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091B1 - 필름 형태의 매선 - Google Patents

필름 형태의 매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091B1
KR102209091B1 KR1020200088239A KR20200088239A KR102209091B1 KR 102209091 B1 KR102209091 B1 KR 102209091B1 KR 1020200088239 A KR1020200088239 A KR 1020200088239A KR 20200088239 A KR20200088239 A KR 20200088239A KR 102209091 B1 KR102209091 B1 KR 102209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ine
skin
needle body
derm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주
Original Assignee
김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주 filed Critical 김유주
Priority to KR1020200088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0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63Implantable repair or support meshes, e.g. hernia mes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used for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34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soft tissue reconstr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매선은 납작한 필름 형태의 형상으로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매선의 가로 길이는 상기 매선의 높이 길이보다 5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형태의 매선 자입기는 바닥면이 평평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자입기 본체, 상기 본체의 일 측면에 결합되며, 납작한 필름 형태의 형상을 가지는 니들 바디 및 상기 본체의 상부면과 평행하게 상기 본체의 상부와 결합되는 자입기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매선은 진피층의 두께를 고려한 납작한 필름 형상을 가지고 있어, 매선이 진피층으로 삽입되는 경우에 매선의 일부가 피부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피하 지방쪽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Description

필름 형태의 매선 및 필름 형태의 매선 자입기{Film Type Embedding Thread And Film Type Embedding Thread Tool}
본 발명은 매선 및 매선 자입기에 관한 발명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필름 형태의 모양을 가지는 필름 형태의 매선과 필름 형태의 매선이 피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필름 형태의 매선 자입기에 관한 발명이다.
피부는 가장 바깥층의 표피, 중간층의 진피, 그 아래의 피하조직 이렇게 3개의 층으로 구분되며, 그 중 피부의 탄력, 처짐, 주름의 생성을 결정하는 콜라겐이나 엘라스틴은 대부분 진피층에 존재하므로, 피부탄력의 회복과 노화 예방을 위한 치료는 진피층을 타겟으로 진행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한편, 이러한 노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술, 매선요법, 약물 주입법, 레이저시술 등 여러 가지 시술법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매선요법이 있다.
매선 요법은 일반적으로 원형으로 된 표준규격의 생체 흡수성 매선을 주사 바늘과 함께 피부층에 삽입한 뒤, 매선은 피부 속에 잔존시키고 삽입한 주사 바늘만을 빼내는 시술 방법으로서, 피부 조직에 남아 있는 매선은 수개월에서 수년간 지속적인 기계적 자극으로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생성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전술하였듯이 피부의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생성을 결정하는 곳은 진피층이므로 콜라겐 생성 촉진을 위한 시술들은 진피층을 타겟으로 진행되야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매선의 경우 진피층의 두께를 고려하지 않고 규격화된 원형의 형태를 가지고 있어, 피부에 매선을 자입하는 경우 그 두께와 모양 때문에 피부 외부로 매선이 돌출되거나, 혹은 진피층, 피하지방층, 근육층을 모두 포함하여 자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피부표면의 매선 비침, 이물감 등의 부작용과 콜라겐의 생성을 주도하는 진피층 내부로 자입되지 못한 매선의 부분은 그 부분만큼 콜라겐 생성에 있어서 손실(Loss)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일 실시예에 따른 매선은 앞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발명으로서, 매선의 모형을 진피층의 두께를 고려한 납작한 필름 형태로 제조하여, 매선이 피부 진피층으로 삽입되는 경우에 매선의 일부가 피부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피하 지방쪽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매선 자입기는 매선이 효과적으로 진피층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작된 자입기로서, 자입기의 모형을 필름 형태의 매선에 맞춰 제작함으로써, 매선이 다른 층에 삽입되지 않고 전부가 모두 진피층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형태의 매선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매선에 있어서, 상기 매선의 형상은 납작한 필름 형태의 형상이며, 상기 매선의 가로 길이는 상기 매선의 높이 길이보다 5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가로의 길이는 0.75mm 내지 1.5mm 범위를 포함하고, 높이의 길이는 0.15mm 내지 0.25mm 범위 내에서 변형되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매선은, 콜라겐의 생성을 촉진하고 분해를 억제하는 효과제 및 상기 매선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생체 내 매선의 분해 시간을 연장 시키는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효과제는, 피토플라센타(phyto-placenta), 셀레늄(selenium), 글루타치온(glutathione), 이데베논(idebenone),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tripeptide-1),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나트륨(polydeoxyribonucleotide