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1173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1173B1
KR101511173B1 KR1020137017376A KR20137017376A KR101511173B1 KR 101511173 B1 KR101511173 B1 KR 101511173B1 KR 1020137017376 A KR1020137017376 A KR 1020137017376A KR 20137017376 A KR20137017376 A KR 20137017376A KR 101511173 B1 KR101511173 B1 KR 101511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housing
power
supported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7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1119A (ko
Inventor
코지 히구치
요시노리 미즈사와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01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8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a separate clip or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4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eparate resilient locking means on contact member, e.g. retainer collar or ring around contac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6Securing by a separate resilient retaining piece supported by base or case, e.g. collar or metal contact-retention cli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01R13/518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for holding or embracing several coupling parts, e.g.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8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one or more screw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부착된 전원 콘택트와, 전원 콘택트를 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구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는, 끼워맞춤측에 위치하는 상대측 커넥터와 전후 방향을 따라 끼워맞춤할 수 있다. 하우징은, 후벽부와, 후벽부를 전후 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콘택트 지지구멍과, 콘택트 지지구멍의 끼워맞춤측에 위치하는 피(被)맞닿음부를 갖고 있다. 전원 콘택트는, 끼워맞춤측으로부터 콘택트 지지구멍에 삽입 지지되는 피지지부와, 전후 방향에 있어서 피지지부의 끼워맞춤측과는 반대측에 형성된 피고정부와, 피지지부가 콘택트 지지구멍에 삽입되었을 때에 피맞닿음부에 맞닿도록 피지지부의 끼워맞춤측에 형성된 맞닿음부를 갖고 있다. 고정구는, 피고정부에 부착되고, 그에 따라, 하우징의 일부가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맞닿음부와 고정구와의 사이에 끼워진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대(大)전류를 흘리기 위한 전원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전원 콘택트를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콘택트를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또는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것이 있다.
도 1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의 커넥터는, 콘택트와,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콘택트는, 커넥터의 전면(前面)(끼워맞춤면)으로부터 하우징 내로 압입(press-fit)되어, 하우징에 고정된다.
도 1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특허문헌 2의 커넥터는, 콘택트와, 하우징과, C링을 구비하고 있다. 콘택트는, 하우징의 배면으로부터 삽입된다. C링(고정구)은, 하우징의 전면(끼워맞춤면)으로부터 삽입되어 콘택트의 주위에 장착되고, 그에 따라 콘택트는 하우징 내에 고정된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2-93490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3-308932호
그러나, 특허문헌 1 기재의 커넥터에 관해서는, 콘택트가 하우징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1의 콘택트를 전원 콘택트에 적용한 경우에는, 전류가 안정적으로 공급되지 못할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2의 커넥터에 관해서는, 콘택트의 주위에, 고정구(예를 들면, C링)를 장착하기 위한 큰 공간이 필요시되어, 콘택트의 노출 부위가 커져 버린다. 따라서, 특허문헌 2의 콘택트를 전원 콘택트에 적용한 경우에는, 감전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감전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고, 그리고 전류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우징에 부착된 전원 콘택트를 구비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끼워맞춤측에 위치하는 상대측 커넥터와 전후 방향을 따라 끼워맞춤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커넥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부착된 전원 콘택트와, 상기 전원 콘택트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은, 후벽(後壁)부와, 상기 후벽부를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콘택트 지지구멍과, 상기 콘택트 지지구멍의 상기 끼워맞춤측에 위치하는 피(被)맞닿음부를 갖고 있다. 상기 전원 콘택트는, 상기 끼워맞춤측으로부터 상기 콘택트 지지구멍에 삽입 지지되는 피지지부와,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피지지부의 상기 끼워맞춤측과는 반대측에 형성된 피고정부와, 상기 피지지부가 상기 콘택트 지지구멍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피맞닿음부에 맞닿도록 상기 피지지부의 상기 끼워맞춤측에 형성된 맞닿음부를 갖고 있다. 상기 고정구는, 상기 피고정부에 부착되고, 그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일부가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맞닿음부와 상기 고정구와의 사이에 끼워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의 후벽부의 후면(後面)측에 위치하는 고정구와 후벽부의 전면측에 위치하는 맞닿음부에 의해 후벽부를 사이에 끼움으로써 하우징에 대하여 전원 콘택트를 고정하고 있는 점에서, 전원 콘택트의 주위에 고정구 부착 작업용의 공간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전원 콘택트에 의한 감전을 방지하는 데에 적합한 구조로 할 수 있다.
특히, 전원 콘택트의 맞닿음부를 각진 기둥형의 형상으로 함으로써 하우징에 고정된 전원 콘택트가 회전해 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최량의 실시 형태의 설명을 검토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올바르게 이해되고, 그리고 그 구성에 대해서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쌍을 축전지 모듈의 인터페이스로서 구비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이용되는 커넥터쌍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커넥터쌍의 전원 콘택트와 그의 근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커넥터쌍의 신호 콘택트와 그의 근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커넥터쌍의 한쪽을 구성하는 리셉터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리셉터클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리셉터클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리셉터클을 ⅤⅢ-ⅤⅢ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커넥터쌍의 한쪽을 구성하는 플러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플러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플러그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플러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플러그를 ⅩⅢ-ⅩⅢ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플러그의 절연 캡과 그의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9의 플러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플러그의 전원 콘택트와 그의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이다.
