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6819B1 - 회전 놀이 기구 - Google Patents

회전 놀이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6819B1
KR101646819B1 KR1020127011970A KR20127011970A KR101646819B1 KR 101646819 B1 KR101646819 B1 KR 101646819B1 KR 1020127011970 A KR1020127011970 A KR 1020127011970A KR 20127011970 A KR20127011970 A KR 20127011970A KR 101646819 B1 KR101646819 B1 KR 101646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y
plate
rotating
rotatio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1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0126A (ko
Inventor
야스시 오치
Original Assignee
비엘디 오리엔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엘디 오리엔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비엘디 오리엔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20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0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00Roundabouts
    • A63G1/08Roundabouts power-driven
    • A63G1/10Roundabouts power-driven electrically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00Roundabouts
    • A63G1/24Roundabouts with seats performing movements in a horizontal plane, other than circular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00Roundabouts
    • A63G1/38Roundabouts with rocking turn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2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 A63G31/08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with looping, hopping, or throwing motions of the substructure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놀이 기구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회전 장치(100)로 회전 가능한 회전 놀이 기구(200)를 전제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회전 놀이 기구(200)의 회전 장치(100)는, 기체(110) 상에 배치된 구동 모터(110)와, 크랭크(112)와, 회전판(115)을 구비한다. 크랭크(112)는, 구동 모터(11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에 축지지된다. 회전판(115)은, 크랭크(112)에 고정되어, 크랭크(112)와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회전 장치(100)의 회전판(115)에 유희 부재(210)를 고정하여, 회전판(115)과 함께, 유희 부재(210)가 회전하며, 유희 부재(210)가 편심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 놀이 기구{ROTATING AMUS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놀이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의외라고 느끼는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 장치를 구비한 회전 놀이 기구이다.
현재 놀이 기구에는 여러 가지 움직임을 수반한 기능이 개발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슈퍼마켓이나 백화점 등에는 하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코인을 투입함으로써 요동이나 회전하며 타는 유기 장치(이하 놀이 기구라고 칭한다)가 설치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평07-098782호
상기 종래 기술에 기재된 놀이 기구는, 통상의 회전이나 요동 등과 같이 동작이 한정되어 있어, 놀이 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의외라고 느끼는 동작을 하는 탈 것은 아니다. 이러한 움직임을 시키기 위해서는, 통상 복잡한 제어를 필요로 하며, 제어반 등의 구축에 전문적인 지식이나 장인적인 감각을 요한다. 따라서, 놀이 기구의 변경이나 유지 보수를 위해서도 제어선의 접속을 전환하는 등의 처리가 필요해져, 막대한 노력을 필요로 한다. 또, 놀이 기구에는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유지 보수를 빈번하게 할 필요가 있으므로, 종래 기술과 같은 복잡한 제어를 필요로 하는 기구를 놀이 기구로 구비할 수는 없었다.
한편, 의외의 움직임을 하는 놀이 기구에 대한 수요는 많아, 간단한 구성으로 이러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며, 변경이나 유지 보수가 쉬운 기구를 구비한 놀이 기구가 요청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의외의 움직임을 행하는 놀이 기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전 장치로 회전 가능한 회전 놀이 기구를 전제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회전 놀이 기구의 회전 장치는, 기체(基體) 상에 배치된 구동 모터와, 크랭크와, 회전판을 구비한다.
크랭크는,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에 고정된다. 회전판은, 크랭크에 고정되어, 크랭크와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회전 장치의 회전판에 유희 부재를 고정하여, 회전판과 함께, 유희 부재가 회전하며, 유희 부재가 편심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이면,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크랭크를 통해 회전판이 고정됨으로써,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축이 회전하면, 회전판이 편심하여 회전하게(회전판의 중심에 대해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를 축으로 하여 회전한다) 된다. 그리고, 회전판은 크랭크가 고정된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자전하므로, 사용자가 예상치 못한 움직임을 하게 된다. 회전 장치에 고정되는 유희 부재는 어떠한 구성이어도 되며, 임의의 유희 부재를 편심하여 회전시킬 수 있고, 또한 복잡한 움직임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회전판이 경사져 있으면, 회전판의 하면으로부터 바닥까지의 거리가 상이해지므로, 바닥까지의 높이를 동일하게 하기 위한 조정 부재를 통해 상기 차륜을 회전판 하면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정 부재의 높이는 차륜이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결정되게 된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크랭크가, 회전판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지지체와, 당해 지지체를 회전축에 고정하는 고정구를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체가 수평면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회전축에 고정됨으로써, 회전판이, 수평면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고정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판이 수평면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회전축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경사진 