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8481B1 - 매선시술용 도구 - Google Patents

매선시술용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8481B1
KR101368481B1 KR1020120061808A KR20120061808A KR101368481B1 KR 101368481 B1 KR101368481 B1 KR 101368481B1 KR 1020120061808 A KR1020120061808 A KR 1020120061808A KR 20120061808 A KR20120061808 A KR 20120061808A KR 101368481 B1 KR101368481 B1 KR 101368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thread
tool
grip means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8029A (ko
Inventor
홍유리
Original Assignee
홍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유리 filed Critical 홍유리
Priority to KR1020120061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481B1/ko
Publication of KR20130138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2017/06052Needle-suture combinations in which a suture is extending inside a hollow tubular needle, e.g.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85Sutures hollow or tubu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4Skin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매선시술용 도구(100)는, 관체로서 전방의 선단(113)이 뾰족한 니들(110)과, 상기 니들(110)에서 상기 선단(113)의 상대측에 형성된 손잡이(120)와, 상기 손잡이(120)의 전방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매선용 실(140)을 잡도록 구성된 핑거(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배경기술처럼 그립수단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니들(110)의 선단(113)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그립수단을 통해서 매선용 실(140)이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그립수단의 입자에 의해 매선용 실(140)이 오염되어 인체에 염증이나 알레르기를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그립수단을 손가락으로 집어서 니들(110)의 선단(113)을 상기 그립수단을 통과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매선시술용 도구{IMPLEMENT FOR APTOS}
본 발명은 매선시술용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용이하고 위생적으로 매선용 실을 니들에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한 매선시술용 도구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매선시술용 도구(1)의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매선시술용 도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매선시술용 도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매선시술용 도구로서 피하에 매선용 실을 매선하는 과정을 도시한 시술 예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매선시술이란 매선용 실(20)을 매선시술용 도구(1)에 끼워 피하 또는 피하조직(K)에 삽입하여, 인체의 방어기전과 상처치료기전이 작용하여 매선용 실(20) 주위에 콜라겐(C)이 형성되게 하여 피부(S)에 탄력을 주고 주름(L)을 펴는 시술요법이다.
상기 매선용 실(20)은 봉합사로서 폴리글리콜릭산, 폴리그락틴, 폴리디옥사논, 에틸론, 폴리프로필렌 등의 물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3개월이 경과하면 인체 내에서 분해되어 없어지는 것도 있고, 5년이 경과해야 사라지는 것도 있다.
매선시술용 도구(1)는 상기 매선용 실(20)을 피부(S) 아래에 투입하는 도구로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관(管) 형상으로서 선단(13)이 뾰족하게 형성된 니들(10)이 구성된다. 상기 니들(10)은 선단(130)이 뾰족하게 형성되기 위해서 경사지게 형성된 절단면(17)이 형성되므로 가능하다.
또한, 상기 니들(10)에 끼워져서 매선용 실(20)을 잡아서 당겨주는 그립수단(30)이 구성된다. 상기 그립수단(30)은 알맹이 형상의 스펀지 또는 스치로폼 등이 가능하다.
상기 배경기술로서 시술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매선용 실(20)의 일측을 상기 니들(10)의 선단(13)을 통해서 니들(10)의 내측으로 집어넣는다. 그리고, 매선용 실(20)에서 니들(10)에 삽입되지 않은 상대측을 상부로 올린 후, 상기 선단(13)이 상기 그립수단(30)을 통과하도록 한다. 그러면, 니들(10)의 외측방에 위치하는 매선용 실(20)은 니들(10)과 그립수단(30) 사이에 개재되어 압박된다. 따라서, 매선용 실(20)은 니들(10)에 장착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도 3에서처럼, 주름(L)의 하부에 위치하는 피부(S)와 피하조직(K) 사이 또는 피하조직(K)에 매선시술용 도구(1)를 비스듬하게 피부(S)의 필요부위까지 찔러넣는다. 이때, 상기 절단면(17)이 상방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피시술자의 통증을 줄일 수 있다. 만약, 절단면(17)이 하방을 향한다면 피시술자의 통증이 증가 된다.
