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2685B1 - 네스티드 체크 고속 밸브 - Google Patents
네스티드 체크 고속 밸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2685B1 KR101622685B1 KR1020157021044A KR20157021044A KR101622685B1 KR 101622685 B1 KR101622685 B1 KR 101622685B1 KR 1020157021044 A KR1020157021044 A KR 1020157021044A KR 20157021044 A KR20157021044 A KR 20157021044A KR 101622685 B1 KR101622685 B1 KR 1016226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ve
- valve plate
- valve assembly
- piston
- flui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05—Throttling passages in or on piston body, e.g. slo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 B60G13/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 B60G13/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 B60G13/0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hydraulic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6—Special sealings, including sealings or guides for piston-ro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16F9/512—Means responsive to load action, i.e. static load on the damper or dynamic fluid pressure changes in the damper, e.g. due to changes in velocity
- F16F9/5126—Piston, or piston-like valve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1—Dam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완충기(shock absorber)는 압축 행정 시에 작용하는 압축밸브 어셈블리, 반동 행정(rebound stroke) 시에 작용하는 반동밸브 어셈블리, 그리고 압축밸브 어셈블리 및 반동밸브 어셈블리 중 하나 또는 모두와 직렬 연결된 속도감응밸브를 포함한다. 압축밸브 어셈블리, 반동밸브 어셈블리 및 속도감응밸브는 피스톤 어셈블리, 베이스밸브 어셈블리 또는 둘 모두에 통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출원서에 개시된 발명 내용은 일반적으로 차량용 현가장치(懸架裝置) 같은 현가장치에서 사용되는 유압 댐퍼(hydraulic damper)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피스톤 어셈블리들 그리고/혹은 베이스밸브 어셈블리들에 결합될 수 있는 고속 밸브 어셈블리들에 관한 것이다.
본 단락에 있는 서술들은 단지 본 명세서와 관련된 배경정보만 제공할 뿐 선행기술이 되지는 않는다.
완충기(shock absorber)들은 현가장치의 움직임 동안 발생하는 불필요한 진동들을 흡수하기 위하여 자동차 현가장치들 및 다른 현가장치들과 함께 사용된다. 이러한 불필요한 진동들을 흡수하기 위하여, 차량용 완충기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스프링 상중량(sprung)(차체)와 스프링 하중량(unsprung)(서스펜션/샤시)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자동차용 완충기들의 가장 흔한 유형은 단-통식(mono-tube design) 혹은 복-통식(dual-tube design)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는 대시포트(dashpot) 형(型)이다. 단-통식에서는, 피스톤은 압력관(pressure tube) 내에 위치하고 피스톤 로드(piston rod)를 통하여 차량의 스프링 상중량에 연결되어 있다. 압력관은 차량의 스프링 하중량에 연결되어 있다. 피스톤은 압력관을 상부 작동실(working chamber)과 하부 작동실로 나눈다. 피스톤은, 압축 행정 동안 하부 작동실로부터 상부 작동실로의 감쇠유체(damping fluid))의 흐름을 제한하는 압축밸브와 신장(伸長) 내지 확장 행정 동안 상부 작동실로부터 하부 작동실로의 감쇠유체의 흐름을 제한하는 반동밸브(rebound valve)를 포함한다. 압축밸브 및 반동밸브가 감쇠유체의 흐름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완충기는, 만약 반대 경우라면 스프링 하중량에서 스프링 상중량으로 전해질 진동들에 대항하는 감쇠력(daming force, 減衰力)을 생산할 수 있다.
복-통식 완충기에서는, 유체 저장공간(fluid reservior)은 압력관 및 압력관 주위에 위치한 저장관(reservior tube)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밸브 어셀블리는 감쇠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하부 작동실과 유체 저장공간 사이에 위치해 있다. 피스톤의 압축밸브(compressing valving)는 베이스밸브 어셈블리로 이동되고 압력체크밸브 어셈블리에 의해 대체된다. 압축밸브 외에 베이스밸브 어셈블리는 또한 반동체크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베이스밸브 어셈블리의 압축밸브는 감쇠력을 압축 행정 동안 생산하고, 피스톤의 반동밸브는 감쇠력을 신장 내지 확장 행정 동안 생산한다. 압축 및 반동체크밸브 어셈블리 모두 유체가 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나, 유체가 반대 방향으로는 흐르지 못하게 한다; 그러나, 그것들은 감쇠력을 생산하지는 않도록 고안되었다.
본 출원서 개시된 발명 내용은 고속 밸브 어셈블리들을 피스톤 어셈블리 및 베이스밸브 어셈블리 모두에 포함하는 완충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속 밸브 어셈블리들은 유압유(hydraulic fluid)의 고속 이동 동안 유량(流量) 면적을 축소시키는 밸브를 포함한다.
그 이상의 적용분야는 여기에 제공된 서술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그 서술과 특정 예들은 단지 도해(圖解) 목적용으로 의도되었을 뿐, 본 명세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의도가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유압유(hydraulic fluid)의 고속 이동 동안 유량(流量) 면적을 축소시킬 수 있다.
여기 묘사된 그림들은 단지 도해 목적용이며 어떠한 식으로든 본 명세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의도된 것이 아니다.
도1은 본 출원서의 발명 내용에 따른 고유한 베이스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한 전형적인 자동차의 모식도이다;
도2는 본 출원서의 발명 내용에 따른 완충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3은 도2에서 도해된 피스톤 어셈블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4는 도2에서 도해된 베이스밸브 어셈블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완충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6은 도5에서 도해된 피스톤 어셈블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7은 도5에서 도해된 베이스밸브 어셈블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완충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9는 도8에서 도해된 피스톤 어셈블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완충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11은 도10에서 도해된 피스톤 어셈블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12는 도10에서 도해된 베이스밸브 어셈블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완충기의 측면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14는 도13에서 도해된 피스톤 어셈블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1은 본 출원서의 발명 내용에 따른 고유한 베이스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한 전형적인 자동차의 모식도이다;
도2는 본 출원서의 발명 내용에 따른 완충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3은 도2에서 도해된 피스톤 어셈블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4는 도2에서 도해된 베이스밸브 어셈블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완충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6은 도5에서 도해된 피스톤 어셈블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7은 도5에서 도해된 베이스밸브 어셈블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완충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9는 도8에서 도해된 피스톤 어셈블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완충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11은 도10에서 도해된 피스톤 어셈블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12는 도10에서 도해된 베이스밸브 어셈블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완충기의 측면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14는 도13에서 도해된 피스톤 어셈블리의 확대 단면도이다.
하기의 서술은 본질적으로 단지 예시에 불과하고 본 명세, 응용, 혹은 용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제 동일한 참조번호들이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품들을 가리키는 여러 형태의 도면들을 참조하면, 도1에는 본 출원서의 발명 내용에 따른 완충기들을 결합시킨 현가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도시되어 있다. 차량은 참조번호 10으로 표기되어 있다. 차량(10)은 후방 현가장치(12), 전방 현가장치(14) 그리고 차체(16)를 포함한다. 후방 현가장치(12)는 차량(10)의 뒷바퀴(18) 한 쌍을 실질적으로 지지하기에 적합하게 만들어진 횡(橫)으로 연장된 후방 차축 어셈블리(나타나 있지 않음)를 구비한다. 후방 차축 어셈블리는 완충기(220) 한 쌍과 나선형 코일스프링(22) 한 쌍에 의하여 차체(16)에 실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전방 현가장치(14)는 차량(10)의 앞바퀴(24) 한 쌍을 실재제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가로로 연장되어 있는 전방 차축 어셈블리(나타나 있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전방 차축 어셈블리는 또 다른 완충기(26) 한 쌍과 나선형 코일스프링(28) 한 쌍에 의하여 차체(16)에 실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완충기(220)와 완충기(26)는 차량(10)의 스프링 하중량 (즉, 전방 및 후방 현가장치들 12와 14 각각)과 스프링 상중량(즉, 차체 16) 간의 상대운동을 감쇠(damping)하는 기능을 한다. 차량(10)이 전방 및 후방 차축 어셈블리들을 지닌 승용차로 묘사되어 있지만, 완충기들(20, 26)은 다른 종류의 차량들 내지는 독립 전륜 그리고/혹은 독립 후륜 현가장치들을 결합시킨 차량들과 같이 다른 유형의 적용들에 있어서도 사용된다. 게다가, 여기 사용된 "완충기(shock absorber)"라는 용어는 대개 댐퍼(dapmer)들을 가리키기 위한 의미이고 따라서 맥퍼슨 스트럿(MacPherson struts)을 포함할 것이다.
이제 도2를 참조하면, 완충기(220)가 더욱 상세히 나타나있다. 도2가 단지 완충기(220)만을 도해하고 있지만, 완충기(26)가 아래에서 설명될 완충기(220)용 밸브 어셈블리들을 또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완충기(26)는 단지 차량(10)의 스프링 상중량 및 스프링 하중량에 연결되는 점에 있어서 완충기(220)와 다르다. 완충기(220)는 압력관(pressure tube)(30), 피스톤 어셈블리(piston assembly)(32), 피스톤 로드(piston rod)(34), 저장관(reservior tube)(36) 및 베이스밸브 어셈블리(38)를 포함한다.
압력관(30)은 작동실(42)을 정의한다. 피스톤 어셈블리(32)는 압력관(30) 내에 미끄러질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작동실(working chamber)(42)을 상부 작동실(44)과 하부 작동실(46)로 나눈다. 밀봉체(seal, 48)는 피스톤 어셈블리(32)와 압력관(30)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데, 이는 과도한 마찰력을 발생시키지 않을 뿐 아니라 또한 상부 작동실(44)을 하부 작동실(46)로부터 밀폐시키면서도 피스톤 어셈블리(32)로 하여금 압력관(30)에 대하여 슬라이딩 유동을 가능케 하기 위함이다. 피스톤 로드(34)는 피스톤 어셈블리(32)에 부착되어 있고, 상부 작동실(44) 및 압력관(30) 상단 끝을 봉하는 상단 마개(50)로 연장되어 있다. 밀봉시스템은 상단 끝 마개(50), 저장관(36) 및 피스톤 로드(34) 간의 경계면을 봉한다. 피스톤 어셈블리(32) 반대편에 있는 피스톤 로드(34)의 끝단은 차량(10)의 스프링 상중량 부분에 안전하게 체결되어 있다. 피스톤 어셈블리(32) 내부의 밸브는, 압력관(30) 내부에서의 피스톤 어셈블리(32)의 움직임 동안 상부 작동실(44) 및 하부 작동실(46) 사이에 있는 유체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피스톤 로드(34)는 하부 작동실(46)이 아닌 오직 상부 작동실(44)에서만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압력관(30)에 대한 피스톤 어셈블리(32)의 움직임은 상부 작동실(44)에서의 배출 유체량과 하부 작동실(46)에서의 배출 유체량에 차이를 야기한다. 배출 유체량의 차이는 "로드볼륨(rod volume)"으로 알려져 있으며 베이스밸브 어셈블리(38)를 통과하여 흐른다.
