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110B1 - 직기의 잉아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직기의 잉아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50001110B1 KR850001110B1 KR8203620A KR820003620A KR850001110B1 KR 850001110 B1 KR850001110 B1 KR 850001110B1 KR 8203620 A KR8203620 A KR 8203620A KR 820003620 A KR820003620 A KR 820003620A KR 850001110 B1 KR850001110 B1 KR 8500011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p
- assembly
- attachment
- openings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6—Heald frames
- D03C9/0608—Construction of frame parts
- D03C9/0616—Horizontal upper or lower rods
- D03C9/0633—Heald bars or their connection to other frame part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2—Heald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6—Heald frame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6—Heald frames
- D03C9/0691—Arrangements of means for damping or noise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Auxiliary Weaving Apparatuses, Weavers' Tools, And Shutt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직기네에 사용하는 재래식 잉아어셈블리의 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잉아어셈블리로서, 직기내에서 사용하는 잉아어셈블리의 제1실시예의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선(3-3)에 따라 화살표의 방향에서 본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선(4-4)을 따라 화살표의 방향으로 본 단면도.
제5도는 제2도의 선(5-5)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
제6도는 제1도의 실시예를 변경한 제3도와 유사한 단면도.
제7도는 제1도의 실시예를 변경한 것과 잉아용 정지부제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제2도와 유사한 정면도.
제8도는 제7도의 선(8-8)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
제9도는 제1도의 실시예를 더 변경시킨 것과 정지부제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제2도와 유사한 정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원(10C)으로 둘러싸인 부분을 단편적으로 확대한 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잉아어셈블리의 제2실시예의 단측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선(12-12)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잉아어셈블리의 제3실시예중 중요부분을 도시한 단측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잉아부착부분의 투시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중 중요부분을 보여주는 일련의 잉아부착 부분투시도.
제1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잉아어셈블리의 제5실시예중 중요부분을 도시한 단측면도.
제17도는 제16도의 선(17-17)에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잉아어셈블리의 제6실시예중 중요부분을 단편적으로 확대한 단측면도.
제19도는 제18도의 선(19-19)에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
제20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잉아어셈블리의 제7실시의 단측면도.
제21도는 제20도의 선(21-21)에 따라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제2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잉아어셈블리의 제8실시예중 중요부분을 도시한 단측면도.
제23도는 제22도의 선(23-23)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
제24는 본 발명에 의한 잉아어셈블리의 제9실시예중 중요부분을 도시한 측면도.
제25도는 제24도의 선(25-25)에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
제26는 제24도의 잉아어셈블리에서 사용하는 두가지의 잉아중 하나의 일부투시도.
제2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잉아어셈블리의 제10실시예의 단측면도.
제28는 제27도의 선(28-28)에 따라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편의 단면도.
제29는 제27도의 실시예의 잉아어셈블리 정면도.
제30는 제29도의 선(30-30)에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
제31는 제27도의 제10실시예를 변경한 예를 도시한 제27도와 유사한 단측면도.
제3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잉아어셈블리의 제11실시예중 단편의 정면도.
제33는 제32도의 선(33-33)에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
제3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잉아어셈블리의 제12실시예중 잉아를 비임부제의 단편적인 정면도.
제35는 제34도의 선(35-35)에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
제36는 제34도의 선(36-36)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
제3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잉아어셈블리의 제13실시예의 단측면도.
제38도는 제37도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각 수선용 보조잉아의 단측면도.
제39도는 제13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받침핀의 투시도.
제40도는 제13 실시예에 완성된 잉아어셈블리의 단면도가 포함된 정면도.
제42도는 제13 실시예에서 사용할 시 있는 받침핀을 변경한 또다른 예의 단면도가 포함된 측면도.
제43a도는 및 제43b도는 제1도의 재래식 잉아어셈블리에서 사용하는 잉아가 절단된 경우에 이를 임시로 수선하기 위한 재래식 수리장치의 정면도와 측면도.
제4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잉아어셈블리의 제14실시예중 단편의 단측면도.
제4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잉아어셈블리의 제15실시예의 단측면도.
제46도는 제45도의 선(46-46)에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본 측면도.
제47도는 제15실시예를 변경한 예의 중요부분을 도시한 단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잉아틀 (2a)(2b) : 비임부재
(3a)(3b) : 옆기둥 (4a)(4bb) : 잉아대
(5) : 부착부재 (6) : 잉아
(7a) : 플랜지부분 (8a)(8b) : 부착부분
(9) : 중간갈고리 (10) : 잉아어셈블리
(11) : 잉아틀 (12a)(12b) : 비임부재
(13a)(13b) : 측면부재 (14a)(14b) : 조립홈
(15a)(15b) : 개구부 (16a)(16b)(16a')(16b') : 슬릿
(17a)(17b) : 플랜지부분 (18a)(18b) : 절단홈
(19a)(19b) : 작은나사
(20a)(20b)(20a')(20b')(20a")(20b") : 고정부재
(21)(21') : 잉아
(21a)(21a')(21b) : 잉아금속판부재 또는 잉아몸통
(22) : 잉아눈 (23a)(23b) : 잉아부착부분
(31a) : 돌출부 (33) : 받침부분
(33a) : 수평부분 (33b) : 수직부분
(34) : 돌출부 (35) : 통과구멍
(36) : 부착블록 (37) : 잉아부착부분
(38) : 홈 (39) : 부착부분
(40) : 조립돌출부분 (42) : 짧은 돌출부분
(43)(44) : 끝부분 (45) : 정지핀
(46) : 통과구멍 (47)(48) : 끝부분
(49)(50) : 개구부 (51) : 핀받침부재
(52) : 사각형개구부 (53) : 평판부재
(54) : 작은나사 (55) : 잉아삽입개구부
(55A) : 상단부분 (55B) : 중간부분
(55C) : 하단부분 (56a)(56b) : 개구부
(57) : 보조잉아 (58a)(58b) : 개구부
(59)(59')(59") : 받침핀 (60) : 소직경부분
(61) : 대직경부분 (62) : 통과구멍
(63) : 분할핀 (64)(65) : 긴대향부분
(66)(67)(68) : 홈 (69) : 소직경부분
(70) : 대직경부분 (71) : 돌출부
(72) : 원반형 스토퍼 (73) : 개구부
(74)(75) : 금속부재 (77) : 주몸통부분
(78) : 길게뻗은부분 (79) : 턱과 같이 생긴부분
(80) : 개구부 (81a)(81b)(82a)(82a') : 감쇠층
본 발명은 잉아틀(heald frame)과 날실의 개구동작용으로 사용되는 다수의 잉아(heald)가 포함된 직기 잉아어셈블리의 개량에 관한 것이며, 더 자세히 말하면, 잉아틀에의 잉아, 부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재래식 직기 잉아어셈블리를 보면, 잉아틀에는 대개 한쌍의 금속 잉아대가 달려있고, 이 잉아대들은 잉아틀비임부재와 나란히 놓여있다. 금속으로 만든 다수의 잉아는 잉아대 사이에 각 잉아의 양끝이 각 잉아대에 접속되도록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각 잉아대와 이에 접속된 잉아끝사이에서 금속과 금속이 접촉하여 상당한 소음이 생긴다. 그 외에도. 이러한 잉아어셈블리는 긴 금속잉아대로 인하여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고속운전 직기용으로는 적합하지 아니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직기의 잉아어셈블리에는 잉아틀이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잉아틀에는 서로 마주하는 2개의 내면으로 형성된 2개의 비임부재가 들어있다. 각 잉아를 비임부재는 해당 비임부재의 길이에 따라 뻗어있는 곧고 긴 개구부로 되어있다. 각각의 잉아를 비임부재는 곧고 긴 개구부를 따라 뻗어이고, 이러한 개구부내에서 합류되는 곧고 긴 슬릿으로도 형성되어 있다. 잉아를 위에는 다수의 잉아가 부착되어 있다. 각 구부내에 위치한다. 각 잉아부착 부분의 넓이는 곧고 긴 개구부보다 작고, 곧고 긴 슬릿보다 크다. 그외에도, 각 잉아의 잉아부착부분과 이에 대응하는 잉아를 비임부재 사이에는 가습접촉(damping-contact)이 유지된다.
