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456B1 - 캐뉼라몸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프팅용 캐뉼라,그리고 캐뉼라몸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캐뉼라몸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프팅용 캐뉼라,그리고 캐뉼라몸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456B1
KR101486456B1 KR1020140166363A KR20140166363A KR101486456B1 KR 101486456 B1 KR101486456 B1 KR 101486456B1 KR 1020140166363 A KR1020140166363 A KR 1020140166363A KR 20140166363 A KR20140166363 A KR 20140166363A KR 101486456 B1 KR101486456 B1 KR 101486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annula body
lifting
cannula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웅
임재홍
Original Assignee
(주)트리플씨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트리플씨메디칼 filed Critical (주)트리플씨메디칼
Priority to KR1020140166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4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6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 A61B17/06109Big needles, either gripped by hand or connectable to a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GMAKING NEEDLES, PINS OR NAILS OF METAL
    • B21G1/00Making needles used for performing operations
    • B21G1/08Making needles used for performing operations of hollow needles or needles with hollow end, e.g. hypodermic needles, larding-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2017/06052Needle-suture combinations in which a suture is extending inside a hollow tubular needle, e.g.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6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 A61B2017/061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hollow or tubu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캐뉼라몸체 제조방법은 플레이트 형태의 박판 전방 양측변으로부터 각각 함몰되도록 절단하여 박판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절단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절단부에 의해 외부와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되도록 상기 박판을 원통형으로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개구와 대향되는 바닥면을 심교(deep drawing)하여 상기 개구를 향해 상향경사진 돌출부를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캐뉼라몸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프팅용 캐뉼라,그리고 캐뉼라몸체의 제조방법{CANNULA BODY,CANNULA FOR LIFTING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ANNULA BODY}
본 발명은 캐뉼라몸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프팅용 캐뉼라, 그리고 캐뉼라몸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캐뉼라몸체에 형성된 개구와 대향되는 바닥면을 심교(deep drawing)하여 개구를 향해 상향경사진 돌출부를 구비하는 캐뉼라몸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프팅용 캐뉼라, 그리고 캐뉼라몸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연령 증가와 함께 찾아오는 노화를 절대 피할 수 없다. 외관적 노화현상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피부탄력의 저하와 그로 인한 피부 처짐(주름)이다.
안면주름 제거술의 경우, 보톡스, 필러 등과 같이 약물을 피부에 주입하여 처진 부위를 보다 탄력 있게 만드는 시술과, 성형외과적인 시술로 주름을 당겨 팽팽하게 만드는 시술이 있다. 이 중, 보톡스와 같이 약물을 주입하는 경우에는 일정 시간이 지나게 되면 효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약물을 투여해야하며, 얼굴 근육이 경직되어 표정이 부자연스러워지는 단점이 있다.
성형외과적인 시술 중에서, 체내에서 분해되는 봉합사, 일명 ‘생체분해성 봉합사;bio-degradable suture material’(또는 리프팅 봉합사;lifting suture)를 진피층(SMAS;Superficial Musculo-Aponeurotic System)에 삽입하는 시술법과 기구가 알려져 있다. 생체분해성 봉합사를 원하는 시술부위에 이식하면, 보통 8-10개월 후, 가수분해에 의해 체외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생체분해성 봉합사가 진피층에 삽입되면, 가수분해(hydrolysis)로 완전히 소멸되기 전까지의 8-10개월간 체내에서 섬유아세포 성장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에 의해 세포형태신호변환(mechanotransduction) 효과가 나타난다. 이는 물리적인 자극이 인체 세포를 자극하면 세포가 여러 가지 반응을 하여 조직 구성을 바꾸게 되는 것을 의미하며, 진피층에 삽입된 생체분해성 봉합사에 의해 세포형태신호변환이 촉발되어 콜라겐 생성 증가, 피부탄력 및 혈액순환 개선을 동반한 피부 리프팅 효과가 나타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37399호. 2013. 02. 27.
