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685B1 - 자카드직기용 레노종광의 센터가이드 교체구조 - Google Patents

자카드직기용 레노종광의 센터가이드 교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685B1
KR102186685B1 KR1020190157962A KR20190157962A KR102186685B1 KR 102186685 B1 KR102186685 B1 KR 102186685B1 KR 1020190157962 A KR1020190157962 A KR 1020190157962A KR 20190157962 A KR20190157962 A KR 20190157962A KR 102186685 B1 KR102186685 B1 KR 102186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guide
return spring
right guides
hol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7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건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이치하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이치하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이치하네스
Priority to KR1020190157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6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2Heal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7/00Leno or similar shedd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카드직기용 레노종광을 구성하는 센터가이드 교체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직과정에서 레노종광을 구성하는 센터가이드가 마모되면, 레노종광 전체를 교체할 필요없이 좌우측가이드로부터 센터가이드만 간단히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좌우측가이드 승강을 위한 통사 및 복귀스프링의 연결을 간편히 할 수 있게 함으로서, 레노종광 교체에 따른 시간과, 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센터가이드 좌우양측에 좌우측가이드를 승강가능케 설치하고, 상기 센터가이드 및 좌우측가이드 하단에 복귀스프링을 설치한 자카드직기용 레노종광을 구성하되, 센터가이드 하단에 구성된 연결공에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된 결속구를 탈부착가능케 조립구성하고, 상기 결속구 하단에 복귀스프링을 조립구성함으로서, 센터가이드 교체가 필요한 경우 연결공으로부터 결속구를 분리시킨 다음 센터가이드만 간단히 교체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센터가이드 좌우측에 조립되는 좌우측가이드의 구성을 간단히 하여 승강을 위한 통사 및 복귀스프링의 연결을 간편히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카드직기용 레노종광의 센터가이드 교체구조{CENTER GUIDE EXCHANGE STRUCTURE OF LENO HEALDS FOR JACQUARD LOOM}
본 발명은 자카드직기용 레노종광을 구성하는 센터가이드 교체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레노종광을 이용하여 직물을 제직하는 과정에서 센터가이드(일명 : 레노)가 마모되더라도, 레노종광 전체를 교체할 필요없이 좌우측가이드로부터 센터가이드만 간편히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의 제직은 직기를 이용하되, 직기에 구성된 개구장치와 위입장치, 바디침장치, 송출 및 권취장치를 통하여 직물을 제직하게 되며, 제직하고자 하는 직물이나 조직구조에 따라 종광을 이용한 개구장치가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자카드직물을 제직하기 위하여서는 자카드종광을 이용하여 개구장치를 준비하게 되고, 레노직물을 제직하기 위하여서는 레노종광을 이용한 개구장치를 준비한다.
자카드직기를 이용하여 레노직물을 제직하기 위하여서는 레노종광을 통사에 연결한 다음 레노종광을 작동시켜, 위입된 위사를 중심으로 두가닥, 혹은 그 이상의 경사가 서로 꼬이면서 제직이 진행된다.
자카드직기용 레노종광에 관한 선행기술을 검토하여 보면, 특허 제10-1681984호 "다수의 레노종광을 이용한 직기 및 이로 부터 제직된 직물"(특허문헌 1)과, 특허 제10-1960640호 "레노종광 직기의 가이드장치"(특허문헌 2)등이 제시된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게재된 레노종광(100)의 구조는 도 1 및 도 2의 실물견본사진에 도시된 바와 같은구성이다.
즉, 센터가이드(110) 좌우양측에 좌측가이드(120)와 우측가이드(120')를 승강가능케 조립구성하고, 좌우측가이드(120)(120') 상단에는 강철선으로 구성된 별도의 상부고리(121)(121')를 연결하여 자카드의 통사(도시안됨)와 연결되게 한다.
또한 센터가이드(110)와 좌우측가이드(120)(120') 하단에는 연결공(112)(122)(122')을 구성하고, 상기 각 연결공(112)(122)(122')에는 복귀스프링(130)을 연결하여 상승하였던 센터가이드(110)나 좌우측가이드(120)(120')가 하강복귀되게 구성한다.