잉아어셈블리를 이와같이 배열하면 재래식 잉아대를 배버릴 수 있기 때문에, 잉아어셈블리의 무게를 줄일수 있다. 그외에도, 잉아와 잉아틀 사이의 가습접속에 의하여 그 사이의 확실한 접속을 유지하면서 소음을 줄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잉아어셈블리는 고속운전 직기용으로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한 잉아어셈블리의 특징과 장점은 여기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다음의 설명을 보면 더 명백히 이해할 것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예중 동일한 부분이나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하였다.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하여 제1도에 표시한 재래식 잉아어셈블리를 간단히 참조하여 보기로 한다. 제1도를 보면, 재래식 잉아어셈블리에는 잉아틀(1)이 있고, 이 잉아틀은 기다란 상·하 가로비임부제(2a)(2b)와 좌·우 수직옆기등(3a)(3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하 잉아대(4a)(4b)는 각 상· 비임부재(2a)(2b)로부터 약간 공간을 두고, 그 양끝이 부착부재(5)에 의하여 옆기등(3a)(3b)에 걸려있다. 잉아(6)는 상·하 잉아대(4a)(4b)와 접속되도록 상·하 잉아대(4a)(4b)에 걸려있다. 각 잉아(6)의 중앙부분에는 날실(도시하지 않음)이 통과하는 잉아눈이 있고, 그 양쪽끝에는 고리모양의 부착부분(8a)(8b)이 달려있어서, 여기에 상·하 잉아대(4a)(4b)가 각각 배치된다. 잉아대(4a)(4b)는 적당한 자리에서 이른 바, 중간갈고리(9)에 의하여 비임부제(2a)(2b)위에 단단히 고정되기 때문에, 잉아대(4a)(4b)의 편향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재래식 잉아어셈블리에서는 잉아(6)가 잉아대(4a)(4b)와 각 잉아(6)의 부착부분(8a)(8b)사이에 있는 플레이(play)의 범위안에서 잉아틀(1)이 아래 위로 움직이는 동안에 제멋대로 움직이기 때문에 금속과 금속이 서로 접촉함으로써 상당한 소음이 생긴다. 이러한 소음은 직기에서 나오는 전체소음의 주된 원인이 된다.
위에서 말한 단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잉아를 잉아대에 부착하는 부분을 미합중국 특허 제4,155,379호에 공개된 플라스틱재료로 만들자는 제안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제안에 의하더라도 잉아대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잉아어셈블리의 무게가 잉아대의 무게만큼 더 무거워진다. 더구나, 잉아틀은 이러한 잉아대를 부착시키는데 필요한만큼 그 크기를 더 크게 하여야 한다. 이로 인하여 잉아어셈블리의 전체무게가 커지게 되고, 최근 직기의 운전속도가 증가추세에 있음에 비추어 여러가지 문제점을 안고있다. 그외에도, 잉아는 잉아대를 통하여 부착되기 때문에 이를 결합시키는데 있어서 생산착오가 더 커지게 된다. 따라서, 잉아 부착부분의 개구부크기를 더 크게하여야 하며, 이로 인하여 잉아의 플레이가 커기제 된다. 이것은 각 잉아의 플라스틱부착부분을 빨리 마멸시켜서 잉아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그외에도, 미합중국특허 제3,862,650호에서는 잉아틀의 가로비임부재에 단면이 마름모꼴로 되어있는 레일부재를 제공하는 방법을 공개하였다. 각 잉아의 양쪽끝은 두갈래로 나누어져 2개의 분지를 형성하고, 이러한 분지는 레일부재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다수의 잉아가 잉아틀에 걸리게 된다. 그러나, 위에서 말한 분지가 잉아의 중량과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플라스틱재료, 경질고무 등과 같은 감쇠재료로 만들어진 경우에는 잉아틀의 두께를 되도록 얇게 만들어야 하기때문에, 분지의 충분한 강도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분지가 잉아틀에 부착된 레일부재로부터 벗어져 나갈 우려가 있다.
위에서는 재래식 잉아어셈블리를 설명하였는데, 다음 제2도 내지 제10도, 특히 제2도 내지 제5도를 보면, 여기에는 본 발명의 잉아어셈블리중 가장 많이 이용되는 실시예가 참조숫자(10)으로 도시되어 있다. 잉아어셈블리(10)에는 잉아틀(11)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잉아틀은 가로로 나란히 뻗어있는 상·하비임부제(12a)(12b)와 수직으로 나란히 뻗어있어서 상·하 비임부재(12a)(12b)와 서로 맞물려 단단히 연결될 수 있는 측면부재(13a)(13b)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하 비임부재(12a)(12b)와 서로 맞물러 단단히 연결될 수 있는 측면부재(13a)(13b)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하 비임부재(12a)(12b)는 서로 마주하고 있는 평면(F1, F2)으로 되어 있다. 상·하 비임부재(12a)(12b)에는 서로 마주하는 조립홈(14a)(14b)이 있다. 더 자세히 말하면, 상비임부재(12a)의 조립홈(14a)에는 단면이 4각형으로 되어있고, 상비임부재(12a)의 전장에 걸쳐 뚫려있는 개구부(15a)가 포함된다. 이 개구부(15a)는 평면(F1)근방에 위치한다. 조립홈(14a)에는 외표면에서 평면(F1)을 형성하는 대향 플랜지부분(17a)(17a)에 의하여 형성되는 슬릿(16a)도 포함된다. 슬릿(16a)의 넓이(W1)는 개구부(15a)의 넓이(W2)보다 더 작다. 도면에 표시된 바와같이, 슬릿(16a)은 상비임부재(12a)의 길이에 따라 뻗어서 개구부(15a)와 합류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하비임부재(12b)의 조립홈(14b)에는 그 표면에서 평면(F2)을 형성하는 대향 플랜지부분(17b)(17b)에 의하여 형성되는 개구부(15b)와 슬릿(16b)이 포함된다. 따라서, 하비임부재(12b)의 개구부(15b)와 슬릿(16b)도 상비임부재(12a)의 개구부(15a)와 슬릿(16a)과 유사하게 형성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조립홈(1a)(14b)은 알루미늄재료등으로 비임부재(12a)(12b)를 만드는 압출과정에서 이를 만들 수 있다는 것도 이해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상비임부재(12a)에는 그 한쪽끝 가까이에 상비임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절단홈(18a)이 파여있다. 이러한 홈(18a)은 평면(F1)에 파여있고, 수직으로 조립홈(14a)의 길이만큼 파여서 조립홈(14a)이 가로질러갈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절단홈(18a)에는 작은나사(19a)로 고정시킬 수 있는 Z자형 고정부재(20a)를 끼워넣을 수 있다.
