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984B1 - 다수의 레노종광을 이용한 직기 및 이로부터 제직된 직물 - Google Patents

다수의 레노종광을 이용한 직기 및 이로부터 제직된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984B1
KR101681984B1 KR1020160041193A KR20160041193A KR101681984B1 KR 101681984 B1 KR101681984 B1 KR 101681984B1 KR 1020160041193 A KR1020160041193 A KR 1020160041193A KR 20160041193 A KR20160041193 A KR 20160041193A KR 101681984 B1 KR101681984 B1 KR 101681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o
sheath
warp
yarn
twis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환
최인열
김수영
Original Assignee
(주)기영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기영텍스 filed Critical (주)기영텍스
Priority to KR1020160041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9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9/00Knitting processes, apparatus or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7/00Leno or similar shedding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1/00Loo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r weaving chenille yarn; Details peculiar to these loom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다수의 레노종광을 이용한 직기 및 이로부터 제직된 직물에 관한 것으로서, 경사(10)들이 위사(20)를 중심으로 꼬이도록 교차시키는 레노종광(100)을 포함하는 직물용 직기에 있어서, 적어도 3본 이상의 경사(10)가 꼬이도록 적어도 세 개 이상의 레노종광(100)들이 경사이송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되되, 상기 레노종광(100)에는, 단수의 경사(10)가 관통되도록 경사공(101a)이 형성되며, 또 다른 경사(10)가 전측 공간부(101b) 또는 후측공간부(101c)로 넘어가도록 상단부가 만곡하게 형성된 센터종광(101)이 구비되고, 상기 센터종광(101)의 양 측에 각각 상하로 연장 형성된 전단종광(102) 및 후단종광(103)이 연결되되, 상기 전단종광(102) 및 후단종광(103)의 단부에는 지지공(102a)(103a)이 형성되어 통사가 연결되는 것으로, 엮임이 견고하고, 틀어짐이 적으며, 균일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적어도 3본 이상의 경사가 꼬인 직물을 제직할 수 있고, 레노종광(100)들이 상호 충돌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밀도의 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다수의 레노종광을 이용한 직기 및 이로부터 제직된 직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수의 레노종광을 이용한 직기 및 이로부터 제직된 직물{WEAVING MACHINE USING PLURAL LENO-HEDDLES AND THE TEXTILE PRODUCED BY THE SAME}
이 발명은 직물용 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사들이 위사를 중심으로 꼬이도록 교차시키는 레노종광을 포함하는 직물용 직기에 관한 것이다.
레노조직(leno)이란, 위사를 중심으로 경사 2본이 서로 반대로 교차하면서 꼬이도록 제직되는 조직이다. 이러한 레노조직을 제직하기 위하여 종래에 사용한 도비직기는 각각의 종광마다 가이드 바, 이완 장치 등이 요구되어 직기가 복잡해지고 제어할 수 있는 종광의 개수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광들을 장치 구조가 전혀 상이한 자카드직기에 적용할 수 없었고, 자카드직기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직하면서 경사에 꼬임을 주는 레노조직을 제직할 수 없었다.
이를 개선하고자, 자카드직기에 적용 가능한 레노종광(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4778호, 레노조직을 제직하기 위한 쟈카드직기용 종광)이 개발되었고, 이를 응용하여 자카드직기용 레노종광과 자카드종광을 복합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레노조직과 자카드조직을 하나의 직물에 제직할 수 있는 직기도 개발되었다(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7130, 이종 조직 직물 직조용 직기, 이를 이용하여 직조된 신발갑피 및 신발; 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 이에 따르면, 두 종류의 종광을 전방과 후방에 분리하여 배치하되, 전방에 위치한 종광은 직물의 일부에 레노조직을 형성하고, 후방에 위치한 종광은 직물의 나머지 부분에 자카드조직을 형성한다.
