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799B1 -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 - Google Patents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799B1
KR102471799B1 KR1020210092289A KR20210092289A KR102471799B1 KR 102471799 B1 KR102471799 B1 KR 102471799B1 KR 1020210092289 A KR1020210092289 A KR 1020210092289A KR 20210092289 A KR20210092289 A KR 20210092289A KR 102471799 B1 KR102471799 B1 KR 102471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trainee
wide rotation
harness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동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보
Priority to KR1020210092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7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3/00Training of parachut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훈련자가 착용한 하네스를 스트링 연결로 상부에서 고정하는 스트링 구동부를 시계 및 시계반대 방향으로 일정각도 급격히 회전시킴으로써 낙하산 전개후 회오리 돌풍환경에서 배가 지면을 향하거나, 등이 지면을 향한 상태의 회전상황을 시뮬레이팅할 수 있는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Simulator for parachute training with large rotation function}
본 발명은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훈련자가 착용한 하네스를 스트링 연결로 상부에서 고정하는 스트링 구동부를 시계 및 시계반대 방향으로 일정각도 급격히 회전시킴으로써 낙하산 전개후 회오리 돌풍환경에서 배가 지면을 향하거나, 등이 지면을 향한 상태의 회전상황을 시뮬레이팅할 수 있는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낙하산 낙하 훈련은 실제로 훈련용 항공기를 타고 공중에서 낙하하면서 훈련을 수행할 수 있지만, 이 경우 제대로 낙하산 낙하 훈련을 받지 못하였다면 훈련병이 부상을 입거나 여러 가지 위험한 상황들을 만나기가 쉽다.
그러나, 실제로 훈련용 항공기를 타고 훈련을 하려면 여러 가지 기상 변화나 낙하할 장소 탐색 또는 항공기 비행상황 등의 조건들이 모두 부합되어야만 실제 훈련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비용도 많이 소요되었다.
또한, 숙련되지 않은 낙하 훈련자가 실제 항공기나 헬기에 탑승하여 낙하 훈련을 할 경우 순간적인 실수로 자칫 목숨이 위험해질 수 있으므로 실제 항공기나 헬기에 탑승하여 낙하 훈련을 하는 것과 같은 조건에서 숙련될 때까지 지속적인 모의 낙하 훈련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항공기나 헬기를 이용하지 않고 지상에서 실제 공고에서의 낙하와 유사한 조건에서 낙하 훈련을 할 수 있는 모의 낙하 훈련장치들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낙하산 강하 훈련을 위한 모의 훈련장치는 지상에 가상 시뮬레이터를 설치하여 항공기나 헬기를 운행하지 않고서도 실제와 같은 상황 하에서 훈련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악천후와 같은 기상조건에 의해 항공기나 헬기가 이착륙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훈련 가능하도록 해준다. 또한, 상기 모의 훈련장치는 항공기나 헬기에서 낙하산 강하 훈련 도중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항공기나 헬기의 운행에 따른 연료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이러한 낙하산 가상 시뮬레이터에 대한 기술인 특허문헌 1을 개발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의 장치는 유압장치로 이루어진 구동부(120)의 구동에 의해 지지부(130) 즉, 모션베이스가 요동 및 평면상태 회전이 가능하게 하는 동작을 시현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서보모터를 통해, 상체의 리프팅 및 하체의 리프팅을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의 구성으로 인해, 특허문헌 1은 훈련자의 하체에 연결된 스트링을 푼 상태에서, 상체에 연결된 스트링을 잡아당기면 훈련자가 상승하는 시뮬레이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특허문헌 1은 하체에 연결된 스트링을 잡아당기고, 상체에 연결된 스트링을 풀게 되면 삼각 전진자세 즉, 하체가 들리고 상체가 숙여지는 하강자세를 시뮬레이팅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상기 