상태로 편심 회전하게 된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유희 부재의 일부에 우레탄을 피복하고, 당해 우레탄 표면에 고무 수지를 도포함으로써, 우레탄 부재 및 고무 수지가 충격 흡수재로서 기능하여, 안전을 배려한 놀이 기구가 된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회전판에 차륜을 구비함으로써, 더욱 용이하게 상기 놀이 기구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회전 장치의 기체에, 대략 역U자형상의 프레임을 세워 설치하고, 당해 프레임에, 회전 장치의 회전판이 매달리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회전판을 더욱 용이하게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회전 장치의 기체와 회전판 사이에, 회전판의 자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 수단을 더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회전판은, 구동 모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편심 회전하면서, 자전하게 되므로, 회전 규제 장치로, 회전판의 자전 회전을 규제하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회전 놀이 기구를 설치하는 방이 충분히 넓지 않은 경우에는, 회전판의 자전을 제한한 구성의 회전 놀이 기구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상기 유희 부재는, 회전판의 위쪽에 고정 설치된 지지대와, 지지대에 매달려,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선회 이동하는 복수의 파지 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유희 부재가 회전판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며, 외부 공간과 구분된, 사용자가 유희하는 유희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과, 유희 영역을 적어도 2개의 계층형상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1 또는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바닥 부재로 구성한다. 그리고, 바닥 부재에는, 상하로 서로 이웃하는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연통부가 형성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회전판에 배치되는 요동 장치를 구비한 회전 놀이 기구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당해 요동 장치가, 하측 프레임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하측 회전축과, 요동 부재와, 하측 프레임을 구비한다. 상기 요동 부재는, 하측 회전축에 고정된다. 그리고, 요동 부재 내에는 상측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요동판이 당해 상측 회전축에 고정된다. 또한, 상측 프레임이 요동판에 고정되며, 상측 프레임이 모터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요동 부재가 하측 회전축에 고정됨으로써, 요동 부재가 당해 하측 회전축에 대해 요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요동판이, 상측 회전축에 고정됨으로써, 요동판이, 상측 회전축에 대해서도 요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요동판에 고정된 상측 프레임이, 장치의 전후 좌우 어느 방향에 대해서나 요동 가능한 요동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회전 놀이 기구에 의하면, 구동 모터에 크랭크를 부착하고, 크랭크의 한쪽 끝을 회전판에 부착함으로써, 회전판을 편심하여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회전판은, 크랭크가 고정되어 있는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자전하게 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복잡한 움직임을 회전 놀이 기구에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변경이나 유지 보수가 간단하며, 사용자가 예상치 못한 움직임을 하는 놀이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체와 회전판을 접속하는 규제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회전판의 자전을 규제할 수 있으므로, 놀이 기구를 설치하는 방에 따라, 놀이 기구의 움직임을 제어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회전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회전 장치를 구비한 회전 놀이 기구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회전 장치를 구비한 회전 놀이 기구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회전 장치를 구비한 회전 놀이 기구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회전 장치를 구비한 회전 놀이 기구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회전 장치를 구비한 회전 놀이 기구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회전 장치에 배치되는 유희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요동 장치의 기구 부분의 일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요동 장치를 구비한 회전 놀이 기구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회전 장치에 배치되는 영사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 형태 1)
이하에, 본 발명의 회전 놀이 기구(200)를 회전 가동하는 회전 장치(100)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회전 장치(100)의 개략 모식도이다. 단, 본 발명에 직접적으로는 관계되지 않는 각 부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놀이 기구(이하 회전 장치(100)에 부착되는 구조물을 유희 부재(210)라고 칭한다)에 본 발명의 회전 장치(100)를 배치함으로써, 소정의 회전축 둘레로 편심하여 회전하는 놀이 기구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 장치(100)는, 구동 수단인 구동 모터(111)와, 소정의 회전축과 당해 회전축에 대해 소정 거리 어긋난 축을 연결하는 자루로 이루어지는 축 이동 수단(예를 들면, 크랭크(112))을 구비한다.
우선, 기체(110) 상에(모터(111) 및, 후술의 탄성체가 배치 가능하면 형상은 임의이다) 구동 모터(111)를 배치한다. 구동 모터(111)의 회전축에는, 상기 축 이동 수단(크랭크(112))을 부착하고, 당해 구동 모터의 회전축을 소정의 범위 어긋나도록 구성한다. 즉, 크랭크(112)의 한쪽 끝은 구동 모터(111)의 회전축과 동일한 축 상에서 회전하고, 크랭크(112)의 다른 쪽 끝은, 당해 회전축에 대해 편심하여 회전하게 된다. 물론, 구동 모터(111)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도시 생략)가 회전 장치(100)에 설치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당해 스위치에 의해 구동 모터(111)의 회전 속도를 제어 가능해지도록 구성해도 상관없다.
또한, 구동 모터(111)의 과부하를 보호하는 도시 생략의 과부하 보호 수단(예를 들면, 토크 리미터)을 상기 구동 모터(111)의 회전축 또는, 상기 크랭크(112)에 부착해도 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동 모터(111)의 위쪽에는, 요트 등을 모방한 유희 부재(210)가 배치되므로, 본 발명의 회전 놀이 기구(200)에서의 유희를 원하는 사용자의 체중분의 하중이 당해 구동 모터(111)에 가해지게 된다. 소정 이상의 하중이 구동 모터(111)에 가해지면, 상기 과부하 보호 수단이, 당해 하중을 검지하여, 구동 모터(111)를 공회전시킨다. 그렇게 하면, 크랭크에 고정된 회전판(115)(후술한다)의 구동 모터(111)에 의한 자동 회전이 중지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의 유희 부재의 회전 이동(수동 회전)이 가능해진다.