sodium), 베타글루칸(β-glucan),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알파리포산(alpha-lipoic acid) 및 MGF(multi growth fac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은,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리코라이드,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코라이드, 폴리안하이드라이드(polyanhydride), 폴리오르소에스테르(polyorthoester), 폴리에테르에스테르(polyesteramide), 폴리카프로락톤(polycarprolactone), 폴리에스테르아마이드(polyesteramide), 폴리뷰티릭산, 폴리발레릭 산, 폴리우레탄 및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형태의 매선 자입기는 바닥면이 평평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자입기 본체, 상기 본체의 일 측면에 결합되며, 납작한 필름 형태의 형상을 가지는 니들 바디 및 상기 본체의 상부면과 평행하게 상기 본체의 상부와 결합되는 자입기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니들 바디의 가로 길이는 상기 니들 바디의 높이 길이보다 5배 이상이며, 상기 니들 바디는, 필름 형태의 매선이 외측으로 빠져 나올 수 있도록 일 측면이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 및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뿔 형상으로서, 상기 단부는 볼록한 곡선 형상인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선 자입기는 상기 니들 바디를 복수 개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니들 바디는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본체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니들 바디의 삽입부에는, 상기 니들 바디의 피부층으로의 삽입 정도를 알 수 있도록, 단부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마다 진피층 표시선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형태의 매선은, 매선의 모형이 원형이 아닌 진피층의 두께를 고려한 납작한 필름 형상을 가지고 있어, 매선이 피부에 삽입되는 경우에 매선의 일부가 피부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피하 지방쪽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매선의 손실(loss)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름 형태의 매선의 구성성분으로 피부 타입에 맞춰 즉각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화학적인 효과제와 함께 생체내 분해시간을 연장시키는 생분해성 고분자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콜라겐 생성 및 유지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형태의 매선 자입기는 복수개의 니들이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어, 자입기를 한 번만 삽입하여도 여러 개의 매선이 동시에 진피층으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시술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시술 부위의 부종, 통증 등의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름 형태의 매선의 구조적 특징상 한쪽 부위에 매선이 치우치지 않고 시술 부위 전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시술이 가능하여 체계적이고 촘촘한 콜라겐 그물망 형성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매선과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형태의 매선의 외형을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표피, 진피층 및 피하 지방층을 포함하고 있는 피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형태의 매선을 이용한 매선 시술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형태의 매선을 이용한 매선 시술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형태의 매선 자입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형태의 매선 자입기의 외관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 형태의 매선 자입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며,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매선(1)과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형태의 매선(10)의 외형을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형태의 매선(10)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필름 형태의 매선(10)의 형상은 납작한 필름 형태의 모양을 가지고 있다.
피부는 가장 바깥층의 표피, 중간층의 진피, 그 아래의 피하조직 이렇게 3개의 층으로 구분되며, 그 중 피부의 탄력, 처짐, 주름의 생성을 결정하는 콜라겐, 엘라스틴의 약 90%는 진피층의 섬유아세포에서 형성된다. 따라서, 피부탄력의 회복과 노화 예방을 위한 치료는 진피층을 타겟으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매선(1)을 이용하여 시술을 하는 경우,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피층의 두께를 고려하지 않고 획일적으로 제작된 원형 모형의 매선을 이용하여 시술을 하다 보니 매선이 진피층 내부에 효과적으로 삽입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즉 얼굴의 경우, 표피층의 두께는 약 0.1~0.2mm 정도이며, 진피층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0.5mm ~ 1.2mm임에도 불구하고, 종래 매선의 경우 직경(r)이 1.0mm ~ 1.49mm 인 원형 모형이다 보니 피부 표면에서 진피층까지의 두께보다 매선의 직경이 더 커서, 매선을 진피층에 자입하게 되면 매선의 일부가 피부표면으로 불룩 튀어 나와 시술 후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으며, 얼굴 근육의 움직임에 따라 매선으로 인한 이물감, 매선의 비침 등의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종래의 매선시술은 피하지방층이나 혹은 진피층, 피하지방, 그 아래의 근육층에 걸쳐서 매선을 자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였다.
