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2175B1 - 약제 불출 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불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02175B1 KR101502175B1 KR1020087005868A KR20087005868A KR101502175B1 KR 101502175 B1 KR101502175 B1 KR 101502175B1 KR 1020087005868 A KR1020087005868 A KR 1020087005868A KR 20087005868 A KR20087005868 A KR 20087005868A KR 101502175 B1 KR101502175 B1 KR 1015021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y
- medicament
- medicine
- ampoule
- ampu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6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in which the articles are stored in compartments in fixed recepta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78—Troughs having discharge openings and closur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패턴으로 약제를 저류 가능하게 함으로써, 한 번에 대량의 약제를 불출한다.
(해결 수단) 종류마다 약제(10)가 수용된 복수의 약제 수용부(25)와, 처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해당하는 약제(10)가 수용된 약제 수용부(25)까지 이동하여, 약제 수용부(25)로부터 불출된 약제(10)를 보유하여 반송하고, 소정 위치에서 약제(10)를 공급하는 약제 회수부(26)를 구비한다. 약제 회수부(26)는 복수의 약제 저장실(31)로 구성되어, 약제 수용부(25)에서 불출한 약제(10)를, 임의의 수용 패턴으로 각 약제 저장실(31)에 보유 가능하게 한다.
약제 수용부, 약제 회수부, 약제, 약제 저장실, 약제 불출 장치
Description
본 발명은 약제 불출 장치, 특히 앰플, 바이알병(vial) 등의 약제를 한 번에 다수 불출할 수 있는 약제 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약제 불출 장치로서, 앰플이 수용되는 카세트로 수집 리프터를 이동시키고, 압출 장치를 구동하여 카세트의 로터를 회전시킴으로써 불출한 앰플을 보유하여 반송하도록 구성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국제 공개 제2004/034955호 팜플렛
그러나, 상기 종래의 약제 불출 장치에서는, 한 번에 불출할 수 있는 앰플의 수량에 제약이 있다. 통상, 앰플의 불출에서는, 복용 시기 단위로 통합하여 행하고 있으며, 상기 수집 리프터를 사용하면 한 번에 1복용 시기의 앰플만을 불출할 수 있는 것이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패턴으로 약제를 저류 가능하게 함으로써, 한 번에 대량의 약제를 불출할 수 있는 약제 불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종류마다 약제가 수용된 복수의 약제 수용부와, 처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해당하는 약제가 수용된 약제 수용부까지 이동하여, 상기 약제 수용부로부터 불출된 약제를 보유하여 반송하고, 소정 위치에서 상기 약제를 공급하는 약제 회수부를 구비한 약제 불출 장치이며, 상기 약제 회수부는 복수의 약제 저류실로 구성되고, 상기 약제 수용부에서 불출한 약제를, 임의의 수용 패턴으로 각 약제 저류실에 보유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복수의 약제 저류실에, 임의의 수용 패턴에 따라서 약제를 각각 보유해 둘 수 있다. 이로 인해, 1개의 약제 저류실에서 약제를 보유시켰다고 해도, 그 약제를 불출하지 않고 다음 약제 저류실에 다음 약제를 보유시켜 두어, 한 번에 대량의 약제를 불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각 약제 저류실에 보유 가능한 약제의 수용 패턴은, 임의의 환자의 처방 데이터의 각 복용 시기에 따라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임의의 환자의 처방 데이터의 입력이 있으면, 자동적으로 복용 시기마다 각 약제 저류실에 해당하는 약제를 보유해 둘 수 있다. 그리고, 보유한 약제를 한 번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상기 환자에게 처방하는 약제를 신속하게 준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약제 회수부는 원통 형상이며, 외주면에 투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약제 수용 부재와, 상기 약제 수용 부재 내를 복수의 약제 저류실로 분할하는 구획 부재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각 약제 저류실에 약제를 투입하고, 상기 구획 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개폐 부재로 배출구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각 약제 저류실에 보유한 약제를 공급하면 된다.
이 구성에 의해, 구획 부재를 회전시킨다고 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대량의 약제를 원하는 수용 패턴으로 보유해 둘 수 있다. 그리고, 약제 회수부를 소정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구획 부재를 회전시켜 개폐 부재로 배출구를 개폐함으로써, 순차, 해당하는 약제 저류실로부터 약제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제 수용부에서 불출된 약제를, 임의의 수용 패턴으로 각 약제 저류실에 보유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한 번에 대량의 약제를 반송하여 공급할 수 있다. 게다가, 각 약제 저류실에 원하는 수용 패턴으로 분할한 상태로 보유할 수 있으므로, 소정 위치에서 수용 패턴에 따라서 보유한 약제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앰플 불출 장치의 개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앰플 불출 장치의 저면 부분에 설치한 트레이 반송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3은 도2의 제2 반송부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4는 도3의 측면도이다.
도5는 도4와는 직교하는 각도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6은 도1의 라벨 공급부 및 주사전 공급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7은 도1의 앰플 공급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8은 도7의 카세트의 일부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8의 (a)는 부분 평면도, 도8의 (b)는 푸셔 유닛을 전진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측면도, 도8의 (c)는 푸 셔 유닛을 후퇴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측면도, 도8의 (d)는 카세트의 정면도이다.
도9는 도6의 앰플 회수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10은 도9의 앰플 회수부에 의해 트레이에 앰플을 공급하기 전후의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1은 도9의 앰플 회수부에서의 구획 부재의 회전을 검출하는 각 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12는 도6의 레이저 프린터로부터 공급된 주사전을 반송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1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앰플 불출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14는 도13의 처리 중, 정지 위치 P2, P5, P5, P7에 있어서의 동작의 상세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15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앰플 회수부의 평면도이다.
도16은 도15의 정면도이다.
도17은 도15의 앰플 수용 통부 및 셔터 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18은 도15의 구획 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19는 도15의 앰플 회수부에 의한 트레이로의 앰플 불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장치 본체, 2 : 트레이 공급부, 3 :트레이 회수부, 4 : 라벨 공급부, 5 : 트레이 반송부, 6 : 앰플 공급부, 7 : 주사전 공급부, 8 : 제어부, 9 : 트레이, 10 : 앰플(약제의 일예), 11 : 라벨 프린터, 12 : 직사각형 프레임체, 13 : 제1 반송부, 14 : 제2 반송부, 15 : 제3 반송부, 16 : 트레이 검출 센서, 17 : 제4 컨베이어 유닛, 18 : 제4 보조 컨베이어 유닛, 19 : 제1 컨베이어 유닛, 20 : 가이드 레일, 21 : 가이드 벽, 22 : 가이드편, 23 : 제5 컨베이어 유닛(제2 방향 변환부), 24A : 제6 컨베이어 유닛, 24B : 제7 컨베이어 유닛, 24C : 제8 컨베이어 유닛, 25 : 카세트, 26 : 앰플 회수부, 27 : 로터, 28 : 정면 도어, 29 : 앰플 수용 드럼, 30 : 구획 부재, 31 : 앰플 저류실, 32, 69 : 구획판, 33 : 단부판, 34 : 회전 모터, 35 : 피검출부, 36 : 드럼형 셔터, 37 : 원호판, 38 : 아암판, 39 : 링크, 40 : 래크 기어, 41 : 개폐 모터, 42 : 피니온 기어, 43 : 승강 센서, 44 : 지지대, 45 : 수평 벨트, 46 : 수직 벨트, 47 : 푸셔 유닛, 48 : 로드, 49 : 계지 갈고리부, 50 : 위치 검출 센서, 51 : 앰플 투입 가이드, 52 : 레이저 프린터, 53 : 선반, 54 : 전방 패널, 55 : 공급 통로, 56 : 아암 부재, 57 : 선회 반송부, 58 : 고정 반송부, 59 : 가이드판, 60 : 주사전 배출 부재, 61 : 스토커, 62 : 앰플 수용 통부, 63 : 가이드부, 64 : 개구부, 65 : 셔터 부재, 66 : 구획 부재, 67 : 절결부, 68 : 베어링부, 70 : 위치 결정 센서, 71 : 커플링, 72 : 앰플 수용실, 73 : 푸셔, 74 : 앰플 검출 센서, 75 : 회전 위치 검출 센서, 76 : 셔터 모터, 77 : 구동 모터, 78 : 승강 레일, 79 : 앰플 불출 용기, 80 : 셔터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앰플 불출 장치를 도시한다. 이 앰플 불출 장치는, 대략 직방체의 프레임 형상으로, 패널에 의해 덮이는 장치 본체(1)에, (i) 트레이 공급부(2), (ii) 트레이 회수부(3), (iii) 라벨 공급부(4), (iv) 트레이 반송부(5), (v) 앰플 공급부(6), (vi) 주사전 공급부(7) 및 (vii) 제어부(8)를 설치한 것이다.
