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509B1 - 실 삽입기 - Google Patents

실 삽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509B1
KR102139509B1 KR1020180099230A KR20180099230A KR102139509B1 KR 102139509 B1 KR102139509 B1 KR 102139509B1 KR 1020180099230 A KR1020180099230 A KR 1020180099230A KR 20180099230 A KR20180099230 A KR 20180099230A KR 102139509 B1 KR102139509 B1 KR 102139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needle
thread
human body
slider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9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2962A (ko
Inventor
김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닥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닥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닥터
Priority to KR1020180099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509B1/ko
Priority to CN201811422959.9A priority patent/CN110856661B/zh
Publication of KR20200022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 A61B2017/0053Loading magazines or sutures into apply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used for transplant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피부에 실을 삽입하는 실 삽입기가 개시된다.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 삽입기는, 인체에 삽입 시술하기 위한 삽입바늘과, 상기 삽입바늘의 선단에서 후방으로 가면서 상기 삽입바늘 둘레에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권선부와 상기 권선부 후방에 상기 권선부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매듭부가 구비된 실과, 상기 삽입바늘의 선단에서의 상기 실을 고정시키는 풀림방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실이 나선형으로 감겨진 상태로 인체 내부로 유도되어 잔류되며, 상기 권선부 선단이 삽입바늘 외부에 노출되어서 인체 내부에 잔류될 때 상기 삽입바늘과 상기 실이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실 삽입기{Thread Insertion Device}
이 발명은 매선 시술용 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료용 실을 인체의 피부층에 삽입하는 실 삽입기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 의료용 실을 삽입하여 피부의 처짐 또는 주름을 개선하는 매선 요법(Thread-Embedding Theraphy)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삽입되는 의료용 실은 보통 피부층에 매선되며, 의료용 실 주변의 피부 조직을 자극하고 당겨주어, 근육을 강화하거나 피부의 처짐이나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시간이 지나면 삽입된 의료용 실은 시술된 피부층에 흡수된다.
최근 들어, 얼굴 등의 피하 조직에 실을 삽입하여 피부 또는 근육을 팽팽하게 당겨서 주름을 개선하거나 피부조직을 탄력 있는 상태로 유지하는 매선요법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매선요법에 사용하는 실 삽입기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후단부에는 손잡이가 구비된 파이프형상의 삽입바늘과, 일단은 상기 삽입바늘 내부에 삽입되며 타단은 외부로 노출되어 후방으로 연장된 실과, 이 실의 단부를 잡아주기 위해 삽입바늘 외부에 결합되는 스폰지 재질의 고정부재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바늘은 시술시 발생되는 통증을 줄이고 시술 후 남을 수 있는 상처 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름이 매우 작은 것을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실삽입기 및 시술방법은 등록특허 10-0473108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자세히 나타나 있어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이와 같이 인체에 실을 삽입하여 주름을 개선하거나 피부조직을 탄력 있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삽입되는 실의 지름이 클수록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삽입바늘의 직경이 커지게 되면 통증이 심해지고 부작용을 유발하는 등의 이유로 삽입바늘의 지름은 제한되고, 이러한 삽입바늘에 끼워지는 실 역시 그 직경이 작은 것만 사용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이 지름이 작은 실을 이용하여 피하 조직에 충분한 매입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여러 번의 시술을 통해 여러 개의 실을 삽입하여야 함으로, 시술시간이 길어지고, 피시술자가 느끼는 고통도 커질 수밖에 없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 1에서와 같이, 실(40)을 삽입바늘(10) 둘레에 나선형으로 조밀하게 감아서 피하로 삽입할 경우 실(40)의 스프링 작용과 좀 더 많은 실(40)의 채움 효과를 통해 탄력증대 및 주름개선 증대를 가져올 수 있는 실 삽입기가 본 출원인의 특허등록 10-1811208호에 자세히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본 출원인의 기존 실삽입기는 실(40)의 일단부는 삽입바늘(10) 내부에 끼워지고 타단은 삽입바늘(10) 둘레를 따라 이웃한 실이 서로 밀착되도록 나선형으로 감겨져서 권선부를 형성하며, 권선부 후방에는 실(40)을 삽입바늘(10)에 결속하기 위한 매듭부가 상기 권선부에 밀착되도록 형성되어서, 실삽입기를 인체에 삽입하면 상기 권선부가 매듭부를 통해 지지되어 나선형으로 감겨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인체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삽입바늘(10)을 빼낼 때에도 매듭부를 지탱하면서 삽입바늘(10)을 빼내면 실(40)은 나선형으로 감겨진 상태 그대로 인체 내부에 남아있고 삽입바늘(10)만 빠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11208호
