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2888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2888A
KR20120122888A KR1020120030924A KR20120030924A KR20120122888A KR 20120122888 A KR20120122888 A KR 20120122888A KR 1020120030924 A KR1020120030924 A KR 1020120030924A KR 20120030924 A KR20120030924 A KR 20120030924A KR 20120122888 A KR20120122888 A KR 20120122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nector
housing
shell
m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7395B1 (ko
Inventor
준 신도
마사키 기무라
가즈아키 이바라키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22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2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1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for shielded multiconductor cable
    • H01R13/65918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for shielded multiconductor cable wherein each conductor is individually surrounded by shield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는 하우징과 복수의 콘택트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은 판형상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있다. 결합부는 전방으로 돌출하고 또한 상면 및 하면을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콘택트는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다. 콘택트의 각각은 접촉부와 단부와 평면부를 구비하고 있다. 접촉부는 접속방향에 있어서 연장되고 있고 또한 결합부의 상면상에 있어서 노출하고 있다. 단부는 결합부내에 매설되어 있다. 평면부는 접촉부와 단부의 경계를 구성하고 또한 상면으로부터는 돌출하고 있지 않고, 결합부의 상면의 상방으로부터 본 경우에 확인 가능하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판형상의 결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타입의 커넥터는,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0-62072호 공보 및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4-36282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고, 당해 공보의 내용을 참조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0-6207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커넥터는, 두께방향에 있어서 비대칭의 형상을 구비하는 결합부(130')를 구비하고 있다(본 출원 도17을 참조). 비대칭의 형상이기 때문에, 상대측 커넥터의 콘택트(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는 적절하게 가이드 되어 상대측 커넥터가 원활하게 커넥터에 접속된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4-362827호 공보에 개시된 커넥터는, 상면, 하면 및 복수의 콘택트(150")를 구비하는 별도 타입의 결합부(130")를 구비하고 있다. 콘택트(150")의 각각은, 주된 접촉부(154")와 단부(156")를 구비하고 있다. 단부(156")는 상면으로 노출하고 있는 한편 접촉부(154")는 하면에 위치하고 있다. 커넥터의 하우징이 성형될 때에, 성형용 금형이 이웃하는 콘택트(150") 사이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피치 방향에 있어서 콘택트(150")는 적절하게 배치된다(본 출원 도18A내지 도18C, 특히 도18C를 참조).
그러나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0-62072호 및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4-362827호에 개시되어 있는 커넥터는 이하의 문제를 구비한다. 상세하게는, 하우징이 성형될 때에, 성형용 금형에 의하여 수지가 압출되고, 압출된 수지는 접촉부의 단부를 덮을 수 있다. 접촉부상의 수지는 벗겨져 떨어져서 콘택트와 상대측 콘택트의 전기적 접속을 방해할 수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0-62072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4-362827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구비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의 측면은, 하우징과 복수의 콘택트를 구비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새로운 구조를 제공한다. 하우징은 판형상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있다. 결합부는 전방으로 돌출하고 또한 상면 및 하면을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콘택트는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다. 콘택트의 각각은 접촉부와 단부와 평면부를 구비하고 있다. 접촉부는 접속방향에 있어서 연장되고 있고 또한 결합부의 상면상에 있어서 노출하고 있다. 단부는 결합부내에 매설되어 있다. 평면부는, 접촉부와 단부의 경계를 구성하고 또한 상면으로부터는 돌출하고 있지 않고, 결합부의 상면의 상방으로부터 본 경우에 확인 가능하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최선의 실시형태의 설명을 검토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정확하게 이해되고, 또 그 구성에 대해서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커넥터(플러그 커넥터)는 상대측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다.
도2는, 도1의 커넥터 조립체의 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전선의 단면은 간략화되어서 그려져 있고, 해칭은 생략되어 있다(이하에 있어서 같다.).
도3은, 도1의 커넥터 조립체의 II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4는, 도1의 상대측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는, 도4의 상대측 커넥터의 V-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6은,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복수의 전선이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다.
도7은, 도6의 커넥터의 바닥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8은, 도6의 커넥터의 VIII-V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9는, 도8의 커넥터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10은, 도6의 커넥터의 X-X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11은, 커넥터의 하우징, 콘택트 및 쉘로 이루어지는 구조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전선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고 있다.
도12는, 도11의 구조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3은, 도11의 구조체의 바닥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4는, 도11의 구조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복수의 전선이 구조체에 접속되어 있다.
