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923A - 성형용 봉합사 및 이의 제조 금형장치 - Google Patents

성형용 봉합사 및 이의 제조 금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923A
KR20160000923A KR1020140078011A KR20140078011A KR20160000923A KR 20160000923 A KR20160000923 A KR 20160000923A KR 1020140078011 A KR1020140078011 A KR 1020140078011A KR 20140078011 A KR20140078011 A KR 20140078011A KR 20160000923 A KR20160000923 A KR 20160000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mold
cavity
cool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8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형종
조재승
정남인
Original Assignee
지엔에스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엔에스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엔에스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8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923A/ko
Publication of KR20160000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9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06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 A61L17/10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용 봉합사 및 이의 제조 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봉합사는 소정길이로 연장된 본체와, 본체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다수의 돌출미늘을 구비하고, 본체 및 돌출돌기는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용 봉합사 및 이의 제조 금형장치는 사출 성형에 의해 봉합사가 제조되므로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이 비교적 짧아 생산성이 우수하고, 합성수지로 제조하므로 보다 견고한 봉합사를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성형용 봉합사 및 이의 제조 금형장치{Suture for plastic surgery and injection mol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성형용 봉합사 및 이의 제조 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된 성형용 봉합사 및 이의 제조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봉합사(suture)는 손상된 근육, 혈관, 신경, 조직 또는 상처나 수술절개부의 연결 또는 봉합을 위하여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또한, 봉합사는 쌍꺼풀 수술이나 또는 노화, 피부탄력 감소, 외상, 과용, 괴사 등에 의하여 생기는 조직(tissue)이나 피부의 처짐, 주름 등을 제거하기 위한 시술 등을 위하여도 사용된다. 봉합사를 사용하는 리프팅 시술은 칼을 사용하지 않고 바늘과 실로써 얼굴, 턱, 목, 복부, 질, 가슴, 힙 등의 늘어진 피부 및 조직을 올려주고 주름을 당기고 펴주는 기술로서, 피부를 과다하게 절개할 필요가 없으며, 흉터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수술로 인한 출혈이나 부기가 적어 각광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표면의 외부에 미늘(barb, cog)이 형성된 봉합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미늘에 의하여 미끌어지지 않는 속성을 가지게 되므로 봉합 후 잘 풀리지 않는 등의 장점이 있다.
봉합사를 사용하는 시술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점 중의 하나는 봉합, 조직의 밀착 또는 지지, 고정 효과를 안정적이고 오래 지속되도록 하기 위하여 시술부위에서 봉합사를 견고하게 유지 고정시키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봉합이 풀리지 않도록 견고한 매듭장치가 필요하고, 신속하고 안전한 시술을 위하여 매듭과정에 드는 시간과 노력을 최소한으로 단축시킬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봉합사는 미국등록특허 5, 584,85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측면부재 및 상기 측면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는 미늘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미늘부재는 인체 조직에 걸리고 측면부재와 함께 인체 조직을 당긴다.
상기 봉합사에 형성된 미늘부재는 봉합사를 하부 지지부재의 상면에 올려놓고 그 봉합사를 클램핑하는 클램핑기구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봉합사의 표면을 소정의 커팅기구에 의하여 소정부분 커팅함으로서 제작된다.
