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778B1 - 레일 고정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용 텐션클램프 - Google Patents

레일 고정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용 텐션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778B1
KR101627778B1 KR1020107006767A KR20107006767A KR101627778B1 KR 101627778 B1 KR101627778 B1 KR 101627778B1 KR 1020107006767 A KR1020107006767 A KR 1020107006767A KR 20107006767 A KR20107006767 A KR 20107006767A KR 101627778 B1 KR101627778 B1 KR 101627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ions
torsion
rail
holding arms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6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5170A (ko
Inventor
빈프리트 뵈스터링
Original Assignee
보슬로흐-베르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슬로흐-베르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보슬로흐-베르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065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5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38Indirect fastening of rails by using tie-plates or chairs; Fastening of rails on the tie-plates or in the chairs
    • E01B9/44Fastening the rail on the tie-plate
    • E01B9/46Fastening the rail on the tie-plate by clamps
    • E01B9/48Fastening the rail on the tie-plate by clamps by resilient steel 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Railway Track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Wire Bond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2) 고정 시스템과, 이러한 형태의 고정 시스템에 사용되는 텐션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레일은 레일 기부(7)와 그 레일 기부 위에 위치하는 웨브(31) 및 레일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시스템은 지지판(5, 6)과 그 지지판(5, 6) 위에 유지되는 텐션클램프(14, 15)를 구비하며, 텐션클램프(14, 15)는 상기 지지판(5, 6) 위에서 텐션클램프를 지탱하기 위한 중앙부(16)와, 상기 중앙부(16)로부터 측 방향으로 분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토션부(19, 20)와, 만곡된 이행부(21, 22)를 경유하여 상기 토션부(19, 20)에 연결되며, 상기 이행부(21, 22)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토션부(19, 20)의 반대방향으로 연장하고, 그 말단부(19, 20)의 자유단부를 통해 피고정 레일(2)의 레일 기부(7) 상에 탄성의 고정력을 가하는 홀딩암(25, 26)을 구비하며, 상기 토션부(19, 20)의 길이(LA)와 상기 이행부(21, 22)의 경로는 적어도 상기 이행부(21, 22)가 상기 텐션클램프(14, 15)의 중앙부(16)와 연계되는 지지판(5, 6) 영역을 측방향으로 지나쳐서는 지지되지 않으면서 안내되도록 서로 맞추어져 있으며,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홀딩암(25, 26)의 말단부(29, 30)가, 피고정 레일(2)의 웨브(31) 방향을 지향하는 방식으로 토션부(19, 20) 반대 방향으로 굽어져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공지의 고정 시스템의 스프링 거동을 유지하면서도 보다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으며, 동작 안전성을 전반적으로 개선시킨다. 또한, 이러한 목적에 특히 적합한 텐션클램프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조립된 상태에서, 홀딩암(25, 26)의 말단부(29, 30)가, 피고정 레일(2)의 웨브(31) 방향을 지향하는 방식으로 토션부(19, 20) 반대편을 지향하도록 굽어져 있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레일 고정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용 텐션클램프{SYSTEM FOR FASTENING A RAIL AND TENSIONING CLAMP FOR SUCH A SYSTEM}
본 발명은 레일 기부, 그 레일 기부 위에 위치하는 웨브 및 레일 헤드를 구비하는 레일을 고정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지지판과 그 지지판 위에 유지되는 텐션클램프를 포함한다. 상기 텐션클램프는 상기 지지판 위에서 텐션클램프를 버팅기게 하는 중앙부, 상기 중앙부로부터 측 방향으로 분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토션부 및 곡선형 이행부를 경유해 상기 토션부에 연결되어 있는 홀딩암을 구비하며, 홀딩암은 상기 이행부로부터 시작하여 토션부 반대쪽으로 연장하며 홀딩암 단부의 자유단부를 통해 피고정 레일의 레일 기부 위에 탄성 고정력을 가한다. 본 발명에서, 토션부의 길이와 이행부의 경로는, 적어도 이행부가 텐션클램프의 중앙부와 연계되는 지지판 영역을 측방향으로 지나쳐서는 지지되지 않으면서 안내되도록, 서로에 대해 맞추어진다.
이러한 형태의 고정 시스템은 "System KS with SKL 24"라는 이름으로 본 출원인에 의해 제공되며, 여기서 "SKL 24"는 공지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특정 유형의 텐션클램프를 나타낸다.