하지만, 상기의 선행기술문헌에 의하더라도, 완성된 직물에서 레노종광에 의해 제직된 레노조직 부분은 종래의 것과 동일하게 위사를 중심으로 2본의 경사가 꼬여지도록 제직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장력 등이 한계를 넘어서면 엮임이 다소 느슨해지면서 틀어짐이 발생되어 결국 루프형성을 위한 간격이 불규칙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문헌의 자카드종광에서는 레노조직을 제직할 수는 없으므로, 목적하는 직물의 디자인에 따라 직기에 설치된 종광의 배치를 매번 다르게 할 수 밖에 없는 제직 공정상의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의 선행기술문헌에 의한 직기의 구조상 3본의 경사가 꼬여지도록 제직할 수 없을 뿐 아니라, 2본의 경사가 꼬여지도록 제직하더라도 기능적, 디자인적 요구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레노조직을 제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밀도의 조밀성을 유지할 수 없게 되고, 종광들이 서로 충돌하여 실질적으로 원활한 제직 공정을 진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 발명은 종래의 레노조직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엮임이 견고하고, 틀어짐이 적으며, 균일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직물을 제직하기 위한 직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목적하는 직물의 디자인에 따라 종광의 배치를 매번 다르게 할 필요가 없고, 레노조직과 자카드조직을 원하는 부분에 자유롭게 제직할 수 있는 직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 발명은 새로운 형태의 직물을 제직하는데 있어서, 직기 내에서 종광들이 서로 충돌을 일으키지 않고, 밀도의 조밀성을 유지하면서, 기능적, 디자인적 요구에 따라 경사의 수 및 꼬임 방식을 달리할 수 있으며, 종광의 종류가 단일화되어 구조가 단순해지고, 자카드 직기는 물론 생산 비용이 저렴한 도비 직기 등에도 적용할 수 있는 직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발명인 다수의 레노종광을 이용한 직기는, 경사(10)들이 위사(20)를 중심으로 꼬이도록 교차시키는 레노종광(100)을 포함하는 직물용 직기에 있어서,적어도 3본 이상의 경사(10)가 꼬이도록 적어도 세 개 이상의 레노종광(100)들이 경사이송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되되, 상기 레노종광(100)은 경사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제1 레노종광(110)이 배치되고, 그 뒤로 상하 반전된 제2 레노종광(120) 및 제3 레노종광(130)이 연속하여 배치되며,제1 경사(11)를 기준으로 제2 경사(12)가 꼬이게 교차되도록 제1 레노종광(110)과 상하 반전된 제2 레노종광(120)이 경사이송방향 상에서 이격적으로 배치되고, 제1 경사(11)를 기준으로 제3 경사(13)가 꼬이게 교차되도록 제1 레노종광(110)과 상하 반전된 제3 레노종광(130)이 경사이송방향 상에서 이격적으로 배치되어 레노종광(100)들이 상호 충돌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경사들이 위사를 중심으로 꼬이도록 제직할 수 있고, 상기 레노종광(100)에는, 단수의 경사(10)가 관통되도록 경사공(101a)이 형성되며, 또 다른 경사(10)가 전측 공간부(101b) 또는 후측공간부(101c)로 넘어가도록 상단부가 만곡하게 형성된 센터종광(101)이 구비되고, 상기 센터종광(101)의 양 측에 각각 상하로 연장 형성된 전단종광(102) 및 후단종광(103)이 연결되되, 상기 전단종광(102) 및 후단종광(103)의 단부에는 지지공(102a)(103a)이 형성되어 통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레노종광(100)은 상기 제3 레노종광(130) 뒤로, 상기 제1 레노종광(110)을 기준으로 상하 반전된 제4 레노종광(140)이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경사(10)들이 위사(20)를 중심으로 꼬이도록 교차시키는 레노종광(100)을 포함하는 직물용 직기에 있어서, 적어도 3본 이상의 경사(10)가 꼬이도록 적어도 세 개 이상의 레노종광(100)들이 경사이송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되되, 상기 레노종광(100)은 경사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제1 레노종광(110) 및 제2 레노종광(120)이 연속하여 배치되고, 그 뒤로 상하 반전된 제3 레노종광(130)이 연속하여 배치되며, 제3 경사(13)를 기준으로 제1 경사(11)가 꼬이게 교차되도록 제1 레노종광(110)과 상하 반전된 제3 레노종광(130)이 경사이송방향 상에서 이격적으로 배치되고, 제3 경사(13)를 기준으로 제2 경사(12)가 꼬이게 교차되도록 제2 레노종광(120)과 상하 반전된 제3 레노종광(130)이 경사이송방향 상에서 이격적으로 배치되어 레노종광(100)들이 상호 충돌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경사들이 위사를 중심으로 꼬이도록 제직할 수 있고, 상기 레노종광(100)에는, 단수의 경사(10)가 관통되도록 경사공(101a)이 형성되며, 또 다른 경사(10)가 전측 공간부(101b) 또는 후측공간부(101c)로 넘어가도록 상단부가 만곡하게 형성된 센터종광(101)이 구비되고, 상기 센터종광(101)의 양 측에 각각 상하로 연장 형성된 전단종광(102) 및 후단종광(103)이 연결되되, 상기 전단종광(102) 및 후단종광(103)의 단부에는 지지공(102a)(103a)이 형성되어 통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노종광(100)은 상기 제1 레노종광(110) 앞으로, 상기 제3 레노종광(130)을 기준으로 상하 반전된 제4 레노종광(140)이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경사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최후방에는 장력조절용 레노종광(200)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한다.