그러나 종래의 봉합사 제조방법은 미늘부재를 제조하기 위해 봉합사의 표면을 소정부분 커팅함으로 제작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용융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하는 성형용 봉합사 및 이의 제조 금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성형용 봉합사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용 봉합사 및 이의 제조 금형장치는 사출 성형에 의해 봉합사가 제조되므로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이 비교적 짧아 생산성이 우수하고, 합성수지로 제조하므로 보다 견고한 봉합사를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용 봉합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의 제조 금형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봉합사의 제조 금형장치의 일부 절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성형용 봉합사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성형용 봉합사 및 이의 제조 금형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용 봉합사(100)가 도시되어 있고, 도 2 내지 도 4에는 성형용 봉합사의 제조 금형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성형용 봉합사(100)는 소정길이로 연장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다수의 돌출미늘(111)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110)는 소정의 외경을 갖고, 소정 길이 연장된 환봉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본체(110)는 성형수술 시 의사의 시술에 의해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0.7mm 이하의 외경을 갖고, 플렉시블한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미늘(111)은 상기 본체(110)와 동일 재질로 형성되고, 본체(110)의 길이방향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때, 돌출미늘(111)들은 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110)의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본체(110) 및 돌출미늘(111)은 봉합사의 제조 금형장치에 의해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성형용 봉합사(100)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므로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이 비교적 짧아 생산성이 우수하고, 합성수지로 제조되므로 보다 견고하게 제작된다는 장점이 있다.
봉합사의 제조 금형장치(10)는 하부고정판(31)에 지지되는 하부금형(30)과, 상기 하부금형(30)과 형합되어 사출을 위한 캐비티(12)를 형성하며 상부고정판(21)에 설치되는 상부금형(20)을 구비한다. 이때, 캐비티(12)는 상기 봉합사(10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금형(3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12)와 인접되는 측에 설치되어 캐비티(12)의 주위와 캐비티로 주입되는 수지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40)와, 반복되는 사출로 하부금형에 설치되어 하부금형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며, 하부금형 외부로의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열차단부를 형성하는 제 1냉각부(50)와, 상기 가열부(40)와 제 1냉각부(50)의 사이에 설치되어 캐비티(12)의 주위와 사출이 완료된 성형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제 2냉각부(60)를 구비한다. 상기 가열부(40)와 제 1,2냉각부(50)(60)는 하부금형에 형성된 것으로 한정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금형(20)에도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금형(30)에 형성된 가열부(40)는 캐비티(12)의 궤적을 따라 제 1유체통로(41)가 형성되고, 이 제 1유체통로(41)에는 스팀 또는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보일러(42)와 제1순환관(43)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제 1유체통로(41)의 출구는 보일러(42)와 제 2순환관(44)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순환관(44)은 응축된 물을 저장하기 위한 응축수 탱크(45)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순환관에는 제1유체통로(41)로의 스팀공급을 단속하기 위한 제 1컨트롤 밸브(46)가 설치된다.
상기 가열부(40)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캐비티(12)와 인접된 측에 설치되는 히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히터의 주위에 별도의 제 1유체통로(4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캐비티의 형상이 상대적으로 복잡하여 가열부가 히터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캐비티(12)와 인접되는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저면(캐비티와 대응되는 면)을 가지는 코어홈이 형성되고, 이 코어홈에는 상기 저면의 형상과 동일한 상면을 가지는 코어 플레이트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코어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캐비티의 주위 및 사출 성형되는 수지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히터가 설치되는데, 이 가열히터는 밴드히터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어 플레이트의 상면 및 코어플레이트의 상면과 대응되는 코어홈의 저면은 대응되는 캐비티(12)의 형상을 따라 동일하게 