<각부 구성>
(i) 트레이 공급부
트레이 공급부(2)는,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트레이(9)를, 순차 최하위에 위치하는 것으로부터 차례로 1개씩 공급 가능하게 한 것이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240946호 공보 참조). 트레이 공급부(2)는 장치 본체(1)의 일단측 배면(도2 중, 정지 위치 P1)으로 트레이(9)를 공급한다.
(ii) 트레이 회수부
트레이 회수부(3)는, 앰플(10)이 공급된 트레이(9)를 순차 상방으로 들어올려 소정 간격으로 유지해 두도록 한 것으로, 상기 트레이 공급부(2)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트레이 회수부(3)는 장치 본체(1)의 일단측 전방면(정지 위치 P8)에서 트레이(9)를 회수한다.
(iii) 라벨 공급부
라벨 공급부(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처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라벨에 인쇄하고, 트레이(9)에 공급한다. 라벨 공급부(4)는,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레이(9)를 상기 정지 위치 P1로부터 소정 치수 반송한 위치(도2 중, 정지 위치 P2)의 상방에 설치한 선반(53)[제1 선반(53a)]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선반(53a)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방 패널(54)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는, 라벨 공급부(4)에는 내부를 (반송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3분할한 트레이(9)의 각 수용부에 맞추어 3대의 라벨 프린터(11)를 병설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단, 라벨 프린터(11)는 1대로서, 순차, 트레이(9)의 각 수용부에 인쇄한 라벨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라벨은 대지(臺紙)로부터 박리시켜, 별도 공급되는 수액병 등에 부착하여 사용한다.
(iv) 트레이 반송부
트레이 반송부(5)는,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1)를 구성하는 각 유닛의 하부에 배치한 직사각형 프레임체(12)에 설치되고, 트레이 공급부(2)로부터 공급된 트레이(9)를, 장치 본체(1)의 정지 위치 P1로부터 타단측 배면(정지 위치 P4)으로 반송하는 제1 반송부(13)와, 정지 위치 P4로부터 타단측 전방면(정지 위치 P5측)으로 반송하는 제2 반송부(14)와, 정지 위치 P5로부터 일단측 전방면(정지 위치 P8)으로 반송하는 제3 반송부(1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반송부(13)는,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 간격으로 설치한 축의 양단에 풀리를 설치하고, 이들 풀리 사이에 벨트를 각각 걸친 컨베이어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제1, 제2 및 제3 컨베이어 유닛(13A, 13B 및 13C)을 구비한다[도2에서는, 라벨 공급부(4)의 하방측에 배치한 컨베이어 유닛은 생략하고 있음]. 제1 컨베이어 유닛(13A)의 정지 위치 P1(준비 위치)에는, 제1 트레이 검출 센서(16a 및 16b)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컨베이어 유닛(13B)의 정지 위치 P2에는, 제2 트레이 검출 센서(16c 및 16d)가 설치되어 있다. 제3 컨베이어 유닛(13C)의 정지 위치 P3에는, 제3 트레이 검출 센서(16e 및 16f)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컨베이어 유닛(13A)에는 정지 위치 P1로부터 정지 위치 P2를 향하는 트레이(9)를 검출하기 위한 통과 트레이 검출 센서(16g)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컨베이어 유닛(13B)에는, 정지 위치 P2로부터 정지 위치 P3을 향하는 트레이(9)를 검출하기 위한 통과 트레이 검출 센서(16h)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트레이 검출 센서(16a 내지 16h)는, 제1 반송부(13)에 의해 반송된 트레이(9)의 저면(底面)이 상방에 위치하면 온(ON)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3 컨베이어 유닛(13B)의 컨베이어 유닛(적어도 상면에 위치하는 부분)은, 반송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상방으로 경사져, 제2 반송부(14)와의 사이에 소정의 단차를 형성한다.
제2 반송부(14)는,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4 컨베이어 유닛(제1 방향 변환부)(17)과 제4 보조 컨베이어 유닛(18)을 구비한다.
제4 컨베이어 유닛(17)은, 제1 반송부(13)의 반송 방향측의 단부보다도 소정 치수(여기서는, 5 ㎜) 낮은 위치에 설치한 제1 컨베이어 유닛(19)과, 제1 반송부(13)의 반송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설치한 한 쌍의 가이드 레일(20)을 구비한다.
제1 컨베이어 유닛(19)은, 풀리(19a, 19b) 사이에 벨트(19c)를 걸친 것으로, 후술하는 구동 모터(18M)에 의해 축(19d)이 회전됨으로써 제4 보조 컨베이어 유닛(18)과 함께 구동한다.
가이드 레일(20)은,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컨베이어 유닛(19)의 적재면[트레이(9)가 적재되는 벨트(19c)의 상면]보다도 낮은 위치로부터, 상기 반송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가장 높은 위치에서 상기 적재면과 동일 높이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레일(20)을 경사시키고 있는 것은, 제1 반송부(13)로부터 반송되는 트레이(9)가 가이드 레일(20)에 간섭하지 않고 원활하게 반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트레이(9)에는, 저면 중앙부가 하방을 향해 불룩해지도록 변형한 것도 있지만, 경사시킨 가이드 레일(20)에 의해 확실하게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반송부(13)에 대한 제1 컨베이어 유닛(19)과 가이드 레일(20)의 높이 및 거리의 위치 관계는, 제1 반송부(13)에 의해 반송되어 온 트레이(9)가 제1 컨베이어 유닛(19)과는 비접촉 상태를 유지한 채로[도4 중,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트레이(9)], 우선 가이드 레일(20)에 접촉하여, 제1 반송부(13)로부터 제2 반송부(14)(정지 위치 P4)로의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도4 중, 실선으로 나타내는 트레이), 트레이(9)가 제1 컨베이어 유닛(19)의 상면과 가이드 레일(20)의 가장 높은 위치에서 수평 상태로 지지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4 컨베이어 유닛(17)에는,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컨베이어 유닛(19)의 측방 근방과, 직사각형 프레임체(12)의 직교하는 2측면에 가이드 벽(2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벽(21)은, 제1 반송부(13)에 의해 반송되는 트레이(9)의 3측면에 접촉하고, 트레이(9)를 정지 위치 P4(제1 방향 변환 위치)로 위치 결정한다. 따라서, 제1 반송부(13)와 정지 위치 P4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에 상관없이, 트레이(9)를 정지 위치 P4에서 위치 결정하여, 제3 반송부(15)로의 반송을 원활하게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지 위치 P4[가이드 레일(20)의 양단부 근방]에는,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와 마찬가지로 제4 트레이 검출 센서(16i 및 16j)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제4 트레이 검출 센서(16i)는, 제1 반송부(13)로부터 제2 반송부(14)로 반송된 트레이(9)를 검출하고, 제4 트레이 검출 센서(16j)는 제2 반송부(14)에서 트레이(9)가 확실하게 제1 컨베이어 유닛(19)과 가이드 레일(20)에 적재된 상태로 되어 있는(기울어져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한다. 제4 트레이 검출 센서(16j)로 검출 가능한 거리에는 제약이 있다. 이로 인해, 트레이(9)가 기울어 제4 트레이 검출 센서(16j)에 대해 충분히 접근하고 있지 않으면, 트레이(9)를 검출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20)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롤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가이드 레일(20)의 경우에 비해 제2 반송부(14)로부터 제3 반송부(15)로의 트레이(9)의 반송을 원활하게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롤러를 상기 제1 컨베이어 유닛(19)의 풀리와 연동하도록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즉, 풀리의 회전 중심축을 연장하여, 롤러의 회전 중심에 연결하면 좋다. 이에 의해, 제1 컨베이어 유닛(19)을 구동하면 롤러도 회전하여, 적재한 트레이(9)의 반송을 한층 더 원활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4 보조 컨베이어 유닛(18)은, 상기 제1 반송부(13)와 마찬가지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한 축(18a, 18c)의 양단에 풀리(18b, 18d)를 각각 마련하고, 이들 풀리(18b, 18d) 사이에 벨트(18e)를 각각 걸친 것으로, 반송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상방으로 경사져 있다. 제4 보조 컨베이어 유닛(18)은, 구동 모터(18M)를 구동하여 회전축(18f)을 회전시킴으로써, 벨트(18g)를 통해 축(18a)이 회전됨으로써 구동한다. 또한, 벨트(18h)를 통해 축(18a)에 전달된 동력이 축(19d)에도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4 보조 컨베이어 유닛(18) 및 제1 컨베이어 유닛(19)이 동기하여 구동한다.
