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107B1 - 생체용 실을 삽입하기 위한 도구 - Google Patents

생체용 실을 삽입하기 위한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107B1
KR101631107B1 KR1020140075732A KR20140075732A KR101631107B1 KR 101631107 B1 KR101631107 B1 KR 101631107B1 KR 1020140075732 A KR1020140075732 A KR 1020140075732A KR 20140075732 A KR20140075732 A KR 20140075732A KR 101631107 B1 KR101631107 B1 KR 101631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head
insert tool
jaw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5578A (ko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김도아
김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아, 김동진 filed Critical 김도아
Priority to KR1020140075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107B1/ko
Publication of KR20150145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삽입 도구는, 생체용 실을 삽입하기 위한 도구로서, 상기 생체용 실이 감기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사전 설정된 위치에 자리하여 상기 삽입 도구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걸림턱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걸림턱에 의해 시술자가 생체용 실의 삽입 시에 바늘의 삽입 깊이를 인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시술자는 시술 부위에 따라 요구되는 깊이로 정확하고 일정하게 생체용 실을 삽입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체용 실을 삽입하기 위한 도구{TOOL FOR INSERTING FIBER FOR LIVING BODY}
본 발명은 생체용 실을 삽입하기 위한 도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의료용 봉합사를 이용하여 상처 부위를 봉합하기 위한 시술에 필요한 도구(일본 특개 제1996-0033407호) 및 체액순환의 활성화를 통해 면역기능을 제고시키기 위해 의료용 약실을 인체 내에 삽입하기 위한 도구(한국 특허출원공개 제10-2003-0094665호)가 의료용 기구로서 이용되고 있었고, 뿐만 아니라 생체 삽입용 실을 이용하여 얼굴에서 코를 높이는 등 인체 조직을 연장한 채로 그 길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성형 시술에 필요한 도구(한국 특허출원공개 제10-2007-0093256호)가 제시되었다.
도 1의 (a), (b) 및 (c)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의료용 봉합사의 삽입을 위한 도구(5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의료용 봉합사의 삽입을 위한 도구(500)는 주사 바늘(100), 주사 바늘(100)의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300), 관통공(300)에 걸려있는 의료용 봉합사(200), 주사 바늘(100)의 하단부에 체결된 손잡이(400)를 포함한다. 의료용 봉합사(200)는 그 일단이 주사 바늘(100)의 내부에 위치하고, 그 타단이 주사 바늘(100)의 외부에 위치한 채로 주사 바늘(100)과 함께 피부 내로 삽입된다.
그러나, 종래의 의료용 봉합사의 삽입을 위한 도구는, 주사 바늘의 선단부가 경사지게 절단되어 날카롭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사 바늘을 피부에 삽입 시, 실핏줄 또는 근육을 찢어 멍이 들고 고통을 유발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의료용 봉합사의 삽입을 위한 도구는 시술 부위에 따라 주사 바늘의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으며, 이에 따라 숙련되지 않은 시술자는 시술 부위에 따라 요구되는 깊이로 정확하게 주사 바늘을 삽입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시술 부위에 따라 주사 바늘의 삽입 깊이를 정확히 조절할 수 있는 생체용 실을 삽입하기 위한 도구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생체용 실을 피부 내로 삽입 시에, 시술 부위의 손상 및 환자의 고통을 최소로 억제할 수 있는 생체용 실을 삽입하기 위한 도구를 제공한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생체용 실을 피부 내로 삽입 시에, 시술 부위에 따라 요구되는 깊이로 정확하게 생체용 실을 삽입할 수 있는 생체용 실을 삽입하기 위한 도구를 제공한다는 데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삽입 도구는 생체용 실을 삽입하기 위한 도구로서 상기 생체용 실이 감기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사전 설정된 위치에 자리하여 상기 삽입 도구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걸림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은 상기 몸체와 동축이며, 상기 몸체의 외주면 상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걸림턱은 링 형상으로 상기 몸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은 상기 몸체의 외주를 따라 사전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돌출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걸림턱은 링 형상으로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걸림턱은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할 수도 있다.