저장관(36)은 관들(30, 36) 사이에 위치한 유체 저장실(fluid reservior chamber)(52)을 정의하기 위하여 압력관(30)을 둘러싸고 있다. 저장관(36)의 바닥 끝단은 차량(10)의 스프링 하중량 부분에 연결되도록 개조된 끝마개(end cap, 54)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다. 저장관(36)의 상부 끝단은 상부 끝마개(50)에 부착되어 있다. 베이스밸브 어셈블리(38)는 챔버들(46, 52) 사이의 유체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하부 작동실(46)과 저장실(5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완충기(220)의 길이가 연장되면, "로드볼륨" 때문에 유체의 추가적인 용량이 하부 작동실(46)에서 요구된다. 따라서, 유체는 아래 상술(詳述)한 바와 같이 베이스밸브 어셈블리(38)를 통하여 저장실(52)에서 하부 작동실(46)로 흐를 것이다. 완충기(220)가 압축되면 "로드볼륨" 때문에 유체의 잉여분은 하부 작동실(46)로부터 제거되어야 한다. 따라서, 유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밸브 어셈블리(38)를 통해 하부 작동실(46)로부터 저장실(52)로 흐를 것이다.
이제 도3을 참조하면, 피스톤 어셈블리(32)는 밸브몸체(valve body)(60), 압축체크밸브 어셈블리(62), 그리고 반동밸브 어셈블리(64)를 포함하고 있다. 압축체크밸브 어셈블리(62)는 피스톤 로드(34)에 있는 숄더(shoulder, 66)에 조립되어 있다. 밸브몸체(60)는 압축체크밸브 어셈블리(62)에 조립되어 있고, 반동밸브 어셈블리(64)는 밸브몸체(60)에 조립되어 있다. 너트(68)는 이러한 구성 요소들을 피스톤 로드(34)에 고정시킨다. 밸브몸체(60)는 복수의 압축통로(compression passage)(70)와 복수의 반동통로(rebound passage)(72)를 정의한다.
압축체크밸브 어셈블리(62)는 리테이너(retainer)(80), 밸브판(valve disc)(82) 그리고 스프링(84)을 포함한다. 리테이너(80)는 한쪽 말단으로는 숄더(66)에 접해 있고, 다른 쪽 말단으로는 밸브몸체(60)에 접해 있다. 밸브판(82)은 밸브몸체(60)에 접해 있고, 압축통로(70)를 차단한다. 밸브판(82)은 반동통로(72)를 개방된 채로 두는 복수의 개구(aperture)(開口)(86)를 정의한다. 스프링(84)은 밸브몸체(60)에 대하여 밸브판(82)을 바이어스(bias) 하기 위하여 리테이너(80)와 밸브판(8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압축 행정(行程) 동안, 하부 작동실(46)에 있는 유체에 압력이 가해져 유체 압력으로 하여금 밸브판(82)에 대하여 반동(反動)하도록 만든다. 밸브판(82)에 대한 유체압력이 스프링(84)의 바이어스 부하(viasing load)를 극복하게 되면, 압축통로(70)를 열어 하부 작동실(46)로부터 유체가 상부 작동실(44)로 흐르도록 하기 위하여 밸브판(82)이 밸브몸체(60)로부터 분리된다. 일반적으로, 스프링(84)은 밸브판(82)에 가벼운 바이어스 부하만을 가하고 압축체크밸브 어셈블리(62)는 챔버들(46, 44) 사이에서 체크밸브로써 작동한다. 압축 행정 동안 완충기(220)의 감쇠 특성들은 "로드볼륨"에 기인하여 하부 작동실(46)에서 저장실(52)로의 유체의 흐름을 수용하는 베이스밸브 어셈블리(38)에 의하여 제어된다. 반동 행정 동안, 압축통로(70)는 밸브판(82)에 의하여 차단된다.
반동밸브 어셈블리(64)는 복수의 밸브판(90)과 속도감응(velocity sensitive) 밸브판(92)을 포함한다. 복수의 밸브판(90)은 복수의 반동통로(72)를 차단시키기 위하여 밸브몸체(60)와 너트(68) 사이에 끼어져 있다. 속도감응 밸브판(92)은 복수의 밸브판(90)으로부터 밸브몸체(60)의 반대쪽 측면에 있는 압축체크밸브 어셈블리(62)의 밸브판(82) 밑에 있다. 유체 압력이 밸브판(90)에 가해지면, 그것은 반동밸브 어셈블리(64)를 열기 위하여 그 외부 주변 가장자리에서 탄력적으로 휠 것이다.
반동 행정 동안, 상부 작동실(44)에 있는 유체에 압력이 가해져 유체로 하여금 밸브판(90)에 대하여 반동하도록 만든다. 밸브판(90)에 대해 반동하는 유체 압력이 밸브판(90)의 굽힘하중(bending load)을 극복하면, 밸브판(90)은 탄력적으로 휘어 반동통로(72)를 열고 상부 작동실(44)로부터 유체가 흘러 개구(開口)(86)들을 통하여 속도감응 밸브판(92)을 지나 반동통로(72)를 통하여 하부 작동실(46)로 가게 한다. 밸브판(90)의 강도와 반동통로(72)의 크기가 반동 시 완충기(220)의 감쇠 특성들을 결정지을 것이다. 속도감응 밸브판(92)을 지나간 유체 흐름이 예정된 속도에 달하면, 속도감응 밸브판(92)과 밸브몸체(60) 사이의 흐름이 제한되고 압력강하가 생긴다. 속도감응 밸브판(92)의 상부 작동실 측의 압력이 이제 속도감응 밸브판(92)의 하부 작동실 측의 압력보다 높기 때문에, 속도감응 밸브판(92)은 밸브몸체(60)를 향하여 휠 것이다. 결과적으로 속도감응 밸브판(92)과 밸브몸체(60) 사이에 접촉이 일어나 닫힘 상태를 만들 것이다. 속도감응 밸브판(92)은 기하학적으로 배치된 디스크 시트(disc seat)(94)에 접하고, 닫힘 상태에서 배치된 디스크 시트(94)를 통한 전체 유량은 복수의 반동통로(72)의 전체 유량보다 적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속도감응 밸브판(92)이 닫히면, 유량면적은 축소되고, 발생한 감쇠력은 증가될 것이다. 비록 유체로 속도감응 밸브판(92)을 지나게끔 장착된 것으로 디스크시트(94)가 설명되었지만, 연속적인 디스크 시트(94)를 제공하고 속도감응 밸브판(92)에 형성된 복수의 흐름 포트(flow ports)를 구비하는 것도 본 명세서의 발명 내용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이제 도4를 참조하면, 베이스밸브 어셈블리(38)는 밸브몸체(100), 흡입 내지 반동체크밸브 어셈블리(102), 압축밸브 어셈블리(104), 리테이닝(retaining) 볼트(106) 및 리테이닝 너트(108)를 포함한다. 밸브몸체(100)는 압입 혹은 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다른 방법들에 의하여 압축관(30) 및 마개(54)에 고정되어 있다. 마개(54)는 저장관(36)에 고정되어 있고 저장실(reservoir chamber)(52)과 베이스밸브 어셈블리(38)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유체통로(110)를 정의한다. 밸브몸체(100)는 복수의 흡입 내지 반동유체통로(112), 복수의 압축유체통로(114), 중심보어(116)를 정의한다. 리테이닝 볼트(106)는 반동체크밸브 어셈블리(102)와 압축밸브 어셈블리(104) 양자를 밸브몸체(10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중심보어(116)를 통하여 연장되고 리테이닝 너트(108)를 나사산으로 장착한다. 도4가 리테이닝 볼트(106) 및 리테이닝 너트(108)를 도해하고 있을지라도,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밸브핀 같은 다른 리테이너들도 활용될 수 있다.
반동체크밸브 어셈블리(102)는 리테이닝 너트(108), 밸브판(122) 및 스프링(124)을 포함한다. 밸브판(122)은 밸브몸체(100)에 접하며 반동유체통로(112)를 차단한다. 밸브판(122)은 압축유체통로(114)를 개방된 채로 두는 복수의 개구(開口)(126)를 정의한다. 스프링(124)은 밸브몸체(100)에 대하여 밸브판(122)을 바이어스(bias)하기 위하여 리테이닝 너트(108)와 밸브판(12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반동 행정 동안, 하부 작동실(46)에서의 유체는 저장실(52)에 있는 유체압력으로 하여금 밸브판(122)에 대하여 반동하도록 하는 압력이 감소한다. 밸브판(122)에 대한 유체압력이 스프링(124)의 바이어스 부하(bias load)를 극복하면, 반동유체통로(112)를 열고 저장실(52)로부터 유체가 하부 작동실(46)로 흐르도록 밸브판(122)은 밸브몸체(100)로부터 분리된다. 일반적으로, 스프링(124)은 밸브판(122)에 가벼운 바이어스 부하만을 가하고 반동체브밸브 어셈블리(102)는 챔버들(52, 46) 사이에서 체크밸브로 작동한다. 반동 행정 동안 완충기(220)의 감쇠 특성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작동실(44)에서 하부 작동실(46)로의 유체 흐름을 수용하는 피스톤 어셈블리(32)에 의하여 제어된다. 압축 행정(行程) 동안, 반동유체통로(112)는 밸브판(122)에 의하여 차단된다.
압축밸브 어셈블리(104)는 복수의 밸브판(130) 및 속도감응 밸브판(132)을 포함한다. 복수의 밸브판(130)은 복수의 압축유체통로(114)를 봉쇄하기 위하여 밸브몸체(100)와 리테이닝 볼트(106) 사이에 끼어있다. 속도감응 밸브판(132)은 복수의 밸브판(130)으로부터 밸브몸체(100)의 반대쪽 측면에 있는 반동체브밸브 어셈블리(102)의 밸브판(122) 밑에 있다. 유체 압력이 밸브판(130)에 가해지면, 그것은 압축밸브 어셈블리(104)를 열기 위하여 그 외부의 주변 가장자리에서 탄력적으로 휠 것이다.
압축행정 동안, 하부 작동실(46)에서의 유체에 압력이 가해져 유체로 하여금 밸브판(130)에 대하여 반동하게 만든다. 밸브판(130)에 대해 반동하는 유체 압력이 밸브판(130)의 굽힘 하중을 극복하면, 밸브판(130)은 탄력적으로 휘어 압축유체통로(114)를 열고 하부 작동실(46)로부터 유체가 흘러 개구(126)들을 통하여 속도감응 밸브판(132)을 지나 압축유체통로(114)를 통하여 저장실(52)로 가게 한다. 밸브판(130)의 강도와 압축유체통로(114)의 크기는 압축 받을 때 완충기(220)의 감쇠 특성들을 결정지을 것이다. 속도감응 밸브판(132)을 지난 유체 흐름이 예정된 속도에 달하면, 속도감응 밸브판(132)과 밸브몸체(100) 사이의 흐름은 제한되고 압력 강하(壓力降下)가 생긴다. 속도감응 밸브판(132)의 하부 작동실 측의 압력이 이제 속도감응 밸브판(132)의 저장실 측의 압력보다 높기 때문에, 속도감응 밸브판(132)은 밸브몸체(100)를 향하여 휠 것이다. 결과적으로, 속도감응 밸브판(132)과 밸브몸체(100)사이에 접촉이 일어나 닫힘 상태를 만든다. 속도감응 밸브판(132)은 연속적인 디스크 시트(134)에 접하고 속도감응 밸브판(132)은 복수의 흐름 포트(136)를 정의하며, 닫힘 상태에서 포트(136)를 통한 전체 유량이 복수의 압축유체통로(114)의 전체 유량보다 작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속도감응 밸브판(132)이 닫히면, 유량은 감소하고 발생한 감쇠력이 증가할 것이다.
이제 도5를 참조하면, 완충기(220)가 더욱 상세히 나타나 있다. 도5가 완충기(220)만을 도해하고 있을지라도, 완충기(26)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완충기(220)용 밸브 어셈블리들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완충기(26)는 그것이 차량(10)의 스프링 상중량 및 하중량에 연결되는 방식에서 완충기(220)와 다르다. 완충기(220)는 압력관(230), 피스톤 어셈블리(232), 피스톤 로드(234), 저장관(236) 및 베이스밸브 어셈블리(238)를 포함한다.
