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153B1 - 그물망의 직조방법 및 그의 직조물 - Google Patents

그물망의 직조방법 및 그의 직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153B1
KR100888153B1 KR1020070089231A KR20070089231A KR100888153B1 KR 100888153 B1 KR100888153 B1 KR 100888153B1 KR 1020070089231 A KR1020070089231 A KR 1020070089231A KR 20070089231 A KR20070089231 A KR 20070089231A KR 100888153 B1 KR100888153 B1 KR 100888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ving
plain weave
weft
mesh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4312A (ko
Inventor
차용철
박상구
Original Assignee
차용철
박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용철, 박상구 filed Critical 차용철
Priority to KR1020070089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153B1/ko
Publication of KR20090024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GMAKING NETS BY KNOTTING OF FILAMENTARY MATERIAL; MAKING KNOTTED CARPETS OR TAPESTRIES; KNOT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G1/00Making nets by knotting of filamentary material
    • D04G1/02Making nets by knotting of filamentary material in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5/00Woven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물망의 직조방법 및 그의 직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그물망의 접점(junction)은 그물망의 주응력 방향 리브(rib)와 이에 수직한 부응력 방향 리브(rib)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접점은 익경사 그리고 다수의 경사와 다수의 위사로 구성되어 2개의 접점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점의 조직은 위·경사가 평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위·경사를 반 교차로 감싸는 익경사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물망의 직조방법 및 그의 직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익경사, 지경사, 레노직, 평직

Description

그물망의 직조방법 및 그의 직조물{weaving method and woven fabrics thereof for matrix net}
본 발명은 그물망의 직조방법 및 그의 직조물에 관한 것으로, 그물망의 접점(junction)은 그물망의 주응력 방향 리브(rib)와 이에 수직한 부응력 방향 리브(rib)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접점은 익경사 그리고 다수의 경사와 다수의 위사로 구성되어 2개의 접점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점의 조직은 위·경사가 평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위·경사를 반 교차로 감싸는 익경사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물망의 직조방법 및 그의 직조물에 관한 것이다.
포류(布類)에는 섬유(纖維)를 그대로 이용하여 접착시킨 부직포(不織布)와 섬유를 실로 만들고 이를 다시 포(布)로 만든 것이 있는데 그 종류는 다음과 같이, 조물(組物, braid), 편성물(編成物, knitted goods), 직물(織物, woven), 레이스(lace), 그물(網)이다.
조물은 일명 뉴직이라고도 하며 모든 실이 빗금의 방향으로 놓여졌으나 서로 반대의 것과 만날 때에는 상·하로 엮어지는 것을 말한다.
편성물은 한 가닥의 실 또는 그 이상의 실로서 계속 편환(編環, loop)을 만 들어 코(loop)와 코(loop)를 차례로 연결하여 신축성이 많게 엮음으로서 넓이가 이루어지며 이것은 손으로 뜨개질하는 손 뜨기와 기계로 하는 기계 뜨기가 있다.
직물은 세로로 된 실 경사와 가로로 된 실 위사가 서로 규칙적으로 부침작용(浮沈作用)을 하면서 직각으로 만날 때 겹쳐지는 교착상태(交錯狀態, interlace)의 모든 것을 말한다. 경사와 위사가 규칙적으로 조합되기 위해 위사를 기준으로 하여 경사가 위사를 부침하면서 직물을 구성하나 교착상태의 변화에 따라 교차되는 위치가 변하고 교차점(交叉點)의 수가 변하여 직물의 종류를 구성하며 이 교차되는 상태를 직물조직이라 한다.
직물의 종류는 아주 많이 존재하고 있으나 처음에는 단순한 것들이었지만 기술의 진보와 용도에 따라 활발하게 개발됨으로서 오늘날에는 다양한 조직이 존재하게 되었다. 직물의 표리(表裏)가 동일한 직물을 양면직물(兩面織物, even sided cloth), 표리가 다른 직물을 편면직물(片面織物, uneven sided cloth)이라 한다. 편면직물 중에서 위사가 직물표면에 많이 부출된 직물을 위부직물(緯浮織物, filling faced fabric)이라 하고 경사가 직물표면에 많이 부출된 직물을 경부직물(經浮織物, warp faced fabric)이라 한다.