다수의 잉아(21)를 상· 비임부재(12a)(12b)의 조립홈(14a)(14b)에 맞추어 고정시킨다. 각 잉아(21)에는 스테인레스강 등으로 만들어지고 중간에 날실(도시하지 않음)이 통과하는 잉아눈(22)이 달려있는 긴 금속판부재 또는 잉아몸통(21a)이 포함되어 있다. 잉아판부재(21a)의 양쪽끝에는 플라스틱재료로 사출성형법에 의하여 만든 부찬부분(23a)(23b)이 달려있다. 각 부착부분(23a)(23b)은 단면이 4각형으로 되어있고, 그 수직길이는 조립홈(14a)의 길이와 같다. 부찬부분(23a)(23b)의 넓이(W3)는 슬릿(16a)(16b)의 넓이(W1)보다 더 크다. 더구나, 금속판부재(21a)의 양쪽끝부분을 금속판부재(21a)가 플라스틱부착부분(23a)(23b)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모양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아셈블리(10)를 조립함에 있어서, 잉아(21)를 잉아틀(11)에 부착시키려면 먼저 부착부재(23a)(23b)를 상·하비임부재(12a)(12b)의 절단홈(18a)(18b)속으로 고정부재(20a)(20b)를 제거한 상태에서 집어넣는다. 그 다음에 잉아부착부분(23a)(23b)이 조립개구부(15a)(15b)에 일치하는 자리에 도달하였을때, 잉아부착부분(23a)(23b)을 비임부재(12a)(12b)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모든 잉아를 부착시킨 다음에, 교정부재(20a)(20b)의 끝부분을 각 절단홈(18a)(18b)속으로 집어넣어 홈을 채우거나 밀폐한다. 그다음에, 고정부재(20a)(20b)를 작은나사(19a)(19b)를 이용하여 측면부재(13a)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배열된 잉아어셈블리(10)에서는 제1도에서 보는 재래식 잉아어셈블리에 달려있는 잉아대(4a)(4b)와 중간갈고리(9)를 빼버릴 수 있기 때문에, 잉아어셈블리의 무게가 그만큼 줄어든다. 그외에도, 잉아틀의 크기를 적게할 수 있으므로 잉아어셈블리의 중량감소에도 크게 도움이 된다. 더구나, 잉아(21)의 부착부분(23a)(23b)은 플라스틱재료와 같이 비교적 가벼운 감쇠재료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잉아어셈블리(10)의 무게를 더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위에서 말한 유형의 잉아어셈블리는 고속직기에 적합하다.
플라스틱재료로 만들어진 잉아부착부분(23a)(23b)은 이러한 부착 부제가 조립홈(14a)(14b)의 벽표면, 특히 중간에 슬릿(16a)(16b)을 형성하는 플랜지부분(17a)(17b)과 부딪는 동안에 플라스틱재료의 감쇠효과에 의하여 소음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잉아부착부분(23a)(23b)과 잉아를 비임부재(12a)(12a)사이에는 이른 바 감쇠접촉(감쇠작용하에서의 접촉)이 유지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소음을 줄이는데 도움을 준다.
제1도에서 도시한 종래의 잉아어셈블리에 있어서는 단면이 직사각형인 잉아대(4a)(4b)에 대해서 잉아(6)의 루우프형상의 부착부분(8a)(8b)을 끼우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선접촉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제2도 내지 제5도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잉아어셈블리는 잉아부착부분(23a)(23b)이 슬릿(16a)(16b)사이에 형성된 플랜지부분(17a)(17b)과 표면접촉하여 접촉표면면적과 지지강도를 증대한다.
잉아(21)의 부착부분(23a)(23b)은 플라스틱재료 이외에도 비교적 가볍고, 감쇠능력이 있는 재료, 예를들면 경질고무로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에서 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절단홈(18a)(18b)이 비임부재(12a)(12b)위에 파여있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절단홈을 생략하고, 그 자리에 측면부재(13a)를 제거할 수 있도록 배열하여, 이를 제거한 후 잉아(21)의 부착부분(23a)(23b)을 조립홈(14a)(14b)속으로 집어넣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제6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플랜지부분(7a)의 하나를 생략할 수 있다.
제7도 및 제8도는 잉아부착부분(23a)이 절단홈(18a)(18b)을 거쳐 비임부재(12a)(12b)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부재의 또다른 예를 보여준다. 이들 도면에서, 대개 L자모양으로 된 고정부재(20a')(20b')는 작은나사(19a)(19b)를 이용하여 측면부재(13a)위에 고정되어 있고, 절단홈(18a)(18b) 가까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절단홈(18a)(18b)을 덮거나 폐쇄할 수 있다.
제9도 및 제10도는 고정부재의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고정부재(20a")가 절단홈(18a)(18b)가까이에서 조립개구부(15a)(15b)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고정부재(20a")는 그 전체가 비임부재(12a)(12b)로부터 슬릿(16a)(16b)을 통하여 솟아나와, 비임부재(12a)(12b)의 바깥쪽에 위치한 너트(N)에 의하여 와셔(A)로 고정되어 있는 스터드볼트(S)로 만들어져 있다.
제11도 내지 제19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단위길이당 잉아의 수가 적은, 다시 말하면 잉아밀도가 낮은 경우에, 각 잉아(21)가 그 축둘레를 회전하기 때문에 슬릿(16a)(16b)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제11도 내지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에서는 긴 돌출부(31a)가 개구부(15a) 의 상부내벽 표면위에 형성되어 있고, 슬릿(16a)과 대향하고 있다. 돌출부(31a)는 조립홈(14a)의 길이에 따라 연장되어 잉아(21)의 부착부분(23a)의 홈(32a)속에 맞물려 있기 때문에 그 축둘레를 회전하지 못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하부비임부재(12b)에도 그 개구부(15b) 내벽면에 잉아부착부분(23b)의 상부에 파여있는 홈속에 맞물린 돌출부(31b)가 마련되어 있다.
제13도 및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에서는 잉아(21)의 부착부분(23a)이비임부재(12a)와 직기(도시하지 않음)에 대하여 앞뒤방향으로 뻗어있는 대향배치된 L자모양의 받침부분(33)(33)으로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말하면, 잉아(21)의 부착부분(23a)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목부분(숫자가 표시되어 있지 아니함)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목부분을 통하여 부착부분(23a)이 전체적으로 L자 모양의 받침부분(33)(33)과 연결되어 있기때문에, 목부분이 슬릿(16a)안에 위치하게 된다. 각 L자모양의 받침부분(33)에는 상부비임부재(12a)의 평면(F1)과 접촉할 수 있는 수평부분(33a)과 플랜지부분(17a)이 수직부분(33b)과 위에서 말한 목부분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위치한 수직부분(33b)이 포함된다. 다시 말하면, 대향 배치된 수직부분(33b)은 상부비임부재(12a)의 반대측벽면에 따라 솟아있다. 이와같이 배열된 잉아(21)에 있어서는 받침부분(33)(33)이 비임부재(12a)의 표면과 접촉하게 됨으로 잉아(21)의 회전을 방지한다. 받침부분(33)의 하나를 생략하고 그중 하나만 남겨놓을 수 있다.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에서는 몇개 또는 한세트의 잉아(21)가 서로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한세트의 잉아(21)중 1개는 그 부착부분(23a)에 조립홈(14a)의 길이에 따라 뻗어있는 돌출부(34)가 달려있고, 다른 잉아들은 그 부착부분(23a)에 통과구멍(35)이 뚫려있다. 돌출부분(34)을 통과구멍(35)에 삽입함으로써 여러개의 잉아부착부분(23a)이 단일 단위처럼 연결되기 때문에, 각 잉아(21)의 회전을 방지한다.
제16도 및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 실시예는 여러 잉아(21)의 많은 부착부분으로서 사용되는 단일부착블록(36)을 채용함으로써 잉아(21)의 회전을 막기위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부착블록(36)은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있는 3개의 잉아금속판부재(21a)의 끝부분에 플라스틱재료를 사출성형 시켜서 만든다. 따라서, 부착블록(36)은 조립홈(14a)의 길이에 따른 방향으로는 그 두께가 잉아(21)의 부착부분(23a)에 비하여 상당히 크고, 이에 따라 조립홈(14a)안에서는 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각 잉아가 회전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18도 및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조립홈(14a')의 개구부(15a')는 그 단면이 대개 마름모꼴로 되어있다. 이러한 개구부의 내벽면에는 돌출부(31')가 달려있는데, 이 돌출부는 조립홈의 길이에 따라 뻗어있고, 그 단면이 마름모꼴로 되어 있어서 모서리가 뾰족한 C자모양의 단면을 가진 기다란 틈(숫자가 표시되지 아니함)이 남게된다. 덧붙여 말하면, 잉아(21)의 양쪽끝에는 두갈래로 나뉘어 대개는 모서리가 뾰족한 C자모양으로 된 2개의 분지(숫자가 표시되지 아니함)를 형성하는 부착부분(37)이 달려있기 때문에, 이러한 부착부분(37)은 위에서 말한 긴 틈새로 단단히 맞물리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슬릿(16a')의 넓이(W1)는 개구부(15a')와 잉아부착부분(37)의 넓이(W3)(W2)보다 더 적다. 이러한 배열에서는 날실의 장력으로 인한 하향력(도면에서)이 잉아부착부분(37)에 적용되는 때에도 일반적으로 C모양의 부착부분(37)은 슬릿(16a')을 형성하는 플랜지 부분(17a')의 내면이 기울어져 있음으로 안쪽으로 편향된다. 그 결과, 부착부분(37)의 2개의 분지 상단부는 돌출부분(31')의 상부경사면과 접촉하지 않을 수 없게 되어, 부착부분(37)이 더이상 안쪽으로 편향될 수 없으며, 이에 의하여 잉아(21)가 조립홈(14a')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한편, 돌출부분(31')에 의하여 잉아가 회전하지 못하게 한다.