본 발명의 목적은 리프팅용 봉합사를 개구에 고정하여 진피층(표재근건막층(Superficial Musculo-Aponeurotic System, SMAS)) 내에 삽입 가능한 리프팅용 캐뉼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레이트 형태의 박판에 절단부들을 형성하여 박판을 원형으로 가공함으로써, 각각 상이한 폭을 가지는 개구를 구비하는 리프팅용 캐뉼라몸체를 간편하게 제조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캐뉼라몸체 제조방법은 플레이트 형태의 박판 전방 양측변으로부터 각각 함몰되도록 절단하여 박판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절단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절단부에 의해 외부와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되도록 상기 박판을 원통형으로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개구와 대향되는 바닥면을 심교(deep drawing)하여 상기 개구를 향해 상향경사진 돌출부를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캐뉼라몸체 제조방법은, 상기 가공단계 이전에, 상기 제1 및 제2 절단부 사이에 상기 박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이격되어 절개되는 제1 및 제2 절개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절개라인 사이에 형성된 절개공간을 심교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뉼라몸체 제조방법은, 상기 제1 및 제2 절개라인의 전단부에 각각 연통되어 절개되는 연결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절단부는, 리프팅용 봉합사의 반경보다 큰 폭을 가지는 제1 및 제2 전방절단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전방절단부의 후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전방절단부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제1 및 제2 후방절단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후방절단부의 전단은 상기 제1 및 제2 후방절단부의 후단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리프팅용 캐뉼라몸체는, 전단부에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와 대향되는 바닥면이 외면으로부터 함몰되고 상기 개구를 향해 상향경사진 돌출부를 가지는 중공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돌출부의 후단은 상기 리프팅용 캐뉼라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프팅용 캐뉼라는, 상기 개구의 중심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개구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되는 절개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폭은 상기 개구의 최대폭과 같거나 작으며, 상기 돌출부의 상단은 상기 개구의 전면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프팅용 캐뉼라몸체는 상기 개구와 대향되는 바닥면에 각각 이격되어 절개되는 제1 및 제2 절개라인을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절개라인 사이의 절개공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프팅용 캐뉼라몸체는 상기 제1 및 제2 절개라인의 전단부에 각각 연통되어 절개되는 연결라인을 가지며, 상기 연결라인의 상단은 상기 개구 전단면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리프팅용 캐뉼라는, 전단부에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와 대향되는 바닥면이 외면으로부터 함몰되고 상기 개구를 향해 상향경사진 돌출부를 가지는 중공형의 캐뉼라몸체; 및 상기 캐뉼라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전단이 상기 돌출부 상에 놓여지며,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캐뉼라몸체로부터 돌출되는 코그(가시)들이 표면에 형성되는 리프팅용 봉합사를 포함한다.
상기 개구는, 상기 리프팅용 봉합사의 직경보다 큰 폭을 가지는 제1 개구; 및 상기 제1 개구의 후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개구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제2 개구를 가지며, 상기 캐뉼라몸체를 피부에 삽입할 경우, 상기 코그(가시)들은 상기 제2 개구의 측면 또는 후단에 지지되어 상기 캐뉼라몸체와 함께 상기 피부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각각 상이한 폭을 가지는 제1 및 제2 개구를 통해 리프팅용 봉합사를 지지한 상태에서 봉합사 리프팅 시술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절곡되지 않은 일자형의 리프팅용 봉합사를 진피층에 안전하게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만족스러운 수술결과를 유도하고 통증, 출혈, 수술 후 부작용 등을 최소화하여 리프팅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반대로, 비교적 굵은 리프팅용 봉합사가 절곡된 형상으로 시술에 적용될 경우, 수술 후 환부 피부표면이 볼록해지는 딤플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밖에, 캐뉼라몸체는 개구에 대향되는 바닥면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리프팅용 봉합사는 돌출부 상에 놓여진 상태로 캐뉼라몸체와 함께 진피층 내에 용이하게 삽입이 가능하며, 삽입된 캐뉼라몸체를 피부로부터 제거할 경우, 돌출부를 따라 캐뉼라몸체로부터 인출되고 정방향 코그들을 통해 리프팅용 봉합사를 진피층 내에 고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생체분해성 재질의 리프팅용 봉합사를 사용함으로써, 리프팅용 봉합사의 제거 시술이 필요치 않으므로 이에 따른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용 캐뉼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캐뉼라몸체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캐뉼라몸체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돌출부의 변형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캐뉼라몸체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에 따른 캐뉼라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캐뉼라몸체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한 캐뉼라몸체를 진피층에 삽입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하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일반적으로 봉합사 리프팅이라 함은 리프팅용 봉합사를 인체의 진피층(SMAS;Superficial Musculo-Aponeurotic System)에 삽입하여 처진 피부를 당겨주고 주름을 개선하는 수술법이다. 이와 같이, 피부에 삽입된 리프팅용 봉합사는 생체분해성 물질이므로, 체내 삽입 후 약 8-10개월간의 시간경과에 함께 CO2, H20 등으로 가수분해되어 체외로 배출된다.