제4 보조 컨베이어 유닛(18)의 반송 방향측에는, 풀리(18d)들 사이에 가이드편(22)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편(22)은 상면이 제4 보조 컨베이어 유닛(18)의 반송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2a)을 구비한다. 이 경사면(22a)에 의해, 제4 보조 컨베이어 유닛(18)에 의해 제3 반송부(15)로 트레이(9)를 원활하게 반송하는 동시에, 트레이(9)의 역복귀가 방지되어 있다.
제3 반송부(15)는,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반송부(14)와 대략 동일한 구성으로, 제5 컨베이어 유닛(제2 방향 변환부)(23)과 제6 컨베이어 유닛(24A), 또한 그 앞에는 제7 컨베이어 유닛(24B)과 제8 컨베이어 유닛(24C)을 구비한다. 제5 컨베이어 유닛(23)은, 길이가 다른 컨베이어 유닛(24a와 24b)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23a)은 상기 제1 반송부(13)의 가이드 레일(20)과 마찬가지로 롤러로 구성하고, 또한 컨베이어 유닛(24a)과 연동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5 컨베이어 유닛(23)에는, 가이드 벽(21)을 따른 2부위에 통과 트레이 검출 센서(16k 및 16l)가 설치되어, 정지 위치 P4로부터 이동해 온 트레이(9)를 검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센서(16k)가 상기 센서(16i), 센서(16l)가 상기 센서(16j)에 상당하는 역할을 한다. 제5 컨베이어 유닛(23)의 정지 위치 P5에는 제5 트레이 검출 센서(16m 및 16n)가, 제6 컨베이어 유닛(24A)의 정지 위치 P6에는 제6 트레이 검출 센서(16o 및 16p)가, 제7 컨베이어 유닛(24B)의 정지 위치 P7에는 제7 트레이 검출 센서(16s 및 16t)가, 제8 컨베이어 유닛(24C)의 정지 위치 P8에는 제8 트레이 검출 센서(16u 및 16v)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정지 위치 P5 및 P6이 앰플 불출 위치이며, 상기 앰플 공급부(6)에 의해 공급되는 앰플(10)이 트레이(9) 내에 각각 수용된다. 여기서는, 트레이(9)의 내부는 3분할되어 있어, 후술하는 각 앰플 저류실(31)에 수용된 앰플(10)이 각각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제6 컨베이어 유닛(24A)에는, 정지 위치 P6으로부터 P7을 향하는 도중에 통과 트레이 검출 센서(16r)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7 컨베이어 유닛(24B)에는, 정지 위치 P7로부터 P8을 향하는 도중에 통과 트레이 검출 센서(16w)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8 컨베이어 유닛(24C)에는 정지 위치 P8로부터 외부를 향하는 도중에 통과 트레이 검출 센서(16x)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 반송부(5)에서는, 제1 반송부(13) 및 제2 반송부(14)의 제4 보조 컨베이어 유닛(18)을 반송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구성하였지만,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요는, 제1 반송부(13)로부터 제2 반송부(14) 및 제2 반송부(14)로부터 제3 반송부(15)로 트레이(9)를 반송할 때, [이송하는 트레이(9)가 컨베이어 유닛과 간섭하지 않는] 단차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면 좋다.
(v) 앰플 공급부
앰플 공급부(6)는,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제 수용부와 약제 회수부를 구비한다. 여기서는, 약제 수용부로서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한 복수의 카세트(25)가 사용되고 있다(국제 공개 제2004/034955호 팜플렛 참조). 또한, 약제 회수부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처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해당하는 카세트(25)로부터 불출한 앰플(10)을 회수하기 위한 앰플 회수부(26)가 사용되고 있다.
카세트(25)에는, 도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일 종류의 주사약이 수용된 복수개의 앰플(10)이, 일단측에 설치한 로터(27)를 향해 가압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로터(27)는 앰플(10)을 1개만 보유 가능한 오목부(27a)를 구비한다. 로터(27)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오목부(27a)가 전방면측을 향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카세트(25) 내에 로드(48)를 삽입하여, 오목부(27a)를 앰플측을 향하게 하면, 가압된 앰플(10)이 오목부(27a) 내에 보유되도록 되어 있다. 카세트(25) 내부로부터 로드(48)를 대피시키면, 로터(27)는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여, 오목부(27a)에 보유한 앰플(10)이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카세트(25)의 일단측에는, 축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정면 도어(28)가 설치되어 있다. 정면 도어(28)는 축부에 설치한 스프링(28a)에 의해 카세트(25)의 일단 개구부(64)를 폐쇄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정면 도어(28)의 표면에는, 카세트 번호, 약품명, 약품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진 등의 카세트 식별 수단이 마련된다. 이에 의해, 카세트(25)에의 앰플의 충전 작업을 원활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정면 도어(28)의 일단측에는, 도8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드 삽입부(28b)와 계지 갈고리 삽입부(28c)가 형성되 어 있다.
앰플 회수부(26)는, 도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이며, 외주면에 투입구 및 배출구로 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앰플 수용 드럼(29)을 구비한다.
앰플 수용 드럼(29)의 내부는, 구획 부재(30)에 의해 4개의 앰플 저류실(31)로 균등하게 분할되어 있다. 구획 부재(30)는, 4매의 구획판(32)을 지지축(30a)의 주위에 각각 직교하도록 배치하고, 양 측면은 단부판(33)으로 덮여 있다. 각 앰플 저류실(31)에는, 원하는 수용 패턴으로 앰플(10)이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는, 1리셉트분의 앰플(10)[여기서는, 임의의 환자의 1복용 시기에 처방되는 모든 앰플(10)을 의미함]이 수용된다. 구획 부재(30)는 회전 모터(34)의 구동에 의해, 상기 지지축(30a)을 중심으로 하여 앰플 수용 드럼(29)의 내부를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각 단부판(33)에는, 4부위씩 피검출부(35a 내지 35h)(여기서는, 영구 자석)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앰플 수용 드럼(29)의 개구부(64)는, 하부(배출구)가, 지지축(30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드럼형 셔터(36)에 의해 개폐된다. 드럼형 셔터(36)는, 배출구를 덮는 원호판(37)과, 부채 형상으로 형성되고 지지축(30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아암판(38)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암판(38)에는 승강하는 링크(39)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링크(39)에는 래크 기어(40)가 형성되고, 거기에는 개폐 모터(41)의 회전축에 설치한 피니온 기어(42)가 맞물려 있다. 따라서, 개폐 모터(41)를 정역(正逆) 회전 구동하면, 기어를 통해 링크(39)가 승강하고,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드럼형 셔터(36)가 회전한다. 링크(39)의 승강 범위는, 링크(39)에 설치한 2부위의 영구 자석(39a)을, 승강 센서(43)로 검출함으로써 제한되고, 드럼형 셔터(36)가 도10의 (a)에 도시하는 개방 위치와, 도10의 (b)에 도시하는 폐쇄 위치로 각각 위치 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앰플 회수부(26)는,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XY 좌표계에서 이동하는 지지대(44)에 장착되어 있다. 지지대(44)는, X축 방향으로 설치한 수평 벨트(45)에 장착되어, 수평 구동 모터(45M)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수평 벨트(45)는, Y축 방향으로 설치한 수직 벨트(46)에 장착되어, 수직 구동 모터(46M)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지지대(44)는, 처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해당하는 카세트(25)까지 이동하여, 도시하지 않은 모터로 푸셔 유닛(47)을 진퇴시킴으로써, 카세트(25)의 로터(27)를 회전시켜, 앰플(10)을 불출시킨다.