구동부(120)와 지지부(130)로 이루어진 모션 베이스가 유압장치로 구성되어져 있으므로 구축 비용이 크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압장치의 링크에 대한 기계적인 한계로 인해 요동을 일으킬 수 있는 각도가 수평 대비 10도 정도밖에 되지 않아서 훈련자에게 실제 상황과 유사한 시뮬레이팅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으며, 상기 구동부(120)와 지지부(130)로 이루어진 모션 베이스가 유압장치로 유동 가능하게 반 고정된 상태이므로 회전동작에 대한 시뮬레이팅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특허등록 10-1882227호(낙하 훈련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훈련자가 착용한 하네스를 스트링 연결로 상부에서 고정하는 스트링 구동부를 시계 및 시계반대 방향으로 일정각도 급격히 회전시킴으로써 낙하산 전개후 회오리 돌풍환경에서 배가 지면을 향하거나, 등이 지면을 향한 상태의 회전상황을 시뮬레이팅할 수 있는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하네스(14)를 착용한 훈련자(12)가 시뮬레이팅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 육각면체 형태의 지지대(4)와; 상기 지지대(4)의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훈련자(12)의 양측 어깨상단과, 다리부에 결합된 스트링(16)을 인출 구동하는 스트링 구동부(18)와; 상기 스트링 구동부(18)의 상단에 구성되며, 그 스트링 구동부(18)가 시계 및 시계반대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되도록 구동하는 광폭회전부(8)와; 상기 광폭회전부(8) 내부에 구성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서보모터(52)와; 상기 서보모터(52)와 연결된 웜 감속기(54)와; 상기 웜 감속기(54)의 축에 결합된 피니언기어(56)와; 상기 스트링 구동부(18)의 하부 지지프레임(26) 상단에 결합되고, 호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피니언기어(56)와 체결되는 랙기어(58)로 구성되어, 스트링 구동부를 시계 및 시계반대 방향으로 일정각도 급격히 회전시킴으로써 낙하산 전개후 회오리 돌풍환경에서 배가 지면을 향하거나, 등이 지면을 향한 상태의 회전상황을 시뮬레이팅할 수 있는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폭회전부(8)는 상부 지지프레임(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하부 내측벽에 각각 내부방향 및 상부방향으로 연결된 제 1, 2 베어링(46, 48)이 구성되며, 상기 제 1, 2 베어링(46, 48)에 밀착되는 가이드 링(42)이 원형띠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링(42)에 상기 스트링 구동부(18)의 하부 지지프레임(26) 상단이 볼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40)은 복수개의 원형 링이 일정간격 이격된 원통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2 베어링(46, 48)은 상부 지지프레임(40)의 내측벽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8개씩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트링 구동부(18)는 그 내부에, 훈련자의 전방 좌측 상부에 구성되고, 상기 하네스(14)의 왼쪽 상단 고리에 연결된 스트링(16)이 권취되어 견인력을 제공하는 제 1풀리(24a)와; 훈련자의 전방 우측 상부에 구성되고, 상기 하네스(14)의 오른쪽 상단 고리에 연결된 스트링(16)이 권취되어 견인력을 제공하는 제 2풀리(24b)와; 훈련자의 후방 좌측 상부에 구성되고, 상기 하네스(14)의 왼쪽 상단 고리에 연결된 스트링(16)이 권취되어 견인력을 제공하는 제 3풀리(24c)와; 훈련자의 후방 우측 상부에 구성되고, 상기 하네스(14)의 오른쪽 상단 고리에 연결된 스트링(16)이 권취되어 견인력을 제공하는 제 4풀리(24d)와; 훈련자의 후방 중앙 상부에 구성되고, 상기 하네스(14)의 다리부 고리에 연결된 스트링(16)이 권취되어 견인력을 제공하는 제 5풀리(24e)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는 스트링을 제어하기 위한 모션베이스를 랙과 피니언을 이용하여 시계 및 시계 반대방향으로 급격하게 회전시킴으로 인해, 낙하산 전개로 인해 낙하하는 과정중에 회오리나 돌풍에 의해 급격하게 회전 외력이 가해지는 것을 훈련자가 모의 훈련할 수 있으므로 실제 낙하산 전개과정을 훈련자가 완벽하게 익힐 수 있고 그로인해, 안전사고의 가능성을 대폭 낮추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에 포함된 회전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에 포함된 회전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에 포함된 스트링 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에 포함된 회전구동부의 베어링 