체내 잔존기간 중 생체분해성 물질은 캐뉼라 삽입에 의한 상처부위 치유과정으로 면역반응이 나타나고, 동시에 섬유아세포(fibroblast)가 진피층 상처부로 이동하여 섬유아세포의 증식 및 혈관생성이 유도되고 새롭게 콜라겐이 생성되어 피부탄력이 발생한다. 이때, 섬유아세포는 근섬유모세포(myofibroblast)로 분화되어 진피층의 수축을 촉진시킨다. 위와 같은 일련 과정을 인위적으로 유도하여 피부의 탄력과 리프팅 효과를 지향하는 시술법이 바로 봉합사 리프팅 시술법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용 캐뉼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캐뉼라몸체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팅용 캐뉼라(100)는 전단부에 개구(25) 및 개구(25)와 대향되는 바닥면에 돌출부(60)가 형성되는 캐뉼라몸체(20)와 캐뉼라몸체(20)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손잡이부(30), 캐뉼라몸체(20)에 삽입되는 리프팅용 봉합사(10) 및 보호튜브(50)를 포함한다. 보호튜브(50)는 캐뉼라몸체(20) 및 리프팅용 봉합사(10)를 내부에 수용 가능하며, 손잡이부(30)에 결합되어 캐뉼라몸체(20) 및 리프팅용 봉합사(10)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캐뉼라몸체(20)는 내부중공형이며, 전단부에 개구(25)가 형성된다. 또한, 캐뉼라몸체(20)는 개구(25)와 대향되는 바닥면에 돌출부(60)가 형성되며, 돌출부(60)는 개구(25)를 향해 상향경사진 형상을 가진다. 캐뉼라몸체(20)의 전단은 타원형 또는 원형일 수 있으며, 캐뉼라몸체(20)의 전단과 개구(25) 사이의 거리(G)는 최소 간격으로 형성됨으로써 진피층(K)에 불필요하게 삽입되는 캐뉼라몸체(20)의 전단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캐뉼라몸체(20)의 전단은 반구형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돌출부(60)는 개구(25)와 대향되는 바닥면을 개구(25)를 향해 프레스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프레스가공은 심교(深敎, Deep drawing)가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60)는 펀치(도시안함)와 다이스(도시안함)를 이용하여 바닥면을 개구(25)를 향해 밀착시켜 가공할 수 있으며, 가공 중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변형억제판(도시안함)을 개재하여 변형을 억제하면서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캐뉼라몸체(20)의 제조과정은 이어지는 도면을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손잡이부(30)는 캐뉼라몸체(20)의 후단부에 연결되며, 리프팅용 봉합사(10)는 개구(25)를 통해 캐뉼라몸체(20)의 내부를 통과하고 캐뉼라몸체(20)의 내부와 연통되는 연통홀(33)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리프팅용 봉합사(10)의 전단부는 돌출부(60) 상에 놓여진다.
리프팅용 봉합사(10)는 진피층(K)에 흡수 가능한 재료로 사용되며, 예를 들어,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락틱산(Lactic Acid), 글리콜릭산(Glycolic Acid)의 코폴리머 등과 같은 생체분해성 폴리머(고분자재료)일 수 있다. 따라서, 리프팅용 봉합사(10)를 사용하여 진피층(K)에 시술된 후 약 8 내지 10개월 동안 서서히 가수분해되어 배뇨(H2O)와 호흡(CO2)을 통해 체외 배출된다.
리프팅용 봉합사(10)는 표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기울어진 형태의 코그(가시)들(15)을 포함하며, 코그들(15)은 상부를 향해 단면적이 감소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개구(25) 상에 위치하는 개방영역(T1)에 배치된 코그들(15)은 캐뉼라몸체의 후단(또는 손잡이부(30))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정방향 코그'(15a))되어 리프팅용 봉합사(10)가 진피층(K) 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개방영역(T1)의 후단에 연결되는 폐쇄영역(T2)에 위치한 코그들(15)은 캐뉼라몸체(20)의 전단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역방향 코그'(15b))될 수 있다.
캐뉼라몸체(20)에 형성된 개구(25)는 리프팅용 봉합사(10)의 직경보다 큰 폭을 가지는 제1 개구(25a) 및 제1 개구(25a)의 후단에 연결되어 정방향 코그(15a)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제2 개구(25b)를 가질 수 있다. 제1 개구(25a)는 전단에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는 'U'자형일 수 있으며, 제2 개구(25b)는 후단에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는 'U'자 형일 수 있다. 즉, 개방영역(T1)에 배치된 정방향 코그들(15a)은 제2 개구(25b)의 측면 또는 후단에 지지된 상태로 캐뉼라몸체(20)와 함께 진피층(K)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폐쇄영역(T2)에는 정방향 코그(15a)가 포함될 수 있으며, 리프팅용 봉합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역방향 코그(15b)와 정방향 코그(15a)가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정방향 코그(15a) 및 역방향 코그(15b)의 높이는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방영역(T1)에 위치한 정방향 코그(15a)는 개구(25) 상부로 돌출되며, 폐쇄영역(T2)에 배치되는 코그들(15)은 캐뉼라몸체(20)의 내주면에 맞닿은 상태로 수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시하지 않았으나 리프팅용 봉합사(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코그들(15)이 추가로 나열될 수 있다.