그러나 피하지방층에는 진피층보다 큰 혈관들이 존재하여 피하지방층으로 매선이 자입될 경우 출혈, 부종, 통증, 멍 등의 부작용이 더 많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콜라겐의 생성을 주도하는 진피층 내부로 자입되지 못하고 피하지방이나 근육층에 걸쳐 자입된 매선의 일 부분은 그 부분만큼 콜라겐 생성에 있어서 손실(Loss)로 작용하기 때문에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더 많은 개수의 매선을 추가 시술해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형태의 매선(10)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발명으로서, 매선(10)의 모형을 종래 기술과 다르게 원형으로 제작하지 않고, 진피층의 두께와 구조를 고려해 얇은 필름 형태의 모형으로 제작함으로써, 매선이 다른 피부층으로 자입되는 손실(Loss)을 줄여 매선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매선의 비침과 이물감, 출혈, 부종, 통증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필름 형태의 매선(10)의 가로의 길이는 진피층에서 작용할 표면적을 넓게 하면서 동시에 피부 지방층으로의 통증, 출혈, 상처 등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0.75mm ~ 1.5 mm 범위 내로 제조될 수 있으며, 매선(10)의 높이의 길이??는 피부 표면에서 진피층까지의 평균 두께 보다 얇도록 0.15mm ~ 0.25mm 범위 내에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범위 내에서 필름 형태의 매선(10)의 가로의 길이(X)와 높이(Y)의 길이의 비율을 5 ~ 6 :1 로 제조하는 경우, 삽입된 매선이 피부 밖으로 돌출되거나 피하 지방층으로 삽입되지 않아 부작용은 줄이고 효과는 극대화하면서 매선의 대부분을 진피층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형태의 매선(10)의 가로의 길이(x)와 높이(y), 세로(z)의 길이는 시술하려는 부위(얼굴, 팔뚝, 허벅지, 복부, 엉덩이 등)의 진피층 두께에 따라 그 굵기와 길이를 달리 하여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얼굴의 피부 진피층의 두께는 대략 1mm이나, 팔의 피부 진피층의 두께는 평균 2.13mm, 허벅지 1.77mm, 복부 2.05mm, 엉덩이 2.31mm 이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형태의 매선(10)은 시술 부위에 따라 그 피부 두께에 맞춰 변형되어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형태의 매선(10)은 피부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매선이 피부의 외부에서 만져지거나 비치지 않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매끈한 형상, 가시 돌기가 있는 형상, 엠보싱이 있는 형상, 콘이 있는 형상, 메쉬 형상, 회오리 및 코일 형상 등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필름 형태의 매선(10)을 제조함에 있어서, 각각의 모서리는 얼굴 움직임에 걸림이 없도록 둥글게 마무리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형태의 매선(10)은 진피층 내부로 필름 형태의 매선(10)이 삽입된 경우, 콜라겐의 생성을 촉진하고 분해를 억제하는 효과제(11)와 매선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생체 내 매선의 분해 시간을 연장 시키는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1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피부의 노화로 손상된 피부탄력을 회복시키고 노화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활성산소의 문제점을 감소시키고, 손상된 콜라겐 엘라스틴 히알루론산과 같은 피부 결합 조직의 재생을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피부 재생을 위하여 화학적 약물만으로 효과제를 만들면, 화학적 약물이 피부에 침투되면서 즉각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그 효과가 일회성으로 끝나고 유지기간이 짧아서 매번 시술을 반복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화학적 약물만을 사용하여 필름 형태로 가공한 효과제의 경우 기계적 강도가 약하여 얇은 막과 같은 필름형태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피부 진피층으로 자입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으며, 어렵게 필름형태의 효과제가 진피층으로 자입 되더라도 기계적 자극이 미비하여 그로 인한 콜라겐 재생효과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형태의 매선(10)은 노화를 예방할 수 있는 화학적 약물로 필름형태의 효과제를 포함하면서 동시에, 효과제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고 생체내 분해시간을 연장하기 위하여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을 효과제 사이에 탐침시키는 방법으로 필름 형태의 매선(10)을 구현하였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형태의 매선(10)은 이러한 화학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제(11)를 포함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피토플라센타(phyto-placenta), 셀레늄(selenium), 글루타치온(glutathione), 이데베논(idebenone),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tripeptide-1),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나트륨 (polydeoxyribonucleotide sodium), 베타글루칸(β-glucan),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알파리포산(alpha-lipoic