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9551B1 - 시술용 바늘 - Google Patents

시술용 바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551B1
KR101659551B1 KR1020140184713A KR20140184713A KR101659551B1 KR 101659551 B1 KR101659551 B1 KR 101659551B1 KR 1020140184713 A KR1020140184713 A KR 1020140184713A KR 20140184713 A KR20140184713 A KR 20140184713A KR 101659551 B1 KR101659551 B1 KR 101659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draw
thread
hollow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4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5125A (ko
Inventor
김동진
정도성
김정연
Original Assignee
김동진
정도성
김정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진, 정도성, 김정연 filed Critical 김동진
Priority to KR1020140184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551B1/ko
Publication of KR20160075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5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1Puncturing needles for the peridural or subarachnoid space or the plexus, e.g. for anaesth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술용 바늘에 관한 것으로, 바늘의 몸체 구성에 있어서, 일 측단에서 통째로 원뿔형의 첨예 형태로 가공된 첨예부를 구성하되, 상기 첨예부는 몸체와 일체형을 이루고, 상기 첨예부 인근에 형성된 인출공의 타측 내부 방향으로는 중공을 형성하여 실의 인출공 역할을 수행하는 한편, 상기 인출공의 일측 내부 방향으로는 중공 형상 없이 막힘 상태로 폐쇄된 형태의 시술용 바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시술용 바늘{Surgical Operation Needle}
본 발명은 시술용 바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늘의 몸체 끝단에 구성된 첨예부를 몸체와 일체 또는 분리하는 방식으로 몸체에 구성되면서 피부 내에 자입된 바늘의 인출 과정에서 피부 속에 있는 실이 바늘로부터 자유롭게 인출되도록 하는 시술용 바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술용 바늘은, 피부의 주름이나 처짐을 개선하기 위한 미용 목적이나 봉합용 수술을 위한 수술 목적의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술용 바늘은, 특히 미용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다반사인데, 대부분의 종래 바늘은 피부에 자입된 이후 인출 과정에서 바늘로부터 실의 인출이 자유롭지 못한 구조적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피부 내에 바늘과 함께 자입된 실이 바늘과 함께 피부 밖으로 딸려 나오게 되는 경우들이 발생하게 된다.
설령, 피부 내에 있는 실이 바늘 인출하는 과정에서 함께 딸려 나오지 않은 경우도 있지만, 피부 밖으로 바늘의 인출 과정에서 실이 바늘의 간섭을 받아 피부 속 원래 자리에 위치되지 않은 채 원치 않는 자리에 자리 잡는 경우들이 대부분이다.
이처럼, 미용 목적으로 바늘을 시술하는 과정에서 실이 피부 속 원래 타켓을 지향하는 곳에 자리 잡지 못하게 되면, 미용의 본래 취지를 훼손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고, 시술을 받는 피체험자들은 피부 주름이나 처짐을 개선하는 것이 아니라 심각한 부작용에 놓일 수 있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일반적인 시술용 바늘에 대하여 설명하자면, 종래 시술용 바늘은 실의 일부를 인입하고 일부를 인출시켜 노출되게 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데, 이러한 실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해 바늘의 일측과 타측에 인입공 및 인출공을 형성하고 있다.
즉, 바늘의 인입공은 몸체의 일측에 해당되는 몸체 후미에 일반적으로 형성되고, 바늘의 인출공은 몸체의 타측에 해당되는 몸체 선방인 첨예(뾰족한 부위)의 인근 부위에 일반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바늘의 인입공에서는 실의 인입이 대체로 자유롭지만, 상기 바늘의 인출공에서는 실의 인출이 비교적 자유롭지 못하다. 이러한 이유는 바늘의 구조적 형상에 의해 유발되기 때문이다.
바늘은 얇은 금속판을 원형 기둥과 같이 말아 가공 처리하여 얻게 되는데, 이 경우 바늘을 말게 되면 그 내부가 중공 상태로 텅 비어 있는 구조를 갖게 되고, 이러한 텅 빈 상태의 중공은 바늘의 몸체 인입공이 되고, 바늘의 몸체에 형성된 인출공은 첨예(뾰족한 부위)의 인근 부위에 가공하여 형성된다.
