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1044B1 - 봉합사 삽입용 바늘키트 - Google Patents

봉합사 삽입용 바늘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1044B1
KR101481044B1 KR20130057585A KR20130057585A KR101481044B1 KR 101481044 B1 KR101481044 B1 KR 101481044B1 KR 20130057585 A KR20130057585 A KR 20130057585A KR 20130057585 A KR20130057585 A KR 20130057585A KR 101481044 B1 KR101481044 B1 KR 101481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uture
needle member
kit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7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7116A (ko
Inventor
임백빈
Original Assignee
임백빈
주식회사 제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백빈, 주식회사 제일테크 filed Critical 임백빈
Priority to KR20130057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044B1/ko
Publication of KR20140137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6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04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 A61B2017/06019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by means of a suture-receiving lateral eyelet machined in the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6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 A61B2017/06085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having a blunt ti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정치유능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바늘부재를 이용해 생체분해성 봉합사부재를 체내에 삽입해 체내의 경직된 부위를 이완시키고 약화 된 근육을 강화시키거나 늘어난 인대를 수축시켜 주는 치료방법으로 사용하되, 바늘부재의 선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그 일측방에 봉합사부재가 삽입되는 바늘구멍이 형성됨에 따라 바늘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혈관 및 신경조직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봉합사부재에는 다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봉합사부재가 삽입된 바늘부재 상에는 바늘부재 외무로 노출된 봉합사부재가 고정되는 홀드부재가 구비되어 있어 봉합사부재가 바늘부재로부터 임의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봉합사부재로 약물의 흡수가 가능한 스펀지형 다공성 봉합사가 사용될 경우 해당 약물이 체내에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봉합사 삽입용 바늘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삽입용 바늘키트는 선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내부는 중공되되 중공된 내부와 연통되는 바늘구멍이 선단의 일측방에 형성되는 바늘부재와, 상기 바늘부재의 후단에 구비되는 어댑터부재와, 상기 바늘구멍을 통해 일부는 상기 바늘부재 내부에 삽입되고 일부는 상기 바늘부재 외부에 노출되는 봉합사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봉합사 삽입용 바늘키트{SUTURE IMPLANTABLE MEDICAL SYRINGE NEEDLE KIT}
본 발명은 봉합사 삽입용 주사침 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정치유능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바늘부재를 이용해 생체분해성 봉합사부재를 체내에 삽입해 체내의 경직된 부위를 이완시키고 약화 된 근육을 강화시키거나 늘어난 인대를 수축시켜 주는 치료방법으로 사용하되, 바늘부재의 선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그 일측방에 봉합사부재가 삽입되는 바늘구멍이 형성됨에 따라 바늘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혈관 및 신경조직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봉합사부재에는 다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봉합사부재가 삽입된 바늘부재 상에는 바늘부재 외무로 노출된 봉합사부재가 고정되는 홀드부재가 구비되어 있어 봉합사부재가 바늘부재로부터 임의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봉합사부재로 약물의 흡수가 가능한 스펀지형 다공성 봉합사가 사용될 경우 해당 약물이 체내에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봉합사 삽입용 바늘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조직중에서 분해(생체분해성: biodegradability)되고 동시에 분해생성물이 대사·배출(생체흡수성: bioabsorability)되는 고분자 재료를 생체분해흡수성 고분자 혹은 단순히 생체흡수성 고분자(bioabsorbable polymer)라고 부른다.