종래기술에 따른 실 삽입기의 경우, 실의 일단부가 삽입바늘 내부에 끼워져 고정되고, 삽입바늘 외부로 노출된 실의 타단부는 삽입바늘 선단부로부터 삽입바늘 둘레에 나선형으로 조밀하게 감겨져서 상기 권선부를 구성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권선부는 인체의 함몰부위를 채울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삽입바늘 둘레에 촘촘하게 감겨져야 하는데, 이러한 권선부의 길이가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삽입바늘과 실 사이에는 상당한 밀착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권선부가 조금만 길어져도 인체에 매립 후 삽입바늘을 권선부로부터 빼내기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어서, 삽입바늘을 붙잡고 안간힘을 쓰는 등 시술에 많은 불편을 초래하였다.
더욱이 이렇게 삽입바늘을 빼내는 작업은 인체에 삽입바늘이 삽입된 상태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안간힘을 쓰다가 조금만 실수하여도 시술부위에 심각한 상처를 남길 수 있는 등 시술의 위협요인으로 작용되기도 한다.
또한, 상기 실 삽입기는 인체 매립 후 상기 삽입바늘을 권선부로부터 빼내고자 할 때 상기 권선부 후방의 매듭부를 한손으로 지탱하고 다른 한손으로는 삽입바늘을 잡고서 빼내게 된다. 그런데, 상기 매듭부는 상당히 작은 부위여서 이 작은 부위를 잡고서 충분한 힘으로 지탱하고 삽입바늘을 빼내기가 어렵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실의 선단이 삽입바늘에 결합되어 고정되지 않고 삽입바늘 외부로 노출된 자유단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권선부가 삽입바늘 선단부터 삽입바늘 둘레에 완전히 촘촘하게 밀착되어 감겨지지 않고 약간은 유동 가능한 상태로 감겨지도록 한 것으로, 실을 인체에 매립 후 삽입바늘을 분리할 때 권선부로부터 상기 삽입바늘이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기존과 같은 시술 작업의 어려움과 위험요소를 제거한 실 삽입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실 삽입기는, 인체에 삽입 시술하기 위한 삽입바늘(110)과, 상기 삽입바늘(110) 선단(FD)의 외부에 위치하며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선단부(121), 상기 삽입바늘(110)의 선단(FD)에서 후단(RD)으로 가면서 삽입바늘(110) 둘레에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권선부(123) 및 상기 권선부(123) 후단(RD)에서 권선부(123)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매듭부(124)로 구성된 실(120)과, 상기 삽입바늘(110)의 외주연에서 실(120)의 권선부(123)가 나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풀림방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풀림방지수단은 삽입바늘(110)의 외주연에 감겨진 실(120)을 가열장치(H)에 의해 가열하는 열처리를 함으로써, 삽입바늘(110)을 인체에 매립하는 경우, 실(120)이 나선형으로 감겨진 형태를 유지한 채 삽입바늘(110)과 원활하게 분리되어 인체 내부에 잔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바늘의 선단은 라운드 처리되어 곡면일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가열장치의 열처리 온도는 상기 실의 녹는점의 60~99%에 대응하는 온도일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삽입바늘에는 상기 삽입바늘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삽입바늘(110)의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슬라이더(1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의 후방방향에 상기 슬라이더가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지지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매듭부와 접촉하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의 일부는 인체 내부로 삽입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삽입바늘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매듭부와 맞대어지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삽입바늘의 반경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삽입바늘의 후방방향을 향해 기울어지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은 상기 실의 선단부가 삽입바늘에 결합되어 고정되지 않고 삽입바늘 외부로 노출된 자유단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권선부가 삽입바늘 선단부터 삽입바늘 둘레에 완전히 촘촘하게 밀착되어 감겨지지 않고 약간은 유동 가능한 상태로 감겨지게 된다.
