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329B1 - 두꺼운 벨트 및 그것을 생산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두꺼운 벨트 및 그것을 생산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329B1
KR970001329B1 KR1019940702786A KR19940072786A KR970001329B1 KR 970001329 B1 KR970001329 B1 KR 970001329B1 KR 1019940702786 A KR1019940702786 A KR 1019940702786A KR 19940072786 A KR19940072786 A KR 19940072786A KR 970001329 B1 KR970001329 B1 KR 970001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thick
layers
warp
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2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이찌 기꾸찌
마사오 와따나베
Original Assignee
기꾸찌 웨브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고이찌 기꾸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꾸찌 웨브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고이찌 기꾸찌 filed Critical 기꾸찌 웨브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3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05Woven fabrics for safety bel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5/00Smallware looms, i.e. looms for weaving ribbons or other narrow fabr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62Textile, fabric, cloth, or pile containing [e.g., web, net, woven, knitted, mesh, nonwoven, matted,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두꺼운 벨트 및 그것을 생산하기 위한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두꺼운 벨트의 제직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두꺼운 벨트의 제직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제3도는 기초부와 광폭부의 배열을 도시한 두꺼운 벨트의 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셔틀레이스에 형성된 단이진 홈의 형상을 도시하는 셔틀레이스의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테이크 엎 장치의 측면도.
제6a도에서 제6f도는 테이크 엎 장치 기구에 있어서 테이크 엎 롤러와 프레스 롤러의 조합의 형상을 보이는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사용된 제직구조를 보인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사용된 제직구조를 보인 단면.
제9(a) 및 9(b)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사용된 제직구조를 보인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셔틀 직기의 슬라이드 훅 기구를 보인 도면.
본 발명은 두꺼운 벨트 및 그것을 생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로우프 대신에 안전벨트 혹은 유연한 용기의 멜빵(sling)으로 사용되는 두꺼운 고강도 벨트에 관한 것이다.
안전벨트는 일반적으로 로우프의 일단부에 부착된 금속부재 및 타단부에 부착된 훅을 포함한다. 유연한 용기를 위한 멜빵에 있어서, 로우프는 용기 몸체에 부착된 금속부재에 연결된다. 대개 금속부재와의 로우프의 연결은 로우프 몸체에 고정적으로 일체로 된 스트랜드(strands)의 그룹까지 로우프 단부가 풀어지도록 하는 과정에 의해 수동적으로 수행된다. 이 과정은 상당한 힘 뿐 아니라 기술을 요하므로, 요즈음에는 작업자를 구하는 것이 어렵다. 만약 로우프 대신에 협폭 직물이 사용되어진다면, 연결은 재봉과정을 통해 쉽게 수행되어질 수 있으나, 그것의 취급은 그것의 폭 때문에 로우프보다 더 어렵다.
큰 장력을 요하는 멜빵을 위해 사용된 직물에 있어서, 다수의 날실을 소정의 폭의 직물로 짜는 것이 필요하여, 직물은 다수의 보강용 코어실을 더하게 되어 2개의 층 혹은 3개의 층으로 되어야만 된다. 시장에서 얻을 수 있는 8개의 멜빵에 대한 검사는 평균 두께가 4.17mm이고 최고 두께가 5.2mm(나일론)라는 것을 보였다. 이러한 제직구조의 검사로부터, 만약 강도사용비(strength utilization ratio)가 80%로 된다면 평균 절단 강도는 7820kgf이고 최대는 10680kgf(폴리에스터)라는 평가가 얻어졌다. 소정의 폭으로 짜여질 수 있는 날실의 수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요구되는 강도를 만족시키기 위해, 직물의 폭을 본의 아니게 넓게 하여 직물을 짜야할 필요가 있다. 물론, 아라미드 섬유실 같은 고강도의 실이 이런 요구에 사용되어질 수 있지만, 그러나 이러한 것들은 너무 비싸서 일반적인 목적에 사용되어질 수 없다.
소정의 폭의 협폭 직물로 짜여질 수 있는 날실 숫자의 한계는, 직물이 생산되어지는 직기의 용량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 날실 숫자의 그런 엄격한 한계내에서 디자인 되고 생산된 것이 바로 상기 언급된 멜빵이고 이러한 직물들은 종래 기술의 한계의 극 최상의 범위하에서 생산되어졌다. 직기의 한계는 아래에 설명되어질 것이다.
바늘형의 좁은 직기에서, 씨실은 그것의 한쪽 측면으로부터 날실 세드(shed)로 픽(pick)되어지고, 편직된 가장자리가 형성되어지도록 다른쪽 측면에 위치된 레치바늘에 의해 수납되어진다. 가장자리의 형성중에, 씨실은 먼저 레치바늘의 혹에 의해 붙잡힌다. 다층으로 된 두꺼운 직물의 후방층으로부터 혹에 의해 씨실이 수납될 때는 문제가 없으나, 전방층으로부터 수납되어질 때 만약 씨실이 훅의 팁단부 위에 위치된다면 씨실은 훅으로부터 분리되기 쉽다. 따라서, 제직작동이 안정되게 수행되는 중에 직물 두께는 그레이 직물에 있어서 5mm보다 작고 그곳에 열고정이 수행되고 난 후에는 4.5mm보다 작다.
랙 앤 피니언형 좁은 직기에서는, 셔틀이 죄어지면서 세딩의 중심을 통과하므로, 비록 날실이 많아지더라도 제직작동은 상대적으로 부드럽게 계속되어질 수 있다. 그러나, 거기에는 하나의 결점이 있다. 즉 셔틀의 랙이 상대편의 셔틀박스의 피니언과 결합할 때까지 셔틀이 원래의 셔틀박스내에 보유되도록 제직 윈도우의 치수에 비해 셔틀박스 및 셔틀의 길이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이것은 직기 회전 스피드의 저하를 야기하고, 넓은 공간이 요구되므로, 직기는 일반적으로 셔틀이 안전하게 지날 수만 있다면 가능한한 좁게 디자인된다. 그러므로, 만약 극도로 두꺼운 벨트가 짜여질 때 세딩모션이 약간 방해받더라도,셔틀의 통과는 방해받고 또 이것은 기계의 고장을 일으킨다.
