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714Y1 - 직기용 종광 - Google Patents

직기용 종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714Y1
KR200377714Y1 KR20040035004U KR20040035004U KR200377714Y1 KR 200377714 Y1 KR200377714 Y1 KR 200377714Y1 KR 20040035004 U KR20040035004 U KR 20040035004U KR 20040035004 U KR20040035004 U KR 20040035004U KR 200377714 Y1 KR200377714 Y1 KR 2003777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d
loom
fastening
inclined portion
incl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350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점수
Original Assignee
네젠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젠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젠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400350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7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7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7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2Heal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6Heald frames
    • D03C9/0666Connection of fram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직기에 사용시 인접한 종광과의 뭉침현상을 방지하면서 경사의 스침현상을 줄여 경사의 개구운동시 손상되거나 절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종광에 관한 것으로서,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성형하여 양측 가장 자리에 위치하는 체결부(31)와; 상기 체결부(31)의 내측에 형성되는 몸체(32)와; 상기 체결부(31)에 직기의 종광프레임과 체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체결공(33)과; 상기 몸체(32)의 중심에 몸체(32)와는 비틀리도록 형성하는 경사부(34)와; 상기 경사부(34)에 경사(36)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아이렛(35)을 포함하는 직기용 종광(30)에 있어서;
상기 경사(36)가 경유하는 아이렛(35)이 형성되는 경사부(34)의 두께(T)를 굵은 경사(36)가 경유하더라도 경사부(34)가 불룩하게 돌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몸체(31)의 두께(T1)보다 얇게 형성하고; 상기 체결부(31)에는 인접한 종광(30)과 밀착되어 뭉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밀착방지수단(40)과; 상기 체결부(31)와 몸체(32)에 경사의 스침현상을 억제하여 경사의 손상이나 절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스침방지수단(6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직기용 종광{A heald for loom}
본 고안은 직기용 종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직물지를 생산하는 제직기에서 경사를 개구시켜 위사의 원활한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선된 종광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광은 수백, 수천 가닥에 달하는 경사사이에 위사를 원활히 공급하여 제직이 가능하도록 하는 직기의 구성 부품중 하나이다.
상기 종광(1)은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성형하여 그 형상이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하고 가장 자리에서부터 중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그 폭이 감소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종광(1)은 양측 가장 자리에 위치하는 체결부(2)와 상기 체결부(2)의 내측에 형성되는 몸체(3)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2)에는 직기의 종광프레임과 체결할 수 있도록긴 길이의 체결공(4)이 구비되고, 중심에는 몸체(3)와는 비틀리도록 형성한 경사부(5)에 형성되어 경사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아이렛(6)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2)에 형성되는 체결공(4)의 양측에는 인접한 종광과 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착방지용 돌기(7)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종광은 경사의 가닥수와 동일하게 구비되어 아이렛으로 경사를 통과시켜 상, 하 운동에 따른 경사의 개구를 형성하고, 이러한 경사 개구를 통하여공급된 위사에 의해 직물의 제직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종광을 워트제트직기에 적용할 경우에는 위사의 공급을 위하여 사용되는 물에 의하여 돌기가 있더라도 인접한 종광과의 접착력이 증대되어 여러개의 종광이 뭉쳐진 형태가 됨으로서 제직을 어렵게 하는 원인이 된다.
특히, 종광의 몸체가 상,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경사가 교차하면서 개구를 형성하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경사의 스침현상이 심하게 일어나게 됨으로서 직기의 속도 상승에 제한이 있게 되고, 경사의 마찰에 의하여 절사의 원인이 되는 것은 물론 종광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성형하여 구성되는 종광을 개선하여 직기에 사용시 인접한 종광과의 뭉침현상을 방지하면서 경사의 스침현상을 줄여 경사의 개구운동시 손상되거나 절사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종광의 품질향상과 더불어 제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1실시예의 기술이 적용된 직기용 종광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1실시예의 기술이 적용된 직기용 종광의 C - C선을 따라서 취한 발췌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1실시예의 기술이 적용된 직기용 종관의 사용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2실시예의 기술이 적용된 직기용 종광의 체결부블 발췌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2실시예의 기술이 적용된 직기용 종광의 사용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3실시예의 기술이 적용된 직기용 종광의 체결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3실시예의 기술이 적용된 직기용 종광의 사용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4실시예의 기술이 