형성하여 열전달효율을 향상시킴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어플레이트에는 후술하는 제 1냉각부(50)의 제 2유체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제 1냉각부(50)는 반복되는 사출성형으로 인하여 사출금형의 전체가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열된 사출금형의 열이 이를 지지하는 고정플레이트 및 주변장비로 전달되어 열용량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상하부 금형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는 제 1냉각부(50)가 하부금형에 형성된 실시예들을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하부금형(30)의 하면으로부터 캐비티(12) 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는 제 2유체통로(51)들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이 제2유체통로(51)들은 연통공(52)들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2유체통로(51)는 하부금형(30)과 결합되는 차단플레이트(53)에 의해 밀폐되는데, 상기 차단플레이트(53)에는 수직으로 형성된 상기 제 2유체통로(51)에 삽입되는 구획판(54)들이 설치되어 상기 제 2유체통로(51)의 유체흐름 궤적을 길게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구획판(54)의 길이는 상기 제 2유체통로(51)의 형성깊이 보다 짧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1냉각부(50)는 상기 제 2유체통로(51)에 냉각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1냉각매체 공급유닛(55)을 구비한다. 상기 냉각수 공급유닛(55)은 냉각수 또는 냉각오일로 이루어진 냉각매체(56)가 저장되는 냉각매체탱크(57)와, 상기 냉각매체탱크(57)와 제2유체통로(51)를 연결하며 제 1펌프(58)가 냉각매체 제 3순환관(59)을 구비한다. 상기 냉각매체탱크(57)는 손실된 냉각매체(56)를 보충하기 위한 보충수탱크(57a)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매체탱크(57)에는 상기 냉각매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매체 냉각 시스템이 설치될 수 있다. 이 냉각매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시스템은 증발기와 응축기 및 압축기를 가지는 통상적인 냉동 사이클에 의해 구동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냉각부(50)의 제1냉각매체 공급유닛(55)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금형을 짧은 시간 내에 냉각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제2유체통로에 질소를 공급하여 냉각시킬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질소탱크와, 질소를 단속하기 위한 밸브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냉각부(60)는 가열부(40)와 제 1냉각부(50)의 사이에 설치되어 캐비티(12)의 주위와 캐비티(12)에 주입되는 수지를 냉각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유체통로(41)와 제 2유체통로(51)의 사이에 제 3유체통로(61)가 형성된다. 상기 제 3유체통로(61)는 제 1유체통로(41)들의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3유체통로(61)에는 냉각 매체를 공급하는 제 2냉각매체 공급유닛(65)이 설치된다. 상기 제 2냉각매체 공급유닛(65)은 상기 제 1 냉각매체 공급유닛(55)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제 2냉각매체 공급유닛(65)은 냉각수 또는 냉각오일로 이루어진 냉각매체(66)가 저장되는 제 2냉각매체탱크(67)와, 상기 제 2냉각매체탱크(67)와 제3유체통로(61)를 연결하며 제 2펌프(68)가 냉각매체 순환관(69)을 구비한다. 상기 냉각매체탱크(67)에는 상기 냉각매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매체 냉각 시스템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냉각유체 공급유닛은 제 1냉각유체 공급유닛(55)의 제 3순환관(59)으로부터 분리된 분기관(71)을 상기 제 3유체통로(61)에 연결하여 냉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분기관(71)에는 제 3유체통로(61)로의 냉매 공급을 단속하는 제 2컨트롤 밸브(72)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 3유체 통로(61)와 분기관(71)은 스팀보일러의 제 1순환관과 퍼지관(73)에 의해 연결되어 가열부(40)에 의한 가열 시 제 3유체통로(61)의 냉각매체를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컨트롤 밸브는 상기 퍼지관(73)과 분기관(71)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쓰리웨이 밸브로 이루어져 스팀과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의 제조 금형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하부 금형(20)(30)의 온도를 상승시키려면 가열부(40)의 보일러(42)로부터 제 1순환관(43)을 통하여 제 1유체통로(41)에 스팀을 공급하거나 밴드히터(미도시)에 전원을 공급하여 밴드히터를 발열시킨다. 이때에 상기 밴드히터는 캐비티(12)의 형상을 따라 형성된 코어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출금형의 캐비티(12)를 짧은 시간내에 가열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상하부금형(20)(30)이 형합된 상태로 캐비티(12)에는 수지가 주입되어 제품을 성형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 1냉각부(50)의 제 2유체통로(51)에는 지속적으로 냉각유체가 공급되어 하부금형(30) 또는 상부금형의 하부를 냉각시킨다. 이와같은 냉각은 사출 시 상부금형(20)과 하부금형(30)에 열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성형이 완료되면, 상기 제 1유체통로(41)에 스팀의 공급 차단 또는 밴드히터에 전원공급되는 것이 차단되고, 제 3유체통로(61)에 냉각수가 공급되어 캐비티(12)의 주위와 성형된 수지를 냉각시킨다.
