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8984Y1 - 직기용 종광 - Google Patents

직기용 종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984Y1
KR200248984Y1 KR20010019172U KR20010019172U KR200248984Y1 KR 200248984 Y1 KR200248984 Y1 KR 200248984Y1 KR 20010019172 U KR20010019172 U KR 20010019172U KR 20010019172 U KR20010019172 U KR 20010019172U KR 200248984 Y1 KR200248984 Y1 KR 2002489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d
loom
fastening
eyelet
pr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100191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점수
김인수
한상훈
Original Assignee
네젠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젠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젠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100191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9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9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984Y1/ko
Priority to CN02141256A priority patent/CN1400345A/zh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2Healds
    • D03C9/024Eye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광을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성형하면서 경사의 개구운동시 손상되거나 절사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체결부가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서 종과의 품질향상은 물론 제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직기용 종광에 관한 것으로서, 박판의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성형하여 양측 가장 자리에 위치하는 체결부(31)와; 상기 체결부(31)의 내측에 형성되는 몸체(32)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부(31)에는 직기의 종광프레임과 체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체결공(33)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32)의 중심에는 몸체(32)와는 비틀리도록 형성한 경사부(34)에 경사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아이렛(35)을 포함하는 직기용 종광(30)에 있어서;
상기 아이렛(35)이 형성되는 경사부(34)의 상,하단부(41,42)를 절곡하여 몸체(32)와 평행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아이렛(35)의 상,하단부(45,46)는 경사(40)의 손상과 절사를 방지할 수 있도록 라운드(47)로 형성하고;
상기 체결공(33)의 일측에는 종광(30)과 종광(30)이 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격돌기(50,51)를 양측에 형성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직기용 종광{A heald for loom}
본 고안은 직기용 종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직물지를 생산하는 제직기에서 경사를 개구시켜 위사의 원활한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종광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광은 수백, 수천 가닥에 달하는 경사사이에 위사를 원활히 공급하여 제직이 가능하도록 하는 직기의 구성 부품중 하나이다.
상기 종광(1)은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박판의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성형하여 그 형상이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하고 가장 자리에서부터 중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그 폭이 감소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종광(1)은 양측 가장 자리에 위치하는 체결부(2)와 상기 체결부(2)의 내측에 형성되는 몸체(3)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2)에는 직기의 종광프레임과 체결할 수 있도록긴 길이의 체결공(4)이 구비되고, 중심에는 몸체(3)와는 비틀리도록 형성한 경사부(5)에 형성되어 경사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아이렛(6)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2)에 형성되는 체결공(4)의 양측에는 요입부(7)와 돌출부(8)를 엇갈리게 형성하여 사용시 상호간의 밀착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광은 경사의 가닥수와 동일하게 구비되어 아이렛으로 경사를 통과시켜 상, 하 운동에 따른 경사의 개구를 형성하고, 이러한 경사 개구를 통하여공급된 위사에 의해 직물의 제직이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종광은 아이렛으로 통과한 경사와 지속적인 마찰이 이루어지며, 특히 상, 하 운동을 통한 개구 형성시 경사에는 일정 강도의 전단 응력이 작용한다.
이러한 종광은 내마모성과 고탄력 및 유연성을 갖는 재질이 요구되고,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고순도의 스테인레스 스틸 박판을 이용하여 상술한 조건을 충족하였다.
그러나, 종광의 경사면에 형성되는 아이렛의 상,하측에는 첨예한 돌출부(7)가 형성되기 때문에 이 돌출부에 경사가 손상되거나 절단되는 등의 현상이 다발함으로서 제직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에 종광과 종관이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한 요입부와 돌출부가 실제 직기에 적용시에는 치합되는 형태가 됨으로서 플라스틱의 특성상 정전기등의 원인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못함으로서 원활한 제직이 불가능하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종광을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성형하면서 경사의 개구운동시 손상되거나 절사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체결부가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서 종과의 품질향상은 물론 제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직기용 종광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종래기술의 직기용 종광이 적용된 도 1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발췌 단면도.