도 17은 특허문헌 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특허문헌 2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여러 가지 형태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 일 예로서,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특정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및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여기에 개시한 특정의 형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첨부의 청구의 범위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 있어서 이루어지는 모든 변형예, 균등물, 대체예를 그 대상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쌍은, 축전지 모듈(1)을 구비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이용된다. 커넥터쌍은, 축전지(10)를 수용(收容)하는 모듈 박스(20)에 부착된 리셉터클(커넥터)(30)과, 패널(40)에 부착된 플러그(커넥터)(50)를 구비하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30) 및 플러그(50)는, 전원 콘택트(200 및 700)를 구비하고 있다. 전원 콘택트(200 및 700)는, 예를 들면 사용 전류가 100A 이상의 대전류용 콘택트로서 이용된다.
도 1 내지 도 4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커넥터쌍을 구성하는 리셉터클(30)과 플러그(50)는, X방향(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끼워맞춤·발거(拔去)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리셉터클(30) 및 플러그(50)의 어느 것에 대해서도, 상대측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측을 전측(前側)으로 하고, 그의 반대측을 후측(後側)으로 한다. 따라서, 리셉터클(30)에 대해서는, +X방향이 전방이고, -X방향이 후방이다. 한편, 플러그(50)에 대해서는, -X방향이 전방이고, +X방향이 후방이다. 이하, 리셉터클(30) 및 플러그(50)의 각각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리셉터클(30)은,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00)과,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전원 콘택트(리셉터클측 전원 콘택트)(200)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스프링(250)과,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환상(環狀)의 시일 부재(sealing member;300)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C링(고정구)(260)과, 중계 커넥터(리셉터클측 중계 커넥터)(400)를 구비하고 있다. 전원 콘택트(200)는, 하우징(100)에 부착된다. C링(260)은, 전원 콘택트(200)를 하우징(100)에 고정한다. 리셉터클(30)은, C링(260) 이외의 금속 링(예를 들면, E링)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리셉터클(30)은, 금속 링 이외의 고정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단, X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가 작은 것을 고려하면, 다른 고정구를 구비하는 것보다도 금속 링을 구비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구로서의 성능을 고려하면, E링 등을 구비하는 것보다도 C링(260)을 구비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도 6 내지 도 8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0)은, 후벽부(110)와, 후벽부(11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피케이싱부(120)와, 피케이싱부(120)로부터 더욱 전방으로 연장되는 2개의 콘택트 외주부(140)와, 2개의 콘택트 외주부(140)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계 커넥터 외주부(150)와, 후벽부(11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케이싱부(160)와, 케이싱부(160)의 전단(前端)에 형성된 플랜지(165)를 갖고 있다. 플랜지(165)는, 리셉터클(30)을 모듈 박스(20)에 부착할 때에 이용된다.
도 6 및 도 8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후벽부(110)에는, 2개의 콘택트 지지구멍(142)과 1개의 중계 커넥터 지지구멍(152)이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 지지구구멍(152)과 중계 커넥터 지지구멍(152)과의 각각은, 후벽부(110)를 전후 방향을 따라 관통하고 있다. 콘택트 지지구멍(142)은, YZ 평면 내에 있어서 콘택트 외주부(140)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중계 커넥터 지지구멍(152)은, YZ 평면 내에 있어서 중계 커넥터 외주부(150)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콘택트 지지구멍(142)의 전방에는, 피맞닿음부(144)가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피맞닿음부(144)는, 콘택트 지지구멍(142)의 끼워맞춤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시된 피맞닿음부(144)는, 정육각기둥 형상을 갖는 구멍으로, 후방을 향하여 패여 있다. YZ 평면 내에 있어서, 피맞닿음부(144)의 외경은, 콘택트 지지구멍(142)의 외경(external diameter)보다도 크고, 따라서, 피맞닿음부(144)와 콘택트 지지구멍(142)과의 경계 부분에는 전방을 향하고 있는 면(피맞닿음면(144s))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콘택트 지지구멍(142)의 후측에는, 콘택트 지지구멍(142)을 둘러싸도록 하여 오목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오목부(114)는, 콘택트 지지구멍(142)의 주위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오목부(114)는, 후벽부(110)의 후면(110b)을 전방을 향하여 오목하게 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14)는, C링(260)의 부착 작업을 행할 때에, 지그 조작용의 공간으로서 사용된다. 오목부(114)는, 작업하기 쉬운 장소(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후벽부(110)의 후면(110b))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그의 사이즈를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피케이싱부(120)의 주위(120p)에는, X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케이싱부(16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시일 스토퍼(134)가 설치되어 있다. 후벽부(110)에는, 전면(110f)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오목한 홈부(136)가 형성되어 있다. 시일 부재(300)는, X방향에 있어서 시일 스토퍼(134)와 홈부(136)와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피케이싱부(120)의 주위(120p)에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일 부재(300)는, X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도 8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케이싱부(160)는, 피케이싱부(120)와 시일 스토퍼(134)를 YZ 평면 내에 있어서 둘러싸고 있다. 케이싱부(160)의 전단인 플랜지(165)는, 콘택트 외주부(140) 및 중계 커넥터 외주부(150)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환언하면,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콘택트 외주부(140)와 중계 커넥터 외주부(150)는, 케이싱부(160)보다도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콘택트 외주부(140)는, 중계 커넥터 외주부(150)보다도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전원 콘택트(200)는, 통(筒)형의 형상을 갖고 있다. 전원 콘택트(200)에는, 상대측 콘택트인 플러그(50)의 전원 콘택트(700)(후술: 플러그측 전원 콘택트)를 수용하는 콘택트 수용부(受容部)(202)와, 후단(200b)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나사구멍(206)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구멍(206)은, 버스바(도시하지 않음)로의 접속에 사용된다. 콘택트 수용부(202)는, 전단(200f)에서 나사구멍(206)까지 통하는 관통구멍이다. 콘택트 수용부(202)의 전단에는, 스프링(250)이 부착되는 피부착부(204)가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 수용부(202) 및 나사구멍(206)이, 전단(200f)에서 후단(200b)까지 전원 콘택트(200)를 관통하고 있는 점에서, 전원 콘택트(200)의 도금 작업시에 있어서의 도금 불량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류 용량이 낮아도 좋은 경우는, 콘택트 수용부(202)의 패임 깊이를 길게 함으로써, 전원 콘택트(200)의 경량화를 도모해도 좋다.