장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에 포함된 회전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에 포함된 회전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에 포함된 스트링 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에 포함된 회전구동부의 베어링 장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2)는 훈련자가 착용한 하네스를 스트링 연결로 상부에서 고정하는 스트링 구동부를 시계 및 시계반대 방향으로 일정각도 급격히 회전시킴으로써 낙하산 전개후 회오리 돌풍환경에서 배가 지면을 향하거나, 등이 지면을 향한 상태의 회전상황을 시뮬레이팅할 수 있는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2)는 전체 외형이 육각면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 중앙에서 훈련자(12)가 낙하 시뮬레이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지대(4)가 구성되는 바, 그 지지대(4)는 내부에 하네스(14)를 착용한 훈련자(12)가 시뮬레이팅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수평과 수직으로 4각바가 연결되어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4)의 상부에는 훈련자(12)에게 다양한 낙하 시뮬레이팅 동작 구현을 위한 외력이 가해지도록 한 구동부(6)가 구비된 바, 그 구동부(6)는 광폭회전부부(8)와 스트링 구동부(18)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광폭회전부(8)는 하네스(14)를 착용한 훈련자(12)에게 회전 외력을 가하기 위한 구동부이고, 상기 스트링 구동부(18)는 상기 지지대(4)의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훈련자(12)의 양측 어깨상단과, 다리부에 결합된 스트링(16)을 인출 구동하는 구동부이다.
여기서, 일반적인 낙하산 시뮬레이터의 경우에는 하네스, 라이자, 캐노피 분리뭉치, 낙하산 개산손잡이, 낙하산 조종줄, 센서 탈부착 등판, 예비낙하산 개산손잡이 등이 구성되게 되므로 상기한 구성에 대한 동작 원리는 생략하도록 하겠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2)는 그 전면 상단에 영상 출력부(10)가 구비되는 바, 그 영상출력부(10)는 상기 훈련자(12)의 낙하 강하 훈련 모습을 훈련자가 착용하는 영상 고글에 제공하는 강하 영상과 합성하여 3차원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3차원 영상에서 상기 훈련자의 낙하 강하 훈련 모습은 상기 훈련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미도시)의 신호에 의해 상기 훈련자의 자세(강하 또는 기립 자세)를 추정하여 3차원 영상으로 이미지 처리하여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2)의 내부에 구성된 상기 광폭회전부(8)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서보모터(52)와; 상기 서보모터(52)와 연결된 웜 감속기(54)와; 상기 웜 감속기(54)의 축에 결합된 피니언기어(56)와; 상기 스트링 구동부(18)의 하부 지지프레임(26) 상단에 결합되고, 호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피니언기어(56)와 체결되는 랙기어(5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광폭회전부(8)는 그 광폭회전부(8)를 구성하는 부속들이 장착될 수 있도록 원형띠의 형태로 이루어진 상부 지지프레임(40)에 고정되게 구성되는 바,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40)은 동심원의 원형띠가 복수개 구성되고, 그 복수개의 원형띠를 각각 직경방향 및 높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직선 프레임이 다수개 연결됨으로써 구성된다.
또한, 상기 광폭회전부(8)의 상부 지지프레임(40)은 상기 스트링 구동부(18)를 구성하는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26)의 상부에 구성되어,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26)을 회전 가능하게 체결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피니언기어(5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40)에 장착되되, 하부방향으로 향하게 웜 감속기(54)에 장착되어져 있으며, 그 피니언 기어(56)에 치합되는 랙기어(58)는 상기 스트링 구동부(18)의 하부 지지프레임(26) 상단에 결합되고, 호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서보모터(52)는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26)이 회전할 수 있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로서, 정역모터이다.