직물의 형태로 분류하면 다음 3가지로 크게 대별할 수 있다.
첫째, 보통직물은 경사와 위사가 서로 나란히 엮어져 이루어진 것을 말하며 크게 나누면 기초조직(평직, 능직, 주자직) 또는 원조직, 변화조직 또는 유도조직, 특수조직, 이중조직 등이 있다.
둘째, 파일직물은 보통직물로 된 바탕조직(ground weave)에 경사나 위사가 직물표면에 파일이나 루프를 형성시킨 직물을 말한다. 종류에는 타월(towel)과 같이 코(loop)가 있는 것과 융단(carpet), 우단(velveteen) 등과 같이 파일을 이룬 것들이 있다.
셋째, 꼬임직물(gauze fabric)은 익직물이라고도 하며 가로로 된 실은 나란하게 이루고 있으나 세로로 된 실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자리바꿈을 하여 꼬임을 이루는 직물을 말한다. 대표적인 것이 모기장과 같은 것이다.
익조직은 보통의 직물은 경사가 평행으로 있는 상태에서 경사와 교차하는데, 익직물은 2종의 경사가 있어 이것이 위사 사이에서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2종의 경사는 하나는 중심사(지경사)로 하나는 감싸는 실로 감싸는 경사가 지경사의 좌우로 옮겨 결과적으로 꼬임이 있는 모양이 되며 이 때문에 위사와 위사 사이에 빈틈을 만들어 그물망 조직에 응용되고 있다.
도 2는 평직(plain weave)과 반교차 레노직의 슬립 저항(slip resistance)을 비교한 비교도로서, 직물의 슬립 저항(slip resistance)은 아래에 나타낸 수학식 1과 2로 표시한다.
Figure 112007064136832-pat00001
Figure 112007064136832-pat00002
여기서,
Figure 112007064136832-pat00003
는 직물의 슬립저항이고,
Figure 112007064136832-pat00004
는 실의 장력이고,
Figure 112007064136832-pat00005
,
Figure 112007064136832-pat00006
는 실의 지름(mm)이고,
Figure 112007064136832-pat00007
는 위사 실의 밀도(
Figure 112007064136832-pat00008
)이고,
Figure 112007064136832-pat00009
는 실의 마찰계수이고,
Figure 112007064136832-pat00010
는 감김 각도이다.
상기 수학식 1, 2로 부터 직물의 슬립 저항은 실의 장력과 실의 마찰계수, 실의 감김 각도의 함수이며, 또한 실의 감김 각도는 실의 지름과 위사 실의 밀도와의 함수이다.
그물망의 접점(junction)은 그물망의 주응력 방향 리브와 이에 수직한 부응력 방향 리브를 상호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부분을 지칭하며, 그물망의 형태 안정성과 하중 전달을 담당한다.
그물망의 리브(rib)는 그물망의 접점을 중심으로 형성된 경·위사 방향의 기본 단위이다.
현재 그물망 구성은 원사를 트리코트(tricot) 또는 편성(knitted)하여 PVC 등으로 코팅한 메쉬(mesh)형 인장 보강재(Tensile Reinforcement)나 안전망, 모기장 등을 말한다.
그러므로 직조(weaving) 형태로 그물 조직을 형성하여 개공부(aperture)를 형성하기에는 어느 정도 한계가 있다.
왜냐하면 위사 실 밀도를 크게 하여 그물 조직의 개공부(aperture)를 형성하기에는 상기 수학 식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감김 각도가 낮아지고 슬립 저항이 적어 지므로 그물망의 형태 안정성을 추구할 수 없다.
