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2684B1 - 리프팅 부재 - Google Patents

리프팅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2684B1
KR101842684B1 KR1020160082865A KR20160082865A KR101842684B1 KR 101842684 B1 KR101842684 B1 KR 101842684B1 KR 1020160082865 A KR1020160082865 A KR 1020160082865A KR 20160082865 A KR20160082865 A KR 20160082865A KR 101842684 B1 KR101842684 B1 KR 101842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lifting member
present
medical
medical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2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3262A (ko
Inventor
김근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60082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2684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Priority to BR112018077106-6A priority patent/BR112018077106B1/pt
Priority to US16/313,279 priority patent/US11071540B2/en
Priority to EP17820562.1A priority patent/EP3479784A4/en
Priority to PCT/KR2017/006930 priority patent/WO2018004286A1/ko
Priority to MX2018016017A priority patent/MX2018016017A/es
Priority to RU2019100487A priority patent/RU2718610C1/ru
Priority to CA3029304A priority patent/CA3029304C/en
Priority to JP2018569101A priority patent/JP6731081B2/ja
Priority to AU2017289017A priority patent/AU2017289017B2/en
Priority to MYPI2018002969A priority patent/MY197108A/en
Priority to CN201780040739.7A priority patent/CN109475370B/zh
Publication of KR20180003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684B1/ko
Priority to PH12018502736A priority patent/PH12018502736A1/en
Priority to CONC2019/0000520A priority patent/CO2019000520A2/es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rmat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육 내에 의료용 실을 용이하게 삽입하여 자생 물질의 생성을 유도하는 리프팅 부재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부재는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관통홀을 갖는 니들; 및 상기 니들의 외주연에 결합된 의료용 실을 포함하고, 상기 의료용 실은 상기 니들의 단부를 감싸도록 마감되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리프팅 부재{Lifting Device}
본 발명은 근육 내에 의료용 실을 용이하게 삽입하여 자생 물질의 생성을 유도하는 리프팅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근육을 이루는 근육 섬유 내에는 자생물질이 존재한다. 그리고 근육 내에 이물질이 들어가면 이물질 둘레에 자생 물질이 모여들어 침범한 이물질에 대해 근육을 보호한다. 상기 자생 물질은 근육을 보호하기 위해 생성된 것이지만 결과적으로 근육을 강화시킨다.
이러한 자생 물질에는 매우 많은 종류가 있다. 이는 피부의 일부 근육조직에 인위적으로 상처를 주었을 때 상처받은 조직세포에서 방출하며 조직에 일련의 생리적 변화를 가져오는 화학인자로서 상처를 회복시키는 조건을 제공한다. 생물전기학과 압전기학 및 생물범제어론의 원리에 근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상기 화학인자는 열에너지로 변화하여 작은 혈관을 확장하고 림프(lymph)의 순환을 가속화하여 신진 대사 능력을 크게 높이며 해당 부위의 영양공급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체액순환을 통해 병적생성물을 제거하고 동시에 일부조직의 단백질을 분해하고 말초신경 체질(遞質)을 증가하며 혈관신경에 활성물질을 생성시켜 혈청에서의 펩타이드와 5-히드록실아민의 함량을 낮춘다. 이에 따라 상처받은 부위가 신경을 통해 재생 또는 조절해야 하는 정보를 신경중추에 전달하고 체내에 존재하는 특정한 생물화학적 물질의 조합을 빨리 추진하여 체액순환의 활성화를 통해 인체 면역기능을 제고시키며 신체관련 장부의 기능을 조절하고 근육도 강화시키게 된다.
[선행기술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45578호(2015.12.30.)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39350호(2016.04.11.)
본 발명은 근육 내에 의료용 실을 용이하게 삽입하여 자생 물질의 생성을 유도하는 리프팅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부재는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관통홀을 갖는 니들; 및 상기 니들의 외주연에 결합된 의료용 실을 포함하고, 상기 의료용 실은 상기 니들의 단부를 감싸도록 마감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니들은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연마되어 형성된 변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형부는 쌍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니들의 직경 방향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용 실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니들의 관통홀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돌기부는 상기 니들에 결합된 허브의 후단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용 실의 전단에 형성된 콘 형상의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용 실은 상기 니들의 외주연에 위치한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절곡부 및 상기 몸체부와 절곡부의 사이에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열 융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용 실의 전단에 결합되고, 상기 니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의료용 실과 반대로 형성된 후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용 실은 상기 니들의 외주연에 위치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퇴부는 상기 니들의 절곡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리프팅 부재는 니들의 단부에 대해 연마되어 형성된 변형부를 형성하여, 약액의 주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리프팅 부재는 메쉬 형태의 의료용 실을 니들의 외주연에 형성함으로써,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약액의 주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에 사용되는 니들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에 사용되는 니들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에 사용되는 니들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에 사용되는 니들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에 사용되는 니들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에 사용되는 니들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에 사용되는 니들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에 사용되는 니들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에 사용되는 니들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에 사용되는 니들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에 사용되는 니들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100)는 허브(110), 니들(120), 의료용 실(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브(110)는 후단이 주사기 등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허브(110)는 내부에 관통홀이 있어서, 상기 주사기 등으로부터 약액을 전달받아, 이를 상기 니들(120)에 까지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니들(120)은 상기 허브(110)에 결합되어 전단으로 도출된다. 상기 니들(120)은 전달받은 약액을 상기 의료용 실(130)을 통해 인체 내로 주입할 수 있다.
