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519B1 - 매선시술용 도구 - Google Patents

매선시술용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519B1
KR101397519B1 KR1020120074591A KR20120074591A KR101397519B1 KR 101397519 B1 KR101397519 B1 KR 101397519B1 KR 1020120074591 A KR1020120074591 A KR 1020120074591A KR 20120074591 A KR20120074591 A KR 20120074591A KR 101397519 B1 KR101397519 B1 KR 101397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coil
shaped
chamber
out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7193A (ko
Inventor
홍유리
Original Assignee
홍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유리 filed Critical 홍유리
Priority to KR1020120074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519B1/ko
Publication of KR20140007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6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 A61B17/06109Big needles, either gripped by hand or connectable to a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04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 A61B2017/06009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having additional means for releasably clamping the suture to the needle, e.g. actuating rod slideable within the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2017/06052Needle-suture combinations in which a suture is extending inside a hollow tubular needle, e.g.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1Sutures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매선시술용 도구(100)는, 관(管) 형상으로서 선단(113)이 첨예하게 형성된 니들(110)과, 상기 니들(110)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단턱(T)과, 상기 단턱(T)을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니들(110)이 끼워지도록 형성된 외측관(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기존의 단선형 매선용 실에 비해서, 부피가 큰 코일형상이 피하에 자리 잡게 된다. 따라서, 콜라겐(C)이 모여들게 되면 콜라겐(C)의 부피가 단선형 매선용 실에 비해서 커지게 되므로, 효율적으로 주름(L)을 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매선시술용 도구{IMPLEMENT FOR APTOS}
본 발명은 매선시술용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피하에 코일형 매선용 실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한 매선시술용 도구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매선시술용 도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매선시술용 도구를 사용하여 눈가주름의 상부와 하부에 매선용 실을 매선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매선시술용 도구를 사용하여 피하에 매선용 실을 매선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매선시술(埋線施術)이란 매선용(埋線用) 실(30)을 피부(S)와 피하조직(K) 사이 또는 피하조직(K)에 삽입하여, 인체의 방어기전과 상처치료기전이 작용하여 매선용 실(30) 주위에 콜라겐(C)이 형성되게 하여 피부(S)에 탄력을 주고 주름(L)이 펴지게 하는 시술요법이다. 또한, 주름(L)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피하에 삽입하여 주름(L)을 양쪽에서 인장하여 신장(伸張)시키는 시술요법이다.
상기 매선시술이 가능하도록 하는 매선시술용 도구(1)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관(管) 형상으로서 선단(13)이 뾰족하게 형성된 니들(10)이 구성된다. 상기 니들(10)은 선단(13)이 뾰족하게 형성되기 위해서 경사지게 형성된 절단면(17)이 형성되므로 가능하다. 또한, 상기 니들(10)의 후방 종단부에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2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니들(10)의 선단(13)을 통해서 내측으로 일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상기 매선용 실(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경기술에 의한 시술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매선용 실(30)의 일측을 상기 니들(10)의 선단(13)을 통해서 니들(10)의 내측으로 집어넣는다. 그리고, 매선용 실(30)에서 니들(10)에 삽입되지 않은 상대측을 상부로 올린 후, 도 3에서처럼, 니들(10)의 손잡이(20)를 잡고 주름(L)의 하부에 위치하는 피부(S)와 피하조직(K) 사이 또는 피하조직(K)에 니들(10)을 비스듬하게 해서 필요 부위까지 찔러넣는다. 그리고, 상기 삽입된 니들(10)의 상부에 위치하는 피부(S)를 누른 후, 니들(10)을 뽑아내면 니들(10)만 이탈되고, 매선용 실(30)은 피하에 잔류하게 된다. 이때, 피부(S) 바깥으로 튀어나온 매선용 실(30)은 가위로 잘라낸다.
그러면, 상기 매선용 실(30) 주위에는 콜라겐(C)이 모여들게 되어, 매선용 실(30) 주위는 볼록하게 되므로 상기 주름(L)이 펴지도록 한다.