기존 그물망의 전극 직조방법은 레노직(또는 익조직, leno weave)으로 경사 두 가닥이 서로 꼬여 그 사이에 위사가 지나간 형상으로 되므로서, 지경사와 위사가 익경사에 의해 얽혀 매인 형태로 된다. 그러나 그물망의 개공부(aperture)를 형성하기에는 어느 정도 한계가 있다. 왜냐하면 위사 실 밀도를 크게 하여 그물 조직의 개공부(aperture)를 형성하기에는 상기 수학 식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감김 각도가 낮아지고 슬립 저항이 적어지므로 그물망의 형태 안정성을 추구할 수가 없다.
또한 기존 그물망의 편조 전극의 좌·우에 전극 보강 경사를 가까이 접하여 전기적인 접촉저항을 낮추는 역할을 하고 있으나 전극 보강 경사들이 벌어짐 현상이 발생해 제 기능을 못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그물망을 트리코트(tricot) 또는 편성(knitted)하여 구성하기에는 유리섬유사의 굽힘 강도가 없어 트리코트(tricot) 또는 편성(knitted)으로 구성할 수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강성도와 인장특성이 우수한 유리 섬유사로 그물망을 직조(weaving)하여 그물망의 고품질화 실현을 목적으로 한다.
직조물에서 그물망의 접점(junction)은 그물망의 주응력 방향 리브와 이에 수직한 부응력 방향 리브를 상호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부분을 지칭하며, 그물망의 형태 안정성과 하중 전달을 담당하므로, 그물망의 접점 강도(geogrid junction strength)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직조물의 슬립 저항을 높이기 위해서 직물의 교차점인 접점을 레노직과 평직으로 조합하는 방법으로 본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그물망의 직조방법 및 그의 직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편조선 전극과 전극 보강 경사를 일체로 감싸는 익경사 처리로 저항체에 안정적인 전원 인가를 할 수 있으며, 리브(rib)의 각각 접점의 조직을 다수의 위·경사로 하여 평직으로 처리하므로서 접점 강도를 높이고 그물망의 형태 안정성을 추구할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그물망의 직조방법 및 그의 직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그물망의 접점(junction)은 그물망의 주응력 방향 리브(rib)와 이에 수직한 부응력 방향 리브(rib)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접점은 익경사 그리고 다수의 경사와 다수의 위사로 구성되어 2개의 접점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점의 조직은 위·경사가 평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위·경사를 반 교차로 감싸는 익경사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물망의 직조방법 및 그의 직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 레노직(leno leave) 방식에 위한 그물망 전극 직조물 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그물망의 편조 전극(103)의 좌·우에 전극 보강 경사(104a,104b, 104c)를 가까이 접하여 전기적인 접촉저항을 낮추는 역할을 하고 있으나 전극 보강 경사들이 벌어짐 현상이 발생해 제 기능을 못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수학 식1, 2를 고려한 슬립 저항(slip resistance)의 최적치는 위·경사의 밀도는 1인치당 2.5개로 리브(rib)의 크기가 10 mm 정도이고, 위·경사의 크기(size)는 600 tex 정도로 구성되어 지고 있다.