푸셔 유닛(47)은, 도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드(48)와 계지 갈고리부(49)를 구비한다. 로드(48)는 카세트(25)의 정면 도어(28)에 형성한 로드 삽입부(28b)를 통해 카세트(25) 내에 삽입된다. 로드(48)의 선단은, 로터(27)의 일부(도시하지 않음)에 접촉하고,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로터(27)를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로터(27)는 오목부(27a)가 카세트(25)의 내측을 향하도록 회전한다. 계지 갈고리부(49)는 스프링(49a)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 가압되고, 도시하지 않은 스토퍼에 접촉함으로써 도8의 (a)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계지 갈고리부(49)는 선단 갈고리부가 정면 도어(28)에 형성된 계지 갈고리 삽입부(28c)에 삽입됨으로써 도8의 (a) 중,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하고,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여 정면 도어(28)의 모서리부에 계지된다. 따라서, 푸셔 유닛(47)을 후퇴시키면, 도8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지 갈고리부(49)에 의해 정면 도어(28)가 개방된다. 또한, 로터(27)가 스프링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원위치로 회전 복귀하여, 오목부(27a)를 전방을 향하게 하므로 오목부(27a)에 보유한 앰플(10)이 카세트(25)로부터 불출된다.
지지대(44)를 구성하는 양 측벽에는, 상기 앰플 수용 드럼(29) 내에서 회전하는 구획 부재(30)에 설치한 각 피검출부(35a, 35b, 35c, 35d 및 35e, 35f, 35g, 35h)를 검출하기 위해, 각각 2개씩 위치 검출 센서(50a, 50b 및 50c, 50d)가 설치되어 있다. 도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위치 검출 센서(50a 내지 50d)로, 대응하는 피검출부(35a 내지 35h)를 검출함으로써, 각 앰플 저류실(31)이 카세트(25)로부터의 앰플(10)의 투입 위치와, 트레이(9)로의 앰플(10)의 배출 위치로 각각 위치 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어떠한 피검출부(35a 내지 35h)를 어떠한 위치 검출 센서(50a 내지 50d)로 검출하는 것인지에 따라 투입 위치 또는 배출 위치에 위치하는 앰플 저류실(31)을 특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지지대(44)의 전방면부[카세트(25)측에 면하는 부분]에는, 도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앰플 투입 가이드(51)가 설치되어 있다. 앰플 투입 가이드(51)의 저면은, 위치 검출 센서(50a 내지 50d)로 피검출부(35a 내지 35h)를 검출함으로써 위치 결정된 각 앰플 저류실(31)의 일부를 구성하는 구획판(32)과 동일면 내에 위치하며, 이에 의해 앰플 투입 가이드(51)를 통해 앰플 수용 드럼(29) 내의 앰플(10)을 앰플 저류실(31) 내로 원활하게 투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는, 앰플 공급부(6)에 의해 약제로서 앰플(10)을 공급하도록 하였지만, 바이알병이나 PTP정 등, 다른 형태의 약제를 공급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vi) 주사전 공급부
주사전 공급부(7)는,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사전(注射箋)을 인쇄하는 2대의 레이저 프린터(52)를 구비한다. 레이저 프린터(52)는 상기 라벨 프린터(11)의 상방에 위치하는 2부위의 선반(53)[제2 선반(53b) 및 제3 선반(53c)]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선반(53)은 장치 본체(1)의 전방 패널(54)을 개방하여 앞쪽으로 인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레이저 프린터(52)로 인쇄된 주사전은, 주사전 배출 부재(60)에 의해 공급 통로(55)를 통해 트레이(9) 내로 공급된다.
주사전 배출 부재(60)는, 도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아암 부재(56)를, 상방측의 지지축(56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고, 지지축(56b)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 가능하게 한 선회 반송부(57)와, 이 선회 반송부(57)가 수평 위치로 선회한 상태에서 반송 통로를 연속시키는 고정 반송부(58)를 구비한다.
공급 통로(55)는,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1)의 전방 패널(54)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전방 패널(54)의 내면에 양측부를 직각 방향으로 절곡하고, 상단측을 내측으로 연장한 가이드판(59)을 장착한다. 가이드판(59)에는 손잡이(59a)가 설치되어, 이 손잡이(59a)를 잡고 인장함으로써 전방 패널(54)에 대해 가이드판(59)을 개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판(59) 은, 상하 2단으로 설치한 각 레이저 프린터(52)로부터 주사전 배출 부재(60)에 의해 반송된 주사전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하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방측에 배치된 레이저 프린터(52)로부터 공급된 주사전은, 각 가이드판(59)에 의해 형성되는 상방측 공급 통로(55a) 및 하방측 공급 통로(55b)를 통과한다. 또한, 하방측에 배치된 레이저 프린터(52)로부터 공급된 주사전은, 하방측 공급 통로(55b)를 통과한다. 그리고, 하방의 라벨 프린터(11)의 근방에 설치한 주사전 대기부(55c)에 대기시킨 후, 순차 트레이(9)로 배출한다.
상기 구성의 주사전 공급부(7)에 따르면, 전방 패널(54)을 개방하고 선반(53)을 인출하면, 라벨 프린터(11), 레이저 프린터(52), 주사전 배출 부재(60), 공급 통로(55)에서의 주사전의 걸림 등을 간단히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공급 통로(55)에서도, 손잡이(59a)를 잡고 가이드판(59)을 개방하면, 공급 통로(55) 내에 걸린 주사전을 간단히 취출할 수 있다. 즉, 장치 본체(1)의 전방면측으로부터 유지 보수를 행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어 있다.
(vii) 제어부
제어부(8)는, 도시하지 않은 호스트 컴퓨터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처방 데이터(의사가 작성한 처방전의 내용에 관한 데이터)나 각 센서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각 부재를 구동 제어한다.
<작용>
다음에, 상기 구성의 앰플 불출 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13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입력된 처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트레이 공급부(2)로부터 트레이(9)를 공급하고, 이하와 같이 하여 트레이 반송 처리를 실행한다. 정지 위치 P1에 공급된 트레이(9)는, 제1 트레이 검출 센서(16a 및 16b)에 의해 검출되므로, 제1 컨베이어 유닛(13A)을 구동하여, 정지 위치 P2로 반송된다. 즉, 정지 위치 P1 및 P2 중 어느 쪽에도 트레이(9)를 배치하는 초기 동작을 실행한다(스텝 S1).
정지 위치 P2에서는, 처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라벨 프린터(11)를 구동하고, 앞으로 수용하고자 하는 앰플(10)의 약품명 등을 라벨에 인쇄하여 트레이(9) 내의 해당하는 수용부에 공급한다(라벨 공급 처리).
인쇄한 라벨의 공급이 완료되면(스텝 S2), 제2 트레이 검출 센서(16c 및 16d), 제3 트레이 검출 센서(16e 및 16f)에서 각각 트레이(9)를 검출하고 있는지 여부를 기초로 하여, 다음에 트레이(9)를 반송할 위치에 먼저 반송된 트레이(9)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
제2 트레이 검출 센서(16c 및 16d)에서 트레이(9)를 검출하지 않고 있으면, 제1 및 제2 컨베이어 유닛(13A 및 13B)을 구동하여, 트레이(9)를 양 센서(16c 및 16d)에 의해 검출되는 정지 위치 P2까지 반송한다. 또한, 제3 트레이 검출 센서(16e 및 16f)에서 트레이(9)를 검출하고 있지 않으면, 제2 및 제3 컨베이어 유닛(13B 및 13C)을 구동하여, 트레이(9)를 센서(16e 및 16f)에 의해 검출되는 정지 위치 P3까지 반송한다.
한편, 제2 트레이 검출 센서(16c 또는 16d)에서 트레이(9)를 검출하고 있으면, 제1 및 제2 컨베이어 유닛(13A 및 13B)은 구동하지 않고, 트레이(9)를 정지 위치 P1에 대기시켜 둔다. 또한, 제3 트레이 검출 센서(16e 또는 16f)에서 트레이(9)를 검출하고 있으면, 제2 및 제3 컨베이어 유닛(13B 및 13C)은 구동하지 않고, 정지 위치 P2에 트레이(9)를 대기시켜 둔다.