따라서, 이 발명에 따른 실 삽입기는 실을 인체에 매립 후 삽입바늘을 분리할 때 권선부로부터 상기 삽입바늘이 쉽게 분리되므로, 기존과 같은 시술 작업의 어려움과 위협요소가 해소된다.
또한, 이 발명은 나선형으로 감겨진 권선부가 가열장치에 의해 열처리 됨에 따라 실의 탄성이 증가하여 매립 공간을 지탱하는 시술 효과가 증가된다.
또한, 상기 권선부 후방에는 슬라이더가 구비되어 인체에 실을 매립한 후 상기 슬라이더를 통해 실을 지지하고, 삽입바늘을 쉽게 빼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와 손잡이 사이에 지지대가 구비되면 상기 슬라이더와 실이 상기 지지대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지 않으므로, 실을 피부에 삽입하는 매선 작업이 용이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실 삽입기를 도시한다.
도 2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 삽입기 및 가열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 삽입기의 제조방법 흐름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 삽입기를 도시한다.
도 5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 삽입기의 제조과정을 도시한다.
도 6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 삽입기의 권선부를 도시한다.
도 7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 삽입기의 매듭부를 도시한다.
도 8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 삽입기를 사용한 매선 시술의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매선 시술의 예에 따라 인체 내부에 삽입된 실을 도시한다.
도 10은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 삽입기를 도시한다.
도 11은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 삽입기의 슬라이더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12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 삽입기의 슬라이더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 삽입기를 사용한 매선 시술의 예를 도시한다.
이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이 발명의 실시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여 연결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연결’이란 접착, 부착, 체결, 접합 및 결합 등 모든 물리적인 연결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포함’, ‘구비’,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2’등와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이 발명에 일 실시에에 따른 실 삽입기(100)를 설명한다. 도 2에서, 화살표(FD)는 삽입바늘(110)의 선단 측을 향하는 방향을 가리키고, 화살표(RD)는 삽입바늘(110)의 후단 측을 향하는 방향을 가리킨다.
실 삽입기(100)는 삽입바늘(110) 및 실(120)을 포함하며 고정링(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삽입바늘(110)은 가늘고 긴 관의 형상이며, 피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바늘(110)의 선단은 보통 첨예하게 형성된다. 한편, 필러 주입바늘과 같은 특수 목적의 삽입바늘(110)은 끝이 둥굴고 선단 측면에 필러 주입공이 형성된 경우도 있다.
즉, 삽입바늘(110)의 선단은 도 1에서와 같이 첨예한 형상일 수 있고, 도 5에서와 같이 라운드 처리되어 곡면의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 5에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실 삽입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삽입바늘(110)의 후단에는 시술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12)가 구비된다. 손잡이(112)의 후방(RD)에는 보조 손잡이(113)가 구비되어 손잡이(112)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보조 손잡이(113)는 주사기 등의 형상일 수 있다.
삽입바늘(110)은 일반적으로 금속 재료로 형성되며, 손잡이(112) 및 보조 손잡이(113)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나, 삽입바늘(110), 손잡이(112) 및 보조 손잡이(113)의 재료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재료가 복합적으로 사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실(120)은 피부층에 인입되어 근육을 강화하거나, 노화된 피부를 재생시키거나, 피부 탄력을 향상시킨다.
실(120)의 재료로는 폴리다이옥사논(Polydioxanone, PDO)이 사용될 수 있다. 폴리다이옥사논은 생분해성 결정질 고분자로 가수분해에 의해 6개월 이내에 분해되어 사라진다. 폴리다이옥사논은 실(120)의 대표적인 재료이지만, 실(120)의 재료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적합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인체 내부에서 생분해 될 수 있는 다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실(120)은 선단부(121)가 삽입바늘(110) 외부에 위치되며 후단(RD)방향으로 가면서 삽입바늘(110) 둘레에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권선부(123)와, 권선부(123) 후단(RD)에 권선부(123)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매듭부(124)로 구성된다.
