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305B1 - 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봉합사 성형용 금형 - Google Patents

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봉합사 성형용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305B1
KR102640305B1 KR1020230066824A KR20230066824A KR102640305B1 KR 102640305 B1 KR102640305 B1 KR 102640305B1 KR 1020230066824 A KR1020230066824 A KR 1020230066824A KR 20230066824 A KR20230066824 A KR 20230066824A KR 102640305 B1 KR102640305 B1 KR 102640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forming
suture
raw material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6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행
이재근
이재영
오성화
장영수
노유선
Original Assignee
(주)동원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원메디칼 filed Critical (주)동원메디칼
Priority to KR1020230066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3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549Coating rod-like, wire-like or belt-like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06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 A61L17/10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14Post-treatment to improve phys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46Details relating to the filling pattern or flow paths or flow characteristics of moulding material in the mould c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77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article consisting of a material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porous, britt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7Mould cavity walls, i.e. the inner surface forming the mould cavity, e.g. linings
    • B29C45/372Mould cavity walls, i.e. the inner surface forming the mould cavity, e.g. linings provided with means for marking or patterning, e.g. numbering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8Yarns or threads for use in medical appl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3/00Modifying the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53Medical equipment;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합사를 성형하는 금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봉합사를 성형함에 있어서, 코그를 성형할 수 있는 코그 성형홈을 하부 금형 측에만 형성하여, 원료가 코그를 성형할 때 자중에 의해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 사이의 틈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봉합사 성형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봉합사 성형용 금형은, 봉합사의 상부를 성형하는 상부 금형, 봉합사의 하부를 성형하는 하부 금형 및 상기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의 내측으로 원료를 주입하는 원료 주입홀을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금형은 내측 하부에 봉합사의 상부를 성형하는 봉합사 상부 성형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금형은 내측 상부에 봉합사의 하부를 성형하는 봉합사 하부 성형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금형에는 봉합사 하부 성형홈 양측으로 봉합사의 코그를 성형할 수 있는 코그 성형홈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봉합사 성형용 금형{Mold for forming sutures that can minimize burrs}
본 발명은 봉합사를 성형하는 금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봉합사를 성형함에 있어서, 코그를 성형할 수 있는 코그 성형홈을 하부 금형 측에만 형성하여, 원료가 코그를 성형할 때 자중에 의해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 사이의 틈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버(burr)를 최소화할 수 있는 봉합사 성형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용 봉합사는 절개된 피부를 봉합하는 용도로서, 외과용 또는 성형 의료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최근에는 미용을 위해 피부에 삽입하여 피부를 리프팅하는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봉합사는 보통 나일론이나 프롤렌 등과 같은 인체 내에서 분해되지 않는 소재를 사용하였으나, 시간이 지나면 이를 제거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장시간 피부에 삽입되어있을 경우 피부 조직과 유착되어 제거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생분해성 물질을 이용해 봉합사를 제조하여 사용하고 있다.
생분해성 물질은 생분해성 폴리머를 사용하게 되는데, 액체 형태로 금형으로 주입되는 원료의 특성상 금형 내부에서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 사이의 틈으로 원료가 유입되면서 다량의 버(burr)가 발생하게 된다.