또한 유리 섬유사의 마찰 계수가 적어 그물망의 호형도(弧形度, bow) 및 사행도(skewness)를 고려한 그물망의 직물 설계에 한계가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그물망 전극 직조를 위한 반교차 레노직 장치와 그 레노직 장치 안에서 평직 장치를 조합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그물망 직조 공정의 초기 위치인 폐구(閉口, 교차위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그물망 직조 1공정의 레노직·평직 종광의 상·하 운동으로 좌측 복합 교차구(交叉口)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그물망 직조 공정의 초기 위치인 폐구(閉口, 교차위치) 시(時)에서 반교차 레노직 장치와 그 레노직 장치 안에서 평직 장치를 조합해 이루어지는 레노직·평직 종광(201a, 201b, 201c, 201d, 201e, 201f, 201g)의 상승 운동(201c, 201d, 201f)과 하강 운동(201a, 201b, 201e, 201g)으로 좌측 복합 교차구(交叉口)가 형성되고, 상기 교차구 공간에 a위사(102a)가 위입되는 1단계 공정을 진행한다. 다만, 상기 1공정의 반종광(201b)은 상승 후 하강 상태를 유지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그물망 직조 2공정의 평직 종광의 상·하 운동으로 개구(開口, shed)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상기 공정 후 직조 2공정의 평직 종광(201d, 201e, 201f, 201g)의 상승 운동(201e, 201g)과 하강 운동(201d, 201f)으로 형성된 개구(開口, shed) 공간에 b위사(102b)가 위입되는 2단계 공정을 진행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그물망 직조 3공정의 평직 종광의 상·하 운동으로 개구(開口, shed)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상기 공정 후 직조 3공정의 평직 종광(201d, 201e, 201f, 201g)의 상승 운동(201d, 201f)과 하강 운동(201e, 201g)으로 형성된 개구(開口, shed) 공간에 c위사(102c)가 위입되는 3단계 공정을 진행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그물망 직조 4공정의 레노직·평직 종광의 상·하 운동으로 우측 복합 교차구(交叉口)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상기 공정 후 직조 4공정의 레노직·평직 종광(201a, 201b, 201c, 201d, 201e, 201f, 201g)의 상승 운동(201a, 201e, 201g)과 하강 운동(201b, 201c, 201d, 201f)으로 형성된 우측 복합 교차구(交叉口) 공간에 d위사(102d)가 위입되는 4단계 공정을 진행한다. 다만, 상기 4공정의 반종광(201b)은 상승 후 하강 상태를 유지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그물망 직조 5공정의 평직 종광의 상·하 운동으로 개구(開口, shed)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상기 공정 후 직조 5공정의 평직 종광(201d, 201e, 201f, 201g)의 상승 운동(201d, 201f)과 하강 운동(201e, 201g)으로 형성된 개구(開口, shed) 공간에 e위사(102e)가 위입되는 5단계 공정을 진행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그물망 직조 6공정의 평직 종광의 상·하 운동으로 개구(開口, shed)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상기 공정 후 직조 6공정의 평직 종광(201d, 201e, 201f, 201g)의 상승 운동(210e, 201g)과 하강 운동(201d, 201f)으로 형성된 개구(開口, shed) 공간에 f위사(102f)가 위입되는 6단계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6단계 공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그물망의 직물이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 교차 레노직 장치와 그 레노직 장치 안에서 평직 장치를 조합해 직조한 전극직조 예시도로서, 상기 평직 종광(201e)을 편조전극(103)으로 공급해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편조전극의 경리브(106)가 형성되게 상기 공정을 이루어지게 하고, 그물망 직조 공정의 초기 위치인 폐구(閉口, 교차위치) 시(時)에서 반 교차 레노직 장치와 그 레노직 장치 안에서 평직 장치를 조합해 이루어지는 레노직·평직 종광(201a, 201b, 201c, 201d, 201e, 201f, 201g)의 상·하 운동으로 좌측 복합 교차구(交叉口)가 형성되고, 상기 교차구 공간에 a위사(102a)가 위입되는 단계, 상기 공정 후 직조 2공정의 평직 종광(201d, 201e, 201f, 201g)의 상·하 운동으로 형성된 개구(開口, shed) 공간에 b위사(102b)가 위입되는 단계, 상기 공정 후 직조 3공정의 평직 종광(201d, 201e, 201f, 201g)의 상·하 운동으로 형성된 개구(開口, shed) 공간에 