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719B1 - 수술용 봉합사 성형 금형 - Google Patents

수술용 봉합사 성형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719B1
KR101936719B1 KR1020170116631A KR20170116631A KR101936719B1 KR 101936719 B1 KR101936719 B1 KR 101936719B1 KR 1020170116631 A KR1020170116631 A KR 1020170116631A KR 20170116631 A KR20170116631 A KR 20170116631A KR 101936719 B1 KR101936719 B1 KR 101936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mold
lower mold
surgical sutur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엔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엔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엔오테크
Priority to KR1020170116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7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oulding surface, e.g. rib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53Medical equipment;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술용 봉합사 성형 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과 수술시 절개된 부분이나 연부조직의 봉합 및 밀착을 위하여 표면에 미늘(barb)이 형성된 봉합사를 연속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고, 용도에 따라 규격 및 형상을 다양하게 성형할 수 있는 수술용 봉합사 성형 금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봉합사 성형 금형은 상부 중간에 돌출바가 길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바의 상부에 봉합사의 성형을 위한 캐비티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양측으로 다수개의 가이드축이 삽입되도록 다수개의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하부 금형; 상기 하부 금형에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되 다수개로 배열 형성되며, 성형 미늘의 형상을 갖는 성형펀치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금형의 가이드공에 대향되도록 다수개의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상부 금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술용 봉합사 성형 금형{Surgical suture mold}
본 발명은 수술용 봉합사 성형 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과 수술시 절개된 부분이나 연부조직의 봉합 및 밀착을 위하여 표면에 미늘(barb)이 형성된 봉합사를 연속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고, 용도에 따라 규격 및 형상을 다양하게 성형할 수 있는 수술용 봉합사 성형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봉합사는 손상된 근육, 혈관, 신경조직, 상처나 수술절개부의 연결 또는 봉합을 위하여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또한, 봉합사는 쌍꺼풀 수술이나 또는 노화, 피부탄력 감소, 외상, 과용, 괴사 등에 의하여 생기는 조직이나 피부의 처짐, 주름 등을 제거하기 위한 시술 등에도 사용된다.
최근에는 봉합사 표면의 외부에 미늘이 형성된 봉합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봉합사는 미늘에 의한 고정력이 우수하여 칼을 사용하지 않고 바늘과 실로써 얼굴, 턱, 목, 복부, 질, 가슴, 힙 등의 늘어진 피부 및 조직을 올려주고 주름을 당기고 펴주는 기술인 리프팅 시술에 사용되고 있다.
미늘이 형성된 봉합사를 사용할 경우 피부를 과다하게 절개할 필요가 없고 흉터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수술로 인한 출혈이나 부기가 적어 성형 수술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일예가 하기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봉합사 본체를 파지하여 고정시키는 그립수단; 상기 봉합사 본체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봉합사지지판; 상기 봉합사지지판에 지지된 상기 봉합사 본체의 타측면 일부를 절개하여 미늘을 형성시키는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늘 봉합사 제조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봉합사의 표면에 일일이 커팅 가공을 통해 미늘을 형성함으로써 제작 시간 및 효율이 크게 떨어지고, 내구성이 현저히 저하되어 사용기간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미늘의 형상 및 크기가 제한적이므로 인체 조직에 삽입되었을 경우 조직 고정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7162호(2017.07.28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봉합사의 표면에 커팅 가공을 하지 않고, 상호 대향 배치된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통해 미늘을 성형하게 됨으로써 봉합사의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연속 생산이 가능하고 용도에 따라 규격 및 형상을 다양하게 성형할 수 있는 수술용 봉합사 성형 금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봉합사 성형 금형은 상부 중간에 돌출바가 길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바의 상부에 봉합사의 성형을 위한 캐비티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양측으로 다수개의 가이드축이 삽입되도록 다수개의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하부 금형; 상기 하부 금형에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되 다수개로 배열 형성되며, 성형 미늘의 형상을 갖는 성형펀치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금형의 가이드공에 대향되도록 다수개의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상부 금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금형은 상기 성형펀치와 연통되는 개구부를 통해 서로 이웃하여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금형은 상기 성형펀치와 연통되는 원통형의 중공부를 통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봉합사 성형 금형은, 성형 과정에서의 이형성을 개선시키고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한 다양한 규격 및 형상을 갖는 