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0380B1 - 커넥터용 접속핀 및 커넥터 및 커넥터용 접속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터용 접속핀 및 커넥터 및 커넥터용 접속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380B1
KR101670380B1 KR1020150026600A KR20150026600A KR101670380B1 KR 101670380 B1 KR101670380 B1 KR 101670380B1 KR 1020150026600 A KR1020150026600 A KR 1020150026600A KR 20150026600 A KR20150026600 A KR 20150026600A KR 101670380 B1 KR101670380 B1 KR 101670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bent portion
connection pin
connector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3785A (ko
Inventor
정재옥
방용웅
조민철
Original Assignee
(주)디에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에스씨 filed Critical (주)디에스씨
Priority to KR1020150026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0380B1/ko
Publication of KR20160103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7Coupling devices presenting arrays of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0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lastomeric connec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용 접속핀 및 커넥터 및 커넥터용 접속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접속핀은 상기 접속핀 상부에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절곡부, 상기 제1절곡부의 하부에 아래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절곡부, 상기 제2절곡부 하부에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절곡부, 상기 제3절곡부의 하부에 아래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4절곡부, 상기 제4절곡부의 하부에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5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속핀 상부에는 상대커넥터의 접속핀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관통되어 형성되어, 절곡방향이 같아서 단순한 공정으로 접속핀을 형성할 수 있고 접속핀의 중량도 감소하고 치수 안정성이 향상되는 커넥터용 접속핀 및 커넥터 및 커넥터용 접속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커넥터용 접속핀 및 커넥터 및 커넥터용 접속핀 제조방법{connection pin and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nnection pin}
본 발명은 커넥터용 접속핀 및 커넥터 및 커넥터용 접속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접속핀은 상기 접속핀 상부에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절곡부, 상기 제1절곡부의 하부에 아래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절곡부, 상기 제2절곡부 하부에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절곡부, 상기 제3절곡부의 하부에 아래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4절곡부, 상기 제4절곡부의 하부에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5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속핀 상부에는 상대커넥터의 접속핀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커넥터용 접속핀 및 커넥터 및 커넥터용 접속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전자 장치는 소형화, 다기능화, 고성능화의 추세에 따라 복잡한 내부 신호 흐름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전자 장치의 제조 과정에서 정상작동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신호 단자와 접지 단자를 가지는 커넥터가 요구된다.
이러한 커넥터 중 분리된 회로 기판 등을 접속하는 커넥터는 다수의 전기적인 신호와 전원을 하나의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의 접속핀을 내장하고 있는데, 특히 도 1은 각종 반도체 및 회로기판의 검사장비에 채용되는 커넥터의 일 예를 보인 것으로서, 하우징(20)의 양 측면에 서로 대칭되게 배열되는 다수의 접속핀(10)들이 구비되고, 하우징(20)과 접촉핀(10)이 일체로 회로기판(30)에 결합되도록 리벳터미널(미도시)이 구비되어 커넥터가 회로기판(30)과의 접속 및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커넥터(1)는 하우징(20)의 상면을 지지하는 가로지지편(40)과 회로기판(30)에 삽입되는 수직지지편(50)이 더 포함된다.
하우징(20)은 커넥터(1)의 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전류가 통하지 않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접속핀(10)이 일체로 결합되면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고정되도록 접속핀(10)이 설치되는 접속핀 설치홈(21)이 형성된다.
이때, 하우징(20)의 하부측으로는 별도의 커버(25)를 결합한다.
접속핀(10)은 전류가 흐르는 통로로서, 신호를 전달하는 시그널 터미널의 역할과 접점을 형성하는 그라운드 터미널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혼용사용가능한 터미널로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금속재로 형성되어 상측이 하우징(20)의 접속핀 설치홈(21)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측은 하우징(20)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상대 커넥터와 접촉되는 접속편(11)이 형성되고, 하측은 접속편(11)의 하측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하우징(20)의 하측으로 노출되면서 회로기판(30)의 상면에 형성된 접속단자(31)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탄성접촉편(13)이 형성된다.