슬라이드 훅 모션형 좁은 직기에서, 제10a도를 참고하여 좌우 양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슬라이드 바아는 셔틀레이스의 일부분으로 제공된다. 수직 홈은 슬라이드 바아에 제공되어, 슬레이(slay) 내부에 제공된 캠에 의해 훅이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슬라이드 바아의 이동에 의해 셔틀을 함께 이동시키도록 셔틀이 셔틀박스내에 있을 때 훅이 수납되도록 셔틀의 저면벽의 좌측 및 우측 영역에 각각 두개의 구멍이 뚫어지고, 훅은 셔틀이 제직 윈도우를 통과할 때 내려진다. 셔틀이 제직 윈도우를 통과한 후, 훅은 셔틀의 이동을 돕기 위해 셔틀의 저면벽내의 구멍으로 귀환한다.
슬라이드 훅 모션형 좁은 직기에 있어서, 세드를 형성하는 하부측 날실은 레이스와 접촉하게 되어 셔틀이 그 위를 주행한다. 날실의 부피가 어떤 수준을 넘어 극도로 두꺼운 벨트가 짜여질 때, 셔틀은 같은 것을 통과할 수 없고, 떠오르게 되어 불안정한 주행을 하게 되어 기계가 고장난다.
게다가, 직기 프레임내의 부품들, 모터설비, 씨실 피킹 기구, 도비(DOBBY) 혹은 그와 같은 그런 세딩 기구 및 테이크 엎 장치들은 날실의 큰 장력에 대항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져야 하므로, 이런 요구는 종래의 직기로는 만족스럽게 충족되지 않는다.
넓은 의미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지식을 뛰어넘는 단위폭당 두께 및 절단 강도를 가지는 협폭 직물을 제공하는 것이고 또한 그런 협폭 직물을 생산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일의 특정 목적은 가능한한 로우프의 단면 형상과 같은 단면 형상을 가지는 두꺼운 벨트를 생산하는 것이다.
제이의 특정 목적은 종래의 기술에 의해 얻을 수 없었던 6mm 이상의 두께 및 큰 절단 강도를 가지는 협폭 직물을 생산하는 것이다.
제삼의 특정 목적은 직물 단부를 넓게 함과, 또 적절한 두께를 가짐에 의해 그곳에 재봉작업을 하도록 허용하여 제일의 목적의 벨트를 위한 로우프에서와 같은 연결수단을 얻는 것이다.
제사의 특정 목적은 제일 및 제이 발명의 실행을 할 수 있는 직기에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통의 씨실을 사용하여 두개의 외부층이 중공직으로 짜여지고 두개의 외부층이외의 내부층들이 다른 씨실을 사용하여 중공직으로 짜여진 4개 이상의 층들을 포함하는 제직구조를 가지는 두꺼운 벨트가 제공되는데, 벨트의 폭방향 중앙영역의 두께가 벨트폭의 4분의 1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된 모든 날실의 총 데니어가 2.5mm 이상이고 짜여진 벨트의 두께가 벨트의 가장자리 영역을 제외하고 6.0mm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8페이지에 보인 것같은 식(1)에 의해 계산된 날실 뭉치의 두께를 특징으로 하는 두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제직구조를 가지는 두꺼운 벨트, 더 특별히는, 벨트는 상기에서 정의된 두꺼운 벨트를 포함하는 기초부 및 기초부보다 넓고 가는 기초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평면부를 가지고 ; 평면부는 기초부에 비해 넓고 가늘며 기초부의 제직구조와 다른 제직구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정의된 두꺼운 벨트는 상기의 기술적 요소를 포함하므로, 고밀도의, 다층으로 된 제직구조가 직기의 사용에 의해 얻어지고, 반면에 종래의 과정에서는, 다수의 실들이 비효율적인 방식으로 로우프로 짜여진다. 이 새로운 두꺼운 벨트는 종래의 로우프의 강도와 같은 강도를 가지고 로우프가 사용되는 곳에 사용되어질 수 있다. 두꺼운 벨트에 의하면, 요구되어지는 로우프와 같은 구조는 종래의 로우프에 사용되는 과정 대신에 보통의 재봉과정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두꺼운 벨트는 도면을 참고하여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층은 날실과 씨실의 꼬임에 의해 형성된 제직구조의 한 단위를 나타낸다. 날실과 씨실이 서로서로 꼬여지지 않은 보강용 코어실의 그룹같은 구조는 층으로 언급되지 않는다.
제1도는 하나의 벨트를 짜기 위해 2개의 셔틀들을 사용하여 짜여진 두꺼운 벨트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예에서, 벨트(1)는 외부층들(2,3) 및 내부층들(5,6)의 4개의 층들로 구성된다. 간단함을 위해, 각각의 층들이 1/1의 제직구조로 도시되나, 다수의 날실들이 소정의 폭을 가진 벨트로 짜여질 수 있으므로 2/1, 2/2, 3/1 혹은 3/3과 같은 다른 구조들이 바람직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다. 외부층들(2,3)에서, 날실들(61,71)은 공통의 씨실(42)에 의해 중공직(HOLLOW WEAVE)으로 짜여진다. 내부층들(5,6)에서도 역시, 날실들(51,52)은 공통의 씨실(41)에 의해 중공직으로 자여진다. 내부층들은 3개 이상의 층들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 비록 내부층들이 관모양이 아니더라도, 결코 문제가 없다. 통상의 다층으로 된 직구조에서, 연결사는 각각의 층들을 서로서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연결사가 사용되지 않고, 또 날실들(61,71)은 연결사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만약 씨실이 큰 장력으로 픽된다면 관모양으로 되기 쉽다. 게다가 벨트는 실직적으로 제1도에 도시된 것처럼 단면이 타원형이다. 그런 형상을 얻기 위해서는, 공통의 씨실(41)을 사용하면서 관모양으로 외부층들(2,3)을 짜는 것과 벨트의 중앙영역을 두껍게 하기 위해 다른 씨실(42)을 사용하면서 적어도 두개의 층들(5,6)을 가진 내부층을 형성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비록 외부층들의 날실들(61,71)은 동일한 재료와 두께가 바람직하지만, 이것이 필수적인 조건은 아니다. 내부 날실들은 외부로부터 볼 수 없으므로, 그들은 두꺼운 실들이 벨트의 폭방향 중앙영역에 더 근접하도록 배열되어서, 중앙영역이 더 두껍게 된다. 이 경우, 연결사는 되도록이면 내부층들에서만 사용되어질 수 있다. 사용된 연결사는 바람직하게는 좋은 탄성을 가진 것이다. 보강용 코어실들은, 필요하다면 인접한 층들 사이에 배열되어질 수 있다. 보강용 코어실들(7)의 그룹은 제1도에 도시된 예에서 내부층들(5,6) 사이에 배열된다. 더이상의 날실들은 바람직하게는 잔존영역들 보다는 전방 리드(reed)의 중앙영역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직조건에 따르면, 로우프의 단면 형상과 단면 형상이 유사한 두꺼운 벨트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로, 열고정이 그곳에 가해지면, 벨트의 단면은 원형으로 되어, 종래 벨트의 개념으로부터는 먼 그리고 로우프의 단면형상과 유사한 단면을 가지는 물품이 생길 수 있다. 열고정 이후에, 벨트는 폭방향 중앙영역에서의 벨트폭의 적어도 4분의 1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필요한데, 이는 손쉬운 조작을 위한 최소한의 두께이다. 예를 들어, 벨트폭이 32mm일때, 중앙영역에서의 두께는 8mm 이상이어야 한다.
