 2015-09-30
WO2013054566A1 (ja) 2013-04-18
JP6045115B2 (ja) 2016-12-14
US20140268257A1 (en) 2014-09-18
KR20140063844A (ko) 201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4642B1 (ko) 페이지 넘김 판독 장치 및 피더 장치
JP5321146B2 (ja) 原稿送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735988B2 (ja) 自動原稿搬送装置及び原稿読取装置
US8408544B2 (en) Sorting by controlling scanned document velocity
US11866280B2 (en) Document feeder
US6969065B2 (en) Sheet transfer apparatus and sheet supply apparatus
JP4459009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TWI516381B (zh) A page reading device and a feeding device
JP6492342B2 (ja) ページめくり読取装置に供される冊子綴じ用の台紙
JP2007326660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集積装置
JP3676135B2 (ja) 給紙装置及び方法、並びに、画像読取装置
US11511957B2 (en) Medium conveyance device
JP2006151632A (ja) 紙葉類集積装置
JP7292787B2 (ja) シート給送装置、シート給送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236113B2 (ja) 原稿搬送装置
JP2005170651A (ja) 給紙装置
JP4344509B2 (ja) シート給紙装置
JP5485747B2 (ja) 原稿搬送装置
JP2001187652A (ja) 画像処理装置におけるシート材の供給機構
JP2022107614A (ja) 画像読取装置
JP2003137458A (ja) 斜行補正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処理装置
JP2018008767A (ja) シート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9097057A (ja) 画像読取装置
JP2000296923A (ja) シート材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040267A (ja) 画像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