적용된 직기용 종광을 도시한 전체 정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인 직기용 종광(30)은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성형하여 양측 가장 자리에 위치하는 체결부(31)와 상기 체결부(31)의 내측에 형성되는 몸체(32)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31)에는 직기의 종광프레임과 체결할 수 있도록 긴 길이의 체결공(33)이 구비되고, 몸체(32)의 중심에는 몸체(32)와는 비틀리도록 형성한 경사부(34)에 경사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아이렛(35)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종광(30)의 아이렛(35)과 체결부(31)를 개선하여 종광(30)의 품질향상과 제직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경사(36)가 경유하는 아이렛(35)이 형성되는 경사부(34)의 두께(T)를 몸체(31)의 두께(T1)보다 얇게 형성하여 굵은 경사(36)가 경유하더라도 경사부(34)가 불룩하게 돌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31)에는 인접한 종광(30)과 밀착되어 뭉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착방지수단(40)을 더 형성하고, 상기 체결부(31)와 몸체(32)에는 경사의 스침현상을 억제하여 경사의 손상이나 절사를 방지할 수 있는 스침방지수단(60)을 더 형성한다.
상기 밀착방지수단(40)은, 상기 체결부(31)에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반원형상의 밀착방지돌기(41)를 형성하여 종광프레임에 지그재그타입으로 체결되는 종광(30)의 밀착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 밀착방지수단(40)의 다른 예로서는 체결부(31)와 몸체(32)의 경계지점(P)을 중심으로 체결부(31)를 어느 한 방향으로 일정각도(α)기울어지게 형성하여 인접한 종광(30)과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스침방지수단(60)은, 경사부(34) 이외의 몸체(31)부위는 경사부(34)와는 달리 직선상태를 유지함으로서 경사(36)가 개구를 형성하기 위하여 교차될 때 발생하는 스침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경사부(34)의 꼬임위치(TP)를 체결부(31)와 근접한 위치에 형성한다.
상기 스침방지수단(60)의 다른 예로서는 체결부(31)를 몸체(32)의 경계지점(P)에서 몸체(32)의 폭(B)을 유지한 상태의 절곡부(BP)를 두어 지그재그타입으로 체결시 몸체(32)와 몸체(32) 상간에 스침공간(S)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종광(30)은;
경사부(34)에 형성되는 아이렛(35)을 통하여 경사(40)를 관통시킨 후 체결부(31)를 이용하여 직기에 장착하여 상, 하 운동에 따른 경사의 개구를 형성함으로서 위사가 지나감으로서 직물이 제직되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의 종광(30)은 종광프레임에 지그재그타입으로 체결하는 과정에서 체결부(31)에 형성하는 밀착방지수단(40)에 의하여 인접한 많은 수의 종광(30)이 뭉처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를 살펴보면, 체결부(31)에 일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밀착방지돌기(41)에 의하여 지그재그로 체결되는 종광(30)은 일측의 인접 종광(30)과는 밀착되나 다른 측의 인접 종광(30)과는 이격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인접한 주위의 많은 종광(30)이 뭉처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체결부(31)가 몸체(32)와의 경계지점(P)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일정각도(α) 경사진 상태에 있음으로서 이 역시 지그재그로 체결되는 종광(30)은 일측의 인접 종광(30)과는 밀착되나 다른 측의 인접 종광(30)과는 이격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인접한 주위의 많은 종광(30)이 뭉처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스침방지수단(60)에 의하여 개구를 형성하는 경사(36)가 종광(30)과 연접됨으로서 야기될 수 있는 스침현상이 배제되어 경사(36)의 손상이나 절사와 같은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이를 살펴보면, 경사(36)가 경유하는 아이렛(35)이 형성되는 경사부(34)의 꼬임위치(TP)를 체결부(31)와 근접한 위치에 둠으로서 경사(36)가 움직이는 범위내에서 몸체(32)와 스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또한, 체결부(31)와 몸체(32)의 경계지점(P)에 절곡부(BP)를 둠으로서 종광(30)이 지그재그로 체결될 때 절곡부(BP)에 의하며 몸체(32)에는 자연스럽게 스침공간(S)이 형성되어 경사(36)가 몸체(32)와 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직기의 종류(특히 워트제트직기)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종광의 뭉침을 방지하여 제직 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경사의 손상이나 절사를 방지하여 제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성형하여 구성되는 종광을 개선하여 직기에 사용시 인접한 종광과의 뭉침현상을 방지하면서 경사의 스침현상을 줄여 경사의 개구운동시 손상되거나 절사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종광의 품질향상과 더불어 제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많은 효과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직기용 종광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종래기술의 직기용 종광이 적용된 도 1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발췌 단면도.
도 3은 종래기술의 직기용 종광이 적용된 도 1의 B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1실시예의 기술이 적용된 직기용 종광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1실시예의 기술이 적용된 직기용 종광의 C - C선을 따라서 취한 발췌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1실시예의 기술이 적용된 직기용 종관의 사용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2실시예의 기술이 적용된 직기용 종광의 체결부블 발췌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2실시예의 기술이 적용된 직기용 종광의 사용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3실시예의 기술이 적용된 직기용 종광의 체결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3실시예의 기술이 적용된 직기용 종광의 사용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4실시예의 기술이 적용된 직기용 종광을 도시한 전체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0; 종광
31; 체결부
32; 몸체
34; 경사부
35; 아이렛
40; 밀착방지수단
41; 밀착방지돌기
60; 스침방지수단

