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596Y1 -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베이스밸브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베이스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596Y1
KR200294596Y1 KR2020020023982U KR20020023982U KR200294596Y1 KR 200294596 Y1 KR200294596 Y1 KR 200294596Y1 KR 2020020023982 U KR2020020023982 U KR 2020020023982U KR 20020023982 U KR20020023982 U KR 20020023982U KR 200294596 Y1 KR200294596 Y1 KR 2002945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base valve
disk
shock absorb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39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우
Original Assignee
대우정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정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정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239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5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5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596Y1/ko

Links

Landscapes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베이스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부품수를 줄여 조립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저속, 중속, 고속에 해당하는 감쇠성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쇽업소버의 압축감쇠 성능을 심디스크와 백업와셔의 조합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3초 이하의 짧은 시간안에 주위의 다른 부품의 변형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간단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베이스밸브장치{BASE VALVE ASSEMBLY OF SHOCK ABSOBER FOR AUTO 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베이스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품수를 줄여 조립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저속, 중속, 고속에 해당하는 감쇠성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쇽업소버의 압축감쇠 성능을 심디스크와 백업와셔의 조합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3초 이하의 짧은 시간안에 주위의 다른 부품의 변형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간단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베이스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적용되는 쇽업소버는 자동차의 주행동작시노면으로부터 차륜을 통하여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감쇄시키므로써 현가스프링에 인가되는 피로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1은 자동차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스트러트 형태(Strut Type)의 쇽업소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자동차에 적용되는 쇽업소버의 베이스밸브장치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통상적으로 자동차에 적용되는 쇽업소버(10)는 크게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가지며, 하단부가 차축(Axle)에 연결되는 실린더(11)와, 상단부가 차체에 연결된 상태에서 차체에 전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에 따라 상기 실린더(11)내부에서 왕복직선이동되는 피스톤로드(12)와, 상기 실린더(11)의 상단부 내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피스톤로드(12)의 왕복직선이동을 가이드하는 로드가이드부재(13)와, 상기 피스톤로드(12)의 하단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실린더(11)의 내부를 압축실(14)과 인장실(15)로 분리 구획시키는 피스톤밸브부재(16)와, 상기 실린더(11)의 하단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체적보상기능을 하는 베이스밸브부재(17)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통상의 자동차의 쇽업소버에서 실린더(11)는 서로 다른 길이와 직경을 갖는 외통(18)과 내통(19)으로 이루어지는데, 내통(19)의 내부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피스톤밸브부재(16)에 의하여 압축실(14)과 인장실(15)로 나뉘어지고, 외통(18)과 내통(19)사이에는 저장실(20)이 마련되며, 상기 압축실(14)과 인장실(15) 및 저장실(20)은 오일이나 가스 같은 작동유체로 채워진다.
상기 로드가이드부재(13)는 실린더(11)의 외통(18) 상단부와 내통(19) 상단부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며, 중심부에는 피스톤로드(12)가 끼워지는 관통공(21)이 형성된 로드가이드(22)를 주요 구성요소로 한다.
상기 로드가이드(22)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공(21)의 하부 내측 둘레면에는 테플론재질의 부싱(23)이 긴밀하게 끼워져 결합되며, 관통공의 상방에는 오일실(24)이 결합된 커버(25)가 씌워진다.
또, 상기 로드가이드(22)의 하단부 외측에는 거품차단링(Anti-foam Ring:26)이 끼워져 결합되고, 상부 외측의 정해진 위치에는 O-링(O-Ring:27)이 끼워져 설치된다.
한편, 종래의 쇽업소버(10)에서 상기 피스톤밸브부재(16)는 실린더(11)의 내통(19) 내부에 끼워지며, 중심부에는 피스톤로드(12)의 하단부가 끼워지는 관통공(21)이 형성된 피스톤밸브(28)를 주요 구성요소로 한다.
