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951Y1 - 탑승 오락구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탑승 오락구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951Y1
KR940001951Y1 KR2019910008393U KR910008393U KR940001951Y1 KR 940001951 Y1 KR940001951 Y1 KR 940001951Y1 KR 2019910008393 U KR2019910008393 U KR 2019910008393U KR 910008393 U KR910008393 U KR 910008393U KR 940001951 Y1 KR940001951 Y1 KR 9400019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horizontal axis
boarding
worm gear
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83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0371U (ko
Inventor
윤종철
Original Assignee
윤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철 filed Critical 윤종철
Priority to KR20199100083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1951Y1/ko
Publication of KR9300003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3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9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9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00Roundabouts
    • A63G1/08Roundabouts power-driven
    • A63G1/10Roundabouts power-driven electrically driven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탑승 오락구의 구동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구동장치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중 투이스트베이링의 단면 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 표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싱 2 : 지주봉
3 : 투이스트베어링 4 : 탑승대
5 : 웜기어 6, 9 : 횡축
7 : 웜 8, 8' : 전동기어
10 : 전동축 11 : 크랭크
12 : 축수메탈 13 : 고정메탈
14, 15, 16 : 감속풀리 17 : 전동축
18 : 모우터 19 : 가동케이싱
본 고안은 어린이들이 탑승하여 오락성과 유희성을 즐길 수 있는 탑승오락구의 구동장치를 종래의 일반적 구조보다는 그 운동의 변화도가 다양하도록 개량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승마장치의 작동에 있어서, 종래 수직 상하 율동에 한정되었던 간조로운 운동방식과는 달리 탑승대가 상하율동 및 전후요동 하면서 일정한 속도로 360도 자전하게 되는 3가지 기능을 동시에 발휘하게 하므로서 승용기구의 오락성을 더 한층 향상시킨 것이다.
종래의 어린이 놀이터나 운반형 승용장치에 구성된 탑승오락구의 구동장치는 단순히 승용 탑승대의 지주가 상하 방향으로 운동하거나 아니면 상하 운동과 동시에 일정한 궤도의 공정 운동을 하도록 구성되었던바 이는 운동성이 단조로워 어린이들의 유희성과 오락성을 충족하기에 크게 미흡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승용탑승대의 운동변화미를 보다 다양하게 개량한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고안 장치의 외형도는 제1도와 같은 것으로 기대 케이싱(1)의 상부에 투이스트베어링(twist Bearing)(3)을 설치하여 환봉상의 지주봉(2)이 상하 슬라이딩 운동 및 전후 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지주봉(2)의 상단에는 말이나 사자등임의 동물 형상의 탑승대(4)가 고정착설된다.
그리고 지주봉(2)을 구동하는 작동장치는 제2도에 사시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에 웜기어(5)가 축착되고 웜기어(5)의 일측에는 횡축(6)에 설치된 웜(7)이 결합되며, 이 횡축(6)의 하방에는 함께 평행한 횡축(9)이 축설되어 전동기어(8)(8')로서 전동되며 하부횡축(9)의 일단에는 크랭크(11)가 설치되어 고정메틸(13)에 축지된 전동축(10)과 연결되며, 다시 전동축(10)의 일단에는 일련의 감속풀리(14)(15)(16)를 개재하여 모우터(18)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횡축(6)(9)는 축수메탈(12)에 의하여 하나의 가동케이싱(19)에 독립적으로 고정을 시켜 크랭크(11)의 회전에 따라 이 가동케이싱(19)전체가 투이스트베어링(3)을 정점(頂点)으로 요동하면서 또한 지주봉(2)이 웜(7)과 웜기어(5)의 전동에 의해 자전 운동을 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된 본 고안은 케이싱(1)을 일정한 장소에 비치하여 탑승대(4)에 어린이들의 탑승한 상태에서 승용 운동구 오락구 및 유희구로 이용하게 되는 것으로서 내부의 전동축(10)(17)는 전체 외곽 케이싱(1)내부에 고정되어 있고 횡축(6)(9)은 외부 케이싱(1)과는 별도로 내부의 가동케이싱(19)속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므로 모우터(18)가 회전되면 이의 회전력은 1차로 일련의 감속풀리(16)(15)(14)를 거쳐 전동축(10)(17)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 전동력에 의하여 크랭크(11)가 회전을 한다.
이렇게 되면 상하 횡축(6)(9)이 가동케이싱(19)에 자체적으로 고정설치되어 있어 크랭크(11)가 회전함에 따라 가동케이싱(19)가 전체가 R싸이클 회전운동을 하면서 승하강하므로 지주봉(2)은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투이스트베어링(3)내에서 상하 A-B 방향으로 승하강하면서 대각선 방향의 사행작동(斜行作動)을 하게 되고 또한 횡축(9)의 회전은 크랭크(11)가 회전함에 의해 전동기어(8)(8')를 거쳐 횡축(6)에 전달되고 이는 웜(7)으로 하여금 웜기어(5)를 돌기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일련의 동작은 케이싱(1)내부에 별도로 설치된 가동케이싱(19)전체가 회전운동을 하는 것으로 결국 지주봉(2)은 일정 속도로 360도 회전운동과 더불어 상하 승강자동 및 전후좌우로 움직이게 되어 탑승대(4)가 자전 및 공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탑승대(4)에 어린이가 타고 있으면, 첫째 : 탑승대는 상하 방향으로 승강 및 하강 운동을 하게 되고, 둘째 : 지주봉(2)이 사행 운동을 하게 될 경우 흡사 말이 앞뒤로 꺼떡꺼떡 움직여 율동하게 되는 승마 운동력을 발휘하게 되며, 셋째 : 탑승대는 상기 율동과 동시에 360도로 자전을 하므로 어린이는 탑승대(4)에서 사방으로 빙빙 돌면서 흡사파동상으로 상하 율동 및 전후좌우로 경사진 운동력을 받게되어 그 운동미가 매우 다양하고 흥미진진한 오락성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그 기계적 구성이 매우 간단하면서 승용 탑승대의 작동이 갖는 변화미가 다양하여 종래의 승용오락구보다 일층더 상품가치가 향상된 것이다.