압력관(230)은 작동실(242)을 정의한다. 피스톤 어셈블리(232)는 압력관(239) 내에 미끄러질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작동실(242)을 상부 작동실(244)과 하부 작동실(246)로 나눈다. 밀봉체(seal)(248)는 과도한 마찰력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또한 하부 작동실(246)로부터 상부 작동실(244)을 봉쇄하면서 압력관(230)에 대한 피스톤 어셈블리(232)의 슬라이드 유동을 허용하기 위하여 피스톤 어셈블리(232)와 압력관(23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234)는 피스톤 어셈블리(232)에 부착되어 있고 상부 작동실(244) 및 압력관(230)의 상부 끝을 봉하는 상단 끝마개(250)를 통하여 연장되어 있다. 밀봉시스템은 상단 끝마개(250), 저장관(236) 및 피스톤 로드(234) 간의 경계면을 봉한다. 피스톤 어셈블리(232)의 반대 쪽 면에 있는 피스톤 로드(234)의 말단은 차량(10)의 스프링 상중량 부분에 고정되기에 적합하게 만들어져 있다. 피스톤 어셈블리(232) 내의 밸브는, 압력관(230) 내의 피스톤 어셈블리(232)의 움직임 동안 상부 작동실(244) 및 하부 작동실(246) 사이에 있는 유체 움직임을 제어한다. 피스톤 로드(234)가 하부 작동실(246)이 아닌 오직 상부 작동실(244)에서만 연장되기 때문에, 압력관(230)에 대한 피스톤 어셈블리(232)의 움직임은 상부 작동실(244)에서의 배출 유체량과 하부 작동실에서의 배출 유체량 사이에 차이를 야기한다. 이 유체량의 차이는 "로드볼륨" 으로 알려져 있고 베이스밸브 어셈블리(238)를 통하여 흐른다.
저장관(236)은 관들(230, 236) 사이에 위치한 유체 저수지실(252)을 정의하기 위하여 압력관(230)을 둘러싼다. 저장관(236)의 바닥 끝단은 차량(10)의 스프링 하중량 부분에 연결되도록 적합하게 만들어진 마개(254)에 의하여 밀폐된다. 저장관(236)의 상단 끝단은 상단 마개(250)에 부착되어 있다. 베이스밸브 어셈블리(238)는 챔버들(246, 252) 사이에서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기 위하여 하부 작동실(246)과 저수지실(25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완충기(220)의 길이가 연장되면, 유체의 추가적인 용량이 "로드볼륨" 개념에 기인하여 하부 작동실(246)에서 요구된다. 따라서, 유체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밸브 어셈블리(238)를 통하여 저수지실(252)에서 하부 작동실(246)로 흐를 것이다. 완충기(220)의 길이가 압축되면, 유체 초과량은 "로드볼륨"에 기인하여 하부 작동실(246)에서 제거되어야 한다. 따라서, 유체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밸브 어셈블리(238)를 통하여 하부 작동실(246)에서 저수지실(252)로 흐를 것이다.
이제 도6을 참조하자면, 피스톤 어셈블리(232)는 밸브몸체(260), 압축체크밸브 어셈블리(262) 및 반동밸브 어셈블리(264)를 포함한다. 압축체크밸브 어셈블리(262)는 피스톤 로드(234)에 있는 숄더(266)에 조립되어 있다. 밸브몸체(260)는 압축체크밸브 어셈블리(262)에 조립되어 있고 반동밸브 어셈블리(264)는 밸브몸체(260)에 조립되어 있다. 너트(268)는 이러한 구성요소들을 피스톤 로드(234)에 고정되게 한다. 밸브몸체(260)는 복수의 압축통로(270) 및 복수의 반동통로(272)를 정의한다.
압축체크밸브 어셈블리(262)는 리테이너(280), 밸브판(282) 그리고 스페이서(284)를 포함한다. 리테이너(280)는 숄더(266)에 접하고, 스페이서(284)는 다른 쪽 말단에서 밸브몸체(260)에 접한다. 밸브판(282)은 밸브몸체(260)에 접하고 압축 통로(270)를 봉쇄한다. 밸브판(282)은 반동통로(272)를 개방된 채로 두는 복수의 개구(286)를 정의한다. 압축 행정 동안, 하부 작동실(246)에 있는 유체에 압력이 가해져 유체 압력으로 하여금 밸브판(282)에 대하여 반동하도록 만든다. 밸브판(282)에 대한 유체 압력이 밸브판(282)의 굽힘 하중을 극복하면, 압축 통로(270)을 열어 하부 작동실(246)로부터 유체가 상부 작동실(244)로 흐르도록 하기 위하여 밸브판(282)이 휘어져 밸브몸체(260)로부터 분리된다. 일반적으로 밸브판(282)은 피스톤 몸체(260)에 가벼운 바이어스 부하만을 가하고 압축체크밸브 어셈블리(262)는 챔버들(246, 244) 사이에서 체크밸브로 작동한다. 압축 행정 동안 완충기(220)의 감쇠 특성들은 "로드볼륨"에 기인하여 하부 작동실(246)에서 저수지실(252)로의 유체 흐름을 수용하는 베이스밸브 어셈블리(238)에 의하여 제어된다. 반동 행정 동안, 압축 통로(270)는 밸브판(282)에 의하여 차단된다.
반동밸브 어셈블리(264)는 복수의 밸브판(290) 및 하나의 속도감응 밸브판(292)을 포함한다. 복수의 밸브판(290)은 복수의 반동통로(272)를 봉쇄하기 위하여 밸브몸체(260) 및 너트(268) 사이에 끼어 있다. 속도감응 밸브판(292)은 복수의 밸브판(290)으로부터 밸브몸체(260)의 반대쪽 측면에 있는 압축체크밸브 어셈블리(262)의 밸브판(282) 위에 있다. 속도감응 밸브판(292)은 속도감응 밸브판(292)이 그 닫힘 상태에 있을 때 유체가 흐르도록 하는 복수의 홈 내지 개구(294)를 정의한다. 유체 압력이 밸브판(290)에 가해지면, 그것은 반동밸브 어셈블리(264)를 열기 위하여 그 외부 주변 가장자리에서 탄력적으로 휠 것이다.
반동 행정 동안, 상부 작동실(244)에 있는 유체에 압력이 가해져 유체로 하여금 밸브판(290)에 대하여 반동하도록 만든다. 밸브판(290)에 대하여 반동하는 유체 압력이 밸브판(290)의 굽힘 하중을 극복하면, 밸브판(290)은 탄력적으로 휘어 반동통로(272)를 열고 상부 작동실(244)로부터 유체가 흘러 개구(286)들을 통하여 속도감응 밸브판(292)을 지나 반동통로(272)를 통하여 하부 작동실(246)로 가게 한다. 밸브판(290)의 강도와 반동통로(272)의 크기는 반동시 완충기(220)의 감쇠 특성들을 결정지을 것이다. 속도감응 밸브판(292)을 지난 유체의 흐름이 예정된 속도에 달하면, 속도감응 밸브판(292) 및 밸브몸체(260) 사이에 있는 흐름이 제한되고 압력 강하가 생긴다. 속도감응 밸브판(292)의 상부 작동실 측에 있는 압력이 이제 속도감응 밸브판(292)의 하부 작동실 측에 있는 압력보다 높기 때문에, 속도감응 밸브판(292)은 밸브몸체(260)를 향하여 휠 것이다. 결과적으로 속도감응 밸브판(292)과 밸브판(282) 사이에 접촉이 일어나 닫힌 상태를 만들 것이다. 속도감응 밸브판(292)의 개구(294)들을 통한 전체 유량은 복수의 반동통로(272)의 전체 유량보다 작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속도감응 밸브판(292)이 닫히면, 유량면적이 축소하고 발생한 감쇠력이 증가될 것이다.
이제 도7을 참조하자면, 베이스밸브 어셈블리(238)는 밸브몸체(300), 흡입 내지 반동체크밸브 어셈블리(302), 압축밸브 어셈블리(304), 리테이닝 볼트(306), 그리고 리테이닝 너트(308)를 포함한다. 밸브몸체(300)는 압입 혹은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다른 방법들에 의하여 압력관(230) 및 마개(254)에 고정되어 있다. 마개(254)는 저수지관(236)에 고정되어 있으며, 저수지실(252) 및 베이스밸브 어셈블리(238) 사이을 연결하는 복수의 유체통로(310)를 정의한다. 밸브몸체(300)는 복수의 흡입 내지 반동유체통로(312), 복수의 압축유체통로(314), 그리고 중심보어(312)를 정의한다. 리테이닝 볼트(306)는 반동체크밸브 어셈블리(302) 및 압축밸브 어셈블리(304) 양자를 밸브몸체(30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중심보어(318)를 통하여 연장되고 리테이닝 너트(308)를 나사산으로 장착한다. 도7이 리테이닝 볼트(306) 및 리테이닝 너트(308)를 도해하고 있을지라도,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밸브핀 같은 다른 리테이너들도 활용될 수 있다.
반동체크밸브 어셈블리(302)는 리테이닝 너트(308), 밸브판(322) 및 스페이서(324)를 포함한다. 밸브판(322)은 밸브몸체(300)에 접하고 반동유체통로(312)를 차단한다. 밸브판(322)은 압축유체통로(314)를 개방된 채로 두는 복수의 개구(326)를 정의한다. 스페이서(324)는 밸브몸체(300)에 대하여 밸브판(322)을 바이어스(bias) 하기 위하여 밸브몸체(300)와 밸브판(32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반동 행정 동안, 하부 작동실(246)에서의 유체는 압력이 감소되어 저수지실(252)에 있는 유체 압력으로 하여금 밸브판(322)에 대하여 반동하도록 만든다. 밸브판(322)에 대한 유체 압력이 밸브판(322)의 굽힘 하중을 극복하면, 반동유체통로(312)를 열고 저수지실(252)로부터 유체가 하부 작동실(246)로 흐르게 하기 위하여 밸브판(322)이 휘어져 밸브판(300)으로부터 분리된다. 일반적으로, 밸브판(322)의 굽힘 하중은 밸브판(322)에 가벼운 바이어스 부하만을 가하고, 반동체크밸브 어셈블리(302)는 챔버들(252, 246) 사이에서 체크밸브로 작동한다. 반동 행정 동안 완충기(220)의 감쇠 특성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작동실(244)로부터 하부 작동실(246)로의 유체 흐름을 수용하는 피스톤 어셈블리(232)에 의하여 제어된다. 압축 행정 동안, 반동유체통로(312)는 밸브판(322)에 의하여 차단된다.
압축밸브 어셈블리(304)는 복수의 밸브판(330)과 하나의 속도감응 밸브판(332)을 포함한다. 복수의 밸브판(330)은 복수의 압축유체통로(314)를 봉쇄하기 위하여 밸브몸체(300)와 리테이닝 볼트(306) 사이에 끼어 있다. 속도감응 밸브판(332)은 복수의 밸브판(330)으로부터 밸브몸체(300)의 반대쪽 측면에 있는 반동체크밸브 어셈블리(302)의 밸브판(322) 위에 있다. 속도감응 밸브판(332)는 속도감응 밸브판(332)이 닫힘 상태에 있을 때 유체로 하여금 흐르도록 하는 복수의 홈 내지는 개구(334)를 정의한다. 유체 압력이 밸브판(330)에 가해지면, 그것은 압축밸브 어셈블리(304)를 열기 위하여 그 외부 주변 가장자리에서 탄력적으로 휠 것이다.