또한,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니들(120)은 단부(121)로부터 내부를 향해 인입되어 형성된 변형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형부(122)는 상기 니들(120)의 단부(121)를 중심으로 상하 또는 좌우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부(122)는 상기 단부(121)로부터 연마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변형부(122)는 상기 단부(121)를 상하 또는 좌우 대칭 방향으로부터 내부를 향해 연마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변형부(122)는 상기 니들(120)의 내부에 형성된 관통홀(123)을 상기 니들(120)의 양측부로 더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통홀(123)을 지난 약액은 상기 변형부(122)를 통해 상기 니들(120)의 측부로 퍼질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인체 내에서 보다 용이하게 퍼질 수 있다.
상기 의료용 실(130)은 상기 니들(120)의 외주연에 결합된다. 즉, 상기 의료용 실(130)은 상기 니들(120)의 단부(121)를 중심으로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의료용 실(130)은 상기 니들(120)을 따라 형성된 몸체부(131)와, 상기 몸체부(131)의 끝에 형성되어, 상기 니들(120)의 단부(121)에 대응되는 단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부(131)는 몸체부(131)를 마감하여, 상기 니들(120)의 단부(121)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의료용 실(130)이 상기 니들(120)과 함께 인체 내에 삽입될 때, 상기 니들(120)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용 실(130)은 인체 내에서 분해되는 재질로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메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료용 실(130)은 인체 내에 삽입되었을 때, 인체와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셔 자생 물질의 생성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니들(120)로부터 주입되는 약액을 상기 메쉬의 틈 사이로 인체에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약액이 효과적으로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용 실(130)은 상기 니들(120)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 공정에서 상기 니들(120)과의 결합이 용이하다. 또한, 이로써 상기 의료용 실(130)은 상기 니들(120)과 함께 인체 내로 삽입되고, 이후 니들(120)이 후퇴하여 제거될 때에도 상기 인체 내에 용이하게 잔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의료용 실(130)을 통한 시술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100)는 니들(120)의 단부(121)에 대해 연마되어 형성된 변형부(122)를 형성하여, 약액의 주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리프팅 부재(100)는 메쉬 형태의 의료용 실(130)을 니들(120)의 외주연에 형성함으로써,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약액의 주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에 사용되는 니들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에 사용되는 니들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에 사용되는 니들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에 사용되는 니들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100)에 사용되는 니들(120A)은 단부(121A)가 뾰족한 형태가 되도록 변형부(12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단부(121A)는 의료용 실(13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위치에 의료용 실(130)이 삽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에 사용되는 니들의 또 다른 형태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에 사용되는 니들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에 사용되는 니들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에 사용되는 니들(120C)은 단부(121B)가 평평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르면, 니들(120C)의 삽입시 인체 내 조직을 손상하는 것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니들(120C)에 별도의 가공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을 더욱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200)는 허브(110), 니들(120), 의료용 실(130), 커버(240)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동작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였으며, 이하에서는 앞의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커버(240)는 상기 니들(120)의 단부(121) 및 상기 의료용 실(130)의 단부(131)가 결합된 영역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240)는 상기 의료용 실(130)고 마찬가지로 인체 내에서 분해되는 재질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240)는 콘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니들(120) 및 의료용 실(130)의 인체 내 삽입시 경로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240)는 이러한 콘 형상으로 인해, 인체 삽입시 인체에 손상을 유발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300)는 허브(110), 니들(120), 의료용 실(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료용 실(330)은 상기 니들(120)의 외주연에 형성된 몸체부(331), 상기 몸체부(331)와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332), 상기 몸체부(331)와 절곡부(332)를 연결하는 연결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곡부(332)는 상기 몸체부(331)와 대칭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333)는 상기 몸체부(331)와 상기 절곡부(332)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33)는 상기 절곡부(332)를 열 압착하는 등의 방식으로 직경을 줄여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연결부(333)는 마감된 구조를 형성하여, 별도의 구성 없이도 상기 의료용 실(330)이 상기 니들(120)의 외주연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400)는 허브(110), 니들(120), 의료용 실(4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료용 실(430)은 몸체부(131), 단부(132), 내부 돌기부(431)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돌기부(431)는 상기 몸체부(131) 또는 단부(132)로부터 연결되고, 상기 니들(120)의 관통홀(123)의 내부에 위치한다. 