Claims (1)

  1. 승용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탑승대(4)가 착설된 지주봉(2)은 투이스트 베어링(3)에 지지된 상태에서 자체적으로 움직이는 가동케이싱(19)네의 웜기어(5)에 연결되고 웜기어(5)의 일측에는 횡축(6)의 웜(7)을 결합하여 전동기어(8)(8')로서 하부횡축(9)과 연동시켜 이들 2개의 횡축(6)(9)을 케이싱(1)내부에 별도로 움직일 수 있게 설치한 가동케이싱(19)에 고정하되 하부횡축(9)의 일단에는 크랭크(11)를 설치하여 고정메탈(13)에 축설된 전동축(10)가 연결하고 이 전동축(10)은 하부의 전동축(17)과 함께 일련의 감속풀리(14)(15)(16) 및 모우터(18)와 연결하여서 된 탑승 오락구의 구동장치.
KR2019910008393U 1991-06-05 1991-06-05 탑승 오락구의 구동장치 KR9400019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8393U KR940001951Y1 (ko) 1991-06-05 1991-06-05 탑승 오락구의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8393U KR940001951Y1 (ko) 1991-06-05 1991-06-05 탑승 오락구의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371U KR930000371U (ko) 1993-01-20
KR940001951Y1 true KR940001951Y1 (ko) 1994-03-30

Family

ID=19314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8393U KR940001951Y1 (ko) 1991-06-05 1991-06-05 탑승 오락구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195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280B1 (ko) * 2001-07-02 2004-07-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잭 수납장치
JP5435787B2 (ja) * 2009-11-13 2014-03-05 ビーエルデーオリエンタル株式会社 回転遊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371U (ko) 1993-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97434B (zh) 轮毂乘坐者传送装置
KR940001951Y1 (ko) 탑승 오락구의 구동장치
US7172511B2 (en) Amusement ride
US3663016A (en) Swing apparatus
US4076245A (en) Racing game and game piece
KR200344972Y1 (ko) 승마용 운동기구
EP0151787A2 (en) An amusement vehicle
CN202822743U (zh) 一种组合运动游艺机
US1730265A (en) Amusement device
KR101460864B1 (ko) 통돌이 놀이기구 장치
SU144224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азвлечений
CN2132544Y (zh) 骑式娱乐器械
US2794190A (en) Power actuated cradle
JP2530676Y2 (ja) 娯楽用乗物装置
KR200247777Y1 (ko) 승마운동기구
CN2165900Y (zh) 机动式飞车走壁游艺机
CN102814044B (zh) 一种组合运动游艺机
CN212440015U (zh) 一种自发电模拟太空旋转装置
CN218980411U (zh) 一种旋转木马
CN2170134Y (zh) 抬轿式游艺机
JP2529617Y2 (ja) 遊戯乗物の駆動装置
KR200160115Y1 (ko) 작동완구의 인형승강 및 회동장치
US2994281A (en) Amusement ride
US870378A (en) Amusement apparatus.
CN210786222U (zh) 一种游乐车方向盘联动转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