봉합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이 발생된 버를 후공정을 통해 제거해야 하는데 봉합사의 특성상 직경이 작고 소형의 코그들이 형성되어 있어 제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관련하여 선행문헌 1(공개특허 10-2021-0135438 리프팅 실의 제조 방법)에서는 금형 내부로 실을 공급하고 급형을 폐쇠한 상태로 용융 수지를 공급하여 앵커부가 형성된 리프팅실을 제조할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 1은 실이 공급되는 공간에 의해 틈세로 용융 수지가 유입되어 다량의 버(burr)가 발생할 수 있고, 하나의 수지가 아닌 실과 수지의 결합에 의해 제조함에 따라 성형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선행문헌 1(공개특허 10-2021-0135438 리프팅 실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으로 이루어지고 원료가 유입되어 봉합사와 코그를 함께 성형함에 있어서, 코그를 성형하는 코그 성형홈이 하부 금형에만 형성되어 코그를 성형할 때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 사이의 틈으로 원료가 유입되어 버(burr)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봉합사 성형용 금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봉합사 성형용 금형은, 봉합사의 상부를 성형하는 상부 금형, 봉합사의 하부를 성형하는 하부 금형 및 상기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의 내측으로 원료를 주입하는 원료 주입홀을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금형은 내측 하부에 봉합사의 상부를 성형하는 봉합사 상부 성형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금형은 내측 상부에 봉합사의 하부를 성형하는 봉합사 하부 성형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금형에는 봉합사 하부 성형홈 양측으로 봉합사의 코그를 성형할 수 있는 코그 성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금형은, 봉합사 상부 성형부의 끝부분에 구비되어 성형된 다수개의 봉합사를 연결 고정하는 연결부의 상부를 성형하는 상부측 연결부 성형홈이 형성되고, 하부 금형에서 상기 상부측 연결부 성형홈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연결부의 하부를 성형하는 하부측 연결부 성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부측 연결부 성형홈의 하부로 다수개가 일정 구간 연장되는 것으로, 봉합사가 성형된 후 별도의 인장 장치에 고정하여 인장시킬 수 있는 인장 고정 돌부를 성형하는 인장 고정 돌부 성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봉합사 성형용 금형은, 봉합사를 성형할 때 코그 부분에 발생하는 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원료의 유입을 원활하게 하여 빠르게 주입할 수 있고, 성형홈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원료가 충진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돌출 부분은 모두 하부 금형 측으로 형성하여 원료의 자중에 의해 하부 금형 측으로 유입되어 성형되도록 함에 따라 상부 금형으로 유입되는 원료를 최소화하여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 사이의 틈으로 원료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봉합사 성형용 금형에 의해 성형된 봉합사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봉합사 성형용 금형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봉합사 성형용 금형의 Ⅰ-Ⅰ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봉합사 성형용 금형의 Ⅱ-Ⅱ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봉합사 성형용 금형에서 원료 주입홀에 와류 형성 날개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봉합사 성형용 금형에서 와류 형성 날개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금형에 의해 성형된 봉합사의 확대 이미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봉합사 성형용 금형에 의해 성형된 봉합사의 확대 이미지
본 발명은 의료용 봉합사를 성형하는 금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료용 봉합사를 성형함에 있어서, 시술 부위에 걸리도록 돌출되는 코그를 성형하는 코그 성형홈이 하부 금형 측으로만 형성되어 코그 성형 시 자중에 의해 하부 금형에 충진된 상태로 성형됨에 따라 코그 외측으로 버(burr)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봉합사 성형용 금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봉합사 성형용 금형에 의해 성형된 봉합사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해 성형되는 봉합사(10)는 금형에 의해 사출 성형된 후 별도의 인장 장치를 이용해 인장함에 따라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봉합사(10)의 전체 길이를 형성하는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양측으로 뾰족한 형상을 이루도록 성형되는 코그(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1)와 코그(12)는 하나의 금형에서 다수개가 성형되고, 성형된 봉합사(10)는 몸체(11)의 끝부분을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하는 연결부(13)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3)에는 다수개가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별도의 인장 장치(미도시)에 고정하여 몸체(11)를 인장시킬 수 있는 인장 고정 돌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13)의 외측으로는 얇은 판 형태를 이루며 봉합사(10) 인장 시 연결부(13)가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는 플레이트(1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15)의 외측으로는 인장 장치에 고정하여 봉합사(10) 전체를 지지할 수 있는 고정대(16)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몸체(11)와 연결부(13)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몸체(11)로부터 연결부(13) 측으로 연장될 때 직경이 점차 커지도록 연장되는 깔때기 형태로 이루어져 인장 시 봉합사(10)가 끊어지지 않고 원활한 인장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인장 지지부(11a)가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봉합사 성형용 금형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봉합사 성형용 금형의 Ⅰ-Ⅰ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봉합사 성형용 금형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봉합사(10)의 몸체(11) 상부를 성형하는 상부 금형(100)과, 봉합사(10)의 몸체(11) 하부를 성형하는 하부 금형(200) 및 상부 금형(100)과 하부 금형(200) 내측으로 원료를 주입하는 원료 주입홀(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금형(100)은, 하부 중앙에 형성되어 봉합사(10)의 상부를 성형하는 봉합사 상부 성형홈(110)과, 다수개의 봉합사(10)를 성형하면서 분리되지 않도록 봉합사(10)의 끝부분을 연결 고정하는 연결부(13)를 성형하는 상부측 연결부 성형홈(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측 연결부 성형홈(120)은 단면이 상부로 오목한 반원 형상을 이루며 연결부(13)의 상부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금형(100)에서 상기 상부측 연결부 성형홈(120)의 외측으로는 다수개의 봉합사(10)를 성형한 상태로 인장 장치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대(16)를 성형할 수 있는 것으로, 고정대(16)의 상부를 성형하는 상부측 고정대 성형홈(130)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측 고정대 성형홈(130)은 단면이 상부로 오목한 반원 형상을 이루며 고정대(16)의 상부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 금형(200)은 상면에 상기 봉합사 상부 성형홈(110)과 대응되는 봉합사 하부 성형홈(210)이 형성되고, 봉합사 하부 성형홈(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다수개의 코그 성형홈(220)이 형성된다.