계속해서, 제4 트레이 검출 센서(16i 또는 16j)에서 트레이(9)를 검출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위치에서 트레이(9)가 검출되고 있지 않으면, 제3 컨베이어 유닛(13C)을 구동하여, 트레이(9)를 제3 컨베이어 유닛(13C)의 정지 위치 P3으로부터, 제4 컨베이어 유닛(17)의 정지 위치 P4로 반송한다. 제1 반송부(13)의 반송 방향측의 단부는 제2 반송부(14)의 제1 컨베이어 유닛(19)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트레이(9)의 선두 부분은 제1 컨베이어 유닛(19)에 접촉하지 않고 제1 반송부(13)로부터 가이드 레일(20)에 접촉한다. 트레이(9)는 제1 반송부(13)의 구동에 의해, 제1 반송부(13)와 가이드 레일(20)의 양쪽에 지지된 상태로 가이드 레일(20) 상을 슬라이드한다. 가이드 레일(20)은, 트레이(9)의 반송 방향을 향해 서서히 상방으로 경사져 있고, 트레이(9)가 제1 컨베이어 유닛(19)에 적재된 시점에서, 트레이(9)를 수평 상태로 지지한다. 이 상태에서, 트레이(9)의 3측면에는 가이드 벽(21)이 근방에 위치하거나 접촉하므로, 트레이(9)는 제1 방향 변환부(17)에서 수평면 내를 회전하는 일 없이 적절하게 위치 결정된다.
한편, 제4 트레이 검출 센서(16i 또는 16j)에서 트레이(9)를 검출하고 있으면, 제3 컨베이어 유닛(13C)을 구동하지 않고, 트레이(9)를 정지 위치 P3에 대기시켜 둔다.
정지 위치 P4로 트레이(9)가 반송되면, 제5 트레이 검출 센서(16m 및 16n)에 의해 트레이(9)가 검출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정지 위치 P5에서의 트레이(9)의 유무를 판단한다. 정지 위치 P5에 트레이(9)가 없다고 판단하면, 제1 컨베이어 유닛(19)을 구동하여, 트레이(9)를 제3 반송부(15)로 반송한다. 제1 컨베이어 유닛(19)의 구동에 의해 트레이(9)는 가이드 레일(20) 상을 슬라이드하면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16i 및 16j)와 마찬가지로 하여, 트레이 검출 센서(16k 및 16l)에 의해, 트레이(9)가 정지 위치 P4로부터 제3 반송부(15)로 적절하게 반송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센서(16k 및 16l)로부터 트레이 검출 신호가 입력되면, 제5 컨베이어 유닛(23)을 구동하여, 트레이(9)를 정지 위치 P5로 반송한다(스텝 S4). 트레이(9)가 정지 위치 P5로 반송되면, 처방 데이터에 따라서 카세트(25)로부터 해당하는 앰플(10)을 불출한다(스텝 S5).
정지 위치 P5에서, 트레이(9)에 앰플(10)이 불출되면, 다음에 제6 트레이 검출 센서(16o 또는 16p)에 의해 트레이(9)가 검출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6). 어느 쪽의 센서(16o 또는 16p)에 의해 트레이(9)가 검출되어 있으면, 정지 위치 P6에서 앞의 트레이(9)로의 앰플(10)의 불출 중이거나, 다음 정지 위치 P7로의 트레이(9)의 이동 중이라고 판단하고, 그대로 대기한다. 어느 쪽의 센서(16o 및 16p)에 의해서도 트레이(9)가 검출되어 있지 않으면, 제5 컨베이어 유닛(23) 및 제6 컨베이어 유닛(24A)을 구동하여, 정지 위치 P5의 트레이(9)를 정지 위치 P6으로 반송한다(스텝 S7). 그리고, 트레이(9)를 정지 위치 P6에 정지시키고, 상기 스텝 S5와 마찬가지로 하여 트레이(9) 내로 해당하는 앰플(10)을 불출한다(스텝 S8).
처방 데이터에 따라서 해당하는 앰플(10)이 트레이(9)의 각 수용부에 전부 불출되면, 제7 트레이 검출 센서(16s 또는 16t)에 의해 앞의 트레이(9)가 검출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정지 위치 P7에 앞의 트레이(9)가 없다고 판단하면, 제7 컨베이어 유닛(24B)을 구동하여 트레이(9)를 정지 위치 P7로 반송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하여, 제8 트레이 검출 센서(16u 또는 16v)에 의해 앞의 트레이(9)를 검출하고 있는지 여부를 기초로 하여, 다음 트레이(9)를 정지 위치 P8로 반송한다(스텝 S9, 스텝 S10). 상기 정지 위치 P7에서는, 주사전 공급부(7)로부터 주사전을 공급한다.
또한, 제3 반송부(15)에서는, 앰플(10)의 공급 위치에 따라서 트레이(9)의 정지 위치를 선택하도록 해도 좋다. 즉, 도7 중, 좌측 절반의 카세트군으로부터 앰플(10)을 공급하는 경우, 제5 컨베이어 유닛(23)을 구동 제어하고, 제5 트레이 검출 센서(16m 및 16n)에서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정지 위치 P5에서 트레이(9)를 정지시킨다. 또한, 도7 중, 우측 절반의 카세트군으로부터 앰플(10)을 공급하는 경우, 또한 제6 컨베이어 유닛(24A)을 구동 제어하고, 제6 트레이 검출 센서(16o 또는 16p)에서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정지 위치 P6에서 트레이(9)를 정지시킨다. 또한, 앰플(10)의 공급이 완료된 트레이(9)에 주사전을 공급하는 경우, 또한 컨베이어 유닛(24B)을 구동 제어하고, 제7 트레이 검출 센서(16s 및 16t)에서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정지 위치 P7에서 트레이(9)를 정지시킨다.
그런데, 상기 트레이 반송 처리에서는, 각 정지 위치에서 트레이(9)를 정지하고, 또한 다음 정지 위치로 반송하기 위해, 도14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이 하여 각 컨베이어 유닛을 구동 제어한다.
즉, 컨베이어 유닛을 구동하여, 정지 위치에서, 거기에 설치한 한 쌍의 센서에 의해 트레이(9)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1). 정지 위치에서 트레이(9)가 검출되면, 컨베이어 유닛을 정지한다(스텝 S12). 정지 위치 P2, P5, P6, 또는 P7에서는, 트레이(9) 내에 라벨, 앰플, 또는 주사전이 투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3). 그리고, 다음 정지 위치에 트레이(9)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S14), 트레이(9)가 없다고 판단하면 컨베이어 유닛을 구동한다(스텝 S15). 이때, 통과 트레이 검출 센서에 의해 트레이(9)가 적절하게 반송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스텝 S16). 또한, 컨베이어 유닛의 구동은, 앞으로 반송하고자 하는 트레이(9)뿐만 아니라, 이전의 것도 동시에 행한다. 그리고, 트레이(9)가 정지 위치로부터 완전히 다음 정지 위치로 이동하면, 컨베이어 유닛의 구동을 정지한다(스텝 S17). 단, 이 경우의 컨베이어 유닛의 정지는, 다음 정지 위치의 양 센서에 의해 트레이(9)가 검출됨으로써 행하도록 하면 좋다.
이상에 설명한 일련의 트레이(9)의 반송 처리와 병행하여, 라벨 공급부(4)로부터 라벨을 공급하고(라벨 공급 처리), 앰플 공급부(6)로부터 해당하는 앰플(10)을 공급하고(앰플 공급 처리), 주사전 공급부(7)로부터 주사전을 공급한다(주사전 공급 처리). 라벨 공급 처리에 대해서는 종래와 마찬가지이므로, 이하 앰플 공급 처리 및 주사전 공급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앰플 공급 처리)
앰플 공급부(6)에서는, 처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해당하는 앰플(10)이 수 용된 카세트(25)까지 지지대(44)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푸셔 유닛(47)을 전진시켜 로드(48)로 로터(27)를 회전시킴으로써, 그 오목부(27a)를 카세트(25)의 내측을 향하게 하여 오목부(27a) 내에 앰플(10)을 보유한다. 여기서, 푸셔 유닛(47)을 후퇴시키면, 로터(27)가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회전 복귀된다. 또한, 정면 도어(28)에 계지된 계지 갈고리부(49)에 의해 정면 도어(28)가 강제적으로 개방된다.