c위사(102c)가 위입되는 단계, 상기 공정 후 직조 4공정의 레노직·평직 종광(201a, 201b, 201c, 201d, 201e, 201f, 201g)의 상·하 운동으로 형성된 우측 복합 교차구(交叉口) 공간에 d위사(102d)가 위입되는 단계, 상기 공정 후 직조 5공정의 평직 종광(201d, 201e, 201f, 201g)의 상·하 운동으로 형성된 개구(開口, shed) 공간에 e위사(102e)가 위입되는 단계, 상기 공정 후 직조 6공정의 평직 종광(201d, 201e, 201f, 201g)의 상·하 운동으로 형성된 개구(開口, shed) 공간에 f위사(102f)가 위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물망의 직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평직 종광(201e)을 편조전극(103)으로 공급해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편조전극의 경리브(106)가 형성되게 상기 공정을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그물망의 접점(junction)은 그물망의 주 응력 방향 리브(rib)와 이에 수직인 부 응력 방향 리브(rib)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접점은 익경사(101b) 그리고 다수의 경사와 위사(102a, 102b, 102c, 102d, 102e, 102f)로 구성되어 2개의 접점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점의 조직은 위·경사가 평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위·경사를 반 교차로 감싸는 익경사(101b)로 구성하는 그물망의 직조물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경사가 편조전극(103)과 전극보강 경사(104a, 104b, 104c)로 이루어지게 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편조전극의 경리브(106)가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편조전극과 전극보강 경사로 편조전극의 경리브가 구성되고, 편조전극 선의 개개의 심선이 편조 각을 이루고 있어 이종 물질로 구성된 편조전극 경리브이지만 편조 각으로 물리적인 연신율을 서로 갖게 할 수 있어 내굴곡성이 좋은 직조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편조전극과 전극보강 경사로 경리브가 구성되고 전기적 접촉저항을 낮추기 위해 편조전극과 전극보강 경사를 일체로 감싸는 반교차 익경사로 구성되어 있어 전극보강 경사가 편조전극과 접촉면을 넓게 갖게 되어 전기적인 접촉저항을 낮추며 그물망의 직조물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적인 전극과 커넥터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그물망을 직조하기 위한 반 교차 레노직 장치와 그 레노직 장치 안에서 평직 장치를 조합한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 교차 레노직 장치와 그 레노직 장치 안에서 평직 장치를 조합해 직조한 그물망 직조 예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 교차 레노직 장치와 그 레노직 장치 안에서 평직 장치를 조합해 직조한 전극 직조와 그물망 직조를 혼합한 그물망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공정에 따른, 그물망의 구성은 원사를 트리코트(tricot) 또는 편성(knitted)이 아닌 레노직과 평직을 조합으로 그물망의 접점(junction)을 형 성해 메쉬(mesh)형 인장 보강재(Tensile Reinforcement) 및 안전망 형태의 그물망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물망의 접점(junction)은 그물망의 주 응력 방향 리브와 이에 수직인 부 응력 방향 리브를 상호 연결하여 고정하는 부분을 지칭하며, 그물망의 형태 안정성과 하중 전달을 담당한다.
그물망의 리브(rib)는 그물망의 접점을 중심으로 형성된 경·위사 방향의 기본 단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그물망의 접점 구성은 경사 4올 이상과 위사 3올 이상 평직으로 직조하고, 익경사(101b)로 반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그물망은 접점 강도(junction strength)를 높게 할 수 있으며, 리브(rib) 크기도 10 mm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 레노직(leno weave) 방식에 위한 그물망 전극 직조물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평직(plain weave)과 반 교차 레노직의 슬립 저항(slip resistance)을 비교한 비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물망 전극 직조를 위한 반 교차 레노직 장치와 그 레노직 장치 안에서 평직 장치를 조합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물망 직조 공정의 초기 위치인 폐구(閉口, 교차위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그물망 