또한, 상기 레노종광(100)은, 경사이송방향과 직교되도록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레노종광(100)들이 고정틀(100-1)에 의해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발명인 다수의 레노종광을 이용한 직기로부터 제직된 직물은, 경사(10)들이 위사(20)를 중심으로 꼬이도록 제직된 직물로서, 적어도 3본 이상의 경사(10)가 꼬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사(20)를 중심으로 제1 경사(11), 제2 경사(12) 및 제3 경사(13)가 꼬이도록 제직되되, 상기 제1 경사(11) 및 제2 경사(12)는 위사(20)를 중심으로 꼬이도록 교차를 반복하면서, 상기 제3 경사(13)는 상기 제1 경사(11)와 위사(20)를 중심으로 꼬이도록 교차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사(20)를 중심으로 제1 경사(11), 제2 경사(12) 및 제3 경사(13)가 꼬이도록 제직되되, 상기 제1 경사(11) 및 제2 경사(12)는 위사(20)를 중심으로 꼬이도록 교차를 반복하면서, 상기 제3 경사(13)는 일정 수의 위사(20)를 플로팅하여 상기 제1 경사(11)와 위사(20)를 중심으로 꼬이도록 교차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사(20)를 중심으로 제1 경사(11), 제2 경사(12), 제3 경사(13) 및 제4 경사(14)가 꼬이도록 제직되되, 상기 제1 경사(11) 및 제2 경사(12)는 위사(20)를 중심으로 꼬이도록 교차를 반복하면서, 상기 제3 경사(13)는 일정 수의 위사(20)를 플로팅하여 상기 제1 경사(11)와 위사(20)를 중심으로 꼬이도록 교차를 반복하고, 상기 제4 경사(14)는 상기 제3 경사(13)와 대칭되면서 일정 수의 위사(20)를 플로팅하여 상기 제1 경사(11)와 위사(20)를 중심으로 꼬이도록 교차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하여, 종래의 레노조직을 가지는 직물에 비하여 엮임이 견고하고, 틀어짐이 적으며, 균일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적어도 3본 이상의 경사가 꼬인 직물을 제직할 수 있게 되어 편물과 직물의 단점을 상호보완한 새로운 형태의 직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목적하는 직물의 디자인에 따라 종광의 배치를 매번 다르게 할 필요가 없고, 레노조직과 자카드조직을 원하는 부분에 자유롭게 제직할 수 있어 제직 공정이 용이해지고 신속해지는 이점이 있다. 즉, 종광의 배치 변경 없이도 다양한 형태의 조직을 자유롭게 제직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하여, 적어도 3본 이상의 경사가 꼬이도록 제직하는데 있어서, 레노종광(100)들이 상호 충돌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밀도의 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능적, 디자인적 요구에 따라 위사를 중심으로 꼬이는 경사의 수를 용이하게 증가시킬 수 있으며, 각각의 레노종광(100)을 제어하여 플로팅이 포함된 다양한 꼬임 형태를 지니는 직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레노 종광 이외의 다른 종류의 종광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직기의 구조가 단순해지므로 제작 및 유지관리가 용이해지며, 자카드 직기에는 물론 생산 비용이 저렴한 도비 직기 등에도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레노종광(100)들이 고정틀(100-1)에 의해 일체화됨으로써, 레노종광(100)이 뒤틀림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이완장치로서 기능하던 가압빔을 장력조절용 레노종광(200)으로 대체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해지고, 부재가 단일화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레노조직 또는 레노직물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이 발명인 다수의 레노종광을 이용한 직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일부분인 레노종광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이 발명인 다수의 레노종광을 이용한 직기의 일 실시예로서 다수의 레노종광들이 경사이송방향에 따라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a) 내지 (d)는 제1 레노종광과 제2 레노종광에서의 제직 사이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a) 내지 (d)는 제1 레노종광과 제3 레노종광에서의 제직 사이클을 나타낸 것이다.
도 7는 이 발명인 다수의 레노종광을 이용한 직기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다수의 레노종광들이 경사이송방향에 따라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8는 이 발명인 다수의 레노종광을 이용한 직기의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다수의 레노종광들이 경사이송방향에 따라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이 발명인 다수의 레노종광을 이용한 직기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다수의 레노종광들이 경사이송방향에 따라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는 이 발명인 다수의 레노종광을 이용한 직기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는 이 발명인 다수의 레노종광을 이용한 직기로부터 제직된 직물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른 다수의 레노종광을 이용한 직기 및 이로부터 제직된 직물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다수의 레노종광을 이용한 직기 및 이로부터 제직된 직물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이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된 “제 1”“제 2”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배치”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 구비, 배치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 명세서 및 도면 전체에서 사용된 “경사이송방향”이라 함은, 경사가 공급되는 경사빔으로부터 위사가 위입되는 지점으로 경사가 진행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이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된 “전측”“전단”또는 “전방”이라 함은, 경사이송방향과 일치하는 직선상에서 위사가 위입되는 지점 방향을 의미하고, 도면에서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좌측 방향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이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된 “후측”“후단”또는 “후방”이라 함은, 경사이송방향과 일치하는 직선상에서 경사빔이 위치한 지점 방향을 의미하고, 도면에서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우측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레노조직”또는 “레노직물”이라 함은, 위사를 중심으로 2본의 경사가 꼬이도록 서로 반대로 교차하면서 제직되는 방식 또는 이러한 방식으로 제직된 직물을 의미한다. 도 1은 종래의 레노조직 또는 레노직물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수의 레노종광을 이용한 직기에 대한 실시예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 발명인 다수의 레노종광을 이용한 직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이 발명인 다수의 레노종광을 이용한 직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직기는 감겨진 경사(10)를 전방으로 공급하는 경사빔(warp beam; 도면 미도시)을 포함하되, 제1 경사(11)가 감겨진 제1 경사빔, 제2 경사(12)가 감겨진 제2 경사빔, 제3 경사(13)가 감겨진 제3 경사빔이 각각 구비되는 것이 각 경사에 적절한 장력을 제공하여 원활한 제직 공정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도면 미도시). 또한, 직기는 공급된 경사(10)들 사이의 개구부를 지나면서 위사(20)를 위입하는 셔틀(shuttle; 도면 미도시)을 포함한다. 또한, 직기는 위입된 위사(20)를 직물의 말단으로 밀어 넣는 바디(reed; 도면 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직기는 완성한 직물을 감는 직물빔(cloth beam; 도면 미도시)을 포함한다.
한편, 직기는 위입되는 위사(20)를 중심으로 경사(10)들이 서로 꼬이도록 교차시키는 레노종광(leno-heddle; 100)이 경사이송방향과 일치하는 직선 상에서 상기 셔틀과 경사빔 사이에 배치된다.