상기 걸림턱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삽입 도구는 상기 몸체의 일단에 연결된 중공의 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에는 제1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의 최대 직경은 상기 몸체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헤드의 하단부는 라운드형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에는 상기 제1 개구와 대향하는 제2 개구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 도구는 상기 몸체에 생체용 실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리 형상의 고정 부재 및 상기 몸체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용 실을 삽입하기 위한 도구는, 바늘의 몸체에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턱에 의해 시술자가 생체용 실의 삽입 시에 바늘의 삽입 깊이를 인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시술자는 시술 부위에 따라 요구되는 깊이로 정확하고 일정하게 생체용 실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체용 실을 삽입하기 위한 도구는, 바늘의 헤드가 원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생체용 실을 피부 내로 삽입할 때, 실핏줄 또는 근육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의 (a), (b) 및 (c)는 종래 기술에 따른 삽입 도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용 실을 삽입하기 위한 도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종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의 (a), (b), (c) 및 (d)는 생체용 실이 바늘 부재의 헤드에 끼워져 걸려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바늘 부재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의 (a) 및 (b)는 생체용 실이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a), (b) 및 (c)는 걸림턱 부분의 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체용 실을 삽입하기 위한 도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용 실을 삽입하기 위한 도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의 (a), (b), (c) 및 (d)는 생체용 실이 바늘 부재의 헤드에 끼워져 걸려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바늘 부재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의 (a) 및 (b)는 생체용 실이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의 (a), (b) 및 (c)는 걸림턱 부분의 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삽입 도구(1)는 몸체(11), 몸체(11)의 일단에 일체로 연결된 중공의 헤드(12) 및 헤드(12)에 형성된 제1 개구(13)를 구비하는 바늘 부재(10)와, 몸체(11)에 형성된 걸림턱(50)을 포함한다.
바늘 부재(10)의 몸체(11)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금속 재질로 구성된다.
바늘 부재(10)의 헤드(12)는 중공의 원추 형상을 가지고 몸체(11)와 일체로 형성되며, 금속 재질로 구성된다.
원추 형상을 가지는 헤드(12)의 최대 직경(D)을 몸체(11)의 직경(d)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바늘 부재(10)를 시술 부위에 삽입할 시, 즉 생체용 실(20)을 시술 부위에 삽입할 시에 몸체(11)에 나선형으로 감겨 있는 상기 생체용 실(20)이 나선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시술 부위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원추 형상을 가지는 헤드(12)는 시술 부위에 생체용 실(20)을 삽입한 후 바늘 부재(10)를 시술 부위에 빼낼 때, 상기 바늘 부재(10)가 용이하게 빠질 수 있도록, 하단부가 라운드형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늘 부재(10)의 헤드(12)에는 일측에 제1 개구(13)가 형성되고, 제1 개구(13)와 대향하는 타측에 제2 개구(14)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개구(13)와 제2 개구(14)는 서로 연결되어 헤드(12) 내부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은 몸체(11) 및 헤드(12)의 중공과 연결된다. 제1 개구(13) 및 제2 개구(14)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체용 실(20)의 일단부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2)의 제1 개구(13)를 통과하여 몸체(11)의 중공 내부에 끼워져 걸려 있거나,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2)의 제1 개구(13) 및 제2 개구(14)를 차례로 관통하여 헤드(12)에 끼워져 걸려 있을 수 있다. 또한, 제1 생체용 실(21) 및 제2 생체용실(22)의 각각의 일단부들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제1 개구(13)와 제2 개구(14)를 통과하여 몸체(11)의 중공 내부에 끼워져 걸려 있을 수도 있다.
한편, 도 4(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체용 실(20)은 바늘 부재(10)의 몸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겨지고, 상기 생체용 실(20)의 타단부는 스펀지 재질로 구성된 고리 형상의 고정 부재(30)에 의해 몸체(11)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생체용 실(21) 및 제2 생체용 실(22)은 각각 바늘 부재(10)의 몸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내려지고, 상기 제1 생체용 실(21) 및 제2 생체용 실(22)의 각각의 타단부들은 각각 고정 부재(30)에 의해 몸체(11)에 고정될 수도 있다.