이때, 앰플 수용 드럼(29)에서는, 위치 검출 센서(50a 내지 50d)로 피검출부(35a 내지 35h)를 검출함으로써, 앰플 저류실(31)을 선택하여 앰플 투입 가이드(51)에 연속시켜 둔다. 이에 의해, 카세트(25)로부터 불출된 앰플(10)을 원하는 앰플 저류실(31)에 저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1개의 앰플 저류실(31)에 불출하는 앰플(10)은, 처방 데이터의 1복용 시기에 포함되는 모든 앰플(10)이 대상으로 된다. 따라서, 종류가 다른 앰플(10)이 포함되어 있으면, 해당하는 앰플(10)이 수용되어 있는 카세트(25)까지 앰플 회수부(26)를 이동시켜 상기와 동일한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앰플 저류실(31)에 1복용 시기에 포함되는 모든 앰플(10)의 불출이 완료되면, 다음 복용 시기에 포함되는 모든 앰플(10)에 대해 상기와 동일한 처리를 실행한다. 이때, 구획 부재(30)를 회전시켜 다음 앰플 저류실(31)을 앰플 투입 가이드(51)에 연속시켜 둔다.
여기서는, 환자의 차이에 상관없이, 순차, 비어 있는 앰플 저류실(31)에 1복용 시기에 포함되는 모든 앰플(10)을 불출한다. 그리고, 앰플 회수부(26)의 모든 앰플 저류실(31)에 앰플(10)이 수용되면, 앰플 회수부(26)를 앰플 불출 위치로 이동시킨다.
단, 앰플 회수부(26)의 각 앰플 저류실(31)에 저류하는 앰플(10)은, 1명의 환자의 1일분의 처방만으로 해도 좋고, 운용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앰플 회수부(26)에서는, 앰플 불출 위치로 이동한 후, 순차, 트레이(9)의 각 수용부에 앰플 저류실(31)에 저류한 앰플(10)을 공급한다(앰플 공급 처리).
상세하게는, 앰플 회수부(26)에서, 위치 검출 센서(50a 내지 50d)로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구획 부재(30)를 회전시킴으로써, 해당하는 앰플(10)이 수용된 앰플 저류실(31)을 불출 위치로 위치시킨다. 그리고, 개폐 모터(41)를 구동하여 드럼형 셔터(36)를 개방 위치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앰플 저류실(31)에 저류한 앰플(10)이 트레이(9)의 수용부에 공급된다.
계속해서, 앰플 회수부(26)를 이동시켜, 다음 수용부의 상방에 위치시킨다. 이때, 개폐 모터(41)를 역전 구동하여 드럼형 셔터(36)를 폐쇄 위치로 회전시킨다. 또한, 회전 모터(34)를 구동하여 구획 부재(30)를 회전시켜, 다음 앰플 저류실(31)을 불출 위치로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드럼형 셔터(36)를 개방 위치로 회전시켜, 트레이(9)의 수용부에 앰플(10)을 공급한다.
이하 마찬가지로 하여, 앰플 회수부(26)의 모든 앰플 저류실(31)에 저류한 앰플(10)의 공급을 행한다. 여기서는, 앰플 회수부(26)에는 4부위에 앰플 저류실(31)이 형성되어 있는 데 반해, 트레이(9)의 수용부는 3부위이므로, 모든 앰플 저류실(31)에 앰플(10)이 저류되어 있는 경우, 3부위의 앰플 저류실(31)로부터 앰플(10)의 불출 처리가 완료되면, 다음 트레이(9)가 반송되어 올 때까지 앰플 회수부(26)를 앰플 공급 위치(P6) 또는 주사전 공급 위치(P7)에 대기시키게 된다.
(주사전 공급 처리)
주사전 공급부(7)에서는, 레이저 프린터(52)로 처방전을 인쇄하고, 그 처방전을 상기 주사전 공급 위치(P7)에 정지시킨 트레이(9)에 공급한다.
레이저 프린터(52)에서는, 처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처방전을 인쇄하지만, 주사전이 배출되기 전에, 주사전 배출 부재(60)를 구동하여 선회 반송부(57)를 레이저 프린터(52)의 배지부(排紙部)(52a)로 선회시킨다[도12의 (b) 참조]. 배지부(52a)에서는, 선회 반송부(57)의 아암 부재(56)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대기시킨다. 이에 의해, 레이저 프린터(52)로부터 배출된 주사전을 확실하게 아암 부재(56)의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래서, 아암 부재(56)를 서로 접근하도록 회전시키고[도12의 (c) 참조], 주사전을 끼움 지지한 상태에서 선회 반송부(57)를 수평 위치까지 회전시킨다[도12의 (d) 참조]. 이때, 선회 반송부(57)를 구동하여 주사전을 선회 중심측으로 이동시켜, 선회 반송부(57)가 선회해도 고정 반송부(58)에 주사전이 간섭하지 않도록 해 둔다. 선회 반송부(57)가 수평 위치까지 회전하면, 선회 반송부(57)를 역전 구동한다. 또한, 고정 반송부(58)도 마찬가지로 회전 구동함으로써, 주사전을 전방 패널(54)측으로 반송한다[도12의 (e) 참조]. 또한, 상기 주사전의 공급에서는, 레이저 프린터(52)로부터 배출되는 복수매의 주사전을, 선회 반송부(57)에서 한 번에 통합하여 반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선회 반송부(57)나 고정 반송부(58)에는 스프링 구조를 설치함으로써, 주사전이 1매인 경우와 복수매인 경우의 어느 쪽이라도 적절한 압접력을 유지하여 반송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방 패널(54)의 내면에서는, 주사전은 가이드판(59)에 의해 형성된 공급 통로(55)에 의해 하방측으로 반송되어, 주사전 대기부(55c)에 일단 저류된 후, 해당하는 트레이(9)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트레이(9)를 준비 위치(P1), 제1 방향 변환 위치(P4), 제2 방향 변환 위치(도2 중, P4의 하방측의 위치), 회수 위치(P8)의 순으로 대략 U자형으로 되도록 반송하고, 레이저 프린터(52), 라벨 프린터(11)를 상하로 배치함으로써, 장치 전체를 폭 방향(도1의 좌우 방향)으로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라벨 공급 위치(P2)와, 주사전 공급 위치(P7)를, 장치 본체(1)의 전후 방향으로 각각 위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라벨 프린터(11) 및 레이저 프린터(52)를 상하 방향으로 배치하고, 또한 전방 패널(54)을 개방하여 각 프린터가 적재된 선반(53)을 전방면으로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유지 보수성이 우수하다. 또한, 트레이(9)를 반송할 때의 방향 변환을, 단차를 마련함으로써 고속으로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카세트(25)로부터의 앰플(10)의 불출을 앰플 회수부(26)에 의해 한 번에 행할 수 있어, 트레이(9)의 고속 반송과 더불어 앰플(10)을 신속하게 트레이(9) 내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라벨, 앰플(10) 및 주사전이 공급된 트레이(9)는, 그 후 트레이 회수부(3)로 반송된다. 트레이 회수부(3)에서는, 반송된 트레이(9)를 순차 상방으로 들어올려 보유 지지해 둔다. 약제사는, 보유 지지된 트레이(9)를 취출하여, 주사전의 인쇄 내용에 따라서 수용되어 있는 앰플(10)이 적절한 것인지 여부를 감사한다. 또한, 수용되어 있는 라벨을 해당하는 앰플(10)에 부착한다. 트레이(9) 내의 주사전은, 라벨이 공급되고, 앰플(10)이 공급된 후이다. 따라서, 감사에서는, 가장 위에 위치하는 주사전을 보면서, 트레이(9) 내의 앰플(10)을 확인하면 되어, 효율적으로 작업을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앰플 회수부(26)를 도9에 도시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도15에 도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도15 및 도16에 도시하는 앰플 회수부(26)는 스토커(61)를 구비한다. 스토커(61)는 앰플 수용 통부(62)와 가이드부(63)로 이루어진다.
앰플 수용 통부(62)는 바닥이 있는 통체이며, 그 축심 방향이 연직 방향을 향하고 있다. 앰플 수용 통부(62)의 저면에는 수용된 앰플(10)을 불출하기 위한 개구부(64)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64)는, 도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레이(9)의 반송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약간 경사져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앰플 불출 용기(79)에 정렬된 상태로 저류된다.