상기 코그 성형홈(220)은 상부 금형(100)에는 성형되지 않으며 하부 금형(20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함몰된 형태로 성형되어 코그(12) 성형 시 원료는 하부 금형(200) 측으로만 유입된다.
이로 인해, 원료가 코그 성형홈(220)으로 유입되되, 상부 금형(100) 측으로 넘치지 않도록 유입되어 상부 금형(100)과 하부 금형(200) 사이에 발생되는 틈으로 원료가 누출되며 버(burr)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하부 금형(200)에는 상기 상부측 연결부 성형홈(120)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연결부(13)의 하부를 성형하는 하부측 연결부 성형홈(23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측 연결부 성형홈(230)의 하부에는 하부측 연결부 성형홈(23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파여지는 인장 고정 돌부 성형부(240)가 형성된다.
상기 인장 고정 돌부 성형부(240)는, 성형 완료 후 별도의 인장 장치에 봉합사(10)를 고정하여 인장시킬 수 있는 인장 고정 돌부(14)를 성형할 수 있는 것으로, 하부 금형(200) 측에서 하부를 향해 파여지도록 가공되어 원료가 자중에 의해 원활하게 유입되며 인장 고정 돌부(14)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봉합사(10)에서 연결부(13)와 고정대(16) 사이에는 연결부(13)와 고정대(16)를 전체적으로 연결하되, 얇은 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균일한 힘으로 고정대(16)와 연결부(13) 사이를 지지할 수 있는 플레이트(15)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 금형(200)에는 상기 플레이트(15)가 성형되는 것으로, 하부 금형(20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구간 하부로 함몰되어 플레이트(15)를 성형하는 플레이트 성형홈(250)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 금형(200)에서 상기 상부측 고정대 성형홈(130)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하부측 고정대 성형홈(260)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13)와 고정대(16)는 각각 원형의 봉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연결부(13)와 고정대(16)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부는 상부 금형(100)에 의해 성형되고, 하부는 하부 금형(200)에 의해 성형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 금형(100)과 하부 금형(200)은 결합되며 내부에 봉합사(10)가 성형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원료 주입홀(300)을 통해 상부 금형(100)과 하부 금형(200)이 서로 결합되어 닫힌 상태에서 원료를 주입하여 봉합사(10)의 몸체(11)와 그 양측으로 구비되는 코그(12)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봉합사 상부 성형홈(110)과 봉합사 하부 성형홈(210)에는 각각 원료가 주입될 때 원활한 주입이 가능하도록 원료를 유도하는 상부측 원료 주입 유도부(111) 및 하부측 원료 주입 유도부(211)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측 원료 주입 유도부(111)와 하부측 원료 주입 유도부(211)는 상부 금형(100)과 하부 금형(2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측 연결부 성형홈(120)과 하부측 연결부 성형홈(230)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깔때기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봉합사 성형용 금형에서 원료 주입홀에 와류 형성 날개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원료 주입홀(300)에는 원료가 주입될 때, 와류를 형성하여 보다 원활한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와류 형성 날개(3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와류 형성 날개(310)는, 원료가 주입되는 방향에서 회전 방향으로 틀어지게 구비되어 원료가 주입되는 경로에서 와류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와류 형성 날개에 의해 원료는 주입 과정에서 와류를 일으키며 상부 금형(100)과 하부 금형(200) 내측으로 빠르게 주입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봉합사 성형용 금형에서 와류 형성 날개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와류 형성 날개(310)는, 원료가 주입되는 방향을 따라 일정 구간동안 구비되며 다수개의 날개 형태가 비틀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와류 형성 날개(310)는 원료가 주입되는 경로에서 최초 원료가 유입되는 앞쪽 부분은 두꺼운 날개 형태를 이루는 주입부(311)가 형성되고 뒤로 갈수록 점차 얇아지며 배출부(31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원료 주입홀(300)은 상부 금형(100)에서 상부로부터 원료가 주입되도록 일측에 형성되고, 원료 주입홀(300)이 형성된 타측에는 원료가 주입될 때 상부 금형(100)과 하부 금형(200)이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에어 벤트(400)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주입부(311) 측의 단면적은 주입 경로에서 일시적으로 좁아졌다가 배출부(312)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며 벤츄리 효과를 발생시켜 유속을 빠르게 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일방향으로 비틀어진 형상에 의해 원료는 와류를 형성하며 주입되어 빠르게 상부 금형(100)과 하부 금형(200) 내부로 주입될 수 있게 된다.