걸림턱(50)은 몸체(11)의 사전 설정된 위치에 자리하여 삽입 도구(1)의 삽입 깊이를 제한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걸림턱(50)은, 도 4(a)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와 동축이며, 상기 몸체(11)의 외주면 상에서 링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걸림턱(50')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의 일측에 제1 돌출부가 돌출되고, 상기 제1 돌출부와 대향하는 타측에 제2 돌출부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걸림턱(50'')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의 일측에 제1 돌출부가 돌출되고, 상기 제1 돌출부와 대향하는 타측에 제2 돌출부가 돌출되고, 상기 제1 돌출부의 90도 방향에 제3 돌출부가 돌출되고, 상기 제3 돌출부와 대향하는 타측에 제4 돌출부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시술자는 걸림턱(50)을 통해, 바늘 부재(10)가 시술 부위에 요구되는 삽입 깊이(L)로 삽입되었는지 인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시술자는 시술 부위에 따라 요구되는 깊이(L)로 정확하고 일정하게 생체용 실을 시술 부위에 삽입할 수 있다.
한편, 걸림턱(60)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 재질의 탄성을 갖는 고리 형상으로서, 몸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60)의 고리 내경을 몸체(11)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탄성을 가지는 걸림턱(60)은 그 탄성에 의해 몸체(11)를 둘러싼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시술자는 시술 부위에 따라 요구되는 깊이(L')에 따라 걸림턱(60)의 위치를 조절하여, 정확한 깊이(L')로 일정하게 생체용 실을 시술 부위에 삽입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알겠지만, 걸림턱(50)의 형상은 예시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5(b) 및 (c)에는 각각 2개의 돌출부 및 4개의 돌출부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일 뿐 3개, 또는 5개 이상의 돌출부도 가능하다.
또한, 도 5(a) 내지 도 5(c)에 있어서, 링 형상의 걸림턱(50) 및 돌출부들(50', 50'')은 몸체와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그들은 헤드(12)로 부터 사전 설정된 거리를 유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고무 재질의 링을 몸체(11)에 끼워서, 몸체(11)의 특정 위치에 배치하여 걸림턱(60)으로서 작용하게 할 수도 있지만, 몸체(11)의 특정 위치에 경질의 걸림턱을 배치하고, 이를 고정 수단으로 고정함에 의해 몸체(11)에 착탈 가능하고 몸체(11)에 의해 지지 가능한 걸림턱을 형성할 수도 있다.
몸체(11)의 후단부에는 시술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삽입 도구(1)를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삽입 도구(1)를 이용한 시술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시술자는 삽입 도구(1)의 손잡이(40)를 파지하여 바늘 부재(10)를 시술 부위(미도시)에 삽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늘 부재(10)의 헤드(12)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바늘 부재(10)의 삽입 시, 상기 헤드(12)가 반경 방향, 즉 헤드(12) 선단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실핏줄 또는 근육을 밀어내면서 시술 부위에 삽입되기 때문에, 종래의 선단부가 날카로운 주사 바늘이 실핏줄 또는 근육을 절단하면서 피부 내로 삽입되는 경우와는 달리, 삽입시 시술 부위에 가해지는 손상 및 환자의 고통을 최소로 억제할 수 있다.
바늘 부재(10)가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생체용 실(20)을 몸체(11)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30)는 몸체(11)의 후방으로 점차 밀려난다. 고정 부재(30)가 후방으로 밀려나면서 생체용 실(20)의 고정이 해제되고, 상기 고정 부재(30)가 걸림턱(50)에 걸림에 따라 시술자는 바늘 부재(10)가 삽입된 깊이를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는 정확한 깊이로 일정하게 생체용 실(20)을 시술 부위에 삽입할 수 있다.