따라서, 개구(25)에 놓여진 정방향 코그(15a)는 캐뉼라몸체(20)가 피부표피(S)에 삽입될 경우, 캐뉼라몸체(20)와 함께 진피층(K)으로 용이하게 삽입되며, 캐뉼라몸체(20)를 피부표피(S)로부터 뽑을 경우, 리프팅용 봉합사(10)는 정방향 코그(15a)에 의해 진피층(K)에 걸려 시술부위에 잔류시킬 수 있다.
또한, 리프팅용 봉합사(10)가 진피층(K) 내에 삽입되어 시술자에 의해 당겨진 후, 정방향 코그(15a)와 역방향 코그(15b)는 진피층(K)에 걸려 리프팅용 봉합사(10)의 양방향 이동을 제한하며, 이를 통해 진피층(K)의 당김 효과를 유발함으로써 주름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캐뉼라몸체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돌출부의 변형예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뉼라몸체(20)는 플레이트 형태의 직사각형 박판(P)의 양측변으로부터 각각 함몰되도록 절단하여 제1 및 제2 절단부(70, 71)가 형성되며, 제1 및 제2 절단부(70, 71)는 박판(P)의 전단으로부터 기설정된 간격(G)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1 절단부(70)는 리프팅용 봉합사(10)의 반경보다 큰 폭을 가지는 제1 전방절단부(70a) 및 제1 전방절단부(70a)의 후단에 연결되고 제1 전방절단부(70a)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제1 후방절단부(70b)를 가진다.
또한, 제2 절단부(71)는 리프팅용 봉합사(10)의 반경보다 큰 폭을 가지는 제2 전방절단부(71a) 및 제2 전방절단부(71a)의 후단에 연결되고 제2 전방절단부(71b)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제2 후방절단부(71b)를 가진다. 즉, 박판(P)의 양측 변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절단부(70, 71)는 박판(P)의 중심선(ℓC)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형상을 가진다.
다음으로 박판(P)을 양측변이 접하도록 원통 형상으로 가공하여 양측변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절단부(70, 71)를 통해 개구(25)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 전방절단부(70a, 71a)를 통해 리프팅용 봉합사의 직경보다 큰 폭을 가지는 제1 개구(25a)가 형성되며, 각각의 제1 및 제2 후방절단부(70b, 71b)를 통해 제1 개구(25a)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제2 개구(25b)가 형성된다. 또한, 캐뉼라몸체(20)는 양측변이 접합되는 절개선(21)을 가지며, 절개선(21)을 프레스성형하여 표면이 미려한 캐뉼라몸체(20)를 제조할 수 있다. 이후, 제1 개구(25a)의 전단에 돌출된 박판(P)은 레이저용접을 통해 타원형 또는 원형으로 가공하여 캐뉼라몸체(20) 전단부를 외부로부터 밀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60)는 개구(25)의 전단을 향해 상향경사진 형상(테이퍼진 형상)을 갖도록 심교(深敎, Deep drawing)함으로써 형성되며, 개구(25)와 대향되는 캐뉼라몸체(20)의 바닥면은 외면으로부터 함몰된 형상을 가진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60)는 다이스의 형틀을 변형하여 '∧'형상의 돌출부(60a), 또는 '∩'형상의 돌출부(60b)로 대체될 수 있다. 돌출부(60)의 상단은 개구(25) 전단면보다 낮게 배치됨으로써 리프팅용 봉합사(10)의 전단이 돌출부(60) 상에 놓여진 상태에서 진피층(K)에 캐뉼라몸체(20)를 삽입할 경우, 리프팅용 봉합사(10)는 캐뉼라몸체(20) 내부에 안착되어 캐뉼라몸체(20)와 함께 진피층(K)에 삽입된다.