직기에 있어서, 이 발명은 직기에 배치되는 다수의 레노종광(100)과 그 구조에 대한 것으로, 종래의 자카드종광만이 포함된 직기나, 자카드종광 및 레노종광이 혼용하여 사용된 직기의 한계를 개선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적어도 3본 이상의 경사(10)가 꼬이도록 적어도 세 개 이상의 레노종광(100)들이 경사이송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된다. 상기 레노종광(100)에는, 단수의 경사(10)가 관통되도록 경사공(101a)이 형성되며, 또 다른 경사(10)가 전측 공간부(101b) 또는 후측공간부(101c)로 넘어가도록 상단부가 만곡하게 형성된 센터종광(101)이 구비되고, 상기 센터종광(101)의 양 측에 각각 상하로 연장 형성된 전단종광(102) 및 후단종광(103)이 연결되되, 상기 전단종광(102) 및 후단종광(103)의 단부에는 지지공(102a)(103a)이 형성되어 통사가 연결된다.
도 3은 이 발명의 일부분인 레노종광(100)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사는 전단종광(102) 및 후단종광(103)의 상단에 형성된 지지공(102a)(103a)과 연결되어 통사의 당김과 해제에 의해 전단종광(102) 및 후단종광(103)의 상하 이동이 각각 제어된다.
또한, 상기 전단종광(102) 및 후단종광(103)의 하단에 형성된 지지공(102a)(103a) 및 상기 센터종광(101)의 하단에 형성된 지지공(101d)에는 하측이 고정된 탄성수단(104)이 각각 연결되어 통사의 당김이 해제되면 상기 전단종광(102) 및 후단종광(103)의 위치가 복귀될 수 있다.
도 4는 이 발명인 다수의 레노종광을 이용한 직기의 일 실시예로서 다수의 레노종광(100)들이 경사이송방향에 따라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레노종광(100)들의 배치 방식에 있어서 그 실시예로, 상기 레노종광(100)은 경사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제1 레노종광(110)이 배치되고, 그 뒤로 상하 반전된 제2 레노종광(120) 및 제3 레노종광(130)이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레노종광(110)에는, 제1 경사(11)가 관통되도록 경사공(111a)이 형성되며, 제2 경사(12) 및 제3 경사(13)가 전측 공간부(111b) 또는 후측 공간부(111c)로 넘어가도록 상단부가 만곡하게 형성된 센터종광(111)이 구비되고, 상기 센터종광(111)의 양 측에 각각 상하로 연장 형성된 전단종광(112) 및 후단종광(113)이 연결되되, 상기 전단종광(112) 및 후단종광(113)의 단부에는 지지공(112a)(113a)이 형성되어 통사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센터종광(111)과 함께 상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레노종광(120)에는, 제2 경사(12)가 관통되도록 경사공(121a)이 형성되고, 제1 경사(11) 및 제3 경사(13)가 전측 공간부(121b) 또는 후측 공간부(121c)로 넘어가도록 상단부가 만곡하게 형성된 센터종광(121)이 구비되고, 상기 센터종광(121)의 양 측에 각각 상하로 연장 형성된 전단종광(122) 및 후단종광(123)이 연결되되, 상기 전단종광(122) 및 후단종광(123)의 단부에는 지지공(122a)(123a)이 형성되어 통사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센터종광(121)을 상하 이동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제3 레노종광(130)에는, 제3 경사(13)가 관통되도록 경사공(131a)이 형성되고, 제1 경사(11) 및 제2 경사(12)가 전측 공간부(131b) 또는 후측 공간부(131c)로 넘어가도록 상단부가 만곡하게 형성된 센터종광(131)이 구비되고, 상기 센터종광(131)의 양 측에 각각 상하로 연장 형성된 전단종광(132) 및 후단종광(133)이 연결되되, 상기 전단종광(132) 및 후단종광(133)의 단부에는 지지공(132a)(133a)이 형성되어 통사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센터종광(131)을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제1 레노종광(100)과 상하 반전되도록 제2 레노종광(120) 및 제3 레노종광(130)이 배치된다는 것은, 상기 제1 레노종광(110)의 센터종광(110)의 만곡한 상단부 아래로 경사들이 넘어가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제2 레노종광(120) 및 제3 레노종광(130)의 만곡한 상단부의 위로 경사들이 넘어가도록 배치되는 것을 포함한다(실시예 A). 또한, 이와 반대되도록 상기 제1 레노종광(110)의 센터종광(110)의 만곡한 상단부 위로 경사들이 넘어가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제2 레노종광(120) 및 제3 레노종광(130)의 만곡한 상단부의 아래로 경사들이 넘어가도록 배치되는 것도 포함한다(실시예 B).
이하, 실시예 A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먼저, 제1 레노종광(110)과 제2 레노종광(120)에 의해 제1 경사(11)를 기준으로 제2 경사(12)가 꼬이도록 교차될 수 있다.
도 5의 (a) 내지 (d)는 제1 레노종광(110)과 제2 레노종광(120)에서의 제직 사이클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통사에 의해 제1 레노종광(110)의 전단종광(112)과 제2 레노종광(120)의 전단종광(122)이 상승하면, 제2 레노종광(120)의 센터종광(121)이 같이 상승한다. 이에 따라, 경사공(121a)에 연결된 제2 경사(12)가 상승하면서 제1 레노종광(110)의 전측 공간부(111b)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제1 경사(11)와 제2 경사(12)의 개구 사이로 위사(20)가 인입된다. 다음, 상승했던 전단종광(112)(122)들이 원상태로 복귀하고, 제2 경사(12)가 제1 경사(11)보다 하강한 상태에서 또 다른 위사(20)가 인입될 수 있다. 다음, 통사에 의해 제1 레노종광(110)의 후단종광(113)과 제2 레노종광(120)의 후단종광(123)이 상승하면, 제2 레노종광(120)의 센터종광(121)이 같이 상승한다. 이에 따라, 경사공(121a)에 연결된 제2 경사(12)가 센터종광(110)의 만곡한 상단부 아래로 넘어가 상승하면서 제1 레노종광(110)의 후측 공간부(111c)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제1 경사(11)와 제2 경사(12)의 개구 사이로 위사(20)가 인입된다. 다음, 상승했던 후단종광(113)(123)들이 원상태로 복귀하고, 제2 경사(12)가 제1 경사(11)보다 하강한 상태에서 또 다른 위사(20)가 인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레노종광(110)과 제2 레노종광(120)에 의한 제직 사이클은 반복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제1 레노종광(110)과 제3 레노종광(130)에 의해 제1 경사(11)를 기준으로 제3 경사(13)가 꼬이도록 교차될 수 있다.