도 3은 도 2는 종래기술의 직기용 종광이 적용된 도 1 B부위를 발췌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직기용 종광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인 직기용 종광이 적용된 도 4 C - C선을 따라서 취한 발췌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인 직기용 종광이 적용된 도 4 D부위를 발췌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적용된 직기용 종광의 E - E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0; 종광
31; 체결부
32; 몸체
35; 아이렛
40; 경사
47; 라운드
50,51; 이격돌기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직기용 종광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인 직기용 종광이 적용된 도 4 C - C선을 따라서 취한 발췌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인 직기용 종광이 적용된 도 4 D부위를 발췌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적용된 직기용 종광의 E - E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직기용 종광(30)은;
박판의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성형하여 양측 가장 자리에 위치하는 체결부(31)와 상기 체결부(31)의 내측에 형성되는 몸체(32)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31)에는 직기의 종광프레임과 체결할 수 있도록긴 길이의 체결공(33)이 구비되고, 몸체(32)의 중심에는 몸체(32)와는 비틀리도록 형성한 경사부(34)에 경사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아이렛(35)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플라스틱재질로 사출성형되는 종광(30)의 아이렛(35)과 체결부(31)를 개선하여 종광(30)의 품질향상과 제직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몸체(32)의 중앙에 경사(4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아이렛(35)이 형성되는 경사부(34)의 상,하단부(41,42)를 절곡하여 몸체(32)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아이렛(35)에는 통과하는 경사(40)가 연접 및 마찰되더라도 경사(40)가 손상되거나 절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아이렛(35)의 상단부(45)와 하단부(46)를 라운드(47)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31)에 형성되는 체결공(33)의 일측에는 종광(30)과 종광(30)이 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이격돌기(50,51)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종광(30)은;
경사부(34)에 형성되는 아이렛(35)을 통하여 경사(40)를 관통시킨 후 체결부(31)를 이용하여 직기에 장착하여 상, 하 운동에 따른 경사의 개구를 형성함으로서 위사가 지나감으로서 직물이 제직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종광(30)은 그 재질이 합성 수지재를 이용하여 구비됨으로 인해 중량이 감소되고 제작이 용이함으로서 제직시 종광(30)의 상, 하 운동 속도를 증가시켜 고밀도 제직을 통한 고품질 생산이 가능하고, 종광(30)을 구동하는 직기의 구동부에 작용하는 부하를 절감시켜 직기의 내구성증대와 초기 직기의 설비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종래 종광이 서로 밀착되어 이격되지 않음으로서 경사의 개구작용이 원활하지 못하나, 본 고안의 종광(30)의 체결부(31)에 형성되는 이격돌기(50,51)에 의하여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종광(30)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종광(30)의 경사부(34)에 형성되는 아이렛(35)의 상,하단부(45,46)가 라운드(47)로 되어있기 때문에 아이렛(35)을 통과하는 경사(40)가 상,하단부(45,46)와 연접되거나 마찰이 일어나더라도 경사(40)가 손상되거나 절사되는 현상이 없어진다.
이러한 본 고안의 종광(30)은 플라스틱재질로 사출성형하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게 되고, 불필요한 추가공정이 없어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경사(40)의 손상없이 제직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등의 잇점을 가진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종광을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성형하면서 경사의 개구운동시 손상되거나 절사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체결부가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서 종과의 품질향상은 물론 제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등 많은 효과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박판의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성형하여 양측 가장 자리에 위치하는 체결부(31)와;
    상기 체결부(31)의 내측에 형성되는 몸체(32)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부(31)에는 직기의 종광프레임과 체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체결공(33)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32)의 중심에는 몸체(32)와는 비틀리도록 형성한 경사부(34)에 경사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아이렛(35)을 포함하는 직기용 종광(30)에 있어서;
    상기 아이렛(35)이 형성되는 경사부(34)의 상,하단부(41,42)를 절곡하여 몸체(32)와 평행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아이렛(35)의 상,하단부(45,46)는 경사(40)의 손상과 절사를 방지할 수 있도록 라운드(47)로 형성하고;
    상기 체결공(33)의 일측에는 종광(30)과 종광(30)이 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격돌기(50,51)를 양측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종광.