여기서, 접속핀(10)은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되, 상대 커넥터의 접속핀을 감싸도록 ㄷ자 형으로 접혀진 벤딩부(15)가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접속핀(10)은 복수의 벤딩부의 벤딩방향이 달라서(직각을 이루는 등) 접속핀(10)의 성형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대 커넥터의 접속핀을 감싸도록 ㄷ자 형으로 접혀진 벤딩부(15)가 구비되어 접속핀(10)의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ㄷ자 형으로 접혀진 벤딩부(15)는 마주하는 면의 평행도 및 치수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우징(20)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핀(10:구리색상)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돌출부(군청색상)가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돌출부의 형상으로 인해 하우징(20)은 두개의 금형을 통해 형성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복수개의 금형을 통해 하우징(20)을 형성할 경우 파팅라인(지지돌출부에서 빨간색 화살표 부분)이 형성되게 된다. 파팅라인이란 금형에서 충진된 성형품을 빼낼 때에는 금형을 분할하여 이형시켜야 되는데 이때 성형품의 표면에 금형의 분할면이 되는 부분에 가는 선이 남게 되는데 이와 같이 성형품의 표면에 생긴 금형 분할면의 흔적을 의미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돌출부가 형성될 경우, 파팅라인(빨간색 화살표 부분)과 접속핀의 모서리 등에서 상대 커넥터의 접속핀과 간섭 및 충돌이 발생하여 소켓 단자의 변형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주로 상대 커넥터의 접속핀을 삽입할 때 발생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돌출부가 형성될 경우, 파팅라인(빨간색 화살표 부분)과 접속핀의 모서리 등에서 간섭 및 충돌이 발생하여 소켓 단자의 변형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주로 상대 커넥터의 접속핀을 접속핀으로부터 빼낼때(발거할 때) 발생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8978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상대 커넥터의 접속핀을 삽입 또는 발거 시 간섭 또는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 커넥터용 접속핀 및 커넥터 및 커넥터용 접속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는 하우징에 삽입되고 하부는 기판에 접속되는 접속핀에 있어서, 상기 접속핀에는 상기 접속핀 상부에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절곡부, 상기 제1절곡부의 하부에 아래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절곡부, 상기 제2절곡부 하부에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절곡부, 상기 제3절곡부의 하부에 아래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4절곡부, 상기 제4절곡부의 하부에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5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속핀 상부에는 상대커넥터의 접속핀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넥터는, 하우징과, 상부는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고 하부는 기판에 접속되는 접속핀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핀은 상기 접속핀 상부에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절곡부, 상기 제1절곡부의 하부에 아래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절곡부, 상기 제2절곡부 하부에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절곡부, 상기 제3절곡부의 하부에 아래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4절곡부, 상기 제4절곡부의 하부에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5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속핀 상부에는 상대커넥터의 접속핀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공은 제1절곡부 및 제2절곡부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은 하부에 상부보다 양측 사이폭이 작은 축경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절곡부는 상기 접속핀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전방 또는 후방에는 상기 접속핀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돌출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지지돌출부의 상부에는 머리부가 형성되며, 상기 머리부는 상부 양측에 서로 마주보는 제1경사면 및 제2경사면이 형성되고 하부 양측에도 서로 마주보는 제3경사면 및 제4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머리부에는 상기 접속핀의 상단이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넥터용 접속핀 제조방법은, 소재 상부에 상대커넥터의 접속핀이 삽입되는 삽입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소재 상부에 전방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절곡부의 하부에 아래로 절곡된 제2절곡부, 상기 제2절곡부 하부에 후방으로 절곡된 제3절곡부, 상기 제3절곡부의 하부에 아래로 절곡된 제4절곡부, 상기 제4절곡부의 하부에 전방으로 절곡된 제5절곡부를 형성하는 벤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공은 프레스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커넥터용 접속핀 및 커넥터 및 커넥터용 접속핀 제조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접속핀은 상기 접속핀 상부에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절곡부, 상기 제1절곡부의 하부에 아래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절곡부, 상기 제2절곡부 하부에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절곡부, 상기 제3절곡부의 하부에 아래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4절곡부, 상기 제4절곡부의 하부에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5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속핀 상부에는 상대커넥터의 접속핀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관통되어 형성되어, 절곡방향이 같아서 단순한 공정으로 접속핀을 형성할 수 있고 접속핀의 중량도 감소하고 치수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삽입공은 제1절곡부 및 제2절곡부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은 하부에 상부보다 양측 사이폭이 작은 축경부가 형성되어, 상대커넥터의 접속핀을 삽입할 때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절곡부는 상기 접속핀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전방 또는 후방에는 상기 접속핀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돌출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지지돌출부의 상부에는 머리부가 형성되며, 상기 머리부는 상부 양측에 서로 마주보는 제1경사면 및 제2경사면이 형성되고 하부 양측에도 서로 마주보는 제3경사면 및 제4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돌출부에서 상기 상대커넥터의 접속핀이 삽입될 때 안내하는 제1,2경사면에 파팅라인이 형성되지 않아서 삽입시 간섭 및 충돌이 발생하지 않아서 상기 상대커넥터의 접속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상대커넥터의 접속핀을 발거할 때 안내하는 제3,4경사면에도 파팅라인이 형성되지 않아서 발거시에도 간섭 및 충돌이 발생하지 않아서 상기 상대커넥터의 접속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머리부에는 상기 접속핀의 상단이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접속핀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커넥터를 분리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커넥터의 지지돌출부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상부:평면도. 하부: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접속핀 확대도.