제2도는 멜빵과 유사한 두꺼운 벨트의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두꺼운 벨트(1)는 두개의 외부층들(전방 및 후방)(2,3), 그 층들 사이에 끼워진 보강용 코어실(7)의 그룹 및 전방 및 후방층들을 연결하는 연결사(8)들로 구성된다. 비록 3개 혹은 4개의 층들이 포함될지라도, 그들은 단지 하나의 씨실(41)에 의해 짜여질 수 있다. 단일의 씨실의 사용이 필수적인 조건은 아니고 제1도에 도시된 것처럼 두개의 씨실이 사용되어질 수 있다. 제2도는 사용된 날실들의 총 데니어가 통상적인 두꺼운 벨트보다 더 크다는 특징을 가지고, 열 고정작업이 수행된 후, 가장자리 영역을 제외하고, 6mm 이상의 두께 및 단위폭당 높은 절단 강도를 가지게 되는 두꺼운 벨트의 매우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그 특징들은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되어질 것이다.
다음의 요소들이 협폭 제직물의 두께 및 절단 강도를 결정한다.
1. 직물에 사용된 날실의 질(절단 강도), 데니어 및 수(총 데니어)
2. 제직구조, 씨실 데니어 및 단위길이당 씨실의 픽
직물이 디자인되었을 때, 사용되어질 날실의 재료, 데니어 및 수가 요구되는 직물강도를 고려하면서 먼저 결정되고, 그리고나서 제직구조, 씨실 데니어 및 단위길이당의 씨실의 픽들이 제직 기술에 따라 형성된 한계 범위내에서 결정된다. 협폭 직물처럼 최대강도가 요구되는 분야에 속하는 멜빵에 관하여, 다양한 제작자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시판된 제품에 관한 분석이 되어져 표 1에 표시되어 있다. 이 표에 따르면, 벨트폭으로 모든 날실의 단면적을 나누어 얻어진, 다음의 식에 사용된 날실 뭉치의 두께는 평균값이 2.02mm이고 최고가 2.42mm이고, 벨트두께는 평균값이 4.17mm이고 최고가 5.20mm이다. 나이론 및 폴리에스터사는 9g/d의 절단 강도를 가지고 강도이용비가 80%라고 가정했다.
계산식 :
=원형단면을 가졌다고 가정한 날실의 직경(mm)
상기식에 의해 얻어진
고품질로 생각되는, 표 1에 도시된 종래의 협폭 직물들의 분석으로부터, 본 발명에 있어서 종래 제품의 품질을 능가하기 위해서는 날실 뭉치의 두께가 적어도 2.5mm이고 벨트두께가 적어도 6.0mm이어야 한다는 것이 결정된다. 표 1에서 참조로 인용된 값들은 날실 뭉치의 두께를 2.5mm로 정의하여 역 계산에 의해 얻어진다.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로우프와 같은 형태를 가지는 기초부(10), 기초부(10)의 길이 방향으로 대향하는 단부들로부터 연장된 광폭부(11) 및 앞의 두개의 부분을 서로서로 연결하고 점차로 변화하는 폭을 가지는 연결부들(12,13)을 포함하는 벨트를 도시한다. 기초부(10)는 4개 이상의 층들로 구성된 제직구조로 형성된 벨트로서, 2개의 외부층들은 공통의 씨실에 의해 중공직으로 짜여지고 외부층들외의 나머지 층들은 다른 씨실에 의해 내부층들로 짜여진다. 벨트의 폭방향 중앙영역에서의 두께는 벨트폭의 4분의 1보다 더 크다.
광폭부(11)는 재봉작업에 적합하도록 기초부(10)에 비하여 넓고 가늘게 형성된다. 광폭부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기초부(10)의 폭보다 적어도 50%만큼 더 넓다. 제3도에 도시된 것처럼 벨트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짜여진다고 가정하면, 연결부(12)는 그곳의 폭은 점차로 좁아지고 그곳의 두께는 점차로 두꺼워지도록 형성되고, 반면에 연결부(13)는 그곳의 폭이 점차로 넓어지고 그곳의 두께는 점차로 가늘어지도록 형성된다. 기초부(10) 및 광폭부(11)의 길이는 기대되는 용도에 적합하게 결정된다. 그 제직과정이 아래에 상세히 설명되어질 것이다.
기본적으로 벨트폭은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섹터형 전방리드(front reed)를 사용하여 조정된다. 이 점에 대해서는, 기초부(10)는 폭방향 중앙영역에서 더 두꺼우므로, 가능한한 광폭부(11)에서 두꺼운 부분을 넓히는 것이 필요하다. 이 목적을 위해, 리드피치(reed pitch)가 광폭부에서는 균일하지 않으나, 중앙영역에서 더 성기고 외부로 향하여 점차로 촘촘해진다.
변하는 폭을 가지는 종래의 벨트에서는 같은 제직구조가 협폭 및 광폭부에 모두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기초부(10)는 그 제직구조에 있어서 4개 이상의 층들을 포함하고 또 이 제직구조를 유지하면서 폭을 넓히는 것이 어려우므로, 기초부(10)에 있어서 층들의 숫자는 폭이 즉시 증가되도록 연결부(13)에서 감소된다. 즉, 만약 기초부(10)가 4개의 층을 가진다면, 층들의 수는 연결부(13) 및 광폭부에서 2개로 줄어든다. 만약 폭변화가 더 크면, 연결부에서의 층의 수는 광폭부에 대해 2개로부터 1개로 더 줄어들 수 있다. 층들의 수 감소에 더하여, 각각의 층들의 제직구조를, 예를들어 2/2 능직에서 1/1 평직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층들의 수가 제품 외형에 영향을 주지 않고 감소될 수 있도록, 제직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날실 유닛에서 실의 수를 변화시키는 것이 더 낫다. 연결부(12)가 광폭부(11)에서 기초부(10)로 변할 때, 제직과정은 상기의 과정에 대해 역의 방식으로 수행된다.