또는 도 2에서처럼, 주름(L)을 손가락으로 밀어서 편 상태에서 주름의 양쪽에 상기 시술방법에 의거해서 매선용 실(30)을 매선 시킨다. 그러면, 각 매선용 실(30)은 주름(L)을 인장하여 펴지도록 한다.
상기 배경기술에 의하면, 주름(L)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매선용 실(30)이 피하에 매선된 상태에서 콜라겐(C)이 생성되어 주름(L)을 편다고는 하지만, 상기 매선용 실(30)이 단선으로 구성되고, 선경(線徑)이 0.05mm∼0.15mm에 불과하므로 콜라겐(C)이 매선용 실(30)을 둘러싼다고 하여도 콜라겐의 부피가 상기 주름(L)을 효과적으로 펼 수는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2에서처럼, 인장에 의해서 주름(L)을 신장(伸張)시킬 경우, 주름(L)의 양쪽에 각각 다수 회 삽입하므로 시술회수가 증가되어 시술시간이 지연되고 시술비용이 증액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공개 10-2007-0120225 (2007년 12월 24일)
본 발명은 상기 배경기술이 가지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첫째, 단선으로 구성된 매선용 실로 인해서 주름을 효과적으로 펼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둘째, 주름을 인장시켜서 펴기 위해서, 주름의 양쪽에 다수 회 시술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매선시술용 도구는, 관(管) 형상으로서 선단이 첨예하게 형성된 니들과, 상기 니들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단턱과, 상기 단턱을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니들이 끼워지도록 형성된 외측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단턱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니들의 후방에 형성되고 폭이 상기 니들보다 큰 손잡이와, 상기 니들이 끼워지며 상기 손잡이에 부딪히도록 형성되고 전방 종단부가 상기 단턱이 되고, 상기 외측관에 삽입되는 내측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니들에 끼워져서 상기 외측관에 수용되어 상기 단턱에 걸리는 코일형 매선용 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코일형 매선용 실은 일부가 직선형인 삽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니들의 선단을 통해서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니들의 선단에 끼워져서 코일형 매선용 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매선시술용 도구는, 기존의 단선형 매선용 실에 비해서, 부피가 큰 코일형상이 피하에 자리 잡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콜라겐이 모여들게 되면 콜라겐의 부피가 단선형 매선용 실에 비해서 커지게 된다. 이로 인해서, 주름을 배경기술에 비해서 보다 볼록하게 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주름을 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코일형 매선용 실의 길이 방향은 주름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어긋나도록 하여 피하에 매선할 수 있다. 즉, 눈가에 형성된 주름의 경우, 코일형 매선용 실의 길이 방향이 상하방을 향하도록 한다. 그러면, 코일형 매선용 실의 팽창력에 의해서 주름을 펼 수 있다.
이 경우, 배경기술처럼 주름의 양측에 종래의 매선용 실을 삽입하여 당기는 방식이 아니므로 시술회수를 배경기술에 비해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도 8의 경우, 눈가의 주름을 펼 경우, 배경기술에 의하면 최소한 상하방에 하나씩의 매선용 실을 삽입해야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최소한 하나의 코일용 매선용 실을 삽입하므로 시술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매선시술용 도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매선시술용 도구를 사용하여 눈가주름의 상부와 하부에 매선용 실을 매선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매선시술용 도구를 사용하여 피하에 매선용 실을 매선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매선시술용 도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매선시술용 도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매선시술용 도구를 도시한 것으로서 지지구를 분리한 후, 외측관을 잡고 니들을 삽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매선시술용 도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매선시술용 도구를 이용하여 눈가주름의 피하에 코일형 매선용 실을 매선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매선시술용 도구를 피하에 삽입하여 코일형 매선용 실을 매선하는 시술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매선시술용 도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매선시술용 도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매선시술용 도구를 도시한 것으로서 지지구를 분리한 후, 외측관을 잡고 니들을 삽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매선시술용 도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매선시술용 도구를 이용하여 눈가주름의 피하에 코일형 매선용 실을 매선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매선시술용 도구를 피하에 삽입하여 코일형 매선용 실을 매선하는 시술과정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은 코일형 매선용 실(140)을 피하(皮下)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으로 주름을 펼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 4 및 도 5를 통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관(管) 형상으로서 선단(113)이 첨예하게 형성된 니들(11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니들(110)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단턱(T)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턱(T)을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니들(110)이 선단(113)에서 끼워지도록 형성된 외측관(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니들(110)이 끼워져서 상기 외측관(12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단턱(T)에 걸리는 코일형 매선용 실(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턱(T)을 형성하는 일례로서, 상기 니들(110)의 후방에 형성되고 폭이 상기 니들보다 큰 손잡이(115)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니들(110)이 끼워지며 상기 손잡이(115)에 부딪히도록 형성된 내측관(130)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내측관(130)의 전방 종단부(135)가 상기 단턱(T)이 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전방 종단부(135)에 상기 코일형 매선용 실(140)이 받쳐진다. 또한, 상기 내측관(130)이 상기 외측관(120)에 끼워지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다.