생체용 실(20)은, 그 일단부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2)의 제1 개구(13)를 통과하여 몸체(11) 내부의 중공 공간에 끼워져 걸려 있거나,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2)의 제1 개구(13) 및 제2 개구(14)를 관통하여 걸려있는 상태로, 바늘 부재(10)와 함께 시술 부위에 삽입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12)의 최대 직경(D)은 몸체(11)의 직경(d) 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몸체(11)에 나선형으로 감겨 있는 생체용 실(20)은 나선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시술 부위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생체용 실(21) 및 제2 생체용 실(22)은, 상기 제1 생체용 실(21) 및 제2 생체용 실(22)의 각각의 일단부들이,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헤드(12)의 제1 개구(13)와 제2 개구(14)를 통과하여 헤드(12) 내부의 중공 공간에 끼워져 걸려있는 상태로 바늘 부재(10)와 함께 시술 부위에 삽입될 수도 있다. 즉, 제1 생체용 실(21) 및 제2 생체용 실(22)이 동시에 시술 부위에 삽입될 수 있다.
이후, 바늘 부재(10)를 시술 부위에서 빼내면 나선 형상의 생체용 실(20)이 그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바늘 부재(10)와 분리되어 시술 부위에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바늘 부재(10)를 시술 부위에서 빼낼 때, 헤드(12)와 생체용 실(20)간의 용이한 분리를 위해, 제1 개구(13) 및 제2 개구(14)는 각진 형태가 아닌 라운드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개구(13) 및 제2 개구(14)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바늘 부재(10)를 시술 부위에서 빼낼 때, 바늘 부재(10)가 시술 부위에서 용이하게 빠질 수 있도록, 원추 형상을 가진 헤드(12)의 하단부는 라운드형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술 부위에 그대로 남아 있는 생체용 실(20)을 이물질로 인식한 인체가 그 부위에 자생 물질을 내어 보호하려고 하는데, 이러한 자생물질은 인체를 보호하기 위해 생성된 것이지만 결과적으로 이물질이 침입한 부위를 강화하여 인체의 경직된 부위를 이완시키고 약화된 근육을 강화시키거나 늘어난 인대를 수축시키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특히, 나선 형상의 생체용 실(20)은 탄성적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시술 부위를 리프팅시키면서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도 가진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수정과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수정과 변형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1: 삽입 도구 10: 바늘 부재
11: 몸체 12: 헤드
13: 제1 개구 14: 제2 개구
20: 생체용 실 21: 제1 생체용 실
22: 제2 생체용 실 30: 고정 부재
40: 손잡이 50: 걸림턱

Claims (12)

  1. 생체용 실을 삽입하기 위한 도구로서,
    상기 생체용 실이 감기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사전 설정된 위치에 자리하여 상기 삽입 도구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의 일단에 연결된 중공의 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에는 제1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의 최대 직경은 상기 몸체의 직경보다 큰
    삽입 도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몸체와 동축이며, 상기 몸체의 외주면 상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삽입 도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링 형상으로 상기 몸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삽입 도구.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몸체의 외주를 따라 사전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돌출부로 구성되는
    삽입 도구.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링 형상으로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삽입 도구.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삽입 도구.
  7. 제5 항 또는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삽입 도구.
  8.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 도구.
  9. 삭제
  10.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하단부는 라운드형 곡면으로 형성되는
    삽입 도구.
  11.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에는 상기 제1 개구와 대향하는 제2 개구가 추가로 형성되는
    삽입 도구.
  12.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생체용 실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리 형상의 고정 부재 및 상기 몸체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삽입 도구.