공지 시스템에서, 지지판 위에는, 피장착 레일의 종방향으로 측정할 때에 상기 지지판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하는 2개의 리브가 배치되며, 시스템이 완전히 조립되었을 때에, 이들 리브 사이에는 고정될 레일 기부가 위치하는 부분의 경계가 정해진다. 상기 리브들은, 한편으로는, 철도 차량이 레일 위를 통과할 때에 발생하는 레일의 횡방향 이동 경계를 획정하는 측방향 정지부로 기능한다. 다른 한편으로, 공지 시스템에서, 상기 리브들은 레일을 눌러 고정시키는 데에 필요한 고정력이 레일 기부에 대해 탄성적으로 가해짐으로써 텐션클램프를 고정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DE 20 2004 020 752 U1에 의해 공지된 기본 원리에 따르면, 공지 시스템에 사용되는 ω형 "SKL 24" 텐션클램프는, 텐션클램프의 토션부와 홀딩암이 서로 연계하여 최대의 스프링 처짐(deflection)과 최대의 탄력(resilience)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공지의 텐션클램프는 루프모양의 중앙부를 구비한다. 상기 중앙부의 말단부로부터 형태가 실질적으로 직선인 각 토션부가 양 측면을 향해 나와 있다. 그런 다음, 위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토션부는 중앙부 방향으로 다시 180도 전환하여 만곡되는 이행부와 병합하며, 그런 후에, 직선형태로 각 측면에 연계되는 토션부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각 홀딩암과 만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에, 상기 토션부와 그 토션부 각각과 연계되는 홀딩암 사이의 내치수(clear width)는 실질적으로 일정하며, 이 경우, 이는 피고정 레일이 연장하는 종방향을 가로질러 측정한 리브의 두께와, 토션부와 홀딩암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공간 안쪽으로 리브를 수용하는데 필요한 리브 두께 방향의 여분(excess)을 더한 값에 상응한다.
공지 시스템에서, 이러한 유형의 텐션클램프가 장착되어 있는 모든 고정 시스템에서와 같이,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서 텐션클램프의 홀딩암은 상기 홀딩암의 말단부의 자유단부를 통해 레일 상에 가해져야 하는 소정의 고정력을 가한다.
상기 텐션클램프는 텐션 볼트 상에 나사체결되어 있는 너트에 의해, 공지 시스템의 지지판 위에 지탱되어 있다. 상기 텐션 볼트의 일 단부는 각 리브의 상단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리세스 내에 위치하며, 타 단부는 텐션클램프의 중앙부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개구를 관통하고 있다.
실 사용시에, 지금까지 설명한 "System KS with SKL 24"는 본 시스템에 대한 기대를 만족시키고 있다. 그러나, 실 상황에서 레일과 고정 시스템에 부하가 가해져서 홀딩암들의 자유단부가 레일 기부 상에 부정확하게 위치하는 경우에는, 레일 기부로부터 미끄러져서 이탈할 위험이 있다.
또한, 공지 시스템의 어셈블리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에 따라, 특히 대략적인 조건하에서 자동으로 조립되는 경우, 그 어셈블리와 장력의 작용을 받아 텐션클램프가 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최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리브 상의 위치에서 이탈할 수도 있다.
전술한 선행 기술의 배경에 대하여, 본 발명은, 공지의 고정 시스템의 스프링 거동을 유지하면서도 보다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으며, 동작 안전성이 전반적으로 개선된 레일 고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과제에 기초한다. 또한, 이러한 목적에 특히 적합한 텐션클램프가 개시된다.
상기 시스템과 관련하여, 이러한 과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고정 시스템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유리한 구성은 청구항 1을 인용하는 청구항들에 개시되어 있다.
텐션클램프와 관련하여, 전술한 문제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해법은 텐션클램프가 청구항 12에 따라 구성된다는 사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클램프의 유리한 구성은 청구항 12를 인용하는 청구항들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시스템은, 선행 기술에서와 같이, 레일을 고정하기 위해 필요한 탄성 고정력을 생성하는 스프링 요소로, 피고정 레일의 종방향으로 측정한 길이 측면에서, 텐션클램프의 적어도 하나의 홀딩암이 최대 스프링 처짐을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지지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텐션클램프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선행 기술과는 달리, 홀딩암의 말단부는, 조립된 상태에서 그 말단부가 피고정 레일의 웨브 방향을 향하는 방식으로, 토션부 반대쪽을 지향하도록 굽어져(angled) 있다.
이렇게 구성된 결과, 한편으로는, 홀딩암들의 말단부가 레일 기부 상에 소정의 고정력을 갖도록 홀딩암이 힘을 가하는 지지 영역이 레일 기부의 에지로부터 레일 웨브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는 모든 경우에 있어서, 기차가 주행할 때에 횡력이 발생하고, 지지판 상에서의 측방향 지지가 부정확한 결과로, 레일 기부가 레일 기부의 종방향의 횡단 방향으로 과도한 정도로 움직인 경우에도, 소정의 고정력이 각 홀딩암으로부터 레일 기부로 최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보증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르는 텐션클램프의 구성은 조립되는 중에 회전되려는 것을 줄여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라 이루어지는 레일 웨브 방향으로의 지지 영역의 이동(displacement)은, 상기 리브에 대해 더욱 타이트하게 연장하는 토션부와 홀딩암의 방향에도 불구하고, 홀딩암들이 오로지 직선으로 연장하는 공지의 실시형태들의 경우보다도 회전에 대한 저항이 더 크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션클램프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속하는 다른 부품들, 일례로 레일과 고정 시스템 사이에 전기적 브리지를 억제시키는 절연 요소 같은 다른 부품들이 레일 기부 및/또는 리브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는 부품들의 크기에 맞추어 구성될 수 있다는 사실을 포함한다.