상기와 같이, 구동 모터(111)의 회전축에는, 상기 크랭크(112)의 한쪽 끝이 부착된다. 한편, 크랭크(112)의 다른 쪽 끝에는, 회전판(115)이 부착된다. 상기 회전판(115)의 형상은, 유희 부재(210)를 부착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되고, 직사각형형상, 다각형상, 원형상 등 다양한 종류의 형상의 회전판(115)을 부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도 1(B) 참조), 회전 장치(100)에 부착하는 유희 부재(210)의 기체(후술한다)와 상사형상의 회전판(115)을 채용할 수도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115) 위쪽에는 유희 부재(210)의 기체가 되는 유희부 기체(211)가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볼트(221) 및 너트(222)에 의해 고정된다. 유희부 기체(211)가 크랭크(112)를 통해 회전판(115)에 고정됨으로써, 크랭크(112)가 모터(111)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 그에 따라 유희부 기체(211)도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판(115) 아래쪽에는, 차륜(130)이 장착된다. 상기 차륜(130)은, 회전 장치(100)를 상면에서 보았을 때 서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판(115) 전후에 각 1개씩 및, 양측면에 2개씩 합계 6개 장착한다. 또한, 상기 차륜(13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수단(131)을 더 구비해도 상관없다.
상기 구동 모터(111)가 작동하면 구동 모터(111)의 회전축에 부착된 크랭크(112)를 통해 상기 회전판(115)이 편심하여 회전한다(회전축이 어긋난 상태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상기 회전판(115)은, 상기 구동 모터(111)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회전판(115)이 자전하게 된다. 이 회전판(115)이 자전하는 속도는 일정하지 않으며, 회전판(115)의 자전 속도가 예상외가 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당해 회전판(115)에 유희 부재(210)를 고정하면, 유희 부재(210)가 사용자에 있어서 예상외의 움직임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회전 놀이 기구(200)에는, 소정의 충격 흡수재가 피복된다. 이 충격 흡수재는, 회전 놀이 기구(200)의 외측 프레임에 우레탄 등의 발포체를 피복한다. 예를 들면, 중급 원통의 충격 흡수재의 한쪽 측면을 절단하여 봉형상의 표면에 피복 가능하게 형성한다. 그리고, 충격 흡수재를 회전 놀이 기구(200)의 일부(놀이 기구 전부여도 되고, 지주 등 사용자가 접촉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분이어도 된다)에 피복한 후, 당해 충격 흡수재의 표면에, 고무 수지를 도포함으로써, 충격 흡수재의 표면을 발수 가공한다. 물론, 고무 수지를 도포할 때에, 상기 충격 흡수재의 측면(절단된 부분)도 닫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충격 흡수재는, 우레탄 이외의 조성물이어도 되며, 폴리에틸렌 등의 발포체 등의 충격 흡수재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상기 회전판(115)의 자전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 수단(140)을 설치할 수도 있다. 당해 규제 수단(140)은, 구동 모터(111)가 배치된 기체(110)와, 회전판(115)을 연결하는 탄성체(고무나 스프링 등이 적합하게 이용된다)이다. 규제 수단(140)은, 회전판(115)의 자전을 규제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면, 그 배치 방법은 임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체(110)의 단부 부근으로부터, 회전판(115)의 하면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규제 수단(140)을 배치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그 외, 상기 기체(110)의 단부 부근으로부터, 직각 방향 위치의 회전판(115) 하면에 상기 규제 수단(140)을 배치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상기 규제 수단(140)의 형상도 회전판(121)의 자전을 규제할 수 있으면 임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띠형상 또는, 봉형상의 고무를 한 쌍 형성하고, 당해 한 쌍의 고무를 상기와 같은 위치에 배치하는 구성을 채용하였다. 고무 등으로 규제 수단(140)을 구성함으로써, 회전판(115)의 자전이 규제되므로, 요동하면서, 상기 구동 모터(111)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규제 수단(140)의 그 외의 형상으로서, 상기 고무를 원통형상 또는, 원뿔대형상으로 형성하며, 상기 원통형상 또는, 원뿔대형상의 고무의 한쪽 끝을 상기 기체(110)에 접속하고, 고무의 다른 쪽 끝을 상기 회전판(121)에 접속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한 회전 장치(100)의 회전판(115)과, 요트 등을 모방한 유희 부재(210)의 저판(유희부 기체(211)에 상당한다)이 고정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지의 볼트(221)와 너트(222)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판(115)과, 유희 부재(210)의 기체(211)를 고정하였다. 또한, 지주(212)를 구비하는 타입의 유희 부재(210)(예를 들면, 도 2의 요트나 윈드서핑을 모방한 유희 부재(210))의 경우, 상기 지주(212) 하부에 리브(225)를 설치하여, 당해 지주(212)를 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회전 장치(100)에 고정되는 유희 부재(210)는, 어떠한 형상이어도 되며, 요트나 서핑 외에, 정글짐, 트리(나무를 모방한 놀이 기구로서, 당해 나무에 오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등의 모든 유희 부재(210)를 상기 회전 장치(100)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1에서는, 크랭크(112)의 한쪽 끝(다른 쪽 끝은 구동 모터(111)의 회전축에 부착된다)에 회전판(115)을 수평으로 부착하는 구성을 채용하였다. 이에 반해, 크랭크(112)의 상기 한쪽 끝에, 회전판(115)을 경사시킨 상태로 부착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우선,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판을 수평으로 올려놓을 수 있는 지지체(112a)를 형성한다. 지지체(112a)의 상부 또는, 측면에서 회전판(115)을 수평으로 지지 가능하면 그 형상은 임의이며, 예를 들면, 원기둥, 사각기둥, 삼각기둥 등의 지지체(112a)가 형성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기둥형상의 지지체(112a)를 형성하고, 원기둥의 상면에서 회전판(115)을 수평으로 올려놓을 수 있다.