도 6의 (a) 내지 (d)는 제1 레노종광(110)과 제3 레노종광(130)에서의 제직 사이클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통사에 의해 제1 레노종광(110)의 전단종광(112)과 제3 레노종광(130)의 전단종광(132)이 상승하면, 제3 레노종광(130)의 센터종광(131)이 같이 상승한다. 이에 따라, 경사공(131a)에 연결된 제3 경사(13)가 상승하면서 제1 레노종광(110)의 전측 공간부(111b)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제1 경사(11)와 제3 경사(13)의 개구 사이로 위사(20)가 인입된다. 다음, 상승했던 전단종광(112)(132)들이 원상태로 복귀하고, 제3 경사(13)가 제1 경사(11)보다 하강한 상태에서 또 다른 위사(20)가 인입될 수 있다. 다음, 통사에 의해 제1 레노종광(110)의 후단종광(113)과 제3 레노종광(130)의 후단종광(133)이 상승하면, 제3 레노종광(130)의 센터종광(131)이 같이 상승한다. 이에 따라, 경사공(131a)에 연결된 제3 경사(13)가 센터종광(110)의 만곡한 상단부 아래로 넘어가 상승하면서 제1 레노종광(110)의 후측 공간부(111c)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제1 경사(11)와 제3 경사(13)의 개구 사이로 위사(20)가 인입된다. 다음, 상승했던 후단종광(113)(133)들이 원상태로 복귀하고, 제3 경사(13)가 제1 경사(11)보다 하강한 상태에서 또 다른 위사(20)가 인입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제1 레노종광(110)과 제3 레노종광(130)에 의한 제직 사이클은 반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레노종광(110)과 제2 레노종광(120)에 의한 제직 사이클은 상기 제1 레노종광(110)과 제3 레노종광(130)에 의한 제직 사이클과 대응되면서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다만, 위 실시예에서 제1 레노종광(110)과 제2 레노종광(120)에 의한 제직 사이클이 상기 제1 레노종광(110)과 제3 레노종광(130)에 의한 제직 사이클의 중간 단계에서부터 대응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레노종광(100)들의 배치 방식에 있어서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레노종광(100)은 경사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제1 레노종광(110)이 배치되고, 그 뒤로 상하 반전된 제2 레노종광(120) 및 제3 레노종광(130)이 연속하여 배치되되, 상기 제3 레노종광(130) 뒤로, 상기 제1 레노종광(110)을 기준으로 상하 반전된 제4 레노종광(14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이 발명인 다수의 레노종광을 이용한 직기에 있어서 다수의 레노종광(100)들이 경사이송방향에 따라 배치된 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4 경사(14)를 포함한 4본의 경사가 꼬이는 직물을 제직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레노종광(110)과 제2 레노종광(120)에 의한 제직 사이클, 제1 레노종광(110)과 제3 레노종광(130)에 의한 제직 사이클 및 제1 레노종광(110)과 제4 레노종광(140)에 의한 제직 사이클이 대응되면서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레노종광(100)은 경사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제1 레노종광(110) 및 제2 레노종광(120)이 연속하여 배치되고, 그 뒤로 상하 반전된 제3 레노종광(13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전방 및 후방을 반대로 배치하는 방식이다.
앞서 설명한 제직 공정을 적용하여 동일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제1 레노종광(110)과 제3 레노종광(130)에 의한 제직 사이클 및 제2 레노종광(120)과 제3 레노종광(130)에 의한 제직 사이클이 대응되면서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레노종광(100)은 상기 제1 레노종광(110) 앞으로, 상기 제3 레노종광(130)을 기준으로 상하 반전된 제4 레노종광(14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이 발명에 의한 다수의 레노종광을 포함하는 직기에 의해 제직된 직물은 종래의 레노조직을 가지는 직물에 비하여 엮임이 견고하고, 틀어짐이 적으며, 균일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적어도 3본 이상의 경사가 꼬인 직물을 제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목적하는 직물의 디자인에 따라 종광의 배치를 매번 다르게 할 필요가 없고, 레노조직과 자카드조직을 원하는 부분에 자유롭게 제직할 수 있어 제직 공정이 용이해지고 신속해지는 이점이 있다. 즉, 종광의 배치 변경 없이도 다양한 형태의 조직을 자유롭게 제직할 수 있게 된다.