상기 코일형 매선용 실(140)은 일례로 스프링 모양으로서 일부는 직선형인 삽입부(U)가 형성되어 상기 니들(110)의 선단(113)을 통해서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니들(110)이 코일형 매선용 실(140)을 잡고 피하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는, 상기 직선형인 삽입부(U)가 형성되지 않은 스프링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외측관(120)은 니들(110)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니들(110)이 외측관(120)을 통과하여 피하에 삽입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시술예를 도 9를 통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니들(110)에 내측관(130)이 삽입되도록 하여 손잡이(115)에 지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코일형 매선용 실(140)에 니들(110)이 끼워지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내측관(130)의 전방 종단부(135) 즉, 단턱(T)에 지지된다. 그리고, 코일형 매선용 실(140)의 삽입부(U)가 니들(110)의 선단(113)을 통해서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삽입부(U)가 형성되지 않은 코일형 매선용 실(140)은 일측을 펴서 상기 니들(110) 속으로 삽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외측관(120)에 니들(110)이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내측관(130)이 외측관(120)의 내부에 끼워진다.
이 상태에서, 외측관(120)을 한쪽 손으로 잡고서 피부(S)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다른 손으로 손잡이(115)를 잡고 니들(110)이 피부(S)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피부(S)와 피하조직(K) 사이에 니들(110)이 삽입되도록 한다. 그러면, 코일형 매선용 실(140)은 내측관(130)에 의해 밀리면서 피하에 밀려 들어가게 된다. 이때, 코일형 매선용 실(140)은 외측관(120)에 수용된 상태이므로 스프링 형상 그대로 피하에 삽입 가능하다. 만약, 상기 외측관(120)이 없다면 스프링 형상이 풀어져서 피하에 직선형으로 삽입되며, 이때 코일형 매선용 실(140)이 요동하며 피하에 삽입되므로 피시술자는 큰 통증을 느끼게 된다. 물론, 이때, 코일형 매선용 실(140)의 삽입부(U)도 동시에 피하에 삽입됨은 물론이다.
또한, 외측관(120)으로 말미암아 니들(110)이 0.15mm 이하의 작은 선경이더라도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측관(120)은 니들(110)과 코일형 매선용 실(140)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주름(L)의 아래까지 니들(110)을 찔러넣은 후, 주름(L)을 눌러서 삽입된 코일형 매선용 실(140)이 압박되도록 한 후, 니들(110)을 뽑아낸다. 그러면, 때에 따라서는 삽입부(U)가 피부(S) 외부로 튀어나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삽입부(U)를 잘라내므로 시술이 완료된다.