그리고 금형이 형분리되어 제품의 취출된 후, 후속사출을 위하여 형합된 후 사출금형, 즉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 형성된 제 1유체통로에 스팀이 공급되어 금형을 가열하게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 2유체통로(51)에는 스팀 또는 별도의 공압수단에 의해 공기가 공급되어 제 2유체통로(51)에 채워진 냉각 매체를 배출하게 된다.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유체통로(51)에는 별도의 스팀이 공급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성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부금형(20) 또는 하부금형(30)에는 열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냉각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반복되는 사출로 금형에 열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봉합사의 제조 금형장치
12: 캐비티
20: 상부금형
21: 상부고정판
30: 하부금형
31: 하부고정판
40: 가열부
50: 제1냉각부
60: 제2냉각부
100: 성형용 봉합사
110: 본체
111: 돌출미늘

Claims (4)

  1. 소정길이로 연장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다수의 돌출미늘;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 및 돌출돌기는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봉합사.
  2. 소정길이로 연장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돌출미늘이 마련된 성형용 봉합사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과 결합되어 상기 봉합사의 사출성형을 위한 캐비티를 형성하는 하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 또는 하부금형의 적어도 일측의 상기 캐비티와 인접된 측에 형성되어 상기 캐비티로 주입되는 합성수지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와;
    상기 상부금형 또는 하부금형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금형 또는 하부금형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냉각부와;
    상기 가열부와 제1냉각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티에 의해 성형되는 수지 및 상기 캐비티 주위를 냉각하기 위한 제2냉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의 제조 금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각부는 상기 하부금형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캐비티 측으로 다수개의 유체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체통로들은 연결통로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하부금형에는 상기 유체통로에 냉각수를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의 제조 금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하부금형에 상기 캐비티와 동일한 형상으로 저면을 가지는 코어홈이 형성되고, 상기 코어홈에 상기 저면의 형상과 동일한 상면을 가지는 코어 플레이트가 삽입되며, 상기 코어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캐비티의 주위 및 사출 성형되는 수지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히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의 제조 금형장치.



KR1020140078011A 2014-06-25 2014-06-25 성형용 봉합사 및 이의 제조 금형장치 KR201600009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011A KR20160000923A (ko) 2014-06-25 2014-06-25 성형용 봉합사 및 이의 제조 금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011A KR20160000923A (ko) 2014-06-25 2014-06-25 성형용 봉합사 및 이의 제조 금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923A true KR20160000923A (ko) 2016-01-06

Family

ID=55164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8011A KR20160000923A (ko) 2014-06-25 2014-06-25 성형용 봉합사 및 이의 제조 금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923A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2424A (ko) * 2015-12-16 2017-06-27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미늘형 봉합사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06012A (ko) 2016-07-08 2018-01-17 김정권 리프팅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01312A (ko) 2018-09-05 2018-09-12 김근식 리프팅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33111A (ko) 2017-06-05 2018-12-13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리프팅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936719B1 (ko) * 2017-09-12 2019-04-10 주식회사 씨엔오테크 수술용 봉합사 성형 금형