이때, 실(120)의 선단부(121)가 삽입바늘(110) 외부에 자유단으로 노출되어 있더라도 임의로 풀려지지 않도록 풀림방지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즉, 선단부(121)가 삽입바늘(110)의 내부(111)에 마련되어 있지 아니하여도 풀림방지수단으로 인하여 고정된다.
풀림방지수단은 실(120)을 가열장치(H)에 의해 가열하여 임의로 풀려지지 않도록 열처리한 것일 수도 있고, 실(120)의 선단부(121)를 약품처리 또는 초음파 융착하여 임의로 풀어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실(120)의 선단부(121)를 선단쪽 권선부(123)로 둘러싸지도록 감아서 잡아줄 수도 있다.
이 발명에 따른 열처리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120)의 선단부(121)를 삽입바늘(110) 내부(111)에 끼워서 고정한 상태로 삽입바늘(110) 둘레에 나선형 권선부(123)를 형성하고, 권선부(123)의 후단(RD)방향에 매듭부(124)를 형성하여 실 삽입기를 준비한다.
이어서, 이렇게 준비된 실 삽입기를 도시된 가열장치(H)에 넣고 가열하여 열처리하게 된다. 가열장치(H)는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로 오븐, 열광건조기 및 헤어드라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열처리 온도는 실 녹는점의 60~99%의 온도범위로 실시한다. 녹는점이 100℃ 일 경우, 녹는점의 60~99%의 온도범위는 60~99℃의 범위를 의미하며, 녹는점이 300℃ 일 경우, 녹는점의 60~99%의 온도범위는 180~297℃의 범위를 의미한다.
폴리다이옥사논(PDO)을 예를 들 경우, 약 110℃에서 용융이 일어난다. 따라서, 110℃보다 낮은 온도에서 충분한 시간동안 열을 가하면 열을 가했을 때의 모양으로 유지하면서 탄성이 강해진다.
이렇게 열처리가 끝나면 실(120)은 나선형으로 감겨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려는 성질이 탄성이 강화되어, 권선부(123) 선단의 삽입바늘(110) 내부(111)에 결합된 결합부위를 잘라내어 제거하더라도 나선형 권선부(123)가 풀어지지 않고 감겨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권선부(123)는 선단부(121)가 삽입바늘(110)에 고정되지 않고 자유단으로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어서 인체에 매립한 후 삽입바늘(110)만 빼내고자 할 때 원활하게 잘 빠질 수 있다.
약품처리와 초음파 융착의 경우에도 실(120)의 선단부(121)와 권선부(123)만 서로 풀어지지 않도록 부착하면, 실(120)과 삽입바늘(110)은 서로 결합되지 않은 자유로운 상태이기 때문에 인체에 매립 후 삽입바늘(110)만 쉽게 빼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선단부가 제거되는 과정 및 제거 후의 실 삽입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120)의 선단부(121)를 삽입바늘(110) 내부(111)에 삽입한 후, 실(120)을 삽입바늘 둘레에 나선형으로 감아서 권선부(123)를 생성(동작 S100)한 후에 가열 장치(H)를 통해 가열(동작 S200)한 후, 삽입바늘(110)에 끼워진 부분을 제거(동작 S300)함으로써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삽입바늘(110) 내부(111)에 끼워진 실(120)의 선단부(121)는 의료용 가위 등을 이용하여 제거될 수 있으며, 실(120)과 삽입바늘(110)의 결합부위가 제거됨에 따라 실(120)의 선단부(121)가 자유단이 되고, 삽입바늘(110)과 실(120) 사이에는 완전 밀착상태가 해소되어 유동 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실(120)의 선단부(121)를 삽입바늘(110) 내부(111)에 삽입하지 않은 채로 고정하고, 권선부(123)를 생성(동작 S100)한 후에 가열 장치(H)를 통해 가열(동작 S200)하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동작 S300은 실(120)의 선단부(121)가 초기에 삽입바늘(110)의 내부(111)에 삽입되었는지 여부에 따른 부수적인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가열 장치(H)에 의해 가열된 실(120)은 탄성이 강해지므로, 가열이 끝난 후의 실(120)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술 시에 권선부(123)가 삽입바늘(110)의 후방(RD)방향으로 밀리지 않을 수 있다.