제품을 양산할 수 있으며, 마모 상태에 따라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하여 금형 관리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므로 경제성 및 내구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봉합사 성형 금형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금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금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금형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다른 상부 금형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 금형을 통해 제조된 수술용 봉합사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봉합사 성형 금형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금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금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금형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다른 상부 금형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 금형을 통해 제조된 수술용 봉합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봉합사 성형 금형은 외과 수술시 절개된 부분이나 연부조직의 봉합 및 밀착을 위하여 표면에 미늘이 형성된 봉합사를 연속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고, 용도에 따라 규격 및 형상을 다양하게 성형할 수 있는 것으로, 하부 금형(10)과 상부 금형(20)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수술용 봉합사 제품을 연속 공정에 의해 복수 단위로 성형하는 금형에 관련되며, 금형의 부분 작동, 즉 상부 금형(20) 중에서 성형펀치(21)를 장착 및 분리를 통해 다양한 형상을 지닌 제품을 양산할 수 있으며, 금형의 마모 상태에 따라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하여 금형 관리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수술용 봉합사 재료는 생체 흡수성 의료용 고분자로서,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폴리락트산(poly-(l-lactic)acid),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폴리카브로락톤(polycaprolactone) 및 이들의 공중합체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생체 흡수성 의료용 고분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술용 봉합사 재료는 생체 비흡수성 의료용 고분자로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나일론(nylon) 및 이들의 혼합물 들을 선택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생체 비흡수성 의료용 고분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생체 비흡수성 의료용 봉합사를 제조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금형(10)은 상부 중간에 돌출바(11)가 길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바(11)의 상부에 봉합사의 성형을 위한 캐비티(1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캐비티(12)는 수술용 봉합사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수술용 봉합사 재료가 공급되게 된다.
상기 하부 금형(10)은 상기 돌출바(11)의 양측으로 다수개의 가이드축(30)이 삽입되도록 다수개의 가이드공(13)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축(30)은 상기 하부금형(10) 및 상부 금형(20)의 가이드공(13,22)에 삽입되어 상기 캐비티(12)에 공급된 수술용 봉합사 재료의 정형화된 모양을 형성하기 위해 가이드 및 가압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금형(20)은 상기 하부 금형(10)에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되 다수개로 배열 형성된다.
상기 상부 금형(20)은 성형 미늘의 형상을 갖는 성형펀치(21)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금형(10)의 가이드공(13)에 대향되도록 다수개의 가이드공(2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 금형(20)측이 가동측이 되고 상기 하부 금형(10)측이 고정측이 되며, 상기 상부 금형(20)은 승하강장치(미도시)에 의해 상기 하부 금형(10)을 향해 하강 및 상승하게 된다.
상기 상부 금형(20)은 상기 성형펀치(21)와 연통되는 개구부(23)를 통해 서로 이웃하여 복수개로 분할 형성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금형(20)은 상기 성형펀치(21)와 연통되는 원통형의 중공부(24)를 통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술용 봉합사 성형 금형은, 상기 하부 금형(10)의 캐비티(12)에 수술용 봉합사 재료가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금형(20)에 대해 일정 압력을 가하여 수술용 봉합사 제품을 성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봉합사 성형 금형은 상기 상부 금형(20)과 하부 금형(10)을 통해 봉합사의 표면에 미늘을 성형하게 됨으로써, 봉합사의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연속 생산이 가능하고 용도에 따라 규격 및 형상을 다양하게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성형 과정에서의 이형성을 개선시키고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한 다양한 규격 및 형상을 갖는 제품을 양산할 수 있으며, 마모 상태에 따라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하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봉합사 성형 금형을 통해 제조된 수술용 봉합사는 표면에 커팅 가공을 하지 않고 금형을 통해 미늘을 성형하기 때문에 내구성이 매우 우수하다.
특히, 상기 수술용 봉합사에 형성된 미늘은 봉합사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봉합사 본체의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술용 봉합사는 연부 조직에 삽입 시 표면에 돌출되어 있는 미늘이 삽입 반대 방향으로 조직을 고정하고, 움직임에 따라 물리적 자극을 유발하여 연부 조직 재생을 촉진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미늘의 크기 조절 및 모양 조절이 가능하여 리프팅 같은 의료용 시술에 효과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 하부 금형 11 : 돌출바
12 : 캐비티 13 : 가이드공
20 : 상부 금형 21 : 성형펀치
22 : 가이드공 23 : 개구부
24 : 중공부
30 : 가이드축