이하에서 제20도 내지 제30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부착된 잉아의 밀도, 다시 말하면 잉아를 비임부재의 단위길이당 부착된 잉아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배열되어 있다.
제20도 및 제21도는 이 발명의 제7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에서 상부비임부재(12a)에는 또다른 또는 추가의 조립 개구부(15a')와 또다른 또는 추가의 슬릿(16a')이 달려있다. 조립개구부(15a')는 조립개구부(15a)의 윗쪽에 위치하고, 조립개구부(15a)의 길이에 따라 평행으로 뻗어있다. 조립개구부(51a')는 양조립개구부(15a)(15a')의 길이에 따라 뻗어있는 슬릿(16a')을 통하여 조립개구부(15a)와 연결되거나, 이와 함류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하부비임부재(12b)에는 또다른 또는 추가의 조립개구부(15b')가 달려있고, 이러한 조립개구부는 조립개구부(15b)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슬릿(16b')을 통하여 조립개구부(15b)와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두가지의 또는 상·하의 잉아(21)(21')가 사용되기때문에, 각 잉아(21)의 대향부착부분(23a)(23b)은 각 조립개구부(15a)(15b')내에 배치되어 있는 반면에, 각 잉아(21')의 대향부착부분(23a)(23b)은 각조립개구부(15a')(15b)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두가지의 이이아(21)(21')가 제21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교호적으로 나란히 부착시키면, 각 상부잉아(21)의 금속판부재 또능 잉아몸통(21a)은 인접된 하부잉아의 2개의 부착부분(23a) 사이에 끼이게 되기 때문에, 잉아를 가장 높은 밀도로 부착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같이, 각 상부잉아(21')의 금속판부재(21a)는 상·하 비임부재(12a)(12b)의 슬릿(16a')(16b)(16b')을 통하여 뻗어있다. 동일한 종류의 잉아를 2개 나란히 놓고, 그 옆으로 다른 종류의 잉아를 한개 또는 2개 놓을 수 있으며, 여기에서 나란히 놓는 종류가 같은 잉아의 수는 잉아의 필요한 부착밀도에 따라 선택한다.
제22도 및 제123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추가 조립개구부(15a')는 조립개구부(15a)의 절에 형성되고, 조립개구부(15a)와 평행으로 뻗어있기 때문에, 양 개구부(15a')(15a')는 나란히 위치하고, 슬릿(16a)(16a')도 나란히 위치한다. 덧붙어 말하면, 잉아(21)(21')의 부착부분(23a)은 각 조립개구부(15a)(15a')내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금속판부재(21a)(21a')는 각 슬릿(16a)(16a')을 통하여 뻗어있다. 잉아금속판부재(21a)(21a',는 제22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잉아는(22)을 가진 중간부분에서 서로 겹치도록 구부러져 있다. 부착된 잉아의 밀도는 금속판부재(21a)(21a')의 두께에만 제한을 받을 뿐 얼마든지 증가시킬 수 있다.
제24도 내지 제2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9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에서는 상부잉아를 비임부재(12a)의 맞은편 측벽면에 대향적으로 놓여있는 홈(38)이 조립개구부(15a)가 홈(38)(38)사이에 위치하도록 파여있다. 덧붙여 말하면, 각 잉아(21')에는 대개 C자모양으로 되어 있고, 상부에 조립돌출부분(40)(40)이 달린 부착부분(39)이 있다. 조립 돌출부분(40)(40)은 제24도에서 분명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비임부재(12a)의 홈(38)(38)속에 맞물린다. 상부비임부재(12a)의 최하부에는 대향적으로 배치된 짧은 돌출부분(42)이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분은 대개 C자모양으로 된 잉아부착부분(39)의 내면에 맞물려 있다. 이와 같이 각 잉아(21')는 그 부착부재(39)가 잉아(21)(21)의 금속판부재(21a)(21a) 사이에 삽입되도록 부착되기 때문에, 잉아틀(11)위에 부착된 잉아(21)(21')의 밀도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제27도 및 제28도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에서는 각
잉아(21)의 부착부분(23a)(23b)은 대개 쐐기모양으로 되어 있기때문에, 그 한쪽끝부분(43)의 두께가 각 잉아(21)의 금속판부제(21a)의 축방향에서 보아 다른 끝부분(44)보다 더 크다. 다시 말하면, 잉아 부착부분(23a)(23b)의 두께서 조립개구(15a)(15b)부를 직각으로 가로 지르는 방향에는 달라진다. 더구나, 잉아금속판부제(21a)는 잉아부착부분(23a)(23b)에서 한쪽으로, 즉 각각의 잉아부착부분(23a)의 더 두꺼운 끝부분(43)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잉아(21)를 잉아를(11)에 부착시키려면, 잉아부착부분(23a)(23b)을 제2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꺼운 끝부분(43)은 서로 나란히 위치하지 아니하기 때문에, 부착된 잉아(21)의 밀도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킨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잉아금속판부재(21a)은 잉아눈(22)이 있는 중간부분이 잉아를 비임부재(12a)(12b)의 길이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도록 구부러져 있다.
제29도 및 제30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잉아부착부분(23a)이 조립 개구부(15a)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지핀(45)을 마련하였다. 정지핀(45)은 상부 비임부재(12a)의 조립개구부(15a)를 한정하는 대향벽(S1)(S2)을 통과하게 되어 있는 통과구멍(45)안에 배치되어 있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향끝부분(47)(48)은 벽(S1)(S2)으로부터 돌출하여 탄성재로 만들어지고, 대개 C자모양으로 된 핀받침 부재(51)의 개구부(49)(50)안에 맞물려 있다. 핀받침부재(51)는 이를 신축성있게 구부려서 분리할 수 있다.
제31도는 제27도 내지 제29도의 실시예를 변경한 예로서, 여기에서는 각 잉아부착부분(23a)의 두꺼운 부분(43), 즉 제27도 내지 제29도의 실시예에서 구부러진 부분에 끼워넣기 위하여 곧고 긴 금속판부제(21a)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예에서는 잉아눈(22)을 앞뒤방향으로 서로 사이를 떼어 교호적으로 배치한다. 그렇게 하더라고, 부착된 잉아의 밀도를 증가시킨다는 견지에서 볼때 이점이 있으며, 결코 결점을 나타내지 아니한다.
제32도 및 제33도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이다. 이 실시예에서 상부 잉아비임부제(12a)의 대향측벽면(S1)(S2)중 하나에는 측벽면(S1)의 일부를 절단하여 만든 사각형 개구부(52)가 파여있다. 이 개구부(52)는 조립개구부(15a)와 합류되고, 작은 나사(54)를 이용하여 아래쪽으로 뻗어 비임부재(12a)의 최하부분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평판부재(53)는 그 밑부분에서 플랜지부분(17a)에 대향하고 있어 그 사이에 슬릿(16a)을 한정하는 플랜지부분(17a')이 형성되어 있다. 그 외에도, 평판부제 내벽면의 하부는 조립개구부를 한정하는 벽면의 구실을 한다.