이때, 바늘의 인입공에 해당되는 중공을 통하여 인입된 실은 피부 속으로 자입되는 바늘과 함께 피부 속으로 주입된 다음, 바늘을 피부 외부로 인출하는 과정에서 피부 속에 주입된 실은 인출공을 통하여 인출되어 피부 속 타켓으로 삼은 자리에 자리 잡게 된다.
하지만, 피부 외부로 바늘의 인출 과정에서 인출공을 통하여 인출되는 실이 인출공 주변의 간섭(걸림 장애)으로 제대로 인출되지 못하고 바늘과 함께 피부 밖으로 딸려 나오거나, 설령 바늘과 함께 피부 밖으로 딸려 나오지 않더라도, 피부 속 원하는 타켓 자리에 위치되지 않아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인출공 주변의 간섭(걸림 장애)이 발생하는 이유는, 바늘을 말아 가공하기 때문에 바늘의 몸체 표면을 가공하여 얻어진 인출공의 내부 주변에도 여전히 중공을 형성하고 있어, 인출공과 중공의 경계면이 되는 인출공 주변의 몸체면(말린 금속판의 내측면)에서 실이 걸려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즉, 바늘의 인출 과정에서 실은 바늘의 인출 반대 방향으로 취출되는 관계로 실과 접촉될 수 있는 인출공의 테두리 부위 중에서 실의 인출이 가장 늦게 진행되는 인출공의 테두리 부위에서 실의 접촉 마찰력이 가장 크게 작용하는 점(요인 1)과, 이러한 요인 1에 더욱이 실의 접촉 마찰력을 상쇄할 수 없는 구조적 형태인 인출공 주변의 중공 형성(요인 2)에 의해 바늘로부터 실의 인출을 자유롭지 못하게 한다.
아울러, 대부분의 기존 바늘은 몸체의 끝단을 경사지게 커팅하여 날리는 방식으로 가공하여 첨예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피부 자입하는 과정에서 자입 상처가 클 수밖에 없고, 피체험자는 자입 과정에서의 통증에 고통스러울 수밖에 없다.
한편, 종래의 시술용 바늘로 안출된 기술들로는 등록특허 제10-1392699호, 등록특허 제10-1237399호, 등록특허 제10-1261175호, 등록특허 제10-1346767호, 및 등록특허 제10-1371948호들을 참고할 수 있다.
특허문헌 001 등록특허 제10-1392699호, 특허문헌 002 등록특허 제10-1237399호, 특허문헌 003 등록특허 제10-1261175호, 특허문헌 004 등록특허 제10-1346767호, 특허문헌 005 등록특허 제10-1371948호.
전술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부 내부로 자입되는 상처의 크기를 최소화하는 한편 피부 외부로 바늘의 인출 과정에서 바늘의 간섭(걸림 장애)으로부터 실의 인출을 자유롭게 하는 시술용 바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술용 바늘의 몸체 구성에 있어서, 일 측단에서 통째로 원뿔형의 첨예 형태로 가공된 첨예부를 구성하되, 상기 첨예부는 몸체와 일체형을 이루고, 상기 첨예부 인근에 형성된 인출공의 타측 내부 방향으로는 중공을 형성하여 실의 인출공 역할을 수행하는 한편, 상기 인출공의 일측 내부 방향으로는 중공 형상 없이 막힘 상태로 폐쇄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인출공의 일측 내부 방향으로는, 표면 코팅을 가하여 실의 접촉 마찰력을 상쇄하여 실의 인출을 자유롭게 하는 금속 물질의 원반, 및 상기 원반의 이면에 억지 끼움으로 주입된 채 상기 원반을 고정 결합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폐쇄되어 있는 시술용 바늘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삭제
상기 탄성체에 고정되는 원반은 탄성체 방향으로 자입되어 걸림 고정되는 연장된 후크구를 더 포함하는 시술용 바늘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원반은 몸체의 중공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채 중공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됨에 따라, 인출공과 첨예 부위 사이의 몸체 표면이 확경되어 인출공으로부터의 실 인출을 용이하게 유도하는 시술용 바늘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첨예부는,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점진적 확경 형태의 반호가 각각 형성되고, 내부의 좌우편에서 역방향으로 편심 회전하는 한 쌍의 편심회전구가 각각 축설된 채, 상 하부의 위치에서 수직 상하 방향으로 진동되는 진동 타격부의 항타에 의해 가공되는 시술용 바늘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시술용 바늘은, 피부 내부로 자입되는 상처의 크기를 최소화하면서 피체험자의 고통을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시술용 바늘은, 피부로 자입된 바늘의 인출 과정에서 바늘의 간섭(걸림 장애)으로부터 실의 인출을 자유롭게 하여 최종적으로 피부 속 원하는 타켓 지점에 실을 자입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시술용 바늘은, 피부 속 원하는 타켓 지점에 실을 자입시킬 수 있음에 따라, 시술받은 피부에 대한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 주름이나 처짐과 같은 피부 미용의 본래 목적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시술용 바늘은, 바늘을 구성하는 몸체에 있어서 첨예부를 