도 6은 도 4의 접속핀 측면도.
도 7은 도 4의 접속핀 정면도.
도 8은 도 4의 결합사시도.
도 9는 도 8의 일부분을 절단한 확대도.
도 10은 도 8의 정면도.
도 11은 도 8의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A-A단면도.
도 13은 도 8의 측면도.
도 14는 도 8의 저면 사시도.
도 15는 도 8의 저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커넥터는, 하우징(100)과, 상부는 상기 하우징(100)에 삽입되고 하부는 기판(미도시)에 접속되는 접속핀(200)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핀(200)은 상기 접속핀(200) 상부에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절곡부(210), 상기 제1절곡부(210)의 하부에 아래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절곡부(220), 상기 제2절곡부(220) 하부에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절곡부(230), 상기 제3절곡부(230)의 하부에 아래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4절곡부(240), 상기 제4절곡부(240)의 하부에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5절곡부(250)가 형성되며, 상기 접속핀(200) 상부에는 상대커넥터의 접속핀(600)이 삽입되는 삽입공(201)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은 상하방향으로 접속핀(200)이 삽입되는 제1구멍이 관통되어 형성되어 복수개의 접속핀(2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부재이다. 상기 제1구멍은 상부 및 하부가 각각 개방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하우징(100)에 삽입된 접속핀(200)은 상부 및 하부가 노출되게 된다. 하우징(100)은 합성수지재와 같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재질로 일체로 형성된다.
접속핀(200)은 전기가 통하는 금속소재로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하우징(10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복수개 삽입되어 상대커넥터의 접속핀(600)에 접촉되고 하부는 기판(미도시)에 접속된다.
접속핀(200)은 띠형상의 판재로 형성되며, 일체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하우징(100)의 전방에 삽입되는 접속핀(200)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하우징(100)의 후방에 삽입되는 접속핀(200)도 전방에 삽입되는 접속핀(200)과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핀(200)은 상기 접속핀(200) 상부에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절곡부(210), 상기 제1절곡부(210)의 하부에 아래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절곡부(220), 상기 제2절곡부(220) 하부에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절곡부(230), 상기 제3절곡부(230)의 하부에 아래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4절곡부(240), 상기 제4절곡부(240)의 하부에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5절곡부(250)가 형성된다.
제1절곡부(210)는 접속핀(200)의 상단(204)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된다.
제1절곡부(210), 제3절곡부(230), 제5절곡부(250)는 경사지게 배치된다.
제2절곡부(220), 제4절곡부(240)는 수직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접속핀(200)은 절곡방향이 같아서 단순한 공정으로 접속핀(200)을 형성할 수 있고 접속핀(200)의 중량도 감소하고 치수 안정성도 향상된다.
제5절곡부(250)의 하단에는 전방으로 절곡되어 기판접촉부(251)가 형성된다. 기판접촉부(251)의 자유단은 상부를 향하도록 절곡된다. 이러한 기판접촉부(251)는 탄성변형이 가능하여 기판의 상면에 형성된 접속단자에 탄성적으로 밀착접속된다.
제4절곡부(240)의 양측에는 돌기(241)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돌기(241)는 제4절곡부(240)의 상부 및 하부 양측에 각각 두개씩 형성될 수 있다.
제4절곡부(240)의 하단 일측은 절단되어 절단된 부분(242)이 형성되고, 하단 타측에는 제5절곡부(250)가 연속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5절곡부(250)의 좌우폭은 제1,2,3,4절곡부(210, 220, 230, 240)의 좌우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절단된 부분(242)과 제5절곡부(250) 사이에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절단된 부분(242)은 하단이 전방으로 절곡된다.
