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078B1 - 망체를 포함하는 의료용 리프팅 실 - Google Patents

망체를 포함하는 의료용 리프팅 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078B1
KR102604078B1 KR1020230008405A KR20230008405A KR102604078B1 KR 102604078 B1 KR102604078 B1 KR 102604078B1 KR 1020230008405 A KR1020230008405 A KR 1020230008405A KR 20230008405 A KR20230008405 A KR 20230008405A KR 102604078 B1 KR102604078 B1 KR 102604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lifting
powder
main body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8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베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베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베이스
Priority to KR1020230008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0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0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04(bio)absorbable, (bio)resorbable, resorpt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85Sutures hollow or tubu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61F2220/0016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with sharp anchoring protrusions, e.g. barbs, pins, spik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망체를 포함하는 의료용 리프팅 실은, 제 1,2 리프팅부로 구획된 본사; 상기 제 1 리프팅부의 표면에서 상기 본사의 선단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제 1 코그와, 상기 제 2 리프팅부의 표면에서 상기 본사의 후단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제 2 코그를 포함하는 코그 조합체; 상기 본사를 감싸는 것으로서 복수의 홀(hole)을 포함하는 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망체를 포함하는 의료용 리프팅 실에 따르면,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하는 코그 조합체를 포함하는 본사 및, 본사를 감싸는 망체를 포함하여 생체 조직의 타겟 부위와 강하게 결착되어 이동하거나 밀리지 않으면서도 강한 견인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망체를 포함하는 의료용 리프팅 실{Medical lifting thread including mesh}
본 발명은 망체를 포함하는 의료용 리프팅 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한 코그를 포함하는 본사 및 본사를 감싸는 망체를 포함하여 생체 조직의 타겟 부위에서의 고정력을 높이고 견인력을 강화한, 망체를 포함하는 의료용 리프팅 실에 관한 것이다.
피부 노화를 방지하기 위해, 화장품, 마사지 등이 꾸준히 이용되어 왔고, 근래에는 피부주름 개선 시술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특히 이러한 주름개선 시술 중에서도 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진 안면 리프트(Face lift)는 피부를 위로 끌어당겨 여분의 피부를 절제한 후 꿰매 피부를 탱탱하게 하는 방법이다.
이 시술은 효과가 빠르기는 하나, 수술 위험도가 높고, 귀 앞과 이마 라인에 흉터가 남을 수 있으며, 회복 기간도 1개월 넘게 걸려, 선뜻 선택하기가 쉽지 않다. 게다가, 노화된 피부는 그대로 주름이 계속 진행될 뿐 아니라 피부가 얇아져 노화가 빨리 진행되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수술적 시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인체에 무해한 봉합사를 피부 내에 삽입하여 피부 조직에 자극을 줌으로써, 피부 수축, 재생을 촉진하고, 나아가 봉합사의 장력을 이용하여 피부 조직과 유착된 부분을 위쪽으로 당겨 고정함으로써 늘어진 피부 조직을 리프팅하는, 소위 실 리프팅 시술이 널리 행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실 리프팅 시술은 기존의 수술적 시술에 비해 시술이 간단하고 일상생활에 거의 지장을 주지 않아, 많이 이용되고 있다.
