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7727A - 자카드 직기용 종광 - Google Patents

자카드 직기용 종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7727A
KR20090037727A KR1020070103210A KR20070103210A KR20090037727A KR 20090037727 A KR20090037727 A KR 20090037727A KR 1020070103210 A KR1020070103210 A KR 1020070103210A KR 20070103210 A KR20070103210 A KR 20070103210A KR 20090037727 A KR20090037727 A KR 20090037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d
heale
jacquard
eye
wea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3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신자
황기훈
황건우
Original Assignee
서신자
황건우
황기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신자, 황건우, 황기훈 filed Critical 서신자
Priority to KR1020070103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7727A/ko
Publication of KR20090037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77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3/00Jacquar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2Healds
    • D03C9/024Eye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카드 직기를 이용한 직물제직시 경사의 마찰등 외부요인에 의한 종광눈의 일부가 절단되어 경사가 이탈되므로 인하여 정상적인 제직이 불가능할 경우에도 종래와 같이 종광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기설치된 종광을 이용하여 계속적인 제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서 종래와 같이 종광 전체를 교체함에 따른 시간과 비용의 낭비는 물론 생산성 저하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직물제직시 경사의 개구를 위한 종광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종광의 본체 상에 구성되어 경사의 개구를 안내하는 종광눈을 복수개로 구성하여 사용중 일측 종광눈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즉시 또다른 종광눈에 경사를 끼워 신속한 제직이 진행될 수 있게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종광은 주로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된 자카드 직기용 종광을 그 대상으로 하나 금속종광이나 일반직기용 종광, 즉 종광틀에 끼워진 종광에도 적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자카드 직기용 종광{HEALE FOR JACQUARD LOOM}
본 발명은 자카드 직기용 종광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종광의 본체 상에 구성되어 경사의 개구를 안내하는 종광눈을 복수개 구성하여 사용토록 하므로서 제직중 경사의 마찰에 의해 종광눈의 일측이 절단되더라도 종광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없이 다른 종광눈에 경사를 끼워 제직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광은 직물제직시 위사의 위입을 위하여 경사를 개구시켜 주는 것으로서 자카드 직기용 종광의 경우에는 자카드에 의해 종광 하나하나가 독립적으로 운동하게 되며, 와이어로 된 금속종광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 내구성이 우수한 합성수지로 종광을 사출성형하여 사용하는 사례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합성수지로 종광을 성형하여 사용하더라도 종광의 본체 중앙에는 경사가 끼워져 개구되는 종광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종광눈에 경사를 끼워 사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즉 직물제직시 경사에는 적절한 장력이 유지되어야 하고, 장력이 유지된 경사가 합성수지로 성형된 종광의 종광눈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직이 진행되면 경사와 의 마찰에 의해 종광눈 하단부가 쉽게 마모되고, 마모가 누적되면 종광눈의 하단 일부가 절단되면서 경사가 종광눈으로부터 이탈, 경사의 개구가 불가능하게 되므로 제직을 정지시킨 다음 종광을 교체하여야 한다.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때문에 종광을 교체하고자 할 때에는 일단 직기를 정지시킨 다음 종광 하단에 연결구성된 종광복귀장치와 종광 상단에 종광의 개구, 즉 상승을 위한 통사로부터 종광을 풀어낸 다음, 교체하고자 하는 새로운 종광을 종광하단에 위치하는 복귀장치와, 상단에 위치하는 통사와 다시 연결하여야 하므로 그에 따른 많은 시간과 인력이 낭비되므로 생산효율이 떨어지고 관리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는 자카드 직기용 종광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종광틀에 끼워진 일반 모든 직기용 종광에도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자카드 직기를 이용한 직물제직시 경사의 마찰등 외부요인에 의한 종광눈의 일부가 절단되어 경사가 이탈되므로 인하여 정상적인 제직이 불가능할 경우에도 종래와 같이 종광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기설치된 종광을 이용하여 계속적인 제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서 종래와 같이 종광 전체를 교체함에 따른 시간과 비용의 낭비는 물론 생산성 저하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직물제직시 경사의 개구를 위한 종광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종광의 본체 상에 구성되어 경사의 개구를 안내하는 종광눈을 복수개로 구성하여 사용중 일측 종광눈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즉시 또다른 종광눈에 경사를 끼워 신속한 제직이 진행될 수 있게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종광은 주로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된 자카드 직기용 종광을 그 대상으로 하나 금속종광이나 일반직기용 종광, 즉 종광틀에 끼워진 종광에도 적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직기용 종광, 특히 자카드 직기용 종광을 합성수지로 성형한 경우 종광의 본체 상에 구성되는 종광눈을 복수개 구성하여 사용토록 하므로서 제직 중 경사의 마찰이나 기타 외부요인에 의해 종광눈의 일부가 절단될 경우, 종광눈으로 부터 이탈한 경사를 또다른 종광눈에 끼워 제직이 진행될 수 있게 하므로서 종래와 같이 종광교체에 따른 많은 시간과 인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발명은 합성수지로 성형한 자카드 직기용 종광을 기준으로 설명하는 것이며, 종광 상하단에 구성되는 통사연결부와, 복귀장치연결부의 구성과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종광(10)의 정면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구성도로서, 합성수지로 종광(10)을 성형하되, 종광(10)의 본체(20) 중앙에 확장부(30)를 구성하고, 상기 확장부(30)에 이를 관통하는 종광눈(40)을 구성하되, 상기 종광눈(40)은 상하 나란히 이중구성되게 한다.
이때 확장부(30)에 구성되는 종광눈(40)은 도면 상에는 상하로만 이중구성하였으나, 그 이상으로도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종광(10)의 본체(20) 하단에는 복귀스프링이나 고무사등으로 구성되는 종광복귀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복귀장치 연결부(50)가 구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자카드와 연결되는 통사연결부(60)가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요지는 종광(10)의 본체(20) 상에 종광눈(40)을 복수개로 구성하여 사용한다는 것이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종광으로서는 금속종광이나 자카드 직기용 종광이 아닌 종광틀에 끼워진 일반직기용 종광에도 적 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종광(10) 역시 종래와 같이 제직준비작업(자카드 하네스셋트)을 통하여 종광눈(40)에 경사를 끼우고, 종광(10) 하단에 구성된 복귀장치연결부(50)에는 스프링이나 고무사와 같은 복귀수단을 연결하고, 상단 통사연결부(60)에는 자카드와 연결되는 통사를 연결한 다음 자카드 직기에 장치, 자카드직물을 제직한다는 것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종광(10)은 제직 중 경사의 마찰에 의해 종광눈(40)의 일측이 절단될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종광의 적용예를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종광의 종광눈(40)에 끼워진 경사는 적절한 장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자카드와 연결되는 통사와, 복귀장치와 연결된 복귀수단(스프링, 고무사등)에 의해 수없이 승강하면서 개구되고, 동시에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경사가 지나가는 종광눈(40)의 하단부는 마찰에 의해 조금씩 마모되고, 상기 마모현상이 누적되면 결국 종광눈(40)이 구성된 확장부(30) 일측이 절단되면서 종광눈(40)으로부터 경사가 이탈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경사가 종광눈(40)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면 개구운동이 되지 못하기 때문에 제직이 진행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같이 종광(10) 전체를 교체할 필요없이 직기를 일시정지시킨 다음 종광눈(40)으로부터 이탈한 경사를 절단한 다음 동일 종광(10)에 복수개 구성된 다른 종광눈(40)에 경사를 끼워 연결사용하면 되므로 신속 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종광(10)에 구성된 종광눈(40)의 위치변형에 따른 경사개구위치조정은 통사의 길이를 늘이거나 당기는 간단한 조작으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도 1 :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종광의 정면구성도
도 2 : 도 1의 요부확대도
도 3 : 도 2의 측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종광 (20)--본체
(30)--확장부 (40)--종광눈
(50)--복귀장치연결부 (60)--통사연결부