따라서, 상기 서보모터(52)가 시계방향 또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그 회전력은 상기 웜 감속기(54)를 통해 수직방향의 회전력으로 전환되고, 그 회전력은 상기 피니언 기어(56)를 시계방향 또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피니언 기어(56)와 치합된 상기 랙기어(58)가 시계 반대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바, 랙기어(58)가 부착된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26)도 동일하게 시계 반대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 하부 지지프레임(26)에 매달린 훈련자에게 회전 외력을 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26)의 회전은 상기 랙기어(58)로 이동 가능한 길이 한도내에서 급격하게 회전되게 제어됨으로써, 훈련자(12)가 상기 스트링 구동부(18)에 의한 낙하상황에서 돌풍 발생시와 같은 급회전을 모의 훈련할 수 있게 된다.
돌풍은 측방에서 훈련자(12)에게 매우 강한 회전 외력을 가하게 되면서 동시에, 그 방향이 급격하게 변화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2)에 구성된 호형상의 상기 랙기어(58)와 같이 약 50센티미터 가량의 이동범위가 급격한 방향 전환에 알맞으며, 이러한 회오리 돌풍 상황에서 훈련자(12)는 환경에서 배가 지면을 향하거나, 등이 지면을 향한 상태의 회전상황을 모의 훈련할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광폭회전부(8)는 상부 지지프레임(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하부 내측벽에 각각 내부방향 및 상부방향으로 연결된 제 1, 2 베어링(46, 48)이 구성되며, 상기 제 1, 2 베어링(46, 48)에 밀착되는 가이드 링(42)이 원형띠 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광폭 회전부(8)는 그 프레임으로 상부 지지프레임(40)이 구성되고, 그 하부의 측벽 부근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2 베어링(46, 48)이 구성된다.
상기 제 1베어링(46)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공(미도시)을 통해 그 외주연이 내측방향으로 노출되어져 있으면서 동시에 상기 가이드 링(42)의 측면에 밀착되게 되어, 그 가이드 링(42)의 회전시 중심축 이동을 방지토록 억제한다.
또한, 상기 제 2 베어링(48)은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40)의 하단부에 장착되되, 그 외주연에 상기 가이드 링(42)의 하면이 밀착되어 가이드 링(42)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가이드 링(42)에는 제 1볼트공(44)이 형성되어, 상기 스트링 구동부(18)의 하부 지지프레임(26) 상단에 형성된 또 다른 제 2볼트공(50)이 상호 밀착되고 볼트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2)에 구성된 상기 제 1, 2 베어링(46, 48)은 상부 지지프레임(40)의 내측벽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8개씩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2)의 상기 스트링 구동부(18)는 실제 낙하 훈련과 유사한 인체 감응을 훈련자(12)에게 전달하는 모션 베이스(motion base)로서 아래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스트링 구동부(18)는 훈련자(12)의 상체에 외력을 가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서보모터가 4개 구비되어져 있으며, 훈련자(12)의 하체에 외력을 가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서보모터가 1개 구비된 바, 제 1 내지 제 5 서보모터(30a,30b,30c,30d,30e)라 칭한다.