동작 S300 단계에서 실(120)과 삽입바늘(110)의 결합부위가 제거됨에 따라, 삽입바늘(110)과 실(1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삽입바늘(110) 및 실(120) 사이의 마찰이 감소되어 시술 시에 실(120)이 삽입바늘(110)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다.
시술 시에, 실(120)이 삽입바늘(110)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됨에 따라, 시술 작업이 매우 용이해지며, 시술하는 동안 피시술자의 피부에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시술자가 원하는 정확한 위치에 시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도 3의 과정에 따라 선단부(121)가 제거된 실 삽입기를 도시하며, 도 5는 삽입바늘(110)의 선단이 라운드 처리되어 곡면의 형상을 지닌 삽입바늘을 가진 실 삽입기의 제조과정을 도시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단부(121)가 제거된 실 삽입기는 시술 시에 실(120)이 삽입바늘(110)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삽입바늘(110)의 선단은 라운드 처리되어 곡면의 형상을 지니고 있다. 삽입바늘(110)의 선단이 곡면 형상을 지님에 따라, 삽입바늘(110)이 피부에 삽입 되는 과정에서 피부 조직과의 마찰이 최소화되어 미세혈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의 일련의 과정을 도 5a 내지 5c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a에서는 삽입바늘(110)의 선단이 곡면인 실 삽입기의 삽입바늘(110)의 내부(111-1)에 실(120)의 선단부(121)가 삽입되어 있다. 이후 가열장치(H)를 이용하여 적정시간 동안 실 삽입기를 가열하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실(120)에 탄성이 증가한다.
도 5b에서는 가열장치(H)에 가열을 한 실 삽입기를 고정링(130)을 전방(FD)으로 이동하여 실(120)의 선단부(121)가 삽입바늘(110)의 내부(111-1)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한다. 이후 의료용 가위와 같은 절단수단을 이용하여 실(120)의 선단부(121)를 제거할 수 있다.
도 5c에서는 실(120)의 선단부(121)가 제거되고 고정링(120)을 후방(RD)으로 이동하여 실(120)이 다시 삽입바늘(110-1)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권선부(123), 매듭부(124) 및 결속부(125)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권선부(123)는 서로 인접한 권선(123A)과 권선(123B)이 밀착되거나 다소 이격되도록 피치 간격(PS)을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짧거나 길게 형성할 수 있다. 권선부(123)의 길이(L1)는 시술 부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원하는 효과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매듭부(124)는 삽입바늘(110)의 둘레에서 엇갈리도록 감기는 적어도 하나의 결속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매듭부(124) 및 결속부(125)를 통해 실(120)의 후단 부분을 고정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120)의 후단 부분은 고정링(130)에 결착할 수도 있다.
고정링(130)은 실(120)을 삽입바늘(110)에 대해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며, 탄성 있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링(130)의 내측으로 삽입바늘(110)이 끼워지며, 소정의 외력을 가하면 고정링(130)은 삽입바늘(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둘레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위와 같이 고정링(130)이 회전 및 이동이 가능함에 따라, 고정링(130)은 실(120)이 권선부(123)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120)을 고정링(130)과 결착시키고 고정링(130)을 후방(RD)으로 이동시키면서 특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실(120)은 삽입바늘 둘레에 나선형으로 감겨져서 권선부(123)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권선부(123) 생성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방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도 8은 도 4에 도시한 실 삽입기를 사용한 매선 시술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한 매선 시술의 예에 따라 인체 내부에 삽입되는 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실 삽입기(100)를 사용한 실 삽입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피부(S)의 처짐이나 주름(L)을 개선하고자 하는 시술 부위(예를 들어, 도 8에서, 주름(L) 아래의 피하 조직(K))에 실 삽입기(100)의 선단을 대고 찔러 넣는다.