그 결과, 본 발명은 선행 기술에 비해 조립 안전성과 작동 안전성 모두가 상당히 개선된 고정 시스템을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제공한다.
제조 측면에서 특히 유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조립된 상태에서, 홀딩암의 말단부의 가상의 연장부가 레일의 웨브와 90° 미만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홀딩암의 말단부는 말단부와 만나는 홀딩암 부분에 대해 굽어져 있다. 이러한 형태로 형성된 말단부는, 실 상황에서 이용할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하여 통상의 벤딩 가공법으로 특히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위에서 보았을 때에, 이행부로부터 나온 홀딩암의 일부분이 토션부 방향을 지향하게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장착된 텐션클램프의 회전 방지가 추가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홀딩암의 일부분 중에서, 먼저 토션부 방향을 지향하다가 토션부 반대쪽을 향하는 홀딩암의 말단부와 병합하는 반전 영역은, 지지판 중 반전 영역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된 구성요소 상에서 텐션클램프를 지지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구성요소는, 일례로 텐션클램프에 연계되는 지지판의 상단부 상에 구성되는 리브일 수 있다. 리브 위에서 텐션클램프의 중앙부가 지지된다. 텐션클램프는 공지의 방식에 따라 상기 리브에 대해서 지탱될 수 있다. 토션부와 홀딩암 사이의 최소의 내치수가 리브의 두께와 적어도 동일한 경우, 상기 텐션클램프는 한편으로는 상기 지지판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텐션클램프 내에 리브가 수용된다. 다른 한편, 상기 리브는 텐션클램프의 위치를 용이하게 고정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위에서 보았을 때에, 토션부와, 토션부 방향을 지향하는 홀딩암의 일부분이 상기 홀딩암의 굽어진 말단부와 병합하는 이행점 사이의 내치수의 크기는, 조립 상태에서, 홀딩암이 피고정 레일과 연계된 리브의 표면에서 이행점의 영역 내에서 지지되는 크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내에 통합되어 있는 텐션클램프의 탄성 특성은, 조립 상태에서, 토션부가 상기 리브에 대해 안착하지 않으면서 리브와 평행하게 연장한다는 사실로도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토션부의 자유로운 가동성을 방해하는 다른 부품들과 접촉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텐션클램프는 그 형태가 ω-형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중앙부는 루프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중앙부로부터 2개의 토션부가 나와서 서로 반대 방향을 지향하며, 각 이행부를 경유해 연결되어 있는 굽어진 말단부가 있는 각 홀딩암까지 연장한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텐션클램프와 종래 기술에 따라 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텐션클램프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토션부와, 상기 토션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행부와, 상기 이행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위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토션부의 반대방향으로 연장하는 홀딩암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홀딩암의 자유 단부와 연계된 홀딩암의 말단부가 토션부 반대쪽을 향하도록 굽어져 있다.
전술한 이유들로 인해, 본 경우에 있어서, 말단부와, 그 말단부와 만나는 홀딩암의 일부분이 형성하는 각도가 둔각이라면, 제조 측면에서 유리하다.
이하에서, 대표적인 실시형태들을 설명하는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행 기술에 비해 조립 안전성과 작동 안전성 모두가 상당히 개선된 고정 시스템을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레일 고정 시스템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레일 고정 시스템의 개략 부분 절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시스템에 사용된 텐션클램프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텐션클램프의 개략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따른 텐션클램프의 개략 정면도이다.
시스템(1)은 궤도 몸체(상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음)의 일부인 레일(2)을 고정한다. 상기 레일 고정 시스템(1)은, 침목, 플레이트 또는 궤도 몸체를 지탱하기에 적합한 다른 기판(3) 상의 바닥판(base plate)(4) 위에 배치되어 있는, 각각이 동일한 형상인 2개의 지지판(carrying plate)(5, 6)을 구비하며, 지지판은 전문가들에 의해 "리브 플레이트"(rib plate)로도 호칭된다. 상기 지지판(5, 6)은 레일(2)의 기부(foot)(7)에 대해 서로 반대편에 안착되어 있으며, 나사를 사용하는 이미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기판(3)에 나사체결되어 있다. 레일(2)을 상기 바닥판(4) 위에 수직방향으로 규정된 탄력성있게 지탱하기 위해, 레일 기부(7)와 바닥판(4) 사이에는 공지된 방식으로 탄성층이 마련된다.
위쪽에서 바라 볼 때에, 상기 지지판(5, 6) 각각은, 레일(2)의 종축(L)과 평행한 방향으로 측정하였을 때의 길이가 LT인 직사각형의 기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상기 레일(2)과 원격되어 있는 협측(narrow side)(8)과 만나는 영역에서, 지지판(5, 6)의 상단부는 협측(8) 방향으로 하강하는 평면(9, 10) 형태로 되어 있다.