Claims (1)

  1. 복귀장치연결부(50)와, 통사연결부(60)와, 종광눈(40)이 형성된 확장부(30)로 구성된 통상의 자카드 직기용 종광을 구성함에 있어서, 종광(10)의 본체(20)에 구성된 확장부(30) 상에 종광눈(40)을 복수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카드 직기용 종광.
KR1020070103210A 2007-10-12 2007-10-12 자카드 직기용 종광 KR200900377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210A KR20090037727A (ko) 2007-10-12 2007-10-12 자카드 직기용 종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210A KR20090037727A (ko) 2007-10-12 2007-10-12 자카드 직기용 종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727A true KR20090037727A (ko) 2009-04-16

Family

ID=40762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210A KR20090037727A (ko) 2007-10-12 2007-10-12 자카드 직기용 종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77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77254A (zh) * 2012-05-24 2012-09-19 浙江旷达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织布的通丝装造纳米综丝杆
CN113279103A (zh) * 2021-05-20 2021-08-20 岳氏纺机科技(常州)有限公司 一种综丝和利用这综丝织造的重平布及其织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77254A (zh) * 2012-05-24 2012-09-19 浙江旷达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织布的通丝装造纳米综丝杆
CN113279103A (zh) * 2021-05-20 2021-08-20 岳氏纺机科技(常州)有限公司 一种综丝和利用这综丝织造的重平布及其织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75479B1 (en) Means to guide the motion of a pair of weft carrying grippers inside the shed of weaving looms
CN101323998A (zh) 喷水织机用通丝装造的弹簧机构
KR20090037727A (ko) 자카드 직기용 종광
EP0357974B1 (en) Means to guide the motion of weft grippers inside the shed of shuttleless looms
CN201010748Y (zh) 提花机组合式悬浮轨道引纬装置
KR200248984Y1 (ko) 직기용 종광
KR100884055B1 (ko) 자카드 직기용 종광
ATE356236T1 (de) Nadelwebmaschine mit automatischem wechsel des schussfadens
US5819812A (en) Giver gripper for a gripper loom
US6167918B1 (en) Gripper system for gripper loom
CN204058804U (zh) 交织方式的喷水织机
ITMI942426A1 (it) Mezzi per guidare il moto di una coppia di pinze all&#39;interno del passo di telai di tessitura
KR200478364Y1 (ko) 자카드직기용 종광
KR101019726B1 (ko) 직기 종광틀의 개구운동 안내구
JP2010242281A (ja) ジャカード・レノ織装置およびジャカード機
CN205839248U (zh) 一种特殊织物用综框结构
CN201136933Y (zh) 一种塑料片综丝
KR102186685B1 (ko) 자카드직기용 레노종광의 센터가이드 교체구조
KR200282388Y1 (ko) 직기용 바템플
CN212582090U (zh) 一种用于圆织机的耐磨跳杆
CN201485598U (zh) 一种无导勾引纬道轨装置
CN215163470U (zh) 一种纺织机械用便于组装的片梭综框结构
CN101331253B (zh) 用于织机的绞综装置
US719080A (en) Loom harness-frame.
CN209555470U (zh) 一种用于织机的织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