몸체로부터 분리하는 방식을 채용함에 따라, 첨예부만을 교체할 수 있고, 이로 인한 바늘의 제작에 드는 가공 비용을 절감하며, 바늘을 소비하는 수요자측의 바늘 구입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시술용 바늘은, 한 쌍의 편심회전구가 고속 회전하게 되면서 상, 하부에 위치한 타격부의 고속 진동에 의해 상기 타격부들 사이로 개재된 바늘의 첨예부 가공이 신속 진행됨에 따라, 바늘의 가공에 소모되는 노동력을 절감하고 생산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술용 바늘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늘 몸체의 첨예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첨예부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첨예부 인근의 인출공으로부터 실의 인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을 참고로 한 사시도,
도 6은 도 4를 참고로 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술용 바늘을 도시한 사시도,
도 8는 도 7에 도시된 시술용 바늘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7 및 도 8을 참고로 한 첨예부와 몸체의 접합을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기계 장치의 핵심 부품인 진동 타격부로 본 발명 바늘 몸체의 첨예부에 대한 가공 이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기계 장치의 핵심 부품인 진동 타격부로 본 발명 바늘 몸체의 첨예부에 대한 가공 이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0 및 11에 도시된 진동 몸체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4에 도시된 원반 대용의 볼을 억지 끼움한 바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도시됨을 밝히고, 후술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다른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되는 점까지 감안한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아울러, 하기 본 발명에서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명세서 전반에 기재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해석한 확장 범위까지 포함하는 권리범위로 인정되어야만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술용 바늘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시술용 바늘은 일 실시 예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10)을 구성하는 몸체(11)에 있어서, 일 측단에 첨예부(12)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첨예부(12)는 통째 원뿔형의 첨예(뾰족) 형태로 가공되며, 몸체(11)와 일체형을 이루게 된다.
또한, 도 1 및 2를 참고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첨예부(12)의 인근에 실(T)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공(13)을 형성하게 된다. 즉, 첨예부(12) 후방의 인접된 몸체(11) 면에 인출공(13)을 형성함에 있어, 예를 들어 인출공(13)을 기준으로 첨예부(12) 방향을 일측 방향으로 가정하고, 인출공(13)을 기준으로 첨예부(12) 반대 방향을 타측 방향으로 가정할 경우, 인출공(13)의 일측 방향 내부로는 밀폐되어 폐쇄된 형태이며, 인출공(13)의 타측 방향 내부로는 중공(11a)을 형성한 실(T)의 인입 통로로 형성된다.
바늘(10)은 얇은 금속판을 원기둥 형으로 말아 제조되기 때문에 그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11a) 형상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인출공(13)의 타측 방향 내부로는 중공(11a)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인출공(13)과 중공(11a)이 서로 연통되는 형태이지만, 상기 인출공(13)의 일측 방향 내부로는 중공(11a)을 형성하지 않은 채 막힘 구조로 폐쇄되어 있다.
이처럼, 상기 인출공(13)의 일측 방향으로는 폐쇄된 형태를 갖게 되는데, 더욱 상세히 설명하자면, 금속재의 원반(15)과 상기 원반(15)을 고정하는 탄성체(16)의 구비로 인하여 인출공(13)의 일측 방향이 폐쇄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첨예부(12)의 첨예(뾰족) 부위는 내부가 비어 있지 않은 원뿔의 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이러한 첨예(뾰족) 부위와 인출공(13)의 사이에 형성되는 소정의 공간으로 상기 탄성체(16) 및 원반(15)이 억지 끼움 형태로 삽입되어 고정됨에 따라, 인출공(13)의 일측 내부 방향은 폐쇄되게 된다.