레일 기부(7)에 인접하는 지지판의 상단부(9) 영역의 지지판(5, 6) 위에는 리브(11, 12)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지지판(5, 6)의 리브(11, 12)는, 레일(2)과 연계되며, 협측(8) 반대편의 협측과 인접하고 있으며, 각 지지판(5, 6)의 전장(LT)에 걸쳐 연장하고 있다. 이들 리브(11, 12)는, 기차가 레일(2) 위를 주행할 때에 생기는 하중으로 인해 레일(2)의 종방향(L)을 가로지르는 횡방향 움직임과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려지는 움직임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레일(2)을 측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머쉬룸 헤드 밀링과 같이 이미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고정공(fastening opening)(본 명세서에는 도시되지 않음)이 지지판(5, 6)의 중심점에 형성된다. 후크 스크류(hooked screw)로 구성되는 텐션스크류(13)는 그 텐션스크류가 고정공 내에서 스크류 헤드에 의해 유지되고 텐션스크류의 나사부가 리브(11, 12)의 상단부를 지나쳐서 돌출되도록 해서 상기 고정공 내로 도입된다.
하나의 지지판(5, 6)과 연계되어 있는 텐션클램프(14, 15) 각각은 레일(2)을 고정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텐션클램프(14, 15) 각각의 형상은 ω-형으로 되어 있다. 텐션클램프(14, 15)는 위에서 보았을 때에 형태가 U형인 고리모양 중앙부(16)를 구비하며, 조립된 상태에서, 그 중앙부는 각 리브(11, 12) 위로 돌출되어 있는 텐션스크류(13)의 나사부를 적어도 180도 넘게 둘러싸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조립된 상태에서 중앙부(16)의 베이스는 레일(2)과 연계되어 있는 반면에 그 개구부는 레일(2)로부터 떨어진 쪽을 향한다.
위에서 보았을 때에, 반원 형상의 베이스로부터 직선 형태로 나오는 상기 중앙부(16)의 각부(leg)는, 먼저 하향 연장하는 곡선부분(17, 18)에서 토션부(19, 20)와 병합한다. 이 경우, 토션부(19, 20)는, 한편으로는, 위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중앙부(16)의 각 각부에 직각으로 배치되며, 조립된 상태에서는 상기 레일(2)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각 곡선부분(17, 18)에 부드럽게 연결되어 있다. 이와 동시에, 토션부(19, 20)는, 텐션클램프(14, 15)가 평면 위에 안착되어 있을 때에는, 각도(β1)로 비스듬하게 상방을 지향하고 있어서, 조립 상태에서는, 텐션클램프(14, 15)가 각 곡선부분(17, 18)의 반전 영역에서만 각 지지판(5, 6) 위에 지지된다. 상기 중앙부(16)로부터 원격인 토션부(19, 20)의 말단부가 중앙부(16)로부터 측방향으로 각 리브(11, 12)를 지나쳐 돌출하도록, 토션부(19, 20)의 길이(LA)는 지지판(5, 6)의 각 리브(11, 12)의 길이(L)에 따라 맞추어진다.
토션부(19, 20)는, 위에서 보았을 때에, 중앙부(16)의 베이스를 향하여 180도를 상회하는 각도로 만곡되어 있는 각 이행부(21, 22)와 만난다. 이와 관련하여모든 경우에 있어, 이행부(21, 22)의 곡률반경은 각 리브(11, 12)의 두께(D)보다 크다.
각 홀딩암(25, 26)의 제1 일부분(23, 24)은 상기 이행부(21, 2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일부분(23, 24)은 위에서 보았을 때에, 먼저 각 이행부(21, 22)로부터 시작해서 상기 텐션클램프(14, 15)의 다른 종방향 측면 위에 배치되어 있는 토션부(19, 20)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동시에, 홀딩암(25, 26)은 그 전체가 토션부(19, 20)에서의 각도(β1)와 동일한 각도로 하향되어 있다.
홀딩암(25, 26)의 일부분(23, 24) 각각은 만곡된 이행점(27, 28)에서 각 홀딩암(25, 26)의 각 말단부(29, 30)와 부드럽게 병합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말단부(29, 30)가 토션부(19, 20)로부터 시작하여 피고정 레일(2)의 웨브(31)를 지향하도록, 상기 이행점(27, 28)의 곡률이 선택된다. 위에서 보았을 때에, 본 경우에 있어서, 일부분(23, 24)과 홀딩암(25, 26)의 상기 일부분(23, 24)과 연계된 말단부(29, 30) 사이에 형성된 각도(β2)는 대략 120°이다. 이와 동시에, 이행점(27, 28)과 그 이행점과 약간 대향하며 떨어져 있는 토션부(19, 20) 사이에서 가장 좁은 지점에서의 내치수(W)는 각 리브(11, 12)의 두께(D)에 상응한다.