고전적인 실 리프팅 시술은 일반적인 봉합사를 이용하였으나, 최근에는 봉합사의 외주면에 가시를 낸 가시 봉합사를 사용하고 있다. 가시 봉합사는 그 자체가 피부 조직을 고정,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리프팅(잡아당김)도 가능하게 하여, 주름개선 효과를 훨씬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가시 봉합사에 대한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 10-2051605호에 ‘봉합사, 봉합사의 제조 방법 및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사람이나 동물의 외과 봉합 수술, 특히 성형 수술 등에서 사람의 근육이나 피부 등을 봉합할 때 사용되는 봉합사, 봉합사의 제조 방법 및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형의 실을 납작한 몸체로 가공한 후 몸체의 양측변에 돌기를 커팅 가공으로 형성함으로써, 미세 두께의 봉합사 제조를 쉽게 하면서, 봉합사 제조공정을 모두 자동화하여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의 가시 봉합사(리프팅 실)는 가시를 포함하고 있기는 하지만, 시술 후 리프팅 실이 피부의 자연 복귀나 하중으로 인해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어, 생체 조직의 타겟 부위에 대한 고정력이 낮아 리프팅 효과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생체 조직 내에 삽입된 후에 리프팅 실이 이동하거나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리프팅 효과를 개선한, 신규하고 진보한 리프팅 실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생체 조직의 타겟 부위에 대한 고정력을 개선하여 견인력을 강화한 의료용 리프팅 실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프팅 실이 중력에 의해 이동하거나 밀리는 것을 추가적으로 방지하고 부위마다 다른 견인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프팅 실과 생체 조직 간의 결착력을 높이기 위한 표면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망체를 포함하는 의료용 리프팅 실은, 제 1,2 리프팅부로 구획된 본사; 상기 제 1 리프팅부의 표면에서 상기 본사의 선단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제 1 코그와, 상기 제 2 리프팅부의 표면에서 상기 본사의 후단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제 2 코그를 포함하는 코그 조합체; 상기 본사를 감싸는 것으로서 복수의 홀(hole)을 포함하는 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본사는, 상기 제 1 리프팅부에서 상기 제 2 리프팅부로 진행될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taper)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망체는, 생체 흡수성 재료를 통해 망체 본사와 상기 망체 본사를 분쇄한 파우더를 각각 제조하는, 재료 준비 단계; 블로워를 통해 상기 망체 본사의 표면에 공기 및 상기 파우더를 혼합한 분사제를 분사하여 블로잉 처리하는, 블로잉 단계; 상기 블로잉 처리가 완료된 망체 본사를 이용하여 망체를 제조하는, 망체 제조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망체를 포함하는 의료용 리프팅 실에 따르면,
1)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하는 코그 조합체를 포함하는 본사 및, 본사를 감싸는 망체를 포함하여 생체 조직의 타겟 부위와 강하게 결착되어 이동하거나 밀리지 않으면서도 강한 견인력을 제공할 수 있고,
2) 본사의 두께 조절, 망체의 메쉬 사이즈 조절에 따라 리프팅 실의 부위별로 서로 다른 견인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3) 망체를 구성하는 망체 본사의 표면 처리를 통해 망체의 표면적을 극대화하여 생체 조직과의 결착력을 더욱 강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실의 기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리프팅 실의 본사와 망체를 별도로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테이퍼 처리된 본사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2 망체부를 포함하는 망체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2,3 망체부를 포함하는 망체를 도시한 개념도.
도 6는 본 발명의 망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표면 거칠기가 부여된 망체 본사를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망체 본사에 표면 거칠기를 부여하고 망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실의 기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리프팅 실의 본사와 망체(300)를 별도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망체(300)를 포함하는 의료용 리프팅 실은 본사(100), 코그 조합체(200) 및 망체(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은 공지와 같이 일정 길이와 직경으로 형성된 본사(100)에 코그 조합체(200)가 형성된 상태에서 이러한 본사(100)를 망체(300)가 감싸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사(100)는 일반적으로 현재 리프팅 실의 재질로 널리 이용되는 재질, 예를 들어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폴리-L-락트산(Poly-L-Lactic Acid) 또는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물질들은 생체 조직 내에서 분해 및 흡수되어 부작용과 알레르기 반응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생체 조직 내에서 콜라겐 합성을 촉진할 수 있다.