상기 지지체(112a)의 회전판(115)을 올려놓는 부분이 수평면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당해 지지체(112a)를 구동 모터(111)의 회전축에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체(112a)를 경사 상태로 회전축에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고정구(112b)를 상기 지지체(112a)의 측면에 부착하고, 당해 고정구(112b)를 통해, 상기 지지체(112a)를 구동 모터(111)의 회전축에 고정하였다.
상기 지지체(112a) 및 고정구(112b)가 실시 형태 1의 크랭크(112)에 상당한다. 또한, 지지체(112a)의 측면에서 회전판(115)을 지지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체(112a)의 측면이 수평면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당해 지지체(112a)를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하게 된다. 또한, 회전판(115) 아래쪽에는,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차륜(130)이 장착되는 구성을 채용해도 상관없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판(115)이 수평면에 대해 경사져 있으므로, 회전판(115) 아래쪽으로부터 바닥까지의 높이가 회전판(115)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경우가 있다. 그래서, 실시 형태 1의 높이 조절 수단(131)을 통해 회전판(115)에 차륜(130)을 부착함으로써, 회전판(115) 하면으로부터 차륜(130)까지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도, 회전판(115)의 자전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140)을 설치해도 된다.
또한, 회전 놀이 기구(200)의 외측 프레임에는, 충격 흡수재가 피복되고, 당해 충격 흡수재의 표면에, 고무 수지가 도포됨으로써, 표면을 발수 가공한 충격 흡수재에 의해, 외측 프레임을 피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실시 형태 1에서는, 회전판(115)에 유희 부재(120)의 유희부 기체(211)(저판)를 고정하는 구성을 채용하였다. 이에 반해, 회전판(115)을 위쪽에 매다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속적 일체적으로 형성된 역「U」자형상의 프레임(230)을 형성한다. 물론, 복수의 프레임을 조합하여 상기 프레임(230)을 형성해도 상관없다.
다음에, 기체(110)(모터가 배치되는 기체(110)를 의미한다)의 전방 후방을 연신하여, 당해 기체(110)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프레임(230)을 연직으로 세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30) 상부의 대칭이 되는 위치에 와이어 등의 매달기 부재(235)의 한쪽 끝을 접속하고, 다른 쪽 끝을 연직 아래쪽의 회전판(115)에 접속한다. 즉, 상기 회전판(115)은, 기체(110)와 상기 구동 모터(111) 및, 크랭크(112)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위쪽에 상기 매달기 부재(235)로 매달린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매달기 부재(235)는 이하와 같이 회전판(115)을 매달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230)을 한 쌍 형성하고,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교차하도록 상기 기체(110)의 단부로부터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을 세워 설치한다.
그리고, 프레임(230)의 위쪽에 링(240)을 배치하고, 당해 링(240)의 원주를 따르도록, 또한 서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 상기 매달기 부재(235)를 접속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매달기 부재(235)의 다른 쪽 끝은, 회전판(115)에 접속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기 회전판(115) 아래쪽에는,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구동 모터(111)가 배치된다. 그리고, 당해 구동 모터(111)의 회전축에는 크랭크(112)가 부착되며, 크랭크(112)의 다른 쪽 끝에 상기 회전판(115)이 고정되게 된다. 또한, 기체(110)와, 회전판(121)은, 실시 형태 1의 규제 수단(140)으로 접속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륜을 구비할 필요는 없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구동 모터(111)의 작동에 의해, 당해 구동 모터(111)의 회전축이 회전하면, 크랭크(112)의 축 중, 구동 모터(111) 회전축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쪽의 축이 편심하여 회전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매달기 부재(235)인 와이어 등을 요동시키면, 와이어에 접속된 회전판(115)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회전 놀이 기구(200)의 외측 프레임에는, 충격 흡수재가 피복되고, 당해 충격 흡수재의 표면에, 고무 수지가 도포됨으로써, 표면을 발수 가공한 충격 흡수재에 의해, 외측 프레임을 피복할 수 있다.