acid) 및 MGF(multi growth fac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 성분들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효과제(11)에 포함되는 구성 성분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효과제(11)에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성분들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포, 단백질, 핵산, 펩티드, 다당류, 지질, 보톡스, 비타민C 또는 이의 유도체, 레티놀 또는 레티놀 유도체, 알부틴, 아데노신, 카페인, 디오스메틴, 메이스리그난, 아시아티코사이드, 폴리다틴, 진세노사이드, 프란게니딘 및 하이드록시프롤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형태의 매선(10)은 필름 형태의 매선(10)의 강도를 높이면서 동시에 필름 형태의 매선(10)이 진피층 내부에 삽입되는 경우 진피층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고 오래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리코라이드,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코라이드, 폴리안하이드라이드(polyanhydride), 폴리오르소에스테르 (polyorthoester), 폴리에테르에스테르(polyesteramide), 폴리카프로락톤 (polycarprolactone), 폴리에스테르아마이드(polyesteramide), 폴리뷰티릭산, 폴리발레릭산, 폴리우레탄 및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필름 형태의 매선(10)의 생체 적합성, 활성 성분의 흡수 용이성 등의 측면에서 필름 형태의 매선(10)의 구조를 형성하는 생체 적합성 물질로는 폴리락타이드, 폴리 글리코산이 더욱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따라 효과제(11)를 포함하고 있는 필름 형태의 매선(10)이 진피층에 삽입되는 경우, 필름 형태의 매선(10)은 진피층 안에서 체내의 수분과 효소에 의해 분해 되는데, 분해산물은 알코올을 말단기로 가지게 되므로 콜라겐의 생성을 촉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12)의 생체 내 흡수 시간은 6개월 내지 36개월 정도이므로, 필름 효과제만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에 비해 월등히 높은 생체 내 유지기간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물론,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12)의 경우 앞서 나열한 구성 성분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목적에 따라 다양한 성분들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효과제와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필름 형태의 매선(10)의 경우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습식방사(Wet spinning), 건식방사(Dry spinning), 용융방사(Melt spinning), 전기방사(Electro spinning), 기타 방사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도 2와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필름 형태의 매선(10)이 진피층에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필름 형태의 매선(10)을 피부에 자입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형태의 매선 자입기(100)의 니들바디(120)를 피부층에 수직으로 진피층 표시선(122)까지 삽입한 후, 필름 형태의 매선 자입기(100)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도 회전시켜서 피부표면에 평행하게 놓은 후, 니들바디(120)의 일측면이 삽입되어 있는 피부 진피층 안으로 니들 바디(120)를 끝까지 자입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매선(10)이 자입된 위치의 피부표면을 누른 채로, 매선 자입기(100)를 피부층에서 빼내면 매선만이 피부층 안에 남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시술을 하는 경우, 매선이 진피층에 평행하게 삽입되므로, 매선이 피부 바깥쪽 또는 진피층 아래 피하 지방쪽으로 삽입되지 않으며, 일 실시예에 따른 매선(10)의 두께는 진피층의 두께를 초과하지 않으므로, 결국 매선 전부가 진피층 안에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형태의 매선(10)을 이용하여 시술을 하는 경우 종래 기술과 다르게 매선의 손실(loss)이 발생하지 않으며, 매선이 피부 표면에 자입됨으로써 발생되는 이물감과 매선의 피부 비침 등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혈, 부종, 통증, 멍 등의 부작용 또한 줄이게 된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형태의 매선 자입기(10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형태의 매선 자입기(100)의 외관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5와 도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형태의 매선 자입기(100)는 자입기 본체(110), 자입기 본체(110)의 일 측면에 결합되어 피부 속으로 매선(10)을 자입하는 니들 바디(120) 및 자입기 손잡이(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입기 본체(110)는 바닥면이 평평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니들 바디(120)는 자입기 본체(110)의 일 측면에 결합되어 납작한 필름 형태의 형상을 가지고, 자입기 손잡이(130)는 자입기 본체(110)의 상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자입기 본체(110)의 상부와 결합될 수 있다.