압축 행정 동안, 하부 작동실(246)에 있는 유체에 압력이 가해져 유체로 하여금 밸브판(330)에 대하여 반동하도록 만든다. 밸브판(330)에 대하여 반동하는 유체 압력이 밸브판(330)의 굽힘 하중을 극복하면, 밸브판(330)은 탄력적으로 휘어 압축유체통로(314)를 열고 하부 작동실(246)로부터 유체가 흘러 개구(326)들을 통하여 속도감응 밸브판(332)을 지나 압축유체통로(314)를 통하여 저수지실(252)로 가게 한다. 밸브판(330)의 강도와 압축유체통로(314)의 크기는 압축 받을 때 완충기(220)의 감쇠 특성들을 결정지을 것이다. 속도감응 밸브판(332)을 지난 유체의 흐름이 예정된 속도에 달하면, 속도감응 밸브판(332) 및 밸브몸체(300) 사이에서의 흐름은 제한되고 압력강하가 생긴다. 속도감응 밸브판(332)의 하부 작동실 측에 있는 압력이 이제 속도감응 밸브판(332)의 저수지실 측에 있는 압력보다 높기 때문에 속도감응 밸브판(332)은 밸브몸체(300)를 향하여 휠 것이다. 결과적으로 속도감응 밸브판(332)과 밸브판(322) 사이에 접촉이 일어나 닫힌 상태를 만들 것이다. 속도감응 밸브판(332)의 개구(334)들을 통한 전체 유량은 복수의 압축유체통로(314)의 전체 유량보다 작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속도감응 밸브판(332)이 닫히면, 유량면적이 축소되고 발생한 감쇠력이 증가할 것이다.
이제 도8을 참조하면, 완충기(420)가 더욱 상세히 나타나 있다. 완충기(420)는 단-통식 구조이다. 도8이 단지 완충기(420)만을 도해하고 있을지라도, 완충기(26)가 완충기(420)용으로 아래에서 설명하는 밸브 어셈블리도 또한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완충기(26)는 단지 차량(10)의 스프링 상중량 및 하중량에 연결되는 방식에서 완충기(420)와 다르다. 완충기(420)는 압력관(430), 피스톤 어셈블리(432) 및 피스톤 로드(434)를 포함한다.
압력관(430)은 작동실(442)을 정의한다. 피스톤 어셈블리(432)는 압력관(430) 내에 미끄러질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작동실(442)을 상부 작동실(444)과 하부 작동실(446)로 나눈다. 밀봉체(448)는 과도한 마찰력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동시에 상부 작동실(444)을 하부 작동실(446)로부터 봉쇄하면서 압력관(430)에 대한 피스톤 어셈블리(432)의 슬라이드 유동을 허용하기 위하여 피스톤 어셈블리(432)와 압력관(43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434)는 피스톤 어셈블리(432)에 부착되어 있고, 상부 작동실(444)과 압력관(430) 상단 끝을 봉하는 상단 끝마개(450)를 통하여 연장되어 있다. 밀봉시스템은 상단 끝마개(450), 저장관(436) 및 피스톤 로드(434) 사이의 경계면을 봉한다. 피스톤 어셈블리(432)의 반대쪽 측면에 있는 피스톤 로드(434)의 끝 부분은 차량(10)의 상중량에 고정되도록 적합하게 만들어져 있다. 피스톤 어셈블리(432) 내의 밸브는, 압력관(430) 내의 피스톤 어셈블리(432)의 움직임 동안 상부 작동실(444)과 하부 작동실(446) 사이에 있는 유체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피스톤 로드(434)가 하부 작동실(446)이 아닌 오직 상부 작동실(444)을 통하여 연장되기 때문에, 압력관(430)에 대한 피스톤 어셈블리(432)의 움직임은 상부 작동실(444)에서의 배출 유체량과 하부 작동실(446)에서의 배출 유체량의 차이를 야기한다. 이 배출 유체량에서의 차이는 "로드볼륨"으로 알려져 있으며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작동실(442) 내의 밀폐된 챔버에 의하여 보완된다.
이제 도9를 참조하면, 피스톤 어셈블리(432)는 밸브몸체(460), 압축밸브 어셈블리(462)와 반동밸브 어셈블리(464)를 포함한다. 압축밸브 어셈블리(462)는 피스톤 로드(434)에 있는 숄더(466)에 조립되어 있다. 밸브몸체(460)는 압축밸브 어셈블리(462)에 조립되어 있고 반동밸브 어셈블리(464)는 밸브몸체(460)에 조립되어 있다. 너트(468)는 이러한 구성요소들을 피스톤 로드(434)에 고정시킨다. 밸브몸체(460)는 복수의 압축유체통로(470)와 복수의 반동통로(472)를 정의한다.
압축밸브 어셈블리(462)는 리테이너(480), 복수의 밸브판(482), 스프링(484), 스페이서(486), 워셔(washer)(488)를 포함한다. 리테이너(480)는 한 쪽 말단으로는 숄더(466)에, 다른 쪽 말단으로는 워셔(488)에 접한다. 복수의 밸브판(482)은 밸브몸체(460)와 스페이서(48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밸브판(482)은 밸브몸체(460)에 접하고 압축유체통로(470)을 차단한다. 복수의 밸브판(482)은 너트(468)의 조여짐에 의하여 밸브몸체(460)와 스페이서(486) 사이에 끼어 있다. 스프링(484)은 워셔(488)가 밸브몸체(460)를 향하고 스페이서(486)에 대하여 바이어스(bias) 하게 한다. 워셔(488)는 압력관(430)의 외경(外徑)과 내경(內徑) 사이에 맞도록 매우 근접한 간격을 가지고 있다. 이 간극은, 스프링(484)의 바이어스 부하를 극복하고 와셔(488)를 움직이기에 충분하도록 와셔를 가로지르는 압력강하를 제공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와셔(488)의 내경과 리테이너(480)의 외경은, 와셔(488)가 스페이서(486)에 대하여 바이어스 할 때 유로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이 유로는 와셔(488)의 움직임에 의하여 밸브몸체(460)로부터 벗어나 점진적으로 폐쇄될 것이다. 이 유로의 폐쇄는 예정된 피스톤 어셈블리 속도에서 감쇠 하중에 필요한 증가를 만들 것이다.
압축 행정 동안, 하부 작동실(446)에서의 유체에 압력이 가해져 유체로 하여금 밸브판(482)에 대하여 반동하도록 만든다. 밸브판(482)에 대하여 반동하는 유체 압력이 밸브판(482)의 굽힘 하중을 극복하면, 밸브판(482)은 탄력적으로 휘어 압축유체통로(470)를 열어 하부 작동실(446)로부터 상부 작동실(444)로 유체가 흐르게 한다. 밸브판(482)의 강도와 압축유체통로(470)의 크기는 압축 받을 때 완충기(420)의 감쇠 특성들을 결정지을 것이다. 와셔(488)를 지난 유체의 흐름이 예정된 속도에 달하면, 와셔(488)의 내경과 외경 주위의 흐름은 제한되고 압력강하가 생긴다. 와셔(488)의 하부 작동실 측에 있는 압력이 이제 와셔(488)의 상부 작동실 측에 있는 압력보다 높기 때문에, 와셔(488)는 밸브몸체(460)로부터 벗어나 와셔(488)의 내경과 리테이너(480) 사이에 있는 유로를 점진적으로 차단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와셔(488)는 리테이너(480)에 접촉하고 닫힘 상태를 만들 것이다. 와셔(488)의 외경과 압력관(430)의 내경 사이에 있는 전체 유량면적은 복수의 압축유체통로(470)의 전체 유량면적보다 작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와셔(488)가 닫히면, 유량면적이 감소하고 발생한 감쇠력이 증가될 것이다.
반동밸브 어셈블리(464)는 밸브판(490), 스프링 리테이너(492), 스프링(494) 그리고 너트(468)를 포함한다. 너트(468)는 피스톤 로드(434)에 나사산으로 장착되어 있고, 복수의 반동유체통로(472)를 봉쇄하기 위하여 밸브몸체(460)에 대하여 밸브판(490)이 바이어스하게 한다. 스프링(494)은 밸브몸체(460) 및 밸브판(490)을 향해 스프링 리테이너(492)를 밸브몸체(460)에 대해서 바이어스 하도록 너트(468)와 스프링 리테이너(49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반동 행정 동안, 상부 작동실(444)에 있는 유체에 압력이 가해져 유체 압력으로 하여금 복수의 밸브판(490)에 대하여 반동하게 만든다. 복수의 밸브판(490)에 대한 유체 압력이 복수의 밸브판(490)의 굽힘 하중과 스프링(494)의 바이어스를 극복하게 되면, 복수의 반동유체통로(472)를 열기 위하여 복수의 밸브판(490)이 밸브몸체(460)로부터 떨어져 휘어진다. 복수의 밸브판(490)의 설계 및 복수의 반동유체통로(472)의 크기와 스프링(494)의 설계는, 반동 행정 동안의 완충기(420)의 감쇠 특성들을 결정지을 것이다.
이제 도10을 참조하면, 완충기(620)가 더욱 상세히 나타나 있다. 도10이 완충기(620)만을 도해하고 있을지라도, 완충기(26)가 완충기(620)용으로 아래에서 설명하고 있는 밸브 어셈블리들도 또한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완충기(26)는 차량(10)의 스프링 상중량 및 하중량에 연결되는 점에 있어서 완충기(620)와 다르다. 완충기(620)는 압력관(630), 피스톤 어셈블리(632), 피스톤 로드(634), 저장관(636), 및 베이스밸브 어셈블리(638)를 포함한다.
압력관(630)은 작동실(642)을 정의한다. 피스톤 어셈블리(632)는 압력관(630) 내에 미끄러질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작동실(642)을 상부 작동실(644)과 하부 작동실(646)로 나눈다. 밀봉체(648)는 과도한 마찰력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동시에 하부 작동실(646)로부터 상부 작동실(644)을 봉쇄하면서 압력관(630)에 대한 피스톤 어셈블리(632)의 슬라이드 유동을 허용하도록 피스톤 어셈블리(632)와 압력관(63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634)는 피스톤 어셈블리(632)에 부착되어 있고 상부 작동실(644) 및 압력관(630)의 상단 끝을 봉하는 상단 마개(650)를 통하여 연장되어 있다. 밀봉 시스템은 상단 끝 마개(650), 저장관(636) 및 피스톤 로드(634) 사이의 경계면을 봉한다. 피스톤 어셈블리(632)에 반대쪽 면에 있는 피스톤 로드(634)의 끝 부분은 차량(10)의 스프링 상중량 부분에 고정되도록 적합하게 만들어져 있다. 피스톤 어셈블리(632) 내의 밸브는, 압력관(630) 내의 피스톤 어셈블리(632)의 움직임 동안 상부 작동실(644)과 하부 작동실(646) 사이에 있는 유체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피스톤 로드(634)가 하부 작동실(646)이 아닌 오직 상부 작동실(644)을 통해서만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압력관(630)에 대한 피스톤 어셈블리(632)의 움직임은 상부 작동실(644)에서의 배출 유체량과 하부 작동실(646)에서의 배출 유체량의 차이를 야기한다. 이 배출 유체량에서의 차이는 "로드볼륨"으로 알려져 있으며 베이스밸브 어셈블리(638)를 통하여 흐른다.