상기 탄성체(16)는 양측 단부 중 일측 단이 수직을 이루고, 타측 단은 경사를 이룬 채, 수직을 이룬 일측 단이 억지 끼움 상태로 삽입되면서 첨예(뾰족, 첨예부(15)) 부위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탄성체(16)의 타측 단에 원반(15)이 밀착되면서 고정된다. 고정된 원반(15)은 상기 탄성체(16)의 경사져 있는 타측 단에 밀착되어 있는 관계로 기울어진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 탄성체(16)는 천연 고무 소재인 라텍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반(15)의 고정은 상기 탄성체(16)의 타측 단 내부로 주입된 후크부(15a)에 기인한다. 즉, 상기 인출공(13)을 완전히 볼 수 있는 시각 각도에서는 원반(15)의 이면에 후크부(15a)가 탄성체(16)의 타측 단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주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인출공(13)의 일측 내부는 경사진 원반(15)에 의해 폐쇄된 형태임을 알 수 있다.
상기 원반(15)도 인출공(13)의 일측 내부에 억지 끼움 되는데, 이러한 원반(15)의 억지 끼움은 첨예 부위와 인출공(13) 사이에 해당되는 몸체(11)의 표면 직경이 도 3을 참고로 도 3a에서와 같이 확경(확경부(11b))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다. 상기 확경부(11b)는 피부로 바늘(10)의 자입 및 인출 과정에서 피부를 자연스럽게 벌어지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실(T)의 취출에도 도움된다. 상기 원반(15)은 표면에 코팅을 형성함에 따라, 실(T)의 접촉 마찰력을 상쇄할 수 있다.
상기 원반(15)은 몸체(11)의 중공(11a) 직경보다 큰 직경을 지닌 채 중공(11a)에 억지 끼움으로 삽입됨에 따라, 도 3a에서와 같이, 인출공(13)과 첨예부(12) 사이의 몸체(11) 표면 직경이 확경(확경부(11b))되어 인출공(13)으로부터 인출되는 실(T)의 인출을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다.
실(T)의 경우, 피부의 주름이나 처짐을 개선하기 위하여, 피부 속에 자입되어 리프팅 시켜 주는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실과는 그 형태가 다르다. 미용 목적으로 사용하는 실(T)은 피부 속에서 고정된 채 피부를 리프팅 시켜 주어야 하는 관계로 가시 형상과 같은 특이한 형태의 실(T)로 제작되기 때문에, 바늘(10)에 형성된 인입공(13a)을 통하여 인출공(13)으로부터 실(T)이 취출될 때 걸림 장애와 같은 현상들이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실(T)의 걸림 장애와 같은 현상 때문에, 실(T)이 바늘(10)과 함께 피부 속으로 주입된 다음 바늘(10)을 피부 밖으로 인출하는 과정에서 실(T)도 함께 딸려 나오거나, 바늘(10)의 인출공(13) 부분에서 간섭 장애를 받아 피부 속 원하는 타켓 지점에 실(T)이 제대로 자리 잡지 못하고 원치 않는 지점에서 자리 잡는 부작용을 초래하게 된다.
이처럼, 피부 주름 및 처짐과 같은 미용 목적으로 피부의 시술 과정에서 실(T)에 대한 바늘(10)의 걸림 장애와 같은 현상을 인출공(13)의 일측 내부 방향을 폐쇄하는 원반(15)에 의해 해결하게 된다.
즉, 상기 원반(15)은 인출공(13)의 일측 내부 방향에서 경사진 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원반(15)의 표면에 코팅을 가한 상태이기 때문에, 실(T)이 인출공(13)으로부터 인출될 경우 원반(15) 표면을 따라 미끄러지며 자유롭게 인출된다.
다시 말해, 피부 속으로 자입된 바늘(10)의 인출 과정에서 실(T)은 바늘(10)의 인출 반대 방향으로 취출되는 관계로 실(T)과 접촉될 수 있는 인출공(13)의 테두리 부위 중에서 실(T)의 인출이 가장 늦게 진행되는 인출공(13)의 테두리 부위에서 실(T)의 접촉 마찰력이 가장 크게 작용하는 점(요인 1)과, 이러한 요인 1에 더욱이 실(T)의 접촉 마찰력을 상쇄할 수 없는 구조적 형태인 인출공(13)의 일측 내부 방향에 중공(11a)을 형성한 점(요인 2)을 해소할 수 있으므로 실(T)의 취출이 자유로울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원반(15)을 대체할 수 있는 구 형태의 볼(17)이 구비됨에 따라, 실(T)의 취출을 자유롭게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원반(15)과 탄성체(16) 대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 형태의 볼(17)이 억지 끼움 되면서 고정되고, 이러한 억지 끼움에 의해 그 주변의 몸체(11) 표면 직경이 확경(확경부11b))될 수 있다.