기존의 관(pipe)형의 캐뉼라몸체(20)는 연마기를 이용하여 삭마하여 직사각형 형상의 폭이 동일한 개구(25)가 형성되도록 가공할 수 있으나, 각각 상이한 폭을 가지는 제1 및 제2 개구(25a, 25b)를 형성시킬 수 없다는 한계성이 있다. 또한, 리프팅용 봉합사(10)가 진피층(K) 내에서 개구(25)를 통해 인출이 용이하도록 돌출부(60)를 형성하기 위해 상향경사면이 구비된 쐐기를 캐뉼라몸체(20) 내부에 삽입하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복잡한 제작과정과 함께 정확한 삽입이 용이하지 않으며, 쐐기의 삽입 후, 캐뉼라몸체(20)의 전단부를 원형으로 제작하는 것도 어려웠다. 뿐만 아니라, 삽입된 쐐기와 캐뉼라몸체(20) 내면 사이의 간극이 발생할 경우, 미세한 두께를 가지는 코그들(15)이 쐐기와 캐뉼라몸체(20) 내면 사이의 간극에 걸려 개구(25) 외부로 인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인 캐뉼라몸체(20)는 플레이트 형태의 박판(P) 양측변으로부터 각각 함몰된 제1 및 제2 절단부(70, 71)를 형성한 상태에서 원통형으로 가공함으로써, 제1 및 제2 절단부(70, 71)를 통해 각각 상이한 폭을 가지는 제1 및 제2 개구(25a, 25b)를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원통형으로 가공된 캐뉼라몸체(20)는 개구(25)와 대향되는 바닥면을 심교(深敎, Deep drawing)하여 캐뉼라몸체(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돌출부(60)를 가짐으로써, 리프팅용 봉합사(10)가 개구(25)를 통해 용이하게 인출이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시술의 완성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돌출부(60)를 형성하는 과정은 플레이트 형태의 직사각형 박판(P) 형태에서 심교하여 돌출부(60)를 형성한 이후, 원통형으로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캐뉼라몸체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뉼라몸체(20)는 개구(25)와 대향되는 바닥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각각 이격되어 절개되는 제1 및 제2 절개라인(80a, 80b)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부(60)는 제1 및 제2 절개라인(80a, 80b) 사이의 절개공간(88)을 개구(25)를 향해 심교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캐뉼라몸체(20)는 플레이트 형태의 직사각형 박판(P)의 양측변으로부터 각각 함몰되도록 절단하여 제1 및 제2 절단부(70, 71)가 형성되며, 제1 및 제2 절단부(70, 71)는 박판(P)의 전단으로부터 기설정된 간격(G)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1 절단부(70)는 리프팅용 봉합사(10)의 반경보다 큰 폭을 가지는 제1 전방절단부(70a) 및 제1 전방절단부(70a)의 후단에 연결되고 제1 전방절단부(70a)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제1 후방절단부(70b)를 가진다.
또한, 제2 절단부(71)는 리프팅용 봉합사(10)의 반경보다 큰 폭을 가지는 제2 전방절단부(71a) 및 제2 전방절단부(71a)의 후단에 연결되고 제2 전방절단부(71b)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제2 후방절단부(71b)를 가진다. 즉, 박판(P)의 양측 변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절단부(70, 71)는 박판(P)의 중심선(ℓC)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형상을 가진다.
이후, 제1 및 제2 절단부(70, 71)의 전단 및 후단을 연결하는 가상선(ℓa ,ℓb) 내부에 위치한 가공면(82)에는 박판(P)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절개하여 제1 및 제2 절개라인(80a, 80b)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 절개라인(80a, 80b)은 서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며, 서로 같은 길이를 갖도록 절개한다. 제1 및 제2 절개라인(80a, 80b) 사이의 간격(d3)은 박판의 양측변에 각각 절단된 제1 및 제2 전방절단부(70a, 71a)의 폭을 합한 거리(d1 + d2) 이하일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60)의 폭은 개구(25)의 최대폭과 같거나 작게 형성된다. 한편, 돌출부(60)는 개구(25)의 전단부에 근접하게 형성하기 위해, 제1 및 제2 전방절단부(70a, 71a)의 전단 및 후단을 연결하는 가상선(도시안함) 내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캐뉼라몸체(20)는 제1 절개라인(80a) 및 제2 절개라인(80b)의 전단부에 각각 연통되어 절개되는 연결라인(85)을 가질 수 있으며, 연결라인(85)의 상단은 제1 개구(25a)의 전단면 후방에 위치하도록 심교함으로써 돌출부(60)가 형성된다. 연결라인(85)은 제1 및 제2 절개라인(80a, 80b)에 수직하도록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방을 향해 굴곡 또는 절곡된 '∩'형상 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박판(P)을 양측변이 접하도록 원통 형상으로 가공하여 양측변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절단부(70, 71)를 통해 개구(25)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 전방절단부(70a, 71a)를 통해 리프팅용 봉합사(10)의 직경보다 큰 폭을 가지는 제1 개구(25a)가 형성되며, 각각의 제1 및 제2 후방절단부(70b, 71b)를 통해 제1 개구(25a)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제2 개구(25b)가 형성된다. 캐뉼라몸체(20)는 양측변이 접합되는 절개선(21)을 가지며, 절개선(21)을 프레스성형하여 표면이 미려한 캐뉼라몸체(20)를 제조할 수 있다. 이후, 제1 개구(25a)의 전단에 돌출된 박판(P)은 레이저용접을 통해 타원형 또는 원형으로 가공하여 캐뉼라몸체(20) 전단부를 외부로부터 밀폐할 수 있다.