상기 내부 돌기부(431)는 상기 니들(120) 및 의료용 실(130)이 인체에 삽입되고, 상기 니들(120)이 후퇴하여 제거되면 인체 내에 잔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내부 돌기부(431)는 표면에 형성된 돌기를 통해 인체 내에서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자생 물질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돌기부(431)는 상기 허브(110)의 후단으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료용 실(430)의 인체내 삽입이 완료된 후, 시술자가 상기 후단을 잡아당기면, 상기 의료용 실(430)의 몸체부(131)의 형상을 변화시켜 원하는 형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8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500)는 허브(110), 니들(120), 의료용 실(430), 커버(5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540)는 앞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540)의 커버(24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다. 즉, 상기 커버(540)는 인체 내에서 분해되는 재질로 형성되고, 니들(120)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면서도, 상기 니들(120)의 인체 삽입시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600)는 허브(110), 니들(120), 의료용 실(6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료용 실(630)은 몸체부(131), 단부(132), 내부 돌기부(431), 후퇴부(6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퇴부(631)는 상기 내부 돌기부(431)와 연결된 구성일 수 있고, 상기 니들(120)을 따라 후퇴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후퇴부(631)는 상기 의료용 실(130)의 인체 내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후 상기 내부 돌기부(431)의 노출된 일단을 시술자가 잡아당기는 경우, 상기 몸체부(131)의 구성이 변형되어 원하는 형태를 잡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700)는 허브(110), 니들(120), 의료용 실(7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료용 실(730)은 몸체부(731), 절곡부(332), 연결부(333), 내부 돌기부(73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 돌기부(731)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리프팅 부재(400)의 내부 돌기부(431)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술한 것과 같이, 인체 내에 삽입된 이후, 상기 내부 돌기부(731)는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자생 물질의 생성을 촉진하고, 시술자가 상기 내부 돌기부(731)의 후단을 잡아당겨 상기 몸체부(331)가 원하는 형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800)는 허브(110), 니들(120), 의료용 실(8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료용 실(830)은 몸체부(331), 절곡부(332), 연결부(333), 내부 돌기부(731), 후퇴부(8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퇴부(831)는 상기 절곡부(332)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후퇴부(831)는 상기 절곡부(332)의 접촉 면적을 넓혀서 인체 내에서 자생 물질의 생성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퇴부(831)을 통해, 상기 절곡부(332)가 고정되어, 상기 내부 돌기부(731)를 외부에서 당기는 경우, 상기 몸체부(331)의 형상을 원하는 대로 변경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리프팅 부재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10; 허브 120; 니들
121; 단부 122; 변형부
130, 330, 430, 630, 730, 830; 의료용 실
240, 540; 커버

Claims (10)

  1.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관통홀을 갖는 니들; 및
    상기 니들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결합된 의료용 실을 포함하고,
    상기 의료용 실은 상기 니들의 단부를 감싸고, 상기 니들이 단부로부터 상기 니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 리프팅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은 단부로부터 연마되어 형성된 변형부를 포함하는 리프팅 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쌍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니들의 직경 방향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형성된 리프팅 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실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니들의 관통홀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리프팅 부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돌기부는 상기 니들에 결합된 허브의 후단으로 노출되는 리프팅 부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실의 전단에 형성된 콘 형상의 커버를 더 포함하는 리프팅 부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실은 니들의 외주연에 위치한 몸체부, 상기 니들의 단부에서 상기 몸체부와 연결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와 대응되도록 연장된 절곡부를 포함하여 형성된 리프팅 부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열 융착을 통해 형성된 리프팅 부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실의 전단에 결합되고, 상기 니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의료용 실과 나란하게 형성된 후퇴부를 더 포함하는 리프팅 부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실은 상기 니들의 외주연에 위치한 몸체부 및 상기 니들의 단부에서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와 대응되도록 연장된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퇴부는 상기 니들의 절곡부 내에 위치한 리프팅 부재.