저장관(636)은 튜브들(630, 636) 사이에 위치한 유체 저수지실(652)을 정의하기 위하여 압력관(630)을 둘러싼다. 저장관(636)의 하부 끝 부분은, 차량(10)의 스프링 하중량 부분에 연결되기에 적합하게 한 마개(654)에 의하여 차단된다. 저장관(636)의 상부 끝은 상단 마개(650)에 부착되어 있다. 베이스밸브 어셈블리(638)는 챔버들(646, 652) 사이에 있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하여 하부 작동실(646)과 저수지실(65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완충기(620)의 길이가 연장되면, 유체의 추가적인 용량이 "로드볼륨" 때문에 하부 작동실(646)에서 요구된다. 따라서, 유체는 아래 상술(詳述)한 바와 같이 베이스밸브 어셈블리(638)를 통하여 저수지실(652)로부터 하부 작동실(646)으로 흐를 것이다. 완충기(620)의 길이가 압축되면, 유체 초과량이 "로드볼륨" 개념 때문에 하부 작동실(646)로부터 제거되어야 한다. 따라서, 유체는 아래 상술(詳述)한 바와 같이 베이스밸브 어셈블리(638)를 통하여 하부 작동실(646)로부터 저수지실(652)로 흐를 것이다.
이제 도11을 참조하면, 피스톤 어셈블리(632)는 밸브몸체(660), 압축체크밸브 어셈블리(662) 및 반동밸브 어셈블리(664)를 포함한다. 압축체크밸브 어셈블리(662)는 피스톤 로드(634) 위의 숄더(666)에 조립되어 있다. 밸브몸체(660)는 압축체크밸브 어셈블리(662)에 조립되어 있고 반동밸브 어셈블리(664)는 밸브몸체(660)에 조립되어 있다. 너트(668)는 이러한 구성요소들을 피스톤 로드(634)에 고정시킨다. 밸브몸체(660)는 복수의 압축통로(670) 및 복수의 반동통로(672)를 정의한다.
압축체크밸브 어셈블리(662)는 리테이너(680), 밸브판(682) 및 스프링(684)을 포함한다. 리테이너(680)는 한 쪽 끝으로는 숄더(666)에 또한 다른 쪽 말단으로는 밸브몸체(660)에 접한다. 밸브판(682)은 밸브몸체(660)에 접하고 압축 통로(670)를 차단한다. 밸브판(682)은 반동통로(672)를 개방된 채로 두는 복수의 개구(686)를 정의한다. 스프링(684)은 밸브몸체(660)에 대하여 밸브판(682)을 바이어스 하기 위하여 리테이너(680)와 밸브판(68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압축 행정 동안, 하부 작동실(646)에 있는 유체에 압력이 가해져 유체 압력으로 하여금 밸브판(682)에 대한 반동을 하게 만든다. 밸브판(682)에 대한 유체 압력이 스프링(684)의 바이어스 부하를 극복하면, 압축 통로(670)를 열어 하부 작동실(646)로부터 유체가 상부 작동실(644)로 흐르도록 밸브판(682)이 밸브몸체(660)로부터 분리된다. 일반적으로, 스프링(684)은 밸브판(682)에 가벼운 바이어스 부하만을 가하고 압축체크밸브 어셈블리는 챔버들(646, 644) 사이에서 체크밸브로 작동한다. 압축 행정 동안의 완충기(620)의 감쇠 특성들은 "로드볼륨"에 기인하여 하부 작동실(646)에서 저수지실(652)로의 유체의 흐름을 수용하는 베이스밸브 어셈블리(638)에 의하여 제어된다. 반동 행정 동안, 압축통로(670)는 밸브판(682)에 의하여 차단된다.
반동밸브 어셈블리(664)는 복수의 밸브판(690), 접시스프링 모양으로 생긴 속도감응 밸브판(692), 그리고 디스크 리테이너(694)를 포함한다. 복수의 밸브판(690)은 복수의 반동통로(672)를 봉쇄하기 위하여 밸브몸체(660)와 너트(668) 사이에 끼어 있다. 속도감응 밸브판(692)은 복수의 밸브판(690)으로부터 밸브몸체(660)의 반대쪽 면에 있는 압축체크밸브 어셈블리(662)의 밸브판(682) 밑에 있다. 디스크 리테이너(694)는 속도감응 밸브판(692)을 계속 유지하기 위하여 밸브몸체(660)에 의하여 정의된 환형채널 내에 압입되어 있다. 속도감응 밸브판(692)은 속도감응 밸브판(692)이 닫힘 상태에 있을 때 유체로 흐르게 하는 복수의 홈 내지 개구(696) 를 정의한다. 유체 압력이 밸브판(690)에 가해지면, 그것은 반동밸브 어셈블리(664)를 열기 위하여 그 외부 주변가장자리에서 탄력적으로 휠 것이다.
반동 행정 동안, 상부 작동실(644)에 있는 유체에 압력이 가해져 유체로 하여금 밸브판(690)에 대하여 반동하도록 만든다. 밸브판(690)에 대하여 반동하는 유체 압력이 밸브판(690)의 굽힘 하중을 극복하게 되면, 밸브판(690)은 탄력적으로 휘어 반동통로(672)를 열어 상부 작동실(644)로부터 유체가 흘러 개구(686)를 통하여 속도감응 밸브판(692)을 지나 반동통로(672)를 통하여 하부 작동실(646)로 가게 한다. 밸브판(690)의 강도와 반동통로(672)의 크기는 반동시 완충기(620)의 감쇠 특성들을 결정지을 것이다. 속도감응 밸브판(692)을 지난 유체의 흐름이 예정된 속도에 달하면, 속도감응 밸브판(692)과 밸브몸체(660) 사이에 있는 흐름이 제한되고 압력강하가 생긴다. 속도감응 밸브판(692)의 상부 작동실 측에 있는 압력이 이제 속도감응 밸브판(692)의 하부 작동실 측에 있는 압력 보다 높기 때문에, 속도감응 밸브판(692)은 밸브몸체(660)를 향하여 휠 것이다. 결과적으로 속도감응 밸브판(692)과 밸브몸체(660) 사이에 접촉이 일어나 닫힘 상태를 만들 것이다. 속도감응 밸브판(692)의 개구(696)를 통한 전체 유량은 복수의 반동통로(672)의 전체 유량 보다 작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속도감응 밸브판(692)이 봉쇄되면, 유량이 감소되고 발생한 감쇠력이 증가될 것이다.
이제 도12를 참조하면, 베이스밸브 어셈블리(638)는 밸브몸체(700), 흡입 내지 반동체크밸브 어셈블리(702), 압축밸브 어셈블리(704), 리테이닝 볼트(706) 그리고 리테이닝 너트(708)를 포함한다. 밸브몸체(700)는 압입 혹은 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다른 방법들에 의하여 압력관(630)과 마개(654)에 고정되어 있다. 마개(654)는 저장관(636)에 고정되어 있고, 저수지실(652)과 베이스밸브 어셈블리(638)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유체통로(710)를 정의한다. 밸브몸체(700)는 복수의 흡입 내지 반동유체통로(712), 복수의 압축유체통로(714), 그리고 중심보어(718)를 정의한다. 리테이닝 볼트(706)는 중심보어(718)를 통하여 연장되고, 반동체크밸브 어셈블리(702)와 압축밸브 어셈블리(704) 양자를 밸브몸체(700)에 고정하기 위하여 리테이닝 너트(706)에 나사산으로 장착되어 있다. 도12가 비록 리테이닝 볼트(706)와 리테이닝 너트(708)를 도해하고 있을지라도, 밸브핀 같은 다른 리테이너들도 활용될 수 있으며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반동체크밸브 어셈블리(702)는 리테이닝 너트(708), 밸브판(722), 스프링(724)을 포함한다. 밸브판(722)은 밸브몸체(700)에 접하고 반동유체통로(712)를 차단한다. 밸브판(722)은 압축유체통로(714)를 개방된 채로 두는 복수의 개구(726)를 정의한다. 스프링(724)은 밸브몸체(700)에 대하여 밸브판(722)을 바이어스 하도록 리테이닝 너트(708)와 밸브판(72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반동 행정 동안, 하부 작동실(646)에 있는 유체는 압축으로 감소되어 저수지실(652)에 있는 유체 압력으로 하여금 밸브판(722)에 대하여 반동하도록 만든다. 밸브판(722)에 대한 유체 압력이 스프링(724)의 바이어스 부하를 극복하게 되면, 반동유체통로(712)를 열어 저수지실(652)로부터 유체가 하부 작동실(646)로 흐르도록 밸브판(722)이 밸브몸체(700)로부터 분리된다. 일반적으로, 스프링(724)은 밸브판(722)에 가벼운 바이어스 부하만을 가하고 반동체크밸브 어셈블리(702)는 챔버들(652, 646) 사이에서 체크밸브로써 작동한다. 반동 행정 동안의 완충기(620)의 감쇠 특성들은 상술(上述)한 바와 같이 상부 작동실(644)로부터 하부 작동실(646)로의 유체의 흐름을 수용하는 피스톤 어셈블리(632)에 의하여 제어된다. 압축 행정 동안, 반동유체통로(712)는 밸브판(722)에 의하여 차단된다.
압축밸브 어셈블리(704)는 복수의 밸브판(730), 하나의 속도감응 밸브판(732) 그리고 하나의 디스크 리테이너(734)를 포함한다. 복수의 밸브판(730)은, 복수의 압축유체통로(714)를 봉쇄하기 위하여 밸브몸체(700)와 리테이닝 볼트(706) 사이에 끼어 있다. 속도감응 밸브판(732)은 복수의 밸브판(730)으로부터 밸브몸체(700)의 반대쪽 면에 있는 반동체크밸브 어셈블리(702)의 밸브판(722) 밑에 있다. 디스크 리테이너(734)는 속도감응 밸브판(732)을 유지하기 위하여 밸브몸체(700)에 의하여 정의된 환형채널 내에 압입되어 있다. 속도감응 밸브판(732)은 속도감응 밸브판(732)이 닫힘 상태에 있을 때 유체로 하여금 흐르게 하는 복수의 홈 내지 개구(736)를 정의한다. 유체 압력이 밸브판(730)에 가해지면, 그것은 압축밸브 어셈블리(704)를 열기 위하여 그 외부 주변 가장자리에서 탄력적으로 휠 것이다.
압축 행정 동안, 하부 작동실(646)에 있는 유체에 압력이 가해져 유체로 하여금 밸브판(730)에 대하여 반동하도록 만든다. 밸브판(730)에 대하여 반동하는 유체압력이 밸브판(730)의 굽힘 하중을 극복하면, 밸브판(730)은 탄력적으로 휘어 압축유체통로(714)를 열어 하부 작동실(646)로부터 유체가 흘러 개구(726)를 통하여 속도감응 밸브판(732)을 지나 압축유체통로(714)를 통과하여 저수지실(652)로 가게 한다. 밸브판(730)의 강도와 압축유체통로(714)의 크기는 압축을 받을 때 완충기(620)의 감쇠 특성들을 결정지을 것이다. 속도감응 밸브판(732)을 지난 유체의 흐름이 예정된 속도에 달하면, 속도감응 밸브판(732)과 밸브몸체(700) 사이에 있는 흐름이 제한되고 압력강하가 생긴다. 속도감응 밸브판(732)의 하부 작동실측에 있는 압력이 이제 속도감응 밸브판(732)의 저수지실 측에 있는 압력보다 높기 때문에 속도감응 밸브판(732)은 밸브몸체(700)를 향하여 휠 것이다. 결과적으로 속도감응 밸브판(732)과 밸브몸체(700) 사이에 접촉이 일어나 닫힘 상태를 만들 것이다. 속도감응 밸브판(794)의 개구(796)를 통한 전체 유량면적은 복수의 압축유체통로(714)의 전체 유량면적보다 작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속도감응 밸브판(732)이 닫히면, 유량면적이 감소되고 발생한 감쇠력이 증가될 것이다.