이때, 상기 그립수단(30)을 잡고서 후방으로 당기면서 매선용 실(20)이 피하에 니들(10)과 함께 따라 들어가도록 한다. 그러면, 니들(10)의 외부로 노출된 매선용 실(20)은 그립수단(30)에 의해 후방으로 인장되면서 니들(10)과 나란하게 피부(S) 아래에 삽입된다. 만약, 상기 매선용 실(20)이 그립수단(30)에 의해 인장되지 않고 자유상태에서 피하에 삽입된다면 매선용 실(20)은 측방으로 요동하면서 피하에 삽입되므로 피시술자는 통증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상기 통증보다 감소시키기 위해서 그립수단(30)을 사용하게 된다.
만약, 상기 그립수단(30)이 없다면 손으로 봉합사(20)를 손가락으로 잡고서 후방으로 당겨줘야 하는데, 상기 매선용 실(20)은 세미한 선재이므로 손가락으로 잡기가 여의치 않다. 따라서, 상기 그립수단(30)은 이를 보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니들(10)의 상부에 위치하는 피부(S)를 누른 후, 니들(10)을 뽑아내면 니들(10)만 이탈되고, 매선용 실(20)은 피하에 잔류하게 된다. 이때, 간혹 피부(S) 바깥으로 튀어나온 매선용 실(20)은 가위로 잘라낸다.
그러면, 상기 매선용 실(20) 주위에는 콜라겐(C)이 모여들게 되어, 매선용 실(20) 주위는 볼록하게 되어 상기 주름(L)은 펴지게 된다.
상기 배경기술에 의하면, 니들의 선단으로 매선용 실의 일측을 집어넣은 후, 상기 선단(13)으로 그립수단을 통과시킨다. 이때, 상기 매선용 실은 그립수단을 통과하면서 그립수단의 입자가 묻게 되고, 이것은 추후, 시술 시, 인체 내에 흡수되어 염증을 일으키거나 알러지 반응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니들의 선단이 상기 그립수단을 통과할 때 무디어지므로 피시술자에게 통증을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그립수단이 스치로폼 등 단단한 것일 때에는 선단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그립수단은 폭이 대략 2mm 정도의 작은 알맹이이므로 손가락으로 집어서 니들을 통과시키는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니들을 피부에 찔러 넣을 때, 절단면이 상방으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피시술자의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세미한 니들의 선단에서 절단면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돋보기 등을 사용해서 보지 않고서는 확인이 쉽지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노안의 시술자는 더욱 그러하다.
본 발명에 의한 매선시술용 도구는, 관체로서 전방의 선단(113)이 뾰족한 니들(110)과, 상기 니들(110)에서 상기 선단(113)의 상대측에 형성된 손잡이(120)와,상기 손잡이(120)의 전방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매선용 실(140)을 잡도록 구성된 핑거(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핑거는 상기 손잡이의 전방면에서 니들의 상방으로 이격되어 전방으로 연장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전방 종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측방으로 나란히 이격되어 형성된 핀과, 상기 핀의 내측 폭은 니들이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핀의 사이에 상기 니들이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니들의 선단은 경사지게 절단면이 형성되어 뾰족하게 형성되고, 상기 절단면이 상방을 향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니들의 선단을 통해서 내측으로 끼워지도록 형성된 매선용 실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매선시술용 도구는, 배경기술처럼 그립수단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니들의 선단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니들의 선단을 상기 그립수단에 찔러 넣을 때, 상기 선단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그립수단을 통해서 매선용 실이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그립수단의 입자에 의해 매선용 실이 오염되어 인체에 염증이나 알레르기를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그립수단을 손가락으로 집어서 니들의 선단을 상기 그립수단을 통과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플레이트를 하방으로 절곡시키기만 하면 매선용 실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매선시술용 도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매선시술용 도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매선시술용 도구로서 피하에 매선용 실을 매선하는 과정을 도시한 시술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매선시술용 도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매선시술용 도구에 매선용 실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매선시술용 도구에 매선용 실을 장착하는 과정을 단면도로 표현한 공정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구성과 시술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매선시술용 도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매선시술용 도구에 매선용 실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매선시술용 도구에 매선용 실을 장착하는 과정을 단면도로 표현한 공정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매선시술이란 