하우징(100) 전방에 배치되는 접속핀(200)의 절단된 부분(242)과 하우징(100) 후방에 배치되는 근접한 접속핀(200)의 절단된 부분(242)은 엇갈리게 배치된다.
또한, 접속핀(200) 상부에는 상대커넥터의 접속핀(600)이 삽입되는 삽입공(201)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삽입공(201)은 상단(204) 하부 및 제1절곡부(210) 및 제2절곡부(220) 상부 및 중간 부분 걸쳐 길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절곡된 부분에 삽입공(201)이 형성되어, 삽입공(201)은 상하방향으로 개방되고, 전후방향으로도 개방된다.
삽입공(201)은 하부(제2절곡부(220) 상부 일부 및 중간 부분에 형성된 부분)에 상부보다 양측 사이폭이 작은 축경부(202)가 형성된다.
즉, 삽입공(201)의 상부(상단(204) 하부 및 제1절곡부(210) 및 제2절곡부(220) 상부 일부에 형성된 부분)는 상대커넥터의 접속핀(600)이 접속되는 축경부(202)보다 양측 사이간격이 넓게 형성되어, 상대커넥터의 접속핀(600)을 삽입할 때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나아가, 삽입공(201)의 상부의 양측에는 경사면(203:chamfer)이 형성되어 상대커넥터의 접속핀(600)이 삽입될 때 안정적으로 삽입공(201)으로 안내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전후판(160)과, 전후판(160) 사이에 배치되어 전후판(160)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150)와, 전후판(16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측부(120)와, 전후판(160)의 전면 또는 후면 상부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돌출부(110)와, 전후판(160) 및 지지돌출부(110)의 하부와 측부(120)의 하부를 둘러싸는 둘레부(130)를 포함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판(160)의 상단에는 톱니형상으로 홈(161)이 복수개 좌우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홈(161)은 지지돌출부(110) 사이에 배치된다.
전후판(16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인 제2구멍으로 지지부재(300)가 삽입된다. 조립시 지지부재(300)는 상기 제2구멍에 위에서 아래로 끼워진다.
연결부(150)에는 이하 서술되는 지지부재(300)의 지지핀(330) 및 제1,2보조핀(340, 350)이 삽입되는 핀삽입공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지지돌출부(110)는 복수개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지지돌출부(110) 사이의 이격공간인 상기 제1구멍은 전방, 상부,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조립시 접속핀(200)은 상기 제1구멍에 아래에서 위로 삽입된다.
지지돌출부(110)는 상부에 머리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머리부보다 좌우폭이 좁은 몸체부가 형성된다.
상기 머리부는 상부 양측에 서로 마주보는 제1경사면(111) 및 제2경사면(112)이 형성되고 하부 양측에도 서로 마주보는 제3경사면(113) 및 제4경사면(114)이 형성된다. 즉, 상기 머리부는 정면 또는 후면에서 보았을 때 대체적으로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경사면(111)과 제3경사면(113) 사이와 제2경사면(112)과 제4경사면(114) 사이에는 수직면(11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머리부가 형성되어 지지돌출부(110)에서 상대커넥터의 접속핀(600)이 삽입될 때 안내하는 제1,2경사면(111, 112)에 파팅라인이 형성되지 않아서 삽입시 간섭 및 충돌이 발생하지 않아서 상대커넥터의 접속핀(6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상대커넥터의 접속핀(600)을 발거할 때 안내하는 제3,4경사면(113, 114)에도 파팅라인이 형성되지 않아서 발거시에도 간섭 및 충돌이 발생하지 않아서 상대커넥터의 접속핀(6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머리부에서 전후판(160)에 근접한 부분에는 접속핀(200)의 상단(204)이 걸리는 걸림홈(116)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접속핀(200)이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레부(130)는 지지돌출부(110)보다 전방 또는 후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둘레부(130)의 전방 및 후방 상부에는 커버 끼움홈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둘레부(130)의 양측에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40)가 형성된다.
또한, 둘레부(130)의 양측 및 돌출부(140)에는 커버체결부 안착홈(180)이 형성된다.
나아가, 둘레부(130)의 하부에는 접속핀(200)의 제5절곡부(250) 및 기판접촉부(251)를 안내하는 가이드돌기(170)가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00)에는 둘레부(13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하우징커버(190)가 구비된다.
하우징커버(190)는 판넬로 형성되며, 상부에 후방으로 절곡된 절곡부(191)가 형성된다. 절곡부(191)는 상기 커버 끼움홈에 삽입된다.