도15는, 도14의 구조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16은, 도6의 커넥터의 커버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7은,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0-6207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18A는,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4-36282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18B는, 도18A의 커넥터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18C는, 도18A의 커넥터의 결합부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결합부는 앞으로부터 본 것이다. 콘택트의 단부는 성형용 금형에 의하여 배치된다.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다양한 형태를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 일례로서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특정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및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여기에 개시한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첨부의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 있어서 이루어지는 모든 변형예, 균등물, 대체예를 그 대상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1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10)는, 커넥터(플러그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200)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전선(300)은 커넥터(100)에 접속되어 있다. 상대측 커넥터(200)는 기판(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탑재된다. 커넥터(100)는 접속방향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200)에 삽입되어서 접속되고, 제거방향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200)로부터 제거된다. 여기에서 도면을 참조하면, 접속방향 및 제거방향은 +X방향(앞방향) 및 -X방향(뒷방향)의 각각과 대응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후방향은 X방향(+X방향 및 -X방향의 쌍방)과 대응하고 있다. 피치 방향은 Y방향(+Y방향 및 -Y방향의 쌍방)과 대응하고 있다. 상하방향은 Z방향(+Z방향 및 -Z방향의 쌍방)과 대응하고 있다. 상측방향 및 하측방향은 +Z방향 및 -Z방향의 각각과 대응하고 있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상대측 커넥터(200)는 상대측 하우징(220), 복수의 상대측 콘택트(250) 및 상대측 쉘(270)을 구비하고 있다. 상대측 하우징(220)은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대측 콘택트(250) 및 상대측 쉘(270)은 금속제다. 상대측 커넥터(200)는, 커넥터(100)가 상대측 커넥터(200)에 접속되었을 때에 커넥터(100)의 결합부(상세하게는 뒤에서 설명한다)를 수용하는 수용부(210)를 구비하고 있다. 상대측 콘택트(250)는, 각 접촉부(252)가 수용부(210)내에 있어서 변위 가능하게 상대측 하우징(220)에 지지되어 있다.
도6 및 도10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00)는 하우징(120), 복수의 콘택트(150), 몰드인쉘(mold-in-shell)(쉘)(170) 및 커버쉘(180)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20)은 절연소재로 이루어진다. 콘택트(150), 몰드인쉘(170) 및 커버쉘(180)은 금속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콘택트(150), 몰드인쉘(170) 및 하우징(120)은 삽입성형에 의하여 서로 일체로 형성되고, 도11내지 도15에 나타내는 구조체(110)를 구성한다. 콘택트(150)와 몰드인쉘(170)은 하우징(120)의 성형시에 하우징(120)에 조립된다. 도14 및 도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선(300)은 다음과 같이 하여 커넥터(100)에 접속된다. 복수의 전선(300)이 구조체(110)에 접속되고, 커버쉘(180)이 구조체(110)에 부착된다.
상세하게는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콘택트(150)는 피접속부(152), 접촉부(154) 및 단부(156)를 구비하고 있다. 전선(300)의 심선(310)은 솔더링(350)에 의하여 피접속부(152)에 접속된다. 커넥터(100)가 상대측 커넥터(200)에 접속되었을 때에, 접촉부(154)는 상대측 커넥터(200)의 접촉부(252)에 접속된다. 콘택트(150)는, 접촉부(154) 앞부분에 굴곡부(158)가 형성되도록 하방으로 구부러져 있다. 단부(156)는 전후방향과 비스듬히 교차한다. 평면부(160)는 단부(156)와 굴곡부(158)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평면부(160)는 접촉부(154)(굴곡부(158))와 단부(156)의 경계를 구성한다.