이 실시예에서, 잉아(21)를 잉아틀(11)에 부착하라면, 평판부재(53)를 제거한 후, 잉아부착부분(23a)을 사각형 개구부(52)를 통하여 조립개구부(23a)에 맞추어 넣는다. 모든 잉아(21)의 부착이 완료된 때에는 평판부재(53)를 작은 나사(54)에 의하여 잉아비임부재(12a)에 고정시켜서 사각형 개구부(52)를 폐쇄한다. 도면에는 표시되지 아니하였으나, 하부잉아 비임부재(12b)에도 사각형 개구부(52)와 평판부제(53)를 포함한 비슷한 배열이 채용된다.
이와같이 배열된 잉아비임부재 구조에 있어서는 잉아(21)의 부착 및 제거가 평판부재(53)를 잉아비임부재로부터 제거하는 것만으로 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잉아(21)의 부착 및 제거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그외에도, 위에서 말하는 개구부(52)가 잉아비임부재(12a)의 길이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여러개 형성되어 있으면 단일잉아를 따로 떼어낼 수 있다. 잉아비임부제의 거의 전장에 걸쳐 사각형 개구부(52)를 만들 수 있다.
제34도 내지 제36도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에서는 상부잉아 비임부재(12a)의 일측벽면(S1)에 도면에는 잉아 삽입개구부(55)가 1개만 표시되어 있으나, 잉아비임부재(12a)의 길이에 따라 적당한 간격, 예컨대, 100내지 200mm정도 떨어져 놓여있는 다수의 잉아삽입개구부(55)가 파여있다. 각 잉아삽입개구부(55)는 일측벽(면S1을 포함한), 긴 돌출부(31a), 조립플랜지부분(17a)등을 엇비슷이 가로지르게, 다시 말하면 조립홈(14a)의 축을 비스듬히 교차하도록 파여있다. 잉아삽입개구부(55)에는 긴 돌출부통(31a)가 파여있는 상단부분(55A), 잉아부착부분(23a)이 삽입되는 중간부분(55B), 금속판부재 또는 잉아몸통(21a)이 삽입되는 하단부분(55C)등이 포함된다. 이에 따라 잉아삽입개구부 중간부분(55B)의 넓이(W4)는 잉아부착부분(23a)의 두께(T)보다 크며, 반면에, 하단부분(55C)의 넓이는 (W5)는 두께(T)보다 적기때문에, 잉아부착부분(23a)은 잉아삽입개구부의 하단부분(55C)으로 들어갈 수 없다.
잉아(21)를 응아틀(11)에 부착시키려면 먼저 잉아부착부분(23a)을 잉아삽입개구부 중간부분(55B)속으로 집어넣는 한편, 잉아금속판부재(21a)를 하단부분 (55C)에 집어넣는다. 그 다음에, 잉아부착부분(23a)을 잉아삽입개구부의 중간부분(55B)에 따라 비스듬히 밀어넣는다. 그결과, 잉아부착부분(23a)도 개구부의 상단부분(55A)에 따라 돌출부(31a)를 가로질러, 잉아금속판부재(21a)가 슬릿(16a)내에 놓여있는 위치에 다다른다. 그 다음에, 잉아(210는 그 축둘레를 회전하면서 조립홈(14a)의 축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잉아부착부분(23a)의 긴 돌출부(31a)와 맞물리게 된다. 그러므로, 잉아부착부분(23a)은 조립개구부(15a)에 곡 맞게 되어 잉아부착작업이 완료된다. 잉아(21)를 제거하려면, 잉아부착부분(23a)을 잉아삽입개구부(55)와 일치하게 한 다음에, 위에서 말한 순서와 반대로 끌어내면 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잉아부착부분(23a)이 잉아틀(11)의 상·하운동으로 인하여 자연히 회전하기 때문에, 잉아삽입개구부(55)의 길이와 평행이 된다는 사실이 우려되지만, 잉아(21)는 직기의 위빙(weaving)동작중 잉아는(도시하지 않음)을 통과하는 날실의 장력으로 인하여 생기는 물리적 힘에 의하여 그 회전이 방지됨으로 잉아는 잉아틀(11)에서 벗어나지 아니한다.
이와같이 배열된 잉아비임부재 구조에 있어서는 잉아를 쉽게 부착 및 제거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다수의 잉아삽입개구부(55)가 잉아비임부재(12a)의 길이에 따라 적당한 간격으로 자리하고 있기때문에, 많은 잉아중 하나가 부러진 경우에는 조립홈(14a)의 길이에 따라 잉아삽입개구부(55)의 가까이에 있는 잉아(21)를 약간 이동시킴으로써 부려진 잉아만을 잉아삽입개구부(55)를 통하여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따라서 부러진 잉아를 새로운 잉아로 교체하는 것이 많다.
제27도 내지 제40도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로서, 여기에서는 부러진 잉아(특허 그 부착부분에서 부러진를 보조잉아(57)로 임시 교체할 수 있도록 배열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각 잉아(21)의 금속판부재 또는 잉아몸통(21a)에는 상·하 개구부(56a)(56b)가 뚫려있고, 이러한 개구부는 각 상·하 잉아부착부분(23a)(23b) 가까이에 위치한다. 덧붙여 말하면, 보조잉아(57)는 스테인레스강 등으로 만들어졌고, 그 양쪽끝에는 각 잉아(21)의 개구부(56a)(56b)에 대응하는 상·하 개구부(58a)(58b)가 뚫려있다. 그 외에도 보조잉아(57)에는 그 중간부분에 날실(도시하지 않음)이 통과하는 잉아눈이 달려있다. 이러한 보조잉아에는 조립개구부(15a)에 자리할 그 부착부분이 마련되어 있지 아니하기 때문에, 그 길이는 정상잉아(21)보다 부착부분만큼 더 짧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39도에 표시된 받침핀(59)은 잉아(21)와 보조잉아(57)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받침핀(59)에는 잉아(21)의 개구부(56a)(56b)와 보조잉아(58a)(58b)속으로 삽입할 수 있는 소직경부분(60)이 있다. 더구나, 받침핀(59)에는 그 소직경부분(60)의 한쪽끝에 스토퍼로서 이용되는 대직경부분(61)이 달려있다. 소직경부분(60)에는 분할핀(63)을 삽입할 수 있는 통과구멍(62)이 뚫려있다.
이러한 배열에 있어서는 잉아(21)중 한개가 부러졌을때, 부러진 잉아(21)를 제거한 다음에, 제거한 잉아(21)의 자리에 보조잉아(57)를 끼운다. 그 다음에, 받침핀(59)의 소직경부분(60)을 보조잉아(57)를 사이에둔 2개의 잉아(21)개구부(56a)(56b)속으 집어넣은 다음, 분할핀(63)을 통과구멍(62)속으로 끼워넣고, 분할핀(63)의 자유로운 끝을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구부린다. 이와같이, 보조잉아(57)는 2개의 잉아(21)를 연결하는 받침핀(59)을 통하여 단단히 지지되어 있어서, 정상잉아(21)와 동일한 기능을 하기때문에, 날실이 그 잉아눈을 통과하게 된다.
제41도는 위에서 말한 받침핀(59)에 갈음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받침핀(59')의 또다른 예이다. 이 받침핀(59')은 탄성재로 만들어지고, V자모양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2개의 긴 대향부분 (64)(65)이 있다. 이러한 긴 부분(64)(65)에는 각 3개의 홈(66)(67)(68)이 파여있다. 이 받침핀을 제자리에 부착시키려면, 받침핀(59')의 긴 부분(64)(65)의 자유로운 끝을 조직자의 손가락(도시하지 않음)으로 서로 맞닿도록 눌러야 한다. 그런 다음에, 받침핀(59')을 2개의 잉아(21)의 개구부(56a)(56b)와 보조잉아(57)의개구부(58a)(58b)속으로 삽입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받침판(59')은 그 탄성에 의하여 팽창되기 때문에, 2개의 긴 부분(64)(65)의 자유로운 끝사이의 거리가 커진다. 그 결과, 받침판(59')의 3개의 홈(66)(67)(68)은 각 개구부(56a)(56b)(58a)(58b)(56a)(56b)에 맞물리게 되면, 이에 의하여 받침판은 잉아(21)와 보조잉아(57)로부터 벗어나지 못한다.