여기서 본사(100)는 제 1,2 리프팅부(110,120)로 구획되는데, 여기서 제 1,2 리프팅부(110,120)의 구획의 경우 본사(100)의 길이 방향 중심점을 기준으로 본사(100)가 이등분되어 제 1,2 리프팅부(110,120)로 구획될 수 있으나, 제 1,2 리프팅부(110,120)는 서로 길이가 같을 수도, 다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본사(100)는 일반적인 실의 모양을 가진 상태에서, 코그 조합체(200)가 형성되어 생체 조직에 대한 리프팅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코그 조합체(200)는 복수의 제 1,2 코그(210,220)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제 1 코그(210)는 제 1 리프팅부(110)에, 제 2 코그(220)는 제 2 리프팅부(120)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코그(210)는 제 1 리프팅부(110)의 표면에서 상기 본사(100)의 선단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제 2 코그(220)는 제 2 리프팅부(120)의 표면에서 상기 본사(100)의 후단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제 1,2 코그(210,220)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형성되는 것이며, 제 1 코그(210)는 선단 방향, 제 2 코그(220)는 후단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된 만큼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하도록 형성된 제 1,2 코그(210,220)를 포함하는 코그 조합체(200)를 통해 생체 조직 내에 삽입된 리프팅 실이 생체 조직에 의해 압력이나 압박이 가해지더라도 삽입 위치에서 이탈하거나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망체(300)는 본사(100)를 감싸는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홀(hole)(301)을 포함하여 그물망과 같은 형상을 취하는 메쉬(mesh)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망체(300)는 일반적으로 상술한 본사(100)와 같은 재질로 제작되거나 의료용 실로 사용되는 봉합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생체 조직 내에서 일정 기간 유지된 후 흡수되어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망체(300)는 상술한 본사(100)를 전체적으로 감싸게 되는데, 이러한 기능으로 인해 본사(100)가 생체 조직 내에서 널리 퍼지지 않고 국소 부위에 잘 유지되어 머무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체 조직의 리프팅 및 탄력 효과를 집중시킬 수 있다.
또한, 망체(300)가 다공성 구조를 유지하는 이유는 망체(300) 내에 존재하는 코어, 즉 본사(100)의 기능을 가리지 않으면서 물리적인 보호를 동시에 수행하기 위해서이다. 도 1에는 망체(300)가 본사(100)의 전체를 감싸지 않았지만, 이는 단지 한 실시예일 뿐이며 최선단의 본사(100) 및 최후단의 본사(100)보다 더욱 연장된 길이로 존재하여 본사(100) 전체를 감싸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들을 포함하는 의료용 실은 공지의 본사(100)에 망체(300)를 포함함으로써 원하고자 하는 국소 부위에 그 기능이 잘 유지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본사(100)의 제 1,2 리프팅부(110,120)에 각각 형성된 제 1,2 코그(210,220)를 포함하는 코그 조합체(200)가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하고 있어 생체 조직 내에서 이탈하거나 밀리는 것을 추가적으로 방지하여, 원하는 타겟 부위에서 리프팅 실이 이탈하는 것을 다시 한번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테이퍼 처리된 본사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을 더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리프팅 실의 본사(100)는 제 1 리프팅부(110)에서 제 2 리프팅부(120)로 진행될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taper) 처리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테이퍼 처리는 도 3(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점진적으로 직경이 점차 증가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도 3(b)와 같이 계단식으로 직경이 증가하는 것 역시 가능하며 그 방식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나아가 이와 같이 본사(100)가 테이퍼 처리되는 경우, 본 발명의 리프팅 실을 생체 조직에 삽입할 시, 리프팅 효과가 강하게 필요한 부위, 즉, 중력의 영향을 강하게 받거나 상대적으로 강한 견인력이 필요한 부위에 제 2 리프팅부(120)가 위치하고, 중력의 영향을 약하게 받거나 상대적으로 견인력이 덜 강해도 되는 부위에 제 1 리프팅부(110)가 위치하도록 본 발명의 리프팅 실의 삽입 위치 및 삽입 방향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테이퍼 처리된 본사(100)를 포함하는 리프팅 실에 따르면, 하나의 리프팅 실이 길이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서로 다른 견인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여, 생체 조직 내에서 하나의 리프팅 실로 하여금 견인력을 조절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2 망체부를 포함하는 망체(300)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더불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망체(300)는 제 1,2 망체부(310,320)로 구획될 수 있는데, 이때 제 1 망체부(310)는 제 1 리프팅부(11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 2 망체부(320)는 제 2 리프팅부(12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다시 말해 본사(100)가 제 1,2 리프팅부(110,120)로 구획된 것과 동일하게 망체(300)를 구획한 것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이때 제 1,2 망체부(310,320)의 메쉬 사이즈(mesh size)에 서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 1 망체부(310)는 140 내지 270mesh의 메쉬 사이즈를 갖도록 관통 형성된 복수의 제 1 홀(311)을 포함하여, 제 2 망체부(320)는 80 내지 140mesh의 메쉬 사이즈를 갖도록 관통 형성된 복수의 제 2 홀(321)을 포함한다. 즉 제 1 홀(311)의 직경은 0.094 내지 0.18mm일 수 있으며, 제 2 홀(321)의 직경은 0.18 내지 0.31mm일 수 있다.