도6내지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하우징(120)은, 판상의 형상을 구비하는 결합부(130)를 구비하고 있다. 결합부(130)의 형상은 피치 방향으로 길다. 결합부(130)는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고, 상면(132) 및 하면(134)을 구비하고 있다. 상면(132) 및 하면(134)은, 전후방향 및 피치 방향으로 규정되는 가상평면(XY평면)과 평행하다. 환언하면, 결합부(130)의 상면(132) 및 하면(134)은 상하방향과 직교한다. 결합부(130)의 전단(136)은,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규정되는 다른 가상면내에 있어서 반원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당해 가상면은 상면(132) 및 하면(134)과 직교하고 전후 접속방향과 평행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콘택트(150)는 삽입성형에 의하여 하우징(120)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콘택트(150)의 각각은, 접촉부(154)가 전후방향을 따라 신장되고, 결합부(130)의 상면(132)에 있어서 노출하도록 하우징(120)에 지지된다. 콘택트(150)의 단부(156)는 비스듬하게 앞하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있고, 이에 따라 단부(156)는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결합부(130)내에 매설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평면부(160)는 결합부(130)의 상면(132)과 하나의 면이다. 환언하면, 평면부(160)는 결합부(130)의 상면(132)과 평행하다. 하우징(120)이 성형될 때에, 성형용 금형(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이 평면부(160)에 접촉하기 때문에 수지는 평면부(160)상에 없다. 이러한 공정에 의하여 평면부(160)는 상면(132)의 상방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하우징(120)이 성형될 때에, 성형용 금형이 상면(132)의 상방으로부터 평면부(160)에 접촉 가능한 한, 평면부(160)는 상면(132)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가령, 평면부(160)가 상면(132)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었을 경우에, 상대측 콘택트(250)는 평면부(160)의 단부에 의하여 마모되고 말아, 상대측 콘택트(250)상의 도금이나 피복이 벗겨져 떨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평면부는 상면(132)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콘택트는 굴곡부를 구비하고 있어, 성형용 금형과 당해 굴곡부를 정확하게 맞추는 것은 곤란하다. 가령, 콘택트가 평면부(160)를 구비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 성형용 금형과 굴곡부의 사이에 위치하지 않는 간격(틈)이 발생하고, 당해 간격(틈)에 수지가 유입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콘택트(150)는 평면부(160)를 구비하고 있고, 이에 따라 용이하게 성형용 금형을 평면부(160)에 맞출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성형용 금형과 평면부(160) 사이에 의도하지 않는 간격(틈)은 발생하지 않는다. 하우징(120)이 성형될 때에, 성형용 금형이 수지의 흐름을 블록하기 때문에 수지가 굴곡부(158)쪽으로 압출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몰드인쉘(170)도 삽입성형에 의하여 하우징(120)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도7, 도8 및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몰드인쉘(170)의 일부는 결합부(130)의 하면(134)으로 노출하고 있다.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100)가 상대측 커넥터(200)에 접속될 때에, 몰드인쉘(170)은 당해 노출하고 있는 부분을 통하여 상대측 쉘(27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몰드인쉘(170)과 상대측 쉘(270)의 접속은 결합부의 하측에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성형용 금형은 금속부재를 성형 대상물내에 배치시키기 위하여 돌출하고 있는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20)이 성형될 때에, 당해 돌출하고 있는 부분이 콘택트(150) 및 몰드인쉘(170)과 접촉함으로써 콘택트(150) 및 몰드인쉘(170)은 적절한 위치에 배치된다. 성형용 금형의 돌출하고 있는 부분은, 하우징(120)에 도8내지 도10에 나타내는 복수의 구멍(122, 124, 126, 128)을 형성한다. 상세하게는, 성형용 금형은 콘택트(150)와 접촉하고 구멍(122, 124, 126, 128)이 형성된다(도8 참조). 또한 성형용 금형은 몰드인쉘(170)과 접촉하고 구멍(128)이 형성된다(도10).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구멍(122)은 다른 구멍(124, 126, 128)중에서 가장 전단(136)의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구멍(122)은 결합부(130)의 하면(134)에 형성되고 접촉부(154)에 도달하고 있다. 도9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콘택트(150)의 단부(156)의 모든 부분은 결합부(130)내에 매설되어 있다. 환언하면, 콘택트(150)의 단부(156)는, 상면(132)의 상방으로부터도 하면(134)의 하방으로부터도 확인할 수 없다. 도2 및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100)가 상대측 커넥터(200)와 접속될 때에, 콘택트(150)는 결합부(130)의 상면(132)에 위치하고 있는 한편, 상대측 쉘(270)은 하면(134)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즉 콘택트(150)(특히, 접촉부(154))는 적어도 결합부(130)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두께에 상당하는 길이(L)만큼 상대측 쉘(270)로부터 떨어져 있다(도9 참조). 성형용 금형에 의하여 형성되는 구멍(122')이 콘택트(150')의 단부(156')에 도달하고 있는 경우(도17 참조)에, 단부(156')와 상대측 쉘(270') 사이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의 거리(L')는 결합부(130')의 두께보다도 작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는, 콘택트(150')(단부(156'))와 상대측 쉘(270') 사이에 있어서 의도하지 않는 단락(短絡)이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10)에 의하면, 콘택트(150)(접촉부154)와 상대측 쉘(270)의 거리(L)는 콘택트(150')(단부(156'))과 상대측 쉘(270')의 거리(L')보다도 길기 때문에, 콘택트(150)와 상대측 쉘(270)의 단락의 발생이 감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멍(122) 및 구멍(122')(도9 및 도17 참조)은, 콘택트(150) 및 콘택트(150')(특히 이들 선단부분)를 적절하게 배치할 때에 각각 필연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구멍(122)을 콘택트(150)와 상대측 쉘(270) 사이의 거리(L)가 보다 길게 되는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의도하지 않는 단락을 방지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도11, 도12, 도14 및 도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100)의 하우징(120)에는, 피접속부(152)의 후방에 복수의 리브(140)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140)는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고, 전선(300)의 심선(310)이 피접속부(152)상에 위치하도록 전선(300)은 인접하는 1조의 리브(140) 사이에 배치된다. 