도 5에는, 유희 부재(210)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었다. 당해 유희 부재(210)는, 유희 기체(210) 상에 세워 설치한 지주(212)(지지대에 상당한다)와, 당해 지주(212)의 상단으로부터 지지 아암(520)을 통해 매달리는 파지 부재(522)(사용자가 잡는 것이 가능한 형상을 구비한 부재이다)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주(212)는, 중공의 파이프를 이용하여 형성하며, 지주(212)의 중공 부분에 구비한 모터(회전 장치(100)에 구비한 구동 모터(111)와는 다른 모터이다)가 회전하면, 지주(212) 자체가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 아암(520)을 복수 형성하고, 각각의 일단을 지주(212)의 상면에 접속한다. 각각의 지지 아암(520)은, 지주(212)의 중심축으로부터 방사형상 또한 원주 방향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각 지지 아암(520)의 상기 일단 근방은, 고정 부재(523)로 묶을 수 있다.
상기 지지 아암(520)에 연결되는 파지 부재(522)는, 지주(212)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파지 부재(522)는, 상기 지주(212)가 회전하면(지주(212) 내부의 모터의 작동에 의한 회전을 의미하고 있다), 선회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파지 부재(522)는, 예를 들면, 구형상이나 환형상,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파지 부재(522)의 외주면, 파지 부재(522)의 환형상 내주면 등에 사용자가 붙잡아 매달리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주(212)의 주위에는 에어쿠션(530)이 배치된다. 사용자가 잘못해서 파지 부재(522)로부터 낙하하는 경우가 있어도, 당해 에어쿠션(530)에 의해 사용자의 충격을 완화하여, 다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에어쿠션(530)은, 가요성을 갖는 시트 부재로 이루어지며, 블로어 등에 의해 공기가 충전되어 부풀어 오르면, 중앙부에 반구형상을 한 부분이 형성되고, 그 주위에 크기가 상이한 3개의 환형상을 한 부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환형상 부분이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당해 유희 부재(210)의 유희 기체(211)가, 회전 장치(100)의 회전판(115)의 상면에 배치된다.
도 6에, 그 외의 유희 부재(210)를 나타낸다. 이 놀이 기구(200)는, 유희 기체(211) 상에 기구를 모방한 유희 부재(210)를 배치한 것이다.
유희 기체(211) 상면에 기구 본체(630)를 지지하는 기구 지지대(610)를 배치하고, 기구 지지대(610)로부터 로프를 통해, 파지 부재(522)가 매달린다. 파지 부재(522)는, 기구 본체(630)의 중심축 둘레에 배치되며, 회전 놀이 기구(200)의 회전에 의해 선회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구 지지대(610)는, 기구 본체(630)를 지지 가능하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유희 기체(211)로부터 원주 방향 등간격으로 복수의 지주(212)(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주(212) 상부를 외측으로 휘어지게 한 형상을 채용한다)를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각 지주(212)를 링형상의 부재(612)로 고정한다. 도 6에서는 각 지주(212)의 상부, 중간부, 하부의 3개소에서 상기 각 지주(212)를 고정하고 있다. 또한, 지주(212) 상부에 배치한 링형상의 부재(612)가, 기구 본체(630)를 직접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 7은, 유희 부재(210)의 그 외의 구성이다. 봉형상을 한 복수의 부재를 세로, 가로로 조합하여 평면에서 보았을 때 8각형으로 구성된 프레임(230)을 형성한다. 프레임(230) 외부에는, 칸막이 부재(710)를 설치한다. 당해 칸막이 부재(710)는, 가요성을 갖는 시트형상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으로, 프레임(230)을 구성하는 각 부재 사이에 걸쳐져 있으며, 그 외면에는 도시 생략의 장식이 실시되어 사용자의 관심을 끌도록 되어 있다. 또, 칸막이 부재(710)에는, 외부 공간과 유희 영역을 연통시키며 또한 사용자가 출입 가능한 개구부를 형성해도 된다.
프레임(230)에는, 수평 방향으로 빔(720)을 걸치고, 서로 이웃하는 빔 사이에는, 바닥 부재(730)를 고정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상기 각 바닥 부재(730)는, 가요성을 갖는 시트형상의 부재로 구성되며, 유희 영역을 상하 방향으로 3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하로 서로 이웃하는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연통부를 소정수 설치함으로써, 최상층의 공간과 한가운데의 공간, 및 한가운데의 공간과 최하층의 공간이 각각 연통하여, 사용자가 유희 부재(210) 내를 이동 가능해지고 있다.
사용자는, 정글짐과 같이, 빔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바닥 부재(730) 상을 가로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연통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놀 수 있다.
(실시 형태 4)
유희 부재를 요동시키는 요동 장치를 회전판(115)에 배치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도 8은, 요동 장치의 개략 모식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요동 장치는, 하측 프레임(900)과, 상측 프레임(950)을 구비한다.