앰플 수용 통부(62) 내에는, 셔터 부재(65)와 구획 부재(66)가 각각 설치되고, 이들은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셔터 부재(65)는, 도16 및 도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반 형상이며, 외주부의 일부에 절결부(67)가 형성되어 있다. 셔터 부재(65)는, 앰플 수용 통부(62)의 중심에 설치한 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회전함으로써 상기 절결부(67)를 앰플 수용 통부(62)의 개구부(64)에 합치시켜, 수용되는 앰플(10)을, 개구부(64)를 통해 불출 가능하게 한다. 셔터 부재(65)의 외주부에는 기어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63)에 설치한 셔터 모터(76)의 회전축에 일체화한 기어부(도시하지 않음)가 맞물려 있다. 이에 의해, 셔터 모터(76)를 구동하면, 기어부를 통해 셔터 부재(65)가 회전하여, 절결부(67)를 이동시켜 앰플 수용 통부(62)의 개구부(64)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획 부재(66)는, 도15 및 도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부의 평면에서 볼 때 정삼각형인 베어링부(68)와, 그 각 코너부로부터 외경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구획판(69)으로 구성되어 있다. 베어링부(68)는 상기 앰플 수용 통부(62)의 축부(62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베어링부(68)의 각 코너부에는 위치 결정 센서(70)(자석)가 설치되어 있다. 구획 부재(66)는 후술하는 가이드부(63)에 설치한 구동 모터(77)의 구동에 의해 커플링(71)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획판(69)은 앰플 수용 통부(62) 내를 3부위의 앰플 수용실(72)로 구획한다. 각 앰플 수용실(72)은, 앰플(10)을 횡방향(직경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하여 수용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셔터 부재(65)의 절결부(67)에서 앰플 수용 통부(62)의 개구부(64)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구획 부재(66)를 회전시켜 앰플 수용실(72)을 주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수용된 앰플(10)을, 개구부(64)를 통해 원활하게 불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각 앰플 수용실(72)에는, 예를 들어 복용 시기 단위(아침, 점심, 저녁 등)로 앰플(10)을 수용하여 사용한다.
가이드부(63)는, 카세트(25)의 앰플 불출측을 따른 수직면부를 구비하고, 이 수직면부에는 카세트(25)로부터 불출되는 앰플(10)이 통과 가능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부(63)에는, 카세트(25)의 일단측의 덮개를 개폐하여 앰플(10)을 1개씩 불출시키기 위한 푸셔 유닛(47)와, 불출된 앰플을 검출하기 위한 앰플 검출 센서(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구획 부재(66)에 설치한 각 위치 결정 센서(70)를 검출하기 위한 회전 위치 검출 센서(7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부(63)에는, 셔터(80)를 회전시키기 위한 셔터 모터(76)와, 상기 구획 부재(66)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77)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부(63)의 상단부는 측방으로 연장되고, 거기에는 슬라이더가 장착되어 있다. 슬라이더는 장치 본체(1)의 전방면을 승강하는 승강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부(63)의 하단부도 측방으로 연장되고, 거기에는 승강 레일(78)이 설치되어, 앰플 불출 용기(79)가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앰플 불출 용기(79)는 세로로 길며, 상기 앰플 회수 통부(62)로부터 불출된 앰플(10)이 정렬된 상태로 일단 저류된다. 그리고, 승강 모터(79a)로부터 벨트(79b)를 통해 구동력이 전달됨으로써 상기 승강 레일(78)을 따라 승강한다. 승강 범위는, 상하의 각 센서(79c, 79d)에 의해 검출되고, 이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승강 모터(79a)가 구동 제어된다. 앰플 불출 용기(79)의 저면은 개폐 가능한 셔터(80)로 구성되어, 강하하였을 때 개방함으로써 저류한 앰플(10)을 트레이(9)로 불출한다.
상기 구성의 앰플 회수부(26)에 따르면, 셔터 부재(65)로 앰플 수용 통부(62)의 개구부(64)를 폐쇄한 상태에서, 구획 부재(66)에 의해 구획된 각 앰플 수 용실(72)에 앰플(10)을 수용해 둘 수 있다. 첫 번째 앰플 수용실(72)에 앰플(10)을 수용하면 구획 부재(66)를 회전시켜, 다음 앰플 수용실(72)에 앰플(10)을 공급 가능하게 한다. 세 번째 앰플 수용실(72)에 앰플(10)이 수용된 시점에서, 첫 번째 앰플 수용실(72)이 개구부(64)의 앞쪽(도면에서는 일부 중복)에 위치한다.
그리고, 셔터 부재(65)를 회전시켜 개구부(64)를 개방하고, 구획 부재(66)를 회전시키면, 첫 번째 앰플 수용실(72)에 수용한 앰플(10)을 일단 앰플 불출 용기(79)에 저류시킬 수 있다. 그래서, 앰플 회수부(26)를 트레이(9)의 상방까지 이동시키고 앰플 불출 용기(79)를 강하시키면, 셔터(80)가 개방되어 앰플(10)을 트레이(9)의 수용부에 불출할 수 있다. 이하, 마찬가지로 하여, 앰플 불출 용기(79)에 앰플(10)을 저류한 상태에서, 이 앰플 불출 용기(79)를 트레이의 원하는 수용부의 상방에 위치시켜 강하시킴으로써, 앰플(10)의 불출을 행한다.
Claims (3)
- 복수 종류의 약제가 수용된 복수의 약제 수용부와, 차례차례 소정 위치에 공급되는 트레이와, 처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해당하는 약제가 수용된 약제 수용부까지 이동하여, 상기 약제 수용부로부터 불출한 약제를 보유하여 반송하고, 상기 소정 위치에서 상기 트레이에 상기 약제를 공급하는 약제 회수부를 구비한 약제 불출 장치이며, 상기 트레이는 내부가 복수의 수용실로 분할되고, 상기 약제 회수부는 복수의 약제 저류실로 구성되어, 상기 약제 수용부에서 불출한 복수 종류의 복수의 약제를, 복수 종류의 약제를 포함하는 임의의 수용 패턴으로 각 약제 저류실에 보유 가능하게 하고, 한편 각 약제 저류실에 보유한 약제를 상기 트레이의 각 수용실에 차례차례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약제 저류실에 보유 가능한 약제의 수용 패턴은, 처방 데이터의 각 복용 시기에 따라서 결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회수부는 원통 형상이며, 외주면에 투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약제 수용 부재와, 상기 약제 수용 부재 내를 복수의 약제 저류실로 분할하는 구획 부재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각 약제 저류실에 약제를 투입하고, 상기 구획 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개폐 부재로 배출구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각 약제 저류실에 보유한 약제를 공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5288737 | 2005-09-30 | ||
JPJP-P-2005-00288737 | 2005-09-30 | ||
JP2006086139A JP4992262B2 (ja) | 2005-09-30 | 2006-03-27 | 薬剤払出装置 |
JPJP-P-2006-00086139 | 2006-03-27 | ||
PCT/JP2006/319033 WO2007040092A1 (ja) | 2005-09-30 | 2006-09-26 | 薬剤払出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49037A KR20080049037A (ko) | 2008-06-03 |
KR101502175B1 true KR101502175B1 (ko) | 2015-03-12 |
Family
ID=37906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7005868A KR101502175B1 (ko) | 2005-09-30 | 2006-09-26 | 약제 불출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100147868A1 (ko) |
EP (1) | EP1929991A4 (ko) |
JP (1) | JP4992262B2 (ko) |
KR (1) | KR101502175B1 (ko) |
CN (1) | CN101262838B (ko) |
WO (1) | WO2007040092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75125A (ko) * | 2014-12-19 | 2016-06-29 | 김동진 | 시술용 바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564868B2 (ja) * | 2008-09-19 | 2014-08-06 | 株式会社湯山製作所 | 薬剤払出装置 |
JP5888369B2 (ja) * | 2008-09-19 | 2016-03-22 | 株式会社湯山製作所 | 薬剤払出装置 |
JP5434420B2 (ja) * | 2008-09-19 | 2014-03-05 | 株式会社湯山製作所 | 薬剤払出装置及び薬剤払出方法 |
CN102307558B (zh) * | 2009-02-06 | 2014-01-29 | 株式会社汤山制作所 | 标签发放装置 |
DE102009017869B3 (de) * | 2009-04-17 | 2010-05-20 | Sim Automation Gmbh & Co. Kg | Verfahren zum individuellen Zusammenstellen von Tabletten sowi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
US20120175380A1 (en) * | 2009-07-14 | 2012-07-12 | Panasonic Corporation | Automatic medication dispensing device |
JP5668685B2 (ja) * | 2009-08-12 | 2015-02-12 | 株式会社湯山製作所 | 薬剤払出装置 |
WO2012008393A1 (ja) * | 2010-07-13 | 2012-01-19 | 株式会社湯山製作所 | 分注装置 |