이제 도13을 참조하면, 완충기(820)가 더욱 상세히 나타나 있다. 완충기(820)는 단통식 구조이다. 도14가 단지 완충기(820)만을 도해하고 있을지라도, 완충기(26)가 아래에서 설명하고 있는 완충기(820)용 밸브 어셈블리들도 또한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완충기(26)는 차량(10)의 스프링 상중량 및 하중량에 연결되는 점에서 완충기(820)와 다르다. 완충기(820)는 압력관(830), 피스톤 어셈블리(832) 및 피스톤 로드(834)를 포함한다.
압력관(830)은 작동실(842)을 정의한다. 피스톤 어셈블리(832)는 미끄러질 수 있도록 압력관(830) 내에 배치되어 있고 작동실(842)을 상부 작동실(844)과 하부 작동실(846)로 나눈다. 밀봉체(848)는 과도한 마찰력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동시에 하부 작동실(846)로부터 상부 작동실(844)을 봉쇄하면서 압력관(830)에 대한 피스톤 어셈블리(832)의 슬라이딩 유동을 허용하기 위하여 피스톤 어셈블리(832)와 압력관(83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834)는 피스톤 어셈블리(832)에 부착되어 있고 상부 작동실(844)과 압력관(830)의 상단 끝을 봉하는 상단 끝 마개(850)를 통하여 연장되어 있다. 밀봉 시스템은 상단 끝 마개(850), 저장관(836) 및 피스톤 로드(834) 사이의 경계면을 봉한다. 피스톤 어셈블리(832)의 반대쪽 면에 있는 피스톤 로드(834)의 말단은 차량(10)의 스프링 상중량 부분에 고정되기에 적합하게 만들어져 있다. 피스톤 어셈블리(832) 내의 밸브는, 압력관(830) 내의 피스톤 어셈블리(832)의 움직임 동안 상부 작동실(844)과 하부 작동실(846) 사이에 있는 유체의 움직임을 통제한다. 피스톤 로드(834)가 하부 작동실(846)이 아닌 오직 상부 작동실(844)로만 연장되기 때문에, 압력관(830)에 대한 피스톤 어셈블리(844)의 움직임은 상부 작동실(844)에서의 배출 유체량과 하부 작동실(846)에서의 배출 유체량에 차이를 야기한다. 이 배출 유체량에서의 차이는 "로드볼륨"으로 알려져 있으며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작동실(842) 내의 밀폐된 챔버에 의하여 보완된다.
이제 도14를 참조하면, 피스톤 어셈블리(832)는 밸브몸체(860), 압축밸브 어셈블리(862) 및 반동밸브 어셈블리(864)를 포함한다. 압축밸브 어셈블리(862)는 피스톤 로드(834)에 있는 숄더(866)에 조립되어 있다. 밸브몸체(860)는 압축밸브 어셈블리(862)에 조립되어 있고 반동밸브 어셈블리(864)는 밸브몸체(860)에 조립되어 있다. 너트(868)는 이러한 구성요소들을 피스톤 로드(834)에 고정한다. 밸브몸체(860)는 복수의 압축유체통로(870)와 복수의 반동유체통로(872)를 정의한다.
압축밸브 어셈블리(862)는 리테이너(880), 복수의 밸브판(882), 속도감응 밸브판(884), 스페이서(886) 그리고 피스톤(888)을 포함한다. 리테이너(880)는 한 쪽 끝으로는 숄더(866)에 또한 반대 쪽 끝으로는 복수의 밸브판(882)에 접하고 있다. 복수의 밸브판(882)은 밸브몸체(460)에 접하고 유체 압축 통로(470)를 차단한다. 스페이서(886)는 복수의 밸브판(882)의 반대쪽 면에 있는 리테이너(880)에 접한다. 속도감응 밸브판(884)은 스페이서(886)에 접하고 피스톤(888)은 속도감응 밸브판(884)에 접한다. 피스톤(888)은 또한 피스톤 로드(834)에 의하여 정의된 숄더(890)에 접한다. 속도감응 밸브판(884)은 피스톤(888) 상의 디스크면에 접하며 이 디스크는 표면에서 피스톤(888)을 통하여 연장된 복수의 유체통로(892)를 정의하는 피스톤(888)과의 간격을 제공한다. 속도감응 밸브판(884)과 피스톤(888) 간의 간격은 복수의 유체통로(892)를 통하여 유체가 흐르도록 하는 유체통로를 정의한다. 이 유체통로는 속도감응 밸브판(884)의 변형에 따라 피스톤(888) 쪽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닫힐 것이다. 속도감응 밸브판(884)은 속도감응 밸브판(884)이 그 닫힘 상태에 있을 때 유체로 하여금 흐르게 하는 복수의 홈 내지 개구(894)를 정의한다. 속도감응 밸브판(884)의 밀폐는 예정된 피스톤 어셈블리 속도에서 감쇠 하중에 필요한 증가를 만들 것이다. 피스톤(888)은 피스톤 어셈블리(832)의 움직임 동안 복수의 유체통로(892)를 통하여 모든 유체의 흐름을 지정하는 압력관(830)의 내부표면에 밀봉되게끔 맞물린다.
압축행정 동안, 하부 작동실(846)에 있는 유체에 압력이 가해져 유체로 하여금 밸브판(882)에 대하여 반동하게 만든다. 밸브판(882)에 대하여 반동하는 유체 압력이 밸브판(882)의 굽힘 하중을 극복하면, 밸브판(882)은 탄력적으로 휘어져 압축유체통로(870)를 열어 하부 작동실(846)에서 상부 작동실(844)로 유체가 흐르게 한다. 밸브판(882)의 강도와 압축유체통로(870)의 크기는 압축을 받을 때 완충기(820)의 감쇠 특성들을 결정지을 것이다. 속도감응 밸브판(884)을 지난 유체흐름이 예정 속도에 달하게 되면, 흐름은 제한되고 압력강하가 생긴다. 속도감응 밸브판(884)의 하부 작동실측에서의 압력이 이제 속도감응 밸브판(884)의 상부작동실측에서의 압력보다 높기 때문에, 속도감응 밸브판(884)은 피스톤(888)을 향하여 휠 것이고 점진적으로 복수의 유체통로(892)를 봉쇄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속도감응 밸브판(884)은 피스톤(888)에 접촉하게 되어 닫힘 상태를 만들 것이다. 복수의 개구(894)의 전체 유량면적은 복수의 압축유체통로(870)의 전체 유량면적 보다 작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속도감응 밸브판(884)이 닫히면, 유량면적이 감소되고 감쇠력은 증가될 것이다.
반동밸브 어셈블리(864)는 복수의 밸브판(896), 리테이너(898) 그리고 너트(868)를 포함한다. 너트(868)는 피스톤 로드(834)에 나사산으로 끼워지며, 복수의 반동유체통로(872)를 봉쇄하기 위하여 복수의 밸브판(896)에 대하여 스프링 리테이너(492)를 바이어스 하며 또한 밸브몸체(860)에 대하여 복수의 밸브판(896)을 바이어스 한다. 반동 행정 동안, 상부 작동실(844)에 있는 유체에 압력이 가해져 유체 압력으로 하여금 복수의 밸브판(896)에 대하여 반동하도록 만든다. 복수의 밸브판(896)에 대한 유체 압력이 복수의 밸브판(896)의 굽힘 하중을 극복하면, 복수의 반동유체통로(872)를 열기 위하여 복수의 밸브판(896)은 밸브몸체(860)로부터 떨어져 휘어진다. 복수의 밸브판(896)의 설계와 복수의 반동유체통로(872)의 크기는 반동 행정 동안의 완충기(420)의 감쇠 특성들을 결정지을 것이다.
Claims (20)
- 유체실을 형성하는 압력관;
상기 유체실 내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실을 상부 작동실 및 하부 작동실로 나누고, 피스톤압축통로 및 피스톤반동통로를 정의하는 피스톤 몸체;
상기 피스톤 몸체에 부착되며 상기 압력관의 한쪽 끝으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
상기 피스톤 몸체에 직접 맞물리는 제 1 밸브판(82)을 포함하는 제1 밸브 어셈블리(62);
상기 피스톤 몸체에 맞물리는 제 2 밸브 어셈블리(64);
상기 피스톤 로드에 부착되고 보통 상태에서 열림 상태이며, 상기 압력관에 대한 상기 피스톤 몸체의 반동행정동안 예정된 속도에 반응하여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제 2 밸브판(92)을 포함하는 피스톤 속도감응 밸브(92)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밸브판(92)은 상기 피스톤 몸체와 상기 제 1 밸브판(82)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밸브판(92)이 상기 닫힘 위치일 때, 상기 제 2 밸브판(92)의 외측 둘레 부분은 상기 피스톤 몸체에 직접 맞물리는 완충기(20).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밸브판(92)과 상기 피스톤 몸체에 의해 정의 되고, 상기 피스톤 속도감응 밸브(92)의 상기 제 2 밸브판(92)을 우회하는 개방 상태 유체통로를 더 포함하는 완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밸브 어셈블리(64)는 반동 밸브 어셈블리이고, 상기 반동 밸브 어셈블리는 보통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반동통로를 닫고, 상기 반동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완충기의 반동 행정 동안 열림 상태로 이동하는 완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어셈블리(62)는 압축밸브 어셈블리이고, 상기 압축밸브 어셈블리는 보통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 압축 통로를 닫으며, 상기 완충기의 압축 행정 동안 열림 상태로 이동하는 완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저장실을 정의하기 위하여 상기 압력관을 둘러싸는 저장관;
그리고 상기 작동실과 상기 저장실 사이에 배치된 베이스밸브 어셈블리를 더 포함 하며,
상기 베이스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작동실과 상기 저장실 사이에 배치되며 베이스 압축 통로 및 베이스 반동통로를 정의하는 베이스밸브몸체;
상기 베이스밸브몸체에 맞물린 제3 밸브 어셈블리(102);
상기 베이스밸브몸체에 맞물린 제4 밸브 어셈블리(104);
상기 베이스밸브몸체에 부착되며 상기 압력관에 대한 상기 피스톤 몸체의 제 2 속도에 대응하여 개방 열린 상태 및 닫힘 상태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베이스 속도감응 밸브를 포함하는 완충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속도감응 밸브는 상기 제3 밸브 어셈블리(102)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3밸브판(132)을 포함하는 완충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밸브몸체와 상기 제 3 밸브판(132)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피스톤 속도 감응 밸브(92)의 상기 제 3 밸브판(132)을 우회하는 개방 상태 유체통로를 더 포함하는 완충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밸브 어셈블리(104)는 압축밸브 어셈블리이고, 상기 압축밸브 어셈블리는 보통 상태에서는 상기 베이스 압축 통로를 닫으며 상기 완충기의 압축 행정 동안 열린 상태로 이동하는 완충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밸브판(132)은 상기 제 3 밸브판(132)을 우회하는 열린 상태 유체통로를 정의하는 개구를 정의하는 완충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밸브판(132)은 상기 제3 밸브 어셈블리(102) 및 상기 베이스밸브몸체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기.