하측 프레임(900)은, 직사각형 프레임의 직교하는 2변을 연신시킨 형상이며, 하측 프레임(900)의 직사각형 부분(901)에는, 후술의 하측 베어링(910)을 올려놓을 수 있는 선반(90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측 프레임(900)의 직사각형 부분(901)에 설치된 선반(902)의 양단 부근에 한 쌍의 하측 베어링(910)을 배치한다. 또한, 예를 들면, 위쪽이 개구된 단면 U자형상의 요동 부재(920)를 형성하고, 당해 요동 부재(920)의 양측면에 형성한 구멍에, 상기 하측 베어링(910)에 축지지되는 하측 샤프트(915)(하측 회전축에 상당한다)를 관통시킨다. 상기 하측 샤프트(915)는, 요동 부재(920)에 관통시킨 상태로 고정한다. 따라서, 하측 샤프트(915)가 소정 각도 회전하면, 요동 부재(920)도 대응하는 각도만큼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하측 베어링(910)에 축지지된 하측 샤프트(915)의 회전에 의해 요동하는 요동 부재(920)에는, 한 쌍의 베어링(상측 베어링(921))이 또한 올려놓여진다. 즉, 상기 하측 샤프트(915)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요동 부재(920)의 길이 방향을 향해, 당해 요동 부재(920)의 길이 방향의 양단 부근에 한 쌍의 상측 베어링(921)을 올려놓는다. 상측 베어링(921)에 축지지되는 상측 샤프트(923)(상측 회전축에 상당한다)에는, 요동판(925)이 고정된다. 따라서, 상측 샤프트(923)가 소정 각도 회전하면, 당해 요동판(925)도 대응하는 각도만큼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요동판(925)이 상측 프레임(950)에 고정되게 된다.
다음에, 상기 요동판(925)에 의해 고정되는 상측 프레임(950)을 요동시키기 위한 요동용 모터(940)를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하측 프레임(900)의 직사각형 부분(901)의 직교하는 2변이 연신되어 있으므로, 연신된 2변(연신 부분(905))의 일단부에 회전 장치(100)의 회전판(115)을 통해, 요동용 모터(940)를 부착한다. 하측 프레임(900)의 상기 연신 부분(905)에 형성된 간극(946)에, 회전 장치(100)의 회전판(115)이 끼워 넣어지게 된다.
또한, 요동용 모터(940)의 회전축에 크랭크 기구(943)를 부착함으로써, 요동용 모터(940)가 작동하면, 요동용 모터(940)에 부착된 요동축(945)이 상하 이동을 반복하도록 되어 있다. 당해 요동축(945)은, 고정 부재(947)를 통해, 상측 프레임(950)을 상하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요동용 모터(940)는, 하측 프레임(900)을 연신한 2변 단부에 설치되므로, 요동용 모터(940)가 작동함으로써, 요동축(945)이 상하 이동하면, 그에 대응하여, 상측 프레임(950)이 요동하게 된다. 양 요동용 모터(940)의 회전(진동수)의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상측 프레임(950)이 전후 및 좌우로 요동하는 기구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요동 장치가,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회전 장치(100)에 배치됨으로써, 요동하면서, 편심하여 회전하는 놀이 기구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요동 장치의 상측 프레임(950)을 구비한 놀이 기구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구성을 생각할 수 있다. 회전판에 고정된 유희부 기체(211) 위쪽에 영사 장치(960)를 부착한다. 예를 들면, 복수의 다리부(960)와, 복수의 다리부(960)에 고정된 원환(965)을 형성하고, 원환(965)에 영사막을 치기 위한 영사 프레임(967)을 아래로 늘어뜨린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0(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사 프레임(967)의 상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을 원환(965)의 원호와 대략 동일 형상으로 형성하였다.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환(965) 상의 상기 영사 프레임(967)과 대향하는 위치에, 영사기(968)를 구비한다.
상기 영사 장치(960)는, 위쪽에 매달리는 구성을 채용한다. 상기 영사 장치(960)를 회전 장치(100)에 배치한 경우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대좌(980))로부터 체인(986) 등을 이용하여 영사 장치(960)를 매다는 구성을 채용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을 사용하면, 모터의 회전축에, 크랭크를 부착한다는 간단한 구성으로 놀이 기구를 편심하여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모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판이 편심하여 회전하며, 또한, 크랭크가 고정된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판이 자전한다는 복잡한 움직임을 회전 놀이 기구에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규제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회전판의 자전을 멈추는 것도 가능해진다. 제어반 등의 복잡한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사용자가 예상할 수 없는 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유지 보수 등이 우수한 놀이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그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은 크다.