KR20010019172U 2001-06-26 2001-06-26 직기용 종광 KR2002489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19172U KR200248984Y1 (ko) 2001-06-26 2001-06-26 직기용 종광
CN02141256A CN1400345A (zh) 2001-06-26 2002-06-26 织机用综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19172U KR200248984Y1 (ko) 2001-06-26 2001-06-26 직기용 종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8984Y1 true KR200248984Y1 (ko) 2001-11-16

Family

ID=41152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10019172U KR200248984Y1 (ko) 2001-06-26 2001-06-26 직기용 종광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248984Y1 (ko)
CN (1) CN140034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8670A2 (en) * 2007-07-09 2009-01-15 Namdo Mold Co., Ltd. Heddle
KR200450270Y1 (ko) 2008-08-06 2010-09-15 네젠텍주식회사 직기용 종광
KR100987372B1 (ko) 2009-08-25 2010-10-12 김재근 합성수지제 직기용 종광의 종광눈 형성방법
KR101075644B1 (ko) 2010-05-10 2011-10-21 김재근 합성수지제 직기용 종광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79887A1 (en) * 2005-10-10 2007-04-12 Gtp Greenville, Inc. Plastic heddle
EP2505701B1 (de) * 2011-03-28 2014-12-31 Groz-Beckert KG Mehrkomponenten-Kunststofflitz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CN102704138A (zh) * 2012-06-05 2012-10-03 武汉纺织大学 一种新型综丝
CN109537148A (zh) * 2019-01-02 2019-03-29 鲁泰纺织股份有限公司 用于织布机断经自停的停经片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8670A2 (en) * 2007-07-09 2009-01-15 Namdo Mold Co., Ltd. Heddle
WO2009008670A3 (en) * 2007-07-09 2009-03-19 Namdo Mold Co Ltd Heddle
KR200450270Y1 (ko) 2008-08-06 2010-09-15 네젠텍주식회사 직기용 종광
KR100987372B1 (ko) 2009-08-25 2010-10-12 김재근 합성수지제 직기용 종광의 종광눈 형성방법
KR101075644B1 (ko) 2010-05-10 2011-10-21 김재근 합성수지제 직기용 종광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00345A (zh) 2003-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75479B1 (en) Means to guide the motion of a pair of weft carrying grippers inside the shed of weaving looms
KR20070003670A (ko) 야안 보호 종광
KR970001329B1 (ko) 두꺼운 벨트 및 그것을 생산하기 위한 장치
KR200248984Y1 (ko) 직기용 종광
US20070079887A1 (en) Plastic heddle
US7581566B2 (en) Heddle for band-shaped warp threads
JP4126438B2 (ja) 細板型綜絖
KR20180011738A (ko) 자카드 직조기용 종광, 종광의 제조 방법, 및 그러한 종광을 포함하는 직조기
KR200377714Y1 (ko) 직기용 종광
US4076053A (en) Means guiding the straps of the weft carrying grippers inside the shed
EP3754065A1 (en) Heald frame for weaving looms, comprising a braking device of the heald movement by inertia during the motion reversal phases of the heald frames
CZ7299A3 (cs) Nitěnky
WO2014136197A1 (ja) 織機用ヘルドとヘルド取付枠部材及び織機
EP0715009A1 (en) Means to guide the motion of a pair of weft grippers along the shed of looms
KR890004307Y1 (ko) 표면형 파스너의 루우프 성형직기용 맨드렐
KR200229742Y1 (ko) 직기용 종광
KR20110009155U (ko) 직기용 종광
JPS6134244A (ja) 樹脂補強用織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303384A (ja) ヘルド及び同ヘルドを使った強化繊維織物の製造方法
KR200450270Y1 (ko) 직기용 종광
KR200478364Y1 (ko) 자카드직기용 종광
JP2001234452A (ja) 補強用織物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KR20090037727A (ko) 자카드 직기용 종광
CN218812395U (zh) 一种高速提花织机用高耐磨金属/塑料复合综丝
JP6042079B2 (ja) たて糸の保持を改良したアイを有するヘル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