이때 센터가이드(110)와 좌우측가이드(120)(120')의 각 연결공(112)(122)(122')에 연결되는 복귀스프링(130)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합성수지로 구성된 연결구(131) 상단에 고리(132)가 형성된 강선(133)을 일체형으로 사출성형하고, 연결구(131) 하단에 구성된 나사봉(134)에는 복귀스프링(130)을 결합한다.
또한 강선(133)의 고리(132)를 이용하여 센터가이드(110)와 좌우측가이드(120)(120')의 각 연결공(112)(122)(122')에 연결하기 위한 수단은, 강선(133)의 고리(132)를 각 연결공(112)(122)(122')에 끼운 다음, 강선(133) 외면에 끼워진 열수축튜브(135)를 밀어올려, 고리(132)의 개방구가 열수축튜브(135) 내에 위치되게 하고, 열을 가하여 열수축튜브(135)가 열수축되게 함으로서, 복귀스프링(130)이 각 연결공(112)(122)(122') 하단에 일체로 연결구성되게 한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은 구성으로 복귀스프링(130)을 각 연결공(112)(122)(122') 하단에 연결되면 분리가 거의 불가능한 상태이다.
따라서 제직을 위하여 센터가이드(110) 및 좌우측가이드(120)(120')가 장기간(대략 1~2년) 승강하게 되면 센터가이드(110)가 마모되어 사용이 곤란해지게 되고, 이러한 경우 센터가이드(110) 하단연결공(112)으로부터 복귀스프링(130)이 연결된 연결구(131)를 분리할 수 없기 때문에 레노종광(100) 전체를 교체하여야 한다.
레노종광(100) 전체를 교체하는 작업에는 많은 시간과 인력 및 비용이 소요될 뿐 아니라, 레노종광(100)을 교체하는동안 제직을 할 수가 없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특허 제10-1681984호 "다수의 레노종광을 이용한 직기 및 이로 부터 제직된 직물" 2)과, 특허 제10-1960640호 "레노종광 직기의 가이드장치"
본 발명은 자카드직기용 레노종광을 구성하는 센터가이드 교체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직과정에서 레노종광을 구성하는 센터가이드가 마모되면, 레노종광 전체를 교체할 필요없이 좌우측가이드로부터 센터가이드만 간단히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좌우측가이드 승강을 위한 통사 및 복귀스프링의 연결을 간편히 할 수 있게 함으로서, 레노종광 교체에 따른 시간과, 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센터가이드 좌우양측에 좌우측가이드를 승강가능케 설치하고, 상기 센터가이드 및 좌우측가이드 하단에 복귀스프링을 설치한 자카드직기용 레노종광을 구성하되, 센터가이드 하단에 구성된 연결공에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된 결속구를 탈부착가능케 조립구성하고, 상기 결속구 하단에 복귀스프링을 조립구성함으로서, 센터가이드 교체가 필요한 경우 연결공으로부터 결속구를 분리시킨 다음 센터가이드만 간단히 교체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센터가이드 좌우측에 조립되는 좌우측가이드의 구성을 간단히 하여 승강을 위한 통사 및 복귀스프링의 연결을 간편히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센터가이드 좌우양측에 좌우측가이드를 승강가능케 설치하고, 상기 센터가이드 및 좌우측가이드 하단에 복귀스프링을 설치한 자카드직기용 레노종광을 구성하되, 센터가이드 하단에 구성된 연결공에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된 결속구를 탈부착가능케 조립구성하고, 상기 결속구 하단에 복귀스프링을 조립구성함으로서, 센터가이드 교체가 필요한 경우 연결공으로부터 결속구를 분리시킨 다음 센터가이드만 간단히 교체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센터가이드 좌우측에 조립되는 좌우측가이드의 구성을 간단히 하여 승강을 위한 통사 및 복귀스프링의 연결을 간편히 할 수 있게 함으로서, 레노종광 교체에 따른 시간과, 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 레노종광의 정면구성도로서, 센터가이드 양측에 좌우측가이드가 조립된 상태도
도 2 : 본 발명 레노종광의 센터가이드 하단연결공에 탈부착식으로 조립되는 결속구의 사시도
도 3 : 도 2의 정면구성도
도 4 : 도 2의 측면구성도
도 5 : 도 2의 단면구성도
도 6 : 본 발명 센터가이드 하단에 결속구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7 : 도 6의 일부단면구성도
도 8 : 도 1의 레노종광에서 통사와 복귀스프링이 연결된 상태도
도 9 : 종래 레노종광의 실물견본사진
도 10 : 도 9의 일부확대도
도 11 : 도 9의 일부분해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자카드직기용 레노종광(10)의 정면구성도로서,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소재이면서 편철로 구성된 센터가이드(20) 좌우측에 좌측가이드(30)와 우측가이드(30')가 승강가능케 조립구성되며, 센터가이드(20) 상부에는 안내공(2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연결공(22)이 구성되고, 좌우측가이드(30)(30') 상하단부에는 통사(31) 및 복귀스프링(32)을 연결하기 위한 결속수단이 구비된다.