광폭부(11)를 가진 기초부(10)는 층들의 감소 혹은 증가가 용이하도록 설계되었다. 예를 들어, 제직구조의 전환이 어려워지므로 기초부(10)에는 보강용 코어실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점에서, 적절한 수의 보강용 코어 같은 실들을 기초부(10)로 만드는 것과 층들의 수가 2개 혹은 3개로, 광폭부가 안정되도록, 줄어들때 연결사 같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층들의 감소 혹은 증가 및 폭의 변화에 따라 단위길이당 씨실 피킹수의 변화가 필요하기는 하나, 그런 과정은 종래기술로부터 잘 알려진 것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이 명세서에는 생략되어 있다.
다음으로, 종래의 벨크두께보다 더 두꺼은 두께를 가지고 제1도 및 제2도를 참고하여 설명된 두꺼은 벨트를 생산하기 위한 직기 및 다른 장치들이 설명될 것이다.
종래기술에서 언급되었듯이, 소정의 폭의 협폭 직물로 짜여질 수 있는 날실의 최대 수는 주로 직기의 한계에 의해 결정되고, 또 본 발명의 두꺼운 벨트는 종래의 직기를 사용하여서 생산되어질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직기를 어떻게 개선할 것인가, 및 본 발명에 따른 벨트를 생산할 수 있는 장치들을 연구해 왔다.
제1도에 도시된 벨트의 생산을 위해 두개의 셔틀이 필요하다. 랙 앤 피니언형의 직기에 있어서, 이중 셔틀기구는 하나의 셔틀이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안 다른 셔틀과 교체되어야 하므로 복잡하게 되고, 이는 직기 회전 스피드의 저하를 가져온다. 슬라이드 훅 모션형 직기는 두개의 셔틀이 동일한 세드내에 나란한 형태로 배치되고 또 둘중 어느쪽이나 상대적으로 간단한 수단에 의해 선택될 수 있으므로 훨씬 바람직하게 사용되어진다. 그러나, 이런 형의 종래의 직기에 있어서, 제1도를 참고하여 설명되었듯이, 열고정후 폭방향 중앙영역에서 그것의 폭의 4분의 1보다 더 큰 두께를 가지는 두꺼운 벨트가 그곳에서 짜여질때, 만약 날실들이 예를 들어 35mm의 전방 리드에 말려들게 된다면, 날실 뭉치의 두께는 제직과정동안 폭방향 중앙영역에서 5mm 이상으로 된다. 셔틀은 날실 뭉치가 극도로 덩치가 클때, 세드를 형성하는 하부측 날실들을 넘을 수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이진 홈은 하부 날실 뭉치가 세드가 형성될 때 셔틀레이스의 상부 표면 아래에 위치되도록 셔틀레이스내에 제공된다. 또한, 다른 폭과 두께의 다양한 벨트에 상응하는 적절한 단이진 홈을 제공하도록 다양한 홈 깊이 및/혹은 폭을 가지는 다수의 교환가능한 부품들이 준비된다.
제4도를 참조하여 단이진 홈을 위한 교환 가능한 부품의 상세한 설명이 되어질 것이다. 제4도는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그것은 단이진 홈(22)을 가지는 교환가능한 부품(24)이 슬레이(20)의 상부표면에 제공된 셔틀레이스(21)의 제직 윈도우내에 부착된다. 단이진 홈(22)의 단면형상은 세드를 형성하는 하부 날실뭉치(26)의 최대 부피를 고려하면서 선택되어진다. 이것은 짜여질 두꺼운 벨트의 단면 형상을 참조하여, 제직구조, 실 재료, 날실의 수 혹은 데니어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제6도에서, 단이진 홈의 단면형상의 예들이 도시된다. 단이진 홈의 총길이 B, 저부 길이 A, 최대 깊이 C 및 단부 깊이 D는 표 2에 주어진다.
이와 같은 점에서, 교환가능한 부품(24)의 사용은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표 2의 항목 3에 주어진 치수를 가지는 단이진 홈이 셔틀레이스상에 직접 형성되어질 수 있다. 즉, 기대되는 사용을 위한 최대의 크기를 가지는 홈이 원래 제공되어질 수 있다.
이런 배치에 따르면, 비록 두꺼운 벨트가 되도록 짜여질 날실 뭉치가 세드를 형성할 때 하부측 날실 뭉치가 최대 부피가 되더라도, 하부측 날실 뭉치가 홈(22)내에 수용될 수 있기 때문에, 셔틀이 상부측 날실 뭉치(25) 및 하부측 날실 뭉치(26) 사이의 세드(27)를 통해 부드럽게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사용된 슬라이드 훅 모션 기구의 실시예는 제10(a)도에서 제10(c)도를 참조하여 설명되어질 것이다. 제10(b) 및 제10(c)에서, 셔틀레이스(21)쪽으로 개방된 채널(94)은 슬라이드 바아(90)를 안내하기 위하여 슬레이(20)내에 제공되고, 또 캠(92)은 채널(94)의 내부 측벽에 길이 방향(제10(a)도의 오른쪽 혹은 왼쪽방향)으로 제공된다. 캠(92)은 도시되지 않은 셔틀박스 아래의 셔틀레이스(21)에 근접하여 있어 훅(91)의 팁 단부가 셔틀저부에 형성된 보어에 들어가도록 하고, 한편으로는 캠(92)이 단이진 홈(22)아래의 셔틀레이스로부터 더 멀리 있어 훅(91)의 팁 단부가 단이진 홈(22) 아래로 지나갈 수 있도록 한다. 간단히 말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 슬라이드 바아(90)의 상부 표면은 최대 깊이를 가지는 단이진 홈(22)의 저부보다 더 낮은 수준에 있고, 반면에 종래의 슬라이드 훅 모션 기구에 있어서, 그것은 셔틀레이스(21)의 수준과 실질적으로 같은 수준에 있다.