대표적인 합성 흡수성 고분자의 응용으로서 폴리글리콜산 섬유나 글리콜라이드-락타이드 공중합체 섬유가 외과용 봉합사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고, 천연고분자를 중심으로 한 효소분해형 흡수성재료는 생체적합성면에서 부족한 점 등이 많으나 폴리에스테르 등이 가수분해형 흡수성 재료로 생체반응을 자극하지 않은 것이 많고 물성 제어가 용이하여 흡수성재료로서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흡수성재료를 이용하여 제조된 대표적인 생체분해성 봉합사에 Chromic, Vicryl, Dexon, PDS 등이 있는데, 치료가 필요한 부위에 이와 같은 봉합사를 삽입함으로써 이를 치료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다. 즉 생체분해성 봉합사와 사람의 질병에 대한 저항력 및 스스로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자정치유능력을 이용해 인체의 경직된 부위를 이완시키거나 약화된 근육을 강화시키거나 늘어난 인대를 수축시켜 주는데에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인체 내에는 자생물질이 존재하여, 인체 내에 이물질이 들어가면 이물질 둘레에 자생 물질이 모여들어 침범한 이물질에 대해 인체를 보호하게 되는데 이러한 자생물질은 인체를 보호하기 위해 생성된 것이지만 결과적으로 이물질이 침입한 부위를 강화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473108호에 인체의 근육 내에 실을 삽입 위치시켜 실의 주위로 몸속 자생물질이 모여들게 유도함으로써 자생물질에 의해 근육이 강화되도록 하는 근육강화용 실 삽입기가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근육강화용 실 삽입기는, 그 후단부에는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주사바늘과, 상기 주사바늘의 구멍 내에 그 일부가 삽입되며 주사바늘이 근육내에 삽입될 때 후방으로 접힌 상태로 근육내부로 이동하고 주사바늘이 빠져나올 때 근육내에 남겨지는 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근육강화용 실 삽입기는 근육의 깊은 곳까지 빠지지 않고 안전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주사바늘에 내에 삽입된 실의 길이가 주사바늘 외부에 위치하는 실의 길이보다 같거나 길게 해야 하기 때문에, 필요이상(외부에 위치하는 실의 길이만큼)의 실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주사바늘 내에 단순히 실이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운반이나 시술시, 주사바늘에서 실이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시술시 주사바늘 내에 들어오게 되는 혈액에 의해 주사바늘의 내벽에 실이 달라붙게 되어, 주사바늘을 시술부위에서 빼어낼 경우 실도 어느 정도 딸려 나오게 되기 때문에 원하는 위치에 실이 위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03388호에 체내에서 자체 분해되는 원사를 인체 내에 주입시켜 약화된 근육 또는 인대 등을 강화시켜주는 생체분해 원사 삽입 키트가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생체분해 원사 삽입 키트는 사용자(시술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유닛과, 상기 손잡이유닛에 결착되는 주사침과, 상기 주사침에 내입되는 원사와, 주사침을 보호하는 보호튜브로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유닛은 주사침에 원사가 원활하게 삽입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미끄럼 없이 근육 내로 주사침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사는 보관 및 운반시 주사침으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고, 시술부에 정확히 고정될 수 있도록 양단부에 절곡된 걸림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생체분해 원사 삽입 키트는 원사가 딸려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시술부위에 정확히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나 주사침의 선단부 측 원사에 걸림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주사침이 인체 내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원사가 미리 딸려 나올 수 있음은 물론, 실수로 잘못 삽입된 주사침을 급하게 인체 내에서 분리해 낸다 하더라도 걸림돌출부에 의해 이미 원사가 인체 내에 고정되면서 주사침으로부터 분리되어버려 재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에 사용되는 주사바늘과 주사침은 체내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그 선단부가 날카롭게 형성되어 있어, 삽입되는 과정에서 모세혈관 등 각종 혈관이나 신경조직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체내에 남겨지는 실이나 원사는 자정치유능력이 발휘되게 할 뿐 별도의 약액이 공급되는 기능이 없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정치유능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바늘부재를 이용해 생체분해성 봉합사부재를 체내에 삽입해 체내의 경직된 부위를 이완시키고 약화 된 근육을 강화시키거나 늘어난 인대를 수축시켜 주는 치료방법으로 사용하되, 바늘부재의 선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그 일측방에 봉합사부재가 삽입되는 바늘구멍이 형성됨에 따라 바늘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혈관 및 신경조직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봉합사부재에는 다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봉합사부재가 삽입된 바늘부재 상에는 바늘부재 외무로 노출된 봉합사부재가 고정되는 홀드부재가 구비되어 있어 봉합사부재가 바늘부재로부터 임의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봉합사부재로 약물의 흡수가 가능한 스펀지형 다공성 봉합사가 사용될 경우 해당 약물이 체내에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봉합사 삽입용 바늘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내부는 중공되되 중공된 내부와 연통되는 바늘구멍이 선단의 일측방에 형성되는 바늘부재와, 상기 바늘부재의 후단에 구비되는 어댑터부재와, 상기 바늘구멍을 통해 일부는 상기 바늘부재 내부에 삽입되고 일부는 상기 바늘부재 외부에 노출되는 봉합사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삽입용 바늘키트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봉합사부재의 1/2은 상기 바늘부재 내부로 삽입되고 나머지 1/2은 상기 바늘부재 외부에 노출 위치되되 그 양끝 단부는 상기 바늘부재의 후단으로부터 10mm 내지 20mm 이격 위치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봉합사부재의 일부는 상기 바늘부재 내부로 삽입되되 그 끝단이 상기 바늘부재의 후단으로부터 10mm 내지 20mm 이격 위치되고 상기 봉합사부재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바늘부재의 외부에 5mm 내지 10mm 길이로 노출 위치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봉합사부재의 일부가 삽입된 상기 바늘부재의 외주연에는 상기 바늘부재 상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외부에 노출된 상기 봉합사부재가 끼워져 위치 고정되는 홀드부재가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봉합사부재는, 상기 바늘부재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다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된 봉합사와, 약물의 흡수가 가능한 스펀지형 다공성 봉합사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삽입용 바늘키트는 첫째, 자정치유능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바늘부재를 이용해 생체분해성 봉합사부재를 체내에 삽입해 체내의 경직된 부위를 이완시키고 약화 된 근육을 강화시키거나 늘어난 인대를 수축시켜 주는 치료방법으로 사용하되, 바늘부재의 선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그 일측방에 봉합사부재가 삽입되는 바늘구멍이 형성됨에 따라 바늘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혈관 및 신경조직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이 있다.