상기 피스톤밸브(28)의 몸체내부에는 중심으로부터 가까운쪽과 먼쪽에 각각 상기 압축실(14)과 인장실(15)을 연통시켜주기 위한 일정 크기의 제1오일통로(29)와 제2오일통로(30)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밸브(28)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1오일통로(29)와 일치되는 위치에 오일배출공(31)이 형성된 피스톤리바운드디스크(Piston Rebound Disc:32)가 동심형으로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리바운드디스크(32)의 상방에는 다수의 통공을 갖는 피스톤지지편(Piston Supporter:33)이 끼워져 결합된다.
또, 상기 피스톤리바운드디스크(32)의 상부면과 피스톤지지편(33)사이에는 상기 피스톤리바운드디스크에 대하여 탄성작용하는 코니컬스프링(ConicalSpring:34)이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밸브(28)의 하부면에는 제1오일통로(29)의 개폐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피스톤압축디스크(Piston Pressure Disc:35)가 끼워져 결합된다.
또, 상기 피스톤압축디스크(35)의 하부에는 압축행정시 피스톤압축디스크에 균일한 압력이 가해지도록 하기 위한 압축링(36)이 끼워진 상태에서 피스톤로드(12)의 하단으로부터 끼워지는 제1고정너트(37)에 의하여 고정된다.
또, 상기 제1고정너트(37)의 결합위치 아랫쪽에 해당되는 피스톤로드(12)의 하단부 둘레에는 상기 압축링(36)에 대하여 탄성작용하는 헬리컬스프링(38)이 끼워진 상태에서 피스톤로드(12)의 하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제2고정너트(39)에 의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또, 상기 피스톤밸브(28)의 외측 둘레면에는 압축 및 인장행정시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내마모성이 우수한 재질로 된 피스톤밴드(40)가 결합된다.
한편, 종래의 쇽업소버(10)에서 상기 베이스밸브부재(1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1)의 내통(19) 하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중심부에는 소정 크기의 관통공(21)이 형성된 베이스밸브(41)를 주요 구성요소로 한다.
상기 베이스밸브(41)의 몸체내부에는 중심으로부터 가까운쪽과 먼쪽에 각각 상기 압축실(14)과 저장실(20)을 연통시켜주기 위한 일정 크기의 제3오일통로(42)와 제4오일통로(43)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밸브(41)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3오일통로(42)와 일치되는 위치에 오일배출공(31)이 형성된 베이스리바운드디스크(44)가 동심형으로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리바운드디스크(44)의 상부면에는 베이스리바운드디스크(44)에 탄성작용하는 코니컬스프링(34)이 위치된다.
또, 상기 베이스밸브(41)의 하부면에는 제3오일통로(42)의 개폐상태를 제어하는 단일의 일정유량조절디스크(Constant Control Disc:45)와, 상기 일정유량조절디스크(45)에 탄성작용하는 복수개의 압축디스크(46)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볼트(47)에 의하여 결합된다.
이와 같은 결합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밸브(41)의 상부 윗쪽으로 돌출된 볼트는 제3고정너트(48)에 의하여 고정되며, 상기 코니컬스프링(34)은 제3고정너트(48)의 플랜지에 의하여 걸림에 따라 이탈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 쇽업소버(10)의 압축 및 인장행정시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종래 자동차에 적용되는 쇽업소버의 압축행정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쇽업소버의 압축행정에서 피스톤로드(12) 및 피스톤밸브(28)가 아랫쪽으로 점차적으로 하강하면 압축실(14)의 압력이 점차적으로 높아진다.
이와 같이 압축실(14)의 압력이 높아지면, 피스톤밸브(28)상면에 결합되어 제2오일통로(30)를 막아주고 있던 피스톤리바운드디스크(32)의 한쪽부분이 코니컬스프링(34)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들어올려져 제2오일통로(30)가 개방됨과 동시에, 베이스밸브(41)의 저면에 결합되어 제3오일통로(42)를 막아주고 있던 일정유량조절디스크(45)와 압축디스크(46)의 한쪽 부분이 점증하는 압력에 의하여 밀려나면서제3오일통로(42)가 개방됨에 따라 압축실(14)내의 작동유체(오일 또는 가스)는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인장실(15)과 저장실(20)쪽으로 동시에 배출된다.