또한, 하우징커버(190)의 양측에는 후방으로 절곡된 체결부(192)가 형성된다. 체결부(192)는 커버체결부 안착홈(180)에 안착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92)는 후크형상으로 형성되어 원터치로 조립될 수 있다. 양측에 형성된 체결부(192)는 상하 대칭되도록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전방과 후방에 배치된 하우징커버(190)의 체결부(192)는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서로 결합된다.
나아가, 접속핀(200)이 접속되는 기판에 연결되어 커넥터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재(300)는 판재로 형성되며,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바(310)와, 수평바(310)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측부삽입부(320), 지지핀(330), 제1보조핀(340), 지지핀(330), 제2보조핀(350), 제2측부삽입부(360)가 형성된다.
제1보조핀(340)과 제2측부삽입부(360) 사이에는 지지핀(330)과 제2보조핀(350)이 교대로 복수개 배치된다.
제1측부삽입부(320)와 제2측부삽입부(360)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되는 측부(120) 사이에 삽입된다.
또한, 지지핀(330)이 끼워지는 지지핀 끼움공이 형성되는 보강플레이트(400)가 지지부재(300) 하부에 끼워질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지지부재(300)의 지지핀(330)을 기판에 연결하여 기판접촉부(251)를 탄성변형시킨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변형시 제5절곡부(250)는 하우징(100)의 둘레부(130)에 걸린다. 탄성변형된 기판접촉부(251)는 기판의 단자에 밀착 접속된다. 이와 같이 기판에 연결된 커넥터에 상대커넥터의 접속핀(600)을 위에서 아래로 하강시켜서 접속핀(200)의 삽입공(201)으로 삽입하여 삽입공(201)의 축경부(202)까지 삽입한다. 이와 같이 삽입시 상대커넥터의 접속핀(600)은 지지돌출부(110)의 제1,2경사면(111,112)에 의해 안내되고, 경사면(203)에 의해 안내되고 삽입공(201)의 상부 좌우폭이 넓어서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대커넥터의 접속핀(600)을 커넥터로부터 빼낼 때에도 지지돌출부(110)의 제 3,4경사면(113, 114)에 의해 안내되어 발거도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커넥터용 접속핀 제조방법은, 소재 상부에 상대커넥터의 접속핀(600)이 삽입되는 삽입공(201)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소재 상부에 전방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210)를 형성하고, 상기 제1절곡부(210)의 하부에 아래로 절곡된 제2절곡부(220), 상기 제2절곡부(220) 하부에 후방으로 절곡된 제3절곡부(230), 상기 제3절곡부(230)의 하부에 아래로 절곡된 제4절곡부(240), 상기 제4절곡부(240)의 하부에 전방으로 절곡된 제5절곡부(250)를 형성하는 벤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재는 금속재질의 띠형상으로 형성된다.
삽입공(201)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금형으로 프레스(노칭) 공정을 통해 길게 관통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벤딩단계도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금형으로 프레스 공정을 통해 형성된다.
제1절곡부(210)는 상기 소재의 상단(204)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된다.
삽입공(201)이 상단(204) 하부 및 제1절곡부(210) 및 제2절곡부(220) 상부 및 중간 부분에 배치되도록 제1,2절곡부(210, 220)는 형성된다.
제1,2,3,4,5절곡부(210,220,230,240,250)의 상세한 형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다.
또한, 제4절곡부(240)에 추가 공정을 통해 돌기(241) 및 절단된 부분(242)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접속핀(200)은 절곡방향이 같아서 단순한 공정으로 접속핀(200)을 형성할 수 있고 접속핀(200)의 중량도 감소하고 치수 안정성이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하우징 200 : 접속핀
201 : 삽입공 202 : 축경부
204 : 상단
210 : 제1절곡부 220 : 제2절곡부
230 : 제3절곡부 240 : 제4절곡부
250 : 제5절곡부 251 : 기판접촉부
300 : 지지부재 400 : 보강플레이트

Claims (9)

  1. 상부는 하우징에 삽입되고 상대커넥터의 접속핀에 접속되며, 하부는 기판에 접속되는 접속핀에 있어서,
    상기 접속핀에는 상기 접속핀 상부에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절곡부, 상기 제1절곡부의 하부에 아래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절곡부, 상기 제2절곡부 하부에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절곡부, 상기 제3절곡부의 하부에 아래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4절곡부, 상기 제4절곡부의 하부에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5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속핀 상부에는 상기 상대커넥터의 접속핀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접속핀.