제10(b)도는 셔틀레이스(21), 슬라이드 바아(90), 훅(91), 캠(92) 및 셔틀박스 아래의 셔틀(23) 사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10(c)도는 단이진 홈 아래의 것이다. 캠(92)으로 들어가는 훅의 돌출부(93)를 따라, 훅은 캠(92)의 높이 변화에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슬라이드 바아(90)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 수단에 의해 좌우로 왕복할 수 있다. 그런 구조를 통해, 훅(91)의 팁 단부가 상방향으로 돌출되고 또 그것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셔틀(23)의 저부 보어와 결합하고, 혹은 셔틀의 이동을 안정되게 수행하도록 셔틀(23)이 제직 윈도우를 지날때 그곳으로부터 훅(91)의 팁 단부가 분리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캠(92)의 경사부분은 슬라이드 바아(90)의 낮은 배치 때문에 훅(91)의 더 긴 상하 행정에 의해 야기되는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종래의 것에 비해 기다랗고 셔틀(23)의 길이 또한 기다랗다. 그러나, 그런 개작은 제직 윈도우의 길이 및 단이진 홈(22)의 최대길이가 결정될 때 디자인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직과정 동안의 두꺼운 벨트를 테이크 엎하기 위한 기구가 설명되어질 것이다.
테이크 엎 모션 기구는 협폭 직기에 제공되는데, 테이크 엎 롤러 및 이와 접촉하는 프레스 롤러로 각각 구성되는 적어도 두 셋트의 롤러 유닛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롤러 유닛에 잇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는 롤러의 외주부에 있는 원주홈(35 혹은 36)을 가진다.
제5도는 본 발명의 테이크 엎 기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5(a)도에 도시된 것처럼, 짜여진 벨트(1)는 제1테이크 엎 롤러(30) 및 프레스 롤러(31)의 세트에 의해 테이크 엎되고, 또 중간 롤러(37)를 통해 제2테이크 엎 롤러(32) 및 프레스 롤러(330 세트로 전달된다. 각각의 롤러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테이크 엎 롤러 및 프레스 롤러의 외주부에 제공된 홈(35,36)의 형상은 제5(b) 및 5(c)도에 도시된 것처럼, 짜여질 두꺼운 벨트의 단면 형상과 일치하게 디자인된다. 홈 형태의 예들이 제6도에 도시된다.
제6a 및 6b도에 있어서는, 다양한 형상의 홈들이 테이크 엎 롤러와 프레스 롤러의 양쪽 모두에 제공된다.
제6c 및 6d도에 있어서는, 다양한 형상의 홈들이 단지 테이크 엎 롤러들에만 제공된다.
제6e 및 6f도에 있어서, 다양한 형상의 홈들이 단지 프레스 롤러들에만 제공된다.
단면형상이 변하면서 광폭부가 짜여질때, 다른 홈을 가진 두개의 프레스 롤러가 하나의 테이크 엎 롤러와 결합되면서 사용되어진다.
실제상에 있어서, 서로서로 다른 홈을 가지는 다수의 이러한 테이크 엎 롤러와 프레스 롤러들이 교체 가능한 부품으로서 교체가 간단하도록 미리 준비되어진다.
제5도에 도시된 테이크 엎 롤러는 두꺼운 벨트를 테이크 엎하기 위해 150mm의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진다.
직기 프레임, 모터 배치, 피킹모션, 세딩 모션 혹은 테이크 엎 모션 기구 같은 직기의 구조들은, 종래의 직기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두꺼운 벨트를 짜기 위한 큰 힘에 대항하도록 튼튼하게 디자인되어 있기는 하지만, 그들은 특별하지 않고 요구에 따라 디자인 혹은 선택되어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주어지지 않는다.
예 1
실 재료 : 나일론
제직구조 : 2/2 능직, 4층
직물 치수 : 최대 두께 10mm, 폭 26mm
전방층 및 후방층 : 날실 1680d/4, 68엔드(두개의 빔(beam)에 정경(warping)
내부층 : 날실 1680d/4, 60엔드(ends)(두개의 빔에 정경)
씨실 1680d/1,60픽/3cm
연결사 및 보강용 코어실은 사용되지 않음.
두꺼운 벨트가 두꺼운 벨트의 생산을 위해 디자인된 두개의 셔틀을 가진 슬라이드 훅 모션형의 협폭 직기를 사용하면서, 상기의 제직 조건하에서, 다음의 방식으로 짜여진다.
a. 각각의 층들을 형성하는 2/2 능직의 날실의 그룹은 개별적으로 각각의 빔들 상에서 꼬이고 또 4개의 잉아(heald)로 말려든다. 이런 배치에 따르면, 각각의 날실 그룹에서 날실들의 2분의 1은 날실 그룹들이 짜여질 때 세드의 상부 혹은 하부측 상에 위치되고, 나머지의 날실들은 세드의 상부 혹은 하부측 상에 모두 배치되어, 세딩 모션은 비록 날실의 장력이 작을지라도 부드럽게 수행되어질 수 있다.
b. 제7도는 상기 벨트의 제직구조를 도시한다. 세딩 모션 동안 날실간의 마찰이 최소화되어지므로, 비록 날실 밀도가 높다고 하더라도 세드가 쉽게 형성된다.
c. 제직 작업은 슬레이에 있는 제직 윈도우에 6mm의 깊이와 35mm의 폭을 가지는 홈을 포함하는 교체가능한 부품으로 수행된다. 비록 111엔드는 1680d/4의 날실의 128엔드로 구성된 세드의 하부측상에 대부분 모여지므로, 그들은 단이진 홈의 마진내에 수용되어져서, 셔틀의 주행에 있어서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d. 셔틀들은 동일한 세드내에 직기의 전방으로부터 보여진 것처럼 하나는 사이드 근처에 그리고 다른것은 사이드에서 멀리 있도록 배치된다. 사이드 근처 셔틀(10은 두개의 내부층들을 짜기 위해 사용되어지고 또 사이드에서 먼 셔틀(2)은 두개의 외부 층들을 짜기 위해 사용되어진다. 피킹의 순서는 타측 추적 순서(run-after-another order)이다; 즉, 셔틀(1)이 픽된 후에, 셔틀(2) 이 같은 방향으로 따르고, 그리고나서 셔틀(1)이 다른 방향으로 픽되고, 다음으로 셔틀(2)이 그곳으로 따른다. 그것에 의하여 두개의 외부층과 두개의 내부층이 각각 관모양으로 하나의 셔틀에 의해 짜여진다.
e. 이 예에서는, 최종 제품이 로우프의 형상에 가능한한 근접하도록 연결사가 사용되지 않는다. 연결사가 결코 사용되지 않고 또 제직구조가 중공직이므로, 짜여진 제품의 형상은 변형가능하여 그곳의 단면 형상은 쉽게 타원형으로 된다.
f. 제5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테이크 엎 롤러 및 프레스 롤러가 제6(a)도에 도시된 홈을 가지는 테이크 엎 모션 기구가 사용되어진다.
g. 날실이 직물폭에 비해 두껍고 또 그래서 숫자가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각각의 층들은 촘촘하지 않은 방식으로 짜여진다. 따라서, 씨실은 단단하고 촘촘한 직물이 얻어지도록 열고정 후에 줄어들 수 있다. 추가로, 타원형 단면은 그냥 짜여진 제품보다 열고정된 제품에서 더 뚜렷하다.
h. 열고정 제품은 폭방향 중앙영역에서 23.5mm의 폭과 9.6mm의 두께를 가지고 또 18mm 직경은 나일론 로프에 있어서 5940kgf의 JIS강도 표준을 만족시키는 6100kgf의 절단 강도를 가진다.