이 때, 상기 피스톤밸브(28)상의 제1오일통로(29)는 헬리컬스프링(38)의 압축동작에 따른 압축디스크(35)의 밀착현상에 따라 닫혀진 상태로 유지되며, 베이스밸브(41)상의 제4오일통로(43) 또한 코니컬스프링(34)의 압축동작에 따른 베이스리바운드디스크(44)의 밀착현상에 의하여 닫혀진 상태로 유지된다.
도 4는 종래 자동차에 적용되는 쇽업소버의 인장행정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 쇽업소버(10)의 인장행정에서 피스톤로드(12) 및 피스톤밸브(28)가 윗쪽으로 점차적으로 상승하면 압축행정시와는 반대로 인장실(15)의 압력이 점차적으로 높아진다.
이와 같이 인장실(15)의 압력이 높아지면, 피스톤밸브(28)저면에 결합되어 제1오일통로(29)를 막아주고 있던 압축디스크(35)의 한쪽이 헬리컬스프링(38)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아랫쪽으로 밀리면서 제1오일통로(29)가 개방되어 인장실(15)내의 작동유체가 압축실(14)로 밀려나가게 된다.
이와 동시에 베이스밸브(41)의 상면에 결합되어 제4오일통로(43)를 막아주고 있던 베이스리바운드디스크(44)의 한쪽 부분이 코니컬스프링(34)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들어올려져 제4오일통로(43)가 개방됨에 따라 압축실(14)과 인장실(15)의 체적변화율차이 만큼의 작동유체가 저장실(20)로부터 압축실(14)로 유입된다.
이 때, 상기 피스톤밸브(28)상의 제2오일통로(30)는피스톤리바운드디스크(32)의 밀착착용에 의하여 닫혀진 상태로 유지되며, 베이스밸브(41)상의 제3오일통로(42)는 압축디스크(46)의 밀착작용에 의하여 닫혀진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쇽업소버(10)의 압축 및 인장행정은 차체에 충격이 인가되는 동안 계속하여 반복적으로 진행되면서 인가된 충격력을 감쇄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베이스밸브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종래의 베이스밸브장치는 조립시 볼트 너트로 체결한 다음 적정 토크를 가하고, 풀림방지를 위하여 와셔를 넣거나 코킹을 하고, 또는 다시 포인트리벳팅(Point Riveting)을 수행하거나 과도한 압하중을 가하는 리벳팅공정으로 마무리를 하기 때문에 작업공정수가 늘어나 전체 원가가 상승된다는 문제가 있다.
둘째, 이와 같은 과도한 압하중을 가하여 리벳팅공정을 수행하는 경우에 다른 부품이 변형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안전한 두께와 강성을 지닌 리테이너를 사용해야하며, 가공시간도 7~10초 정도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셋째, 리벳팅공정시 칩(Chip)이 발생되어 제품의 품질을 떨어뜨리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부품수를 줄여 조립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저속, 중속, 고속에 해당하는 감쇠성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쇽업소버의 압축감쇠 성능을 심디스크와 백업와셔의 조합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베이스밸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3초 이하의 짧은 시간안에 주위의 다른 부품의 변형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간단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베이스밸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자동차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스트러트 형태(Strut Type)의 쇽업소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 자동차에 적용되는 쇽업소버의 베이스밸브장치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3는 종래 자동차에 적용되는 쇽업소버의 압축행정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4은 종래 자동차에 적용되는 쇽업소버의 인장행정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베이스밸브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베이스밸브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을 보인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베이스밸브장치에 적용되는 여러 형태의 세미튜블러형 리벳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베이스밸브장치의 압축행정에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9는 도 8의 A부 확대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베이스밸브장치의 인장행정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70 : 베이스밸브장치 72 : 베이스밸브