각 텐션클램프(14, 15)를 그 텐션클램프(14, 15)와 각각 연계된 리브(11, 12)에 고정하기 위해, 텐션스크류(13)가 중앙부(16)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개구를 통해 안내되는 방식으로, 각 텐션스크류(13) 위에 중앙부(16)가 위치한다. 이어서, 각 리브(11, 12)에 대하여 중앙부(16)를 압박하여 각 텐션클램프(14, 15)를 지탱하는 너트(32)가 상기 텐션스크류(13) 위에 나사체결된다.
이제 토션부(19, 20)는 리브(11, 12) 부분 중에서 레일(2)과 원격된 부분 위에 배치되어 있고, 홀딩암(25, 26)은 레일(2)과 맞닿아 있는 각 리브의 측면 위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 상기 텐션클램프(14, 15)의 곡선부분(17, 18)의 높이(H)의 치수는, 텐션클램프(14, 15) 각각이 각각의 지지판(5, 6) 위에서 단지 곡선부분(17, 18)에서부터 토션부(19, 20)로 이행하는 영역 내에서만 지지되도록 하는 크기로 한다. 이와 동시에, 이행부(21, 22)가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서 리브(11, 12)의 협측 주위로 안내되기 때문에, 텐션클램프(14, 15)는 토션부(19, 20)와 홀딩암(25, 26)의 말단부(29, 30)의 지탱영역(32, 33)에 이르는 이행부(21, 22) 위에서 실질적으로 자유롭게 탄성을 가지며 움직일 수 있다.
각 텐션클램프(14, 15)가 그 텐션클램프(14, 15)와 연계되는 리브(11, 12) 위에 위치할 때에, 홀딩암(25, 26)은 각 이행점(27, 28)에서 레일(2)과 연계되어 있는 각 리브(11, 12)의 단부면에 대해 느슨하게 안착하고 있다. 너트(32)를 조이는 중에, 너트(32)를 통해 도입되는 토크가 텐션클램프(14, 15)의 회전을 야기하는 경우, 홀딩암(25, 26)은 홀딩암(25, 26)의 각 이행점(27, 28)에서 리브(11, 12)에 대해 지지되어서, 텐션클램프(14, 15)가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하게 할 수도 있는 텐션클램프(14, 15)의 과잉 변형을 방지한다.
조립된 상태에서, 홀딩암(25, 26)의 말단부(29, 30)는 말단부의 가상의 연장부가 레일(2)의 웨브(31)와 약 50°의 각도(β3)를 형성하도록 굽어져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홀딩암(25, 26)의 말단부(29, 30)는, 말단부(29, 30) 상단부 위에 레일(2)의 웨브(31)의 방향으로 지탱영역(33, 34)을 구비하여, 레일 기부(7)의 에지(35)에 대해 오프셋되게 안착되어 있어서, 텐션클램프(14, 15)가 장착되는 중에 각 텐션클램프(14, 15)가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동시에, 레일 웨브(31)의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말단부(29, 30)의 지탱영역은, 텐션클램프(14, 15)의 폭(B)이 최소로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레일(2)이 횡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에도 언제나 소정의 고정력이 신뢰성 있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1 레일(2) 고정 시스템
2 레일
3 기판(substrate)
4 바닥판(base plate)
5, 6 지지판(carrying plate)
7 레일(2)의 레일 기부(rail foot)
8 지지판(5, 6)의 협측
9, 10 지지판(5, 6)의 상단부의 평면
11, 12 리브
13 텐션스크류
14, 15 텐션클램프
16 텐션클램프(14, 15)의 중앙부
17, 18 텐션클램프(14, 15)의 곡선부분
19, 20 텐션클램프(14, 15)의 토션부
21, 22 텐션클램프(14, 15)의 이행부
23, 24 각 홀딩암(25, 26)의 일부분
25, 26 홀딩암
27, 28 홀딩암(25, 26)의 이행점(transition point)
29, 30 홀딩암(25, 26)의 말단부(end portion)
31 피고정 레일(2)의 웨브
32 너트
33, 34 말단부(29, 30)의 지탱영역
35 레일 기부(7)의 에지
β1, β2, β3 각도
B 텐션클램프(14, 15)의 폭
D 각 리브(11, 12)의 두께
H 곡선부분(17, 18)의 높이
L 레일(2)의 종축
LA 토션부(19, 20)의 길이
LT 지지판(5, 6)의 길이
W 내치수(clear width)

Claims (17)

  1. 레일 기부(7)와 그 레일 기부 위에 위치하는 웨브(31) 및 레일 헤드를 구비하는 레일(2)을 고정하는 시스템으로, 상기 시스템은 지지판(5, 6)과 그 지지판(5, 6) 위에 유지되는 텐션클램프(14, 15)를 구비하며, 텐션클램프(14, 15)는 상기 지지판(5, 6) 위에서 텐션클램프를 지탱하기 위한 중앙부(16)와, 상기 중앙부(16)로부터 측 방향으로 분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토션부(19, 20)와, 만곡된 이행부(21, 22)를 경유하여 상기 토션부(19, 20)에 연결되며, 상기 이행부(21, 22)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토션부(19, 20)의 반대방향으로 연장하고, 그 말단부(29, 30)의 자유단부를 통해 피고정 레일(2)의 레일 기부(7) 상에 탄성의 고정력을 가하는 홀딩암(25, 26)을 구비하며, 상기 토션부(19, 20)의 길이(LA)와 상기 이행부(21, 22)의 경로는 적어도 상기 이행부(21, 22)가 상기 텐션클램프(14, 15)의 중앙부(16)와 연계되는 지지판(5, 6) 영역을 측방향으로 지나쳐서는 지지되지 않으면서 안내되도록 서로 맞추어져 있는, 레일 고정 시스템에 있어서,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홀딩암(25, 26)의 말단부(29, 30)가, 피고정 레일(2)의 웨브(31) 방향을 지향하는 방식으로 토션부(19, 20) 반대쪽을 지향하도록 굽어져 있고,