따라서, 주름(L) 아래에는 코일형 매선용 실(140)이 잔류하게 되는데, 기존의 단선형 매선용 실에 비해서, 부피가 큰 코일형상이 자리 잡게 된다. 따라서, 콜라겐(C)이 모여들게 되면 콜라겐(C)의 부피가 단선형 매선용 실에 비해서 커지게 된다. 이로 인해서, 주름(L)을 배경기술에 비해서 보다 볼록하게 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주름(L)을 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 6 내지 도 7을 통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니들(110)의 선단(113)이 끼워져서 상기 코일형 매선용 실(140)을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구(R)가 더 구성된다. 상기 지지구(R)는 일례로서 니들(110)이 끼워지는 플레이트, 링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C형상으로서 일측이 개방되므로 수축과 팽창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일형 매선용 실(140)은 스프링 형상으로서 상기 삽입부(U)가 형성된 것으로 제1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또는, 상기 삽입부(U)가 형성되지 않은 것일 수도 있다.그리고, 압축한 후 힘을 제거하면 외측방으로 신장하도록 복원되는 탄성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제2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니들(110)이 코일형 매선용 실(140)에 끼워진 상태에서 압축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구(R)에 의해서 복원이 저지된다. 물론, 이때 상기 삽입부(U)는 니들(110)의 선단(113)을 통해서 니들(110) 속으로 삽입된 상태가 된다. 물론, 상기 삽입부(U)가 형성되지 않은 코일형 매선용 실(140)의 경우에는 일측을 펴서 상기 니들(110) 속으로 삽입시킨다.
이 상태에서, 도 8에서처럼, 주름(L)의 일측방에 니들(110)의 선단(113)을 밀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지지구(R)를 당겨서 제거한다. 이 경우, 상기 지지구(R)가 C형으로서 일측이 개방되므로 측방으로 당겨서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지지구(R)가 C형이 아닐 때에는 지지구(R)를 제거한 다음, 코일형 매선용 실(140)이 튀어나오지 않도록 한 후, 주름(L)의 측방에 밀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한 손으로 외측관(120)을 잡고서, 다른 손으로 니들(110)의 손잡이(115)를 잡고서 피부(S)와 피하조직(K) 사이 또는 피하조직(K)으로 니들(110)을 찔러 넣는다. 이때, 상기 코일형 매선용 실(140)은 내측관(130)에 밀리면서 피하에 매선되며, 외측관(120)에 의해서 압축된 상태로 피하에 삽입 가능하다. 만약, 상기 외측관(120)이 없다면, 코일형 매선용 실(140)이 피부(S)에 밀리면서 펴지게 되고, 이것이 요동하며 피부(S)에 삽입되므로 피시술자는 큰 통증을 느끼게 된다.
이렇게 해서, 코일형 매선용 실(140)을 피하에 삽입한 상태에서 주름(L)을 누른다. 그리고, 니들(110)을 당겨서 인출한다. 그러면, 도 8에서처럼, 주름(L)의 하방에 코일형 매선용 실(140)이 위치하게 된다. 이때, 코일형 매선용 실(140)의 길이 방향은 주름(L)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어긋나도록 한다. 즉, 눈가에 형성된 주름(L)의 경우, 코일형 매선용 실(140)의 길이 방향이 상하방을 향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코일형 매선용 실(140)은 팽창하면서 주름(L)을 펴게 된다. 또는, 상기 주름(L)을 편 상태에서 상기 코일형 매선용 실(140)을 삽입하므로 주름(L)이 상기 코일형 매선용 실(140)에 의해서 오므라드는 현상을 방지하여 주름(L)의 복원을 방지할 수도 있다.
100: 매선시술용 도구 110: 니들
113: 선단 115: 손잡이
120: 외측관 T: 단턱
130: 내측관 135: 전방 종단부
140: 코일형 매선용 실 U: 삽입부
R: 지지구

Claims (5)

  1. 삭제
  2. 관(管) 형상으로서 선단(113)이 첨예하게 형성된 니들(110)과,
    상기 니들(110)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단턱(T)과,
    상기 단턱(T)을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니들(110)이 끼워지도록 형성된 외측관(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턱(T)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니들(110)의 후방에 형성되고 폭이 상기 니들(110)보다 큰 손잡이(115)와,
    상기 니들(110)이 끼워지며 상기 손잡이(115)에 부딪히도록 형성되고 전방 종단부(135)가 상기 단턱(T)이 되고, 상기 외측관(120)에 삽입되는 내측관(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선시술용 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110)에 끼워져서 상기 외측관(120)에 수용되어 상기 단턱(T)에 걸리는 코일형 매선용 실(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선시술용 도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형 매선용 실(140)은 일부가 직선형인 삽입부(U)가 형성되어 상기 니들(110)의 선단(113)을 통해서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선시술용 도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110)의 선단(113)에 끼워져서 코일형 매선용 실(14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구(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선시술용 도구.