이때, 시술자는 실 삽입기(100)를 회전시키지 않고, 삽입바늘(110)을 인체 내부로 찔러 넣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실 삽입기(100)에서는, 권선부(123) 바로 뒤쪽에 매듭부(124)를 형성하고, 이 매듭부(124)를 삽입바늘(110)을 인체에 찔러 넣을 때 지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권선부(123)가 삽입바늘(110)의 후방(RD)으로 밀려 인체 내부에 삽입되지 못하거나, 권선부(123)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권선부(123)를 포함하는 실(120)을, 삽입바늘(110)의 둘레에 감겨진 권선부(123)의 형상을 유지한 상태로 인체 내부에 삽입할 수 있다.
실(120)의 권선부(123)가 완전히 인체 내부에 삽입되면, 실 삽입기(100)를 삽입바늘(110)의 둘레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인체 내부로 더 찔러 넣어 매듭부(124)도 인체 내부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실(120) 전체가 인체 내부에 삽입되면, 인체 외부에서 피하 조직(K)에 위치된 매듭부(124)을 손으로 누른 상태에서 삽입바늘(110)을 인체로부터 빼내면, 실(120)만 피하 조직(K) 내에 남게 된다(도 9 참조).
도 10은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 삽입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슬라이더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슬러이더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13은 도 10에 도시한 실 삽입기를 사용한 매선 시술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실 삽입기(300)는 실 삽입기(100)와 같이 삽입바늘(110), 실(120)을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삽입바늘(110)에서 이동가능하게 관통하여 끼워지는 슬라이더(140)와 지지대(150)가 더 포함된다. 실 삽입기(300)는 권선부(123)를 형성할 수 있는 고정링(13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슬라이더(140)는 삽입바늘(110)이 내측에 끼워지는 관 형상을 가진다. 슬라이더(140)는 삽입바늘(110)의 외경(D3)보다 크거나 같은 크기의 내경을 가질 수 있다.
슬라이더(140)는 매듭부(124)의 후방(RD)에 위치되어 삽입바늘(110)에 대해 전방(FD) 또는 후방(RD)으로 슬라이딩 직선 이동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슬라이더(140)는 매선 시술 시 적어도 일부가 인체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헤드부(141, 도 13 참조)를 포함한다.
슬라이더(140)는 헤드부(141)에 의해 실(120)의 후단부, 즉 매듭부(124)가 피부(S)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실(120)을 인체 내부에 삽입시킬 수 있다.
지지대(150)는 슬라이더(140)와 손잡이(112) 사이에 위치하여 시술 시에 슬라이더(140)가 후방(RD)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대(150)는 파이프 형상의 일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부가 형성된“C”자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면 삽입바늘 중간에 측면에서 끼워 넣을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다. 지지대(150)를 통해 슬라이더(140)가 후방(RD)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시술자는 손잡이(112)만을 잡고 정밀하게 시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삽입바늘(110)을 인체 내부에 찔러 넣을 때, 슬라이더(140)는 헤드부(141)에 접촉되는 매듭부(124)를 지탱하여, 실(120)이 삽입바늘(110)의 후방(RD)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한다.