직조 1공정의 레노직·평직 종광의 상·하 운동으로 좌측 복합 교차구(交叉口)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그물망 직조 2공정의 평직 종광의 상·하 운동으로 개구(開口, shed)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그물망 직조 3공정의 평직 종광의 상·하 운동으로 개구(開口, shed)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그물망 직조 4공정의 레노직·평직 종광의 상·하 운동으로 우측 복합 교차구(交叉口)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그물망 직조 5공정의 평직 종광의 상·하 운동으로 개구(開口, shed)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그물망 직조 6공정의 평직 종광의 상·하 운동으로 개구(開口, shed)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반 교차 레노직 장치와 그 레노직 장치 안에서 평직 장치를 조합해 직조한 전극직조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물망을 직조하기 위한 반 교차 레노직 장치와 그 레노직 장치 안에서 평직 장치를 조합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반 교차 레노직 장치와 그 레노직 장치 안에서 평직 장치를 조합해 직조한 그물망 직조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반 교차 레노직 장치와 그 레노직 장치 안에서 평직 장치를 조합해 직조한 전극 직조와 그물망 직조를 혼합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a: 레노 경사(leno warp)
101b: 익경사(doup end)
101c: 지경사(ground warp)
102a, 102b, 102c, 102d, 102e, 102f: 위사(weft, filling)
103: 편조전극
104a, 104b, 104c: 전극 보강 경사
105a, 105b, 105c, 105d: 경사(warp)
106: 경리브
107: 위리브
201a, 201b, 201c, 201d, 201e, 201f, 201g: 종광틀(heald frame)
202: 반종광
203a, 203b: 레노 종광
204: 평직 종광

Claims (4)

  1. 삭제
  2. 그물망 직조 공정의 초기 위치인 폐구(閉口, 교차위치) 시(時)에서 반 교차 레노직 장치와 그 레노직 장치 안에서 평직 장치를 조합해 이루어지는 레노직·평직 종광(201a, 201b, 201c, 201d, 201e, 201f, 201g)의 상·하 운동으로 좌측 복합 교차구(交叉口)가 형성되고, 상기 교차구 공간에 a위사(102a)가 위입되는 단계,
    상기 공정 후 직조 2공정의 평직 종광(201d, 201e, 201f, 201g)의 상·하 운동으로 형성된 개구(開口, shed) 공간에 b위사(102b)가 위입되는 단계,
    상기 공정 후 직조 3공정의 평직 종광(201d, 201e, 201f, 201g)의 상·하 운동으로 형성된 개구(開口, shed) 공간에 c위사(102c)가 위입되는 단계,
    상기 공정 후 직조 4공정의 레노직·평직 종광(201a, 201b, 201c, 201d, 201e, 201f, 201g)의 상·하 운동으로 형성된 우측 복합 교차구(交叉口) 공간에 d위사(102d)가 위입되는 단계,
    상기 공정 후 직조 5공정의 평직 종광(201d, 201e, 201f, 201g)의 상·하 운동으로 형성된 개구(開口, shed) 공간에 e위사(102e)가 위입되는 단계,
    상기 공정 후 직조 6공정의 평직 종광(201d, 201e, 201f, 201g)의 상·하 운동으로 형성된 개구(開口, shed) 공간에 f위사(102f)가 위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물망의 직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평직 종광(201e)을 편조전극(103)으로 공급해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편조전극의 경리브(106)가 형성되게 상기 공정을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물망의 직조방법.
  3. 삭제
  4. 그물망의 접점(junction)은 그물망의 주 응력 방향 리브(rib)와 이에 수직인 부 응력 방향 리브(rib)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접점은 익경사(101b) 그리고 경사(105a, 105b, 105c, 105d)와 위사(102a, 102b, 102c, 102d, 102e, 102f)로 구성되어 2개의 접점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점의 조직은 위·경사가 평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위·경사를 반 교차로 감싸는 익경사(101b)로 구성하는 그물망의 직조물에 있어서, 상기 경사가 편조전극(103)과 전극보강 경사(104a, 104b, 104c)로 이루어지게 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편조전극의 경리브(106)가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물망.