둘째, 봉합사부재에는 다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봉합사부재가 삽입된 바늘부재 상에는 바늘부재 외무로 노출된 봉합사부재가 고정되는 홀드부재가 구비되어 있어 봉합사부재가 바늘부재로부터 임의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봉합사부재로 약물의 흡수가 가능한 스펀지형 다공성 봉합사가 사용될 경우 해당 약물이 체내에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삽입용 바늘키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삽입용 바늘키트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삽입용 바늘키트의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의 사용상태도.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삽입용 바늘키트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도 1의 단면도가 도시되며, 도 3a 내지 도 3c에는 도 1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삽입용 바늘키트의 단면도가 도시되며,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삽입용 바늘키트의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6a 내지 도 6c에는 도 5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삽입용 바늘키트(1)는 선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내부는 중공되되 중공된 내부와 연통되는 바늘구멍(11)이 선단의 일측방에 형성되는 바늘부재(10)와, 상기 바늘부재(10)의 후단에 구비되는 어댑터부재(20)와, 상기 바늘구멍(11)을 통해 일부는 상기 바늘부재 내부에 삽입되고 일부는 상기 바늘부재 외부에 노출되는 봉합사부재(30)가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삽입용 바늘키트(1)의 구성부재 및 그 사용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바늘부재(10)는 추후에 설명될 봉합사부재(30)가 삽입 고정되고 체내에 삽입되며 추후에 설명될 어댑터부재(20)에 의해 소정의 손잡이(100)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선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내부는 중공되되 중공된 내부와 연통되는 바늘구멍(11)이 선단의 일측방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바늘부재(10)는 종래의 일반적인 바늘과 달리 바늘구멍(11)이 선단이 아닌 선단의 일측방에 형성되어 있고 선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바늘부재(10)가 체내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혈관이나 신경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바늘부재(10)의 선단이 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지만 피시술자가 일반적인 바늘에 비해 고통을 더 느끼지 않고 체내에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바늘부재(10)의 길이는 70mm 내지 90mm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늘부재(10)의 후단에는 어댑터부재(20)가 구비되는데, 이 어댑터부재(20)는 전술한 바늘부재(10)를 소정의 손잡이(100) 측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시술자가 바늘부재(10)만 파지하고 시술하는데 어려움이 있는바 파지력이 증대될 수 있는 소정의 손잡이(100) 측에 어댑터부재(20)를 탈착 가능하게 고정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술한 어댑터부재(20)와 손잡이(100)가 결합된 봉합사 삽입용 바늘키트(1)의 바늘부재(10) 측에는 바늘부재(10) 부분이 의도하지 않은 부위에 찔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별도의 캡(도시되지 않음)이 바늘부재(10) 방향으로 삽입되어 어댑터부재(20) 측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전술한 바늘부재(10)에는 봉합사부재(30)가 구비되는데 이 봉합사부재(30)는 바늘부재(10)에 의해 체내에 삽입되어 자정치유능력을 이용해 약화 된 근육을 강화시키고 경직된 근육을 이완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부는 바늘부재(10) 내부에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바늘부재(10)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은 봉합사부재(30)는 생체분해흡수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종래기술에 따른 봉합사가 사용되되, 바늘부재(10)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다수의 돌기(31)가 돌출 형성되는데 전술한 돌기(31)는 모든 돌기(31)의 끝단이 바늘부재(10)의 선단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봉합사부재(30)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1/2은 바늘부재(10) 내부로 삽입되고 나머지 1/2은 바늘부재(10) 외부에 노출 위치되되 그 양끝 단부는 바늘부재(10)의 후단으로부터 10mm 내지 20mm 이격 위치된다.