인접하는 리브(140) 사이에 있어서의 간격(틈)은 전선(300)이 당해 간격(틈)에 가볍게 압입되고 또한 당해 리브(140)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리브(140)의 각각은, 피치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1조의 피접속부(152)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12 및 도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리브(140)는, 리브(140)의 앞부분에 형성된 경사면(142)을 구비하고 있고, 이에 따라 피접속부(125)와 심선(330)이 납땜될 때에 리브(140)와 납땜 인두(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가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당해 경사면(142)은 XY평면과 비스듬히 교차하고 있다.
커넥터(100)는 다음과 같이 하여 조립할 수 있다. 도8, 도10, 도14 및 도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선(300)의 실드부(320)가 그라운드바(190)에 접속되어 지지되고, 전선(300)과 그라운드바(190)가 1개의 부품으로 집약된다. 심선(31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콘택트(150)의 피접속부(152)상에 배치되는 한편 그라운드바(190)는 몰드인쉘(170)상에 배치된다. 도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라운드바(190)는 리브(140)의 후방에 배치되어, 당해 몰드인쉘(17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피접속부(152)의 각각에는 솔더링(350)(도8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심선(310)은 솔더링(350)상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심선(310)은 피접속부(15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선(300)은 상기한 공정에 의하여 구조체(110)에 접속된다. 계속하여 커버쉘(180)은 구조체(110)에 부착되고, 이에 따라 피접속부(152) 및 심선(310)은 커버쉘(180)에 의하여 덮어져 실드된다(도6, 도14 및 도16 참조).
본 발명은 2011년4월28일에 일본국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국 특허출원제2011-101549호에 의거하고 있고, 그 내용을 참조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형태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러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8)

  1. 하우징(housing)과 복수의 콘택트(contact)를 구비한 커넥터로서,
    상기 하우징은 판형상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결합부는 전방으로 돌출하고 또한 상면 및 하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콘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콘택트의 각각은, 접촉부와 단부와 평면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접촉부는, 전후방향에 있어서 연장되고 있고 또한 결합부의 상면상에 있어서 노출하고 있고,
    상기 단부는 결합부내에 매설되어 있고,
    상기 평면부는, 상기 접촉부와 상기 단부의 경계를 구성하고 또한 상기 상면으로부터는 돌출하고 있지 않고, 상기 결합부의 상기 상면의 상방으로부터 본 경우에 확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는 상기 결합부의 상기 상면과 하나의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는 상기 결합부의 상기 상면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삽입성형(insert molding)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는 쉘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쉘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결합부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쉘의 상기 일부는 결합부의 하면상에 놓여 노출하고 있고 또한 상기 커넥터가 상대측 커넥터에 접속되었을 때에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상대측 쉘에 접속되고,
    상기 결합부의 상기 하면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은 상기 접촉부까지 도달하고 있고,
    상기 콘택트의 상기 단부는 상기 상면으로부터도 상기 하면으로부터도 확인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의 상기 단부는, 상기 결합부내에 있어서 비스듬히 하전방(下前方)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전단(前端)은, 상기 상면 및 상기 하면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전후방향과 평행한 면내에 있어서, 반원형상(半圓形狀)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전선의 심선(心線)에 접속되는 피접속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 상기 피접속부의 후방에 형성된 복수의 리브(rib)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리브는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어, 상기 심선을 대응하는 상기 피접속부상에 배치하고,
    상기 리브의 각각은, 상기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피치 방향에 있어서, 1조(組)의 이웃하는 상기 피접속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리브의 각각은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결합부의 상기 상면과 평행한 면과 비스듬히 교차하도록, 상기 리브 앞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삽입성형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20030924A 2011-04-28 2012-03-27 커넥터 KR1013673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01549 2011-04-28
JP2011101549A JP5794671B2 (ja) 2011-04-28 2011-04-28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888A true KR20120122888A (ko) 2012-11-07
KR101367395B1 KR101367395B1 (ko) 2014-02-24

Family