이러한 볼(17) 역시 상술된 원반(15)의 기능적 역할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원반(15)이나 볼(17)의 억지 끼움의 정도에 따라 그 주변의 몸체(11) 표면에 형성된 확경부(11b)의 돌출을 완만하게 하거나 급격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시술용 바늘은 다른 실시 예로서, 첨예 부위(첨예부(12))와 함께 인출공(13)을 형성한 부위까지가 몸체(11)로부터 분리형 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공(13)을 포함한 첨예부(12) 부위가 몸체(11)에 결합 고정될 때에는, 첨예부(12) 부위의 후미 및 몸체(11)의 선단 부위 각각에 형성된 피접착부(A,B) 및 접착부(C,D)들 간의 접착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첨예부(12)의 후미 부위에 피접착부(A)와 접착부(C)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되, 첨예부(12)의 후미 구경에서 피접착부(A)는 구경 내측 방향으로 구경의 일부가 절삭되어 경사진 접착면을 형성하게 되고, 첨예부(12)의 후미 구경에서 접착부(C)는 구경 외측 방향으로 구경의 일부가 연장되어 경사진 접착면을 형성하게 된다.
물론, 몸체(11)의 선미 부위에도 피접착부(B) 및 접착부(D)가 첨예부(12)에 형성된 피접착부(A) 및 접착부(C)와 동일한 형상대로 형성되는 관계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예부(12)와 몸체(11)를 접착 방식으로 결합 고정하기 위해서는,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첨예부(12)에 형성된 피접착부(A)에 몸체(11)의 접착부(D)가 접착되고, 첨예부(12)에 형성된 접착부(C)는 몸체(11)에 형성된 피접착부(B)에 접착되어 상호 간의 결합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피접착부(A,B) 및 접착부(C,D)는 첨예부(12)의 후미 및 몸체(11)의 선단에 있는 구경(직경)을 기준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상호(피접착부와 접착부의 접착)간의 접착 시 첨예부(12)와 몸체(11)의 이음 부위 표면이 매끄러울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하여 별도의 연마 가공 없이 바늘(10)을 이용한 시술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피접착부(A,B) 및 접착부(C,D)의 접착을 위해, 인체에 무해한 고분자 접착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고분자 접착제는 폴리디메틸실록산 (Polydimethylsiloxane(PDMS)), 폴리프로필렌글리콜(Polypropyleneglycol(PPG)), 폴리메틸메타크릴산(Polymethylmethacrylate(PMMA)),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 e(PC)),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및 페럴린(Parylene) 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고분자 접착제를 상기 피접착부(A,B) 및 접착부(C,D)에 묻혀 일정 시간이 경화되면, 상기 피접착부와 접착부 상호 간에 견고한 접착이 이루어지고, 이들 접착 지점에 해당되는 첨예부(12)와 몸체(11)의 이음 부위도 매끄럽기 때문에 곧바로 바늘(10)을 이용하여 시술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첨예부(12)와 몸체(11)가 분리 가능 식으로 구성하는 것은, 바늘을 제조하는 제조사 측에서도 바늘 통째를 제작 가공하는 비용보다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분리 식 바늘을 소비하는 수요자 측에서도 바늘을 구입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바늘(10)을 이용한 시술 과정에 있어서, 인입공(13a)으로 삽입된 실(T)이 중공(11a)을 거쳐 인출공(13)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취출시킨 다음, 피부의 주름이나 처짐 부위에 해당되는 피부 내부로 바늘(10)을 자입한다.
이때, 바늘(10)과 함께 실(T)도 자입되고, 피부 속 원하는 타켓(목표) 지점인 실(T)이 자리 잡을 수 있는 지점으로 판단되면, 바늘(10)을 피부 외부로 인출시킨다.