Claims (5)

  1.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성형하여 양측 가장 자리에 위치하는 체결부(31)와;
    상기 체결부(31)의 내측에 형성되는 몸체(32)와;
    상기 체결부(31)에 직기의 종광프레임과 체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체결공(33)과;
    상기 몸체(32)의 중심에 몸체(32)와는 비틀리도록 형성하는 경사부(34)와;
    상기 경사부(34)에 경사(36)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아이렛(35)을 포함하는 직기용 종광(30)에 있어서;
    상기 경사(36)가 경유하는 아이렛(35)이 형성되는 경사부(34)의 두께(T)를 굵은 경사(36)가 경유하더라도 경사부(34)가 불룩하게 돌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몸체(31)의 두께(T1)보다 얇게 형성하고;
    상기 체결부(31)에는 인접한 종광(30)과 밀착되어 뭉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밀착방지수단(40)과;
    상기 체결부(31)와 몸체(32)에 경사의 스침현상을 억제하여 경사의 손상이나 절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스침방지수단(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종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방지수단(40)은 체결부(31)에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반원형상의 밀착방지돌기(4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종광.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방지수단(40)은 체결부(31)와 몸체(32)의 경계지점(P)을 중심으로 체결부(31)를 어느 한 방향으로 일정각도(α)기울어지게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종광.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침방지수단(60)은 경사부(34)의 꼬임위치(TP)를 경사가 움직이는 범위를 벗어난 체결부(31)와 근접한 위치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종광.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침방지수단(60)은 체결부(31)와 몸체(32)의 경계지점(P)에 지그재그타입으로 체결시 몸체(32)와 몸체(32) 상간에 스침공간(S)이 형성되도록 절곡부(BP)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종광.
KR20040035004U 2004-12-09 2004-12-09 직기용 종광 KR2003777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35004U KR200377714Y1 (ko) 2004-12-09 2004-12-09 직기용 종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35004U KR200377714Y1 (ko) 2004-12-09 2004-12-09 직기용 종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714Y1 true KR200377714Y1 (ko) 2005-03-10

Family

ID=41131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35004U KR200377714Y1 (ko) 2004-12-09 2004-12-09 직기용 종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71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8670A2 (en) * 2007-07-09 2009-01-15 Namdo Mold Co., Ltd. Heddle
KR100913613B1 (ko) * 2007-07-09 2009-08-26 남도금형(주) 종광
KR101248795B1 (ko) * 2009-02-26 2013-04-03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플라스틱 재료의 힐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8670A2 (en) * 2007-07-09 2009-01-15 Namdo Mold Co., Ltd. Heddle
WO2009008670A3 (en) * 2007-07-09 2009-03-19 Namdo Mold Co Ltd Heddle
KR100913613B1 (ko) * 2007-07-09 2009-08-26 남도금형(주) 종광
KR101248795B1 (ko) * 2009-02-26 2013-04-03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플라스틱 재료의 힐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009400A (ja) 糸を保護する綜絖
US20070079887A1 (en) Plastic heddle
JP2007092267A (ja) 織機用ヘドル、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ヘドルによる開口形成機構を備えた織機
KR200377714Y1 (ko) 직기용 종광
KR200248984Y1 (ko) 직기용 종광
EP1314807B1 (en) Method of forming tuck-in selvage in cloth
EP2422004B1 (en) Three dimensional heddle eyelet
ITMI942426A1 (it) Mezzi per guidare il moto di una coppia di pinze all'interno del passo di telai di tessitura
RU2129625C1 (ru) Рапирный ткацкий станок
WO2014136197A1 (ja) 織機用ヘルドとヘルド取付枠部材及び織機
JPH05140840A (ja) 直列型開口式織機
JP6042079B2 (ja) たて糸の保持を改良したアイを有するヘルド
KR200450270Y1 (ko) 직기용 종광
US6148868A (en) Reed with doglegged blades for water jet loom and weaving method using the same
EP0890666A1 (en) Reed for water injection loom, and weaving method using same
CN101331253B (zh) 用于织机的绞综装置
JPH1136162A (ja) 織機用オサ
JP2013087410A (ja) たて糸に優しいアイを有するヘルド
KR200229742Y1 (ko) 직기용 종광
KR200244714Y1 (ko) 고속직기용 판형종광의 눈
KR20110009155U (ko) 직기용 종광
KR100396057B1 (ko) 직기용 바템플
KR200282374Y1 (ko) 개방형 클램프
KR950000289Y1 (ko) 레피어직기의 가이드훅
JP4367851B2 (ja) 経糸規制部材を備えた織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