상기한 구성의 자카드직기용 레노종광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구성과 다를바 없으나,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구성요소는 센터가이드(20) 하단에 구성된 연결공(22)에, 복귀스프링(23) 연결을 위한 결속구(40)를 분해조립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조립구성하여, 필요시 간편하게 센터가이드(20)만 교체가능케 구성한다는 것과, 좌우측가이드(30)(30') 상하단부에 연결되는 통사(31)(32)를 신속간편하게 결속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먼저 센터가이드(20) 하단 연결공(22)에 분해조립식으로 구성되는 결속구(40)의 구성과, 결속구(40)와 센터가이드(20) 및 복귀스프링(23)의 결속은 다음과 같이 된다.
먼저 결속구(4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구(40)를 구성하는 본체(41) 중앙에 경사돌부(42)를 돌출구성하고, 경사돌부(42) 상부에는 절개공(43)이 형성된 걸림편(45)을 구성하고, 걸림편(45)의 윗쪽 양측에는 경사면(44)이 구성되어 있고, 걸림편(45) 일측에는 걸림턱(46)이 형성된 탄지편(47)을 구성하되, 탄지편(47)에 구성된 걸림턱(46)은 절개공(43)쪽에 위치되게 하고, 결속구(40) 본체(41) 하단에는 연결편(48)을 구성하고, 연결편(48) 아랫쪽에는 나사봉(49)이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결속구(40)는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며, 본체(41) 중앙에 구성되는 경사돌부(42)는 걸림편(45)에 구성된 탄지편(47) 높이와 동일하거나 조금 높게 하여, 결속구(40)가 조립된 센터가이드(20)의 승강시 인접한 자카드직기용 레노종광들과 걸림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함과 동시에, 결속구(40)를 센터가이드(20)의 연결공(22)에 결합할때 쉽게 끼워질 수 있게 한다.
센터가이드(20)와 결속구(40) 및 복귀스프링(23)의 연결은 다음과 같이 된다.
센터가이드(20) 하단에 구성된 연결공(22)을 결속구(40)의 탄지편(47) 직하방에 위치시킨 다음, 결속구(40)를 아래로 당겨내리면 탄지편(47)이 외측방향으로 확장되면서 걸림턱(46)을 지나, 연결공(22)이 결속구(40)의 결속공(45')에 끼워지게 되므로 센터가이드(20)와 결속구(40)의 연결이 완료된다.
결속구(40)와 복귀스프링(23)의 연결은, 복귀스프링(23)을 연결편(48) 하단에 구성된 나사봉(19)에 위치시킨 다음 회전시키면서 밀어넣으면 복귀스프링(23)이 나사봉(49) 외면에 나사식으로 결합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센터가이드(20)와 결속구(40) 및 복귀스프링(23)의 연결이 완료된다.