따라서 제 2 홀(321)의 직경이 제 1 홀(311)보다 큰 것이라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리프팅부(120)의 직경이 제 1 리프팅부(110)로부터 연장될수록 커지는, 테이퍼 처리된 본사(100)를 감싸 보호함에 있어 상대적으로 그 두께가 얇아 끊어지기 쉬운 제 1 리프팅부(110)를 보다 촘촘한 제 1 망체부(310)가 보호하게 되며, 상대적으로 두께가 넓고 강한 견인력을 제공하는 제 2 리프팅부(120)의 경우 보다 성긴 구조의 제 2 망체부(320)가 보호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서로 다른 메쉬 사이즈를 가진 제 1,2 망체부(310,320)를 포함하는 망체(300)의 구성에 따르면 본사(100)를 감싸 보호하여 생체 조직의 타겟 부위에서 리프팅 실이 이탈하는 것을 막는 기능을 기본으로 제공함은 물론이거니와, 상대적으로 직경이 얇아 외력이나 생체 조직의 압박에 의해 끊어지기 쉬운 제 1 리프팅부(110)를 상대적으로 촘촘한 제 1 망체부(310)를 통해 보다 강하게 보호하여 리프팅 실의 끊어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2,3 망체부를 포함하는 망체(300)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에 더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리프팅 실에 포함된 망체(300)는 일부가 이중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망체(300)는 제 1,2 망체부(310,320)에서 더 나아가 제 3 망체부(3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 3 망체부(330)는 제 1 망체부(310)를 감싸는 것으로서, 230 내지 325 mesh의 메쉬 사이즈로 관통 형성된 복수의 제 3 홀(331)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 3 홀(331)은 바람직하게 0.078 내지 0.11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 3 홀(331)은 본사(100)의 기능, 다시 말해 본사(100) 및 코그를 통한 견인력 제공 효과를 감소시키지 않으면서도 제 1 리프팅부(110)를 보호하는 효과를 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제 1,2 망체부(310,320)에 비해 제 3 망체부(330)가 생체 흡수 속도가 높은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생체 조직 내 삽입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직경이 얇은 제 1 리프팅부(110)가 끊어지는 것은 방지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빠르게 흡수되는 제 3 망체부(330)가 생체 조직 내에서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함과 동시에 일부는 제 1 망체부(310)의 표면에 결착되어 제 1 망체부(310)의 메쉬 형상을 불규칙하게 조절하여, 생체 조직과의 결합 면적을 높이고 결착력을 강화할 수 있다.
나아가 여기서 보다 바람직하게 제 2 망체부(320)의 경우 제 1 망체부(310)보다 홀의 직경이 커 상대적으로 성긴 구조를 나타내므로, 생체 조직 내에서의 타겟 부위 고정 능력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는데,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제 2 망체부(320)는 제 1 망체부(310)보다 표면 거칠기가 높을 수 있다.
이때 표면 거칠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연마, 레이저, 샌딩 및 기타 종래의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제 2 망체부(320)의 표면 거칠기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 1 망체부(310)는 상대적으로 촘촘한 메쉬 구조로 이루어지고, 제 2 망체부(320)는 상대적으로 성긴 메쉬 구조이나 표면 거칠기가 높게 처리되어, 서로 다른 메쉬 사이즈를 가지더라도 생체 조직 내에서의 결착력을 높게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망체(300)를 제조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 1,2 망체부(310,320)의 표면 거칠기가 서로 다른 망체(300)는 준비 단계, 표면 처리 단계, 멸균 처리 단계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준비 단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2 망체부(310,320)를 포함하는 망체(300)를 준비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제 1 망체부(3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 1 홀(311)을 포함하는 메쉬 구조로 이루어지고, 제 2 망체부(320)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 2 홀(321)을 포함하는 메쉬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표면 처리 단계에서는 블로워를 통해 제 2 망체부(320)의 표면에만 가열 공기를 분사하게 된다. 이때 블로워에 포함된 분사구의 직경을 조절하여, 블로워의 직경이 제 2 망체부(320)를 이루는 리프팅 실이나 봉합사의 두께보다 작은 직경의 분사구를 통해 가열 공기를 분사하도록 한다.