제42도는 참조숫자(59')로 표시한 받침판의 또다른 예를 보여준다. 이 예에서, 받침핀(59')에는 소직경 및 대직경부분(69)(70)이 있는데, 이는 제39도의 예에서 보는 부분(60)(61)과 비슷하다. 그외에도, 받침핀(59")에는 그 끝에 돌출부(71)가 있고, 원반형 스토퍼(72)가 그 중앙부분에 위치한 개구부(73)를 통하여 접착제 등으로 이러한 돌출부(71)에 단단히 부착되어 있다. 제37도 내지 제42도의 실시예에서는 부러진 잉아(21)를 그 부착부분(23a)(23b)만 잘라낸 후 보조잉아(57)로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보조잉아(57)를 준비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제37도 내지 제42도의 실시예에 의하면, 부러진 잉아의 임시수선이 쉽게 됨으로 직기의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제1도에서 보는 재래식 잉아어셈블리에서는 부러진 부착부분(8a)(8b)을 잘라낸 다음에, 제43a도, 제43b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잘잘라낸 끝의 양쪽측면에 C자모양으로 된 2개의 금속부재(74)(75)를 제 43b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여 놓는다. 이러한 C자모양의 금속부재(74)(75)는 부러진 잉아(6)의 절단부분끝에 파놓은 구멍(숫자가 표시되지 아니함)속으로 리벳등을 끼워서 고정시킨다. 이러한 수선작업은 매우 힘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44도는 본 발명의 제14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에서는 잉아부착부분(23a)(23b)은 플라스틱재료를 사출성형하여 만든다. 각 잉아 부착부분(23a)(23b)에는 주몸통부분(77)이 포함되는데, 이 주몸통부분은 단면이 사각형으로 되어있고, 조립개구부(15a)(15b)내에 위치한다. 그 외에도, 부착부분(23a)에는 수직으로 길게 뻗은 부분(78)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부분은 주몸통부분(77)과 일체를 이룬다. 수직부분(78)은 잉아금속판부제(21a)의 일부를 덮고, 슬릿(16a)(16b)을 통하여 잉아 비임부제(12a)(12b)의 내면(F1)(F2)너머에까지, 다시 말하면 슬릿(17a)(17b)의 밖으로 뻗어있다. 금속판부제(21a)의 대향하는 끝부분에는 금속판부재(21a)(21b)가 잉아부착부분(23a)(23b)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하도록 턱과 같이 생긴 부분(79)과 개구부(80)가 달려있다. 잉아금속판부제(21a)의 개구부(80)에는 경화된 플라스틱재료를 충전하기 때문에 이와같이 충전된 플라스틱재료가 잉아금속판부제(21a)를 통과하는 핀의 구실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이, 실시예에서는 슬릿(16a)(16b)내에 들어있는 잉아금속판부제(21a)는 감쇠능력을 가진 재료로 덮여있기 때문에, 잉아틀 비임부재(12a)의 플랜지부분(17a)(17b)이 아니라, 오히려 잉아부착부분(23a)의 수직으로 길게 뻗은 부분(78)이 마멸됨으로, 잉아틀(11)의 내구성과 수명을 증대시킨다.
제45도 및 제46도는 본 발명의 제15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잉아부착부분(23a)(23b)이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과 같은 경금속으로 만들어져 있다. 덧붙여 말하면, 잉아틀 비임부재(12a)(12b)의 조립홈(14a)(14b) 내면은 감쇠능력을 가진 재료, 예컨대 플라스틱재료, 경질고무 등으로 만들어져 있기때문에 금속잉아부착부분(23a)(23b)과 금속잉아틀 비임부재(12a)(12b) 사이에서 감쇠작용을 생기게 한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같이, 감쇠층(81a)(81b)은 조립개구부 (15a)(15b)와 슬릿(16a)(16b)이 포함되어 있고 조립홈(14a)(14b)의 내면의 모양에 따라 눌러서 제자리에 끼워넣는다.
따라서, 감쇠층(81a)(81b)은 슬릿(16a)(16b)을 한정하는 플랜지 부분(17a)(17a)(17b)(17b)의 대향표면도 덮는다. 다른 방법으로서는, 제47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위에서 말한 감쇠층(81a)을 단면이 대개 C자모양으로 되어있고, 슬릿(16a)의 내벽면, 즉 각각의 플랜지부분(17a)의 팁부분을 덮기위하여 마련된 감쇠층(82a)(82a')으로 대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도 잉아부착부분(23a)이 잉아틀(11)의 상·하운동중 주로 플랜지부분(17a)(17a)에만 를딛치기 때문에, 충분한 감쇠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4)
- 직기의 잉아어셈블리(10)에 있어서, 곧고 긴 제1및 제2비임부재(12a)(12b)가 포함된 잉아틀(11)로서 상기 제1비임부재(12a)는 제2비임부재(12b)위에 위치하고, 제1및 제2비임부재에는 각각 서로 마주하고 있는 제1및 제2내면(F1)(F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및 제2비임부재(12a)(12b)내에 있는 곧고 긴 제1및 제2개구부(15a)(15b)를 한정하는 수단으로서, 각 개구부(15a)는 이에 대응하는 비임부재(12a)의 길이에 따라 뻗어있고, 상기 제1및 제2내면(F1)(F2)위에 있는 곧고 긴 제1및 제2슬릿(16a)(16b)을 한정하는 수단으로서, 각각의 슬릿(16a)(16b)은 이에 대응하는 비임부재의 길이에 따라 뻗어있고, 이러한 제1및 제2슬릿(16a)(16b)은 위에서 상기 제1및 제2개구부에서 합류하며, 각 슬릿(16a)(16b)의 넓이는 이에 대응하는 개구부(23a)(23b)은 이러한 잉아몸통의 대향끝부분에 걸려있고, 이러한 제1및 제2부착부분(23a)(23b)은 각각 상기 제1및 제2개구부(15a)(15b)내에 배치되어 있기때문에,) 이러한 잉아몸통(21a)의 일부는 각각의 슬릿(16a)(16b)안에 위치하며, 각각의 잉아부착부분(23a)(23b)의 넓이는 슬릿(16a)(16b)의 넓이보다 더 크며, 상기 잉아부착부분(23a), (23b)과 잉아틀 비임부재(12a)(12b)사이의 감쇠접촉을 유지하는 수단(23a)(23b)(81a)(81b)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잉아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접촉을 유지하는 수단에 감쇠능력을 가진 재료로 만들어진 잉아부착부분(23a)(23b)이 포함되고, 각각의 잉아를 비임부재가 금속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잉아어셈블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가 스플라틱재료와 경질고무로 되어있는 재료군으로부터 선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잉아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아몸통(21a)이 금속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잉아어셈블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이 스테인레스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잉아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아몸통(2a)의 대향끝부분에 이 잉아몸통(21a)이 잉아부착부분(23a)(23b)으로 부터 벗어나지 못하도록 방지하기 위한 가로돌출부가 달려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잉아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각가의 잉아부착부분(23a)(23b) 사이의 표면과 표면의 접촉을 유지하는 수단과 제1및 제2개구부(15a)(15b)를 한정하는 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잉아어셈블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과 표면의 접촉을 유지하는 수단에 곧고 긴 개구부(15a)(15b)를 한정하는 잉아틀 비임부재의 많은 평벽면과 각각의 잉아틀 비임부재(12a)(12b)의 평벽면과 접촉할 수 있는 각각의 잉아부착부분(23a)(23b)의 많은 평외벽면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잉아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잉아의 그 축둘레를 회전하지 못하게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잉아어셈블리.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잉아의 회전을 방지하는 수단에는 상기 개구부(15a)(15b)의 내벽면상에 형성되고, 비임부재의 길이에 따라 뻗어 있는 곧고 긴 돌출부(31a)(31b)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돌출부(31a)(31b)가 슬릿(16a)(16b)과 대향하여 위치하고, 잉아부착부분(23a)(23b)위에 형성된 홈(32b)속에 맞물려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잉아어셈블리.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수단에는 잉아부착부재(23a)에 연결된 운동제한 부분(33)이 포함되고, 이러한 제한부분은 비임부재 내면(F1)에 따라 뻗어있으며, 여기에 잉아틀 비임부재(12a)의 벽면과 접촉하는 부분(33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가의 잉아어셈블리.