상기 제직구조는 폭이 후에 제3예에서 언급될 것처럼 부분적으로 넓혀질 수 있도록 이 예에서 선택되어졌으나, 외부층이 1/1 평직일 수 있고, 내부층들의 숫자가 세개 이상일 수 있고, 보강용 코어실들이 각각의 층들 사이에 삽입되어질 수 있는 다른 구조들이 채택되어질 수 있고, 혹은 어떤 구조들이 사용된 잉아들의 숫자에 관하여 사용되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예 2
실 재료 : 나일론
제직구조 : 1/1 평직, 3층
직물치수 : 두께 7.2mm, 폭 31.5mm
지(地)경사 : 1680d/4, 102엔드(3개의 층들중 하나당 하나의 빔에 관해 가장자리 실과 함께 정경)
가장자리 날실 : 1680d/2, 16엔드
연결사 : 1680d/1, 18엔드(하나의 빔상에 정경)
보강용 코어날실 : 1680d/6, 34엔드(하나의 빔상에 정경)
씨실 : 1680d/1, 30픽/3cm
두꺼운 벨트는 두꺼운 벨트의 생산을 위해 디자인된, 두개의 셔틀을 가진 협폭 슬라이드 훅 모션형 직기를 사용하여, 상기에 설명된 제직조건하에서 다음의 방식으로 짜여졌다.
a. 34개의 그라운드 날실들이 전방 및 후방층들에 대해 각각 8엔드의 가장자리 실들을 더하면서, 각각 3개의 층에 대해 꼬였다. 세개의 각각의 층들은 두개의 잉아들로 말려들게 된다. 연결 날실들은 두개의 잉아들로 말려들게 되고 보강용 코어 날실들은 두개의 잉아들(하나의 잉아에 17엔드)로 말려들게 된다. 빔의 분할 이유는 세딩 모션 동안에 날실 장력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b. 제8도는 상기 벨트의 제직구조를 도시하는 것이다 세딩 모션 동안에 날실간 마찰이 최소화되므로(단지 연결날실들이 제3의 픽에서 서로 마찰한다), 비록 날실 밀도가 높더라고 세드는 쉽게 형성된다. 보강용 코어 날실은 두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지면서 세개의 층들 사이로 삽입되어진다.
c. 이 예에서, 두개의 셔틀을 이용하는 것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하나의 셔틀이 사용되어질 수 있다. 씨실 공급조건을 고려하여, 두개의 셔틀이 사용되어질 수 있다.
d. 제2도의 설명에서 설명된 식에 의해 결정되는 날실 뭉치의 두께는 날실의 총 데니어가 1,112,160데니어(denier)이고 직물 폭이 31.5mm이므로 3.44mm이다. 제2도를 참고하여 앞에서 설명되어졌듯이, 종래의 제품에 있어서 날실 뭉치의 두께는 기껏해야 2.42mm이고, 또 날실 부피는 이 예에서 증가된다는 것은 명백하다.
e. 제직 작동은 4mm 깊이와 40mm의 폭의 단이진 홈을 가지는, 슬레이에 있는 제직 윈도우에 교환가능한 부품을 부착하면서 수행된다. 세드를 형성하는 하부측 날실의 최대 숫자는, 단일 엔드가 1680데니어의 두께를 가질 때 총 662엔드로부터 577엔드에 이른다. 이 경우일지라도, 하부측 날실들은 홈이 있는 마진에 수용되어져서 셔틀의 주행에 문제가 없다.
f. 제5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테이크 엎 모션 기구가 사용되어지기는 하나, 가장자리 영역을 제외하고 평평한 표면을 가지는 직물의 경우에 있어서 테이크 엎 롤러 및 프레스 롤러에 원주홈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g. 그레이즈(greige)를 염색과 열고정한 후 얻어지는 제품은 6.5mm의 두께 및 30mm의 폭 및 7,500kgf의 절단 강도를 가닌다. 이 강도값은 50mm의 폭을 가지는 종래의 제품에 의해서만 성취가능하다.
예 3
이 예에 따르면, 2/2 능직의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45mm의 폭과 2.8mm의 두께를 가지는 평평한 광폭부(11)는 2/2 능직의 4개의 층으로 구성되고 23.5mm의 폭을 가지는 기초부(10)에 길이 방향으로 더해진다. 특별한 것은 다음과 같다.
a. 폭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종래의 섹터형 전방 리드를 사용함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 예의 기초부(10)는 폭방향 중앙영역에서 더 두꺼우므로, 광폭부(11)에서 가능한 만큼 벨트부분을 넓히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광폭부를 위한 리드는 균일한 피치를 가지는 것이 아니고 선단을 향하여 더 섬세해지는 중앙영역에서 성긴 피치를 가진다. 이 예의 기초부(10)는 제7도에 도시된 제직구조에 따라 짜여진다.
b. 폭을 넓히는 과정의 초기에, 기초부에 있어서 2/2 능직의 제1 및 제2층들은 2/2 는 능직의 단일의 층으로 모아지고 또 제3 및 제4층들은 또다른 하나의 2/2 능직의 층으로 모아져서 원래의 4개의 층들은 2개의 층으로 전환된다. 그리고나서 그렇게 얻어진 2/2 능직의 2개의 층은 폭을 넓히는 과정의 마지막 단계에서 하나의 2/2 능직의 층으로 전환되어진다. 그런 제직구조의 전환은 층의 숫자가 감소되어짐에 따라, 폭이 부드럽게 증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을 가진다. 제9도에 있어서, 두 개의 층부분 및 하나의 층부분에 있어서의 제직구조가 도시된다.