이때 분사되는 가열 공기는 제 2 망체부(320)의 표면 일부를 녹이게 되는데, 이때 짧게 펄스(pulse) 단위로 가열 공기가 분사되면, 제 2 망체부(320)의 표면 일부가 녹았다 굳었다를 반복하면서 제 2 망체부(320)의 표면에 굴곡, 즉 그루브(groove)가 형성되는데, 이를 통해 표면 거칠기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멸균 처리 단계를 통해 망체(300)의 표면에 잔존할 수 있는 세균, 미생물 등의 균을 제거하게 되는데, 바람직하게 이때 사용되는 멸균 수단은 자외선 살균기, 고압 살균기, 가스 살균기 등의 장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멸균 수단이 자외선 살균기인 경우 멸균 능력이 강한 10 내지 100nm의 짧은 파장대의 자외선을 망체(300)에 조사하여 망체(300)를 멸균 처리할 수 있다. 나아가 멸균 수단이 가스 살균기인 경우, 가스 살균기는 에틸렌 옥사이드(EO:Ethylene oxide) 가스를 분사하여 망체(300)를 멸균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으로 표면의 일부 융해 및 건조를 반복하여 제 2 망체부(320)의 표면 거칠기를 높임으로써, 별도의 추가적인 이물질 생성 없이도 제 2 망체부(320)의 표면 거칠기를 높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표면 거칠기가 부여된 망체 본사(340)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망체 본사(340)에 표면 거칠기를 부여하고 망체(300)를 제조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망체(300)의 표면 거칠기 부여 방식은 도 6에서와 같이 완성된 망체(300) 수준에서 표면 거칠기를 부여하는 것일 수도 있으나, 망체(300)를 이루는 망체 본사(340)에서부터 표면 거칠기를 부여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여기서 망체 본사(340)는 망체(300)를 이루는 각각의 실을 의미하는 것이며, 복수의 망체 본사(340)가 서로 메쉬 구조를 이루어 하나의 망체(300)가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때 도 7,8에 따른 구성은 망체(300)를 구성하는 망체 본사(340)의 표면에 거칠기를 부여하고, 표면 거칠기가 부여된 망체 본사(340)를 기반으로 망체(300)를 제조하는 과정으로서, 이러한 망체(300)는 재료 준비 단계, 블로잉 단계 및 망체(300) 제조 단계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재료 준비 단계는 생체 흡수성 재료를 통해 망체 본사(340) 및 파우더를 각각 제조하는 단계로서, 이때 망체 본사(340)는 생체 흡수성 재료, 다시 말해 상술한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폴리-L-락트산(Poly-L-Lactic Acid) 또는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실이며, 파우더는 이와 같이 제조된 망체 본사(340)를 분쇄하여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의료용 실(봉합사) 제조 방법을 통해 생체 흡수성 재료를 얇은 실로 뽑아내어 이를 망체 본사(340)로서 준비하는 것이며, 준비된 망체 본사(340) 중 일부를 분쇄하여 파우더로 준비한다.