한편, 상기 제 1 내지 제 5 서보모터(30a,30b,30c,30d,30e)에는 상기 스트링 구동부(18)의 내부에 다수개 구성되고, 훈련자의 승강 훈련 및 수평이동 훈련이 가능하게 하네스(14)에 연결된 스트링(16)을 권취하는 제 1 내지 제 5 풀리(24a,24b,24c,24d,24e)가 구성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5 서보모터(30a,30b,30c,30d,30e)와 제 1 내지 제 5 풀리(24a,24b,24c,24d,24e)의 사이에는 웜 감속기(28)가 각각 장착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웜 감속기(28)로 인해, 상기 제 1 내지 제 5 서보모터(30a,30b,30c,30d,30e)에서 발생된 회전력이 수직방향의 힘으로 전환되어 상기 제 1 내지 제 5 풀리(24a,24b,24c,24d,24e)로 전달되며, 상기 웜 감속기(28)도 역시 총 5개로 구성되어져 있지만 참조부호는 생략하여 1개만 부여함을 미리 밝힌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2)의 스트링 구동부(18)는 상기 제 1 내지 제 5 풀리(24a,24b,24c,24d,24e)를 권취 제어함으로써, 훈련자가 상승, 하강훈련 및 삼각 전진자세의 승하강 활강훈련과, 수평이동 또는 대각선 방향의 이동 훈련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터, 풀리, 감속기는 원형띠의 형태로 이루어진 하부 지지프레임(26)에 고정되게 구성되는 바,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26)은 동심원의 원형띠가 복수개 구성되고, 그 복수개의 원형띠를 직경방향으로 연결하는 직선 프레임이 복수개 연결됨으로써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풀리는 상기 스트링 구동부(18) 내부에 구성되며, 훈련자의 전방 좌측 상부에 구성되고, 상기 하네스(14)의 왼쪽 상단 고리에 연결된 스트링(16)이 권취되어 견인력을 제공하는 제 1풀리(24a)와; 훈련자의 전방 우측 상부에 구성되고, 상기 하네스(14)의 오른쪽 상단 고리에 연결된 스트링(16)이 권취되어 견인력을 제공하는 제 2풀리(24b)와; 훈련자의 후방 좌측 상부에 구성되고, 상기 하네스(14)의 왼쪽 상단 고리에 연결된 스트링(16)이 권취되어 견인력을 제공하는 제 3풀리(24c)와; 훈련자의 후방 우측 상부에 구성되고, 상기 하네스(14)의 오른쪽 상단 고리에 연결된 스트링(16)이 권취되어 견인력을 제공하는 제 4풀리(24d)와; 훈련자의 후방 중앙 상부에 구성되고, 상기 하네스(14)의 다리부 고리에 연결된 스트링(16)이 권취되어 견인력을 제공하는 제 5풀리(24e)로 구성된다.
정리하면,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26)에 고정되면서, 동시에 훈련자의 좌측 전방 상부방향에는 제 1풀리(24a)가 구성되어져 있고, 훈련자의 좌측 후방 상부방향에는 제 3풀리(24c)가 구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훈련자의 하네스(14)에는 그 좌측 상부에 고리를 매개로 복수개의 스트링(16)의 일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바, 어느 한 스트링(16)의 타단부는 상기 제 1풀리(24a)에 권취되어져 있으며, 또 다른 스트링(16)의 타단부는 상기 제 3풀리(24c)에 권취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풀리(24a)가 어느 한 스트링(16)을 권취하면서 견인력을 발생시키면 상기 훈련자(12)의 좌측 어깨가 전방으로 끌려가게 되고, 상기 제 3풀리(24c)가 또 다른 한 스트링(16)을 권취하면서 견인력을 발생시키면 상기 훈련자(12)의 좌측 어깨가 후방으로 끌려가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26)에 고정되면서, 동시에 훈련자의 우측 전방 상부방향에는 제 2풀리(24b)가 구성되어져 있고, 훈련자의 우측 후방 상부방향에는 제 4풀리(24d)가 구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훈련자의 하네스(14)에는 그 우측 상부에 고리를 매개로 복수개의 스트링(16)의 일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바, 어느 한 스트링(16)의 타단부는 상기 제 2풀리(24b)에 권취되어져 있으며, 또 다른 스트링(16)의 타단부는 상기 제 4풀리(24d)에 권취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풀리(24b)가 어느 한 스트링(16)을 권취하면서 견인력을 발생시키면 상기 훈련자(12)의 우측 어깨가 전방으로 끌려가게 되고, 상기 제 4풀리(24d)가 또 다른 한 스트링(16)을 권취하면서 견인력을 발생시키면 상기 훈련자(12)의 우측 어깨가 후방으로 끌려가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2 풀리(24a, 24b)가 동시에 스트링(16)을 권취하는 견인력을 발생시키면서, 상기 제 3, 4 풀리(24c, 24d)가 동시에 스트링(16)을 