도 7은 종래의 금형에 의해 성형된 봉합사의 확대 이미지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봉합사 성형용 금형에 의해 성형된 봉합사의 확대 이미지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종래의 금형에 의해 성형된 봉합사는 코그 주변으로 다량의 버(burr)가 발생된다.
버(burr)가 다량으로 발생될 경우, 버를 제거하기 위한 후작업이 필요하게 되고, 버가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인장을 하게 되면, 버에 의해 코그가 인장되지 않고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봉합사 성형용 금형에 의해 제조된 봉합사는 코그 주변에 버가 거의 발생되지 않아 별도로 버를 제거할 필요가 없고, 인장 시 코그 부분도 원활하게 인장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원료가 유입되되, 코그 성형홈과 인장 고정 돌부 성형부 및 플레이트 성형홈 등이 하부 금형 측에 형성되어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 사이의 틈으로 원료가 넘치며 유입되어 버(burr)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10 : 봉합사 11 : 몸체
12 : 코그 13 : 연결부
14 : 인장 고정 돌부 15 : 플레이트
16 : 고정대 100 : 상부 금형
110 : 붕합사 상부 성형홈 120 : 상부측 연결부 성형홈
130 : 상부측 고정대 성형홈 200 : 하부 금형
210 : 봉합사 하부 성형홈 220 : 코그 성형홈
230 : 하부측 연결부 성형홈 240 : 인장 고정 돌부 성형부
250 : 플레이트 성형홈 260 : 하부측 고정대 성형홈
300 : 원료 주입홀 310 : 와류 형성 날개
311 : 주입부 312 : 배출부
400 : 에어 벤트

Claims (3)

  1. 봉합사(10)의 상부를 성형하는 상부 금형(100);
    봉합사(10)의 하부를 성형하는 하부 금형(200); 및
    상기 상부 금형(100)과 하부 금형(2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 금형(100)과 하부 금형(200)의 내측으로 원료를 주입하는 원료 주입홀(300);을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금형(100)은 내측 하부에 봉합사(10)의 상부를 성형하는 봉합사 상부 성형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금형(200)은 내측 상부에 봉합사(10)의 하부를 성형하는 봉합사 하부 성형홈(210);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금형(200)에는 봉합사 하부 성형홈(210) 양측으로 봉합사(10)의 코그를 성형할 수 있는 코그 성형홈(220);이 형성되고,
    상기 원료 주입홀(300)에는 원료가 주입될 때, 와류를 형성하여 원활한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와류 형성 날개(310)가 구비되되,
    상기 와류 형성 날개(310)는, 원료가 주입되는 방향을 따라 일정 구간동안 구비되며 다수개의 날개 형태가 비틀어지는 형태를 이루고, 원료가 주입되는 경로에서 최초 원료가 유입되는 앞쪽 부분은 두꺼운 날개 형태를 이루는 주입부(311)가 형성되고 뒤로 갈수록 점차 얇아지며 배출부(312)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금형(100)은, 봉합사 상부 성형홈(110)의 끝부분에 구비되어 성형된 다수개의 봉합사(10)를 연결 고정하는 연결부(13)의 상부를 성형하는 상부측 연결부 성형홈(120)이 형성되고, 하부 금형(200)에서 상기 상부측 연결부(13) 성형홈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연결부(13)의 하부를 성형하는 하부측 연결부 성형홈(230)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측 연결부 성형홈(230)의 하부로 다수개가 일정 구간 연장되는 것으로, 봉합사(10)가 성형된 후 별도의 인장 장치에 고정하여 인장시킬 수 있는 인장 고정 돌부(14)를 성형하는 인장 고정 돌부 성형부(2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봉합사 성형용 금형.