이어서 블로잉 단계에서는 블로워를 통해 상기 망체 본사(340)의 표면에 공기 및 상기 파우더를 혼합한 분사제를 분사하여 블로잉 처리하게 된다. 이때 분사제는 공기 및 파우더가 섞여있어, 분사제를 망체 본사(340)에 표면에 분사할 시 분사제가 망체 본사(340)에 대한 연마재 역할을 수행하여 망체 본사(340)의 일부가 깎여나가면서 망체 본사(340)의 표면에 거칠기가 부여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망체(300) 제조 단계는 블로잉 처리를 통해 표면에 거칠기가 부여된 망체 본사(340)를 이용하여 망체(300)를 제조하는 단계로, 블로잉 처리가 수행된 복수의 망체 본사(340)를 직조하여 망체(300)를 제조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조 공정에 따르면 망체 본사(340)를 분쇄한 파우더를 연마재로 이용하여 망체 본사(340)의 표면을 블로잉 처리함으로써, 별도의 연마재를 이용하지 않으면서도 망체 본사(340)에 표면 거칠기를 부여하여 제조되는 망체(300)로 하여금 생체 조직과의 접촉 면적을 극대화하여 고정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망체(300) 표면에 파우더가 잔존하더라도 이는 별도의 이물질이 아닌 망체 본사(340)를 분쇄한 파우더이므로, 생체 조직 내에 삽입 시 해당 파우더가 생체 조직에 흡수되면서 콜라겐 생성을 촉진할 수도 있어 생체 조직의 탄력 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파우더를 통한 망체 본사(340)의 표면 처리 효과를 보다 높이기 위해, 서로 다른 직경의 파우더를 제조하고 이를 통해 단계적 표면 처리를 수행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때 재료 준비 단계에서 제조되는 파우더는 단일 직경의 파우더가 아니라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 파우더들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 파우더는 제 1 직경을 가진 제 1 파우더와, 제 1 직경보다 작은 제 2 직경을 가진 제 2 파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망체 본사(340)를 일부 분쇄하여 제 1,2 파우더를 제조하는 것이며, 이때 제 1 파우더의 직경이 제 2 파우더의 직경보다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구성에서와 같이 파우더가 서로 다른 직경을 지닌 제 1,2 파우더를 포함하는 경우, 블로잉 단계는 이러한 제 1,2 파우더를 이용하여 망체 본사(340) 표면에 대한 순차적 표면 처리를 진행하게 된다.
이때 바람직하게 블로잉 단계는 1차 처리 단계, 가열 단계 및 2차 처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처리 단계는 망체 본사(340)의 표면에 공기 및 제 1 파우더를 혼합한 분사제를 분사하여 1차 블로잉 처리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1차 처리 단계의 분사제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 1 파우더를 포함하므로, 망체 본사(340)의 표면에 분사제가 충돌하면서 상대적으로 큰 홈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면에 거칠기가 부여될 수 있다.
이어서 수행되는 가열 단계는 1차 블로잉 처리된 망체 본사(340)의 표면에 가열된 공기를 분사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가열 단계가 수행됨에 따라 망체 본사(340)에 표면에 잔존하고 있는 제 1 파우더가 일부 녹아 망체 본사(340)의 표면에 융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망체 본사(340)가 보다 불규칙한 표면 형상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가열 단계가 완료되면, 2차 처리 단계를 통해 가열된 표면에 공기 및 제 2 파우더를 혼합한 분사제를 분사하여 2차 블로잉 처리하게 되는데, 이때 2차 처리 단계에서 이용되는 분사제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 2 파우더를 포함하므로 제 1 파우더에 의해 형성된 표면의 홈에 추가적인 연마를 수행하여 망체 본사(340)의 표면에 추가적인 홈이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표면 거칠기를 추가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적 블로잉 처리 구성에 따르면,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 파우더를 통해 단계적으로 망체 본사(340)의 표면을 연마하여 표면 거칠기 부여 효과를 높임과 동시에, 중간의 가열 단계를 통해 제 1 파우더 일부를 망체 본사(340)의 표면에 열융착하여 보다 불규칙한 표면 구조의 망체 본사(340)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불규칙한 표면 구조로 거칠기가 부여된 망체 본사(340)를 통해 제조된 망체(300)는 높은 표면적을 기반으로 생체 조직의 타겟 부위와 보다 강하게 결합하여 생체 조직의 타겟 부위에서의 이탈을 더욱 방지하고 높은 수준의 견인력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파우더는 제 1,2,3 파우더로 구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제 1 파우더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직경을 가지며, 제 2 파우더는 제 1 직경보다 작은 제 2 직경을 가지고, 제 3 파우더는 제 2 직경보다 작은 제 3 직경을 가진다.