75 : 제3오일통로 76 : 제4오일통로
78 : 베이스리바운드디스크 80 : 베이스리테이너
82 : 일정유량조절디스크 83 : 심디스크(Shim Disc)
84 : 백업와셔( Back Up Washer) 85 : 리벳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원통형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에 끼워져 왕복직선이동되는 피스톤로드와;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 끼워져 피스톤로드의 왕복직선이동을 안내하는 로드가이드장치와; 상기 피스톤로드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어 실린더내부를 압축실과 인장실로 구획하며, 압축 및 인장행정시 압축실과 인장실내부에 채워진 작동유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피스톤밸브장치와, 상기 실린더의 하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압축 및 인장행정시 체적보상작용을 하는 베이스밸브장치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밸브장치는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몸체의 상하부면에는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한쌍의 원형홈이 형성되며, 중심으로부터 가까운 작은 반경의 원형홈에는 다수의 제3오일통로가, 먼쪽의 큰 원형홈에는 다수의 제4오일통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구조의 베이스밸브와; 상기 베이스밸브의 상부면에 위치되며,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밸브상면에 형성된 작은 반경의 원형홈에 해당되는 부위에 다수의 오일배출공이 형성된 구조의 베이스리바운드디스크와; 상기 베이스리바운드디스크의 상면에 위치되며,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베이스리바운드디스크상의 오일배출공과 마주하는 위치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가장자리는 상기 베이스리바운드디스크의 바깥쪽 상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구조의 베이스리테이너(Base Retainer)와; 상기 베이스밸브의 저면에 위치되어 제3오일통로가 형성된 작은 반경의 원형홈을 막아주도록 결합되며, 가장자리로부터 중심쪽을 향하는 다수의 절개홈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일정유량조절디스크와; 상기 일정유량조절디스크의 아랫쪽에 위치되는 다수의 심디스크와; 상기 심디스크의 아랫쪽으로부터 백업와셔를 매개로 베이스밸브 및 각 디스크의 관통공을 통하여 윗쪽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베이스리테이너의 상면에서 코킹되어 고정되는 리벳으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베이스밸브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베이스밸브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을 보인 확대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베이스밸브장치(70)는 실린더의 내통(71) 하단에 결합되는 베이스밸브(72)와, 상기 베이스밸브(72)의 상하부면에 설치되어 압축 및 인장행정시 오일의 유동을 제어하는 각종 디스크를 그 주요 구성요소로 한다.
상기 베이스밸브(72)는 중심부에 관통공(73)이 형성되고, 몸체의 상하부면에는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한쌍의 원형홈(74)이 형성되며, 중심으로부터 가까운 작은 반경의 원형홈에는 다수의 제3오일통로(75)가, 먼쪽의 큰 반경의 원형홈에는 다수의 제4오일통로(76)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밸브(72)의 상부면에는 중심에 관통공(73)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밸브상면에 형성된 작은 반경의 원형홈에 해당되는 부위에 다수의 오일배출공(77)이 형성된 구조의 베이스리바운드디스크(78)가 결합된다.
또, 상기 베이스리바운드디스크(78)의 상면에는 중심에 관통공(73)이 형성되고, 베이스리바운드디스크상의 오일배출공(77)과 마주하는 위치에 다수의 통공(79)이 형성되며, 가장자리는 상기 베이스리바운드디스크의 바깥쪽 상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구조의 베이스리테이너(80)가 결합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밸브(72)의 저면에는 제3오일통로(75)가 형성된 작은 반경의 원형홈을 막아주며, 가장자리로부터 중심쪽을 향하는 다수의 절개홈(8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일정유량조절디스크(82)가 결합된다.