따라서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시술자에 의해 바늘부재(10)가 체내에 삽입될 때 돌기(31)에 의해 봉합사부재(30)가 임의로 바늘부재(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이로 인해 봉합사부재(30)가 원하는 부위에 잔존 될 수 있어 기대하는 목적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돌기(31)는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지만 더욱 뛰어난 고정력이 발휘될 수있도록 다양한 방향으로 나뉘어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봉합사부재(30)의 일부는 바늘부재(10) 내부로 삽입되되 그 끝단이 바늘부재(10)의 후단으로부터 10mm 내지 20mm 이격 위치되고 봉합사부재(30)의 나머지 일부는 바늘부재(10)의 외부에 5mm 내지 10mm 길이로 노출 위치될 수도 있다. 이때 바늘부재(10) 내부에 위치된 봉합사부재(30)에만 돌기(31)가 형성되는데 바늘부재(10)의 선단측에 위치된 돌기(31)는 그 끝단이 어댑터부재(20)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바늘부재(10)의 후단측에 위치된 돌기(31)는 그 끝단이 바늘부재(10)의 선단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시술자에 의해 바늘부재(10)가 체내에 삽입될 때 돌기(31)에 의해 봉합사부재(30)가 임의로 바늘부재(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이로 인해 봉합사부재(30)가 원하는 부위에 잔존 될 수 있어 기대하는 목적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돌기(31)는 양방향으로 나뉘어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지만 더욱 뛰어난 고정력기 발휘될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다양한 방향으로 나뉘어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5 내지 도 6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봉합사부재(30)로 약물의 흡수가 가능한 스펀지형 다공성 봉합사가 선택될 수도 있다. 전술한 스펀지형 다공성 봉합사가 봉합사부재(30)로 사용될 경우, 봉합사부재(30)가 특정 효과가 발휘되는 약물에 함침되도록 한 다음 체내에 삽입시킬 수 있어 자정치유능력과함께 더욱 뛰어난 치료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약물은 종래기술에 따른 약물 중 하나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스펀지형 다공성 봉합사가 봉합사부재(30)로 사용될 경우 바늘부재(10) 외부에 홀드부재(40)가 더 구비된다. 이 홀드부재(40)는 봉합사부재(30)를 위치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봉합사부재(30)의 일부가 삽입된 바늘부재(10)의 외주연 상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외부에 노출된 상기 봉합사부재(30)가 끼워진다.
즉, 바늘부재(10) 외부로 노출된 봉합사부재(30)가 홀드부재(40)에 의해 고정되어 있어 시술자가 바늘부재(10)가 바닥을 향하도록 봉합사 삽입용 바늘키트(1)를 거꾸로 든다 하더라도 봉합사부재(30)가 바늘부재(10) 내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으며, 뿐만 아니라 바늘부재(10)가 바닥을 향하는 방향으로 시술을 한다 하더라도 봉합사부재(30)가 늘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체내로 바늘부재(10)가 삽입될 때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홀드부재(40)가 피시술자의 피부에 의해 점차적으로 바늘부재(10)의 후방으로 밀려나고, 후방으로 밀려나던 홀드부재(40)가 바늘부재(10) 외부로 노출된 봉합사부재(30)의 길이를 벗어나게 되면 봉합사부재(30)가 홀드부재(40)로부터 풀려나게 되고, 이때 바늘부재(10)를 체내에서 빼내어 제거하게 되면 봉합사부재(30)만 체내에 안전하게 잔존 될 수 있게 된다. 이때 홀드부재(40)는 봉합사부재(30)로 스펀지형 다공성 봉합사가 선택될 경우 사용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도 1 내지 도 3c에 도시되는 다수의 돌기(31)가 돌출 형성된 봉합사부재(30)에도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봉합사 삽입용 바늘키트
10 : 바늘부재
11 : 바늘구멍
20 : 어댑터부재
30 : 봉합사부재
31 : 돌기
40 : 홀드부재
100 : 손잡이

Claims (5)

  1. 선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내부는 중공되되 중공된 내부와 연통되는 바늘구멍이 선단의 일측방에 형성되는 바늘부재;
    상기 바늘부재의 후단에 구비되는 어댑터부재; 및
    상기 바늘구멍을 통해 일부는 상기 바늘부재 내부에 삽입되고 일부는 상기 바늘부재 외부에 노출되는 봉합사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봉합사부재는, 상기 바늘부재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다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된 봉합사와, 약물의 흡수가 가능한 스펀지형 다공성 봉합사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삽입용 바늘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부재의 1/2은 상기 바늘부재 내부로 삽입되고 나머지 1/2은 상기 바늘부재 외부에 노출 위치되되 그 양끝 단부는 상기 바늘부재의 후단으로부터 10mm 내지 20mm 이격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삽입용 바늘키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부재의 일부는 상기 바늘부재 내부로 삽입되되 그 끝단이 상기 바늘부재의 후단으로부터 10mm 내지 20mm 이격 위치되고 상기 봉합사부재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바늘부재의 외부에 5mm 내지 10mm 길이로 노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삽입용 바늘키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부재의 일부가 삽입된 상기 바늘부재의 외주연에는 상기 바늘부재 상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외부에 노출된 상기 봉합사부재가 끼워져 위치 고정되는 홀드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삽입용 바늘키트.