KR1020140075732A 2014-06-20 2014-06-20 생체용 실을 삽입하기 위한 도구 KR101631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732A KR101631107B1 (ko) 2014-06-20 2014-06-20 생체용 실을 삽입하기 위한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732A KR101631107B1 (ko) 2014-06-20 2014-06-20 생체용 실을 삽입하기 위한 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578A KR20150145578A (ko) 2015-12-30
KR101631107B1 true KR101631107B1 (ko) 2016-06-16

Family

ID=55087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732A KR101631107B1 (ko) 2014-06-20 2014-06-20 생체용 실을 삽입하기 위한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1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613U (ko) * 2020-05-18 2021-11-26 주식회사 온슘바이오 농업회사법인 의료용 금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1492A1 (ko) * 2016-01-28 2017-08-03 김기원 실 삽입기
KR101751504B1 (ko) * 2016-03-15 2017-06-27 최철 피부 리프팅용 생분해 실 및 그 삽입키트
AU2017289017B2 (en) * 2016-06-30 2020-06-25 Dongbang Medical Co., Ltd. Lifting member
KR102092179B1 (ko) * 2017-04-11 2020-03-23 유원석 고착형 미늘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2116569B1 (ko) * 2018-04-25 2020-05-29 21세기메디칼 주식회사 코일스프링 pdo 및 침관의 결합구조
KR102131154B1 (ko) * 2018-06-01 2020-07-08 주식회사 닥터바이오메드 리프팅 실 및 실 삽입용 의료기기
KR101944977B1 (ko) * 2018-08-13 2019-02-01 김종환 탈모치료용 금실 삽입용 봉합침
KR102139509B1 (ko) * 2018-08-24 2020-07-29 주식회사 네오닥터 실 삽입기
KR102311592B1 (ko) 2019-06-03 2021-10-13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리프팅 부재
KR102353171B1 (ko) * 2021-07-23 2022-01-19 김기원 고정부를 이용한 조밀하게 감긴 리프팅실 삽입기
KR102467067B1 (ko) * 2022-01-25 2022-11-14 김기원 복원력이 최소화된 리프팅실 삽입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5070A (ja) 2004-12-22 2006-07-06 Terumo Corp 医療器具セット
US20110257581A1 (en) * 2010-04-19 2011-10-20 Gold Thread Llc Filament Implant System and Method
JP2011529379A (ja) * 2008-07-28 2011-12-08 スパイン ビュ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直接的可視化を有する貫通部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647B1 (ko) * 2009-02-06 2012-01-1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근육강화 생분해 섬유사 삽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5070A (ja) 2004-12-22 2006-07-06 Terumo Corp 医療器具セット
JP2011529379A (ja) * 2008-07-28 2011-12-08 スパイン ビュ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直接的可視化を有する貫通部材
US20110257581A1 (en) * 2010-04-19 2011-10-20 Gold Thread Llc Filament Implant System and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613U (ko) * 2020-05-18 2021-11-26 주식회사 온슘바이오 농업회사법인 의료용 금사
KR200495562Y1 (ko) 2020-05-18 2022-07-04 주식회사 온슘바이오 농업회사법인 의료용 금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578A (ko)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107B1 (ko) 생체용 실을 삽입하기 위한 도구
KR101434976B1 (ko) 생체용 실을 삽입하기 위한 도구
US9278047B2 (en) Acupuncture needle delivery system
US6638265B1 (en) Laparoscopy cannula adapter and assembly
JP7477876B2 (ja) 医療用糸挿入器具
KR101800353B1 (ko) 침관 및 조립체
WO2016103366A1 (ja) 切開用手術器械
GB2537878A (en) Method for application of a suture and suturing guides
KR101682955B1 (ko) 성형 수술용 바늘
KR101481044B1 (ko) 봉합사 삽입용 바늘키트
KR101602202B1 (ko) 생체 삽입 또는 봉합용 자입 도구
KR101671865B1 (ko) 리프팅 천자침
US20140330307A1 (en) Surgical Passer and Retrieval Device
KR20190059673A (ko) 피부 리프팅용 수술 도구
JP6257932B2 (ja) 針組立体の安全シールド
KR20160134268A (ko) 캐뉼라의 수술실 고정장치
EP3487413B1 (en) Surgical tool
WO2017029853A1 (ja) 縫合体および縫合システム
CN111973449B (zh) 一种埋线针穿线装置
KR101944977B1 (ko) 탈모치료용 금실 삽입용 봉합침
JP5789689B1 (ja)
CN210844267U (zh) 一种埋线针穿线装置
KR102092184B1 (ko) 잠금척이 구비된 봉합사 삽입키트
EP3375480B1 (en) Suture clip
JP2013027489A (ja) 施術具及びそれを用いた施術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