권취하는 견인력을 해제하게 되면, 훈련자는 상기 낙하 시뮬레이터(2)의 전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반면에, 상기 제 1, 2 풀리(24a, 24b)가 동시에 스트링(16)을 권취하는 견인력을 해제시키면서, 상기 제 3, 4 풀리(24c, 24d)가 동시에 스트링(16)을 권취하는 견인력을 발생시키면, 훈련자는 상기 낙하 시뮬레이터(2)의 후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제 5 풀리(24e)가 스트링(16)을 권취하는 견인력을 발생시키거나 해제함에 따라, 상기 훈련자(12)의 하체가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2)의 스트링 구동부(18)는 훈련자에게 낙하산 전개시에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훈련 상황을 모의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마땅히, 낙하산을 조정하는 조종줄(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조종줄(미도시)은 유무선 센서(미도시)와 연결되어 있어 조종줄(미도시)을 당길 경우 유무선 센서(미도시)는 이를 감지하여 구동부(6)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신호를 보낸다. 신호를 받은 제어부는 실제 낙하산 조종줄(미도시)을 당길 때와 같은 낙하산의 움직임이 프로그램되어 있어 유무선 센서(미도시)의 신호에 부합하는 실제 낙하산의 움직임이 구동부(6)에서 이루어지도록 구동부(6)의 작동을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4:지지대, 6:구동부,
8:광폭회전부, 10:영상출력부,
12:훈련자, 14:하네스,
16:스트링, 18:스트링 구동부,
24a,24b,24c,24d,24e:제 1, 2, 3, 4, 5 풀리,
26:하부 지지프레임, 28:감속기,
30a,30b,30c,30d,30e:제 1, 2, 3, 4, 5 서보모터,
40:상부 지지프레임, 42:가이드링,
44:제 1볼트공, 46:제 1베어링,
48:제 2베어링, 50:제 2볼트공,
52:서보모터, 54:감속기,
56:피니언기어, 58:랙기어.

Claims (5)

  1. 내부에 하네스(14)를 착용한 훈련자(12)가 시뮬레이팅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 육각면체 형태의 지지대(4)와;
    상기 지지대(4)의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훈련자(12)의 양측 어깨상단과, 다리부에 결합된 스트링(16)을 인출 구동하는 스트링 구동부(18)와;
    상기 스트링 구동부(18)의 상단에 구성되며, 그 스트링 구동부(18)가 시계 및 시계반대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되도록 구동하는 광폭회전부(8)와;
    상기 광폭회전부(8) 내부에 구성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서보모터(52)와;
    상기 서보모터(52)와 연결된 웜 감속기(54)와;
    상기 웜 감속기(54)의 축에 결합된 피니언기어(56)와;
    상기 스트링 구동부(18)의 하부 지지프레임(26) 상단에 결합되고, 호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피니언기어(56)와 체결되는 랙기어(58)로 구성되어, 스트링 구동부를 시계 및 시계반대 방향으로 일정각도 급격히 회전시킴으로써 낙하산 전개후 회오리 돌풍환경에서 배가 지면을 향하거나, 등이 지면을 향한 상태의 회전상황을 시뮬레이팅할 수 있으며;
    상기 광폭회전부(8)는 상부 지지프레임(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하부 내측벽에 각각 내부방향 및 상부방향으로 연결된 제 1, 2 베어링(46, 48)이 구성되며, 상기 제 1, 2 베어링(46, 48)에 밀착되는 가이드 링(42)이 원형띠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링(42)에 상기 스트링 구동부(18)의 하부 지지프레임(26) 상단이 볼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40)은 복수개의 원형 링이 일정간격 이격된 원통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베어링(46, 48)은 상부 지지프레임(40)의 내측벽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8개씩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링 구동부(18)는 그 내부에, 훈련자의 전방 좌측 상부에 구성되고, 상기 하네스(14)의 왼쪽 상단 고리에 연결된 스트링(16)이 권취되어 견인력을 제공하는 제 1풀리(24a)와;
    훈련자의 전방 우측 상부에 구성되고, 상기 하네스(14)의 오른쪽 상단 고리에 연결된 스트링(16)이 권취되어 견인력을 제공하는 제 2풀리(24b)와;
    훈련자의 후방 좌측 상부에 구성되고, 상기 하네스(14)의 왼쪽 상단 고리에 연결된 스트링(16)이 권취되어 견인력을 제공하는 제 3풀리(24c)와;