100: 회전 장치
110: 기체
111: 구동 모터
112: 크랭크
115: 회전판
130: 차륜
140: 회전 규제 수단
200: 회전 놀이 기구
210: 유희 부재
230: 프레임
235: 매달기 부재
900: 상측 프레임(요동 장치)
910: 하측 베어링(요동 장치)
915: 하측 샤프트(요동 장치)
920: 요동 부재(요동 장치)
921: 상측 베어링(요동 장치)
923: 상측 샤프트(요동 장치)
925: 요동판(요동 장치)
940: 요동용 모터(요동 장치)
950: 상측 프레임(요동 장치)
960: 영사 장치
967: 영사 프레임
980: 대좌

Claims (10)

  1. 회전 장치로 회전 가능한 회전 놀이 기구로서,
    상기 회전 장치가,
    기체(基體) 상에 배치된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에 축지지된 크랭크와,
    상기 크랭크에 고정되어 크랭크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판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판은 상기 크랭크가 고정된 위치를 중심으로 자전하도록 구성되고,
    회전 장치의 회전판에 유희 부재를 고정하여, 상기 회전판과 함께, 상기 유희 부재가 회전하며, 상기 유희 부재가 편심하여 회전하는 것과 더불어 상기 유희 부재가 자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놀이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가, 회전판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를 회전축에 축지지하는 고정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체가 수평면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상기 회전축에 축지지됨으로써, 상기 회전판이, 수평면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고정되는, 회전 놀이 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장치의 기체에, 대략 역U자형의 프레임을 세워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에, 상기 회전 장치의 회전판이 매달리는, 회전 놀이 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희 부재의 일부에 충격 흡수재를 피복하고, 상기 충격 흡수재 표면에 고무 수지를 도포한, 회전 놀이 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재가 우레탄인, 회전 놀이 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에 차륜을 구비하는, 회전 놀이 기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장치의 기체와 회전판 사이에, 상기 회전판의 자전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더 구비하는, 회전 놀이 기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희 부재는, 상기 회전판의 위쪽에 고정 설치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매달려,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선회 이동하는 복수의 파지 부재를 포함하는, 회전 놀이 기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희 부재는, 상기 회전판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며, 외부 공간과 구분된, 사용자가 유희하는 유희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과,
    상기 유희 영역을 적어도 2개의 계층형상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1 또는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바닥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 부재에는, 상하로 서로 이웃하는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연통부가 형성되는, 회전 놀이 기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에 배치되는 요동 장치를 구비한 회전 놀이 기구로서,
    상기 요동 장치가,
    하측 프레임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하측 회전축과,
    상기 하측 회전축에 고정되는 요동 부재와,
    상기 요동 부재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하측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상측 회전축과,
    상기 상측 회전축에 고정되는 요동판과,
    상기 요동판에 고정되는 상측 프레임과,
    상기 상측 프레임을 상하 이동 가능한 모터를 구비하는, 회전 놀이 기구.
KR1020127011970A 2009-11-13 2010-04-21 회전 놀이 기구 KR1016468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59841A JP5435787B2 (ja) 2009-11-13 2009-11-13 回転遊具
JPJP-P-2009-259841 2009-11-13
PCT/JP2010/002873 WO2011058668A1 (ja) 2009-11-13 2010-04-21 回転遊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0126A KR20120120126A (ko) 2012-11-01
KR101646819B1 true KR101646819B1 (ko) 2016-08-08

Family

ID=43748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1970A KR101646819B1 (ko) 2009-11-13 2010-04-21 회전 놀이 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95094B2 (ko)
JP (1) JP5435787B2 (ko)
KR (1) KR101646819B1 (ko)
CN (2) CN201768351U (ko)
WO (1) WO20110586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8314A1 (ja) 2010-06-15 2011-12-22 ビーエルデーオリエンタル株式会社 遊具用駆動モータ設置装置及び回転遊具装置
EP2604150B1 (en) 2010-08-11 2017-09-06 Bld Oriental Co., Ltd. Facility comprising food and drink infrastructure, and method of attracting customers to said facility
KR200469773Y1 (ko) * 2011-10-17 2013-11-21 주식회사 알론 볼을 이용한 어린이 놀이대
CN213609781U (zh) * 2019-06-18 2021-07-06 罗宾·温克普 用于娱乐设施的可充气附件、娱乐设施、以及充气公园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166Y1 (ko) 2003-08-14 2004-01-07 정중근 회전놀이기구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19899A (en) * 1956-11-15 1958-01-14 Thumberg Fred Alfred Amusement ride
US3661386A (en) * 1970-08-17 1972-05-09 William I Green Roundabout