- 유체실을 형성하는 압력관;
상기 유체실 내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실을 상부 작동실 및 하부 작동실로 나누고, 피스톤압축통로 및 피스톤반동통로를 정의하는 피스톤 몸체;
상기 피스톤 몸체에 부착되며 상기 압력관의 한쪽 끝으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
상기 피스톤 몸체에 맞물리는 제 1 밸브판(82, 282, 882)을 포함하는 제1 밸브 어셈블리(62, 262, 862);
상기 피스톤 몸체에 맞물리는 제 2 밸브 어셈블리(64, 264, 864);
상기 피스톤 로드에 부착되고 보통 상태에서 열림 상태이며, 상기 압력관에 대한 상기 피스톤 몸체의 반동행정동안 예정된 속도에 반응하여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제 2 밸브판(92, 292, 884)을 포함하는 피스톤 속도감응 밸브(92, 292, 884)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밸브판(92, 292, 884)의 내측 부분은 상기 피스톤 로드에 고정되게 부착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에 대한 상기 제 2 밸브판(92, 292, 884)의 상기 내측 부분의 축 방향 이동이 방지되는 완충기.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밸브판(92, 292, 884)과 상기 피스톤 몸체에 의해 정의 되고, 상기 피스톤 속도감응 밸브(92, 292, 884)의 상기 제 2 밸브판(92, 292, 884)을 우회하는 개방 상태 유체통로를 더 포함하는 완충기.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밸브 어셈블리(64, 864, 864)는 반동 밸브 어셈블리이고, 상기 반동 밸브 어셈블리는 보통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반동통로를 닫고, 상기 반동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완충기의 반동 행정 동안 열림 상태로 이동하는 완충기.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밸브 어셈블리(62, 262, 862)는 압축밸브 어셈블리이고, 상기 압축밸브 어셈블리는 보통 상태에서는 상기 베이스 압축 통로를 닫으며 상기 완충기의 압축 행정 동안 열린 상태로 이동하는 완충기.
- 제 11 항에 있어서, 저장실을 정의하기 위하여 상기 압력관을 둘러싸는 저장관;
그리고 상기 작동실과 상기 저장실 사이에 배치된 베이스밸브 어셈블리를 더 포함 하며,
상기 베이스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작동실과 상기 저장실 사이에 배치되며 베이스 압축 통로 및 베이스 반동통로를 정의하는 베이스밸브몸체;
상기 베이스밸브몸체에 맞물린 제3 밸브 어셈블리(102, 302);
상기 베이스밸브몸체에 맞물린 제4 밸브 어셈블리(104, 304);
상기 베이스밸브몸체에 부착되며 상기 압력관에 대한 상기 피스톤 몸체의 제 2 속도에 대응하여 개방 열린 상태 및 닫힘 상태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베이스 속도감응 밸브를 포함하는 완충기.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속도감응 밸브는 상기 제3 밸브 어셈블리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3밸브판(132, 332)을 포함하는 완충기.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밸브몸체와 상기 제 3 밸브판(132, 332)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피스톤 속도 감응 밸브(92, 292, 884)의 상기 제 3 밸브판(132, 332)을 우회하는 개방 상태 유체통로를 더 포함하는 완충기.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밸브 어셈블리(104, 304)는 압축밸브 어셈블리이고, 상기 압축밸브 어셈블리는 보통 상태에서는 상기 베이스 압축 통로를 닫으며 상기 완충기의 압축 행정 동안 열린 상태로 이동하는 완충기.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밸브판(132, 332)은 상기 제 3 밸브판(132, 332)을 우회하는 열린 상태 유체통로를 정의하는 개구를 정의하는 완충기.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밸브판(132, 332)은 상기 제3 밸브 어셈블리(102, 302) 및 상기 베이스밸브몸체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2/133,448 US8297418B2 (en) | 2008-06-05 | 2008-06-05 | Nested check high speed valve |
US12/133,448 | 2008-06-05 | ||
PCT/US2009/046382 WO2009149331A2 (en) | 2008-06-05 | 2009-06-05 | Nested check high speed valv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7029450A Division KR101629307B1 (ko) | 2008-06-05 | 2009-06-05 | 네스티드 체크 고속 밸브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93866A KR20150093866A (ko) | 2015-08-18 |
KR101622685B1 true KR101622685B1 (ko) | 2016-05-20 |
Family
ID=413988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21044A KR101622685B1 (ko) | 2008-06-05 | 2009-06-05 | 네스티드 체크 고속 밸브 |
KR1020107029450A KR101629307B1 (ko) | 2008-06-05 | 2009-06-05 | 네스티드 체크 고속 밸브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7029450A KR101629307B1 (ko) | 2008-06-05 | 2009-06-05 | 네스티드 체크 고속 밸브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5) | US8297418B2 (ko) |
JP (5) | JP5420646B2 (ko) |
KR (2) | KR101622685B1 (ko) |
CN (5) | CN103277448B (ko) |
BR (1) | BRPI0913596A2 (ko) |
DE (1) | DE112009001375T5 (ko) |
RU (1) | RU2519328C2 (ko) |
WO (1) | WO2009149331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297418B2 (en) * | 2008-06-05 | 2012-10-30 |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 Nested check high speed valve |
FR2975340B1 (fr) * | 2011-05-20 | 2014-01-31 | Messier Bugatti Dowty | Dispositif d'accouplement en rotation d'une couronne a une roue ainsi qu'un atterrisseur d'aeronef muni d'un tel dispositif. |
KR101351590B1 (ko) * | 2012-03-13 | 2014-01-16 | 주식회사 만도 | 주파수 유닛 밸브 |
KR101374877B1 (ko) * | 2012-06-13 | 2014-03-18 | 주식회사 만도 |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
JP5755616B2 (ja) * | 2012-08-31 | 2015-07-29 | 株式会社ショーワ | 油圧緩衝器及びバルブ |
WO2015000160A1 (en) * | 2013-07-04 | 2015-01-08 | Beijingwest Industries Co., Ltd. | Hydraulic suspension damper with a spring valve assembly |
JP6144833B2 (ja) * | 2013-10-24 | 2017-06-07 | ビーワイディ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Byd Company Limited | 片方向減衰プランジャシリンダ及びそれを備えるフォークリフト |
US9587703B2 (en) | 2014-05-20 | 2017-03-07 |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 Variable radius spring disc for vehicle shock absorber |
US9500251B2 (en) * | 2014-11-25 | 2016-11-22 |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 Shock absorber having orifice check disc |
JP6378618B2 (ja) * | 2014-11-25 | 2018-08-22 | Kyb株式会社 | 減衰バルブ及び緩衝器 |
CN107206861B (zh) * | 2014-11-26 | 2019-09-06 | 天纳克汽车营运公司 | 具有带包覆模制的闭合插入件的复合基部组件的减振器 |
KR101691582B1 (ko) * | 2015-02-02 | 2016-12-30 | 주식회사 만도 | 쇽업소버의 바디 밸브 어셈블리 |
CN107208726B (zh) | 2015-02-03 | 2019-10-01 | 天纳克汽车营运公司 | 用于减振器的次级阻尼组件 |
CN107429774B (zh) | 2015-02-06 | 2019-09-27 | 天纳克汽车营运公司 | 用于减振器的次级阻尼组件 |
JP6487804B2 (ja) * | 2015-08-07 | 2019-03-20 | Kyb株式会社 | 緩衝器のバルブ構造 |
KR20180083721A (ko) * | 2017-01-13 | 2018-07-23 | 주식회사 만도 | 쇽업소버의 밸브구조 |
US10578183B2 (en) | 2017-01-24 | 2020-03-03 | Beijingwest Industries Co., Ltd. | Twin-tube hydraulic damper with a vibration suppressing device |
US10393211B2 (en) * | 2017-02-08 | 2019-08-27 | Beijingwest Industries Co., Ltd. | Hydraulic damper with a hydraulic stop arrangement |
JP6921201B2 (ja) * | 2017-08-09 | 2021-08-18 | 日立Astemo株式会社 | 緩衝器 |
DE102017216662B4 (de) * | 2017-09-20 | 2023-11-02 | Zf Friedrichshafen Ag | Dämpfungsanordnung für einen Schwingungsdämpfer eines Kraftfahrzeugs |
JP6850244B2 (ja) * | 2017-11-20 | 2021-03-31 | Kyb株式会社 | バルブ及び緩衝器 |
CN108266483B (zh) * | 2017-12-13 | 2020-03-20 | 深圳市罗伯医疗科技有限公司 | 一种变阻尼液压缸 |
US11416010B2 (en) | 2018-02-13 | 2022-08-16 | FCX Solar LLC | System and method for flexible solar tracker and testing |
PL3753102T3 (pl) | 2018-02-13 | 2024-07-08 | FCX Solar LLC | System trackera słonecznego |
JP2019173800A (ja) * | 2018-03-27 | 2019-10-10 |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 シリンダ装置 |
CN112360913B (zh) * | 2019-11-29 | 2022-04-19 | 北京京西重工有限公司 | 液压阻尼器和用于液压阻尼器组件的活塞 |
DE102020200730B3 (de) * | 2020-01-22 | 2021-04-01 | Zf Friedrichshafen Ag | Dämpfventil für einen Schwingungsdämpfer |
US11211896B1 (en) | 2021-01-14 | 2021-12-28 | FTC Solar, Inc. | Systems for damping a solar photovoltaic array tracker |
US11808323B2 (en) | 2021-02-15 | 2023-11-07 | DRiV Automotive Inc. | Open bleed-base valve |
US11209337B1 (en) | 2021-07-01 | 2021-12-28 | FCX Solar LLC | System and method for flexible solar tracker and testing |
US11695370B2 (en) | 2021-07-27 | 2023-07-04 | FTC Solar, Inc. | Locking assembly for a solar photovoltaic array tracker |
CN114483856A (zh) * | 2022-03-08 | 2022-05-13 | 山东凌博瑞轨道交通科技有限公司 | 一种单循环油压减振器压缩阀阀系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12532A (ja) | 1999-06-09 | 2001-01-16 | Tenneco Automot Inc | ショックアブソーバ |
JP2008089170A (ja) * | 2006-09-07 | 2008-04-17 | Kayaba Ind Co Ltd | 緩衝器のバルブ構造 |
JP2008089172A (ja) * | 2006-09-07 | 2008-04-17 | Kayaba Ind Co Ltd | 緩衝器のバルブ構造 |
Family Cites Families (7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740500A (en) * | 1951-06-29 | 1956-04-03 | Gen Motors Corp | Shock absorber |
US2695079A (en) * | 1952-03-08 | 1954-11-23 | Gen Motors Corp | Hydraulic shock absorber |
NL251285A (ko) * | 1959-05-06 | |||
DE1249037B (ko) * | 1961-06-02 | 1967-08-31 | ||
JPS5022229Y1 (ko) * | 1970-09-29 | 1975-07-04 | ||
JPS51113075A (en) * | 1975-03-31 | 1976-10-05 | Showa Mfg Co Ltd |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damping force in an oll pressure buffer |
CA1058643A (en) * | 1976-03-22 | 1979-07-17 | Dale A. Palmer | Shock absorber |
SU1044859A1 (ru) * | 1979-12-27 | 1983-09-30 | Коломенский тепловозостроительный завод им.В.В.Куйбышева |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амортизатор |
JPS56120841A (en) * | 1980-02-27 | 1981-09-22 | Nissan Motor Co Ltd | Shock absorber |
DE3015596A1 (de) * | 1980-04-23 | 1981-10-29 | Fichtel & Sachs Ag, 8720 Schweinfurt | Hydraulischer schwingungsdaempfer mit geraeuscharmen daempfventilen |
US4352417A (en) * | 1980-10-03 | 1982-10-05 | Ford Motor Company | Control valve for shock absorber pistons and the like |
US4610332A (en) * | 1981-11-05 | 1986-09-09 | Ford Motor Company | Velocity sensitive valve element for a shock absorber |
JPS59136047U (ja) * | 1983-03-01 | 1984-09-11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シヨツクアブソ−バ |
US4624347A (en) * | 1984-01-23 | 1986-11-25 | Ford Motor Company | Piston assembly for shock absorber |
JPS6119152U (ja) * | 1984-07-09 | 1986-02-04 |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 シヨツクアブソ−バ |
DE3446133A1 (de) * | 1984-12-18 | 1986-06-19 | Fichtel & Sachs Ag, 8720 Schweinfurt | Schwingungsdaempfer mit veraenderbarer daempfkraft |