매선을 이용하여 시술을 하는 경우, 진피층에 평행하게 매선이 자입되어야 매선이 효과적으로 진피층 내부에 머물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입기 본체(110)의 바닥면이 평평한 직사각형 모형을 가지고 동시에 자입기 손잡이가 자입기 본체(110)의 평행한 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 도 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선 자입기를 90도 회전시킨 후에, 수평 방향으로 자입기의 이동이 가능하므로 진피층에 평행하게 매선을 자입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형태의 매선 자입기(100)는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필름 형태의 매선(10)을 용이하게 피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는바, 필름 형태의 매선(10)을 피부 안으로 삽입시켜 주는 니들 바디(120)의 형상은 필름 형태의 매선(10)의 모형과 비슷한 납작한 필름 형태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니들 바디(120)의 가로 길이는 니들 바디(120)의 높이 길이보다 5배 이상이 될 수 있다.
또한, 니들 바디(120)는 피부와 접촉하여 삽입되는 삽입부(121), 니들 바디(120)의 삽입 정도를 알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마다 선이 표시되어 있는 진피층 표시선(122), 니들 바디(120)가 피부에 삽입된 후 시술자가 피부를 누르면서 니들 바디(120)를 피부 속에서 빼내는 경우, 필름 형태의 매선(10)이 니들 바디(120)의 외측으로 빠져나와 진피층 내부에 머물 수 있도록, 일측면이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123) 를 포함할 수 있다.
니들 바디(120)의 삽입부(121)는,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뿔 형상으로서, 구체적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삽입부(121)가 이러한 형상을 가지는 경우 니들 바디(120)가 피부 속으로 삽입되는 경우에 피부 조직을 비집고 들어가는 방식으로 삽입이 되므로, 단부 내부로 피하 조직이나 혈관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술로 인해 조직이나 혈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또한, 니들 바디(120)의 삽입부(121)에는 니들 바디(120)가 피부층으로 삽입된 경우, 그 삽입 정도를 알 수 있도록, 단부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마다 선이 표시되어 진피층 표시선(122)이 존재한다.
필름 형태의 매선 자입기(100)를 이용하여 필름 형태의 매선(10)을 진피층으로 정확하게 삽입하기 위해서는, 진피층의 깊이를 정확히 알아서 매선(10)을 진피층으로 자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만, 그 진피층의 두께는 매우 얇기 때문에 시술하는 자가 그 깊이를 감으로 측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매선 자입기(100)는 니들 바디(120)가 피부층으로 삽입된 경우, 그 삽입 정도를 알 수 있도록, 단부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마다 진피층 표시선(122)이 표시되어 있다.
얼굴에서 안와부분(약 0.5mm)을 제외한 피부 표면에서 진피층까지의 평균 깊이는 약 1mm정도이므로, 진피층 안으로 니들 바디는 0.9mm 에서 1.1mm 정도로 삽입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따라서, 매선 자입기(100)의 단부에는 단부 끝부터 0.9m(122a), 1.0mm(122b) 및 1.1mm(122c) 되는 거리에 표시선이 표시되어 있어 시술자는 이러한 선을 보고 정확하게 니들 바디(120)를 진피층에 삽입시킬 수 있다.
니들 바디(120)에 표시되는0.9m, 1.0mm 및 1.1mm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 표시되는 지점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시술되는 부위에 따라 표시되는 선의 위치 및 표시선들 끼리의 간격은 그 환경에 맞춰 변형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매선 자입기(100)는 시술시 필름 형태의 매선(1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실홀더(124)를 포함할 수 있다.