전원 콘택트(200)는, 콘택트 지지구멍(142)에 지지되는 피지지부(210)와, 피지지부(210)의 전측에 형성된 맞닿음부(212)와, 피지지부(210)의 후측에 형성된 피고정부(216)를 갖고 있다.
피지지부(210)는, 콘택트 지지구멍(142)에 대응하는 외형을 갖고 있다. 피지지부(210)를 콘택트 지지구멍(142)에 전측으로부터(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X방향을 따라) 삽입함으로써, 전원 콘택트(200)는 하우징(100)에 지지된다.
맞닿음부(212)는, 피지지부(210)가 콘택트 지지구멍(142)에 삽입되었을 때에 피맞닿음부(144)에 맞닿는 부위이다. 맞닿음부(212)는, YZ 평면 내에 있어서 피지지부(210)보다도 큰 외경을 갖는 각진 기둥형의 외형을 갖고 있다. 맞닿음부(212)의 외경은, YZ 평면 내에 있어서 콘택트 수용부(202)의 외경보다도 작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맞닿음부(212)는, 피맞닿음부(144)에 대응하는 육각기둥 형상을 갖고 있고, 피맞닿음부(144)에 수용된다. 맞닿음부(212)의 외형과 피맞닿음부(144)의 형상이 대응하고 있는 점에서, 맞닿음부(212)가 피맞닿음부(144)에 수용되면, 전원 콘택트(200)는 회전이동 불가능이 된다.
피고정부(216)는, 전원 콘택트(200)의 지름 방향 중심을 향하여 오목한 홈이다. 피고정부(216)를 구성하는 홈은, X방향에 있어서(즉, 전후에) 대향하는 2개의 측면을 갖고 있다. 홈의 전측의 측면은, 맞닿음부(212)가 피맞닿음부(144)에 맞닿은 상태에 있어서 오목부(114)의 전면과 면일(面一)이 되어 있다. 또한, 피고정부(216)를 구성하는 홈의 폭(X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은, C링(260)의 두께에 대응하고 있다. 맞닿음부(212)가 피맞닿음부(144)에 맞닿은 상태에서, 오목부(114) 내에 있어서 피고정부(216)에 C링(260)을 부착하면, 맞닿음부(212)와 C링(260)이 하우징(100)의 일부를 사이에 끼운다. 환언하면, 하우징(100)의 일부가 맞닿음부(212)와 C링(260)과의 사이에 끼워지고, 그에 따라 전원 콘택트(200)가 하우징(100)에 지지 고정된다.
전원 콘택트(200)는, 피지지부(210)가 콘택트 지지구멍(142)에 삽입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피고정부(216) 및 후단(200b)을 제외하고, 콘택트 외주부(140)에 덮여 있다. 도 6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2개의 전원 콘택트(200)의 각각의 맞닿음부(212)는, 1개의 대향면(214)을 포함하는 6개의(즉, 복수의) 측면을 갖고 있다. 2개의 전원 콘택트(200)의 대향면(214)은, Y방향(횡방향)에 있어서 서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측면이다. 2개의 전원 콘택트(200)는, 대향면(214)끼리가 서로 평행이 되도록 그리고 모두 Y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12의 전원 콘택트(700)를 참조). 환언하면, 전원 콘택트(200)의 맞닿음부(212)는, Y방향에 있어서 서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고 그리고 서로 대향하고 있는 대향면(214)을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대향면(214)을 평행 배치하는(즉, 2개의 대향면(214)이 서로 평행으로 연장되도록 피맞닿음부(144)를 배치함) 것으로 했기 때문에, 하우징(100)에 중계 커넥터 지지구멍(152)을 형성한 경우라도 극단으로 두께가 얇은 곳은 발생하지 않는다. 즉, 하우징(100)의 강도가 확보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중계 커넥터(400)는, 각진 통(筒)형의 외형을 갖고 있다. 중계 커넥터(400)는, 중계 하우징(410)과, 케이블에 접속되고, 그리고, 중계 하우징(410)에 지지되는 신호 콘택트(42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신호 콘택트(420)는, 소켓 콘택트이다. 도 5 내지 도 7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중계 커넥터(400)는, 하우징(100)의 후벽부(110)의 후면(110b)측으로부터 중계 커넥터 지지구멍(152) 내에 삽입되고, 중계 커넥터 지지구멍(152) 내에 착탈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중계 커넥터(400)는, Y방향에 있어서 2개의 전원 콘택트(20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우징(100)에 지지된다. 중계 커넥터 외주부(150)는, 중계 커넥터(400)가 하우징(100)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적어도 전단에 있어서 중계 커넥터(400)(중계 하우징(410))와의 사이에 간극(gap)을 갖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플러그(50)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하우징(600)과,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전원 콘택트(플러그측 전원 콘택트)(700)와,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2개의 절연 캡(750)과,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C링(고정구)(760)과, 중계 커넥터(플러그측 중계 커넥터)(900)를 구비하고 있다. 플러그(50)는, 리셉터클(30)과 동일하게, C링(760) 이외의 금속 링(예를 들면, E링)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고, 다른 고정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도 9 내지 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우징(600)은, 후벽부(610)와, 후벽부(610)의 전면(610f)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보호부(660)를 갖고 있다. 보호부(660)의 X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부분에는, YZ 평면 내에 있어서 외측으로 장출(protruding)된 플랜지(665)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665)는, 플러그(50)를 패널(40)에 고정할 때에 이용된다(도 1 참조).