KR1020160082865A 2016-06-30 2016-06-30 리프팅 부재 KR101842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865A KR101842684B1 (ko) 2016-06-30 2016-06-30 리프팅 부재
JP2018569101A JP6731081B2 (ja) 2016-06-30 2017-06-30 リフティング部材
EP17820562.1A EP3479784A4 (en) 2016-06-30 2017-06-30 LIFTING ELEMENT
PCT/KR2017/006930 WO2018004286A1 (ko) 2016-06-30 2017-06-30 리프팅 부재
MX2018016017A MX2018016017A (es) 2016-06-30 2017-06-30 Miembro de levantamiento.
RU2019100487A RU2718610C1 (ru) 2016-06-30 2017-06-30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ифтинга
BR112018077106-6A BR112018077106B1 (pt) 2016-06-30 2017-06-30 Elemento de elevação
US16/313,279 US11071540B2 (en) 2016-06-30 2017-06-30 Lifting member
AU2017289017A AU2017289017B2 (en) 2016-06-30 2017-06-30 Lifting member
MYPI2018002969A MY197108A (en) 2016-06-30 2017-06-30 Lifting member
CN201780040739.7A CN109475370B (zh) 2016-06-30 2017-06-30 提拉构件
CA3029304A CA3029304C (en) 2016-06-30 2017-06-30 Lifting member
PH12018502736A PH12018502736A1 (en) 2016-06-30 2018-12-21 Lifting member
CONC2019/0000520A CO2019000520A2 (es) 2016-06-30 2019-01-18 Miembro de estiramient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865A KR101842684B1 (ko) 2016-06-30 2016-06-30 리프팅 부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382A Division KR20180033471A (ko) 2018-03-19 2018-03-19 리프팅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262A KR20180003262A (ko) 2018-01-09
KR101842684B1 true KR101842684B1 (ko) 2018-03-28

Family

ID=61000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865A KR101842684B1 (ko) 2016-06-30 2016-06-30 리프팅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26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154B1 (ko) * 2018-06-01 2020-07-08 주식회사 닥터바이오메드 리프팅 실 및 실 삽입용 의료기기
KR102139509B1 (ko) * 2018-08-24 2020-07-29 주식회사 네오닥터 실 삽입기
KR102311592B1 (ko) * 2019-06-03 2021-10-13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리프팅 부재
KR102604078B1 (ko) * 2023-01-20 2023-11-20 주식회사 엠베이스 망체를 포함하는 의료용 리프팅 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519B1 (ko) 2012-07-09 2014-05-27 홍유리 매선시술용 도구
KR101434976B1 (ko) 2014-01-03 2014-08-28 김동진 생체용 실을 삽입하기 위한 도구
KR101454659B1 (ko) 2014-02-27 2014-10-27 주식회사 오브이월드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
KR101635581B1 (ko) 2015-01-07 2016-07-04 김근식 메쉬형 리프팅 부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519B1 (ko) 2012-07-09 2014-05-27 홍유리 매선시술용 도구
KR101434976B1 (ko) 2014-01-03 2014-08-28 김동진 생체용 실을 삽입하기 위한 도구
KR101454659B1 (ko) 2014-02-27 2014-10-27 주식회사 오브이월드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
KR101635581B1 (ko) 2015-01-07 2016-07-04 김근식 메쉬형 리프팅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262A (ko) 2018-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2684B1 (ko) 리프팅 부재
KR101383505B1 (ko) 복수개의 니들을 갖는 실 삽입기
KR101434976B1 (ko) 생체용 실을 삽입하기 위한 도구
KR101635581B1 (ko) 메쉬형 리프팅 부재
JP2016539765A (ja) 注射針ハブアッセンブリと注射針ハブアッセンブリを含む注射器
IL260338A (en) Injection device
KR101977331B1 (ko) 리프팅 부재
JP2023550587A (ja) Ivカテーテル挿入ガイド
KR20180033471A (ko) 리프팅 부재
JP6731081B2 (ja) リフティング部材
CN202751650U (zh) 一种低创伤注射针头
JP2017148464A (ja) 流体注出注入器
KR101905162B1 (ko) 리프팅 부재
CN208492062U (zh) 一种呼吸道oct导管
CN112704550A (zh) 一种picc置管器械及置管方法
CN201085851Y (zh) 一次性使用的微波探头
JP2003116960A (ja) 鍼灸針
CN103272299B (zh) 脑内多点注射头皮下埋置导液囊
CN205041987U (zh) 一种简易激光针灸装置
CN203694262U (zh) 心血管造影药物注射装置
CN208243831U (zh) 一种平头吸脂针
CN208114631U (zh) 一种医用麻醉针
KR102188248B1 (ko) Rf니들을 이용한 피부미용기
CN201020119Y (zh) 一种注射针头
CN209032466U (zh) 祛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