적어도 3본 이상의 경사가 꼬인 직물을 발명에 의한 다수의 레노종광을 포함하는 직기로 제직하게 되면, 적어도 3본 이상의 경사가 꼬이도록 제직하는데 있어 레노종광(100)들이 상호 충돌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밀도의 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능적, 디자인적 요구에 따라 위사를 중심으로 꼬이는 경사의 수를 용이하게 증가시킬 수 있으며, 각각의 레노종광(100)을 제어하여 플로팅이 포함된 다양한 꼬임 형태를 지니는 직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레노 종광 이외의 다른 종류의 종광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직기의 구조가 단순해지므로 제작 및 유지관리가 용이해지며, 자카드 직기에는 물론 생산 비용이 저렴한 도비 직기 등에도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0는 이 발명인 다수의 레노종광을 이용한 직기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상기 레노종광(100)들 중 어느 하나는 경사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최후방에 배치되는 장력조절용 레노종광(2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는, 경사빔에서 공급되는 경사가 경사이송방향을 따라 본격적으로 레노종광(100)을 관통하기 전에 경사의 장력조절을 위한 이완장치로서 기능하게 된다. 종래의 이완장치로서 기능하던 가압빔(도면 미도시)을 대체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해지고, 부재가 단일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10을 살펴보면, 경사이송방향과 직교되도록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레노종광(100)들이 고정틀(100-1)에 의해 일체화될 수 있다. 복수의 레노종광(100)들이 고정틀(100-1)에 의해 일체화됨으로써, 레노종광(100)이 뒤틀림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2를 살펴보면, 상기 레노종광(100)의 전단종광(102) 및 후단종광(103)의 단부에 형성된 지지공(102a)(103a) 및 상기 센터종광(101)의 단부에 형성된 지지공(101d)에는 하측이 고정된 탄성수단(104)과 연결되도록 신축성 튜브(105)로 감싸진 철사고리(106)가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레노종광(100)이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제직이 원활히 진행되는 이점이 있다. 다시 말해, 레노종광(100)끼리 엉키거나 파손됨으로써 제직 공정에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이 발명에 따른 다수의 레노종광을 이용한 직기로부터 제직된 직물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앞서 설명한 다수의 레노종광을 이용한 직기로부터 제직된 직물은 경사(10)들이 위사(20)를 중심으로 꼬이도록 제직된 직물로서, 적어도 3본 이상의 경사(10)가 꼬이는 패턴을 가진다.
도 11는 이 발명인 다수의 레노종광을 이용한 직기로부터 제직된 직물의 일 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1 레노종광(110), 제2 레노종광(120) 및 제3 레노종광(130)을 포함한 3개의 레노종광(100)들을 이용한 직기로부터 제직된 직물로서, 위사(20)를 중심으로 제1 경사(11), 제2 경사(12) 및 제3 경사(13)가 꼬이도록 제직되되, 상기 제1 경사(11) 및 제2 경사(12)는 위사(20)를 중심으로 꼬이도록 교차를 반복하면서, 상기 제3 경사(13)는 상기 제1 경사(11)와 위사(20)를 중심으로 꼬이도록 교차를 반복하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도 11의 좌측에 위치한 패턴).
또한, 상기 제4 레노종광(140)을 더 포함한 4개의 레노종광(100)들을 이용한 직기로부터 제직된 직물로서, 위사(20)를 중심으로 제1 경사(11), 제2 경사(12) 및 제3 경사(13)가 꼬이도록 제직되되, 상기 제1 경사(11) 및 제2 경사(12)는 위사(20)를 중심으로 꼬이도록 교차를 반복하면서, 상기 제3 경사(13)는 일정 수의 위사(20)를 플로팅하여 상기 제1 경사(11)와 위사(20)를 중심으로 꼬이도록 교차를 반복하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도 11의 중간에 위치한 패턴).
또 다른 실시예로, 위사(20)를 중심으로 제1 경사(11), 제2 경사(12), 제3 경사(13) 및 제4 경사(14)가 꼬이도록 제직되되, 상기 제1 경사(11) 및 제2 경사(12)는 위사(20)를 중심으로 꼬이도록 교차를 반복하면서, 상기 제3 경사(13)는 일정 수의 위사(20)를 플로팅하여 상기 제1 경사(11)와 위사(20)를 중심으로 꼬이도록 교차를 반복하고, 상기 제4 경사(14)는 상기 제3 경사(13)와 대칭되면서 일정 수의 위사(20)를 플로팅하여 상기 제1 경사(11)와 위사(20)를 중심으로 꼬이도록 교차를 반복하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도 11의 우측에 위치한 패턴).