도 9, 도 10, 도 12 및 도 13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600)에는, 보호부(660) 내에 형성된 2개의 콘택트 수용부(收容部)(640)와, 후벽부(610)를 X방향에 있어서 관통하는 2개의 콘택트 지지구멍(642)과, 보호부(660) 및 후벽부(610)를 관통하는 중계 커넥터 지지구멍(652)이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 수용부(640)는, YZ 평면 내에 있어서 콘택트 지지구멍(642)보다도 큰 외경을 갖고 있다.
도 12 및 도 13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콘택트 지지구멍(642)의 전방에는, 피맞닿음부(644)가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피맞닿음부(644)는, 콘택트 지지구멍(642)의 끼워맞춤측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피맞닿음부(644)는, X방향에 있어서 콘택트 지지구멍(642)과 콘택트 수용부(640)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콘택트 수용부(640)와 콘택트 지지구멍(642)은, 피맞닿음부(644)와 함께, 하우징(600)을 X방향에 있어서 관통하고 있다. 도시된 피맞닿음부(644)는, 정육각기둥 형상을 갖는 구멍이고, 후방을 향하여 패여 있다. YZ 평면 내에 있어서 피맞닿음부(644)의 외경은 콘택트 지지구멍(642)의 외경보다도 크고, 따라서, 피맞닿음부(644)와 콘택트 지지구멍(642)과의 경계 부분에는 전방을 향하고 있는 면(피맞닿음면(644s))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YZ 평면 내에 있어서 피맞닿음부(644)의 외경은 콘택트 수용부(640)의 외경보다도 작고, 따라서, 하우징(600)의 전단측에서 보았을 때에, 피맞닿음부(644)의 외형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콘택트 지지구멍(642)의 후측에는, 콘택트 지지구멍(642)을 둘러싸도록 하여 오목부(614)가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오목부(614)는, 콘택트 지지구멍(642)의 주위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오목부(614)는, 후벽부(610)의 후면(610b)을 전방을 향하여 오목하게 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614)는, C링(260)에 대한 오목부(114)와 동일하게, C링(760)의 부착 작업을 행할 때에, 지그 조작용의 공간으로서 사용된다.
도 10,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콘택트 수용부(640)와 중계 커넥터 지지구멍(652)과의 사이에는, 감전 방지부(62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감전 방지부(620)는, 중계 커넥터 지지구멍(652)의 측벽(즉, 하우징(600)의 일부)이다. 감전 방지부(620)는, 콘택트 수용부(640) 내에 손가락이 들어갈 가능성을 저감하고 있다.
도 10,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전원 콘택트(700)는, 피스톨(pistol) 탄상(彈狀)의 형상을 갖고 있다. 전원 콘택트(700)에는, 전단(700f)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패이도록 하여 연장되는 부착구멍(704)과, 후단(700b)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나사구멍(706)과, 부착구멍(704)과 나사구멍(706)을 연이어 통하는 연통구멍(708)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구멍(706)은 버스바(도시하지 않음)로의 접속에 이용된다.
부착구멍(704)과 연통구멍(708)은, 전단(700f)에서 나사구멍(706)까지 통하는 관통구멍을 구성하고 있다. 부착구멍(704), 연통구멍(708) 및 나사구멍(706)이, 전단(700f)에서 후단(700b)까지 전원 콘택트(700)를 관통하고 있는 점에서, 전원 콘택트(700)의 도금 작업시에 있어서의 도금 불량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류 용량이 낮아도 좋은 경우는, 연통구멍(708)을 크게 함으로써, 전원 콘택트(700)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부착구멍(704)의 내측의 면에는,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하여 오목한 피걸림부(걸림홈)(705)가 형성되어 있다.
도 13에 가장 잘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전원 콘택트(700)는, 상대측 콘택트인 리셉터클(30)의 전원 콘택트(리셉터클측 전원 콘택트)(200)의 콘택트 수용부(202)에 수용되는 피수용부(被受容部)(702)와, 피수용부(702)의 후측에 형성된 맞닿음부(712)와, 맞닿음부(712)의 후측에 형성된 피지지부(710)와, 피지지부(710)의 후측에 형성된 피고정부(716)를 갖고 있다.
피지지부(710)는, 콘택트 지지구멍(642)에 지지되는 부위이다. 피지지부(710)를 전측으로부터(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X방향을 따라) 콘택트 지지구멍(642)에 삽입함으로써, 전원 콘택트(700)는 하우징(600)에 지지된다.
맞닿음부(712)는, 피지지부(710)가 콘택트 지지구멍(642)에 삽입되었을 때에 피맞닿음부(644)에 맞닿는 부위이다. 맞닿음부(712)는, YZ 평면 내에 있어서 피지지부(710)보다도 큰 외경을 갖는 각진 기둥형의 외형을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맞닿음부(712)는, 피맞닿음부(644)에 대응하는 육각기둥 형상을 갖고 있고, 피맞닿음부(644)에 수용된다. 맞닿음부(712)의 외형과 피맞닿음부(644)의 형상이 대응하고 있는 점에서, 맞닿음부(712)가 피맞닿음부(644)에 수용되면, 전원 콘택트(700)는 회전이동 불가능이 된다. 맞닿음부(712)는, YZ 평면 내에 있어서 피수용부(702)보다도 큰 외경을 갖고 있고, 따라서, 플러그(50)를 그 전방에서 본 경우에, 콘택트 수용부(640)를 통과하여 맞닿음부(712)를 시인할 수 있다.