실홀더(124)는 니들바디(120)의 개방부(123)를 통해 노출된 실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니들바디(120)의 세로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선 자입기(100)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매선 자입기(100)는 앞서 설명한 니들 바디(120)를 복수 개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니들 바디(120)는 일정한 간격(d)으로 자입기 본체와 결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매선 시술은 한번에 수십개에서 수백개의 매선을 자입해야 하므로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존재한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선 자입기(100)가 복수 개의 니들(120a, 120b, 120c)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니들 바디(120)를 한번 삽입하는 경우 3개의 필름 형태의 매선(10)을 동시에 자입 할 수 있어 시술 시간을 1/3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로 인해 시술 당사자의 시술 부위 부종과 통증이 감소하게 될 뿐만 아니라 시술자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니들 바디(120)는 균일한 간격(d)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매선 시술이 한쪽에 치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시술 부위 전면에 골고루 매선을 자입할 수 있다. 따라서, 시술 부위에 전반적으로 촘촘한 콜라겐 그물망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자입기 본체(110)에 결합되는 니들 바디(120)의 개수는 시술 부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시술 환경에 따라 2개, 4개, 5개 등 다양한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니들 바디(120) 사이의 간격(d)은 0.2mm 내지 0.4mm 범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치로 본 발명의 적용 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균등한 다른 범위도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형태의 매선(10)은 진피층의 두께를 고려한 납작한 필름 형상을 가지고 있어, 필름 형태의 매선(10)이 피부에 삽입되는 경우에 매선의 일부가 피부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피하 지방쪽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형태의 매선 자입기(100)는 납작한 필름 형태의 매선의 모형에 맞춘 니들 바디(120)를 구비하고 있어, 필름 형태의 매선을 진피층 내부에 효과적으로 삽입할 수 있으며, 니들바디(120)의 모형 또한 진피층의 두께를 고려하여 제작되므로 니들바디(120)가 피부에 삽입되는 경우 피하 지방층으로 니들이 삽입되지 않아서 시술 후 후유증이 감소하는 효과가 존재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형태의 매선 자입기(100)는 복수개의 니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어, 매선 자입기를 한 번만 삽입하여도 여러 개의 필름 형태의 매선(10)이 동시에 진피층으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시술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시술 후유증 역시 감소하는 효과가 존재한다. 또한 균일한 간격으로 매선을 자입할 수 있어 진피층 안에서 체계적이고 촘촘한 콜라겐 그물망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동작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동작들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도시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임의의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기술된 구성요소들이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10: 필름 형태의 매선
11: 효과제
12; 고분자 물질
100: 필름 형태의 매선 자입기
110: 자입기 본체
120: 니들 바디
130: 자입기 손잡이

Claims (9)

  1.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매선에 있어서,
    상기 매선의 형상은 납작한 필름 형태의 형상이며, 상기 매선의 가로 길이는 상기 매선의 높이 길이보다 5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형태의 매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선의 가로의 길이는 0.75mm 내지 1.5mm 범위를 포함하고, 높이의 길이는 0.15mm 내지 0.25mm 범위 내에서 변형되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형태의 매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선은,
    콜라겐의 생성을 촉진하고 분해를 억제하는 효과제 및 상기 매선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생체 내 매선의 분해 시간을 연장 시키는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형태의 매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효과제는,
    피토플라센타(phyto-placenta), 셀레늄(selenium), 글루타치온(glutathione), 이데베논(idebenone),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tripeptide-1),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나트륨(polydeoxyribonucleotide sodium), 베타글루칸(β-glucan),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알파리포산(alpha-lipoic acid) 및 MGF(multi growth fac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형태의 매선.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은,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리코라이드,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코라이드, 폴리안하이드라이드(polyanhydride), 폴리오르소에스테르(polyorthoester), 폴리에테르에스테르(polyesteramide), 폴리카프로락톤(polycarprolactone), 폴리에스테르아마이드(polyesteramide), 폴리뷰티릭산, 폴리발레릭 산, 폴리우레탄 및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필름 형태의 매선.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바닥면이 평평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자입기 본체;
    상기 본체의 일 측면에 결합되며, 납작한 필름 형태의 형상을 가지는 니들 바디; 및
    상기 본체의 상부면과 평행하게 상기 본체의 상부와 결합되는 자입기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니들 바디의 가로 길이는 상기 니들 바디의 높이 길이보다 5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형태의 매선 자입기.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바디는,
    필름 형태의 매선이 외측으로 빠져 나올 수 있도록 일 측면이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 및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뿔 형상으로서, 상기 단부는 볼록한 곡선 형상인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형태의 매선 자입기.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매선 자입기는 상기 니들 바디를 복수 개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니들 바디는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형태의 매선 자입기.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바디의 삽입부에는,
    상기 니들 바디의 피부층으로의 삽입 정도를 알 수 있도록, 단부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마다 진피층 표시선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형태의 매선 자입기.