Claims (3)

  1. 상부 중간에 돌출바(11)가 길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바(11)의 상부에 봉합사의 성형을 위한 캐비티(12)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바(11)의 양측으로 다수개의 가이드축(30)이 삽입되도록 다수개의 가이드공(13)이 형성되는 하부 금형(10);
    상기 하부 금형(10)에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되 다수개로 배열 형성되며, 성형 미늘의 형상을 갖는 성형펀치(21)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금형(10)의 가이드공(13)에 대향되도록 다수개의 가이드공(22)이 형성되는 상부 금형(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사 성형 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금형(20)은,
    상기 성형펀치(21)와 연통되는 개구부(23)를 통해 서로 이웃하여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사 성형 금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금형(20)은,
    상기 성형펀치(21)와 연통되는 원통형의 중공부(24)를 통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사 성형 금형.
KR1020170116631A 2017-09-12 2017-09-12 수술용 봉합사 성형 금형 KR101936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631A KR101936719B1 (ko) 2017-09-12 2017-09-12 수술용 봉합사 성형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631A KR101936719B1 (ko) 2017-09-12 2017-09-12 수술용 봉합사 성형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6719B1 true KR101936719B1 (ko) 2019-04-10

Family

ID=66163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631A KR101936719B1 (ko) 2017-09-12 2017-09-12 수술용 봉합사 성형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7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6774A1 (en) * 2021-03-03 2022-09-09 Racer Technology Pte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barbed sutur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2125A (ja) * 2011-04-29 2012-11-29 Tyco Healthcare Group Lp 縫合糸にバーブを形成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20160000923A (ko) * 2014-06-25 2016-01-06 지엔에스티주식회사 성형용 봉합사 및 이의 제조 금형장치
KR20160134269A (ko) * 2015-05-15 2016-11-23 (주)리젠바이오참 의료용 봉합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087162A (ko) 2016-01-20 2017-07-28 전성환 미늘 봉합사 제조 장치
KR20170090724A (ko) * 2016-01-29 2017-08-08 이인숙 봉합사, 봉합사의 제조 방법 및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2125A (ja) * 2011-04-29 2012-11-29 Tyco Healthcare Group Lp 縫合糸にバーブを形成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20160000923A (ko) * 2014-06-25 2016-01-06 지엔에스티주식회사 성형용 봉합사 및 이의 제조 금형장치
KR20160134269A (ko) * 2015-05-15 2016-11-23 (주)리젠바이오참 의료용 봉합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087162A (ko) 2016-01-20 2017-07-28 전성환 미늘 봉합사 제조 장치
KR20170090724A (ko) * 2016-01-29 2017-08-08 이인숙 봉합사, 봉합사의 제조 방법 및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6774A1 (en) * 2021-03-03 2022-09-09 Racer Technology Pte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barbed sutur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02786B2 (en) Su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11383007B2 (en) Perforated tissue matrix
ES2709687T3 (es) Suturas de auto-retención con retenedores bidireccionales o retenedores unidireccionales
US201300855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process creating an internal tissue graft for animal and human reconstructive purposes
US20170224460A1 (en) Perforated tissue matrix
KR101855328B1 (ko) 의료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936719B1 (ko) 수술용 봉합사 성형 금형
US202400165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Modified Tissue Graft
KR102090211B1 (ko) 봉합사 제조방법
JP3140303U (ja) 二重瞼手術用ピンセット
KR102307404B1 (ko) 수술용 및 안면 거상술용 봉합사
KR101796480B1 (ko) 흡수성 봉합사 제조 장치
KR101965730B1 (ko) 봉합사 제조방법 및 그 봉합사
KR20160137102A (ko) 리프팅용 생체 삽입용 실
KR102501068B1 (ko) 의료용 봉합사 및 이의 제조장치
CN107041771B (zh) 一种大血管止血闭合器
KR101738442B1 (ko) 흡수성 봉합사의 제조 방법
CN215079218U (zh) 可吸收闭合夹
US202401226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modified tissue graft
KR101888929B1 (ko) 시술용 조각 바늘
RU2153297C2 (ru) Раневой контрактор
WO20201673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modified tissue graft
KR20230160071A (ko) 성형용 리프팅 실
KR20230160072A (ko) 성형용 리프팅 실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