도 12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전원 콘택트(700)의 각각의 맞닿음부(712)는, 1개의 대향면(714)을 포함하는 6개의(즉, 복수의) 측면을 갖고 있다. 2개의 전원 콘택트(700)의 대향면(714)은, Y방향(횡방향)에 있어서 서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측면이다. 2개의 전원 콘택트(700)는, 대향면(714)끼리가 서로 평행이 되도록 그리고 모두 Y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전원 콘택트(700)의 맞닿음부(712)는, Y방향에 있어서 서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고 그리고 서로 대향하고 있는 대향면(714)을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대향면(714)을 평행 배치하는(즉, 2개의 대향면(714)이 서로 평행으로 연장되도록 피맞닿음부(644)를 배치함) 것으로 했기 때문에, 하우징(600)에 중계 커넥터 지지구멍(652)을 형성한 경우라도 극단으로 두께가 얇은 곳은 발생하지 않는다. 즉, 하우징(600)의 강도가 확보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피고정부(716)는, 전원 콘택트(700)의 지름 방향 중심을 향하여 오목한 홈이다. 피고정부(716)를 구성하는 홈은, X방향에 있어서(즉, 전후에) 대향하는 2개의 측면을 갖고 있다. 홈의 전측의 측면은, 맞닿음부(712)가 피맞닿음부(644)에 맞닿은 상태에 있어서 오목부(614)의 전면과 면일이 되어 있다. 또한, 피고정부(716)를 구성하는 홈의 폭(X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은, C링(760)의 두께에 대응하고 있다. 맞닿음부(712)가 피맞닿음부(644)에 맞닿은 상태에서, 오목부(614) 내에 있어서 피고정부(716)에 C링(760)을 부착하면, 맞닿음부(712)와 C링(760)으로 하우징(600)의 일부를 사이에 끼운다. 환언하면, 하우징(600)의 일부가 맞닿음부(712)와 C링(760)과의 사이에 끼워져, 그에 따라 전원 콘택트(700)가 하우징(600)에 지지 고정된다.
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전원 콘택트(700)가 하우징(600)에 지지된 지지 상태에 있어서, 감전 방지부(620)는, 전원 콘택트(700)의 측방에 위치하고 있다. 지지 상태에 있어서, 전원 콘택트(700)의 전단(700f)은, 콘택트 수용부(640) 내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전원 콘택트(700)의 전단(700f)은, 감전 방지부(620)의 전단(620f)보다도 후측에 위치하고 있다. 환언하면, 감전 방지부(620)의 전단(620f)은, 전원 콘택트(700)의 전단(700f)을 넘어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플러그(50)는 감전되기 어려운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술한 구조에 더하여, 감전 방지를 위한 절연 캡(750)이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절연 캡(750)은, X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부(752)와, 걸림부(752)를 탄성 지지하는 지지부(754)를 구비하고 있다. 절연 캡(750)이 전원 콘택트(700)의 전단(700f)측으로부터 부착구멍(704) 내에 삽입되면, 걸림부(752)가 피걸림부(705)에 걸리고, 이에 따라, 절연 캡(750)은, 전원 콘택트(700)의 전단(700f)에 부착된다. 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절연 캡(750)이 전원 콘택트(700)의 전단(700f)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절연 캡(750)의 전단(750f)은, 콘택트 수용부(640) 내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절연 캡(750)의 전단(750f)은, 감전 방지부(620)의 전단(620f)보다도 후측에 위치하고 있다. 환언하면, 감전 방지부(620)의 전단(620f)은, 절연 캡(750)의 전단(750f)을 넘어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플러그(50)는, 절연 캡(750)을 갖지 않는 경우나 절연 캡(750)이 감전 방지부(620)보다도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더욱 감전되기 어려운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도 1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중계 커넥터(900)는, 중계 하우징(910)과, 케이블에 접속되고, 그리고, 중계 하우징(910)에 지지되는 신호 콘택트(920)를 구비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중계 커넥터(900)는, 플러그(50)와 리셉터클(30)이 서로 끼워맞춤될 때에, 중계 커넥터(400)와 접속된다. 도 4, 도 6및 도 10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신호 콘택트(920)는, 소켓 콘택트인 신호 콘택트(420)에 삽입 접속되는 핀 콘택트이다. 도 9 내지 도 13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중계 커넥터(900)는, 하우징(600)의 후벽부(610)의 후면(610b)측으로부터 중계 커넥터 지지구멍(652) 내에 삽입된다. 중계 커넥터(900)는, Y방향에 있어서 2개의 전원 콘택트(70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하우징(600)에 착탈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고정구인 C링(260)은, 리셉터클(30)의 하우징(100)의 후측으로부터 부착된다. 마찬가지로, 고정구인 C링(760)은, 플러그(50)의 하우징(600)의 후측으로부터 부착된다. 따라서, 지그 작업용의 공간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 및 600)의 전면측에 불필요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리셉터클(30) 및 플러그(50)는, 감전 방지의 관점에서 우수한 구조를 갖고 있다.
맞닿음부(212 및 712)의 외형은, 비원주(非圓柱)형(예를 들면, 각진 기둥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피맞닿음부(144 및 644)의 외형은, 맞닿음부(212 및 712)의 외형에 각각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전원 콘택트(200 및 700)에 버스바(도시하지 않음)를 부착할 때, 전원 콘택트(200 및 700)가 의도하지 않게 회전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원 콘택트(200)의 맞닿음부(212)는, 정육각기둥형의 형상을 갖고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맞닿음부(212)는, 전원 콘택트(200)가 그 축의 주위로 회전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맞닿음부(212)의 형상은, 삼각기둥, 사각기둥 등의 각진 기둥 형상이라도 좋고, 트랙 형상, 혹은 타원 형상 등의 다른 형상이라도 좋다. 단, 하우징(100)의 강도와 사이즈를 고려하면, 측면을 6면 이상 갖는 바와 같은 각진 기둥형의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방지를 다른 수단에 의해 실현하는 경우, 맞닿음부(212)는, C링(고정구)(260)과 함께 후벽부(110)를 끼워둘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그러나 리셉터클(30)을 소형화하기 위해서는, 맞닿음부(212)를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 콘택트(700)의 맞닿음부(712)에 대해서도, 전원 콘택트(200)의 맞닿음부(212)와 동일하게 변형할 수 있다.