  2. 하우징;
    상부는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고 상대커넥터의 접속핀에 접속되며, 하부는 기판에 접속되는 접속핀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핀은 상기 접속핀 상부에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절곡부, 상기 제1절곡부의 하부에 아래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절곡부, 상기 제2절곡부 하부에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절곡부, 상기 제3절곡부의 하부에 아래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4절곡부, 상기 제4절곡부의 하부에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5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속핀 상부에는 상기 상대커넥터의 접속핀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은 제1절곡부 및 제2절곡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은 하부에 상부보다 양측 사이폭이 작은 축경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부는 상기 접속핀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전방 또는 후방에는 상기 접속핀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돌출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지지돌출부의 상부에는 머리부가 형성되며,
    상기 머리부는 상부 양측에 서로 마주보는 제1경사면 및 제2경사면이 형성되고 하부 양측에도 서로 마주보는 제3경사면 및 제4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부는 상기 접속핀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머리부에는 상기 접속핀의 상단이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상부는 하우징에 삽입되고 상대커넥터의 접속핀에 접속되며, 하부는 기판에 접속되는 접속핀 제조방법에 있어서,
    소재 상부에 상기 상대커넥터의 접속핀이 삽입되는 삽입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소재 상부에 전방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절곡부의 하부에 아래로 절곡된 제2절곡부, 상기 제2절곡부 하부에 후방으로 절곡된 제3절곡부, 상기 제3절곡부의 하부에 아래로 절곡된 제4절곡부, 상기 제4절곡부의 하부에 전방으로 절곡된 제5절곡부를 형성하는 벤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접속핀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은 프레스를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접속핀 제조방법.
KR1020150026600A 2015-02-25 2015-02-25 커넥터용 접속핀 및 커넥터 및 커넥터용 접속핀 제조방법 KR101670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600A KR101670380B1 (ko) 2015-02-25 2015-02-25 커넥터용 접속핀 및 커넥터 및 커넥터용 접속핀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600A KR101670380B1 (ko) 2015-02-25 2015-02-25 커넥터용 접속핀 및 커넥터 및 커넥터용 접속핀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879A Division KR102239718B1 (ko) 2016-05-13 2016-05-13 커넥터용 접속핀 및 커넥터 및 커넥터용 접속핀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785A KR20160103785A (ko) 2016-09-02
KR101670380B1 true KR101670380B1 (ko) 2016-10-28

Family

ID=56943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600A KR101670380B1 (ko) 2015-02-25 2015-02-25 커넥터용 접속핀 및 커넥터 및 커넥터용 접속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038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817264U (zh) 2012-09-03 2013-03-20 陈炳华 一种端子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789B1 (ko) * 2009-09-29 2011-12-07 정재옥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817264U (zh) 2012-09-03 2013-03-20 陈炳华 一种端子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785A (ko) 2016-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7604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hielding structure
JP6701345B2 (ja) コネクタ
US7252549B2 (en) Connector, receptacle for connector and plug for connector
KR101385184B1 (ko)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JP2015035352A (ja) コネクタ
JP6686145B2 (ja) コンタクト
US8657633B2 (en) Connector
JP5509915B2 (ja) 電気コネクタとその成形方法
US7112087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N104779474A (zh) 电连接器组合
US8821187B2 (en) Board connector
KR20170042484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8529292B2 (en) Board connector having a housing with a mounting groove with upwardly facing surfaces for receiving projecting locks of a mounting fixture
KR20160103956A (ko) 커넥터용 접속핀 및 커넥터 및 커넥터용 접속핀 제조방법
KR101018773B1 (ko) 회로 기판 커넥터의 세트 및 커넥터를 회로 기판에장착하는 방법
US6435896B1 (en) Connector with locking piece and ribs configured to prevent penetration of wire below locking piece
US10559900B2 (en) Board connector with tool installation space for beding a terminal fitting
KR101670380B1 (ko) 커넥터용 접속핀 및 커넥터 및 커넥터용 접속핀 제조방법
CN217306798U (zh) 电连接器
US10998654B2 (en) Board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for circuit board and board connector
KR102248014B1 (ko) 기판 접속용 커넥터 구조
US11189967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JP7339115B2 (ja) コネクタ
US20200203880A1 (en) Connector assembly
JP5869346B2 (ja) ホルダ、平型導体付ホルダおよび該平型導体付ホルダと電気コネクタとの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