또, 상기 일정유량조절디스크(82)의 아랫쪽에는 다수의 심디스크(Shim Disc:83) 및 백업와셔(Back Up Washer:84)가 결합되며, 상기 심디스크(83)의 아랫쪽으로부터 베이스밸브(72) 및 각 디스크의 관통공(73)을 통하여 윗쪽으로 리벳(85)이 끼워진 상태에서 베이스리테이너(80)의 상면에서 압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베이스밸브장치(70)의 조립에 적용되는 리벳(85)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짝머리 세미튜블러 리벳(85a)이나언더컷이 형성된 납짝머리 세미튜블러 리벳(85b) 또는 둥근머리 세미튜블러 리벳(85c)이나 언더컷이 형성된 둥근머리 세미튜블러 리벳(85d) 같은 여러 가지 머리모양을 갖는 세미튜블러(Semi-tubler) 리벳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베이스밸브장치의 압축 및 인장행정에 따른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베이스밸브장치의 압축행정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A부 확대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쇽업소버의 압축행정에서 피스톤로드 및 피스톤밸브가 아랫쪽으로 점차적으로 하강하면 압축실의 압력이 점차적으로 높아진다.
이와 같이 압축실의 압력이 높아지면, 압축실에서 압축된 작동유체가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인장실과 저장실로 밀려 나가게 된다.
이 때 베이스밸브장치(70)에서는 피스톤밸브의 속도가 저속(0.13m/s 이하)일 때 일정유량조절디스크(82)만을 통해 유동이 발생하지만, 중속(0.26~0.52m/s)일 때는 심디스크(83)와 백업와셔(84)의 조합에 의해 압축감쇠 성능을 조절한다.
피스톤밸브의 속도가 증가하면 심디스크(83)를 통해 저장실로 밀려 나가는 작동유체의 양이 더욱 많아 진다.
고속(1.04m/s이상)에서는 중속일 때 심디스크(83)와 백업와셔(84)의 조합에 의한 감쇠성능에 베이스밸브(72)상의 제3오일통로(75)의 영향이 중첩되어 고속 감쇠성능을 조절하게 된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베이스밸브장치의 인장행정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쇽업소버의 인장행정에서 피스톤로드 및 피스톤밸브가 윗쪽으로 점차적으로 상승하면 압축행정시와는 반대로 인장실의 압력이 점차적으로 높아진다.
이와 같이 인장실의 압력이 높아지면, 베이스밸브(72)의 상면에 결합되어 제4오일통로(76)를 막아주고 있던 베이스리바운드디스크(78)의 한쪽 부분이 베이스리테이너(80)의 누름힘을 극복하면서 들어올려져 제4오일통로(76)가 개방됨에 따라 압축실과 인장실의 체적변화율차이 만큼의 작동유체가 저장실로부터 압축실로 유입된다.
이 때, 베이스밸브(72)상의 제3오일통로(75)는 심디스크(83)의 밀착작용에 의하여 닫혀진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저장실로부터 압축실로의 작동유체의 흐름이 일어나려면 보통 대기압을 유지하는 저장실의 압력보다 압축실의 압력이 낮아야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종래의 베이스밸브장치와는 달리 부품수가 감소되기 때문에 조립성이 대단히 우수하고, 저속, 중속, 고속에 해당하는 감쇠성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쇽업소버에서의 압축감쇠성능을 심디스크와 백업와셔의 조합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세미튜블러 형태의 리벳이 적용되기 때문에 주변 부품의 변형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짧은 시간내에 조립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소정의 크기를 갖는 원통형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에 끼워져 왕복직선이동되는 피스톤로드와;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 끼워져 피스톤로드의 왕복직선이동을 안내하는 로드가이드장치와; 상기 피스톤로드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어 실린더내부를 압축실과 인장실로 구획하며, 압축 및 인장행정시 압축실과 인장실내부에 채워진 작동유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피스톤밸브장치와, 상기 실린더의 하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압축 및 인장행정시 체적보상작용을 하는 베이스밸브장치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밸브장치는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몸체의 상하부면에는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한쌍의 원형홈이 형성되며, 중심으로부터 가까운 작은 반경의 원형홈에는 다수의 제3오일통로가, 먼쪽의 큰 원형홈에는 다수의 제4오일통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구조의 베이스밸브와;
    상기 베이스밸브의 상부면에 위치되며,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밸브상면에 형성된 작은 반경의 원형홈에 해당되는 부위에 다수의 오일배출공이 형성된 구조의 베이스리바운드디스크와;
    상기 베이스리바운드디스크의 상면에 위치되며,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베이스리바운드디스크상의 오일배출공과 마주하는 위치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가장자리는 상기 베이스리바운드디스크의 바깥쪽 상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구조의 베이스리테이너(Base Retainer)와;