플러그(50)의 감전 방지부(620)는, 중계 커넥터 지지구멍(652)의 측벽이 아니라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플러그(50a)의 감전 방지부를, 하우징(600a)이 아닌, 중계 커넥터(900a)의 일부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러그(50a)의 감전 방지부를, 중계 커넥터(900a)의 중계 하우징(910a)에 형성해도 좋다. 도시된 하우징(600a)은, 중계 커넥터(900a)의 측방에 내격벽을 갖고 있지 않다. 그 대신, 중계 하우징(910a)의 측부에는, 절연 캡(750)(즉, 전원 콘택트(700))을 향하여 돌출된 2개의 돌기부(912)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돌기부(912)는, Z방향에 있어서 이간(separation)하여 형성되어 있고, 감전 방지부로서 기능하고 있다.
본 발명의 최량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당업자에게는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 형태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러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축전지 모듈
10 : 축전지
20 : 모듈 박스
30 : 리셉터클(커넥터)
40 : 패널
50, 50a : 플러그(커넥터)
100 : 하우징
110 : 후벽부
110f : 전면
110b : 후면
114 : 오목부
120 : 피케이싱부
120p : 주위
134 : 시일 스토퍼
136 : 홈부
140 : 콘택트 외주부
142 : 콘택트 지지구멍
144 : 피맞닿음부
144s : 피맞닿음면
150 : 중계 커넥터 외주부
152 : 중계 커넥터 지지구멍
160 : 케이싱부
165 : 플랜지
200 : 전원 콘택트(리셉터클측 전원 콘택트)
200f : 전단
200b : 후단
202 : 콘택트 수용부(受容部)
204 : 피부착부
206 : 나사구멍
210 : 피지지부
212 : 맞닿음부
214 : 대향면
216 : 피고정부
250 : 스프링
260 : C링(고정구)
300 : 시일 부재
400 : 중계 커넥터(리셉터클측 중계 커넥터)
410 : 중계 하우징
420 : 신호 콘택트
600, 600a : 하우징
610 : 후벽부
610f :전면
610b : 후면
614 : 오목부
620 : 감전 방지부
620f : 전단
640 : 콘택트 수용부(收容部)
642 : 콘택트 지지구멍
644 : 피맞닿음부
644s : 피맞닿음면
652 : 중계 커넥터 지지구멍
660 : 보호부
665 : 플랜지
700 : 전원 콘택트(플러그측 전원 콘택트)
700f : 전단
700b : 후단
702 : 피수용부(被受容部)
704 : 부착구멍
705 : 피걸림부
706 : 나사구멍
708 : 연통구멍
710 : 피지지부
712 : 맞닿음부
714 : 대향면
716 : 피고정부
750 : 절연 캡
750f : 전단
752 : 걸림부
754 : 지지부
760 : C링(고정구)
900, 900a : 중계 커넥터(플러그측 중계 커넥터)
910, 910a : 중계 하우징
912 : 돌기부
920 : 신호 콘택트

Claims (25)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부착된 전원 콘택트와, 상기 전원 콘택트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구를 구비하고, 끼워맞춤측에 위치하는 상대측 커넥터와 전후 방향을 따라 끼워맞춤 가능한 커넥터로서,
    상기 하우징은, 후벽(後壁)부와, 상기 후벽부를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콘택트 지지구멍과, 상기 콘택트 지지구멍의 상기 끼워맞춤측에 위치하는 피(被)맞닿음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전원 콘택트는, 상기 끼워맞춤측으로부터 상기 콘택트 지지구멍에 삽입 지지되는 피지지부와,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피지지부의 상기 끼워맞춤측과는 반대측에 형성된 피고정부와, 상기 피지지부가 상기 콘택트 지지구멍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피맞닿음부에 맞닿도록 상기 피지지부의 상기 끼워맞춤측에 형성된 맞닿음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고정구는, 상기 피고정부에 부착되고, 그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일부가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맞닿음부와 상기 고정구와의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전원 콘택트는, 상대측 콘택트인 플러그측 전원 콘택트를 수용(受容)하는 콘택트 수용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면 내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수용부의 외경은, 상기 맞닿음부의 외경보다도 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면 내에 있어서 상기 피지지부보다도 큰 외경(external diameter)을 갖는 각진 기둥형의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피맞닿음부는, 상기 맞닿음부의 상기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상기 끼워맞춤측과는 반대측을 향하여 패여 있으며,
    상기 맞닿음부는, 회전이동 불가능해지도록 상기 피맞닿음부에 지지되어 있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는, 6면 이상의 측면을 갖는 각진 기둥형의 형상을 갖고 있는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피고정부에 부착되는 금속 링인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후벽부의 후면(後面)에는 상기 끼워맞춤측을 향하여 오목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콘택트 지지구멍의 주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구는 상기 오목부 내에 있어서 상기 피고정부에 부착되어 있는 커넥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전원 콘택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전원 콘택트의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횡방향에 있어서 서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고 그리고 서로 대향하고 있는 대향면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전원 콘택트는, 상기 대향면끼리가 서로 평행이 되도록 그리고 상기 횡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각진 통형의 외형을 갖는 중계 커넥터를 추가로 갖고 있고,
    상기 중계 커넥터는, 상기 횡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원 콘택트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는 커넥터.