이로써, 종래의 레노조직을 가지는 직물에 비하여 엮임이 견고하고, 틀어짐이 적으며, 균일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적어도 3본 이상의 경사가 꼬인 직물을 제직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이 발명에 의한 다수의 레노종광을 이용한 직기 및 이로부터 제직된 직물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이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10 : 경사 11 : 제1 경사
12 : 제2 경사 13 : 제3 경사
20 : 위사 100 : 레노종광
101 : 센터종광 102 : 전단종광
103 : 후단종광 104 : 탄성수단
110 : 제1 레노종광 120 : 제2 레노종광
130 : 제3 레노종광 200 : 장력조절용 레노종광

Claims (13)

  1. 경사(10)들이 위사(20)를 중심으로 꼬이도록 교차시키는 레노종광(100)을 포함하는 직물용 직기에 있어서,
    적어도 3본 이상의 경사(10)가 꼬이도록 적어도 세 개 이상의 레노종광(100)들이 경사이송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되되, 상기 레노종광(100)은 경사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제1 레노종광(110)이 배치되고, 그 뒤로 상하 반전된 제2 레노종광(120) 및 제3 레노종광(130)이 연속하여 배치되며,
    제1 경사(11)를 기준으로 제2 경사(12)가 꼬이게 교차되도록 제1 레노종광(110)과 상하 반전된 제2 레노종광(120)이 경사이송방향 상에서 이격적으로 배치되고, 제1 경사(11)를 기준으로 제3 경사(13)가 꼬이게 교차되도록 제1 레노종광(110)과 상하 반전된 제3 레노종광(130)이 경사이송방향 상에서 이격적으로 배치되어 레노종광(100)들이 상호 충돌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경사들이 위사를 중심으로 꼬이도록 제직할 수 있고,
    상기 레노종광(100)에는,
    단수의 경사(10)가 관통되도록 경사공(101a)이 형성되며, 또 다른 경사(10)가 전측 공간부(101b) 또는 후측공간부(101c)로 넘어가도록 상단부가 만곡하게 형성된 센터종광(101)이 구비되고, 상기 센터종광(101)의 양 측에 각각 상하로 연장 형성된 전단종광(102) 및 후단종광(103)이 연결되되, 상기 전단종광(102) 및 후단종광(103)의 단부에는 지지공(102a)(103a)이 형성되어 통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노종광(100)은 상기 제3 레노종광(130) 뒤로, 상기 제1 레노종광(110)을 기준으로 상하 반전된 제4 레노종광(140)이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5. 경사(10)들이 위사(20)를 중심으로 꼬이도록 교차시키는 레노종광(100)을 포함하는 직물용 직기에 있어서,
    적어도 3본 이상의 경사(10)가 꼬이도록 적어도 세 개 이상의 레노종광(100)들이 경사이송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되되, 상기 레노종광(100)은 경사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제1 레노종광(110) 및 제2 레노종광(120)이 연속하여 배치되고, 그 뒤로 상하 반전된 제3 레노종광(130)이 연속하여 배치되며,
    제3 경사(13)를 기준으로 제1 경사(11)가 꼬이게 교차되도록 제1 레노종광(110)과 상하 반전된 제3 레노종광(130)이 경사이송방향 상에서 이격적으로 배치되고, 제3 경사(13)를 기준으로 제2 경사(12)가 꼬이게 교차되도록 제2 레노종광(120)과 상하 반전된 제3 레노종광(130)이 경사이송방향 상에서 이격적으로 배치되어 레노종광(100)들이 상호 충돌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경사들이 위사를 중심으로 꼬이도록 제직할 수 있고,
    상기 레노종광(100)에는,
    단수의 경사(10)가 관통되도록 경사공(101a)이 형성되며, 또 다른 경사(10)가 전측 공간부(101b) 또는 후측공간부(101c)로 넘어가도록 상단부가 만곡하게 형성된 센터종광(101)이 구비되고, 상기 센터종광(101)의 양 측에 각각 상하로 연장 형성된 전단종광(102) 및 후단종광(103)이 연결되되, 상기 전단종광(102) 및 후단종광(103)의 단부에는 지지공(102a)(103a)이 형성되어 통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노종광(100)은 상기 제1 레노종광(110) 앞으로, 상기 제3 레노종광(130)을 기준으로 상하 반전된 제4 레노종광(140)이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7. 제1항에 있어서,
    경사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최후방에는 장력조절용 레노종광(200)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노종광(100)은,
    경사이송방향과 직교되도록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레노종광(100)들이 고정틀(100-1)에 의해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9. 제1항,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직기로부터 제직된 직물.
  10. 제9항에 있어서,
    경사(10)들이 위사(20)를 중심으로 꼬이도록 제직된 직물로서, 적어도 3본 이상의 경사(10)가 꼬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위사(20)를 중심으로 제1 경사(11), 제2 경사(12) 및 제3 경사(13)가 꼬이도록 제직되되,
    상기 제1 경사(11) 및 제2 경사(12)는 위사(20)를 중심으로 꼬이도록 교차를 반복하면서, 상기 제3 경사(13)는 상기 제1 경사(11)와 위사(20)를 중심으로 꼬이도록 교차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위사(20)를 중심으로 제1 경사(11), 제2 경사(12) 및 제3 경사(13)가 꼬이도록 제직되되,
    상기 제1 경사(11) 및 제2 경사(12)는 위사(20)를 중심으로 꼬이도록 교차를 반복하면서, 상기 제3 경사(13)는 일정 수의 위사(20)를 플로팅하여 상기 제1 경사(11)와 위사(20)를 중심으로 꼬이도록 교차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13. 제10항에 있어서,
    위사(20)를 중심으로 제1 경사(11), 제2 경사(12), 제3 경사(13) 및 제4 경사(14)가 꼬이도록 제직되되,