즉 망체 본사(340)를 분쇄하여 제조되는 제 1,2,3 파우더에 있어 분쇄 시간이나 분쇄 날을 조절하여 제 1,2,3 파우더를 각각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며, 직경의 경우 제 1 파우더>제 2 파우더>제 3 파우더의 분포를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제 1,2,3 파우더를 포함하는 구성은 직경이 가장 작은 제 3 파우더를 더 포함하게 되는데, 이러한 제 3 파우더를 이용하기 위해 상술한 블로잉 단계는 3차 처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3차 처리 단계는 2차 블로잉 처리된 표면 일 측에 상기 공기 및 상기 제 3 파우더를 포함한 분사제를 분사하여 3차 블로잉 처리하는 과정으로서, 여기서 3차 처리 단계의 분사제는 가장 직경이 작은 제 3 파우더를 포함하여 보다 미세한 표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이때 3차 처리 단계는 2차 블로잉 처리된 망체 본사(340)의 표면의 일 측에만 진행되어 표면 구조의 불규칙성을 보다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2차 블로잉 처리된 표면의 일부에만 3차 블로잉 처리를 추가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제조되는 망체 본사(340)의 표면을 보다 불규칙하게 함과 동시에 망체 본사(340)의 표면 거칠기 부여 효과를 극대화하여, 이를 기반으로 한 견인력의 증대 효과를 보다 강화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망체(300)를 포함하는 의료용 리프팅 실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본사 110 : 제 1 리프팅부
120 : 제 2 리프팅부 200 : 코그 조합체
210 : 제 1 코그 220 : 제 2 코그
300 : 망체 301 : 홀
310 : 제 1 망체부 311 : 제 1 홀
320 : 제 2 망체부 321 : 제 2 홀
330 : 제 3 망체부 331 : 제 3 홀
340 : 망체 본사

Claims (9)

  1. 망체를 포함하는 의료용 리프팅 실로서,
    제 1,2 리프팅부로 구획된 본사;와,
    상기 제 1 리프팅부의 표면에서 상기 본사의 선단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제 1 코그와, 상기 제 2 리프팅부의 표면에서 상기 본사의 후단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제 2 코그를 포함하는 코그 조합체; 및,
    상기 본사를 감싸는 것으로서 복수의 홀(hole)을 포함하는 망체;를 포함하고,
    상기 망체는,
    생체 흡수성 재료를 통해 망체 본사와 상기 망체 본사를 분쇄한 파우더를 각각 제조하는, 재료 준비 단계와,
    블로워를 통해 상기 망체 본사의 표면에 공기 및 상기 파우더를 혼합한 분사제를 분사하여 블로잉 처리하는, 블로잉 단계 및,
    상기 블로잉 처리가 완료된 망체 본사를 이용하여 망체를 제조하는, 망체 제조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리프팅 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사는,
    상기 제 1 리프팅부에서 상기 제 2 리프팅부로 진행될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taper)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리프팅 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망체는,
    상기 제 1 리프팅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으로서 140 내지 270mesh로 관통 형성된 복수의 제 1 홀을 포함하는 제 1 망체부 및,
    상기 제 2 리프팅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으로서 80 내지 140mesh로 관통 형성된 복수의 제 2 홀을 포함하는 제 2 망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리프팅 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망체는,
    상기 제 1 망체부를 감싸는 것으로서, 230 내지 325 mesh로 관통 형성된 복수의 제 3 홀을 포함하는 제 3 망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리프팅 실.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망체부의 표면 거칠기는,
    상기 제 1 망체부의 표면 거칠기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리프팅 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망체는,
    상기 제 1,2 망체부를 포함하는 망체를 준비하는, 준비 단계;
    블로워를 통해 상기 제 2 망체부의 표면에 가열 공기를 분사하는, 표면 처리 단계;
    상기 망체를 멸균 처리하는, 멸균 처리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리프팅 실.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는,
    제 1 직경을 가진 제 1 파우더와 상기 제 1 직경보다 작은 제 2 직경을 가진 제 2 파우더를 포함하며,
    상기 블로잉 단계는,
    상기 망체 본사의 표면에 상기 공기 및 상기 제 1 파우더를 혼합한 분사제를 분사하여 1차 블로잉 처리하는, 1차 처리 단계,
    상기 1차 블로잉 처리된 상기 망체 본사의 표면에 가열된 공기를 분사하는, 가열 단계 및
    상기 가열된 표면에 상기 공기 및 상기 제 2 파우더를 혼합한 분사제를 분사하여 2차 블로잉 처리하는, 2차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리프팅 실.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는,
    상기 제 1 직경을 가진 제 1 파우더와 상기 제 1 직경보다 작은 제 2 직경을 가진 제 2 파우더 및 상기 제 2 직경보다 작은 제 3 직경을 가진 제 3 파우더를 포함하며,
    상기 블로잉 단계는,
    상기 2차 블로잉 처리된 표면 일 측에 상기 공기 및 상기 제 3 파우더를 포함한 분사제를 분사하여 3차 블로잉 처리하는, 3차 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리프팅 실.