JPH0247791Y2 (ko) * | 1985-03-26 | 1990-12-14 | ||
JPS62155346A (ja) * | 1985-12-27 | 1987-07-10 | Toyota Motor Corp | 液圧緩衝器の弁構造 |
JPS6320545U (ko) * | 1986-07-24 | 1988-02-10 | ||
JP2570266B2 (ja) * | 1986-07-25 | 1997-01-08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液圧緩衝器 |
CA1310989C (en) * | 1988-04-06 | 1992-12-01 | Mitsuo Sasaki | Shock absorber with variable damping characteristics depending upon stroke speed |
JPH01152129U (ko) * | 1988-04-12 | 1989-10-20 | ||
JPH0236640U (ko) * | 1988-08-31 | 1990-03-09 | ||
JP2533356Y2 (ja) * | 1989-07-13 | 1997-04-23 | 株式会社ショーワ | 緩衝器のバルブ機構 |
DE3923512A1 (de) * | 1989-07-15 | 1991-01-24 | Stabilus Gmbh | Daempfventil mit stark progressiv verlaufender daempfkraftkennlinie, insbesondere fuer lenkungsdaempfer fuer motorraeder |
JPH0343141U (ko) * | 1989-09-05 | 1991-04-23 | ||
JPH03244845A (ja) * | 1990-02-20 | 1991-10-31 | Tokico Ltd | 油圧緩衝器 |
JPH03123131U (ko) * | 1990-03-27 | 1991-12-16 | ||
DE4203508A1 (de) * | 1992-02-07 | 1993-08-12 | Fichtel & Sachs Ag | Drehschieber-ventil fuer einen schwingungsdaempfer mit verstellbarer daempfkraft |
DE4212078A1 (de) * | 1992-04-10 | 1993-10-14 | Stabilus Gmbh | Endlagendämpfer |
US5368141A (en) * | 1993-12-27 | 1994-11-29 | Ford Motor Company | Displacement sensitive valve mechanism |
JPH08135713A (ja) * | 1994-11-14 | 1996-05-31 | Toyota Motor Corp | 液圧緩衝装置 |
JPH08291836A (ja) * | 1995-04-20 | 1996-11-05 | Toyota Motor Corp | 液圧緩衝装置 |
SE512020C2 (sv) * | 1995-05-18 | 2000-01-17 | Oehlins Racing Ab | Anordning vid stötdämpare |
US5577579A (en) | 1995-10-30 | 1996-11-26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Method of manufacturing a suspension damper |
US5738190A (en) * | 1996-03-20 | 1998-04-14 | Monroe Auto Equipment Company | Flexing disc-blow off assembly for use in a shock absorber |
DE19618055C1 (de) * | 1996-05-06 | 1998-01-15 | Mannesmann Sachs Ag | Kolben-Zylinderaggregat mit wegabhängigem Dämpfkraftfeld |
US5823306A (en) * | 1996-11-12 | 1998-10-20 | Tenneco Automotive Inc. | Stroke dependent damping |
US5755305A (en) * | 1997-02-07 | 1998-05-26 | Monroe Auto Equipment Division Of Tenneco Automotive Inc. | Hydraulic vibration damper with noise reducing valve structure |
DE19752670C2 (de) * | 1997-11-28 | 1999-09-16 | Mannesmann Sachs Ag | Umschaltventil mit strömungsrichtungsabhängigem Querschnitt |
DE19755994C2 (de) * | 1997-12-17 | 2003-02-20 | Thyssen Krupp Bilstein Gmbh | Kolben für einen hydraulischen Schwingungsdämpfer |
US5992585A (en) * | 1998-03-19 | 1999-11-30 | Tenneco Automotive Inc. | Acceleration sensitive damping for automotive dampers |
US6199671B1 (en) | 1998-09-14 | 2001-03-13 | New Joules Engineering (Sales) Proprietary) Limited | Shock absorber |
DE19945632B4 (de) * | 1999-09-23 | 2005-11-03 | Thyssenkrupp Bilstein Gmbh | Vorrichtung zur Erhöhung der Dämpfung |
JP2001116076A (ja) * | 1999-10-20 | 2001-04-27 | Kayaba Ind Co Ltd | 油圧緩衝器の減衰力発生構造 |
US6318523B1 (en) | 2000-02-25 | 2001-11-20 | Delphi Technologies, Inc. | Flexible monotube valve with digressive performance and independent low speed orifice |
US6460664B1 (en) * | 2000-05-22 | 2002-10-08 | Tenneco Automotive Inc. | Independently tunable variable bleed orifice |
US6340081B1 (en) * | 2000-06-23 | 2002-01-22 | Tenneco Automotive Inc. | Shock absorber having ported plate low speed tunability |
DE10058136C1 (de) * | 2000-11-22 | 2002-02-28 | Mannesmann Sachs Ag | Umschaltventil mit strömungsrichtungsabhängigem Querschnitt |
US6644445B2 (en) * | 2001-11-19 | 2003-11-11 |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 Floating port blocker |
KR200294596Y1 (ko) * | 2002-08-10 | 2002-11-08 | 대우정밀 주식회사 |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베이스밸브장치 |
JP2004332835A (ja) | 2003-05-08 | 2004-11-25 | Apex:Kk |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弁機構並びにこれを用いたショックアブソーバ |
US6776269B1 (en) * | 2003-06-18 | 2004-08-17 |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 Twin piston shock absorber |
US7070029B2 (en) * | 2003-09-15 | 2006-07-04 |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 Monotube piston valving system with selective bleed |
US6918473B2 (en) * | 2003-09-17 | 2005-07-19 |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 Stroke dependent bypass |
US6899207B2 (en) * | 2003-09-29 | 2005-05-31 |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 Extra support area for valve disc |
US7073643B2 (en) * | 2003-10-27 | 2006-07-11 |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 Compensated rod for a frequency dependent damper shock absorber |
EP1538367B1 (de) * | 2003-12-01 | 2006-07-26 | ZF Friedrichshafen AG | Dämpfventileinrichtung mit progressiver Dämpfkraftkennlinie |
CN2731174Y (zh) * | 2004-06-07 | 2005-10-05 | 江苏大学 | 多用途节流口式可调阻尼减振器 |
CN2708034Y (zh) * | 2004-07-07 | 2005-07-06 | 重庆大学 | 车辆悬架减振器 |
US20070034466A1 (en) * | 2005-08-15 | 2007-02-15 |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 Asymmetrical intake damper valve |
JP4753238B2 (ja) * | 2005-09-09 | 2011-08-24 |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 油圧緩衝器 |
JP4695489B2 (ja) * | 2005-10-28 | 2011-06-08 | カヤバ工業株式会社 | 緩衝器のバルブ構造および緩衝器 |
JP4987283B2 (ja) * | 2005-11-09 | 2012-07-25 | カヤバ工業株式会社 | 緩衝器のバルブ構造および緩衝器 |
KR100773363B1 (ko) * | 2006-01-23 | 2007-11-05 | 주식회사 만도 | 선형의 감쇠력 특성 구현을 위한 쇽업소버 |
DE102006005918A1 (de) * | 2006-02-09 | 2007-08-23 | Volkswagen Ag | Ventil für einen Schwingungsdämpfer |
JP4733565B2 (ja) * | 2006-05-15 | 2011-07-27 | カヤバ工業株式会社 | ダンパ |
JP4801526B2 (ja) | 2006-07-27 | 2011-10-26 | 株式会社ショーワ | 油圧緩衝器 |
KR20080023512A (ko) | 2006-09-11 | 2008-03-14 | 주식회사 만도 | 쇽업소버 |
JP2008082491A (ja) * | 2006-09-28 | 2008-04-10 | Kayaba Ind Co Ltd | 緩衝器のバルブ構造 |
JP5284595B2 (ja) * | 2006-09-28 | 2013-09-11 | カヤバ工業株式会社 | 緩衝器のバルブ構造 |
EP1925845B1 (en) | 2006-11-24 | 2018-10-31 | BWI Company Limited S.A. | A hydraulic suspension damper |
DE102007025677B3 (de) * | 2007-06-01 | 2009-01-08 | Zf Friedrichshafen Ag | Dämpfventil für einen Schwingungsdämpfer |
US8083039B2 (en) * | 2007-08-29 | 2011-12-27 |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 Disc spring intake |
US8297418B2 (en) * | 2008-06-05 | 2012-10-30 |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 Nested check high speed valve |
-
2008
- 2008-06-05 US US12/133,448 patent/US8297418B2/en active Active
-
2009
- 2009-06-05 RU RU2010153780/11A patent/RU2519328C2/ru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9-06-05 KR KR1020157021044A patent/KR10162268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9-06-05 WO PCT/US2009/046382 patent/WO2009149331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06-05 CN CN201310197161.XA patent/CN103277448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06-05 CN CN201310196527.1A patent/CN103277447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06-05 CN CN200980120860.6A patent/CN102057180B/zh active Active
- 2009-06-05 DE DE112009001375T patent/DE112009001375T5/de not_active Withdrawn
- 2009-06-05 CN CN201310196623.6A patent/CN103291823B/zh active Active
- 2009-06-05 JP JP2011512678A patent/JP5420646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06-05 KR KR1020107029450A patent/KR10162930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9-06-05 CN CN201310197019.5A patent/CN103256335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06-05 BR BRPI0913596A patent/BRPI0913596A2/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2
- 2012-08-02 US US13/564,964 patent/US8668061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08-02 US US13/564,944 patent/US8714320B2/en active Active
- 2012-08-02 US US13/564,954 patent/US8590678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08-02 US US13/564,973 patent/US8511446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
- 2013-08-27 JP JP2013175215A patent/JP5661157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08-27 JP JP2013175213A patent/JP5797242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08-27 JP JP2013175216A patent/JP5563136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08-27 JP JP2013175214A patent/JP5669901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12532A (ja) | 1999-06-09 | 2001-01-16 | Tenneco Automot Inc | ショックアブソーバ |
JP2008089170A (ja) * | 2006-09-07 | 2008-04-17 | Kayaba Ind Co Ltd | 緩衝器のバルブ構造 |
JP2008089172A (ja) * | 2006-09-07 | 2008-04-17 | Kayaba Ind Co Ltd | 緩衝器のバルブ構造 |
Also Published 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22685B1 (ko) | 네스티드 체크 고속 밸브 | |
KR101441526B1 (ko) | 디스크 스프링 유입구조 | |
US6371264B1 (en) | Fulcrum blow off valve for use in a shock absorber | |
US9239092B2 (en) | Shock absorber with frequency dependent passive valve | |
US9500255B2 (en) | Shock absorber with frequency dependent passive valve | |
KR101649930B1 (ko) | 고속 압축 댐핑 밸브 | |
JP6538150B2 (ja) | 周波数依存型受動弁を備えたショックアブソーバ | |
US6886670B2 (en) | Extra support land for valve disc | |
US9222539B1 (en) | Shock absorber with frequency dependent passive valve | |
US7097016B2 (en) | Fulcrum blow off valve for use in a shock absorb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