매선용 실(140)을 니들(110)에 장착하여 피하 또는 피하조직(K)에 삽입하여, 인체의 방어기전과 상처치료기전이 작용하여 매선용 실(20) 주위에 콜라겐(C)이 형성되게 하여 피부(S)에 탄력을 주므로 주름(L)을 펴는 시술요법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매선용 실(140)을 용이하고 위생적으로 니들(110)에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매선시술용 도구(100)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관체(管體)로서 전방의 선단(113)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피부(S)를 뚫고 삽입되는 니들(110)이 구성되고, 상기 니들(110)에서 상기 선단(113)의 상대측에 형성된 손잡이(120)가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120)의 전방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매선용 실(140)을 잡도록 구성된 핑거(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핑거(130)는 도 4에서처럼, 상기 손잡이(120)의 전방면에서 니들(110)의 상방으로 이격되어 전방으로 연장된 플레이트(131)가 구성되고, 상기 플레이트(131)의 전방 종단(134)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측방으로 나란히 이격되어 형성된 핀(135)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핀(135)의 내측 폭(V)은 니들(110)이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131)를 하방으로 절곡했을 때, 상기 핀(135) 사이로 니들(110)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때 상기 핀(135) 사이에 개재되는 플레이트(131)의 전방종단(134)은 하방을 향하게 되므로 상기 전방종단(134)과 니들(110) 사이로 지나가는 매선용 실(140)을 압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핀(135) 사이의 전방종단(134)은 일례로 U형으로 형성되어 니들(110)에 용이하게 부합되어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되므로, 매선용 실(140)을 용이하게 붙잡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31)는 절곡되어 접히는 부분에 절곡홈(133)이 오목하게 형성되므로 용이하게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매선시술용 도구(100)에 매선용 실(140)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매선시술용 도구(100)는 일측이 상기 선단(113)을 통해서 니들(110)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 상대측이 상기 핑거(130)와 니들(110) 사이에 개재되어 구성된다. 상기 매선용 실(140)은 니들(110)과 분리되어 구성된 것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매선시술용 도구(100)에 포함되는 매선용 실(140)은 코일형상, 지그재그형상, 다수 개의 가닥이 꼬인 것 등 다양한 형상의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매선시술용 도구(100)는 도 5에서처럼 플레이트(131)가 하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양측 핀(135) 사이에 니들(110)이 삽입된 상태로 구성된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니들(110)의 선단으로 일측이 삽입되고 상대측은 상기 니들(110)과 상기 플레이트(131)의 전방종단(134) 사이에 개재되는 매선용 실(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매선용 실(140)은 상기 니들(110)과 분리되어 구성된 것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니들(110)과 상기 플레이트(131)의 전방종단(134) 사이의 간격은 상기 매선용 실(140)을 붙잡을 수 있고, 상기 매선용 실(140)을 당기면 용이하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조정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120)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니들(110)의 선단(113)은 경사지게 절단면(115)이 형성되어 뾰족하게 형성되고, 상기 절단면(115)이 상방을 향하여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120)는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으로 용이하게 집을 수 있도록 납작하게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절단면(115)과 동일하게 상방으로 향하므로 상기 손잡이(120)를 잡게 되면 저절로 절단면(115)은 상방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120)는 일례로서 합성수지로 상기 니들(110)의 후방에 인서트 사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시술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서처럼, 상기 핑거(130)의 플레이트(131)가 하방으로 절곡되지 않고 전방으로 연장된 경우에는, 상기 니들(110)의 선단(113)으로 매선용 실(140)의 일측을 집어넣은 후, 상대측을 상기 플레이트(131) 아래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절곡홈(133)을 중심으로 플레이트(131)를 하방으로 접는다. 그러면 상기 핀(135) 사이로 니들(110)이 삽입되면서, 상기 플레이트(131)의 전방종단(134)은 매선용 실(140)을 압박하여 고정하게 된다. 즉, 상기 전방종단(134)과 니들(110) 사이에 매선용 실(140)이 개재된 상태가 된다.