이때, 바늘(10)은 피부 외부로 인출되고, 이러한 바늘(10)의 인출 과정에서 실(T)은 피부 속에서 인출공(13)을 통하여 취출되다가 피부 속 원하는 타켓(목표) 지점에 자리 잡게 된다.
상기 실(T)의 취출 과정에서 인출공(13) 주변의 걸림 및 간섭 장애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데, 이는 실(T)이 인출공(13)으로부터 인출될 때에 인출공(13)의 일측 내부에 구비된 경사 형태의 원반(15)과 접촉되며 매끄러운 취출 진행을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의 일 실시 예와 다른 실시 예에서 제시한 첨예부(12)의 원뿔형 가공은, 기계 장치에 의해 제작될 수 있는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의 첨예부(12)에 해당되는 부위를 기준으로 상, 하부에 위치한 한 쌍의 타격부(V1,V2) 진동에 의해 도 11에서와 같이 바늘의 첨예부(12) 가공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한 쌍의 타격부(V1,V2)는 진동에 의해 수직 상하 방향으로 초고속 진동되면서 바늘의 첨예부(12) 가공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처럼 타격부(V1,V2)의 수직 상하 방향으로의 진동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부(V1)의 내부에 좌우로 축설된 편심회전구(EW)의 회전으로 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기 타격부(V1)와 동일하게 하부에 위치한 타격부(V2)의 내부에도 좌우로 축설된 한 쌍의 편심회전구(EW)를 구축하고 있다.
즉, 좌측에 위치한 편심회전구(EW)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되고, 우측에 위치한 편심회전구(EW)는 좌측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편심회전력에 의해 발생하는 힘이 분산되지 않고 합치되는 결과를 낳아 타격부(V1)의 수직 하부 방향으로 강하게 진동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한 쌍의 편심회전구(EW)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두 편심 부위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지점에서 편심 회전력이들이 합치되어 수직 하부 방향으로 작용되는 관계로 타격부(V1)의 수직 하부 방향 진동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한 쌍의 편심회전구(EW)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두 편심 부위의 거리가 멀어지는 지점에서 편심 회전력들이 수직 상부 방향으로 작용되는 관계로 타격부(V1)의 수직 상부 방향 진동이 수행될 수 있다. 물론, 하부에 위치한 타격부(V2) 또한 상술된 타격부(V1)의 원리와 동일하게 작용한다.
이처럼, 한 쌍의 편심회전구(EW)가 고속 회전하게 되면서 상, 하부에 위치한 타격부(V1,V1) 또한 고속으로 진동하며 타격부(V1,V1)의 각 반호(HC1,HC2)에 개재된 바늘의 첨예부(12) 가공이 신속하게 수행되어 바늘의 가공에 소모되는 노동력을 절감하고 생산 증대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종래 바늘의 경우 인출공의 일측 내부로 여전히 중공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실의 인출 과정에서 실의 인출이 가장 늦게 진행되는 인출공과 중공의 경계면에서 실의 강한 접촉 마찰력 작용과 함께 실의 걸림이나 간섭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여, 실의 인출 과정에서의 유동성을 제어하지 못하고 시술의 부작용을 초래하게 된다.
10 : 바늘 11 : 몸체
11a : 중공 11b : 확경부
12 : 첨예부 13 : 인출공
13a : 인입공
15 : 원반 15a : 후크부
16 : 탄성체 17 : 볼
A, B : 피접착부 C, D : 접착부
V1,V2 : 진동 타격부 EW : 편심회전구
HC1,HC2 : 반호

Claims (9)

  1. 시술용 바늘의 몸체 구성에 있어서, 일 측단에서 통째로 원뿔형의 첨예 형태로 가공된 첨예부를 구성하되, 상기 첨예부는 몸체와 일체형을 이루고; 상기 첨예부 인근에 형성된 인출공의 타측 내부 방향으로는 중공을 형성하여 실의 인출공 역할을 수행하는 한편, 상기 인출공의 일측 내부 방향으로는 중공 형상 없이 막힘 상태로 폐쇄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인출공의 일측 내부 방향으로는, 표면 코팅을 가하여 실의 접촉 마찰력을 상쇄하여 실의 인출을 자유롭게 하는 금속 물질의 원반; 및
    상기 원반의 이면에 억지 끼움으로 주입된 채 상기 원반을 고정 결합하는 탄성체; 를 포함하여 폐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술용 바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에 고정되는 원반은 탄성체 방향으로 자입되어 걸림 고정되는 연장된 후크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술용 바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반은 몸체의 중공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채 중공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됨에 따라, 인출공과 첨예 부위 사이의 몸체 표면이 확경되어 인출공으부터의 실 인출을 용이하게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술용 바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예부는,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점진적 확경 형태의 반호가 각각 형성되고, 내부의 좌우편에서 역방향으로 편심 회전하는 한 쌍의 편심회전구가 각각 축설된 채, 상 하부의 위치에서 수직 상하 방향으로 진동되는 진동 타격부의 항타에 의해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술용 바늘.