원통 형상으로 가공된 캐뉼라몸체(20)는 제1 및 제2 절개라인(80a, 80b) 사이의 절개공간(88)을 심교하여 돌출부(60)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절개라인(80a, 80b)을 형성한 상태에서 원통형으로 가공하며, 제1 및 제2 절개라인(80a, 80b) 사이의 절개공간(88)을 심교하여 돌출부(60)를 형성함으로써 제작과정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연결라인(85)의 상단은 제1 개구(25a)의 전단면보다 낮게 배치됨으로써 리프팅용 봉합사(10)의 전단이 연결라인(85)의 상단에 놓여진 상태에서 진피층(K)에 삽입될 경우, 리프팅용 봉합사(10)는 캐뉼라몸체(20) 내부에 안착되어 캐뉼라몸체(20)와 함께 진피층(K)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돌출부(60)를 형성하는 과정은 플레이트 형태의 직사각형 박판(P) 형태에서 심교하여 돌출부(60)를 형성한 이후, 원통형으로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에 따른 캐뉼라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캐뉼라몸체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캐뉼라몸체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되, 생략된 설명은 전술한 내용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7 및 제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뉼라몸체(20)는 플레이트 형태의 직사각형 박판(P)의 양측변으로부터 각각 함몰되도록 절단하여 제1 및 제2 절단부(70, 71)가 형성되며, 제1 및 제2 절단부(70, 71)는 박판(P)의 전단으로부터 기설정된 간격(G)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1 절단부(70)는 리프팅용 봉합사(10)의 반경보다 큰 폭을 가지는 제1 전방절단부(70a) 및 제1 전방절단부(70a)의 후단에 연결되고 제1 전방절단부(70a)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제1 후방절단부(70b)를 가진다. 제2 절단부(71)는 리프팅용 봉합사(10)의 반경보다 큰 폭을 가지는 제2 전방절단부(71a) 및 제2 전방절단부(71a)의 후단에 연결되고 제2 전방절단부(71b)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제2 후방절단부(71b)을 가진다.
즉, 박판(P)의 양측 변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절단부(70, 71)는 박판(P)의 중심선(ℓC)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형상을 가진다. 제1 및 제2 후방절단부(70b, 71b)의 전단은 제1 및 제2 후방절단부(70b, 71b)의 후단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절개될 수 있다. 따라서, 박판(P)을 원통으로 가공할 경우, 개구(25)는 리프팅용 봉합사(10)의 직경보다 큰 폭을 가지는 제1 개구(25a) 및 제1 개구(25a)의 후단에 연결되어 코그들(15)보다 작은 폭은 폭을 가지는 제2 개구(25b)를 가질 수 있다. 제1 개구(25a)는 전단에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는 'U'자형일 수 있으며, 제2 개구는 후단을 향해 단면적이 감소되는 형상의 'V'자 형일 수 있다.
도 9는 도 2에 도시한 캐뉼라몸체를 진피층에 삽입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프팅용 캐뉼라(100)는 개구(25)와 대향되는 캐뉼라몸체(20)의 바닥면이 전방을 향해 상향경사진 형상(또는 테이퍼(taper)진 형상)의 돌출부(60)를 구비함으로써, 개방영역(T1)에 위치한 정방향 코그들(15a)은 상향경사진 돌출부(60)에 놓여진 상태로 개구(25)를 통해 캐뉼라몸체(20)로부터 돌출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뉼라몸체(20)를 진피층(K)에 삽입할 경우, 개방영역(T1) 후단에 위치한 정방향 코그들(15a)은 제2 개구(25b)보다 작은 폭을 가짐으로써, 정방향 코그들(15a)은 제2 개구(25a)의 측면 또는 후단에 지지되어 캐뉼라몸체(20)와 함께 진피층(K)에 삽입되며, 리프팅용 봉합사(10)의 좌우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시술자는 리프팅용 봉합사(10)를 원하는 부위까지 삽입한 후, 캐뉼라몸체(20)를 진피층(K)으로부터 제거할 경우, 리프팅용 봉합사(10)는 제2 개구(25b)로부터 이탈되고 돌출부(60)를 통해 용이하게 인출되어 진피층(K)에 잔류된다. 진피층(K)에 삽입된 리프팅용 봉합사(10)는 진피층(K)을 당긴 상태로 진피층(K) 내에 잔류하여 주름개선효과를 유지하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리프팅용 봉합사(10)는 인체의 신진대사에 의해 서서히 가수분해된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리프팅용 캐뉼라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10 : 리프팅용 봉합사 20 : 캐뉼라몸체
25 : 개구 30 : 손잡이부
50 : 보호튜브 60 : 돌출부