KR1020120074591A 2012-07-09 2012-07-09 매선시술용 도구 KR101397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591A KR101397519B1 (ko) 2012-07-09 2012-07-09 매선시술용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591A KR101397519B1 (ko) 2012-07-09 2012-07-09 매선시술용 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193A KR20140007193A (ko) 2014-01-17
KR101397519B1 true KR101397519B1 (ko) 2014-05-27

Family

ID=50141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591A KR101397519B1 (ko) 2012-07-09 2012-07-09 매선시술용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5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2684B1 (ko) 2016-06-30 2018-03-28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리프팅 부재
US11071540B2 (en) 2016-06-30 2021-07-27 Dongbang Medical Co., Ltd. Lifting memb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1208B1 (ko) * 2016-01-28 2017-12-22 주식회사 네오닥터 실 삽입기
KR102205020B1 (ko) * 2017-05-17 2021-01-22 양해생 실 삽입기
KR102116569B1 (ko) * 2018-04-25 2020-05-29 21세기메디칼 주식회사 코일스프링 pdo 및 침관의 결합구조
KR102188304B1 (ko) * 2019-04-18 2020-12-08 주식회사 덕신메디 매선실 내장형 매선도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0618A (ja) * 2005-05-20 2006-11-30 Katsuya Takasu 皮膚の引伸し用糸部材
KR20100090394A (ko) * 2009-02-06 2010-08-16 배태성 근육강화 생분해 섬유사 삽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0618A (ja) * 2005-05-20 2006-11-30 Katsuya Takasu 皮膚の引伸し用糸部材
KR20100090394A (ko) * 2009-02-06 2010-08-16 배태성 근육강화 생분해 섬유사 삽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2684B1 (ko) 2016-06-30 2018-03-28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리프팅 부재
US11071540B2 (en) 2016-06-30 2021-07-27 Dongbang Medical Co., Ltd. Lifting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193A (ko) 2014-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7519B1 (ko) 매선시술용 도구
KR101397513B1 (ko) 주름 제거용 매선 도구
KR101811208B1 (ko) 실 삽입기
US6206889B1 (en) Device for removing anatomical parts by laparoscopy
CN100574711C (zh) 用于外科手术的缝合器
KR101631763B1 (ko) 실 삽입기
KR101773774B1 (ko) 피부 주름 제거를 위한 성형용 실
KR101635581B1 (ko) 메쉬형 리프팅 부재
KR101434976B1 (ko) 생체용 실을 삽입하기 위한 도구
CN101243988B (zh) 自动结扎器
JP2007151615A (ja) 生体用縫合具
KR102237586B1 (ko) 피부 리프팅 실 삽입기
KR101397518B1 (ko) 매선용 탄성실
WO2018035453A1 (en) Ferrule for use with a minimally invasive surgical suturing device
KR101368481B1 (ko) 매선시술용 도구
JP5615112B2 (ja) 臓器固定具及び臓器固定具の導入具
US20090277934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reading needles
KR200397315Y1 (ko) 주름제거 성형용 바늘장치
KR101574244B1 (ko) 매선도구
KR200490989Y1 (ko) 리프팅 시술용 실 삽입장치
KR101502447B1 (ko) 성형수술용 바늘키트
CN113038892A (zh) 鼻子手术用线插入器
KR20180126402A (ko) 실 삽입기
KR102116569B1 (ko) 코일스프링 pdo 및 침관의 결합구조
KR200493306Y1 (ko) 실 삽입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