JPS52111677U (ko) 1976-02-19 1977-08-24
JPS53139254U (ko) 1977-04-11 1978-11-04
JPS57125903U (ko) 1981-01-30 1982-08-05
JPS61128986A (ja) * 1984-11-27 1986-06-1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遊戯具
JPS62129072A (ja) 1985-11-29 1987-06-1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遊戯具
US4805898A (en) 1987-09-15 1989-02-21 Jacober Jeffrey M Recreational slide system and components thereof
JPH0415989U (ko) 1990-05-31 1992-02-10
KR940001951Y1 (ko) * 1991-06-05 1994-03-30 윤종철 탑승 오락구의 구동장치
JPH0798782A (ja) 1993-09-29 1995-04-11 Maruka Kk カメラ人形並びにこのカメラ人形を用いた乗物遊技装置
US5407393A (en) 1993-12-03 1995-04-18 Schmidt; Gregory A. Low flow, self-heating water slide
JP3403803B2 (ja) 1994-03-30 2003-05-06 ビイエルデイオリエンタル株式会社 遊戯設備
JPH0838649A (ja) 1994-08-03 1996-02-13 Tsumura Park Syst:Kk ツリー型野外遊具
JPH08196747A (ja) 1995-01-23 1996-08-06 Masusetsuto Kk 揺動遊具
JP2825065B2 (ja) 1995-02-02 1998-11-18 日本電気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JP3702000B2 (ja) * 1995-03-01 2005-10-05 マスセット株式会社 回転遊戯具
JPH11299635A (ja) 1998-04-06 1999-11-02 Gerhard Weiss 人工クリスマスツリー
JP3061608B2 (ja) 1998-10-15 2000-07-10 内田工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製遊具
JP2000167254A (ja) 1998-12-11 2000-06-20 Nkk Corp 傾斜面ウォータースライダー
JP2000197715A (ja) 1998-12-28 2000-07-18 Sousei Denshi:Kk 簡易型運動プ―ル
JP2001169864A (ja) 1999-12-16 2001-06-26 Hiramatsu Sangyo Kk 座布団
CZ20033437A3 (cs) 2001-06-28 2004-09-15 Smithkline Beecham P.L.C. N-Aroylové cyklické aminové deriváty jako antagonisté orexinového receptoru
US6582315B1 (en) 2001-12-31 2003-06-24 Joseph J. Formanski Self contained water slide for individual yard use
CN2528503Y (zh) * 2002-02-28 2003-01-01 王吉明 高空滑行游艺机偏心自转式座舱
JP2004208844A (ja) 2002-12-27 2004-07-29 Hirosuke Shimizu 空気膜マットを用いた遊戯具
JP3817236B2 (ja) 2003-08-01 2006-09-06 株式会社 小川テック 遊具
JP4526258B2 (ja) 2003-10-31 2010-08-18 ビーエルデーオリエンタル株式会社 遊戯装置
JPWO2006025108A1 (ja) * 2004-09-01 2008-05-08 Bldオリエンタル株式会社 遊戯装置
DE202005007482U1 (de) 2005-04-15 2006-08-24 Liebherr-Hausgeräte Lienz Gmbh Wasserversorgungsvorrichtung zur Versorgung eines Eiswürfelbereiters und/oder eines Wasserspenders eines Kühl- und/oder Gefriergerätes
JP4726768B2 (ja) 2006-08-24 2011-07-20 ビーエルデーオリエンタル株式会社 遊戯装置
JP4667333B2 (ja) * 2006-09-12 2011-04-13 ビーエルデーオリエンタル株式会社 遊戯装置
JP2008231904A (ja) 2007-02-22 2008-10-02 Satoru Tode 高床式建築物の基礎・基礎柱・土台の施工法
JP2009011421A (ja) 2007-07-02 2009-01-22 Pinocchio:Kk 人型機械
JP2009108449A (ja) 2007-10-31 2009-05-21 Toppan Printing Co Ltd 偽造防止用紙
JP5574525B2 (ja) 2009-11-13 2014-08-20 ビーエルデーオリエンタル株式会社 揺動遊具装置
WO2011158314A1 (ja) 2010-06-15 2011-12-22 ビーエルデーオリエンタル株式会社 遊具用駆動モータ設置装置及び回転遊具装置
US8602902B2 (en) 2010-06-15 2013-12-10 Bld Oriental Co., Ltd. Rotating amusement device
EP2604150B1 (en) 2010-08-11 2017-09-06 Bld Oriental Co., Ltd. Facility comprising food and drink infrastructure, and method of attracting customers to said facilit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166Y1 (ko) 2003-08-14 2004-01-07 정중근 회전놀이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1768351U (zh) 2011-03-23
WO2011058668A1 (ja) 2011-05-19
CN102596343A (zh) 2012-07-18
JP2011103974A (ja) 2011-06-02
US8795094B2 (en) 2014-08-05
CN102596343B (zh) 2015-10-14
US20120225728A1 (en) 2012-09-06
JP5435787B2 (ja) 2014-03-05
KR20120120126A (ko) 201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67333B2 (ja) 遊戯装置
KR101646819B1 (ko) 회전 놀이 기구
US11123601B2 (en) Apparatus for omnidirectional locomotion
US9764176B2 (en) Activity frame
JP5924938B2 (ja) 回転遊具装置
EP3458165A1 (en) Modular play set
CN101744477A (zh) 进行多轴运动的儿童开发设备
JP5574525B2 (ja) 揺動遊具装置
JPH03212285A (ja) 宙返りブランコ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WO2012023167A1 (ja) 遊具装置
JPWO2006025108A1 (ja) 遊戯装置
KR100316143B1 (ko) 회전이 자유로운 자이로 캡슐 놀이기구
JP2003126289A (ja) 遊戯具
JP4105568B2 (ja) 遊戯装置
KR102471799B1 (ko)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
JP2012100741A (ja) 遊具装置
JP3719959B2 (ja) 回転遊戯設備付き建物
EP2082790A1 (en) Amusement device
JPH08338143A (ja) 回転遊戯設備付き建物
JP2012100725A (ja) 遊具用ロープ及び、これを用いたブランコ、遊具装置
JP2002070347A (ja) 回転遊戯設備付き建物
JP2011072801A (ja) 遊戯装置
JP2011110110A (ja) 遊戯施設
AU3794399A (en) Recreational r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