  2. 삭제
  3. 삭제
KR1020230066824A 2023-05-24 2023-05-24 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봉합사 성형용 금형 KR102640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6824A KR102640305B1 (ko) 2023-05-24 2023-05-24 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봉합사 성형용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6824A KR102640305B1 (ko) 2023-05-24 2023-05-24 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봉합사 성형용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0305B1 true KR102640305B1 (ko) 2024-02-26

Family

ID=90058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6824A KR102640305B1 (ko) 2023-05-24 2023-05-24 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봉합사 성형용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30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2545B2 (ja) * 2000-02-23 2005-03-23 豊田合成株式会社 成形用金型
KR20130086203A (ko) * 2010-06-14 2013-07-31 포리프라스틱 가부시키가이샤 금형의 제조방법
KR20160000923A (ko) * 2014-06-25 2016-01-06 지엔에스티주식회사 성형용 봉합사 및 이의 제조 금형장치
KR101926311B1 (ko) * 2018-07-12 2018-12-06 이길행 사출 후 수중 연신하여 기계적 강도와 유연성을 개선한 의료용 봉합사 제조방법
KR20210115208A (ko) * 2020-03-12 2021-09-27 허남욱 핫러너 사출금형의 노즐 장치
KR20210135438A (ko) 2020-03-30 2021-11-15 진오메카디칼 주식회사 리프팅 실의 제조 방법
KR102506968B1 (ko) * 2022-09-27 2023-03-07 (주)동원메디칼 고기능 봉합사 제조용 생분해성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기능 봉합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2545B2 (ja) * 2000-02-23 2005-03-23 豊田合成株式会社 成形用金型
KR20130086203A (ko) * 2010-06-14 2013-07-31 포리프라스틱 가부시키가이샤 금형의 제조방법
KR20160000923A (ko) * 2014-06-25 2016-01-06 지엔에스티주식회사 성형용 봉합사 및 이의 제조 금형장치
KR101926311B1 (ko) * 2018-07-12 2018-12-06 이길행 사출 후 수중 연신하여 기계적 강도와 유연성을 개선한 의료용 봉합사 제조방법
KR20210115208A (ko) * 2020-03-12 2021-09-27 허남욱 핫러너 사출금형의 노즐 장치
KR20210135438A (ko) 2020-03-30 2021-11-15 진오메카디칼 주식회사 리프팅 실의 제조 방법
KR102506968B1 (ko) * 2022-09-27 2023-03-07 (주)동원메디칼 고기능 봉합사 제조용 생분해성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기능 봉합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23492T3 (es) Procedimiento de fijación de hilos de tracción, en las extremidades de un ligamento protético
AU2002311184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outer tube of injector
RU2527576C2 (ru) Катетер, отлитый под давлением
KR101472943B1 (ko) 피부 주름 성형용 캐뉼라 및 그 제조 방법
RU230174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щетинок
CN1674956A (zh) 无针接口及其制造方法
PL206067B1 (pl) Sposób wytwarzania struktury szczecin na nośniku
CN101031412A (zh) 用于注射成型人工晶状体装置的设备和方法
BR0112332B1 (pt) método para produzir material de escova, e material de escova.
KR102640305B1 (ko) 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봉합사 성형용 금형
JP5069413B2 (ja) 長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成形材料用含浸ダイ及びそれを用いた製造方法
JP2015123076A (ja) 釣竿
US5516100A (en) FRP racket fram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2163830B1 (ko) 리프팅 실, 리프팅 실 제조 장치 및 리프팅 실 제조 방법
CN104663599B (zh) 钓竿用竿梢及具有该竿梢的钓竿
JP6422106B2 (ja) 釣竿及び当該釣竿を穂先竿として先端に使用した継竿
KR850001110B1 (ko) 직기의 잉아어셈블리
KR102109085B1 (ko) 리프팅 실 및 그 제조방법
WO2019207528A1 (en) Microneedle arrays, and methods and systems of producing microneedle arrays having a branched material
EP0792960A1 (en) Tape head for a gripper loom, and a method for its construction
KR102609840B1 (ko) 간접열을 이용한 의료용 봉합사 연신 장치
KR102254094B1 (ko) 선타발 후인장 가공방식을 이용하여 제작성과 사용성이 개선된 의료용 실 제조방법
JP4272903B2 (ja) 外套シース付き内視鏡の透明キャップの製造方法
JP6030049B2 (ja) 釣竿
JP2015123074A (ja) 釣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