    위에서 보았을 때에, 이행부(21, 22)로부터 나온 홀딩암(25, 26)의 일부분(23, 24)이 토션부(19, 20) 방향으로 지향하고 있으며,
    이행부(21, 22)로부터 나온 홀딩암(25, 26)의 일부분(23, 24) 각각이 토션부(19, 20) 반대쪽을 지향하는 홀딩암(25, 26)의 각 말단부(29, 30)와 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홀딩암(25, 26)의 말단부(29, 30)의 가상의 연장부가 레일(2)의 웨브(31)와 90° 미만의 각도(β3)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홀딩암(25, 26)의 말단부(29, 30)가 굽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지지판(5, 6)은, 텐션클램프(14, 15)와 연계된 지지판의 상단부에, 텐션클램프(14, 15)의 중앙부(16)가 지지되는 리브(11, 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리브(11, 12)에 고정된 텐션스크류(13)에 의해, 텐션클램프(14, 15)가 지지판(5, 6) 위에 지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토션부(19, 20)와 홀딩암(25, 26) 사이의 최소 내치수(W)는 리브(11, 12)의 두께와 적어도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홀딩암(25, 26)의 굽어진 말단부(29, 30)는 토션부(19, 20)의 방향으로 지향하는 홀딩암(25, 26)의 일부분(23, 24)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위에서 보았을 때에, 토션부(19, 20)와, 상기 토션부(19, 20) 방향으로 지향하는 홀딩암(25, 26)의 일부분(23, 24)이 상기 홀딩암의 굽어진 말단부(29, 30)와 병합하는 이행점(27, 28) 사이의 내치수(W)가, 조립된 상태에서 피고정 레일(2)과 연계되는 리브(11, 12)의 표면에서 이행점(27, 28) 영역 내에 홀딩암(25, 26)이 지지되도록 하는 치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 시스템.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립된 상태에서, 토션부(19, 20)가 리브(11, 12)에 안착하지 않으면서, 리브(11, 12)와 평행하게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 시스템.
  10.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텐션클램프(14, 15)는 그 형태가 ω-형이고, 중앙부(16)는 루프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중앙부로부터 2개의 토션부(19, 20)가 나와서 서로 반대 방향을 지향하며, 각 이행부(21, 22)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굽어진 말단부(29, 30)를 구비하는 각 홀딩암(25, 26)까지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 시스템.
  11.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립된 상태에서, 텐션클램프(14, 15)의 토션부(19, 20)가 지지판(5, 6) 위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 시스템.
  12. 중앙부(16)와, 상기 중앙부(16)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토션부(19, 20)와, 상기 토션부(19, 2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만곡된 이행부(21, 22)와, 상기 이행부(21, 22)에 연결되어 있으며, 위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토션부(19, 20)의 반대방향으로 연장하는 홀딩암(25, 26)을 구비하는, 레일(2) 고정용 텐션클램프에 있어서,
    위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홀딩암(25, 26)의 자유 단부와 연계된 홀딩암(25, 26)의 말단부(29, 30)가 토션부(19, 20) 반대편을 향하도록 굽어져 있고,
    위에서 보았을 때에, 이행부(21, 22)로부터 나온 홀딩암(25, 26)의 일부분(23, 24)이 토션부(19, 20) 방향으로 지향하고 있으며,
    이행부(21, 22)로부터 나온 홀딩암(25, 26)의 일부분(23, 24) 각각이 토션부(19, 20) 반대편을 지향하는 홀딩암(25, 26)의 각 말단부(29, 30)와 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용 텐션클램프.
  13. 제12항에 있어서, 말단부(29, 30)와 그 말단부와 만나는 홀딩암(25, 26)의 일부분이 둔각(β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용 텐션클램프.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말단부(29, 30)가 일부분(23, 24)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용 텐션클램프.