  9. 삭제
KR1020140184713A 2014-12-19 2014-12-19 시술용 바늘 KR101659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713A KR101659551B1 (ko) 2014-12-19 2014-12-19 시술용 바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713A KR101659551B1 (ko) 2014-12-19 2014-12-19 시술용 바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125A KR20160075125A (ko) 2016-06-29
KR101659551B1 true KR101659551B1 (ko) 2016-09-23

Family

ID=56365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4713A KR101659551B1 (ko) 2014-12-19 2014-12-19 시술용 바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95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558Y1 (ko) * 2014-06-24 2014-09-26 홍유리 매선시술용 케뉼라
KR101472943B1 (ko) 2014-03-11 2014-12-16 에이스의료기산업주식회사 피부 주름 성형용 캐뉼라 및 그 제조 방법
KR101502175B1 (ko) 2005-09-30 2015-03-12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불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948B1 (ko) 2010-12-23 2014-03-07 윤상천 매선용 침술기
JP5596625B2 (ja) 2011-06-07 2014-09-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1346767B1 (ko) 2011-10-17 2013-12-31 메디칸(주) 수술사 주입용 주사바늘
KR101261175B1 (ko) 2011-12-19 2013-05-09 조희민 주름방지 성형용 실 삽입장치
KR101237399B1 (ko) 2012-05-10 2013-02-27 (주)프레스티지 메디케어 주름 제거 임플란트
KR101481044B1 (ko) * 2013-05-22 2015-01-14 임백빈 봉합사 삽입용 바늘키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175B1 (ko) 2005-09-30 2015-03-12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불출 장치
KR101472943B1 (ko) 2014-03-11 2014-12-16 에이스의료기산업주식회사 피부 주름 성형용 캐뉼라 및 그 제조 방법
KR200474558Y1 (ko) * 2014-06-24 2014-09-26 홍유리 매선시술용 케뉼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125A (ko) 201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81743A1 (en) Thread implantation rod for preventing damage to subcutaneous tissue and blood vessels
KR101472943B1 (ko) 피부 주름 성형용 캐뉼라 및 그 제조 방법
EP2544603B1 (en) Obstruction removal assembly
KR200474558Y1 (ko) 매선시술용 케뉼라
JP5723970B2 (ja) 薬剤移注針及び薬剤移注方法
CN101529094B (zh) 带槽的抽吸泵辊头组件
CN106037844A (zh) 生物穿刺针及其制造方法
KR101659551B1 (ko) 시술용 바늘
JP2008173218A (ja) 採血管
EP2910160A1 (de) Vorrichtung zum Aufschäumen von Milch
KR101541159B1 (ko) 피부 시술용 모듈
DE69937480T2 (de) Halter für einen flexiblen fluidverarbeitungsbehälter
JP6706480B2 (ja) 輸液チューブの巻取装置及び輸液装置
CN206494581U (zh) 一种纱线筒
US4873748A (en) Burnished end shirred casing stick, method and apparatus
KR101682955B1 (ko) 성형 수술용 바늘
KR200472773Y1 (ko) 필터 니들 및 필터 니들 조립체
CN202751650U (zh) 一种低创伤注射针头
JP3722363B2 (ja) 鍼灸針
US10765554B2 (en) Piercing needle-equipped cannula
KR101675968B1 (ko) 시술용 바늘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볼 타입 바늘
CN208020603U (zh) 一种采血针针头分料盒
KR20130006765U (ko) 의료용 캐뉼라 가이드
KR101809664B1 (ko) 시술용 바늘 취출공 내의 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볼 타입 바늘
CN108382093A (zh) 印刷机的水辊布套入套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