    훈련자의 후방 우측 상부에 구성되고, 상기 하네스(14)의 오른쪽 상단 고리에 연결된 스트링(16)이 권취되어 견인력을 제공하는 제 4풀리(24d)와;
    훈련자의 후방 중앙 상부에 구성되고, 상기 하네스(14)의 다리부 고리에 연결된 스트링(16)이 권취되어 견인력을 제공하는 제 5풀리(24e)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
KR1020210092289A 2021-07-14 2021-07-14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 KR102471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289A KR102471799B1 (ko) 2021-07-14 2021-07-14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289A KR102471799B1 (ko) 2021-07-14 2021-07-14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1799B1 true KR102471799B1 (ko) 2022-11-30

Family

ID=84234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289A KR102471799B1 (ko) 2021-07-14 2021-07-14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7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408B1 (ko) * 2014-03-28 2015-08-21 김형섭 낙하산 조종 모의 훈련장치
KR20160063019A (ko) * 2014-11-26 2016-06-03 (주)피엔아이시스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61975A (ko) * 2018-11-26 2020-06-03 주식회사 피엔아이컴퍼니 낙하훈련 시뮬레이션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408B1 (ko) * 2014-03-28 2015-08-21 김형섭 낙하산 조종 모의 훈련장치
KR20160063019A (ko) * 2014-11-26 2016-06-03 (주)피엔아이시스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61975A (ko) * 2018-11-26 2020-06-03 주식회사 피엔아이컴퍼니 낙하훈련 시뮬레이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445B1 (ko) 고공강하 모의훈련 및 가상현실 체험을 위한 시뮬레이터 장치
KR101473291B1 (ko) 인체감응 효과를 구비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
KR101882227B1 (ko) 낙하 훈련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2170331B1 (ko) 낙하훈련 시뮬레이션 장치
CN108053712B (zh) 一种伞兵跳伞训练模拟器及其方法
CN110782732B (zh) 一种用于伞降模拟训练的伞降模拟器
KR101546408B1 (ko) 낙하산 조종 모의 훈련장치
CN100417577C (zh) 宇航员训练器
KR101089041B1 (ko) 이동형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 및 그 방법
US20190318646A1 (en) Freefall training apparatus and training method using same
JP2004519730A (ja) スカイダイビングシミュレーター及びそれを使用したスカイダイビング訓練方法
KR20110046414A (ko) 낙하산 강하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66934A (ko)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2562446B (zh) 一种基于虚拟现实的实感伞降模拟训练器
KR101779167B1 (ko) 가상 공중하강 체험 시스템
CN215932896U (zh) 一种用于伞降训练的伞降模拟训练装置
KR102471799B1 (ko) 광폭 회전부가 구비된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
CN107600437A (zh) 一种vr跳伞训练模拟器
US20200377229A1 (en)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kite steering arrangement
CN210721925U (zh) 一种通过vr技术模拟高空建筑作业的装置
KR102477436B1 (ko) 스트링 권취 독립제어장치가 구비된 낙하 시뮬레이터 및 그 독립 제어방법
CN116935710A (zh) Vr跳伞模拟训练方法
US3548518A (en) Visual ground helicopter pilot trainer
KR200496207Y1 (ko) 낙하 훈련 시뮬레이터의 스트링 권취구조
CN212161020U (zh) 直升机救助教学仪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