KR1020070089231A 2007-09-04 2007-09-04 그물망의 직조방법 및 그의 직조물 KR100888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231A KR100888153B1 (ko) 2007-09-04 2007-09-04 그물망의 직조방법 및 그의 직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231A KR100888153B1 (ko) 2007-09-04 2007-09-04 그물망의 직조방법 및 그의 직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312A KR20090024312A (ko) 2009-03-09
KR100888153B1 true KR100888153B1 (ko) 2009-03-16

Family

ID=40693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231A KR100888153B1 (ko) 2007-09-04 2007-09-04 그물망의 직조방법 및 그의 직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1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087B1 (ko) 2011-05-24 2012-04-12 주식회사 포에스텍 신율이 우수하고 변형과 접점 강도를 개선한 지오그리드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오그리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491B1 (ko) * 2015-07-20 2017-03-09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장력 밸런싱된 원사가 감긴 싱글 빔을 이용하여 레노 조직과 우븐 조직을 포함하는 복합 직물을 제직하는 방법
KR101678630B1 (ko) * 2015-09-15 2016-11-23 이병우 제직기용 건축공사장 안전보호망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36026A1 (de) 1981-09-11 1983-03-24 Synteen Gewebe Technik GmbH, 7895 Klettgau "armierungsgewebe fuer putze"
US5421376A (en) 1994-01-21 1995-06-06 Lockheed Missiles & Space Co., Inc. Metallized mesh fabric panel construction for RF reflector
KR960001845Y1 (ko) * 1993-05-14 1996-02-29 교하산업 주식회사 그린하우스용 커버지
US6056479A (en) * 1995-05-12 2000-05-02 The Tensar Corporation Bonded composite open mesh structural textil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36026A1 (de) 1981-09-11 1983-03-24 Synteen Gewebe Technik GmbH, 7895 Klettgau "armierungsgewebe fuer putze"
KR960001845Y1 (ko) * 1993-05-14 1996-02-29 교하산업 주식회사 그린하우스용 커버지
US5421376A (en) 1994-01-21 1995-06-06 Lockheed Missiles & Space Co., Inc. Metallized mesh fabric panel construction for RF reflector
US6056479A (en) * 1995-05-12 2000-05-02 The Tensar Corporation Bonded composite open mesh structural texti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087B1 (ko) 2011-05-24 2012-04-12 주식회사 포에스텍 신율이 우수하고 변형과 접점 강도를 개선한 지오그리드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오그리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312A (ko) 2009-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03593C2 (ru) Жаккардовый ткацкий станок, имеющий оптимизированную плотность основных нитей
JP2011069033A (ja) 一方向性補強強化繊維織物とその製造方法
KR100888153B1 (ko) 그물망의 직조방법 및 그의 직조물
KR101681984B1 (ko) 다수의 레노종광을 이용한 직기 및 이로부터 제직된 직물
JP3492376B2 (ja) 一体に織られたレースコードを有するスリーブ
RU2037577C1 (ru) Объемная ткань и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е получения
EP0422293A1 (en) Woven multi-layer angle interlock fabrics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100942594B1 (ko) 지오그리드용 직물지
CN211420436U (zh) 涤竹纤维双斜弹力面料
AU1144001A (en) Mesh fabric
CN111893636A (zh) 一体成型可伸缩手把编织织带及编织方法、编织设备
CN201180183Y (zh) 具高抗张力的网布构造
JP5443399B2 (ja) 浴用タオル
EP1705273A2 (en) Textile fabrics for clothing
CN211079479U (zh) 一种防脱线的面料
CN212293973U (zh) 一体成型可伸缩手把编织织带及编织设备
JP2012224964A (ja) 炭素繊維補強織物
CN216942149U (zh) 一种强度高的六角网眼布
CN115161852B (zh) 一种加强纬纱接结的三维立体机织间隔织物制备方法
KR101312066B1 (ko) 무늬용 위사가 불규칙적으로 굴곡배치된 이중직물 및 그 제직방법
US20070048491A1 (en) Water resistant carpet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 same
KR100936113B1 (ko) 자카드직기로 제직되는 트리플블라인드지 및 제직방법
JP6578467B2 (ja) 梯子状織物を用いた留付具およびこの留付具を用いたテントの設営方法
CN211968647U (zh) 一种纺织用复合抗菌网布
KR102459862B1 (ko) 건축공사용 레노조직 안전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1