JP5883445B2 (ja) * | 2011-06-27 | 2016-03-15 |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薬品払出装置および容器識別装置 |
US9150119B2 (en) | 2013-03-15 | 2015-10-06 | Aesynt Incorporated |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anticipating and deliver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using a track based transport system |
US20140108027A1 (en) | 2012-10-12 | 2014-04-17 | Mckesson Automation Inc. |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in a healthcare facility |
EP2727864A1 (en) * | 2012-11-01 | 2014-05-07 | JVM Co., Ltd. | Drug gathering apparatus |
CN103171852B (zh) * | 2013-04-09 | 2015-12-02 | 苏州艾隆科技股份有限公司 | 发筐机 |
CN103171858B (zh) * | 2013-04-09 | 2015-12-23 | 苏州艾隆科技股份有限公司 | 发筐机 |
CN103158993B (zh) * | 2013-04-09 | 2016-03-16 | 苏州艾隆科技股份有限公司 | 发筐机 |
CN103171855B (zh) * | 2013-04-09 | 2015-05-06 | 苏州艾隆科技股份有限公司 | 发筐机 |
KR101880924B1 (ko) * | 2017-09-26 | 2018-07-23 | (주)제이브이엠 | 약제 카세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 |
WO2019170685A1 (en) * | 2018-03-06 | 2019-09-12 | Blisterpartner B.V. | System and method for medication preparation and verification |
CN108861368B8 (zh) * | 2018-05-22 | 2020-12-11 | 汉中市中心医院 | 一种基于信息化技术的药房快速发药系统 |
JP2022077444A (ja) * | 2020-11-11 | 2022-05-23 | 株式会社トーショー | 薬剤容器搬送システム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135225A (en) * | 1963-02-18 | 1964-06-02 | Winkler Richard | Candy filling machine |
US6899144B1 (en) * | 2001-10-11 | 2005-05-31 | Kirby-Lester, Inc. | Method and system for high-speed discrete object counting and dispensing |
EP1552805A1 (en) * | 2002-10-18 | 2005-07-13 | Yuyama Mfg. Co., Ltd. | Device for dispensing medicine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171708U (ko) * | 1985-04-16 | 1986-10-24 | ||
US5292029A (en) * | 1989-11-08 | 1994-03-08 | Pearson Walter G | Patient medication dispensing and associated record |
US5502944A (en) * | 1993-12-03 | 1996-04-02 | Owen Healthcare, Inc. | Medication dispenser system |
JP3524606B2 (ja) * | 1994-12-28 | 2004-05-10 | 三洋電機株式会社 | 固形製剤充填装置 |
US6611733B1 (en) * | 1996-12-20 | 2003-08-26 | Carlos De La Huerga | Interactive medication dispensing machine |
US6883681B1 (en) * | 1998-12-10 | 2005-04-26 | Scriptpro Llc | Automatic dispensing system for unit medicament packages |
JP2000255717A (ja) * | 1999-03-10 | 2000-09-1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製品の残数管理方法および製品取出装置 |
JP2001325640A (ja) * | 2000-05-12 | 2001-11-22 | Hitachi Ltd | 自動取引装置における防犯カメラ制御方法 |
KR100828586B1 (ko) * | 2001-04-19 | 2008-05-09 |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 약제공급장치 |
US6766920B2 (en) * | 2001-09-13 | 2004-07-27 | Yuyama Mfg. Co., Ltd. | Medicine feed unit |
US7624894B2 (en) * | 2002-05-31 | 2009-12-01 | William Olin Gerold | Automated pill-dispensing apparatus |
JP2003325640A (ja) * | 2003-06-04 | 2003-11-18 | Sanyo Electric Co Ltd | 固形製剤充填装置および固形製剤充填方法 |
WO2005011563A1 (ja) * | 2003-07-31 | 2005-02-10 | Yuyama Mfg. Co., Ltd. | 薬剤払出し装置及び薬剤充填装置 |
JP4259230B2 (ja) * | 2003-08-29 | 2009-04-30 | 凸版印刷株式会社 | 物品袋詰め装置 |
JP2006232357A (ja) * | 2005-02-25 | 2006-09-07 | Yuyama Manufacturing Co Ltd | 錠剤充填装置 |
-
2006
- 2006-03-27 JP JP2006086139A patent/JP4992262B2/ja active Active
- 2006-09-26 CN CN2006800331686A patent/CN101262838B/zh active Active
- 2006-09-26 WO PCT/JP2006/319033 patent/WO2007040092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6-09-26 KR KR1020087005868A patent/KR10150217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6-09-26 EP EP06810558A patent/EP1929991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6-09-26 US US12/088,056 patent/US20100147868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135225A (en) * | 1963-02-18 | 1964-06-02 | Winkler Richard | Candy filling machine |
US6899144B1 (en) * | 2001-10-11 | 2005-05-31 | Kirby-Lester, Inc. | Method and system for high-speed discrete object counting and dispensing |
EP1552805A1 (en) * | 2002-10-18 | 2005-07-13 | Yuyama Mfg. Co., Ltd. | Device for dispensing medicin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75125A (ko) * | 2014-12-19 | 2016-06-29 | 김동진 | 시술용 바늘 |
KR101659551B1 (ko) | 2014-12-19 | 2016-09-23 | 김동진 | 시술용 바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262838B (zh) | 2012-11-28 |
CN101262838A (zh) | 2008-09-10 |
EP1929991A1 (en) | 2008-06-11 |
JP4992262B2 (ja) | 2012-08-08 |
US20100147868A1 (en) | 2010-06-17 |
EP1929991A4 (en) | 2012-01-11 |
WO2007040092A1 (ja) | 2007-04-12 |
KR20080049037A (ko) | 2008-06-03 |
JP2007117708A (ja) | 2007-05-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02175B1 (ko) | 약제 불출 장치 | |
US7182105B1 (en) | Automated solid pharmaceutical packaging machine utilizing robotic drive | |
EP1453747A2 (en) | Automatic dispensing system for unit medicament packages | |
KR101703365B1 (ko) | 약품 트레이 공급 장치 | |
JPH09215729A (ja) | アンプル補給方法 | |
JP2006224980A (ja) | 錠剤充填装置 | |
JP2007075178A (ja) | 錠剤充填装置 | |
KR100828586B1 (ko) | 약제공급장치 | |
KR20090026127A (ko) | 캡 공급 장치 | |
JP4380190B2 (ja) | 薬品払出装置 | |
JP3993583B2 (ja) | アンプル払出装置の払い出し方法 | |
JP2011182891A (ja) | 薬品表示コード自動読取装置 | |
JP4386760B2 (ja) | 薬品払出装置 | |
JP4353361B2 (ja) | 薬品払出装置 | |
JP2019076568A (ja) | 薬品仕分装置 | |
JP4969228B2 (ja) | 個別包装薬剤自動供給装置 | |
JP6902454B2 (ja) | 薬品仕分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薬品払出システム、薬品仕分方法 | |
JP2005237713A (ja) | 薬品払出装置 | |
JPH09192201A (ja) | アンプル取揃え方法 | |
JP3583392B2 (ja) | ドラム型アンプル払出装置 | |
JP3625100B2 (ja) | 注射薬整合装置 | |
JP2019076570A (ja) | 薬品排出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薬品仕分装置、薬品払出システム | |
JP2019076573A (ja) | 薬品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薬品仕分装置、薬品払出装置 | |
JP4854774B2 (ja) | 薬品払出装置 | |
JP2019076574A (ja) | 薬品払出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926 Effective date: 20141118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