KR20190107641A (ko) * 2016-01-29 2019-09-20 삼일테크(주) 봉합사, 봉합사의 제조 방법 및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
KR20190108970A (ko) * 2018-03-16 2019-09-25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리프팅 실, 리프팅 실 제조 장치 및 리프팅 실 제조 방법
KR102053392B1 (ko) * 2018-10-16 2019-12-09 주식회사 엠베이스 성 기능 개선을 위한 의료용 실의 제조방법
KR102067744B1 (ko) * 2019-11-29 2020-01-17 주식회사 엠베이스 성 기능 개선을 위한 의료용 실의 제조방법
KR102107331B1 (ko) 2019-01-10 2020-05-06 이규선 주름진 피부 리프팅 시술용 봉합사 제조금형 및 이 제조금형에 의해 제조된 주름진 리프팅 시술용 봉합사
WO2022186774A1 (en) * 2021-03-03 2022-09-09 Racer Technology Pte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barbed sutures
KR102469897B1 (ko) * 2022-03-15 2022-11-23 박남진 의료용 봉합사, 그 제조방법 및 장치
KR102640305B1 (ko) * 2023-05-24 2024-02-26 (주)동원메디칼 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봉합사 성형용 금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2424A (ko) * 2015-12-16 2017-06-27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미늘형 봉합사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107641A (ko) * 2016-01-29 2019-09-20 삼일테크(주) 봉합사, 봉합사의 제조 방법 및 봉합사 자동 제조 장치
KR20180006012A (ko) 2016-07-08 2018-01-17 김정권 리프팅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33111A (ko) 2017-06-05 2018-12-13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리프팅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936719B1 (ko) * 2017-09-12 2019-04-10 주식회사 씨엔오테크 수술용 봉합사 성형 금형
KR20190108970A (ko) * 2018-03-16 2019-09-25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리프팅 실, 리프팅 실 제조 장치 및 리프팅 실 제조 방법
KR20180101312A (ko) 2018-09-05 2018-09-12 김근식 리프팅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2053392B1 (ko) * 2018-10-16 2019-12-09 주식회사 엠베이스 성 기능 개선을 위한 의료용 실의 제조방법
KR102107331B1 (ko) 2019-01-10 2020-05-06 이규선 주름진 피부 리프팅 시술용 봉합사 제조금형 및 이 제조금형에 의해 제조된 주름진 리프팅 시술용 봉합사
KR102067744B1 (ko) * 2019-11-29 2020-01-17 주식회사 엠베이스 성 기능 개선을 위한 의료용 실의 제조방법
WO2022186774A1 (en) * 2021-03-03 2022-09-09 Racer Technology Pte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barbed sutures
KR102469897B1 (ko) * 2022-03-15 2022-11-23 박남진 의료용 봉합사, 그 제조방법 및 장치
KR102640305B1 (ko) * 2023-05-24 2024-02-26 (주)동원메디칼 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봉합사 성형용 금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0923A (ko) 성형용 봉합사 및 이의 제조 금형장치
CN105555215B (zh) 冷冻治疗系统
US9622814B2 (en) Irrigated ablation catheter system with pulsatile flow to prevent thrombus
CA2649885C (en) Heat exchange catheter with multi-lumen tube having a fluid return passageway
US7621889B2 (en) Heat exchange catheter and method of use
KR20080082612A (ko) 골반저 지지를 위한 조절가능한 질 부목
WO2009149321A1 (en) Balloon catheter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uterine disorders
US20130338709A1 (en) Needle Unit
CN203341811U (zh) 冷盐水灌注消融导管系统
CN104248469A (zh) 冷盐水灌注消融导管系统
JP2004305735A (ja) 凍結切除カテーテル用の機械拡張型螺旋状凍結チップ
CN104334107B (zh) 使用能量的处理器具
KR102258061B1 (ko) 고압증기멸균기
KR101624043B1 (ko) 지혈거즈의 복강 내 삽입 및 반출 장치
KR20230049211A (ko) 안면 리프팅 및 피부재생을 위한 생체흡수성 시술용 봉합사 및 이를 구성하는 원사의 제조 방법
CN208877672U (zh) 微导管塑形熏蒸器
CN107928783A (zh) 低温消融导管、低温消融操作装置及低温消融设备
RU2364346C1 (ru) Способ пластики обширных дефектов кожи
KR101936719B1 (ko) 수술용 봉합사 성형 금형
CN209107565U (zh) 一种无耗材的空气冷冻治疗装置
CN205515159U (zh) 一种腹腔复杂性肾脏手术用降温装置
CN219089410U (zh) 一种加温戳卡
WO2018006384A1 (zh) 一种消融电极
US20230067890A1 (en) Cryoprobe
KR101142715B1 (ko) 골반 내 저온요법을 위한 직장 내 냉각 풍선 카테터 및 그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