ID=47055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924A KR101367395B1 (ko) 2011-04-28 2012-03-27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57633B2 (ko)
JP (1) JP5794671B2 (ko)
KR (1) KR101367395B1 (ko)
CN (1) CN102761001B (ko)
TW (1) TWI47700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173B1 (ko) * 2010-12-22 2015-04-10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94671B2 (ja) * 2011-04-28 2015-10-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9461388B2 (en) 2013-05-31 2016-10-04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tongue portion
US9385499B2 (en) 2014-01-15 2016-07-05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preventing shorting between contacts and reinforcing plate thereof
CN104795665B (zh) 2014-01-22 2017-05-2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TWI504082B (zh) * 2014-04-21 2015-10-11 Advanced Connectek Inc Socket electrical connector and plug electrical connector
JP5871217B2 (ja) * 2014-06-11 2016-03-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内視鏡
JP6638584B2 (ja) * 2016-07-12 2020-01-2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気接続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4160A (en) * 1997-03-25 1999-12-21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insert molded housing
US6083051A (en) 1999-03-02 2000-07-0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Miniature electrical connector
JP3425692B2 (ja) * 1999-06-10 2003-07-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01023717A (ja) * 1999-06-22 2001-01-26 Molex Inc オーバーモールド型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4036370B2 (ja) 2003-06-02 2008-01-2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4026605B2 (ja) * 2004-03-01 2007-12-26 松下電工株式会社 電線接続用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4090060B2 (ja) * 2004-12-20 2008-05-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6221863A (ja) * 2005-02-08 2006-08-24 I-Pex Co Ltd 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96609B2 (ja) * 2005-05-12 2007-10-24 株式会社土田製作所 インサート成形体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インサート成形体の製造装置
JP4859030B2 (ja) * 2006-03-27 2012-01-18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プラグコネクタ及び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並びにコネクタ抜取り方法
CN201054388Y (zh) * 2007-05-23 2008-04-3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JP5181944B2 (ja) * 2008-09-05 2013-04-10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201397900Y (zh) * 2009-03-11 2010-02-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四通道小型可插拔电连接器
CN201392909Y (zh) * 2009-03-19 2010-01-27 庆良电子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1576114U (zh) * 2009-07-17 2010-09-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连接器
JP5794671B2 (ja) * 2011-04-28 2015-10-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173B1 (ko) * 2010-12-22 2015-04-10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76784A1 (en) 2012-11-01
TW201310819A (zh) 2013-03-01
CN102761001A (zh) 2012-10-31
US8657633B2 (en) 2014-02-25
CN102761001B (zh) 2015-07-01
JP2012234672A (ja) 2012-11-29
TWI477008B (zh) 2015-03-11
KR101367395B1 (ko) 2014-02-24
JP5794671B2 (ja) 201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395B1 (ko) 커넥터
JP6701345B2 (ja) コネクタ
JP6117415B1 (ja) コネクタ
US9385482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ing plate
US910602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metal plate for prevent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KR101897403B1 (ko)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US10985499B2 (en) Electric connector
US773619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JP6686145B2 (ja) コンタクト
US1019977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shielding plate
US9385499B2 (en) Electrical connector preventing shorting between contacts and reinforcing plate thereof
CN108281813B (zh) 电连接器
CN111262074B (zh) 线缆连接器组合
JP6266734B1 (ja) コネクタ
US8251717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2239718B1 (ko) 커넥터용 접속핀 및 커넥터 및 커넥터용 접속핀 제조방법
CN204947244U (zh) 电连接器
US9281583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insulative housing
TW201711299A (zh) 電連接器
JP7093699B2 (ja) 電気コネクタ
KR101670380B1 (ko) 커넥터용 접속핀 및 커넥터 및 커넥터용 접속핀 제조방법
TW201534005A (zh) 插座電連接器
TWM458001U (zh) 電連接器及其對接連接器
TWM398724U (en)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