또한 센터가이드(20) 교체를 위하여 연결공(22)으로부터 결속구(40)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탄지편(47)은 외측방향으로 당긴 상태에서 결속구(40)를 밀어올리면 센터가이드(20)로부터 결속구(40)가 분리되고, 결속구(40)가 분리된 상태에서, 센터가이드(20)를 윗쪽으로 당겨올리면 좌우측가이드(30)(30')로부터 간단히 분리되므로 새로운 센터가이드로 쉽게 교체할 수 있다.
좌우측가이드(30)(30')의 구성과, 좌우측가이드(30)(30') 상하단부에 통사(31) 및 복귀스프링(32)의 연결은 다음과 같이 된다.
좌우측가이드(30)(30')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
좌우측가이드(30)(30')는 본체(36)를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함과 동시에, 서로 대칭형으로 구성되고, 중앙부에 센터가이드(20)가 끼워지는 안내공(33)이 형성된다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나, 발명에서는 본체(36) 상하단부에 결속부(50)와 연결부(37)를 일체로 사출성형하여 차별화하였다.
좌우측가이드(30)(30')의 본체(36) 상단부에 구성되는 결속부(50)는 중앙에 결속공(51)이 구성되고, 결속공(51) 내면상부에는 단턱(52)을 구성하여 결속공(51) 상부에 대체로 좁게 구성된 끼움부(53)가 형성되고, 결속부(50) 상부에는 확장부(54)를 구성한다.
좌우측가이드(30)(30')의 본체(36) 하단부에는 연결부(37)를 구성하고, 연결부(37) 하단에는 나사봉(38)을 구성하여, 좌우측가이드(30)(30')를 구성한다.
좌우측가이드(30)(30')와 통사(31) 및 복귀스프링(32)의 연결은 다음과 같이 된다.
좌우측가이드(30)(30')의 결속공(51)에 통사(31)를 끼운 다음, 윗쪽으로 당겨올리면 통사(31)가 단턱(52)에 의해 좁게 구성된 끼움부(53)에 끼워지고, 상기한 상태에서 좌우측가이드(30)(30') 외면에 끼워진 튜브(34)를 당겨올리면 결속부(50)와 함께 통사(31)가 튜브(34)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끼움부(53)에 끼워진 통사(31)는 확장부(54) 양측에 위치하면서, 튜브(34) 내면에 억지끼움되면서 지지되므로, 통사(31)와 좌우측가이드(30)(30')의 견고한 결속이 간단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복귀스프링(32)의 연결은, 복귀스프링(32)을 연결부(37) 하단에 위치한 나사봉(38)에 위치시킨 다음 밀어올리면서 회전시키면 복귀스프링(32)이 나사봉(38)에 나사식으로 견고히 고정된다.
상기에서와 같은 구성으로 센터가이드(20) 양측에 좌우측가이드(30)(30')를 승강가능케 결합하되, 센터가이드(20) 하단에는 결속구(40)를 착탈가능케 조립한 다음, 복귀스프링(23)과 연결하고, 좌우측가이드(30)(30')에 구성된 결속부(50)와 연결부(37)를 통하여 통사(31)와 복귀스프링(32)을 간편하게 조립되게 하여 자카드직기용 레노종광(10)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카드직기용 레노종광(10) 역시, 센터가이드(20) 및 좌우측가이드(30)(30') 하단에 구성된 복귀스프링(23)(32)을 자카드직기 하단에 고정설치하고, 통사(31)에 의해 좌우측가이드(30)(30')가 교호로 상승하고, 복귀스프링(23)(32)에 의해 복귀되게 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자카드직기용 레노종광과 같이 자카드직기에 장치하여 레노조직으로 직물을 제직한다는 것은 종래와 다를바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자카드직기용 레노종광(10)은, 사용중 센터가이드(20)의 마모시, 센터가이드(20)만 간편히 교체할 수 있다는 것과, 좌우측가이드(30)(30')에 통사(31)와 복귀스프링(32)의 연결을 간편히 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즉, 장기간 사용중 센터가이드(20)가 마모되어 교체의 필요성이 있을때에는, 센터가이드(20) 하단 연결공(22)에 끼워진 결속구(40)의 탄지편(47)을 외측방향으로 당겨올린 다음, 결속구(40)를 밀어올리면 연결공(22)으로부터 결속구(40)가 간단히 분리된다.