즉, 제9(a)도는 제3도의 부분(13)에 상응하는 4개의 층이 두개의 층으로 전환되어진 전환부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제직구조를 보이는 반면, 제9(b)도는 제3도의 부분(11)에 상응하는, 두개의 층이 하나의 층으로 전환되어진 또 다른 전환부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제직구조를 보인다.
c. 광폭부가 기초부가 되도록 좁아질때, 과정은 상기에서 수행된 것의 역으로 된다.
d. 비록 두종류의 씨실들이 기초부가 제1도에서 설명되어진 것처럼 짜여질 때 두개의 셔틀을 이용하여 픽되는 것이 필수적일지라도, 광폭부가 짜여질 대, 단지 하나의 셔틀만을 작동하고 다른 셔틀은 정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예에서, 하나의 셔틀은 연결부의 두개의 층으로 된 부분을 짜기 위해 사용되어지나 두개의 셔틀은 하나의 층으로 된 부분을 짜기 위해 사용되어진다.
e. 픽의 숫자는 층의 감소/증가에 따라 또한 변화한다. 이것은 종래의 방식으로 수행되어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 생략된다. 이 예의 광폭부에서의 픽의 숫자는 18픽/3cm이다.
f. 광폭부의 폭은 그레이즈에서 46mm이고 두께가 2.8mm일때 열고정 후 45.5mm로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기술적 특징들을 포함하므로, 종래에 얻을 수 있었던 강도의 수준을 넘는 단위폭당의 우수한 절단 강도 및 큰 두께를 가지는 협폭의 제직 직물을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그런 두꺼운 벨트를 생산할 수 있는 직기를 위한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a. 첫번째의 발명에서, 협폭의 직물이 얻어지는데, 이는 쉽게 다루어질 수 있고, 로우프의 단면형상에 근접한 단면형상을 가진다. 이 협폭 직물은 통상적으로 로우프가 사용되어지는 분야에서 사용되어질 수 있다.
b. 두번째의 발명에서, 종래 기술 제품의 상한계인 6mm 이상의 폭을 가진 두꺼운 벨트를 생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같은 재료 및 같은 폭을 가지는 종래의 두꺼운 벨트에 대하여 더 큰 절단 강도를 가지는 두꺼운 벨트가 얻어질 수 있다. 그래서 같은 재료로 만들어진 종래의 제품에 비하여 같은 수준의 절단 강도를 유지하도록 직물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c. 세번째 발명에서, 첫번째 발명의 두꺼운 벨트에 상응하는 기초부를 확장하면서 광폭부가 제공되므로, 직물이 로우프가 사용되는 곳에 사용되어질 때 광폭부를 재봉함에 의해 직물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일본에서 사츄마(satsuma)(꼬아잇기)라고 불리우는 통상의 로우프 연결방법이 적어도 두개의 로우프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더 이상 요구되지 않고, 연결 로우프에 대한 사용성이 크게 개선된다. 특별히, 그런 제품은 안전벨트 혹은 유연한 용기의 멜빵으로 적당하다.
d. 네번째 및 다섯번째 발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두꺼운 벨트가 효과적으로 짜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두꺼운 벨트의 생산은 만약 이러한 발명이 되어지지 않았다면 불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공통의 씨실에 의해 중공 튜브로 짜여진 두개의 하부층과 다른 씨실에 의해 짜여진 나머지 내부층이 있는 제직구조의 4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두꺼운 벨트에 있어서, 벨트의 폭방향 중앙영역에 있어서의 두께가 벨트폭의 4분의 q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꺼운 벨트.
  2. 두개 이상의 층의 제직구조를 포함하는 두꺼운 벨트에 있어서, 사용된 모든 날실의 총 데니어를 기초로 다음의 식을 통해 계산된 날실 뭉치의 두께가 2.5mm보다 크고, 짜여진 직물의 가장자리 영역을 제외한 두께가 6.0mm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꺼운 벨트 ; 날실 뭉치의 두께=실 뭉치의 단면적S(mm2)/벨트의 제직폭(mm) 여기서 날실 뭉치의 단면적 S는 그곳의 단면 형상을 원형으로 가정함에 의해 결정되고, 그곳의 직경(mm)은 아래 식으로 결정된다.
  3. 제1항에 의해 정의된 두꺼운 벨트 및 기초부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고 기초부에 비해 가늘고 넓은 평면부를 포함하는 두꺼운 벨트에 있어서, 평면부가 기초부보다 가늘고 넓도록 평면부가 기초부의 제직구조와 다른 제직구조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꺼운 벨트.
  4. 슬라이드 훅 모션형 직기의 두꺼운 벨트의 생산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단이진 홈은 세드를 형성하는 하부측 날실이 그곳에 완전히 수용되어질 수 있도록 직기의 셔틀레이스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꺼운 벨트의 생산을 위한 장치.
  5. 두꺼운 벨트의 협폭 직물의 생산을 위한 최소한 두 세트의 테이크 엎 롤러 및 프레스 롤러를 포함하는 직기의 테이크 엎 모션 기구에 있어서, 각각의 세트에서 테이크 엎 롤러 및 프레스 롤러중 적어도 하나가 그것의 외주에 원주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크 엎 모션 기구.