슬라이더(140)의 헤드부(141)는 매듭부(124)와 접촉할 수 있도록 삽입바늘(110)의 선단을 향하는 부분에 접촉면(142)을 포함한다. 접촉면(142)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바늘(110)의 둘레면에서 돌출하는 접촉면(142)의 높이(H1)는, 실(120)의 후단부를 용이하게 지탱할 수 있도록, 삽입바늘(110)의 둘레면에 감긴 실(120)의 직경(D2)과 대략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촉면(142)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는 평면(143)으로 형성되고, 나머지 일부는 삽입바늘(110)의 반경외측방향(ROD)으로 갈수록 삽입바늘(110)의 후방(RD)을 향해 기울어지는 경사면(144)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촉면(142)은 그 전체가 경사면(144)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더(140)는 첨예한 형상의 헤드부(141)를 구비함으로써 그 일부분이 인체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 삽입기(300)를 사용한 매선 시술 시, 삽입바늘(110)을 인체에 찔러 넣어 권선부(123)가 인체 내부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슬라이더(140)를 삽입바늘(110)의 전방(FD)으로 이동시켜 헤드부(141)의 선단부에 매듭부(124)가 접촉되도록 하여 실(120)이 슬라이더(140)의 후방(RD)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삽입바늘(110)과 함께 슬라이더(140)를 인체 내부에 찔러 넣어 헤드부(141)의 일부분이 인체 내부에 찔러 넣어지도록 함으로써, 헤드부(141)에 의해 지탱되는 매듭부(124)도 인체 내부로 밀어 삽입시킬 수 있다.
슬라이더(140)의 헤드부(141) 일부분이 인체 내부에 삽입된 상태, 즉 헤드부(141)에 의해 실(120)의 후단부가 인체 내부에서 인체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지탱되는 상태에서, 삽입바늘(110)을 인체로부터 빼내어 삽입바늘(110)로부터 실(120)을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후 헤드부(141)를 인체로부터 빼냄으로써 인체 내부로 실(120)을 유도하여 인체 내부에 실(120)을 잔류시킬 수 있다.
슬라이더(140)가 채용된 실 삽입기(300)에서는, 매선 시술 시 헤드부(141)의 일부분이 인체 내부에 찔러 넣어질 수 있어서, 권선부(123)와 함께 매듭부(124)도 인체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실 삽입기(300)는, 매선 시술 시 삽입바늘(110)을 회전시키지 않으면서도 인체 내부에 권선부(123)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실(120)을 삽입할 수 있어서, 그 사용이 간편하다.
슬라이더(140)는, 삽입바늘(110)을 인체에 찔러 넣을 때 매듭부(124)를 인체 내부로 용이하게 밀어 넣기 위해서, 또한 헤드부(141)를 용이하게 잡고 실(120)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헤드부(141)로부터 삽입바늘(110)의 후방(RD)으로 연장하는 파지부(1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이 발명에 따른 실 삽입기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이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이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실 삽입기 110 : 삽입바늘 111 : 내부
112 : 손잡이 113 : 보조 손잡이 120 : 실
121 : 선단부 122 : 연장부 123 : 권선부 124 : 매듭부 125 : 결속부 130 : 고정링 140 : 슬라이더 141 : 헤드부 142 : 접촉면 143 : 평면 144 : 경사면 145 : 파지부 150 : 지지대
H : 가열수단 L : 주름 S : 피부
K : 피하조직 H : 가열 장치

Claims (9)

  1. 인체에 삽입 시술하기 위한 삽입바늘(110)과,
    상기 삽입바늘(110) 선단(FD)의 외부에 위치하며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선단부(121), 상기 삽입바늘(110)의 선단(FD)에서 후단(RD)으로 가면서 삽입바늘(110) 둘레에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권선부(123) 및 상기 권선부(123) 후단(RD)에서 권선부(123)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매듭부(124)로 구성된 실(120)과,
    상기 삽입바늘(110)의 외주연에서 실(120)의 권선부(123)가 나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풀림방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풀림방지수단은 삽입바늘(110)의 외주연에 감겨진 실(120)을 가열장치(H)에 의해 가열하는 열처리를 함으로써, 삽입바늘(110)을 인체에 매립하는 경우, 실(120)이 나선형으로 감겨진 형태를 유지한 채 삽입바늘(110)과 원활하게 분리되어 인체 내부에 잔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삽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바늘(110)의 선단은 라운드 처리되어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삽입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H)의 열처리 온도는 상기 실(120)의 녹는점의 60~99%에 대응하는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삽입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바늘(110)에는 상기 삽입바늘(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삽입바늘(110)의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슬라이더(1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삽입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40)의 후방(RD)방향에 상기 슬라이더(140)가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지지대(1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삽입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40)는 상기 매듭부(124)와 접촉하는 헤드부(141)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140)의 일부는 인체 내부로 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삽입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41)는 상기 삽입바늘(110)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매듭부(124)와 맞대어지는 접촉면(142)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14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삽입바늘(110)의 반경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삽입바늘(110)의 후방(RD)방향을 향해 기울어지는 경사면(14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삽입기.