70 : 제1 절단부 71 : 제2 절단부
80a : 제1 절개라인 80b: 제2 절개라인
82 : 가공면 88 : 절개공간
85 : 연결라인 100 : 리프팅용 캐뉼라

Claims (13)

  1. 플레이트 형태의 박판 전방 양측변으로부터 각각 함몰되도록 절단하여 박판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절단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절단부에 의해 외부와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되도록 상기 박판을 원통형으로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개구와 대향되는 바닥면을 심교(deep drawing)하여 상기 개구를 향해 상향경사진 돌출부를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캐뉼라몸체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뉼라몸체 제조방법은,
    상기 가공단계 이전에, 상기 제1 및 제2 절단부 사이에 상기 박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이격되어 절개되는 제1 및 제2 절개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절개라인 사이에 형성된 절개공간을 심교하여 형성되는, 캐뉼라몸체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뉼라몸체 제조방법은,
    상기 제1 및 제2 절개라인의 전단부에 각각 연통되어 절개되는 연결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캐뉼라몸체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절단부는,
    리프팅용 봉합사의 반경보다 큰 폭을 가지는 제1 및 제2 전방절단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전방절단부의 후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전방절단부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제1 및 제2 후방절단부를 가지는, 캐뉼라몸체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후방절단부의 전단은 상기 제1 및 제2 후방절단부의 후단보다 큰 폭을 가지는, 캐뉼라몸체 제조방법.
  6. 전단부에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와 대향되는 바닥면이 외면으로부터 함몰되고 상기 개구를 향해 상향경사진 돌출부를 가지는 중공형의, 리프팅용 캐뉼라몸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후단은 상기 리프팅용 캐뉼라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리프팅용 캐뉼라몸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용 캐뉼라는,
    상기 개구의 중심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개구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되는 절개선을 가지는, 리프팅용 캐뉼라몸체.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폭은 상기 개구의 최대폭과 같거나 작으며, 상기 돌출부의 상단은 상기 개구의 전면보다 낮게 배치되는, 리프팅용 캐뉼라몸체.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용 캐뉼라몸체는 상기 개구와 대향되는 바닥면에 각각 이격되어 절개되는 제1 및 제2 절개라인을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절개라인 사이의 절개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리프팅용 캐뉼라몸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용 캐뉼라몸체는 상기 제1 및 제2 절개라인의 전단부에 각각 연통되어 절개되는 연결라인을 가지며,
    상기 연결라인의 상단은 상기 개구 전단면의 후방에 위치하는, 리프팅용 캐뉼라몸체.
  12. 전단부에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와 대향되는 바닥면이 외면으로부터 함몰되고 상기 개구를 향해 상향경사진 돌출부를 가지는 중공형의 캐뉼라몸체;
    상기 캐뉼라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전단이 상기 돌출부 상에 놓여지며,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캐뉼라몸체로부터 돌출되는 코그(가시)들이 표면에 형성되는 리프팅용 봉합사를 포함하는, 리프팅용 캐뉼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리프팅용 봉합사의 직경보다 큰 폭을 가지는 제1 개구; 및
    상기 제1 개구의 후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개구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제2 개구를 가지며,
    상기 캐뉼라몸체를 피부에 삽입할 경우, 상기 코그(가시)들은 상기 제2 개구의 측면 또는 후단에 지지되어 상기 캐뉼라몸체와 함께 상기 피부에 삽입되는, 리프팅용 캐뉼라.