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수단에 다수의 잉아를 서로 단단히 연결시키기 위한 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잉아어셈블리.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의 연결수단에 잉아부착부분(23a)의 표면상에 형성되어 있고, 잉아비임부재(12a)의 길이에 따라 뻗어있는 돌출부(34)가 포함되고, 이러한 돌출부(34)가 많은 잉아부착부분(23a)의 각통과구멍(35)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잉아어셈블리.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에 다수의 잉아부착부분으로 이용되는 통합단일 잉아부착블록(36)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잉아어셈블리.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잉아부착부분(37)이 대개 C자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단면이 C자모양으로 되고, 긴 개구부(15a')의 내벽면과 돌출부(31')의 외측면 사이에 형성된 긴 틈속에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잉아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잉아틀 비임부재의 단위길이당 잉아틀에 부착된 잉아의 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잉아어셈블리.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잉아의 수를 증가시키는 수단에는 제1및 젠2비임부재내에 파여있는 곧고 긴 제1및 제2추가 개구부(15a')(15b')를 한정하는 수단이 포함되며, 이러한 제1및 제2추가 개구부(15a')(15b')는 각 제1및 제2개구부(15a)(15b)의 가까이에 파여서, 제1및 제2개구부(15a)(15b)와 평행으로 뻗어있는 제1및 제2추 가계구부(15a')(15b')에는 잉아부착부분(23a)(23b)이 끼워져 있으며, 곧고 긴 제1및 제2슬릿(16a)(16b)과 평행으로 뻗어있는 제1및 제2추 가슬릿(16a')(16b')을 한정하는 수단이 포함되고, 이러한 제1및 제2추 가슬릿(16a')(16b')에 잉아몸통(21a)이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잉아어셈블리.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추 가개구부(15a')는 제1개구부(15a)의 위쪽에 위치하고, 제1추 가슬릿(16a')을 통하여 제1개구부(15a)와 연락되어 있으며, 제2추가 개구부(15b')는 제2개구부(15b)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제1슬릿(16b')을 통하여 제2개구부(15b)와 연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잉아어셈블리.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추가개구부(15a')가 제1개구부(15a)곁에 위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잉아어셈블리.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잉아수증가수단에 각각 곧고 긴 개구부(15a) 가까이에 있는 제1잉아를 비임부재(12a)의 대향벽면에 파여있는 제1및 제2의 곧고 긴 홈(38)을 한정하는 수단이 포함되며, 여기에서 잉아부착부분(39)은 대개 C자모양으로 되어있어 제1및 제2돌출끝부분(40)이 있고, 이러한 돌출끝부분은 잉아를 비임부재(12a)의 제1및 제2홈(38)에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가의 잉아어셈블리.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잉아수증가수단에 단면이 쐐기모양으로 되어있고, 비임부재내면(F1)(F2)과 평행으로 된 각 이아부착부분(23a)이 포함되며, 이러한 잉아부착부분(23a)(23b)에는 제1및 제2대향 끝부분(43)(44)이 있고, 제1끝부분(43)의 두께는 제2끝부분(44)보다 더 크며, 잉아몸통(21a)은 제1끝부분(43)에 끼워져 있고, 여기에서 잉아부착부분(23a)(23b)이 곧고 긴 개구부(15a)(15b)내에 배치되어 있기때문에 인접된 잉아부착부분(23a)(23b)의 제1및 제2끝부분(43)(44)이 나란히 놓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잉아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잉아틀에 대한 잉아의 부착과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잉아어셈블리.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잉아의 부착과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수단에 잉아틀 비임부재(12a)의 대향측벽(S1)(S2)중 하나(S1)위에 뚫려있는 개구부(52)를 한정하는 수단이 포함되며, 이러한 개구부(52)는 잉아틀 비임부재(12a)의 곧고 긴 개구부(15a)안에서 합류되고, 평판부재(53)가 개구부(52)에 분리할 수 있도록 맞물려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잉아어셈블리.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잉아의 부착과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수단에 잉아를 비임부재(12a)내에 뚫려 있고, 곧고 긴 개구부(15a)내에서 합류하여 이 개구부(15a)를 비스듬히 가로지르는 제1부분(55B)과 곧고 긴 슬릿(16a)내에서 합류하여 제1부분(55B)과 평행으로 뻗어 있는 제2부분(55C)이 달려있는 잉아삽입개구부(55)를 한정하는 수단이 포함되며, 이에 의하여 잉아부착부분(23a)과 잉아몸통(21a)이 제1및 제2부분(55B)(55C)를 거쳐 각 곧고 긴 개구부(15a)와 슬릿(16a)속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잉아어셈블리.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잉아삽입개구부 제1부분(55B)의 넓이(W4)는 잉아부착부분(23a)의 두께(T)보다 더 크며, 반면에 잉아삽입개구부 제2부분(55C)의 넓이(W5)는 잉아부착부분의 두께(T)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잉아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부러진 잉아의 임시수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잉아어셈블리.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수선을 용이하게 하는 수단에 제1및 제2잉아부착부분(23a)(23b) 가까이에 있는 잉아몸통에 뚫린 제1및 제2개구부(56a)(56b)를 한정하는 수단과 잉아몸통(21a)의 제1및 제2제개구부(56a)(56b)에 대응하는 제1및 제2개구부(58a)(58b)가 뚫려있는 보조잉아(57)및 제1및 제2받침핀(59)이 포함되어 있으며, 제1보조받침핀(59)은 잉아몸통과 보조잉아의 제1개구부(56a)(58a)내에 배치되어 있고, 제2받침핀(59)은 잉아몸통과 보조잉아의 제2개구부(56b)(58b)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잉아어셈블리.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핀(59)에 잉아몸통과 보조잉아의 제1개구부(56a)(58a)속으로 삽입할 수 있는 원통형 몸통부분(60), 이러한 원통형 몸통부분(60)의 한쪽끝에 형성되고, 직경이 원통형 몸통부분(60)보다 더 크며, 한 잉아의 잉아몸통(21a)과 접촉할 수 있는 머리부분(61), 원통형 몸통부분(60)을 관통하는 통과구멍(62)내에 배치되고, 다른 잉아의 잉아몸통(21a)과 접촉할 수 있는 분할핀(63)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잉아어셈블리.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핀(59')이 탄성재료로 만들어지고, 긴 제1및 제2부분(64)(65)이 있으며 이러한 제1및 제2부분은 그 한쪽끝이 서로 통합되어 있고, 잉아몸통과 보조잉아의 개구부(56a)(58a)와 맞물릴 수 있는 다수의 홈(66)(67)(68)이 파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잉아어셈블리.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핀(59")에 잉아몸통과 보조잉아의 개구부(56a)(58a)속으로 삽입할 수 있는 원통형 몸통부분(69), 이러한 몸통부분(69)의 한쪽끝에 형성되고, 그 직경이 몸통부분의 직경보다 더 크며, 한 잉아의 잉아몸통(21a)과 접촉할 수 있는 머리부분(70), 몸통부분(69)의 다른쪽끝에 걸려있고, 다른 잉아의 잉아몸통(21a)과 접촉할 수 있는 원반형 스토퍼(72)등이 달려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잉아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아부착부분에 잉아를 비임부재(12a)의 곧고 긴 개구부(15a)내에 위치하고 있는 주몸통부분(77)과 이러한 주몸통부분(77)에 통합되고, 잉아몸통(21a)의 일부를 덮고있는 부분(78)이 포함되며, 이러한 부분(78)은 곧고 긴 슬릿(16a)내에 위치하고, 잉아몸통(21a)의 길이에 따라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잉아어셈블리.