센터가이드(20)의 연결공(22)으로부터 결속구(40)가 분리된 상태에서, 센터가이드(20) 상단부를 잡고 윗쪽으로 당겨올리면 좌우측가이드(30)(30')의 안내공(33)으로부터 센터가이드(20)가 간단히 분리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마모된 센터가이드(20)를 분리시킨 다음, 새로운 센터가이드(20)를 좌우측가이드(30)(30')의 안내공(33)에 끼우고, 교체된 센터가이드(20)의 연결공(22)에 결속구(40)를 연결하면 센터가이드(20)의 교체가 간단히 완료된다.
센터가이드(20) 교체시 안내공(21)에 끼워진 레노사(도시안됨)는 절단하였다가 다시 연결하면 된다.
또한 좌우측가이드(30)(30') 상부에 통사(31)를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도, 본체(36) 상단부에 구성된 결속공(51)에 통사(31)를 끼운 다음 윗쪽으로 당겨올리면, 통사(31)가 결속공(51) 상부에 위치한 끼움부(53)에 끼워져 위치하게 되고, 상기한 상태에서 튜브(34)를 윗쪽으로 당겨올리면 통사(31)가 확장부(54) 양측에 위치하면서, 튜브(34) 내에 억지끼움형태로 끼워지게 되므로 통사(31)와 좌우측가이드(30)(30')의 견고한 결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좌우측가이드(30)(30') 하단에 구성된 연결부(37)에 복귀스프링(32)을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도, 복귀스프링(32)을 나사봉(38) 저면에 위치시킨 다음 밀어올리면서 회전시키면, 복귀스프링(32)이 나사봉(38) 외면에 나사식으로 결합이 되므로 좌우측가이드(30)(30')와 복귀스프링(32)의 연결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카드직기용 레노종광을 구성하되, 센터가이드 하단에 결속구를 착탈가능케 구성하여 센터가이드의 마모시 센터가이드만 간단히 교체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좌우측가이드 상하단부에 결속부와 연결부를 일체로 사출성형하여 통사와 복귀스프링을 간단히 연결할 수 있어, 센터가이드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좌우측가이드 상하단부에 통사와 복귀스프링 연결을 신속히 할 수 있어 설치비용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10)--자카드직기용 레노종광 (20)--센터가이드
(21)--안내공 (22)--연결공
(23)--복귀스프링 (30)--좌측가이드
(30')--우측가이드 (31)--통사
(32)--복귀스프링 (33)--안내공
(34)--튜브 (36)--본체
(37)--연결부 (38)--나사봉
(40)--결속구 (41)--본체
(42)--경사돌부 (43)--절개공
(44)--경사면 (45)--걸림편
(45')--결속공 (46)--걸림턱
(47)--탄지편 (48)--연결편
(49)--나사봉 (50)--결속부
(51)--결속공 (52)--단턱
(53)--끼움부 (54)--확장부

Claims (3)

  1. 센터가이드(20) 상단에 안내공(21)을 구성하고, 센터가이드(20) 하단 양측에 연결공(22)을 구성하고, 상기 센터가이드(20) 양측에 좌우측가이드(30)(30')를 승강가능케 조립한 다음 필요에 따라 센터가이드(20)를 교체할 수 있게 한 자카드직기용 레노종광의 센터가이드 교체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센터가이드(20) 하단 양측에 구성된 연결공(22)에 결속구(40)를 착탈식으로 연결구성하되, 상기 결속구(40)는, 본체(41) 상단에 걸림편(45)을 구성하고, 상기 걸림편(45) 일측에 걸림턱(46)이 형성된 탄지편(47)을 구성하여, 결속공(45')을 형성하고, 본체(41) 하단에 연결편(48)을 구성하고, 연결편(48) 아랫쪽에 나사봉(49)이 구성되게 하여 결속구(40)를 구성하고, 상기 결속구(40)의 결합은 결속구(40)의 본체(41) 상단에 구성된 탄지편(47)을 이용하여, 센터가이드(20) 하단 양측에 구성된 연결공(22)에 착탈식으로 결합되게 함으로서, 센터가이드(20)를 교체하고자 할 때, 연결공(22)으로부터 결속구(40)를 분리시킨 다음, 센터가이드(20)만 교체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카드직기용 레노종광의 센터가이드 교체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결속구(40)의 본체(41) 중앙부에 경사돌부(42)를 구성하고, 걸림편(45) 상단에 경사면(44)을 구성하고, 아랫쪽에는 절개공(43)을 구성하여 탄지편(47)이 절개공(43) 일측에 위치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카드직기용 레노종광의 센터가이드 교체구조.