    상기 제1 경사(11) 및 제2 경사(12)는 위사(20)를 중심으로 꼬이도록 교차를 반복하면서, 상기 제3 경사(13)는 일정 수의 위사(20)를 플로팅하여 상기 제1 경사(11)와 위사(20)를 중심으로 꼬이도록 교차를 반복하고, 상기 제4 경사(14)는 상기 제3 경사(13)와 대칭되면서 일정 수의 위사(20)를 플로팅하여 상기 제1 경사(11)와 위사(20)를 중심으로 꼬이도록 교차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KR1020160041193A 2016-04-04 2016-04-04 다수의 레노종광을 이용한 직기 및 이로부터 제직된 직물 KR101681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193A KR101681984B1 (ko) 2016-04-04 2016-04-04 다수의 레노종광을 이용한 직기 및 이로부터 제직된 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193A KR101681984B1 (ko) 2016-04-04 2016-04-04 다수의 레노종광을 이용한 직기 및 이로부터 제직된 직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1984B1 true KR101681984B1 (ko) 2016-12-02

Family

ID=57571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193A KR101681984B1 (ko) 2016-04-04 2016-04-04 다수의 레노종광을 이용한 직기 및 이로부터 제직된 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98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0606B1 (ko) * 2017-08-14 2017-12-20 정봉근 다양한 통기공 형태 구현이 가능한 꼬임조직형 직물, 신발갑피 및 이의 제직방법
CN109554807A (zh) * 2018-10-10 2019-04-02 浙江丝绸科技有限公司 一种码数提花紗罗织物的制织方法及装置
CN111549424A (zh) * 2020-04-02 2020-08-18 钱小萍 一种双面彩色提花织造纱罗织物及其应用
KR102186685B1 (ko) 2019-12-02 2020-12-07 주식회사 엠에이치하네스 자카드직기용 레노종광의 센터가이드 교체구조
KR102472236B1 (ko) * 2022-02-21 2022-11-28 송수복 특정부분에 선택적으로 신축성을 부여한 레노 자카드직 신발갑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397Y1 (ko) * 2003-06-24 2003-09-29 서동수 레노 조직용 종광틀
KR20120105908A (ko) * 2011-03-17 2012-09-26 김점석 산업용 레노직물 및 그 제직방법, 종광장치
KR20140011737A (ko) * 2012-07-19 2014-01-29 김기형 블라인드 커튼지 및 그 제직방법
KR101557130B1 (ko) * 2015-04-24 2015-10-02 송수복 이종 조직 직물 직조용 직기, 이를 이용하여 직조된 신발갑피 및 신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397Y1 (ko) * 2003-06-24 2003-09-29 서동수 레노 조직용 종광틀
KR20120105908A (ko) * 2011-03-17 2012-09-26 김점석 산업용 레노직물 및 그 제직방법, 종광장치
KR20140011737A (ko) * 2012-07-19 2014-01-29 김기형 블라인드 커튼지 및 그 제직방법
KR101557130B1 (ko) * 2015-04-24 2015-10-02 송수복 이종 조직 직물 직조용 직기, 이를 이용하여 직조된 신발갑피 및 신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0606B1 (ko) * 2017-08-14 2017-12-20 정봉근 다양한 통기공 형태 구현이 가능한 꼬임조직형 직물, 신발갑피 및 이의 제직방법
CN109554807A (zh) * 2018-10-10 2019-04-02 浙江丝绸科技有限公司 一种码数提花紗罗织物的制织方法及装置
KR102186685B1 (ko) 2019-12-02 2020-12-07 주식회사 엠에이치하네스 자카드직기용 레노종광의 센터가이드 교체구조
CN111549424A (zh) * 2020-04-02 2020-08-18 钱小萍 一种双面彩色提花织造纱罗织物及其应用
CN111549424B (zh) * 2020-04-02 2022-05-20 钱小萍 一种双面彩色提花织造纱罗织物及其应用
KR102472236B1 (ko) * 2022-02-21 2022-11-28 송수복 특정부분에 선택적으로 신축성을 부여한 레노 자카드직 신발갑피
WO2023158073A1 (ko) * 2022-02-21 2023-08-24 송수복 특정부분에 선택적으로 신축성을 부여한 레노 자카드직 신발갑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984B1 (ko) 다수의 레노종광을 이용한 직기 및 이로부터 제직된 직물
US9609916B2 (en) Loom for weaving fabric with two types of tissue, shoe upper woven using the same, and shoe
CN102844482B (zh) 用于制造带有附加纬面花纹的织物的方法和织机
RU2339750C1 (ru) Ткацкий станок, в частности пневматический бесчелночный ткацкий станок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ажурной ткани с тканым рисунком
US9580844B2 (en) Method for weaving pile fabrics and for configuring a weaving loom therefor
JP2011069033A (ja) 一方向性補強強化繊維織物とその製造方法
CN102099519A (zh) 制造横截面成型的织物、尤其绳索的织机
ES2326683T3 (es) Procedimiento para fabricar un tamiz de maquina papelera.
US7762286B1 (en) Terry weave fabric
CN105544044A (zh) 平面三向织物的成型方法
CN107675335A (zh) 一种带衬经三维机织物的制备方法
JPH05148790A (ja) フリンジからの選択的糸解き放し装置
KR101960640B1 (ko) 레노종광 직기의 가이드 장치
CN103510236B (zh) 一种机织布、多幅机织布织造机及织造方法
JP2009068144A (ja) 二重織物の織成方法
KR101093774B1 (ko) 다변화 패턴 직물 제조용 종광 모듈
KR100925014B1 (ko) 자카드가 표현된 벨벳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와 그제조방법
KR20230009889A (ko) 가동 가이드 빔을 포함한 직조기
KR100888153B1 (ko) 그물망의 직조방법 및 그의 직조물
US8893750B2 (en) Device for manufacturing a fabric, and fabric
KR101810606B1 (ko) 다양한 통기공 형태 구현이 가능한 꼬임조직형 직물, 신발갑피 및 이의 제직방법
US2095382A (en) Method of weaving frieze pile fabrics
KR101161824B1 (ko) 다변화 패턴 직물 제조용 종광 모듈 구동장치
CN113622070B (zh) 一种大提花纱罗织物及其织造方法
KR100311125B1 (ko) 쟈가드 직기를 이용해 직물의 전폭에 통무늬를 형성시키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