-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잉아몸통(21a)의 각 대향끝부분이 가로로 돌출한 턱모양의 부분(79)과 잉아부착부분의 재료로 채워져 있는 개구부(80)로 되어 있기때문에, 잉아몸통이 이러한 잉아부착부분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잉아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접촉 유지수단에 플랜지부분이 곧고 긴 슬릿(16a)을 한정하는 잉아틀 비임부재(12a)의 서로 대향하는 2개의 플랜지부분(17a)중 적어도 팁부분을 덮기위하여(배치된 감쇠층(81a)(81b)(82a)(82b)이 포함되고, 이러한 감쇠층이 감쇠능력을 가진 재료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잉아어셈블리.
-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층이 잉아를 비임부재(12a)(12b)의 곧고 긴 개구부(15a)(15b)를 한정하는 내벽면과, 곧고 긴 슬릿(16a)(16b)을 한정하는 내벽면을 덮기위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잉아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56-129517 | 1981-08-18 | ||
JP12869681A JPS5831139A (ja) | 1981-08-19 | 1981-08-19 | 綜絖枠への綜絖の取付構造 |
JP56-128696 | 1981-08-19 | ||
JP56-132081 | 1981-08-25 | ||
JP13208181A JPS5836237A (ja) | 1981-08-25 | 1981-08-25 | 綜絖枠への綜絖の取付構造 |
JP56-132079 | 1981-08-25 | ||
JP13208081A JPS5836236A (ja) | 1981-08-25 | 1981-08-25 | 綜絖枠への綜絖の取付構造 |
JP56-132080 | 1981-08-25 | ||
JP13207981A JPS5836235A (ja) | 1981-08-25 | 1981-08-25 | 綜絖枠への綜絖の取付構造 |
JP56-126470 | 1981-08-28 | ||
JP12647081U JPS5834975U (ja) | 1981-08-28 | 1981-08-28 | 綜絖枠への綜絖の取付構造 |
JP56-129516 | 1981-09-02 | ||
JP12951681U JPS5834976U (ja) | 1981-09-02 | 1981-09-02 | 綜絖枠への綜絖の取付構造 |
JP12951781U JPS5834974U (ja) | 1981-09-02 | 1981-09-02 | 織機の綜絖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40001234A KR840001234A (ko) | 1984-03-28 |
KR850001110B1 true KR850001110B1 (ko) | 1985-08-03 |
Family
ID=27565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8203620A KR850001110B1 (ko) | 1981-08-19 | 1982-08-12 | 직기의 잉아어셈블리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4519424A (ko) |
EP (1) | EP0072449B1 (ko) |
KR (1) | KR850001110B1 (ko) |
CS (1) | CS244114B2 (ko) |
DE (1) | DE3277538D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47942B2 (ja) * | 1982-04-21 | 1985-10-24 | 株式会社丸山製作所 | 綜絖枠の横梁 |
US4506707A (en) * | 1983-07-20 | 1985-03-26 | Kabushiki Kaisha Maruyama Seisakusho | Heddle frame |
US4790357A (en) * | 1987-08-06 | 1988-12-13 | Steel Heddle Mfg., Inc. | Harness frame slat and heddle |
DE4023498C1 (ko) * | 1990-07-24 | 1991-10-24 | Grob & Co Ag, Horgen, Zuerich, Ch | |
JP2936040B2 (ja) * | 1993-08-25 | 1999-08-23 |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 務歯列織込みストリンガーの製織機における綜絖 |
DE19962977B4 (de) * | 1999-12-24 | 2012-03-08 | Picanol N.V. | Webschaft für eine Webmaschine |
KR100356783B1 (ko) * | 2000-03-22 | 2002-10-18 | 서용교 | 종광의 재생가공방법 |
FR2849067B1 (fr) * | 2002-12-24 | 2005-04-29 | Staubli Sa Ets | Lisse, cadre de lisses et metier a tisser equipe d'un tel cadre |
CN104963055A (zh) * | 2015-06-17 | 2015-10-07 | 卢美珍 | 一种综框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190406124A (en) * | 1904-03-12 | 1904-04-14 | Amy Frances Apthorp | An Improved Device for Attaching Feathers, Plumes and like Ornaments to Hats or Bonnets |
US761677A (en) * | 1904-03-30 | 1904-06-07 | Draper Co | Separating means for metallic loom-heddles. |
FR424530A (fr) * | 1910-03-15 | 1911-05-16 | Henri Marie Jager | Dispositif pour la suspension des lisses dans les métiers à tisser à lames |
US2461497A (en) * | 1946-07-03 | 1949-02-08 | Steel Heddle Mfg Co | Loom harness |
US2645251A (en) * | 1946-07-19 | 1953-07-14 | Philippe Meyer | Harness frame for looms |
CH544826A (de) * | 1973-01-18 | 1973-11-30 | Saurer Ag Adolph | Webschaft für die Fachbildung bei Webmaschinen |
US3895655A (en) * | 1974-04-12 | 1975-07-22 | Rockwell International Corp | Harness frame for looms |
CH601532A5 (ko) * | 1977-02-28 | 1978-07-14 | Grob & Co Ag | |
DE2839488C2 (de) * | 1978-09-11 | 1983-02-24 | Gebrüder Schmeing, 4280 Borken | Webeschaft aus Kunststoff |
US4252153A (en) * | 1979-04-23 | 1981-02-24 | Steel Heddle Manufacturing Co. | Heddle rod hook device for a loom |
-
1982
- 1982-07-19 DE DE8282106513T patent/DE3277538D1/de not_active Expired
- 1982-07-19 EP EP82106513A patent/EP0072449B1/en not_active Expired
- 1982-07-23 US US06/401,212 patent/US4519424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2-08-12 KR KR8203620A patent/KR850001110B1/ko active
- 1982-08-12 CS CS825990A patent/CS244114B2/cs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S244114B2 (en) | 1986-07-17 |
CS599082A2 (en) | 1985-08-15 |
DE3277538D1 (en) | 1987-12-03 |
KR840001234A (ko) | 1984-03-28 |
EP0072449A1 (en) | 1983-02-23 |
EP0072449B1 (en) | 1987-10-28 |
US4519424A (en) | 1985-05-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850001110B1 (ko) | 직기의 잉아어셈블리 | |
JP6682230B2 (ja) | 織機のヘドル、そのヘドルを備えた織機及びそのヘドルの製造方法 | |
KR101274052B1 (ko) | 잉아를 제조하는 방법, 쉐드 형성 메카니즘을 위한 잉아 및잉아를 구비하는 직기 | |
DE2714421C3 (de) | Webelitze | |
KR910001803B1 (ko) | 편기용 스탬프 편성부재 | |
JPH04240238A (ja) | ヘルド | |
KR102489084B1 (ko) | 직기용 잉아 및 그러한 잉아를 갖춘 직기 | |
KR102573810B1 (ko) | 직기용 잉아 및 그러한 잉아를 갖춘 직기 | |
CA1210998A (en) | Tufting needle | |
US5409044A (en) | Circular loom having improved shuttle retention | |
CN113005594B (zh) | 用于织机的综片和装有此类综片的线束 | |
CA2029423C (en) | Stamped knitting tool for textile machines | |
KR200478364Y1 (ko) | 자카드직기용 종광 | |
US3787931A (en) | Comb for textile machine | |
JP2002517633A (ja) | 織りおさとおさ羽 | |
US3719036A (en) | Device for use in connection with spinning and twisting machines for guiding the thread from the drafting mechanism to the spindle | |
KR102640305B1 (ko) | 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봉합사 성형용 금형 | |
US5127443A (en) | Needle for construction of three dimensional fabric | |
DE2817136A1 (de) | Zungennade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 |
KR200377714Y1 (ko) | 직기용 종광 | |
SU1756409A1 (ru) | Ремизна рама дл получени тканей перевивочного переплетени | |
JP2024122923A (ja) | 織機用の綜絖およびそのような綜絖を備える織機 | |
FR2355107A1 (fr) | Element de guidage de l'organe d'insertion de la trame d'une machine a tisser | |
ITMI942202A1 (it) | Pista guidanastri per telai di tessitura a pinze | |
KR200354617Y1 (ko) | 직조용 바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