  3. 삭제
KR1020190157962A 2019-12-02 2019-12-02 자카드직기용 레노종광의 센터가이드 교체구조 KR102186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962A KR102186685B1 (ko) 2019-12-02 2019-12-02 자카드직기용 레노종광의 센터가이드 교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962A KR102186685B1 (ko) 2019-12-02 2019-12-02 자카드직기용 레노종광의 센터가이드 교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6685B1 true KR102186685B1 (ko) 2020-12-07

Family

ID=73791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7962A KR102186685B1 (ko) 2019-12-02 2019-12-02 자카드직기용 레노종광의 센터가이드 교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6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6274U (ko) * 1986-04-12 1987-10-22
KR200314778Y1 (ko) * 2002-12-30 2003-05-27 김정호 레노조직을 제직하기 위한 쟈카드직기용 종광
KR101681984B1 (ko) 2016-04-04 2016-12-02 (주)기영텍스 다수의 레노종광을 이용한 직기 및 이로부터 제직된 직물
KR101960640B1 (ko) 2018-09-17 2019-03-20 주식회사 석영텍스타일 레노종광 직기의 가이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6274U (ko) * 1986-04-12 1987-10-22
KR200314778Y1 (ko) * 2002-12-30 2003-05-27 김정호 레노조직을 제직하기 위한 쟈카드직기용 종광
KR101681984B1 (ko) 2016-04-04 2016-12-02 (주)기영텍스 다수의 레노종광을 이용한 직기 및 이로부터 제직된 직물
KR101960640B1 (ko) 2018-09-17 2019-03-20 주식회사 석영텍스타일 레노종광 직기의 가이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209480A (ja) ジャカードシステムのハーネス
CN1982517A (zh) 用于条形经线的综片
KR20070005516A (ko) 개구 형성 장치의 요소들 사이를 걸기 위한 장치와, 그제조 방법 및 이 장치를 이용한 걸기 위한 방법
KR102186685B1 (ko) 자카드직기용 레노종광의 센터가이드 교체구조
KR101681984B1 (ko) 다수의 레노종광을 이용한 직기 및 이로부터 제직된 직물
US2355789A (en) Method of making fabric
US9399830B2 (en) Device for detachably connecting elements for positioning warp yarns on a weaving loom
US1720272A (en) Harness cord for looms
KR200248984Y1 (ko) 직기용 종광
KR100884055B1 (ko) 자카드 직기용 종광
KR200478364Y1 (ko) 자카드직기용 종광
KR101279668B1 (ko) 자카드를 이용한 천연섬유사 제직장치
JP2009068144A (ja) 二重織物の織成方法
KR20090037727A (ko) 자카드 직기용 종광
KR200314778Y1 (ko) 레노조직을 제직하기 위한 쟈카드직기용 종광
CN213172768U (zh) 一种开口综丝
CN105671725A (zh) 一种组合式提花机目板装置
CN109853110A (zh) 一种生产高速带的织带机
US2506564A (en) Harness cord connector for looms
CN219430232U (zh) 一种纺织机械用抗拉强度高的综丝
CN205839248U (zh) 一种特殊织物用综框结构
KR101891527B1 (ko) 자카드 직기용 레노종광
CN201525921U (zh) 大提花织机的一体式综丝
EP2035607B1 (en) A wear resistive device for forming a leno weave
CN211367892U (zh) 增加经线头纹个数的梭织机综框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