KR1019940702786A 1992-12-15 1992-12-15 두꺼운 벨트 및 그것을 생산하기 위한 장치 KR9700013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2/001632 WO1994013872A1 (fr) 1992-12-15 1992-12-15 Courroie epaisse et appareil pour sa fabr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329B1 true KR970001329B1 (ko) 1997-02-05

Family

ID=140427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2786A KR950700442A (ko) 1992-12-15 1992-12-15 두꺼운 벨트 및 그것을 생산하기 위한 장치(thick belt and device for producing the same)
KR1019940702786A KR970001329B1 (ko) 1992-12-15 1992-12-15 두꺼운 벨트 및 그것을 생산하기 위한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2786A KR950700442A (ko) 1992-12-15 1992-12-15 두꺼운 벨트 및 그것을 생산하기 위한 장치(thick belt and device for producing the same)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592977A (ko)
EP (1) EP0632152B1 (ko)
KR (2) KR950700442A (ko)
DE (1) DE69231447T2 (ko)
ES (1) ES2152232T3 (ko)
NO (1) NO942997L (ko)
WO (1) WO19940138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296398A (en) * 1997-05-11 1998-12-08 B.F. Goodrich Company, The Seatbelt system having seamless inflatable member
WO1999015722A2 (en) * 1997-09-22 1999-04-01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Full-fashioned weaving process for production of a woven garment with intelligence capability
US6687523B1 (en) 1997-09-22 2004-02-03 Georgia Tech Research Corp. Fabric or garment with integrated flexible information infrastructure for monitoring vital signs of infants
US6315009B1 (en) * 1998-05-13 2001-11-13 Georgia Tech Research Corp. Full-fashioned garment with sleeves having intelligence capability
US6970731B1 (en) 1998-09-21 2005-11-29 Georgia Tech Research Corp. Fabric-based sensor for monitoring vital signs
US6474367B1 (en) 1998-09-21 2002-11-05 Georgia Tech Research Corp. Full-fashioned garment in a fabric and optionally having intelligence capability
CN1262699C (zh) * 1999-12-16 2006-07-05 泰克斯蒂尔玛股份公司 用于制造至少两条可翻边圆筒状织带的装置
US6918410B1 (en) * 2001-03-30 2005-07-19 Berger Seiba-Technotex Verwaltungs Gmbh & Co. Method for fabricating wovens
TW481179U (en) * 2001-05-23 2002-03-21 Yukari Iizuka Structure improvement for seam of wristlet
JP2003193348A (ja) * 2001-12-18 2003-07-09 Kikuchi Kogyo Kk シートベルト用ウェビング及びシートベルト用ウェビングの製造方法
US7299964B2 (en) * 2004-01-15 2007-11-27 Georgia Tech Research Corp. Method and apparatus to create electrical junctions for information routing in textile structures
FR2870686B1 (fr) * 2004-05-27 2006-07-21 Techni Sangles Soc Par Actions Boucle ou anneau pour attacher ou porter une charge
US20080277952A1 (en) * 2006-11-15 2008-11-13 Produits Belt-Tech Inc. Textile sling combining multiple types of fiber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7484539B1 (en) * 2007-12-03 2009-02-03 Ching Sui Industry Co., Ltd. Shaping method and structure of woven fabric with a groove
US8377536B2 (en) * 2009-02-20 2013-02-19 Under Armour, Inc. Seam fabrication method and article made by the method
US8468853B2 (en) 2011-02-07 2013-06-25 Southern Weaving Company Knitted velcro sleeve
WO2014075085A2 (en) * 2012-11-12 2014-05-15 Southern Weaving Company Ribbed woven material
WO2014152342A1 (en) * 2013-03-15 2014-09-25 Yale Cordage Inc. Multi part synthetic eye and eye sling
DE102014222654B4 (de) * 2014-11-06 2022-08-25 Autoliv Development Ab Gurtband für eine Sicherheitsgurteinrichtung und Sicherheitsgurteinrichtung
US20220361603A1 (en) * 2021-05-17 2022-11-17 Autoliv Asp, Inc. One piece woven medical gown with coating
US20240254663A1 (en) * 2023-01-27 2024-08-01 Chung-Kun Lin Safety Strap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33275A (en) * 1929-05-08 1930-08-08 J H Fenner & Company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ultiple ply textile fabrics
ZA71821B (en) * 1970-03-24 1971-10-27 British Rope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belt-like load bearing member
DE2364982A1 (de) * 1972-12-28 1974-07-11 Takata Kojyo Co Breitenvariabler gurt, insbesondere sicherheitsgurt
JPS53130134A (en) * 1977-04-18 1978-11-13 Yanmar Agricult Equip Straw conveying device
US4209044A (en) * 1978-07-26 1980-06-24 Kabushiki Kaisha Miura Kumihimo Kojyo Sling belt
JPS6026140Y2 (ja) * 1980-05-09 1985-08-06 三信製織株式会社 織成母帯
US4354704A (en) * 1980-10-01 1982-10-19 Kaman Aerospace Corporation Sling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S5834871U (ja) * 1981-08-28 1983-03-07 カネボウ化成株式会社 スリング用布ベルト
JPS58163959U (ja) * 1982-04-26 1983-11-01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フイルムリ−ダ−
FR2554463B1 (fr) * 1983-11-03 1986-08-14 Faure Roux Sangles tissees avec retrecissements transversaux localises, obtenues sur metiers automatiques a faucilles et leur procede de realisation
US5219636A (en) * 1991-04-19 1993-06-15 Murdock Webbing Company, Inc. Cut and abrasion resistant webbing
JPH0586536A (ja) * 1991-05-27 1993-04-06 Atsusato Kitamura 超大口径シームレス筒状織物の製造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32152B1 (en) 2000-09-13
US5592977A (en) 1997-01-14
NO942997L (no) 1994-10-12
DE69231447T2 (de) 2001-03-15
EP0632152A4 (en) 1995-02-22
ES2152232T3 (es) 2001-02-01
NO942997D0 (no) 1994-08-12
EP0632152A1 (en) 1995-01-04
DE69231447D1 (de) 2000-10-19
WO1994013872A1 (fr) 1994-06-23
KR950700442A (ko) 1995-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1329B1 (ko) 두꺼운 벨트 및 그것을 생산하기 위한 장치
JP4080005B2 (ja) テープ状のたて糸とよこ糸を含む織物およびこの織物を製造する装置
CA1069802A (en) Belting with tubular edge portions
EP0250260A2 (en) Use of a metal-containing conjugated yarn
KR100895062B1 (ko) 시트벨트용 웨빙 및 시트벨트용 웨빙의 제조방법
US5117542A (en) Seaming machine to manufacture an insertion-type seam for making a cloth belt endless
US7380573B2 (en) Method of producing on needle weaving looms a woven ribbon with the same edges in terms of weaving
US4007763A (en) Narrow fabrics
CN108893834B (zh) 一种平纹基布及其纺织方法
US4202381A (en) Ribbon fabric,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and ribbon loom for carrying out the method
JP2011069033A (ja) 一方向性補強強化繊維織物とその製造方法
JPH0791725B2 (ja) 異形断面の三次元織物
CA1323286C (en) Woven multi-layer angle interlock fabric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569983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lotted webbing on a needle loom
US440630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woven pile fabric
US4463782A (en) Shedding apparatus for circular weaving of multi-harness fabrics and method of using the apparatus
CA2129362C (en) Thick belt and device for producing the same
US4487234A (en) Reinforced loom shuttle and method
US20110253246A1 (en) Warp and weft type weaving machine
JPH05195370A (ja) 向かい合わせ織りのためのランセット
JP4385029B2 (ja) ボディタオル及びボディタオルの製造方法
US2036714A (en) Loom
KR100305158B1 (ko) 차양망의필림사엮음장치및엮음구조
KR20110009155U (ko) 직기용 종광
JPH0454226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