KR1020180099230A 2018-08-24 2018-08-24 실 삽입기 KR102139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230A KR102139509B1 (ko) 2018-08-24 2018-08-24 실 삽입기
CN201811422959.9A CN110856661B (zh) 2018-08-24 2018-11-27 线插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230A KR102139509B1 (ko) 2018-08-24 2018-08-24 실 삽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962A KR20200022962A (ko) 2020-03-04
KR102139509B1 true KR102139509B1 (ko) 2020-07-29

Family

ID=69635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9230A KR102139509B1 (ko) 2018-08-24 2018-08-24 실 삽입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39509B1 (ko)
CN (1) CN11085666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7771A (ko) 2020-12-02 2022-06-09 주식회사 네오닥터 실 삽입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01006B (zh) * 2021-03-12 2023-12-22 珠海肤原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胶原蛋白线植入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1137B2 (ja) 2008-01-22 2012-08-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用注射針及び先端部に針体が固定された内チューブ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77184B2 (ja) * 2000-01-19 2010-06-0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縫合装置
KR101155817B1 (ko) * 2011-10-31 2012-06-12 김종우 조직거상용 이식물
KR101396672B1 (ko) * 2012-12-04 2014-05-16 이준집 매선 시술용 로프
KR101434976B1 (ko) * 2014-01-03 2014-08-28 김동진 생체용 실을 삽입하기 위한 도구
KR101631107B1 (ko) * 2014-06-20 2016-06-16 김도아 생체용 실을 삽입하기 위한 도구
CN105030528A (zh) * 2015-09-08 2015-11-11 蔡会萍 新型穴位埋线针具
WO2017131492A1 (ko) * 2016-01-28 2017-08-03 김기원 실 삽입기
KR101842684B1 (ko) * 2016-06-30 2018-03-28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리프팅 부재
CN106388890A (zh) * 2016-10-10 2017-02-15 上海百玫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单丝手术缝线及其制作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1137B2 (ja) 2008-01-22 2012-08-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用注射針及び先端部に針体が固定された内チューブ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7771A (ko) 2020-12-02 2022-06-09 주식회사 네오닥터 실 삽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962A (ko) 2020-03-04
CN110856661A (zh) 2020-03-03
CN110856661B (zh) 202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1208B1 (ko) 실 삽입기
CA2088557C (en) Catheter with a stent
JP3164532B2 (ja) 血管等の縫合装置及び方法
EP1454649A2 (en) Catheter and hollow tube being incorporated therein
TW200950839A (en) Catheter/filament style device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wounds beneath the surface of the skin
EP2645945B1 (en) Device for retrieving a body from a tubular structure
KR102139509B1 (ko) 실 삽입기
US20150209225A1 (en) Acupuncture needle delivery system
KR101434976B1 (ko) 생체용 실을 삽입하기 위한 도구
KR102038477B1 (ko) 실 삽입기
CN108135636A (zh) 导管摘出
JP2024020253A (ja) フィラメント切断装置
US9095330B2 (en) Perforated tube for cell collection
EP3554607B1 (en) Medical probe
CA3111301A1 (en) Stone extraction basket and double lumen end cap for stone extraction basket
KR102300318B1 (ko) 코 시술용 실 삽입기
KR102118164B1 (ko) 실 삽입기
KR101515075B1 (ko) 피부 주름 성형용 캐뉼라의 봉합사 세팅방법
AU2014237712A1 (en) Recanalization device
KR102606376B1 (ko) 실 삽입기
JP5789689B1 (ja)
JP5315534B2 (ja) 施術具
US20150216558A1 (en) Tunnelling device with tube and olive
CN111295148A (zh) 丝线插入器
KR20140112247A (ko) 매선용 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