  16. 제12항, 제13항 및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굽어진 곡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용 텐션클램프.
  17. 제12항, 제13항 및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형태가 ω-형이고, 중앙부(16)는 루프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중앙부로부터 2개의 토션부(19, 20)가 나와서 서로 반대 방향을 지향하며, 각 이행부(21, 22)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굽어진 말단부(29, 30)를 구비하는 각 홀딩암(25, 26)까지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용 텐션클램프.
KR1020107006767A 2007-09-27 2008-09-26 레일 고정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용 텐션클램프 KR1016277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46543.4 2007-09-27
DE102007046543A DE102007046543A1 (de) 2007-09-27 2007-09-27 System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und Spannklemme für ein solches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170A KR20100065170A (ko) 2010-06-15
KR101627778B1 true KR101627778B1 (ko) 2016-06-13

Family

ID=40202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6767A KR101627778B1 (ko) 2007-09-27 2008-09-26 레일 고정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용 텐션클램프

Country Status (29)

Country Link
US (1) US8408477B2 (ko)
EP (1) EP2191069B1 (ko)
KR (1) KR101627778B1 (ko)
CN (1) CN101815824B (ko)
AR (1) AR068637A1 (ko)
AU (1) AU2008306993B2 (ko)
BR (1) BRPI0817532A2 (ko)
CL (1) CL2008002896A1 (ko)
DE (1) DE102007046543A1 (ko)
DK (1) DK2191069T3 (ko)
EA (1) EA015808B1 (ko)
ES (1) ES2614952T3 (ko)
HK (1) HK1147298A1 (ko)
HR (1) HRP20170362T1 (ko)
HU (1) HUE031996T2 (ko)
IL (1) IL204527A (ko)
LT (1) LT2191069T (ko)
MX (1) MX2010003277A (ko)
PE (1) PE20091139A1 (ko)
PL (1) PL2191069T3 (ko)
PT (1) PT2191069T (ko)
RS (1) RS55722B1 (ko)
SA (1) SA08290617B1 (ko)
SI (1) SI2191069T1 (ko)
TW (1) TWI460335B (ko)
UA (1) UA98808C2 (ko)
UY (1) UY31369A1 (ko)
WO (1) WO2009043822A1 (ko)
ZA (1) ZA20100218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886B1 (ko) 2018-12-14 2019-04-24 대원강업주식회사 고속철도용 레일 체결장치의 체결스프링 특성 시험 장치 및 시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41112B4 (de) * 2009-09-15 2014-10-30 Vossloh-Werke Gmbh System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und Befestigung einer Schiene
EP2369055B1 (de) * 2010-03-12 2014-04-30 Vossloh-Werke GmbH System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und Führungsplatte für ein solches System
ES2525249T3 (es) * 2010-03-12 2014-12-19 Vossloh-Werke Gmbh Sistema para fijar un carril y pieza de adaptador para un sistema de este tipo
DE102010013055A1 (de) * 2010-03-26 2011-09-29 Thyssenkrupp Gft Gleistechnik Gmbh Spannklemme
DE102010050200A1 (de) 2010-11-04 2012-05-10 Vossloh-Werke Gmbh Spannklemme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und mit einer solchen Spannklemme ausgestattetes System
US9045866B2 (en) 2010-11-04 2015-06-02 Vossloh-Werke Gmbh Tensioning clamp for fastening a rail and system equipped with a tensioning clamp of this type
US8844836B2 (en) 2010-11-04 2014-09-30 Vossloh-Werke Gmbh Rail clamp for attaching a rail and system provided with a rail clamp of this type
DE102010050199A1 (de) 2010-11-04 2012-05-10 Vossloh-Werke Gmbh Spannklemme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und mit einer solchen Spannklemme ausgestattetes System
DE102011000896A1 (de) * 2011-02-23 2012-08-23 Vossloh-Werke Gmbh System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RS54793B1 (sr) * 2011-06-10 2016-10-31 Schwihag Ag Pričvrsni sistem za šine
EA027349B1 (ru) * 2012-10-31 2017-07-31 Швихаг Аг Пружин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рельсов
EP3271512B1 (en) 2015-03-16 2019-10-09 Top-Off NV Casing for concrete bedding of railway and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a railway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055A (en) * 1887-08-30 Wire-rope-making machine
GB772821A (en) * 1955-02-22 1957-04-17 George Turton Platts & Co Ltd Means for securing rails to rail chairs or other supporting base