  9. 삭제
  10.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부착된 전원 콘택트와, 상기 전원 콘택트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구를 구비하고, 끼워맞춤측에 위치하는 상대측 커넥터와 전후 방향을 따라 끼워맞춤 가능한 커넥터로서,
    상기 하우징은, 후벽(後壁)부와, 상기 후벽부를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콘택트 지지구멍과, 상기 콘택트 지지구멍의 상기 끼워맞춤측에 위치하는 피(被)맞닿음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전원 콘택트는, 상기 끼워맞춤측으로부터 상기 콘택트 지지구멍에 삽입 지지되는 피지지부와,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피지지부의 상기 끼워맞춤측과는 반대측에 형성된 피고정부와, 상기 피지지부가 상기 콘택트 지지구멍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피맞닿음부에 맞닿도록 상기 피지지부의 상기 끼워맞춤측에 형성된 맞닿음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고정구는, 상기 피고정부에 부착되고, 그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일부가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맞닿음부와 상기 고정구와의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전원 콘택트는, 상대측 콘택트인 리셉터클측 전원 콘택트에 수용되는 피수용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면 내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의 외경은, 상기 피수용부의 외경보다도 크며,
    상기 전원 콘택트의 측방에 위치하는 감전 방지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감전 방지부의 전단(前端)은, 상기 전원 콘택트의 전단을 넘어 상기 끼워맞춤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콘택트의 전단에는, 절연 캡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감전 방지부의 전단은, 상기 절연 캡의 전단을 넘어 상기 끼워맞춤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콘택트에는, 전단으로부터 상기 끼워맞춤측과는 반대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부착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착구멍의 내측면에는 피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연 캡은, 상기 피걸림부에 걸리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를 탄성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고 있는 커넥터.
  13. 제10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전원 콘택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전원 콘택트의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횡방향에 있어서 서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고 그리고 서로 대향하고 있는 대향면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전원 콘택트는, 상기 대향면끼리가 서로 평행이 되도록 그리고 상기 횡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는 중계 커넥터를 추가로 갖고 있고,
    상기 중계 커넥터는, 상기 횡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원 콘택트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는 커넥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감전 방지부는, 상기 중계 커넥터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커넥터의 측부에는, 상기 감전 방지부로서, 상기 전원 콘택트를 향하여 돌출된 2개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전 방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18. 삭제
  19. 삭제
  2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면 내에 있어서 상기 피지지부보다도 큰 외경을 갖는 각진 기둥형의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피맞닿음부는, 상기 맞닿음부의 상기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상기 끼워맞춤측과는 반대측을 향하여 패여 있으며,
    상기 맞닿음부는, 회전이동 불가능해지도록 상기 피맞닿음부에 지지되어 있는 커넥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는, 6면 이상의 측면을 갖는 각진 기둥형의 형상을 갖고 있는 커넥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피고정부에 부착되는 금속 링인 커넥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후벽부의 후면(後面)에는 상기 끼워맞춤측을 향하여 오목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콘택트 지지구멍의 주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구는 상기 오목부 내에 있어서 상기 피고정부에 부착되어 있는 커넥터.
  24. 제1항 내지 제5항, 제7항, 제8항, 제10항 내지 제17항,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콘택트에는, 후단(後端)으로부터 상기 끼워맞춤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콘택트에는, 전단으로부터 상기 나사구멍까지 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KR1020137017376A 2010-12-22 2011-08-31 커넥터 KR101511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86497A JP5373757B2 (ja) 2010-12-22 2010-12-22 コネクタ
JPJP-P-2010-286497 2010-12-22
PCT/JP2011/069708 WO2012086267A1 (ja) 2010-12-22 2011-08-31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119A KR20130101119A (ko) 2013-09-12
KR101511173B1 true KR101511173B1 (ko) 2015-04-10

Family

ID=46313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7376A KR101511173B1 (ko) 2010-12-22 2011-08-31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59527B2 (ko)
JP (1) JP5373757B2 (ko)
KR (1) KR101511173B1 (ko)
CN (3) CN103283092B (ko)
DE (1) DE112011104520B4 (ko)
TW (1) TWI437770B (ko)
WO (1) WO20120862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73757B2 (ja) * 2010-12-22 2013-12-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3187646B (zh) * 2011-12-28 2015-05-27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电源插销结构
JP5247896B2 (ja) * 2012-01-04 2013-07-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蓄電装置
JP5308544B2 (ja) * 2012-01-04 2013-10-0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池ユニット用のコネクタ、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池ユニット
KR101507222B1 (ko) * 2013-05-15 2015-03-30 세방전지(주) 배선이 용이한 커넥터를 구비한 에너지저장시스템
JP6056720B2 (ja) * 2013-09-18 2017-01-11 住友電装株式会社 機器用コネクタ
DE102014110278B4 (de) * 2014-07-22 2018-08-30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Halterahmen für Steckverbindermodule und/oder Steckverbinder
JP6647825B2 (ja) * 2015-09-29 2020-02-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DE102016005508A1 (de) 2016-05-04 2017-11-09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Hochvoltverbinder
FR3066861B1 (fr) * 2017-05-23 2020-10-30 Axon Cable Sa Connecteur quart de tour compact