KR1020200088239A 2020-07-16 2020-07-16 필름 형태의 매선 KR102209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239A KR102209091B1 (ko) 2020-07-16 2020-07-16 필름 형태의 매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239A KR102209091B1 (ko) 2020-07-16 2020-07-16 필름 형태의 매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647A Division KR102219693B1 (ko) 2021-01-22 2021-01-22 필름 형태의 매선 자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091B1 true KR102209091B1 (ko) 2021-02-05

Family

ID=74559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239A KR102209091B1 (ko) 2020-07-16 2020-07-16 필름 형태의 매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0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01164B2 (en) * 2004-04-07 2009-10-13 Tze Liang Woffles Wu Surgical thread
KR20130138029A (ko) * 2012-06-08 2013-12-18 홍유리 매선시술용 도구
KR20140121670A (ko) * 2013-04-08 2014-10-16 (주)피앤씨인터내셔널 인체피부에 의료사를 삽입하는데 사용되는 피부 리프팅 도구
KR20170085782A (ko) * 2016-01-15 2017-07-25 인터올리고 주식회사 아텔로 콜라겐을 포함하는 주름 제거용 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01164B2 (en) * 2004-04-07 2009-10-13 Tze Liang Woffles Wu Surgical thread
KR20130138029A (ko) * 2012-06-08 2013-12-18 홍유리 매선시술용 도구
KR20140121670A (ko) * 2013-04-08 2014-10-16 (주)피앤씨인터내셔널 인체피부에 의료사를 삽입하는데 사용되는 피부 리프팅 도구
KR20170085782A (ko) * 2016-01-15 2017-07-25 인터올리고 주식회사 아텔로 콜라겐을 포함하는 주름 제거용 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74438B2 (ja) 皮膚を再表面化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TWI629044B (zh) 皮膚處理裝置
US8376984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to deliver optimal elements in order to enhance the aesthetic appearance of the skin
ES2235723T3 (es) Dispositivo para raspar la piel.
JP7233120B2 (ja) 水溶性微細ニードル粉末とこれを含有する非水系化粧剤組成物
CN110049730A (zh) 组织锚固件
CN108778352B (zh) 皮肤增强手术缝合线
WO2008072229A2 (en) Methods for dermal filling using microneedles
US200801197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scar tissue
KR102114925B1 (ko) 성형 시술용 실 및 이를 이용한 시술도구
KR101486456B1 (ko) 캐뉼라몸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프팅용 캐뉼라,그리고 캐뉼라몸체의 제조방법
US20040267315A1 (en) Braided gold suture and method of use
KR102209091B1 (ko) 필름 형태의 매선
KR20170018541A (ko) 기능성 생체 이식형 의료기기
KR102219693B1 (ko) 필름 형태의 매선 자입기
JP2019528111A (ja) 非侵襲的輸送法
KR100917430B1 (ko) 각면을 구성한 침봉을 가지는 피부자극기
Shukla et al. Treatment of acne and acne scars with microneedling
RU2524610C1 (ru) Косметологический набор для лифтинга мягких тканей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мезонитей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варианты)
JP4249076B2 (ja) 外科針
KR20160066386A (ko) 인체 성형 시술용 도구 세트
RU2186529C2 (ru) Способ коррекции возрастных изменений кожи лица и шеи
KR20140071885A (ko) 피부재생용 금사 주입 장치
KR102585377B1 (ko) 봉합사 삽입 장치
US20240041450A1 (en) Ten-dimensional barbed surgical thr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