KR1020230008405A 2023-01-20 2023-01-20 망체를 포함하는 의료용 리프팅 실 KR102604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8405A KR102604078B1 (ko) 2023-01-20 2023-01-20 망체를 포함하는 의료용 리프팅 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8405A KR102604078B1 (ko) 2023-01-20 2023-01-20 망체를 포함하는 의료용 리프팅 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4078B1 true KR102604078B1 (ko) 2023-11-20

Family

ID=88974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8405A KR102604078B1 (ko) 2023-01-20 2023-01-20 망체를 포함하는 의료용 리프팅 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0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6831A (ko) * 2014-12-03 2016-06-13 김근식 메쉬형 리프팅 부재
KR20180003262A (ko) * 2016-06-30 2018-01-09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리프팅 부재
KR101905162B1 (ko) * 2017-06-05 2018-10-08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리프팅 부재
KR101926311B1 (ko) * 2018-07-12 2018-12-06 이길행 사출 후 수중 연신하여 기계적 강도와 유연성을 개선한 의료용 봉합사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6831A (ko) * 2014-12-03 2016-06-13 김근식 메쉬형 리프팅 부재
KR20180003262A (ko) * 2016-06-30 2018-01-09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리프팅 부재
KR101905162B1 (ko) * 2017-06-05 2018-10-08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리프팅 부재
KR101926311B1 (ko) * 2018-07-12 2018-12-06 이길행 사출 후 수중 연신하여 기계적 강도와 유연성을 개선한 의료용 봉합사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7957B2 (en) Su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6100294B2 (ja) 自己保持縫合糸を作製するための方法、レーザー加工システム、及び、安定化デバイス
Sevin et al. Exposure of high-density porous polyethylene (Medpor®) used for contour restoration and treatment
JP5562829B2 (ja) 外科的手技用自己保持システム
AU2009236330B2 (en) Self-retaining sutures with bi-directional retainers or uni-directional retainers
CN102065913B (zh) 形状记忆的自固位缝线、生产方法和使用方法
CN103747746B (zh) 药物洗脱自固位缝合线及其相关方法
EP1041931B1 (en) Bioabsorbable suture anchor
BRPI0907787B1 (pt) método para formar uma sutura de autorretenção e aparelho para elevar os retentores em um fio de sutura a um ângulo desejado
JPH07507694A (ja) 外科用インプラント
KR102114925B1 (ko) 성형 시술용 실 및 이를 이용한 시술도구
CN110787319A (zh) 用于面部美容提拉的植入物及其应用
JP2019503832A (ja) 皮膚増強外科用縫合糸
KR102604078B1 (ko) 망체를 포함하는 의료용 리프팅 실
Romo III et al. Augmentation of the cheeks, chin and pre-jowl sulcus, and nasolabial folds
KR101925209B1 (ko) 생분해성 다성분계 멀티 필라멘트와 이를 이용한 리프팅용 봉합사 및 시술 기구
KR20100138882A (ko) 뼈 신연 플레이트 방법 및 장치
KR20200145314A (ko)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봉합사
KR101168739B1 (ko) 피부 미용 수술용 금편복사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86054A (ko) 리프트용 실
de Assis Limeira Jr et al. Assessment of bone repair following the use of anorganic bone graft and membrane associated or not to 830-nm laser light
Agarwal et al. Sutures, 15 Needles, and Meshes
Samizadeh Check for Thread Types and Materials Souphiyeh Samizadeh and Sorousheh Samizadeh
Artashyan et al. Reparative osteogenesis with the participation of connective tissue autograft
CA3126698A1 (en) Compliant biological scaffo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