KR1020140166363A 2014-11-26 2014-11-26 캐뉼라몸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프팅용 캐뉼라,그리고 캐뉼라몸체의 제조방법 KR101486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363A KR101486456B1 (ko) 2014-11-26 2014-11-26 캐뉼라몸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프팅용 캐뉼라,그리고 캐뉼라몸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363A KR101486456B1 (ko) 2014-11-26 2014-11-26 캐뉼라몸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프팅용 캐뉼라,그리고 캐뉼라몸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6456B1 true KR101486456B1 (ko) 2015-01-26

Family

ID=52592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363A KR101486456B1 (ko) 2014-11-26 2014-11-26 캐뉼라몸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프팅용 캐뉼라,그리고 캐뉼라몸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45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193A (ko) * 2015-05-27 2016-12-07 김동진 인출공 주위에 절곡부를 갖는 시술용 바늘 및 이를 가공하기 위한 장치
KR101746738B1 (ko) 2015-12-24 2017-06-13 유성식 피부 주름 제거를 위한 성형용 실
KR101790938B1 (ko) 2016-09-05 2017-10-27 주식회사 용창 성형용 의료용실 삽입기
KR20180114648A (ko) 2017-04-11 2018-10-19 유원석 피부 리프팅 봉합사 삽입 캐뉼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42566A (ko) * 2016-07-14 2019-04-24 스트라이커 유러피언 홀딩스 아이, 엘엘씨 막힘 감소 팁을 가진 수술 기구용 절개 조립체
KR20200124942A (ko) * 2019-04-25 2020-11-04 김낭래 성형수술용 리프팅 주사바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8549B1 (ko) * 1982-12-06 1990-11-24 킴버얼리-클라아크 코오포레이션 회선식으로 권취된 종이 탐폰 튜브
JP2004535208A (ja) * 2000-12-07 2004-11-25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ッド 塞栓コイル搬送のための血管内バルーンカテーテル
KR101391405B1 (ko) * 2012-02-24 2014-05-02 유-충 창 바늘 유닛
KR200474558Y1 (ko) * 2014-06-24 2014-09-26 홍유리 매선시술용 케뉼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8549B1 (ko) * 1982-12-06 1990-11-24 킴버얼리-클라아크 코오포레이션 회선식으로 권취된 종이 탐폰 튜브
JP2004535208A (ja) * 2000-12-07 2004-11-25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ッド 塞栓コイル搬送のための血管内バルーンカテーテル
KR101391405B1 (ko) * 2012-02-24 2014-05-02 유-충 창 바늘 유닛
KR200474558Y1 (ko) * 2014-06-24 2014-09-26 홍유리 매선시술용 케뉼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193A (ko) * 2015-05-27 2016-12-07 김동진 인출공 주위에 절곡부를 갖는 시술용 바늘 및 이를 가공하기 위한 장치
KR101711907B1 (ko) * 2015-05-27 2017-03-03 김동진 인출공 주위에 절곡부를 갖는 시술용 바늘 및 이를 가공하기 위한 장치
KR101746738B1 (ko) 2015-12-24 2017-06-13 유성식 피부 주름 제거를 위한 성형용 실
KR20190042566A (ko) * 2016-07-14 2019-04-24 스트라이커 유러피언 홀딩스 아이, 엘엘씨 막힘 감소 팁을 가진 수술 기구용 절개 조립체
KR102533518B1 (ko) 2016-07-14 2023-05-17 스트라이커 유러피언 오퍼레이션스 홀딩스 엘엘씨 막힘 감소 팁을 가진 수술 기구용 절개 조립체
KR101790938B1 (ko) 2016-09-05 2017-10-27 주식회사 용창 성형용 의료용실 삽입기
KR20180114648A (ko) 2017-04-11 2018-10-19 유원석 피부 리프팅 봉합사 삽입 캐뉼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24942A (ko) * 2019-04-25 2020-11-04 김낭래 성형수술용 리프팅 주사바늘
KR102268903B1 (ko) 2019-04-25 2021-06-23 김낭래 성형수술용 리프팅 주사바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6456B1 (ko) 캐뉼라몸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프팅용 캐뉼라,그리고 캐뉼라몸체의 제조방법
KR101391659B1 (ko) 의료용 실 및 의료용 실 삽입 장치
JP4987149B1 (ja)
CN104981212A (zh) 局部可逆的带倒钩缝合线
KR101532704B1 (ko) 봉합사 리프팅용 캐뉼라
WO2006099703A2 (en) Surgery thread and surgery thread manufacturing device
KR101237399B1 (ko) 주름 제거 임플란트
KR102114925B1 (ko) 성형 시술용 실 및 이를 이용한 시술도구
KR20210033932A (ko) 신축성 있는 가변부를 갖는 리프팅 실
CN107468291A (zh) 一种美容用倒刺线
JP6887528B2 (ja) 超音波により製作された医療用糸
KR102090211B1 (ko) 봉합사 제조방법
KR101534061B1 (ko) 폭경비가 다른 개구를 구비한 봉합사 리프팅용 캐뉼라
RU2135122C1 (ru) Способ омолаживания кожи
KR101548372B1 (ko) 돌출둔단봉합사를 구비하는 블런트엔드니들
CN219250552U (zh) 一种z型倒刺整形美容提拉线
KR20160137102A (ko) 리프팅용 생체 삽입용 실
KR101796480B1 (ko) 흡수성 봉합사 제조 장치
US20210068825A1 (en) Eight-dimensional barbed surgical thread
KR102301627B1 (ko) 필러 주입형 성형 보형물
KR101936719B1 (ko) 수술용 봉합사 성형 금형
KR101874064B1 (ko) 성형 시술용 실
KR102111776B1 (ko) 관통부를 갖는 의료용 실
US20230020956A1 (en) Twelve-dimensional barbed surgical thread
KR101888929B1 (ko) 시술용 조각 바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