또한, 도 5에서처럼, 상기 핑거(130)의 플레이트(131)가 하방으로 절곡된 상태에서는 매선용 실(140)이 상기 선단(113)을 통해서 일측이 삽입되고 상대측은 상기 플레이트(131)의 전방종단(134)과 니들(110)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매선용 실(140)이 장착된 매선시술용 도구(100)를 피시술자의 피부에 찔러넣을 경우, 상기 손잡이(120)를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으로 잡아서 손잡이(120)가 상방을 향하도록 하면, 자연히, 니들(110)의 절단면(115)은 상방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절단면(115)이 상방을 향하도록 신경 쓸 필요가 없다. 이 경우, 노안인 시술자는 니들(110)의 선단(113)을 보지 않고도 상방을 향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렇게 선단(113)의 절단면(115)이 상방을 향하도록 하는 이유는 피시술자의 피부에 니들(110)을 찔러넣을 때, 통증을 경감시키기 위해서이다. 만약, 절단면(115)이 하방을 향하도록 해서 피부에 찌른다면 피시술자는 상기 통증 이상의 아픔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예는 일반 주사바늘을 찌를 때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부터 그 이유를 충분히 알 수 있다.
이렇게 손잡이(120)가 상방을 향하도록 잡고서 피부의 필요 부위에 니들(110)을 찔러 넣는다. 그리고, 상기 핀(135)이 피부에 닿아서 후방으로 젖혀질 때까지 니들(110)을 밀어넣는다. 따라서, 보다 깊숙히 니들(110)을 피부 속으로 밀어 넣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핀(135)은 후방으로 쉽게 휘어지도록 유연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피부를 누른 후, 니들(110)을 뽑아낸다. 그러면 피부에 의해 눌린 매선용 실(140)은 피하에 잔류하고, 니들(110)은 피부 바깥으로 인출된다.
이때, 니들(110)과 플레이트(131)의 전방종단(134)에 개재된 매선용 실(140)은 상기 전방종단(134)과 니들(110) 사이를 이탈해서 빠져나오게 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배경기술처럼 그립수단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니들(110)의 선단(113)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그립수단을 통해서 매선용 실(140)이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그립수단의 입자에 의해 매선용 실(140)이 오염되어 인체에 염증이나 알레르기를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그립수단을 손가락으로 집어서 니들(110)의 선단(113)을 상기 그립수단을 통과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100: 매선시술용 도구 110: 니들
113: 선단 115: 절단면
120: 손잡이 130: 핑거
131: 플레이트 133: 절곡홈
134: 전방종단 135: 핀
140: 매선용 실

Claims (5)

  1. 관체로서 전방의 선단(113)이 뾰족한 니들(110)과,
    상기 니들(110)에서 상기 선단(113)의 상대측에 형성된 손잡이(120)와,
    상기 손잡이(120)의 전방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매선용 실(140)을 잡도록 구성된 핑거(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선시술용 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130)는 상기 손잡이(120)의 전방면에서 니들(110)의 상방으로 이격되어 전방으로 연장된 플레이트(131)와,
    상기 플레이트(131)의 전방 종단(134)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측방으로 나란히 이격되어 형성된 핀(135)과,
    상기 핀(135)의 내측 폭(V)은 니들(110)이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선시술용 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31)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핀(135)의 사이에 상기 니들(110)이 끼워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선시술용 도구.
  4. 제1항에서 제3항까지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20)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니들(110)의 선단(113)은 경사지게 절단면(115)이 형성되어 뾰족하게 형성되고, 상기 절단면(115)이 상방을 향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선시술용 도구.
  5. 제1항에서 제3항까지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110)의 선단(113)을 통해서 내측으로 끼워지도록 형성된 매선용 실(14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선시술용 도구.