DE102017210425A1 (de) * 2017-06-21 2018-12-27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Modulverbinder
USD845240S1 (en) * 2017-08-02 2019-04-09 Advanced-Connectek Inc. Part of a receptacle connector
CN109546392B (zh) * 2017-09-21 2020-09-08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电源连接器
CN107994420A (zh) * 2017-11-09 2018-05-04 镇江华京通讯科技有限公司 一种超小型推入式射频同轴连接器
CN110323606B (zh) * 2018-03-30 2021-06-29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连接器的接触件安装结构及接触件
JP7127518B2 (ja) * 2018-12-12 2022-08-30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源装置
CN216121059U (zh) * 2021-10-29 2022-03-2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储能连接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2064U (ja) * 1992-02-28 1993-09-28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リング固定形コネクタ
JP2002093490A (ja) * 2000-09-06 2002-03-29 Molex Inc 基板接続用コネクタ
KR20120031964A (ko) * 2009-01-22 2012-04-04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조립체
KR20120122888A (ko) * 2011-04-28 2012-11-07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3655A (en) * 1978-07-20 1980-03-18 Amp Incorporated Field repairable connector assembly
JPS62264578A (ja) * 1986-05-12 1987-11-17 日本電気株式会社 接続具
JPH03214574A (ja) * 1990-01-18 1991-09-19 Fujitsu Ltd コネクタの接続機構
US5362261A (en) * 1993-06-30 1994-11-08 The Whitaker Corporation Hybrid connector
JP3531684B2 (ja) * 1994-07-19 2004-05-31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係止機構
JP3010103U (ja) 1994-10-13 1995-04-25 株式会社三松エレックス 電極ピン
JPH08315914A (ja) 1995-05-16 1996-11-29 Fuji Electric Co Ltd 差込接続子
CN2270285Y (zh) * 1996-05-27 1997-12-10 叶宏清 电源线插头及插座
JP3575295B2 (ja) 1998-04-15 2004-10-13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用コネクタのプラグ
FR2804250B1 (fr) * 2000-01-24 2002-05-31 Radiall Sa Element de connecteur electrique coaxial et connecteur electrique coaxial comportant un tel element
CN2490734Y (zh) * 2001-06-28 2002-05-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合
US6773304B2 (en) * 2001-11-09 2004-08-10 Thermal Dynamics Corporation Tamper resistant pin connection
JP3851586B2 (ja) * 2002-04-17 2006-11-29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とシールドコネクタの組立方法
JP2003323932A (ja) * 2002-05-01 2003-11-14 Yazaki Corp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04014350A (ja) * 2002-06-07 2004-01-15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CN2571030Y (zh) * 2002-09-21 2003-09-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706921Y (zh) * 2004-04-20 2005-06-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源连接器
JP4417274B2 (ja) 2005-02-15 2010-02-1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06244902A (ja) 2005-03-04 2006-09-14 Tyco Electronics Amp Kk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7083462B1 (en) * 2005-11-03 2006-08-01 Liang Tei Co., Ltd. Adjustable buckling structure for connectors
US7399207B2 (en) * 2006-03-31 2008-07-15 Juno Manufacturing, Inc. Coaxial connector and method for connecting cable to same
CN100384026C (zh) * 2006-05-25 2008-04-23 宁波市吉品信息互连工业有限公司 电缆插头连接器
CN101355208A (zh) * 2008-07-10 2009-01-28 徐志 电连接器接触对轴向弹性施力连接的方法
US7909668B2 (en) * 2008-07-22 2011-03-2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tact with twist pin interface
TWM374684U (en) 2009-05-13 2010-02-21 Singatron Entpr Co Ltd Connector assembly structure
CN101771223B (zh) * 2010-02-05 2012-07-04 陕西四菱电子有限责任公司 现场组合式矩形高低频混装连接器
JP2010286497A (ja) 2010-07-20 2010-12-24 Takeshi Abe 巻尺の回転ドラム停止装置
JP5373757B2 (ja) * 2010-12-22 2013-12-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2064U (ja) * 1992-02-28 1993-09-28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リング固定形コネクタ
JP2002093490A (ja) * 2000-09-06 2002-03-29 Molex Inc 基板接続用コネクタ
KR20120031964A (ko) * 2009-01-22 2012-04-04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조립체
KR20120122888A (ko) * 2011-04-28 2012-11-07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1104520T5 (de) 2013-10-24
DE112011104520B4 (de) 2018-05-24
CN104953328B (zh) 2018-01-23
JP5373757B2 (ja) 2013-12-18
TWI437770B (zh) 2014-05-11
TW201301673A (zh) 2013-01-01
KR20130101119A (ko) 2013-09-12
CN104953329B (zh) 2017-09-26
CN103283092A (zh) 2013-09-04
US9059527B2 (en) 2015-06-16
US20130288543A1 (en) 2013-10-31
JP2012134063A (ja) 2012-07-12
WO2012086267A1 (ja) 2012-06-28
CN104953328A (zh) 2015-09-30
CN103283092B (zh) 2015-09-09
CN104953329A (zh) 2015-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1173B1 (ko) 커넥터
JP5801705B2 (ja) 防水コネクタ接続構造
US8992245B2 (en) Connector
KR20100094405A (ko) 밀봉 접지된 전기 커넥터 및 밀봉 접지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2018010787A (ja) コネクタ
CN110829100A (zh) 换电连接器
JP2005019319A (ja) 機器用コネクタ
KR102170318B1 (ko) 파워 커넥터
JP2021190366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TW202123553A (zh) 電連接器
CN110504582B (zh) 连接器
JP2018045836A (ja) コネクタ
JP2014203647A (ja) コネクタ
KR102555976B1 (ko) 고전압 커넥터
KR102284391B1 (ko) 고압 전력용 커넥터
CN211126215U (zh) 换电连接器
JP6641930B2 (ja) 防水コネクタ
KR102629846B1 (ko) 복수의 공간적 방향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플러그 커넥터 부품
JP3884728B2 (ja) コネクタ構成部品のがたつき防止構造
WO2024095806A1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ユニット
CN217444716U (zh) 电源连接器
CN114830459B (zh) 电线侧连接器
CN214254830U (zh) 一种连接器插头
JP2002082255A (ja) 光アダプタ
JP2018014166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