BE757946A (fr) * 1969-10-27 1971-04-01 Munch Wilhelm Fixation de rails
US4625912A (en) * 1978-08-02 1986-12-02 True Temper Railway Appliances, Inc. Railway fastening assembly
US4442973A (en) * 1978-08-02 1984-04-17 True Temper Railway Appliances, Inc. Rail fastening assemblies
DE3147387C2 (de) 1981-11-30 1985-04-18 Hoesch Ag, 4600 Dortmund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Schienen
DE3526653A1 (de) * 1985-07-25 1987-02-05 Vossloh Werke Gmbh Schienenbefestigung mittels einer elastischen spannklemme
US4844337A (en) * 1987-03-27 1989-07-04 Chemetron-Railway Products, Inc. Railway rail assembly
DE19608823C1 (de) * 1996-03-07 1997-05-22 Krupp Ag Hoesch Krupp Seitenverstellbare federnde Schienenbefestigung
EP1116827A1 (de) * 2000-01-14 2001-07-18 Vossloh Werke GmbH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Schienen
AU2002365463A1 (en) * 2001-11-30 2003-06-10 Vossloh-Werke Gmbh Spring element for tensioning rails for railed vehicles
DE202004020752U1 (de) 2004-06-08 2005-12-29 Vossloh-Werke Gmbh Schienenbefestigungssystem
DE102004033724B3 (de) * 2004-07-13 2005-10-27 Vossloh-Werke Gmbh System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für Schienenfahrzeuge
ATE510067T1 (de) 2006-01-21 2011-06-15 Vossloh Werke Gmbh System zur befestigung einer schie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886B1 (ko) 2018-12-14 2019-04-24 대원강업주식회사 고속철도용 레일 체결장치의 체결스프링 특성 시험 장치 및 시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015808B1 (ru) 2011-12-30
LT2191069T (lt) 2017-02-10
AU2008306993B2 (en) 2014-08-14
TWI460335B (zh) 2014-11-11
US8408477B2 (en) 2013-04-02
EP2191069A1 (de) 2010-06-02
ES2614952T3 (es) 2017-06-02
TW200925353A (en) 2009-06-16
EA201000462A1 (ru) 2010-10-29
HRP20170362T1 (hr) 2017-04-21
CN101815824A (zh) 2010-08-25
HUE031996T2 (en) 2017-08-28
IL204527A (en) 2014-08-31
PT2191069T (pt) 2017-02-15
AR068637A1 (es) 2009-11-25
SA08290617B1 (ar) 2011-02-13
CN101815824B (zh) 2013-09-11
KR20100065170A (ko) 2010-06-15
HK1147298A1 (en) 2011-08-05
SI2191069T1 (sl) 2017-04-26
EP2191069B1 (de) 2016-12-07
PE20091139A1 (es) 2009-08-01
UY31369A1 (es) 2009-04-30
RS55722B1 (sr) 2017-07-31
DE102007046543A1 (de) 2009-04-16
US20100308123A1 (en) 2010-12-09
DK2191069T3 (en) 2017-02-27
IL204527A0 (en) 2010-11-30
UA98808C2 (ru) 2012-06-25
ZA201002183B (en) 2010-12-29
BRPI0817532A2 (pt) 2015-03-31
AU2008306993A1 (en) 2009-04-09
PL2191069T3 (pl) 2017-07-31
MX2010003277A (es) 2010-04-09
CL2008002896A1 (es) 2010-01-22
WO2009043822A1 (de) 200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7778B1 (ko) 레일 고정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용 텐션클램프
TWI385291B (zh) 用於扣緊軌道的系統之支撐件及用於扣緊軌道之系統
JP5185136B2 (ja) レールを固定するシステム
US9139959B2 (en) System for fastening a rail in place and fastening for a rail
RU2381319C2 (ru) Упругофрикционное рельсовое скрепление для рельсовых путей
US20110047786A1 (en) Guide plate for a system for securing a rail on a substrate and a system comprising such guide plate
RU2491382C2 (ru) Система крепления рельса к основанию
US9045866B2 (en) Tensioning clamp for fastening a rail and system equipped with a tensioning clamp of this type
JP5778292B2 (ja) レールを取付けるレールクランプおよびこの形式のレールクランプが設けられたシステム
JP2000257001A (ja) 分岐器用床板の締結構造
JP4553747B2 (ja) 鋼製まくらぎのレール継目用絶縁締結装置
CA3042480A1 (en) Tension clamp, guide plate and fastening point for securing a rail to a ground surface
JP3058592B2 (ja) 高さ調節機能付レール締結装置
JPS5911001B2 (ja) レ−ルを支持部材上に固定するため装置
KR100329814B1 (ko) 철도 체결장치
JP3081826B2 (ja) レールの無螺釘弾性締結装置
KR101067836B1 (ko) 횡압력 감쇄장치와 이를 이용한 침목 체결구조 및 방법
JP6909274B2 (ja) レール間隔調整構造
JPH0732563Y2 (ja) レールブレスの無螺釘弾性締結構造
KR101005105B1 (ko) 레일고정장치
JP2019056238A (ja) 鉄道用分岐器におけるレールブレス
RU218403U1 (ru) Клемма промежуточного рельсового скрепления
JP4374259B2 (ja) 床板の締結構造
KR100661607B1 (ko) 레일의 탄성 체결장치
JPH08156657A (ja) 剛体電車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