    상기 베이스밸브의 저면에 위치되어 제3오일통로가 형성된 작은 반경의 원형홈을 막아주도록 결합되며, 가장자리로부터 중심쪽을 향하는 다수의 절개홈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일정유량조절디스크와;
    상기 일정유량조절디스크의 아랫쪽에 위치되는 다수의 심디스크와;
    상기 심디스크의 아랫쪽으로부터 백업와셔를 매개로 베이스밸브 및 각 디스크의 관통공을 통하여 윗쪽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베이스리테이너의 상면에서 압착되어 고정되는 리벳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베이스밸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은 다양한 머리모양을 갖는 세미튜블러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쇽업소버.
KR2020020023982U 2002-08-10 2002-08-10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베이스밸브장치 KR2002945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982U KR200294596Y1 (ko) 2002-08-10 2002-08-10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베이스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982U KR200294596Y1 (ko) 2002-08-10 2002-08-10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베이스밸브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7376A Division KR100465768B1 (ko) 2002-08-10 2002-08-10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베이스밸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596Y1 true KR200294596Y1 (ko) 2002-11-08

Family

ID=73078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982U KR200294596Y1 (ko) 2002-08-10 2002-08-10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베이스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59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808B1 (ko) 2002-12-16 2007-09-11 주식회사 만도 쇽 업소버의 바디밸브
KR20110010826A (ko) * 2008-06-05 2011-02-07 테네코 오토모티브 오퍼레이팅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네스티드 체크 고속 밸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808B1 (ko) 2002-12-16 2007-09-11 주식회사 만도 쇽 업소버의 바디밸브
KR20110010826A (ko) * 2008-06-05 2011-02-07 테네코 오토모티브 오퍼레이팅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네스티드 체크 고속 밸브
KR101629307B1 (ko) 2008-06-05 2016-06-10 테네코 오토모티브 오퍼레이팅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네스티드 체크 고속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1682B1 (ko) 주파수 감응형 쇽업소버
KR920008872Y1 (ko) 행정속도에 따른 가변 감쇠 특성을 갖는 완충기용 밸브 유니트
US4660812A (en) Vibration isolating apparatus
EP1664578B1 (en) Stroke dependent bypass
KR930001572B1 (ko) 완충기
US8302746B2 (en) Hydraulic shock absorber
US7431135B2 (en) Stroke dependent damping
KR20140022583A (ko) 쇽 업소버의 밸브 조립체
KR101217273B1 (ko) 충격 감응형 댐퍼
US6230858B1 (en) Internally slotted orifice disc for low speed control in automotive dampers
US10995815B2 (en) Damper with flexible floating disc
KR100465768B1 (ko)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베이스밸브장치
KR200294596Y1 (ko)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베이스밸브장치
EP1664581B1 (en) Shock absorber
EP1396360B1 (en) Self leveling vehicle suspension damper
KR100465767B1 (ko)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피스톤밸브장치
KR100391419B1 (ko) 차량용 쇽 업소버
EP0336758B1 (en) Shock absorber with variable damping characteristics depending upon stroke speed
US6390257B1 (en) Suspension damper having piston plate with coined, continuously curved bypass
KR100485785B1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KR200294595Y1 (ko)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피스톤밸브장치
US6364075B1 (en) Frequency dependent damper
KR101756424B1 (ko) 주파수 감응형 쇽업소버
KR20210089457A (ko) 쇽업소버
KR200294593Y1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