  5. 삭제
KR20130057585A 2013-05-22 2013-05-22 봉합사 삽입용 바늘키트 KR101481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7585A KR101481044B1 (ko) 2013-05-22 2013-05-22 봉합사 삽입용 바늘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7585A KR101481044B1 (ko) 2013-05-22 2013-05-22 봉합사 삽입용 바늘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116A KR20140137116A (ko) 2014-12-02
KR101481044B1 true KR101481044B1 (ko) 2015-01-14

Family

ID=52457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7585A KR101481044B1 (ko) 2013-05-22 2013-05-22 봉합사 삽입용 바늘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0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886B1 (ko) 2019-02-28 2020-08-03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뜨개질 키트
KR102142697B1 (ko) 2020-05-29 2020-08-07 김광섭 봉합사 인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551B1 (ko) * 2014-12-19 2016-09-23 김동진 시술용 바늘
CN106806001A (zh) * 2015-11-27 2017-06-09 黄文贤 埋线工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108B1 (ko) 2002-06-07 2005-03-08 박영엽 근육강화용 실 삽입기
KR20100090394A (ko) * 2009-02-06 2010-08-16 배태성 근육강화 생분해 섬유사 삽입장치
KR20130020123A (ko) * 2011-08-19 2013-02-27 윤인모 피부조직거상술용 수술도구
KR20130036465A (ko) * 2011-10-04 2013-04-12 임백빈 봉합사 삽입용 주사침 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108B1 (ko) 2002-06-07 2005-03-08 박영엽 근육강화용 실 삽입기
KR20100090394A (ko) * 2009-02-06 2010-08-16 배태성 근육강화 생분해 섬유사 삽입장치
KR20130020123A (ko) * 2011-08-19 2013-02-27 윤인모 피부조직거상술용 수술도구
KR20130036465A (ko) * 2011-10-04 2013-04-12 임백빈 봉합사 삽입용 주사침 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886B1 (ko) 2019-02-28 2020-08-03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뜨개질 키트
KR102142697B1 (ko) 2020-05-29 2020-08-07 김광섭 봉합사 인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116A (ko) 201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7308B1 (ko) 봉합사 삽입용 주사침 키트
KR100803388B1 (ko) 생체분해 원사 삽입 키트
KR101811208B1 (ko) 실 삽입기
KR101105647B1 (ko) 근육강화 생분해 섬유사 삽입장치
JP4575367B2 (ja) インプラント装置とその利用法
RU223434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ведения имплантатов (варианты)
KR101748755B1 (ko) 의료용 실 삽입장치
KR101432499B1 (ko) 봉합사 삽입키트
KR101631107B1 (ko) 생체용 실을 삽입하기 위한 도구
KR101371948B1 (ko) 매선용 침술기
KR101481044B1 (ko) 봉합사 삽입용 바늘키트
JP5168695B2 (ja) インプラントを挿入するためのアプリケータを組み立てるためのキット及びその方法
JP7477876B2 (ja) 医療用糸挿入器具
RU2011106943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ложения скрепляющих элементов с одноразовым картриджем, используемое в рестриктивной гастропластике
TWI601548B (zh) 以外科手術線預充之用於整形外科的注射針
JP2014509232A (ja) 内視鏡用使い捨て遠隔注射針
HU216387B (hu) Készülék és eljárás hatóanyagot tartalmazó implantátum beültetésére
CA2492702A1 (en) Apparatus for sealing punctures in blood vessels
KR101384126B1 (ko) 봉합사 삽입키트
KR101485454B1 (ko) 자입요법용 바늘키트
KR101643904B1 (ko) 피부 주름 제거용 봉합사 삽입장치
US20160051248A1 (en) Surgical needle having a detachable tip body and a thread running inside
KR101393496B1 (ko) 봉합사 삽입키트
KR20180126402A (ko) 실 삽입기
KR102301627B1 (ko) 필러 주입형 성형 보형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