KR1020120061808A 2012-06-08 2012-06-08 매선시술용 도구 KR101368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808A KR101368481B1 (ko) 2012-06-08 2012-06-08 매선시술용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808A KR101368481B1 (ko) 2012-06-08 2012-06-08 매선시술용 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029A KR20130138029A (ko) 2013-12-18
KR101368481B1 true KR101368481B1 (ko) 2014-02-28

Family

ID=49984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808A KR101368481B1 (ko) 2012-06-08 2012-06-08 매선시술용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4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406B1 (ko) 2023-01-31 2023-10-11 조현찬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을 이용한 의료용 시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298B1 (ko) * 2014-12-02 2016-07-20 김동진 인체 성형 시술용 도구 세트
KR101688019B1 (ko) * 2015-05-15 2016-12-21 (주)리젠바이오참 캐뉼라의 수술실 고정장치
KR102209091B1 (ko) * 2020-07-16 2021-02-05 김유주 필름 형태의 매선
KR102219693B1 (ko) * 2021-01-22 2021-02-24 김유주 필름 형태의 매선 자입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315Y1 (ko) * 2005-07-20 2005-09-29 남택수 주름제거 성형용 바늘장치
KR100803388B1 (ko) * 2007-06-04 2008-02-13 김동준 생체분해 원사 삽입 키트
US20080108957A1 (en) * 2005-01-07 2008-05-08 Peter Cumbo Surgical Needle And Suture Used Therewith
KR20120072295A (ko) * 2010-12-23 2012-07-03 윤상천 매선침술용(埋線針術用) 바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08957A1 (en) * 2005-01-07 2008-05-08 Peter Cumbo Surgical Needle And Suture Used Therewith
KR200397315Y1 (ko) * 2005-07-20 2005-09-29 남택수 주름제거 성형용 바늘장치
KR100803388B1 (ko) * 2007-06-04 2008-02-13 김동준 생체분해 원사 삽입 키트
KR20120072295A (ko) * 2010-12-23 2012-07-03 윤상천 매선침술용(埋線針術用) 바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406B1 (ko) 2023-01-31 2023-10-11 조현찬 비원형 단면을 갖는 의료용 실을 이용한 의료용 시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029A (ko) 201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8481B1 (ko) 매선시술용 도구
ES2796738T3 (es) Sistema para transección mediante hilo de un ligamento
AU2015238825B2 (en) Side-Loaded Medical Implement Particularly Useful in Arthroscopic Surgery
US9039682B2 (en) Suture securement apparatus
KR101371948B1 (ko) 매선용 침술기
KR101773774B1 (ko) 피부 주름 제거를 위한 성형용 실
KR101631763B1 (ko) 실 삽입기
AU2004206907A1 (en) Flexible wire transection of the transverse carpal ligament
US93810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ad transection of a ligament
KR20160012993A (ko) 횡단 결합부를 갖춘 수술용 봉합 디바이스
KR101396642B1 (ko) 매선 시술용 로프
KR20140007193A (ko) 매선시술용 도구
KR101574244B1 (ko) 매선도구
KR20190059673A (ko) 피부 리프팅용 수술 도구
KR20180126402A (ko) 실 삽입기
KR101344643B1 (ko) 매선용 도구
KR20150039085A (ko) 매선 자입기
KR20140071712A (ko) 매선시술용 니들
KR200480358Y1 (ko) 쌍꺼풀 매몰법용 겸자
KR101413667B1 (ko) 수근관 증후군 치료키트 및 절삭 와이어
KR101944977B1 (ko) 탈모치료용 금실 삽입용 봉합침
TWI528936B (zh) A system for cutting ligaments or soft tissues within the body
CN205885476U (zh) 一套跟腱微创缝合器械
KR101423707B1 (ko) 매선용 탄성실 및 매선용 탄성실의 삽입방법과 매선용 탄성실이 삽입된 매선용 니들
KR20130139421A (ko) 매선 시술용 로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